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601B1 - 탈곡용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탈곡용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601B1
KR100470601B1 KR1019970030610A KR19970030610A KR100470601B1 KR 100470601 B1 KR100470601 B1 KR 100470601B1 KR 1019970030610 A KR1019970030610 A KR 1019970030610A KR 19970030610 A KR19970030610 A KR 19970030610A KR 100470601 B1 KR100470601 B1 KR 100470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egree
chaff sieve
sieve
chaff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582A (ko
Inventor
와다루 나까가와
Original Assignee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70030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601B1/ko
Publication of KR19990008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6Sieving means
    • A01F12/448Sieve adjust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 요동선별반의 채프 시이브를 적정 개방도로 제어 유지하여 고정도의 선별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수단 : 짚배출량에 연동하여 요동선별반(25)의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짚배출연동 개방도 제어수단(47)과, 요동선별반(25)상의 곡립량의 검출에 의거하여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유량검출 개방도 제어수단(57)을 갖추고, 전기 제어수단(57)에서의 제어용센서(67),(68)의 이상 발생시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를 설정 개방도로 구동 제어한다.

Description

탈곡용 선별장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예컨대 콤바인의 트레싱 챔버(threshing chamber)내에서 탈곡 처리된 곡물을 이의 하방의 요동선별반에서 선별처리 하도록 한 탈곡용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종래에 요동선별반의 채프 시이브는 짚배출체인 등의 짚배출 반송부에 연동연결하여, 짚배출량에 따라 채프 시이브의 개방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이때 짚배출량이 같아도 재료나 품종에 따라 요동선별반상의 곡립량은 다르기 때문에 탈곡 정도 (精度)에 산포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로써 요동선별반 상의 곡립량의 증감 변화에 의거하여 채프 시이브의 개방도 제어를 하는 수단도 가하여, 짚배출량과 선별 곡립량으로써 채프 시이브의 개방도 제어를 하는 수단이 있으나, 이때의 요동선별반 상의 곡립량(유량)을 검출하는 곡립량 센서나 채프 시이브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채프 시이브 개방도 센서 등 각종 제어용 센서에 이상이 발생했을때는 잘못된 제어가 이루어져 탈곡정도가 저하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따라서 본 발명은 짚배출량에 연동하여 요동선별반의 채프 시이브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짚배출연동 개방도 제어수단과 요동선별반 상의 곡립량의 검출에 의거하여 채프 시이브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유량 검출 개방도 제어수단을 갖추고, 전기제어수단에서 제어용 센서의 이상 발생시 채프 시이브의 개방도를 설정 개방도로 구동 제어하여, 제어에 쓰이는 곡립량 센서나 채프 개방도 센서 등 각종 제어용 센서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는 미리 설정된 개방도에 채프 시이브를 제어하여, 탈곡 정도가 저하하는 것을 최대로 방지하여 그 안정 확보를 도모하는 것이다.
또, 작업조건에 따라 채프 시이브 개방도를 설정하는 선별조절기를 두고, 이 조절기로 설정된 개방도에 채프 시이브를 구동 제어하여, 각종 제어용 센서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는, 습기가 있는 재질이나 가지막힘의 정도 등 각종 작업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적정 개방도에 채프 시이브를 제어하여, 탈곡 정도의 안전성을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한다. 도1은 채프 시이브의 제어회로도, 도2는 콤바인의 전체측면도, 도3은 동 평면도이고, 도면중 1은 주행클롤러(2)를 장설(裝設)하는 트랙프레임, 3은 전기 트랙프레임(1)에 가설하는 기대(機坮), 4는 피드체인(5)를 좌측에 펼쳐 걸쳐 놓아 트레싱 실린더(threshing cylinder)(6) 및 처리동(7)을 내장하고 있는 탈곡기인 탈곡부, 8은 벼베기칼(9) 및 곡물짚반송기구(10)등을 갖추는 예취부, 11은 예취프레임(12)을 거쳐서 예취부(8)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 13은 짚배출체인(14) 종단을 향하게 하는 짚배출처리부, 15는 탈곡부(4)에서의 곡립을 양곡통(場穀筒)(16)을 거쳐서 반입하는 곡물탱크, 17은 전기 탱크(15)의 곡립을 기외로 반출하는 배출오거, 18은 운전조작부(19) 및 운전석(20)을 갖춘 운전캐빈, 21은 운전캐빈(18)아래에 설치하는 엔진이며, 연속적으로 곡물짚을 예취, 탈곡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도4 내지 도5에 나타내는 것 같이, 도중 22는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축으로 걸쳐 놓은 흐름중심 형의 트레싱 실린더(6)를 내설시키는 트레싱 챔버, 23은 전기 트레싱 챔버(22)에 곡물의 짚을 삽입하는 인렛 트레싱 챔버(inlet of threshing chamber), 24는 전기 트레싱 챔버(22) 아래에 펼쳐 걸쳐 놓은 크림프망, 25는 전기 크림프망(24) 아래에 전단을 향하게 하여 전후방으로 요동자재하게 지지하는 요동선별반, 26, 27은 전기 크림프망(24)의 아래에 상하 2단으로 배치하여 설치하는 선별반(25)의 전후(前後)피드팬, 28은 전피드팬(26)의 후단측에 상하 요동자재하게 설치하는 선별 스포크 시이브(spoke sieve), 29는 후피드팬(27) 후단 후방에 이어서 설치하는 채프 시이브, 30은 채프 시이브(29) 아래에 배치하여 설치하는 그레인 시이브, 31은 전후피드팬(26), (27) 상하간에 선별풍(選別風)을 송급(送給)하는 프레팬인 송진팬, 32는 채프 시이브(29)와 그레인 시이브(30) 사이 및 그레인 시이브(30)아래에 선별풍을 송급하는 메인의 송풍장치인 풍구, 33은 양곡통(16)에 연통시켜 곡물탱크(15)에 곡립을 꺼내는 1번 콘베이어, 34는 2번물을 2번 환원콘베이어(35)를 거쳐서 전기 선별반(25)의 스포크 시이브(28) 위로 환원하는 2번콘베이어, 36은 전기 선별반(25)의 후단 상방에 배설하는 먼지흡수배출팬이고, 전기 트레싱 실린더(6) 및 처리동(7)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요동선별반(25)으로 선별하여 정선된 곡립만을 전기 곡물탱크(15)에 꺼냄과 아울러, 짚배출을 짚배출체인(14)을 거쳐서 짚배출처리부(13)에 보내서 짚배출(37)에 의한 절단 후 기외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6내지 도11에도 나타내는 것 같이, 전기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채프레버(38)와, 전기 송진팬(31) 및 풍구(32) 옆쪽의 팬셔터(39),(40)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서터레버(41)에 각 채프와이어(42) 및 셔터와이어(43)를 거쳐서 전기 짚배출체인(14)의 체인가이드(44)를 연동 연결시키는 것으로, 짚배출량의 다소에 따라 체인(14)과의 간격을 대소로 변화시키는 체인가이드(44)에, 검출링크(45) 및 검출판(46)을 거쳐서 짚배출연동 개방도 제어수단인 검출암(47)을 연동 연결시켜, 체인가이드(44)의 변동에 의해 암축(48)을 중심으로 하여 검출암(47)이 요동하여 각 와이어(42),(43)를 인장하는 상태일 때, 각 레버축(49),(50)을 중심으로 하여 채프 및 서터레버(38),(4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채프 시이브(29)의 채프 개방도를 크게, 또 셔터(39),(40)에 의해 닫히어 막히는 각 팬(31),(32) 옆쪽의 공기취입구(51),(52)의 개방도를 크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전기 채프레버(38)을 레버축(49)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채프 시이브(29) 좌우 양단의 하단쪽을 지지하는 하부가동판(53)을 이동시켜서, 채프 시이브(29)를 구성하는 각 가로지름대(54)의 경사각을 크게(세우다)할 때, 이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를 크게 하여 곡립의 누하량을 증대시키고, 각 가로지름대(54)의 경사각을 적게(눕히다)할 때,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를 적게하여 곡립의 누하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전기 채프와이어(42)의 채프레버(38)쪽의 아우터(42a)를, 전기 레버축(49)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자재하는 전환레버(55)의 아우터받이(56)에 지지함과 아울러, 유량검출 개방도 제어 수단인 개방도 조절모터(57)이 모터축(57a)의 소경(小經)기어(58)에 맞물리리게 하는 대경(大經)기어(59)에 전환와이어(60)를 거쳐서 전기 전환레버(55)를 연동 연결시켜서, 전기 모터(57)의 정역(正逆) 구동에 의해 전환레버(55)를 레버축(49)을 중심으로 요동시킬 때, 채프와이어(42)의 아우터(42a)를 이동시켜서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 조절에서의 보정을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기 레버(38), (55) 및 모터(57)은 탈곡측판(61)의 외벽에 고정설치하는 베이스대(62) 및 붙임대(63)에 각각 붙이고, 베이스대(62)와 전환레버(55) 사이 및 레버(38),(55) 사이에 각각 귀환(歸還)스프링(64)(65)을 개설함과 아울러, 전기 와이어(60)의 아우터(60a)의 일단쪽을 베이스대(62)에, 또, 아우터(60a)의 타단쪽을 붙임대(63)에 고설하는 아우터받이(63a)에 붙이고, 전기 대경기어(59)의 이동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66)를 붙임대(63)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67은 전기 채프레버(38)의 이동위치를 검출하는 채프 개방도 센서이다.
그리고 채프 시이브(29)를 보내는 시단(始端) 상방에, 채프 시이브(29)상의 곡립층 두께(a)를 검출하는 퍼텐쇼미터식 선별 곡립량센서(68)를 두고, 채프 시이브(29) 위의 곡립량의 증감에 의하여 전기 모터(57)를 구동 제어하여, 통상 짚배출량의 증감에 의해 개방도 조절이 행해지고 있는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 보정을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전기 곡립량센서(68)는 선별반(25)의 좌우 측판 사이를 좌우 방향으로 옆으로 걸쳐 놓은 지지스테이(68a)에 좌우 위치조절 자재하게 붙이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곡립량센서(68) 및 개방도조절모터(57)에 가령 이상이 발생하여도, 채프 시이브(29)의 최소 및 최대 개방도는 짚배출량에 따라 규제되어 심한 로스나 선별 정도의 저하는 방지되어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기체 선회시 등의 기계적으로 풍력이 저하할 때에, 모터(57)에 의해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를 열린쪽으로 보지시켜서, 곡립 로스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곡 기체 선회시에는 짚배출량이 저감하는 결과, 채프 시이브(29)가 닫히고 또는 풍구(32) 풍력도 저하하는 쪽으로 조절되나, 이때 곡립 로스가 증대하기 때문에,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를 열린쪽으로 보지시키는 것에 의해 이 곡립 로스의 증대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짚배출량에 연동하지 않는 풍구(32) 구조에서도 보다 효과적인 것이다.
또, 곡립의 젖은 상태 및 가지막힘의 다소의 타선별의 양부, 비산하는 낟알의 다소등 작업 조건에 의해서도 모터(57)의 구동제어를 하는 것으로, 도12에 나타내는 것 같이 작업 조건에 따라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선별조절기(69)를 두고, 그 조절기(69)에 의해 습기가 있는 재질 측에 설정할 때에 개방도를 열린 쪽으로 또는 가지막힘 측으로 설정할 때에 개방도를 닫힘 쪽으로 보정하는 한편, 전기 채프 개방도 센서(67) 및 곡립량센서(68)가 이상시에는 전기 조절기(69)로 설정되는 개방도 위치에 모터(57)를 구동제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1은 개방도 조절모터(57)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개방도 조절모터(57)를 구동 제어하는 콘트롤러(70)에 전기 선별곡립량센서(68)와, 전기 위치 및 채프 개방도 센서(66),(67)와, 전기 선별조절기(69)와를 입력 접속 시킴과 아울러, 전기모터(57)와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 표시기(71)에 콘트롤러(70)를 출력 접속시켜서, 각 센서(66),(67),(68) 및 조절기(69)에 의거한 모터(57)에 의한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 제어를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13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것 같이, 통상의 짚배출량에 연동한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에 의한 정상 상태에서의 선별작업중, 선별반(25) 위의 곡립량(유량)이 설정보다 이상 혹은 이하로 될 때,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를 크게 또는 적게 보정하는 한편, 채프개방도센서(67) 및 곡립량센서(68)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의 검출치가 검출 범위를 벗어나는 것 같은 센서(67),(68)의 이상 발생시에는, 전기 조절기(69)로 설정되는 개방도 위치에 모터(57)를 구동 제어하여, 수동 작업시와 거의 동등의 선별 정도를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 실시예에서는 모터(57)에 의해 직접적으로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구성을 나타냈으나, 와이어(60)의 타단을 수동 조작용 선별조절 레버에 연결시켜, 그 레버를 모터(57)로 구동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상 실시예에서 명백한 것 같이 본 발명은 짚배출량에 연동하여 요동선별반(25)의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짚배출연동 개방도 제어수단(47)과, 요동선별반(25)상의 곡립량의 검출에 의거하여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유량검출 개방도제어수단(57)과를 갖추고, 전기 제어수단(57)에서의 제어용센서(67),(68)의 이상 발생시 채프 시이브(29)의 개방도를 설정 개방도에 구동 제어하는 것이므로, 제어에 쓰이는 곡립량센서(68)나 채프개방도센서(67)등 각종 제어용 센서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는, 미리 설정된 개방도에 채프 시이브(29)를 제어하여, 탈곡 정도가 저하하는 것을 최대 방지할 수 있어 그 안정 확보를 도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작업조건에 따라 채프 시이브 개방도를 설정하는 선별조절기(69)를 두고, 이 조절기(69)로 설정된 개방도에 채프 시이브(29)를 구동 제어하는 것이므로, 각종 제어용센서(67),(68)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는 습기가 있는 재질이나 가지막힘의 정도 등 각종 작업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적정 개방도에 채프 시이브(29)를 제어하여, 탈곡 정도의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채프 시이브(chaff sieve)의 제어 회로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 전체 평면도이다.
도 4는 탈곡부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5는 요동선별반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채프 시이브부 및 셔터부와 짚배출량과의 관계 설명도이다.
도 7은 채프 시이브 및 셔터부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8은 짚배출 체인부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채프 및 전환 레버부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채프 및 전환 레버부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은 개방도 조절 모터의 붙임 설명도이다.
도 12는 선별조절기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플로우 챠트이다.
[부호의 설명]
25 … 요동선별반 29 … 채프 시이브
47 … 검출암 (짚배출연동 개방도 제어수단)
57 … 개방도 조절모터 (유량검출 개방도 제어수단)
67 … 채프 개방도센서 68 … 곡립량(穀粒量) 센서
69 … 선별조절기

Claims (2)

  1. 짚배출량에 연동하여 요동선별반의 채프 시이브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짚배출연동 개방도 제어수단과, 요동선별반 상의 곡립량의 검출에 의거하여 채프 시이브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유량검출개방도 제어수단과를 갖추고, 전기 제어 수단에 있어서의 제어용 센서의 이상 발생시 채프 시이브의 개방도를 설정 개방도로 구동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용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업 조건에 따라 채프 시이브 개방도를 설정하는 선별조절기를 두고, 이 조절기로 설정된 개방도에 채프 시이브를 구동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용 선별장치.
KR1019970030610A 1997-07-02 1997-07-02 탈곡용선별장치 KR100470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0610A KR100470601B1 (ko) 1997-07-02 1997-07-02 탈곡용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0610A KR100470601B1 (ko) 1997-07-02 1997-07-02 탈곡용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582A KR19990008582A (ko) 1999-02-05
KR100470601B1 true KR100470601B1 (ko) 2005-05-27

Family

ID=4366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610A KR100470601B1 (ko) 1997-07-02 1997-07-02 탈곡용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6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8524A (ja) * 1988-11-18 1990-05-28 Koyo Seiko Co Ltd 4輪駆動用駆動連結装置
JPH0630645A (ja) * 1992-07-17 1994-02-08 Kubota Corp 脱穀選別制御装置
JPH0837910A (ja) * 1994-07-28 1996-02-13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H08130971A (ja) * 1994-11-10 1996-05-2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脱穀機における風選別の自動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8524A (ja) * 1988-11-18 1990-05-28 Koyo Seiko Co Ltd 4輪駆動用駆動連結装置
JPH0630645A (ja) * 1992-07-17 1994-02-08 Kubota Corp 脱穀選別制御装置
JPH0837910A (ja) * 1994-07-28 1996-02-13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H08130971A (ja) * 1994-11-10 1996-05-2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脱穀機における風選別の自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582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0601B1 (ko) 탈곡용선별장치
KR100900010B1 (ko) 콤바인
CN109068591B (zh) 联合收割机
KR101772867B1 (ko) 수확기의 요동 선별 장치
JPH09238559A (ja) 脱穀用選別装置
KR890001482Y1 (ko) 탈곡 장치
JP3198508B2 (ja) 脱穀選別制御装置
JP3607457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002345322A (ja)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KR101762412B1 (ko) 수확기의 선별 조절 장치
JP2002000052A (ja) 脱穀機における風量センサのチェック装置
JPH10295168A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H1056862A (ja) 脱穀用選別装置
JP2004016199A (ja) 脱穀装置
JPH09248054A (ja) 脱穀用選別装置
JPH1023827A (ja) 脱穀用選別装置
JPH0515247A (ja) 脱穀装置の選別部構造
JP3707852B2 (ja) 脱穀用選別装置
JPH0440440Y2 (ko)
JPH1056861A (ja) 脱穀用選別装置
JPH02171114A (ja) 脱穀装置の選別制御装置
JP2002360047A (ja) 脱穀装置
JPH02261317A (ja) コンバインの選別制御装置
JPH1189412A (ja) 脱穀制御装置
JPH09308366A (ja) コンバインの脱穀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