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568A -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568A
KR20210070568A KR1020190160434A KR20190160434A KR20210070568A KR 20210070568 A KR20210070568 A KR 20210070568A KR 1020190160434 A KR1020190160434 A KR 1020190160434A KR 20190160434 A KR20190160434 A KR 20190160434A KR 20210070568 A KR20210070568 A KR 20210070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witch
signal
mot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웅
구형모
김규식
박평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0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0568A/ko
Priority to EP20895765.4A priority patent/EP4050153A4/en
Priority to PCT/KR2020/013773 priority patent/WO2021112390A1/ko
Publication of KR20210070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568A/ko
Priority to US17/832,195 priority patent/US2022035663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 H02H7/122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responsive to internal faults, e.g. shoot-throug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는, 드럼; 드럼을 개폐하는 도어;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개폐 스위치;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와, 생성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인버터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개폐 스위치와 인버터 드라이버 사이에 연결되고 개폐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보호 스위치를 포함하고, 인버터 드라이버는 보호 스위치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이면 인버터를 오프시킨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운전 중 비정상적인 상황에 대응하여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물이 담긴 원통 형상의 회전조를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세탁물을 건조하는 장치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드럼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전방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의 의류 처리 장치와, 드럼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부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의 의류 처리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 처리 장치는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히트 펌프를 이용하여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경우, 의류 처리 장치는, 히트 펌프 내 압축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의류 처리 장치는, 운전 중 도어가 열렸을 때 모터가 정지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치는 안전 사고 발생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경우, 피건조물이 건조되면서 피건조물의 부피가 커져 도어가 들썩거리는 데, 이 때 의류 처리 장치는 비 정상적인 상황으로 판단하여 건조 행정을 정지시킨다. 이로 인해 피건조물의 건조가 중단되었다. 이때, 피건조물을 재건조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의류 처리 장치를 재 동작시켜야 하거나 재 동작에 따라 건조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측면은 도어의 이상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히트펌프의 압축기 내 모터의 동작을 유지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모터의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인버터의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드럼; 드럼을 개폐하는 도어;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개폐 스위치;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와, 생성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인버터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개폐 스위치와 인버터 드라이버 사이에 연결되고 개폐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보호 스위치를 포함하고, 인버터 드라이버는 보호 스위치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이면 인버터를 오프시킨다.
의류 처리 장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정류된 전력을 평활하고 평활된 전력을 인버터에 인가하는 평활부를 더 포함한다.
보호 스위치는, 인버터 드라이버에 마련된 단자들 중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인버터는, 복수 개의 전력 변환 스위치를 포함하고, 인버터 드라이버는, 복수 개의 스위칭 소자 중 하단 스위치를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보호 스위치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JT)를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개폐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제1저항과,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연결된 제2저항과,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제1전원단 사이에 연결된 제3저항과, 제3저항과 인버터 드라이버 사이에 연결된 포토 커플러와, 포토 커플러와 제2전원단 사이에 연결되고 인버터 드라이버에 연결된 제4저항을 포함한다.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는, 개폐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오프되고, 개폐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면 온될 수 있다. 포토 커플러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가 온되면 오프되고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가 오프되면 온될 수 있다.
인버터 드라이버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에 대응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팬을 더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 연결된 응축기와, 응축기에 연결된 팽창 밸브와, 팽창밸브에 연결된 증발기를 포함하고,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히트펌프; 및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히트 펌프를 동작시키는 히트펌프용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개폐 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도어의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일정 시간 동안 히트펌프의 동작을 유지시킨다.
제어부는, 도어의 이상 상태가 판단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도어의 이상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어부는, 개폐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와 오프 신호가 교대로 수신되면 최초 오프 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동안 압축기의 동작을 유지시킨다.
의류 처리장치는 도어의 이상 상태에 대응하여 알림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는 드럼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과, 팬을 회전시키는 팬용 모터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개폐 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도어의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일정 시간 동안 팬용 모터의 동작을 유지시킨다.
의류 처리 장치는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개폐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고 도어가 폐쇄 상태라고 판단되면 개폐 스위치를 오프 제어한다.
인버터 드라이버는,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인버터 드라이버는, 전류 센서를 통해 출력된 전류가 기준 전류 이상이면 과전류 발생으로 판단하고, 과전류 발생에 대응하여 온되는 고장 출력 스위치와, 고장 출력 스위치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단자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히트펌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건조 동작 수행 시 드럼에 연결된 모터와 히트 펌프를 동작시키고, 건조 동작 중 개폐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도어의 이상 상태라고 판단되면 모터를 정지시키고 히트 펌프에 마련된 압축기의 동작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시키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압축기의 동작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은, 도어의 이상 상태의 판단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드럼에 연결된 모터를 재구동시키고 모터의 재구동 시 도어의 이상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개폐 스위치의 오프 신호에 대응하여 보호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보호 스위치의 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전압에 대응하여 모터의 동작이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다.
도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개폐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어의 이상 상태가 발생되었을 때 드럼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고장 및 사용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조 동작 중 피건조물에서 수분이 제거되면서 피건조물의 부피가 커져 도어가 들썩거리거나, 강제로 도어가 열림으로 인해 도어의 이상 상태가 발생되어도 히터 펌프를 통한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건조가 중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에만 개폐 스위치를 연결하여 도어의 이상 상태 발생 시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부와, 드럼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부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압축기와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로 구성을 50% 줄일 수 있고 회로 구조도 간소화할 수 있다.(청구항 3-7, 9의 효과)
또한,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의류 처리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인 건조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인 건조기 내의 히트 펌프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에 마련된 제1구동부와 보호부의 연결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인버터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인버터 구동부와 보호부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에 마련된 제2구동부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물이 담긴 원통 형상의 회전조를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 헹굼 및 탈수하는 세탁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물이 담긴 원통 형상의 회전조를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 헹굼 및 탈수하고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 가능한 세탁기일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물이 담긴 원통 형상의 회전조를 회전시키고 고온 건조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일 수 있다.
즉 건조기는 피건조물이 수용된 건조 공간에 고온 건조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피건조물은 열풍을 통해 건조가 가능한 모든 물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피건조물은 옷감, 의류, 타월, 이불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섬유, 원단으로 구현된 것을 포함하며, 제한은 없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원에 따라 히터 타입과, 히트펌프 타입과, 히터와 히트펌프를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타입으로 나뉘어진다.
본 실시 예는 의류 처리 장치 중 히트 펌프 타입의 건조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에 마련된 히트 펌프의 구성도이다.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본체(110) 내부에 마련된 드럼(120)과, 본체의 외부에 마련된 도어(130)와, 본체(110) 내부에 마련되어 드럼(120)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팬(140)과, 본체(110) 내부에 마련되고 드럼(120)과 팬(14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150)와, 본체(110) 내부에 마련되고 열풍을 발생시키는 히트펌프(16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로, 본체(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110)는 드럼(120), 구동 어셈블리(140) 및 건조 어셈블리(150)를 수용한다. 이러한 본체(110)의 전면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개구는 드럼(120)의 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드럼의 개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의 개구를 통해 피 건조물을 드럼(120) 내에 투입할 수 있고 드럼(120) 내에서 피건조물을 인출할 수 있다.
본체(11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0)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건조기(1)의 작동을 위한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의류 건조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건조기(1)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는 누르는 형태의 버튼, 스위치, 키 돌리는 형태의 다이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는 건조기(1)의 작동 행정(또는, 작동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작동 행정은 건조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건조기(1)의 동작 정보를 시각적인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마련될 수 있다. 드럼(120)은 모터(150)의 구동력에 의해 본체(110) 내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드럼(120)은 본체(11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드럼(120)은 모터(150)의 회전력에 의해 본체(110) 내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드럼(120)은 본체의 개구와 연결된 건조 공간을 포함하며, 피건조물을 수용할 수 있다. 드럼(120)은 회전을 통해 수용된 피건조물이 드럼 내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10)의 개구를 통해 드럼(120)의 건조 공간(미도시)으로 투입된 피건조물은 건조 공간(미도시)으로 유입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드럼(120)의 내주 면에는 피건조물 리프팅하는 복수 개의 리프터(121)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프터(121)는 드럼(120)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드럼(120)은 후면에 마련되고 열풍 흡입을 위한 흡기구(122)와, 전면의 하부에 마련되고 습기를 함유하고 있는 공기를 드럼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23)를 포함한다.
드럼(120)의 흡기구(122) 및 배기구(123)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는 드럼(120)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드럼(120) 내에는 드럼(120) 내부에 수용된 피건조물의 건조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어(130)는 본체(110)의 전면에 피봇(pivot)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10)의 전면에 마련된 개구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30)는 드럼(120)의 내부의 건조 공간이 폐쇄되도록 하거나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체(110)의 전면 중 도어(130)와 인접한 면에는 힌지가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도어(130)는 힌지에 연결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본체(110)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30)는 개구의 형상과 대응하는 원형일 수 있으며, 개구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어(130)는 본체(110)의 개구를 형성하는 면과 접촉됨으로써 개구가 개방되도록 하거나, 본체의 개구를 형성하는 면과 분리됨으로써 개구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건조기(1)는 본체(110)에 마련되고, 도어(130)와 본체(110)의 결합 상태 및 분리 상태에 대응하여 단자가 접촉 또는 분리되고, 단자의 접촉과 분리에 대응하여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개폐스위치(240, 도 3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건조기(1)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개폐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개폐 검출부(181, 도 3참조)와,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온오프 되는 개폐 스위치(240, 도 3참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팬(140)은 드럼(120) 내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흡입하고 히트펌프(17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드럼(12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팬(140)은 팬 하우징(140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기(1)는 드럼(120)과 팬 하우징(140a)을 연결하고, 드럼(120) 내 공기가 팬 하우징 내부(140a)로 이동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배기 유로(141)와, 히트 펌프(160)와 드럼(120)을 연결하고 히트 펌프(160)에서 발생된 고온의 공기가 드럼 내로 이동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급기 유로(142)와, 배기 유로(141)와 급기 유로(142) 사이에 배치되고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열교환된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열교환 유로(143)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급기 유로(142)에는, 본체(1)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흡입구와, 열교환된 공기의 일부가 본체의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건조기(1)는 드럼(120)에서 배기 유로(141)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lint) 등의 여러 가지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144)는 배기 유로(141)의 입구에 마련되되 드럼(120)과 배기 유로의 입구가 연결되는 연결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건조기는 필터(144)를 통해 건조 행정 중에 발생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배기 유로(141)로 배출할 수 있다.
모터(150)는 회전을 수행하고, 회전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드럼(120)에 전달한다. 이러한 모터(150)의 회전 속도가 조절됨에 의해 드럼(12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모터(150)의 회전력을 드럼(120)에 전달하기 위해, 건조기는 모터(15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151)와, 풀리(15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드럼(120)을 회전시키는 벨트(152)를 더 포함한다. 즉, 풀리(151)의 외면과 드럼(120)의 외면에 벨트(152)가 감기도록 설치됨으로써, 모터(150)의 구동에 따라 풀리(151)가 회전하면서 드럼(120)이 회전되도록 한다.
모터(150)는 발생된 회전력을 팬(140)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터(150)의 축이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모터(150) 축의 일 측에는 풀리(151)가 연결되고 타 측에는 팬(140)이 연결될 수 있다.
모터(150)는 팬(140)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팬(140)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드럼(120) 내의 건조 공간(미도시)으로 투입된 피건조물을 텀블링시키면서 팬(140)을 통해 피건조물에 균일하게 열풍이 가하도록 할 수 있다.
건조기(1)는 드럼 내에 수용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열원부는 히트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히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히트펌프와 히터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히트펌프(160)는 본체(110) 내에서 순환되는 공기와 열 교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히트 펌프(160)는 냉매를 순환시켜 드럼(12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열 교환이 수행되도록 하고 열교환된 고온의 공기가 드럼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냉동 사이클부(160a)를 포함할 수 있다.
냉동 사이클부(160a)는 응축기(161), 팽창밸브(162), 증발기(163) 및 압축기(164)를 포함한다. 냉매는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상변화를 수행하면서 순환할 수 있다. 응축기(161)와 증발기(163)는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는 열교환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응축기(161)는 주변의 공기를 가열한다. 이 때 가열된 공기는 급기 유로(142)를 통해 드럼(120)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주변의 공기는 본체 내에 존재하는 공기일 수 있고, 본체(1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일 수 있다.
응축기(161)는 압축기(164)에 연결되고 압축기(164)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면 냉매가 액상으로 응축되도록 한다. 이 때 응축기는 응축과정을 통해 주변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팽창밸브(162)는 냉매의 압력 차이를 조절함으로써 응축기(161)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팽창밸브(162)는 전기 신호를 통해 개도량이 가변되는 전자식 팽창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밸브는 개도량 조절을 통해 냉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냉동 사이클부는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키기 위한 모세관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팽창 밸브(162)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증발기의 입구와 출구 사이의 온도 차이인 과열도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압축기(164)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증발기(163)는 팽창밸브(162)을 통해 유입된 저온저압 상태의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고, 열교환을 통해 변화된 저온저압 상태의 가스 냉매를 압축기(164)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증발기(163)는 냉매액을 냉매가스로 변화시키는 증발과정을 통해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을 수 있다. 즉 증발기(163)는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결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내의 수분이 제거되도록 한다.
다시 설명하면, 드럼(120)에서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증발기(163)에서 냉각되고 이 때 공기 내의 수분이 응결되면서 응축수가 생성된다. 이 응축수는 증발기(163) 하부로 떨어지고, 증발기(163) 하부에 마련되는 물받이통(미도시)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물받이통에 수집된 응축수는 저장소로 이동하거나, 본체(110) 외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압축기(164)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한다. 이때, 압축기(164)에서 배출된 냉매는 응축기(161)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164)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 또는 회전차의 회전 운동을 통해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건조기(1)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열원인 히터(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165)는 가열코일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히터(165)는 응축기에서 열교환되어 전달된 공기를 더 가열하여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상승된 공기가 드럼 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히터(165)는 전기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65)는 전류가 통하면서 열이 발생되는 복수의 열선을 이용한 히터일 수 있다. 또는, 히터(165)는 PTC 히터(positive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일 수 있다.
히터(165)는 가스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65)는 이그나이터(igniter) 및 이그나이터에 가스를 제공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그나이터는 전원이 인가되면 가열되고, 이그나이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가 되면, 밸브가 개방되어 이그나이터에 가스가 제공될 수 있다. 기설정된 온도의 이그나이터와 가스가 접촉하면 점화되어 주변 공기가 가열될 수 있다.
히터(165)는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복수의 열선에 전류를 인가하거나,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공기에 전달되는 열에너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구성도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에 마련된 제1구동부와 보호부의 연결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인버터의 회로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인버터 구동부와 보호부의 회로 구성도이고,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에 마련된 제2구동부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70), 복수 개의 검출부(181, 182), 제어부(190), 저장부(190a) 및 복수 개의 구동부(210, 220, 2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71)와, 건조기의 동작 정보 및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목표 건조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건조도는 건조기 내에 프로그래밍된 미리 설정된 건조도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1건조도, 제2건조도 및 제3건조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건조도는 가장 낮은 건조도일 수 있고, 제3건조도는 가장 높은 건조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은 건조 시작 명령, 일시 정지 명령, 건조 종료 명령일 수 있다.
표시부(17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건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72)는 미리 설정된 건조도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72)는 건조 부하, 총 건조 시간 및 잔여 건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72)는 2차 건조 행정 시의 추가 시간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72)는 드럼 내의 온도, 즉 건조 온도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72)는 건조 행정 중 도어의 개방이나 도어의 들썩임에 대응하는 이상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72)는 도어의 이상 상태 발생 시, 히트펌프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72)는 도어의 이상 상태로 인한 건조 행정 정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기(1)는 도어(130)가 본체(110)에 접촉될 때 외력이 인가됨에 의해 온 상태로 되고, 도어(130)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될 때 외력이 제거됨에 의해 오프 상태로 되는 개폐 스위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 스위치(180)는 온 상태에 대응하는 온 신호를 제어부(190) 및 보호부(250)에 출력하고 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오프 신호를 제어부(190) 및 보호부(25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부(250)는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구성부가 아닌, 개폐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구성부일 수 있다. 이에 대해 추후 설명한다.
개폐 스위치(180)는 전원부(미도시)로부터 대략 12V의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는 제1구동부의 평활부일 수 있다.
아울러 건조기는 도어(130)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1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 스위치(240)는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전류 검출부(182)는 압축기(164)를 동작시키는 모터(164a)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류 검출부(182)는 드럼(120)을 회전시키는 모터(15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제1전류 센서(182a)와, 압축기(164)를 동작시키는 모터(164a)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제2전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류 센서(182a)는 모터(150)와 연결될 수 있고, 제1구동부(21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2전류 센서는 압축기의 모터(164a)에 연결될 수도 있고, 제2구동부(2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건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피건조물의 양에 대응하는 건조 부하에 기초하여 건조기의 운전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입력부(171)에 입력된 건조도에 기초하여 건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71)에 입력된 건조도는 목표 건조도일 수 있고, 건조 행정의 종료를 판단하기 위한 목표 습도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전류 센서(182a)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150)에 흐르는 전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전류 정보에 기초하여 드럼(120) 내에 수용된 피건조물에 대한 건조 부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건조 부하는, 소량 부하와, 소량 부하보다 양이 많은 중량 부하와, 중량 부하보다 양이 많은 대량 부하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결정된 건조 부하에 대응하는 건조 알고리즘을 획득한다. 즉, 제어부(190)는 건조 알고리즘으로 모터(150)의 회전수, 압축기(164)의 주파수 및 증발기(163)의 과열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획득된 건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증발기의 과열도를 제어함으로써 증발기에서 수분이 응결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여기서 증발기의 과열도를 제어하는 것은, 히트펌프에 마련된 팽창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190)는 모터(150)의 구동을 제어할 때, 검출된 전류와 전압 지령에 기초하여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회전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모터의 속도를 획득하며, 획득된 모터의 속도와 목표 속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목표 전류를 획득하고 획득된 목표 전류와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모터(150)의 속도를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건조 동작 수행 중 모터(150)의 구동을 통해 드럼(120) 및 팬(140)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드럼(120) 내에서 피건조물이 텀블링되도록 하고, 드럼(120) 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한다.
제어부(190)는 건조 동작 수행 중 히트펌프의 압축기와 팽창 밸브를 동작시킴으로써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드럼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90)는 모터(150)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150)의 제어 신호를 제1구동부(210)에 출력하고, 히트펌프의 압축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압축기(164) 내 모터(164a)의 제어 신호를 제2구동부(220)에 출력하며, 히트 펌프의 팽창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팽창 밸브의 제어 신호를 제3구동부(230)에 출력한다.
제어부(190)는 습도 센서, 온도 센서 및 전극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된 습도 정보, 온도 정보 및 건조도 정보에 기초하여 건조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건조 종료 시점이라고 판단되면 모터와 압축기 및 팽창밸브의 동작을 정지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건조 동작 중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130)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히프펌프의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히트펌프(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130)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압축기(164)의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압축기(16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팽창 밸브의 개방이 유지되도록 하되 설정 개도만큼 개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164)를 동작시키는 것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변환하고 변환된 전력을 압축기의 모터(164a)에 인가함으로써 모터(164a)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건조기는 팬과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압축기만을 동작시킴으로써 드럼 내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건조기에 개폐 검출부(181)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90)는 개폐 검출부(181)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개폐 스위치(180)에 오프 신호를 전송하고 도어가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면 개폐 스위치(180)에 온 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90)는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모터(150)의 동작을 정지 제어하고, 히트 펌프의 동작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아울러 모터는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보호부에 의해 정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제어부를 통해 모터를 정지시키면서 보호부를 통해서도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보호부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의해 모터가 정지될 수 있고, 제어부 또는 제어부와 모터 사이의 연결 구성 간의 고장이나 에러가 발생하도록 보호부에 의해 모터(150)가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제어부(190)는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도어 개방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표시부(17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스피커를 통해 도어의 개방 상태를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90)는 도어의 개방 상태라고 판단되면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모터(150)를 동작시키고,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히트 펌프(160)의 동작도 정지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도어의 개방 상태라고 판단되면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모터(150)를 다시 동작시키고, 모터(150)를 다시 동작시킬 때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히트 펌프의 동작도 정지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모터(150)가 다시 동작할 때, 개폐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되면 모터(150)는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일정 시간 보다 짧은 시간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수신되는 온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가 개방 상태인지, 폐쇄 상태인지, 들썩이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가 들썩이는 상태는, 기준 시간 내에 온 신호와 오프 신호가 교대로 반복되어 수신되는 상태이다. 즉, 도어(130)와 본체(110)가 순간적으로 분리되고 도어(130)가 본체(110)에 다시 접촉됨에 의해 개폐 스위치(18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면서 개폐 스위치(180)를 통해 온 신호와 오프 신호가 교대로 출력되는 상태이다.
제어부(190)는 도어가 들썩이는 상태, 즉 도어의 이상 상태라고 판단되면 히프펌프의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히트펌프(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90)는 도어의 이상 상태라고 판단되면 개폐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처음 수신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모터(150)를 동작시키고, 모터(150)를 동작시킬 때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도어의 이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스피커를 통해 도어의 이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90)는 제1구동부(210)의 단자(FO)를 통해서 출력된 과전류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모터(150)의 동작을 정지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90)는 제1구동부(210)의 단자(FO)를 통해서 출력된 과전압 검출 신호 및 과열 검출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모터(150)의 동작을 정지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90)는 건조기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90a)는 건조기에서 수행 가능한 건조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저장부(190a)는 건조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모터의 회전수, 압축기의 주파수, 증발기의 과열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90a)는 일정 시간, 미리 설정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90a)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90a)는 제어부(19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구동부(210)는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게이트 제어 신호를 모터(150)에 출력함으로써, 목표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모터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구동부의 구성을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부(210)는 복수 개의 전력 변환 스위치(Q11~Q13, Q21~Q23)를 가지는 제1인버터(211)와,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 또는 보호부(25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게이트 제어 신호를 제1인버터(211)에 출력하는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인버터(211)와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는 하나의 기판 상에 인버터 파워 모듈(IPM: Inverter Power Module)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버터(211)는 제어부의 전압 지령에 대응하는 구동 전압을 모터(150)에 인가할 수 있고, 제어부의 전류 지령에 대응하는 전류를 모터(150)에 공급할 수 있다.
제1인버터(211)는 평활부(215)에서 전달된 직류 전원을 3상 교류(AC) 전원으로 변환하는 복수 개의 전력 변환 스위치를 포함한다.
제1인버터(211)의 복수 개의 전력 변환 스위치는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각각 구동되어 모터(150)로 전달되는 펄스폭을 변조한다.
제1인버터(211)의 복수 개의 스위칭 소자는 3개의 상단 스위칭 소자(Q11~Q13)와 3개의 하단 스위칭 소자(Q21~Q23)를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상단 스위치(Q11~Q13)와 3개의 하단 스위치(Q21~Q23) 각각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상단 스위치(Q11)와 제1 하단 스위치(Q21)는 U단 상에서 직렬로 연결되며, 제2 상단 스위치(Q12)는 제2 하단 스위치(Q22)와 V단 상에서 직렬로 연결되며, 제3 상단 스위치(Q13)는 제3 하단 스위치 (Q23)와 W단 상에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다이오드가 U단, V단, W단과 병렬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3개의 상단 스위치(Q11~Q13)와 3개의 하단 스위치(Q21~Q23)가 각각 연결되는 3개의 노드는 모터(150)의 3개의 입력단(a, b, c)와 각각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전류가 3개의 입력단(a, b, c)를 통해 모터(150)에 공급될 수 있다.
제1인버터(211)의 복수 개의 전력 변환 스위치(Q11~Q13, Q21~Q23)의 게이트는 제1인버터 드라이버(211)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게이트를 통해 수신되는 제1인버터 드라이버의 신호에 기초하여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제1인버터(211)의 복수 개의 전력 변환 스위치(Q11~Q13, Q21~Q23)는, 건조기가 정상적으로 건조 동작할 때 게이트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건조기가 정상적으로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도어가 폐쇄 상태에서 건조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인버터(211)의 복수 개의 전력 변환 스위치들 중 하단 스위치(Q21~Q23)는, 건조 동작 중 도어의 이상 상태일 때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의 게이트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오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구동부(210)는 제1인버터(211)과 제2인버터 드라이버(212) 외에, 전원부(213), 정류부(214) 및 평활부(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13)는 외부의 전원단(미도시)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상용의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정류부(214)로 전달한다.
정류부(214)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전원부(213)에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고 정류된 전원을 평활부(215)로 전달한다.
정류부(214)는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브릿지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정류부는 6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평활부(215)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정류부(214)에서 정류된 전원의 전류의 맥류를 낮추기 위해 정류부(214)에서 전달되는 전원을 평활하고 모터(150)의 구동을 위한 일정 크기의 직류(DC) 전원으로 변환시켜 인버터(211)에 전달한다.
건조기는 DC 전압을 출력하는 평활부(215)의 양단에 연결되어 DC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센서(18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213), 정류부(214) 및 평활부(215)는, 압축기의 모터(164a)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모터(15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의 전원부(213), 정류부(214) 및 평활부(215)와 압축기의 모터(164a)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의 전원부(213), 정류부(214) 및 평활부(215)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건조기는 하나의 전원부(213), 정류부(214) 및 평활부(215)를 포함하고, 제1인버터와 제2인버터는 하나의 전원부(213), 정류부(214) 및 평활부(215)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기존의 의류 처리 장치는 AC 입력 릴레이를 이용하여 도어의 이상 상태에 대응하여 의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고전압 제어를 수행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 예는, AC 입력에 릴레이를 이용하여 도어의 이상 상태에 대응하여 의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기 때문에, 고전압 제어가 용이하다. 즉,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고전압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는 모터(150) 및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250)에 연결되고, 보호부(250)의 온오프에 의해 변화되는 전압이 인가되는 단자(FO, 212a)와, 단자(FO, 212a)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212b)와, 전압 검출부(212b)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부(212c)를 포함한다.
단자(FO, 212a)는 제어부(190)와 연결되고, 과전류에 대응하는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일 수 있다. 단자(FO, 212a)는 고장 신호를 제어부(190)에 출력할 수 있다.
단자(FO, 212a)는 과전압이나 과열(over heat)에 대응하는 고장 신호를 제어부(190)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압 검출부(212b)는 단자(FO, 212a)에 연결되고 보호부(250)의 보호 스위치(S1)의 온오프 구동에 의해 변화되는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전압 검출부(212b)는 제1구동부(210) 내에 마련될 수 있고, 제1구동부(210)의 단자(FO)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전압 검출부(212b)는 인가된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일 때 도어 개방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일 수 있다. 전압 검출부(212b)는 단자(FO)에 인가된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일 때 하이 신호(high)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전압 검출부(212b)는 단자(FO)에 인가된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일 때 로우 신호(low)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전압 검출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비교기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비교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압 검출부(212b)는 인가된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일 때 도어 개방에 대응하는 신호로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인가된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할 때 도어 폐쇄에 대응하는 신호로 로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압 검출부(212b)는 인가된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일 때 도어 개방에 대응하는 신호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인가된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할 때 도어 폐쇄에 대응하는 신호로 하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압 검출부(212b)가 제1구동부(210)의 외부에 마련된 경우, 제어부(190)는 전압 검출부(212b)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제1구동부(210)의 단자(FO)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거나 보호부(25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검출된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라고 판단되면 도어(130)가 개방되었다고 판단하고 검출된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도어(130)가 폐쇄되었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이트 구동부(212c)는 하단 스위치(Q21-Q23)의 게이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하단 게이트 구동부일 수 있다. 여기서 하단 게이트 구동부는, 건조기의 정상 동작 시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하단 스위치의 게이트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212c)는 도어의 이상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하단 스위치를 오프시키기 위한 게이트 제어 신호를 복수 개의 스위치의 게이트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212c)는 도어의 이상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하단 스위치의 게이트 제어 신호로 로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도어의 정상 상태에 대응하여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하단 스위치의 게이트에 출력할 수 있다.
도어의 이상 상태일 때, 제어부는 복수 개의 하단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 및 출력하지 않는다.
여기서 도어의 이상 상태는, 도어의 개방 상태와 도어가 들썩거리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12c)는 전압 검출부(212b)로부터 로우 신호가 수신되면 복수 개의 하단 스위치의 게이트를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12c)의 설계에 대응하여, 게이트 구동부(212c)는 전압 검출부(212b)로부터 하이 신호가 수신되면 복수 개의 하단 스위치의 게이트를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이트 구동부(212c)는 도어 이상 상태 시 복수 개의 전력 변환 스위치 중 하단 스위치에 전달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는,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상단 스위치의 게이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상단 게이트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는 단자(FO, 212a)에 연결되고, 모터(150)의 고장에 대한 신호를 단자(FO, 212a)를 통해 제어부(190)로 출력하는 고장 출력 스위치(S2)와, 고장 출력 스위치(S2)의 게이트에 연결된 비교기와, 제1전류 센서(182a)로부터 검출된 전류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전류 센싱 단자(CS)와, 전류 센싱 단자(CS)에 연결되고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검출 전류가 기준 전류 이상이면 과전류 검출 신호를 타이머에 출력하는 과전류 검출부(212d)와, 과전류 검출부(212d)에 연결되고 과전류 검출부(212d)로부터 과전류 신호가 수신되면 과전류의 발생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 고장 신호를 비교기에 출력하는 타이머(212e)를 포함한다.
고장 출력 스위치(S2)는 노벌크(no bulk) 타입의 N 채널의 MOSFET일 수 있다. 고장 출력 스위치(S2)는 드레인이 단자(FO, 212a)에 연결되고 소스가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비교기는 타이머(212e)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고장 출력 스위치(S2)의 게이트에 출력함으로써 고장 출력 스위치(S2)가 상태가 전환되도록 한다.
이때 단자(FO, 212a)에 수신된 고장 출력 스위치(S2) 신호는, 과전류에 대응하는 고장 신호로서 제어부(190)에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장 출력 스위치(S2)는 모터(1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오프 상태로 유지되고 과전류 발생 등의 고장에 대응하여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고장 출력 스위치(S2)는 게이트에 로우 신호가 수신되면 오프 상태로 될 수 있고 고장에 대응하여 게이트에 하이 신호가 수신되면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고장 출력 스위치(S2)를 다른 타입의 스위치로 구현함에 따라, 고장 출력 스위치(S2)는 게이트에 로우 신호가 수신되면 온 상태로 될 수 있고 고장에 대응하여 게이트에 하이 신호가 수신되면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2 구동부(220)와 제3구동부(230)는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드럼(120) 내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원이 발생되도록 히트 펌프(160)를 동작시킨다. 즉 제2구동부(220)는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압축기(164)를 동작시키고, 제3구동부(230)는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팽창밸브(162)를 동작시킨다.
제2구동부(220)는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압축기(164)의 주파수가 조절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부(220)는 복수 개의 전력 변환 스위치를 가지는 제2인버터(221)와,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게이트 제어 신호를 제2인버터(221)에 출력하는 제2인버터 드라이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인버터(221)와 제2인버터 드라이버(222)는 하나의 기판 상에 인버터 파워 모듈(IPM: Inverter Power Module)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인버터(221)의 구성은, 제1인버터의 구성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2인버터(221)의 복수 개의 전력 변환 스위치(Q11~Q13, Q21~Q23)는, 도어의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을 때도, 건조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제2구동부(220)는 제2인버터(221)과 제2인버터 드라이버(222) 외에, 전원부(213), 정류부(214) 및 평활부(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13), 정류부(214) 및 평활부(215)는 제1인버터와 공용일 수 있다. 즉 건조기의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는 하나의 전원부(213), 정류부(214) 및 평활부(215)로부터 각 구동부의 인버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변환할 수 있다.
제2인버터 드라이버(222)의 단자(FO)는, 제어부(190)에 연결될 수 있고 모터(164a)의 과전류, 과전압 및 과열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에 대응하는 고장 신호를 제어부(190)에 전달할 수 있다.
제3구동부(230)는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팽창밸브(162)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며, 또한 팽창밸브(162)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250)는 개폐 스위치(180)와 제1구동부(210)의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보호부(250)는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의 단자(FO, 212a)에 연결될 수 있다.
보호부(250)는 개폐 스위치(180)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여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보호 스위치(S1)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스위치(S1)는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면 온 상태로 되고, 개폐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오프 상태로 되는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스위치(S1)은 NPN 타입의 BJT일 수 있다. 그 외에도 보호 스위치(S1)은 다양한 스위칭 소자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호 스위치(S1)은 MOSFET이나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보호부(250)는 개폐 스위치(180)와 보호 스위치(S1)의 베이스 사이에 마련된 제1저항(R1)과, 보호 스위치(S1)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연결된 제2저항(R2)과, 전원부(5V_IS)와 보호 스위치(S1)의 컬렉터 사이에 연결된 제3저항(R3)과, 보호 스위치(S1)의 컬렉터와 제3저항(R3) 사이의 접점 사이에 연결된 포토 커플러(PC)와, 포토 커플러(PC)의 스위칭 소자와 전원단(5V) 사이에 연결된 제4저항(R4)을 포함한다.
포토 커플러(PC)의 스위칭 소자와 제4저항(R4)은 단자(FO)에 연결될 수 있다.
제1구동부(210)와 개폐 스위치(180) 사이에 보호부(250)가 마련된 건조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건조기는 건조 동작 중 도어(130)가 폐쇄된 상태이면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온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보호부(250)의 보호 스위치(S1)는온 상태일 수 있다.
보호 스위치(S1)가 온되면 전원단 (5V_IS)과, 보호스위치의 컬렉터와 이미터를 통해 접지까지 전류가 흐르고, 이때 포토 커플러(PC)는 오프된다.
포토 커플러(PC)가 오프 됨에 따라 건조기의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의 단자(FO)는 제2저항을 통해 전원부(Vcc: 5V)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에는 대략 5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이 전압은 전압 검출부(212b)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전압 검출부(212b)는 대략 5V의 전압이 검출되면 도어 폐쇄에 대응하는 신호를 하단 게이트 구동부(212c)에 출력한다. 이때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는 하단 게이트 구동부(212c)가 인에이블되도록 할 수 있다.
건조기의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는 제1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이트 제어 신호를 복수 개의 전력 변환 스위치에 출력함으로써 모터(150)가 회전되도록 하고, 모터의 회전에 의해 드럼과 팬이 회전되도록 한다.
건조기는 건조 동작 중 도어(130)가 개방되거나 들썩이는 이상 상태이면 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오프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보호부(250)의 보호 스위치(S1)는개폐 스위치(180)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고 오프 신호의 수신에 의해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보호 스위치(S1)가 오프되면 전원단(5V_IS)을 통해 포토 커플러(PC)로 전압이 인가되고 이때 포토 커플러를 통해 전류가 흐름으로써, 포토 커플러(PC)는 온될 수 있다.
포토 커플러(PC)가 온 됨에 의해, 건조기의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의 단자(FO)는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에는 대략 1.2V의 기준 전압 이하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이 전압은 전압 검출부(212b)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전압 검출부(212b)는 대략 1.2V의 전압이 검출되면 도어의 이상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를 하단 게이트 구동부(212c)에 출력한다. 이때 하단 게이트 구동부(212c)는 복수 개의 전력 변환 스위치 중 하단 스위치를 오프시키기 위한 게이트 제어 신호를 하단 스위치에 출력함으로써 모터(150)가 정지되도록 하고, 모터(150)의 정지에 의해 드럼과 팬이 정지되도록 한다.
제1인버터 드라이버(212)는 하단 게이트 구동부(212c)가 디스에이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건조기는 드럼 내부로 피건조물이 투입된 후 도어의 폐쇄 신호가 수신되면 건조 대기 모드를 수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킨다.
건조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부(171)를 통해 건조 행정의 시작 명령이 수신되면 건조 부하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아울러, 건조기가 통신이 가능한 경우, 건조기는 통신부를 통해 건조 행정의 시작 명령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기는 결정된 건조 부하에 대응하는 건조 알고리즘을 획득하고, 획득된 건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건조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건조 알고리즘을 획득하는 것은, 결정된 건조 부하에 대응하는 모터의 회전수, 압축기의 주파수 및 증발기의 과열도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는 건조 동작을 수행할 때 모터와 히트 펌프를 동작(301)시킨다. 이때 모터의 동작에 의해 드럼과 팬이 회전하도록 하고 히트 펌프의 동작에 의해 드럼으로 유입될 공기가 가열되도록 하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한다.
건조기는 건조 동작 중 도어의 이상 상태를 판단(302)한다.
여기서 도어의 이상 상태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 및 도어가 들썩 거리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어의 개방에 대응하여 개폐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될 수 있고, 도어가 들썩거리는 상태에 대응하여 개폐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와 온 신호가 교대로 수신될 수 있다.
도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개폐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적어도 한번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는 도어의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모터(15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히트 펌프의 동작을 유지(303)시킴으로써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고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히트 펌프의 동작을 유지시키는 것은, 압축기를 동작시키고 팽창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의 이상 상태가 발생된 경우, 보호부와 제1인버터 구동부 내의 수동 회로에 의해 모터가 정지됨으로써 드럼과 팬은 동작이 정지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건조기 내에 마련된 제어부를 통해 모터를 정지시키면서 보호부를 통해서도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보호부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의해 모터가 정지될 수 있고, 제어부 또는 제어부와 모터 사이의 연결 구성 간의 고장이나 에러가 발생하도록 보호부에 의해 모터(150)가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건조기는 도어의 이상 상태가 판단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304)하고, 카운트된 시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305)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제1구동부에 모터의 제어 명령을 출력함으로써 모터를 재동작(306)시킨다.
도어의 들썩거림에 의해 도어 이상 상태가 발생된 경우, 건조기는 개폐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최초 입력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150)는 최초 오프 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정지 상태일 수 있다.
건조기는 모터(150)의 재동작을 수행하면서 도어의 이상 상태를 다시 판단(307)하고 도어가 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즉 도어가 폐쇄 상태라고 판단되면 건조 동작을 진행(308)한다.
반면 개폐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거나, 모터가 정지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건조기는 도어의 이상 상태로 판단하여 모터와 히트 펌프의 동작을 정지(309)시키고 사용자가 도어의 이상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을 출력(310)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를 통해 도어의 이상 상태를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도어의 이상 상태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어가 이상 상태일 때, 모터는 제어부에 의해 정지될 수도 있고, 보호부와 제1인버터 구동부에 의해 정지될 수도 있다.
건조기는 도어의 이상 상태 판단을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히트펌프는 개폐 스위치로부터 최초 오프 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동안 동작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1a)는 제1, 2 모터(150a, 150b), 압축기(164), 사용자 인터페이스(170), 복수 개의 검출부(181, 182, 212b), 제어부(190), 저장부(190a), 복수 개의 구동부(210, 220, 240) 및 보호부(250)를 포함한다.
건조기는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1 모터(150a)와,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2 모터(150b)를 포함한다. 즉 다른 실시 예의 건조기(1a) 내에는 팬용인 제2모터(150b)와 드럼용인 제1모터(150a)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모터(150a)를 제어하기 위한 제1구동부(210)와, 제2모터(150b)를 제어하기 위한 제3구동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구동부(240)는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팬에 연결된 제2모터를 구동시킨다.
제1구동부(210)는 일 실시 예의 제1구동부와 동일할 수 있다. 제2구동부(220) 또한 일 실시 예의 제2구동부와 동일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 예의 건조기의 제어부(190)는, 팬용 모터인 제2모터(150b)와 드럼용 모터인 제1모터(150a)가 별도로 마련됨에 따라, 도어(130)의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일정 시간 동안 제2 모터(150b)와 압축기의 모터(164a)의 동작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일정 시간 후에도 도어의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제2 모터(150b)와 압축기의 모터(164a)의 동작을 정지 제어할 수 있다.
건조기는 도어의 이상 상태 발생 시 개폐 스위치와, 보호부 및 제1구동부의 제1인버터 드라이버의 수동 회로의 동작에 의해 제1모터는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드럼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의 구성은 일 실시 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게시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게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1a: 건조기 110: 본체
120: 드럼 130: 도어
140: 팬 150: 모터
160: 히트펌프 170: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20)

  1. 드럼;
    상기 드럼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개폐 스위치;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와,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인버터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개폐 스위치와 상기 인버터 드라이버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보호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 드라이버는, 상기 보호 스위치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이면 상기 인버터를 오프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교류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된 전력을 평활하고 상기 평활된 전력을 상기 인버터에 인가하는 평활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스위치는,
    상기 인버터 드라이버에 마련된 단자들 중 고장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에 연결된 의류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복수 개의 전력 변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 드라이버는,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소자 중 하단 스위치를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스위치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JT)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상기 개폐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제1저항과, 상기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연결된 제2저항과, 상기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제1전원단 사이에 연결된 제3저항과, 상기 제3저항과 상기 인버터 드라이버 사이에 연결된 포토 커플러와, 상기 포토 커플러와 제2전원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인버터 드라이버에 연결된 제4저항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는,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오프되고,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면 온되고,
    상기 포토 커플러는, 상기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가 온되면 오프되고 상기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가 오프되면 온되는 의류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드라이버는,
    상기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에 대응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팬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된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 연결된 팽창 밸브와, 상기 팽창밸브에 연결된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 순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히트펌프;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히트 펌프를 동작시키는 히트펌프용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의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히트펌프의 동작을 유지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이상 상태가 판단된 시점부터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상기 도어의 이상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온 신호와 오프 신호가 교대로 수신되면 최초 오프 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유지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이상 상태에 대응하여 알림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용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의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팬용 모터의 동작을 유지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고 도어가 폐쇄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개폐 스위치를 오프 제어하는 의류 처리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드라이버는,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 드라이버는, 상기 전류 센서를 통해 출력된 전류가 기준 전류 이상이면 과전류 발생으로 판단하고, 과전류 발생에 대응하여 온되는 고장 출력 스위치와, 상기 고장 출력 스위치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단자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8. 히트펌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건조 동작 수행 시 드럼에 연결된 모터와 히트 펌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건조 동작 중 개폐 스위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의 이상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히트 펌프에 마련된 압축기의 동작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시키고,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은, 상기 도어의 이상 상태의 판단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드럼에 연결된 모터를 재구동시키고 상기 모터의 재구동 시 상기 도어의 이상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스위치의 오프 신호에 대응하여 보호 스위치를 오프 시키고 상기 보호 스위치의 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이 자동으로 정지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개폐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160434A 2019-12-05 2019-12-05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070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434A KR20210070568A (ko) 2019-12-05 2019-12-05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20895765.4A EP4050153A4 (en) 2019-12-05 2020-10-08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20/013773 WO2021112390A1 (ko) 2019-12-05 2020-10-08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7/832,195 US20220356637A1 (en) 2019-12-05 2022-06-03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434A KR20210070568A (ko) 2019-12-05 2019-12-05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568A true KR20210070568A (ko) 2021-06-15

Family

ID=7622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434A KR20210070568A (ko) 2019-12-05 2019-12-05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56637A1 (ko)
EP (1) EP4050153A4 (ko)
KR (1) KR20210070568A (ko)
WO (1) WO20211123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099A1 (ko) * 2022-07-27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터 탄화를 방지하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0793B (zh) * 2021-06-18 2023-04-07 海信冰箱有限公司 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372Y1 (ko) * 1991-12-06 1994-09-24 주식회사 금성사 드럼세탁기의 정류자 모터 구동회로
JP3264597B2 (ja) * 1995-02-27 2002-03-11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乾燥機
TW470801B (en) * 1999-03-31 2002-01-01 Toshiba Corp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352070B1 (ko) * 2000-07-15 2002-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도어안전장치
KR101495182B1 (ko) * 2008-11-18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407961B1 (ko) * 2009-10-13 2014-06-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 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E102012205816A1 (de) * 2012-04-10 2013-10-1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Motoransteuerschaltung für einen bürstenlosen Waschmaschinenmotor
EP2843118B1 (en) * 2013-08-28 2021-07-0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eat-pump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a compres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099A1 (ko) * 2022-07-27 2024-0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터 탄화를 방지하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0153A1 (en) 2022-08-31
WO2021112390A1 (ko) 2021-06-10
EP4050153A4 (en) 2023-01-04
US20220356637A1 (en)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56637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2237106B2 (en) Controlling method for clothes dryer
US9417009B2 (en) Controlling method for a washing machine
US10584440B2 (en) Washing drying machine having heat pump and drying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EP2935687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ing machine and a corresponding laundry drying machine
US11718949B2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81602A (ko)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EP3346051B1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080148597A1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EP3034669B1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22517005A (ja) インダクションヒーターを有する洗濯装置
AU2017423442B2 (en) Method to control operation of a laundry dryer
CN104583483A (zh) 衣物或餐具处理机器
JP2013094215A (ja) 洗濯乾燥機
EP3124678A1 (en) Method of operation of a heat pump drying and/or washing appliance and heat pump drying and/or washing appliance
CN109898311B (zh) 干燥机及其控制方法
JP2014018502A (ja) 衣類処理装置
KR102352396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3249089B1 (en) Laundry treatment appliance
JP6466093B2 (ja) 衣類乾燥機
JP2004148053A (ja) 洗濯乾燥機
EP3919671A1 (en) A method for operating a laundry drying machine equipped with a heat pump system and a laundry drying machine implementing said method
KR20210158532A (ko) 가전 기기에서 스팀 분사 장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KR20210128735A (ko) 세탁물 건조기에서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7153835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