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116A -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116A
KR20160133116A KR1020150065747A KR20150065747A KR20160133116A KR 20160133116 A KR20160133116 A KR 20160133116A KR 1020150065747 A KR1020150065747 A KR 1020150065747A KR 20150065747 A KR20150065747 A KR 20150065747A KR 20160133116 A KR20160133116 A KR 20160133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hutter plate
sorting
base frame
tuy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2412B1 (ko
Inventor
권승귀
김재선
Original Assignee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412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30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4Fan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8Air conduits or blowers for grai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는, 측면에 풍구를 갖고, 상부에 선별 핀들을 포함한 요동 선별반이 구비된 기체 프레임과; 탈곡 후 배출되는 짚 배출량을 감지하여 상기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는 검출연동 풍구조절기구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는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품종, 선별 조건에 따라 적절한 풍량 조절이 가능하여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선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Control device for sorting grain of harvester}
본 발명은 농작물을 탈곡, 선별하여 수확하는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탈곡된 곡물을 풍력 등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수확기의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기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확기는 콤바인을 비롯해 탈곡기, 선별기 등이 있다.
이중에서 콤바인은 벼, 보리, 밀은 물론, 콩, 메밀, 수수, 조, 기장, 율무 등의 잡곡류를 예취, 탈곡, 선별하여 수확하는 차량형 농업기계이다.
콤바인은 작물을 베는 예취부, 베어낸 작물을 이송하는 반송부, 이송된 작물에서 곡물을 탈곡하는 탈곡부, 이 탈곡부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탈곡된 곡물과 짚, 검불 등을 진동과 풍력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선별부 등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선별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 2015-0001860호에 개시된 도면이다. 참고로 특허 공보에 개시된 도면을 그대로 첨부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선별부의 구성 및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요동 선별반(227)에는 탈곡 장치에서 탈곡된 탈곡물로부터 곡물을 걸러내는 채프 시브(261)가 구비된다. 또한 기체 프레임(135)의 앞쪽 하부에는 채브 시브(261) 쪽에 풍력 제공하여 짚, 검불 등을 날려 곡물과 분리할 수 있도록 풍구(269)가 형성된다. 물론 풍구의 안쪽에는 풍구 팬(fan)이 구성되어 있다.
채프 시브(261)와 풍구(269)는 탈곡후 배출되는 짚량 등에 따라 자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채프 시브(261)는 개폐 기구(264)에 의해 경사도를 조절하여 곡물이 낙하되는 틈새(개도율)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풍구(269)에는 팬 셔터(270)가 설치되어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짚량이 많으면 풍구(269)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하여 선별을 좋게 하고, 짚량이 적으면 풍구(269)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하여 비산(loss)을 줄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짚량이 많으면 채프 시브(261)의 선별핀의 각을 세워 곡립의 낙하율을 증대시키고, 짚량이 적으면 선별핀의 각을 눕혀 낙하율을 줄여 선별 및 비산(loss)을 최적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체인 가이드(374) 위를 통과하는 짚량이 많으면, 검출링크(375)가 검출판(376)을 누르게 되고, 이때 검출암(377)이 회동함에 따라 채프 와이어(373)와 셔터 와이어(379)가 당겨지면서 개폐 기구(264) 및 셔터 레버(271), 팬 셔터(270)를 작동하여, 채프 시브(261)의 개도율 및 풍구(269)의 개구 면적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와 반대로, 체인 가이드(374) 위를 통과하는 짚량이 작으면, 채프 와이어(373)와 셔터 와이어(379)의 당김이 작아지면서 채프 시브(261)의 개도율 및 풍구(269)의 개구 면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조절이 이루어진다.
또한, 채프 시브(261)의 개도율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상기와 같이 배출되는 짚량을 검출하여 채프 시브(261)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방식과 함께, 캐빈 등에 구비된 선별조절레버(45)를 작동하여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개폐 기구(264)를 작동하여 채프 시브(261)의 개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선별부를 갖는 수확기는, 품종, 탈곡 특성 등에 상관없이 풍구의 개구 면적이 짚의 배출량에 연동되는 구조로 조절되기 때문에 작물의 품종, 생육 환경 등에 맞추어 풍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어렵고, 기타 조건에 따라 선별 및 비산(loss) 등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높은 선별 효율을 얻는 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0186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7060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출되는 짚량에 따라 메인 풍구의 개구량을 자동 조절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직접 곡립 등의 상태를 확인하여 메인 풍구의 개구량을 추가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품종, 선별 조건에 따라 적절한 풍량 조절이 가능하여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선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는, 측면에 풍구를 갖고, 상부에 선별 핀들을 포함한 요동 선별반이 구비된 기체 프레임과; 탈곡 후 배출되는 짚 배출량을 감지하여 상기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는 검출연동 풍구조절기구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는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는, 탈곡 후 배출되는 짚 배출량을 감지하여 상기 선별 핀들 사이의 개도율 조절하는 선별핀 조절기구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선별 핀들 사이의 개도율 조절하는 선별핀 변환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체 프레임에는 상기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는 제1셔터판 및 제2셔터판이 구비되되, 상기 제1셔터판은 상기 검출연동 풍구조절기구를 구성하면서 상기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셔터판은 상기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를 구성하면서 상기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체 프레임에는 상기 풍구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풍구 메탈이 설치되고, 상기 제1셔터판은 상기 풍구 메탈의 상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셔터판은 상기 풍구 메탈의 하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는 작업자가 조작하는 조작기구와, 상기 조작기구와 상기 제2셔터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기구의 조작력을 제2셔터판에 전달하는 제2셔터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체 프레임에는 상기 제2셔터판과 함께 회전하는 제2셔터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2셔터축과 제2셔터판 사이에는 제2셔터 레버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셔터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2셔터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2셔터 레버의 타측에는 기체 프레임 측에 지지되어 상기 제2셔터 와이어의 당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리턴 부재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구는 기체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셔터판 상기 기체 프레임의 양쪽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토록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셔터축은 상기 기체 프레임의 양측에 지지되게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양쪽 제2셔터판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는, 풍구의 개구 면적을 짚 배출량에 따라 자동 조절하는 동시에, 곡립 상태, 선별 조건 등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품종, 선별 등의 조건에 따라 적절한 풍량 조절이 가능하여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선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공개특허 10- 2015-0001860호에 첨부된 콤바인의 선별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선별부가 도시된 우측 방향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선별부가 도시된 좌측 방향쪽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 부분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선별부가 도시된 우측 방향쪽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선별부의 요동 선별반이 도시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선별부의 요동 선별반이 도시된 측면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선별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선별부의 우측 방향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상세도, 도 4는 도 2의 "B" 부분 상세도이다. 도 5는 선별부의 좌측 방향쪽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 부분 상세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100은 콤바인의 차체에 설치되는 기체 프레임을 나타낸다.
기체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요동 선별반(110)이 구비된다. 요동 선별반(110)은 탈곡장치에서 떨어진 곡물, 짚, 검불 등 탈곡물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곡물을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요동 선별반(110)은 탈곡장치에서 떨어진 탈곡물의 이동 방향에 따라 피드 팬(feed pan)(121), 채프 시브(chaff sieve)(125), 짚체(straw rack)(127)가 순서대로 구비된다.
피드 팬(121)은 탈곡장치 바로 아래쪽에 위치된 것으로, 탈곡물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진 쐐기형 요철편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고, 그 위에 곡물 진행을 안내하는 가이드체가 구비될 수 있다.
채프 시브(125)는 복수의 선별 핀(126)들이 일정 간격 이격된 구조로 배치되고, 아래에서 설명할 선별 조절 장치에 의해 선별 핀(126)들의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면서 아래로 떨어지는 곡물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짚체(127)는 채프 시브(125)의 선별 핀(126) 설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곡물 등은 아래로 떨어지고 짚, 검불 등은 그 상측에 배치된 흡인팬(미도시) 등의 작용으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에서 기체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측판(101)에는 여러 개의 풍구들이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풍구(이하 '풍구'라 함)(102)에 풍구 조절 기구가 구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음, 요동 선별반(110)의 하부 쪽에는 선별 조절 장치 등이 설치되는데, 이 선별 조절 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선별 조절 장치는, 기체 프레임(100)의 측면에 구비된 풍구(102)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는 기능과, 상기 채프 시브(125)의 선별 핀(126)의 경사각 즉, 틈새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선별 조절 장치는 짚 배출량을 감지하여 선별 핀(126)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선별핀 조절기구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수동으로 선별 핀(126)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선별핀 변환기구와, 역시 짚 배출량을 감지하여 상기 풍구(102)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는 검출연동 풍구조절기구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독립적으로 상기 풍구(102)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는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별핀 조절기구는 기체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채프 시브(125)의 선별 핀(126)들을 회전시키는 핀각 조정부(140)와, 짚 등의 배출 경로 상에 구비되어 짚 배출량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짚배출 감지기구(130)와, 이 짚배출 감지기구(130)의 작동력을 핀각 조정부(140)에 전달하는 선별 와이어(149) 등으로 구성된다.
짚배출 감지기구(130)는 짚 배출량에 따른 하중이 작용하는 가이드 봉(131)과, 이 가이드 봉(131)에 연결되어 축(13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연동암(13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짚배출 감지기구(130)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짚배출 감지기구(130)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핀각 조정부(14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선별핀 변환기구는 작업자가 조작하는 변환 레버(151)와, 이 변환 레버(151)와 상기 핀각 조정부(140) 사이에 연결되어 변환 레버(151)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변환 와이어(1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환 레버(151)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캐빈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환 레버(151)는 다른 조작 레버들과 함께 조작 패널(172) 상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캐빈의 내측이 아닌 차체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핀각 조정부(14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짚배출 감지기구(130)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거나 상기 변환 레버(151)에 의해 직접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핀각 조정부(140)는 선별핀 조절기구의 선별 와이어(149)에 연결되어 레버축(14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채프 레버(145)와, 선별핀 변환기구의 변환 와이어(153)에 연결되어 역시 레버축(14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위칭 레버(141)와, 이 스위칭 레버(141)와 기체 프레임의 측판(101)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리턴 스프링(147)과, 스위칭 레버(141)와 채프 레버(145) 사이에 연결되어 두 레버가 함께 회전하도록 인장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리턴 스프링(14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핀각 조정부(140)는 짚 배출량에 따라 선별 와이어(149)를 통해 채프 레버(145)를 당기거나 밀어서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선별 핀(126)들이 함께 회전하면서 선별 핀(126)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곡물이 떨어지는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직접 변환 레버(151)를 조작하게 되면 변환 와이어(153)를 통해 스위칭 레버(141)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제2리턴 스프링(148)의 탄성력에 의해 채프 레버(145)도 함께 회전하여 선별 핀(126)들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핀각 조정부(14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기술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검출연동 풍구조절기구와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기체 프레임(100)에는 풍구(102)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풍구 메탈(103)이 구비되고, 이 풍구 메탈(103)을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 위치에 풍구(102)의 개구량을 조절하는 제1셔터판(165) 및 제2셔터판(175)이 구비된다.
여기서 풍구 메탈(103)에는 채프 시브(125) 쪽으로 풍력을 발생시키는 팬(fan)의 축이 지지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셔터판(165)은 상기 검출연동 풍구조절기구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풍구(102)의 상측 개구 면적을 조절하도록 기체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셔터판(175)은 상기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풍구(102)의 하측 개구 면적을 조절하도록 기체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검출연동 풍구조절기구는 앞서 설명한 선별핀 조절기구의 짚배출 감지기구(130)에 연동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짚배출 감지기구(130)의 연동암(136)과 제1셔터판(165) 사이에 제1셔터 와이어(161)가 연결되어 짚배출 감지기구(130)의 작동에 따라 제1셔터판(165)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체 프레임(100)에는 제1셔터판(165)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1셔터축(163)이 설치되고, 이 제1셔터축(163)에는 제1셔터 와이어(161)가 연결된 제1셔터 레버(164)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제1셔터판(165)은 직접 제1셔터축(163)에 연결되지 않고 도 4에서와 같이 연결판(166)을 통해 제1셔터축(163)에 연결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풍구(102)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00)의 양쪽에 형성되는데, 제1셔터판(165) 역시 양쪽 풍구(102)에 각각 설치되어 제1셔터축(163)을 통해 동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쪽 제1셔터판(165) 쪽에는 제1셔터 와이어(161)의 작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169)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검출연동 풍구조절기구는 짚 배출량이 커질 경우에 제1셔터 와이어(161)가 당겨지고, 이때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선으로 위치된 제1셔터판(165)이 제1셔터축(163)과 함께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풍구(102)의 상측 부분을 개방하게 된다. 이렇게 풍구(102)의 상측 부분을 개방하게 되면, 기체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풍량이 많아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곡물을 효과적으로 선별해 낼 수 있게 된다.
짚 배출량이 작아질 경우에는 제1셔터 와이어(161)의 당김력이 약해짐에 따라 리턴 스프링(169)의 탄성력에 의해 제1셔터판(165)이 풍구(102)의 상측을 닫는 방향(도면에서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풍구(102)의 개구 면적을 축소하게 되고, 이때 풍구(102)를 통해 유입되는 풍량은 그만큼 작아진 상태로 풍량이 조절되어 선별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출연동 풍구조절기구와는 다르게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직접 조작하여 풍구(102)의 개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캐빈의 내측 또는 기체의 특정 위치에 작업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조작기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조작기구는 도 2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72) 상에 변환 레버(151)와 함께 구비되는 조작 레버(171)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변환 레버(151) 및 조작 레버(171)가 조작 패널(172)에 함께 구성되어 선별 조작부(150)를 구성한다. 조작 레버(171)를 변환 레버(151)와 별도로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작 레버(171)는 제2셔터판(175)에 레버 전달기구를 통해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레버 전달기구는 제2셔터판(175)이 회전하도록 기체 프레임(100)에 지지된 제2셔터축(174)과, 이 제2셔터축(174)에 고정된 제2셔터 레버(176)와, 조작 레버(171)에서 제2셔터 레버(176)에 연결되어 조작력을 전달하는 제2셔터 와이어(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셔터 레버(176)는 제2셔터축(174)과 제2셔터판(175)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데, 도 6에서와 같이 일측에 상기 제2셔터 와이어(173)가 연결되고 타측에 제2리턴 부재(179)가 연결된 구성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리턴부재(179)는 제2셔터 와이어(173)에 대하여 대향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기체 프레임(100) 측에 연결된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풍구(102)가 기체 프레임(100)의 양측에 형성되는바, 제2셔터판(175)도 기체 프레임(100)의 양쪽 풍구(102)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2셔터축(174)은 상기 기체 프레임(100)의 양측에 브래킷(177)으로 지지되게 설치되어 양쪽 제2셔터판(175)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는 작업자가 짚 배출 상태 또는 선별 상태 등을 감안하여 직접 조작 레버(171)를 조작하여 풍구(102)의 개구 면적을 조절한다. 흡입 풍량을 적게 하기 위해, 조작 레버(171)를 작동하여 제2셔터 와이어(173)를 당기도록 조작하게 되면, 제2셔터 레버(176) 및 제2셔터판(175)이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풍구(102)의 개구 면적을 줄이게 된다. 이때 채프 시브(125) 쪽으로 공급되는 풍량이 작아진다. 반대로 풍량을 많게 하기 위해, 제2셔터 와이어(173)의 당김을 해제하는 쪽으로 조작 레버(171)를 작동하게 되면, 제2리턴 부재(179)의 탄성력에 의해 제2셔터 레버(176) 및 제2셔터판(175)이 하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풍구(102)의 개구 면적도 커지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풍량도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짚배출 감지기구(130)를 통해 짚 등의 배출량을 검출하여, 짚 배출량에 따라 자동으로 제1셔터판(165)을 회전시켜 풍구(102)의 상측 개구 면적을 조절하는 동시에, 작업자가 품종, 수확량, 곡립 상태, 기타 선별 여건 등을 고려하여 조작 레버(171)를 직접 조작하는 것을 통해, 제2셔터판(175)을 회전시켜 풍구(102)의 하측 개구 면적을 조절하면서 곡물을 선별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선별 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풍구 메탈(103)을 중심으로 상측에 검출연동 풍구조절기구의 제1셔터판(165)이 설치되고, 하측에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의 제2셔터판(175)이 설치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풍구 메탈(103)의 상측에 제2셔터판(175) 위치된 구조로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가 구성되고, 하측에 제1셔터판(165)이 위치된 구조로 검출연동 풍구조절기구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풍구 메탈(103)이 수평 방향이 아닌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좌우 양쪽에 각각 제1셔터판(165) 및 제2셔터판(175)이 위치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에 대해 조작 레버(171)의 조작력을 제2셔터 와이어(173)를 통해서 제2셔터축(174)에 전달하는 기구적 연결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동식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동식 방식을 예로 들면, 제2셔터축을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전동 모터가 조작 레버(171)의 조작력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방식을 통해서 가능하다. 또한 감지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리니어 모터를 채용하여 직접 제2셔터판(175)을 밀고 당겨 개폐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조작 레버(17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고, 이 감지결과를 통해 모터를 구동하여 제2셔터판(175)을 제어하는 여러 방식을 채용하여 적용하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은 선별부 전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선별부의 요동 선별반이 도시된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선별부의 요동 선별반이 도시된 측면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 구성 부부인 요동 선별반(110)을 중심으로 자세히 설명한다.
요동 선별반(110)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나란히 배치된 양쪽 요동 측판(111)과, 이 양쪽 요동 측판(111)의 후방 쪽에서 기체 프레임(100)에 지지되는 지지판(113)과, 이 지지판(11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요동 선별반(110)의 후방을 막아주는 후부판(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쪽 요동 측판(111) 사이에는 곡물이 떨어져 진행하는 전방으로부터 피드 팬(121), 채프 시브(125), 짚체(127)가 차례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요동 선별반(110)은 전체적으로 선별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후부판(115)이 대략 'Z'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후방 공간(S)을 확장하도록 구성된다.
즉, 후부판(115)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후방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15b)와, 이 경사부(115b) 하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판(113)의 상부에 조립되는 하단부(115a)와, 상기 경사부(115b)의 상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상단부(115c)와, 상기 경사부(115b)의 양쪽 끝단에서 상기 양쪽 요동 측판(111)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양측 측판부(115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부판(115)의 상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후실 누름판(117)이 조립되어 구성된다. 후실 누름판(117)은 후부판(115)의 상단부(115c)에 나사 조립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누름판(117)은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117a)이 형성되어 나사 조립시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부판(115)의 경사부(115b)는 상기 짚체(127)의 하단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에서 상기 짚체(127)의 상단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로 이어질 수 있게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부판(115)이 경사부(115b)를 통해 후방으로 확장되어 선별 공간을 확대하면서도 곡물 등이 경사부(115b)를 통해 원활하게 짚체(127)의 하측으로 떨어지면서 선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 및 도 9에서 도면 부호 112는 낙하하는 곡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이고, 129는 요동 운동을 발생시키는 요동 기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콤바인의 선별부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별부를 갖는 탈곡기, 선별기 등 공지의 수확기에 상기한 실시예의 구조를 동일 유사하게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기체 프레임 101 : 측판
102 : 풍구 103 : 풍구 메탈
110 : 요동 선별반 111 : 요동 측판
113 : 지지판 115 : 후부판
115b : 경사부 115a : 하단부
115c : 상단부 115d : 측판부
117 : 후실 누름판 121 : 피드 팬
125 : 채프 시브 126 : 선별 핀
127 : 짚체 130 : 짚배출 감지기구
131 : 가이드 봉 136 : 연동암
140 : 핀각 조정부 141 : 스위칭 레버
143 : 레버축 145 : 채프 레버
147 : 제1리턴 스프링 148 : 제2리턴 스프링
149 : 선별 와이어 150 : 선별 조작부
151 : 변환 레버 153 : 변환 와이어
161 : 제1셔터 와이어 163 : 제1셔터축
164 : 제1셔터 레버 165 : 제1셔터판
166 : 연결판 169 : 리턴 스프링
171 : 조작 레버 172 : 조작 패널
173 : 제2셔터 와이어 174 : 제2셔터축
175 : 제2셔터판 176 : 제2셔터 레버
179 : 제2리턴 부재

Claims (8)

  1. 측면에 풍구를 갖고, 상부에 선별 핀들을 포함한 요동 선별반이 구비된 기체 프레임과;
    탈곡 후 배출되는 짚 배출량을 감지하여 상기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는 검출연동 풍구조절기구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는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탈곡 후 배출되는 짚 배출량을 감지하여 상기 선별 핀들 사이의 개도율 조절하는 선별핀 조절기구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선별 핀들 사이의 개도율 조절하는 선별핀 변환기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체 프레임에는 상기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는 제1셔터판 및 제2셔터판이 구비되되,
    상기 제1셔터판은 상기 검출연동 풍구조절기구를 구성하면서 상기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셔터판은 상기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를 구성하면서 상기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체 프레임에는 상기 풍구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풍구 메탈이 설치되고,
    상기 제1셔터판은 상기 풍구 메탈의 상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셔터판은 상기 풍구 메탈의 하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독립제어 풍구조절기구는 작업자가 조작하는 조작기구와, 상기 조작기구와 상기 제2셔터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기구의 조작력을 제2셔터판에 전달하는 제2셔터 와이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체 프레임에는 상기 제2셔터판과 함께 회전하는 제2셔터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2셔터축과 제2셔터판 사이에는 제2셔터 레버가 연결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셔터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2셔터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2셔터 레버의 타측에는 기체 프레임 측에 지지되어 상기 제2셔터 와이어의 당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리턴 부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풍구는 기체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셔터판 상기 기체 프레임의 양쪽 풍구의 개구 면적을 조절토록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셔터축은 상기 기체 프레임의 양측에 지지되게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양쪽 제2셔터판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KR1020150065747A 2015-05-12 2015-05-12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KR101762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747A KR101762412B1 (ko) 2015-05-12 2015-05-12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747A KR101762412B1 (ko) 2015-05-12 2015-05-12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116A true KR20160133116A (ko) 2016-11-22
KR101762412B1 KR101762412B1 (ko) 2017-07-27

Family

ID=5754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747A KR101762412B1 (ko) 2015-05-12 2015-05-12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4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603B1 (ko) 1997-04-30 2005-04-06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KR20150001860A (ko) 2009-04-06 2015-01-07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3829B2 (ja) * 1984-04-13 2002-05-2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JP3700284B2 (ja) * 1996-10-09 2005-09-28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選別制御装置
JP2003250330A (ja) * 2002-03-04 2003-09-09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唐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603B1 (ko) 1997-04-30 2005-04-06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KR20150001860A (ko) 2009-04-06 2015-01-07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412B1 (ko)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1869B2 (en) Agricultural harvester with laterally moving grain pan
JP2016508741A (ja) アブラナ・稲麦用コンバイン
KR101772867B1 (ko) 수확기의 요동 선별 장치
EP1932420B1 (en) Sieve support structure for an agricultural combine
KR100458243B1 (ko) 탈곡 장치
KR101671255B1 (ko) 콤바인
KR101762412B1 (ko)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KR20020091757A (ko) 콤바인의 선별장치 및 그 2번처리기구
JP2002065041A (ja) 選別装置
CN110199690A (zh) 联合收割机振动筛调节系统和方法
JP3102019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脱穀選別制御装置
JPH0356185Y2 (ko)
JP2002345322A (ja)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JP6917946B2 (ja) 脱穀装置
JP2009165368A (ja) 脱穀装置の揺動選別構造
KR101593279B1 (ko) 콤바인의 선별 자동 제어방법
JP2573896Y2 (ja)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JP2009060842A (ja) 脱穀装置
JP2953948B2 (ja) 脱穀装置
JP4119312B2 (ja) コンバイン
JP3578732B2 (ja) 脱穀装置の選別装置
JP2004016199A (ja) 脱穀装置
JP3280218B2 (ja) 脱穀装置
KR100470601B1 (ko) 탈곡용선별장치
JP2003259717A (ja) 脱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