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442B1 - 간호용 입욕 장치 - Google Patents

간호용 입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442B1
KR100552442B1 KR1020030058358A KR20030058358A KR100552442B1 KR 100552442 B1 KR100552442 B1 KR 100552442B1 KR 1020030058358 A KR1020030058358 A KR 1020030058358A KR 20030058358 A KR20030058358 A KR 20030058358A KR 100552442 B1 KR100552442 B1 KR 100552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bath
bathtub
bath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8940A (ko
Inventor
마사루 노로
마사후미 니시노
데츠나리 하마다
미노루 요네모토
도요키 미나미모토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덴키 테크노 클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덴키 테크노 클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2Bathing devices for use with gas-containing liquid, or liquid in which gas is led or generated, e.g. carbon dioxide 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6Doors to get in and out of baths more easi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7Tipping-devices fo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61H2033/0054Electrical circuits therefor with liquid leve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45Overrunning clutches; One-way clu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비사용시에는 컴팩트하고 장소를 차지하지 않고, 사용시에는 간호인의 부담이 크게 경감될 수 있는 간호용 입욕 장치를 제공한다.
욕조(12)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수직으로 이동하는 축지지부(14)와 경사안내부(15) 위를 주행하는 롤러(13)로 지지되고 있고, 비사용시에는, 저탕조(11)의 아래쪽에 거의 기립 상태로 수납된다. 따라서, 비사용시에는 상당히 컴팩트하다. 사용시에는 축지지부(14)가 하강하고, 롤러(13)가 경사안내부(15)를 내려가서, 욕조(12)는 그 윗면 개구가 비스듬한 전방 상부 방향으로부터 거의 수직 상향 상태로 경사 이동한다. 이러한 경사 이동은 전부 모터에 의한 전기적 구동에 의하여 실행되기 때문에, 간호인은 단지 키 조작을 행할 뿐, 노력은 대폭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호용 입욕 장치 {NURSING BATH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간호용 입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 부분의 측면도(욕조 수납 상태).
도 2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 부분의 측면도(세팅 상태).
도 3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 부분의 측면도(표준 입욕 상태).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욕조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일부로서 전용 휠체어의 외관 정면도(a) 및 외관 측면도(b).
도 6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욕조를 경사 이동시키기 위한 축지지부 주변의 주요 부분의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세팅 상태에 있어서 주요 부분의 정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세팅 상태에 있어서 주요 부분의 측면도.
도 9는 도 5에 나타낸 휠체어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입욕자를 휠체어로부터 욕조 안으로 이송할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입욕자를 휠체어로부터 욕조 안으로 이송할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스토퍼 신축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본체 장치의 욕조 수납 상태에 있어서 전체 측면도(a) 및 정면도(b).
도 14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조작 패널의 확대도.
도 15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급수ㆍ배수용의 배관 구성도.
도 16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주로 급탕 경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7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배수 경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배수 경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9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전기 계통의 전체 구성도.
도 20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와 욕조 위치 검지 스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
도 21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의 구동에 관련된 주요 부분의 회로 구성도.
도 22는 도 21의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본체 장치 전체의 측면도, (b)는 욕조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c)는 (b)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23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앉은 키 검지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허리 부분의 개략 측면도(a) 및 개략 정면도(b).
도 24는 간호인이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를 사용하여 입욕자를 입욕시킬 때의 일련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25는 간호인이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를 사용하여 입욕자를 입욕시킬 때의 일련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26은 간호인이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를 사용하여 입욕자를 입욕시킬 때의 일련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27은 간호인이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를 사용하여 입욕자를 입욕시킬 때의 일련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28은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욕조 수납 위치에서 세팅 위치, 또는 그 역으로 세팅 위치에서 격납 위치까지 욕조를 경사 이동시킬 때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29는 반신욕(半身浴) 입욕 종료후, 전신욕 입욕으로 이행하기 위해 욕조의 각도를 변화시킬 때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0은 저탕조(貯湯槽)의 탕온을 키 조작에 의하여 설정할 때의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1은 저탕조로의 초기적인 저탕시, 및 온수를 보충하기 위해 행해지는 저탕조로의 저탕시의 탕온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2는 욕조 각도에 따른 수위 조정을 가한 급탕 탕량의 제어의 플로차트.
도 33은 욕조로의 급탕 탕량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 부분의 측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장치 10 : 지주
11 : 저탕조 12 : 욕조
12a : 윗면 개구 12b : 개구부
12c : 지지편부(支持片部) 12d : 욕조내 레일
12e : 급탕구 12f : 배수구
13 : 욕조 롤러 14 : 축지지부
15 : 경사안내부 16 : 덮개
17 : 스토퍼 신축 기구 20 : 축체
21 : 가동체 22 : 볼나사 너트
23 : 나사축 24 :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
30 : 조작 패널
301 : 전원 스위치 302 : 세팅 조작키
303 : 수납 조작키 305 : 저탕조의 탕량 확인 표시기
306 : 저탕조 탕온 설정키 307 : 탕온 확인키
308 : 스타트 키 309 : 입욕 시간 설정키
310 : 욕조 각도 설정키 311 : 탕량 설정키
313 : 기포 발생 지시키
31 : 경사면 4O : 급탕관
41 : 급수관 42 : 제 1 혼합 밸브
45 : 저탕 밸브 48 : 급탕관
49 : 배탕관(排湯管) 50 : 급탕 밸브
52 : 배탕 밸브 58 : 배수 밸브
59 : 배수관 60 : 에어 펌프
61, 62 : 기포 발생기 63 : 혼합 밸브 온도 센서
64 : 저탕조 온도 센서 65 : 급탕관 온도 센서
67 : 저탕조 수위 센서 80 : 마이크로 컴퓨터
81 : 부하 구동부
2 : 휠체어
210 : 대차부 211 : 지주부
212 : 후륜 213 : 전륜
214 : 안내 레일 215 : 대차측 고정편
220 : 좌석부 221 : 횡방향 기저부
223 : 등받이 지주 225 : 좌석면
226 : 등받이 227 : 수위(水位)마크
본 발명은 신체 장애자, 노령자 등의 피간호인이 간호인의 간호하에 입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간호용 입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 장애자나 노령자 또는 병약자 등 일어서는 것이 곤란하거나 자력만으로는 입욕할 수 없는 자(이하「피간호인」라고 한다)가 간호인의 조력하에 입욕하기 위한 입욕 장치로서 다양한 형태의 것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입욕 장치의 하나로서, 피간호인을 휠체어에 앉힌 상태에서 욕조에 간편하게 이동시켜 욕조 속에 온수를 담아둔 뒤 피간호인이 온수에 잠기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입욕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제2628568호 공보에 기재된 입욕 장치에서는 욕조의 윗면 개구가 거의 수직 상향 상태부터 경사 상향 상태로 욕조가 요동하도록 지지되어, 욕조의 전연(前緣) 단부가 바닥면에 근접하도록 한 상태(윗면 개구가 경사 상향된 상태)로 로킹(locking)시켜 휠체어의 좌석부에 앉은 피간호인을 좌석부에서 욕조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피간호인이 욕조에 수용된 후에는 로킹을 해제하고 욕조를 요동시켜 수평 상태로 로킹시키고, 욕조 내에 온수를 담아서 피간호인이 앉아서 입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간호의 현 상황을 고려하면, 간호인은 여성인 경우가 많은 반면 간호상의 작업의 대부분, 특히 상기와 같이 피간호인에게 입욕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간호에 있어서 그 작업은 완력을 수반하는 힘든 작업이 많다. 그 때문에, 이러한 간호인의 부담 특히, 노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도, 피간호인을 들어올리고 욕조 안으로 이동시키는 등의 과중한 작업을 해소하기 위해 휠체어의 좌석부를 그대로 욕조 안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방법이 채용되어 간호인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을 도모하고 있다. 그렇지만, 피간호인이 수용된 상태에서 욕조를 요동시키는 것은 힘이 약한 간호인에게 있어서는 용이하지 않고, 또 피간호인이 수용된 후에 욕조를 욕실로 이동하고 욕조 안으로 급탕을 행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실제로 피간호인을 입욕시킬 때에 간호인의 노력을 크게 필요로 하는 것은 면하기 어렵다.
한편, 예를 들면 특개 2000-116745호 공보 등에 기재된 입욕 장치(제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오즈 기연 주식회사 제품인 휠체어 입욕 장치 체어인버스 등)에서는 욕조의 측벽에 미닫이식 문이 설치되는 한편, 피간호인을 이송하기 위한 휠체어는 좌석부와 대차부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욕조의 문을 연 상태에서 피간호인이 탔던 휠체어를 욕조에 접촉하도록 근접시켜 가면 대차부는 욕조의 바닥면 아래쪽, 즉 욕조의 외부에 남고 좌석부만이 피간호인을 실은 채로 욕조 안 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한다. 따라서, 그 후 문을 닫고 욕조에 온수를 담은 후 피간호인을 입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입욕 장치에는 급탕 장치 등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간호인의 노력이 어느 정도 경감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입욕 장치는 비교적 설치면적을 확보하기 쉬운 간호시설 등에 설치되는 것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에 대형으로 큰 설치면적을 점유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재택 간호 등을 위해 일반 가정에 설치하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다. 이러한 것으로, 일반 가정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특히 설치면적이 작은 소형의 입욕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물론, 설치면적이 작으면 간호 시설 등에 있어도 여러 가지 장치를 병설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점이 크다.
또한, 이러한 입욕 장치를 이용하는 피간호인은 스스로 움직일 수 없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소리를 내는 것이 가능하지 않는 것도 많기 때문에, 사용시에 입욕자의 신체에 위험을 미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성을 크게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종래의 입욕 장치는 기본적으로 간호인이 평상시 따라가서 감시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고, 간호인이 눈을 뗀 상태에서의 안전성에 관해서는 항상 충분히 배려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입욕 장치의 본래의 목적은 피간호인의 신체를 청결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입욕에 의하여 피간호인에게 편안한 느낌이나 감성 등의 심리적으로 좋은 영향을 주고 경우에 따라서는, 온열 등에 의한 신체적인 치료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래의 목적과 관련하여 종래의 입욕 장치보다 한층 높은 효과를 얻는 것도 중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여러 가지 사항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목적에 있어서는 간호인의 작업 부하를 크게 경감하고 간호인의 체격이 비교적 작거나 힘이 약한 경우에도 무리 없이 조작이나 취급할 수가 있고, 작업성이 양호한 간호용 입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설치면적이 작아도 괜찮고 공간 절약성이 우수한 간호용 입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피간호인, 즉 입욕자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달성할 수 있는 간호용 입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피간호인 자신이 충분한 만족감을 얻을 수 있고 높은 입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입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제 1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향하는 방향이 상방 및 전방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욕조를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욕조 지지 수단과, d) 전기적 구동원과, e) 이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욕조의 경사를 변경시키는 욕조 작동 수단을 구비하고,
비사용시에는 상기 구동원, 욕조 작동 수단 및 욕조 지지 수단에 의하여 욕조의 전후방향의 점유면적이 감소하돌고 상기 욕조의 후방측이 끌어올려져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거의 똑바로 전방을 향하는 상태까지 그 욕조를 기립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구동원, 구체적으로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욕조 작동 수단이 욕조의 경사를 변경한다. 통상은, 휠체어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좌석부에 태운 채로 욕조 안으로 이동시킨다. 또는 그 역으로 욕조 안으로부터 휠체어의 대차부 상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욕조의 윗면 개구가 비스듬히 전방 상부를 향하도록 욕조를 위치시켜 좌석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입욕자를 원활히 이동한다. 또한 입욕시에는, 욕조의 윗면 개구가 더욱더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욕조를 기울임으로써 입욕자의 전신이 욕조 내에 저장된 온수에 잠기기 쉽게 한다. 이에 반하여, 본 장치의 비사용시, 즉 수납시에는 욕조의 윗면 개구가 거의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욕조를 기립시킨다.
입욕시에 입욕자의 전신이 온수에 잠기도록 하기 위해 욕조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또한 바닥이 얕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입욕시에는 욕조가 전방으로 연장하여 어느 정도 넓은 공간을 점유하게 된다. 그렇지만, 비사용시에는 욕조가 거의 기립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전후 방향의 사이즈는 사용시와 비교하면 현격하게 작아지고, 수납 장소의 공간이 협소해도 되며 동시에, 주위 사람에게도 방해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러한 제 1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는, 이와 같은 욕조를 수납 상태로 하기 위한 작업이 전기적인 구동력에 의해 달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장치를 다루는 간호인은 조작키를 누르는 등의 극히 간단한 조작만을 하면 되기 때문에 간호인 스스로가 수동으로 욕조를 작동시키는데 드는 큰 노력이 필요치 않게 된다. 따라서, 간호인의 작업 부하가 크게 경감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제 2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향하는 방향이 상방 및 전방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욕조를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욕조 지지 수단과, d) 상기 욕조 지지 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욕조 안으로 급탕을 행하기 위해 온수를 저장해 두는 저탕조를 구비하고,
비사용시에는 상기 욕조 지지 수단에 의하여, 상기 저탕조의 아래쪽에서 욕조의 전후방향의 점유면적이 감소하도록 상기 욕조의 후방측이 끌어올려져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거의 똑바로 전방을 향하는 상태까지 그 욕조를 기립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 2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는 입욕시에 욕조 안으로 공급해야 할 온수를 저장한 저탕조를 욕조 지지 수단의 상부에 설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저탕조를 마루 바닥 위에 옆이나 뒤쪽에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설치공간을 대폭적으로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 1 발명에 관계된 간호용 입욕 장치와 마찬가지로, 입욕시에 입욕자의 전신이 온수에 잠기도록 하기 위해 욕조를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또한 바닥을 얕게 한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비사용시에 욕조를 거의 기립 상태로 함으로써 욕조가 저탕조의 아래쪽에 완전하게 수용되거나 적어도 그 저탕조의 전방의 선단보다 조금 더 돌출한 정도의 사이즈로 된다. 따라서, 저탕조를 포함하고 수납 장소의 공간이 상당히 협소해도 됨과 동시에, 주 위 사람도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는, 비사용시에 욕조가 기립 지지된 상태에서 욕조의 후방에 위치한 부분에 일부가 가려지도록 조작 패널을 배치함과 동시에, 이 조작 패널에 있어서 욕조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범위에, 욕조가 기립된 상태에서 조작할 필요가 있는 조작키를 설치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비사용시에 조작 패널의 일부가 욕조의 뒤쪽에 가려져도 조작에는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며 사용시에는 욕조가 경사 이동하여 조작 패널의 앞쪽이 개방되기 때문에 상당히 조작이 쉬워진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여. 장치의 외장 표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장치의 전체 사이즈를 소형화하는 것에도 기여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제 3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향하는 방향이 상방 및 전방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욕조를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욕조 지지 수단과, d) 전기적 구동원과, e) 이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욕조의 경사를 변경시키는 욕조 작동 수단을 구비하고,
입욕자를 욕조 내에 수용 또는 그 역으로 욕조에서 밖으로 퇴거시킬 때에는 상기 구동원, 욕조 작동 수단 및 욕조 지지 수단에 의하여,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비스듬히 전방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유지시키고, 입욕시에는 미리 지시한 욕조 의 경사가 되도록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3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제 1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와 마찬가지로 구동원, 구체적으로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욕조 작동 수단이 욕조의 경사를 변경한다. 휠체어에 탔던 상태의 입욕자를 좌석부에 앉힌 상태로 욕조 안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그 역으로 욕조 내부로부터 휠체어의 대차부로 이동시킬 때에는 욕조의 윗면 개구가 비스듬히 전방 상부를 향하도록 욕조를 위치시켜 좌석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입욕자를 원활히 이동시킨다. 또한 입욕시에는, 일반적으로 욕조의 윗면 개구가 더욱더 상방을 향하도록 욕조를 기울이지만, 이 때의 욕조의 경사는 예를 들면 간호인에 의하여 미리 지시 받은 각도(또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때의 경사각도는 간호인이 입욕자의 입욕 선호도 혹은 몸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제 3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입욕시의 욕조 경사도를 적절하게 설정하기 위한 작업이 전기적인 구동력에 의하여 달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장치를 다루는 간호인은 조작키를 누르는 등의 극히 간단한 조작만 행하면 되고, 간호인 스스로 수동으로 욕조를 작동시키는 큰 노력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간호인의 작업 부하가 크게 경감되는 효과를 달성한다. 특히, 입욕자가 욕조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욕조가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수동으로 욕조를 기울이기 위해서는 상당히 큰 노력을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불규칙한 이동에 의하여 입욕자에 원치 않는 심리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반하여 제 3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전기적으로 소정 각도까지 원활히 욕조를 경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입욕자를 안심시킬 수 있고 입욕시의 편안한 휴식 효과를 한층 높이는 것에도 기여한다.
또한, 상기 제3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욕조의 일부 또는 욕조의 경사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가동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동체에 접촉하여 그 경사 이동을 기계적으로 제지하는 스토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상술한 것처럼, 구동원, 욕조 작동 수단 및 욕조 지지 수단에 의하여 욕조의 경사를 제어하는 경우 전기적 제어의 이상(예를 들면, 노이즈의 혼입에 의한 마이크로 컴퓨터의 폭주 등)이나 기계적인 이상에 의하여, 욕조가 원하는 각도로 정지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도, 이 간호용 입욕 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욕조의 일부 또는 욕조의 경사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부재가 스토퍼에 접촉됨으로써, 그 위치에서 욕조의 경사 이동이 제지된다. 그 때문에, 욕조 내에 수용된 입욕자의 머리부분 쪽이 지나치게 내려가서, 예를 들면 욕조 내에 저장된 온수에 잠기는 것과 같은 위험한 상태에 이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입욕자에 쾌적한 입욕 상태를 제공하면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제 4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제 1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f) 상기 욕조 내에 온수를 공급하는 급탕 수단과, g) 상기 욕조 내에 저장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수단과, h) 조작자가 운전의 시작의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 수단과, i)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비스듬히 전방 상부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욕조 내에 입욕자가 수용된 후, 상기 조작 수단을 통해서 운전 시작의 지시를 받으면, 적어도 상기 욕조를 미리 지시받은 경사가 되도록 변경하는 경사 변경 동작, 상기 급탕 수단에 의한 급탕 동작, 소정 시간 욕조에 온수를 저장하여 입욕자에 입욕 상태를 제공하는 입욕 동작,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욕조에서 온수를 배출하는 배수 동작, 및 입욕자가 욕조에서 나올 수 있도록 그 입욕자를 욕조에 수용할 때와 동일한 상태로 욕조의 경사를 되돌리는 욕조 복귀 동작을 행하기 위해 상기 구동원, 욕조 작동 수단, 급탕 수단, 및 배수 수단을 각각 제어하는 운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 4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휠체어의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욕조 안으로 이동시키는 작업, 및 그 반대로 입욕이 종료된 후에 욕조로부터 휠체어의 대차부 상으로 입욕자를 이동시키는 작업은 간호인이 수행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입욕에 즈음하여 행할 필요가 있고, 욕조로의 급탕, 입욕자가 적절하게 신체를 온수에 담글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욕조 경사의 조정, 원하는 입욕 시간의 계시, 입욕 시간 종료후의 온수의 배출 등의 작업은 운전 제어 수단에 의한 제어 하에 구동원, 욕조 작동 수단, 급탕 수단, 배수 수단 등이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입욕 시간 동안 간호인이 반드시 항상 옆에 있어서 어떠한 작 업을 행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작업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 4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따르면, 종래와 비교해서 피간호인을 입욕시킬 때의 작업 부하를 대폭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제 5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상기 욕조 내에 급탕을 행하기 위하여 온수를 미리 저장해 두기 위한 저탕조를 구비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a) 목표 탕온을 설정하기 위한 온도 설정 수단과, b) 상기 저탕조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검지 수단과, c) 상기 온도 설정 수단에 의하여 목표 탕온이 설정될 때에, 상기 저탕조 내의 온수의 온도를 검지해 그 온수의 온도가 상기 목표 탕온에 근접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탕온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제 5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급탕기로부터 도출된 급탕관 등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일단 저탕조에 축적된 온수를 욕조 내에 공급한다. 급탕관을 이용한 급탕시에는 급탕 속도가 주로 급탕기의 능력의 제한을 받으나, 미리 욕조의 용량 이상의 온수를 저탕조에 축적함으로써 급탕관을 이용한 경우보다 단시간에 욕조 내에 필요량의 온수를 채우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급탕에 앞서 입욕자를 욕조 내에 수용하고 그 후에 급탕을 행할 때에 입욕자가 욕조 내에서 기다리는 시간이 짧다. 또 탕온 조정 수단에 의하여, 저 탕조 내의 탕온은 설정된 탕온이 되도록 조정되기 때문에 욕조 내에 입욕자나 계절 등의 환경에 따른 입욕에 매우 적합한 온도의 온수를 항상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저탕조의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수단과, 상기 저탕조에 도입되는 온수의 온도를 상기 목표 탕온 이상의 알맞은 온도로 조정하는 전단(前段) 탕온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탕온 조정 수단은 상기 온도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온도와 목표 탕온과의 온도차에 상응하는 양의 온수를 상기 배수 수단에 의하여 폐기하여 그 감소분을 상기 전단 탕온 조정 수단에 의하여 조정된 온수로 보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저탕조 자체에 히터 등의 가열 수단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저탕조에 축적한 온수가 식었을 때에, 효율적으로 즉 폐기하는 온수의 양을 한정 및 억제하면서 신속하게 탕온을 목표 탕온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평상시 언제라도 목표 탕온에 가까운 온도의 온수를 저탕조에서 욕조로 공급할 수 있고, 쾌적한 입욕을 입욕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저탕조 내에 기포를 송급(送給)하는 기포 발생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바람직하다.
저탕조는 일반적으로 용량이 크기 때문에 저장된 온수가 장소에 따라 온도차가 생기기 쉽지만, 기포 발생 수단에 의하여 저탕조내의 온수에 기포를 송급하여 교반함으로써 탕온이 균일화되기 때문에 온도 검지 수단에 의하여 정확한 탕온을 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저탕조내의 탕온을 한층 더 원하는 온도로 유지하기 쉽게 되고, 원치 않는 온도의 온수가 욕조 내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입욕자에게 쾌적한 입욕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설정 수단은 목표 탕온의 수치를 표시하는 온도 표시 수단과, 그 온도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수치를 상하로 조정하는 입력 조작 수단과, 상기 온도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수치를 목표 탕온으로서 확정하기 위한 확인 조작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온도 설정 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목표 탕온은 입욕시에 상당히 중요한 파라미터로서 너무 낮아도 역으로 너무 높아도 입욕자의 컨디션을 손상시키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생명에 유해함을 미치는 일조차 있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입력 조작 수단에 의하여 탕온 수치를 설정했을 뿐만 아니라, 확인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최초에 그 수치가 유효해지기 때문에, 간호인(조작자)이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하여 탕온 설정이 변경되거나 확인이 불충분한 채 탕온 설정을 변경하거나 하는 탕온 설정상의 착오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고 입욕자가 안심하고 입욕을 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간호인도 조작에 즈음하여 불필요한 긴장을 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제 6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를 구비하고, 상기 휠체어의 좌석부 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욕조 안으로 이동시키고 그 후에 그 욕조 내에 온수를 공급하고 입욕을 행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좌석부는 등받이면 및 좌석면이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개구를 갖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 6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의하면,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가 욕조 안으로 이동된 후에 욕조 내에 온수가 공급되면 온수는 등받이면이나 좌석면의 물이 통과하는 개구를 통하여 입욕자의 등이나 엉덩이부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입욕자의 신체 표면의 땀이나 오염 등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입욕자의 신체의 청결함을 높이는데도 유효하다. 또, 입욕자 자신에 있어서도 신체의 일부에 온수가 접촉되는 감촉을 느끼지 않으면 그만큼 입욕시의 편안한 느낌이나 기분이 감소되지만, 제 6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의하면 신체가 안정되게 지지되면서 전신이 온수에 잠기는 감촉을 얻을 수 있기 쉽다. 그 때문에, 충분한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입욕자의 신체에 온수를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접촉시키는데는,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개구를 갖는 재료로서 망사재질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제 7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내측에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수용 가능한 욕조를 갖는 본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휠체어의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욕조 안으로 이동시키고 그 후에 그 욕조 내에 온수를 공급하여 입욕을 행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좌석부는 그 등받이에 다단계의 수위지표(水位指標)를 가지며, 상기 본체 장치에는 상기 수위지표를 목표로 하는 탕량 설정용의 입력 조작 수단과, 그 입력 조작 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탕량의 설정치에 근거하여 욕조 내부로 급탕을 행하는 급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입욕시에 욕조에 담게 되는 온수의 깊이(환언하면, 입욕시 신체상의 어느 위치까지 온수를 담아둘까 하는 깊이)는 입욕자 자신의 기호뿐만 아니라 입욕자의 컨디션 등을 고려하여 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으로, 입욕자는 체격이 각각 다르다. 제 7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의하면, 휠체어의 좌석부의 등받이에 다단계의 수위지표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입욕자가 좌석부에 앉은 상태에서 그 다단계의 수위지표의 어느 위치까지의 수위가 적절한 것인가를 간호인이 판단하고, 그것을 목표로 입력 조작 수단에 의해 탕량을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간호인은 탕량의 설정에 관하여 명확한 판단을 내리기 쉽고, 탕량의 과부족이 발생하기 어려움과 동시에 간호인의 부담의 경감에도 기여한다. 또한, 입욕자는 적절한 탕량 하에서 안심하고 입욕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제 8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는,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향하는 방향이 상방과 전방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욕조를 경사 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욕조 지지 수단과, d) 전기적인 구동원과, e) 그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욕조의 경사를 변경하는 욕조 작동 수단과, f) 상기 욕조 내에 온수를 공급하는 급탕 수단과, g) 입욕시 상기 욕조의 경사 상태를 지정하는 욕조 각도 설정 수단과, h) 입욕시에 상기 욕조에 저장한 탕량을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의 신체상의 위치에 관련시켜 지정하는 탕량 설정 수단과, i) 상기 급탕 수단에 의한 급탕시에 상기 탕량 설정 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탕량과 상기 욕조 각도 설정 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욕조 각도에 근거하여 수위(水位) 위치를 결정하고, 그 수위 위치까지 급탕을 행하는 급탕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탕량 설정 수단은, 예를 들면 상기 제 7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좌석부의 등받이에 설치된 다단계의 수위지표를 이용하여 탕량을 설정하여도 좋다. 이러한 제 8 발명에 관련된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탕량 설정 수단에 있어서 동일한 탕량이 설정된 경우라도 입욕시의 욕조가 경사짐으로써 수위의 위치가 변하게 되지만, 급탕 제어 수단은 그러한 욕조의 경사를 고려하여(환언하면, 보정하여) 수위를 결정하고 그 수위에 이를 때까지 욕조 내에 온수를 공급한다. 따라서, 간호인은 이러한 욕조의 경사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단순하게 탕량을 설정할 수 있어, 간호인의 작업 부하가 경감되며 적정한 양의 온수를 욕조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입욕자에게 쾌적하고 안전한 입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간호용 입욕 장치의 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4는 모두 본 간호용 입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 부분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도 1은 욕조 수납시의 상태, 도 2는 휠체어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욕조 내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그 역으로, 욕조로부터 휠체어에 태울 때의 상태(이하, 본 상태를「세팅 상태」라고 함), 도 3은 세팅 상태로부터 욕조를 기울인 입욕 상태 (이하, 본 상태를 「표준 입욕 상태」라고 함), 도 4는 도 2에 있어 욕조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는 본 간호용 입욕 장치의 일부로서, 전용 휠체어의 외관 정면도(a) 및 외관 측면도(b)이다.
본 간호용 입욕 장치는 크게 피간호인으로서 입욕자가 앉은 자세로 욕조 내에 수용되는 욕조(12)를 구비하는 본체 장치(1)와, 그 욕조(12) 안에 입욕자를 수용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욕조로부터 내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전용 휠체어(2)로 구성된다.
본체 장치(1)에 있어서, 최후방부에 지주(10)가 설치되고 그 지주(10)의 상부에 최대 약 200L 정도 용량의 저탕조(11)를 구비한다. 저탕조(11)의 윗면까지의 높이, 즉 본체 장치(1)의 전체 높이는 일본에서 일반적인 가옥의 천장 높이인 2400㎜ 이하가 되도록 2300㎜ 정도로 제어되고, 이른바 재택 간호를 위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한다. 이 저탕조(11)의 아래쪽에는 전면벽 및 후면벽이 바닥면의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 얕은 바닥형 욕조(12)가 최저면부보다 약간 앞쪽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욕조 롤러(13)와 후면벽에 돌출 설치된 축지지부(14)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축지지부(14)는 모터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고 이에 따라 욕조(12)의 후방부를 내리 누르거나 끌어올린다. 지주(10)의 아래쪽에는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경사안내부(15)가 설치되어 축지지부(14)가 상하 이동하여 욕조(12)의 후방부를 끌어올리거나 내리 누를 때에, 욕조 롤러(13)는 경사안내부(15)를 따라 오르거나 또는 내려가게 되어 있다.
욕조(1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준 입욕 상태에서 상부 방향을 향하는 윗면이 개구되었으나(윗면 개구(12a)) 그 후방측은 입욕자가 머리를 돌출시키는 개구부(12b)를 제외하고는 덮개(16)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다. 덮개(1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욕조(12)의 양 측벽면의 후방 단부에 일단이 축지지된 아암(arm)(18)에 의하여 자유롭게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고, 아암(18)은 가스 스프링(19)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상향의 적절한 힘을 받는다. 덮개(16)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욕조(12)의 윗면 개구(12a)에 밀착한 상태에서는 로크(lock)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폐쇄 상태를 유지하지만 사람의 손으로 그 록이 해제되고 상향 힘을 받게 되면, 가스 스프링 (19)의 가세력에 의하여 천천히 개방되며 최종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 개방된 상태로 된다. 즉, 도 4의 상태에서는 욕조(12)의 윗면 개구(12a)가 전방을 향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방 쪽에서 입욕자(P)를 욕조(12) 안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역으로, 입욕자(P)를 욕조(l2)에서 전방 쪽으로 내보낼 수 있다.
도 6은 본체 장치(1)의 욕조(12)를 경사 이동시키기 위한 축지지부(14) 주변의 주요 부분의 사시도이다. 욕조(12)의 후면벽에 돌출되게 설치된 지지편부(12c)에는 수평한 축체(20)가 회동이 자유롭게 관통하고 있고 그 축체(20)의 양단은 가동체(21)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체(21)는 수직으로 연신(延伸)되어 나사축(23)의 나사홈에 맞물리는 볼나사 너트(22)를 구비하고, 나사축(23)이 모터(24)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면, 볼나사 너트(22)에 내장되는 볼이 나사축(23)의 나사홈에 따라 나선상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가동체(21)는 나사축(23)을 따라 위로 또는 아래로 이동한다. 그 결과, 축체(20) 및 지지편부(12c)를 거쳐 욕조(12)의 후방부가 들어올려지거나 또는 눌려진다.
또한, 도 6 에 있어서 가동체(21)의 한쪽 측면에는 자석(25)이 장착되고 이에 근접한 지주(10)에는 수직 방향으로 4개의 리드 스위치(26)가 설치되어 있고, 가동체(21)가 상하 이동할 때 그 위치에 따라 이들 리드 스위치(26)가 적절하게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그 작용에 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체어(2)는 좌우 한 쌍의 소직경 전륜(213)과, 마찬가지로 좌우 한 쌍의 대직경 후륜(212)을 구비하는 대차부(210)와 그 대차부(210) 위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된 입욕자용 좌석부(220)로 구성된다. 좌석부(2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횡방향 기저부(221)의 후단에 등받이 지주(223)가 설치되고, 그 등받이 지주(223)와 기저부(221) 사이에 팔걸이부(22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횡방향 기저부(221)에는 입욕자가 발바닥을 올리기 위한 발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한 쌍의 횡방향 기저부(221) 사이에는 메시(mesh) 모양의 좌석면(225)이, 또 등받이 지주(223)의 내측에도 메시 모양의 등받이(226)가 적당한 장력 하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석면(225) 및 등받이(226)가 메시 형태이기 때문에, 물이나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하고 좌석면(225) 및 등받이(226)에 접촉하는 입욕자의 신체 표 면에 물이나 공기가 용이하게 닿게 된다. 또한, 등받이 지주(223)에는 간호인이 급탕량을 설정할 때 목표가 되는 3단계의 수위마크(227)가 지표화 되어 있다.
다음으로, 휠체어(2)의 좌석부(220)의 슬라이드 기구 및 욕조(l2) 안에 입욕자를 수용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욕조로부터 퇴거시킬 때의 동작에 관하여, 도 5에 추가하여 도 7∼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휠체어(2)의 대차부(210)의 좌우 한 쌍의 지주부(211) 위에는, 후방이 개방된 가늘고 긴 U자 모양의 안내 레일(214)이 고정되어 있다. 좌석부(220)의 횡방향 기저부(221)에는 안내 레일(214)을 양측에서 끼워 넣는 원판부(228a)와 그 사이에서 안내 레일(214)에 상하가 접촉한 습동부(미끄럼운동부)(228b)를 가진 대차부용 롤러(228)가 전후 방향으로 알맞은 간격으로 4개 마련되어 있고, 더욱이, 그 중 3개의 대차부용 롤러(228)의 내측에는 별도로 욕조용 롤러(229)가 마련되어 있다. 이 대차부용 롤러(228)가 안내 레일(2l4)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좌석부(220)는 대차부(210) 위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지만, 이 때 욕조용 롤러(229)는 기능하지 않는다. 한편 욕조(12)의 내측 벽면에는, 세팅 상태에서 거의 수평이 된 욕조내 레일(12d)이 형성되고 있고, 좌석부(220)가 욕조(12) 내에 있는 상태일 경우 욕조용 롤러(229)가 욕조내 레일(12d) 위를 주행함으로써 좌석부(220)가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 대차부용 롤러(228)는 욕조(12) 안에서 뜬 상태가 되어 기능하지 않는다.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휠체어(2)의 좌석부(220)에 앉아 있는 입욕자(P)를 도 4에서와 같이 덮개(16)가 개방된 욕조(12) 안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 이 한다.
먼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욕조(12)에 대하여 휠체어(2)를 후방으로 근접시키고, 휠체어(2)의 대차부(2l0)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는 갈고리형 대차부측 고정편(215)을 본체 장치(1)의 스토퍼(176)에 걸어서, 대차부(210)를 본체 장치(1)에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간호인이 좌석부(220) 또는 입욕자(P)를 후방측으로, 결국 욕조(12)의 방향으로 밀면 대차부용 롤러(228)가 안내 레일(2l4)을 따라 이동하고, 좌석부(220)는 입욕자(P)를 실은 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동에 수반하여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후미의 대차부용 롤러(228)는 안내 레일(214)을 벗어나지만 그 때 다른 3개의 대차부용 롤러(228)는 안내 레일(214)을 타기 때문에 좌석부(220)가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도 10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최후미로부터 2번째의 대차부용 롤러(228)가 안내 레일(214)을 벗어나기 전에 최후미의 욕조용 롤러(229)는 욕조내 레일(12d)을 탄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더욱더 좌석부(220)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좌석부(220)의 후방측은 욕조용 롤러(229), 전방측은 대차부용 롤러(228)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11의 (a) 참조).
도 11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선두의 대차부용 롤러(228)가 안내 레일(214)을 벗어나기 전에 선두로부터 2번째의 욕조용 롤러(229)는 욕조내 레일(12d) 위를 타게된다. 따라서, 그 뒤 욕조용 롤러(229)가 욕조내 레일(12d) 위를 이동함으로써 좌석부(220)는 입욕자(P)를 실은 상태로 욕조(12) 안에 수용된다. 그리고, 좌석부(220)가 완전히 욕조(12) 내에 수용될 때,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욕조(12)의 전방에는 대차부(210)만이 남아 있다.
또한, 입욕이 종료된 후에 욕조(12) 안으로부터 휠체어(2)의 대차부(2l0) 위로 좌석부(220)를 복귀시킬 때에는 상기 설명과 정반대의 순서를 밟으면 좋다.
그런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휠체어(2)의 대차부(210)를 본체 장치(1)에 고정하기 위해 본체 장치(1)에는 고정용 스토퍼(176)를 설치하지만, 욕조(12)를 수납한 상태에서는 그 스토퍼가 앞쪽으로 돌출한 상태라면 방해가 되기 때문에 수납에 실패하거나 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는 욕조(12)의 경사 이동에 수반하여 스토퍼를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스토퍼 신축 기구(17)를 설치하고 있다. 도 12는 스토퍼 신축 기구(17)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즉, 경사안내부(15)의 양측에는 제 1 부재(171)의 일단(一端)이 축지지되고 그 타단에는 제 2 부재(172)의 일단이 축지지되어 있으며, 그 타단에는 바닥면에 접촉 및 구름운동하는 롤러(173)가 갖춰져 있다.
경사안내부(15)와 제 1 부재(l71)의 연결부 및 제 1 부재(171)와 제 2 부재 (172)의 연결부에는 각각 비틀림 코일 용수철(174, 175)이 설치되고, 외부에서 전혀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2개의 비틀림 코일 용수철(174, 175)의 가세력에 의하여, 롤러(l73)가 경사안내부(15)에 근접하도록 제 1 부재(171), 제 2 부재(172)가 함께 기립되어 있다(도 12의 (a) 참조). 이에 의하여, 이들 부재는 후방으로 후퇴하므로 방해가 되지 않는다. 욕조(12)가 수납 상태에서 세팅 상태에까지 경사질 때, 상술한 것처럼 경사안내부(15)를 따라 욕조용 롤러(13)가 내려온다. 욕조용 롤러(13)에는 욕조(12)의 중량이 걸려 있기 때문에 욕조용 롤러(13)에 의하 여 제 1 부재(171)가 눌려 쓰러지고, 롤러(173)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2 부재 (172)도 쓰러지면서, 이들 두 부재(171, 172)가 전체로서 8자(八) 모양으로 넓어지면서 연신된다. 이에 의하여, 최종적으로는 제 1, 제 2 부재(171, 172)는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일직선으로 연신되고 스토퍼(176)가 전방으로 뻗어나가며 또한 상부를 향하게 된다.
도 13은 본체 장치(1)의 욕조 수납 상태에 있어서의 전체 측면도(a) 및 정면도(b)를 도시한다.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장치(1)의 저탕조(11)의 아래의 경사면(31)에서 정면 방향으로 좌측에는 본체 장치(1)에 있어서의 각종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 패널(30)이 마련되어 있다.
도 14는 조작 패널(30)의 확대도이다. 조작 패널(30)에는 전원 스위치(301)를 시작으로, 세팅 조작키(302), 수납 조작키(303), 저탕조 탕량 확인 표시기(305), 저탕조 탕온 표시기를 포함하는 저탕조 탕온 설정키(306), 탕온 확인키(307), 스타트 키(308), 입욕 시간 표시기를 포함하는 입욕 시간 설정키(309), 욕조 각도 선택 표시기를 포함하는 욕조 각도 설정키(310), (욕조내) 탕량 선택 표시기를 포함하는 탕량 설정키(311), 기포 발생 지시키(313), 입욕제 투입 지시키(316), 1회 사용 지시키(317), 바디샴푸(비누) 투입 지시키(318) 등의 각종 조작키나 표시기가 구비되어 있다.
도 l3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욕조(12)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조작 패널(30)의 우측의 일부가 욕조(12)의 후방측에 가려지기 때문에, 조작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표시가 보이지 않아 조작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조작 패널(30) 중에서 욕조 수납 상태에서도 조작할 필요가 있는 키, 전원 스위치(301), 세팅 조작키(302), 수납 조작키(303), 저탕조 탕량 확인 표시기 (305), 저탕조 탕온 설정키(306) 등이 좌측에 집중된다. 그래서 조작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체 장치(1)의 좌측면에는 온수를 분출하는 샤워헤드(32)가 설치되고, 조작 패널(30)의 하측에는 샤워밸브(33)와 샤워 탕온 조정 노브(knob)(34)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장치에 있어서 욕조로의 급탕 및 배수를 행하기 위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급수·배수용 배관 구성도이고, 도 l6은 주로 급탕 경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7 및 도 18은 배수 경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외부의 급탕기에 연결되는 급탕관(40) 및 수도전(水道栓)에 연결되는 급수관(41)은 2개의 혼합 밸브(서모 믹싱 밸브)(42, 43)에 접속되어, 한편의 제 2 혼합밸브(43)에 의해 적절히 혼합되고 탕온이 조정된 온수가 샤워 배관(44)을 거쳐 샤워헤드(32)로부터 토출된다. 다른 편의 제 1 혼합밸브(42)에 의해 적절히 혼합되고 탕온이 조정된 온수는 전자(電磁) 밸브인 저탕 밸브(45)를 거쳐 저탕조(11) 안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도중에 바이패스 밸브(47)가 설치된 바이패스관(46)을 거쳐 급탕관(48)에 접속되어 있다.
저탕조(11)의 내부 저면에는 급탕관(48)이 연결된 급탕 구멍과 배탕관(49)이 연결된 배탕 구멍이 설치되어, 각각 토크 모터(51, 53)의 동작에 따라 개폐되는 급 탕 밸브(50), 배탕 밸브(52)가 마련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낸 것처럼, 급탕 밸브(50)는 밥공기를 엎은 형상의 밸브체(501)와 토크 모터(51)의 동작에 따라 풀리(503)에 견인되는 체인(502)과 밸브체(501)의 아래쪽을 대기와 연통하는 연통관(504)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토크 모터(51)가 작동하고 풀리(503)가 회전하여 체인(502)을 견인하면 수압에 대항하여 밸브체(501)를 끌어올린다. 이 때 연통관(504)을 통하여 공기가 급탕관(48)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급탕관(48) 내부가 부압(負壓) 상태가 되지 않고 밸브체(501)가 원활히 상승하며, 저탕조(11)로부터 급탕관(48)으로 온수가 유입된다. 한편, 토크 모터(51)의 동작이 정지되고 체인(502)이 느슨해지면, 수압에 의하여 밸브체(501)가 폐쇄되지만 이 때 연통관(504)을 통하여 공기가 급탕관(48)으로부터 빠지도록 밸브체(501)는 급탕 구멍을 확실하게 폐쇄한다. 또한 배탕 밸브(52)의 동작도 마찬가지이다.
급탕관(48)의 도중에는, 바디샴푸나 입욕제를 자동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액체 투입 장치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액체 투입 장치는, 예를 들면 액체인 입욕제의 저장병(55)과, 그 저장병(55)으로부터 액체를 흡입하여 급탕관(48) 안으로 송급하는 펌프(56)로 되어 있다. 펌프(56)로서는, 모터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롤러가 튜브를 눌러 찌부러뜨리고, 튜브를 훑으면서 액체를 롤러의 회전과 같은 방향으로 송출하는 이른바 튜브 펌프가 사용되다. 또한, 본 장치에서는 바디샴푸와 입욕제의 액체 투입 장치를 별개로 설치하고 있지만, 클러치 기구 등을 이용하여, 1개의 펌프가 바디샴푸병과 입욕제병으로부터 전환식으로 액체를 흡인·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렇게, 급탕관(48)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온수는 급탕구(12e)로부터 욕조(12) 안으로 토출된다.
욕조(12)에 저장된 물의 외부로의 배출은, 욕조(12)의 전방 부분 바닥면에 설치된 배수구(12f)를 통하여 행해진다. 이 배수구(12f)는 신축이 자유로운 주름상자 형상의 배수관(59)을 이용하여 외부의 배수홈에 접속되어 있고, 배수구(12f)에 근접하게 설치된 배수 밸브(58)가 열리면, 욕조(12) 안으로부터 배수관(59)으로 물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배수구(12f)는 도 1,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욕조 수납 상태나 표준 입욕 상태에서는 욕조(12)의 최저부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고, 세팅 상태에서만 욕조(12)의 최저부로 된다. 그 때문에, 욕조(12)로부터 완전하게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세팅 상태에서 배수 밸브(58)를 열 필요가 있다.
또, 욕조(12)로의 급탕시나 입욕시에 온수가 욕조(12)로부터 넘쳐흐르게 되면, 본체 장치(1) 주변의 바닥면을 적시게 된다. 그래서, 욕조(12)로부터의 온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8에 나타낸 것처럼, 욕조(12)의 내벽에 2개소의 넘침 출구(溢出口)(12g, l2h)를 설치하는 것 이외에, 덮개에도 1개소의 넘침 출구(16a)가 설치되어 있다. 욕조(12)의 2개소의 넘침 출구(12g, 12h)는 욕조(12)의 측벽의 내부에 형성되고 있는 넘침 유동관(12j)을 거쳐서 배수관(59)에 접속되고 있고, 넘침 출구(12g, 12h)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수위가 상승하면, 넘침 출구 (12g, 12h)에 유입된 온수가 넘침 유동관(12j) 및 배수관(59)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덮개(16)에 설치되어 있는 넘침 출구(16a)는 덮개(16)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넘침 유동관(16b)과, 덮개(16)를 폐쇄할 때에 그 넘침 유동관(16b)과 접속된 욕조(12) 측의 넘침 유동관(12j)을 통해서 배수관(59)으로 보내진다.
덮개(16)의 넘침 유동관(16b)의 출구 개구(16d)와 욕조(12)의 측벽 상부 둘레에 마련되어 있는 입구 개구와의 접속부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 있고, 출구 개구(16d) 둘레의 플랜지(16c)가 입구 개구의 내측에까지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출구 개구(16d)로부터 토출된 온수가 확실하게 넘침 유동관(12j) 안으로 들어가고, 덮개(16)와 욕조(12)의 밀착면을 돌아 유입되어 외부로 침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기포 발생용의 에어 펌프(60)가 설치되어, 그 에어 펌프(6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두 갈래로 분기되어, 한편은 욕조(12) 안으로 기포를 보내는 기포 발생기(61), 다른 편은 저탕조(1l) 안으로 기포를 보내는 기포발생기(62)에 접속되고 있다. 전자는 주로 입욕시에 입욕자의 신체 표면의 세척 효과(또는 가벼운 정도의 마사지 효과)를 위한 것이고, 후자는 저탕조(11) 안에서의 온수의 교반에 의한 탕온의 균일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 제 1 혼합 밸브(42)의 출구, 저탕조(l1)의 내부, 급탕관(48) 및 욕조(12) 내에는, 각각 서미스터로 이루어지는 탕온 검지용의 온도 센서(63, 64, 65, 66)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저탕조(11) 내에는 온수가 만수 수위(滿水水位)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기 위해 저탕조 수위 센서(67)가, 욕조(12) 내에는 욕조(12)에 저장한 물의 수위를 검지하기 위한 욕조내 수위 센서(68)가 설치되어 있다.
도 19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전기 계통의 전체 구성도이다. 제 어의 중심에는 마이크로 컴퓨터(80)가 장착되고, 조작 패널(30)에 설치된 각 조작 키(30a)로부터 키 입력 신호가, 저탕조 수위 센서(67) 및 욕조내 수위 센서(68)로부터 수위 검지 신호가, 혼합밸브 온도 센서(63), 저탕조 온도 센서(64), 급탕관 온도 센서(65) 및 욕조내 온도 센서(66)로부터 온도검지 신호가, 앉은 키 검지 센서(70)로부터 앉은 키 검지 신호가, 욕조 위치 검지 스위치(26)로부터 욕조(12)의 위치에 따른 검지 신호가, 각각 마이크로 컴퓨터(80)에 입력된다. 마이크로 컴퓨터(80)는 주지와 같이 RAM이나 ROM을 내장하고 있고, ROM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동작에 관한 제어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신호를 받으면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부하 구동부(81)를 통해서,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24), 급탕용 토크 모터(51), 배탕용 토크 모터(53), 에어 펌프(60), 저탕조(11)로의 급탕을 제어하는 저탕 밸브(45), 저탕조(11)에 공급하는 온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 1 혼합 밸브(42), 바이패스 밸브(47), 샤워용의 온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 2 혼합 밸브(43), 욕조(12)에 저장한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 밸브(58), 욕조(12)에 공급한 온수에 입욕제를 혼입시키는 입욕제 투입 펌프(56a), 동일하게 욕조(12)에 공급한 온수에 목욕용 액체 비누를 혼입시키는 바디샴푸 투입 펌프(56b) 등을 구동한다.
도 20은 마이크로 컴퓨터(80)와 복수의 욕조 위치 검지 스위치(26)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도 20에 도시되는 4개의 욕조 위치 검지 스위치(26)는, 각각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리드 스위치이다.
또, 본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욕조(12)를 수납 상태와 세팅 상태 사이에 서 경사 이동시킬 때에, 예를 들면 외부에서의 노이즈 등에 의하여 가령 마이크로 컴퓨터(80)가 폭주하는 경우에도, 이상한 동작이 일어나서 간호인이나 주위의 사람의 안전을 위협하는 일이 없도록 고려되고 있다. 도 21은 모터(24)의 구동에 관련된 주요 부분의 회로 구성도이다.
모터(24)는 전자 릴레이(84) 및 극성 전환용 스위치(83)를 통해서 전원(82)에 접속되고 있다. 극성 전환용 스위치(83)는 마이크로 컴퓨터(8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전환되어, 모터(24)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것에 의하여 욕조(12)(가동체(21))의 상승 또는 하강을 전환한다. 전자 릴레이(84)의 코일에는, 세팅 조작키(302) 및 제 3 포토커플러(TR3)를 포함하는 전류 공급 회로와, 수납 조작키(303) 및 제 2 포토커플러(TR2)를 포함하는 전류 공급 회로와, 스위치(85) 및 제 1포토커플러(TR1)를 포함하는 전류 공급 회로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어떠한 전류 공급 회로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면, 전자 릴레이(84)는 온(On)으로 되어 모터(24)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게 되어 있다.
도 22는 도 21에 있는 스위치(85)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본체 장치 전체의 측면도, (b)는 욕조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정면도, (c)는 (b)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다. 나사축(23)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가동체(21)의 한쪽 측면에 위치한 지주(10에는, 도 22의 (c)에 나타낸 것처럼, 단차(段差)(86a)가 설치된 안내벽(86)이 형성되고 있고, 가동체(21)의 측면에 설치된 스위치(85)의 가동편은, 단차(86a)보다도 위에 있을 때에는 안내벽(86)으로부터 힘을 받지 않고, 단차(86a) 보다도 아래에 있을 때에는 안내벽(86)으로부터 억압력을 받는다. 그 때문에, 스위 치(85)는, 가동체(21)가 단차(86a) 부근보다도 위에 위치할 때(도 22의 (a)에서 H1의 범위에 있을 때)에는 개방되고, 가동체(21)가 단차(86a) 부근보다도 아래에 위치할 때(도 22의 (a)에서 H2의 범위에 있을 때)에는 폐쇄된다.
스위치(85)의 개폐는, 마이크로 컴퓨터(80)의 입력 포트(Pi1)의 신호로 검지 가능하다. 스위치(85)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제 1 포토커플러(TR1)의 출력 트랜지스터는 도통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2개의 전류 공급 회로의 동작의 여하에 관계없이, 마이크로 컴퓨터(80)의 출력 포트(Po1)로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전자 릴레이(84)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컴퓨터(80)의 자발적인 제어에 의하여 모터(24)의 동작, 즉 욕조(12)의 경사 이동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가동체(21)가 H1의 범위에 있고 스위치(85)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제 1 포토커플러(TR1)의 출력 트랜지스터는 차단되고 있기 때문에, 이 전류 공급 회로는 전자 릴레이(84)의 개폐 제어에 기여할 수 없다. 한편, 다른 2개의 전류 공급 회로에 포함된 포토커플러(TR2, TR3)의 출력 트랜지스터는 각각, 수납 조작키(303), 세팅 조작키(302)가 눌러지고 있을 때에만 도통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8O)의 출력 포트(Po2, Po3)의 출력이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위에 있다고 하더라도, 수납 조작키(303) 또는 세팅 조작키(302)가 눌려지지 않는 한 전자 릴레이(84)는 온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동체(21)가 H1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욕조(12)를 경사 이동시키는데는, 사람의 손에 의한 수납 조작키(303) 또는 세팅 조작키(302)의 압박 조작이 반드시 필요하고, 마이크로 컴퓨터(80)의 이상 등에 의한 이상 동작이 발생한 경우에도 안전성을 손상시키는 것이 경감된다.
수납 조작키(303) 또는 세팅 조작키(302)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모터(24)가 작동되기 때문에, 욕조(12)의 경사 이동 작업의 도중에 간호인이 위험을 느끼고 키로부터 손을 떼면, 곧바로 욕조(12)의 경사 이동은 정지한다. 따라서, 그 점에서도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가동체(21)가 H2의 범위에 있을 때, 욕조(12)의 경사 이동은 마이크로 컴퓨터(80)의 제어로 행해지고, 통상, 욕조(12)의 최대 경사 이동 위치는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표준 입욕 상태, 즉, 욕조(12)의 개구부(12b)의 상부 둘레가 거의 수평이 된 위치이지만, 마이크로 컴퓨터(80)의 폭주나 볼나사 너트 등의 기계 부품의 파손이 생긴 경우에도 욕조(12)의 상기 위치에서 더욱 크게 기울어지는 일이 없도록, 나사 축(23)의 하단부에는 가동체(21)에 접촉되게, 그 이상의 하강을 금지하는 기계적인 스토퍼(27)를 설치하고 있다.
또, 본 간호용 입욕 장치에서는, 욕조(12) 안에 적절한 양의 온수를 모아 두고, 그 안에 입욕자가 잠기도록 하여 입욕을 행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입욕자의 견갑골(어깨뼈) 정도까지 온수에 잠기는 것을 의도하는 경우에 입욕자의 체격, 특히 앉은 키에 따라 필요한 탕량이 다르다. 이러한 입욕자의 체격의 차이에 대응하기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탕량 설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앉은 키가 극단적으로 낮거나 한 사람이 욕조(12) 내에 수용된 경우에는, 얼굴이 온수에 잠길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이 입욕 장치에서는 사용 대상자의 신장을 예를 들면 140cm정도 이상으로 한정하고 있지만, 앉은 키의 차이 등에 의한 체격의 개인차에 대응하기 위해, 그리고 한층 더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앉은 키 검지 센 서(70)를 설치하고 있다.
도 23은 앉은 키 검지 센서(70)의 구성을 나타내는 허리 부분의 개략도이고,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이다. 욕조(12)에 수용된 입욕자(P 또는 P')의 머리부분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는 적외선 발광부(70a)와 적외선 수광부(70b)가 배치되고 있다. 그 발광부(70a) 및 수광부(70b)의 설치 높이는,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표준 입욕 상태에서, 입욕자로서 적격의 체격을 갖는 사람(예를 들면, 도 23의 P')이라면, 그 머리부분에 의하여 조사 적외광이 차단될 수 있는 높이에 설정된다. 따라서, 입욕자로서 부적격의 체격을 갖는 사람(예를 들면, 도 23의 P)이 입욕하려고 하는 경우, 그 머리부분은 조사 적외광을 차단하지 않고, 수광부(70b)는 적외광을 수광하기 때문에, 이 앉은 키 검지 센서(70)의 검지 신호에 의하여 부적격의 입욕자인 것을 자동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간호용 입욕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간호인이 본 간호용 입욕 장치를 사용하고 입욕자를 입욕시킬 때의 일련의 순서에 관하여, 도 24∼도 27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초기 상태로서 본체 장치(1)의 욕조(12)는,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소정의 수납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간호인은 본체 장치(1)의 조작 패널(30)의 전원 스위치(301)를 누르고 전원을 투입한다(단계 S1). 그러면, 마이크로 컴퓨터(80)를 시작으로 하여 전기 회로에 전력이 공급되어, 마이크로 컴퓨터(80)에서는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이 시동하 고 초기 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세팅 조작키(302)의 입력이 가능해지고, 간호인이 그 조작키(302)를 누르면,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부하 구동부(81)를 통해서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24)를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체(21)는 하강하고 욕조(12)는 윗면 개구(12a)가 위를 향하게 되도록 경사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욕조(12)가 소정의 세팅 위치에 도달하면 모터(24)가 정지하고, 세팅이 완료된다(단계 S2).
다음으로, 간호인은 저탕조 탕온 설정키(306)로 알맞은 탕온을 설정한다(단계 S3). 이 설정을 입력받아, 제 1 혼합 밸브(42)에 의하여 고온수와 상온수의 혼합비율이 조정되면서, 저탕 밸브(45)가 개방되는 것에 의하여 저탕조(11)로의 저탕이 시작된다(단계 S4). 그리고, 저탕조 수위 센서(67)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하여 만수가 검지되면, 저탕 밸브(45)가 폐쇄되고 저탕조(11)로의 저탕이 정지된다(단계 S5, S6). 저탕이 종료되면 각종 조작키의 입력이 가능해지고(단계 S7), 간호인은 입욕 시간 설정키(309), 욕조 각도 설정키(310), 탕량 설정키(311)에 의하여, 반신욕 입욕 시간, 전신욕 입욕 시간, 전신욕 욕조 각도, 전신욕 탕량을 각각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 이외에, 필요에 따라, 1회 사용 지시키(317), 입욕제 투입 지시키(316), 바디샴푸 투입 지시키(318), 기포 발생 지시키(313)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1회 사용 운전, 입욕제의 자동 투입, 바디샴푸의 자동 투입, 기포 발생 등의 지시를 행한다(단계 S8).
이러한 모든 설정을 행한 후에, 간호인은 입욕자(P)를 욕조(12) 안에 수용하고, 덮개(16)를 닫는다(단계 S9). 즉, 예를 들면 베드에 가로로 누워있는 입욕자(P)를 휠체어(2)의 좌석부(220)에 앉게 하고, 그 휠체어(2)를 욕조(12)의 전방으로부터 욕조(12)에 접근하고, 대차부(210)를 본체 장치(1)에 대하여 임시 고정한다. 그 상태에서 휠체어(2)의 좌석부(220)를 입욕자(P)를 실은 채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욕조(12) 안으로 이동시킨다. 입욕자(P)가 완전하게 욕조(12) 안에 수용되고 나면, 덮개(16)를 내리고 로크를 걸면, 입욕자(P)가 개구부(12b)로부터 머리부분을 돌출시킨 상태로 욕조(12)는 덮개(16)로 밀폐된다.
여기까지가 입욕의 준비 작업으로 간호인이 관여하는 작업이 많지만, 이 이후는 기본적으로는 본 간호용 입욕 장치의 자동 운전에 의한 입욕에 관한 동작이 수행된다. 이 운전을 시작하기 위해, 간호인은 스타트 키(308)를 누른다(단계 S10). 이 키 조작을 입력받고서, 마이크로 컴퓨터(80)에서는, 먼저 1회 사용 운전의 지시의 유무를 체크한다(단계 S11). 1회 사용 운전은, 기본적으로는 해당 입욕자의 입욕 종료후에 다른 사람이 입욕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저탕조(11)의 온수를 다 사용하고 끝내는 것이다.
이러한 1회 사용 운전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뒤이어 전신욕 입욕 시간이 0분인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 S12). 1회 사용 운전이면서 전신욕 입욕 시간이 제로, 즉 반신욕만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 직후의 욕조(12)로의 급탕 후에 저탕조(11)로의 온수의 보충을 행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저탕조(11)로의 저탕을 금지한다(단계 S13). 한편, 1회 사용 운전이 아니거나 또는, 1회 사용 운전이라도 전신욕 입욕 시간이 제로가 아닌 경우에는, 직접 단계 S14로 진행되어, 급탕용 토크 모터(51)를 구동하고 급탕 밸브(50)를 개방하는 것에 의하여, 저탕조(11)로부터 욕조 (12)로의 급탕을 시작한다. 상기 단계 S13에 의한 저탕 금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욕조(l2)로의 급탕에 의하여 저탕조(11) 내의 수위가 내려가면, 그 분량만큼 새로운 온수가 저탕조(1l)로 보급되지만, 이 점은 나중에 설명한다.
급탕 시작 후, 입욕제 투입의 지시의 유무를 판정하고(단계 Sl5), 입욕제 투입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입욕제 투입 펌프(56a)를 작동시킨다(단계 S16). 또, 바디샴푸 투입의 지시의 유무를 판정하고(단계 S17), 바디샴푸 투입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바디샴푸 투입 펌프(56b)를 작동시킨다(단계 S18). 입욕제 투입 펌프(56a)나 바디샴푸 투입 펌프(56b)가 작동하면, 미리 용기에 수용되어 있던 입욕제나 바디샴푸가 용기 내부로부터 흡입되어, 급탕관(48)의 도중에 혼입된다. 그 때문에, 욕조(12) 내에 온수가 토출되는 시점에서 온수에는 입욕제나 바디샴푸가 혼입되어 있고, 그러한 온수가 욕조(12) 내에 저장되어 서서히 수위가 상승한다.
마이크로 컴퓨터(80)는 욕조내 수위 센서(68)에 의해 욕조(12) 내의 수위를 감시하고, 그 수위가 미리 정해진 반신욕 수위에 도달했다고 판정되면(단계 S19에서 Yes), 급탕 밸브(50)를 닫는 것에 의하여 급탕을 정지한다(단계 S20). 이 때의 수위는, 욕조(12) 안에 수용되고 있는 입욕자(P)의 허리 부분으로부터 하부가 잠기는 정도의 수위이다. 그리고, 그 후에 시작시에 간호인에 의하여 설정된 반신욕 입욕 시간의 감산이 시작되어, 그 잔여 시간이 제로가 될 때까지 감산이 계속 진행된다(단계 S21, S22). 반신욕 입욕 시간이 제로가 되면, 배수 밸브(58)를 열고 욕조(12) 내의 온수를 배출한다(단계 S23). 반신욕 입욕시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욕조(12)는 세팅 상태에 위치하고 있고, 배수구(12f)는 욕조(12) 내의 최저부에 있기 때문에, 욕조(12) 내의 온수는 전부가 배출된다.
이어서, 마이크로 컴퓨터(80)는 부하 구동부(81)를 통해서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24)를 다시 한번 구동하여, 욕조(12)를 한층 더 경사 이동시킨다(단계 S24). 그리고, 간호인에 의하여 시작시에 설정된 욕조 각도(엄밀하게는, 4 단계의 경사에 대응되는 욕조 각도)에 도달했다면(단계 S25에서 Yes), 모터(24)를 정지하는 것에 의하여 욕조(12)의 경사 이동을 정지시킨다(단계 S26). 정지 후, 욕조(l2)의 경사가 최대인지 아닌지(본 실시예에서는 경사가 최대인 것은 도 3에 나타낸 표준 입욕 상태)를 판정하고(단계 S27), 경사가 최대인 경우에는, 앉은 키 검지 센서(70)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입욕자(P)의 체격, 구체적으로는 앉은 키가 본 장치에 적격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8).
본 장치에서는, 자동적으로 급탕을 행하기 때문에, 욕조(12)에 저장된 온수가 최저 수위에 있더라도, 입욕자의 앉은 키가 상당히 낮고 또한 욕조(12)를 최대로 기울인 경우에는, 얼굴의 일부가 온수에 잠길 우려가 있다. 그러면, 단계 S28에서 입욕자의 체격의 적격성을 체크하고, 부적격으로 간주되는 경우에는, 버저(30c)의 울림 등에 의한 에러 통보를 행하고(단계 S29), 간호인에게 그 취지를 알린다. 이것에 의해, 안전성이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입욕자(P)의 체격이 적격인 때에는, 이어서, 1회 사용 운전의 지시의 유무를 체크한다(단계 S30). 1회 사용 운전을 지시받은 경우에는, 이 직후의 욕조(12)로의 급탕 후에 저탕조(11)로의 온수의 보충을 행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저탕조(11)로의 저탕을 금지한다(단계 S31). 한편, 1회 사용 운전이 아닌 경우에는, 직접 단계 S32로 진행하고, 급탕용 토크 모터(51)를 구동하여 급탕 밸브(50)를 개방하는 것에 의하여, 저탕조(11)로부터 욕조(12)로의 급탕을 시작한다. 상기 단계 S31에 의한 저탕 금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욕조(12)로의 급탕에 의하여 저탕조(11) 내의 수위가 내려가면, 그 분량만큼 새로운 온수가 저탕조(11)로 보급된다.
계속해서, 상기 단계 S15∼S18과 동일한 단계 S33∼S36의 처리에 의해, 입욕제나 바디샴푸의 투입이 지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을 급탕 하는 온수에 혼입시킨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80)는 욕조내 수위 센서(38)에 의하여 욕조(12) 내의 수위를 감시하고, 그 수위가 전신욕 수위에 도달하였다고 판정되면(단계 S37에서 Yes), 급탕 밸브(50)를 닫고 급탕을 정지한다(단계 S38). 그리고, 간호인에 의하여 시작시에 설정된 전신욕 입욕 시간의 감산이 시작되어, 그 잔여 시간이 제로가 될 때까지 감산이 속행된다(단계 S39, S40). 전신욕 입욕 시간이 제로가 되면, 배수 밸브(58)를 열고 욕조(12) 내의 온수를 배출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24)를 구동하여 욕조(12)를 세팅 위치로 되돌린다(단계 S41).
욕조(12)가 세팅 위치로 되돌아오면(단계 S42에서 Yes), 모터(24)를 정지시키고 욕조(12)의 경사 이동을 정지시킨다(단계 S43). 상기와 같이 욕조(12)가 전신욕 입욕 상태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욕조(12)의 배수구(12f)는 반드시 최저부에 있다고 한정하지는 않지만, 욕조(12)가 세팅 위치로 돌아온 때에는 반드시 최저의 위치로 된다. 그 때문에, 욕조(12)가 세팅 위치로 돌아오고 나서 잠시 경과 후에는, 욕조(12) 내의 온수는 전부가 배출된다. 그 후에, 버저(30c)의 울림 등에 의해서, 간호인에게 입욕 종료 통보를 행한다(단계 S44). 이것에 의해 간호인이 떠난 위치에 거하여도, 입욕 종료시에 곧바로 그 취지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입욕자(P)가 입욕 종료후의 상태로 방치되는 일이 없다.
그 후, 욕조(12) 안으로의 입욕자(P)의 수용 작업시와 반대의 순서로, 간호인은 덮개(16)를 열고, 입욕자(P)를 태운 좌석부(220)를 욕조(12) 안으로부터 휠체어(2)의 대차부(210) 위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리고, 휠체어(2)의 대차부(210)의 임시 고정을 해제하고, 휠체어(2)를 본체 장치(1)로부터 이탈시킨다(단계 S45). 계속하여, 다른 입욕자의 입욕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S8(설정 조건을 변경하는 경우) 또는 단계 S9로 돌아오면 좋지만, 입욕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호인은 욕조(12)를 수납 위치까지 되돌리기 위해 수납 조작키(303)를 누른다. 상술한 것처럼 수납 조작키(303)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24)는 구동되어, 축지지부(14)에 의하여 욕조(12)의 후방 부분이 끌어올려지고 욕조(l2)는 수납 위치로 돌아온다(단계 S46). 수납 위치에 도달하면 모터(24)는 정지하고, 수납 조작키(303)를 눌러도 그 이상 동작하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간호인은 전원 스위치(301)를 누르고 본체 장치(1)의 전원을 차단하고(단계 S47), 입욕에 관계된 모든 작업을 종료한다.
본 간호용 입욕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다음에, 특징적인 제어 동작에 관하여 각각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욕조의 세팅 및 수납시의 제어〕
도 28은, 본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욕조 수납 위치에서 세팅 위치, 또 는 그 역으로 세팅 위치에서 격납 위치까지 욕조를 경사 이동시킬 때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동작에 관해서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구성이 관련된다.
먼저, 마이크로 컴퓨터(80)는 입력 포트(Pi1)의 입력 신호의 레벨에 의하여, 스위치(85)의 온·오프, 즉 그 시점에서 가동체(21)가 마이크로 컴퓨터 비제어(非制御) 범위(H1)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51). 마이크로 컴퓨터 비제어 범위(H1)가 아닌 경우에는 마이크로 컴퓨터 비제어 범위(H2)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제어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그대로 종료하고 다른 처리로 돌아간다. 마이크로 컴퓨터 비제어 범위(H1)에 있는 경우에는, 입력 포트(Pi3)의 입력 신호의 레벨에 의하여, 세팅 조작키(302)가 눌러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52). 세팅 조작키(302)가 눌려지고 있는 경우에는, 또한 입력 포트(Pi2)의 입력 신호의 레벨에 의하여, 수납 조작키(303)가 눌러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53). 여기에서, 수납 조작키(303)가 눌러지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세팅 명령과 수납 명령 양쪽이 동시에 송출되는 것이 되어, 어느 동작이 올바른 것인지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버저(30c)의 울림 등에 의한 에러 통보를 행한다(단계 S54).
단계 S53에서 수납 조작키(303)가 눌러지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욕조(12)가 세팅 위치에 도달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단계 S55), 세팅 위치에 도달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24)를 정운전(正運轉)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축지지부(14)를 하강시키어, 욕조(12)의 경사를 크게 한다(단계 S56). 이에 대해, 단계 S55에서 세팅 위치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욕조(12)를 경사 이동시킬 필요는 없기 때문에, 모터(24)를 정지시킨 채(단계 S59)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단계 S52에서 세팅 조작키(302)가 눌러지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입력 포트(Pi2)의 입력 신호의 레벨에 의하여, 수납 조작키(303)가 눌러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단계 S57), 수납 조작키(303)가 눌러지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수납 조작키(303)가 눌러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욕조(12)가 수납 위치에 도달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단계 S58), 수납 위치에 도달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24)를 역운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축지지부(14)를 상승시켜, 욕조(12)의 경사를 크게 한다, 즉 기립시킨다(단계 S60). 단계 S58에서 수납 위치에 도달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욕조(12)를 경사 이동시킬 필요는 없기 때문에, 모터(24)를 정지시킨 채(단계 S59)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처리를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에 의해, 세팅 조작키(302) 또는 수납 조작키(303)가 눌러지고 있는 동안에만 모터(24)는 정운전 방향 또는 역운전 방향으로 구동되어, 욕조(12)가 경사 이동하고, 조작키(302 또는 303)를 누르는 것을 중지하면, 그 경사 이동은 정지한다.
〔욕조 각도 가변시의 제어〕
도 29는, 상기 단계 S14∼S23의 처리에 의하여 달성된 반신욕 입욕이 종료되어, 그 후, 전신욕 입욕으로 이행하기 위해 욕조(12)의 각도를 변화시킬 때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먼저, 마이크로 컴퓨터(80)는 욕조 각도 설정키(310)로 설정된 4단계의 욕조 각도의 선택 정보를 읽어들이고(단계 S61), 그에 따라 정지 위치에 대응하는 욕조 위치 검지 스위치(SWa)를 결정한다(단계 S62).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10)에 높이 방향으로 이간되게 설치된 4개의 욕조 위치 검지 스위치(26)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그 시점에서 그 스위치(SWa)가 온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63). 그 스위치(SWa)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원하는 위치에 가동체(21)가 위치하고 있고, 욕조(12)의 경사는 선택된 상태가 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63에서 스위치(SWa)가 오프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면, 욕조 경사 이동용 모터(24)를 정운전 방향으로 구동하고(단계 S64), 욕조(12)를 더욱 기울이도록 이동시킨다. 그리고, 그 구동 시작으로부터 소정의 허용 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단계 S65), 경과하지 않았으면, 스위치(SWa)가 온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66). 스위치(SWa)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욕조(12)가 원하는 각도가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면 모터(24)를 정지하고(단계 S67)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66에서 스위치(SWa)가 오프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4개의 욕조 위치 검지 스위치(26) 중에서 스위치(SWa)보다도 위에 위치한 다른 0개 이상의 스위치(도 29 에서는 SWa+로 나타냄)가 온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68). 스위치(SWa+)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욕조(12)의 경사가 부족하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24)를 정운전 방향으로 구동하여(단계 S69), 단계 S65로 돌아온다.
한편, 단계 S68에서 스위치(SWa+)가 온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이번에는, 스위치(SWa)보다도 아래에 위치한 다른 1개 이상의 스위치(도 29에서는 SWa-로 나타냄)가 온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70). 스위치(SWa-)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욕조(12)는 경사를 지나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욕조(12)를 기립시키도록 모터(24)를 역운전 방향으로 구동하고(단계 S71) 단계 S65로 돌아온다.
상기 단계 S65에서 허용 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소정의 허용 시간 내에 욕조(12)가 원하는 각도가 되지 않았다는 것이기 때문에, 모터(24)의 동작 불량, 욕조(12)의 경사 이동 동작에 대한 장애물의 존재 등, 어떠한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면, 모터(24)를 정지하고, 버저(30c)의 울림 등에 의한 에러 통보를 행한다(단계 S72).
이상의 제어에 의하여, 전신욕 입욕시에 욕조(12)를 소정의 각도로 정확하게 제어하고, 또한 제어 불능의 경우에는 그 취지를 간호인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용성을 고려하여 전신욕 입욕시의 욕조(12)의 각도를 4단계로 설정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보다 세밀하게 각도 설정을 할 수 있게 해도 좋다. 또, 욕조 위치 검지 스위치로서 자기적인 리드 스위치 대신에 광학적인 스위치를 이용하거나, 그 밖의 다양한 위치 검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탕온 키 입력 설정시의 제어〕
도 30은, 상기 단계 S3에 있어 저탕조의 탕온을 키 조작에 의하여 설정할 때의 상세한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간호인이 저탕조 탕온 설정 키(306)를 조작하면(단계 S81에서 Yes), 마이크로 컴퓨터(80)는 탕온 설정의 대기 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82). 대기 중이 아닌 경우에는 탕온 설정을 변경할 수 없는 기간이기 때문에, 키 조작을 입력받지 않고 종료한다. 대기 중인 경우에는, 저탕조 탕온 설정키(306)의 조작에 따라 탕온의 표시를 변경한다(단계 S83). 이 때에는 스타트 키의 입력은 금지 상태로 하고 있다.
탕온 설정키(306)의 조작을 입력받은 후, 간호인에 의하여 탕온 확인키(307)가 눌러진 것이 인식되면(단계 S84에서 Yes), 그 조작을 입력받아 탕온 설정을 완료하고, 즉 그 시점에서의 설정 탕온을 등록하고(단계 S85), 스타트 키(308)의 입력 금지를 해제한다(단계 S86). 탕온 확인키(307)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타트 키(308)의 접수 금지가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간호인은 반드시 탕온의 확인이 요구되게 된다. 그것에 의하여, 잘못된 탕온 설정이나 의도하지 않은 고온 또는 저온의 탕온 설정 상태로 급탕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입욕자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보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저탕조의 저탕 및 탕온 제어〕
도 31은, 상기 단계 S4∼S6에 의한 초기의 저탕조(11)로의 저탕시, 및, 욕조(12)에 급탕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저탕조(11) 내의 수위가 저하될 때에 온수를 보충하기 위해 행해지는 저탕조(11)로의 저탕시의, 탕온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처리가 시작되면, 먼저, 마이크로 컴퓨터(80)는 저탕조 수위 센서(67)인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91). 그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저탕조(11) 내의 수위가 만수 수위에 이르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혼합 밸브(42)로 탕온을 제어하면서 저탕 밸브(45)를 개방하고 저탕조(11) 안으로 저탕을 시작한다(단계 S92). 구체적으로는, 상기 설정 탕온이 되도록, 급탕관(40)을 통해서 공급되는 고온수와 급수관(41)을 통해서 공급되는 상온수를 제 1 혼합 밸브(42)에서 알맞은 비율로 혼합하여, 그 혼합에 의하여 얻어진 온수를 저탕 밸브(45)를 통해서 저탕조(11)로 도입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된 것을 검지하면(단계 S93에서 Yes), 저탕 밸브(45)를 폐쇄하고 저탕을 정지한다(단계 S94).
이어서, 그 시점에서 에어 펌프(60)에 의해서 기포를 발생 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단계 S95), 기포 발생중이 아닌 경우에는 에어 펌프(60)를 작동시켜서 저탕조(11) 안에 기포를 송급한다(단계 S96). 이것에 의해서 저탕조(11) 내에서 온수가 교반되기 때문에, 저탕조(11) 내에서의 탕온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기포 발생 중인 경우에는 에어 펌프(60)를 정지하고 기포 발생을 정지시킨다(단계 S97).
그 후, 저탕조 온도 센서(64)로부터의 온도 검지 신호를 판독하여, 그 저탕조 탕온(T1)과 설정 탕온(T2)을 비교한다. 그리고, 저탕조 탕온(T1)과 설정 탕온(T2)과의 온도차 △T(=|T1-T2|)가 7℃ 이상인 경우에는(단계 S98에서 Yes), 저탕조(11) 내의 만수 수량의 약 90%의 온수를 배출하도록, 배탕용 토크 모터(53)를 구동하고 소정 시간만 배탕 밸브(52)를 개방한다(단계 S99). 또, 상기 온도차 △T가 7℃ 미만으로 4℃ 이상인 경우에는(단계 S100에서 Yes), 만수 수량의 약 50%의 온수를 배출하도록 소정 시간만 배탕 밸브(52)를 개방한다(단계 S101). 또, 상기 온도차 △T가 4℃ 미만으로 2℃ 이상인 경우에는(단계 S102에서 Yes), 만수 수량의 약 20%의 온수를 배출하도록 소정 시간만 배탕 밸브(52)를 개방한다(단계 S103). 그리고, 상기 온도차 △T가 2℃ 미만인 경우에는, 그대로 저탕조(11) 내의 온수를 유지한다.
상기 단계 S99, S101 또는 S103과 같이 저탕조(11) 내의 온수의 일부를 배출한 경우에는 저탕조(11) 내의 수위는 내려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처리가 반복되면, 새롭게 온도 조정된 온수가 저탕 밸브(45)를 거쳐서 저탕조(11) 안으로 도입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저탕조(11) 내의 온수가 사용되고 나서 시간이 지나고 저탕조(l1) 내의 온수의 온도가 어느 정도 내려가면, 식은 온수의 일부는 폐기되고, 새롭게 설정 탕온으로 조정된 온수가 보급되게 된다. 따라서, 저탕조(11) 내에 거의 평상시 만수 수량의 온수를 저장하면서, 그 탕온을 적당한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저탕조(11) 내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높이기(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면, 식은 온수를 폐기할 필요는 없어진다.
〔욕조로의 급탕의 탕량 제어〕
본 장치에서는, 간호인이 탕량 설정키(311)로 3단계의 수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입욕시에 욕조(12)에 저장되는 탕량이 정해지게 되어 있다. 이 탕량 설정키(311)의 표시의 3단계는 좌석부(220)의 등받이 지주(223)에 지표(指標)되어 있는 수위마크(227)에 대응된다. 그렇지만, 동일한 수위마크(227)라 하더라도, 전신욕의 입욕시의 욕조 각도에 의하여 그 높이는 변하기 때문에, 욕조내 수위 센서(68)로 검지된 수위와 비교한 수위 레벨을 욕조 각도에 따라 조정하지 않으면, 간호인이 의도하는 수위까지 온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33의 (a)에 나타낸 세팅 상태에 있을 때(여기에서는 욕조 각도가 50°)의 수위마크(227)의 높이와, 도 33의 (b)에 나타낸 표준 입욕 상태에 있을 때(여기에서는, 욕조 각도가 20°)의 수위마크(227)의 높이는 크게 다르고, 전자(前者)에서는 최하단의 수위 마크의 높이가 후자에서는 최상단의 수위마크의 높이에 상당한다.
도 32는 이러한 욕조 각도에 따른 수위 조정을 가한 급탕 탕량 제어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마이크로 컴퓨터(80)는 간호인에 의하여 미리 선택된 욕조 각도의 설정치(여기에서는, 20°,30°,40°및 50°의 4종류)를 판독한다(단계 S111). 다음으로 동일하게 간호인에 의하여 미리 선택된 탕량 레벨(여기에서는, 상기 수위마크(227)에 대응하는 3단계로서 L1, L2, L3라고 함)을 판독한다(단계 S112). 그리고, 판독된 탕량 레벨이 가장 낮은 L3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단계 S113), L3가 아닌 경우, 즉 L1 또는 L2인 경우에는, 각각 탕량 레벨을 1단계씩 내려서, Ll→L2, L2→L3로 변경한다(단계 S114).
한편, 탕량 레벨이 L3인 경우에는, 욕조 각도가 20°또는 30°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단계 S115), 욕조 각도가 20°또는 30°로 있는 경우, 즉, 표준 입욕 상 태나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인 경우에는, 탕량 레벨을 L1으로 설정한다(단계 S116). 또, 욕조 각도가 20°또는 30°가 아닌 경우에는, 다음에 욕조 각도가 40°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단계 S117), 욕조 각도가 40°로 있는 경우에는, 즉, 보다 세팅 상태(반신욕 상태)에 가까운 상태인 경우에는, 수위마크(227)의 위치가 욕조 각도 20°또는 30°로 있을 때보다도 높아지기 때문에, 탕량 레벨을 한 단계 낮은 L2에 설정한다(단계 S118). 욕조 각도가 40°가 아닌 경우에는, 욕조 각도는 50°, 즉 세팅 상태이고 수위마크(227)의 위치는 상대적으로 가장 높아지기 때문에, 탕량 레벨을 L3로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욕조 각도에 따라 탕량 레벨을 조정한 후, 욕조(12)의 경사에 관계없이, L1∼L3의 탕량 레벨에 상당하는 3단계의 수위를 설정하여, 급탕시에 그 수위에 도달할 때에 급탕을 정지한다(단계 S119∼S121). 이것에 의해, 욕조(12)의 경사가 큰(상기 욕조 각도가 작은)경우에도, 욕조(12) 내의 탕량이 비정상적으로 적어지는 일이 없고, 전신욕에 매우 적합한 탕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이고,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이나 수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호용 입욕 장치에 의하면, 간호인의 작업 부하이 크게 경감되고고 간호인의 체격이 비교적 작거나 힘이 약한 경우에도 무리 없이 조작이나 취급할 수가 있고, 작업성이 양호하며, 설치면적이 작아도 괜찮고 공 간 절약성이 우수하며, 피간호인, 즉 입욕자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피간호인 자신이 충분한 만족감을 얻을 수 있고 높은 입욕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향하는 방향이 상방과 전방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상기 욕조를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욕조 지지 수단과,
    d) 전기적인 구동원과,
    e)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욕조의 경사를 변경시키는 욕조 작동 수단을 구비하고,
    비사용시에는, 상기 구동원, 욕조 작동 수단 및 욕조 지지 수단에 의하여, 욕조의 전후방향의 점유면적이 감소하도록 상기 욕조의 후방측이 끌어올려져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거의 똑바로 전방을 향하는 상태까지 상기 욕조를 기립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2.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향하는 방향이 상방과 전방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상기 욕조를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욕조 지지 수단과,
    d) 상기 욕조 지지 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욕조 안으로 급탕을 행하기 위해 온수를 저장해 두는 저탕조를 구비하고,
    비사용시에는, 상기 욕조 지지 수단에 의하여, 상기 저탕조의 아래쪽에서 욕조의 전후방향의 점유면적이 감소하도록 상기 욕조의 후방측이 끌어올려져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거의 똑바로 전방을 향하는 상태까지 상기 욕조를 기립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비사용시에 욕조가 기립 지지된 상태에서 욕조의 후방에 위치한 부분에 일부가 가려지도록 조작 패널을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 패널에 있어서 욕조로 가려지지 않는 범위에, 욕조가 기립 상태에서 조작할 필요가 있는 조작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입욕자를 욕조 내에 수용 또는 그 역으로 욕조 안으로부터 퇴거시킬 때에는 상기 구동원, 욕조 작동 수단 및 욕조 지지 수단에 의하여,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비스듬히 전방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유지시키고, 그 후의 입욕시에는 미리 지시받은 욕조의 경사가 되도록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의 일부 또는 욕조의 경사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가동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동체에 접촉하여 그 경사 이동을 기계적으로 제지하는 스토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f) 상기 욕조 내에 온수를 공급하는 급탕 수단과,
    g) 상기 욕조 내에 저장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수단과,
    h) 조작자가 운전의 시작의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 수단과,
    i)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비스듬히 전방 상부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욕조 내에 입욕자가 수용된 후, 상기 조작 수단을 통해서 운전 시작의 지시를 받으면, 적어도, 상기 욕조를 미리 지시받은 경사가 되도록 변경하는 경사 변경 동작, 상기 급탕 수단에 의한 급탕 동작, 소정 시간 욕조에 온수를 저장하여 입욕자에 입욕 상태를 제공하는 입욕 동작,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욕조에서 온수를 배출하는 배수 동작, 및, 입욕자가 욕조로부터 나올 수 있도록 상기 입욕자를 욕조에 수용할 때와 동일한 상태로 욕조의 경사를 되돌리는 욕조 복귀 동작을 행하기 위해 상기 구동원, 욕조 작동 수단, 급탕 수단, 및 배수 수단을 각각 제어하는 운전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7. 삭제
  8.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상기 욕조 내에 급탕을 행하기 위해 온수를 미리 저장해 두기 위한 저탕조를 구비한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a) 목표 탕온을 설정하기 위한 온도 설정 수단과,
    b) 상기 저탕조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검지 수단과,
    c) 상기 온도 설정 수단에 의하여 목표 탕온이나 설정될 때에, 상기 저탕조내의 온수의 온도를 검지해 그 온수의 온도가 상기 목표 탕온에 근접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탕온 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저탕조의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수단과, 상기 저탕조에 도입되는 온수의 온도를 상기 목표 탕온 이상의 알맞은 온도로 조정하는 전단 탕온 조정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탕온 조정 수단은, 상기 온도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온도와 목표 탕온과의 온도차에 상응하는 양의 온수를 상기 배수 수단에 의하여 폐기하여, 그 감소분을 상기 전단 탕온 조정 수단에 의하여 조정된 온수에서 보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탕조 내에 기포를 송급하는 기포 발생 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설정 수단은,
    목표 탕온의 수치를 표시하는 온도 표시 수단과,
    상기 온도 표시 수단에 표시된 수치를 상하로 조정하는 입력 조작 수단과,
    상기 온도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수치를 목표 탕온으로서 확정하기 위한 확인 조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11.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를 구비하고, 상기 휠체어의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욕조 안으로 이동시키고 그 후에 상기 욕조 내에 온수를 공급하여 입욕을 행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좌석부는 등받이면 및 좌석면이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개구를 갖는 메시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12.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를 갖춘 본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휠체어의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욕조 안으로 이동시키고 그 후에 상기 욕조 내에 온수를 공급하여 입욕을 행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좌석부는 그 등받이에 다단계의 수위지표를 가지며,
    상기 본체 장치에는, 상기 수위지표를 목표로 하는 탕량 설정용의 입력 조작 수단과, 상기 입력 조작 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탕량의 설정치에 근거하여 욕조 내부로 급탕을 행하는 급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13. a) 입욕자가 앉는 좌석부와 그 아래의 대차부가 분리 가능한 휠체어와,
    b)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를 내측에 수용 가능한 욕조와,
    c) 상기 욕조의 윗면 개구가 향하는 방향이 상방과 전방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상기 욕조를 자유롭게 경사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욕조 지지 수단과,
    d) 전기적인 구동원과,
    e)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욕조의 경사를 변경하는 욕조 작동 수단과,
    f) 상기 욕조 내에 온수를 공급하는 급탕 수단과,
    g) 입욕시 상기 욕조의 경사 상태를 지정하는 욕조 각도 설정 수단과,
    h) 입욕시에 상기 욕조에 저장되는 탕량을 상기 좌석부에 앉은 상태의 입욕자의 신체상의 위치에 관련시켜 지정하는 탕량 설정 수단과,
    i) 상기 급탕 수단에 의한 급탕시에, 상기 탕량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탕량과 상기 욕조 각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욕조 각도에 근거하여 욕조의 경사를 고려한 수위 위치를 결정하고, 그 수위 위치까지 급탕을 행하는 급탕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입욕 장치.
KR1020030058358A 2002-08-26 2003-08-22 간호용 입욕 장치 KR100552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44653A JP4141204B2 (ja) 2002-08-26 2002-08-26 介護用入浴装置
JPJP-P-2002-00244653 2002-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940A KR20040018940A (ko) 2004-03-04
KR100552442B1 true KR100552442B1 (ko) 2006-02-20

Family

ID=3188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358A KR100552442B1 (ko) 2002-08-26 2003-08-22 간호용 입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11335B2 (ko)
JP (1) JP4141204B2 (ko)
KR (1) KR100552442B1 (ko)
CN (1) CN1261088C (ko)
TW (1) TWI2436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3506B1 (en) 2018-06-01 2020-10-27 Cynthia J. Mitrano Shower chair system with selective delivery and intermixing of liqui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2563B2 (ja) * 2002-08-26 2007-10-17 三洋電機株式会社 介護用入浴装置
FR2868277B1 (fr) * 2004-03-31 2007-10-26 Bruno Harguindeguy Agencement d'un bac a inclinaison variable, notamment pour une personne a mobilite reduite
US9375115B2 (en) 2009-02-26 2016-06-28 Safeway Safety Step Llc Bathtub overlay
US8539619B2 (en) * 2009-09-14 2013-09-24 Technology Patents, Llc Cleaning systems and/or methods
CN103494691A (zh) * 2013-09-09 2014-01-08 洛阳圣瑞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护理洗浴装置
CN103494692A (zh) * 2013-09-09 2014-01-08 洛阳圣瑞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护理洗浴对接装置
EP2906170B1 (en) * 2013-09-13 2016-11-02 Dynamic Controls Method for producing or calibrating a control profile for a wheelchair
US20150335206A1 (en) 2014-04-28 2015-11-26 Safeway Safety Step, Llc Bathtub systems and methods
US10202268B2 (en) * 2015-07-20 2019-02-12 Honda Motor Co., Ltd. Aligner chair, support system including the aligner chair and method for suspending the aligner chair from a lift
US10111560B2 (en) * 2016-01-19 2018-10-30 Safeway Safety Step, Llc Vertical bathtub closure systems and methods
JP7045793B2 (ja) * 2016-12-16 2022-04-01 株式会社ナノプラネット研究所 健康増進装置
US10881251B2 (en) 2017-01-12 2021-01-05 Kohler Co. Walk in bath
USD842972S1 (en) 2017-01-12 2019-03-12 Kohler Co. Walk in bath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9253A (en) * 1962-09-24 1965-02-16 Segar Joe Mobile chair for shower facilities
US3662409A (en) * 1970-12-21 1972-05-16 Hans Arne Johansson Bath system, particularly for wheel-chair constrained disabled persons
US4432104A (en) * 1982-06-28 1984-02-21 Sasaki Jack S Bathing equipment for the handicapped
KR910014084A (ko) * 1990-01-12 1991-08-31 원본미기재 욕조내의 기포발생장치
US5393119A (en) * 1992-06-22 1995-02-28 Mitsuru Haruyama Chair bath
JP2628568B2 (ja) 1992-12-10 1997-07-09 春山 満 介護用バス
JP2572559B2 (ja) * 1994-04-06 1997-01-16 酒井医療株式会社 入浴装置
JP2000116745A (ja) 1998-10-16 2000-04-25 Og Giken Co Ltd 干渉分離式車椅子入浴装置
JP3044024B1 (ja) * 1998-12-08 2000-05-22 酒井医療株式会社 入浴装置
US6766543B1 (en) * 2001-09-27 2004-07-27 Mastercare Patient Equipment, Inc Bath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3506B1 (en) 2018-06-01 2020-10-27 Cynthia J. Mitrano Shower chair system with selective delivery and intermixing of liqu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1088C (zh) 2006-06-28
CN1488329A (zh) 2004-04-14
TW200412923A (en) 2004-08-01
KR20040018940A (ko) 2004-03-04
US7111335B2 (en) 2006-09-26
JP2004081379A (ja) 2004-03-18
US20040034917A1 (en) 2004-02-26
JP4141204B2 (ja) 2008-08-27
TWI243670B (en) 2005-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443B1 (ko) 간호용 입욕 장치
KR100552442B1 (ko) 간호용 입욕 장치
JP6635572B1 (ja) 運動機器
JP3942513B2 (ja) 介護用入浴装置
JP4163132B2 (ja) 介護用入浴装置
JP4445227B2 (ja) 強制排水付き全身浴装置
JP2007203095A (ja) 介護用入浴装置
KR101733476B1 (ko) 회전식 스파 장치
JP2002085508A (ja) 介護用浴槽
JP2018053443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JP5266553B2 (ja) 介護用入浴装置
JP4427359B2 (ja) 入浴装置
JP2007175548A (ja) 介護用入浴装置
JP2007175552A (ja) 介護用入浴装置
JP3527689B2 (ja) 浴槽管理システム
JP3403311B2 (ja) 安全装置付入浴装置
JPH06205731A (ja) 浴槽制御装置
JPH0426101Y2 (ko)
JP3531851B2 (ja) 浴 槽
JP2022103469A (ja) 風呂給湯装置
JPH0426100Y2 (ko)
JP5647863B2 (ja) 浴槽の排水制御装置と制御方法
JP5482928B2 (ja) 介護用入浴装置
JPH06277260A (ja) 浴槽制御装置
JP2006102389A (ja) 車椅子入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