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193B1 -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플레시 메모리들 및 그 형성방법들 - Google Patents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플레시 메모리들 및 그 형성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193B1
KR100607193B1 KR1020040112334A KR20040112334A KR100607193B1 KR 100607193 B1 KR100607193 B1 KR 100607193B1 KR 1020040112334 A KR1020040112334 A KR 1020040112334A KR 20040112334 A KR20040112334 A KR 20040112334A KR 100607193 B1 KR100607193 B1 KR 100607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
semiconductor substrate
interlayer insulating
forming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3886A (ko
Inventor
이동준
김건수
백현철
조성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2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193B1/ko
Priority to US11/317,595 priority patent/US20060138559A1/en
Publication of KR2006007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0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2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 H10B41/43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comprising only one type of peripheral transistor
    • H10B41/48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comprising only one type of peripheral transistor with a tunnel dielectric layer also being used as part of the peripheral 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 플레시 메모리들 및 그 형성방법들을 제공한다. 이 플레시 메모리들 및 그 형성방법들은 저항 패턴에 대한 반도체 제조 공정의 자유도를 증가시켜 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준다. 이를 위해서, 반도체 기판의 셀 어레이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 내 게이트 패턴들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패턴들의 상부에 비트라인 패턴들이 배치된다.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은 반도체 기판의 셀 어레이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 내 형성된다.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을 덮는 비트라인 층간절연막이 배치된다.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이 배치된다. 상기 저항 패턴은 반도체 기판의 셀 어레이 영역 내 형성된다. 상기 저항 패턴을 덮도록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평탄화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 상에 금속배선들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배선들은 반도체 기판의 셀 어레이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 내 배치된다. 이때에, 상기 금속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저항 패턴과 접촉하도록 형성한다.
저항 패턴, 비트라인 패턴, 금속배선, 반도체 기판, 플레시 메모리.

Description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 플레시 메모리들 및 그 형성방법들{FLASH MEMORYS HAVING AT LEAST ONE RESISTANCE PATTERN ON AN UPPER OF A GATE PATTERN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시 메모리의 배치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절단선 Ⅰ-Ⅰ 를 따라 취해서 플레시 메모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3 은 각각이 도 1 의 절단선 Ⅰ-Ⅰ 를 따라 취해서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을 설명해주는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개별 소자를 갖는 반도체 장치들 그 형성방법들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 플레시 메모리들 및 그 형성방법들이다.
일반적으로, 플레시 메모리는 사용자의 데이타를 소정 시간을 통하여 처리하기 위해서 저항 패턴을 사용한다. 상기 저항 패턴은 플레시 메모리 내 로직 구조(Logic Structure)에서 저항(Resistance) 및 정전용량(Capacitance)을 이용한 시간 지연 체인(Time Delay Chain)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저항 패턴은 플레시 메모리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따라서 저항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도록 반도체 기판의 소자 분리막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막은 활성 영역들을 고립시키도록 반도체 기판에 배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요구 조건은 로직 구조, 디자인 룰(Design Rule) 또는 사용 전압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저항 패턴은 활성 역역 상에 게이트 패턴들을 형성하는 동안 소자 분리막 상에 위치시켜야 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의 협소한 허용범위를 갖는다. 왜냐하면, 상기 저항 패턴은 게이트 패턴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물질막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는 저항 패턴이 게이트 패턴과 동시에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낮은 온도 계수의 폴리실리콘 저항 소자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이 미국특허공보 제 5,489,547 호(U.S PATEN T No. 5,489,547)에 존 피이. 에르델작(John P. Erdeljac) 등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미국특허공보 제 5,489,547 호에 따르면, 이 방법은 반도체 기판의 필드 옥사이드 영역 상에 두 개의 저항 소자들(Resistors)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 소자들 중 하나는 낮은 면 저항(Low Sheet Resistance)을 가지며, 그 나머지는 상대적으로 높은 면 저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필드 옥사이드 영역(Field Oxide Region) 내 산화막의 두께를 적절하게 관리를 해야만 저항 소자들을 통한 반도체 장치의 설계적 특성들을 사용자에게 양호하게 나타낼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방법은 산화막의 두께가 얇으면 반도체 장치의 구동 동안 사용자의 전압을 통해서 저항 소자들 및 반도체 기판 사이에 기생 커패시터를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도체 제조 공정의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적합한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 플레시 메모리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반도체 제조 공정의 영향을 최소화해서 양호한 설계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 플레시 메모리들의 형성방법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 플레시 메모리 및 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이 플레시 메모리의 일 실시예는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배치된 게이트 패턴들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비트라인 패턴들이 배치된다.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은 게이트 패턴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1 영역 내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이 배치된다. 상기 저항 패턴은 비트라인 패턴들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금속배선들이 배치된다. 상기 금속배선들은 저항 패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때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1 영역 내 금속배선들 및 비트라인 패턴들은 반도체 기판의 상부를 동일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달리도 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1 영역 내 금속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저항 패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플레시 메모리의 다른 실시예는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배치된 게이트 패턴들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비트라인 패턴들이 배치된다.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은 게이트 패턴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2 영역 내 비트라인 패턴들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이 배치된다.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금속배선들이 배치된다. 상기 금속배선들은 저항 패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때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2 영역 내 금속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저항 패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형성방법들의 일 실시예는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게이트 패턴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패턴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비트라인 패턴들을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은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을 덮는 비트라인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저항 패턴은 반도체 기판의 제 1 영역 내 형성한다. 상기 저항 패턴을 덮도록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평탄화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 상에 위치하도록 금속배선들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배선들은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형성한다. 이때에, 상기 금속배선들 및 비트라인 패턴들은 반도체 기판의 제 1 영역에서 동일 방향으로 반도체 기판의 상부를 가로질러서 달 리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저항 패턴과 접촉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형성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게이트 패턴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패턴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비트라인 패턴들을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은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을 덮는 비트라인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저항 패턴은 반도체 기판의 제 2 영역 내 형성한다. 상기 저항 패턴을 덮도록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평탄화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 상에 위치하도록 금속배선들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배선들은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형성한다. 이때에, 상기 금속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저항 패턴과 접촉하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 플레시 메모리들 및 그 형성방법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시 메모리의 배치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절단선 Ⅰ-Ⅰ 를 따라 취해서 플레시 메모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셀 어레이 영역(A) 및 주변 회로 영역(B)을 갖는 반도체 기판(10)이 준비된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A) 및 주변 회로 영역(B)의 반도체 기판(10) 상에 게이트 패턴들(30, 33)이 배치된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A)에 서, 상기 게이트 패턴(30)들은 반도체 기판(10) 상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 패턴(30)들은 차례로 적층된 플로팅 게이트(20), 유전막(22), 컨트롤 게이트(24) 및 게이트 캐핑막 패턴(2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변 회로 영역(B)에서, 상기 게이트 패턴(33)들은 차례로 적층된 플로팅 게이트(20), 컨트롤 게이트(24) 및 게이트 캐핑막 패턴(26)을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 게이트(24) 및 플로팅 게이트(20)는 도전성 폴리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전막(22)은 차례로 적층된 실리콘 옥사이드(SiO2),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3N4) 및 실리콘 옥사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패턴(30)들의 측벽들에 게이트 스페이서(35)들이 각각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 스페이서(35)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 옥사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이트 패턴들(30, 33)의 상부에 비트라인 패턴(60)들이 배치된다. 상기 비트라인 패턴(60)들은 반도체 기판(10)의 셀 어레이 영역(A) 및 주변 회로 영역(B) 내 배치된다. 상기 비트라인 패턴(60)들은 텅스텐(W)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트라인 패턴(60)들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77)이 배치된다. 상기 저항 패턴(77)은 반도체 기판(10)의 셀 어레이 영역(A) 내 배치된다. 상기 저항 패턴(77)은 반도체 기판(10)의 셀 어레이 영역(A) 내 비트라인 패턴(6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게이트 패턴(30)들의 상부를 가로질러서 달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항 패턴(77)은 반도체 기판(10)의 셀 어레이 영역(A) 내 비트라인 패턴(60)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위치되어서 게이트 패턴(30) 들 사이의 소정 영역들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항 패턴(77)은 도전성을 갖는 폴리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도체 기판(10)의 셀 어레이 영역(A) 및 주변 회로 영역(B) 내 금속배선(96)들이 배치된다. 상기 금속배선(96)들은 저항 패턴(77)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금속배선(96)들은 알루미늄(Al)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배선(96)들 및 비트라인 패턴(60)들은 반도체 기판(10)의 셀 어레이 영역(A)에서 반도체 기판(10)의 상부를 동일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달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항 패턴(77)이 셀 어레이 영역(A) 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셀 어레이 영역(A) 내 금속배선(96)은 저항 패턴(77)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항 패턴(77)은 반도체 기판(10)의 주변 회로 영역(B) 내 배치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저항 패턴(77)은 반도체 기판(10)의 주변 회로 영역(B) 에서 비트라인 패턴(60)들 및 금속배선(96)들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항 패턴(77)은 반도체 기판(10)의 주변 회로 영역(B) 에서 비트라인 패턴(60)들 및 금속배선(96)들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항 패턴(77)이 주변 회로 영역(B) 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주변 회로 영역(B) 내 금속배선(96)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저항 패턴(77)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이트 패턴들(30, 33) 상에 게이트 층간절연막(40) 및 매립 층간절연막(50)이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A)에서, 상기 게이트 패턴(30)들 사이의 소정 영역들에 소오스 및 드레인 랜딩패드들(46, 54)이 배치된다. 상기 드 레인 랜딩패드(54)는 게이트 층간절연막(40) 및 매립 층간절연막(50)에 위치되어서 비트라인 패턴(60)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소오스 랜딩패드(46)는 게이트 층간절연막(40)에 위치되어서 소오스 라인(49)에 연결된다. 상기 소오스 라인 및 소오스 랜딩패드(46, 54)는 텅스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레인 랜딩패드(54)는 도전성을 갖는 폴리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변 회로 영역(B)에서, 상기 게이트 패턴(33) 주변에 소오스 및 드레인 플러그(58)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플러그(58)들은 게이트 층간절연막(40) 및 매립 층간절연막(50)에 위치되어서 비트라인 패턴(60)들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비트라인 패턴(60)들을 덮도록 비트라인 층간절연막(65) 및 평탄화 층간절연막(80)이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65)은 저항 패턴(77) 및 매립 층간절연막(5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80)은 저항 패턴(77)을 덮도록 비트라인 층간절연막(65)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저항 패턴(77)이 주변 회로 영역(B) 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65) 및 평탄화 층간절연막(80)에 비트라인 랜딩패드(89) 및 접속 랜딩패드(90)가 배치된다. 상기 접속 랜딩패드(90) 및 비트라인 랜딩패드(89)는 각각이 저항 패턴(77) 및 금속배선(96)들 중 하나 사이, 비트라인 패턴(60) 및 금속배선(96)들 중 다른 하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저항 패턴(77)이 셀 어레이 영역(A) 내 배치되는 경우,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80)에 접속 랜딩패드(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 랜딩패드(90)는 저항 패턴(77) 및 금속배선(96)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접속 랜딩패드(90) 하부를 둘러싸는 반사막 패턴(79)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A) 및 주변 회로 영역(B)의 반도체 기판(10)에 소자 분리막(14)이 배치된다. 상기 소자 분리막(14)은 활성 영역(18)들을 고립시키도록 반도체 기판(1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 상기 저항 패턴(77)은 소자 분리막(14)을 지나는 수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항 패턴(77)은 활성 영역(18)들을 가로질러서 달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공정을 통해서 게이트 패턴들(30, 33)의 상부에 저항 패턴(77)을 배치하여 플레시 메모리(100)를 제공한다.
도 3 내지 도 13 은 각각이 도 1 의 절단선 Ⅰ-Ⅰ 를 따라 취해서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을 설명해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셀 어레이 영역(A) 및 주변 회로 영역(B)의 반도체 기판(10)에 소자 분리막을 형성한다. 상기 소자 분리막(14)은 활성 영역(18)들을 고립시키도록 형성한다. 상기 소자 분리막(14)은 반도체 기판(10)과 다른 식각률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절연막들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A) 및 주변 회로 영역(B)의 반도체 기판(10) 상에 게이트 패턴들(30, 33)을 형성한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A)에서, 상기 게이트 패턴(30)들은 차례로 적층된 플로팅 게이트(20), 유전막(22), 컨트롤 게이트(24) 및 게이트 캐핑막 패턴(26)을 사용해서 형성한다. 상기 주변 회로 영역(B)에서, 상기 게이트 패턴(33)은 차례로 적층된 플로팅 게이트(20), 컨트롤 게이트(24) 및 게이트 캐핑막 패턴(26)을 사용해서 형성한다. 상기 컨트롤 게이트(24) 및 플로팅 게이트(20)는 도전성 폴리실리콘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전막(22)은 차례로 적층된 실리콘 옥사이드(SiO2),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3N4) 및 실리콘 옥사이드를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이트 패턴들(30, 33)의 측벽들에 게이트 스페이서(35)들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스페이서(35)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 옥사이드를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이트 패턴들(30, 33)을 덮도록 반도체 기판(10) 상에 게이트 층간절연막(40)을 형성한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A)에서, 상기 게이트 층간절연막(40)을 관통하는 소오스 홀(43)을 형성한다. 상기 소오스 홀(43)은 게이트 패턴(30)들 사이의 소정 영역에 위치해서 반도체 기판(10)을 노출시키도록 형성한다. 상기 소오스 홀(43)을 채우는 소오스 랜딩패드(46)를 형성한다. 상기 소오스 랜딩패드(46)는 텅스텐(W)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상기 소오스 랜딩패드(46)와 접촉하도록 게이트 층간절연막(40) 상에 소오스 라인(49)을 형성한다. 상기 소오스 라인(49)은 텅스텐(W)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오스 라인(49)을 덮도록 게이트 층간절연막(40) 상에 매립 층간절연막(50)을 형성한다. 상기 매립 층간절연막(50)은 게이트 층간절연막(40)과 동일한 식각률을 갖는 절연막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A)에서, 상기 매립 층간절연막(50) 및 게이트 층간절연막(40)을 차례로 관통하는 드레인 홀(52)을 형성한다. 상기 드레인 홀(52)은 소오스 홀(43)로부터 이격되어서 게이트 패턴(30)들 사이에 형성한다. 상기 드레인 홀 (52)을 채우는 드레인 랜딩패드(54)를 형성한다. 상기 드레인 랜딩패드(54)는 도전성을 갖는 폴리실리콘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변 회로 영역(B)에서, 상기 매립 층간절연막(50) 및 게이트 층간절연막(40)을 차례로 관통하는 게이트 노드 홀(56)들을 도 7 과 같이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노드 홀(56)들은 게이트 패턴(33)의 양 측부들에 각각 위치해서 반도체 기판(10)을 노출시키도록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노드 홀(56)들을 각각 채우는 소오스 및 드레인 플러그(58)들을 형성한다.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플러그(58)들은 텅스텐(W)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오스 및 드레인 플러그(58)들, 드레인 랜딩패드(54)와 각각 접촉하도록 매립 층간절연막(50) 상에 비트라인 패턴(60)들을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 패턴(60)들은 셀 어레이 영역(A) 및 주변 회로 영역(B) 내 동시에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 패턴(60)들은 텅스텐(W)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A)에서, 상기 비트라인 패턴(60)은 게이트 패턴(30)들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트라인 패턴(60)들을 덮도록 매립 층간절연막(50) 상에 비트라인 층간절연막(65)을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65)은 매립 층간절연막(50)과 동일한 식각률을 갖는 절연막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65) 상에 도전막(70) 및 반사막(71)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반사막(71)은 포토공정 동안 포토 광의 난 반사를 최소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사막(71)은 도전막(70) 상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도전막(70)은 도전성을 갖는 폴리실리콘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막(70)은 게이트 패턴들(30, 33)의 플로팅 게이트(20)들 및 컨트롤 게이트(24)들과 다른 면 저항(Sheet Resistance)을 갖는 도전성 폴리실리콘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막(71) 상에 적어도 하나의 포토레지스트 패턴(73)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73)은 주변 회로 영역(B) 내 형성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73)은 반도체 기판(10)의 주변 회로 영역(B) 내 비트라인 패턴(60)들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73)은 반도체 기판(10)의 주변 회로 영역(B) 내 비트라인 패턴(60)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65)이 노출될 때까지 포토레지스트 패턴(73)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해서 반사막(71) 및 도전막(70)에 식각공정(75)을 차례로 수행한다. 상기 식각공정(75)은 비트라인 층간절연막(65)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저항 패턴(77) 및 반사막 패턴(79)을 형성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73)은 셀 어레이 영역(A) 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73)은 반도체 기판(10)의 셀 어레이 영역(A) 내 비트라인 패턴(6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해서 게이트 패턴(30)들의 상부를 가로질러서 달리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71)은 반도체 기판(10)의 셀 어레이 영역(A) 내 비트라인 패턴(60)들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위치해서 게이트 패턴(30)들 사이의 소정 영역들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65)이 노출될 때까지 포토레지스트 패턴 (73)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해서 반사막(71) 및 도전막(70)에 식각공정(75)을 차례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식각공정(75)은 비트라인 층간절연막(65)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저항 패턴(77) 및 반사막 패턴(79)을 셀 어레이 영역(A) 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항 패턴(77)은 반도체 기판(10)에 배치된 소자 분리막(14) 및 그 막(14)의 두께의 영향을 배제시키고 단독으로 도전막(70)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10)의 셀 어레이 영역(A) 또는 주변 회로 영역(B) 내 저항 패턴(77)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10)으로부터 포토레지스트 패턴(73)을 제거한다.
도 1, 도 10 및 도 11 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막 패턴(79) 및 저항 패턴(77)을 덮도록 비트라인 층간절연막(65) 상에 평탄화 층간절연막(80)을 형성한다.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80)은 매립 층간절연막(65)과 동일한 식각률을 갖는 절연막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80) 상에 포토레지스트 막(82)을 계속해서 형성한다.
한편,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82)은 반도체 기판(10)의 주변 회로 영역(B) 내 비트라인 패턴(60)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저항 패턴(77)의 상부에 개구부(84)들을 각각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82)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해서 개구부(84)들을 통하여 평탄화 층간절연막(80) 및 매립 층간절연막(65)에 식각공정(86)을 차례로 수행한다. 상기 식각공정(86)은 비트라인 패턴(60)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저항 패턴(77)을 노출시키는 비트라인 홀(87) 및 접속 홀(88)을 각각 형성한다. 상 기 접속 홀(88) 및 비트라인 홀(87)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10)으로부터 포토레지스트 막(82)을 제거한다. 계속해서, 상기 접속 홀(88) 및 비트라인 홀(87)을 각각 채우도록 접속 랜딩패드(90) 및 비트라인 랜딩 패드(89)를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 랜딩패드(89) 및 접속 랜딩패드(90)는 텅스텐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82)은 반도체 기판(10)의 셀 어레이 영역(A) 내 저항 패턴(77)의 상부에 개구부(84)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82)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해서 개구부(84)를 통하여 평탄화 층간절연막(80)에 식각공정(86)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식각공정(86)은 저항 패턴(77)을 노출시키는 접속 홀(8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 홀(88)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10)으로부터 포토레지스트 막(82)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접속 홀(88)을 채우도록 셀 어레이 영역(A) 내 접속 랜딩패드(9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랜딩패드(90)는 텅스텐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변 회로 영역(B)의 접속 랜딩패드(90) 및 비트라인 랜딩패드(89)를 덮도록 평탄화 층간절연막(80) 상에 금속막(91)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막(91)은 알루미늄(Al)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12 및 도 13 을 참조하면, 상기 금속막(91)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92)들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92)들은 반도체 기판(10)의 셀 어레이 영역(A) 및 주변 회로 영역(B) 내 형성한다.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80)이 노출될 때까지 금속막(91)에 식각공정(94)을 수행한다. 상기 식각공정(94)은 평탄화 층간절연막(80) 상에 금속배선(96)들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배선(96)들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10)으로부터 포토레지스트 패턴(92)들을 제거한다.
한편, 상기 주변 회로 영역(B)에서, 상기 금속배선(96)들은 비트라인 랜딩패드(89) 및 접속 랜딩패드(90)에 각각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금속배선(96)들은 비트라인 패턴(60)들 및 저항 패턴(77)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배선(96)들은 비트라인 패턴(60)과 평행하고 그리고 저항 패턴(77)에 직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셀 어레이 영역(A)에서, 상기 금속배선(96)은 접속 랜딩패드(90)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배선(96)은 비트라인 패턴(6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해서 반도체 기판(10)의 상부를 가로질러서 달리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배선(96)은 비트라인 패턴(60)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10)의 셀 어레이 영역(A) 및 주변 회로 영역(B) 내 비트라인 패턴(60)들 및 금속배선(96)들을 포함하는 플레시 메모리(100)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위치시켜서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보일 수 있는 플레시 메모리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서, 상기 플레시 메모리는 반도체 제조 공정의 영향을 최소화시켜서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높은 확률을 가지고 확보되어질 수 있다.

Claims (31)

  1.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배치된 게이트 패턴들;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영역들 내 위치되어서 상기 게이트 패턴들의 상부에 배치된 비트라인 패턴들;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영역 내 위치되어서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의 상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영역들 내 위치되어서 상기 저항 패턴의 상부에 배치된 금속배선들을 포함하되,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영역 내 상기 금속배선들 및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를 동일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달리도록 배치되고, 상기 금속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항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패턴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영역 내 상기 비트라인 패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게이트 패턴들의 상부를 가로질러서 달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패턴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영역 내 상기 비트라인 패턴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위치되어서 상기 게이트 패턴들 사이의 소정 영역들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들은 각각이 셀 어레이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인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들의 반도체 기판에 배치된 활성 영역들 및 소자 분리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자 분리막은 상기 활성 영역들을 고립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저항 패턴은 상기 소자 분리막을 지나는 수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들의 반도체 기판에 활성 영역들 및 소자 분리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자 분리막은 상기 활성 영역들을 고립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저항 패턴은 상기 활성 영역들을 가로질러서 달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 모리.
  7.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배치된 게이트 패턴들;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영역들 내 위치되어서 상기 게이트 패턴들의 상부에 배치된 비트라인 패턴들;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2 영역 내 위치되어서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의 상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영역들 내 위치되어서 상기 저항 패턴의 상부에 배치된 금속배선들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항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패턴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2 영역 내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 및 상기 금속배선들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패턴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2 영역 내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 및 상기 금속배선들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 모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들은 각각이 셀 어레이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인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들의 반도체 기판에 배치된 활성 영역들 및 소자 분리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자 분리막은 상기 활성 영역들을 고립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저항 패턴은 상기 소자 분리막을 지나는 수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들의 반도체 기판에 활성 영역들 및 소자 분리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자 분리막은 상기 활성 영역들을 고립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저항 패턴은 상기 활성 영역들을 가로질러서 달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
  13.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게이트 패턴들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패턴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영역들 내 비트라인 패턴들을 형성하고,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을 덮는 비트라인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영역 내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저항 패턴을 덮도록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평탄화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영역들 내 금속배선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배선들 및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영역에서 동일 방향으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를 가로질러서 달리도록 형성하고, 상기 금속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항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배선들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 상에 금속막 및 포토레지스트 패턴들을 차례로 형성하고,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들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해서 상기 금속막에 식각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배선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저항 패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형성하는 것은,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 상에 포토레지스트 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제 1 영역 내 상기 저항 패턴의 상부에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에 식각 공정을 수행하되, 상기 식각 공정은 상기 저항 패턴 상에 접속 홀을 형성하고,
    상기 접속 홀을 채우는 접속 랜딩패드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접속 랜딩패드는 상기 금속배선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접촉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접속 홀은 상기 저항 패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 및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은 동일한 식각률을 갖는 절연막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도전막 및 적어도 하나의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해서 상기 도전막에 식각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영역 내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해서 상기 게이트 패턴들의 상부를 가로질러서 달리도록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도전막 및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해서 상기 도전막에 식각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영역 내 상기 비트 라인 패턴들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위치해서 상기 게이트 패턴들 사이의 소정 영역들의 상부에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들은 각각이 셀 어레이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으로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들의 반도체 기판에 활성 영역들 및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자 분리막은 상기 활성 영역들을 고립시키도록 형성하고, 상기 저항 패턴은 상기 소자 분리막을 지나는 수직선 상에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들의 반도체 기판에 활성 영역들 및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자 분리막은 상기 활성 영역들을 고립시키도록 형성하고, 상기 저항 패턴은 상기 활성 영역들을 가로질러서 달리도록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23. 반도체 기판의 제 1 및 제 2 영역들 내 게이트 패턴들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패턴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영역들 내 비트라인 패턴들을 형성하고,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을 덮는 비트라인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2 영역 내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저항 패턴을 덮도록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평탄화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영역들 내 금속배선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항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배선들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 상에 금속막 및 포토레지스트 패턴들을 차례로 형성하고,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들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해서 상기 금속막에 식각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 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배선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저항 패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형성하는 것은,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평탄화 층간절연막 상에 포토레지스트 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2 영역 내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저항 패턴의 상부에 개구부들을 각각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해서 상기 개구부들을 통하여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 및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에 식각 공정을 차례로 수행하되, 상기 식각 공정은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저항 패턴 상에 비트라인 홀 및 접속 홀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접속 홀 및 상기 비트라인 홀을 각각 채우는 접속 랜딩패드 및 비트라인 랜딩패드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트라인 랜딩패드 및 접속 랜딩패드는 상기 금속배선들에 각각 접촉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비트라인 홀 및 접속 홀은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 중 상기 적 어도 하나 및 상기 저항 패턴을 각각 노출시키도록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 및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은 동일한 식각률을 갖는 절연막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도전막 및 적어도 하나의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해서 상기 도전막에 식각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2 영역 내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 및 상기 금속배선들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 상에 도전막 및 적어도 하나의 포토레지스트 패턴 을 형성하고,
    상기 비트라인 층간절연막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해서 상기 도전막에 식각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기 제 2 영역 내 상기 비트라인 패턴들 및 상기 금속배선들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들의 반도체 기판에 활성 영역들 및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자 분리막은 상기 활성 영역들을 고립시키도록 형성하고, 상기 저항 패턴은 상기 소자 분리막을 지나는 수직선 상에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들의 반도체 기판에 활성 영역들 및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자 분리막은 상기 활성 영역들을 고립시키도록 형성하고, 상기 저항 패턴은 상기 활성 영역들을 가로질러서 달리도록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플레시 메모리의 형성방법.
KR1020040112334A 2004-12-24 2004-12-24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플레시 메모리들 및 그 형성방법들 KR10060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334A KR100607193B1 (ko) 2004-12-24 2004-12-24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플레시 메모리들 및 그 형성방법들
US11/317,595 US20060138559A1 (en) 2004-12-24 2005-12-23 Flash memories having at least one resistance pattern on gate pattern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334A KR100607193B1 (ko) 2004-12-24 2004-12-24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플레시 메모리들 및 그 형성방법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886A KR20060073886A (ko) 2006-06-29
KR100607193B1 true KR100607193B1 (ko) 2006-08-01

Family

ID=3661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334A KR100607193B1 (ko) 2004-12-24 2004-12-24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플레시 메모리들 및 그 형성방법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138559A1 (ko)
KR (1) KR1006071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384B1 (ko) * 2008-12-26 2011-04-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배선을 절연시키는 방법
US11908919B2 (en) * 2020-05-28 2024-02-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ulti-gate devices with multi-layer inner spacers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8663B2 (ja) * 1991-10-25 2002-12-24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記憶情報読出方法
US5489547A (en) * 1994-05-23 1996-02-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polysilicon resistor with low temperature coefficient
SG54456A1 (en) * 1996-01-12 1998-11-16 Hitachi Ltd Sem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0359601C (zh) * 1999-02-01 2008-01-02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半导体集成电路和非易失性存储器元件
KR100323140B1 (ko) * 2000-01-17 2002-02-06 윤종용 낸드형 플래쉬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350675B1 (ko) * 2000-01-26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2124639A (ja) * 2000-08-09 2002-04-26 Seiko Instruments Inc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46841B1 (ko) * 2000-11-23 2002-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항 소자를 구비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00033B1 (ko) * 2001-02-08 2003-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층 배선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85960B1 (ko) * 2001-06-16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정렬된 금속 콘택 플러그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및그 제조 방법
JP4647175B2 (ja) * 2002-04-18 2011-03-0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4212299B2 (ja) * 2002-05-09 2009-01-21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0456700B1 (ko) * 2002-10-09 2004-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 패턴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34371B1 (ko) * 2004-05-25 2006-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 소자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886A (ko) 2006-06-29
US20060138559A1 (en)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7922B (zh) 形成用於電晶體裝置之閘極接觸結構及交叉耦合接觸結構的方法
KR100806339B1 (ko) 3차원적으로 배열된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낸드 플래시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9659274B (zh) 形成导电接触结构至半导体装置的方法及所产生的结构
US4970564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stacked capacitor cells
KR100598760B1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CN100373610C (zh) 具有用以改善表面平整度的虚设图案的多层布线结构
KR100557994B1 (ko) 매립 확장 콘택홀을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9253249A (ja) 半導体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102285787B1 (ko) 3차원 반도체 소자
KR20000023287A (ko)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950021083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2838070A (zh) 内连线结构、内连线布局结构及其制作方法
US20070278694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252350B2 (ja) 半導体デバイスにおいて付加的金属ルーティングを形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0433289C (zh) 具有电阻器图形和栓塞图形的集成电路器件及其形成方法
JP3880954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607193B1 (ko) 게이트 패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저항 패턴을 갖는플레시 메모리들 및 그 형성방법들
KR101585491B1 (ko) 도전 패턴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03200A (ko)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9411407B (zh)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作方法
KR20020062435A (ko) 플래시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69151B1 (ko) 반도체소자의 형성 방법
CN112652593A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KR102516407B1 (ko) 3차원 적층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05769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