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958B1 - 화상형성장치및토너수납용기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및토너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958B1
KR100327958B1 KR1019980000356A KR19980000356A KR100327958B1 KR 100327958 B1 KR100327958 B1 KR 100327958B1 KR 1019980000356 A KR1019980000356 A KR 1019980000356A KR 19980000356 A KR19980000356 A KR 19980000356A KR 100327958 B1 KR100327958 B1 KR 100327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storage container
container
toner storage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423A (ko
Inventor
시게루 요시키
히데오 요시자와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80070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68Toner discharging opening at one axial e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not acting as a pass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1)는, 토너수납용기(1)의 최대외경인 외주면부에 돌기(1-8)를 설치하고, 이 돌기(1-8)가 토너수납용기(1)의 회전에 의하여 몰입하는 凹부(9)를 받침대(4)의 토너수납용기의 중심축 하측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서, 통(筒)상의 토너수납용기의 최대외경부인 측면부에 지지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토너수납용기(1)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받침대(4)를 갖추고, 이 받침대(4)에 지지된 토너수납용기(1)를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시켜, 이 회전에 의하여 토너수납용기(1)중의 토너를 출구(4-1)측으로 반송하여 토너를 토너수납용기(1)의 외부로 송출함과 동시에 귀에 거슬리는 충격음을 발생시킴 없이, 안정한 토너보급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수납용기{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ONTAINER}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소위, 정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감광체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장치에 의해서 공급되는 토너에 의해서 가시상화 되고, 기록지에 전사된 후 정착되어 기록물로 되며, 장치외부로 배출된다. 토너는, 이러한 현상에 의해서 소비되기 때문에 토너보급장치에 의해서 그 소비분이 보급된다. 이러한 토너보급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일부로서 구성되고, 토너수납용기(토너보틀)를 착탈자재하게 갖추고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토너가 소비되어 비게된 토너수납용기는 토너가 충진된 새로운 것으로 교환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토너수납용기는 토너보급장치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이 토너보급장치는, 화상형성장치본체, 혹은 현상유니트 본체 등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이하, 토너보급장치를 지지하는 것을 간단히 본체라 칭한다.). 토너보급장치는, 본체상의 소정의 장착위치에서 계지(係止)부재에 의하여 위치지지된 상태의 것으로서, 그 토너보급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토너수납용기의 토너를 본체측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토너수납용기로서, 저부측으로 부터 토너토출구측으로 향하여 나선부를 내주면에 형성한 것이 예를들면, 특개소 63-75769호 공보,특개평 7-140774호 공보, 특개평 8-95361호 공보에 각각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것으로는, 토너수납용기는, 화상형성장치내로 대략 수평으로 취부되어서 그 중심선 주위로 회전되며,수납(저장)되어 있는 토너를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발명의 공지되지 않은 배경기술로서, 토너수납용기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받침대를 갖추고, 이 받침대에 지지되는 토너수납용기를 회전수단에 의해서 회전시켜, 이 회전에 의하여 상기 토너수납용기내의 토너를 토출구측으로 반송하여 상기 토너를 토너수납용기의 외부로 송출하도록 한 토너보급장치가 있다. 이 토너보급장치에서는, 토너수납용기의 최대외경부인 측면부가 받침대의 지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토너수납용기는 회전하여 토너수납용기내의 토너는 출구측으로 반송되지만, 유동성이 나쁜 토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토너수납용기의 내면에 부착하는 토너가 많게 되기 때문에, 토너수납용기내에 다량의 토너가 남고, 반송력이 저하하여 안정된 보급량이 얻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내면에 나선홈을 형성한 토너수납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나선홈이 토너에 의하여 메워지고 마는 것이며, 동일하게 반송력이 저하하여 안정한 보급량이 얻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특개평 8-95361호 공보에는, 토너수납용기의 외주면을 두들겨서, 토너수납용기의 내주면에 부착한 토너를 낙하시키고, 토너의 토출을 원활하게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토너수납용기의 외주면에 돌기를 설치하고, 토너수납용기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토너수납용기의 외주면을 두드림 방향으로 스프링 지지된 두드림부를 설치하여, 두드림부가 돌기를 타고 넘을때에 토너수납용기가 두드려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토너가 박출(迫出)부위에 적재된 상태에서 토너수납용기를 두드리면, 박출부상에 들어올려진 토너가 진동에 의하여 토너수납용기의 내부로 낙하하게 되어 토너토출에 방해가 되고 만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 1의 목적은, 토너수납용기내의 토너잔량을 적게하고, 반송력을 안정시키며, 안정된 보급량을 확보함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수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토출을 방해함이 없이, 토너수납용기의 내주면에 부착한 토너를 낙하시킴이 가능함과 동시에 토너의 토출을 원활하게 행함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수납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토너보급장치와 토너수납용기의 외관사시도.
제 2도는 도 1의 토너수납용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도 2a)에서 나타내는 상태로 부터 90°회전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2c)는 저부를 나타낸 좌측면도.
제 3도는 도 1의 토너수납용기의 토출구 부근의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토너수납용기를 장착한 때의 토너보급장치의 외관사시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토너수납용기가 받침대에 의해 두드려지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돌기가 요(凹)부에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돌기가 요(凹)부에 낙하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 6도는 실시예 1의 변형예에 관한 토너보급장치의 외관사시도.
제 7도는 도 6의 토너보급장치의 구동모터부근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구동모터의 축직각방향의 단면도, 도 7b)는 구동모터의 정면도.
제 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토너수납용기의 평면도.
제 9도는 도 8에 나타난 토너수납용기의 V-V단면을 일부 표시한 측면도.
제 10도는 도 8에 나타난 토너수납용기의 정면도.
제 11도는 도 9에 나타난 토너수납용기의 IV-IV단면으로 부터 토너낙하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1a)는 IV-IV 단면도, 도 11b)는 도 11a)에서 토너낙하위치가 하방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 변화도, 도 11c)는 도 11a)에서 토너상승준비위치가 하방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 변화도.
제 12도는 도 8의 토너수납용기의 V-V단면도.
제 13도는 도 8의 토너수납용기의 부분측면도.
제 14도는 실시예에 관련된 화상형성장치의 뚜껑을 열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15도는 도 14의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유니트 내부구성을 설명한 정면도.
제 16도는 도 14의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유니트 내부구성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토너수납용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17도는 도 14의 레버사시도.
제 18도는 도 14의 토너보급장치를 토너수납용기와 함께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 19도는 도 14의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유니트 외관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토너수납용기가 토너보급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20도는 도 14의 토너보급장치로의 토너수납용기 장착상태를 설명한 분해사시도.
제 21도는 도 19의 토너보급장치에서 토너수납용기의 개폐수단을 설명한 요부단면도.
제 22도는 도 21의 개폐수단이 토너수납용기의 입구를 닫힘 상태로 부터 열림상태로 할 때의 요부단면도.
제 23도는 도 21의 개폐수단이 토너수납용기의 입구를 열림상태로 한때의 요부단면도.
제 24도는 토너보급장치에 장착상태인 토너수납용기 및 주변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 25도 ∼ 제 30도는 토너수납용기를 교환하는 때의 수순을 설명한 도면.
제 31도는 토너보급장치에 장착상태인 토너수납용기와 레버 등을 토너수납용기의 회전축방향 저부측에서 본 때의 도면.
제 32도는 실시예 2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토너보급장치에 장착상태인 토너수납용기 및 주변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 33도는 토너수납용기에서 토너토출 모습을 설명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8.... 토너수납용기 1-8,38K1,38K2.... 돌기
4-3..... 받침면 84...... 레버
1-4, 38g.... 토너 토출구 11...... 누름부재
202..... 두드림부재(두드림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으로 한다.
(1)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를 장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의 하부를 두들겨서 상기 토너수납용기 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토너수납용기의 하부가 두드려져서, 이 두드림에 의한 충격에 의해서 토너가 이동한다. 두드려지는 하부에는 토너가 존재하기 때문에 두드려지는 때의 음의 저감을 도모함이 가능하다.
(2)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를 장착하는 화상형성장치에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상기 토너수납용기내의 토너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긴면을 갖는 면으로서 두드려서 상기 토너수납용기 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토너수납용기가 두드려져서, 이 두드림에 의한 충격에 의해서 토너가 이동한다. 이 두드림 부분은, 긴쪽방향으로 긴 면이고, 넓은 면의 접촉이 되기 때문에, 두드리는 때의 음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긴 면은, 예를들면, 토너수납용기를 받치는 받침대에 의해서 구성함이 가능하다. 이러한 받침대는, 토너수납용기의 만곡된 외주곡면에 대향하는 긴 곡면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받침대로서 두드리면, 받침대의 긴쪽방향으로 긴 곡면으로서 두드리게 되어, 넓은면끼리의 접촉을 이루기 때문에, 두드림시의 음을 일층 저감시킴이 가능하다.
(3)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를 장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2개소에서 두드려서 상기 토너수납용기 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토너수납용기를 2개소에서 두드리기 때문에, 두드림시의 음의 저감을 도모함이 가능하다.
(4)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를 장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두드리는 두드림부재가 토너수납용기보다도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이고, 상기 두드림부재로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두드려서 상기 토너수납용기 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두드림부재를 내마모성의 부재로 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다.
(5) 상기 (4)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두드리는 두드림부재가 교환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술한 작용효과에 더하여, 마모가 심한 개소를 부분적으로 교환가능하도록 함에 의해서, 장치전체를 내마모성의 재질로 할 필요가 없고, 장치전체의 내용연수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6) 상기 (1),(2),(3) 또는 (4)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두드리는 두드림부재는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받아들이는 받침대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술한 작용효과에 더하여, 받침대를 두드림부재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부재기능의 겸용에 의해서 부품수를 증가시킴 없이 토너의 이동을 행함이 가능하다.
(7)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를 장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레버로서 두드려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토너수납용기의 토출구(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를 이용하여 토너수납용기를 두드리기 때문에, 부재기능의 겸용에 의해서 부품수를 증가시킴 없이 토너의 이동을 행함이 가능하다.
(8)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를 장착하는 화상형성장치에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이고, 상기 토너수납용기의 주면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주면을 피하여 레버로서 두드려서 상기 토너수납용기 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레버에 의한 토너수납용기상에서의 두드림부위를 토너수납용기의 주면상의 수평방향, 수직방향의 주면을 피한 부위로 함에 의해서, 상방향, 횡방향에서의 소공간화를 도모함이 가능하다.
(9) 상기 (1),(2),(3),(4),(5),(6),(7) 또는 (8)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상기 원통형상의 주면부에 두드림부재에 결합하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술한 작용효과에 더하여, 토너수납용기측에 두드림부재와 결합하는 돌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두드림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함이 가능하다.
(10) 상기 (9)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면부와 상기 두드림부재등은 비접촉식으로서, 상기 두드림부재는 가요성 혹은 탄성을 갖추며, 상기 토너수납용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주면부와 두드림부재등이 접촉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술한 작용효과에 더하여, 토너수납용기와 두드림부재등이 돌기이외의 부위에서 비접촉의 상태를 이루고 있어도 두드림 작용을 얻음이 가능하기 때문에, 토너수납용기의 회전부하가 적어지게 된다.
(11) 상기 (9)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면부와 상기 두드림부재등은 비접촉식으로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가요성 혹은 탄성을 갖추고, 상기 토너수납용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주면부와 두드림부재등이 접촉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술한 작용효과에 더하여, 토너수납용기와 두드림부재등이 돌기이외의 부위에서 비접촉의 상태를 이루고 있어도 두드림 작용을 얻음이 가능하기 때문에, 토너수납용기의 회전부하가 적어지게 된다.
(12) 상기 (9)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복수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술한 작용효과에 더하여, 돌기를 복수개 설치하기 때문에, 1회전에 대하여 복수의 두드림작용이 얻어지며, 확실하게 토너수납용기 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킴이 가능하다.
(13) 상기 (12)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돌기의 법선방향의 길이가 각각 다르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술한 작용효과에 더하여, 각 돌기의 높이를 다르게 하기 때문에, 토너의 공급과다를 방지함이 가능하다.
(14) 상기 (6)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에 대하여 상기 받침대는 계합부를 이용하여 활주이동가능하고, 상기 계합부의 극간 일방향에 상기 받침대를 누르는 누름수단을 갖춤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술한 작용효과에 더하여, 받침대를 계합부의 극간의 일방향으로 누르도록 작용하는 누름수단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토너수납용기에 의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가 진동하여도 받침대의 덜컹거림이 없게되고, 소음을 적게함이 가능하다.
(15) 상기 (14)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수단은, 상기 받침대를 탄성적으로 누르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술한 작용효과에 더하여, 누름수단을 탄성재로 함으로서 누르는 작용을 확실하게 하고, 그리고, 탄성재에 의한 진동을 흡수함이 가능하다.
(16)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에는 하부에 피두드림부를 갖추고, 상기 피두드림부가 두드려짐에 의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토너가 존재하는 하부가 두드려지기 때문에 두드림음이 작다.
(17)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에는 상기 토너수납용기내의 토너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긴면을 갖는 피두드림부를 갖추며, 상기 피두드림부가 두드려짐에 의해서, 상기 토너 수납용기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토너수납용기의 하부가 두드려져서, 이러한 두드려짐에 의한 충격에 의해서 토너가 이동하고, 두드림부분은, 받침대의 길이방향으로 긴 곡면이며, 넓은 면끼리의 접촉을 이루기 때문에, 두드림시의 음의 저감을 도모함이 가능하다.
(18)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에는 피두드림부가 2개소 있고, 상기 피두드림부가 두드려짐에 의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토너수납용기의 하부를 2개소의 면으로 두드리기 때문에 두드리는 때의 음의 저감을 도모함이 가능하다.
(19)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피두드림부를 갖추고, 상기 피두드림부는 상기 피두드림부를 두드리는 두드림부재보다 내마모성이 떨어지는 재질이며, 상기 피두드림부가 두드려짐에 의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두드림부의 재질을 두드림부재의 재질보다도 내마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함으로서 두드림부재의 수명을 연장함이 가능하다.
(20)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에는 상기 토너수납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레버로서 두드려지는 피두드림부를 갖추며, 상기 피두드림부가 두드려짐에 의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토너의 막힘을 해소할수 있는 토너수납용기를 제공함이 가능하다.
(21)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이고, 상기 토너수납용기의 주면에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주면부를 피한 위치에 피두드림부를 갖추며, 상기 피두드림부가 두드려짐에 의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장치의 공간(SPACE)효율을 향상시킴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수납용기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 도 3은 본 실시예 1에 사용되는 토너수납용기 1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는 토너수납용기 1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나타난 상태로 부터 원주방향으로 90°회전한 때의 토너수납용기 1의 정면도이며, 도 2(c)는 도 2(b)에 나타난 토너수납용기 1의 저부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토너수납용기 1의 요부를 설명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토너수납용기 1은 개략적으로 통(筒)형을 하고 있다. 이 수납용기 1의 긴쪽방향의 일단측인 저부 1-5의 외면에는 철(凸)부 1-1,1-2와 중앙철(凸)부 1-3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철(凸)부 1-1,1-2는 후술하는 회전수단의 일부와 결합하여 토너수납용기 1에 회전을 부여하는 것이며, 중앙 철(凸)부는 이때의 회전중심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 저부 1-5의 반대측 단부는 적은 직경으로 되어 개구되어 있어서, 이 개구부는 토너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출구부) 1-4를 구성하고 있다. 저부 1-5와 토출부 1-4와의 사이의 대부분은 토너수납용기 1의 최대외경인 대경외주면부 1-6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토너수납용기 1에 있어서, 저부 1-5로 부터 대경외주면부 1-6를 경유하여 토출부 1-4로 이어지는 내주면부에는, 나선홈 1-7이 형성되어 있다. 토너가 수납된 토너수납용기 1를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서, 토너는저부 1-5측으로 부터 토출부 1-4측으로 운반된다.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이 대경외주면부 1-6의 토출부 1-4측에는, 돌기 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 1-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수납용기 1가 회전하는 회전방향을 A 라고 할 때, 그 역방향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외주면부보다 점차 높게 되는 구배면 1-8a을 갖는다. 이 구배면 1-8a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급격하게 외주면부의 레벨로 떨어지는 외형을 갖추고 있다. 이 단면은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략 쐐기형을 하고 있다.
다음에, 토너보급장치 6를 도1, 도4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토너보급장치 6의 일부이고, 토너수납용기 1를 받아들이는 받침대 4를 본체 2측으로 부터 활주이동방향의 일방측( 화살표 c2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4는, 받침대 4를 활주이동방향의 타방측에서 본체측 2으로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토너수납용기 1은, 본체 2측에 설치된 회전수단 3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회전수단 3은, 죠인트 3-1과,스프링 3-2과,구동모터 3-3등으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죠인트 3-2의 선단에는 토너수납용기 1의 중앙 철(凸)부 1-3가 삽입되는 요(凹)부 3-1a와, 토너수납용기 1의 철(凸)부 1-1,1-2에 결합하는 철(凸)부 3-1b등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 4에는 계합부 4-1,4-2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2에는 가이드레일 2-1,2-2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부 4-1,4-2는 가이드레일 2-1,2-2에 기계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받침대 4는 화살표 c1,c2의 방향으로 활주가능한 것이다. 토너보급장치 6에 대하여 토너수납용기 1을 착탈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4를 화살표 c1의 방향으로 인출한 상태의 처음대로 행한다.
받침대 4에는, 토너수납용기 1의 받침면 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면 4-3은, 토너수납용기 1의 외주면과 거의 동일 크기의 곡률을 갖는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면 4-3에, 토너가 수납되어 있는 토너수납용기 1를 저부 1-5가 회전수단 3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재치한다.
이어서, 손잡이 8를 쳐서 화살표 c2의 방향으로 받침대 4를 눌러 이동시킨다. 그러면, 토너수납용기 1의 토출부 1-4측의 부위가 토너수취부 7의 일부에 당접하여, 토너수납용기 1의 저부 1-5가 죠인트 3-1에 당접한다. 그리고, 받침대 4를 화살표 C2의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스프링 3-2이 굽혀진 상태에서 중앙 철(凸) 부 1-3가 요(凹) 부 3-1a에 삽입하므로, 받침대 4가 도시생략된 수단에 의해서 위치 지지된다. 이때, 토너수납용기 1는 죠인트 3-1와 토너수취부 7 등에 지지되어서, 대경외주면부 1-6는 받침면 4-3에 토너수납용기 1의 자중에 의해서 접촉한 상태이다.
이때의, 토너수취부 7에 있어서의 토너수납용기 1의 지지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2, 도 3에 있어서, 토너수납용기 1의 최대경부보다도 적은 직경이 작게 형성된 중간경부 1-9는 토너수취부 7의 통상체(도시생략)내에 삽입된 상태이고, 토출부 1-4는 토너수취부 7내의 통체에 끼워 지지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손잡이 8를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쓰러트리면, 이 동작에 연동하여, 토너수취부 7의 내부기구에 의해서, 토너수납용기 1의 토출부 1-4를 막고 있는 마개(도시생략)가 자동적으로 당겨진 상태로 된다. 토너의 보급지령에 기초하여, 구동모터 3-3가 구동되면, 죠인트 3-1는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화살표 F의 방향은 나선홈 1-7에 따라서 토너를 토출부 1-4로 향하여 이송하는 방향이다. 죠인트 3-1가 회전함에 의해서, 철(凸)부 3-1b가 철(凸)부 1-1 혹은 철(凸)부 1-2중 어느 것이든지, 혹은 양측에 당접하여 토너수납용기 1를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토너수납용기 1내의 토너는, 토출부 1-4로 향하여 이송되어, 토너수취부 7를 경유하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부로 이송된다.
토너수납용기 1가 비게 되면, 그 상황을 알리는 경고 등에 기초하여, 토너수납용기 1의 교환을 행한다. 이 교환시의 수순은, 상기한 토너수납용기 1의 장착수순의 역으로 한다.
토너보급장치 6에 토너수납용기 1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4에 있어서, 단면 G-G에 따라서 절단한 때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 도 5a),도 5b)이다. 받침면 4-3에 요(凹)부 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凹)부 9의 크기는 토너수납용기 1의 중심축 0의 긴쪽 방향으로 걸쳐서, 돌기 1-8가 완전하게 몰입가능한 크기이다. 이때, 손잡이 8의 조작에 의해서, 토너수납용기 1가 죠인트 3-1와 토너수취부 7 등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고, 그리고, 이 요(凹)부 9는 토너수납용기 1의 중심축 0의 직하부에 상당하는 받침대 4의 받침면 4-3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 3-3의 힘으로서 죠인트 3-1가 구동력을 받아-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됨에 의하여, 돌기 1-8가 요(凹)부 9에 낙하 삽입된 상태( 도 5a)와, 요(凹)부 9로 부터 받침면 4-3에 올려 놓여서 활주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상태( 도 5b) 등을 교대로 반복한다. 돌기 1-8가 요(凹)부 9에 낙하삽입시에, 토너수납용기 1의 하부(여기에는 토너가 존재한다)가 요(凹)부 9의 양측 2개소의 받침면 4-3에 의해서 두드려져서 토너수납용기 1에는 충격이 가해진다. 이 충격에 의해서, 토너수납용기 1의 내벽에 부착된 토너는 풀어져서 유동성을 갖추고, 토너수납용기 1의 회전에 따라서, 토출구 1-4측으로 향하여 송출되는 것이다.
돌기 1-8는, 낙하삽입을 급격하게 행함으로서 충격효과를 크게함과 동시에, 요(凹)부 9로 부터의 올림을 완만하게 하기 때문에,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방향 A와 그 역방향인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외주면부보다 점차 높아지는 구배면 1-8a을 통과하여 급격하게 외주면부의 레벨로 낙하유입되는 외형의 대략적인 쐐기형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문에, 토너수납용기 1의 회전시에 토너수납용기 1의 돌기 1-8가 받침면 4-3에 올려 놓여지는 때에도 걸림이 없고, 원활하게 회전하기 때문에, 토너수납용기 1의 구동토크가 과대하게 되지 않고, 종래의 구성과 동등한 토크를 갖는 구동모터 3-3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더구나, 돌기 1-8가 받침면 4-3에 올려 놓여짐에 의해서, 토너수납용기 1는 올려놓임의 전후에서 위치변동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서, 토너수납용기 1의 저부 1-5측과 토출부 1-4측에서의 지지부분(토너수납용기 1와 토너보급장치 6와의 연결부분이고, 토출부 1-4와 토너수취부 7를 나타냄)에 있어서, 무리한 힘이 작용함이 걱정되지만, 이점에 관해서는, 각각의 결합부에서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않을 정도의 여유를 갖추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그리고, 이 실시예와 같이, 돌기 1-8를 토출부 1-4측에 설치한 경우에는, 저부 1-5측으로 부터 반송되어 토출부 1-4(개구부)부근에서 응축된 토너가 무너지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토출부 1-4(개구)로 부터 토너를 배출함이 가능하다. 한편, 실시예 2의 변형예로서, 돌기 1-8를 저부 1-5측에 설치한 경우에는, 이 지지부로서의 토너수취부 7와 토너수납용기 1와의 결합이 행하여지는 부위에서 밀봉성을 확보하는 것에 유효하다. 즉, 결합하는 부위에서는,고무 등의 부재를 사용하여 밀봉성을 확보하고 있지만, 저부 1-5측에 돌기 1-8를 설치한 경우에는, 지지점으로서의 지지부분으로 부터의 거리가 있기 때문에, 돌기 1-8가 설치된 저부 1-5측에서 돌기 1-8에 의한 진동의 진폭이 작아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지지부분에서의 결합부분에서 토너누설을 적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돌기 1-8는 토너수납용기 1의 회전에 의해서 토너수납용기 1를 두드리는 두드림부재인 받침대 4의 받침면 4-3과 활주접촉된다. 이 때문에,이 돌기 1-8나 이 돌기에 활주 접촉되는 받침면 4-3등은, 경시적으로 마모하여 가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래서, 받침면 4-3의 내에, 돌기 1-8와 활주접촉하는 부분에 대하여 내마모성의 부재로 하는 것이 좋다. 그 수단으로서는, 부분적으로 재질을 다르게 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받침대 4 전체를 내마모성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받침대 4의 전체를 내마모성의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비용면 혹은 제조상의 문제에 의해서 곤란한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내마모성의 재질로 하고, 예를들면,해당 개소에 대하여 교환가능한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마모가 현저하게 되어, 적절한 충격력을 토너수납용기에 부여함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는 때에는 이부분을 교환가능하도록 하여둔다.
도 6에 있어서, 받침대 4의 재질로서 ABS(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을 사용할 때, 돌기 1-8와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적정의 폭과 깊이에 의해서 매입용의 요(凹)부를 형성하여 두고, 이 요(凹)부의 폭과 깊이에 일치하여 형성된 폴리아세탈로 된 교환부재 10를 삽입하여 나사결합등으로 고정한다. 폴리아세탈은 내마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돌기 1-8가 접촉하는 부분은 장기간에 걸쳐서 마모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서, 장기간에 걸쳐서 충격을 부여할수 있고, 토너의 풀림효과를 얻을수 있다. 그리고, 이 교환부재 10의 부위가 마모된 경우에는, 새로운 교환부재 10와 용이하게 교환함이 가능하다.
이 변형예로서, 교환부재 10를 바꾸어서 요(凹)부를 설치함 없이,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필름을 교환부재로서 설치함이 가능하다. 이때에, PET필름의 이면에 양면 테이프 등을 부착한 교환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PET필름을 양면테이프에 의해 받침대 4의 소정개소에 부착한다. 이 경우에는, 마모된 경우에도 양면테이프의 부착부분을 벗기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교환가능하고, 토너보급장치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리고, 기계본체를 회수한 때에도 간단한 작업에 의해서 토너보급장치의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받침대 4를 활주이동방향의 일단측으로 인출한 상태의 본래 상태에서 토너수납용기 1의 교환을 행하며, 도 4에나타낸바와 같이, 가이드레일 2-1,2-2과, 결합부 4-1,4-2 등의 결합관계를 이용하여 본체 2에 받침대 4를 활주이동방향의 타단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토너수납용기 1를 회전시켜 토너의 보급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결국, 가이드 레일 2-1, 2-2와 결합부 4-1,4-2 등의 결합관계를 이용하여 받침대 4의 이동이 행하여지는 것이지만, 이 이동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결합부에 어떠한 극간이 필요하고, 실제로 극간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극간이 있으면, 토너수납용기 1가 회전하는 때에, 돌기 1-9가 요(凹)부 9에 낙하유입시에 이 극간부분에서의 덜컹거림으로 부터 소음을 발생하고 마는 것이다. 이 변형예는, 이러한 소음의 발생을 없애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4를 본체 2측으로 장착한 상태의 경우, 받침대 4의 선단부는 구동모터 3-3에 결합하도록 미리 각각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도 1은 받침대 4를 본체 2측으로 부터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며, 받침대 4의 선단부는 요(凹)형 만곡부 4-4를 구성하며, 이것과 결합하는 구동모터 3-3는 철(凸)상 곡면부 3-3a를 구성하고 있다.
도 6 및 도 7a),b)에 있어서, 구동모터 3-3의 철(凸)상 곡면부 3-3a에는, 부호 11로서 나타낸 바와 같은 띠형으로 형성된 누름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누름수단으로서의 누름부재 11를 부착하여 둠에 의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4를 본체 2측으로 삽입하는 경우에, 요(凹)상의 만곡부 4-4가 누름부재 11위에 올려놓여지고, 이것에 수반하여, 본체 2측에 구동모터 3-3를 매개하여 고정된 누름부재 11가 받침대 4측의 요(凹)상 만곡부 4-4를 눌러 내린다. 결국, 결합부 4-1,4-2와 가이드 레일 2-1,2-2와의 결합부에서의 극간의 하측에 받침대 4가 눌려 내려진 상태로 되고, 이 상태가 지지되는 것으로 되며, 돌기 1-8가 요(凹)부 9에 낙하유입되는 때에 발생하는 받침대 4의 소음이 제거된다. 그리고, 누름부재로서, 스폰지 등의 탄성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받침대 4를 극간의 일방향으로 누르는작용을 지속함이 가능하고, 그리고, 진동을 흡수함도 가능하기 때문에 일층 효과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토너보급장치에 있어서, 토너수용용기에 진동을 부여함에 의해서, 토너수납용기 내벽의 토너부착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토너의 토출이 종료한 토너엔드(END)시의 토너잔량이 적게 된다. 그리고, 토너의 안정된 보급량을 확보함이 가능하다.
그리고, 토너수납용기로의 진동부여방식을 본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행하면, 돌기 1-8가 요(凹)부 9에 낙하유입된 때에 토너수납용기 전체가 받침대 4로서 지지되기 때문에, 충격음이 적어지고, 저소음으로 된다. 즉, 받침대 4의 2개소 받침면 4-3으로 토너수납용기 1의 하부가 두드려져서, 그 하부에는 토너가 존재하고, 그리고, 각각의 접촉부는 받침대 4의 긴쪽방향으로 긴 곡면을 갖추기 때문에, 넓은 곡면끼리의 접촉을 이루며, 충격음이 적어지고 저소음으로 된다.
그리고, 보틀중심축 0의 직하부에 요(凹)부 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 1-8가 요(凹)부 9에 낙하유입됨에 의한 음이나 진동발생부위가 토너수납용기 1내에 있어서 중력에 의해 토너가 존재하고 있는 부위로 되기 때문에, 토너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를 두드리는 것과 같은 구성에 비하여 음이나 진동의 크기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그리고, 이때 돌기 1-8의 면이 토너수납용기 1의 주면에 대하여 법선방향에 있고, 이 돌기 1-8의 면이 수직방향에 있는 받침대 4의 받침면 4-3과 접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돌기 1-8가 하방에 온때에 토너수납용기 1의 주면을 받침대 4로서 확실하게 두드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토너수납용기 1자체는 가요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돌기 1-8주변의 토너수납용기 1의 주면이 받침면 4-3(도 5참조)에 접촉하는 때에 토너수납용기 1의 내측으로 굽혀지거나, 토너수납용기 1자체가 받침면 4-3과 돌기 1-8의 영향을 받아 휘어지거나 하기 때문에, 돌기 1-8가 요(凹)부 9(도 5참조)에 온때에 돌기 1-8주변의 토너수납용기 1의 주면휘어짐이 본래로 복귀하고, 또는 토너수납용기 1의 휘어짐이 원래로 복귀하며, 토너수납용기 1의 주면을 받침대 4로서 확실하게 두드리게 된다.
특히, 토너수납용기 1의 굽음이나 휘어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돌기 1-8의 반경방향의 길이( 원주면에 대하여 법선방향의 높이)를 5∼0.5mm 정도, 바람직하게는 1.5mm로 한다. 이 경우, 지지부와 토너수납용기와의 결합부위의 헐거움 혹은 토너수납용기 저부의 죠인트 3-1와 토너수납용기 1의 철(凸)부 1-2 혹은 철(凸)부 1-2와의 헐거움은, 돌기 1-8의 반경방향 길이보다도 짧게 구성되는 것이 좋고, 1.0∼0.3mm, 바람직하게는 0.5mm로 설정하여두면 좋다. 그리고, 이 토너수납용기 1의 직경은, 40∼100mm정도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면 토너수납용기의 휘어짐이 적절하게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 1-8를 사이에 둔 회전방향 양측의 주면부는 피두드림부를 구성하고, 피두드림부가 토너수납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때에, 이 토너가 존재하는 부위를 두드려서, 토너의 이동이 행하여진다.
다음, 도 33을 이용하여 상술한 토너수납용기로 부터의 토너토출 구조를 설명한다. 도 33에 있어서, 도면 (a),(b),(c),(d) 과, 도면(a'),(b'),(c'),(d')등은, 토너스납용기 150의 정면도와 우측면도 등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면 (a)로 부터 90°씩 회전한 상태를 차례로 나타낸 것이 도면(b),(c),(d)이며, 화살표 K는 토너수납용기 150의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토너수납용기 150는, 토너 151를 수납한 원통형 용기이다. 그 일단에 본체의 직경보다도 적은 직경의 개구부(토출부)152를 갖추고,그 내주면에는 나선부 15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 152가 형성된 단면의 어께부(肩部)내면의 일부에는, 어께부내면과 개구부 152 등을 접속하는 사면부 154가 형성되어 있다. 사면부 154는 어께부 내면으로 부터 개구부 152의 테두리까지 박출(迫出)한 토너들어올리기용의 박출부 154a와, 개구부 152를 따라서 경사져서 형성된 토너 토출용의 개구 박출부 154b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a),(a')의 상태에서는, 나선부 153에 의해 토너수납용기 150의 내주면 하부에 토너 151가 안내되어 오고, 토너수납용기 150가 90°회전하여 도면 (b),(b')에 도시된 상태로 되면, 어께부의 내주면과 박출부 154a와의 경계부가 연직하방으로 위치하며, 안내되어 온 토너 151의 일부가 박출부 154a에 실린다. 그리고, 이 상태로 부터 토너수납용기 150가 화살표 K방향으로 90°회전하여도면(c),(c')에 도시된 상태로 될 때까지의 사이에 박출부 154a가 스푼(spoon)과 같이 토너 151를 개구부 152의 테두리 까지 들어올리고, 그리고 토너수납용기 150가 화살표 K 방향으로 90°회전하여 도면 (d),(d')에 도시된 상태로 되는 전후에서, 박출부 154a상의 토너가 부분적으로 개구박출부 154b로 이동하며, 개구박출부 154b의 경사에 의해서 토너 151가 개구부 152로 부터 토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토출된 토너는, 본체측에 공급되며,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소비된 토너가 보급된다.이 화상형성장치로서는, 예를들면, 후술하는 실시예 2에 의해서 그 상세구조를 설명한다.
실시예 2
상술한 도 33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두드림부를 특정하지 않고 두드리는 경우, 다음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도 33에 있어서, 토너 151가 박출부 154a상에 실린 상태에서 토너수납용기 150를 두드리면, 박출부 154a상에 올려진 토너 151가 진동에 의해서 토너수납용기 150내로 낙하하게 되어 토너토출에 장애가 되고 만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실시예 2에서는, 토너토출을 방해함 없이, 토너수납용기의 내주면에 부착한 토너를 낙하시킴이 가능함과 동시에 토너의 토출을 원활하게 행함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수납용기가 설명된다.
도 14는, 본발명의 실시예 2에 이용되는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부호 121는 본체, 부호 122는 뚜껑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체 121에는 토너보급장치를 포함한 프로세스 유니트가, 뚜껑 122에는 원고를 읽어들이는 광주사장치, 노광광학계등이 각각 조립되어 있고, 이러한 본체 121와 뚜껑 122등으로서 화상형성장치 300가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스 유니트는 도 15,도 16,도 18,도 19에 부호 40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한 유니트를 구성하고 있고, 본체 121의 프레임내에 취부되어 있다. 도 14에 있어서, 본체 121의 일단측 및 뚜껑 122의 일단측에는 각각 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지지부재를 관통하는 축에 의해서, 뚜껑 122이 축선 M-M을 중심으로 본체 121에 대하여 악어입형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부호 125a, 125b는 각각 신축자재한 지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상태에서 뚜껑 122을 지지함이 가능함과 동시에, 뚜껑 122을 닫은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를 해제함으로서 간단하게 줄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 121내에 취부된 프로세스 유니트 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유니트 400는, 토너보급장치 600, 현상장치 1000, 감광체 800 및 그 주변부재 등을 갖는다.
감관체 800의 주위에는, 대전기 12, 전사기 14, 크리닝 블레이드 16, 현상장치 10의 일부를 이루는 현상슬리브 22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사기 14는 프로세스 유니트 400와는 별개로서 본체 121측에 설치되어 있다.
토너보급장치 60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토너수납용기 38의 토너토출구를 받아 넣는 토너수취부 40, 토너수취부 40와 일체로 구성되어 토너수납용기 38를 수용하는 토너수납용기의 받침대 42, 토너수취부 40에 장착된 토너수납용기 38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보틀지지부재 44, 토너수납용기 38의마개 68( 도 18 참조)를 열림상태 혹은 닫침상태로 절환하는 개폐수단, 이 개폐수단으로 작용하여 마개 68를 열림상태 혹은 닫침상태로 지지하는 레버 84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개폐수단은 후술하는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콜레트 척 70, 원통 케이스 72, 축부재 76, 스프링 82, 슬라이드축 86등으로 주로 구성된다.
토너수취부 40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 48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 48의 외면에는 토너보급량을 적정화시키기 위한 탄성을 갖는 보급량 규제부재 50가 배치되어 있다. 토너는 보급량 규제부재 50에 설치된 슬리트 구멍 50a 으로 부터 배출된다.
받침대 42의 후방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 42a와 스프링 42g등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구동기어 42a는, 받침대 42상에 토너수납용기 38(도8)가 재치된 때에, 토너수납용기 38에 설치된 기어 38i에 치차결합하여 토너수납용기 38를 회전시킨다. 스프링 42g은, 토너수납용기 38를 상부측으로 밀어서 구동기어 42a와 기어 38i 등의 치차결합을 확실하게 하도록 한다.
도 20,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수납용기지지부재 44의 선단측에는 복수의 리브 44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리브 44a에는, 마일러(Mylar) 나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압출부재 46가 양면테이프등으로 부착되어 있다. 토너수납용기 지지부재 44의 내벽면에는 리브 44c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이 후술하는 토너수납용기 38의 토출구측으로 설치된 철(凸)편부 38e에 결합하여, 토너수납용기 지지부재 44와 토너수납용기 38등이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콜레트 척(collet chuck) 70은 마개 68를 잡을수 있는 부재이고, 도 18,도 20∼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凸)부 72a를 갖는 원통케이스 72에 내장되어 있으며, 나사 74에 의해서 축부재 76와 일체화 되어 있다. 그리고, 부호 78, 80는 밀봉재를, 부호 82는 신장성의 스프링을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스프링 82은, 원통케이스 72를 토너수납용기 지지부재 44로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레버 84는 합성수지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이 레버 84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기단부(基端部)에 2개의 축부 84a, 84a를, 자유단부에 손잡이 200를 갖추고 있다. 각 축부 84a, 84a에 일체적으로 캠부재 84b, 84b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200의 기단부측의 부위에는,두드림부 20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두드림부 202는, 후술하는 토너수납용기 38의 회전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에 평행으로 설치된 판상의 두드림부재이다.
캠부재 84b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 84b-1, 제 1크릭부 84b-2, 사면부 84b-3,84b-4, 철(凸)부 84b-5, 제 2크릭부 84b-6를 갖추고 있다. 각축부 84a,84a는, 도 20,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수취부 40의 측벽부에 형성된 요(凹) 형의 축지부 40a에 끼워지고, 이것에 의해서 레버 84가 요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하, 개폐수단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84를 토너수취부 40에 취부한 상태 그대로 콜레트 척 70을 스프링 82의 탄성에 저항하여 화살표 T 방향으로 손으로 밀어 넣는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재 76의 구멍 76a을 캠부 84b 보다도 화살표 T측으로 내민 상태에서, 구멍 76a에 슬라이드 축 86을 찔러 넣어 콜레트 척 70의 압입상태를 해제하면, 스프링 82의 탄성력에 의한 원통 케이스 72의 움직임은 토너수납용기 지지부재 44에 당접함으로서 저지되어, 레버 84에는 자중에 의한 모멘트가 작용할 뿐이다. 이때, 슬라이드축 86이 캠부재 84b에 형성된 요(凹) 형의 제 1크릭부 84b-2에 결합한 상태에서, 레버 84가 지지된다.
토너수납용기 38는, 도 8∼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 38a와 용기본체 38a의 일단에 용기본체 38a보다도 적은 직경이 되도록 형성된 토너의 토출부 38g와, 용기본체 38a의 타단근방에 용기본체 38a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기어 38i 등을 갖추고 있다. 용기본체 38a의 내주면에는 나선부 38b가, 그리고, 용기본체 38의 외주면에는 칼날형 부재 38L가 형성되어 있다. 토너의 토출부 38g에는 도 18,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 68가 끼워져 있고, 나선부 38b는, 토너수납용기 38가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한 때에, 용기본체 38a내에 수납된 토너를 타단측인 저부측으로 부터 토너의 토출부 38g 측으로 운반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 38a의 토너 토출부 38g측의 단면 어께부 외주면에는 리브 44c와 결합가능한 철(凸)편부 38e, 38e가, 동일 어께부 근방의 내주면에는 나선부 38b와 토너 토출부 38g 등을 연결하는 사면부 38c,38c가, 용기본체 38a 외주면의 칼날형 부재 38L의 근방에서 타단측에는 두드림부 202와 결합가능한 돌기 38K1,38K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사면부 38c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의 토출부 38g 등의 접속부인 토너낙하위치 38c1와, 나선부 38b와의 접속부인 토너상승준비위치 38c2등을 갖추고 있다. 토너상승준비위치 38c2로 부터 사면부 38c의 중간까지의 부위가 박출부 154a(도 33참조)에 상당하고, 사면 38c의 중간으로 부터 토너낙하위치 38c1까지의 부위가 개구박출부 154b( 도 26참조)에 상당하고 있다. 그리고, 토너수납용기 38가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해서, 용기본체 38a내로 수납된 토너가 도 33에 의해서 전술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토너의 토출부 38g로 부터 배출된다.
용기본체 38a에 일체로 설치된 돌기 38K1는, 그 높이가 칼날형 부재 38L 보다도 낮게 되도록 형성되고, 그 형성위치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수납용기 38가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하여 토너 낙하위치 38c1가 연직하방으로 위치한 때에, 연직상방보다도 약간 회전방향하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돌기 38K2도 용기본체 38a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높이는 돌기 38K1보다도 높으며, 그리고, 칼날형 부재 38L보다도 약간 낮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기 38K2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상승준비위치 38c2가 연직하방으로 위치한 때에, 연직상방보다도 약간 회전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5,도 16에 있어서, 현상장치 1000는, 교반스크류 18,20, 반송스크류 21, 현상슬리브 22 등을 갖추고 있다. 교반스크류 18, 20에는 1/2 타원판이 비스듬하게 다수 설치되어 있다. 그 회전에 의하여 현상제를 축방향으로 반송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 현상제는, 토너를 포함하며 그 상세내용은 후술한다. 반송스크류 21는 스크류 콘베이어이고, 도 1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축 21a의 연장상에서 감광체 800의 측부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크리닝 블레이드 16에서 긁어 떨어진 토너를 축 21a방향으로 송출하는 작동을 한다.
도 16에 도시된 축 21a과, 교반 스크류 20의 축부 20a에는 각각 풀리가 설치되고, 이러한 풀리사이에는 도 15에서 부호 26로 나타낸 토너 리싸이클 벨트가 걸려 있으며, 이 토너 리싸이클 벨트 26의 둘레를 도 19에 부호 25로서 도시한 커버가 덮여져 있다. 따라서, 이 커버 25로서 덮여진 공간내에서, 반송스크류 21에 의해 축방향으로 송출된 토너는, 토너리싸이클 벨트 26에 의해서 통부 20b를 경유하여 교반스크류 20측으로 이송된다.
한편, 도 15에 있어서, 교반스크류 20의 우측 경사 상부에는,토너수납용기 38로 부터의 신규토너가 토너수취부 40를 경유하여 공급된다. 토너수납용기 38의 토너토출부 38g로 부터 토너수취부 40로 유출된 토너는(화살표 H), 토너수납용기 지지부재 44의 압출부재 46에서 눌리워지며(화살표 Q), 개구부 48, 토너량 규제부재 50의 슬리트 구멍 50a을 통과하여(화살표 P) 교반 스크류 20의 경사면 상부로 보급된다.
교반 스크류 20에 공급된 신규 토너의 그 후 흐름을 설명하면, 도 16에 있어서, 스크류 구멍 50a으로 부터 유출된 토너는 교반 스크류 20의 회전에 의해서 토너리싸이클 벨트 26로 부터의 토너와 동시에 화살표 M의 방향으로 이송되며, 칸막이판 124의 단부개구 124a로 부터 교반스크류 18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교반스크류 18의 회전에 의해서 화살표 N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사이에 현상슬리브 22로 공급된다. 나머지 토너는 화살표 N의 방향을 이송되며, 칸막이판 124의 단부개구 124b로 부터 교반스크류 20측으로 이동하며, 토너수납용기 38로 부터의 신규토너나토너리싸이클 벨트 26로 부터의 토너에 합류한다. 이상의 순환을 반복하면서 현상이 이루어진다.
현상슬리브 22는, 내부에 5극의 자석을 배치한 고정축을 갖추고, 이 외주면을 비자성의 파이프재로서 덮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파이프재가 회전함으로서 현상제가 현상슬리브 22상을 이동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현상제는, 캐리어(carrier)와 토너로 구성되는 2성분현상제이다. 현상제는, 교반스크류 18, 20으로 교반되면서 순환하고, 이것에 의해서 토너가 전하를 갖추며, 캐리어에 부착하여 감광체 800의 표면까지 운반되며, 정전기력의 작용으로서 감광체 800에 부착한다.
이 현상제내에, 캐리어는 순환하지만, 토너는 감광체 800상의 화상부분으로 부착함에 의해서 소비된다. 이 때문에, 토너농도센서 28의 출력에 따라서, 토너수납용기 38로 부터 토너의 공급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감광체 800로의 현상제 공급량을 일정하게 하지 않으면, 화상농도 불량이나 농도 얼룩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현상제의 유입량을 규제하고자 독터 블레이드 24가 배치되어 있다.
상형성 동작은 다음과 같이 행하여 진다.
도 15에 있어서, 감광체 800는 제전기에 의해서 제전되며, 표면전위가 0∼-150V의 기준전위로 평균화된다. 다음으로 대전기 12에 의하여 대전되며, 표면전위가 -900V전후로 된다. 다음에 뚜껑 122에 설치된 노광광학계에 의해서 노광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이 정전잠상은 현상슬리브 22로 부터 공급되는 토너에 의해서 가시상화된다. 그 후, 토너상이 형성된 감광체 800가 회전하며, 이 토너상이 도시되지 않은 급지부로 부터 이송되는 전사지에, 전사기 14의 부위에서 전사된다. 전사후의 전사지는 정착부에서 정착된후, 장치외로 배출된다.
한편, 전사후의 감광체 800는 더욱 회전을 계속하고, 크리닝 블레이드 16에서 잔존토너가 제거되어 다음의 화상형성에 대비한다. 크리닝 블레이드 16에서 제거된 토너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리싸이클 벨트 26에 의해서 교반 스크류 20로 이송되어 다시 현상을 위해 공급된다.
도 19는, 토너보급장치 600에 토너수납용기 38가 장착된 상태의 프로세스 유니트 400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토너수납용기 38의 토출부 38g측이 토너수취부 40로 삽입되어, 그 어께부는 리브 44c에 눌려접촉되고, 그리고, 그 저부는 스프링 42g(도 16참조)에 압압되어 기어 38i와 구동기어 42a등이 치차결합하는 올바른 상태로 받침대 42에 장착되어 있다. 토너수납용기 38가 마개닫침상태(도 21의 상태)의 시작에서, 레버 8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사면부 84b-3,84b-4를 따라서 슬라이드 축 86이 화살표 T방향으로 이동하고(도 22참조), 콜레트 척 70이 철(凸)부 72a에 접촉하여 닫혀진다. 이 과정에서, 콜레트 척 70은 마개 68을 집어 인출한다.
그리고, 슬라이드축 86이 철(凸) 부 84b-5를 넘어서 제 2클릭부 84b-6에 위치하는 때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 68를 열은 상태로 되며, 레버 84의 회동동작을 멈추어도 스프링 82의 탄성에 의해 제 2클릭부 84b-6에서 슬라이드 축 86의 위치가 지지된다. 이 상태는,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버 84가 내려진 마개개방위치(開搖動態位)에 상당한다. 상기 마개개방위치에 있어서 레버 84의 자유단부는, 도 24에 나타난바와 같이, 손잡이 200가 토너수납용기 38의 주면근방에 위치하는 관계이며, 토너수납용기 38와 함께 회전하는 각 돌기 38K1,38K2의 회전궤적과 두드림부 202의 위치등이 합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 24, 도 31에 있어서, 이 레버 84의 두드림부 202의 위치는 토너수납용기 38의 상부보다도 상기 토너수납용기의 회전방향 하류측( 상류측에서도 가능)에 어긋난 위치, 즉 도 24의 예에서는, 토너수납용기 38를 저측에서 본때, 시계의 문자판으로 말하면, 11시의 위치이다.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토너수납용기 38의 주면에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주면을 피하여, 경사방향의 주면을 레버 84로서 두드리도록 한다. 이 도 31에서와 같이 경사방향으로 레버 84의 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서, 레버 84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강도를 충분하게 얻음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레버의 두께에 의하여 발생하는 높이방향이나 횡방향의 공간을 여분으로 필요로 하지 않고, 소공간화를 도모함이 가능하다.
레버 84가 마개개방위치에 있는 때, 두드림부 202는 회전하는 각 돌기 38K1,38K2와 주기적으로 결합(간섭)하는 관계이다. 레버 8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단측을 지지점으로서 휘어짐에 의해서 자유단측을 들어올림이 가능하다. 두드림부 202는 토너수납용기 38의 회동동작에 대응하여 각 돌기 38k1, 38K2상에 올려 놓여지고, 각 돌기 38K1,38K2를 통과하는 때에 용기본체 38a상에 낙하하여, 용기본체 38a의 외주면을 두드린다.
여기서, 레버 84는 토너수납용기 38를 두드리는 두드림부재를 겸용하게 된다. 이 두드리는 때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용기본체 38a의 내주면에 막혀 있는 토너가 풀리게 되고, 나선부 38b를 따라서 토너가 유동하여 토너보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지만, 본 예에서는, 도 11(b),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낙하위치 38c1 및 토너상승준비위치 38c2가 연직하방으로 위치한 때에 두드림부 202가 용기본체 38a를 두드리기 때문에 토너토출부 38g로 부터의 토너토출 보조동작(手助)을 행함이 가능함과 동시에, 토너토출부 38g로의 토너들어올림을 보다 양호하게 행함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돌기 38K1,38K2의 법선방향 길이(높이)를 각각 다르게 하고 있다. 예를들면, 돌기 38K1의 높이를 돌기 38K2의 높이 보다도 낮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 토너의 토출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토너의 공급과다에 의한 화상불량 등의 문제점 발생을 방지함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돌기 38K1,38K2의 높이는 두드림부 202에 의한 두드림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도록 소정의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토너수납용기 38의 회전에 의해서, 용기본체 38a내의 토너가 나선부 38b를 따라서 이동하고, 토너의 토출부 38g로 부터 토너가 토출된다. 토너수취부 40내로 토출된 토너는 압출부재 46에 의해서 떠올려지며, 슬리트 구멍 50a을 통과하여 현상장치 1000로 공급된다.
이 현상장치 1000는 토너온도를 검지하는 토너온도센서 28를 갖추고 있다. 상술한 토너보급은, 토너농도센서 28에 의하여 검지된 현상장치 1000내의 토너농도에 기초하여 행하여진다. 토너농도센서 28의 검출결과가 기준치이하의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을 작동시켜서 기어 42a에 의해서 토너수납용기 38를 회전시키고, 토너를 보충한다.
레버 84를 상술한 동작에 대하여 역으로 복귀시킴에 의해서, 슬라이드 축 86이 화살표 T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 이동에 대응하여 캠부 86b가 슬라이드 축 86을 제 1클릭부 84b-2로 위치시킨 도 21로 나타낸 위치로 복귀한다. 이것에 의해서, 마개 68는 닫친상태로 복귀한 위치에서 레버 84가 지지된다. 이 상태는,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버 84가 상승된 마개닫침위치(閉搖動態位)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레버 84는 마개개방위치와 마개닫침위치등의 2가지 요동위치를 갖추는 개폐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마개개방위치에서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마개 68를 열은 상태로 지지하고, 마개닫침위치에서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 68를 닫은 상태로 지지한다. 여기서, 토너수납용기 38의 교환수순을 설명한다.
1.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가 충진되어 있는 새로운 토너수납용기 38의 외측 마개 38h를 벗겨서 장착준비를 한다. 마개 38h를 벗겨도, 토너수납용기 38에는 아직 마개 68가 끼워져 있다.
2.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122을 닫은 상태에서 계지되어 있는 계지레버 122a를 해제하여 뚜껑 122을 연다. 뚜껑 122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 125a, 125b에 의해서 열림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레버 84는, 도 19에 도시된 쓰러진 마개개방위치이고, 슬라이드축 86은 제 2클릭부 84b-6에 결합하고 있다.
3.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8를 일으켜 세우고, 레버 84를 마개닫침위치로 위치시킨다. 이 일으켜 세움 동작의 과정에서 개폐수단이 닫침상태로 절환되며, 슬라이드 축 86은 제 1클릭부 84b-2에 결합하여 레버 84가 지지된다.
4.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게 되는등, 교환하고자 하는 토너수납용기 38를 토너보급장치 600로 부터 취출한다.
5. 도 18,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서 1에 있어서 준비된 새로운 토너수납용기 38를 토너보급장치 6로 장착한다. 장착상태에 있어서, 토너수납용기 38는 받침대 42내에 수납되고, 토출구 38g측부분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어께부가 리브 44c에 당접 결합하며, 저측부분은 도 16에 도시된 스프링 42g에 의해 압압된다.
6.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84를 낮춰서 다시 마개개방위치로 위치시킨다. 이후, 지주 125a,125b의 스토퍼를 해제하여 뚜껑 122을 닫는다. 이것에 의해서 새로운 토너수납용기 38로 부터 토너의 보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두드림부 202를 토너수납용기 38의 외주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하면,토너수납용기 38가 회전하는 때에 활주이동하게 되어 토너수납용기 38의 회전시에 저항을 발생시키고, 그리고 너무 이격시키면 두드림작용이 불충분하게 되기 때문에, 근접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한다.
그런데, 레버 84를 탄성 혹은 가요성부재로 하고, 레버 84의 두드림부 202가 토너수납용기 38의 돌기 38K1,38K2에서 들어올려지면 레버 84가 휘어지고, 그후의 토너수납용기 38의 회전에 의해서 돌기 38K1, 38K2와 두드림부 202가 분리되면, 레버 84가 주면을 타격하는 정도로 복귀하기 때문에, 두드림부 202가 토너수납용기 38의 주면에 접촉하여 진동을 부여함이 가능하다. 따라서, 레버 84는 ABS혹은 폴리카보네이트 혹은 폴리스틸렌을 이용하여 레버 84의 두께를 10∼20mm 바람직하게는 15mm정도로 하며, 이 레버 두드림부 202로 부터 레버 84의 회전축(축부 84a)까지의 길이를 150∼80mm 바람직하게는 100mm정도로 하고 있다. 그리고, 토너수납용기의 돌기 반경방향 길이(돌기의 높이)보다도 비접촉식인 토너수납용기의 주면으로 부터 누름부 202까지의 거리를 적게하고 있다. 물론, 레버 84측을 탄성 혹은 가요성이 없는 구조로 하고, 토너수납용기 38자체를 탄성 혹은 가요성의 부재로 하여 돌기 38K1,38K2의 부위를 레버 84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변형시켜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으로 하지 않는 경우, 요컨데, 레버 혹은 토너수납용기를 탄성 혹은 가요성의 재료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두드림부 202를 토너수납용기 38에 근접(비접촉)상태로 한다.
그러나, 그러한 두드림부 202를 토너수납용기 38에 근접(비접촉)상태로 하여도 여전히, 서로 떨어진 상태로 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각 돌기 38K1, 38K2를 넘어선 후, 토너수납용기 38를 두드리는 것은 어렵다. 여기서, 각 돌기 38K1, 38K2의 직후의 면( 두드림부 202에 두드려지는 면이기 때문에, 이하, 충격면이라한다)을 각 돌기 38K1,38K2의 높이 보다도 낮은 높이로서, 용기본체 38a 보다도 높게 형성하여 둔다. 이와 같이 하면, 각 돌기 38K1,38K2를 넘어선 직후에 있어서, 두드림부 202는 이 충격면(도 32에 부호 38Ka1으로 표시)을 두드리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두드림부 202를 토너수납용기의 주면에 활주접촉시키는 경우는, 활주접촉(밀어주는힘)시키는 압력을 조정하거나, 활주접촉면에 마찰계수가 적은 부재를 이용한다는가 윤활제를 도포함에 의해서, 토너수납용기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두드림부재 202에 의해서 두드려지는 토너수납용기 38의 피두드림부는, 두드림부재(손잡이 200), 적어도 두드림부 202 보다도 내마모성이 떨어지는 재질을 선택함으로서 두드림부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 1의 경우에서도 동일하다고 말할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토너수납용기 38를 받침대 42에 재치하여 레버 84를 내려 고정하고, 이 레버 84에 두드림부 202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특개평 8-95361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에 고정된 탄성을 갖는 스토퍼를 토너수납용기의 칼날상 부재에 결합시켜서 토너수납용기를 고정하고, 이 스토퍼에 두드림부를 설치한 구성의 화상형성장치에서도 본 발명의 토너수납용기를 적용함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0)

  1.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를 장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의 하부를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받치는 받침대를 이용하여 두들겨서 상기 토너수납용기 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청구항 1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회전하는 상기 원통형상의 주면부에 두드림부재와 결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청구항 1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상을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하는 상기 원통형상의 주면부에 두드림부재와 결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를 장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상기 토너수납용기내의 토너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긴면을 갖는 면으로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받치는 받침대를 이용하여 두드려서 상기 토너수납용기 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청구항 4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상을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하는 상기 원통형상의 주면부에 두드림부재와 결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청구항 4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상을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하는 상기 원통형상의 주면부에 두드림부재와 결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를 장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2개소에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받치는 받침대를 이용하여 두드려서 상기 토너수납용기 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청구항 7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상을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하는 상기 원통형상의 주면부에 두드림부재와 결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청구항 7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상을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하는 상기 원통형상의 주면부에 두드림부재와 결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를 장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두드리는 두드림부재가 토너수납용기보다도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이고, 상기 두드림부재로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두드려서 상기 토너수납용기 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며, 상기 두드림부재는 교환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청구항 10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상을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하는 상기 원통형상의 주면부에 두드림부재와 결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청구항 10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상을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하는 상기 원통형상의 주면부에 두드림부재와 결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청구항 10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두드리는 두드림부재는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받아들이는 받침대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청구항 13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상을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하는 상기 원통형상의 주면부에 두드림부재와 결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를 장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레버로서 두드려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청구항 15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하는 상기 원통형상의 주면부에 두드림부재와 결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를 장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이고, 상기 토너수납용기의 주면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주면을 피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레버로서 두드려서 상기 토너수납용기 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청구항 17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하는 상기 원통형상의 주면부에 두드림부재와 결합하는 돌기를 설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청구항 2,3,5,6,8,9,11,12,14,16 또는 18 중 어느 한항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면부와 상기 두드림부재등은 비접촉식으로서, 상기 두드림부재는 가요성 혹은 탄성을 갖추며, 상기 토너수납용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주면부와 두드림부재등이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청구항 2,3,5,6,8,9,11,12,14,16 또는 18 중 어느 한항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면부와 상기 두드림부재등은 비접촉식으로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가요성 혹은 탄성을 갖추고, 상기 토너수납용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주면부와 두드림부재등이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청구항 2,3,5,6,8,9,11,12,14,16 또는 18 중 어느 한항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복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청구항 21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돌기의 법선방향의 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청구항 1,4,7 또는 13중 어느 한항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에 대하여 상기 받침대는 계합부를 이용하여 활주이동가능하고, 상기 계합부의 극간 일방향에 상기 받침대를 누르는 누름수단을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청구항 23기재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수단은, 상기 받침대를 탄성적으로 누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에는 하부에 피두드림부를 갖추고, 상기 피두드림부가 두드려짐에 의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26.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에는 상기 토너수납용기내의 토너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긴면을 갖는 피두드림부를 갖추며, 상기 피두드림부가 두드려짐에 의해서, 상기 토너 수납용기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27.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에는 피두드림부가 2개소 있고, 상기 피두드림부가 두드려짐에 의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28.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피두드림부를 갖추고, 상기 피두드림부는 상기 피두드림부를 두드리는 두드림부재보다 내마모성이 떨어지는 재질이며, 상기 피두드림부가 두드려짐에 의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29.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에는 상기 토너수납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레버로서 두드려지는 피두드림부를 갖추며, 상기 피두드림부가 두드려짐에 의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30. 토너를 수납한, 개구부를 갖는 토너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는 원통형이고, 상기 토너수납용기의 주면에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주면부를 피한 위치에 피두드림부를 갖추며, 상기 피두드림부가 두드려짐에 의해서, 상기 토너수납용기내벽의 토너를 이동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수납용기.
KR1019980000356A 1997-01-10 1998-01-09 화상형성장치및토너수납용기 KR100327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5597 1997-01-10
JP9-003155 1997-01-10
JP2657597 1997-02-10
JP9-026575 1997-02-10
JP9-341266 1997-12-11
JP34126697A JP3535721B2 (ja) 1997-01-10 1997-12-11 トナー補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423A KR19980070423A (ko) 1998-10-26
KR100327958B1 true KR100327958B1 (ko) 2002-05-10

Family

ID=3285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356A KR100327958B1 (ko) 1997-01-10 1998-01-09 화상형성장치및토너수납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70290A (ko)
JP (1) JP3535721B2 (ko)
KR (1) KR100327958B1 (ko)
CN (1) CN1129039C (ko)
HK (1) HK10154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40299B (ko) 1992-12-30 1995-02-11 Ricoh Kk
CN1133101C (zh) 1999-02-08 2003-12-31 株式会社理光 显影装置
JP3959222B2 (ja) 1999-05-06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70387B2 (ja) 1999-06-21 2008-04-0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159848A (ja) 1999-12-01 2001-06-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CN1900837B (zh) 2000-02-17 2012-10-03 株式会社理光 墨粉收纳容器、补给墨粉的方法及墨粉补给装置
US6289182B1 (en) 2000-02-18 2001-09-1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toner bottle types, stirring toner, and detecting the amount of remaining toner
US6256470B1 (en) * 2000-02-18 2001-07-0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device for use in image forming system and toner cartridge for use therein
US6334037B1 (en) 2000-02-18 2001-12-2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3868192B2 (ja) 2000-07-13 2007-01-1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該現像装置へのトナー収容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958511B2 (ja) 2000-09-28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227372A1 (en) 2001-01-30 2002-07-31 Ricoh Company, Ltd. Toner scatter preven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1626315A3 (en) 2001-01-31 2006-08-02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2216690B1 (en) 2001-02-19 2012-05-09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JP4342742B2 (ja) 2001-04-16 2009-10-14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該トナー補給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3177604A (ja) * 2001-12-11 2003-06-27 Ricoh Co Ltd トナー飛散防止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71225B2 (ja) * 2002-02-19 2008-10-22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複写機及び複合機
JP4200039B2 (ja) * 2002-04-25 2008-12-2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該現像装置を有す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ら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US6813467B2 (en) * 2002-06-03 2004-11-0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139031A (ja) 2002-09-24 2004-05-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補給用トナー収容器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226695A (ja) * 2003-01-23 2004-08-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用現像装置の軸受シール構造、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83898B2 (ja) *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81833B2 (ja) * 2003-09-19 2011-05-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5221825A (ja) * 2004-02-06 2005-08-18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トナー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656561B2 (ja) * 2004-03-05 2011-03-2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トナー補給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373288B2 (ja) * 2004-06-16 2009-11-25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US7457570B2 (en) * 2004-08-06 2008-11-25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magnetic brush developing system using a two-component developer comprising toner and carrier
US7720416B2 (en) 2004-08-16 2010-05-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toner bottl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ton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09730B1 (ko) 2005-04-27 2008-03-0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토너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TWI332606B (en) * 2005-06-07 2010-11-01 Ricoh Co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76851B2 (ja) * 2005-10-07 2009-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
JP4805073B2 (ja) * 2006-09-15 2011-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050597B2 (en) * 2006-11-09 2011-11-01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having a gear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203367A (ja) * 2007-02-16 2008-09-04 Sharp Corp 現像剤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26392B2 (ja) 2007-12-25 2013-10-30 株式会社リコー シャッタ機構、粉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80993B2 (ja) * 2008-01-11 2010-11-17 シャープ株式会社 流動体収容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019252B2 (en) * 2009-02-26 2011-09-13 Fuji Xerox Co., Ltd. Removable member-hol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40759B2 (ja) * 2010-02-22 2014-07-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トナー収納容器、及びトナー収納容器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534431B2 (ja) 2010-06-14 2014-07-02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9063463B2 (en) * 2012-11-30 2015-06-23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dvanced toner dispensing from rotating toner cartridge components
KR101699196B1 (ko) * 2013-03-14 2017-01-23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토너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6683943B2 (ja) * 2015-10-07 2020-04-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48326B2 (ja) * 2016-07-22 2021-03-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7643661B (zh) * 2016-07-22 2020-06-16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显影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TWI665532B (zh) * 2017-10-13 2019-07-11 上福全球科技股份有限公司 Toner cartridge
CN109188877B (zh) * 2018-10-16 2021-03-12 北京辰光融信技术有限公司 一种激光打印机墨盒专用墨粉自动处理系统
CN109298614B (zh) * 2018-10-16 2021-02-02 济南蓝海印刷有限公司 一种激光打印机墨盒内墨粉快速高效分离设备
JP7375400B2 (ja) * 2019-09-17 2023-11-08 株式会社リコー 保持部材、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9878A (ja) * 1983-01-17 1984-07-26 Fuji Xerox Co Ltd 現像器の現像剤片減り防止装置
US4650312A (en) * 1985-11-15 1987-03-17 Xerox Corporation Residual toner removal and collection apparatus
JPS6375769A (ja) * 1986-09-19 1988-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ナ−補給装置
US4974023A (en) * 1988-06-23 1990-11-27 Sharp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for copier
US5416568A (en) * 1991-07-09 1995-05-16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uni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TW240299B (ko) * 1992-12-30 1995-02-11 Ricoh Kk
JP3209834B2 (ja) * 1993-07-06 2001-09-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0764384A (ja) * 1993-08-31 1995-03-10 Sharp Corp トナー補給装置
JP3261238B2 (ja) * 1993-11-19 2002-02-2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納容器
JP3238998B2 (ja) * 1993-12-15 2001-12-1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95361A (ja) * 1994-09-20 1996-04-12 Ricoh Co Ltd 容器内壁トナー付着防止装置
JP3364632B2 (ja) * 1994-11-08 2003-01-0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JPH0980883A (ja) * 1995-09-18 1997-03-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現像剤補給装置
JP3311554B2 (ja) * 1995-10-11 2002-08-0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JP3311556B2 (ja) * 1995-10-18 2002-08-05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70290A (en) 1999-10-19
CN1189639A (zh) 1998-08-05
KR19980070423A (ko) 1998-10-26
JP3535721B2 (ja) 2004-06-07
CN1129039C (zh) 2003-11-26
HK1015472A1 (en) 1999-10-15
JPH10282780A (ja) 199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958B1 (ko) 화상형성장치및토너수납용기
JP3875743B2 (ja) 現像装置及びトナーボトル
JP3509385B2 (ja) トナーボトル
JP3403132B2 (ja) トナー撹拌翼及びトナー補給容器
EP0813121B1 (en)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JP3680479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その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に用いられ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7295798B2 (en) Develop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3927767B2 (ja)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容器の再生方法
EP1324157B1 (en) Developer recovery container
JP3507377B2 (ja) 現像剤補給容器の梱包形態
US4813531A (en) Developer transport apparatus
JPH0895361A (ja) 容器内壁トナー付着防止装置
JP4310242B2 (ja) 現像剤補給容器
US20050008416A1 (en) Toner draining mechanism, collecte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239969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この現像装置に用いられ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または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907273B2 (ja) トナー補給方法及びトナー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197783A (ja) トナーボトル
JP3913719B2 (ja) トナーボトル
JP2003287946A (ja) トナーボトル
JP4011831B2 (ja) トナー補給容器
JPH08110695A (ja) 現像装置
JP3708705B2 (ja) トナー補給装置
JP2019061001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889477B2 (ja) トナー補給装置
JP3488342B2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トナーボ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