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603B1 -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603B1
KR100470603B1 KR10-1998-0015252A KR19980015252A KR100470603B1 KR 100470603 B1 KR100470603 B1 KR 100470603B1 KR 19980015252 A KR19980015252 A KR 19980015252A KR 100470603 B1 KR100470603 B1 KR 10047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chamber
threshing
barr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818A (ko
Inventor
히도시 사무라끼
고오지 모리야마
게이다 가미구보
도시오 야마나까
Original Assignee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290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345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290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4008980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8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4Fanning means

Abstract

(과제) 예취곡간(刈取穀稈)을 탈곡하는 급동(扱胴) 및 송진구(送塵口)처리동을 수납하는 급실과 급실 하방의 선별을 하는 선별실을 갖는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의 탈곡성능과 선별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탈곡선별장치 하부의 선별실내의 요동본체의 아랫쪽에, 측부에서 공기를 흡인하는 요동본체에 선별하는 바람을 송풍하는 풍구와 및 프레팬과의 선별풍의 풍량을 조정한다.
(해결수단) 급동(20)의 내측 측면을 피장(被裝)하는 측부커버(181) 앞부분에 급동쪽유하판(210)의 상부를 고설하고, 그 급동쪽유하판을 경사상으로 배치하고, 급동쪽유하판의 하단을 선별실의 내측으로 향하게 하고, 전기 송진구처리동(21)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긴 처리동쪽유하판(211)의 상부를 고정하고, 처리동쪽유하판의 하부를 선별실의 좌우 내측으로 향하게 하여 경사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프레팬(41)의 흡인구(8c)를 개폐할 수 있는 제1샤터(278)과, 풍구(35)의 흡인구(8c)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제2샤터(279)를 연결암(276)으로 연결하고, 풍구의 흡인구(8b) 하부를 개폐하는 제3샤터(277)을, 연결암에 돌출하는 당접핀(287)을 당접시키는 것으로써, 회동시켜, 풍구 후부의 풍로상에 좌우방향으로 복수개의 풍향판(270)·(270)…을 배치하고, 각 풍향판 후부를 외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본 발명은,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히 말하면, 급동이나 송진구처리동에 의한 막힘을 없애서 탈곡성능을 향상하고, 탈립된 곡립을 요동선별 장치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안내하여 선별 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선별장치의 하방의 선별하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풍구 및 프레팬의 풍량을 조정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취부에 의해 베내어진 곡간(穀桿)을, 피드체인으로 이어받아, 이삭끝을 탈곡선별장치의 급구(扱口)내로 안내하여, 급동에서 탈곡하고, 탈곡된 볏짚이, 급동 하방에 배설하는 크림프망에서 요동선별장치상으로 누하하고, 다시, 급동으로써 처리되지 않았던 곡립이 포함되는 두번째물에 급동의 후측(後側)부에 배(配)설한 송진구처리동 내로 반송되어, 곡립과 짚부스러기등으로 선별하고 있었다.
전기 요동선별장치에 낙하한 곡립은, 요동선별과 바람에 의한 선별과에 따라 첫번째물, 두번째물, 짚부스러기와로 선별되어, 선별후의 첫번째물을 그레인탱크 내에 저류(貯留)하고, 두번째물을 재선별하여, 짚부스러기를 기체 후방으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
또, 종래의 콤바인등의 선별실에 배설하는 요동본체는, 요동본체의 앞부가 요동 가능하게 추지(樞支)되어, 요동본체 후부가 크랭크축 또는 편심축으로 연결되어, 그 축을 구동시키는 것으로써 요동본체가 전후방으로 요동되어, 벼나 짚부스러기등을 후방으로 보내면서 선별을 하고, 동시에 요동본체 하방에 배설한 풍구에서의 선별하는 바람을 요동본체내와 요동본체의 하방으로 송풍하는 것으로써 풍선이 이루어져, 챠프시이브부에서 첫번째물이나 두번째물이나 짚부스러기등으로 선별하는 비중선별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 밭끝에서의 회행(回行)시나, 베내기 처음이나 끝의 작업시와, 통상의 작업시와는 곡간의 양에 차가 생기기 때문에, 곡간량에 따라 풍구의 회전수를 증감하던지, 풍구에의 흡인량을 변경하던지 하는 기술이 공지로 돼 있다.
종래의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에서는, 탈곡선별장치에 안내된 곡간이 급동에 의해 탈곡될 때에, 커다란 부하가 걸려서, 이 급동에 대량의 곡간이 동시에 안내 됐을 때에는, 급동에 막힘이 생길 위험이 있었다.
또, 급동에서 탈곡된 곡립은 급동의 회전방향에 따라 흐르고, 크림프망의 우측부터 누하하여 선별장치상에 뭉쳐서 낙하할 때가 있어, 선별성능이 나쁘게 되고, 특히 장간(長稈)일때는 크림프망의 우측부터 탈곡되는 일이 현저하게 돼 있었다.또, 전기 송진구처리동은 급동의 우측 측부보다 후방으로 뻗어나온 구성으로 돼 있어, 송진구처리동에 의해 처리된 곡립도 요동선별장치의 우측상에 누하하므로, 선별장치의 우측에 곡립이 집중하여 선별성능이 나쁘게 돼 있었다.
또, 전기 탈곡선별장치의 급동이 대형일때는, 중량도 무겁고, 탈곡 작업시에 부하도 걸리므로, 강고히 지지하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었다.
더욱이, 여러줄기 베기 콤바인의 때, 한꺼번에 대량의 탈립이 선별장치로 보내지는 일이 있고, 이때 선별처리가 충분히 될 수 없을 때가 있다. 그래서, 풍구와 또 하나의 팬을 두어서, 선별풍을 요동선별장치에 보내 선별 효율을 올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때, 풍구의 곡립의 양에 맞추어 흡인량을 변화시키면, 또 하나의 팬은 일정 풍량으로 되어, 선별 정도가 변해 버린다. 그래서, 곡립에 맞추어서 또 하나의 팬의 흡인량도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이 소망돼 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기체 앞부분에 예취부를 배설하고, 기체 측부에 급동을 수납하는 급실과 선별을 하는 선별실을 갖는 탈곡선별장치를 배설하여, 좌우 역측(逆側)으로 그레인탱크를 갖는 콤바인에서, 전기 급동의 구동축의 전후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선별실에 입설(立設)하고, 그 지지체의 상부 외측을 구동축을 추지하는 추지부로 하고, 추지부 하방의 지지체에 외측 측면에서 그레인탱크 측으로 향하여 개구(開口)를 형성하고, 그 개구 위치에서 그레인탱크측의 추지체 앞면에 보강틀을 고설(高說)하고, 추지부 앞면에 고설하는 구동케이스의 기어실을 보강틀쪽 까지 형성하여 대용량형으로 하고, 기어실에서 측방으로 보스부를 신연(伸延)하여 보강틀에 고설하고, 지지체의 추지부를 구동케이스를 거쳐서 보강틀에 고정시키고 있다.
또, 예취곡간을 탈곡하는 급동 및 송진구처리동을 수납하는 급실과 급실 하방의 선별을 하는 선별실과를 갖는 탈곡선별장치를 기체의 측부에 배설하는 콤바인에서 급동에 따라서 정면시반원상(正面視半圓狀)의 크림프망을 배설하여 급실 하면을 형성하고, 그 크림프망상의 전후 도중부에 크림프망의 원호형상에 따라 복수개의 칸막이 벽을 배설하고, 앞쪽의 제1칸막이 벽을 크림프망의 좌측으로 재치(載置)하고, 크림프망의 좌우폭에 맞추는 제2칸막이 벽을 크림프망의 전후 약 중앙위치에 배설하고, 크림프망 우측에 재치하는 제3칸막이 벽을 송진구처리동의 투입구에 맞추어 배설하고, 크림프망의 앞우측을 복수개의 구멍을 개구하여 표면이 매끄러운 탈립플레이트를 배설하고 있다.
또, 전기 급동의 내측 측면을 피장(被裝)하는 측부커버 앞부분에 급동측유하판의 상부를 고설하고, 그 급동측유하판을 크림프망에 따라 경사상(傾斜狀)으로 배설하고, 급동측유하판 하단을 선별실의 내측으로 향하게 하고 있다.
또, 전기 송진구처리동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긴 처리동측유하판의 상부를 고정하고, 처리동측유하판 하부를 선별실의 좌우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상으로 배설하고 있다.
또, 전기 요동본체의 앞부분에 형성하는 수지제의 그레인팬 좌측으로 좌우 방향으로 긴 고정판을 전후에 평행상으로 고설하고, 전후의 고정판에 후측을 우향으로 경사상으로 배설하는 2개의 리드판을 써서 연결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또한, 곡물 선별장치의 하부의 선별실내의 요동본체의 앞하방에, 측부에서 공기를 흡인하여 요동본체에 선별하는 바람을 송풍하는 풍구와, 프레팬을 배설하고, 그 프레팬의 흡인구를 개폐할 수 있는 제1샤터와, 풍구의 흡인구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제2샤터와를 연결암으로 연결하고, 풍구의 흡인구 하부를 개폐하는 제3샤터를, 연결암에 돌출하는 당접부재(當接部材)를 당접시키는 것으로 회동(回動)시키고 있다.
또, 선별장치 하부의 선별실내의 요동본체의 앞하방에 측부에서 공기를 흡인하여 요동본체에 선별하는 바람을 송풍하는 풍구 후부의 풍로상에 좌우방향으로 복수개의 풍향판을 배설하고, 각 풍향판의 후부를 외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상으로 배설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및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첨부의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콤바인 전체측면도, 도2는 탈곡선별장치에의 동력전달구성을 나타내는 스켈튼도, 도3은 탈곡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도4는 탈곡선별장치의 상부를 나타내는 부분정면도, 도5는 탈곡선별장치의 후면도, 도6은 탈곡선별장치의 급실의 좌측측면도, 도7은 급동을 구동하는 구동케이스의 평면단면도, 도8은 크림프망을 지지하는 망지지 프레임 의 정면도, 도9는 망지지 프레임의 전개도, 도10은 망지지 프레임 앞부분에 배치하는 탈립플레이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1은 망지지 프레임 앞부분에 배치하는 탈립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2는 리드판을 배치시킨 요동본체의 부분평면도, 도13은 선별실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흡인량 조정기구를 갖는 선별실의 앞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15는 풍구를 갖는 선별실을 나타내는 부분측면도의 일부단면도, 도16은 풍향판의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부분평면도, 도17은 배고량 검지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에서 콤바인의 전체 구성부터 설명하면, 크롤러식주행장치(1)상에 기체프레임(2)을 재치하고, 그 기체프레임(2) 전단에 인기(引起)·예취장치(A)를 승강 가능하게 배설하고, 인기·예취장치(A)는 전단에 분초판(分草板)(3)을 돌출하여 곡간을 분초하고, 그 후부에 인기케이스(4)를 입설하여, 그 인기케이스(4)에서 돌출한 타인의 회전에 의해 곡간을 일으켜서, 분초판(3) 후부에 배설한 예인(刈刃)(5)으로써, 포기밑을 베내고, 상부반송장치, 하부반송장치, 세로반송장치(6)로 후부에 반송하고, 이 세로반송장치(6)의 상단에서 포기밑이 피드체인(7)으로 이어받아져 탈곡장치내에 곡간을 반송하고, 그 피드체인(7) 후단에는 배고반송장치(16)가 배설되고, 배고반송장치(16) 후부 하방에 배설한 배고커터장치(17)로써, 반송돼온 배고를 절단하여 밭으로 방출하고 있다. 전기 탈곡장치의 측부에는 선별후의 정립(精粒)을 저류하는 그레인탱크(12)가 배설되고, 그 그레인탱크(12) 앞부분에는 운전부(19)가 배설돼 있다.
전기 탈곡장치(B)는 도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급실내에 급동(20)과 송진구처리동(21)이 축심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횡가(橫架)되고, 탈곡장치(B) 하부의 이 급실의 하방에 선별실이 형성돼 있다. 전기 급실의 급동(20) 주위에 급인(扱刃) (20a)·(20a)…가 식설(植設)되고, 급동(20) 하부 주위에는 크림프망(31)을 두어서 벼나 작은 짚부스러기등만이 누하하여, 선별실내에서 선별되도록 하고 있다. 전기 송진구처리동(21)은, 급동(20) 후부의 그레인탱크(12)쪽에 급동(20)과 평행으로 횡가돼 있고, 급동(20)에서 처리할 수 없었던 지경(枝梗) 부착립(付着粒)등을 송진구처리동(21)에 환류하여 처리하고, 짚부스러기 등은 후방으로 반송하여 기외로 배출하고 있다.
다음에, 도2에 나타내는 스켈튼도를 써서 구동 구성을 설명한다. 전기 엔진(E)의 출력축(60)을 좌우방향으로 돌출하고, 그 출력축(60)의 일단을 기어케이스(259)에 입력하고, 그 기어케이스(259)에서 풀리, 벨트를 거쳐서 미션케이스에 동력을 전하여 주행장치를 구동하고, 또, 기어케이스(259)내의 작업클러치를 거쳐서, 기체 앞부분에 배설한 인기·예취장치(A)에 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탈곡장치(B)나 배고처리장치등을 구동한다. 전기 기어케이스(259)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출력축에서 풀리, 벨트를 거쳐서 송진구처리동(21), 및 급동(20)을 구동하고 있다.
또, 전기 기어케이스(259)에서 측방으로 구동측(261)을 돌출하고, 그 구동축(261)의 단부를 기체의 좌측부에 배설하는 동력전달부에 입력하여, 풀리, 벨트를 거쳐서 후방으로 전달하고 있는 풍구(35), 1번선별콘베이어(22)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기 1번콘베이어(22)의 콘베이어축(273)에는, 풀리(269)와는 따로 제2의풀리(274)를 감합하고 있고, 그 제2의풀리(274)에 벨틀를 권회하여, 2번콘베이어(23), 선별본체(51)나 배출용의 배풍팬(30)이나 배고커터장치(17)를 구동하고, 또한 후방의 기체 후부에 배설하는 결속장치에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 전기 1번콘베이어(22)의 다른쪽에 베벨기어를 거쳐서 양곡(揚穀)콘베이어(13)를 구동하고 있고, 그 1번콘베이어(22)에 의해 반송된 벼는 양곡콘베이어(13)를 거쳐서 그레인탱크(12)로 반송하고 있다.
또, 전기 2번콘베이어(23)의 타단부에, 베벨기어를 거쳐서 환원콘베이어(62)를 구동하고, 그 환원콘베이어(62)의 타단의 배출구는 요동선별장치(C)의 크림프망(31)의 앞측부에 임하게 배치하고, 두번째물을 환원하여, 다시 선별을 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전기 엔진(E)의 우측에 돌출하는 출력축(60)에서, 풀리나 벨트나 연동축이나 베벨기어를 거쳐서 배출콘베이어(63)에 동력을 전달하고, 또한, 종콘베이어(64), 배출오거(65)를 구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 그레인탱크(12)내에 저류한 벼를 배출가능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급실내의 전기 급동(20)의 지지 구성에 대해서 도3∼도6을 써서 설명한다. 전기 급동(20)은, 선별실의 앞부분에서 입설되는 지지체(180) 상부와, 급실의 전후 도중 위치에 입설하는 지지체에 의해, 급동(20)의 구동축(136)이 추지되어 추지부(180a)가 형성돼 있다. 그 지지체(180)·(180)의 하방에는 좌측[피드체인(7)측]을 개방하여 곡간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180b)가 형성돼 있다. 전후의 전기 지지체(180)·(180)의 하부의 사이에는 망틀(200)을 전후 방향으로 횡가하고, 그 위에 크림프망(31)이 고정되고, 급동(20)의 하측 반분(半分)이 피장되어, 피드체인 (7)에 의해 곡간의 이삭끝 쪽이 급동(20)과 크림프망(31)의 사이에 반송된다.
또, 전기 급동(20)의 측방[그레인탱크(12)쪽의 측방]은, 측부커버(181)에 의해 피장되고, 급동(20)의 상방이 급실커버(182)에 의해 피장되고, 그 급실커버(182)가 지지체(180)에 의해 회동가능으로 추지돼 있다.
전기 급실커버(182)의 내주면에는 판상의 송진변(送塵弁)이 고설되고, 급동(20)에 회동에 동반되어 유도되는 짚부스러기에 저항을 주어, 송진구처리동(21)에 유도되는 짚부스러기의 양을 조정하고 있다. 또, 전기 급실커버(182)의 좌단부[피드체인(7)쪽]에 급인(扱刃)(20a)·(20a)…에 의한 박힌알을 제거하는 도시하지 않은 박힌알 제거체를 배설하고 있다.
또, 전기 급동(20) 앞부분을 피장하는 지지체(180)는 판상이며, 지지체(180)의 앞부분의 좌측[개구(180b)보다 좌측]에는, 지지체(180)를 보강하는 보강체(185)가 고설돼 있다. 그 보강체(185)는, 도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평면 단면시 4각 형상의 통체이며, 지지체(180) 앞부분에 고설되어, 지지체(180)의 단면 형상을 크게하여 강성(剛性)을 높이고 있다.
이 보강체(185)에 의해 보강돼 있는 지지체(180)의 구동축(136)을 추지하는 추지부(180a) 앞면에는 구동케이스(186)가 배설돼 있다. 그 구동케이스(186)는, 도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앞부분케이스(187)와 후부케이스(188)를 접합하고, 내부에 감속기어를 수납하는 기어실(187a)·(188a)이 형성돼 있다. 그 기어실 (187a)·(188a)은, 앞부분케이스(187)측 상부에 감합부(187c)가 형성되고, 그 감합부(187c)에 베어링등의 추지체(189)가 감합되고, 추지체(189)에 입력축(190)이 추지되고, 기어실(187a)·(188a) 저부의 지면상 좌측에 구동축(136)이 삽입되고, 입력축(190)에 입력 동력이, 도시하지 않은 카운터축을 거쳐서 구동축(136)에 감속한 동력이 전달돼 있다. 또, 전기 기어실(187a)·(188a) 저부의 우측이 보강체(185)측에 뻗어나오고, 기어실(187a)·(188a)이 정면시 거의 삼각형으로 형성하고, 내부 용적이 큰 기어실(187a)·(188a)을 형성하고, 기어실(187a)·(188a)내의 감속기어의 냉각 효율을 향상하고 있다.
또, 전기 후부케이스(188)의 기어실(188a)의 외주면에는 볼트 고정용의 복수개의 보스부(188b)·(188b)…가 형성돼 있다. 전기 앞부분케이스(187)의 기어실(187a)의 외주면에서 그레인탱크(12)측에 볼트 고정용의 보강용보스부(187b)가 형성되고, 정면시 보강체(185)와 랩하는 위치까지 신연돼 있다. 따라서, 전기 지지체(180)의 앞면에 후부케이스(188)를 배설하고, 그 후부케이스(188)의 보스부 (188b)·(188b)…에 볼트를 삽입하여, 지지체(180)의 추지부(180a)에 후부케이스(188)가 나합(螺合)돼 있다. 전기 후부케이스(188)에 앞부분케이스(187)를 나합하면 앞부분케이스(187)의 보강용보스부(187b)가 보강체(185) 앞면에 당접해 있고, 그 보강용보스부(187b)에 볼트를 삽입하고, 앞부분케이스(187)를 보강체(185)에 나합하면, 지지체(180)의 추지부(180a)가 구동케이스(186)를 써서 보강체(185)와 일체적으로 나합되어, 지지체(180)의 단면 형상을 크게하여 강성이 높혀지고 있다.
또한, 전기 구동케이스(186) 상방의 보강체(185) 측부에는 상고정(上固定)플레이트(191)가 고설되고, 그 상고정플레이트(191)의 측방단부(지면상 우측단부)가, 정면시에서 보강체(185)에 피장돼 있지 않는 지지체(180)상까지 연출되고, 상고정플레이트(191) 단부가 지지체(180)에 고설돼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케이스(186) 하방의 보강체(185) 측부에는 하고정플레이트(192)가 고설되고, 하고정플레이트(192) 단부가 지지체(180)에 고설돼 있고, 그 하고정플레이트(192)와 상고정플레이트(191)와로써, 구동케이스(186)와 합쳐서, 지지체(180)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다음에 전기 급동(20) 하측을 피장하는 크림프망(31)은, 망틀(200)상에 재치돼 있다. 그 망틀(200)은, 도8에 나타내는 정면시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그 망틀(200)에 재치하는 크림프망(31)이 급동(20)의 급인(20a)·(20a)…에 회동궤적의 거의 하측을 피장하고 있다. 또, 전기 망틀(200)은, 도9에 나타내는 평면시와 같이 틀상으로 형성되고, 망틀(200)상에 크림프망(31)이 지지돼 있다. 그 망틀(200)의 후부 좌측에 송진구처리동(21)에의 투입구(200a)가 형성돼 있다.
또, 전기 망틀(200)의 좌우방향의 좌측[그레인탱크(12)측] 도중 위치에 보강프레임(201)이 전후방향으로 횡가되고, 망틀(200)의 좌우방향의 우측 도중 위치에 연결프레임(202)이 전후방향으로 횡가돼 있다. 전기 보강프레임(201)의 전후방향의 앞쪽에 제1칸막이판(203)이 고설돼 있다. 그 제1칸막이판(203)은, 보강플레임(201)에서 좌측의 망틀(200)까지 크림프망(31)에 따라 원호상으로 형성돼 있다. 또, 전기 보강프레임(201)의 전후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제2칸막이판(204)이 고설되고, 그 제2칸막이판(204)은 보강프레임(201)에서 좌우측부의 망틀(200)까지 크림프망(31)에 따라 원호상에 형성돼 있다. 또한, 전기 망틀(200)의 투입구(200a)의 앞부분 위치에 제3칸막이판(205)이 고설되고, 그 제3칸막이판(205)이 투입구(200a) 측부에서 우측의 망틀(200)까지 크림프망(31)에 따라 원호상으로 형성돼 있다.
또, 전기 제1칸막이판(203), 제2칸막이판(204), 제3칸막이판(205)의 높이는 정면시에서 급동(20)의 급인(20a)·(20a)…선단부의 회동궤적과 랩하는 높이로 형성돼 있다. 또한, 각 칸막이판(203)·(204)·(205)는 크림프망(31)을 관통하는 볼트를 써서 망틀(200) 또는 보강프레임(201), 연결프레임(202)에 나합돼 있다.
또, 전기 크림프망(31)의 안에서 앞부분 좌측의, 망틀(200)과 연결프레임(202)과 제2칸막이판(204)으로 둘러싸인 범위를 도11에 나타내는 누하플레이트(206)를 배치하고 있다. 그 누하플레이트(206)는, 표면이 매끄러운 판체가 쓰이고, 누하플레이트(206)의 전후방향의 중앙부[제1칸막이판(203)의 연장선상]에서 후방에 복수개의 누하공(漏下孔)(206a)·(206a)…가 개구돼 있다. 그 누하공(206a)·(206a)…은, 크림프망(31)의 망목(網目)에 비해 구경을 크게 한 구멍이며, 곡립이 낙하하기 쉽도록 하고 있다. 또, 전기 누하플레이트(206)는, 도10에 나타내듯이 누하플레이트(206)의 전면에 걸쳐서 누하공(206a)·(206a)…을 개구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기 피드체인(7)에 의해 급실내에 반송되는 곡간은, 표면이 매끄러운 누하플레이트(206)에 의해 곡간 도중부가 원활하게 반송되고, 곡간의 이삭끝만이 제1칸막이판(203)에 당접되고, 어느정도 탈곡된 곡간이, 제1칸막이판(203)을 통과해 간다. 그리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제2칸막이판(204)에 의해 저항력이 크게 되도록 형성돼 있고, 그 제1칸막이판(203)과 제2칸막이판(204)과의 사이에서 비교적 오래 체류하여, 탈곡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 제2칸막이판(204)과 제3칸막이판(205)과의 사이에 의해 박힌알이 저감되고, 제3칸막이판(205)에 따라 송진구처리동(21)의 투입구(200a)내에 지경 부착알등이 안내되어 간다.
다음에 전기 크림프망(31)의 하방에 배설하는 급동측유하판(210)에 대해서 도4, 도6을 써서 설명한다. 전기 측부커버(181)의 앞부분 하부에 청소구(181a)가 개구되고, 급실내의 청소가 하기 쉽게 하고 있다. 그 청소구(181a)의 후방위치(지면상의 좌측)에 환원콘베이어(62)의 투입구(181b)가 개구돼 있고, 크림프망(31)의 앞하방에서 선별장치(C) 상방에 두번째물을 투입하도록 하고 있다. 전기 급동측유하판(210)은, 청소구(181a)의 개구위치의 상방의 측부커버(181) 내측(급실쪽)에 급동측유하판(210) 상부가 고설돼 있다. 그 급동측유하판(210)의 상부가 내측으로 굴곡되고, 급동측유하판(210) 하부가 급실의 내측 하방으로 향하여 경사상으로 형성돼 있다. 따라서, 곡간의 탈립량이 많은 급동(20) 앞부분에서, 크림프망(31)의 좌측 측면[그레인탱크(12)쪽]에 대량이 탈립되어도, 급동측유하판(210)에 따라, 선별실의 좌우 중앙측에 낙하되고, 선별실의 한쪽에 곡립이 퇴적하는 것이 막아지고, 후술하는 선별 본체(51)에 의한 선별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전기 송진구처리동(21) 하부에 처리동쪽유하판(211)이 배치돼 있다. 전기 송진구처리동(21)은, 도5, 도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급동(20)과 평행상으로, 급동(20)의 종단 위치보다 후방에 송진구처리동(21)이 배설되어 있다. 전기 송진구처리동(21)의 후단부는, 선별실에서 지지주(216)가 입설되고, 그 지지주(216) 상부에 후부벽(213)이 고설되고, 후부벽(213)에 배설하는 주지체(214)에 의해 송진구처리동(21)의 구동축(215)이 추지돼 있다. 전기 지지주(216)에서 전방에 처리동측부벽(217)이 형성되고, 그 측부벽(217)에서 급실쪽에 복수개의 받이프레임(218)·(218)…이 고설되고, 그 받이프레임(218)·(218)…상에 크림프망(212)이 재치되고, 그 크림프망(212)에 의해, 송진구처리동(21)의 외주면이 환상으로 피장돼 있다. 또, 전기 받이프레임(218)·(218)…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고정플레이트(219)가 고설되고, 그 고정플레이트(219)에 전후방향으로 긴 처리동쪽유하판(211) 상부가 고설돼 있다. 그 처리동쪽유하판(211)은 상부가 내측으로 굴곡되어, 처리동쪽유하판(211) 하부를 내측으로 경사상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 송진구처리동(21)에서 낙하하는 벼와 볏짚등의 일부가 처리동쪽유하판(211)에 따라서 선별실의 요동본체(51)의 좌우방향으로 중앙쪽으로 안내 되고, 나머지가 요동본체(51)의 우측에 안내되고, 좌우방향으로 분배되어, 요동본체(51)에 의해 선별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전기 처리동쪽유하판(211)은 측면에서 후방측에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고, 요동본체에 의해 선별거리가 짧아져 있는 후방 만큼 좌우 방향의 중앙측에 안내되도록 형성돼 있다.
다음에, 전기 탈곡선별장치(B) 하부에 형성한 선별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에 나타내듯이, 그 선별실에는 요동본체(51)에 의한 비중선별과 풍구(35) 및 프레팬(41)에 의한 바람에 의한 선별에 의해 첫번째물과 두번째물과 짚부스러기등으로 선별을 하는 것이다. 요동본체(51)의 전단부를 급동(20)의 전단 하방에 배치하고, 요동본체(51)의 후단을 송진구처리동(21)의 후부 하방까지 연출하고 있다. 전기 요동본체(51)의 앞하부에 추지축(52)을 두어서 후부를 크랭크축(53)에 추지하고, 크랭크축(53)의 회동에 의해 요동하도록 구성돼 있다. 그리고, 전기 요동본체(51) 앞부분에는 그레인팬(58)을 형설하고, 그 후방에 핀(fin)상의 챠프시브 복수개를 횡가하고, 요동본체(51) 앞부분에 둔 개구에서 풍구(35)로 부터의 선별하는 바람을 도입하여, 챠프부(55)상에 반송되는 벼를 바람으로 선별하도록 하고, 요동본체(51) 밑부의 앞부분에 둔 낙하구(51c)에서 선별후의 벼를 낙하시키고 있다.
다음에 전기 요동본체(51)의 앞부분에 재치하는 그레인팬(58)은 수지로써 일체 성형된 판체(板體)이고, 그레인팬(58) 상면이 파상(波狀)으로 형성되어 벼를 후방으로 반송하기 쉽게 하고 있다. 도12에 나타내듯이, 그 그레인팬(58) 상면 좌측[그레인탱크(12쪽)]에, 리드판(220)·(220)…이 배설돼 있다. 전기 그레인팬(58) 상에는 좌우방향으로 고정판(221)·(221)…이 배설되고, 전후 2개의 고정판(221)·(221)을 써서 좌우 2개의 리드판(220)·(220)이 고정돼 있다. 전기 고정판(221)의 좌우 단부에 고정용의 홈(221a)·(221a)이 형성되고, 그 홈을 관통하여 고정 볼트를 삽입하고, 고정판(221)을 그레인팬(58)상에 나합하고, 전후의 고정판(221)·(221)이 리드판(220)·(220)에 의해 연결되고, 수지로써 성형한 그레인팬(58)의 강성을 높혀지고 있다.
전기 리드판(220)은 상하방향에 높이를 갖는 판체이며, 리드판(220)의 후부와 도중부와의 측면에 연결판(222)·(222)이 고설되고, 후방의 연결판(222)의 고정위치를 전방의 연결판(222)의 고정위치 보다 우측(지면상의 하측)으로 비켜서 배치하는 것으로써, 리드판(220)은 후단(지면상의 우측)이 요동본체(51)의 내측(지면상의 하측)으로 향하여 경사상으로 배설되고, 그레인팬(58)에 낙하한 벼가 후방으로 안내될 때, 리드판(220)에 의해, 그레인팬(58)의 좌측[그레인탱크(12)쪽]보다 중앙쪽으로 안내돼 있다. 또, 도12의 후방 좌측의 리드판(22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연결판(222)·(222)을 전후방향으로 고설하고, 리드판(220')을 전후방향으로 향하게 배치하고, 그 리드판(220') 후방에 경사상의 리드판(220″)을 배설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것으로써, 급실에 의해 탈곡된 벼가, 앞부분의[그레인탱크 (12)쪽]에서 대량으로 낙하하여도, 급동쪽유하판(210)에 의해 요동본체(51)의 그레인팬(58)의 중앙쪽으로 안내하고, 또한 급동쪽유하판(210)에 의해 중앙쪽으로 안내하지 못했던 벼가, 그레인팬(58)상에 형성한 리드판(220)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됨에 따라 요동본체(51)의 중앙쪽으로 반송하고 있고, 곡간이 길고, 요동본체(51)의 그레인탱크(12)쪽에서 탈립되어도 요동본체(51)의 중앙측에 분산되어, 요동본체(51)에 의한 선별성능이 높게 유지된다.
도3에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전기 선별실에는, 요동본체(51)와 풍구(35)와 프레팬(41)등이 배설되고, 탈곡된 벼와 짚부스러기등이 비중선별과 바람에 의한 선별에 의해 첫번째물과 두번째물과 짚부스러기등으로 선별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 선별실은, 도1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주위에 몇개의 지지주(25)· (25) …이 입설되고, 그 지지주(25)·(25)…에 측부벽(8)이 고설되고, 선별실의 외측측면이 형성돼 있다. 또, 선별실의 앞부분에 액츄에이터(257)가 배설되고, 운전부(1)에서의 조작에 의해 액츄에이터(257)가 구동하고, 요동본체(51)의 후술하는 챠프부(55)가 조작되고 있다.
전기 요동본체(51)는 철판등의 강재를 상자형으로 용착하여 강성을 높인 것이다. 그 요동본체(51)의 전단부를 급동(20) 하방에 배치하고, 요동본체(51)의 후단을 송진구처리동(21)의 후부 하방까지 연출하고 있다. 전기 요동본체(51)의 앞하부에 추지축(52)을 두어서 후부 크랭크축(53)에 추지하고, 크랭크축(53)의 회동에 의해 요동하도록 구성돼 있다. 그리고, 전기 요동본체(51)는, 앞부분에는 제1그레인팬(58)이 배설되고, 그 후 하부를 1단 내려서, 제2그레인팬(59)이 배설되고, 제2그레인팬(59)의 앞부분에서 선별하는 바람 도입구(51a)를 개구하고, 제2그레인팬(59)의 후부에서 후방을 하방으로 팽출(膨出)하여 팽출부(51b)를 성형하고, 그 팽출부(51b) 하면에는 낙하구(51c)가 개구돼 있다.
그리고, 전기 제1그레인팬(58)과 제2그레인팬(59)은, 수지로서 판상을 파상으로 하여 벼를 후방으로 반송하기 쉽게 성형하고 있다. 그 제1그레인팬(58)과 제2그레인팬(59)이 볼트를 써서 요동본체(51)에 나합돼 있다.
전기 제1그레인팬(58)의 후부에 체(71)를 후방으로 돌출하여 배치하고, 그 후부 하부의 제2그레인팬(59)에 연접하도록 복수의 챠프핀(54)·(54)…을 횡설하는 챠프부(55)를 배설하고 있다. 그 챠프부(55) 하부 위치의 전기 낙하구(51c)의 앞부분에서 후방 도중위치 까지의 망상의 그레인시브(57)에 의해 피장돼 있다. 또 전기 요동본체(51)의 앞하방에 프레팬(41)이 배설되고, 요동본체(51)의 전후방향 도중위치의 하방에 풍구(35)가 배치되고, 선별하는 바람 도입구(51a)에서 도입되는 프레팬(41)에서의 바람이 제1그레인팬(58) 하면과 제2그레인팬(59) 상면과의 사이를 지나, 챠프부(55)상에 반송되는 벼를 바람으로 선별하도록 하고 있다. 풍구(35)에서의 바람이, 낙하구(51c)를 통과하여 챠프부(55)에서 선별하는 바람으로서 불어 올려지고, 요동본체(51)의 요동과 선별하는 바람으로서 챠프부(55)에 의한 비중선별과 바람에 의한 선별이 이루어진다.
또, 전기 챠프부(55)는, 곡간의 양에 의해 자동적으로 챠프핀(54)·(54)…의 각도를 바꿀 수 있는 가동 챠프부(55a)와 수동에 의해 챠프핀(54)·(54)…의 각도를 두 방향으로 바꿀 수 있는 수동 챠프부(55b)와 챠프핀(54)·(54)…의 각도가 고정돼 있는 고정챠프부(55c)가 형성돼 있다. 전기 가동챠프부(55a)는, 요동본체 (51) 앞부의 제2그레인팬(59)의 후방 위치에서, 요동본체(51)의 낙하구(51c)에 배설한 그레인시브(57)의 후방 상방까지 형성돼 있다.
전기 수동챠프(55b)는, 가동챠프부(55a) 후방의 그레인시브(57)에 의해 피장돼 있지 않은 낙하구(51c)의 상부에 배설되고, 고정챠프부(55c)가 요동본체(51) 후부에 배설돼 있다. 또, 전기 가동챠프부(55a)의 챠프핀(54)·(54)…은, 도14에 나타내는 요동본체(51) 측부에 배치하는 연결판(88)에 의해 연결되고, 그 연결판(88)이 링크기구(255)에 연동되고, 조작와이어(254)를 거쳐서, 전술한 액츄에이터(257)에 접속되고, 조작와이어(256)를 거쳐서, 후술하는 배고량 검지수단(250)에 연결돼 있다.
전기 곡간량 검지수단(250)은, 배고반송장치(16) 하방에 배설돼 있다. 도17에 나타내듯이, 전기 배고량 검지수단(250)은, 회동축(251)이 추지되고, 그 회동축(251)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는 검출암(252)과 수직방향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작동암(253)이 고설되고, 그 작동암(253)에 조작와이어(256)의 타단이 접속돼 있다. 따라서, 배고의 포기의 밑이 전기 배고반송장치(16)의 체인과 레일에 의해 협지되고, 배고의 양이 많을 때, 레일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전기 검출암(252)이 회동되고, 작동암(253)을 거쳐서 조작와이어(256)가 인장되어, 링크기구(255)를 회동하고, 연결판(88)이 이동하여, 챠프핀(54)·(54)…을 일체적으로 경동(傾動)하고 있다.
다음에 전기 풍구(35)와 프레팬(4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기 풍구(35)는, 도13에 나타내듯이 좌우방향으로 축심을 갖는 회동축(236)과 그 회동축(236)에서 반경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돌설하는 날개(238)·(238)…에서 구성하고, 풍구(35)의 회동축(236)은 측부에 고설한 추결플레이트(227)에 의해 지지돼 있다. 또, 전기 풍구(35)의 회전주위의 전방을 앞가이드판(239)으로 피장하고, 하방을 측면시 원호상의 하가이드판(240)으로 상방을 상가이드판(234)으로 피장하고 있다. 전기 하가이드판(240)의 종단부에 후가이드판(241)이 상가이드판(234)과 평행상으로 배설되고, 후가이드판(241)과 상가이드판(234)과의 사이에 풍로가 형성돼 있다. 또, 전기 풍구(35) 측부의 측부벽(8)에는 개구가 두어지고, 전기 추결플레이트(227)를 경계로 하여, 상하에 흡인구(8a)·(8b)가 형성되고, 여기서 도입한 공기는 하가이드판(240)에서 전가이드판(239)에 따라서 흘러서 바람을 발생시키고, 상가이드판(234)에 따라서, 상가이드판(234)과 후가이드판(241)과의 사이의 풍로에 송풍하고 있다.
또, 전기 상가이드판(234)과 후가이드판(241)에서 형성하는 풍로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복수개의 풍향판(270)·(270)…이 배설돼 있다. 그 풍향판(270)· (270)…은, 도15, 도10에 나타내듯이, 선별실에 좌우방향으로 횡가된 고정판(271) 상에 전후방향으로 경사하여 고설되고, 선별실의 좌우측면의 고정대(272) 상부에 재치 고정돼 있다. 전기 풍향판(270)·(270)…은, L형으로 형성하고, 일면이 고정판(271)상에 고설되고, 타면을 입상(立狀)으로 한 판체이다. 전기 풍향판(270)·(270)…은, 고정판(271)상에 좌우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설되고, 각 풍향판(270)·(270)…의 후부는 좌우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상으로 배설돼 있다. 곧, 전기 풍향판(270)·(270)…의 안에서, 좌측(도16의 지면상의 상방쪽)에 배설하는 풍향판 (270)·(270)…의 후부를 좌측으로 향하게 하고, 우측(도7의 지면상의 하방쪽)에 배설하는 풍향판(270)·(270)…의 후부를 우측으로 향하게 하여, 경사상으로 배설돼 있다. 전기 풍향판(270)·(270)…의 경사 각도는 좌우 외측에서 내측의 풍향판(270)·(270)의 경사각도(전후방향에 대한 경사각도)의 쪽이 크게 배치돼 있고, 풍로의 바람을 좌우 측방으로 안내하고, 요동본체(51)의 그레인시브(57)와 2번콘베이어(22)와의 사이의 송풍의 풍량을 좌우방향에서 균일하게 고르고, 요동본체(51)내의 좌우 양측에서의 선별정도가 저하하는 것을 막고 있다.
또, 전기 프레팬(41)은 도3, 도1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팬축(242)과 그 팬축(242)에서 방사상으로 돌설하는 날개(244)·(244)…에서 되고, 그 프레팬(41)은 측부판(8)의 사이에 배치돼 있다. 곧, 전기 측부판(8)에 약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고, 그 개구의 상하 중앙부에 측면시 약「〈」형상의 추결플레이트(246)를 고설하고, 좌우의 추결플레트(246)의 사이 위치에 팬축(242)을 추지하고 있다. 전기 프레팬(41) 측부의 개구는, 추결플레이트(246)를 경계로 하여 흡인구(8c)·(8d)가 형성돼 있다. 또, 전기 프레팬(41)의 앞면 및 하면을 원호상의 가이드체를 써서 피장하고 있고, 프레팬(41)의 회전에 의해 흡인구(8c)·(8d)에서 공기가 흡인되고, 그레인팬(58)의 후하부의 선별하는 바람 도입구(51a)에서 송풍을 하여 바람에 의한 선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 전기 프레팬(41)의 앞부분에 흡인구(245)가 개구되고, 엔진(E)의 배열에 의한 열풍을 프레팬(41) 내부로 도입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상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풍구(35)와 프레팬(41)은, 축부에서 공기를 흡인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고, 본 발명에서 이 흡인량을 조정하는 흡인량조정기구 (K)를 배치하고 있다. 그 흡인량조정기구(K)는 도1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전기 측부판(8)의 흡인구(8c)를 피장하는 제1샤터(278)와 풍구(35) 측부의 흡인구(8a)를 피장하는 제2샤터(279), 풍구(35) 측부의 흡인구(8b)를 피장하는 제3샤터(277), 제1샤터(278)와 제2샤터(279)와를 고설하는 연결암(276), 그 암(276)을 추지하는 횡축(275), 제3샤터(277)를 고설하는 회동암(285), 그 회동암을 추지하는 횡축(286)에 의해 구성돼 있다.
곧, 전기 횡축(275)을 지지주(25)에서 측방으로 돌출하고, 그 횡축(275)에 연결암(276) 중앙부를 추지하고, 그 연결암(276) 전단부에 제1샤터(278)를 고설하고, 횡축(275)에서 후방의 연결암(276) 후단부에 제2샤터(279)가 고설되고, 연결암(276) 중앙부의 하부에 당접핀(278)이 돌출돼 있다. 전기 연결암(276)은 도시하지 않은 용수철에 의해 닫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되고, 제1샤터(278)와 제2샤터(279)로서 흡인구(8c)·(8a)를 피장하는 위치에 보지돼 있다. 또, 전기 연결암(276) 앞부분에는, 조작와이어(258)가 고설되고 그 조작와이어(258)의 타단이 아우터케이스(259)내로 가이드되고, 전술한 배고량검지수단(250)의 작동암(253)에 연결돼 있다.
또, 전기 제3샤터(277)의 회동중심으로 되는 횡축(286)은, 추결플레이트(227) 앞상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고, 그 횡축(286)에 회동암(285)의 일단이 추지되고, 회동암(285) 타단에 제3샤터(277)이 고설되고, 도시하지 않은 용수철에 의해 개구(8b)를 피장하는 위치에 힘을 더하게 되어 있다. 전기 회동암(285)의 앞상부에는 로드(288)가 고설되고, 그 로드(288)가 연결암(276)상의 당접핀(287) 상방위치에 있고, 그 당접핀(287)의 횡축(275)을 중심으로 한 회동 궤적상까지 연출돼 있다.
따라서, 전기 배고량검지수단(250)에 의해, 대량의 배고가 검지되면, 가동챠프부(55a)의 챠프핀(54)·(54)…을 경동함과 동시에 조작와이어(258)를 거쳐서 연결암(276)이 회동하고, 도14의 2점쇄선과 제1샤터(287)를 하방으로 제2샤터(279)를 상방으로 회동하여 흡인구(8c)와 흡인구(8a)를 개방하고, 핀(41)·(35)으로의 유입 공기량을 증가시켜, 풍량을 늘려서 대량의 곡립에 대하여 선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배고량 검지수단(250)에 의해, 대량의 배고가 검지되면, 연결암(276)이 회동하고, 연결암(276)상의 당접핀(287)이 회동암(285) 단부의 로드(288)에 당접되고, 회동암(285)을 횡축(286)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제3샤터(277)가 하방으로 회동되고, 각 흡인구(8a)·(8c)와 흡인구(8b)가 개방되고, 팬(41)·(35)의 유입 공기량이 더욱 증대되, 요동본체(51)에 의한 비중선별의 능력이 향상된다.
역으로 배고량이 감소하면, 조작와이어(258)가 되돌려져, 각 샤터(277)·(278)·(279)가 흡인구(8a)·(8b)·(8c)를 닫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유입 공기량을 감소하여, 정립(精粒)까지 배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단, 전기 와이어(258)의 타단을 운전부(19)에 배설하는 레버와 연결하여 수동으로 풍량을 변경하던지, 와이어(258) 끝을 액츄에이터와 연결하고, 그 액츄에이터를 곡립량 센서와 접속하여, 곡립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곧, 청구항 1 기재와 같이, 급동의 구동축을 추지하는 지지체에 지지체의 한쪽에 강성을 높이는 보강틀을 고설하고, 구동축을 감속 구동하는 구동케이스를 지지체 전면과 보강틀에 걸쳐타서 고설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특별한 보강부재를 배설하는 일 없이, 구동케이스를 보강부재와 겸용시켜서, 코스트를 삭감할 수가 있고, 지지체의 강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 강성이 높이 형성된 지지체에 의해 중량이 커지는 급동이 안정하여 지지할 수가 있고, 급실내에 대량의 곡간이 반송되어 급동에 과대한 부하가 생겨도 안정하여 지지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2 기재와 같이, 급동의 하면을 피장하는 크림프망의 일부에 표면이 매끄러운 누하플레이트를 배설한 것으로써 곡간 도중부가 원활하게 반송되고, 크림프망상의 배치구성이 다른 칸막이판에 의해, 급실내를 반송되는 곡간으로의 저항을 바꾸고, 급실의 앞부분에서는 원활히 반송되고, 급실의 전후 도중 위치에서 후방에 걸쳐서는 저항을 크게 하고 있어, 탈곡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곡간에 남겨져 있는 박힌알이 저감되어 탈곡성능을 향상할 수가 있고, 처리에 남겨진 벼를 기체 후부에서 배출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 청구항 3 기재와 같이, 탈립량이 많은 탈곡실 앞부분에서 대량의 벼가 탈곡되고, 급동에 회전에 따라, 크림프망의 앞부분 좌측에서 하방으로 누하되어도, 급동의 측부를 피장하는 측부커버 앞부분에 급동쪽유하판을 배설한 것에 의해, 선별실의 좌우방향의 중앙쪽에 안내되므로, 탈곡된 벼가 분산되어, 한자리에 퇴적하는 일이 없어지고, 선별실에 의한 선별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급실을 청소하는 청소구를 개구하여도, 그 청소구가 급동쪽유하판에 의해 피장되고, 급실 외에 벼가 비산하는 일이 없는 구성으로 돼 있어, 메인티넌스성의 뛰어난 급실을 형성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4 기재와 같이 급동과 평행상으로 좌우방향으로 벗어나 선별실의 한쪽에 송진구처리동을 배설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그 송진구처리동 하부에 처리동쪽유하판을 경사상으로 배치해 있고, 송진구처리동 선별실에 의해 처리된 벼나 짚부스러기가, 좌우방향으로 한쪽만에 낙하하는 일이 없고, 처리동쪽유하판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중앙쪽에도 낙하되어, 벼등을 한자리에 퇴적하는 일없이 분산할 수 있으므로, 선별실에서의 선별성능을 향상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5 기재와 같이, 탈곡실 앞부분에서 대량의 벼가 탈곡되어, 급동의 회전방향에 따라, 선별실의 앞부분 좌측에 대량의 벼가 탈립되어도, 선별실의 요동선별을 하는 요동본체의 벼를 받는 그레인팬에 경사상으로 복수개의 리드판을 둔 것에 의해, 요동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됨에 따라, 벼가 리드판에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중앙쪽에 분산되어, 요동본체에 의한 선별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전기 리드판을 고정하는 고정판을 그레인팬상에 전후로 배설하고, 전후의 고정판을 리드판으로써 연결하고, 수지로써 성형했을 때, 그레인팬의 보강을 할 수 있어, 요동본체에 특별한 보강부재를 쓰는 일없이, 선별성능을 향상하는 리드판에 의해 보강을 겸하게 한 것으로 값싼 구성에서 강성이 높은 요동본체가 형성된다.
청구항 6 기재와 같이, 프레팬 및 풍구의 회전으로 흡인구에서 흡인되는 공기량을 제1샤터, 제2샤터, 제3샤터의 회전으로 개폐 조정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서 풍량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프레팬 및 풍구의 회전수를 바꾸는 등의 복잡한 변속기구를 둘 필요가 없어, 코스트를 억제한 구성으로 된다. 또, 배고의 증가를 검출하면, 제1샤터와 제2샤터가 약간량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요동본체로의 선별하는 바람을 약간 증가하고, 또한, 배고량이 증가했을 때에, 모든 제1샤터, 제2샤터, 제3샤터가 회동되고, 각 팬으로의 흡입 공기량이 증가되고, 곡립량의 증가에 맞춘 대용량의 선별하는 바람을 요동본체내에 도입할 수가 있어, 선별성능을 높게 유지한 선별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한 것처럼, 풍구에 의해 선별하는 바람을 요동본체내에 도입할 때에, 선별하는 바람을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집중시키는 정립(精粒)을 2번물 콘베어까지 반송하던가, 요동본체의 좌우의 선별하는 바람을 약하게 되어 첫 번째 콘베어내에 볏짚을 혼입되지 않게끔, 풍구의 풍로위에 복수개의 풍향판을 배치하고, 그 풍향판의 하류측을 외측으로 향하게 설치함에 의해, 선별실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집중하는 선별하는 바람을 좌우방향으로 분류(分流)시키고 있고, 요동본체내에 좌우로 균등하게 선별하는 바람을 송풍할 수가 있고, 요동본체내의 모든 범위에서 확실하게 비중선별을 할 수 있고, 선별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1은 콤바인 전체 측면도이다.
도2는 탈곡선별장치에의 동력전달 구성을 나타내는 스켈튼도이다.
도3은 탈곡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4는 탈곡선별장치의 상부를 타나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5는 탈곡선별장치의 후면도이다.
도6은 탈곡선별장치의 급실(扱室)의 좌측면도이다.
도7은 급동(扱胴)을 구동하는 구동케이스의 평면단면도이다.
도8은 크림프망(網)을 지지하는 망틀의 정면도이다.
도9는 망틀의 전개도이다.
도10은 망틀앞부에 배치하는 탈립(脫粒)플레이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1은 망틀앞부에 배치하는 탈립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2는 리드판을 배치시킨 요동본체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13은 선별실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흡인량 조정기구를 갖는 선별실의 앞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5는 풍구를 갖는 선별실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의 일부단면도이다.
도16은 풍향판(風向板)의 배치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17은 배고량(排藁量) 검지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A 예취부(刈取部) 205 제3칸막이판
B 탈곡선별장치 206 누하(漏下)플레이트
12 그레인탱크 210 급동쪽유하판(流下板)
20 급동 211 처리동쪽유하판
21 송진구처리동(送塵口處理胴) 220 리드판
31 크림프망 221 고정판
51 요동본체 35 풍구
136 구동축 41 프레팬
180 지지체 8a, 8b, 8c, 8d 흡인구
181 측부(側部)커버 270 풍향판
185 보강틀 276 연결암
186 구동케이스 277 제3샤터
187 앞부분케이스 278 제1샤터
188 후부케이스 279 제2샤터
203 제1칸막이판 287 당접(堂接)핀
204 제2칸막이판

Claims (7)

  1. 기체 앞부분에 예취부를 배설하고, 기체 측부에 급동을 수납하는 급실과 선별을 하는 선별실을 갖는 탈곡선별장치를 배설한 콤바인에 있어서, 전기 급동의 구동축의 앞부분을 지지하는 지지체의 전면에 보강틀과 구동케이스를 고설하고, 그 구동케이스를 보강틀과 지지체에 걸쳐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2. 콤바인의 급동의 하부에 따라 배치하는 크림프망에서, 망틀상에 크림프망을 배설하고, 그 크림프망의 전후 도중부에 복수 평행으로 칸막이판을 좌우 방향으로 배설하고, 망틀의 앞부분 우측에 복수개의 누하공을 개구한 누하플레이트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3. 예취곡간을 탈곡하는 급동 및 송진구처리동을 수납하는 급실과 급실 하방의 선별을 하는 선별실을 갖는 탈곡선별장치를 배설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급동의 내측 측면을 피장하는 측부커버 앞부분에 급동쪽유하판의 상부를 고설하고, 그 급동쪽유하판을 크림프망에 따라 경사상으로 배설하고, 급동쪽유하판 하단을 선별실의 내측으로 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4. 예취곡간을 탈곡하는 급동 및 송진구처리동을 수납하는 급실과 급실 하방의 선별을 하는 선별실을 갖는 탈곡선별장치를 배설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전기 송진구처리동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긴 처리동유하판의 상부를 고정하고, 처리동쪽유하판의 하부를 선별실의 좌우 내측으로 향하여 경사상으로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5. 예취곡간을 탈곡하는 급동 및 송진구처리동을 수납하는 급실과 급실 하방의 선별을 하는 요동본체를 수납하는 선별실을 갖는 탈곡선별장치를 배설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요동본체의 앞부분에 둔 그레인탱크의 좌측에 좌우 방향으로 긴 고정판을 전후에 평행상으로 고설하고, 전후의 고정판에 복수의 리드판을 고설하고, 그 리드판의 후방을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6. 선별장치의 요동본체의 앞하방에 측부에서 공기를 흡인하여 요동본체에 선별하는 바람을 송풍하는 풍구와, 프레팬을 배설하고, 그 프레팬의 흡인구를 개폐할 수 있는 제1샤터와 풍구의 흡인구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제2의 샤터와를 연결암으로 연결하고, 풍구의 흡인구 하부를 개폐하는 제3샤터를 연결암에 돌출하는 당접부재를 당접시키는 것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7. 선별장치의 요동본체의 전후방에, 측부에서 공기를 흡인하여 요동본체에 선별하는 바람을 송풍하는 풍구 후부의 풍로상에 좌우방향으로 복수개의 풍향판을 배설하고, 각 풍향판의 후부를 외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상으로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선별장치.
KR10-1998-0015252A 1997-04-30 1998-04-29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KR100470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12906 1997-04-30
JP1997-112906 1997-04-30
JP11290797A JP3734590B2 (ja) 1997-04-30 1997-04-30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JP11290697A JP4008980B2 (ja) 1997-04-30 1997-04-30 コンバイン
JP1997-112907 1997-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818A KR19980081818A (ko) 1998-11-25
KR100470603B1 true KR100470603B1 (ko) 2005-04-06

Family

ID=2645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252A KR100470603B1 (ko) 1997-04-30 1998-04-29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70603B1 (ko)
CN (1) CN1105487C (ko)
TW (1) TW39601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959B1 (ko) 2007-09-21 2011-10-0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탈곡 장치
KR20160133116A (ko) 2015-05-12 2016-11-22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89B1 (ko) * 2004-07-29 2012-04-18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5110299B2 (ja) * 2007-08-30 2012-12-26 株式会社サタケ 籾摺機における脱ぷロール駆動装置
TWI396501B (zh) * 2010-03-26 2013-05-21 Iseki Agricult Mach Out of the device
CN110226415B (zh) * 2014-08-05 2021-08-24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以及装载在该联合收割机的脱粒装置
JP6800033B2 (ja) * 2017-01-31 2020-12-16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959B1 (ko) 2007-09-21 2011-10-0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탈곡 장치
KR20160133116A (ko) 2015-05-12 2016-11-22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8295A (zh) 1998-11-11
KR19980081818A (ko) 1998-11-25
TW396017B (en) 2000-07-01
CN1105487C (zh) 200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5467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選別構造
JP2012060965A5 (ko)
JP2012060968A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KR100470603B1 (ko)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JP4008980B2 (ja) コンバイン
JP5285673B2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2012060969A5 (ko)
JP3814198B2 (ja) コンバイン
KR100900010B1 (ko) 콤바인
JP2004261118A (ja) コンバイン
JP3927587B2 (ja) コンバイン
JP2015097540A (ja) コンバインの脱穀選別構造
JP5763457B2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5486446B2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2012060966A (ja) コンバインの脱穀選別構造
JP3693759B2 (ja) コンバイン
JP4157779B2 (ja) コンバイン
JP3607933B2 (ja) 横断流ファン
JP3841777B2 (ja) コンバイン
JP3734590B2 (ja)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JP3789458B2 (ja) 横断流ファン
JP3737359B2 (ja) コンバインのファン構造
JP3927586B2 (ja) コンバイン
JP2012060970A5 (ko)
JP3841774B2 (ja) 揺動選別装置の揺動駆動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