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287Y1 - 콤바인의 탈곡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287Y1
KR200186287Y1 KR2020000002202U KR20000002202U KR200186287Y1 KR 200186287 Y1 KR200186287 Y1 KR 200186287Y1 KR 2020000002202 U KR2020000002202 U KR 2020000002202U KR 20000002202 U KR20000002202 U KR 20000002202U KR 200186287 Y1 KR200186287 Y1 KR 200186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grain
barrel
processed material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영환
Original Assignee
모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5915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35539B1/ko
Application filed by 모영환 filed Critical 모영환
Priority to KR2020000002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2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7/00Threshing apparatus
    • A01F7/02Threshing apparatus with rotating tools
    • A01F7/04Threshing apparatus with rotating tools with axles transverse to the feeding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2Threshing cylinders with tee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콤바인의 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케이스의 내부에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탈곡통과, 상기 제2탈곡통 후방에 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 및 제4탈곡통과, 상기 제1 내지 제4탈곡통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반원형 그물망과, 상기 제1 내지 제4반원형 그물망의 하부에 설치되며 탈곡후의 처리물을 선별처리하는 제1요동선별판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상기 제1 내지 제4반원형 그물망과 상기 제1요동선별판으로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제1요동선별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요동선별판으로부터 낙하된 처리물을 곡물탱크로 이송시키는 회수부와, 상기 곡물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수부를 통해 공급된 처리물중 탈곡된 곡립만을 곡물탱크 내부로 낙하시키고 나머지 처리물은 걸러내는 제2요동선별판과, 상기 제2요동선별판에 의해 걸려진 처리물을 상기 제1 및 제2탈곡통 사이로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 방식에 비하여 곡립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탈곡 능률이 향상되며, 구조가 간단하고, 곡립의 선별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콤바인의 탈곡장치{APPARATUS FOR THRESHING A GRAIN USED IN A COMBINE}
본 고안은 콤바인의 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탈곡시 발생되는 곡립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콤바인의 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무한궤도 주행장치(1)와, 주행장치(1)에 탑재되는 탈곡장치(2)와, 탈곡장치(2)의 상부에 설치되는 운전석(4) 및 곡물탱크(5)와, 탈곡장치(2)의 일측에 설치되어 곡물줄기를 베어서 탈곡장치(2)로 공급하는 예취장치(3)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콤바인의 탈곡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케이스(21)의 내부에 탈곡통(22)이 설치되어 있고, 이 탈곡통(22)의 하부에는 그물망(2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그물망(23)의 하부에는 요동선별판(24)과 송풍기(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선별판(24)의 하부에는 요동선별판(24)에 의해 선별되어 낙하된 곡립을 상기 곡물탱크(5)로 회수하는 제1곡립 회수부(27)와, 줄기 부스러기가 혼합된 곡립을 상기 탈곡통(22)으로 재이송시키는 제2곡립 회수부(2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곡립 회수부(27)와 제2곡립 회수부(28)는 통상의 이송스크류와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콤바인의 탈곡장치(2)는, 예취장치(2)에 의해 베어져 걷어드린 곡물줄기가 회전하는 탈곡통(22)의 하부로 유입되어 탈곡된 후, 곡립은 탈곡통(22)의 하부에 설치된 반원형 그물망(23)을 통해 요동선별판(24)으로 투입되고, 곡물줄기는 컨베이어(26)를 통해 후방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요동선별판(24)으로 투입된 곡립과 짚 부스러기는, 요동선별판(24)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과 송풍기(25)에서 공급되는 풍력에 의해서 선별되어, 곡립은 제1곡립 회수부(27)로 낙하되어 이송스크류와 수직컨베이어를 통해 곡물탱크로 회수되고, 짚 부스러기는 후방으로 날려 배출되게 된다.
이때, 송풍기(25)의 풍력에 의해서 후방으로 날리는 일부의 곡립과 미탈립 이삭부분은 제2곡립 회수부(28)로 낙하되어 이송스크류와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탈곡통(22)으로 재공급되어 2차 탈곡작업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콤바인의 탈곡장치는, 곡물줄기가 하나의 탈곡통(22)에 의해서 탈곡작업이 이루어진 후, 바로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곡물줄기에 붙은 곡립의 탈곡효율이 떨어질 뿐만아니라, 탈곡되지 않은 곡립이 곡물줄기에 붙은 상태로 방출되기 때문에 곡립의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탈곡통(22)을 통해서 탈곡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한꺼번에 많은 양을 탈곡하기 어려워 탈곡 능율이 저하되고, 2개의 회수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할 뿐만아니라, 하나의 요동선별판에 의해서만 곡립의 선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곡립의 선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곡립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탈곡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곡립의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콤바인의 탈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스의 내부에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탈곡통과, 상기 제2탈곡통 후방에 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 및 제4탈곡통과, 상기 제1 내지 제4탈곡통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반원형 그물망과, 상기 제1 내지 제4반원형 그물망의 하부에 설치되며 탈곡후의 처리물을 선별처리하는 제1요동선별판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상기 제1 내지 제4반원형 그물망과 상기 제1요동선별판으로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제1요동선별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요동선별판으로부터 낙하된 처리물을 곡물탱크로 이송시키는 회수부와, 상기 곡물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수부를 통해 공급된 처리물중 탈곡된 곡립만을 곡물탱크 내부로 낙하시키고 나머지 처리물은 걸러내는 제2요동선별판과, 상기 제2요동선별판에 의해 걸러진 처리물을 상기 제1 및 제2탈곡통 사이로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콤바인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콤바인의 탈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콤바인의 탈곡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콤바인의 탈곡장치를 도시한 일부절제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3-56 : 제1 내지 제4탈곡통
57-60 : 제1 내지 제4반원형 그물망
61 : 제1요동선별판 62 : 제1걸름망
63 : 제2걸름망 64 : 요철판
65 : 회수부 66 : 송풍기
67 : 제2요동선별판 68 : 공급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콤바인의 탈곡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콤바인의 탈곡장치를 도시한 일부절제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콤바인의 탈곡장치(5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스(51)의 내부에 곡물줄기 유입구(52)를 통해 유입된 곡물줄기를 탈곡하는 제1탈곡통(53)과 제2탈곡통(54)이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1탈곡통(53)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2탈곡통(54)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제2탈곡통(54)의 후방에는 제3탈곡통(55)과 제4탈곡통(56)이 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탈곡통(53-56)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탈곡돌출편(53a-56a)이 형성되고, 제1내지 제4탈곡통(53-56)의 하부에는 각각 제1 내지 제4반원형 그물망(57-60)이 설치되며, 이중 제1반원형 그물망(57)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탈곡돌출편(57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반원형 그물망(57-60)의 하부에는 탈곡후의 처리물 즉, 탈곡된 곡립과 짚 부스러기를 선별처리하는 제1요동선별판(61)이 설치되고, 이 제1요동선별판(61)은 제1걸름망(62)과, 이 제1걸름망(62)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걸름망(62)에 비하여 조밀하게 형성된 제2걸름망(63)과, 제2걸름망(63)의 하부에 위치하는 요철판(64)을 구비하며, 이들은 통상의 링크에 의해 좌우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요동선별판(61)의 요철판(64) 일단 하부에는 요철판(64)으로부터 낙하된 곡립을 곡물탱크(5)로 이송시키는 회수부(65)가 마련되고, 회수부(65)는 통상의 이송스크류와 콘베이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케이스(51)의 일측에는 외부공기를 제1 내지 제4반원형 그물망(57-60)과 상기 제1요동선별판(61)으로 공급하는 송풍기(66)가 설치되고, 곡물탱크(5)의 상부에는 회수부(65)를 통해 공급된 처리물중 탈곡된 곡립만을 곡물탱크(5) 내부로 낙하시키고 나머지 미탈립 이삭부분과 짚 부스러기 등은 걸러내는 제2요동선별판(67)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2요동선별판(67)에 의해 걸러진 미탈립 이삭부분과 짚 부스러기 등을 상기 제1탈곡통(53)과 제2탈곡통(54) 사이로 재공급하는 공급관(68)이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콤바인의 탈곡장치(50)는, 케이스(51)의 곡물줄기 유입구(52)를 통해 유입된 곡물줄기가 제1탈곡통(53)의 하부와 제1반원형 그물망(57) 사이 그리고 제2탈곡통(54)의 하부와 제2반원형 그물망(58)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곡물줄기에 붙은 곡립이 대부분 탈곡되게 된다.
이때, 제1반원형 그물망(57)의 상면에 다수의 탈곡돌출편(57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입된 곡물줄기에 붙은 곡립의 초기 탈곡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제1탈곡통(53)과 제2탈곡통(54)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곡물줄기로부터 탈곡되지 않고 잔류하는 곡립은 제2탈곡통(54)의 후방에 이와 나란하게 배치된 제3탈곡통(55)과 제4탈곡통(56)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곡물줄기로부터 탈곡되고, 곡립이 탈곡된 곡물줄기는 후방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종래 하나의 탈곡통을 통해 탈곡작업을 수행하던 방식에 비하여 곡립이 곡물줄기에 붙은 상태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그 만큼 곡립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한꺼번에 많은 양의 곡립을 탈곡할 수 있어 탈곡능율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탈곡통(53-56)을 통한 탈곡과정에서 발생된 처리물 즉, 곡립과 미탈립 이삭부분 및 짚 부스러기는, 이들의 하부에 설치된 제1 내지 제4반원형 그물망(57-60)을 통과하여 제1요동선별판(61)으로 낙하하게 되고, 제1요동선별판(61)으로 낙하한 곡립과 미탈립 이삭부분 및 짚 부스러기는 제1요동선별판(61)의 좌우로의 요동과 송풍기(66)로부터 공급되는 풍력에 의하여 곡립과 미탈립 이삭부분 및 짚 부스러기로 선별되게 된다.
즉, 곡립의 대부분은 제1요동선별판(61)의 제1걸름망(62)과 제2걸름망(63)을 통과하여 요철판(64)으로 떨어져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짚 부스러기는 송풍기(66)로부터 공급되는 풍력에 의해서 후방으로 날리는 방식으로 배출되게 되며, 상대적으로 무거운 미탈립 이삭부분은 제1걸름망(62)에 얹혀진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요철판(64)과 제1걸름망(6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 처리물 즉, 곡립과 미탈립 이삭부분은 회수부(65)로 떨어지고, 회수부(65)로 떨어진 곡립과 미탈립 이삭부분은 회수부(65)의 이송스크류(65a)와 수직컨베이어(65b)를 통해 곡물탱크(5)의 상부에 설치된 제2요동선별판(67) 위로 공급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종래 2개의 회수부를 채용하던 방식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그리고 제2요동선별판(67) 위로 공급된 처리물 즉, 곡립과 미탈립 이삭부분중 곡립은 제2요동선별판(67)을 통과하여 곡물탱크(5)로 떨어지고, 미탈립 이삭부분을 제2요동선별판(67)을 따라 이동한 후, 공급관(68)을 통해 제1탈곡통(53)과 제2탈곡통(54) 사이로 다시 공급되어 탈곡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종래 1개의 제1요동선별판을 채용하던 방식에 비하여 곡립의 선별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콤바인의 탈곡장치에 의하면, 곡립이 미탈립된 상태로 곡물줄기와 함께 배출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탈곡시 발생되는 곡립의 손실이 줄어들게 되고, 한꺼번에 많은 양의 곡립을 탈곡할 수 있어 탈곡 능률이 향상되게 되며, 구조가 간단하고, 곡립의 선별 효율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케이스의 내부에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탈곡통과,
    상기 제2탈곡통 후방에 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 및 제4탈곡통과,
    상기 제1 내지 제4탈곡통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반원형 그물망과,
    상기 제1 내지 제4반원형 그물망의 하부에 설치되며 탈곡후의 처리물을 선별처리하는 제1요동선별판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상기 제1 내지 제4반원형 그물망과 상기 제1요동선별판으로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제1요동선별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요동선별판으로부터 낙하된 처리물을 곡물탱크로 이송시키는 회수부와,
    상기 곡물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수부를 통해 공급된 처리물중 탈곡된 곡립만을 곡물탱크 내부로 낙하시키고 나머지 처리물은 걸러내는 제2요동선별판과,
    상기 제2요동선별판에 의해 걸려진 처리물을 상기 제1 및 제2탈곡통 사이로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원형 그물망의 내면에 탈곡돌출편이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장치.
KR2020000002202U 1999-12-20 2000-01-27 콤바인의 탈곡장치 KR200186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202U KR200186287Y1 (ko) 1999-12-20 2000-01-27 콤바인의 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157A KR100335539B1 (ko) 1999-12-20 1999-12-20 콤바인의 탈곡장치
KR2020000002202U KR200186287Y1 (ko) 1999-12-20 2000-01-27 콤바인의 탈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157A Division KR100335539B1 (ko) 1999-12-20 1999-12-20 콤바인의 탈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287Y1 true KR200186287Y1 (ko) 2000-06-15

Family

ID=2663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202U KR200186287Y1 (ko) 1999-12-20 2000-01-27 콤바인의 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2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51Y1 (ko) * 2016-10-25 2017-05-02 박효군 스노클링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51Y1 (ko) * 2016-10-25 2017-05-02 박효군 스노클링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32026A (en) Rotary combine
DK152259B (da) Apparat til adskillelse af suspensioner og ligne nde blandinger ved filtrering samt til rensning og gradering af faste granulaere materialer
TWI461148B (zh) Threshing device
JP4569203B2 (ja) 脱穀機
KR200186287Y1 (ko) 콤바인의 탈곡장치
KR100335539B1 (ko) 콤바인의 탈곡장치
JP2008237107A (ja) 脱穀装置
JP2008237134A (ja) 脱穀装置
KR101035203B1 (ko) 콤바인
JP3328021B2 (ja) 普通形コンバインの2番還元装置
JP2007104956A (ja) 脱穀装置
KR20060126943A (ko) 탈곡 장치 및 탈곡 장치의 수망
JP2008048696A (ja) 脱穀装置
JPH07107845A (ja) 軸流型脱穀装置
JPH0751874Y2 (ja) 脱穀機における選別装置
JP2008136392A (ja) 脱穀装置
JPH0731268A (ja) 脱穀機の穀粒選別装置
JP2008136373A (ja) 脱穀装置
JPH07274681A (ja) 脱穀装置の受網構造
JP4009695B2 (ja) コンバイン
JP2886058B2 (ja) 脱穀装置
JP2020031543A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H0638621A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2011177076A (ja) 脱穀装置の選別構造
JP2002045022A (ja) 脱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