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304B1 -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 박스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 박스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304B1
KR100513304B1 KR10-2002-0078527A KR20020078527A KR100513304B1 KR 100513304 B1 KR100513304 B1 KR 100513304B1 KR 20020078527 A KR20020078527 A KR 20020078527A KR 100513304 B1 KR100513304 B1 KR 100513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group
region
interlayer insulating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0663A (ko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8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304B1/ko
Priority to US10/731,270 priority patent/US7009274B2/en
Publication of KR2004005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304B1/ko
Priority to US11/316,489 priority patent/US7402464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 H01L23/5256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comprising fuses, i.e. connections having their state changed from conductive to non-conductive
    • H01L23/525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comprising fuses, i.e. connections having their state changed from conductive to non-conductive the change of state resulting from the use of an external beam, e.g. laser beam or ion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퓨즈박스는 퓨즈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과, 상기 퓨즈 영역내의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배치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갖는 하부배선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배선의 상부에 상기 하부배선의 제 1 영역과 중첩되도록 상부배선이 배치된다. 상기 상부배선의 상부에 퓨즈가 배치되고 상기 퓨즈는 상기 하부배선의 상기 제 2 영역 및 상기 상부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하부배선 및 상부배선 사이에는 하부 층간 절연막이 게재되고, 상기 상부배선 및 상기 퓨즈 사이에는 상부 층간 절연막이 게재된다. 상기 퓨즈는 상기 상부 층간 절연막상에 형성된다. 상기 퓨즈의 양 단들은 각각 하부 층간절연막 및 상부 층간 절연막을 관통하는 콘택 홀 홀들을 통하여 상기 하부배선의 제 2 영역 및 상기 상부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 박스및 그 제조방법 { A FUSE BOX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FABRICATION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반도체 기억장치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반도체 기억장치들(칩들)은 어셈블리 공정전에 전기적으로 테스트된다. 그 결과,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들은 불량 칩들 또는 양호한 칩들로 분류된다. 상기 불량 칩들이 적어도 하나의 불량 셀에 의해 오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불량 셀은 리페어 공정을 사용하여 여분의 셀(REDUNDANT CELL)로 대체된다.
상기 리페어 공정은 쓰기 모드 및 읽기 모드에서 상기 여분의 셀이 불량 셀의 어드레스(ADDRESS)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퓨즈들을 커팅하는 레이저 빔 조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퓨즈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타가 전송되는 비트라인들과 동시에 형성된다 . 또한, 상기 비트라인들은 통상적으로 금속배선들의 하부에 형성된다. 특히, 디램과 같은 반도체 기억장치는 상기 금속배선들 및 상기 비트라인들 사이에 셀 커패시터들이 게재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퓨즈들의 상부에 적층되는 층간 절연막들의 총 두께는 1㎛ 보다 클 수 있다.
도 1a 는 종래 기술의 퓨즈 박스(FUSE BOX)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a 를 참조하면, 퓨즈 박스(60)는 일렬로 배열된 소정 개수의 퓨즈(15)들과, 상기 퓨즈 박스(60)의 영역을 구분짓도록 플레이트 배선(25)과 콘택 홀(CONTAC T, 40)과 상부 메탈 배선(45)으로 형성된 가드 링(GUARD RING, 47)및 상기 퓨즈박스(60)에 형성된 창(窓, 5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퓨즈 박스(60)는 상기 퓨즈(15)들을 오픈하기 위해서 창(窓, 55)을 갖는데 이는 공정적으로 반도체 기판에 증착된 다층 절연막들(도면에 미 도시)과 플레이트 배선(25)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를 식각하기 위한 창(窓, 55)이다.
그러나, 반도체 기억장치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퓨즈(15)들 사이의 간격들은 점점 감소하고 있다. 이 경우에, 선택된 하나의 퓨즈(15)를 레이저 빔 (LASER BEAM, 도면에 미 도시)을 사용하여 커팅할때에 인접한 다른 퓨즈(15)들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퓨즈(15)의 피치를 증가시켜야 한다.
결과적으로, 퓨즈(15)들이 배열된 퓨즈 박스(60)가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되어 반도체 기억장치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데 제약이 따른다.
도 1b 내지 도 1d 는 도 1a 의 Ⅰ-Ⅰ' 에 따라 취해진 종래의 퓨즈 박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b 및 도 1c 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5) 상에 제 1 절연막(1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절연막(10)의 소정영역 상에 서로 평행한 복수개의 퓨즈(15)들을 형성한다. 상기 퓨즈(15)들은 셀 어레이 영역내의 비트라인들(도면에 미 도시)과 동일한 도전막으로 형성된다. 상기 퓨즈(15)들은 통상적으로 텅스텐 폴리사이드막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퓨즈(15)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의 전면상에 제 2 절연막(2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절연막 상에 도전막 패턴들(25a, 25b)을 형성 한다. 상기 도전막 패턴들(25a, 25b)은 상기 셀 어레이 영역내의 플레이트 전극(도면에 미 도시)과 동일한 도전막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전막 패턴들(25a, 25b)은 도우핑된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전막 패턴들(25a, 25b)은 평면적으로 보여질 때에 상기 퓨즈(15)들의 소정 영역들을 둘러싸는 퓨즈영역을 한정하는 도 1a 에 환형의 도전막(25)인 제 1 도전막 패턴(25a), 및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25a)과 분리되어 상기 퓨즈영역을 덮는 제 2 도전막 패턴(25b)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막 패턴들(25a, 25b)을 갖는 상기 반도체 기판(5)의 전면상에 제 3 절연막(30) 및 제 4 절연막(35)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제 4 절연막(35) 및 제 3 절연막(30)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25a)을 노출시키는 환형의 콘택 홀(40)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콘택 홀(40)을 갖는 상기 반도체 기 판(5)상에 상기 콘택 홀(40)을 덮는 환형의 상부 메탈배선(45)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메탈배선(45)은 상기 콘택 홀(40)을 통하여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25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막 패턴(25a)및 상기 상부 메탈배선(45)은 도 1a 에 보여진 가드링(47)을 구성한다. 상기 가드링(47)을 갖는 상기 반도체 기판(5)의 전면상에 패시베이션막과 같은 제 5 절연막(50)을 형성한다. 상기 제 5 절연막(50)은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퓨즈(15)들상 에 여러개의 절연막들이 적층되어 레이저 빔(LASER BEAM)을 사용하여 상기 퓨즈(5)들을 커팅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도 1d 를 참조하면, 상기 제 5 절연막(50), 제 4 절연막(35), 제 3 절연막 (30), 제 2 도전막 패턴(25b) 및 제 2 절연막(20)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가드링(47)내에 오픈된 창(55)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퓨즈(15)들의 소정영역들 상에 레이저 빔(LASER BEAM)의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는 적절한 두께의 절연막이 잔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퓨즈(15)들 상에 잔존하는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반도체 기판(5)의 전체에 걸쳐서 불균일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창(55)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공정이 상기 반도체 기판(5)의 전체에 걸쳐서 불균일한 식각률을 보일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제 2 내지 제 5 절연막(20, 30, 35, 50)들의 전체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식각률은 더욱 불균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기판(5)의 전체에 걸쳐서 상기 퓨즈(15)들 상에 균일한 두께를 갖는 상기 제 2 절연막(20)을 잔존시키는 것이 어렵다. 그 결과, 성공적인 리페어(REPAIR) 공정을 달성하기가 어렵다.
한편, 미국공개특허공보 제 2002/0014680 호(U.S LAID-OPEN PATENT No. 200 2/0014680)에 의해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 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이라는 제목으로 이사오 토토리(ISAO TOTTORI)에 의해 퓨즈들 및 그 형성방법이 개시된 바있다.
상기 미국공개특허공보 제 2002/0014680 호에 따르면,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내 형성된 상기 메탈 퓨즈는 게이트의 소오스과 드레인(SOURCE, DRAIN) 영역과 접촉되어 반도체 기판에서부터 레이저 커팅(CUTTING)이 될 퓨즈까지 모두 메탈 배선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탈 배선들은 텅스텐(W)들과 알루미늄(Al)들의 접촉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퓨즈 커팅은 반도체 기억장치에 인가된 전류(CURRENT)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
상기 전류의 이용은 기존의 레이저 빔(LASER BEAM)에 대한 인접 퓨즈의 어텍과 상기 퓨즈 커팅시에 상기 퓨즈의 상부로 절연막 두께가 컨트롤되지 않아서 끊어지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메탈 배선으로 상기 퓨즈의 구성은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의 제조 원가를 높일 수 있고, 상기 메탈들과 상기 반도체 기판과의 직접적인 접촉은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에 금속 오염의 가능성을 높여서 상기 반도체 기억장치의 퍼포먼스를 저하시킬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레이저 커팅의 균일도를 개선시키기에 적합한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퓨즈상에 잔존하는 절연막의 두께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퓨즈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시킬수 있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 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퓨즈박스는 퓨즈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과, 상기 퓨즈영역내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배치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갖는 하부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배선의 상부에 상기 하부배선의 상기 제 1 영역과 중첩되도록 상부배선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배선의 상부에 퓨즈가 배치된다. 상기 퓨즈는 상기 하부배선의 상기 제 2 영역 및 상기 상부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퓨즈는 메탈 배선으로 배치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배선은 상기 퓨즈 영역내에서 외부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퓨즈박스는 상기 하부배선및 상기 상부배선 사이에 하부 층간절연막을 개재하고, 상기 상부배선 및 상기 퓨즈 사이에 개재된 상부 층간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퓨즈의 일 단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1 퓨즈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상부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퓨즈의 타 단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2 퓨즈 콘택 홀을 통하여 상기 상부배선의 제 2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상기 퓨즈박스는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의 소정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배선의 제 2 영역과 접촉하는 퓨즈패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퓨즈의 일 단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1 퓨즈 콘택 홀을 통하여 상기 상부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퓨즈의 타 단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2 퓨즈 콘택 홀을 통하여 상기 퓨즈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퓨즈박스는 상기 상부배선과 상기 퓨즈패드의 상부에 형성되어 분리된 플레이트 배선들과 플레이트 패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퓨즈의 일 단은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 중에 선택된 하나와 상기 상부배선에 접촉되고 상기 퓨즈의 타 단은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 중에 선택된 다른 하나와 상기 상부배선및 상기 하부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퓨즈 패드는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상부배선과 이격되고 상기 상부배선과 동일한 막이고,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플레이트 배선들과 이격되고 상기 플레이트 배선들과 동일한 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퓨즈박스는 퓨즈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과, 상기 퓨즈영역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 제 1 및 제 2 그룹의 평행한 하부배선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각각은 상기 퓨즈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 1 영역 및 상기 퓨즈영역의 중심에 가까은 제 2 영역을 가지면서 상기 퓨즈영역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은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연장선들 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각각은 상기 퓨즈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 1 영역 및 상기 퓨즈영역의 중심에 가까운 제 2 영역을 가지면서 상기 퓨즈영역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상부에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상기 제 1 영역들과 중첩되도록 제 1 그룹의 상부배선들이 배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상부에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상기 제 1 영역들과 중첩되도록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그룹의 상부배선들의 상부에 제 1 그룹의 퓨즈들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그룹의 퓨즈들의 각각은 그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의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그룹의 상부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의 상부에 제 2 그룹의 퓨즈들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그룹의 퓨즈들의 각각은 그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배선의 제 2 영역 및 상기 제 2 그룹의 상부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퓨즈들은 메탈 배선들로 배치하고,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 및 상부배선들 각각은 상기 퓨즈영역내의 일 측에서 외부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 및 상부배선들 각각은 상기 퓨즈영역내의 타 측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 및 상부배선들 각각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퓨즈박스는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과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 사이에 하부 층간 절연막을 개재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 및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퓨즈들 사이에 개재된 상부 층간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퓨즈들의 일 단들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1 퓨즈 콘택 홀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퓨즈들의 타 단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2 퓨즈 홀들을 통하여 상기 하부배선들의 제 2 영역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상기 퓨즈박스는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의 소정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제 2 영역들과 접촉하는 퓨즈패드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퓨즈들의 일 단들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상기 제 1 퓨즈 콘택 홀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퓨즈들의 타 단들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2 퓨즈 콘택 홀들을 통하여 상기 퓨즈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퓨즈박스는 상기 제 1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 각각의 상부와 상기 퓨즈패드들 각각의 상부에 분리되어 형성된 플레이트 배선들과 플레이트 패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 1 그룹의 퓨즈들 각각의 일 단은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 중에 선택된 하나와 상기 제 1 그룹의 상부배선들 각각에 접촉되고 상기 제 1 그룹의 퓨즈들 각각의 타 단은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 중에 선택된 다른 하나와 상기 퓨즈패드들 각각및 상기 하부배선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퓨즈박스에서 상기 제 2 그룹의 퓨즈들 각각의 일 단은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 중에 선택된 하나와 상기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 각각에 접촉되고 상기 제 2 그룹의 퓨즈들 각각의 타 단은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 중에 선택된 다른 하나와 상기 퓨즈 패드들 각각및 상기 하부배선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퓨즈패드들 각각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 각각과 이격되고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과 동일한 막이고,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 각각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플레이트 배선들 각각과 이격되고 상기 플레이트 배선들 각각과 동일한 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 박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퓨즈 박스의 제조방법은 퓨즈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것과,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상기 퓨즈영역내로 연장된 하부배선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배선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의 전면상에 하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퓨즈영역내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배선과 중첩된 상부배선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배선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의 전면상에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퓨즈영역내의 상기 하부 및 상부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퓨즈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퓨즈박스의 제조방법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에 제 1 콘택 홀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배선의 소정부분을 노출한다.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상에 상기 상부배선과 이격되고 상기 제 1 콘택 홀을 채우는 퓨즈 패드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상에 상기 퓨즈를 상기 상부배선과 상기 퓨즈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부분은 퓨즈 영역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에 형성하고, 상기 퓨즈는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커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퓨즈 박스의 제조방법은 퓨즈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것과, 상기 퓨즈영역내의 일 측에 제 1 그룹의 평행한 하부배선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퓨즈영역내의 타측에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연장선들 상에 위치하는 제 2 그룹의 평행한 하부배선들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각각은 상기 퓨즈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 1 영역 및 상기 퓨즈영역의 중심에 가까운 제 2 영역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을 갖는 반도체 기판의 전면상에 하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제 1 영역과 중첩되는 제 1 그룹의 평행한 상부배선들 및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제 1 영역들과 중첩된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을 갖는 반도체 기판의 전면상에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들과 중첩되는 제 1 그룹의 퓨즈들 및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과 중첩되는 제 2 그룹의 퓨즈들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그룹의 퓨즈들의 각각의 양 단은 각각 그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그룹의 상부배선 및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그룹의 퓨즈들의 각각의 양 단들은 각각 그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그룹의 상부배선 및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퓨즈박스 제조방법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에 제 1 콘택 홀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의 소정부분들을 노출하고,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상에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과 이격되고 상기 제 1 콘택 홀을 채우는 퓨즈 패드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퓨즈박스 제조방법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상에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퓨즈들을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과 상기 퓨즈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부분들은 상기 퓨즈 영역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들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퓨즈들은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커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 박스및 그 형성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퓨즈박스의 평면도들이고 또한, 도 2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박스의 하부배선들및 제 1 콘택 홀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a 를 참조하면, 퓨즈 영역의 일 측(C)으로부터 하나의 하부배선(109a)을 퓨즈 영역(101)내로 연장시켜서 상기 퓨즈 영역(101)의 상기 일 측(C)을 가로지르는 소정 개수로 된 제 1 그룹의 하부배선(109a)들을 배치시키고, 상기 퓨즈 영역(101)의 일 측(C)과 마주보는 상기 퓨즈 영역(101)의 타측(D)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하부배선(109b)을 퓨즈 영역(101)내로 연장시켜서 상기 퓨즈 영역(101)의 타측(D)을 가로지르는 소정 개수로 된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b)들을 배치시킨다.
또한,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a, 109b)들 상면에는 제 1 콘택 홀(118a, 118b)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콘택 홀(118a, 118b)들은 상기 퓨즈 영역(101)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들에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a, 109b)들은 각각이 제 1 영역(A)과 제 2 영역(B)으로 구분되어진다.
도 2b 는 도 2a 의 퓨즈박스에 상부배선들과 제 2 콘택 홀들및 플레이트 배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b 를 참조하면, 퓨즈 영역(101)의 일 측(C)에 제 1 그룹의 하부배선(109a)들의 어레이(ARRAY) 상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109a)들에 중첩되는 제 1 그룹의 상부배선(121a)들과 퓨즈패드(121b)들을 배치하여 상기 퓨즈 패드(121b)들을 제 1 콘택 홀(118a)들과 접촉시키고 또한, 동시에 퓨즈 영역(101)의 타 측(D)에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b)들의 어레이(ARRAY) 상에서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b)들에 중첩되는 제 2 그룹의 상부배선(121d)들과 퓨즈패드(121c)들을 배치하여 상기 퓨즈 패드(121c)들을 제 1 콘택 홀(118b)들과 접촉시키다.
상기 퓨즈 영역(101)을 둘러싸는 플레이트 배선(127)을 배치시키고,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121a, 121d)들의 상부면들과 상기 퓨즈 패드(121b, 121c)들의 상부면들에 제 1 퓨즈 홀과 제 2 퓨즈 홀(133a, 133b)들을 배치시킨다.
상기 제 1 퓨즈 홀과 제 2 퓨즈 홀(133a, 133b)들은 상기 퓨즈 영역(101)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들과 상기 퓨즈 영역(101)의 근처 영역들에 배치시켜서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121a, 121d)들과 상기 퓨즈 패드(121b, 121c)들과 접촉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121a, 121d)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a, 109b)들 각각의 제 1 영역(A)에 중첩되고, 상기 퓨즈패드(121b, 121c)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a, 109b)들 각각의 제 2 영역(B)에 있는 제 1 콘택 홀(118a, 118b)들 각각의 상부면에 중첩되게 배치시킨다.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121a, 121d)들은 상기 플레이트 배선(127)의 하부에 놓이도록 하여 퓨즈배선(도면에 미 도시)에 대한 노드(NODE)로 사용하고, 상기 플레이트 배선(127)은 가드 링(GUARD RING, 도면에 미 도시)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해준다.
상기 가드링은 상기 퓨즈 영역(101)을 통하여 습기(HUME)를 포함한 외부의 오염원이 침투하는 것을 인위적으로 막기위한 버퍼(BUFFER) 막이다.
도 2c 는 도 2b 의 퓨즈박스에 퓨즈들과 제 2 콘택 홀들및 제 2 메탈 배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c 를 참조하면, 퓨즈 영역(101)의 일 측(C) 및 타 측(D)에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a, 109b)들, 제 1 콘택 홀(118a, 118b)들, 퓨즈패드(121b, 121c)들,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121a, 121d)들, 제 1 퓨즈 홀과 제 2 퓨즈 홀(133a, 133b)들로 이루어진 어레이(ARRAY)에서 하부 메탈 배선들은 상기 제 1 내지 제 2 퓨즈 홀(133a, 133b)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상부배선(121a, 121d)들과 상기 퓨즈패드(121b, 121c)들에 접촉하여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퓨즈(135a, 135b)들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퓨즈(135a, 135b)들은 상기 제 1 콘택 홀(118a, 118b)들, 상기 제 1 내지 제 2 퓨즈 홀(133a, 133b)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a, 109b)들과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121a, 121-1)들 및 상기 퓨즈패드(121b, 121c)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퓨즈 영역(101)을 에워싸는 플레이트 배선(127)상에 제 2 콘택 홀(141) 형성과 상기 제 2 콘택 홀(141)에 상부 메탈 배선(145)을 형성하여 가드링(147)을 배치시킨다.
상기 제 2 콘택 홀(141)은 상기 플레이트 배선(127)보다 작은 폭으로 하여 상기 플레이트 배선(127)을 따라서 형성시키고, 상기 상부 메탈배선(145)은 상기 제 2 콘택 홀(141)보다 큰 폭으로 하여 상기 제 2 콘택 홀(141)을 따라서 형성시킨다.
도 2d 는 도 2c 의 퓨즈박스에 퓨즈들이 오픈된 창(窓)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d 를 참조하면, 도 2c 의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a, 109b)들에 배치된 제 1 콘택 홀(118a, 118b)들,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121a, 121d)들과 퓨즈 패드(121a, 121b)들에 배치된 제 1 퓨즈 홀과 제 2 퓨즈 홀(133a, 133b)들, 하부 메탈배선으로 형성된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퓨즈(135a, 135b)들, 플레이트 배선(127)에 형성된 제 2 콘택 홀(141) 및 상부 메탈 배선(145)을 배치하여 형성된 가드 링(GUARD RING, 147)을 구비한 퓨즈 박스(160)에서, 상기 상부 메탈배선(145)을 감싸는 오픈된 창(窓, 151)을 형성시킨다.
상기 창(151)은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퓨즈(135a, 135b)들을 공정적으로 오픈하기 위해서 상기 퓨즈영역(101)에 형성시킨 창(窓)이다.
왜냐하면, 상기 창(151)은 레이저 빔(LASER BEAM, 도면에 미 도시)으로 상기 퓨즈들중에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퓨즈(135a, 135b)들이 커팅(CUTTING)되지 않을 우려를 불식(拂拭)시키기 위해서 형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다른 퓨즈박스는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퓨즈(135a, 135b)들 각각은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a, 109b)들 각각의 제 2 영역(B)에서 상기 퓨즈패드(121b, 121c)들 각각에 접촉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a, 109b)들 각각의 제 2 영역에 접촉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퓨즈(135a, 135b)들 각각은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 각각의 제 1 영역(A)에서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121a, 121d)들 각각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 각각의 제 2 영역(B)에서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a, 109b)들 각각에 연결시켜진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퓨즈박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d 는 도 2a 내지 도 2d 를 Ⅱ-Ⅱ' 에 따라 취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a 및 도 3a 를 참조하면, 도 2a 의 퓨즈 영역(101) 내부와 외부에 배치된 패턴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반도체 기판(100)상에 소정거리로 이격되고 제 1 영역(A)과 제 2 영역(B)을 갖는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a, 109b)들, 상기 하부배선(109a, 109b)들과 상기 반도체 기판(100)상에 제 1 절연막(112)을 증착및 식각하여 스페이서(SPACER)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막(112)과 상기 반도체 기판(100)에 제 2 절연막(115)을 증착시키고, 상기 제 1 내지 제 2 절연막(112, 115)에 제 1 콘택 홀(118a, 118b)들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배선(109a, 109b)들의 제 2 영역(B)들을 일부 노출시킨다.
상기 하부배선(109a, 109b)들은 도 2a 의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a, 109b)들중에 상기 퓨즈 영역(101)의 일 측(C)과 타 측(D)으로부터 각기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선택된 한 쌍이다.
즉, 상기 하부배선(109a)은 상기 퓨즈 영역(101)내에서 일측(C)의 외부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하부배선(109b)은 상기 퓨즈 영역(101)내에서 타측(D)의 외부로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로, 상기 제 1 내지 제 2 절연막(112, 115)을 통칭해서 하부 층간절연막(117)이라 명명한다.
상기 하부배선(109a, 109b)들 각각은 게이트 폴리 실리콘막(103)과 텅스텐 실리사이드(WSi, 106) 막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게이트 폴리 실리콘막(103)을 포함한 다른 금속 실리사이드(METAL SILICIDE) 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b 및 도 3b 를 참조하면, 도 2b 의 퓨즈 영역(101) 내부, 외부에 배치된 패턴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3a 의 결과물을 갖는 반도체 기판상에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121a, 121d)들과 두 개의 퓨즈 패드(121b, 121c)들을 형성시키고, 상기 상부배선(121a, 121d)들과 퓨즈 패드(121b, 121c)들 및 제 2 절연막 상에 제 3 절연막(124)을 증착시킨다. 또한, 상기 제 3 절연막(124)에 플레이트 배선(127a, 127b)들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 3 절연막(124)과 상기 플레이트 배선(127a, 127b)들에 제 4 절연막(130)을 형성시킨다. 상기 제 3 내지 제 4 절연막(124, 130)에 네 개의 콘택 홀들을 형성시켜서 상기 상부배선(121a, 121d)들 각각의 상면을 노출시킨다.
상기 퓨즈 패드(121b, 121c)들은 하부 배선(109a, 109b)들의 제 2 영역(B)들에서 제 1 내지 제 2 절연막(112, 115)을 관통하는 제 1 콘택 홀(118a, 118b)들을 통하여 상기 하부배선(109a, 109b)들과 연결된다.
상기 상부배선(121a, 121d)들은 상기 하부배선(109a, 109b)들의 제 1 영역(A)에서 상기 하부배선(109a, 109b)들과 중첩되고, 상기 플레이트 배선(127a, 127b)들은 도 2b 에의 플레이트 배선(127)을 Π-Π' 로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형태로서 도 2b 와 같이 환형으로 된 일체이다.
상기 네 개의 콘택 홀들은 도 2b 에 퓨즈 영역(101)의 일 측(C)에서 상기 상부배선(121a, 121d)들중에 선택된 하나(121a)의 상면과 상기 퓨즈패드(121b, 121c)들중에 선택된 하나(121b)의 상면을 노출시켜서 제 1 퓨즈 홀(133a)을 형성하고 또한, 동시에 상기 퓨즈 영역(101)의 타 측(D)에서 상기 상부배선(121a, 121d)들중에 선택된 하나(121d)의 상면과 상기 퓨즈패드(121b, 121c)들중에 선택된 하나(121c)의 상면을 노출시켜서 제 2 퓨즈 홀(133b)을 형성시킨다.
상기 상부배선(121a)과 상기 하부배선(109a)은 상기 퓨즈 영역(101)내에서 일측(C)의 외부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상부배선(121d)과 상기 하부배선(109b)은 상기 퓨즈 영역(101)내에서 타측(D)의 외부로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배선(121)들 각각은 도핑된 폴리 실리콘막과 텅스텐 실리사이드 막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도핑된 폴리 실리콘막과 다른 금속 실리사이드 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텅스텐(W) 막으로도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 배선(127)은 도핑된 폴리 실리콘막으로 형성되며 또한, 가드 링(GUARD RING, 도면에 미 도시)의 형성시에 지지판 역할을 해준다.
도 2c 및 도 3c 를 참조하면, 도 2c 의 퓨즈 영역(101) 내부, 외부에 배치된 패턴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3b 의 결과물을 갖는 반도체 기판(100)상에 하부 메탈배선으로 제 1 퓨즈 홀과 제 2 퓨즈 홀(133a, 133b)을 매립하여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퓨즈(135a, 135b)들을 형성시키고, 상기 퓨즈(135a, 135b)들과 상기 제 4 절연막(130) 상에 제 5 절연막(138)을 증착시킨다. 또한, 상기 제 4 내지 제 5 절연막(130, 138)에 제 2 콘택 홀(141a, 141b)들을 관통하여 플레이트 배선(127a, 127b)들을 노출시키고, 상기 제 2 콘택 홀(141a, 141b)들을 상부 메탈배선(145a, 145b)으로 매립시켜서 도 2c 의 가드링(GUARD RING, 147)들을 형성시킨다.
상기 퓨즈 영역(101)의 일 측(C)에 형성된 퓨즈(135a)는 상기 제 1 퓨즈 홀(133a)의 양 단을 통해서 일 단은 상부배선(121a)에 접촉되어지고, 타 단은 퓨즈패드(121b)에 연결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퓨즈 영역(101)의 타 측(D)에 형성된 퓨즈(135b)는 상기 제 1 퓨즈 홀(133b)의 양 단을 통해서 일 단은 상부배선(121d)에 접촉되어지고, 타 단은 퓨즈패드(121c)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퓨즈(135a, 135b)들 각각은 하부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퓨즈 홀(133a, 133b)을 통하여 두 개의 도전막들(109a, 109b, 121a, 121b, 121c, 121d)과 회로(CIRCUIT)를 이루며, 상기 제 3 내지 제 4 절연막(124, 130)을 통칭하여 상부 층간 절연막(131)이라 명명한다.
도 2d 및 도 3d 를 참조하면, 도 2d 의 가드링(147) 내부, 외부에 배치된 패턴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3c 의 결과물을 갖는 반도체 기판(100)의 전면으로 제 5 절연막(138) 상에 제 6 절연막(148)을 증착시키고, 상기 제 6 절연막(148)에 형성한 오픈된 창을 마스크(MASK)로 이용하여 상기 제 6 절연막(148)을 식각해서 상기 퓨즈(135a, 135b)들 상부로 소정 두께의 상기 제 5 절연막(138)을 형성시킨다.
상기 제 6 절연막(148)은 하나 이상의 절연막들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창은 상기 퓨즈(135a, 135b)들과 상부 메탈배선(145a, 145b) 사이에 형성해서 상기 퓨즈(135a, 135b)들을 오픈한다.
오픈(OPEN)의 의미는 상기 퓨즈(135a, 135b)들을 완전히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후속으로 수행될 레이저 빔(LASER BEAM, 도면에 미 도시)에 의한 어텍(ATTACK)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제 5 절연막(138)을 소정 두께로 남기는 것이다.
즉, 상기 제 5 절연막(138)은 레이저 빔으로 상기 퓨즈(135a, 135b)들중에 선택된 하나를 커팅(CUTTING)시에 상기 커팅된 퓨즈의 찌꺼기가 인접한 다른 퓨즈들에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정 두께로 남기는 것이다.
상기 창(151)은 도 2c 에 퓨즈영역(101) 근처에 형성시키고, 상기 퓨즈 영역(101)의 일 측(C)에서 하부배선(109a) 또는 상부배선(121a)으로 입력된 전기적 신호는 상기 퓨즈(135a)의 제 1 퓨즈 홀(133a)과 상기 퓨즈 패드(121b)를 통해서 상기 상부배선(121a) 또는 상기 하부배선(109a)으로 출력되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한 입력과 출력 방향이 모두 동일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한 입력과 출력 방향의 동일성은 어레이(ARRAY) 형태로 도 2c 또는 도 2d 의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퓨즈(135a, 135b)들을 구성할 수 있게하며 또한, 상기 어레이 형태는 하나의 퓨즈 박스(160)내에 종래 기술대비 퓨즈 밀도의 증가와 반도체 기억장치에 형성되는 퓨즈 박스(160)의 개수를 감소시켜서 설계시에 회로 배선에 대한 레이아웃(LAYOUT)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게한다.
따라서, 상기 퓨즈 박스(160)의 구조는 상기 가이드 링(147)에 하부로 빠져나가는 도 2d 의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109a, 109b)들 각각의 단부와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121a, 121d)들 각각의 단부에 상기 퓨즈 박스(160)의 주변(PERIPHERAL) 회로들을 연결시키는 데에 상기 확보된 공간을 이용하여 종래 기술대비 여유롭게 할 수 있게 해준다.
도 3e 는 도 2a 내지 도 2d 의 Ⅱ-Ⅱ' 에 따라 취해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2d 및 도 3e 를 참조하면, 도 3e 가 도 3d 와 다른 점은 도 3a 에 하부배선(109a, 109b)들의 제 2 영역들을 노출시키는 제 1 콘택 홀(118a, 118b)들을 형성시키지 않으며, 도 2b 의 퓨즈 영역(101) 내부와 외부에 배치된 패턴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3a 의 결과물을 갖는 반도체 기판(100)상에 퓨즈 패드들(121b, 121c)을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나머지 도 2a 내지 도 2d 와 도 3a 내지 도 3d 에서 수행되어지는 공정들은 상기 도 3e 에 동일한 순서로 적용시키고, 각각의 패턴들에 대한 용도도 동일하여서 가능하면 같은 번호를 부여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퓨즈 박스(170)의 퓨즈(135a, 135b)들은 도 3b 에 하부배선(109a, 109b)들의 제 2 영역(B)들에서 퓨즈패드(121b, 121c)들과 접촉되지않으며, 일 예로서 상기 퓨즈영역(101)의 일 측(C)에 형성된 상기 퓨즈(135a)의 일 단은 상부배선(121a)에 접촉되고 상기 퓨즈(135a)의 타 단은 상기 하부배선(109a)의 제 2 영역(B)에 접촉된다.
이를 통해서, 반도체 기판(100)에 제 1 절연막과 제 2 절연막(112, 115)으로 이루어진 하부 층간절연막(117)에는 제 1 콘택 홀(118a, 118b)들이 없기 때문에 공정 단순화를 이룰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들(160, 170)은 퓨즈의 재료로서 메탈을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대비 상기 퓨즈의 상부로 남기는 제 5 절연막(138)의 두께를 용이하게 컨트롤될 수 있게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상기 두께는 반도체 기판(100)내 또는 반도체 기판(100)들 간에 균일되게 컨트롤될 수 있다.
도 3f 는 도 2a 내지 도 2d 의 Ⅱ-Ⅱ' 에 따라 취해진,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퓨즈 박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2d 및 도 3f 를 참조하면, 도 3f 가 도 3d 와 다른 점은 도 3b 에 상부배선(121a, 121d)들과 퓨즈패드(121b, 121c)들을 갖는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 3 절연막(124)을 증착하여 상기 상부배선(121a, 121d)들 각각의 상면과 상기 퓨즈패드(121b, 121c)들 각각의 상면에 패드 홀(125a, 125b)들을 형성시키고, 상기 패드 홀(125a, 125b)들을 채우고 상기 제 3 절연막(124) 상에 플레이트 배선(127a, 127b)들과 플레이트 패드(127c, 127d, 127e, 127f)들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패드(127c, 127d, 127e, 127f)들과 상기 플레이트 배선(127a, 127b)들및 상기 제 4 절연막(130)을 증착하여 상기 플레이트 패드(127c, 127d, 127e, 127f)들 각각의 상면에 제 1 퓨즈 홀과 제 2 퓨즈 홀(133a, 133b)들을 형성시킨다. 상기 제 1 퓨즈 홀과 제 2 퓨즈 홀(133a, 133b)들은 상부 메탈배선(145a, 145b)들로 채워져서 퓨즈(135a, 135b)들을 형성시킨다.
또한, 나머지 도 2a 내지 도 2d 와 도 3a 내지 도 3d 에서 수행되어지는 공정들은 상기 도 3f 에 동일한 순서로 적용시키고, 각각의 패턴들에 대한 용도도 동일하여서 가능하면 같은 번호를 부여시킨다.
상기 플레이트 패드(127c, 127d, 127e, 127f)들은 상기 플레이트 배선(127a, 127b)들과 함께 상기 제 3 절연막(124) 상에 형성시키고, 상기 플레이트 패드(127b, 127c, 127d, 127e)들는 퓨즈박스(180)내에 상기 제 1 퓨즈 홀과 제 2 퓨즈 홀(135a, 135b)들의 형성시 상기 제 4 절연막(130)의 식각을 용이하게 해준다.
상기 퓨즈박스(180)는 도 2a 의 퓨즈 영역(101)의 일 측(C)에서 상기 퓨즈(135a)의 일 단을 하나의 플레이트 패드(127c)와 상기 상부배선(121a)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퓨즈(135a)의 타 단을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 패드(127d)와 퓨즈패드(121b)및 하부배선(109a)의 제 2 영역(B)에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퓨즈박스(180)는 도 2a 의 퓨즈 영역(101)의 타 측(D)에서 상기 퓨즈(135b)의 일 단을 하나의 플레이트 패드(127e)와 퓨즈패드(121c) 및 하부배선(109b)의 제 2 영역(B)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퓨즈(135b)의 타 단을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 패드(127f)와 상부배선(121d)에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패드(127c, 127d, 127e, 127f)들 각각은 상기 퓨즈 영역(101)의 일 측(C) 또는 타 측(D)에서 상부배선(121a, 121a)들 또는 퓨즈패드(121b, 121c)들중 각각의 선택된 하나와 연결되어서 상기 퓨즈(135a, 135b)들 각각의 배선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180)은 상기 퓨즈(135a, 135b)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요소가 도전막으로 된 하부배선(109a, 109b)들과 상부배선(121a, 121d)들, 퓨즈패드(121b, 121c)들 및 플레이트 패드(127c, 127d, 127e, 127f)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퓨즈(135a, 135b)들은 상기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상기 퓨즈박스(180)의 외부에서 주변 회로(PERIPHERAL CIRCUIT)들과 여유롭게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메탈 배선으로 된 퓨즈의 하부 배선인 하부배선들과 상부배선들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 박스를 형성하기 때문에 주변 회로들과의 배선에 대한 설계 레이아웃(LAYOUT) 능력과 반도체 기억장치에 대한 공정(PROCESS)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는 종래 기술의 퓨즈 박스(FUSE BOX)를 나타낸 평면도.
도 1b 내지 도 1d 는 도 1a 의 Ⅰ-Ⅰ' 에 따라 취해진, 퓨즈 박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2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박스의 하부배선들및 제 1 콘택 홀들을 나타낸 평면도.
도 2b 는 도 2a 의 퓨즈박스에 상부배선들과 제 2 콘택 홀들및 플레이트 배선을 나타낸 평면도.
도 2c 는 도 2b 의 퓨즈박스에 퓨즈들과 제 2 콘택 홀들및 제 2 메탈배선을 나타낸 평면도.
도 2d 는 도 2c 의 퓨즈박스에 퓨즈들이 오픈된 창(窓)을 나타낸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d 는 도 2a 내지 도 2d 의 Ⅱ-Ⅱ' 에 따라 취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퓨즈 박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3e 는 도 2a 내지 도 2d 의 Ⅱ-Ⅱ' 에 따라 취해진,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퓨즈 박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f 는 도 2a 내지 도 2d 의 Ⅱ-Ⅱ' 에 따라 취해진,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퓨즈 박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들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반도체 기판 101: 퓨즈 영역(FUSE REGION)
103: 게이트 폴리 실리콘막 106: WSi 막
109a, 109b: 하부배선 160, 170, 180: 퓨즈 박스
112: 제 1 절연막 115: 제 2 절연막
117: 하부 층간절연막 118a, 118b: 제 1 콘택 홀
121a, 121d: 상부배선 121b, 121c: 퓨즈 패드(PAD)
124: 제 3 절연막 125a, 125b: 퓨즈 홀
127, 127a, 127b: 플레이트 배선 127c, 127d, 127e, 127f: 퓨즈 패드
130, 130-1: 제 4 절연막 131: 상부 층간절연막
133a: 제 1 퓨즈 홀 133b: 제 2 퓨즈 홀
135a, 135b: 하부 메탈배선(퓨즈) 138, 138-1: 제 5 절연막
141, 141a, 141b: 제 2 콘택 홀 145a, 145b: 상부 메탈배선
147: 가드 링(GUARD RING) 148: 제 6 절연막
151: 창(窓)

Claims (28)

  1. 퓨즈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
    상기 퓨즈 영역내의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배치되고 제 1 영역및 제 2 영역을 갖는 하부 배선;
    상기 하부 배선의 상부에 상기 하부 배선의 상기 제 1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상부 배선; 및
    상기 상부 배선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배선의 상기 제 2 영역 및 상기 상부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퓨즈를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는 메탈 배선인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배선은 상기 퓨즈 영역내에서 외부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선및 상기 상부배선 사이에 개재된 하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상부배선 및 상기 퓨즈 사이에 개재된 상부 층간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의 일 단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1 퓨즈 홀을 통하여 상기 상부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퓨즈의 타 단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2 퓨즈 홀을 통하여 상기 하부배선의 제 2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의 소정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배선의 제 2 영역과 접촉하는 퓨즈패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퓨즈의 일 단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1 퓨즈 홀을 통하여 상기 상부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퓨즈의 타 단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2 퓨즈 홀을 통하여 상기 퓨즈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박스는 상기 상부배선과 상기 퓨즈패드의 상부에 형성되어 분리된 플레이트 배선들과 플레이트 패드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퓨즈의 일 단은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중에 선택된 하나와 상기 상부배선에 접촉되고 상기 퓨즈의 타 단은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중에 선택된 다른 하나와 상기 퓨즈 패드 및 상기 하부배선의 제 2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패드는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상부배선과 이격되고 상기 상부배선과 동일한 막인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플레이트 배선과 이격되고 상기 플레이트 패드와 동일한 막인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10. 퓨즈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
    상기 퓨즈 영역내의 일 측에 배치되고 그들의 각각은 상기 퓨즈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 1 영역 및 상기 퓨즈 영역의 중심에 가까운 제 2 영역을 가지면서 상기 퓨즈 영역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1 그룹의 평행한 하부배선들;
    상기 퓨즈 영역내의 타 측에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연장선들상에 위치하고 그들의 각각은 상기 퓨즈 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 1 영역 및 상기 퓨즈 영역의 중심에 가까운 제 2 영역을 가지면서 상기 퓨즈 영역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2 그룹의 하부 배선들;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상부에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 배선들의 상기 제 1 영역들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 1 그룹의 상부 배선들;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 배선들의 상부에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 배선들의 상기 제 1 영역들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
    상기 제 1 그룹의 상부 배선들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들의 각각은 그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각각의 상기 제 2 영역및 상기 제 1 그룹의 상부 배선들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그룹의 퓨즈들; 및
    상기 제 2 그룹의 상부 배선들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들의 각각은 그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 배선들의 각각의 상기 제 2 영역 및 상기 제 2 그룹의 상부 배선들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그룹의 퓨즈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퓨즈들은 메탈 배선들인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 및 상부배선들 각각은 상기 퓨즈영역내의 일 측에서 외부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 및 상부배선들 각각은 상기 퓨즈영역내의 타 측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 및 상부배선들 각각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연장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과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 사이에 개재된 하부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 및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퓨즈들 사이에 개재된 상부 층간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퓨즈들의 일 단들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1 퓨즈 홀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퓨즈들의 타 단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및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2 퓨즈 홀들을 통하여 상기 하부배선들의 제 2 영역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의 소정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제 2 영역들과 접촉하는 퓨즈패드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퓨즈들의 일 단들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상기 제 1 퓨즈 홀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2 그룹의 퓨즈들의 타 단들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을 관통하는 제 2 퓨즈 홀들을 통하여 상기 퓨즈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박스는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 각각의 상부와 상기 퓨즈패드들 각각의 상부에 분리되어 형성된 플레이트 배선들과 플레이트 패드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그룹의 퓨즈들 각각의 일 단은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 중에 선택된 하나와 상기 제 1 그룹의 상부배선들 각각에 접촉되고 상기 제 1 그룹의 퓨즈들 각각의 타 단은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 중에 선택된 다른 하나와 상기 퓨즈패드들 각각및 상기 하부배선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박스는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 각각의 상부와 상기 퓨즈패드들 각각의 상부에 분리되어 형성된 플레이트 배선들과 플레이트 패드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그룹의 퓨즈들 각각의 일 단은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 중에 선택된 하나와 상기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 각각에 접촉되고 상기 제 2 그룹의 퓨즈들 각각의 타 단은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 중에 선택된 다른 하나와 상기 퓨즈 패드들 각각및 상기 하부배선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패드들 각각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 각각과 이격되고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 각각과 동일한 막인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20. 제 17 항 및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패드들 각각은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플레이트 배선들 각각과 이격되고 상기 플레이트 배선들 각각과 동일한 막인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21. 퓨즈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상기 퓨즈 영역내로 연장된 하부 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배선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의 전면 상에 하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상에 상기 퓨즈 영역내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배선과 중첩된 상부 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배선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의 전면 상에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상에 상기 퓨즈 영역내의 상기 하부배선 및 상기 상부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퓨즈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에 제 1 콘택 홀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배선의 소정부분을 노출하고,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상에 상기 상부배선과 이격되고 상기 제 1 콘택 홀을 채우는 퓨즈 패드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상에 상기 퓨즈를 상기 상부배선과 상기 퓨즈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제조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부분은 퓨즈 영역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인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제조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는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커팅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제조방법.
  25. 퓨즈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고,
    상기 퓨즈영역내의 일 측에 제 1 그룹의 평행한 하부배선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퓨즈영역내의 타측에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연장선들 상에 위치하는 제 2 그룹의 평행한 하부배선들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각각은 상기 퓨즈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 1 영역 및 상기 퓨즈영역의 중심에 가까운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을 갖는 반도체 기판의 전면상에 하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제 1 영역과 중첩되는 제 1 그룹의 평행한 상부배선들 및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의 제 1 영역들과 중첩된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을 갖는 반도체 기판의 전면상에 상부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 상에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들과 중첩되는 제 1 그룹의 퓨즈들 및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배선들과 중첩되는 제 2 그룹의 퓨즈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그룹의 퓨즈들의 각각의 양 단은 각각 그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그룹의 상부배선 및 상기 제 1 그룹의 하부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그룹의 퓨즈들의 각각의 양 단들은 각각 그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그룹의 상부배선 및 상기 제 2 그룹의 하부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제조방법.
  26. 상기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에 제 1 콘택 홀들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하부배선의 소정부분들을 노출하고,
    상기 하부 층간절연막상에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과 이격되고 상기 제 1 콘택 홀들을 채우는 퓨즈 패드들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층간절연막상에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퓨즈들을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상부배선들과 상기 퓨즈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제조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부분들은 상기 퓨즈 영역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들인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제조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퓨즈들은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커팅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박스 제조방법.
KR10-2002-0078527A 2002-12-10 2002-12-10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 박스및 그 제조방법 KR100513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527A KR100513304B1 (ko) 2002-12-10 2002-12-10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 박스및 그 제조방법
US10/731,270 US7009274B2 (en) 2002-12-10 2003-12-08 Fuse box semiconductor device
US11/316,489 US7402464B2 (en) 2002-12-10 2005-12-21 Fuse box of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527A KR100513304B1 (ko) 2002-12-10 2002-12-10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 박스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663A KR20040050663A (ko) 2004-06-16
KR100513304B1 true KR100513304B1 (ko) 2005-09-07

Family

ID=3659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527A KR100513304B1 (ko) 2002-12-10 2002-12-10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 박스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009274B2 (ko)
KR (1) KR100513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202B1 (ko) * 2005-01-28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소자의 퓨즈영역 및 그 제조방법
KR100724562B1 (ko) * 2005-03-11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기억소자의 퓨즈 영역
KR100722934B1 (ko) 2005-11-18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소자의 퓨즈박스 및 퓨즈 커팅 방법
JP4964472B2 (ja) * 2006-01-31 2012-06-27 半導体特許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20070235880A1 (en) * 2006-03-30 2007-10-11 Chin-Sheng Yang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746631B1 (ko) * 2006-09-19 2007-08-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탈 퓨즈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US8106476B2 (en) * 2007-08-13 2012-01-31 Broadcom Corporation Semiconductor die with fuse window and a monitoring window over a structure which indicates fuse integrity
KR101164956B1 (ko) * 2008-02-28 2012-07-1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KR101586270B1 (ko) * 2009-02-04 2016-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퓨즈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US20100213569A1 (en) * 2009-02-20 2010-08-2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Integrated circuits having fuses and systems thereof
US9892221B2 (en) 2009-02-20 2018-02-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and system of generating a layout including a fuse layout pattern
KR101119805B1 (ko) * 2009-06-30 2012-03-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퓨즈 형성 방법 및 그에 따른 퓨즈 구조
KR101113187B1 (ko) 2010-01-29 2012-02-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열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적 퓨즈를 구비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US8952486B2 (en) * 2011-04-13 2015-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al fus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130064289A (ko) * 2011-12-08 2013-06-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9786364A (zh) * 2017-11-14 2019-05-21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熔断结构及其形成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696A (ko) * 2000-10-04 2002-04-15 박종섭 퓨즈박스의 제조 방법
JP2002184777A (ja) * 2000-12-15 2002-06-2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US6444544B1 (en) * 2000-08-01 2002-09-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forming an aluminum protection guard structure for a copper metal structure
KR20020090316A (ko) * 2001-05-24 2002-12-02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 장치와 퓨즈 절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9814A (en) * 1993-02-26 1995-0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ally blowable fuse structure for organic insulators
KR20010003523A (ko) 1999-06-23 2001-01-15 김영환 반도체소자의 퓨즈 형성방법
KR20010065341A (ko) 1999-12-29 2001-07-11 박종섭 반도체 소자의 퓨즈제조방법
JP2001284458A (ja) * 2000-03-31 2001-10-1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43432A (ja) 2000-07-28 2002-02-0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4544B1 (en) * 2000-08-01 2002-09-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forming an aluminum protection guard structure for a copper metal structure
KR20020027696A (ko) * 2000-10-04 2002-04-15 박종섭 퓨즈박스의 제조 방법
JP2002184777A (ja) * 2000-12-15 2002-06-2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KR20020090316A (ko) * 2001-05-24 2002-12-02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 장치와 퓨즈 절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31690A1 (en) 2006-06-22
US7009274B2 (en) 2006-03-07
US20040113233A1 (en) 2004-06-17
US7402464B2 (en) 2008-07-22
KR20040050663A (ko)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304B1 (ko) 반도체 기억장치의 퓨즈 박스및 그 제조방법
KR100791340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22934B1 (ko) 반도체소자의 퓨즈박스 및 퓨즈 커팅 방법
KR100429881B1 (ko) 셀 영역 위에 퓨즈 회로부가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제조방법
US20070170545A1 (en) Fuse reg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75296B1 (ko) 퓨즈 패턴을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들
JP4299227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ア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332456B1 (ko) 퓨즈를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0269342A (ja)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
JP3820326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とその作製方法
JP4511211B2 (ja) 半導体装置
US7888770B2 (en) Fuse box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H0936234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ヒューズの切断方法
KR19990078099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7822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KR100607193B1 (ko)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플레시 메모리들 및 그 형성방법들
JPH08264654A (ja) フューズ配線を有する電子装置
KR20050086074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퓨즈박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792442B1 (ko) 퓨즈 패턴을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02673A (ko) 반도체 소자의 퓨즈 및 그 형성 방법
KR20100047608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35023B1 (ko) 퓨즈를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18323A (ko) 반도체 장치의 다층의 안티퓨즈(Antifuse) 제조방법
KR20030001817A (ko) 반도체 소자의 퓨즈 형성 방법
KR20030058307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