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243B1 - 탈곡 장치 - Google Patents

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243B1
KR100458243B1 KR10-2002-0051298A KR20020051298A KR100458243B1 KR 100458243 B1 KR100458243 B1 KR 100458243B1 KR 20020051298 A KR20020051298 A KR 20020051298A KR 100458243 B1 KR100458243 B1 KR 100458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chaff
grain
handling cha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066A (ko
Inventor
히라따신
고노요시유끼
미쯔이다까후미
이노우에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3007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6Sieving means
    • A01F12/448Sieve adjusting means

Landscapes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탈곡 장치에 있어서, 그레인 팬으로부터의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동시에 퇴적된 처리물의 총중량이 변화함으로써 개폐 조절되는 채프 시브를 구비하고 있는 탈곡 장치에 있어서, 그레인 팬의 대형화, 곡물의 낟알 손실을 회피하면서 개폐 채프 시브에 처리물이 균일한 분포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취급실(1)의 받침망(5) 중, 그레인 팬(14)으로 처리물을 낙하 공급하는 전방측 부분(5a)의 처리물 낙하 구멍(5c)의 크기를 채프 시브(30)로 처리물을 낙하 공급하는 후방측 부분(5b)의 처리물 낙하 구멍(5d)의 크기보다 작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탈곡 장치{THRE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취급실과, 이 취급실로부터의 탈곡 처리물을 낙하시키는 처리물 낙하 구멍을 갖는 받침망과, 이 받침망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물 낙하 구멍으로부터 낙하된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요동 선별 장치를 구비한 탈곡 장치이며, 상기 요동 선별 장치가 상기 처리물 낙하 구멍으로부터 낙하된 탈곡 처리물을 구동 기구에 의한 요동에 의해 취급실 후방측으로 반송하는 그레인 팬과, 이 그레인 팬으로부터 반송된 탈곡 처리물을 상기 구동 기구에 의한 요동에 의해 선별처리하는 채프 시브와, 이 채프 시브의 개방도를 상기 채프 시브에 퇴적된 처리물의 총중량을 기초로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채프 조절 수단을 구비한 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채프 시브에 공급되는 처리물의 양이 많아지면, 채프 시브의 개방도를 확대한 쪽이, 곡물의 낟알이 채프 시브로부터 빠져 나가기 쉬워지고, 곡물의 낟알이 먼지와 함께 기기 밖으로 배출되는 손실을 저감하기 쉬워진다. 한편, 채프 시브에 공급되는 처리물의 양이 적어지면, 채프 시브의 개방도를 축소한 쪽이, 볏짚 부스러기 등이 채프 시브로부터 빠져 나가기 어려워져, 먼지가 곡물의 낟알에 혼입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채프 시브에 공급되는 처리물의 양이 많아지면, 채프 시브에 퇴적된 처리물의 중량이 커진다.
상기 탈곡 장치는 채프 시브에 퇴적된 처리물의 총중량을 기초로 채프 시브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자동 개폐식으로 함으로써, 채프 시브에 공급되는 처리물의 양이 변화해도 곡물 낟알에의 먼지 혼입이나 곡물 낟알의 손실을 회피하면서 탈곡 작업할 수 있도록 도모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퇴적 중량 기준으로 자동 개폐식으로 하는 탈곡 장치의 경우, 채프 시브에 처리물이 불균일한 분포로 공급되면, 큰 하중이 걸려 있는 가동 채프 립 판과, 소하중밖에 걸리지 않은 가동 채프 립 판이 생겨 가동 채프 립 판이 연동하여 움직이기 어려워지기 쉬우므로, 정밀도 좋은 중량 감지나 개폐 조절을 행하기가 어려워진다. 즉, 처리물의 총중량이 동일하더라도 각 가동 채프 립 판에 작용하는 하중이 대략 동일한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평균치로부터 고저 중 어느 하나로 크게 괴리된 립 판이 많은 경우에는 적절한 개방도를 얻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채프 시브의 앞에 설치하는 그레인 팬에서 요동 반송 처리되고 있는 동안에, 처리물의 분포를 가능한 한 균일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탈곡 처리물의 이송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했을 때의, 좌우 방향에 걸쳐서 처리물의 분포를 가능한 한 균일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프 시브 상의 처리물 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채프 시브 앞에 설치하는 그레인 팬의 처리물 이송 방향(전후 방향)에서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가령 취급실로부터 그레인 팬에 탈곡 처리물이 불균일한 분포로 공급되어도 그레인 팬으로 요동 반송 처리되고 있는 시간이 보다 많아지는 만큼, 분포의 균일화가 촉진되어 채프 시브의 개폐 조절이 정밀도 좋게 행해지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그레인 팬이 대형화되어, 그 만큼 탈곡 장치 전체도 대형화되는 동시에 경제적인 면에서도 불리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대형화 등을 회피하면서, 또한 곡물의 낟알이 먼지와 함께 기기 밖으로 배출되는 손실이 발생되기 어렵게 하는 동시에 채프 시브에 처리물을 가능한 한 균일한 분포로 공급시킬 수 있는 탈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탈곡 장치의 특징 구성은 상기 받침망이 취급실 전방측에 위치하여 탈곡 처리물을 상기 그레인 팬으로 낙하 공급하는 전방측 부분과, 취급실 후방측에 위치하여 탈곡 처리물을 상기 채프 시브로낙하 공급하는 후방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측 부분의 상기 처리물 낙하 구멍의 크기가 상기 후방측 부분의 상기 처리물 낙하 구멍의 크기보다도 작다는 데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받침망의 전방측 부분에 있어서는 처리물 낙하 구멍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그레인 팬으로 낙하 공급되는 탈곡 처리물이 비교적 작으면서 또한 소량이 되므로 보다 균일한 분포가 되기 쉽다.
한편, 받침망 후방측 부분에 있어서는 처리물 낙하 구멍이 크기 때문에, 이 부분에 존재하는 곡물의 낟알은 채프 시브로 빠져 나가기 쉬워진다. 취급실 후방부에 있어서는 처리 대상물인 곡물의 낙하가 진행하여 볏짚의 비율이 많아지고 있는 것을 감안하여 구멍을 크게 하여 낙하 가능한 곡물 낟알을 많게(탈곡 효율을 높임) 할 수 있다.
이상의 특징 구성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그레인 팬으로 처리물 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경우에 비해, 그레인 팬의 반송 방향에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망 후방측 부분의 처리물 낙하 구멍의 크기를 받침망 전방측 부분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보다 작은 것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송진구(送塵口)로부터 먼지와 함께 배출되는 곡물의 낟알이 적어지고, 또한 채프 시브에는 처리물을 가능한 한 균일한 분포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프 시브에 처리물이 균일한 분포로 공급됨으로써, 채프 시브의 퇴적 처리물의 검출 총중량을 기초로 조절되는 가동 채프 립 판의 개방도가 보다 적절한 것이 된다. 게다가, 그레인 팬의 길이가 짧은 소형으로 해도 되므로, 탈곡 장치 전체를 소형이면서도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취급실 후방부에 존재하는 곡물의 낟알이 채프 시브로 적극적으로 회수되어, 먼지와 함께 기기 밖으로 배출되기 어려워져 탈곡 장치 회수부에 있어서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받침망의 상기 전방측 부분과 상기 후방측 부분 사이에 탈곡 처리물의 취급실 후방 방향의 유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구획판을 설치하고 있다. 이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이 구획판에 의해, 곡물의 낟알이 받침망의 전방측 부분으로부터 후방측 부분으로 유동하는 것이 억제되므로, 받침망 전방측 부분으로부터 그레인 팬으로 낙하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취급실 후방측 부분으로 유동하여 송진구로부터 먼지와 함께 배출되는 곡물의 낟알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송진구로부터 먼지와 함께 배출되는 곡물의 낟알이 보다 적어져 한층 회수 효율이 상승된다.
또한, 받침망 전방측 부분에서의 처리물 체류 시간이 연장되므로 받침망 전방측 부분에서의 처리물 낙하 구멍이 작은 것에 기인하는 누설 낙하율의 저하를 회피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그레인 팬의 길이가 짧은 소형인 것으로 해도 되므로, 탈곡 장치 전체를 소형이면서도 저렴하게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이 상기 그레인 팬과 채프 시브를 구분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채프 시브가 상기 전방측 부분의 상기 처리물 낙하 구멍으로부터 낙하하여 상기 그레인 팬으로부터 반송된 탈곡 처리물에다가, 상기 후방측 부분의 상기 처리물 낙하 구멍으로부터 낙하된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받침망 전방측 부분으로부터 그레인 팬으로의 처리물의 누설 낙하도,받침망 후방측 부분으로부터 채프 시브로의 처리물의 누설 낙하도, 처리물의 자중을 기초로 한층 확실한 것이 되므로 한층 적합하다.
또한, 상기 받침망의 상기 전방측 부분이 합성 수지제이고, 상기 받침망의 상기 후방측 부분이 판금제이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즉, 받침망의 전방측 부분에 있어서는 합성 수지제이므로, 곡물의 낟알이 젖어 있어도 그 곡물의 낟알이 받침망에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한편, 받침망의 후방측 부분에 있어서는 만약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제를 채용하면, 처리물 낙하 구멍이 전방측 부분의 구멍보다도 커지는 것에 기인하여 강도가 저하되기 쉬워진다. 이 점에서, 본 발명과 같이 판금제로 하면, 구멍이 커져도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쉽게 가능해진다.
따라서, 그레인 팬의 소형화 및 곡물의 낟알 손실의 회피를 도모하면서, 채프 시브에 처리물을 균일한 분포로 공급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젖은 곡물 볏짚의 탈곡 처리가 가능한 동시에, 내구성의 면에서도 우수한 상태로 얻어진다.
또한, 받침망의 전후 사이에서 재료 제작을 다르게 해 두면, 다음과 같이 받침망의 전후 방향 길이를 다양한 것으로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즉, 합성 수지재를 성형하여 제작하는 받침망 전방부의 전후 길이를 다른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형을 제작하여 재성형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한편, 받침망 후방부에 대해서는 구멍 뚫린 판에 판금을 압박 가공하여 제작하는 것이므로, 소재가 되는 판금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은 받침망 전방부의 길이를 재성형에 의해 변경하는 것보다는 비교적 용이하면서도 저렴해진다. 따라서, 수지제의 받침망 전방측 부분에대해서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면서, 판금제의 후방측 부분만 전후 길이가 다른 다양한 부품을 제작하면, 취급 본체, 나아가서는 받침망의 전후 길이가 다른 다양한 탈곡 장치 사이에서, 받침망의 구성 요소를 최대한 공통인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조 비용면에서도 유리한 받침망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구성, 작용 효과 및 유리한 점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게 되면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결합용 탈곡 장치 전체의 종단 측면도.
도2는 선별 구조체 및 개폐 채프 시브가 배치되어 있는 부위에서의 단면도.
도3은 탈곡부의 횡단 정면도.
도4는 받침망 전체의 사시도.
도5는 개폐 채프 시브의 개방도 조절부의 평면도.
도6은 채프 립 판 부착부의 단면도.
도7은 개폐 채프 시브의 개방도 조절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취급실
2 : 축심
4 : 송진구
5 : 받침망
10 : 요동 선별 장치
12 : 구동 기구
13 : 선별 프레임
14 : 그레인 팬
15 : 고정 채프 시브
16 : 스트로우 랙
17 : 선별 구조체
18 : 그레인 시브
30 : 채프 시브
31 : 가동 채프 립
32 : 연결 핀
33 : 지지 부재
34 : 연결 부재
35 : 연동 핀
37 : 조절 수단
이하,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에 의한 탈곡 장치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컴바인용의 탈곡 장치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탈곡 장치는 탈곡부(A)와 선별부(B)와 회수부(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탈곡부(A)는 탈곡기 본체 내의 전단부측 상부에 위치하는 취급실(1)과, 이 취급실(1) 내부에 취급실 전후 방향의 축심(2a) 주위로 구동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는 취급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선별부(B)는 취급실(1)의 하방에 전단부측이 위치하는 구동 요동 가능한 요동 선별 장치(10)와, 이 요동 선별 장치(10)의 전단부측의 하방에 위치하는 당기[唐箕 ; "토오미(tohmi)" 또는 선별 팬(winnowing fan)](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수부(C)는 이 선별부(B)의 바닥부에 탈곡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1번 스크류 컨베이어(25)와 2번 스크류 컨베이어(26)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탈곡 장치는 컴바인의 수확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확 처리된 벼 및보리 등의 수확 곡물 볏짚을 탈곡 처리하여 곡물의 낟알을 회수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탈곡부(A)는 탈곡 피드 체인(3)에 의해 수확 곡물 볏짚의 줄기 밑둥측을 기기 본체 후방 방향으로 협지 반송하여 이삭 끝측을 취급실(1)에 공급하고, 그 이삭 끝측을 취급 본체(2)에 의해 탈곡 처리하여 탈곡 배출 볏짚을 탈곡 피드 체인(3)에 의해 취급실(1)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송진구(4)로부터 배출하여, 곡물의 낟알 등 탈곡 처리물을 취급실(1)의 받침망(5)으로부터 빠져 나가게 하여 볏짚 부스러기 등의 탈곡 처리물을 상기 송진구(4)로부터 배출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요동 선별 장치(10)는 전단부측이 요동 링크(11)를 거쳐서, 후단부측이 편심식 구동 기구(구동 기구의 일예)(12)를 거쳐서 각각 탈곡기 본체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탈곡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도록 구동되는 선별 프레임(13)과, 받침망(5)의 취급실 전후 방향에서의 전체 길이의 약 2/3에 상당하는 길이(L1)를 갖는 전방측 부분(5a)[받침망(5) 중 취급실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 도4 참조]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선별 프레임(13)의 전단부측에 부착되어 있는 그레인 팬(grain pan ; 14)과, 이 그레인 팬(14)의 후단부 하방 부근에 전단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받침망(5)의 취급실 전후 방향에서의 전체 길이의 약 1/3에 상당하는 길이(L2)를 갖는 후방측 부분(5b)[받침망(5) 중 취급실 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 도4 참조]의 하방에 전단부측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선별 프레임(13)에 부착되어 있는 개폐 채프 시브[채프 시브(a chaff sieve)에 상당](30)와, 이 개폐 채프 시브(30)의 후단부 부근에 전단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선별 프레임(13)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 채프 시브(15)와, 이 고정 채프 시브(15)의 후단부 부근에 전단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선별 프레임(13)에 부착되어 있는 스트로우 랙(a straw rack ; 16)과, 개폐 채프 시브(30) 및 고정 채프 시브(15)의 상방에 배치되어, 선별 프레임(13)에 부착되어 있는 선별 구조체(17) 및 개폐 채프 시브(3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선별 프레임(13)에 부착되어 있는 그레인 시브(a grain sieve ; 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채프 시브(15)는 개폐 채프 시브(30)보다도 요동 선별 장치(10)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요동 선별 장치(10)의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선별 프레임(13)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매의 고정 채프 립 판(stationary chaff lips)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처리물 낙하 구멍의 개방도(mesh)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선별 구조체(17)는 전단부측이 상기 송진구(4)의 하방에 위치하고, 후단부가 개폐 채프 시브(30)의 후단부 상방에 위치하는 그레인 팬(17a)과, 이 그레인 팬(17a) 상면측의 요동 선별 장치의 횡방향에 있어서의 복수 부위로부터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연장 단부가 고정 채프 시브(15)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스트로우 랙(17b)과, 상기 그레인 팬(17a)의 요동 선별 장치 횡방향에 있어서의 복수 부위로부터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연장 단부가 고정 채프 시브(15)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체선(17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체선(17c)은 인접하는 스트로우 랙(17b)끼리의 사이에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도2 및 도5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채프 시브(30)는 선별 프레임(13)의 좌우 측부 프레임부(13a)끼리의 사이에서 요동 선별 장치(10)의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 있는 복수매의 가동 채프 립 판(pivotal chaff lips ; 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가동 채프 립 판(31)의 상단부측은 가동 채프 립 판(3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 핀(32)과, 각 연결 핀(32)을 지지하고 있는 1매의 지지판(33)을 거쳐서 선별 프레임(13)의 측부 프레임부(13a)에, 연결 핀(32)의 축심(32a) 주위로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결 핀(32)의 지지 부재(33)로부터 가동 채프 립 판(31)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단부끼리에 걸쳐서 1개의 연결 부재(34)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각 가동 채프 립 판(31)의 하단부측에 있어서는 핀 연결부(31a)에 연동 핀(35)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들어가 있다. 그리고, 1개의 연동 부재(36)가 각 연동 핀(35)에 고정 부착됨으로써, 각 가동 채프 립 판(31)의 하단부측끼리가 연동되어 있다.
도면 부호 37은 개폐 채프 시브(30)의 처리물 낙하 구멍의 개방도를 조절하기 위한 채프 조절 스프링(채프 조절 수단의 일예)이다. 이 채프 조절 스프링(37)은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부가 어느 한 쪽의 연동 핀(35)의 상기 측부 프레임(13a)의 원호 형상의 긴 구멍(13b)으로부터 측부 프레임부(13a)의 외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채프 조절 스프링(37)의 타단부는 측부 프레임부(13a)의 외면측에 지지되어 있는 조절 레버(41)의 스프링 지지부(41a)에 부착되어 있다. 이 채프 조절 스프링(37)은 연동 핀(35)을 긴 구멍(13b)에 따라서 연결 핀(32)의 축심(32a) 주위에서 상승하는 측으로 이동 압박함으로써, 모든 가동 채프 립 판(31)을 연결 핀(32)의 축심(32a) 주위에서 상승측으로 요동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가동 채프 립 판(31)끼리가 개폐 채프 시브(30)의 선별 처리물을 빠져 나가게 하기 위한 처리물 낙하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연동 핀(35)이 상기 연결 핀(32)의 축심(32a) 주위에서 상기 긴 구멍(13b)에 따라서 이동 조작됨으로써 모든 가동 채프 립 판(31)이 연동하고, 연결 핀(32)의 축심(32a) 주위에서 하강 요동하여 처리물 낙하 구멍을 확대하거나, 또는 상기 축심(32a) 주위에서 상승 요동하여 처리물 낙하 구멍을 축소한다. 즉, 모든 가동 채프 립 판(31)이 축심(32a) 주위에서 하강 요동하면,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가동 채프 립 판(31)끼리의 간격이 확대되므로 처리물 낙하 구멍이 확대된다(도7 상부의 파선 참조). 반대로, 모든 가동 채프 립 판(31)이 축심(32a) 주위에서 상승 요동하면,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가동 채프 립 판(31)끼리의 간격이 축소되므로 처리물 낙하 구멍이 축소된다(도7 상부의 실선 참조).
처리물 낙하 구멍의 개방도는 채프 조절 스프링(37)이 개폐 채프 시브(30)에 퇴적된 탈곡 처리물의 총중량을 감지하고, 이 처리물 총중량을 기초로 자동적으로 개폐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각 가동 채프 립 판(31)으로 퇴적된 탈곡 처리물의 총중량이 보다 무거운 쪽으로 변화하면, 이 중량 변화 때문에, 채프 조절 스프링(37)이 신장하여 연동 핀(35)을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각 가동 채프 립 판(31)이 하강 요동하여 처리물 낙하 구멍을 확대시킨다. 반대로, 퇴적된 탈곡 처리물의 총중량이 보다 가벼운 쪽으로 변화하면, 채프 조절 스프링(37)이 단축되어 연동 핀(35)을 상승 요동시킨다. 이에 의해, 각 가동 채프 립 판(31)을 상승 요동시키고 처리물 낙하 구멍을 축소한다.
이상과 같이, 개폐 채프 시브(30)에 퇴적된 탈곡 처리물의 총중량이 증가할수록 개폐 채프 시브(30)의 처리물 낙하 구멍의 개방도가 확대되는 한편, 개폐 채프 시브(30)에 퇴적된 탈곡 처리물의 총중량이 감소할수록 개폐 채프 시브(30)의 처리물 낙하 구멍의 개방도가 축소되도록 조절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10)는 탈곡 처리물을 다음과 같이 선별 처리한다.
즉, 요동 선별 장치(10)는 받침망(5)의 전방측 부분(5a)으로부터 낙하 공급된 탈곡 처리물에 대해서는 그레인 팬(14)에 의해 받아내어 요동 선별 장치 후방측으로 반송하면서 선별 처리하고, 취급실(1)의 송진구(4)로부터 낙하 공급된 탈곡 처리물에 대해서는 선별 구조체(17)에 의해 받아내어 요동 선별 장치 후방측으로 반송하면서 선별 처리한다. 그레인 팬(14)으로부터의 선별 처리물, 받침망(5)의 후방측 부분(5b)으로부터 낙하 공급된 탈곡 처리물, 선별 구조체(17)의 그레인 팬(17a) 후단부로부터 낙하 공급된 선별 처리물의 각각에 대해서는, 요동 선별 장치(10)는 개폐 채프 시브(30)에 의해 받아내어 요동 선별 장치 후방측으로 반송하면서 선별 처리한다.
선별 처리하는 동안에, 개폐 채프 시브(30)에 퇴적된 처리물의 총중량이 증가하면, 채프 조절 스프링(37)에 의한 중량 감지를 기초로 한 자동 조절 때문에 개폐 채프 시브(30)의 개방도가 확대측으로 조절되어, 곡물의 낟알이 빠져 나가기 쉬워진다. 한편, 개폐 채프 시브(30)에 퇴적된 처리물의 총중량이 감소하면, 채프 조절 스프링(37)에 의한 중량 감지를 기초로 한 자동 조절 때문에 개폐 채프 시브(30)의 개방도가 축소측으로 조절되어, 볏짚 부스러기 등의 먼지가 빠져 나가기 어려워진다. 요동 선별 장치(10)는 개폐 채프 시브(30)의 후단부로부터의 선별 처리물, 선별 구조체(17)의 후단부로부터 낙하 공급된 선별 처리물의 각각을 고정 채프 시브(15)와 스트로우 랙(16)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 후방측으로 반송하면서 선별 처리한다. 요동 선별 장치(10)는 개폐 채프 시브(30)로부터 빠져나간 선별 처리물에 대해서는 그레인 시브(18)에 의해 선별 처리한다.
따라서, 상기 선별부(B)는 취급실(1)의 받침망(5)으로부터 빠져나간 곡물의 낟알 등 탈곡 처리물 및 취급실(1)의 송진구(4)로부터 낙하된 볏짚 부스러기 등의 탈곡 처리물을 구동 요동 가능한 상기 요동 선별 장치(10)에 의한 비중 선별과, 상기 당기(20)에 의해 본체 후방 방향으로 공급되는 선별풍에 의한 바람 선별에 의해 곡물의 낟알과 볏짚 부스러기 등의 먼지로 선별하여 곡물의 낟알을 요동 선별 장치(10)로부터 낙하시켜, 먼지를 선별풍과 함께 배진 팬(21)의 토출구(21a)나, 요동 선별 장치(10)의 후방에 위치하는 탈곡기 본체의 배진구(22)로부터 기기 본체 밖으로 배출한다.
상기 회수부(C)는 요동 선별 장치(10)의 그레인 시브(18)로부터 빠져나간 1번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10) 전단부측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1번 스크류 컨베이어(25)에 의해 탈곡기 본체의 가로 방향 외측으로 반출한다. 회수부(C)는 요동 선별 장치(10)의 그레인 시브(18), 고정 채프 시브(15), 스트로우 랙(16)의 각각으로부터 낙하된 2번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10) 후단부측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2번 스크류 컨베이어(26)와, 이 2번 스크류 컨베이어(26)의 반송 종단부에 탈곡기 본체의 가로 방향 외측에 접속되어 있는 인양 이송 장치(27)에 의해 탈곡기 본체 내로 반송하여 요동 선별 장치(10)의 전단부측으로 환원하여 다시 선별 처리에 이바지한다.
도2, 도3, 도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망(5)의 상기 송진구(4) 바로 앞에 위치하는 부위에 구획판(7a)을 설치하고, 취급실 천정판(6) 내면측의 송진구 바로 앞 위치에 대향하는 부위에 구획판(7b)을 설치하고, 하부 설부판(8)의 내면측에 상기 양 구획판(7a, 7b)과 취급실 주위 방향으로 일직선형으로 늘어서도록 배치한 구획판(7c)을 설치하고, 받침망(5)의 상기 전방측 부분(5a)과 상기 후방측 부분(5b) 사이에 구획판(9a)을 설치하고, 받침망(5)의 상기 전방측 부분(5a)의 취급실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에 위치하는 부위에 구획판(9b)을 설치하고 있다.
받침망(5)의 전방측 부분(5a)에 위치하는 구획판(9b) 및 받침망(5)의 전방측 부분(5a)과 후방측 부분(5b) 사이에 위치하는 구획판(9a)은 취급실 내면으로부터 취급실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하여, 받침망(5)의 전방측 부분(5a)을 취급실 후방 방향으로 유동하는 탈곡 처리물에 저항을 부여함으로써, 탈곡 처리물을 취급실(1)에 체재하여 취급 본체(2)에 의한 처리를 받기 쉽게 하고, 또한 곡물의 낟알을 받침망(5)의 전방측 부분(5a)으로부터 그레인 팬(14)으로 빠져 나가기 쉽게 하고 있다.
한편, 받침망(5)의 후방측 부분(5b), 취급실 천정판(6), 하부 설부판(8)에 부착되어 있는 각 구획판(7a 내지 7c)도, 받침망(5)이나 취급실 천정판(6)이나 하부 설부판(8)의 내면으로부터 취급실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하여, 받침망(5)의 후방측 부분(5b)을 취급실 후방 방향으로 유동하는 탈곡 처리물에 저항을 부여함으로써, 탈곡 처리물을 취급실(1)에 체재하여 취급 본체(2)에 의한 처리를 받기 쉽게 하고, 또한 곡물의 낟알을 받침망(5)의 후방측 부분(5b)으로부터 빠져 나가기 쉽게 하고 있다.
받침망(5)의 전방측 부분(5a)과 후방측 부분(5b) 사이에 위치하는 구획판(9a)은 상기 그레인 팬(14)과 채프 시브(30)를 구분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채프 시브(30)는 전방측 부분(5a)의 상기 처리물 낙하 구멍(5c)으로부터 낙하되어 상기 그레인 팬으로부터 반송된 탈곡 처리물에다가, 후방측 부분(5b)의 처리물 낙하 구멍(5d)으로부터 낙하된 탈곡 처리물도 선별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받침망(5)의 전방측 부분(5a)은 합성 수지판에 의해, 후방측 부분(5b)은 판금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합성 수지판제의 전방측 부분(5a)은 관통 구멍(전방측 부분의 처리물 낙하 구멍에 상당)(5c)이 취급실(1)의 전후 방향 및 주위 방향에 따르는 방향으로 나란히 개방되어 있는 구멍 뚫린 판에, 초고분자 합성 수지재를 성형하여 제작된다. 한편, 판금제의 후방측 부분(5b)은 관통 구멍(후방측 부분의 처리물 낙하 구멍에 상당)(5d)이 취급실(1)의 전후 방향 및 주위 방향에 따르는 방향으로 나란히 개방되어 있는 구멍 뚫린 판에, 판금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된다.받침망(5)의 전방측 부분(5a)의 관통 구멍(5c)의 크기는 후방측 부분(5b)의 관통 구멍(5d) 크기보다 작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취급실(1)의 전방측 부분에서는 가령 볏짚이 젖어 있어도, 받침망 전방측 부분(5a)이 수지제로 인해 부착되기 어려워져, 작은 관통 구멍(5c)으로부터 곡물의 낟알을 그레인 팬(14)에 가능한 한 균일한 분포로 낙하시키면서 탈곡 처리한다. 취급실(1)의 후방측 부분에서는 받침망 후방측 부분(5b)의 관통 구멍(5d)이 보다 크기 때문에 곡물의 낟알이 빠져 나가기 쉽게 하면서 탈곡 처리한다. 받침망 후방측 부분(5b)은 판금제이므로, 관통 구멍(5d)이 보다 큰 것일지라도 필요한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받침망(5)의 전방측 부분(5a)에는 2매의 구획판(9a, 9b)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중, 후방측에 위치하는 쪽의 구획판(9a)의 받침망 내면으로부터 취급실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높이(H1)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쪽의 구획판(9b)의 받침망 내면으로부터 취급실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높이(H2)보다 높게 하고 있다.
도5,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레버(417)의 기단부측에는 상기 연동 핀(35)의 단부가 들어가 있는 관통 구멍(41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기단부측을 연결 핀(42)을 거쳐서 선별 프레임(13) 측벽부(13a)의 외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제2 조절 레버(43)의 기단부측에도 상기 연동 핀(35)의 단부가 들어가 있는 관통 구멍(43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기단부측도 상기 연결 핀(42)을 거쳐서 측벽부(13a)의 외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양 조절 레버(41, 43)는 연결 핀(42)의 축심 주위에서 각별히 요동 조작할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조절 레버(41)에 대해서는 측벽부(13a)에 연결되어 있는 부위를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조작부(41c)가 측벽부(13a)로부터 벗어나는 측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조작부(41c)를 측벽부(13a)의 외면측에 고정되어 있는 위치 결정 돌기(44)로부터 빼내어 연결 핀(42)의 축심 주위에서 요동 조절한다. 그리고, 조절 목표 위치에 이르면, 조작부(41c)의 위치 결정 구멍을 복수개의 위치 결정 돌기(44)로부터 선택한 1개에 결합시켜 조작 레버(41)를 조절 목표 위치에 로크한다. 제2 조절 레버(43)도 조절 레버(41)와 마찬가지로 위치 결정 돌기(44)로부터 빼내어 연결 핀(42)의 축심 주위에서 요동 조절하고, 조절 목표 위치에 이르면 조작부(43b)의 위치 결정 구멍을 어느 하나의 위치 결정 돌기(44)에 결합시켜 제2 조절 레버(43)를 조절 목표 위치에 로크한다.
양 레버(41, 43)의 로크에 의해, 조작 레버(41) 관통 구멍(41b)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스톱퍼부의 스톱퍼 작용 및 누름 작용이나, 제2 조절 레버(43)의 관통 구멍(43a)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스톱퍼부의 스톱퍼 작용 및 누름 작용에 의해 연동 핀(35)의 요동 한계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연동 핀(35)을 채프 조절 스프링(37)에 대항하여 압박 조작함으로써, 가동 채프 립 판(31)의 상승 폐쇄측이나 하강 개방측의 한계 위치를 조절하거나, 가동 채프 립 판(31)이 채프 조절 스프링(37)에 의해 요동 조절되는 각도 범위를 조절하거나, 채프 조절 스프링(37)의 스프링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5 및 도7의 부호 46은 카운터 부재이다. 이 카운터 부재(46)는 그 일단부측이 상기 연동 핀(35)에 관통 구멍에 의해 결합하고, 중간부가 상기 연결핀(4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타단부측이 웨이트(45)를 구비한 것으로, 요동 선별 장치(10)의 요동에 기인하여 개폐 채프 시브(30)가 개폐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채프 조절 수단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채프 조절 스프링(37) 외에, 다양한 형태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 채프 립 판(31)을 개폐 조작하는 전동식 등의 작동기와, 개폐 채프 시브로 퇴적된 처리물의 총중량을 왜곡 게이지 등으로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이 계측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을 기초로 작동기를 조작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하고, 개폐 채프 시브로 퇴적된 처리물의 총중량을 기초로 개폐 채프 시브의 개방도 조절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따라서, 이들 채프 조절 스프링(37)이나 제어 수단을 총칭하여 채프 조절 수단이라 총칭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그레인 팬의 대형화 등을 회피하면서, 또한 곡물 낟알이 먼지와 함께 기기 밖으로 배출되는 손실이 발생되기 어렵게 하는 동시에 채프 시브에 처리물을 가능한 한 균일한 분포로 공급시킬 수 있는 탈곡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4)

  1. 취급실(1)과,
    이 취급실로부터의 탈곡 처리물을 낙하시키는 처리물 낙하 구멍(5c, 5d)을 갖는 받침망(5)과,
    이 받침망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물 낙하 구멍으로부터 낙하된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요동 선별 장치(10)를 구비한 탈곡 장치이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는
    상기 처리물 낙하 구멍으로부터 낙하된 탈곡 처리물을 구동 기구(12)에 의한 요동에 의해 취급실 후방측으로 반송하는 그레인 팬(14)과,
    이 그레인 팬으로부터 반송된 탈곡 처리물을 상기 구동 기구에 의한 요동에 의해 선별 처리하는 채프 시브(30)와,
    이 채프 시브의 개방도를 상기 채프 시브에 퇴적되어 있는 처리물의 총중량을 기초로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채프 조절 수단(37)을 구비한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망(5)이 취급실 전방측에 위치하여 탈곡 처리물을 상기 그레인 팬에 낙하 공급하는 전방측 부분(5a)과, 취급실 후방측에 위치하여 탈곡 처리물을 상기 채프 시브로 낙하 공급하는 후방측 부분(5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측 부분의 상기 처리물 낙하 구멍(5c)의 크기가 상기 후방측 부분의 상기 처리물 낙하 구멍(5d)의 크기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망의 상기 전방측 부분(5a)과 상기 후방측 부분(5b) 사이에 탈곡 처리물의 취급실 후방 방향의 유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구획판(9a)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9a)이 상기 그레인 팬(14)과 채프 시브(30)를 구분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채프 시브가 상기 전방측 부분의 상기 처리물 낙하 구멍(5)으로부터 낙하하여 상기 그레인 팬으로부터 반송된 탈곡 처리물에다가, 상기 후방측 부분의 상기 처리물 낙하 구멍(5d)으로부터 낙하된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망의 상기 전방측 부분(5a)이 합성 수지제이고, 상기 받침망의 상기 후방측 부분(5b)이 판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KR10-2002-0051298A 2002-03-07 2002-08-29 탈곡 장치 KR100458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61528 2002-03-07
JP2002061528A JP3777335B2 (ja) 2002-03-07 2002-03-07 脱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066A KR20030074066A (ko) 2003-09-19
KR100458243B1 true KR100458243B1 (ko) 2004-11-26

Family

ID=28034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298A KR100458243B1 (ko) 2002-03-07 2002-08-29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77335B2 (ko)
KR (1) KR100458243B1 (ko)
CN (1) CN127419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6886B2 (ja) * 2003-09-24 2006-11-15 ヤンマー株式会社 脱穀装置
CN100488352C (zh) * 2004-07-29 2009-05-20 洋马株式会社 联合收割机
CN103493645B (zh) * 2005-07-14 2016-11-23 株式会社久保田 脱粒装置的分选构造及全秆喂入型联合收割机
JP4484779B2 (ja) * 2005-07-14 2010-06-16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の扱胴構造
JP4638799B2 (ja) * 2005-10-24 2011-02-23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JP4148978B2 (ja) * 2007-01-11 2008-09-10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JP4894555B2 (ja) * 2007-02-27 2012-03-14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KR100928802B1 (ko) * 2008-01-18 2009-11-25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용 탈곡망
TWI396501B (zh) * 2010-03-26 2013-05-21 Iseki Agricult Mach Out of the device
JP2022007757A (ja) * 2020-06-26 2022-01-13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US11877538B1 (en) 2022-08-30 2024-01-23 Calmer Holding Company, Llc Threshing grains and legumes utilizing concaves with adjustable openin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5618A (ja) * 1985-02-26 1986-08-29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JPS61197837U (ko) * 1985-05-29 1986-12-10
JPH10155346A (ja) * 1996-11-29 1998-06-16 Kubota Corp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JP2000004655A (ja) * 1998-06-23 2000-01-11 Kubota Corp 脱穀装置の受網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5618A (ja) * 1985-02-26 1986-08-29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JPS61197837U (ko) * 1985-05-29 1986-12-10
JPH10155346A (ja) * 1996-11-29 1998-06-16 Kubota Corp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JP2000004655A (ja) * 1998-06-23 2000-01-11 Kubota Corp 脱穀装置の受網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43437A (zh) 2003-09-24
KR20030074066A (ko) 2003-09-19
JP3777335B2 (ja) 2006-05-24
CN1274198C (zh) 2006-09-13
JP2003259720A (ja) 200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243B1 (ko) 탈곡 장치
KR20080079580A (ko) 탈곡 장치
KR100900010B1 (ko) 콤바인
JP2007174997A (ja) 脱穀装置の揺動選別構造
KR100470603B1 (ko)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KR101772867B1 (ko) 수확기의 요동 선별 장치
JPH07289067A (ja) 脱穀機の送塵物処理装置
JP3973452B2 (ja) 脱穀装置
JP2831927B2 (ja) 脱穀装置における揺動選別装置
JP3538556B2 (ja) 脱穀装置の選別部構造
JP2003259719A (ja) 脱穀装置
JP3287492B2 (ja) 脱穀機の揺動選別体
JP2006174737A (ja) 脱穀機
JP2003274742A (ja) 脱穀装置
JPH11319718A (ja) 摺落米風選装置の清掃装置
KR101762412B1 (ko)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JP3534673B2 (ja)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JP3763713B2 (ja) 脱穀物の選別構造
JP3425797B2 (ja) 脱穀機の揺動選別体
JP2831928B2 (ja) 脱穀装置における揺動選別装置
JP3453811B2 (ja) 揺動選別装置型の籾摺選別機
JP2005229830A (ja) 脱穀装置
JP2512827Y2 (ja) 脱穀機における選別装置
JPH078101A (ja) 脱穀装置
JP2002272251A (ja) 脱穀装置のシーブケー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