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951B1 - 탈곡장치 - Google Patents

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951B1
KR101363951B1 KR1020120003789A KR20120003789A KR101363951B1 KR 101363951 B1 KR101363951 B1 KR 101363951B1 KR 1020120003789 A KR1020120003789 A KR 1020120003789A KR 20120003789 A KR20120003789 A KR 20120003789A KR 101363951 B1 KR101363951 B1 KR 101363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threshing
partition plate
shelf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701A (ko
Inventor
켄이치로 타케우치
아츠시 미즈시마
아키후미 미야모토
히로키 와타나베
이쿠오 우에카
류스케 우치야마
히로미치 카와구치
토시로 나가이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86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57210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892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04859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108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070647A/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4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30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 A01F12/32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with shaker screens or sie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4Arrangements for collecting or removing du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탈곡장치의 곡립 선별 정밀도 및 선별 효율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탈곡실(12)에 있어서의 급망(18)의 후단부와 제 2 측판(17) 사이의 부위에 배진 처리실(30)에 연통하는 배진 연통부(H)와, 배진 연통부(H)의 후방측에 위치해서 요동 선별 선반(22) 상으로 개구하는 제 3 회수부(S)를 각각 형성하고, 제 3 회수부(S)의 저부에는 탈곡 후의 배출짚의 이삭끝측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48)를 구비하고, 배진 연통부(H)의 저부에는 처리물을 여과하는 여과 부재(100)를 구비하고, 여과 부재(100)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의 부위에 여과 부재(25) 상의 처리물의 후방 이송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 1 칸막이판(51)을 설치한다.

Description

탈곡장치{THRESHING MACHINE}
본 발명은 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급동(扱胴)의 하측에 급망(扱網)을 설치해서 탈곡실을 형성하고, 탈곡실의 후방부 측방에는 탈곡실과 배진(排塵) 연통구에 의해 연통되는 배진 처리동을 갖는 배진 처리장치를 설치하며, 급망이 존재하지 않는 탈곡실의 종단측 부분 중 전방측 부분에 배진 연통구를 구비하는 배진 연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급망이 존재하지 않는 탈곡실의 종단측 부분 중 후방측 부분에는 제 3 회수부를 형성한 탈곡장치는 이미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8-237194호 공보
상기 공지 예는 곡간(穀稈) 속에 박혀 들어간 박힌 곡립를 낙하·회수하는 제 3 회수부를 설치하고 있지만, 다량 발생한 짚부스러기가 그대로 시브 상에 낙하하여 선별의 부하를 증가시킨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원은 제 3 회수부를 설치한 구성이면서 선별의 부하를 경감시켜 선별 정밀도 및 선별 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탈곡실(12) 전방측의 제 1 측판(16)과 후방측의 제 2 측판(17) 사이에 급동(11)을 축 설치하고, 상기 탈곡실(12)의 후방부 일측에는 배진 처리동(31)을 축 설치한 배진 처리실(30)의 전방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탈곡실(12)의 하측에 요동 선별 선반(22)을 설치하고, 상기 요동 선별 선반(22)의 하측에는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구(19), 1번물을 회수하는 제 1 회수부(27), 및 2번물을 회수하는 제 2 회수부(28)를 전방측으로부터 그 순서대로 설치한 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동(11)의 후단부를 상기 급동(11)의 하부 외주에 구비한 급망(18)의 후단부보다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탈곡실(12)에 있어서의 급망(18)의 후단부와 상기 제 2 측판(17) 사이의 부위에 상기 배진 처리실(30)에 연통하는 배진 연통부(H)와, 상기 배진 연통부(H)의 후방측에 위치해서 요동 선별 선반(22) 상으로 개구하는 제 3 회수부(S)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 3 회수부(S)의 저부에는 탈곡 후의 배출짚의 이삭끝측 부위를 지지하도록 배진 처리 장치(30) 측으로 경사지는 지지 부재(48)를 구비하고, 상기 배진 연통부(H)의 저부에는 처리물을 여과하는 여과 부재(100)를 구비하고, 상기 여과 부재(100)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부위에 상기 여과 부재(100) 상의 처리물의 후방 이송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 1 칸막이판(5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 부재(100)에 있어서의 제 1 칸막이판(51)의 후방측의 부위에 후방측 여과부(46)를 형성하고, 여과 부재(100)에 있어서의 제 1 칸막이판(51) 전방측의 부위에는 상기 후방측 여과부(46)의 여과 망목크기와 같거나 또는 작은 여과 망목크기를 갖는 전방측 여과부(4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여과 부재(100)의 후단부에 상기 여과 부재(100) 상에서 제 3 회수부(S)로의 처리물의 이송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 2 칸막이판(55)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칸막이판(55)의 높이를 상기 제 1 칸막이판(51)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이다.
청구항 4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급망(18)과 상기 여과 부재(100) 사이에 급망(18) 상의 처리물의 후방 이송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 3 칸막이판(50)을 설치하고, 상기 제 3 칸막이판(50)을 상기 제 1 칸막이판(51)보다 높고 제 2 칸막이판(55)보다 낮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요동 선별 선반(22)의 전방측 부위에 급망(18)으로부터 리크 다운(leak down)된 처리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 선반(24)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 선별 선반(22)에 있어서의 이송 선반(24)의 후방측 부위에는 처리물을 체로 쳐서 선별하는 시브(25)를 구비하고, 상기 풍구(19)부터 송풍되는 선별풍을 이송 선반(24)의 후단부와 시브(25)의 전단부 사이로부터 불어올리는 선별 풍로(7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배진 처리동(31)의 외주부에 이송 나선체(102)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 나선체(102)의 나선 피치 사이에 배진 처리동(31)의 회전 축심에 평행한 처리판체(10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송 나선체(102)의 전방부에 전방측 이송 나선체(102b)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칸막이판(55)과 제 1 칸막이판(51)의 전후 방향의 간격(L1)을 전방측 이송 나선체(102b)의 피치(P)의 1/2 이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탈곡실(12)과 배진 처리실(30)을 연통하는 배진 연통부(H)의 저부에 여과 부재(100)를 구비하고, 이 여과 부재(100)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의 부위에 상기 여과 부재(100) 상의 처리물의 후방 이송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 1 칸막이판(51)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탈곡실(12) 내의 짚부스러기를 배진 처리실(30)로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고, 요동 선별 선반(22)에 큰 짚부스러기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선별 정밀도 및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배진 연통부(H)의 후방측에 위치해서 요동 선별 선반(22) 상으로 개구하는 제 3 회수부(S)의 저부에는 탈곡 후의 배출짚의 이삭끝측의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48)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곡간의 이삭끝측의 부위가 아랫쪽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곡간에 박혀들어간 곡립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어, 곡립의 기기 밖 로스를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여과 부재(100)에 있어서의 제 1 칸막이판(51)의 후방측의 부위에 후방측 여과부(46)를 형성하고, 여과 부재(100)에 있어서의 제 1 칸막이판(51) 전방측의 부위에는 후방측 여과부(46)의 여과 망목크기와 같거나 또는 작은 여과 망목크기를 갖는 전방측 여과부(45)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탈곡실(12) 내의 짚부스러기를 배진 처리실(30)로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고, 요동 선별 선반(22)에 큰 짚부스러기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선별 정밀도 및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후방측 여과부(46)보다 전방측 여과부(45)의 여과 망목크기를 작게 하면 배진 연통부(H)의 제 1 칸막이판(51)보다 전방측의 부위에 있어서 큰 피처리물을 배진 처리실(30)로 이행시켜서 요동 선별 선반(22)에 큰 짚부스러기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배진 연통부(H)의 제 1 칸막이판(51)보다 후방측의 부위에 있어서 피처리물을 요동 선별 선반(22)에 낙하시킴으로써 배진 연통부(H)에 있어서의 피처리물의 막힘을 억제하여 전체적으로 선별 정밀도 및 선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여과 부재(100)의 후단부에 구비한 제 2 칸막이판(55)의 높이를 상기 제 1 칸막이판(51)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탈곡실(12) 내의 피처리물이 증가해도 배진 연통부(H)에서의 배진 처리실(30)로의 피처리물의 반송을 행할 수 있고, 배진 연통부(H)로부터 제 3 회수부(S)로의 피처리물의 유입을 억제하여 제 3 회수부(S)에 있어서의 곡립 회수를 효율화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급망(18)과 여과 부재(100) 사이에 구비한 제 3 칸막이판(50)을 제 1 칸막이판(51)보다 높고 제 2 칸막이판(55)보다 낮게 설정했으므로, 배진 연통부(H)로부터 배진 처리실(30)로 더욱 효율적으로 피처리물을 이송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풍구(19)부터 송풍되는 선별풍을 이송 선반(24)의 후단부와 시브(25)의 전단부 사이로부터 불어올리는 선별 풍로(71)를 형성함으로써 이송 선반(24)으로부터 시브(25)를 향해서 이송되는 곡립과, 상방으로부터 낙하되는 내잡물(來雜物)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이송 나선체(102)의 나선 피치 사이에 배진 처리동(31)의 회전 축심에 평행한 처리판체(103)를 구비함으로써 배진 처리실(30) 내의 피처리물의 탈립 및 분리 처리가 촉진되어 곡립의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제 3 칸막이판(55)과 제 1 칸막이판(51)의 전후 방향의 간격(L1)을 이송 나선체(102)의 전방부에 구비한 전방측 이송 나선체(102b)의 피치(P)의 1/2 이하로 설정했으므로, 배진 연통부(H)의 제 1 칸막이판(51)보다 전방측의 부위로부터 배진 처리실(30)로 이송된 피처리물이 이 배진 연통부(H)의 제 1 칸막이판(51)보다 전방측의 부위로 역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측면도.
도 2는 탈곡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 3은 풍구 부근의 종단 측면도.
도 4는 탈곡실의 배출구의 측면도.
도 5는 동 평면도.
도 6은 동 정면도.
도 7은 동 배면도.
도 8은 탈곡실의 배출구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동 평면도.
도 10은 동 정면도.
도 11은 탈곡실의 배출구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2는 탈곡실의 배출구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3은 동 측면도.
도 14는 탈곡실의 배출구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5는 동 측면도.
도 16은 탈곡실의 배출구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7은 동 측면도.
도 18은 탈곡실의 배출구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9는 풍구 부근의 종단 측면도.
도 20은 배진 처리동의 측면도.
도 21은 배진 처리동의 요부의 배면도.
도 22는 탈곡장치의 요부의 배면도.
도 23은 탈곡장치의 평면도.
도 24는 탈곡장치의 종단면도.
도 25는 도 23의 A-A 단면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콤바인의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1은 콤바인의 기체 프레임, 2는 기체 프레임(1)의 하방에 설치한 주행장치, 3은 기체 프레임(1)의 상방에 설치한 탈곡장치, 4는 탈곡장치(3)의 전방측에 설치한 예취부, 5는 탈곡장치(3)의 측부에 설치한 그레인 탱크, 6은 그레인 탱크(5)의 전방측에 설치한 조종부이다.
<탈곡장치>
상기 탈곡장치(3)는 상부에 급치(扱齒)(10)를 갖는 급동(扱胴)(11)을 대략 수평으로 축 장착한 탈곡실(12)을 설치한다. 탈곡실(12)의 일측에는 상기 예취부(4)에 의해 예취된 곡간을 공급 반송하는 곡간 공급 반송 장치(13)의 공급 반송 체인(14)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편의적으로 전후 좌우 등의 방향을 나타내서 이하 설명하지만, 이것에 의해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급동(11)은 탈곡장치(3)의 전방판으로서의 제 1 측판(16)과 탈곡실 후방판으로서의 제 2 측판(17)에 축 장착하고, 급동(11)의 주로 하방측은 급망(18)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급망(18)의 하방에는 풍구(19)의 풍구 케이싱(20)을 설치한다. 상기 탈곡실(12)의 하방에는 상기 풍구(19)의 송풍에 의해 곡립과 이물을 바람으로 선별할 수 있는 바람 선별실(21)을 형성하고, 바람 선별실(21) 내에는 풍구(19)의 송풍 방향(전후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는 요동 선별 선반(22)에 의해 구성한 요동 선별 장치(23)를 설치한다.
<요동 선별 장치>
요동 선별 장치(23)의 구성은 임의이지만, 일례를 나타내면 상기 요동 선별 선반(22)의 시단부(전단부)는 풍구 케이싱(20)의 상방에 위치시켜서 이송 선반(24)를 형성한다. 이송 선반(24)의 상면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돌기나 요철을 형성하여 급망(18)으로부터의 낙하물을 요동 선별 선반(22)의 이송 방향 아래쪽으로 이송한다.
이송 선반(24)의 이송 방향 아래쪽에는 시브(25)를 설치한다. 시브(25)는 전방측의 그레인 시브(25A)와 후방측의 채프 시브(25B)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시브(25)는 곡립과 이물을 선별하는 것이며, 소정 간격을 두고 요동 방향으로 복수 병설한다. 시브(25)는 얇은 평판형상으로 형성하고, 이송 방향의 아래쪽(후방측)이 높은 각도 범위 내에서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채프 시브(25B)의 이송 방향의 아래쪽(후방측)에는 스트로 랙(26)을 설치한다. 요동 선별 선반(22)의 하방에는 1번 컨베이어로서의 제 1 회수부(27)를 설치하고, 1번 컨베이어(27)의 후방측에는 2번 컨베이어로서의 제 2 회수부(28)를 설치한다. 29는 시브(25)의 하방에 설치한 선별망이다.
<배진 처리장치>
상기 곡간 공급 반송 장치(13)의 설치측과는 반대측인 급동(11)의 후방부(종단측) 측방에는 배진 처리장치로서의 배진 처리실(30)를 설치한다. 배진 처리장치(30)는 급동(11)의 축심과 대략 평행한 배진 처리동(31)을 축 장착하고, 탈곡실(12)의 후방부에 설치한 배진 연통구(33)(도 2)에 의해 탈곡실(12)과 연통시킨다.
탈곡실(12) 내에서 발생하는 배진 처리물은 배진 연통구(33)를 통해서 배진 처리장치(30)내에 도입되고, 배진 처리동(31)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처리망(콘케이브)(101) 사이에서 곡립과 짚부스러기를 분리한다.
배진 처리동(31)의 시단부는 중간판(34)에 축 장착하고, 중판(34)과 탈곡실 후방판(17) 사이에 급망(18)으로부터 낙하하지 않는 짚부스러기를 포함하는 피처리물을 배출하는 배출구(35)를 설치한다.
배진 처리동(31)은 그 외주에 권회해서 설치한 연속 형상의 이송 나선체(102)와 상기 이송 나선체의 외주에 돌출된 배진 처리 톱니(102a)를 구비한다.
배진 처리동(31)의 전방부[배진 연통구(33)와 대향하는 부위]의 이송 나선체(102)는 피치(P)의 전방측 이송 나선체(102b)이며, 중간부로부터 후방부의 이송 나선체(102)는 피치(P)보다 작은 피치의 후방측 이송 나선체(102c)이다.
이송 나선체(102)의 후방측 이송 나선체(102c)에는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이웃하는 이송 나선체와 이송 나선체 사이, 즉 나선 피치간에 위치해서 처리물을 외주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는 처리판체(103)를 설치하고 있다.
즉, 처리판체(103)는 탈곡실(12)과 연통하는 배진 연통구(33)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후방 위치에 있어서 복수 설치되어 있고, 원주 방향으로는 배진 처리동(31)의 축심 방향으로 볼 때 각 처리판체를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
처리판체(103)의 높이는 이송 나선체(102)의 후방측 이송 나선체(102c)의 외주단 가장자리보다 낮게 설정하지만, 후방측 이송 나선체(102c)의 절반 정도의 높이가 적당하다. 또한, 처리판체(103)는 배진 처리동(31)의 회전 축심에 직교하거나(방사 방향), 또는 전진각 또는 후진각을 유지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처리판체(103)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진 처리동(31)의 회전 축심 방향(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할 수도 있지만, 배진 처리물의 반송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반송 저항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적당하게 경사지게 해 두면 처리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배진 처리동(31)의 종단측에는 배진물을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블레이드(104)가 설치되어 있다.
<2번 처리장치>
상기 배진 처리장치(30)의 전방측에는 2번 컨베이어(28)에 의해 회수된 2번물을 처리하는 2번 처리장치(36)를 설치한다.
2번 처리장치(36)의 2번 처리동(37)은 배진 처리동(31)과 동심 형상으로 배치한다. 2번 처리동(37)은 곡간 공급 반송 장치(13)의 반송 방향과 반대로 요동 선별 선반(22)의 시단부측 상방을 향해서 피처리물을 반송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급망(18)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38은 흡인 배진 팬, 38A는 흡진구, 39는 흡인 배진 팬(38)의 케이싱이다.
<탈곡실의 배진 연통부>
그리고, 급망(18)이 존재하지 않는 탈곡실(12)의 종단측 부분 중 전방측 부분에 배진 연통부(H)를 형성하고, 배진 연통부(H) 내에 상기 배진 연통구(33)를 형성한다.
급망(18)이 존재하지 않는 탈곡실(12)의 종단측 부분 중 후방측 부분에는 박힌 곡립 회수부로서의 제 3 회수부(S)를 형성한다. 상기 배진 연통부(H) 및 박힌 곡립 회수부(S) 내에는 상기 급동(11)의 후방부를 연장해서 면하게 한다.
상기 배진 연통부(H) 내의 상기 급동(11)의 급치(10)는 급망(18)의 상방의 급동(11)의 급치(10)보다 급동(11)의 축심 방향의 간격을 좁게(빈틈없이) 해서 설치한다.
그 때문에 배진 연통구(33)로의 피처리물의 이행을 원활하게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요동 선별 장치 전후 체부>
그리고, 요동 선별 선반(20) 상에는 전후 2열의 전후방측 체부(40, 41)를 병설한다.
전방측 체부(40) 및 후방측 체부(41)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체선(42)을 소정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복수 병설해서 구성한다.
상기 전방측 체부(40)와 후방측 체부(41)는 전방측 체부(40)의 종단부 하방에 후방측 체부(41)의 시단부를 위치시켜서 전후로 오버랩시킨다.
그 때문에, 시브(25) 상의 짚부스러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선별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전방측 체부(40)는 그 전단을 상기 탈곡실(12)의 종단 하방에 위치시킨다.
그 때문에, 탈곡실(12)의 배출구(35)로부터 낙하되는 짚부스러기를 전방측 체부(40)가 받아내어 후방으로 이송하여 시브(25) 상에 짚부스러기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선별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전방측 체부(40)는 상기 배출구(35)의 후방측 부분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그 때문에, 배진 연통구(33)로부터 낙하하는 짚부스러기를 전방측 체부(40)가 받아내어 후방으로 이송하여 시브(25) 상에 짚부스러기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선별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전방측 체부(40)는 요동 선별 선반(22)에 설치한 1번 선반끝 부재(43)의 상방에 설치한다.
그 때문에, 전방측 체부(40)에는 1번 선반끝 부재(43)에 안내된 풍구(19)로부터의 선별풍이 강하게 지나가서 짚부스러기와 곡립의 분리를 촉진시킨다. 44A는 부착부, 44B는 탄성 안내 부재이다.
또한, 상기 전방측 체부(40)의 전단은 상기 요동 선별 선반(22)의 시브(25)의 하방에 설치한 선별망(29)의 후단과 같거나 앞쪽에 위치시킨다.
그 때문에, 1번 컨베이어(27)로의 짚부스러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선별 성능이 향상된다.
<시브의 자세 변경>
상기 시브(25)는 경사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시브(25)의 경사 각도 조절에 연동시켜서 전방측 체부(40)와 후방측 체부(41)의 경사를 변경하는 구성으로 한다.
즉, 시브(25)를 기립시켜서 시브(25)의 간격을 넓히면 전방측 체부(40)와 후방측 체부(41)의 경사는 후방 상향의 급경사가 된다.
그 때문에, 작업 상태에 따른 최적 상태에서 선별할 수 있다.
<탈곡실의 배출구>
배출구(35)에는 여과 부재(10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여과 부재(100)는 전방측 여과부(45)와 후방측 여과부(46)이며, 전방측 여과부(45)는 급망(18)보다 망목크기가 크고, 전방측 여과부(45)의 후방측의 후방측 여과부(46)는 전방측 여과부(45)보다 망목크기가 크다.
그리고, 후방측 여과부(46)의 후방측에 낙하부(47)를 형성하고, 낙하부(47)에는 지지부재(48)를 설치하고 있다(도 2).
상기 전방측 여과부(45)는 상기 배진 연통구(33)와 나란한 위치에 설치하고, 전방측 여과부(45)는 급망(18)으로부터 낙하하지 않고 배출구(35)에 이른 배고(排藁)의 낙하 저항이 된다.
그 때문에, 이 배고가 배출구(35)로부터 그대로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고, 배진 연통구(33)로부터 배진 처리장치(30)로 이행하는 것을 보조하고, 요동 선별 장치(23)의 부하를 경감하여 선별 효율을 향상시킨다.
즉, 배출구(35)를 개방 구성으로 하면 배출구(35)에 이른 급망(18)으로부터 낙하하지 않는 배고 등의 피처리물이 그대로 하방으로 낙하해서 배진 처리장치(30)로 이행하기 어려워지지만, 급망(18)으로부터 낙하되지 않은 피처리물 중 전방측 여과부(45)로부터 낙하되지 않은 큰 피처리물은 배진 연통구(33)로부터 배진 처리장치(30)로 더욱 이행시켜, 배진 처리장치(30)로의 이행 효율을 향상시키고, 전체적으로 선별 정밀도 및 선별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배출구(35)의 전방측 여과부(45)와 후방측 여과부(46)와 낙하부(47)는 리크 다운 지름(leak down diameter)을 상위시킨다.
전방측 여과부(45)는 그 전단부에 급동(11)의 둘레방향으로 세로의 전방측 칸막이판(제 3 칸막이판)(50)을 구비하고, 급동(11)의 축심 방향을 전후 방향의 제 1 축로드(52)를 좌우로 병설해서 구성한 낙하 구멍(53)을 갖는 전방측 리크 다운 바디(leak down body)(54)를 설치하고 있다.
전방측 여과부(45)와 후방측 여과부(46) 사이에는 둘레 방향으로 제 1 칸막이판(중간 칸막이판)(51)을 설치한다.
또한, 후방측 여과부(46)는 그 후단부에 급동(11)의 둘레 방향을 세로의 제 2 칸막이판(후방측 칸막이판)(55)을 병설하고, 급동(11)의 축심 방향을 전후 방향의 제 2 축로드(56)를 좌우로 병설해서 구성한 낙하 구멍(57)을 갖는 후방측 리크 다운 바디(58)를 설치하고 있다.
후방측 여과부(46)에서는 후방측 리크 다운 바디(58)의 제 2 축로드(56)의 배치 간격을 전방측 리크 다운 바디(54)보다 크게 형성하고, 후방측 낙하 구멍(57)은 전방측 낙하 구멍(53)보다 크게 형성한다.
또한, 제 1 칸막이판(51)의 높이가 가장 낮고, 전방측 칸막이판(50)의 높이보다 제 2 칸막이판(55)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전방측 칸막이판(50), 제 1 칸막이판(51), 및 제 2 칸막이판(55)의 높이란 급망(18) 및, 전방측 여과부(45)의 전방측 리크 다운 바디(54) 및 후방측 여과부(46)의 후방측 리크 다운 바디(58)의 내면으로부터 급동(11)의 회전 축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각 칸막이판이 돌출하는 양이다.
즉, 전방측 여과부(45)의 전방측 리크 다운 바디(54) 및 후방측 여과부(46)의 후방측 리크 다운 바디(58)는 전방측 칸막이판(50)과 제 1 칸막이판(51)과 제 2 칸막이판(55) 및 제 1 축로드(52)와 제 2 축로드(56)에 의해 격자상으로 하고, 낙하부(47)에는 후방측에 이름에 따라서 배진 처리장치(30)측으로 경사지는 지지부재(48)를 설치한다.
그 때문에, 급망(18)으로부터 낙하되지 않은 피처리물 중 큰 피처리물은 작은 망목크기로 되는 전방측 여과부(45)의 전방측 리크 다운 바디(54)의 저항을 받아서 배진 연통구(33)로부터 배진 처리장치(30)로의 이행(반송)을 원활하게 한다.
후방측 여과부(46)에서는 전방측 여과부(45)의 전방측 리크 다운 바디(54)보다 망목크기가 큰 후방측 낙하 구멍(57)에 의해 피처리물을 요동 선별 선반(22) 상에 낙하시키서 배출구(35)에 있어서의 막힘 발생을 방지하고, 배진 처리장치(30)로의 이행 효율을 향상시켜, 전체적으로 선별 정밀도 및 선별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낙하부(47)에서는 후방측에 이름에 따라 배진 처리장치(30)측으로 경사지는 지지부재(48)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반송 곡간 중의 박힌 곡립의 회수를 양호하게 함과 아울러, 일단 반송 곡간 중에서 낙하한 박힌 곡립이 다시 반송 곡간 속에 박혀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고, 요동 선별 선반(22) 상에 낙하시켜서 회수한다.
또한, 배진 처리장치(30)에 반송된 피처리물의 배진 연통부(H)로의 역행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방측 칸막이판(50)과 제 1 칸막이판(51)의 전후 방향의 간격(L1)을 배진 처리장치(30)에 내장된 배진 처리동(31)의 나선 형상의 전방측 이송 나선체(102b)의 피치(P)의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피치(P)의 1/2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피처리물을 배진 처리장치(30)에 능률적으로 반송하기 위해 전방측 칸막이판(50)과 제 2 칸막이판(55)의 전후 방향의 간격(L2)을 배진 처리동(31) 전방측 이송 나선체(102b)의 피치(P) 이하로 설정되고, 바람직하게는 피치(P)와 같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 칸막이판(50), 제 1 칸막이판(51), 및 제 2 칸막이판(55)은 모두 급동(11)의 하측 외주를 포위해서 설치되고, 전방측 칸막이판(50), 제 1 칸막이판(51), 및 제 2 칸막이판(55)의 좌측단부에 설치된 부착 부재에 지지되고, 탈곡실(12) 하벽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배진 연통부(H)와 박힌 곡립 회수부(S) 사이에 세로의 제 2 칸막이판(55)을 설치하고, 제 2 칸막이판(55)은 전방측 여과부(45)의 전방측 리크 다운 바디(54)와 후방측 여과부(46)의 후방측 리크 다운 바디(58) 사이에 설치한 중간 칸막이판(51)보다 높게 형성한다.
제 1 칸막이판(중간 칸막이판)(51)보다 높게 형성한 제 2 칸막이판(55)은 피처리물의 양이 증가해도 배진 처리장치(30)로의 이행을 촉진하고, 박힌 곡립 회수부(S)로의 피처리물의 유입을 억제하여 사방 손실 발생을 경감시킨다.
또한, 상기 전방측 체부(40)의 전단은 상기 배출구(35) 중 망목크기가 커진 후방측 여과부(46)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배출구(35)에서는 곡립 및 짚부스러기가 낙하하고, 배출구(35) 중 망목크기가 커진 후방측 여과부(46)에서는 짚부스러기의 낙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후방측 여과부(46)의 하방에 전방측 체부(40)의 전단을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시브(25)로의 짚부스러기의 낙하를 억제한다.
또한, 전방측 여과부(45) 및 후방측 여과부(46)는 제 1 축로드(52)와 제 2 축로드(56)에 의해 낙하 구멍(53)과 낙하 구멍(57)을 형성하고, 급동(1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축로드(52)와 제 2 축로드(56)의 배치 간격이 상위하므로 급동(11)의 회전 방향의 피처리물의 저항을 상위시킬 수 있고, 배진 처리장치(30)로의 이행 효율이 향상되어 요동 선별 선반(22)으로의 부하가 경감된다.
또한, 낙하부(47)의 지지부재(48)는 후방측에 이름에 따라서 배진 처리장치(30)측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낙하부(47)로부터 낙하되는 피처리물을 배진 처리장치(30)측으로 유도하고, 요동 선별 선반(22) 상의 피처리물을 균평화한다.
<급실 배출구의 다른 형태>
도 8∼도 10은 배출구(3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전방측 여과부(45) 및후방측 여과부(46)는 플레이트(60)와 칸막이판(50, 51, 55)에 의해 낙하 구멍(53, 57)을 형성하고, 플레이트(60)는 접선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한다.
그 때문에, 플레이트(60)의 평면부가 저항으로 되어서 피처리물로의 저항을 크게 할 수 있고, 배진 처리장치(30)로의 이행 효율이 향상되어 요동 선별 선반(22)으로의 부하가 경감된다.
또한, 전방측 여과부(45) 및 후방측 여과부(46)는 플레이트(60)와 칸막이판(50, 51, 55)에 의해 낙하 구멍(53, 57)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짚의 감김을 억제할 수 있고, 막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1은 배출구(3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전방측 여과부(45) 및 후방측 여과부(46)는 플레이트(60)와 칸막이판(50, 51, 55)에 의해 낙하 구멍(53, 57)을 형성하고, 이 플레이트(60)는 급동(11)의 축심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후방측에 이름에 따라서 배진 처리장치(30)측으로 경사지게 해서 구성한다.
그 때문에, 전방측 여과부(45) 및 후방측 여과부(46)로부터 낙하되는 피처리물을 배진 처리장치(30)측으로 유도하고, 요동 선별 선반(22) 상의 피처리물을 균평화한다.
도 12, 도 13은 배출구(3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전방측 여과부(45) 및후방측 여과부(46)는 급동(11)의 축심 방향으로 교차하는 칸막이판(50, 51, 55)과 급동(11)의 축심 방향과 평행한 축로드(61)에 의해 격자상으로 전방측 리크 다운 바디(54) 및 후방측 리크 다운 바디(58)를 형성한다.
그 때문에, 배출구(35)의 전방측 여과부(45)와 후방측 여과부(46)에 의해 급동(11)의 회전 방향의 피처리물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배진 처리장치(30)로의 반송 작용을 억제하여 배진 처리장치(30)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4, 도 15는 배출구(3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전방측 여과부(45)에는 크림프망(65)을 설치하고, 이 크림프망(65)의 메쉬에 의해 상기 낙하 구멍(53)을 형성하고, 후방측 여과부(46)에는 급동(11)의 축심 방향과 평행한 축로드(61)를 설치하고, 낙하부(47)에는 지지부재(48)를 설치해서 구성한다.
그 때문에, 배출구(35)의 전방측 여과부(45)에서는 급동(11)의 회전 방향의 피처리물의 저항을 크게 하여 배진 처리장치(30)로의 반송 작용을 우선시키고, 후방측 여과부(46)에서는 피처리의 리크 다운을 우선시킨다.
도 16, 도 17은 배출구(3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전방측 여과부(45)는 전방측 크림프망(65)에 의하여 전방측 리크 다운 바디(54)를 형성하고, 후방측 여과부(46)는 후방측 크림프망(66)에 의하여 후방측 리크 다운 바디(58)를 형성하고, 전방측 크림프망(65)의 낙하 구멍(53)보다 후방측 크림프망(66)의 낙하 구멍(57)을 크게 형성한다.
그 때문에, 배출구(35)의 전방측 여과부(45)에서는 망목크기가 작은 전방측 크림프망(65)에 의해 배진 처리장치(30)로의 반송 작용을 우선시키고, 후방측 여과부(46)에서는 망목크기가 큰 후방측 크림프망(66)에 의해 피처리의 리크 다운을 우선시킨다.
도 18은 배출구(3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전방측 여과부(45) 및 후방측 여과부(46)에는 망목크기를 같게 한 크림프망(65)을 설치하고, 낙하부(47)에서는 후방측에 이름에 따라서 배진 처리장치(30)측으로 경사지는 지지부재(48)를 설치한다.
그 때문에, 반송 곡간 중의 박힌 곡립의 회수를 양호하게 함과 아울러 일단 개방된 곡립이 다시 박힌 곡립으로 되지 않고 요동 선별 선반(22) 상에 낙하시켜서 회수한다.
<바람 선별 구조>
상기 요동 선별 선반(22)의 하방에 설치한 1번 선반끝 부재(43)와 요동 선별 선반(22)의 선별망(29)의 상하 중간 위치에는 1번 선반끝 부재(43)보다 급격한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플레이트(68)를 설치한다(도 2).
그 때문에, 플레이트(68)는 1번 선반끝 부재(43)의 상방을 통과하는 풍구(19)로부터의 선별풍을 시브(25)를 향해서 불어올려서 풍구(19)로부터의 선별풍이 시브(25) 사이를 강하게 지나가서 짚부스러기와 곡립의 분리를 촉진시킨다.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68)는 상기 플레이트(68)의 경사면의 후방연장선이 상기 요동 선별 선반(22)의 종단 상방에 흡인 배진 팬(38)의 흡진구(38A)에 임하게 한다.
그 때문에, 플레이트(68)와 흡인 배진 팬(38)의 흡진구(38A)에 의해 1번 선반끝 부재(43)의 상방을 통과하는 풍구(19)로부터의 선별풍을 한층더 시브(25)를 향해서 불어올려서 풍구(19)로부터의 선별풍이 시브(25) 사이를 강하게 지나가고, 짚부스러기와 곡립의 분리를 촉진시킨다.
<풍구 풍로>
그리고, 상기 풍구 케이싱(20) 및 풍구(19)는 요동 선별 선반(22)의 이송 선반(24)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풍구 케이싱(20)에는 송풍구(70)를 형성한다(도 21).
상기 요동 선별 선반(22)의 이송 선반(24)의 종단과 시브(25)의 시단부 사이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풍구(19)로부터의 선별풍이 지나가는 상측 선별 풍로(선별 풍로)(71)를 형성하고, 이 상측 선별 풍로(71)의 송풍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35)의 전방측 여과부(45)를 향하게 한다.
그 때문에, 배출구(35)의 전방측 여과부(45)에 있어서 배진 처리장치(30)의 전단 부근으로부터 낙하한 내잡물이 선단측의 시브(25)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곡립과 내잡물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측 선별 풍로(71)를 형성하는 구성은 임의이지만, 일례를 나타내면 풍구 케이싱(20)의 송풍구(70)의 후방측에는 상측 도풍체(72)를 설치한다. 상기 상측 도풍체(72)에는 상기 이송 선반(24)의 하면을 향해서 송풍구(70)로부터의 송풍을 안내하는 안내면(73)을 설치한다. 상측 도풍체(72) 상방의 상기 풍구 케이싱(20)에는 상측 도풍체(72)와 대략 평행하고 이송 선반(24)의 하면을 향해서 송풍구(70)로부터의 송풍을 안내하는 종판부(74)를 위치시키고, 안내면(73)과 종판부(74) 사이에 상향 풍로(73A)를 형성하고, 상향 풍로(73A)로부터의 송풍이 요동 선별 선반(22)의 이송 선반(24)의 하면에 닿아서 방향 변환해서 상측 선별 풍로(71)를 지나고, 배출구(35)의 전방측 여과부(45)를 향해서 송풍된다.
즉, 풍구 케이싱(20)의 종판부(74)의 전후 위치를 요동 선별 선반(22)의 이송 선반(24)의 후단보다 전방측에 위치시키고, 송풍구(70)로부터의 송풍을 상측 도풍체(72)와 종판부(74)에 의해 상향 풍로(73A)를 통과해서 상방으로 안내하고, 시브(25)의 전방측 부분에 상측 풍로(후방 방향 풍로) 상측 선별 풍로(71)에 의해 송풍한다.
그 때문에, 배진 처리장치(30)의 전단 부근으로부터의 내잡물을 후방으로 비산 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35)의 전단보다 전방측에 시브(25)를 설치할 수 있고, 시브(25)에 의한 전후 방향의 선별 면적이 증가한다.
상기 요동 선별 선반(22)의 이송 선반(24)은 상기 급망(18)과 대략 같은 길이로 한다.
그 때문에, 탈곡실(12)의 리크 다운 물(leak down object)을 이송 선반(24)에서 받아내서 좌우 방향으로 균평화시키고, 시브(25)에 의한 선별 작용을 향상시킨다.
또한, 요동 선별 선반(22)의 이송 선반(24)을 급망(18)과 대략 같은 길이로 하고 있으므로, 그 만큼 상기 상측 도풍체(72)와 종판부(74)가 일으킨 선별풍을 시브(25)를 향해서 송풍할 수 있고, 이송 선반(24)으로부터 시브(25)로의 피처리물의 인계를 양호하게 하는 작용도 기대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요동 선별 선반(22)의 개구부(53A)의 후방측에는 대략 수직 또는 전방측에 이름에 따라서 높게 경사지는 상향 안내면(75)을 설치한다.
그 때문에, 풍구 케이싱(20)의 상측 도풍체(72)와 종판부(74)에 의한 상향 유도된 송풍을 요동 선별 선반(22)의 이송 선반(24)의 전방측을 향해서 유도하고, 그 결과, 송풍은 한층더 향상되어서 상측 선별 풍로(71)에 유도되어, 풍구(19)의 송풍을 효율적으로 상측 선별 풍로(71)로 유도한다.
상기 요동 선별 선반(22)의 이송 선반(24)의 하면에는 후방 상향의 선반측 안내면(76)을 설치한다.
그 때문에, 풍구 케이싱(20)의 상측 도풍체(72)와 종판부(74)에 의한 상향으로 유도된 송풍을 이송 선반(24) 하면의 선반측 안내면(76)에 의해 이송 선반(24)의 하면과 평행 방향으로 유도하고, 그 결과, 이송 선반(24)으로부터 낙하하는 피처리물의 후방으로의 이송 작용이 향상된다.
11 : 급동 12 : 탈곡실
16 : 전방판(제 1 측판) 17 : 탈곡실 후방판(제 2 측판)
18 : 급망 19 : 풍구
22 : 요동 선별 선반 24 : 이송 선반
25 : 시브 27 : 1번 컨베이어(제 1 회수부)
28 : 2번 컨베이어(제 2 회수부) 30 : 배진 처리장치(배진 처리실)
31 : 배진 처리동 45 : 전방측 여과부
46 : 후방측 여과부 48 : 지지 부재
50 : 칸막이판(제 3 칸막이판) 51 : 칸막이판(제 1 칸막이판)
55 : 칸막이판(제 2 칸막이판) 71 : 상측 선별 풍로(선별 풍로)
100 : 여과 부재 102 : 이송 나선체
102b : 전방측 이송 나선체 103 : 처리판체
H : 배진 연통부 L1 : 간격
P : 피치 S : 박힌 곡립 회수부(제 3 회수부)

Claims (7)

  1. 탈곡실(12) 전방측의 제 1 측판(16)과 후방측의 제 2 측판(17) 사이에 급동(11)을 축 설치하고, 상기 탈곡실(12)의 후방부 일측에는 배진 처리동(31)을 축 설치한 배진 처리실(30)의 전방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탈곡실(12)의 하측에 요동 선별 선반(22)을 설치하고, 상기 요동 선별 선반(22)의 하측에는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구(19), 1번물을 회수하는 제 1 회수부(27), 및 2번물을 회수하는 제 2 회수부(28)를 전방측으로부터 그 순서대로 설치한 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동(11)의 후단부를 상기 급동(11)의 하부 외주에 구비한 급망(18)의 후단부보다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탈곡실(12)에 있어서의 상기 급망(18)의 후단부와 상기 제 2 측판(17) 사이의 부위에 상기 배진 처리실(30)에 연통하는 배진 연통부(H)와, 상기 배진 연통부(H)의 후방측에 위치해서 상기 요동 선별 선반(22) 상으로 개구하는 제 3 회수부(S)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 3 회수부(S)의 저부에는 탈곡 후의 배출짚의 이삭끝측 부위를 지지하도록 배진 처리 장치(30) 측으로 경사지는 지지 부재(48)를 구비하고,
    상기 배진 연통부(H)의 저부에는 처리물을 여과하는 여과 부재(100)를 구비하고,
    상기 여과 부재(100)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부위에 상기 여과 부재(100) 상의 처리물의 후방 이송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 1 칸막이판(5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부재(100)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칸막이판(51)의 후방측 부위에 후방측 여과부(46)를 형성하고, 상기 여과 부재(100)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칸막이판(51)의 전방측 부위에는 상기 후방측 여과부(46)의 여과 망목크기와 같거나 또는 작은 여과 망목크기를 갖는 전방측 여과부(4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부재(100)의 후단부에 상기 여과 부재(100) 상에서 제 3 회수부(S)로의 처리물의 이송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 2 칸막이판(55)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칸막이판(55)의 높이를 상기 제 1 칸막이판(51)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망(18)과 상기 여과 부재(100) 사이에 상기 급망(18) 상의 처리물의 후방 이송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 3 칸막이판(50)을 설치하고, 상기 제 3 칸막이판(50)을 상기 제 1 칸막이판(51)보다 높고 상기 제 2 칸막이판(55)보다 낮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선별 선반(22)의 전방측 부위에 상기 급망(18)으로부터 리크 다운된 처리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 선반(24)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 선별 선반(22)에 있어서의 상기 이송 선반(24)의 후방측 부위에는 처리물을 체로 쳐서 선별하는 시브(25)를 구비하고,
    상기 풍구(19)로부터 송풍되는 선별풍을 상기 이송 선반(24)의 후단부와 상기 시브(25)의 전단부 사이로부터 불어올리는 선별 풍로(7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진 처리동(31)의 외주부에 이송 나선체(102)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 나선체(102)의 나선 피치 사이에 상기 배진 처리동(31)의 회전 축심에 평행한 처리판체(10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나선체(102)의 전방부에 전방측 이송 나선체(102b)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칸막이판(55)과 상기 제 1 칸막이판(51)의 전후 방향의 간격(L1)을 상기 전방측 이송 나선체(102b)의 피치(P)의 1/2 이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KR1020120003789A 2011-08-30 2012-01-12 탈곡장치 KR101363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86993A JP5721003B2 (ja) 2011-08-30 2011-08-30 脱穀装置
JPJP-P-2011-186993 2011-08-30
JP2011189268A JP2013048599A (ja) 2011-08-31 2011-08-31 脱穀装置
JPJP-P-2011-189268 2011-08-31
JPJP-P-2011-210889 2011-09-27
JP2011210889A JP2013070647A (ja) 2011-09-27 2011-09-27 脱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701A KR20130024701A (ko) 2013-03-08
KR101363951B1 true KR101363951B1 (ko) 2014-02-18

Family

ID=4686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789A KR101363951B1 (ko) 2011-08-30 2012-01-12 탈곡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63951B1 (ko)
CN (3) CN102960129B (ko)
TW (1) TWI4611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951B1 (ko) * 2011-08-30 2014-02-18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탈곡장치
WO2015146995A1 (ja) * 2014-03-25 2015-10-01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US10492369B2 (en) * 2015-07-14 2019-12-03 Dean Mayerle Weed seed destruction
JP7101587B2 (ja) * 2018-10-16 2022-07-1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7155069B2 (ja) * 2019-06-25 2022-10-18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20U (ja) * 1993-07-21 1995-02-21 三菱農機株式会社 処理胴付き脱穀機
JP2009027978A (ja) * 2007-07-27 2009-02-12 Iseki & Co Ltd 脱穀装置
KR100910187B1 (ko) * 2007-02-27 2009-07-30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탈곡 장치
JP2009219386A (ja) * 2008-03-14 2009-10-01 Yanmar Co Ltd 脱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2018A (ja) * 1993-11-10 1995-05-2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の排塵装置
JPH11332368A (ja) * 1998-05-27 1999-12-07 Iseki & Co Ltd 脱穀機の二番処理装置
JP3488150B2 (ja) * 1999-10-13 2004-01-19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TWM243921U (en) * 2003-09-10 2004-09-21 Chung-Rung Liou Improved structure of grain threshing screen
JP2008005740A (ja) * 2006-06-28 2008-01-17 Iseki & Co Ltd 脱穀装置
JP2008212115A (ja) * 2007-03-07 2008-09-1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装置
CN201107924Y (zh) * 2007-10-15 2008-09-03 冯立广 一种与联合收割机上配套使用的玉米脱粒滚筒
JP5128330B2 (ja) * 2008-03-14 2013-01-23 ヤンマー株式会社 脱穀装置
CN201278689Y (zh) * 2008-09-01 2009-07-29 广州市科利亚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脱粒筒滤网装置
JP4880713B2 (ja) * 2009-03-03 2012-02-22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JP5249126B2 (ja) * 2009-05-21 2013-07-31 三菱農機株式会社 脱穀機
JP2010273628A (ja) * 2009-05-29 2010-12-09 Iseki & Co Ltd 脱穀装置
KR101363951B1 (ko) * 2011-08-30 2014-02-18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탈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20U (ja) * 1993-07-21 1995-02-21 三菱農機株式会社 処理胴付き脱穀機
KR100910187B1 (ko) * 2007-02-27 2009-07-30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탈곡 장치
JP2009027978A (ja) * 2007-07-27 2009-02-12 Iseki & Co Ltd 脱穀装置
JP2009219386A (ja) * 2008-03-14 2009-10-01 Yanmar Co Ltd 脱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61148B (zh) 2014-11-21
CN103202146B (zh) 2015-08-12
CN103202146A (zh) 2013-07-17
KR20130024701A (ko) 2013-03-08
CN202444821U (zh) 2012-09-26
TW201309186A (zh) 2013-03-01
CN102960129A (zh) 2013-03-13
CN102960129B (zh)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951B1 (ko) 탈곡장치
CN102282978B (zh) 纵轴流式脱粒装置
JP4847751B2 (ja) 脱穀装置の揺動選別構造
JP6667230B2 (ja) コンバイン
JP5078782B2 (ja) 脱穀装置
JP5796621B2 (ja) 脱穀装置の扱胴
KR101035203B1 (ko) 콤바인
KR20210000670A (ko) 탈곡 장치
KR102646943B1 (ko) 탈곡 장치
JP2013110998A (ja) 脱穀装置
JP5005625B2 (ja) 脱穀装置
JP5005624B2 (ja) 脱穀装置
JP2015100339A (ja) 脱穀装置
JP2013070647A (ja) 脱穀装置
JP2015146752A (ja) 脱穀装置
JP5721003B2 (ja) 脱穀装置
KR200186287Y1 (ko) 콤바인의 탈곡장치
JP2016021930A (ja) コンバイン
JP2019208390A (ja) コンバイン
JP4581457B2 (ja) 脱穀装置
JP2023163665A (ja) 脱穀装置
JP2005229830A (ja) 脱穀装置
JP2005198619A (ja) 脱穀装置
KR100335539B1 (ko) 콤바인의 탈곡장치
JP2007174996A (ja) 脱穀装置の選別処理物搬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