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881B1 - 드럼식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881B1
KR100393881B1 KR10-2000-7013464A KR20007013464A KR100393881B1 KR 100393881 B1 KR100393881 B1 KR 100393881B1 KR 20007013464 A KR20007013464 A KR 20007013464A KR 100393881 B1 KR100393881 B1 KR 100393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asing
tank
rotating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2443A (ko
Inventor
이토마스미
야마자키후미타카
가와바타시니치로
사사노키요미
하시바수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092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7967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15653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342880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1005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4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1)의 내부에 수조(3)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수조(3)의 내부에 회전조(10)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구성된 드럼식 세탁기이다. 상기 수조(3)의 후면부(26)에는 아우터 로터형 모터(17)가 배치되어, 이 모터(17)에 의해 상기 회전조(10)가 직접적으로 회전 구동된다.

Description

드럼식 세탁기{DRUM TYPE WASHING MACHINE}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드럼식 세탁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casing;201)의 내부에 수조(水槽:202)가 복수 개의 서스펜션(suspension:203)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수조(202)의 내부에는 드럼형의 회전조(204)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수조(202)의 후방부에는 베어링 하우징(206)이 장착되고, 이 베어링 하우징(206)의 내부에 배치된 베어링(207)에 의해 회전조(204)의 회전축(205)이 지지되어 있다.
한편, 수조(202)의 하부에는 모터(209)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조(204)의 회전축(205) 및 모터(209)의 회전축(209a)에는 각각 종동 풀리(208) 및 구동 풀리(210)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종동 풀리(208) 및 구동 풀리(210)의 사이에는 벨트(212)가 걸쳐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모터(209)의 회전 구동력이 구동 풀리(210), 벨트(212), 종동 풀리(208)로 이루어지는 벨트 전달 기구(211)를 통해 회전조(204)에 전달됨으로써 회전조(204)가 회전한다.
그런데, 일반 가정에서는 드럼식 세탁기가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이 경우, 사용자는 무릎을 꿇고 자세를 낮추어 세탁물의 출입 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세탁물의 출입 작업 시에 회전조(204)의 내부를 보기 쉽도록 할 목적으로, 회전조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한 구성의 드럼식 세탁기가 발명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회전조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그 회전 중심이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횡축이 되도록 구성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회전조가 회전할 때, 세탁물이 회전조 내의 깊숙한 부분으로 치우쳐 이동하기 때문에 회전조의 회전 시에 진동이 커진다.
특히, 벨트 전달 기구는 고속 회전 시에 구동 풀리가 슬립(slip)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본질적으로 진동이 발생하기 쉽다. 이 때문에, 회전조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하면, 회전조의 진동이 더욱 커진다. 또, 회전조의 진동이 커지면 그 만큼 상기 케이싱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회전조의 진동에 따라 수조가 요동치는 경우 수조가 케이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조와 케이싱의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물의 출입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회전조를 후방 하향 상태로 배치한 경우에도 진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회전조를 갖춘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드럼식 세탁기의 종단 측면도이고,
도 2는 케이싱의 도어 주변 부분의 횡단 평면도이며,
도 3은 도어의 폐색 상태를 보여주는 로크 장치의 횡단 평면도이고,
도 4는 손잡이 조작 상태를 보여주는 로크 장치의 횡단 평면도이며,
도 5는 도어의 폐색 상태를 보여주는 로크 장치의 종단 정면도이고,
도 6은 도어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로크 장치의 횡단 평면도이며,
도 7은 드럼식 세탁기의 전기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운전 제어 내용을 보여주는 타임 챠트이며,
도 9는 회전조의 경사 각도와 시야 영역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9a는 경사 각도가 0°일 때의 시야 영역, 도 9b는 10°일 때의 시야 영역, 도 9c는 22°일 때의 시야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회전조의 경사 각도와 세탁물의 출입 용이성 등의 평가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며,
도 14는 정면도이고,
도 15는 조작 패널의 확대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7은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와, 이 수조의 내부에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드럼형의 회전조와, 상기 수조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조를 직접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회전조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회전조 내의 세탁물의 출입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에 의해 회전조를 직접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전조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 인해 회전조의 회전 시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모터를 아우터 로터형 모터(outer rotor type motor)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우터 로터형 모터는 이너 로터형 모터(inner rotor type motor)에 비해 축 방향 치수가 작으면서도 높은 토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조의 후면부에 모터를 배치함으로써 케이싱이 전후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회전조의 회전 중심을 수평 축에 대하여 10° 이상 20°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는 횡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조 내의 전방부로부터 깊숙한 부분까지의 영역을 넓게 볼 수 있어, 세탁물의 출입 작업성이 한층 향상된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케이싱의 전면부에 설치된 세탁물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이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조작을 검지하는 도어 개방 조작 검지 수단과, 모터를 전기 제동법에 의해 회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도어 개방 조작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가 이루어질 때 모터를 회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어 개방 조작에 앞서 행해지는 조작인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조작에 기초하여 제동을 행하기 때문에, 도어가 실제로 개방되었을 때부터 단시간에 회전조를 정지시킬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특히, 모터에 의해 회전조를 직접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성에 의해, 기계적 제동법보다 전기 제동법이 단시간에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안전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세탁 운전 실행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 수단과, 세탁 운전 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와, 케이싱의 전면부에 설치된 세탁물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세탁 운전의 개시 후에 도어가 개방된 경우, 상기 스위치가 조작될 때까지 세탁 운전 실행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세탁 운전의 개시 후에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상기 스위치가 조작되어 세탁 운전의 실행이 지시될 때까지는 세탁 운전이 재개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조가 부주의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수조가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송풍 장치를 갖추어 회전조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송풍 장치는 케이싱의 내부에 수조의 상측 후방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조와 함께 수조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하면, 케이싱 내부의 수조의 상측 후방부에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생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송풍 장치를 상기 수조의 상측 후방부에 배치함으로써,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수조가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수조 내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펌프를 구비하고, 이 배수 펌프는 케이싱의 내부의 수조의 하측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조와 함께 수조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하면, 케이싱의 내부의 수조의 하측 전방부에 데드 스페이스가 생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배수 펌프를 수조의 하측 전방부에 배치함으로써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세탁물 출입구를 갖춘 전방 판부(板部)와, 이 전방 판부에 설치되어 세탁물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로 구성된 전면부를 갖춘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된 수조와, 이 수조의 내부에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드럼형의 회전조와, 회전조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의 전면부가 회전조의 전면부와 상이한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세탁물의 출입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회전조의 전면부의 경사 각도를 설정할 수 있고, 케이싱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전면부의 경사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수직면에 대한 도어의 경사 각도가 수직면에 대한 회전조의 전면부의 경사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어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도어가 부주의하게 폐쇄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수직면에 대한 전방 판부의 경사 각도가 수직면에 대한 회전조의 전면부의 경사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케이싱이 전후 방향으로 대형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회전조의 전면부의 경사 각도를 5°∼ 20°로 설정하고, 케이싱의 전면부의 경사 각도를 회전조의 경사 각도보다 2° 이상 작으면서 3°∼ 15°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회전조 내에 대한 세탁물의 출입 작업성 향상을 도모하면서, 케이싱이 전후 방향으로 대형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케이싱의 전방 판부의 세탁물 출입구보다 하측의 부분이 수직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케이싱의 특히 하부의 전후 방향 길이를 짧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수조가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수조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수조 커버와 회전조 내의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수조 커버에는 열풍 생성 장치로부터의 열풍을 회전조 내로 공급하기 위한 급풍구(給風口)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급풍구를 형성하기 위해 특별한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수조가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세탁물 출입구와 수조의 개구부를 접속시키는 벨로우즈(bellows)와, 열풍을 생성하는 열풍 생성 장치를 갖추도록 구성되어 회전조 내의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벨로우즈에는 열풍 생성 장치로부터의 열풍을 회전조 내에 공급하기 위한 급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급풍구를 형성하기 위해 특별한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드럼식 세탁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에서, 드럼식 세탁기의 케이싱(1)은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 상자 형태이고, 그 전방 판부(2)에는 원형의 세탁물 출입구(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의 전방 판부(2)에는 상기 출입구(2a)를 개폐하는 도어(9)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9)는 원형으로, 그 중앙부에, 예컨대 유리로 만든 투명부(9b)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 판부(2) 및 도어(9)는 본 발명의 케이싱(1)의 전면부를 구성한다.
케이싱(1)의 내부에는 드럼형 수조(3)가 후방 하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수조(3)는 좌우 한쌍의 서스펜션(4)(도 1에는 하나만 도시됨에 의해 케이싱(1)의 바닥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수조(3)의 상부에는 스프링(3a, 3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3a, 3b)에 의해 수조(3)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이 규제된다.
수조(3)는 통형의 본체부(5), 후단 판부(6), 전단 판부(7)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본체부(5), 후단 판부(6) 및 전단 판부(7)는 모두, 예컨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단 판부(7)에는 원형의 개구부(7a)가 형성되어 있다. 수조(3)의 개구부(7a)는, 예컨대 고무제의 벨로우즈(8)에 의해 케이싱(1)의 출입구(2a)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9)에 의해 케이싱(1)의 출입구(2a)가 닫혔을 때, 전방 판부(2)의 출입구(2a)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과 도어(9)와의 사이에 벨로우즈(8)의 전방 연부(8a)가 개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출입구(2a)는 도어(9)에 의해 수밀식(水密式)으로 폐색된다. 또, 후단 판부(6)의 후방부에는 보강판(6a)이 장착되어 있다.
수조(3)의 내부에는 드럼형의 회전조(1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조(10)는 통형의 본체부(11), 후단 판부(12) 및 전단 판부(13)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조(10)는 그 축 방향이 수조(3)의 축 방향과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회전조(10)는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11)에는 통수공(通水孔), 통기공(通氣孔)으로서 기능하는 복수 개의 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내주면부에는 복수 개의 배플(baffle;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다. 전단 판부(13)에는 원형의 개구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후단 판부(12)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 판부(12)의 후면부에는 이 후단 판부(12)보다도 두껍게 구성되고 복수 개의 통기구를 구비하는, 예컨대 금속제의 회전조 지지체(12a)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조 지지체(12a)의 후방부의 상기 후단 판부(12)의 거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회전조 축(14)이 고착되어 있다. 수조(3)의 후단 판부(6) 및 보강판(6a)에는 주조 성형품으로 된 베어링 하우징(15)이 고정되어 있다. 이 베어링 하우징(15)의 전단부는 수조(3)의 후단 판부(6) 및 보강판(6a)을 관통하고 있다. 베어링 하우징(15)의 내부에는, 예컨대 2개의 베어링(16)이 끼워 넣어져 있고, 이들 베어링(16)에 의해 회전조 축(1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 하우징(15)의 외주부에는 아우터 로터형의 브러시레스 모터(brushless motor;17)를 구성하는 스테이터(stator;19)가 고정되어 있다. 이 스테이터(19)는 스테이터 코어와, 이 스테이터 코어에 권장(卷裝)된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조 축(14)의 후단부에는 상기 모터(17)를 구성하는 로터(rotor;18)가 고정되어 있다. 로터(18)는 상기 스테이터와 대향하는 영구 자석(18a)을 갖추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회전조(10)는 모터(17)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 회전조(10)의 회전 중심은 수평축에 대하여 후방 하향으로 경사진 횡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회전조(10)의 회전 중심축의 수평축에 대한 경사 각도(이하,「회전조(10)의 경사 각도」라 함)는 10° 이상 20°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조(10)의 경사 각도를 10° 이상 20° 이하로 설정한 근거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각각 회전조(10)의 경사 각도가 0°, 10°, 22°일 때의 회전조(10) 내의 시야 영역(Sr)을 보여주고 있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조(10)의 경사 각도가 0°인 경우(즉, 회전조(10)의 회전 중심이 수평축인 경우)에는 시야 영역(Sr)이 작고, 회전조(10) 내의 깊숙한 부분을 보기가 어렵다. 이에 대하여, 회전조(10)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하면, 그 경사 각도가 커짐에 따라 시야 영역(Sr)이 커진다.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10)의 경사 각도가 10°를 초과하는 정도인 경우 시야 영역(Sr)이 적절하게 커진다. 그리고, 회전조(10)의 경사 각도가 20°를 초과하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 영역(Sr)이 크지만 회전조(10) 내의 앞부분(f)을 보기가 어렵게 된다. 또, 회전조(10)의 경사 각도가 크면, 회전조(10)의 상하 치수 및 전후 치수가 커지기 때문에, 케이싱(1)이 대형화된다.
한편, 도 10은 회전조(10)의 경사 각도와, 회전조(10)에 대한 세탁물의 출입 작업에 관한 평가와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0에서, 횡축은 회전조(10)의 경사 각도를 종축은 평가를 나타내고 있다. 이 평가는「세탁물을 넣기 쉬움」,「세탁물을 꺼내기 쉬움」,「드럼 내의 구석에 세탁물이 남은 경우 세탁물을 꺼내기 쉬움」,「드럼(10) 내를 보기가 쉬움」,「종합 평가」라고 하는 다섯 항목에 관한 앙케이트 결과로부터 얻은 것이다. 여기서, 수치가 클수록 평가가 좋은 것이고, 수치가「0」일 때는「좋다고도 나쁘다고도 말할 수 없다」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각도가 0°일 때에 비해 경사 각도가 5°∼ 20°일 때 모든 항목에 관해서 평가가 좋았다. 특히, 경사 각도가 10°일 때에는 다섯 항목 중 세 항목에 대해 평가가「0」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경사 각도가 20°일 때는「세탁물을 꺼내기 쉬움」,「드럼 내의 구석에 세탁물이 남은 경우 세탁물을 꺼내기 쉬움」,「종합 평가」의 세 항목에 관하여는 경사 각도가 15°일 때보다 평가가 나쁘지만, 경사 각도가 0°일 때에 비해서는 평가가 좋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조(10)의 경사 각도를 10° 이상 20° 이하로 설정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조(10)의 경사 각도가, 예컨대 10°로 설정되어 있다.또한, 수조(3)도 회전조(10)와 거의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수조(3) 및 회전조(10)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수조(3)의 전단 판부(7) 및 회전조(10)의 전단 판부(13)도 수직 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9)가 전단 판부(7) 및 전단 판부(13)와 거의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의 전방 판부(2)의 출입구(2a)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 및 좌우 양측부는 경사면 형태로 구성되고, 그 밖의 부분(즉, 출입구(2a)보다도 상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은 수직면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수조(3)의 바닥부의 후방부에는 배수구(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의 바닥 판부(1a) 상의 전방부에는 배수 펌프(21)가 배치되어 있다. 수조(3)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하면, 케이싱(1) 내의 수조(3)의 하측부 전방부에 데드 스페이스가 생긴다. 배수 펌프(21)가 데드 스페이스 내에 배치됨으로써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배수구(20)는 배수 펌프(21)의 입수구(入水口)에 접속되어 있다. 배수 펌프(21)의 출수구는 가요성의 배수 호스(22)에 접속되어 있다. 배수 호스(22)의 도시하지 않은 부분은 수조(3) 내의 최고 설정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 내의 상부에는 수조(3) 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밸브(23) 및 세제 투입 케이스(50)를 갖춘 급수기(24)가 배치되어 있다. 급수 밸브(23)는 급수기(24)에 접속되고, 급수기(24)는 가요성 호스(25)에 의해 수조(3)에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케이싱(1)의 후면부인 후방 판부(26)중 상기 모터(17)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보수 점검용의 개구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6a)는 착탈 가능한 덮개(27)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이어서, 도어(9)의 폐색 상태를 로크(lock)하는 로크 수단인 로크 장치(28)에 관해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케이싱(1)의 도어(9) 주변 부분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9)는 케이싱(1)의 전방 판부(2)에 힌지(9a)를 통해 화살표 A의 방향 및 이 화살표 A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어(9)의 상기 힌지(9a)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손잡이 장착 케이스(29)가 장착되어 있다. 이 손잡이 장착 케이스(29)에는 손잡이(3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이 손잡이(30)와 일체로 회동하는 결합 갈고리부(31)가 장착되어 있다. 손잡이(30) 및 결합 갈고리부(31)는 스프링(30a)에 의해 항상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힘을 받는다.
한편, 케이싱(1)의 전방 판부(2)의 상기 결합 갈고리부(31)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로크 케이스(32)가 배치되어 있다. 로크 케이스(32) 내에는 로크부(33)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케이스(32)의 전면부에는 개구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9)의 폐색 시에는 결합 갈고리부(31)가 개구부(32a)를 통해서 로크 케이스(32) 내에 삽입되어, 로크부(33)에 걸어 맞춰진다. 그 결과, 도어(9)가 폐색 상태로 로크된다.
또한, 로크 케이스(32) 내에는 도어 로크용의 솔레노이드(34)가 배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34)는 단전(斷電) 상태에서, 그 플런저(34a)가 결합 갈고리부(31)의 회동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갈고리부(31)가 로크부(33)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각도까지 회동하는 것이 플런저(34a)에 의해 저지된다. 솔레노이드(34)가 통전(通電)되면, 플런저(34a)가 결합 갈고리부(31)의 회동 궤적 상에서 후퇴한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갈고리부(31) 및 손잡이(30)가 화살표 B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된다. 손잡이(30), 스프링(30a), 결합 갈고리부(31), 로크부(33) 및 솔레노이드(34)로부터 로크 장치(28)가 구성된다.
또한, 로크 케이스(32) 내에는 제1 검출 스위치(35)와 제2 검출 스위치(36)가 배치되어 있다. 양 스위치(35, 36)는 상세히 후술되는 제어 수단인 제어 회로(44)(도 7 참조)에 대하여 검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갈고리부(31)가 로크부(33)에 걸어 맞춰져 있을 때, 제1 검출 스위치(35)는 ON으로 되어, 로크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1 검출 스위치(35)는 로크 검출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9)의 폐색 상태에서, 손잡이(30)가 화살표 B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어 결합 갈고리부(31)가 화살표 B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로크부(33)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제2 검출 스위치(36)는 ON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30)를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당기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9)가 개방되어 결합 갈고리부(31)가 로크 케이스(32) 내에서 탈출한다. 즉, 제2 검출 스위치(36)는 도어 개방 작업 이전에 행해지는 조작에 기초하여 온으로 된다. 따라서, 제2 검출 스위치(36)는 도어(9)를 열고자 하는 조작을 검지하면 도어 개방 조작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개방 조작 검지 수단을 구성한다. 또, 결합 갈고리부(31)가 로크 케이스(32) 내에서 탈출하면, 제1 검출 스위치(35) 및 제2 검출 스위치(36)는 모두 OFF가 된다. 이 때, 제어 회로(44)는 도어(9)가 개방된 것을 검출한다.
그런데,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교류 전원(37)의 양 단자에는 전파 정류 회로 및 평활한 콘덴서로 이루어진 직류 전원 회로(38)가 접속되어 있다. 직류 전원 회로(38)의 출력 단자로부터는 직류 모선(38a, 38b)이 도출되어 있고, 이들 직류 모선(38a, 38b)에는 인버터 주회로(39)가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 주회로(39)는 3상(相) 브릿지 접속된, 예컨대 IGBT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소자(40a∼40f), 이들 스위칭 소자(40a∼40f)에 각각 병렬 접속된 프리휠 다이오드(freewheel diodes;41a∼41f)로 구성되어 있다.
인버터 주회로(39)의 출력 단자(42u, 42v, 42w)는 각각 상기 모터(17)의 3상의 권선(17u, 17v, 17w)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인버터 주회로(39)의 각 스위칭 소자(40a∼40f)의 제어 단자(게이트)는, 예컨대 포토커플러(photocoupler)로 이루어지는 구동 회로(43)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 회로(43)는 제어 회로(44)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어 회로(44)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고, 드럼식 세탁기의 세탁 운전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제어 회로(44)는 모터(17)의 위치 검출 소자인 홀 IC(45u, 45v, 45w)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44)는 상기 위치 검출 신호 및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구동 회로(43)를 통해, 스위칭 소자(40a∼40f)를 ON/OFF 제어 및 PWM 제어한다. 그 결과, 각 권선(17u, 17v, 17w)에 대한 인가 전압 및 통전 타이밍이 제어된다. 또한, 제어 회로(44)는 위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17)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제어 회로(4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검출 스위치(35) 및 제2 검출 스위치(36)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어 회로(44)는 스위치 입력부(46)로부터의 조작 신호 및 수위 검지부(47)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44)는 스위치 입력부(46), 수위 검지부(47), 제1 검출 스위치(35) 및 제2 검출 스위치(36)로부터의 신호 및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급수 밸브(23), 배수 펌프(21), 솔레노이드(34) 및 모터(17)를 구동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위치 입력부(46)는 전원 스위치, 세탁 코스 선택 스위치, 일시 정지 스위치를 겸용하는 스타트 스위치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위 검지부(47)는 수조(3)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어서, 이러한 구성의 작용을, 제어 회로(44)의 제어 중 본 발명에 따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는, 세탁 코스 중 자동 운전 코스가 실행된 경우 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8은 자동 운전 코스의 타임 챠트(각 행정의 실행 시간) 및 각 행정에 있어서의 모터(17), 급수 밸브(23), 배수 펌프(21), 솔레노이드(34)의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운전 코스는 (1) 세탁물의 양 검지 행정, (2) 세탁 행정, (3) 제1 헹굼 행정, (4) 제2 행굼 행정, (5) 제3 행굼 행정, (6) 탈수 행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터(17)는「O」표시가 붙어 있는 행정에서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통전이 제어되고 (이하,「일방향 통전」이라 함),「◇」표시가 붙어 있는 행정에서는 정역(正逆) 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하도록 통전이 제어된다(이하,「정역 방향 통전」이라 함). 급수 밸브(23)는「K」로 나타내어진 행정에서 급수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된다. 배수 펌프(21)는「P」로 나타내어진 행정에서 배수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된다. 솔레노이드(34)는「L」로 나타내어진 행정에서 로크 동작하고,「-L」로 나타내어진 행정에서 언로크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원 스위치가 ON으로 되면, 제어 회로(44)는 소정 시간(이하,「오토 파워 OFF 시간」) 동안 솔레노이드(34)에 통전(로크 해제)을 행한다. 또, 운전 중에 상기 스타트 스위치가 조작되면, 제어 회로(44)는 오토 파워 OFF 시간 동안 솔레노이도(34)에 통전(로크 해제)을 행한다.
이어서, 자동 운전 코스의 각 행정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1) 세탁물의 양 검지 행정
이 행정에서 제어 회로(44)는 우선, 제1 검출 스위치(35)가 ON으로 되어 도어(9)의 폐색 상태를 로크 검지한 것을 조건으로 솔레노이드(34)를 단전한다. 그 결과, 도어(9)의 폐색 상태가 로크된다. 또, 제어 회로(44)는 모터(17)를 일정한 통전 패턴으로 통전 제어하여, 모터(17)의 회전 속도가 제1 소정치로 된 시점에서 단전한다. 제어 회로(44)는 단전시부터 모터(17)의 회전 속도가 제2 소정치로 낮아질 때까지의 시간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양을 검지한다.
(2) 세탁 행정
이 행정은 급수 교반 동작, 제1 교반 동작 및 제2 교반 동작, 배수 교반 동작, 탈수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2-1) 급수 교반 동작
여기서는, 제어 회로(44)가 솔레노이드(34)를 통전시켜 도어(9)의 로크를 해제한다. 또한, 모터(17)를 정역 방향 통전시킨다. 더욱이, 수조(3) 내의 수위가 소정의 설정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 밸브(23)에 의해 급수 동작을 실행시킨다. 수조(3) 내의 수위는 수위 검지부(47)에 의해 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3) 내의 「소정의 수위」는 도 1에 이점 쇄선(h)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9)와 벨로우즈(8)의 전방 연부(8a)와의 접촉 부위보다 낮은 수위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조(3)의 물이 새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조(10)가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위를 시일 부재, 즉 벨로우즈(8)의 도어(9)와의 접촉 부위보다도 낮게 설정하더라도, 회전조(10) 내의 깊숙한 부분에 다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2-2) 제1 교반 동작
여기서는, 제어 회로(44)가 솔레노이드(34)를 계속 통전시키는 동시에 모터(17)를 정역 방향으로 통전시킨다. 따라서, 세탁 행정 중 최초 15분간의 기간동안에는 도어(9)의 로크가 해제된다. 이하, 이 기간을 언로크 기간(Tr)이라 부른다.
(2-3) 제2 교반 동작
여기서는, 제어 회로(44)가 솔레노이드(34)를 단전시켜 도어(9)를 로크하는 동시에, 모터(17)를 정역 방향 통전시킨다. 이 제2 교반 동작 이후, 도어(9)의 로크 동작은 일시 정지 스위치와 겸용의 스타트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자세한 것은 후술한다)를 제외하고는 유지된다.
(2-4) 배수 교반 동작
여기서는, 제어 회로(44)가 모터(17)를 계속 정역 방향 통전시키는 동시에, 배수 펌프(21)에 의해 수조(3) 내의 물을 배출시킨다.
(2-5) 탈수 동작
여기서는, 제어 회로(44)가 모터(17)를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일방향 통전시킨다.
(3) 제1 행굼 행정
이 행정은 급수 교반, 교반, 배수 교반, 탈수로 구성되어 있다.
(3-1) 급수 교반 동작
여기서는, 솔레노이드(34)에 의한 도어(9)의 폐쇄 상태가 로크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상기 (2-1)의 급수 교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실행된다.
(3-2) 교반 동작
여기서는, 상기 (2-3)의 제2 교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실행된다.
(3-3) 배수 교반 동작
여기서는, (2-4)의 배수 교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실행된다.
(3-4) 탈수 동작
여기서는, (2-5)의 탈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실행된다.
(4) 제2 행굼 행정
이 행정에서는 (3)의 제1 행굼 행정의 각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실행된다.
(5) 제3 행굼 행정
이 행정에서는 (3)의 제1 행굼 행정의 각 동작 중 탈수 동작을 제외한 동작이 실행된다.
(6) 탈수행정
이 행정은 세탁물 풀기 동작, 언밸런스 검지 동작, 예비 탈수 동작, 세탁물 풀기 동작, 언밸런스 검지 동작, 최종 탈수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6-1) 세탁물 풀기 동작
여기서는, 제어 회로(44)가 배수 펌프(21)를 구동시킨 상태로, 모터(17)를 정역 방향 통전시킨다. 이로써, 회전조(10) 내의 세탁물이 풀어진다.
(6-2) 언밸런스 검지 동작
여기서는, 제어 회로(44)가 배수 펌프(21)를 구동시킨 상태로, 모터(17)를 소정의 통전 패턴으로 일방향 통전시켜 회전 속도를 소정 수준까지 상승시킨 후, 단전시킨다. 그리고, 제어 회로(44)는 상승 및 하강 시의 모터(17)의 회전 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언밸런스 발생의 유무를 검지한다. 여기서, 언밸런스의 발생이 검지되면, 예컨대 전술한 세탁물 풀기 동작과 거의 같은 동작을 실행하여, 언밸런스를 수정한다. 또한, 언밸런스 발생이 검지될 때는 다음 동작으로 이행한다.
(6-3) 예비 탈수 동작
여기서는, (2-5)의 탈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실행된다.
(6-4) 세탁물 풀기 동작
여기서는, (6-1)의 세탁물 풀기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실행된다.
(6-5) 언밸런스 검지 동작
여기서는, (6-2)의 언밸런스 검지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실행된다.
(6-6) 최종 탈수 동작
여기서는, (2-5)의 탈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실행된다.
그런데, 세탁물이 회전조(10) 내에 투입되어, 자동 운전 코스의 시작이 지시되면, 전술한 각 행정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이 때, 언로크 기간(Tr)에는 솔레노이드(34)의 로크 동작을 해제하지 않고 도어(9)를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조(10) 내에 세탁물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다. 또, 회전조(10) 내의 수위가 상기 벨로우즈(8)와 도어(9)와의 접촉 부위보다도 낮기 때문에, 세탁 행정 도중에 도어(9)를 개방하더라도 회전조(3) 내의 물이 출입구(2a)로부터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언로크 기간(Tr)에, 도어(9)를 개방하기 위해서 손잡이(30)가 회동 조작되면, 제2 검출 스위치(36)로부터 도어 개방 조작 검지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제어 회로(44)는 모터(17)의 현재의 회전 속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스위칭 소자(40a∼40f)의 ON/OFF 타이밍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모터(17)를 회생 제동시킨다.
이 후에, 손잡이(30)를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도어(9)가 개방된다. 이 때, 모터(17)에 대하여 제동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도어(9)가 개방되고 나서, 비교적 단시간에 회전조(1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즉, 도어(9)의 개방에 기초하여 모터(17)에 대하여 제동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도어(9)를 개방하고 나서 회전조(10)가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모터(17)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조(1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성에 있어서는, 밴드 브레이크 등의 기계식 제동법보다도 회생 제동과 같은 전기 제동법 쪽이 회전조(10)를 단시간에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언로크 기간(Tr)에 도어(9)를 개방했을 때에, 회전조(10)가 계속해서 회전하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 언로크 기간(Tr) 이후에는 일시 정지 스위치와 겸용의 스타트 스위치가 조작되어 일시 정지가 지시되었을 때, 제어 회로(44)는 모터(17), 급수 밸브(23) 또는 배수 펌프(21)를 단전시키는 동시에, 솔레노이드(34)를 통전시켜 언로크 동작시킨다. 이 때, 손잡이(30)가 회동 조작되면, 제어 회로(4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17)를 회생 제동시키다.
한편, 도어(9)가 개방된 후, 도어(9)가 폐색되어 결합 갈고리부(31)가 개구부(32a)에서 로크 케이스(32) 내로 진입하면, 스프링(30a)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 갈고리부(31)는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압박되어 로크부(33)에 걸어 맞춰진다. 그 결과, 제어 회로(44)에 제1 검출 스위치(35)로부터의 ON 신호가 입력되고, 이로써, 도어(9)의 폐색이 검지된다. 이 때, 제어 회로(44)는 도어(9)의 폐색을 검지하더라도 일시 정지 겸용의 스타트 스위치가 조작될 때까지는 운전을 재개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제어 회로(44)는 도어(9)의 폐색을 검지하여, 일시 정지 겸용의 스타트 스위치가 조작된 것에 기초하여 운전을 재개한다. 따라서, 부주의하게 회전조(10)가 회전되어 버리는 것과 같은 일이 없어져,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17)를 수조(3)의 후단 판부(6)의 후방부에 설치하여 회전조(10)를 직접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벨트 전달 기구가 불필요하게 되어, 진동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조(10) 내부의 세탁물의 출입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회전조(10)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진 횡축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면서도, 진동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케이싱(1)이 대형화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 모터(17)는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아우터 로터형 모터로 구성했기 때문에, 수조(3)의 후단 판부(6)의 후방부에 모터(17)를 배치함에 따른 케이싱(1)의 대형화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추가 투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기간인 언로크 기간(Tr)을 세탁 행정의 최초 15분간으로 했다. 따라서, 추가 투입된 세탁물에 대하여, 세탁 행정 중의 적어도 제2 교반 동작 이후의 동작이 실행된다. 이 때문에, 추가 투입된 세탁물의 세정 시간이 부족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언로크 기간(Tr) 이후에는 도어(9)의 폐쇄 상태를 로크시켰기 때문, 세탁물의 추가 투입이 부주의하게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이 후술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에서는 배수구(20)에 배수 밸브(51)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 밸브(51)의 출수구에는 수조(3)의 외측 바닥부에 배치된 배수 호스(52)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 밸브(51)는 배수 밸브 모터(53)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수 밸브 모터(53)는 수조(3)의 외측 바닥부의 전방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조(3)의 하측부 전방부의 데드 스페이스에 배수 밸브 모터(53)를 배치했기 때문에,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을 건조 기능을 갖는 드럼식 세탁기에 적용한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이 후술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즉, 수조(3)의 좌측부의 후방부 및 상부에 건조 장치(61)가 설치되어 있다. 건조 장치(61)는 열 교환기(63), 건조용 송풍 장치(65), 가열 장치(67)로 구성되어 있다. 열 교환기(63)는 외기와 온풍을 열 교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조(3)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박형의 열 교환기(63)가 채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열 교환기(63)의 설치 공간이 작게 억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조(3)의 후방부와 케이싱(1)의 후방 판부(26)와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어, 건조 기능을 지니면서도 케이싱(1)의 대형화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조(3)의 후방 판부(6)에는 온풍 귀환 통로(6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온풍 귀환 통로(62)에 열 교환기(63)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건조용 송풍 장치(65)는 송풍 날개(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된 송풍 케이싱(65a)과, 송풍용모터(65b)로 구성되어 있고, 수조(3)의 상측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열 교환기(63)의 타단부는 주름진 상자 형태의 연결 덕트(64)를 통해 송풍 케이싱(65a)의 흡입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열 장치(67)는 건조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수조(3)의 상측부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 케이싱(65a)의 토출측은 덕트(66)를 통해 가열 장치(67)에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벨로우즈(8)에는 온풍 토출구(8d)가 형성되어 있고, 가열 장치(67)는 덕트(68)를 통해 온풍 토출구(8d)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회전조(10)가 세탁조, 탈수조 외에, 건조용의 드럼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건조 운전 시에는 건조 장치(61)가 구동되어, 송풍용 모터(65b)가 회전되는 동시에 가열 장치(67)의 건조 히터가 열을 발생시킨다. 또, 이 때, 회전조(10)가 저속으로 정역 방향으로 교대로 회전된다. 그러면, 도 12에 화살표 C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10) 내의 공기는 온풍 귀환 통로(62)에서 열 교환기(63) 내로 흡인되어, 연결 덕트(64), 송풍 케이싱(65a), 덕트(66), 가열 장치(67), 덕트(68)를 지나, 온풍 토출구(8a)에서 수조(3) 내로, 즉 상기 회전조(10) 내로 복귀된다. 이러한 순환에 의해 회전조(10) 내의 공기가 온풍으로 되는 동시에 열 교환(제습)되고, 그 결과 회전조(10) 내의 세탁물이 건조된다.
회전조(10) 및 수조(3)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한 것에 의해 케이싱(1) 내부의 수조(3)의 상부 후방에 데드 스페이스가 생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데드 스페이스 내에 건조 장치(61)의 송풍 장치(65) 및 가열 장치(67)를 배치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건조 기능을 갖추면서도 케이싱(1)이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데드 스페이스는 비교적 넓기 때문에, 송풍 능력이 큰 대형의 송풍 장치(65)를 채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회전조(10) 내부와 건조 장치(61)의 사이를 순환하는 온풍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의 천의 수축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조(10) 내에 공급되는 온풍의 온도를 낮게 하더라도, 충분한 건조 능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65)의 송풍 날개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충분한 풍량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송풍용 모터(65b)의 회전 속도를 낮게 할 수 있어, 정음화(靜音化)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것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을 건조 기능을 갖는 드럼식 세탁기에 적용한 제4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와 구성이 많이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후술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은 형상이 약간 다른 경우라도, 제1 실시예와 거의 같은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9)가 회전조(10)의 전단 판부(13)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단 판부(13)의 수직면에 대한 경사 각도(도 13에 도면 부호 θ1으로 나타냄)에 대하여, 도어(9)의 수직면에 대한 경사 각도(도 13에 있어서 θ2로 표시됨)는 2° 이상 작으면서 3° 이상 15°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 경사 각도(θ1)는 10°로 설정되고, 경사 각도(θ2)는 5°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1)의 전방 판부(2) 중 출입구(2a)의 좌우 양측 부분 및 출입구(2a)보다 상측 부분은 도어(9)와 동일한 각도(θ2)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이하,「경사면부(143)」라 함). 그리고, 도어(9)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도어(9)의 전면부와 전방 판부(2)의 경사면부(143)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평면에 놓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3 참조).
케이싱(1)의 전면부, 즉 도어(9)나 전방 판부(2)의 경사 각도(θ2)가 크면, 케이싱(1)이 전후 방향으로 대형화된다. 또한, 도어(9)의 경사 각도가 크면, 도어(9)의 중력 중 도어(9)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分力)이 커진다. 이 때문에, 개방 상태에 있는 도어(9)에 대하여 도어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비교적 작은 힘이 작용하는 것 만으로도, 도어(9)가 폐쇄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9) 및 경사면부(143)의 경사 각도(θ2)를 회전조(10)의 전단 판부(13)의 경사 각도(θ1)보다 2° 이상 작으면서 3° 이상 15° 이하로 설정했다. 경사 각도(θ2)의 범위는 실험에 의해 구해진 것이다. 그 결과, 케이싱(1)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도어(9)가 부주의하게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출입구(2a)보다 하측의 부분은 대략 수직면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이하,「수직면부(144)」라 함). 그 결과, 케이싱(1)의 하부가 전후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수직면부(144)의 하반부에는 오목부(145)가 좌우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케이싱(1)의 하부에는, 예컨대 4개의다리(146)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판부(2)의 상부에는 조작 패널(49)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49)의 좌측에는 세제 투입 케이스(50)의 전면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배플(150)이 장착되어 있다.
더욱이, 수조(3)의 본체부(5)의 전단부에는 전단 판부(7) 대신에 수조 커버(131)가 장착되어 있다. 수조 커버(131)는 내열재, 예컨대 금속판이나 내열성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조 커버(131)는 거의 중앙부에 개구부(133)를 갖고 있고, 수조 커버(131)의 개구부(133)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전방부를 향하여 약간 상측으로 뻗은 통형부(131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통형부(131a)의 전후 방향 폭의 치수는 상부가 가장 길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통형부(131a)의 전단부에서부터 전방 판부(2)의 출입구(2a)의 둘레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전체 둘레에 걸쳐 대략 일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방 판부(2)의 출입구(2a)의 둘레 가장자리와 통형부(131a)의 전단부와의 사이에 벨로우즈(8)를 그대로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통형부(131a) 상부의 폭이 넓은 부분에는 급풍구인 온풍 토출구(13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3) 하부의 외면부에 가열기(114)가 배치되어 있다. 가열기(114)는 케이스(115)와 이 케이스(115) 내에 수용된 가열 요소(116)로 구성되어 있다. 가열 요소(116)에 의해 수조(3) 내의 물이 가열되어 온수가 생성된다.
더욱이, 배수구(20)에는 배수 밸브(118)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 밸브(118)의 출수구에는 배수 호스(120)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 밸브(118)는 배수 밸브 모터(119)에 의해서 개폐가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수 밸브 모터(119)는 가열기(114)의 케이스(115)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수조(3)의 좌측 후방부 및 상부에는 열 교환기(121) 및 열풍 생성 장치(130)로 이루어진 건조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열 교환기(121)는 케이싱(1) 내부의 수조(3)의 좌측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열 교환기(121)의 하단부는 배수구(20)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열 교환기(121)와 수조(3)가 연통되어 있다.
열풍 생성 장치(130)는 케이싱(1) 내부의 수조(3)의 좌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열풍 생성 장치(130)는 팬(fan;123) 및 이 팬(123)을 벨트 전달 기구(124)를 통해 회전 구동시키는 팬용 모터(125) 및 히터(129)로 구성되어 있다. 팬(123) 및 히터(129)는 열풍 유로를 구성하는 케이싱(122) 내에 수용되어 있고, 벨트 전달 기구(124) 및 모터(125)는 케이싱(122) 밖에 배치되어 있다.
열 교환기(121)의 상단부는 케이싱(122)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 케이싱(122)의 전단부는 덕트(128)를 통해 수조 커버(131)의 온풍 토출구(132)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건조 운전 시에 팬(123) 및 히터(129)가 구동되면, 도 13에서 화살표 D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10) 내의 공기가 배수구(20)에서 열 교환기(121) 내로 흡인된다. 그리고, 케이싱(122), 덕트(128)를 지나, 온풍 토출구(132)에서 회전조(10) 내로 복귀된다. 이러한 순환에 의해, 회전조(10)내의 공기가 온풍화되는 동시에 열 교환(제습)되어, 회전조(10) 내의 세탁물이 건조된다.
도 16은 본 발명을 건조 기능을 갖는 드럼식 세탁기에 적용한 제5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제4 실시예와 다른 점이 후술된다. 또한, 제4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즉, 이 제5 실시예에서는, 수조(3)의 본체부(5)의 전단부에는, 제1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단 판부(7)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단 판부(7)의 개구부(7a)는 벨로우즈(151)에 의해서 케이싱(1)의 출입구(2a)에 접속되어 있다. 벨로우즈(151)는 케이싱(1)의 출입구(2a)에서 수조(3)의 개구부(7a)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하부보다 상부의 폭이 넓게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벨로우즈(151)의 상부에는 온풍 토출구(153)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온풍 토출구(153)를 보강하는 프레임부(15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것 이외의 구성은 제4 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 서도 제4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아우터 로터형의 모터 대신에 이너 로터형의 모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에서는, 모터의 회전력이 벨트 전달 기구를 통해 회전조(10)에 전달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수조(3)의 경사 각도를 회전조(10)의 경사 각도와 거의 동일하게 했지만, 경사 각도를 상이하게 하여도 좋다. 이 때, 수조(3)의 경사 각도는 10°∼20°의 범위를 약간 벗어나더라도 좋다.
전기 제동법으로서는 회생 제동 외에, 모터(17)의 각 권선(17u, 17v, 17w)을 단락시키도록 스위칭 소자(40a∼40f)를 제어하여 단락 제동시켜도 좋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세탁물의 출입 작업성의 향상 및 케이싱(1)의 대형화 방지를 위해, 회전조(10)의 경사 각도를 10° 이상 20° 이하로 설정했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10)의 경사 각도가 5°인 경우라도, 경사 각도가 0°인 경우에 비해 세탁물의 출입 작업성이 우수하므로, 회전조(10)의 경사 각도를 5° 이상 20° 이하로 하여도 좋다.
상기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에서는, 도어(9)의 경사 각도와 경사면부(143)의 경사 각도를 동일하게 설정했지만 다르게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전방 판부(2) 전체를 경사지게 구성하여도 좋다. 나아가, 케이싱(1)의 전면부 중 도어(9)만 또는 전방 판부(2)만을 경사지게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는 세탁물의 출입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이 적도록 억제하기 때문에, 비교적 조용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케이싱(1)과,
    상기 케이싱(1)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3)와,
    상기 수조(3)의 내부에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드럼형의 회전조(10)와,
    상기 수조(3)의 후면부(26)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조(10)를 직접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아우터 로터형 모터(outer rotor motor; 17)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조(10)의 회전 중심축이 수평축에 대하여 10° 이상 20°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4. 케이싱(1)과,
    상기 케이싱(1)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3)와,
    상기 수조(3)의 내부에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드럼형의 회전조(10)와,
    상기 수조(3)의 후면부(26)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조(10)를 직접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아우터 로터형 모터(17)와,
    상기 케이싱(1)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세탁물 출입구(2a)를 개폐하는 도어(9)와,
    상기 도어(9)를 열려고 하는 조작을 검지하는 도어 개방 조작 검지 수단(36)과, 상기 모터(17)를 전기 제동법에 의해 회전 정지시키는 제어 수단(44)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 수단(44)은 상기 도어 개방 조작 검지 수단(36)에 의한 검지가 이루어졌을 때에 상기 모터(17)를 회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5. 케이싱(1)과,
    상기 케이싱(1)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3)와,
    상기 수조(3)의 내부에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드럼형의 회전조(10)와,
    상기 수조(3)의 후면부(26)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조(10)를 직접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아우터 로터형 모터(17)와,
    세탁 운전의 실행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 수단(44)과,
    세탁 운전의 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케이싱(1)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세탁물 출입구(2a)를 개폐하는 도어(9)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운전 제어 수단(44)은 세탁 운전의 시작 후에 상기 도어(9)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스위치가 조작될 때까지 세탁 운전의 실행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6. 케이싱(1)과,
    상기 케이싱(1)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3)와,
    상기 수조(3)의 내부에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드럼형의 회전조(10)와,
    상기 수조(3)의 후면부(26)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조(10)를 직접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아우터 로터형 모터(17)와,
    송풍 장치(65)를 갖추어 상기 회전조(10)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수단(61)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수조(3)는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송풍 장치(65)는 상기 케이싱(1) 내부의 상기 수조(3)의 상측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7. 케이싱(1)과,
    상기 케이싱(1)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3)와,
    상기 수조(3)의 내부에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드럼형의 회전조(10)와,
    상기 수조(3)의 후면부(26)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조(10)를 직접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아우터 로터형 모터(17)와,
    상기 수조(3) 내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펌프(21)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수조(3)는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배수 펌프(21)는 상기 케이싱(1) 내부의 상기 수조(3)의 하측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8. 케이싱(1)과,
    상기 케이싱(1)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3)와,
    상기 수조(3)의 내부에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드럼형의 회전조(10)와,
    상기 수조(3)의 후면부(26)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조(10)를 직접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아우터 로터형 모터(17)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1)의 전면부는 세탁물 출입구(2a)를 갖춘 전방 판부(2)와, 이 전방 판부(2)에 설치되어 상기 세탁물 출입구(2a)를 개폐하는 도어(9)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1)의 전면부를 상기 회전조(10)의 전면부와는 상이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수직면에 대한 상기 도어(9)의 경사 각도를 수직면에 대한 상기 회전조(10)의 전면부의 경사 각도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0. 제8항에 있어서, 수직면에 대한 상기 케이싱(1)의 전방 판부(2)의 경사 각도를 수직면에 대한 상기 회전조(10)의 전면부의 경사 각도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의 전면부의 경사 각도를 상기 회전조(10)의 경사 각도보다 2° 이상 작으면서 3°∼15°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의 전방 판부(2)의 상기 세탁물 출입구(2a)보다도 하측 부분이 수직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3. 세탁물 출입구(2a)를 갖춘 전방 판부(2)와 이 전방 판부(2)에 설치되어 상기 세탁물 출입구(2a)를 개폐하는 도어(9)로 구성된 전면부를 갖는 케이싱(1)과,
    상기 케이싱(1)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3)와,
    상기 수조(3)의 내부에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드럼형 회전조(10)와,
    상기 회전조(10)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17)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1)의 전면부가 상기 회전조(10)의 전면부와 상이한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수직면에 대한 상기 도어(9)의 경사 각도를 수직면에 대한 상기 회전조(10)의 전면부의 경사 각도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수직면에 대한 상기 전방 판부(2)의 경사 각도를 수직면에대한 상기 회전조(10)의 전면부의 경사 각도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10)의 전면부의 경사 각도를 5°∼ 20°로 설정하고, 상기 케이싱(1)의 전면부의 경사 각도를 상기 회전조(10)의 전면부의 경사 각도보다 2°이상 작게 또한 3°∼15°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의 전방 판부(2)의 상기 세탁물 출입구(2a)보다도 하측 부분을 수직면 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3)는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수조(3)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수조 커버(131)와, 열풍을 생성하는 열풍 생성 장치(130)를 갖추어 상기 회전조(10) 내의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수단(100)을 구비하고,
    상기 수조 커버(131)에는 상기 열풍 생성 장치(130)로부터의 열풍을 상기 회전조(10) 내에 공급하기 위한 급풍구(1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3)는 후방 하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세탁물 출입구(2a)와 상기 수조(3)의 개구부(7a)를 접속시키는 벨로우즈(151)와, 열풍을 생성하는 열풍 생성 장치(130)를 갖추어 상기 회전조(10) 내의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수단(100)을 구비하고,
    상기 벨로우즈에는 상기 열풍 생성 장치(130)로부터의 열풍을 상기 회전조(10) 내에 공급하기 위한 급풍구(15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KR10-2000-7013464A 1999-03-31 2000-03-16 드럼식 세탁기 KR100393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92093 1999-03-31
JP11092093A JP2000279679A (ja) 1999-03-31 1999-03-31 ドラム式洗濯機
JP11-156533 1999-06-03
JP11156533A JP2000342880A (ja) 1999-06-03 1999-06-03 ドラム式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443A KR20010052443A (ko) 2001-06-25
KR100393881B1 true KR100393881B1 (ko) 2003-08-06

Family

ID=2643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464A KR100393881B1 (ko) 1999-03-31 2000-03-16 드럼식 세탁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39753B1 (ko)
EP (1) EP1116812B1 (ko)
KR (1) KR100393881B1 (ko)
CN (1) CN1153865C (ko)
DE (1) DE60025811T2 (ko)
TW (1) TW470801B (ko)
WO (1) WO2000060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1810B1 (en) * 2000-10-31 2005-01-19 CANDY S.p.A. Inclined washing machine with shock absorbing device
GB0118472D0 (en) * 2001-07-28 2001-09-19 North John H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ashing machines
KR100484795B1 (ko) * 2002-01-09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도어
KR100465691B1 (ko) * 2002-01-17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도어 장착구조
JP3609789B2 (ja) * 2002-03-06 2005-01-12 三洋電機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EP1772546B1 (en) * 2002-05-15 2015-03-1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motor-driv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system for the same
KR100457586B1 (ko) * 2002-11-28 2004-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US7997103B2 (en) 2002-12-10 2011-08-16 Lg Electronics Inc. Tub having structurally strengthened rear wall and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therein
PT1428924E (pt) 2002-12-10 2008-03-31 Lg Electronics Inc Máquina de lavar do tipo de tambor
EP2314749A3 (en) 2002-12-27 2013-01-09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464054B1 (ko) 2002-12-27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캐비넷/터브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US20040244121A1 (en) * 2003-06-09 2004-12-09 Lg Electronics Inc. Mono-tub drum-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478502B2 (en) * 2003-08-14 2009-01-20 Gemtron Corporation Appliance doors
KR100595192B1 (ko) * 2003-11-06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구동부 구조
KR101138888B1 (ko) * 2003-11-25 2012-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E10359011B3 (de) * 2003-12-15 2005-05-04 Miele & Cie. Kg Frontbeschickbare Wasch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Waschmaschine
EP1568420B1 (de) * 2004-02-29 2018-08-15 BOMAG GmbH Steuerung und Steuerungsverfahren für eine Vibrationsmaschine
KR101054408B1 (ko) * 2004-04-19 201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050105730A (ko) * 2004-05-03 2005-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34802B1 (ko) 2004-07-20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JP4563120B2 (ja) * 2004-09-13 2010-10-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1075223B1 (ko) * 2004-11-29 201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E102005003694A1 (de) * 2005-01-26 2006-07-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Reinigen und Imprägnieren von Textilien
JP3847318B2 (ja) * 2005-02-24 2006-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乾燥機
KR100751766B1 (ko) * 2005-07-01 2007-08-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
US7841220B2 (en) 2005-09-30 2010-11-30 Lg Electronics Inc.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0651853B1 (ko) 2005-09-30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서트사출형 베어링하우징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캐비넷/터브 일체형 드럼세탁기
KR100662434B1 (ko) * 2005-11-17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EP2420608A1 (en) * 2005-11-25 2012-02-22 Andrew Reason Limited Washing appliance
KR101253630B1 (ko) * 2006-03-09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방법
US7536882B2 (en) 2006-03-29 2009-05-26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075227B1 (ko) 2006-07-25 201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2조식 세탁기의 운전제어방법
CN101802290B (zh) * 2007-09-20 2012-02-22 Bsh博世和西门子家用器具有限公司 用于洗衣机或洗涤/烘干机的塑料桶
ES2336529B1 (es) * 2008-02-22 2011-02-03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Cuba de lavado de material plastico para una maquina lavadora o una secadora de ropa.
ES2407431T3 (es) * 2008-05-14 2013-06-12 Whirlpool Corporation Lavadora con un sistema de accionamiento directo
US8966944B2 (en) 2008-08-01 2015-03-03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8713736B2 (en) 2008-08-01 2014-05-06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20100024137A1 (en) * 2008-08-01 2010-02-04 Myong Hum Im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for
US8763184B2 (en) 2008-08-01 2014-07-0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8746015B2 (en) 2008-08-01 2014-06-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US9416478B2 (en) 2009-03-31 2016-08-1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JP5178400B2 (ja) * 2008-08-28 2013-04-10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JP4907627B2 (ja) * 2008-10-16 2012-04-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WO2010093185A2 (ko) 2009-02-11 201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및 세탁기
DE102009001195A1 (de) * 2009-02-26 2010-09-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Abbremsen einer Wäschetrommel und Hau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CN101898215B (zh) * 2009-05-27 2014-08-13 海尔集团公司 箱体与盖板的制造工艺和利用该工艺制造的箱体与盖板
US10533275B2 (en) 2009-07-27 2020-01-14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9695537B2 (en) 2009-07-27 2017-07-04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9234307B2 (en) 2009-07-27 2016-01-12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9822473B2 (en) 2009-07-27 2017-11-2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8776297B2 (en) 2009-10-13 2014-07-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US9045853B2 (en) 2009-10-13 2015-06-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407961B1 (ko) * 2009-10-13 2014-06-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 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5592179B2 (ja) * 2010-07-02 2014-09-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KR101871271B1 (ko) * 2011-12-09 2018-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8946954B2 (en) * 2012-04-20 2015-02-03 Nidec Motor Corporation Integrated direct drive motor and control
EP2948583B1 (en) * 2013-01-25 2024-01-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257346B1 (ko) * 2014-08-22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252508B1 (ko) 2015-01-05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20160258097A1 (en) * 2015-03-06 2016-09-08 Hg LAUNDRY SYSTEMS, LLC Washing machine with positive pressure moisture extraction
EP3296444B1 (en) * 2015-05-08 2021-02-24 LG Electronics Inc. Washing device
KR102390028B1 (ko) * 2015-05-08 2022-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102390027B1 (ko) * 2015-05-08 2022-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US10326323B2 (en) 2015-12-11 2019-06-18 Whirlpool Corporation Multi-component rotor for an electric motor of an appliance
CN105559722A (zh) * 2016-01-22 2016-05-11 宁波欧琳厨具有限公司 一种水槽式清洁设备的洗涤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US10704180B2 (en) * 2016-09-22 2020-07-07 Whirlpool Corporation Reinforcing cap for a tub rear wall of an appliance
US10693336B2 (en) 2017-06-02 2020-06-23 Whirlpool Corporation Winding configuration electric motor
US20190112742A1 (en) * 2017-10-17 2019-04-1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Fan assembly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KR20210070568A (ko) * 2019-12-05 202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23540341A (ja) * 2020-09-04 2023-09-2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乾燥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456A (ko) * 1997-07-11 1999-02-25 니시무로다이조 드럼식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3170A (en) * 1920-02-16 1920-05-20 British Marine Motor And Launc A jig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oats
US2309940A (en) * 1938-06-23 1943-02-02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Domestic washing machine
US2302836A (en) * 1940-03-05 1942-11-24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Laundry apparatus
US2754670A (en) * 1952-10-06 1956-07-17 Jefferson J Lawson Laundry equipment
US2869345A (en) * 1955-01-18 1959-01-20 Philco Corp Combination washer and dryer
US2986914A (en) * 1955-03-11 1961-06-06 Gen Motors Corp Laundry appliance
US3186104A (en) * 1955-05-26 1965-06-01 Hupp Corp Clothes drier with variable speed centrifuge and heat supply
US2895320A (en) * 1955-06-15 1959-07-21 Gen Motors Corp Washer
US2910854A (en) * 1957-12-11 1959-11-03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fabrics
GB892292A (en) * 1959-05-14 1962-03-28 Vickers Armstrong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eighing apparatus
US2990706A (en) * 1960-12-14 1961-07-04 Gen Electric Combination washer and dryer
NL291769A (ko) * 1962-04-19
GB1027014A (en) * 1962-05-18 1966-04-20 Sidney Barton Pope Improved washing machine
US3194032A (en) * 1962-11-05 1965-07-13 Stephen A Bollinger Washing machine and electromagnetic drive system therefor
FR1340648A (fr) * 1962-12-05 1963-10-18 Intertecnica S R L Perfectionnements aux machines à laver automatiques du type ménager
US3503228A (en) * 1963-07-08 1970-03-31 Whirlpool Co Direct motor drive for agitator and spin tub
US3331141A (en) * 1964-09-08 1967-07-18 Gen Motors Corp Apparatus for intermittently, rotatably tumbling clothes
US3387310A (en) * 1966-09-22 1968-06-11 Donald E. Marshall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DE1760382A1 (de) * 1968-05-11 1971-06-16 Licentia Gmbh Trommelwaschmaschine
US3840764A (en) * 1972-08-25 1974-10-08 M Burger Drive arrangement for a washing or dry cleaning machine
JPS5764091A (en) 1980-10-03 1982-04-17 Hitachi Ltd Drum type drying washing machine
EP0082828B1 (en) * 1981-12-18 1987-02-04 Institut Cerac S.A. Washing machine
JPS60171280A (ja) 1984-02-14 1985-09-04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瓦の塗装方法
JPS60171280U (ja) * 1984-04-23 1985-11-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H0675628B2 (ja) * 1987-07-29 1994-09-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H0248082A (ja) 1988-08-10 1990-02-16 Nippon Paint Co Ltd 塗装方法
JPH0248082U (ko) * 1988-09-30 1990-04-03
JPH02297399A (ja) * 1989-03-27 1990-12-07 Hitachi Ltd 乾燥機および洗濯兼乾燥機
JPH0326293A (ja) * 1989-06-24 1991-02-04 Hitachi Ltd 洗濯乾燥機
JP2895942B2 (ja) 1990-09-18 1999-05-31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MY115384A (en) * 1994-12-06 2003-05-31 Sharp Kk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drier
US5600976A (en) * 1995-04-20 1997-02-11 U.S. Controls Corporation Washing machine lid switch assembly
US5887456A (en) 1995-08-30 1999-03-30 Sharp Kabushiki Kaisha Drum type drying/washing machine
JPH09308789A (ja) 1996-05-22 1997-12-02 Sharp Corp 一体型乾燥洗濯機
DE19547745A1 (de) 1995-12-20 1997-06-26 Bosch Siemens Hausgeraete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 von vorn beschickbare Waschmaschine
EP0960231B2 (de) * 1997-02-17 2012-01-25 Miele & Cie. KG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einem auf der trommelwelle angeordneten antriebsmotor
JPH10272298A (ja) 1997-03-31 1998-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5881579A (en) 1997-05-05 1999-03-16 Maytag Corporation Door boot with varying angle lip seal
EP0942093B1 (en) * 1998-03-12 2004-12-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ic washer-dry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456A (ko) * 1997-07-11 1999-02-25 니시무로다이조 드럼식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6812A1 (en) 2001-07-18
KR20010052443A (ko) 2001-06-25
CN1297498A (zh) 2001-05-30
DE60025811T2 (de) 2006-11-02
EP1116812B1 (en) 2006-02-01
WO2000060157A1 (fr) 2000-10-12
EP1116812A4 (en) 2002-07-10
TW470801B (en) 2002-01-01
DE60025811D1 (de) 2006-04-13
US6539753B1 (en) 2003-04-01
CN1153865C (zh)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881B1 (ko) 드럼식 세탁기
CN106574414B (zh) 滚筒洗衣机
EP2447407B1 (en) Drum-type washing machine
JP2007117139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0279679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5254003A (ja) ドラム式洗濯機
JP4711780B2 (ja) 洗濯機
JP4366396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3607117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1269495A (ja) ドラム式洗濯機
JP4154103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7070648A (ja) 洗濯乾燥機
JP2895942B2 (ja) 洗濯機
JP2994815B2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4896503B2 (ja) 洗濯乾燥機
KR20050066293A (ko) 세탁기 도어의 안전장치
JP2895947B2 (ja) 洗濯機
JP2895939B2 (ja) 洗濯機
JP2846723B2 (ja) 洗濯機
JP2002070388A (ja) ドア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H11216295A (ja) 洗濯機
JP2735943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6793597B2 (ja) 洗濯機
JP2627359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3074488A (ja) 吸水ポンプ及びそのポンプを用いた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