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335B1 -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335B1
KR100538335B1 KR10-1999-7005318A KR19997005318A KR100538335B1 KR 100538335 B1 KR100538335 B1 KR 100538335B1 KR 19997005318 A KR19997005318 A KR 19997005318A KR 100538335 B1 KR100538335 B1 KR 100538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plate
opening
closing lid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9476A (ko
Inventor
반도 다케시
다나카 요시카즈
카메다 카츠미
히야시 마사호
시노기 노리카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1145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383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9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용기(10)는 용기본체(11)와 이 용기본체(11)에 쉽게 요동할 수 있게 부착된 개폐두껑(23) 및 상기 용기본체(11)의 아랫쪽방향 개구를 밀폐시키는 바닥마개(12)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1)는 취출구(24)를 가진 상부판(27)과 측면판(13)을 갖는 한편, 상기 개폐두껑(23)은 용기본체(11)의 측면판(13)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개폐두껑(23)이 측면판(13)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형상을 크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용기본체(11)에는 상기 개폐두껑(23)의 걸림편(32)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돌기(33)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CONTAINER WITH A HINGED LID}
본 발명은 쉽게 개폐시킬 수 있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 물수건과 같은 것을 수납하는 용기에는 물수건을 뽑아내는 취출구가 갖춰짐과 더불어, 이 취출구가 개폐두껑에 의해 쉽게 개폐되면서 밀폐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은 수납용기는 물수건을 수납함과 더불어 취출구를 가진 용기본체와 취출구를 밀폐시키는 개폐두껑을 갖추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수납용기는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에 대해 쉽게 요동할 수 있게 부착시켜진 개폐두껑을 갖추어, 사용할 때 개폐두껑을 일일히 요동시켜 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개폐두껑을 원터치로 열 수 있으면 편리하고, 또 개폐두껑의 형상을 크게 할 수가 있다면 그에 맞춰 용기본체의 취출구가장자리를 크게 할 수가 있어서 물수건을 취출구에서 쉽게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닫혀져 있을때의 수납용기의 전체사시도,
도 3은, 개폐두껑의 걸림편과 용기본체의 걸림돌기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4는, 물수건을 수납한 밀폐봉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용기본체와 개폐두껑과의 요동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6은, 수납용기의 측단면도,
도 7은, 용기본체와 바닥마개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개폐두껑의 요동축과 용기본체의 받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변형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수납용기의 확대도,
도 11은, 제1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제1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제1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제1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제1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제1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의 전체평면도,
도 18은, 수납용기의 측면도,
도 19는, 용기본체 상부판의 내면쪽을 본 도면,
도 20은, 용기본체의 취출구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용기본체의 작동체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바닥마개를 나타낸 저면도,
도 23은, 용기본체의 측면판과 바닥마개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4은, 개폐두껑을 나타낸 평면도,
도 25는, 판고무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판고무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판고무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판고무를 나타낸 도면,
도 30은, 고착부를 나타낸 도면,
도 31은, 판고무를 고착부를 가지고 고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2는, 숫몰드와 계단부를 가진 암몰드를 나타낸 도면,
도 33은, 계단부가 형성된 측면판을 가진 용기본체를 나타낸 도면,
도 34는, 용기본체와 개폐두껑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5는, 수납용기의 전체사시도.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발명된 것으로, 쉽고 확실하게 개폐두껑을 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두껑의 형상을 크게 할 수가 있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취출구가 형성된 상부판과 이 상부판으로부터 밑으로 뻗은 측면판을 갖고서 밑쪽이 개구시켜진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의 상기 측면판에 쉽게 요동할 수 있게 부착되어 상기 취출구를 밀폐시키는 개폐두껑 및, 상기 용기본체의 밑쪽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시키는 바닥마개를 갖추고서, 상기 용기본체와 개폐두껑 사이의 요동부에 상기 개폐두껑을 열리는 방향쪽으로 밀어부치는 탄성수단이 갖춰지는 한편, 상기 개폐두껑의 자유단에 걸림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기 걸림부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림부와 걸림돌기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기만 하면 개폐두껑이 탄성부재에 의해 열려지게 된다. 이 경우, 개폐두껑이 용기본체의 측면판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두껑이 상부판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개폐두껑의 형상을 크게 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 ∼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개폐두껑을 가진 수납용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납용기(10)는, 내부에 물수건(41)을 수납하는 밑쪽개구형태의 용기본체(11)와, 이 용기본체(11)의 밑쪽개구를 밀폐시키는 바닥마개(12)를 갖추고 있다. 또, 상기 용기본체(11)는 취출구(24)가 형성된 상부판(27)과 이 상부판(27)에서 밑으로 뻗은 측면판(13)을 갖고서, 용기본체(11)의 측면판(13)에는 상부판(27)의 취출구(24)를 밀폐하는 개폐두껑(23)이 자유로이 요동할 수 있게 부착되어져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두껑(23)에는 요동축(77)이 일체로 형성되고서 이 요동축(77)이 용기본체(11)의 측면판(13)의 옆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요동축(77)의 돌기(77a)가 용기본체(11)의 받침부(29)내에 삽입되어 용기본체(11)에 대해 개폐두껑(23)이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8).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본체(11)의 받침부(29)내부가 막혀 용기본체(11)의 받침부(29)가 관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11)내의 습기가 받침부(29)로부터 밖으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또, 용기본체(11)의 상부판(27)은 그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1상부판(제1박판;27a)과, 이 제1상부판(27a)의 바깥쪽에 계단부(28)를 매개로 형성되어 제1상부판(27a)보다 높게 위치하는 제2상부판(제2박판;27b)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상부판(27a)에는 물수건(41)을 뽑아내기 위한 취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개폐두껑(23)의 내면에는 제1상부판(27a)에 형성된 바깥쪽 리브(51)와 안쪽 리브(52) 사이에 밀폐부재(37)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축(77)을 중심으로 해서 개폐두껑(23)을 회동시켜 바깥쪽 리브(51)와 안쪽 리브(52) 사이에 밀폐부재(37)가 끼워넣어짐으로써 개폐두껑(23)이 취출구(24)를 밀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두껑(23)의 자유단에는 선단리브(36)가 돌출형성되고서 이 선단리브(36)에 걸림편(32)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용기본체(11)의 계단부(28)에는 개폐두껑(23)의 걸림편(32)과 걸어맞춰지는 걸림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용기본체(11)는 상부판(27)과 측면판(13) 사이에 경사판(31)을 갖고서, 걸림돌기(33)가 형성된 계단부(28)가 상기 경사판(31)에 대응하는 영역(31a)을 에워싸도록 얇은벽체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영역(31a)을 압압하게 되면 이 영역(31a)이 아랫쪽으로 휘어져 개폐두껑(23)의 걸림편(32)과 계단부(28)의 걸림돌기(33) 사이의 걸림상태가 해제시켜지게 된다.
또,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본체(11)와 개폐두껑(23) 사이에 개폐두껑(23)을 열리는 방향쪽으로 밀어부치는 가늘고 긴 판고무(5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용기본체(11)에는 판고무(50)의 한쪽 끝이 끼워져 수납되는 수납부(75)가 갖춰지는 한편 판고무(50)의 다른쪽 끝을 고착시키는 고착부(76)가 갖춰져 있다. 이 경우, 판고무(50)에 개폐두껑(23)에서 돌출시켜진 돌기(78)가 삽입되어 판고무(50)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 다음 고착부(76)에 의해 고착시켜지게 된다.
또,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고무(50)는 용기본체(11)와 개폐두껑(23) 사이의 중심에 대해 오른쪽으로 쏠려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고무(50)가 용기본체(11)와 개폐두껑(23) 사이의 중심에 배치되기도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두껑(23)이 용기본체(11)의 측면판(13)에 설치됨으로써 개폐두껑(23)의 형상을 크게 할 수가 있게 된다. 이 경우, 개폐두껑(23)의 형상을 크게 하고, 또 판고무(50)를 오른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하면 취출구(24)의 가장자리면적이 커지게 되어 물수건(41)을 뽑아내는 것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용기본체(11)에 대해 개폐두껑(23)이 닫혀져 있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고무(50)은 개폐두껑(23)내에 끼워넣어지도록 만곡되어져 개폐두껑(23)을 열려지는 쪽을 향해 밀어부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판고무(50)를 개폐두껑(23)에서 떨어지는 쪽으로 만곡시켜도 좋다.
다음에는 도 6 및 도 7에 의거 용기본체(11)와 바닥마개(12)의 연결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본체(11)의 측면판(13) 하단에는 연결리브(13a)가 갖춰짐과 더불어 바닥마개(12)의 주위가장자리에는 1쌍의 걸림리브(12a, 12b)가 갖춰져 있어서, 바닥마개(12)의 1쌍의 걸림리브(12a, 12b)내에 측면판(13)의 연결리브(13a)가 끼워져 장착됨으로써 용기본체(11)와 바닥판(12)이 연결되게 된다.
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마개(12)의 걸림리브(12b) 안쪽에는 측면판(13)의 연결리브(13a)를 1쌍의 걸림리브로 유도하는 경사리브(12c)가 갖춰져 있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용기본체(11) 및 개폐두껑(23)은 모두 폴리프로필렌(PP)을 사출성형해서 만들게 되지만, 그 밖에 PE, PS, ABS, 엘라스토머, PET, PVC, 폴리카보네이트를 가지고 성형하여도 좋다. 또, 바닥마개(12)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가 흔히 쓰여지고, 판고무(50)로는 실리콘고무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고착부(76)는 PP로 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4에 의거 용기본체(11)내에 수납되는 물수건(41)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물수건(41)은 유연한 시이트로 만들어진 밀폐봉투(40)내에 접혀져 적층배치된 상태로 밀폐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물수건(41)은 각각 절곡부(42)가 형성되어 대략 2겹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각 물수건(42)의 절곡부(42)가 교대로 배치되어 서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물수건(41)의 2겹으로 접혀진 하반부분(41b)이 아랫쪽에 배치되는 물수건(41)의 상반부분(41a)과 다시 아랫쪽에 위치하는 물수건(41)의 상반부분(41a) 사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물수건(41)을 1매씩 집어 끄집어내는 경우 끄집어내어진 물수건(41)의 하반부분(41b)이 아랫쪽에 위치하는 물수건(41)의 상반부분(41a)을 위로 잡아당기도록 되어 있다. 한편, 물수건(41)을 접는 방법으로서는, 연속적으로 위로 잡아당겨지게 적층배치되도록 하기만 하면 되지 어떤 특정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예컨대 도 4(b)에서와 같이 접혀지도록 하여도 된다. 또, 밀폐봉투(40)의 상단에 개구(40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개구(40a)는 밀폐봉투(40) 상부면에 쉽게 벗겨낼 수 있게 첨부시켜진 두껑부재(45)에 의해 밀폐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물수건(41)의 소재로서는 부직포나 종이거즈와 같은 섬유소재나 시이트형상의 발포체 또는 종이를 소재로 한 연질재료가 쓰여지게 된다. 또, 물수건에 함침되는 액체로는 살균제, 소독제, 세정제 등을 포함한 윤활제나 화장수, 유액과 같은 화장품도 생각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제1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판고무(50)의 한쪽 끝을 용기본체(11)의 수납부(75)내에 끼워진 형태로 수납시키게 되는 바, 판고무(50)의 다른쪽 끝은 미리 개폐두껑(23)의 소정위치에 돌기(78)에 의해 위치결정된 후 고착부(76)에 의해 고착되어 있게 된다.
다음, 용기본체(11)내에 그 밑쪽개구로부터 밀폐봉투(40)에 밀폐시켜진 물수건(41)이 수납되게 된다. 그 다음 용기본체(11)의 연결리브(13a)가 바닥마개(12)의 1쌍의 걸림리브(12a, 12a) 사이에 삽입되어 용기본체(11)의 밑쪽 개구가 바닥마개(12)에 의해 밀폐시켜지게 된다. 이 경우, 용기본체(11)의 연결리브(13a)는 바닥마개(12)의 경사리브(12c)에 의해 1쌍의 걸림리브(12a, 12a)쪽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용기본체(11)와 바닥마개(12)의 연결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 개폐두껑(23)이 용기본체(11)에 대해 닫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개폐두껑(23)의 걸림편(32)에 용기본체(11)의 걸림돌기(33)가 걸어맞춰져 용기본체(11)의 취출구(24)가 개폐두껑(23)에 의해 밀폐시켜지게 된다. 이때 개폐두껑(23)의 밀폐부재(37)가 용기본체(11)의 바깥쪽 리브(51)와 안쪽 리브(52) 사이에 끼워져 밀폐부재(37)내를 밀폐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고무(50)가 용기본체(11)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된 고착부(76)에 의해 고착시켜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판고무(50)가 개폐두껑(23)의 요동축(77)에서 조금 안쪽으로 들어간 고착부(76)를 작용점으로 해서 개폐두껑(23)을 윗쪽으로 당겨올리게 된다. 일반적으로 물수건용기(10)는 여름철의 실내와 같이 비교적 온도가 높은 곳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용기본체(11) 및 개폐두껑(23)이 쉽게 연화되기가 쉽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고무(50)가 개폐두껑(23)의 요동축(77)에서 조금 안쪽으로 들어간 고착점(76)을 작용점으로 해서 개폐두껑(23)을 윗쪽으로 당겨올리기 때문에, 요동축(77) 근방을 작용점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개폐두껑(23)의 요동부끝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물수건(41)을 사용할때에는, 경사판(31)의 영역(31a)를 윗쪽에서 압압하게 되면 용기본체(11)의 상부판(27)을 휘지 않게 하면서 영역(31a)만을 얇은벽체부(35)의 수평방향부분(35a)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서 휘어지도록 할 수가 있고, 그에 따라 걸림편(32)과 걸림돌기(33)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 경우, 판고무(50)의 복원력으로 개폐두껑(23)이 요동축(77)을 중심으로 회동해서 개폐두껑(23)이 열려지게 된다.
이어 용기본체(11)의 취출구(24)로부터 물수건(41)을 손가락으로 집어 위로 잡아당긴다. 그 후 연속해서 물수건(41)을 잡아당기면 첫번째 물수건(41)이 용기본체(11)내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 경우, 두번째 물수건(41)의 상반부분(41a)이 첫번째 물수건(41)의 하반부분(41b)에 의해 잡아당겨지게 된다. 그리고, 두번째 물수건(41)의 상반부분(41a)이 취출구(24)의 주변가장자리(24a)에 걸쳐지는 시점에서 두번째 물수건(41)이 정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경사판(31)의 영역(31a)를 압압함으로써 이 영역(31a)이 얇은벽체부(35)의 수평방향부분(35a)을 중심으로 해서 휘어지기 때문에, 영역(31a)의 내벽을 구성하는 계단부(28)에 갖춰진 걸림돌기(33)와 개폐두껑(23)의 걸림편(32)과의 걸림상태가 직접적으로 확실하게 해제시켜지게 된다.
또, 개폐두껑(23)이 용기본체(11)의 측면판(13)에 요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두껑(23)의 형상을 크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판고무(50)를 용기본체(11)와 개폐두껑(23) 사이에서 중심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쏠리게 함으로써 개폐두껑(23)의 형상을 크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취출구(24)의 주변가장자리면적을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9 및 도 10에 의거 본 실시예의 변형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예는, 용기본체(11) 중 개폐두껑(23)의 자유단쪽인 측면판(13) 상단근방에 상부판(27)에서 패어들어간 오목계단부(58)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오목계단부(58)내에 수직판(55a)이 설치된 구조로 된 것이다. 이 수직판(55a)에는 얇은벽체부(59)가 형성되는 한편, 이 얇은벽체부(59)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뻗은 수평판(55b)이 부착되어 있다. 또, 개폐두껑(23)의 걸림편(32)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돌기(33)가 수직판(55a)의 내면에 설치되어, 수직판(55a)과 수평판(55b)에 의해 개폐두껑(23)을 열려지게 하는 작동체(55)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의 다른 구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체로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에서, 작동체(55)의 수평판(55b)을 아랫쪽으로 압압하게 되면 수직판(55a)이 얇은벽체부(59)를 매개로 화살표 L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개폐두껑(23)의 걸림편(32)과 수직판(55a)의 걸림돌기(33)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작동체(55)대신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판(56a)과 이 수직판(56a)의 상단에 부착된 수평판(56a) 및 상기 수직판(56a)의 하단에 부착된 연결판(56c)으로 이루어진 작동체(56)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작동체(56)는 연결체(56c)의 연결리브(59)를 용기본체(11)의 계단부(58)에다 끼움으로써 용기본체(11)에서 쉽게 벗겨질 수 있게 연결되어져 있다.
다음에는 도 12 내지 도 14에 의거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변형례는, 개폐두껑(23)의 밀폐부재(37)와 용기본체(11)의 밀봉구조가 다르기만 한 것으로 그 밖에는 모두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체로 같기 때문에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두껑(23)의 밀폐부재(37)가 용기본체(11)의 바깥쪽 리브(51)와 안쪽 리브(52) 사이에 끼어들어가 이 밀폐부재(37)가 바깥쪽 리브(51)와 안쪽 리브(52) 사이에서 밀봉상태로 협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2에서 밀폐부재(37) 내부는 외부와 대체로 밀봉상태로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11)내부의 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
또,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본체(11)의 바깥쪽 리브(51)와 안쪽 리브(52) 사이에 패킹(53)을 설치해서 개폐두껑(23)의 밀폐부재(37) 앞끝이 패킹(53)에 닿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두껑(23)의 밀폐부재(37)를 엘라스토머로 만들고서 개폐두껑(23)과 엘라스토머제 밀폐부재(37)를 2가지 색으로 성형하여도 좋다. 도 14에서 상기 엘라스토머제 밀폐부재(37)가 용기본체(11)의 상부판(27)에 닿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15에 의거 본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변형례는, 용기본체(11)의 개폐두껑(23) 자유단쪽에 계단부(58)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계단부(58)에 수직판(55a)과 수평판(55b)으로 이루어진 작동체(55)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개폐두껑(23)의 걸림편(32)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돌기(33)가 작동체(55)의 수직판(55a) 내면에 갖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 용기본체(11)의 바깥쪽 리브(51)와 안쪽 리브(52) 중 안쪽 리브(520의 바깥리브쪽 면(52a)이 개폐두껑(23)의 밀폐부재(37)가 닿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도 15에서 기타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체로 같게 되어 있어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쪽 리브(52)에 밀폐부재(37)와 닿는 경사면(52a)이 갖춰져 있기 때문에, 바깥쪽 리브(51)와 안쪽 리브(52) 사이에 물수건(41)의 잔류물이 남겨진다 하더라도, 밀폐부재(37)와 경사면(52a) 사이에서 물수건(41)의 잔류물이 밖으로 내보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밀폐부재(37)와 경사면(52a) 사이의 밀봉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16 (a),(b)에 의거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 (a),(b)에 도시된 변형례는, 판고무(50)의 한쪽 끝이 수납부(75)내에 수납되는 대신 밀봉용기(11)의 상부판(27)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고무누름부재(79)에 의해 판고무(50)의 한쪽 끝이 고정시켜지도록 된 것이다. 이 도 16 (a),(b)에서의 다른 구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체로 같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a),(b)에서 판고무(50)의 한쪽 끝은 용기본체(11)의 상부판(27)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판고무(50)의 위에서 고무누름부재(79)가 상부판(27)에 설치되어 걸림돌기(80)에 끼워맞춰져 판고무(50)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 상기 고무누름부재(79)는 안쪽에 돌기(79)를 갖고 있어서, 이 돌기(79)가 판고무(50)내로 삽입됨으로써 판고무(50)의 상부판(27)에 대한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실시예)
도 17 내지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용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 17 내지 도 35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도 18 및 도 3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용기(10)는 내부에 물수건(41)이 수납되는 바닥쪽개방형태의 용기본체(11)와 이 용기본체(11)의 밑쪽개구를 밀폐시키는 바닥마개(12)를 갖추고 있다. 또, 이 용기본체(11)는 취출구(24)가 형성된 상부판(27)과 이 상부판(27)으로부터 밑으로 뻗은 측면판(13)을 갖고서, 이 측면판(13)에는 상부판(27)의 취출구(24)를 밀폐시키는 개폐두껑(23)이 요동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두껑(23)에는 요동축(77)이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1)의 측면판(13)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요동축(77)의 돌기(77a)가 용기본체(11)의 받침부내에 삽입되어 용기본체(11)에 대해 개폐두껑(23)이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용기본체(11)의 상부판(27)은 그 대략 중앙부에 위치한 제1상부판(27a)과 이 제1상부판(27a)의 바깥쪽에 계단부(28)를 매개로 설치되어 제1상부판(27a)보다 높게 위치해 있는 제2상부판(27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판(27a)에는 물수건(41)을 뽑아내기 위한 취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상부판(27a)에는 걸림리브(94)가 갖춰지고, 개폐두껑(23)의 내면에는 상기 제1상부판(27a)에 갖춰진 걸림리브(94)내로 끼워지는 밀폐부재(37)가 갖춰져 있어서, 상기 요동축(77)을 중심으로 개폐두껑(23)을 회동시키면 걸림리브(94)에 끼워짐으로써 개폐두껑(23)이 취출구(24)를 밀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 및 도 3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두껑(23)의 자유단에는 선단리브(36)가 돌출형성되고서 이 선단리브(36)에 걸림편(32)이 갖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 도 21 (a),(b),(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본체(11) 중 개폐두껑(23)의 자유단쪽에 해당하는 측면판(13) 상단부 근방에 상부판(27)에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 계단부(58)가 형성되고서, 이 오목 계단부(58)내에 수직판(5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직판(55a)의 상단에는 수평방향 바깥쪽으로 뻗은 수평판(55b)이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수직판(55a)의 내면에 개폐두껑(23)의 걸림편(32)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돌기(33)가 형성되어, 수직판(55a)와 수평판(55b)에 의해 개폐두껑(23)을 열게하는 작동체(55)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7 및 도 3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본체(11)와 개폐두껑(23) 사이에 개폐두껑(23)을 열려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가늘고 긴 형태의 판고무(5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용기본체(11)에는 판고무(50)의 한쪽 끝이 끼워져 수납되는 수납부(75)가 설치되는 한편, 개폐두껑(23)에는 용기본체(11)로부터 소정 간격을 갖고 배치됨과 더불어 판고무(50)의 다른쪽 끝을 고착시키는 고착부(7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판고무(50)는 뒤에 설명되듯이 위치결정용 구멍(50a)을 갖추어, 이 위치결정용 구멍(50a)이 개폐두껑(23)에서 돌출시켜진 돌기(78)에 걸어맞춰져 판고무(50)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판고무(50)의 다른쪽 끝이 고착부(76)에 의해 고정시켜지게 된다.
또,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본체(11)의 상부판(27) 내면에는 수납부(75)를 통해 휨방지용 리브(100)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휨방지용 리브(100)는 수납부(75)내에 끼워지는 판고무(50)로부터 나오는 힘에 의해 상부판(27)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도 19는 용기본체(11) 상부면의 내면쪽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판고무(50)는 용기본체(11)와 개폐두껑(23) 사이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도 도 23에 의거 용기본체(11)와 바닥마개(12)의 연결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본체(11)의 측면판(13) 하단에는 연결리브(13a)가 형성됨과 더불어, 바닥마개(12)의 주변가장자리에는 1쌍의 걸림리브(12a, 12b)가 갖춰져 있어서, 이 바닥마개(12)의 1쌍의 걸림리브(12a, 12a)내에 측판(13)의 연결리브(13a)가 끼워짐으로써 용기본체(11)에 바닥마개(12)가 연결시켜지게 된다.
또,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마개(12)의 걸림리브(12a, 12b) 안쪽에는 측면판(13)의 연결리브(13a)를 1쌍의 걸림리브(12a, 12b) 사이로 유도하는 경사리브(12c)가 갖춰져 있다. 또, 상기 측면판(13)의 연결리브(13a) 상부에는 바닥마개(12)의 걸림리브(12a)가 닿게 되는 바깥쪽 리브(1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마개(12)의 걸림리브(12a) 바깥가장자리는 측면판(13)의 바깥쪽 리브(13b) 바깥가장자리에서 H만큼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져 있다. 이 걸림리브(12a)는 바닥마개(12)의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걸림리브(12a)를 손가락으로 당기게 되면 바닥마개(12)가 쉽게 측면판(13)에서 벗겨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용기본체(11) 및 개폐두껑(23)은 모두 폴리프로필렌(PP)을 가지고 사출성형해서 만들게 되나, 그 밖에 PE, PS, ABS, 엘라스토머, PET, PVC, 폴리카보네이트를 가지고 성형하여도 좋다. 또, 바닥마개(12)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이 흔히 사용되고, 판고무(50)로는 실리콘 고무가 쓰여지게 된다. 또한, 고착부(76)는 PP로 만들어지게 된다.
다음에는 각 부분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개폐두껑(23)은 사출수지와 이 사출수지내부에 설치된 문자 ABC를 표시하는 라벨(93)로 이루어지도록(도 24) 인서트성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 인서트성형에서 라벨(93)을 사용하는 경우, 성형한 다음에 수지가 수축되지만 라벨(93)은 수축되지가 않아 그 때문에 수지와 라벨(93)의 수축정도의 차이에 의해 개폐두껑(23)이 성형후에 뒤틀리게 되는 것도 고려되어야 하므로,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두껑(23)의 내면에 보강용 리브(81)를 설치해서 개폐두껑(23)이 성형된 후에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용기본체(11)에 설치된 작동체(55)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a),(b),(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체(55)의 수평판(55b) 앞끝에 윗쪽으로 돌출하는 손가락걸이용 돌출부(88)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돌출부(88)은 손가락을 걸어 수평판(55b)을 쉽게 아래로 눌러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돌출부(88)는 중앙부(88a)쪽을 향해 윗쪽으로 경사져 있어서 손가락이 쉽게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 도 21(a),(b),(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작동체(55)는 수직판(55a)의 하단부(55c)에서 용기본체(11)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나, 수직판(55a)의 하부옆쪽에서 연결부(96)를 매개로 용기본체(11)와 연결되도록 하여도 된다(도 18). 이와 같이 수직판(55a)의 옆쪽이 연결부(96)에 의해 용기본체(11)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수직판(55a)의 하단부(55c)만 되폴이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 때문에 수직판(55a)의 하단부(55c)의 백화(白化;whitening)가 방지됨은 물론 수직판(55a)의 복원력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수평판(55b)은 수직판(55a)에 걸림돌기(33) 근방에 부착되어 있어서, 수평판(55b)의 손가락걸림용 돌출부(88)를 밑으로 밀게되면 수직판(55a)과 수평판(55b)으로 이루어진 작동체(55)가 수직판(55a)의 하단부(55c)를 중심으로 해서 요동하게 된다. 이때 수평판(55b)가 걸림돌기(33) 근방에 설치됨으로써, 수직판(55a) 중 걸림돌기(33) 근방을 크게 변형시켜 걸림돌기(33)와 걸림편(32)의 걸림상태가 쉽게 해제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도 2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판(55b)의 상부에 수직판(55a)까지 도달하는 힘전달용 리브(97)을 형성시켜도 좋은데, 이 힘전달용 리브(97)는 수평판(55)으로부터 수직판(55a)쪽으로 힘을 효과적으로 전달해서 수직판(55a)이 휘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본체(11)의 상부판(27)에는 개폐두껑(23)의 밀폐부재(37)가 내면쪽에 걸어맞춰지게 되는 걸림리브(9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리브(94)의 상부에는 밀폐부재(37)와 걸림리브(94) 사이에 물수건(41)이 끼워지더라도 개폐두껑(23)을 쉽게 열 수 있도록 면따기부(94a)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면따기부(94a)는 걸림리브(94)에 판고무(50)근방을 제외한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판고무(50) 근방은 판고무(50)에 의해 열림동작을 하는 힘이 커 특히 면따기부(94a)가 필요치 않아 밀폐부재(37)와 걸림리브(94)의 걸림이 기밀상태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도 34 및 도 35 참조).
다음에는 도 20(a),(b)에 의거 용기본체(11)의 상부판(27)에 갖춰진 취출구(24)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a),(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판(27)의 제1상부판(27a)에 취출구(24)쪽으로 뻗은 1쌍의 제1플랩(82, 82)과 이들 각 제1플랩(82, 82)과 각각 마주보는 1쌍의 제2플랩(83, 83)이 설치되어 있는바, 이들 1쌍의 제1플랩(82, 82) 및 제2플랩(83, 83)은 모두 기단부에서 선단부쪽을 향해 파형단면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도 20(a)). 이와 같이 파형단면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1쌍의 제1플랩(82, 82) 및 1쌍의 제2플랩(83, 83)이 각각 플랩(82, 82 ; 83, 83)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휘는 방향이 정해지게 됨으로써 플랩(82, 82, 83, 83)을 안정되고 확실하게 휘어지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도 2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플랩(82, 82) 및 제2플랩(83, 83)은 각각 그 앞끝에 윗쪽을 향해 만곡시켜진 만곡부(82a, 83a)에 의해 기단부쪽에 밑으로 패어진 함몰부(82b, 82b)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플랩(82, 82) 및 제2플랩(83, 83)의 만곡부(82a, 83a) 기단부쪽에 함몰부(82b, 83b)가 형성됨으로써 제1플랩(82a, 82a) 및 제2플랩(83a, 83a)의 앞끝부분 높이를 기단쪽 높이와 대체로 같아지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1쌍의 제1플랩(82, 82) 및 1쌍의 제2플랩(83, 83)의 만곡부(82a, 83a)는 모두 앞끝을 향해 점차 넓혀지는 형태로 뻗어 제1플랩(82, 82) 사이 및 제2플랩(83, 83) 사이의 공간이 앞끝쪽으로 갈수록 확대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또, 제1플랩(82, 82)과 이 제1플랩(82, 82)과 마주보는 제2플랩(83, 83)은 각각 평행을 이루는 앞끝가장자리(84, 85)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들 제1플랩(82)의 앞끝 가장자리(84)와 제2플랩(83)의 앞끝가장자리(85) 사이의 간격은 취출구(24) 안쪽으로 갈수록 넓혀지도록 되어 있어서, 취출구(24)내의 물수건(41)이 제1플랩(82)의 앞끝가장자리(84)와 제2플랩(83)의 앞끝가장자리(85) 사이로 원활히 유도되어 앞끝가장자리(84, 85) 사이에서 확실하게 파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취출구(24)의 제1플랩(82) 및 제2플랩(83)과 마주보는 바깥쪽 가장자리(97)는 제1플랩(82)의 바깥쪽 가장자리(86) 및 제2플랩(83)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25 및 도 31에 의거 판고무(50)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판고무(50)로는, 1개의 위치결정용 구멍(50a)을 가진 것(도 25(a),(b))이나 1개의 위치결정용 구멍(50a)을 가지면서 이 위치결정용 구멍(50a) 부분이 단차부(50b)를 매개로 두꺼운 벽체부로 이루어진 것을 쓸 수가 있다(도 26 (a),(b)). 1개의 위치결정용 구멍(50a)을 갖는 판고무(50)에 대해서는 위치결정용 구멍(50a)에 들어가는 1개의 모스(76a)를 가진 고착부(76)가 쓰여지게 된다(도 27).
한편, 판고무(50)로 2개의 위치결정용 구멍(50a)을 갖거나(도 28(a),(b)) 또는 이들 위치결정용 구멍(50a) 부분이 단차부(50b)를 매개로 두꺼운 벽체를 갖도록 된 것을 쓸 수가 있다(도 29(a),(b)). 이 2개의 위치결정용 구멍(50a)을 가진 판고무(50)에 대해서는 위치결정용 구멍(50a)에 들어가는 2개의 보스(76a, 76a)를 가진 고착부(76)가 쓰여지게 된다(도 30).
이렇게 2개의 위치결정용 구멍(50a, 50a)를 가진 판고무(50)를 개폐두껑(23)에다 고착시킨 경우에는 이 개폐두껑에 대한 판고무(50)의 위치결정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31에 의거 판고무(50)를 개폐두껑(23)에다 고착시키는데 대해 설명한다.
도 3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두껑(23)의 돌기(78)에 판고무(50)의 위치결정용 구멍(50a)을 끼운 다음 보스(76a)를 가진 고착부(76)를 판고무(50)의 위에다 씌운다. 이때 보스(76a)를 돌기(78)와 판고무(50)의 위치결정용 구멍(50a) 사이에 삽입해서 돌기(78)의 돌출부(78a)와 보스(76a)의 돌출부(76b)가 걸어맞춰지도록 함으로써 고착부(76)에 의해 판고무(50)가 개폐두껑(23)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바닥마개(12)에 대해 도 22 및 도 23에 의거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마개(12)는 사출수지와 이 사출수지내에 묻혀 문자를 표시하는 라벨(92)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 바닥마개(12)의 중앙부는 윗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중 바닥마개(12)가 밑으로 움푹들어가 꺼지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바닥마개(12)에는 이 바닥마개(12)를 쉽게 벗기기 위한 손가락걸림편(12d)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용기본체(11)의 측면판(13)상부에 아랫쪽을 향하면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단차부(98)를 형성시켜도 좋은바(도 33), 즉 측면판(13) 중에 라벨(99)을 설치하는 경우 암몰드(91)와 숫몰드(90) 사이에 미리 라벨(99)을 삽입해 놓고서 이 라벨(99)을 암몰드(91)의 단차부(91a)에 보유지지되도록 한다. 이어 암몰드(91)와 숫몰드(90) 사이에다 사출수지를 주입하게 되면 용기본체(11)의 측면판(13)이 성형되어, 암몰드(91)의 단차부(91a)에 의해 측면판(13)의 단차부(98)가 형성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제2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판고무(50)의 한쪽 끝이 두껑본체(21)의 수납부(75)내에 끼워져 수납되는 한편, 판고무(50)의 다른쪽 끝은 위치결정용 구멍(50a)이 개폐두껑(23)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돌기(78)내에 끼워져 위치결정된 다음 고착부(76)에 의해 고착시켜지게 된다.
이어, 용기본체(11)내에 그 바닥부의 개구로부터 밀폐봉투(40)에 의해 밀폐시켜진 물수건(41)이 수납된 다음, 용기본체(11)의 바닥부 개구가 바닥마개(12)로 밀폐시켜진다. 이 경우, 용기본체(11)의 연결리브(13a)가 바닥마개(12)의 경사리브(12c)에 의해 1쌍의 걸림리브(12a, 12b)쪽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용기본체(11)와 바닥마개(12)의 연결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개폐두껑(23)가 용기본체(11)에 대해 닫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개폐두껑(23)의 걸림편(32)에 용기본체(11)의 걸림돌기(33)가 걸어맞춰져 용기본체(11)의 취출구(24)가 개폐두껑(23)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개폐두겅(23)의 밀폐부재(37)가 용기본체(11)의 걸림리브(94)내에 끼워져 밀폐부재(37)내부가 밀폐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물수건(41)을 사용할때는, 작동체(55)의 수평판(55b)에 갖춰진 손가락걸림용 돌출부(88)를 압압하게 되면, 작동체(55)가 수직판(55a)의 하단부(55c)를 중심으로 해서 휘어져 걸림편(32)과 걸림돌기(33)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 경우, 판고무(50)의 복원력으로 개폐두껑(23)이 요동축(77)을 중심으로 회동해서 개폐두껑(23)이 열려지게 된다.
다음, 용기본체(11)의 취출구(24)로부터 물수건(41)을 손가락으로 잡아 윗쪽으로 잡아당기면 첫번째 물수건(41)이 용기본체(11)내부로부터 뽑아내어지게 된다. 이 경우, 두번째 물수건(41)의 상반부분(41a)이 첫번째 물수건(41)의 하반부분(41b)에 의해 잡아당겨져, 이 두번째 물수건(41)의 상반부분(41a)가 취출구(24)의 중앙부로부터 제1플랩(82)의 앞끝가장자리(84)와 제2플랩(83)의 앞끝가장자리(85) 사이로 진입해서 이들 제1플랩(82)과 제2플랩(83)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평판(55a)의 손가락걸림용 돌출부(88)를 압압하게 되면 작동체(55)가 수직판(55a)의 하단부(55c)를 중심으로 해서 휘어지기 때문에, 수직판(55a)에 형성된 걸림돌기(33)와 개폐두껑(23)의 걸림편(32)과의 걸림상태가 직접적으로 확실하게 해제될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림돌기와 걸림편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기만 하면 개폐두껑이 탄성부재에 의해 열려지게 된다. 또 상기 개폐두껑이 용기본체의 측판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판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개폐두껑의 형상을 크게 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개폐두껑의 형상을 크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부판 중 취출구의 둘레가장자리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내용물을 끄집어내는 것이 쉬워지게 된다.

Claims (35)

  1. 취출구(24)가 형성된 상부판(27)을 구비하는 용기본체(11); 이 용기본체(11)의 취출구(24) 근처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취출구(24)를 견고히 막을 수 있는 힌지직 개폐두껑(23)을 구비하되, 상기 힌지식 개폐두껑(23)의 자유단에 걸림편(3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용기본체(11)에는 상기 걸림편(32)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돌기(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11)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부판(27)으로부터 아래로 벌어지는 형태로 연장되는 측면판(13)을 구비하고, 바닥마개(12)가 상기 측면판(13)의 개방된 하단부를 견고히 밀폐하며, 상기 용기본체(11)는 둥글게 경사진 경사판(31)에 대하여 오목 계단부(58)를 구비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에 있어서,
    열림방향으로 힌지식 개폐두껑(23)을 밀어내는 탄성수단이 상기 개폐두껑(23)과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용기본체(11)는 상부판(27)과 측면판(13) 사이에 이어지는 둥근 경사판을 구비하며, 수평판(55b)을 구비하는 작동체(55)가 상기 오목 계단부(58)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작동체(55)는 힌지식 개폐두껑(23)의 자유단쪽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걸림돌기(33)가 이 작동체(55)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판(55b)은 상기 상부판(27)에 대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어서 용기본체(11)의 바깥 테두리의 안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55)는 수직판(55a)과 이 수직판(55a)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뻗은 수평판(55b)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33)는 상기 수직판(55a)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55)는 용기본체(11)에서 뽑아내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두껑(23)의 기단부에 요동축(77)이 설치되고, 이 요동축(77)은 용기본체(11)의 받침부(29)내에 수납시켜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두껑(23)에는 용기본체(11)쪽으로 뻗은 밀폐부재(37)가 갖춰지는 한편, 용기본체(11)에는 상기 개폐두껑(23)의 밀폐부재(37)에 걸어맞춰지는 안쪽 리브(52)와 바깥쪽 리브(51)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리브(52)와 바깥쪽 리브(51) 사이에 상기 밀폐부재(37)의 하단부에 닿는 패킹(5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두껑(23)에는 용기본체(11)쪽으로 뻗은 밀폐부재(37)가 갖춰지는 한편, 용기본체(11)에는 상기 개폐두껑(23)의 밀폐부재(37)에 닿게 되는 경사면(5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두껑(23)에 용기본체(11)쪽으로 뻗어 이 개폐두껑(23)과 일체를 이루면서 탄성체로 형성된 밀폐부재(37)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의 측면판(13) 하단부에 연결리브(13a)가 갖춰지는 한편, 상기 바닥마개(12)의 주변가장자리에는 상기 연결리브(13a)가 끼워지는 1쌍의 걸림리브(12a, 12b)와 상기 연결리브(13a)를 1쌍의 걸림리브(12a, 12b)쪽으로 유도하는 경사리브(12c)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이 판고무(50)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본체(11)와 개폐두껑(23) 사이의 요동부 중심에서 벗어난 곳에 위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고무(50)가 용기본체(11)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판고무(50)가 용기본체(11)에 끼워지는 판고무 누름부재에 의해 윗쪽에서 고정되어 보유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두껑(23)이, 사출수지와 이 사출수지 중에 묻혀 설치되는 라벨(93)이 인서트성형되어 만들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두껑(23)의 내면에 보강용 리브(8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이 판고무(50)로 이루어져 이 판고무(50)의 한쪽 끝이 용기본체(11)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은 개폐두껑(23)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판고무(50)의 다른쪽 끝에는 복수의 위치결정용 구멍(50a)이 형성되어 이 위치결정용 구멍(50a)이 개폐두껑(23)에 갖춰진 돌기(78)에 걸어맞춰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판고무(50)의 다른쪽 끝에 형성된 각 위치결정용 구멍(50a)이 상기 돌기(78)에 걸어맞춰지는 한편, 이 판고무(50)의 다른쪽 끝에 고착부(76)가 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55b)의 앞끝에 윗쪽으로 돌출한 손가락걸이용 돌출부(88)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걸이용 돌출부(88)의 끝이 수평방향 측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윗쪽으로 경사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55a)의 하단부옆쪽으로 용기본체(11)와 연결되는 연결부(96)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2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55b)에 보강용 리브(97)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2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55b)은 상기 수직판(55a)의 상기 걸림돌기(33)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연장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두껑(23)에 용기본체(11)쪽으로 뻗은 밀폐부재(37)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용기본체(11)에는 상기 개폐두껑(23)의 밀폐부재(37)가 내면쪽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리브(94)가 형성되고, 이 걸림리브(94)의 내면쪽 상부에는 탄성수단쪽 이외의 부분에 면따기부(9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의 상부판(27) 내면에 탄성수단에 의해 상부판(27)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휨방지용 리브(1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의 상부판(27)에 취출구(24)쪽으로 뻗은 1쌍의 제1플랩(82, 82)과 이들 각 제1플랩(82, 82)과 마주보는 제2플랩(83, 8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플랩(82)과 제2플랩(83)이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로 향해 파형단면형상을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플랩(82)과 제2플랩(83)이 앞끝에서 윗쪽으로 만곡진 만곡부(82a, 83a)를 갖는 한편, 이 만곡부(82a, 83a)에서부터 기단부쪽으로 각각 함몰부(82b, 83b)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제1플랩(82, 82)과 상기 1쌍의 제2플랩(83, 83)이 각각 앞끝쪽으로 갈수록 넓혀지는 형태를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제1플랩(82, 82)과 제2플랩(83, 83)이 각각 그 앞끝가장자리가 평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3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랩(82, 82)의 앞끝가장자리와 상기 제2플랩(83, 83)의 앞끝가장자리 사이의 간격이 안쪽으로 갈수록 넓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27)의 취출구(24)옆가장자리 중 제1플랩(82, 82) 및 제2플랩(83, 83)과 각각 마주보는 부분이 제1플랩(82, 82) 및 제2플랩(83, 83)의 각 바깥쪽과 대체로 동일한 형상을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3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의 측면판(13)에 아랫쪽을 향해 바깥쪽으로 돌출된 단차부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3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마개(12)가 사출수지와 이 사출수지 중에 매몰되는 라벨(92)이 인서트성형되어 만들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3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마개(12)의 중앙부가 윗쪽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3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마개(12)의 바깥가장자리가 용기본체(11)의 측면판(13) 하단부 바깥가장자리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시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KR10-1999-7005318A 1997-10-15 1998-10-14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KR100538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214897 1997-10-15
JP1997-282148 1997-10-15
JP1998-199310 1998-07-14
JP19931098A JP3746901B2 (ja) 1997-10-15 1998-07-14 開閉自在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476A KR20000069476A (ko) 2000-11-25
KR100538335B1 true KR100538335B1 (ko) 2005-12-22

Family

ID=26511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318A KR100538335B1 (ko) 1997-10-15 1998-10-14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51292B2 (ko)
EP (1) EP0952088B1 (ko)
JP (1) JP3746901B2 (ko)
KR (1) KR100538335B1 (ko)
CN (1) CN1103722C (ko)
AU (1) AU750230B2 (ko)
BR (1) BR9806319A (ko)
CA (1) CA2274659C (ko)
WO (1) WO1999019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2077B1 (en) 1998-11-09 2005-06-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EP1000577B1 (en) * 1998-11-09 2006-03-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container
EP1269997A1 (en) * 1999-04-13 2003-01-02 Beecham Pharmaceuticals (Pte) Limited Unit dosage comprising amoxicillin and clavulanate
ATE384007T1 (de) * 1999-09-06 2008-02-15 Uni Charm Corp Ein zu öffnender behälter
JP4565692B2 (ja) 1999-09-06 2010-10-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用容器およびその組合体
JP4598913B2 (ja) * 1999-09-06 2010-1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閉自在容器
USD443450S1 (en) 2000-03-30 2001-06-12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Dispenser
US6523690B1 (en) * 2000-03-30 2003-02-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 container with flexible orifice
US6412634B1 (en) * 2000-05-01 2002-07-02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Refillable towelette dispensing article
US6942118B2 (en) * 2000-08-14 2005-09-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US6585131B2 (en) 2001-05-31 2003-07-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orifice for wet wipes dispenser
US6766919B2 (en) 2001-05-31 2004-07-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orifice for wet wipes dispenser
US6592004B2 (en) 2001-05-31 2003-07-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orifice for wet wipes dispenser
TWI220647B (en) * 2001-05-31 2004-09-01 Kimberly Clark Co Flexible orifice for wet wipes dispenser
JP4606662B2 (ja) * 2001-08-03 2011-01-05 大王製紙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容容器の取出口構造
US7025220B2 (en) * 2002-01-04 2006-04-11 Scholle Corporation Fitment and package for storing fluid-contain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US6910579B2 (en) * 2002-05-28 2005-06-28 Georgia-Pacific Corporation Refillable flexible sheet dispenser
JP2004065269A (ja) * 2002-06-12 2004-03-04 Shotaro Mogami 衛生ティシュ
JP2006502062A (ja) * 2002-10-10 2006-01-19 シーエスピー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ストリップ等のための再封可能防湿容器
US7537137B2 (en) * 2002-10-10 2009-05-26 Csp Technologies, Inc. Resealable moisture tight container assembly for strips and the like having a lip snap seal
JP4837881B2 (ja) * 2003-01-14 2011-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付き容器
US7243816B2 (en) 2003-02-13 2007-07-17 Dart Industries Inc. Container with one-piece seal and lid spring
GB2411893B (en) * 2004-03-12 2007-03-21 Reckitt Benckiser Healthcare Packaging for a pharmaceutical product
DE102004040463A1 (de) * 2004-06-01 2005-12-29 Gerold Dr. Weinmann Vorrichtung zum Entsorgen eines Hygieneartikels
US7606632B2 (en) * 2004-06-16 2009-10-20 Cryovac,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activated monitoring devices
JP4791111B2 (ja) * 2004-09-22 2011-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ティッシュ繰り出し容器
WO2006045087A2 (en) * 2004-10-20 2006-04-27 Csp Technologies, Inc. Re-sealable moisture tight containers for strips and the like having alternative sealing mechanisms
US7340146B2 (en) * 2005-03-10 2008-03-04 Yazaki Corporation Dust shutter for an optical adapter
JP4769496B2 (ja) * 2005-06-10 2011-09-07 大王製紙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US7703621B2 (en) * 2005-08-25 2010-04-27 Union Street Brand Packaging Llc Moisture retention seal
US20070062964A1 (en) * 2005-09-20 2007-03-22 Item Source, Llc Reclosable container with easily openable closure
JP4808005B2 (ja) * 2005-10-31 2011-11-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二重包装体
US7922036B2 (en) * 2006-03-16 2011-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for dispensing wipes
US20070215632A1 (en) * 2006-03-16 2007-09-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erture for dispensing wipes
US20070235466A1 (en) * 2006-04-07 2007-10-11 Fulscher Ryan L Portable dispenser
US20070246390A1 (en) * 2006-04-21 2007-10-25 Guy & O'neill, Inc. Tub for wipes with resealable closure and printable back
US8245865B2 (en) 2006-05-16 2012-08-21 Nutek Disposables, Inc. Dispenser lid including a secondary lid and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US20080083758A1 (en) * 2006-06-12 2008-04-10 Kraft Foods Holdings, Inc. Push button flip top with attached second container
WO2008030920A2 (en) * 2006-09-06 2008-03-13 Csp Technologies, Inc. Non-round moisture-tight re-sealable containers with round sealing surfaces
US8100288B2 (en) 2006-09-06 2012-01-24 Csp Technologies, Inc. Non-round moisture-tight re-sealable containers with round sealing surfaces
WO2008067529A2 (en) * 2006-11-30 2008-06-05 Rockline Industries, Inc. Push button dispensing lid
US7614519B2 (en) * 2006-11-30 2009-11-10 Rockline Industries, Inc. Push button dispensing lid
KR100837067B1 (ko) 2007-03-16 2008-06-12 임장오 물티슈포대용 밀폐덮개
US20080251526A1 (en) * 2007-04-11 2008-10-16 Orval Lee Fick Modular storage bin
US20090050504A1 (en) * 2007-08-20 2009-02-26 Jeffrey James Stechschulte Array of Spatially Separated Wipes Products
WO2009063089A1 (en) * 2007-11-16 2009-05-22 Airsec S.A.S. Container
US20090289078A1 (en) * 2008-05-22 2009-11-26 Scott Melin Wipes Dispenser With Improved Dispenser Opening
JP5512116B2 (ja) * 2008-11-14 2014-06-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閉自在容器
US20100122985A1 (en) * 2008-11-14 2010-05-20 Peters Timothy J Dispenser for Personal Care Products With a Wide Lid-Activation Button
JP5078096B2 (ja) * 2008-12-05 2012-11-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付き容器
US8540115B2 (en) * 2009-03-05 2013-09-24 Csp Technologies, Inc. Two-shell and two-drawer containers
US20100230302A1 (en) * 2009-03-16 2010-09-16 Simplehuman Llc Dispensing box cover
AU2010202571B2 (en) 2009-07-29 2015-10-01 Mcneil-Ppc, Inc. Packaging
JP4516153B1 (ja) * 2009-10-23 2010-08-04 広慶 藤本 シート収納箱
JP5486355B2 (ja) * 2010-03-08 2014-05-07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ウエットティシュ収納容器
US20110253168A1 (en) * 2010-04-16 2011-10-20 Chia-Te Chen Cosmetic casing assembly
WO2012009593A1 (en) * 2010-07-16 2012-0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ipes product
US8844745B2 (en) * 2010-08-30 2014-09-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enser with a wide lid-activation button having a stabilizing rib
JP5912288B2 (ja) * 2010-11-25 2016-04-27 山田 菊夫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US8944279B2 (en) * 2010-12-22 2015-02-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 dispenser with improved arc-shaped dispensing partition
US20120261436A1 (en) * 2011-04-13 2012-10-18 Michael Sean Farrell Apparatuses for dispensing a paper product and another item
US8689978B2 (en) * 2011-11-03 2014-04-08 Berlin Packaging, Llc Hinged container holder for medication cards
KR101408146B1 (ko) * 2011-12-14 2014-06-17 이승현 티슈용 포장팩
JP6134115B2 (ja) 2012-09-25 2017-05-24 凸版印刷株式会社 収納容器
US20140091103A1 (en) * 2012-10-02 2014-04-03 Rockline Industries, Inc. Lid
KR101362648B1 (ko) * 2013-03-28 2014-02-12 김광식 상부 토출용 식품 또는 약품 디스펜서
MX2015013772A (es) * 2013-03-28 2016-02-29 Hershey Co Contenedor hermetico.
US8915358B2 (en) 2013-03-29 2014-12-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s dispenser with lid positioning feature
CN103251345A (zh) * 2013-04-27 2013-08-21 洪赛芹 抽纸盒
JP5723437B2 (ja) * 2013-12-27 2015-05-27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ウエットティシュ収納容器に装着する外装体
JP6256034B2 (ja) * 2014-01-20 2018-01-1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ピッチャー型浄水器
US9944439B2 (en) * 2014-03-06 2018-04-17 Helen Of Troy Limited Container lid
US10737812B2 (en) * 2014-10-31 2020-08-11 Primapak, Llc Flexible packaging having a lid fitm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6478839B2 (ja) * 2015-06-30 2019-03-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構造体
US10124937B2 (en) 2015-09-03 2018-11-13 Helen Of Troy Limited Lid assembly for drinking cup with integral hinge mount for cap
US10329077B2 (en) * 2015-10-01 2019-06-25 Currier Plastics, Inc. Closure assembly and method for opening
CN108602599B (zh) * 2015-11-04 2019-11-05 凸版印刷株式会社 栓嘴及具有栓嘴的薄膜制容器
CN108778941B (zh) 2016-03-04 2020-10-23 Csp技术公司 容器及盖
CA3036910A1 (en) 2016-09-22 2018-03-29 Berry Global, Inc. Fitment
US10577156B2 (en) 2016-11-11 2020-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systems
US10793324B2 (en) * 2016-11-11 2020-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systems
US10501239B2 (en) 2016-11-11 2019-1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systems
JP6738260B2 (ja) * 2016-11-11 2020-08-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機構、包装体及び分与容器
JP6510696B1 (ja) * 2018-03-05 2019-05-08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6975670B2 (ja) * 2018-03-29 2021-12-01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2019199290A (ja) * 2018-05-18 2019-11-21 戎屋化学工業株式会社 蓋付き容器
JP6975693B2 (ja) * 2018-07-31 2021-12-01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7237548B2 (ja) * 2018-11-30 2023-03-13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7157705B2 (ja) * 2019-06-03 2022-10-20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7241607B2 (ja) * 2019-06-03 2023-03-17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WO2021054447A1 (ja) * 2019-09-18 2021-03-25 株式会社マーナ 密閉容器
JP7014833B2 (ja) * 2020-02-14 2022-02-01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043U (ko) * 1976-08-17 1978-03-10
JPH0958725A (ja) * 1995-06-15 1997-03-04 Uni Charm Corp 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6479A (en) * 1973-10-11 1976-10-19 Colgate-Palmolive Company Pre-moistened towelette dispenser
US3905356A (en) * 1974-05-15 1975-09-16 Nasa Subminiature insertable force transducer
JPS5810420B2 (ja) 1974-06-04 1983-02-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ンタイトソウヨウジユシソセイブツノ セイゾウホウ
JPS5556109Y2 (ko) * 1974-06-08 1980-12-26
US3967756A (en) * 1975-06-09 1976-07-06 Johnson & Johnson Wet wipe dispenser
US3982659A (en) 1975-12-24 1976-09-28 Scott Paper Company Bulk package for substantially wet sheets and dispensing device therefor
JPS5328043A (en) 1977-07-09 1978-03-15 Nippon Steel Corp Process for forming insulating coating on directional silicon steel
JPS54106940U (ko) * 1978-01-13 1979-07-27
JPS54106940A (en) 1978-02-08 1979-08-22 Masahiro Kobayashi Stove that have desulfurization effect
JPS5815303Y2 (ja) * 1978-02-17 1983-03-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連続紙の取出し容器
JPS54123941A (en) 1978-03-18 1979-09-26 Nippon Columbia Electroacoustic converter vibrator
AU520623B2 (en) * 1978-06-12 1982-02-11 Unilever Aust. Propietary Ltd. Dispensing container
JPS57118795U (ko) * 1981-01-14 1982-07-23
JPS5854794B2 (ja) 1981-01-16 1983-12-06 東京理化器械株式会社 エタノ−ルの製造方法
JPS5946698U (ja) * 1982-09-18 1984-03-28 株式会社日立工機原町 食肉スライサ−の肉箱駆動装置
JPS61147751A (ja) 1984-12-17 1986-07-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マチユアの絶縁処理方法
JPH0417505Y2 (ko) * 1985-03-06 1992-04-20
US4741452A (en) * 1985-05-02 1988-05-03 Ekco Products, Inc. Domed container with interlocking resilient flanges
JPS624212U (ko) * 1985-06-25 1987-01-12
JPS624212A (ja) 1985-06-28 1987-01-10 Catalysts & Chem Ind Co Ltd 化粧品組成物
JPS63192292A (ja) 1987-02-04 1988-08-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リント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S63192292U (ko) * 1987-05-30 1988-12-12
US4887747A (en) * 1988-06-08 1989-12-19 Seaquist Closures, A Division Of Pittway Corporation Two-piece, snap-action closure
JPH021376A (ja) * 1988-06-10 1990-01-05 Canon Inc 転写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H021376U (ko) * 1988-06-15 1990-01-08
JP2644534B2 (ja) 1988-07-19 1997-08-25 タバイエスペック株式会社 恒温器
JPH059325Y2 (ko) * 1988-08-24 1993-03-08
FR2659627B1 (fr) * 1990-03-15 1992-05-22 Rg Plastiques Couvercle de barquette en matiere plastique.
JPH04117722A (ja) 1990-09-06 1992-04-17 Seiko Epson Corp プルダウン付入力回路
JPH084265Y2 (ja) * 1991-04-02 1996-02-07 日プラ株式会社 ラベルインサート成形用金型
JP3426257B2 (ja) * 1991-08-27 2003-07-1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走査式描画装置
US5353946A (en) * 1993-07-26 1994-10-11 Church & Dwight Co., Inc. Container with reclosable lid latch
AU1260895A (en) * 1993-12-06 1995-06-27 Thompson Minwax Company, The Container with hinged lid for paint
JPH0880980A (ja) * 1994-09-12 1996-03-26 Uni Charm Corp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
US5582314A (en) * 1995-01-13 1996-12-10 Flotool International, Inc. Latch device for container cap assembly
ES1035583Y (es) * 1996-11-08 1997-10-16 Arbora Holding S A Estuche contenedor de articulos laminares con cierre de apertura facil y medios de extraccion de los articulos uno a uno.
US5887744A (en) * 1997-08-01 1999-03-30 Sanypick, S.A. Closure and hinge system for waste-containing cases and implement for inspection opening
US6206221B1 (en) * 1997-09-08 2001-03-27 Uni-Charm Corporation Cover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043U (ko) * 1976-08-17 1978-03-10
JPH0958725A (ja) * 1995-06-15 1997-03-04 Uni Charm Corp 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46901B2 (ja) 2006-02-22
CN1247515A (zh) 2000-03-15
JPH11180460A (ja) 1999-07-06
CA2274659C (en) 2007-11-20
BR9806319A (pt) 2000-03-14
AU9461098A (en) 1999-05-03
EP0952088A4 (en) 2000-11-02
WO1999019227A1 (fr) 1999-04-22
EP0952088A1 (en) 1999-10-27
US6951292B2 (en) 2005-10-04
CA2274659A1 (en) 1999-04-22
AU750230B2 (en) 2002-07-11
CN1103722C (zh) 2003-03-26
KR20000069476A (ko) 2000-11-25
US20020017522A1 (en) 2002-02-14
EP0952088B1 (en)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335B1 (ko) 힌지개폐식 두껑을 가진 수납용기
KR100458115B1 (ko) 물티슈수납용기 및 그 조합체
KR100490872B1 (ko) 개폐가 용이한 용기
EP0950615B1 (en) Covering device
KR101577854B1 (ko) 개폐가 자유로운 용기
AU709893B2 (en) Container for wetted tissues
KR101623613B1 (ko) 개폐 가능한 용기
EP3831743A1 (en) Household thin paper sheet storing container
JP3962410B2 (ja) 蓋装置
JP4523202B2 (ja) 開閉自在容器
JP4431206B2 (ja) 開閉自在容器
JP2018083656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JP3875376B2 (ja) 蓋装置
JP3839763B2 (ja) 蓋装置
JPH08143072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の取出口構造
JP4408459B2 (ja) 蓋装置
JP4276709B2 (ja) 蓋装置
JPH1179216A (ja) 蓋装置
WO2021161888A1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4500381B2 (ja) 開閉自在容器
JP2000025805A (ja) 開閉自在容器
JP2022111595A (ja) 衛生用薄葉紙収納容器
JP2021070484A (ja) 収納容器
JPH1179215A (ja) 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