KR100552443B1 - 간호용 입욕 장치 - Google Patents

간호용 입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443B1
KR100552443B1 KR1020030058359A KR20030058359A KR100552443B1 KR 100552443 B1 KR100552443 B1 KR 100552443B1 KR 1020030058359 A KR1020030058359 A KR 1020030058359A KR 20030058359 A KR20030058359 A KR 20030058359A KR 100552443 B1 KR100552443 B1 KR 100552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bath
bathtub
bather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8941A (ko
Inventor
마사루 노로
마사후미 니시노
데츠나리 하마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덴키 테크노 클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덴키 테크노 클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7Tipping-devices fo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3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mounted on or in combination with a bath-t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4Rollers, rails or oth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9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035/004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whole body except the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간호인의 작업 부하가 경감될 수 있는 간호용 입욕 장치를 제공한다.
입욕자(P)의 머리 부분이 돌출하는 개구부(12b)를 제외한 욕조(12)의 윗면 개구(12a)는 가스 스프링(19)에 의한 상방으로 가세되는 아암(18)에 의하여 윗방향으로 개방이 자유롭게 덮개(l6)에 의하여 폐색된다. 덮개(16)가 상부로 개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간호인이 욕조(12)의 좌우 어느 쪽의 옆에 서서도 덮개(16)의 개폐가 가능하고, 몸집이 작고 힘이 약한 간호인이라도 무리 없이 개폐가 행할 수 있다. 또, 장치의 횡방향 폭(최대 폭)이 작아도 괜찮고, 공간의 절약에도 유효하다.

Description

간호용 입욕 장치{NURSING BATH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간호용 입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 부분의 측면도(욕조 수납 상태).
도 2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 부분의 측면도(세팅 상태).
도 3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 부분의 측면도(표준 입욕 상태).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욕조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일부로서 전용 휠체어의 외관의 정면도(a) 및 외관 측면도(b).
도 6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욕조를 경사 이동시키기 위한 축지지부 주변의 주요 부분의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세팅 상태에 있어서 주요 부분의 정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세팅 상태에 있어서 주요 부분의 측면도.
도 9는 도 5에 나타낸 휠체어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입욕자를 휠체어로부터 욕조 안으로 이송할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입욕자를 휠체어로부터 욕조 안으로 이송할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스토퍼 신축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본체 장치의 욕조 수납 상태에 있어서 전체 측면도(a) 및 정면도(b).
도 14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조작 패널의 확대도.
도 15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급수·배수용의 배관 구성도.
도 16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주로 급탕 경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7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배수 경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배수 경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9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전기 계통의 전체 구성도.
도 20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와 욕조 위치 검지 스위치군(群)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
도 21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의 구동에 관련된 주요 부분의 회로 구성도.
도 22는 도 21의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본체 장치 전체의 측면도, (b)는 욕조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c)는 (b)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23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앉은 키 검지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허리 부분의 개략 측면도(a) 및 개략 정면도(b).
도 24는 간호인이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를 사용하여 입욕자를 입욕시킬 때의 일련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25는 간호인이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를 사용하여 입욕자를 입욕시킬 때의 일련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26은 간호인이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를 사용하여 입욕자를 입욕시킬 때의 일련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27은 간호인이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를 사용하여 입욕자를 입욕시킬 때의 일련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28은 바이패스관에 의한 급탕시의 탕온 제어의 플로차트.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장치 10 : 지주
11 : 저탕조 12 : 욕조
12a : 윗면 개구 12b : 개구부
12c : 지지편부(支持片部) 12d : 욕조내 레일
12e : 급탕구 12f : 배수구
12g, 12h : 넘침 출구 12j : 넘침 유동관
13 : 욕조 롤러 14 : 축지지부
15 : 경사안내부
16 : 덮개 16a : 넘침 출구
16b : 넘침 유동관 16c : 플랜지
16d : 출구 개구
17 : 스토퍼 신축 기구 171 : 제 1 부재
172 : 제 2 부재 173 : 롤러
174, 175 : 비틀림 코일 용수철 176 : 스토퍼
18 : 암 19 : 가스 스프링
20 : 축체 21 : 가동체
22 : 볼나사 너트 23 : 나사축
24 :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
30 : 조작 패널 316 : 입욕제 투입 지시키
318 : 바디샴푸 투입 지시 키
4O : 급탕관 41 : 급수관
42 : 제 1 혼합 밸브 45 : 저탕 밸브
46 : 바이패스관 47 : 바이패스 밸브
48 : 급탕관 49 : 배탕관
50 : 급탕 밸브 501 : 밸브체
502 : 체인 503 : 풀리
504 : 연통관
51 : 급탕용 토크 모터 52 : 배탕 밸브
53 : 배탕용 토크 모터 55 : 저장병
56a : 입욕제 투입 펌프 56b : 바디샴푸 투입 펌프
58 : 배수 밸브 59 : 배수관
80 : 마이크로 컴퓨터 81 : 부하 구동부
2 : 휠체어
210 : 대차부 211 : 지주부
212 : 후륜 213 : 전륜
214 : 안내 레일 214a : 후방 단부
215 : 대차측 고정편 220 : 좌석부
221 : 횡방향 기저부 223 : 등받이 지주
225 : 좌석면 228 : 대차부용 롤러
228a : 원판부 228b : 습동부
229 : 욕조용 롤러
본 발명은 신체 장애자, 노령자 등의 피간호인이 간호인의 간호하에 입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간호용 입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 장애자나 노령자 또는 병약자 등 일어서는 것이 곤란하거나 자력만으로는 입욕할 수 없는 자(이하「피간호인」라고 한다)가 간호인의 조력하에 입욕하기 위한 입욕 장치로서 다양한 형태의 것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입욕 장치의 하나로서, 피간호인을 휠체어에 앉힌 상태에서 욕조에 간편하게 이동시켜 욕조 속에 온수를 담아둔 뒤 피간호인이 온수에 잠기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입욕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제2628568호 공보에 기재된 입욕 장치에서는 욕조의 윗면 개구가 거의 수직 상향 상태부터 경사 상향 상태로 욕조가 요동하도록 지지되어, 욕조의 최전방 선단이 바닥면에 근접하도록 한 상태(윗면 개구가 경사 상향된 상태)로 로킹(locking)시켜 휠체어의 좌석부에 앉은 피간호인을 좌석부에서 욕조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피간호인이 욕조에 수용된 후에는 로킹을 해제하고 욕조를 요동시켜 수평 상태로 로킹시키고, 욕조 내에 온수를 담아서 피간호인이 앉아서 입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간호의 현 상황을 고려하면, 간호인은 여성인 경우가 많은 반면 간호상의 작업의 대부분, 특히 상기와 같이 피간호인에게 입욕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간호에 있어서 그 작업은 완력을 수반하는 힘든 작업이 많다. 그 때문에, 이러한 간호인의 부담 특히, 노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도, 피간호인을 들어올리고 욕조 안으로 이동시키는 등의 과중한 작업을 해소하기 위해 휠체어의 좌석부를 그대로 욕조 안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방법이 채용되어 간호인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을 도모하고 있다. 그렇지만, 피간호인이 수용된 상태에서 욕조를 요동시키는 것은 힘이 약한 간호인에게 있어서는 용이하지 않고, 또 피간호인이 수용된 후에 욕조를 욕실로 이동하고 욕조 안으로 급탕을 행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실제로 피간호인을 입욕시킬 때에 간호인의 노력을 크게 필요로 하는 것은 면하기 어렵다.
한편, 예를 들면 특개 2000-116745호 공보 등에 기재된 입욕 장치(제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오즈 기연 주식회사 제품인 휠체어 입욕 장치 체어인버스 등)에서는 욕조의 측벽에 미닫이식 문이 설치되는 한편, 피간호인을 이송하기 위한 휠체어는 좌석부와 대차부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욕조의 문을 연 상태에서 피간호인이 탔던 휠체어를 욕조에 접촉하도록 근접시켜 가면 대차부는 욕조의 바닥면 아래쪽, 즉 욕조의 외부에 남고 좌석부만이 피간호인을 실은 채로 욕조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한다. 따라서, 그 후 문을 닫고 욕조에 온수를 담은 후 피간호인을 입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입욕 장치에는 급탕 장치 등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간호인의 노력이 어느 정도 경감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입욕 장치는 비교적 설치면적을 확보 하기 쉬운 간호시설 등에 설치되는 것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에 대형으로 큰 설치면적을 점유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재택 간호 등을 위해 일반 가정에 설치하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다. 이러한 것으로, 일반 가정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특히 설치면적이 작은 소형의 입욕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물론, 설치면적이 작으면 간호 시설 등에 있어도 여러 가지 장치를 병설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점이 크다.
또한, 입욕 장치의 본래의 목적은 피간호인의 신체를 청결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입욕에 의하여 피간호인에게 편안한 느낌이나 감성 등의 심리적으로 좋은 영향을 주고 경우에 따라서는, 온열 등에 의한 신체적인 치료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래의 목적과 관련하여 종래의 입욕 장치보다 한층 높은 효과를 얻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입욕 장치를 이용하는 피간호인은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지 않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소리를 내는 것이 가능하지 않는 것도 많기 때문에, 사용시에 입욕자의 신체에 위험을 미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성에 관해서도 크게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함과 동시에, 입욕자가 안심하고 입욕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여러 가지 사항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목적에 있어서는 간호인의 작업 부하를 크게 경감하고 간호인의 체격이 비교적 작거나 힘이 약한 경우에도 무리 없이 조작이나 취급할 수가 있고, 작업성이 양호한 간호용 입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설치면적이 작아도 괜찮고 공간 절약성이 우수한 간호용 입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피간호인, 즉 입욕자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달성할 수 있는 간호용 입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피간호인 자신에게 충분한 만족감이나 안심감을 주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에 의하여 높은 입욕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피간호인 즉 입욕자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달성할 수 있는 간호용 입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제 1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에 수용된 입욕자의 머리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로서, 욕조의 후단에 지지되어 자유롭게 접동(蝶動)되어 상부로 개방되는 구조인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윗면 개구를 통해서 욕조 내에 입욕자를 수용한 후에 덮개를 폐쇄하고, 그 후에 욕조 내에 급탕을 행하여 입욕자가 온수에 잠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덮개를 위로 크게 연 상태로, 입욕자를 좌석부에 앉은 상태 그대로 대차부상으로부터 욕조 안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입욕자가 충분히 욕조 내에 수용되면, 덮개를 내리고 욕조의 윗면 개구의 일부를 폐쇄한다. 이 때, 통상은 입욕자의 머리부분(입욕자의 체격에 의해서는 어깨 윗부분)만이 욕조에서 돌출한 상태가 된다. 그 후에, 욕조 안으로 급탕을 행하 고, 입욕자가 온수에 잠기도록 하여 입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덮개를 횡방향으로 여는 구조라 하면, 욕조를 사이에 두고 덮개의 개방 방향과 반대측에 간호인이 서는 경우, 덮개를 폐쇄할 때에 욕조 위를 가로지르도록 상반신을 내밀지 않으면 안되고, 간호인이 몸집이 작은 경우에 특히 작업을 행하기가 어렵다. 또, 입욕자의 위로 상반신을 내미는 것이 되기 때문에, 간호인과 입욕자 모두에게 심리적인 저항감이 생기는 것도 우려된다. 이에 대하여, 본 제 1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의하면, 덮개를 위로 여는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간호인이 욕조의 좌우 어느 쪽에 서있어도 동일한 조건으로 무리 없이 덮개의 개폐를 행할 수가 있다. 또, 욕조나 입욕자의 위로 간호인이 상반신을 내미는 일없이 덮개의 개폐가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 간호인이나 입욕자의 심리적 저항이 생기지 않는다. 더욱이, 덮개가 상부로 개방되는 구조이므로, 덮개의 개방시에도 장치의 옆 사이즈가 커지지 않고, 설치 스페이스의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제 2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하고, 내부에 저장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를 갖는 욕조와, c) 상기 욕조에 수용된 입욕자의 머리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와, d) 욕조 내에 면한 상기 덮개에 설치된 넘침 유동구(溢流口)와, 상기 넘침 유동구를 입구 개구로 하여 상기 덮개에 설치된 덮개측 넘침 유동관, 및, 상기 욕조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덮개측 넘침 유동관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수구 또는 그 외측의 배수관에 연통된 욕조측 넘침 유동관으로 이루어지는 온수 넘침 방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욕조에 공급된 온수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 또는, 온수의 양은 적당해도 입욕자가 신체를 움직이거나 욕조 자체를 이동시키거나 할 때에 수면이 크게 물결치는 경우에, 소정 수위를 초과한 온수는, 덮개에 설치된 넘침 유동구로부터 덮개측 넘침 유동관 및 욕조측 넘침 유동관을 거쳐 욕조의 배수구 또는 배수관으로 흐른 것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다. 따라서, 욕조에서 온수가 넘쳐흘러서 주위의 바닥 등을 적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덮개에 넘침 유동구를 설치할 뿐만 아니라, 욕조의 내벽면에도 온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 유동구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제 3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향하는 방향이 상방과 전방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욕조를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욕조 지지 수단과, d)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수직 방향으로 연신되는 나사축, 및, 상기 나사축과 계합하고 나사축이 회전할 때에 상하 이동하는 볼나사식의 가동체로 이루어지는 욕조 작동 수단과, e) 상기 가동체에 대하여 상기 욕조의 후방부를 축지지하는 축지지부와, 상기 축지지부보다도 전방측의 욕조의 바닥부에 설치된 차륜과, 상기 차륜의 주행면으로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안내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욕조 지지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욕조 작동 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가 상하 이동할 때에, 상기 축지지부를 통해서 욕조의 후방부가 상하 이동하고, 그것에 따라 상기 차륜이 안내경사면상을 오르거나 또는 내려가는 것에 의하여, 욕조는 그 윗면 개구가 거의 전방을 향하는 상태와 거의 상방을 향하는 상태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경사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3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모터에 의하여 나사축을 소정 회전 방향으로 구동하면, 볼나사를 통해서 가동체가 하강한다. 그러면, 축지지부를 통해서 욕조의 후방부가 눌려져서, 욕조 바닥부의 차륜은 안내 경사면을 내려가서, 욕조는 그 윗면 개구가 거의 전방으로부터 비스듬한 전방으로, 그리고 서서히 더욱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 이동한다. 한편, 모터에 의한 나사축의 회전 방향을 반전시키면, 볼나사를 통해서 가동체는 상승하고, 욕조는 상기와는 반대로, 그 윗면 개구가 상방에서 비스듬한 전방으로, 더욱, 전방으로 향하도록 서서히 경사 이동한다. 모터의 동작이 정지할 때, 나사축과 볼나사와의 맞물림에 의하여 가동체는 임의의 위치에 정지한다.
따라서 나사축의 나사산이 부서져 버리거나 또는 볼나사 자체가 파손되어 버리는 정도의 이상한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욕조는 임의의 각도로 그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뜻하지 않게 욕조가 낙하해 버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높은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가동체가 상하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지할 때의 정지, 및 정지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기 시작할 때의 시동, 어느 것도 원활하 기 때문에, 욕조에 입욕자가 수용된 상태에서 욕조가 경사 이동되어도, 입욕자에게 주는 충격은 경미하고, 입욕자의 불안감 등을 야기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제 3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륜은 욕조의 측벽면보다도 내측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륜을 설치해도 욕조의 횡방향 폭보다도 사이즈가 커지지 않기 때문에, 본 장치의 설치면적을 넓게 할 필요가 없고, 공간 절약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 상기 제 3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욕조의 윗면 개구가 거의 전방을 향하도록 기립된 욕조 수납 상태와, 욕조의 전연(前緣) 단부가 바닥면에 근접하고, 그 윗면 개구가 비스듬히 전방을 향하는 입욕자의 수용·퇴출을 행하기 위한 세팅 상태와, 욕조의 윗면 개구가 거의 상방을 향하는 표준 입욕 상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욕조의 수납, 입욕자의 수용·퇴출, 입욕에 있어서 욕조의 경사를 변경할 때의 동작이 유일한 모터를 구동원으로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이 간단하게 되어, 장치 비용의 저렴화에 기여함과 동시에 신뢰성도 한층 높아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제 4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향하는 방향이 전방과 비스듬한 전방 상부 방향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그 욕조를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욕조 지지 수단과, d) 상기 욕조의 경사 이동 동작에 따라, 욕조가 기립할 때에는 후방으로 후퇴함과 동시에 욕조가 전방으로 밀려 나아갈 때에는 전방으로 진출하는, 상기 대차부의 일부에 계합되어 그 대차부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 신축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욕조는 그 바닥부에 경사 이동에 수반하여 주행하는 차륜을 갖고, 상기 스토퍼 신축기구는 그 차륜이 위에 얹혀졌을 때에 그 억압력에 의하여 쓰러짐(倒伏)으로써 전방으로 진출하고, 그 차륜에 의한 억압력이 해제되어 기립하는 것에 의하여 후방으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4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욕조 지지 수단에 의하여 기립된 상태에 있는 욕조가 전방으로 밀려 나아가도록 경사 이동시켜, 소정의 경사 상태로 고정한 상태에서, 간호인은 입욕자가 앉은 상태에 있는 휠체어를 욕조에 근접시킨다. 이 때, 욕조의 차륜은 대차부 고정 수단에 억압력을 가하며, 이에 따라 대차부 고정 수단은 전방으로 진출하게 된다. 그 때문에, 휠체어가 근접하게 올 때에, 그 대차부의 일부는 대차부 고정 수단에 계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대차부를 그 위치에 남겨 두고 좌석부를 입욕자를 실은 채로 욕조 안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입욕자를 욕조 내에 수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대차부를 욕조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시켜, 입욕자를 안전하게 욕조 안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입욕 종료후에 욕조로부터 대차부 상으로 입욕자를 이동시킬 때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장치의 비사용시에 욕조를 기립시키면, 차륜에 의한 대차부 고정 수단에의 억압력이 해제되어, 대차부 고정 수단은 후방으로 후퇴한다. 따라서, 이 때에는 대차부 고정 수단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간호인이 그 외의 사람에게 방해가 되지 않으며, 그 만큼 비사용시의 본 장치의 설치면적이 작아도 괜찮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제 5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를 갖춘 본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휠체어의 좌석부에 앉은 채 입욕자를 욕조 안으로 이동시키고 그 후에 그 욕조 안으로 온수를 공급하여 입욕을 행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좌석부는, 상기 대차부에 설치된 대차부 안내 궤도에 따라 주행하는 제 1 차륜과, 상기 욕조 내에 설치된 욕조 안내 궤도에 따라 주행하는 제 2 차륜을 독립적으로 가지며, 제 1 차륜은 욕조 안내 궤도와, 제 2 차륜은 대차부 안내 궤도와 접촉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5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휠체어는 견고성을 중시하여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체, 금속 통체(筒體) 등으로 형성되는 것에 대하여, 욕조는 경량성, 보온성 등을 중시하여 FRP 등의 일종의 합성 수지재로부터 형성된다. 휠체어의 좌석부는 이러한 재질이 다른 2종류의 궤도상을 주행하지만, 상기 구성에서는, 대차부 안내 궤도상을 주행하는 제 1 차륜과, 욕조 안내 궤도상을 주행하는 제 2 차륜이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있고, 또한, 제 1 차륜은 욕조 안내 궤도와, 제 2 차륜은 대차부 안내 궤도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그 궤 도의 재질에 적합한 재질로써 각각의 차륜을 형성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각 차륜이나 궤도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신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 주행시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숙성을 확보하고, 간호인, 입욕자 모두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 상기 제 5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 안내 궤도는 상하로 거의 평행하게 연신된 2개의 원통부를 가지며, 제 1 차륜은, 그 2개의 원통부에 상하로 낀 상태로 구름운동하는 원반형상의 습동부와, 그 습동부의 양측에 있고 상기 원통부를 그 양측면에서 끼워 넣도록 그 습동부보다도 큰 직경의 외측 틀부 및 내측 틀부를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휠체어의 대차부 상의 좌석부를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확실하게 지지하고, 상하나 좌우의 흔들림을 경감할 수 있다. 이것에 따라, 입욕자에게 안심감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 5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상기 대차부 안내 궤도의 차륜 주행면에 있어서, 입욕자의 이동시에 욕조에 근접한 측의 단부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 아래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좌석부가 대차부와 욕조에 걸쳐, 제 1 차륜이 대차부 안내 궤도에서 벗어날 때, 또는 역으로 제 1 차륜이 대차부 안내 궤도상에 착지할 때에, 그 이행이 원활히 행해지고, 좌석부에 앉아있는 입욕자에게 주는 충격을 경감한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따라, 입욕자에 안심감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제 6 발명에 관계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의 상방에 설치되어, 그 욕조 내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미리 온수를 저장해 두는 저탕조와, d) 상기 저탕조와 상기 욕조를 접속하며 그 도중에 급탕 밸브가 설치된 급탕관과, e)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저탕조에 일단이 접속되고 그 도중에 배탕 밸브가 설치된 배탕관을 구비하고,
상기 급탕 밸브 또는 배탕 밸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탕조의 내부에서 온수에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급탕관 또는 배탕관의 입구 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밸브체는 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서 끌어올려짐으로써 입구개구를 개방시키고, 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해제함으로써 수압에 의해서 입구개구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의 일 양태에서는, 온수가 일단 축적되었던 저탕조로부터 급탕관을 거쳐 욕조로 온수가 공급되지만, 그 급탕을 제어하는 급탕 밸브는, 저탕조의 내부에서 온수에 침지된 상태로 급탕관의 입구 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갖는다. 그리고 예를 들면, 이 밸브체를 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하여 끌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입구 개구를 개방시키며, 그 구동력을 해제하는 것에 의하여, 수압으로 밸브체가 입구 개구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를 포함하는 급탕 밸브를 저탕조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탕조의 외측에 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공간 절약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 급탕 밸브 대신에 배탕 밸브를 상기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급탕 밸브, 배탕밸브 모두 상기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입욕자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저탕조로부터 욕조로의 급탕 시간은 짧은 것이 바람직 하고, 이를 위해서 급탕관의 지름을 두껍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급탕 밸브를 저탕조의 외측에 설치한다면 특히 큰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만, 급탕 밸브를 상기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특히 공간의 절약에 유효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제 7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 안으로 급탕관을 매개로 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급탕 수단과, d) 상기 급탕관의 도중에 설치되며, 욕조내에 공급된 온수에 선택적으로 입욕제나 목욕용 세정제를 포함한 보조 액제(液劑)를 입욕시에 사용하는지 아닌지를 간호인이 지시하는 입력 수단과, e) 상기 보조 액제를 미리 수용해 두는 용기, 및,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보조 액제의 사용이 지시된 경우에, 상기 급탕 수단에 의한 욕조로의 급탕시에 상기 용기로부터 흡인한 보조 액제를 온수 속에 혼입시키는 액제 혼입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액제 투입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간호인이 미리 소정 용기에 입욕제나 목욕용 세정제 등(목욕용 액체 비누 등)의 액제를 수용해 두고, 이들 액제의 자동 투입을 지시해 두면, 급탕 수단에 의하여 욕조 안으로의 급탕이 행해질 때 액제 혼입 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액제를 흡인하고 욕조로 공급된 온수에 그 액제를 혼입시킨다. 그것에 의하여, 적절한 양의 입욕제나 목욕용 세정제가 용해된 온수가 욕조 내에 저장된다. 따라서, 간호인이 급탕 종료후에 욕조 내에 직접, 입욕제나 목욕용 세정제를 투입할 필요가 없어지고, 노력을 덜 들이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액제가 온수에 혼입되어지는 시점에 온수에 용해되어 욕조 안으로 주입되기 때문에, 액제의 확산이 신속하게 행해지고, 입욕 당초부터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제 8 발명에 관계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 안으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미리 온수를 저장해 두는 저탕조와, d) 상기 저탕조와 상기 욕조를 접속하는 급탕관과, e) 상기 저탕조에 도입되는 온수의 온도를 조정하는 탕온 조정 수단과, f) 상기 저탕조에 도입되는 온수를 상기 급탕관으로 직접 보내기 위한 바이패스관과, g) 통상적인 급탕시에는 상기 저탕조로부터 급탕관을 거쳐 욕조 안으로 급탕을 행하고, 특수 급탕시에는 상기 탕온 조정 수단에 의해 온도 조정된 온수를 바이패스관 및 급탕관을 거쳐 욕조 안으로 급탕하는 급탕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통상적인 급탕 때에는, 사전에 온수를 저장하고 있는 저탕조로부터 급탕관을 거쳐 욕조 안으로 급탕을 행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저탕조 내에서 온수가 약간 식어 있고, 욕조 내의 온수의 온도를 조금 높인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특수 급탕으로서, 저탕조로부터의 온수가 아니라, 탕온 조정 수단에 의하여 온도 조정된 온수를 바이패스관 및 급탕관을 거쳐, 즉 저탕조를 거치는 일없이 욕조 안으로 급탕한다. 탕온 조정 수단에 의한 목표 탕온을 저탕조 내의 탕온보다도 어느 정도 조금 높게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하여, 그 시점에서 욕조에 저장하고 있는 온수보다도 조금 높은 온도의 온수를 욕조 로 공급한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것에 의하여, 욕조 내의 탕온을 전체적으로 조금 높이고, 적당한 탕온에서의 입욕을 입욕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간호용 입욕 장치의 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4는 모두 본 간호용 입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 부분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도 1은 욕조 수납시의 상태, 도 2는 휠체어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욕조 내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그 역으로, 욕조로부터 휠체어에 태울 때의 상태(이하, 본 상태를「세팅 상태」라고 함), 도 3은 세팅 상태로부터 욕조를 기울인 입욕 상태 (이하, 본 상태를 「표준 입욕 상태」라고 함), 도 4는 도 2에 있어 욕조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는 본 간호용 입욕 장치의 일부로서, 전용 휠체어의 외관 정면도(a) 및 외관 측면도(b)이다.
본 간호용 입욕 장치는 크게 피간호인으로서 입욕자가 앉은 자세로 욕조 내에 수용되는 욕조(12)를 구비하는 본체 장치(1)와, 그 욕조(12) 안에 입욕자를 수용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욕조로부터 내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전용 휠체어(2)로 구성된다.
본체 장치(1)에 있어서, 최후방부에 지주(10)가 설치되고 그 지주(10)의 상부에 최대 약 200L 정도 용량의 저탕조(11)를 구비한다. 저탕조(11)의 윗면까지의 높이, 즉 본체 장치(1)의 전체 높이는 일본에서 일반적인 가옥의 천장 높이인 2400㎜ 이하가 되도록 2300㎜ 정도로 제어되고, 이른바 재택 간호를 위한 장소에 설치 하는 것을 고려한다. 이 저탕조(11)의 아래쪽에는 전면벽 및 후면벽이 바닥면의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 얕은 바닥형 욕조(12)가 최저면부보다 약간 앞쪽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욕조 롤러(13)와 후면벽에 돌출 설치된 축지지부(14)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축지지부(14)는 모터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고 이에 따라 욕조(12)의 후방부를 내리 누르거나 끌어올린다. 지주(10)의 아래쪽에는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경사안내부(15)가 설치되어 축지지부(14)가 상하 이동하여 욕조(12)의 후방부를 끌어올리거나 내리 누를 때에, 욕조 롤러(13)는 경사안내부(15)를 따라 오르거나 또는 내려가게 되어 있다.
욕조(1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준 입욕 상태에서 상부 방향을 향하는 윗면이 개구되었으나(윗면 개구(12a)) 그 후방측은 입욕자가 머리를 돌출시키는 개구부(12b)를 제외하고는 덮개(16)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다. 덮개(1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욕조(12)의 양 측벽면의 후방 단부에 일단이 축지지된 아암(arm)(18)에 의하여 자유롭게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고, 아암(18)은 가스 스프링(19)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상향의 적절한 힘을 받는다. 덮개(16)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욕조(12)의 윗면 개구(12a)에 밀착한 상태에서는 로크(lock)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폐쇄 상태를 유지하지만 사람의 손으로 그 록이 해제되고 상향 힘을 받게 되면, 가스 스프링 (19)의 가세력에 의하여 천천히 개방되며 최종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 개방된 상태로 된다. 즉, 도 4의 상태에서는 욕조(12)의 윗면 개구(12a)가 전방을 향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방 쪽에서 입욕자(P)를 욕조(12) 안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역으로, 입욕자(P)를 욕조(l2)에서 전방 쪽으로 내보낼 수 있다.
덮개(16)의 개폐 방식으로는, 본 실시예와 같은 상부로 개방되는 방식 외에 경첩 등에 의한 횡방향 개방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렇지만, 횡방향 개방의 경우, 덮개의 개방 방향과 반대측에 간호인이 서면, 덮개를 폐쇄할 때에 욕조의 위를 가로질러 덮개로 손을 내밀어 잡을 필요가 있게 되고, 체격이 작은 간호인에게는 상당히 곤란한 작업이 된다. 또, 횡방향 개방의 경우에는,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본체 장치의 횡방향 폭의 사이즈가 커지고, 여러 개의 본체 장치를 나열하고서 사용할 때에는 설치 스페이스의 측면에서 불리하다. 이에 대하여, 상부로 개방되는 덮개 개방 방식에서는, 간호인이 욕조(12)의 좌우 어느 쪽에 서 있는 상태에서도 덮개(16)의 개폐를 무리 없이 행할 수 있고, 또, 본체 장치(1)의 최대 횡방향 폭 사이즈도 작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체 장치(1)의 욕조(12)를 경사 이동시키기 위한 축지지부(14) 주변의 주요 부분의 사시도이다. 욕조(12)의 후면벽에 돌출되게 설치된 지지편부(12c)에는 수평한 축체(20)가 회동이 자유롭게 관통하고 있고 그 축체(20)의 양단은 가동체(21)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체(21)는 수직으로 연신(延伸)되어 나사축(23)의 나사홈에 맞물리는 볼나사 너트(22)를 구비하고, 나사축(23)이 모터(24)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면, 볼나사 너트(22)에 내장되는 볼이 나사축(23)의 나사홈에 따라 나선상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가동체(21)는 나사축(23)을 따라 위로 또는 아래로 이동한다. 그 결과, 축체(20) 및 지지편부(12c)를 거쳐 욕조(12)의 후방부가 들어올려지거나 또는 눌려진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가동체(21)의 한쪽 측면에는 자석(25)이 장착되고 이에 근접한 지주(10)에는 수직 방향으로 4개의 리드 스위치(26)가 설치되어 있고, 가동체(21)가 상하 이동할 때 그 위치에 따라 이들 리드 스위치(26)가 적절하게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그 작용에 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체어(2)는 좌우 한 쌍의 소직경 전륜(213)과, 마찬가지로 좌우 한 쌍의 대직경 후륜(212)을 구비하는 대차부(210)와 그 대차부(210) 위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된 입욕자용 좌석부(220)로 구성된다. 좌석부(2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횡방향 기저부(221)의 후단에 등받이 지주(223)가 설치되고, 그 등받이 지주(223)와 기저부(221) 사이에 팔걸이부(22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횡방향 기저부(221)에는 입욕자가 발바닥을 올리기 위한 발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한 쌍의 횡방향 기저부(221) 사이에는 메시(mesh) 모양의 좌석면(225)이, 또 등받이 지주(223)의 내측에도 메시 모양의 등받이(226)가 적당한 장력 하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석면(225) 및 등받이(226)가 메시 형태이기 때문에, 물이나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하고 좌석면(225) 및 등받이(226)에 접촉하는 입욕자의 신체 표면에 물이나 공기가 용이하게 닿게 된다. 또한, 등받이 지주(223)에는 간호인이 급탕량을 설정할 때 목표가 되는 3단계의 수위마크(227)가 지표화 되어 있다.
다음으로, 휠체어(2)의 좌석부(220)의 슬라이드 기구 및 욕조(l2) 안에 입욕자를 수용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욕조로부터 퇴거시킬 때의 동작에 관하여, 도 5에 추가하여 도 7∼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휠체어(2)의 대차부(210)의 좌우 한 쌍의 지주부(211) 위에는, 후방이 개방된 가늘고 긴 U자 모양의 안내 레일(214)이 고정되어 있다. 좌석부(220)의 횡방향 기저부(221)에는 안내 레일(214)을 양측에서 끼워 넣는 원판부(228a)와 그 사이에서 안내 레일(214)에 상하가 접촉한 습동부(미끄럼운동부)(228b)를 가진 대차부용 롤러(228)가 전후 방향으로 알맞은 간격으로 4개 마련되어 있고, 더욱이, 그 중 3개의 대차부용 롤러(228)의 내측에는 별도로 욕조용 롤러(229)가 마련되어 있다. 이 대차부용 롤러(228)가 안내 레일(2l4)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좌석부(220)는 대차부(210) 위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지만, 이 때 욕조용 롤러(229)는 기능하지 않는다. 한편 욕조(12)의 내측 벽면에는, 세팅 상태에서 거의 수평이 된 욕조내 레일(12d)이 형성되고 있고, 좌석부(220)가 욕조(12) 내에 있는 상태일 경우 욕조용 롤러(229)가 욕조내 레일(12d) 위를 주행함으로써 좌석부(220)가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 대차부용 롤러(228)는 욕조(12) 안에서 뜬 상태가 되어 기능하지 않는다.
이처럼 대차부용 롤러(228)는 대차부(210) 상에서의 주행 전용이고, 한편, 욕조용 롤러(229)는 욕조(12) 내에서 주행 전용이기 때문에, 각각의 롤러의 재질은 안내 레일(214)과 욕조내 레일(12d)의 재질에 적합하도록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주행시의 마찰음을 경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행면의 마모도 적게 할 수 있어 높은 신뢰성이 달성된다.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휠체어(2)의 좌석부(220)에 앉아 있는 입욕자(P)를 도 4에서와 같이 덮개(16)가 개방된 욕조(12) 안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 이 한다.
먼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욕조(12)에 대하여 휠체어(2)를 후방으로 근접시키고, 휠체어(2)의 대차부(2l0)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는 갈고리형 대차부측 고정편(215)을 본체 장치(1)의 스토퍼(176)에 걸어서, 대차부(210)를 본체 장치(1)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간호인이 좌석부(220) 또는 입욕자(P)를 후방측으로, 결국 욕조(12)의 방향으로 밀면 대차부용 롤러(228)가 안내 레일(2l4)을 따라 이동하고, 좌석부(220)는 입욕자(P)를 실은 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동에 수반하여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후미의 대차부용 롤러(228)는 안내 레일(214)을 벗어나지만 그 때 다른 3개의 대차부용 롤러(228)는 안내 레일(214)을 타기 때문에 좌석부(220)가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도 10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최후미로부터 2번째의 대차부용 롤러(228)가 안내 레일(214)을 벗어나기 전에 최후미의 욕조용 롤러(229)는 욕조내 레일(12d)을 탄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더욱더 좌석부(220)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좌석부(220)의 후방측은 욕조용 롤러(229), 전방측은 대차부용 롤러(228)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11의 (a) 참조).
도 11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선두의 대차부용 롤러(228)가 안내 레일(214)을 벗어나기 전에 선두로부터 2번째의 욕조용 롤러(229)는 욕조내 레일(12d) 위를 타게된다. 따라서, 그 뒤 욕조용 롤러(229)가 욕조내 레일(12d) 위를 이동함으로써 좌석부(220)는 입욕자(P)를 실은 상태로 욕조(12) 안에 수용된다. 그리고, 좌석부(220)가 완전히 욕조(12) 내에 수용될 때,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욕조(12)의 전방에는 대차부(210)만이 남아 있다. 또한, 입욕이 종료된 후에 욕조(12) 안으로부터 휠체어(2)의 대차부(2l0) 위로 좌석부(220)를 복귀시킬 때에는 상기 설명과 정반대의 순서를 밟으면 좋다.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안내 레일(2l4)의 하측 레일의 후방 단부(214a)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 윗면이 하강 경사 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특히, 좌석 부(220)가 욕조(12)로부터 대차부(210)로 갈아탈 때에, 대차부용 롤러(228)가 원활히 안내 레일(214)의 선단부상에 착지한다. 따라서, 좌석부(220)에 앉아 있는 입욕자에게 큰 충격을 주는 일이 없다.
그런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휠체어(2)의 대차부(210)를 본체 장치(1)에 고정하기 위해 본체 장치(1)에는 고정용 스토퍼(176)를 설치하지만, 욕조(12)를 수납한 상태에서는 그 스토퍼가 앞쪽으로 돌출한 상태라면 방해가 되기 때문에 수납에 실패하거나 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는 욕조(12)의 경사 이동에 수반하여 스토퍼를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스토퍼 신축 기구(17)를 설치하고 있다. 도 12는 스토퍼 신축 기구(17)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즉, 경사안내부(15)의 양측에는 제 1 부재(171)의 일단(一端)이 축지지되고 그 타단에는 제 2 부재(172)의 일단이 축지지되어 있으며, 그 타단에는 바닥면에 접촉 및 구름운동하는 롤러(173)가 갖춰져 있다.
경사안내부(15)와 제 1 부재(l71)의 연결부 및 제 1 부재(171)와 제 2 부재 (172)의 연결부에는 각각 비틀림 코일 용수철(174, 175)이 설치되고, 외부에서 전혀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2개의 비틀림 코일 용수철(174, 175)의 가세력에 의하여, 롤러(l73)가 경사안내부(15)에 근접하도록 제 1 부재(171), 제 2 부재(172)가 함께 기립되어 있다(도 12의 (a) 참조). 이에 의하여, 이들 부재는 후방으로 후퇴하므로 방해가 되지 않는다. 욕조(12)가 수납 상태에서 세팅 상태에까지 경사질 때, 상술한 것처럼 경사안내부(15)를 따라 욕조용 롤러(13)가 내려온다. 욕조용 롤러(13)에는 욕조(12)의 중량이 걸려 있기 때문에 욕조용 롤러(13)에 의하여 제 1 부재(171)가 눌려 쓰러지고, 롤러(173)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2 부재 (172)도 쓰러지면서, 이들 두 부재(171, 172)가 전체로서 8자(八) 모양으로 넓어지면서 연신된다. 이에 의하여, 최종적으로는 제 1, 제 2 부재(171, 172)는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일직선으로 연신되고 스토퍼(176)가 전방으로 뻗어나가며 또한 상부를 향하게 된다.
도 13은 본체 장치(1)의 욕조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전체 측면도(a) 및 정면도(b)를 도시한다.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장치(1)의 저탕조(11)의 아래의 경사면(31)에서 정면 방향으로 좌측에는 본체 장치(1)에 있어서의 각종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 패널(30)이 마련되어 있다.
도 14는 조작 패널(30)의 확대도이다. 조작 패널(30)에는 전원 스위치(301)를 시작으로, 세팅 조작키(302), 수납 조작키(303), 강제 종료키(304), 저탕조 탕량 확인 표시기(305), 저탕조 탕온 표시기를 포함하는 저탕조 탕온 설정키(306), 탕온 확인키(307), 스타트 키(308), 입욕 시간 표시기를 포함하는 입욕 시간 설정키(309), 욕조 각도 선택 표시기를 포함하는 욕조 각도 설정키(310), (욕조내) 탕량 선택 표시기를 포함하는 탕량 설정키(311), 온수 추가 지시키(312), 기포 발생 지시키(313), 욕조 배수 지시키(314), 저탕조 배수 지시키(315), 입욕제 투입 지시키(316), 1회 사용 지시키(317), 바디샴푸 투입 지시키(318) 등의 각종 조작키나 표시기가 구비되어 있다.
도 l3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욕조(12)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조작 패널(30)의 우측의 일부가 욕조(12)의 후방측에 가려지기 때문에, 조작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표시가 보이지 않아 조작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조작 패널(30) 중에서 욕조 수납 상태에서도 조작할 필요가 있는 키, 전원 스위치(301), 세팅 조작키(302), 수납 조작키(303), 강제 종료키(304), 저탕조 탕량 확인 표시기 (305), 저탕조 탕온 설정키(306) 등이 좌측에 집중된다. 그래서 조작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체 장치(1)의 좌측면에는 온수를 분출하는 샤워헤드(32)가 설치되고, 조작 패널(30)의 하측에는 샤워밸브(33)와 샤워 탕온 조정 노브(knob)(34)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장치에 있어서 욕조로의 급탕 및 배수를 행하기 위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급수·배수용 배관 구성도이고, 도 l6은 주로 급탕 경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7 및 도 18은 배수 경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외부의 급탕기에 연결되는 급탕관(40) 및 수도전(水道栓)에 연결되는 급수관(41)은 2개의 혼합 밸브(서모 믹싱 밸브)(42, 43)에 접속되어, 한편의 제 2 혼합밸브(43)에 의해 적절히 혼합되고 탕온이 조정된 온수가 샤워 배관(44)을 거쳐 샤워헤드(32)로부터 토출된다. 다른 편의 제 1 혼합밸브(42)에 의해 적절히 혼합되고 탕온이 조정된 온수는 전자(電磁) 밸브인 저탕 밸브(45)를 거쳐 저탕조(11) 안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도중에 바이패스 밸브(47)가 설치된 바이패스관(46)을 거쳐 급탕관(48)에 접속되고 있다.
저탕조(11)의 내부 저면에는 급탕관(48)이 연결된 급탕 구멍과 배탕관(49)이 연결된 배탕 구멍이 설치되어, 각각 토크 모터(51, 53)의 동작에 따라 개폐되는 급탕 밸브(50), 배탕 밸브(52)가 마련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낸 것처럼, 급탕 밸브(50)는 밥공기를 엎은 형상의 밸브체(501)와 토크 모터(51)의 동작에 따라 풀리(503)에 견인되는 체인(502)과 밸브체(501)의 아래쪽을 대기와 연통하는 연통관(504)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토크 모터(51)가 작동하고 풀리(503)가 회전하여 체인(502)을 견인하면 수압에 대항하여 밸브체(501)를 끌어올린다. 이 때 연통관(504)을 통하여 공기가 급탕관(48)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급탕관(48) 내부가 부압(負壓) 상태가 되지 않고 밸브체(501)가 원활히 상승하며, 저탕조(11)로부터 급탕관(48)으로 온수가 유입된다. 한편, 토크 모터(51)의 동작이 정지되고 체인(502)이 느슨해지면, 수압에 의하여 밸브체(501)가 폐쇄되지만 이 때 연통관(504)을 통하여 공기가 급탕관(48)으로부터 빠지도록 밸브체(501)는 급탕 구멍을 확실하게 폐쇄한다. 또한 배탕 밸브(52)의 동작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급탕 밸브(50) 및 배탕 밸브(52)는 저탕조(11)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저탕조(11)의 외측에는 이들 밸브와 관련된 부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공간 절약성이 달성된다.
급탕관(48)의 도중에는, 바디샴푸나 입욕제를 자동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액체 투입 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액체 투입 장치는, 예를 들면 액체인 입욕제의 저장병(55)과, 그 저장병(55)으로부터 액체를 흡입하여 급탕관(48) 안으로 송급하는 펌프(56)로 되어 있다. 펌프(56)로서는, 모터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롤러가 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고, 튜브를 훑으면서 액체를 롤러의 회전과 같은 방향으로 송출하는 이른바 튜브 펌프가 사용되다. 또한, 본 장치에서는 바디샴푸와 입욕제의 액체 투입 장치를 별개로 설치하고 있지만, 클러치 기구 등을 이용하여, 1개의 펌프가 바디샴푸병과 입욕제병으로부터 전환식으로 액체를 흡인·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렇게, 급탕관(48)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온수는 급탕구(12e)로부터 욕조(12) 안으로 토출된다.
욕조(12)에 저장된 물의 외부로의 배출은, 욕조(12)의 전방 부분 바닥면에 설치된 배수구(12f)를 통하여 행해진다. 이 배수구(12f)는 신축이 자유로운 주름상자 형상의 배수관(59)을 이용하여 외부의 배수홈에 접속되어 있고, 배수구(12f)에 근접하게 설치된 배수 밸브(58)가 열리면, 욕조(12) 안으로부터 배수관(59)으로 물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배수구(12f)는 도 1,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욕조 수납 상태나 표준 입욕 상태에서는 욕조(12)의 최저부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고, 세팅 상태에서만 욕조(12)의 최저부로 된다. 그 때문에, 욕조(12)로부터 완전하게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세팅 상태에서 배수 밸브(58)를 열 필요가 있다.
또, 욕조(12)로의 급탕시나 입욕시에 온수가 욕조(12)로부터 넘쳐흐르게 되면, 본체 장치(1) 주변의 바닥면을 적시게 된다. 그래서, 욕조(12)로부터의 온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8에 나타낸 것처럼, 욕조(12)의 내벽에 2개소의 넘침 출구(溢出口)(12g, l2h)를 설치하는 것 이외에, 덮개에도 1개소의 넘침 출구(16a)가 설치되어 있다. 욕조(12)의 2개소의 넘침 출구(12g, 12h)는 욕조(12)의 측벽의 내부에 형성되고 있는 넘침 유동관(12j)을 거쳐서 배수관(59)에 접속되고 있고, 넘침 출구(12g, 12h)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수위가 상승하면, 넘침 출구 (12g, 12h)에 유입된 온수가 넘침 유동관(12j) 및 배수관(59)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덮개(16)에 설치되어 있는 넘침 출구(16a)는 덮개(16)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넘침 유동관(16b)과, 덮개(16)를 폐쇄할 때에 그 넘침 유동관(16b)과 접속된 욕조(12) 측의 넘침 유동관(12j)을 통해서 배수관(59)으로 보내진다.
덮개(16)의 넘침 유동관(16b)의 출구 개구(16d)와 욕조(12)의 측벽 상부 둘레에 마련되어 있는 입구 개구와의 접속부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 있고, 출구 개구(16d) 둘레의 플랜지(16c)가 입구 개구의 내측에까지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출구 개구(16d)로부터 토출된 온수가 확실하게 넘침 유동관(12j) 안으로 들어가고, 덮개(16)와 욕조(12)의 밀착면을 돌아 유입되어 외부로 침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기포 발생용의 에어 펌프(60)가 설치되어, 그 에어 펌프(6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두 갈래로 분기되어, 한편은 욕조(12) 안으로 기포를 보내는 기포 발생기(61), 다른 편은 저탕조(1l) 안으로 기포를 보내는 기포발생기(62)에 접속되고 있다. 전자는 주로 입욕시에 입욕자의 신체 표면의 세척 효과(또는 가벼운 정도의 마사지 효과)를 위한 것이고, 후자는 저 탕조(11) 안에서의 온수의 교반에 의한 탕온의 균일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 제 1 혼합 밸브(42)의 출구, 저탕조(l1)의 내부, 급탕관(48) 및 욕조(12) 내에는, 각각 서미스터로 이루어지는 탕온 검지용의 온도 센서(63, 64, 65, 66)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저탕조(11) 내에는 온수가 만수 수위(滿水水位)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기 위해 저탕조 수위 센서(67)가, 욕조(12) 내에는 욕조(12)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검지하기 위한 욕조내 수위 센서(68)가 설치되어 있다.
도 19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전기 계통의 전체 구성도이다. 제어의 중심에는 마이크로 컴퓨터(80)가 장착되고, 조작 패널(30)에 설치된 각 조작 키(30a)로부터 키 입력 신호가, 저탕조 수위 센서(67) 및 욕조내 수위 센서(68)로부터 수위 검지 신호가, 혼합밸브 온도 센서(63), 저탕조 온도 센서(64), 급탕관 온도 센서(65) 및 욕조내 온도 센서(66)로부터 온도검지 신호가, 앉은 키 검지 센서(70)로부터 앉은 키 검지 신호가, 욕조 위치 검지 스위치(26)로부터 욕조(12)의 위치에 따른 검지 신호가, 각각 마이크로 컴퓨터(80)에 입력된다. 마이크로 컴퓨터(80)는 주지와 같이 RAM이나 ROM을 내장하고 있고, ROM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동작에 관한 제어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신호를 받으면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부하 구동부(81)를 통해서,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24), 급탕용 토크 모터(51), 배탕용 토크 모터(53), 에어 펌프(60), 저탕조(11)로의 급탕을 제어하는 저탕 밸브(45), 저탕조(11)에 공급하는 온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 1 혼합 밸브(42), 바이패스 밸브(47), 샤워용의 온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 2 혼합 밸브(43), 욕조(12)에 저장한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 밸브(58), 욕조(12)에 공급한 온수에 입욕제를 혼입시키는 입욕제 투입 펌프(56a), 동일하게 욕조(12)에 공급한 온수에 목욕용 액체 비누를 혼입시키는 바디샴푸 투입 펌프(56b) 등을 구동한다.
도 20은 마이크로 컴퓨터(80)와 복수의 욕조 위치 검지 스위치(26)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도 20에 도시되는 4개의 욕조 위치 검지 스위치(26)는, 각각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리드 스위치이다.
또, 본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욕조(12)를 수납 상태와 세팅 상태 사이에서 경사 이동시킬 때에, 예를 들면 외부에서의 노이즈 등에 의하여 가령 마이크로 컴퓨터(80)가 폭주하는 경우에도, 이상한 동작이 일어나서 간호인이나 주위의 사람의 안전을 위협하는 일이 없도록 고려되고 있다. 도 21은 모터(24)의 구동에 관련된 주요 부분의 회로 구성도이다.
모터(24)는 전자 릴레이(84) 및 극성 전환용 스위치(83)를 통해서 전원(82)에 접속되고 있다. 극성 전환용 스위치(83)는 마이크로 컴퓨터(8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전환되어, 모터(24)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것에 의하여 욕조(12)(가동체(21))의 상승 또는 하강을 전환한다. 전자 릴레이(84)의 코일에는, 세팅 조작키(302) 및 제 3 포토커플러(TR3)를 포함하는 전류 공급 회로와, 수납 조작키(303) 및 제 2 포토커플러(TR2)를 포함하는 전류 공급 회로와, 스위치(85) 및 제 1포토커플러(TR1)를 포함하는 전류 공급 회로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어떠한 전류 공급 회로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면, 전자 릴레이(84)는 온(On)으로 되어 모터(24)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게 되어 있다.
도 22는 도 21에 있는 스위치(85)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본체 장치 전체의 측면도, (b)는 욕조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c)는 (b)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다. 나사축(23)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가동체(21)의 한쪽 측면에 위치한 지주(10에는, 도 22의 (c)에 나타낸 것처럼, 단차(段差)(86a)가 설치된 안내벽(86)이 형성되고 있고, 가동체(21)의 측면에 설치된 스위치(85)의 가동편은, 단차(86a)보다도 위에 있을 때에는 안내벽(86)으로부터 힘을 받지 않고, 단차(86a) 보다도 아래에 있을 때에는 안내벽(86)으로부터 억압력을 받는다. 그 때문에, 스위치(85)는, 가동체(21)가 단차(86a) 부근보다도 위에 위치할 때(도 22의 (a)에서 H1의 범위에 있을 때)에는 개방되고, 가동체(21)가 단차(86a) 부근보다도 아래에 위치할 때(도 22의 (a)에서 H2의 범위에 있을 때)에는 폐쇄된다.
스위치(85)의 개폐는, 마이크로 컴퓨터(80)의 입력 포트(Pi1)의 신호로 검지 가능하다. 스위치(85)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제 1 포토커플러(TR1)의 출력 트랜지스터는 도통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2개의 전류 공급 회로의 동작의 여하에 관계없이, 마이크로 컴퓨터(80)의 출력 포트(Po1)로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전자 릴레이(84)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컴퓨터(80)의 자발적인 제어에 의하여 모터(24)의 동작, 즉 욕조(12)의 경사 이동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가동체(21)가 H1의 범위에 있고 스위치(85)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제 1 포토커플러(TR1)의 출력 트랜지스터는 차단되고 있기 때문에, 이 전류 공급 회로는 전자 릴레이(84)의 개폐 제어에 기여할 수 없다. 한편, 다른 2개의 전 류 공급 회로에 포함된 포토커플러(TR2, TR3)의 출력 트랜지스터는 각각, 수납 조작키(303), 세팅 조작키(302)가 눌러지고 있을 때에만 도통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8O)의 출력 포트(Po2, Po3)의 출력이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위에 있다고 하더라도, 수납 조작키(303) 또는 세팅 조작키(302)가 눌려지지 않는 한 전자 릴레이(84)는 온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동체(21)가 H1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욕조(12)를 경사 이동시키는데는, 사람의 손에 의한 수납 조작키(303) 또는 세팅 조작키(302)의 압박 조작이 반드시 필요하고, 마이크로 컴퓨터(80)의 이상 등에 의한 이상 동작이 발생한 경우에도 안전성을 손상시키는 것이 경감된다.
수납 조작키(303) 또는 세팅 조작키(302)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모터(24)가 작동되기 때문에, 욕조(12)의 경사 이동 작업의 도중에 간호인이 위험을 느끼고 키로부터 손을 떼면, 곧바로 욕조(12)의 경사 이동은 정지한다. 따라서, 그 점에서도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가동체(21)가 H2의 범위에 있을 때, 욕조(12)의 경사 이동은 마이크로 컴퓨터(80)의 제어로 행해지고, 통상, 욕조(12)의 최대 경사 이동 위치는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표준 입욕 상태, 즉, 욕조(12)의 개구부(12b)의 상부 둘레가 거의 수평이 된 위치이지만, 마이크로 컴퓨터(80)의 폭주나 볼나사 너트 등의 기계 부품의 파손이 생긴 경우에도 욕조(12)의 상기 위치에서 더욱 크게 기울어지는 일이 없도록, 나사 축(23)의 하단부에는 가동체(21)에 접촉되게, 그 이상의 하강을 금지하는 기계적인 스토퍼(27)를 설치하고 있다.
또, 본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욕조(12) 안에 적절한 양의 온수를 모아 두 고, 그 안에 입욕자가 잠기도록 하여 입욕을 행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입욕자의 견갑골(어깨뼈) 정도까지 온수에 잠기는 것을 의도하는 경우에 입욕자의 체격, 특히 앉은 키에 따라 필요한 탕량이 다르다. 이러한 입욕자의 체격의 차이에 대응하기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탕량 설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앉은 키가 극단적으로 낮거나 한 사람이 욕조(12) 내에 수용된 경우에는, 얼굴이 온수에 잠길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이 입욕 장치에서는 사용 대상자의 신장을 예를 들면 140cm정도 이상으로 한정하고 있지만, 앉은 키의 차이 등에 의한 체격의 개인차에 대응하기 위해, 그리고 한층 더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앉은 키 검지 센서(70)를 설치하고 있다.
도 23은 앉은 키 검지 센서(70)의 구성을 나타내는 허리 부분의 개략도이고,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이다. 욕조(12)에 수용된 입욕자(P 또는 P')의 머리부분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는 적외선 발광부(70a)와 적외선 수광부(70b)가 배치되고 있다. 그 발광부(70a) 및 수광부(70b)의 설치 높이는,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표준 입욕 상태에서, 입욕자로서 적격의 체격을 갖는 사람(예를 들면, 도 23의 P')이라면, 그 머리부분에 의하여 조사 적외광이 차단될 수 있는 높이에 설정된다. 따라서, 입욕자로서 부적격의 체격을 갖는 사람(예를 들면, 도 23의 P)이 입욕하려고 하는 경우, 그 머리부분은 조사 적외광을 차단하지 않고, 수광부(70b)는 적외광을 수광하기 때문에, 이 앉은 키 검지 센서(70)의 검지 신호에 의하여 부적격의 입욕자인 것을 자동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간호인이 본 간호용 입욕 장치를 사용하고 입욕자를 입욕시킬 때의 일련의 순서에 관하여, 도 24∼도 27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초기 상태로서 본체 장치(1)의 욕조(12)는,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소정의 수납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간호인은 본체 장치(1)의 조작 패널(30)의 전원 스위치(301)를 누르고 전원을 투입한다(단계 S1). 그러면, 마이크로 컴퓨터(80)를 시작으로 하여 전기 회로에 전력이 공급되어, 마이크로 컴퓨터(80)에서는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이 시동하고 초기 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세팅 조작키(302)의 입력이 가능해지고, 간호인이 그 조작키(302)를 누르면,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부하 구동부(81)를 통해서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24)를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체(21)는 하강하고 욕조(12)는 윗면 개구(12a)가 위를 향하게 되도록 경사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욕조(12)가 소정의 세팅 위치에 도달하면 모터(24)가 정지하고, 세팅이 완료된다(단계 S2).
다음으로, 간호인은 저탕조 탕온 설정키(306)로 알맞은 탕온을 설정한다(단계 S3). 이 설정을 입력받아, 제 1 혼합 밸브(42)에 의하여 고온수와 상온수의 혼합비율이 조정되면서, 저탕 밸브(45)가 개방되는 것에 의하여 저탕조(11)로의 저탕이 시작된다(단계 S4). 그리고, 저탕조 수위 센서(67)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하여 만수가 검지되면, 저탕 밸브(45)가 폐쇄되고 저탕조(11)로의 저탕이 정지된다(단계 S5, S6). 저탕이 종료되면 각종 조작키의 입력이 가능해지고(단계 S7), 간호인은 입욕 시간 설정키(309), 욕조 각도 설정키(310), 탕량 설정키(311)에 의하여, 반신욕 입욕 시간, 전신욕 입욕 시간, 전신욕 욕조 각도, 전신욕 탕량을 각각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 이외에, 필요에 따라, 1회 사용 지시키(317), 입욕제 투입 지시키(316), 바디샴푸 투입 지시키(318), 기포 발생 지시키(313)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1회 사용 운전, 입욕제의 자동 투입, 바디샴푸의 자동 투입, 기포 발생 등의 지시를 행한다(단계 S8).
이러한 모든 설정을 행한 후에, 간호인은 입욕자(P)를 욕조(12) 안에 수용하고, 덮개(16)를 닫는다(단계 S9). 즉, 예를 들면 베드에 가로로 누워있는 입욕자(P)를 휠체어(2)의 좌석부(220)에 앉게 하고, 그 휠체어(2)를 욕조(12)의 전방으로부터 욕조(12)에 접근하고, 대차부(210)를 본체 장치(1)에 대하여 임시 고정한다. 그 상태에서 휠체어(2)의 좌석부(220)를 입욕자(P)를 실은 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욕조(12) 안으로 이동시킨다. 입욕자(P)가 완전하게 욕조(12) 안에 수용되고 나면, 덮개(16)를 내리고 로크를 걸면, 입욕자(P)가 개구부(12b)로부터 머리부분을 돌출시킨 상태로 욕조(12)는 덮개(16)로 밀폐된다.
여기까지가 입욕의 준비 작업으로 간호인이 관여하는 작업이 많지만, 이 이후는 기본적으로는 본 간호용 입욕 장치의 자동 운전에 의한 입욕에 관한 동작이 수행된다. 이 운전을 시작하기 위해, 간호인은 스타트 키(308)를 누른다(단계 S10). 이 키 조작을 입력받고서, 마이크로 컴퓨터(80)에서는, 먼저 1회 사용 운전의 지시의 유무를 체크한다(단계 S11). 1회 사용 운전은, 기본적으로는 해당 입욕자의 입욕 종료후에 다른 사람이 입욕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저 탕조(11)의 온수를 다 사용하고 끝내는 것이다.
이러한 1회 사용 운전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뒤이어 전신욕 입욕 시간이 0분인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12). 1회 사용 운전이면서 전신욕 입욕 시간이 제로, 즉 반신욕만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 직후의 욕조(12)로의 급탕 후에 저탕조(11)로의 온수의 보충을 행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저탕조(11)로의 저탕을 금지한다(단계 S13). 한편, 1회 사용 운전이 아니거나 또는, 1회 사용 운전이라도 전신욕 입욕 시간이 제로가 아닌 경우에는, 직접 단계 S14로 진행되어, 급탕용 토크 모터(51)를 구동하고 급탕 밸브(50)를 개방하는 것에 의하여, 저탕조(11)로부터 욕조 (12)로의 급탕을 시작한다. 상기 단계 S13에 의한 저탕 금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욕조(l2)로의 급탕에 의하여 저탕조(11) 내의 수위가 내려가면, 그 분량만큼 새로운 온수가 저탕조(1l)로 보급되지만, 이 점은 나중에 설명한다.
급탕 시작 후, 입욕제 투입의 지시의 유무를 판정하고(단계 Sl5), 입욕제 투입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입욕제 투입 펌프(56a)를 작동시킨다(단계 S16). 또, 바디샴푸 투입의 지시의 유무를 판정하고(단계 S17), 바디샴푸 투입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바디샴푸 투입 펌프(56b)를 작동시킨다(단계 S18). 입욕제 투입 펌프(56a)나 바디샴푸 투입 펌프(56b)가 작동하면, 미리 용기에 수용되어 있던 입욕제나 바디샴푸가 용기 내부로부터 흡입되어, 급탕관(48)의 도중에 혼입된다. 그 때문에, 욕조(12) 내에 온수가 토출되는 시점에서 온수에는 입욕제나 바디샴푸가 혼입되어 있고, 그러한 온수가 욕조(12) 내에 저장되어 서서히 수위가 상승한다.
마이크로 컴퓨터(80)는 욕조내 수위 센서(68)에 의해 욕조(12) 내의 수위를 감시하고, 그 수위가 미리 정해진 반신욕 수위에 도달했다고 판정되면(단계 S19에서 Yes), 급탕 밸브(50)를 닫는 것에 의하여 급탕을 정지한다(단계 S20). 이 때의 수위는, 욕조(12) 안에 수용되고 있는 입욕자(P)의 허리 부분으로부터 하부가 잠기는 정도의 수위이다. 그리고, 그 후에 시작시에 간호인에 의하여 설정된 반신욕 입욕 시간의 감산이 시작되어, 그 잔여 시간이 제로가 될 때까지 감산이 계속 진행된다(단계 S21, S22). 반신욕 입욕 시간이 제로가 되면, 배수 밸브(58)를 열고 욕조(12) 내의 온수를 배출한다(단계 S23). 반신욕 입욕시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욕조(12)는 세팅 상태에 위치하고 있고, 배수구(12f)는 욕조(12) 내의 최저부에 있기 때문에, 욕조(12) 내의 온수는 전부가 배출된다.
이어서, 마이크로 컴퓨터(80)는 부하 구동부(81)를 통해서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24)를 다시 한번 구동하여, 욕조(12)를 한층 더 경사 이동시킨다(단계 S24). 그리고, 간호인에 의하여 시작시에 설정된 욕조 각도(엄밀하게는, 4 단계의 경사에 대응되는 욕조 각도)에 도달했다면(단계 S25에서 Yes), 모터(24)를 정지하는 것에 의하여 욕조(12)의 경사 이동을 정지시킨다(단계 S26). 정지 후, 욕조(l2)의 경사가 최대인지 아닌지(본 실시예에서는 경사가 최대인 것은 도 3에 나타낸 표준 입욕 상태)를 판정하고(단계 S27), 경사가 최대인 경우에는, 앉은 키 검지 센서(70)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입욕자(P)의 체격, 구체적으로는 앉은 키가 본 장치에 적격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8).
본 장치에서는, 자동적으로 급탕을 행하기 때문에, 욕조(12)에 저장된 온수가 최저 수위에 있더라도, 입욕자의 앉은 키가 상당히 낮고 또한 욕조(12)를 최대 로 기울인 경우에는, 얼굴의 일부가 온수에 잠길 우려가 있다. 그러면, 단계 S28에서 입욕자의 체격의 적격성을 체크하고, 부적격으로 간주되는 경우에는, 버저(30c)의 울림 등에 의한 에러 통보를 행하고(단계 S29), 간호인에게 그 취지를 알린다. 이것에 의해, 안전성이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입욕자(P)의 체격이 적격인 때에는, 이어서, 1회 사용 운전의 지시의 유무를 체크한다(단계 S30). 1회 사용 운전을 지시받은 경우에는, 이 직후의 욕조(12)로의 급탕 후에 저탕조(11)로의 온수의 보충을 행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저탕조(11)로의 저탕을 금지한다(단계 S31). 한편, 1회 사용 운전이 아닌 경우에는, 직접 단계 S32로 진행하고, 급탕용 토크 모터(51)를 구동하여 급탕 밸브(50)를 개방하는 것에 의하여, 저탕조(11)로부터 욕조(12)로의 급탕을 시작한다. 상기 단계 S31에 의한 저탕 금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욕조(12)로의 급탕에 의하여 저탕조(11) 내의 수위가 내려가면, 그 분량만큼 새로운 온수가 저탕조(11)로 보급된다.
계속해서, 상기 단계 S15∼S18과 동일한 단계 S33∼S36의 처리에 의해, 입욕제나 바디샴푸의 투입이 지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을 급탕하는 온수에 혼입시킨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80)는 욕조내 수위 센서(38)에 의하여 욕조(12) 내의 수위를 감시하고, 그 수위가 전신욕 수위에 도달하였다고 판정되면(단계 S37에서 Yes), 급탕 밸브(50)를 닫고 급탕을 정지한다(단계 S38). 그리고, 간호인에 의하여 시작시에 설정된 전신욕 입욕 시간의 감산이 시작되어, 그 잔여 시간이 제로가 될 때까지 감산이 속행된다(단계 S39, S40). 전신욕 입욕 시간이 제로가 되면, 배수 밸브(58)를 열고 욕조(12) 내의 온수를 배출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24)를 구동하여 욕조(12)를 세팅 위치로 되돌린다(단계 S41).
욕조(12)가 세팅 위치로 되돌아오면(단계 S42에서 Yes), 모터(24)를 정지시키고 욕조(12)의 경사 이동을 정지시킨다(단계 S43). 상기와 같이 욕조(12)가 전신욕 입욕 상태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욕조(12)의 배수구(12f)는 반드시 최저부에 있다고 한정하지는 않지만, 욕조(12)가 세팅 위치로 돌아온 때에는 반드시 최저의 위치로 된다. 그 때문에, 욕조(12)가 세팅 위치로 돌아오고 나서 잠시 경과 후에는, 욕조(12) 내의 온수는 전부가 배출된다. 그 후에, 버저(30c)의 울림 등에 의해서, 간호인에게 입욕 종료 통보를 행한다(단계 S44). 이것에 의해 간호인이 떠난 위치에 거하여도, 입욕 종료시에 곧바로 그 취지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입욕자(P)가 입욕 종료후의 상태로 방치되는 일이 없다.
그 후, 욕조(12) 안으로의 입욕자(P)의 수용 작업시와 반대의 순서로, 간호인은 덮개(16)를 열고, 입욕자(P)를 태운 좌석부(220)를 욕조(12) 안으로부터 휠체어(2)의 대차부(210) 위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리고, 휠체어(2)의 대차부(210)의 임시 고정을 해제하고, 휠체어(2)를 본체 장치(1)로부터 이탈시킨다(단계 S45). 계속하여, 다른 입욕자의 입욕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S8(설정 조건을 변경하는 경우) 또는 단계 S9로 돌아오면 좋지만, 입욕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호인은 욕조(12)를 수납 위치까지 되돌리기 위해 수납 조작키(303)를 누른다. 상술한 것처럼 수납 조작키(303)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24)는 구동되어, 축지지부(14)에 의하여 욕조(12)의 후방 부분이 끌어올려지고 욕조(l2)는 수납 위치로 돌아온다(단계 S46). 수납 위치에 도달하면 모터(24)는 정지하고, 수납 조작키(303)를 눌러도 그 이상 동작하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간호인은 전원 스위치(301)를 누르고 본체 장치(1)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47), 입욕에 관계된 모든 작업을 종료한다.
〔바이패스관에 의한 급탕시의 탕온 제어〕
통상적으로, 욕조(l2) 안에는 저탕조(11) 내에 저장된 온수를 공급하지만, 욕조(12) 안에 공급되어 있는 온수의 온도가 예상하고 있던 것보다도 낮고, 급탕하는 탕온을 높인 경우를 위해, 바이패스관(46)을 이용하여 저탕조(11)를 거치는 일없이 급탕을 행할 수 있다. 도 28은 이러한 바이패스관에 의한 급탕시의 탕온 제어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마이크로 컴퓨터(80)는 저탕조(11)로부터 욕조(12)로 급탕 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단계 S171), 급탕 중인 경우에는, 이어서 설정 수위에 도달 직전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72). 급탕중이라도 설정 수위에 도달 직전이 아닌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온수를 욕조(12) 안으로 공급하면, 욕조(12) 내의 탕온이 과도하게 높아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것과 같은 처리를 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설정 수위에 도달 직전인 경우에는, 욕조내 온도 센서(66)에 의한 온도 검지 신호를 이용해서 욕조(12) 내의 탕온이 설정 탕온에 가까운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73). 욕조(12) 내의 탕온이 설정 탕온에 가까운 경우에는, 바이패스관(46)으로부터의 급탕을 행하면 욕조(12) 내의 탕온이 과도하게 높아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저탕조(11)로부터의 급탕을 계속하여, 설정 수위에 도달할 때에(단계 S174에서 Yes), 급탕 밸브(50)를 폐쇄한다(단계 S175).
단계 S173에서 욕조(12) 내의 탕온이 설정 탕온에 근접하지 않고, 즉 설정 탕온보다도 어느 정도 이상 낮은 경우에는, 제 1 혼합 밸브(42)에 의하여 적당한 탕온 조정을 행하고(단계 S176), 급탕 밸브(50)를 폐쇄함과 동시에 바이패스 밸브 (47)를 개방한다(단계 S177). 이것에 의해, 저탕조(11)로부터 급탕관(48)으로의 온수의 유입은 정지되고, 대신에 바이패스관(46)을 거친 온수의 공급이 시작된다. 이 때의 온수는 저탕조(11)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제 1 혼합 밸브(42)에 의하여 조정된 탕온이 거의 그대로 유지되어, 그 설정 온도를 예를 들면 설정 탕온보다도 1∼수℃ 높게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하여, 조금 높은 온도의 온수를 욕조(12) 안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욕조(12)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할 때에(단계 S178에서 Yes), 바이패스 밸브(47)를 폐쇄하고 급탕을 정지한다(단계 S179).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이나 수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호용 입욕 장치는 간호인의 작업 부하를 크게 경감하고 간호인의 체격이 비교적 작거나 힘이 약한 경우에도 무리 없이 조작이나 취급할 수가 있고 작업성이 양호하며, 설치면적이 작아도 괜찮고 공간 절약성이 우수하며, 또한, 입욕자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달성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입욕자에게 충분한 만족감이나 안심감을 주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에 의하여 높은 입욕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입욕자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달성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 는다.

Claims (12)

  1.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에 수용된 입욕자의 머리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로서, 욕조의 후단에 지지되어 자유롭게 접동(蝶動)되어 상부로 개방되는 구조인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윗면 개구를 통해서 욕조 내에 입욕자를 수용한 후에 덮개를 폐쇄하고, 그 후에 욕조 내에 급탕을 행하여 입욕자가 온수에 잠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2.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하고, 내부에 저장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를 갖는 욕조와,
    c) 상기 욕조에 수용된 입욕자의 머리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와,
    d) 욕조 내에 면한 상기 덮개의 일부에 설치된 넘침 유동구와, 상기 넘침 유동구를 입구 개구로 하여 상기 덮개에 설치된 덮개측 넘침 유동관, 및, 상기 욕조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폐쇄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덮개측 넘침 유동관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배수구 또는 그 외측의 배수관에 연통되는 욕조측 넘침 유동관으로 이루어지는 온수 넘침 방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3.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향하는 방향이 상방과 전방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상기 욕조를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욕조 지지 수단과,
    d)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수직 방향으로 연신되는 나사축, 및, 상기 나사축과 계합하고 나사축이 회전할 때에 상하 이동하는 볼나사식의 가동체로 이루어지는 욕조 작동 수단과,
    e) 상기 가동체에 대하여 상기 욕조의 후방부를 축지지하는 축지지부와, 상기 축지지부보다도 전방측의 욕조의 바닥부에 설치된 차륜과, 상기 차륜의 주행면으로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안내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욕조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욕조 작동 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가 상하 이동할 때에, 상기 축지지부를 통해서 욕조의 후방부가 상하 이동하고, 그것에 따라 상기 차륜이 안내 경사면상을 오르거나 또는 내려가는 것에 의해, 욕조는 그 윗면 개구가 거의 전방을 향하는 상태와 거의 상방을 향하는 상태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경사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은 욕조의 측벽면보다도 내측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서, 욕조의 윗면 개구가 거의 전방을 향하도록 기립된 욕조 수납 상태와, 욕조의 전연 단부가 바닥면에 근접하고, 그 윗면 개구가 비스듬히 전방을 향하는 입욕자의 수용·퇴출을 행하기 위한 세팅 상태와, 욕조의 윗면 개구가 거의 상방을 향하는 표준 입욕 상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6.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향하는 방향이 상방과 전방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욕조를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욕조 지지 수단과,
    d) 상기 욕조의 경사 이동 동작에 따라, 욕조가 기립할 때에는 후방으로 후퇴함과 동시에 욕조가 전방으로 밀려 나아갈 때에는 전방으로 진출하는, 상기 대차부의 일부에 계합되어 그 대차부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 신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욕조는 그 바닥부에 경사 이동에 수반하여 주행하는 차륜을 갖고, 상기 스토퍼 신축 기구는 그 차륜이 위에 얹혀졌을 때에 그 억압력에 의하여 쓰러짐으로써 전방으로 진출하고, 그 차륜에 의한 억압력이 해제되어 기립하는 것에 의하여 후방으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7.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를 갖춘 본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휠체어의 좌석부에 앉은 채 입욕자를 욕조 안으로 이동시키고 그 후에 그 욕조 안으로 온수를 공급하여 입욕을 행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좌석부는, 상기 대차부에 설치된 대차부 안내 궤도에 따라 주행하는 제 1 차륜과, 상기 욕조내에 설치된 욕조 안내 궤도에 따라 주행하는 제 2 차륜을 독립적으로 가지며, 제 1 차륜은 욕조 안내 궤도와, 제 2 차륜은 대차부 안내 궤도와 접촉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 안내 궤도는 상하로 거의 평행하게 연신된 2개의 원통부를 가지며, 제 1 차륜은, 상기 2개의 원통부에 상하로 낀 상태로 구름운동하는 원반형상의 습동부와, 상기 습동부의 양측에 있고 상기 원통부를 그 양측면에서 끼워 넣도록 상기 습동부보다도 큰 직경의 외측 틀부 및 내측 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 안내 궤도의 차륜 주행면에 있어서, 입욕자의 이동시에 욕조에 근접한 측의 단부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 아래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10.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의 상방에 설치되어, 욕조 안으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미리 온수를 저장해 두는 저탕조와,
    d) 상기 저탕조와 상기 욕조를 접속하며 그 도중에 급탕 밸브가 설치된 급탕관과,
    e)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저탕조에 일단이 접속되고 그 도중에 배탕 밸브가 설치된 배탕관을 구비하고,
    상기 급탕 밸브 또는 배탕 밸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탕조의 내부에서 온수에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급탕관 또는 배탕관의 입구 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밸브체는 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서 끌어올려짐으로써 입구개구를 개방시키고, 모터에 의한 구동력을 해제함으로써 수압에 의해서 입구개구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간호용 입욕 장치.
  11.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 안으로 급탕관을 매개로 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급탕 수단과,
    d) 상기 급탕관의 도중에 설치되며, 욕조내에 공급된 온수에 선택적으로 입욕제 또는 목욕용 세정제를 포함한 보조 액제를 혼입시키는 액제 혼입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12. 삭제
KR1020030058359A 2002-08-26 2003-08-22 간호용 입욕 장치 KR100552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44662 2002-08-26
JP2002244662A JP3992563B2 (ja) 2002-08-26 2002-08-26 介護用入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941A KR20040018941A (ko) 2004-03-04
KR100552443B1 true KR100552443B1 (ko) 2006-02-20

Family

ID=3205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359A KR100552443B1 (ko) 2002-08-26 2003-08-22 간호용 입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07630B2 (ko)
JP (1) JP3992563B2 (ko)
KR (1) KR100552443B1 (ko)
CN (1) CN1265779C (ko)
TW (1) TWI2436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2432B2 (en) * 2003-12-30 2009-01-06 Letty Ann Owen Bathtub insert “Take-Five”
JP2006014854A (ja) * 2004-06-30 2006-01-19 Sakai Medical Co Ltd 入浴装置
JP4246687B2 (ja) * 2004-11-17 2009-04-02 ダイヤ技研株式会社 温熱健康器
US20060213000A1 (en) * 2005-03-25 2006-09-28 Kimble Christopher J Automatic energy-efficient bathroom exhaust fan controller
AU2006248558B2 (en) * 2005-05-17 2011-03-31 Ofer Parezky Multi-position support apparatus featuring a motorized foot support
US8141184B2 (en) * 2008-10-24 2012-03-27 Ronald Mondrush Portable personal hygiene apparatus
US8640970B2 (en) * 2009-05-27 2014-02-04 Direct Success, Llc Air quality control system
US8276220B1 (en) * 2011-06-06 2012-10-02 Seymour Michael Wm Height adjustable seat
US8814196B1 (en) 2013-02-19 2014-08-26 Steven K. Poggenpohl Shower transfer assistance scooter device
CN103473456A (zh) * 2013-09-12 2013-12-25 庞洁之 一种六能仪内方位能量的激活方法、装置及六能仪
EP2906170B1 (en) * 2013-09-13 2016-11-02 Dynamic Controls Method for producing or calibrating a control profile for a wheelchair
EP3040063A1 (en) * 2014-12-29 2016-07-06 Robotics Care AB Bathing aid
CN105342770B (zh) * 2015-12-03 2017-10-20 江苏师范大学 一种浴缸轮椅
CN106562882B (zh) * 2016-07-20 2018-09-14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多功能妇产科护理系统及其操作方法
CN106272452B (zh) * 2016-08-24 2018-08-24 合肥凌翔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交互装置
USD842972S1 (en) 2017-01-12 2019-03-12 Kohler Co. Walk in bath
US10881251B2 (en) 2017-01-12 2021-01-05 Kohler Co. Walk in bath
US10702064B1 (en) * 2017-06-12 2020-07-07 Mobility Transfer Experts, LLC Mobile platform and related methods
WO2019019993A1 (en) * 2017-07-27 2019-01-31 Automation For Humanity Limited STRUCTURE FOR WASHING IN THE SITTING POSITION
KR101914134B1 (ko) 2017-12-01 2018-11-02 (주)햇빛부자 다용도 건식 찜질 장치
US10966575B2 (en) * 2019-01-08 2021-04-06 Apollo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bathing system
CN113473958B (zh) * 2019-02-18 2023-08-29 动物生活开发有限公司 运动设备
RU2705106C1 (ru) * 2019-04-14 2019-11-0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Физиотехника" Ванна водолечебная поворотная
CN111336680B (zh) * 2020-03-11 2021-06-04 佛山市南海贺泺卫浴有限公司 一种调温浴缸
US11744413B2 (en) 2021-10-07 2023-09-05 Deb Ip Limited Dispenser assembly
CN115778210B (zh) * 2022-12-15 2023-09-01 广州市天滢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多方位按摩浴缸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585A (ja) * 1994-07-08 1996-01-23 Sakai Iryo Kk 入浴装置
JPH10165474A (ja) * 1996-12-12 1998-06-23 Hajime Ban 介護浴槽
JP2000157604A (ja) * 1998-11-30 2000-06-13 Sakai Medical Co Ltd 入浴装置
JP2000308665A (ja) * 1999-04-27 2000-11-07 Og Giken Co Ltd 収納式特殊入浴装置
JP2001017504A (ja) * 1999-07-12 2001-01-23 Nakamura Shinya 入浴装置
JP2001231834A (ja) * 2000-02-21 2001-08-28 Masami Ishioka 介護用入浴装置
JP2002000689A (ja) * 2000-03-31 2002-01-08 Fumino Motonaga 降り掛け洗体装置
JP2003024410A (ja) * 2001-07-18 2003-01-28 Handi Network International Co Ltd 介護用風呂
JP2004081379A (ja) * 2002-08-26 2004-03-18 Sanyo Electric Co Ltd 介護用入浴装置
JP2004081381A (ja) * 2002-08-26 2004-03-18 Sanyo Electric Co Ltd 介護用入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2104A (en) * 1982-06-28 1984-02-21 Sasaki Jack S Bathing equipment for the handicapped
US5393119A (en) * 1992-06-22 1995-02-28 Mitsuru Haruyama Chair bath
JP2628568B2 (ja) 1992-12-10 1997-07-09 春山 満 介護用バス
JP2572559B2 (ja) * 1994-04-06 1997-01-16 酒井医療株式会社 入浴装置
FI941984A0 (fi) * 1994-04-29 1994-04-29 Jorma Karhumaeki Tudelat badkar foer saovael medicinska och naturmedicinska behandlingsbad som rekreationsbad
JP2000116745A (ja) 1998-10-16 2000-04-25 Og Giken Co Ltd 干渉分離式車椅子入浴装置
JP2001037843A (ja) * 1999-07-26 2001-02-13 Og Giken Co Ltd シャワ−入浴兼用車椅子入浴装置
JP3770384B2 (ja) * 2002-03-20 2006-04-26 東陶機器株式会社 浴槽サウナ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585A (ja) * 1994-07-08 1996-01-23 Sakai Iryo Kk 入浴装置
JPH10165474A (ja) * 1996-12-12 1998-06-23 Hajime Ban 介護浴槽
JP2000157604A (ja) * 1998-11-30 2000-06-13 Sakai Medical Co Ltd 入浴装置
JP2000308665A (ja) * 1999-04-27 2000-11-07 Og Giken Co Ltd 収納式特殊入浴装置
JP2001017504A (ja) * 1999-07-12 2001-01-23 Nakamura Shinya 入浴装置
JP2001231834A (ja) * 2000-02-21 2001-08-28 Masami Ishioka 介護用入浴装置
JP2002000689A (ja) * 2000-03-31 2002-01-08 Fumino Motonaga 降り掛け洗体装置
JP2003024410A (ja) * 2001-07-18 2003-01-28 Handi Network International Co Ltd 介護用風呂
JP2004081379A (ja) * 2002-08-26 2004-03-18 Sanyo Electric Co Ltd 介護用入浴装置
JP2004081381A (ja) * 2002-08-26 2004-03-18 Sanyo Electric Co Ltd 介護用入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78888A1 (en) 2004-04-29
US7107630B2 (en) 2006-09-19
KR20040018941A (ko) 2004-03-04
CN1488328A (zh) 2004-04-14
TW200407106A (en) 2004-05-16
JP3992563B2 (ja) 2007-10-17
JP2004081380A (ja) 2004-03-18
CN1265779C (zh) 2006-07-26
TWI243669B (en) 2005-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443B1 (ko) 간호용 입욕 장치
EP1895883B1 (en) Bathing system
KR100552442B1 (ko) 간호용 입욕 장치
US4432104A (en) Bathing equipment for the handicapped
KR20130095080A (ko) 간병용 침대
JP6635572B1 (ja) 運動機器
JP2002085508A (ja) 介護用浴槽
JP3942513B2 (ja) 介護用入浴装置
JP2007203095A (ja) 介護用入浴装置
WO1985002098A1 (en) Bath tub having water reservoir and entry door
JP4163132B2 (ja) 介護用入浴装置
JP4092347B2 (ja) 開閉扉付きの浴槽
JP2007175548A (ja) 介護用入浴装置
JP2007175552A (ja) 介護用入浴装置
JP5266553B2 (ja) 介護用入浴装置
JP3403311B2 (ja) 安全装置付入浴装置
JP4427359B2 (ja) 入浴装置
JP2006102389A (ja) 車椅子入浴装置
JP2001017504A (ja) 入浴装置
CA1214603A (en) Bathing equipment for the handicapped
JP5647863B2 (ja) 浴槽の排水制御装置と制御方法
JP3531851B2 (ja) 浴 槽
JPH11114005A (ja) 入浴装置
JP3481752B2 (ja) 据置型車椅子入浴装置における湯水位自動検出装置と浴湯の貯蔵循環装置
JP2004049845A (ja) ユニバーサルファッション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