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802B1 - 콤바인용 탈곡망 - Google Patents

콤바인용 탈곡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802B1
KR100928802B1 KR1020080005771A KR20080005771A KR100928802B1 KR 100928802 B1 KR100928802 B1 KR 100928802B1 KR 1020080005771 A KR1020080005771 A KR 1020080005771A KR 20080005771 A KR20080005771 A KR 20080005771A KR 100928802 B1 KR100928802 B1 KR 100928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crest
net
threshing net
comb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643A (ko
Inventor
최동원
홍병현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8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용 탈곡망에 관한 것으로서, 철판으로 제작되고,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의 통공들이 다수의 영역으로 배치되며, 각 영역 간은 다수의 분리벽에 의해 구획되고, 각 영역별 통공의 크기는 볏단 유입부 측의 통공 크기가 가장 작고, 볏단 방출부 측의 통공 크기가 가장 크게 제작된다.
본 발명은 피수확물의 종류에 따라 탈곡망을 교체하는 불편함 없이 탈곡망의 공용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탈곡망의 볏단 유입부로부터 볏단 방출부까지 회전반경 전 구간에 복수의 분리벽을 설치시켜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하되, 각 분리벽은 회전반경에 대해 순차적으로 높이가 줄어들도록 형성함으로써, 탈곡 부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비산을 줄여주어 수확량 증대에 기여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콤바인용 탈곡망{THE THRESHING NET FOR COMBINE}
본 발명은 농업용 콤바인의 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곡 작업시 곡물 비산을 감소시키고, 탈곡부의 부하를 감소시켜 원활한 수확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콤바인용 탈곡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의 탈곡장치는 원통형상의 외주연에 다수의 급치(扱齒)가 설치되어 피탈곡물의 낱알을 쳐서 줄기와 분리되도록 하는 탈곡통과, 상기 탈곡통의 회전반경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탈곡된 곡립(穀粒) 및 지푸라기를 안내하기 위한 탈곡망으로 구성된다.
상기 탈곡망은 탈곡통의 급치(扱齒)와 소정간격 이격 되는 상태로 탈곡통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유입되는 곡식을 탈곡통과 접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데, 탈곡시 짚에서 분리된 곡립(穀粒)을 별도의 저장부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면에 다수의 통공들이 마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탈곡망은 금속와이어(철사)를 직조하듯이 가로 세로로 엮어서 철망의 형태로 구성한 다음 외연부에서 반원형으로 구성된 소정의 보강 틀 을 일체로 고정시켜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탈곡 시 상호 접하는 가로와 세로줄의 와이어 사이에 검불이 쉽게 끼어 부착되는 것으로 이렇게 계속적으로 끼어지는 검불은 결국 탈곡망의 통공을 막아 곡물이 회수되는 것을 방해하여 짚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곡물의 손실을 끼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끼인 검불이 누적되어 탈곡통과 탈곡망 사이의 통로를 막아 짚의 배출을 저해시키게 되는 것으로 탈곡통의 회전에 과부하를 초래하게 됨으로써 탈곡통이 제 속도로 회전되지 못하게 하고, 콤바인에 과부하가 걸리게 하여 기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탈곡망의 통공의 크기가 단일화되어 있어 벼를 수확할 때와 보리를 수확할 때처럼 수확물의 종류가 달라지면, 그에 맞는 통공 크기를 갖는 탈곡망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해 한 개 이상의 탈곡망을 추가로 구입하는 등 추가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수확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사용이 가능한 콤바인용 탈곡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곡망의 볏단 유입부로부터 볏단 방출부까지 회전반경 전 구간에 복수의 분리벽을 설치시켜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하되, 각 분리 벽은 회전반경에 대해 순차적으로 높이가 줄어들도록 하여 탈곡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콤바인용 탈곡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콤바인용 탈곡망은 철판으로 제작되고,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의 통공들이 다수의 영역으로 배치되며, 각 영역 간은 다수의 분리벽에 의해 구획되고, 각 영역별 통공의 크기는 볏단 유입부 측의 통공 크기가 가장 작고, 볏단 방출부 측의 통공 크기가 가장 크게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한 분리벽은 탈곡망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벽은 탈곡통의 회전반경에 형성되는 활 형상의 판체로 제작되고, 내주연이 시작단으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줄어드는 곡선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벽은 탈곡통의 회전반경에 형성되는 활 형상의 판체로 제작되고, 내주연이 시작단으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높이가 줄어드는 계단형 곡선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분리벽 들은 볏단 유입부 측의 분리벽 높이가 가장 낮고, 볏단 방출부 측의 분리벽 높이가 가장 높은 순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피수확물의 종류에 따라 탈곡망을 교체하는 불편함 없이 탈곡망의 공용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탈곡망의 볏단 유입부로부터 볏단 방출부까지 회전반경 전 구간에 복수의 분리벽을 설치시켜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하되, 각 분리벽은 회전반경에 대해 순차적으로 높이가 줄어들도록 형성함으로써, 탈곡 부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비산을 줄여주어 수확량 증대에 기여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장치가 콤바인의 볏단 유입부 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탈곡망 및 탈곡통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탈곡망 및 탈곡통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탈곡장치는 크게 탈곡통(110)과 탈곡망(120) 및 공급체인(130)으로 구성되는데, 콤바인의 예취(刈取)부 후단에 설치되어 예취부에서 예취한 곡물을 체인(130) 구동에 의해 공급받아 곡물 줄기로부터 곡립(穀粒)을 탈립(脫粒)시키게 된다.
상기 탈곡통(110)은 그 외주연에 다수의 급치(扱齒)가 설치되는 원통형상으로 제작되는데, 상기 급치는 곡물의 낱알을 쳐서 줄기와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거나, 검불을 파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탈곡망(120)은 탈곡통(110)의 회전반경에 설치되어 탈곡통(110)을 감싸는 반원 형상의 철판으로 제작되도록 하는데, 탈립된 곡립들을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공(121)(123)(125)들을 형성한다.
상기한 통공(121)(123)(125)들은 도 3에서와 같이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되어 영역별로 다른 크기의 통공(121)(123)(125)들이 배치된다.
이때, 각 영역별 통공(121)(123)(125)의 크기는 볏단 유입부(A) 측의 통공(121) 크기가 가장 작고, 볏단 방출부(B) 측의 통공(125) 크기가 가장 큰 순서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처럼 영역별 통공(121)(123)(125)의 크기를 다르게 배치시키는 것은 볏단 유입부(A) 측에서 가장 작은 입자의 곡립이 걸러지도록 하고, 볏단 방출부(B)으로 갈수록 큰 입자의 곡립이 걸러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볏단 유입부(A)에서 순수한 낱알 형태의 곡립이 우선적으로 걸러지도록 한 후, 검불이나 줄기에 붙어 있는 형태의 보다 큰 곡립은 볏단 방출부(B) 측의 큰 통공(125)에서 걸러지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는 곡물이 지푸라기와 함께 일시에 배출되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영역별 탈곡망(120)의 통공(121)(123)(125) 크기를 영역별로 다르게 형성하게 되면, 보리나 벼와 같이 곡립의 크기가 다른 수확물을 탈곡하는 경우에도, 탈곡망(120)을 교체하지 않은 채로 공용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탈곡망(120)을 수확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용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지금까지 탈곡망을 수확물 종류에 따라 교체해야 했던 번거로움과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탈곡망의 추가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 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탈곡망(120)은 수확물의 손실률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탈곡망(120)의 각 영역간에 분리벽(140)을 설치시켜 구획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탈곡망의 제1변형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탈곡망의 제2변형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분리벽(140)은 탈곡통(110)의 회전반경에 형성되는 활 형상의 판체로 제작되어 탈곡망(120) 내면에 회전방향으로 용접 결합된다.
상기 분리벽(140)은 볏단 유입부(A)로부터 볏단 방출부(B) 측으로 이동하는 피탈곡물에 저항을 부여함으로써, 탈곡망(120)의 통공(121)(123)(125) 영역에서 머무는 피탈곡물의 체재시간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처럼 피탈곡물의 체재시간을 지연시키게 되면, 피탈곡물이 탈곡통의 급치와 부딪혀 충분히 탈립되는데 필요한 시간과, 탈립된 곡립이 원활히 탈곡망(120)의 통공(121)(123)(125)으로 배출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분리벽(140)은 탈곡통(110)의 회전반경을 따라 두께를 달리 형성할 수 있는데, 도 4는 분리벽(140)의 내주연이 시작단(F1)으로부터 끝단(F2)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줄어드는 연속된 곡선으로 제작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분리벽(140)의 내주연이 시작단(E1)으로부터 끝단(E4)으로 갈수록 계단형태로 높이가 줄어드는 불연속 곡선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E1, E2, E3, E4와 같이 4단계로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형상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벽(140)의 시작단과 끝단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는 이유는 탈곡통(110)의 회전방향이 분리벽(140)의 시작단에서 끝단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어 탈곡물의 진행방향이 시작단에서 끝단쪽으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즉, 곡립이 탈립되고 난 무게가 가벼운 검불이나 미처 탈립되지 않은 부피가큰 줄기 등이 끝단 쪽으로 밀려 올라가 다음 단계 또는 최종 단계인 볏단 방출부(B)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벽(140) 들은 볏단 유입부(A) 측으로부터 볏단 방출부(B) 측까지 다양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는데, 볏단 유입부(A) 측의 분리벽(140) 높이가 가장 낮고, 볏단 방출부(B) 측의 분리벽(140') 높이가 가장 높은 순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볏단 방출부(B) 측으로 갈수록 분리벽(140')높이를 높게 형성하는 것은 뒤쪽으로 갈수록 검불 또는 완전히 탈립되지 않는 형태의 피탈곡물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검불 등은 분리벽(140)의 끝단으로 이동되어 탈곡부하를 줄여주는 동시에 완전히 탈립되지 않은 피탈곡물은 탈곡망(120)의 통공(121)(123)(125) 영역 에서 머무는 체재시간을 최대한 지연시켜 수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체인(130) 구동에 의해 수확물을 탈곡장치로 반송하면, 탈곡통(110)을 회전시켜 급치에 의해 곡립이 탈립되도록 하고, 탈립된 곡립은 탈곡망(120)을 통해 걸러져 선별부(미도시)로 낙하된다.
이때, 탈곡망(120)의 통공(121)을 통과하지 못한 검불이나, 완전히 탈립되지 못한 피탈곡물은 분리벽(140)의 끝단으로 밀려 이동된 후, 다음 단계에서 탈곡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탈곡망(120)의 각 통공(121)(123)(125) 영역에서 걸러져 낙하된 곡립 및 지푸라기 등은 선별부(미도시)의 요동 선별 장치 상에서 정립(精粒)이나 지푸라기 등으로 선별되어 정립은 그레인 탱크(미도시)에 저장되고 지푸라기 등은 기체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탈곡과정은 피탈곡물이 탈곡망(120)의 볏단 유입부(A)로부터 볏단 방출부(B)로 이동하는 동안 계속해서 반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장치가 콤바인의 볏단 유입부 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탈곡망 및 탈곡통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탈곡망 및 탈곡통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탈곡망의 제1변형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탈곡망의 제2변형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탈곡통 120: 탈곡망
121,123,125: 통공 130: 체인
140, 140': 분리벽 A: 볏단 유입부
B: 볏단 방출부

Claims (5)

  1. 콤바인용 탈곡망에 있어서,
    상기 탈곡망(120)은 철판으로 제작되고,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의 통공(121)(123)(125) 들이 다수의 영역으로 배치되고, 각 영역 간은 다수의 분리벽(140)에 의해 구획되며, 각 영역별 통공(121)(123)(125)의 크기는 볏단 유입부(A) 측의 통공(121) 크기가 가장 작고, 볏단 방출부(B) 측의 통공(125) 크기가 가장 크게 형성되며, 상기 분리벽(140)은 탈곡통(110)의 회전반경에 형성되는 활 형상의 판체로 제작되고, 내주연이 시작단으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줄어드는 곡선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탈곡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140)은 탈곡망(120)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탈곡망.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140)은 탈곡통(110)의 회전반경에 형성되는 활 형상의 판체로 제작되고, 내주연이 시작단으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높이가 줄어드는 계단형 곡선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탈곡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리벽(140) 들은 볏단 유입부(A) 측의 분리벽(140) 높이가 가장 낮고, 볏단 방출부(B) 측의 분리벽(140) 높이가 가장 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탈곡망.
KR1020080005771A 2008-01-18 2008-01-18 콤바인용 탈곡망 KR100928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71A KR100928802B1 (ko) 2008-01-18 2008-01-18 콤바인용 탈곡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71A KR100928802B1 (ko) 2008-01-18 2008-01-18 콤바인용 탈곡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643A KR20090079643A (ko) 2009-07-22
KR100928802B1 true KR100928802B1 (ko) 2009-11-25

Family

ID=4129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771A KR100928802B1 (ko) 2008-01-18 2008-01-18 콤바인용 탈곡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507A (ko) 2022-10-20 2024-04-29 이지민 곡물 수확기용 탈곡 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066A (ko) * 2002-03-07 2003-09-1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탈곡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066A (ko) * 2002-03-07 2003-09-1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탈곡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507A (ko) 2022-10-20 2024-04-29 이지민 곡물 수확기용 탈곡 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643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222177U (zh) 一种新型玉米脱粒机
AU641062B2 (en) Air diverter for chaff removal in a combine
KR101363951B1 (ko) 탈곡장치
KR100928802B1 (ko) 콤바인용 탈곡망
JP6020424B2 (ja) 脱穀装置の扱胴
JP5943620B2 (ja) 脱穀装置
JP6466372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CN102498828A (zh) 玉米脱粒机
JP5796621B2 (ja) 脱穀装置の扱胴
JP5781786B2 (ja) 脱穀装置
JP2015119667A (ja) 脱穀装置
JP6581928B2 (ja) 脱穀装置
KR100854166B1 (ko) 탈곡 장치 및 탈곡 장치의 수망
JP6297907B2 (ja) コンバイン
RU2479979C2 (ru) Очес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2617135Y (zh) 联合收割机籽粒清选器
JP5763364B2 (ja) 脱穀装置
JP5643868B2 (ja) 脱穀装置及び脱穀装置を搭載した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6075860B2 (ja) 脱穀装置
JP2013110998A (ja) 脱穀装置
JP5078782B2 (ja) 脱穀装置
JP2010200764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KR20160118404A (ko) 탈곡판, 이를 갖는 탈곡 장치 및 이를 갖는 콤바인
JP2022084399A (ja) コンバイン
JP2005229830A (ja) 脱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