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128B1 - 화상형성장치용급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용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128B1
KR100310128B1 KR1019980049262A KR19980049262A KR100310128B1 KR 100310128 B1 KR100310128 B1 KR 100310128B1 KR 1019980049262 A KR1019980049262 A KR 1019980049262A KR 19980049262 A KR19980049262 A KR 19980049262A KR 100310128 B1 KR100310128 B1 KR 10031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original
stack
raising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5344A (ko
Inventor
히토시 하토리
히로시 후까노
히로시 쿠보
모또가쯔 다마오끼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4167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79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167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608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306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661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163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37771A/ja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90045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ntrolled by height of p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2Removing sheets from a stack or inputting med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28Separating, e.g. preventing feeding of two sheets at a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687Presence or absence
    • H04N1/00692Ab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5Height, e.g. of stac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7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ve to the original handling
    • G03G2215/00337Document set detector

Abstract

복사기, 펙시밀리 장치 또는 유사한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최초 복사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급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원고더미가 테이블위에 놓여질 때 세트 센서가 상기 원고들을 감지한다. 상기 세트센서의 결과적인 출력에 반응하여, 급지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원고더미의 최상부가 픽-업 롤러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원소상승부재는 상승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DOCUMENT FEED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페시밀리장치, 스케너 또는 이와 유사한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초 복사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급지장치(document feeder)에 관한 것이다.
급지장치는 통상 원고를 이송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위에 올려져 있으며 화상정보는 상기 원고로부터 판독되어질 수 있다. 상기 급지장치는 원고더미를 싣고있는 테이블, 원고이송부 및 원고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고이송부는 상기 테이블위에 쌓여진 원고들을 하나씩 상기 장치의 몸체위에 올려진 유리 플레턴(grass platen)으로 이송하고, 판독된 각 원고를 상기 배출부로 이송한다.
예를들면, 일본 특개평 9-166831호는 급지시에 원고들이 실려진 테이블을 올릴 수 있는 급지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원고들은 상기 테이블로부터 하나씩 이송부에 의해 급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급지장치에 있어서, 급지방향으로 최종의 원고의 끝단이 급지수단으로부터 벗어나자마자 상기 원고상승부재는 하강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 문제점은 위로 이동하기 시작한 상기 원고상승부재가 미리 선택된 급지위치에 도달할때까지 급지동작이 시작될 수 없다는데 있다. 그러므로, 상기 급지장치는 최초 복사시간, 다시 말하면 최초복사물이 배출되는데 요하는 시간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최초 복사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원고상승부재는, 원고감지수단이 상기 테이블위에 세트된(set) 상기 원고들을 감지하자마자 상승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작업자가 정확하게 상기 원고들을 세트하지 않을 때 하자있는 급지가 발생하기 쉽다는 또다른 결점을 초래한다. 더욱이, 상기 원고상승부재가 올려진 후에 작업자가 다른 원고들을 추가하는 것이 어렵다.
급지가 진행중에 상기 급지장치의 동력스위치가 꺼졌다고 가정해 보자. 그땐 상기 원고상승부재는 그를 구동시키는 기구에 따라 그 상승된 위치에서 정지한다.이는, 만일 사람이 상기 원고상승부재를 하강시키기 위한 여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 뒤에 동력스위치를 켜는 사람이 원고을 세트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또한, 상기 원고상승부재가 잼(jam) 발생시 그 상승된 위치로 있으면, 잼(jam)된 원고는 쉽게 제거될 수 없다.
SADF(Semi Automatic Docement Feeder; 반자동급지장치)모드는 원고가 손으로 상기 테이블위에 세트된다면 자동적인 급지를 위해 종래의 급지장치에 채용가능하다. 종래의 SADF 모드에 관한 문제점은, 상기 원고상승부재가 원고의 부재(absence)를 지적하는 상기 원고감지수단의 출력에 대응하여 하강되어질 때, 상기 부재의 상승-하강운동에 요하는 시간의 주기가 증가되며, 복사작업을 늦춘다는데 있다.
또한, 얇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연한 원고급지가 있을 때, 최종 원고 또는 밑바닥 원고는 급지방향으로 그들의 선단에서 아래로 걸리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원고들은 하자있는 급지 때문에 이송경로를 겹치게 하거나 막히게 하기 쉽다. 이러한 현상은 또한 상기 테이블위에 쌓여진 원고들이 아래로 휘어져 있을때도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들은 일본 특개평 8-101460, 8-268571 및 9-175667호들에서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작업자가 원고상승부재를 상승시키는 동안 원하는 모드(mode)를 선택할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작업자로하여금 정확하게 원고들을 세팅하기 위해 요하는 충분한 시간주기와, 최초 복사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 급지장치가 들어 올려졌을 때 원고들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동력상승시 원고상승부재를 그 최저위치로 하강시키므로써 원고세팅을 향상시키는 급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잼(jam) 발생시 원고상승부재를 하강시킴에 의해 잼(jam) 된 원고 제거를 향상시키고, 잼(jam)된 원고의 제거후 원고세팅을 용이하게 하는 급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원고감지수단이 원고가 없음을 감지했을 때 원고상승부재를 급지위치와 최저위치사이의 중간위치로 낮추고, 이에 의해 SADF 모드에 있어 복사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은, 심지어 아래로 휘어진 원고라도 그것이 접촉부재(abutment member)를 통하여 지나갈 때 겹침(folding)과 같은 어려움이 일어남을 방지할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여덟 번째 목적은,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급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아홉번째 목적은, 심지어 연한 원고나 그 선단에서 아래로 휘어진원고들도 확실하게 급지할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3의 급지장치와 공통하는 급지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상기 급지장치를 들어올리는 기구를 나타낸다.
도 3은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포함된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6은 상기 실시예 1에서 가능한 특별한 급지절차를 각각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은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예 2의 특정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상기 실시예 3에서 포함된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예 3의 특정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은 종래의 급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와 12B는 각각 아래로 휘어진 특정 원고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급지장치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상기 제 4실시예에 포함된 원고세팅부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상기 원고세팅부의 계획도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예 4에 포함되는 접촉부재를 나타낸다.
* 도면에 대한 간단한 부호의 설명*
1....... 급지장치 2.......몸체
5....... 원고 6.......테이블
7....... 저판 8........픽-업 롤러
9........분리 밸트 14.......제 1급지센서
15.......제 2급지센서 21.......세트 센서
27.......리프트-업 센서 34.......저판 센서
40.......급지부 50.......이송부
60.......배출부 70.......적재부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는 급지시작 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부(inputting section)를 포함한다. 적재부(stacking section)는 원고더미로 채워져 있다. 원고센서(docement senser)는 상기 적재부위에 세트된 원고더미를 감지한다. 원고상승부재(document raising member)는 급지방향에 대하여 상기 원고더미의 선단부를 미리 선택된 위치로 상승시킨다. 제어기(controller)는 상기 원고센서의 출력과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원고상승부재의 요구되는 작업시간 타이밍에 기초한 급지시작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온도상승부재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는 원고더미로 채워진 적재부를 포함한다. 원고센서는 상기 적재부위에 세트된 원고더미를 감지한다. 원고상승부재는 급지방향에 대하여 상기 원고더미의 선단부를 최상부의 원고(top document)가 픽-업(pick-up) 부재에 접촉하는 미리 선택된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급지부(feeding section)는 급지가 진행되는 동안 연속하여 원고들이 상기 적재부위에 적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적재부에 연결된다. 이송부(conveying section)는 상기 원고의 판독하기 위해 상기 급지부로부터 화상판독부(image reading section)까지 공급된 각각의 원고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급지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원고상승부재는 동력상승시에 그 최저위치로 하강되어 진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과 그밖의 목적, 특징 및 잇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급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을 구체화하고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된 급지장치는 도 1~3에 묘사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급지장치(이하, 'DF'라 한다) 1은 일반적으로 복사기나 이와 유사한 화상형성장치(이하, 몸체라 한다) 2의 위에 올려져 있다. 상기 DF 1은 일반적으로 적재부(70), 공급/분리(feed/sepa ration) 기구를 포함하는 급지부(40), 이송부(50) 및 배출부(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DF 1은 상기 몸체 2위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복사시작 버턴이 눌러질 때 상기 몸체 2로부터 복사시작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입력수단(inputt ing means)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 70은 원고더미나 용지 5로 채워진 테이블 또는 적재수단 6을 포함한다. 세트센서(set sensor) 또는 원고감지수단 21은 상기 테이블 6위에 세트된 상기 원고 5에 반응한다. 픽-업 롤러 또는 피킹수단(picking means) 8은 상기 테이블 6으로부터 최상부 원고(top document)를 급지하기 위하여 상기 테이블 6위에 위치한 최상부 원고위에 설치되어 있다. 저판(bottom plate) 또는 원고상승수단(document raising means)7은 상기 테이블 6위에 존재하는 원고더미 5의 선단부를 상승시켜 상기 최상부 원고가 상기 픽-업 롤러 8에 접촉되어진다. 저판센서(bottom plate sensor) 34는 급지방향으로 상기 저판 7의 선단부가 미리 선택된 최저위치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급지센서(first feeding sensor)14, 제 2급지센서 15, 상기 세트센서 21 및 리프트-업 센서(lift-up sensor) 27은 CPU(중앙처리장치) 29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CPU 29는, 상기 센서들의 출력에 반응하여, 구동모터(moter driver: transistor array) 35d로 하여금 저판모터(bottom plate moter) 33을 구동하여 상기 저판 7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판모터 33은 스탭핑모터(stepping moter)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급지부 40은 상기 픽-업 롤러 8 이외에도 분리벨트 9, 분리 롤러 10, 제 1이송롤러 11 및 제 2이송롤러 12를 포함한다. 상기 CPU 29는 구동모터 35d로 하여금 급지모터(feed moter) 30을 경유하여 상기 롤러 8, 벨트 9 및 롤러 10~12를 구동하도록 하는데, 이는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탭핑 모터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제 1센서 14와 제 2센서 15는 각각 급지방향으로 상기 제 1이송롤러 11과 제 2이송롤러 12의 상류쪽과 하류쪽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14와 15는 광반사형(optical reflection type) 센서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번호 24는 일반적으로 분리부(separation section)를 나타낸다.
상기 이송부 50는 고무와 직물로 형성된 영구벨트인 이송벨트 3을 포함한다. 상기 CPU 29는 이송모터 31로 하여금 구동모터 31b을 경유하여 상기 이송벨트 13을 구동하도록 한다. 상기 벨트 13은 원고 스케일(document scale)과 유리 플래턴 19에 접촉되어 있다. 원고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 상기 벨트 13과 유리 플래턴 19에 이를 때, 상기 벨트 13과 플래턴 19는 상기 유리 19와 원고, 상기 벨트 13과 원고사이의 마찰계수의 차이 때문에 그들 사이로 원고를 이송한다. 상기 원고 스케일 20은 상기 유리 플래턴 19의 상부 표면보다 그 높이가 미세하게 높다. 원고는 그 일단에서 상기 원고 스케일 20에 접촉해져서 정확한 기록으로 판독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부 60은 트래이 17과 회전부(turning portion) 25를 포함한다. 배출센서(discharge sensor) 18은 상기 이송벨트 13에 의해 보내어진 상기 원고에 반응하며,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광반사형 센서에 의해 수행된다. 회전센서(turn sensor) 26는 또한 상기 광반사형 센서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회전센서 26의 출력은 도시되지 않은 경로 선택자(path selector)의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트리거(trigger)로 사용되며, 이것은 선택적으로 상기 원고로 하여금 배출되거나 뒤집어 지도록 한다. 상기 CPU 29는 구동모터 35c로 하여금 배출모터(discharge moter) 32를 경유하여 배출롤러 16을 구동하도록 하는데, 이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탭핑 모터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모터 30~33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힌지(hinge) 또는 이와 유사한 리프팅 수단( lifting means) 23이 상기 몸체 2위에 올려져 있다. 도 3의 상기 리프트-업 센서 27은 상기 힌지 23을 경유하여 초래되는 상기 DF 1의 들어 올림(lift-up)에 응답하는 리프트-업 감지수단(lift-up sensing means)의 역할을 한다. 상기 리프트-업센서에 대해서도 광반사형 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CPU 29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어질 제 1, 제2 모드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저판 7의 상,하운동을 제어한다. 작업자는 비록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몸체 2위의 동작판넬(operation panel)상에 구비된 모드쎄팅부(mode setting section)에서 제 1모드나 제 2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몸체 2는,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 위치된 상기 원고 5를 스케닝(scanning)하는 동안 제 1 거울 3과 램프 4가 미리 선택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노출부(exposing section)를 포함한다. 상기 원고 5의 상을 표시하는 이미지 광(imagewise light)은 상기 거울 3을 경유하여 CCD(charged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에 입사된다. 상기 DF 1은 상기 몸체 2의 상기 힌지 23에 대하여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도 있다. 상기 DF 1의 상기 리프트-업 센서 27은 상기 DF 1의 리프트-업(lift-up)을 감지한다.
이하, 상기 DF 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원고 5는 상기 테이블 6위에 적재되어 있으며, 그 선단이 접촉부재(abutment member)옆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저판모터 33이 구동될 때 상기 원고 5와 상기 픽-업 롤러 8의 접촉부를 압착하기위해 상기 저판 7을 상승시킨다. 상기 픽-업 롤러 8이 회전되어질 때 상기 분리벨트 9와 상기 분리롤러 10을 포함하는 상기 분리부 24쪽으로 상기 최상부의 원고 5를 인출한다. 상기 제 1,2 이송롤러 11, 12와 상기 이송벨트 13은 상기 원고 5를 상기 유리 플래턴 19에 이송한다.상기 원고 5가 그 끝단이 상기 원고 스케일 20옆에 위치되며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 정지되어지자마자,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노출부는 상기 CCD 이미지 센서 또는 이와 유사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상기 원고 5의 화상을 판독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2 급지센서 14,15는 상기 원고 5의 길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협력한다. 상기 정보는 상기 원고 5가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 정지했을 때 RAM(random acess memory) 또는 길이 메모리(length memory:도 3참조)로 쓰여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 원고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급지 모터 또는 스탭핑 모터 30의 원 스탭(one step)동안의 급지량은 급지시에 상기 제 1원고센서 14가 계속적으로 상기 원고 5를 감지하는 단계의 수에 의해 곱해진다. 만일 하나의 원고가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 위치되면, 그 길이는 상기 RAM 28의 제 1기억영역에 쓰여진다. 만일 다수의 원고가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 존재하면, 그들의 길이는 상기 RAM 28의 연속기억영역에 순차적으로 쓰여진다.
상기 공급모터 30과 이송모터 31은, 앞서 설명된 바와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의 원고별 길이안(document-by-document length scheme)은,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유리 플래턴 19로부터 종전의 원고배출후 다음 원고가 공급되어야 하는지 여부, 또는 다수의 원고들이 원하는 바와 같이 나란히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 나란히 배열된 원고들사이의 원하는 거리를 세우는 것도 허용된다. 상기 최종 원고5가 상기 테이블 6으로부터 급지된 후, 상기 저판 7은 하강된다.
상기 유리 플래턴 19로부터 상기 배출부 60으로 이송된 원고 5는 상기 배출센서 18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배출롤러 18에 의해 상기 트래이 17로 배출된다. 하나의 원고 5가 상기 트래이 17로 배출될때마다 상기 RAM 28의 기억영역내에 저장된 길이는 순차적으로 변하는데, 다시 말하면 제 2와 제 3영역내에 저장된 길이는 각각 제 1와 제 2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모터는 스탭핑 모터이다. 따라서, 상기 밸트 13이 상기 원고 5를 이송하는 거리는, 상기 배출부 60쪽으로 상기 원고 5를 이송하는 동안 상기 모터 31의 펄스(pulse)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결과를 상기 모터 31의 원 스탭(one step)동안 급지량과 곱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배출센서 18의 출력은 잼(jam)과 원고배출 타이밍의 지연의 발견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잼을 발견하기 위하여, 상기 원고 5의 선단이 상기 배출센서 18로부터 벗어난 후 상기 배출모터 32에 부과된 펄스(pulse)가 계산된다. 계산된 결과는, 상기 센서 18로부터 벗어난 상기 원고 5가 상기 배출롤러 16에 의해 이송되는 거리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 32의 원 스탭(one step)동안 급지량에 곱하여 진다. 그리고 그 결과는 상기 원고 5의 저장된 길이와 비교된다. 이러한 절차는 이송속도 변화에 대한 고려없이, 상기 원고의 길이와 이송거리를 성공적으로 정확히 결정한다. 잼(jam) 발견시 이송거리에 근거한 결정을 위한 참증자료는 원고크기에 따라 변해질 수 있다.
급지를 위한 제 1의 특정절차를 기술하기 위하여, 다시 말하면 상기 저판 7의 상승을 제어하기 위하여 도 4가 자료로 제시되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앞서 언급한 제 1과 제 2모드는 상기 저판 7의 상승에 대해서도 수행가능하며, 작업자에 의해 상기 몸체 2위의 동작 팬넬(operation panel)상에서 선택적으로 입력된다.
상기 세트센서 21이 상기 테이블 6위에 적재된 상기 원고 5를 감지하고(YES, step S1),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제 1모드가 선택되었다(a, step S2)고 가정해 보자. 그리고 상기 원고 5가 감지된 직후, 상기 모터 33은 상기 저판 7과 상기 원고 5를 상승시키기 위해 즉시 구동된다(step S4). 그 결과, 상기 원고 5는 상기 픽-업 롤러 8에 대하여 압착된다. 상기 저판 7은 작업자가 앞서 언급한 시작버턴을 누를때까지 상승된 위치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상기 원고 5는, 작업자가 시작버턴을 누를 때 상기 DF 1의 급지시작신호입력(feed start signal input)에 대한 반응으로 즉시 급지된다.
다른 한편, 상기 세트센서 21이 상기 테이블 6위에 적재된 상기 원고 5를 감지하나(YES, step S1), 작업자에 의해 제 2모드가 선택되었다(b, stepS2). 그리고 상기 모터 33은 작업자가 상기 시작버턴을 누를때까지 구동되지 않았다. 즉, 단지 작업자가 시작버턴을 누를 때(YES, stepS3), 상기 저판 7과 원고 5는 상기 픽-업롤러 8에 접촉하기 위해 상승된다(step S4). 상기 제 2모드는 상기 최초 원고 5의 복사에 대한 최초복사시간을 낮춘다. 그러나, 상기 제 2모드는 작업자가 상기 테이블 6위에 상기 원고 5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허용하며, 필요하다면 원고를 새로운 위치에 둘 수 있게 하는 것도 허용한다. 예를들면, 상기 원고 5의 선단이 상기 접촉부재 22에 상대적으로 어긋나 위치될 때, 작업자는 상기 원고 5를 재배열할 수있으며, 따라서 하자있는 이송을 벗어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제 1절차는 상기 제 1과 제 2모드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저판 7의 상,하운동을 제어하며, 이에 추가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몸체 2의 상기 동작판넬상의 상기 두 개의 다른 모드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동작판넬(operation panel)상에 두 개의 모드중 어느 하나를 쉽게 입력할 수 있으며, 선택된 모드내에서 상기 저판 7이 제어되도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모드는, 상기 저판 7이 상기 원고 6이 감지된 직후 상승되기 때문에, 최초 복사시간을 감소시킨다. 상기 제 2모드는, 상기 복사신호버턴이 누를때까지 상기 저판 7이 상승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쉽게 상기 원고 5를 재배열하는 것을 허용하며 또한 다른 원고의 추가도 허용한다.
제 2의 특정한 절차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간략하게, 이 절차는, 상기 원고 5로 채워진 상기 저판 7의 상승후 상기 DF 1이 작업자에 의해 들어올려졌을 때, 상기 저판 7의 아래쪽으로의 운동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1모드가 선택되고, 다시말하면 상기 원고 6이 상기 테이블 6위에 세트되고(YES, stepS11), 상기 저판 7이 그 상승된 위치로 되어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조건에서, 상기 FD 1내에 잼(jam)이 발생하고, 도시되지 않은 원고 급지커버(document feeding cover)또는 원고 배출커버(document dis charging cover)가 열려져 있고(YES, step S13), 상기 몸체 2는 예열모드나 절전모드(power save mode)에 들어가 있으며(YES, stepS15) 상기 원고 5는 재배열되는 것이 기대된다고(YES,stepS16)고 가정해 보자. 그리고, 만일 상기 DF 1이 들어올려져있지 않으면(NO, step S12), 상기 저판 7은 상기 픽-업롤러 8으로부터 벗어나 미리 선택된 위치로 하강된다. 상기 저판 7은 상기 원고 5가 상기 테이블 20으로부터 제거될 때도 또한 하강됨도 인식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 상기 제 1모드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1의 응답이 NO이거나 상기 단계 S13~16중 어느 하나의 단계의 응답이 YES일 때, 상기 리프트-업 센서 27이 상기 DF 1의 들어올려짐(lift-up)을 감지한다고(YES, stepS12)고 가정해 보자. 그리고, 상기 저판 7은, 상기 최상부의 원고(top document)5가 상기 픽-업롤러 8에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 하강하지 못하게 되었다.
상술한 절차는 또한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동작판넬상에 요구되는 모드를 쉽게 선택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 제 2절차는 상기 DF 1이 상기 제 1모드에서 들어 올려졌을 때, 상기 원고 5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 3의 절차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간략하게, 이 절차는, 상기 제 2모드에 부속하며, 상기 테이블 6위에 상기 원고 5를 세팅한후, 그러나 상기 급지시작신호전에 작업자가 상기 DF 1을 들어 올릴 때, 상기 저판 7이 상승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 2모드가 선택될 때(YES, stepS21 and b, stepS22), 상기 원고 5의 감지이후 그러나, 작업자의 상기 시작버턴 조작전에(NO step S23) 상기 리프트-업센서 27은 상기 DF 1의 들어올려짐(lift-up)을 감지한다(YES,stepS24). 그리고 상기 모터 33은, 상기 테이블 6위의 상기 원고 5가 상기 픽-업롤러 8에 대하여 압착되어질때까지 상기 저판 7을 상승시키기 위해 구동된다(step S25).
상기 제 3의 절차는 작업자의 모드선택을 용이하게 할 뿐 만 아니라, 상기 DF 1이 상기 제 2모드에서 들어 올려질 때 상기 원고 5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급지모터 30과 이송모터 31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하는 급지타이밍이나 원하는 원고배열을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들면, 작업자는 상기 유리 플래턴 19로부터 종전의 원고를 배출한 후 다음 원고가 공급되어야 하는 지 여부, 또는 원하는 것처럼 다수의 원고들을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 나란히 위치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 나란히 배열되어진 원고들사이에 원하는 거리를 둘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모터 30~33은 스탭핑 모터에 의해 수행된다. 원고의 길이와 상기 원고가 이송되는 거리는 상기 모터들에 부과되는 펄스(pulse)와 여러 센서들의 출력에 근거하여 결정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송거리에 근거한 결정을 위한 자료는 잼 발견시 원고마다 변해질 수 있다. 결국 상기 DF 1은 잼 발견에 대하여 여러 원고크기에 따라 적용될수 있다.
실시예 2
기술된 실시예 2는 앞서 언급한 두 번째와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한다. 실시예 2의 기계적인 배열은 도 1에 도시된 배열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되풀이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포함된 제어시스템은 저판센서 36과 접촉 명령수단(abutment commanding means) 37을 포함한다. 상기 DF 1에 있어서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되지 않은 상기 몸체 1위의 제공된 동력스위치가 켜질 때, 상기 저판 7의 위치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몸체 1의 동력상승시에 상기 저펀 센서 34는 상기 저판 7의 위치를 감지한다. 만일 상기 센서 34가 ON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저판 7이 그 최저위치에 있음을 의미하므로 상기 저판 7은 하강되지 않는다. 만일 상기 센서 34가 오프(OFF)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저판 7이 그 최저위치에 있지 않으므로 상기 저판 7은 최저위치로 하강된다.
작업자가 상기 원고 5의 선단이 상기 접촉부재 22와 접촉하도록 상기 테이블 6위에 상기 원고 5를 적재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리고 세트 센서 21은 켜지고 상기 저펀모터 32를 구동되도록 한다. 그 결과, 상기 저판 7은 상기 원고 5가 상기 픽-업롤러 8에 대하여 압착될때까지 상승된다. 상기 픽-업롤러 8이 회전되어질 때, 상기 분리부 24쪽으로 순차적으로 최상부의 원고에서 밑바닥 원고까지 급지한다.
상기 분리부재 24에 포함된 상기 제 1과 제 2이송롤러 11과 13 및 이송벨트 13은 상기 원고 5를 상기 유리 플래턴 19로 이송한다. 상기 원고 5가 그 끝단이 상기 원고 스케일 20옆에 위치되면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서 정지되어지자마자,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노출부는 상기 CCD 이미지센서 내지 이와 유사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상기 원고 5의 화상을 판독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과 제 2급지센서 14와 15는 상기 원고 5의 길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협력한다. 상기 정보는, 상기 원고 5가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서 정지될 때 RAM(random acess memory) 또는 길이 메모리28(도 3참조)에 의해 쓰여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 원고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급지 모터 또는 스탭핑 모터 30의 원 스탭(one step)동안의 급지량은 급지시에 상기 제 1원고센서 14가 계속적으로 상기 원고 5를 감지하는 단계의 수에 의해 곱해진다. 만일 하나의 원고가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 위치되면, 그 길이는 상기 RAM 28의 제 1기억영역에 쓰여진다. 만일 다수의 원고가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 존재하면, 그들의 길이는 상기 RAM 28의 연속기억영역에 순차적으로 쓰여진다.
상기 급지모터 30과 이송모터 31은, 앞서 설명된 바와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의 원고별 길이안(document-by-document lengths scheme)은,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유리 플래턴 19로부터 종전의 원고배출후 다음 원고가 급지되어야 하는지 여부, 또는 다수의 원고들이 원하는데로 나란히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 위치되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유리 플래턴 19위에 나란히 배열된 원고들사이의 원하는 거리를 세우는 것도 허용된다. 상기 최종 원고5가 상기 테이블 6으로부터 공급된 후, 상기 저판 7은 하강된다.
상기 유리 플래턴 19로부터 상기 배출부 60으로 이송된 원고 5는 상기 배출센서 18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배출롤러 18에 의해 상기 트래이 17로 배출된다. 하나의 원고 5가 상기 트래이 17로 배출될때마다 상기 RAM 28의 기억영역내에 저장된 길이는 순차적으로 변하는데, 다시 말하면 제 2와 제 3영역내에 저장된 길이는 각각 제 1와 제 2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모터는 스탭핑 모터이다. 따라서, 상기 밸트 13이 상기 원고 5를 이송하는 거리는, 상기 배출부 60쪽으로 상기 원고 5를 이송하는 동안 상기 모터 31의 펄스(pulse)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결과를 상기 모터 31의 원 스탭(one step)동안 급지량과 곱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배출센서 18의 출력은 잼(jam)과 원고배출 타이밍의 지연의 발견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잼을 발견하기 위하여, 상기 원고 5의 선단이 상기 배출센서 18로부터 벗어난 후 상기 배출모터 32에 부과된 펄스(pulse)가 계산된다. 계산된 결과는, 상기 센서 18로부터 벗어난 상기 원고 5가 상기 배출롤러 16에 의해 이송되는 거리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 32의 원 스탭(one step)동안 급지량에 곱하여 진다. 그리고 그 결과는 상기 원고 5의 저장된 길이와 비교된다. 이러한 절차는 이송속도 변화에 대한 고려없이, 상기 원고의 길이와 이송거리를 성공적으로 정확히 결정한다. 따라서 잼(jam) 발견시 이송거리에 근거한 결정을 위한 자료는 원고크기에 따라 변해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가 어떻게 상기 저판 7의 제어하는 지는 이하 설명된다. 상기 세트 센서 21이 상기 테이블 6위에 적재된 상기 원고 5를 감지하자 마자, 상기 원고 5가 상기 픽-업롤러 8에 대하여 압착될때까지 상기 저판 7은 상승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작업자는 상기 몸체 2의 상기 동작판넬상의 상기 시작버턴을 누를 수도 있다. 작업자가 상기 시작버턴을 누를 때, 상기 픽-업롤러 8은 즉시 상기 원고 5의 급지를 시작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난 바와같이, 상기 원고 5의 적재와 상기 저판 7의 상승사이에 세트된 미리 선택된 대기시간(waiting time)을 허용하며, 또한작업자가 원하는 시간에 상기 저판 7을 올리는 것을 허용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세트센서 21은 상기 테이블 6위에 적재된 상기 원고 5를 감지한다(YES, step S31)고 가정해 보자. 그 다음 시간계산동작(time counting operation)이 사작한다(step S32). 후속하여, 작업자가 상기 원고 5를 상기 동작판넬상에 제공된 상기 접촉명령수단 37위의 상기 접촉부재 22에 접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step S33). 만일 상기 단계 S33의 응답이 NO이면, 그땐 상기 시간계산동작의 시작부터 미리 선택된 시간의 주기가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step S34). 이러한 시간의 주기를 고정함에 반하여, 작업자가 자기의 기호 등에 따른 원하는 시간주기를 세우는 것을 허용하는 배열(arrangement)이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step S34의 응답이 NO이면, 그땐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단계 S33으로 되돌아 간다. 만일 상기 단계 S33 또는 S34의 응답이 YES 이면, 상기 저판 7은 상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DF 1은 상기 용지더미 5를 상기 픽-업롤러 8에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시작버턴의 작동을 기다린다.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 8은 상기 시작버턴이 눌러지자마자 원고들의 급지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원고더미 5는 그 전체선단에 걸쳐 상기 접촉부재 22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상 만일 상기 고정된 시간의 주기가 짧으면, 상기 원고더미 5는 그 선단이 상기 접촉부재 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기울어진채 상기 픽-업롤러 8에 대하여 압착되기 쉽다. 물론, 이는 하자 있는 이송을 가져온다. 그러므로, 상기 원고더미 5의 감지와 상기 저판 7의 상승사이의 충분한 간격은 작업자로 하여금 쉽게 전체 원고더미 5를 상기 접촉부재 22에 접촉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한 간격은 작업자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개개의 작업자가 원하는 간격을 세트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명령수단 32는 상기 몸체 2의 상기 동작판넬상에 제공된 입력부(input section)로서 수행되며, 작업자가 원하는 시간에 상기 저판 7을 올리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테이블 6위에 상기 원고 5를 적재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재 22에 대하여 정확하게 상기 원고 5를 접촉시킬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접촉명령수단 32위에서 상기 저판 7을 상승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작업자 스스로의 페이스(pace)로 상기 접촉부재 22에 대하여 상기 원고 5를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시작버턴을 누른 직후 상기 DF 1은 상기 원고 5의 급지를 시작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F 1은, 상기 세트센서 또는 원고감지센서 21이 상기 원고 5를 감지하자마자 상기 저판 또는 원고상승부재 7을 상승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DF 1은 작업자가 상기 시작버턴을 누르자마자 상기 원고 5의 급지를 시작한다. 이것은 최초복사시간을 성공적으로 감소시킨다. 또다르게는, 상기 DF 1은 미리 선택된 시간의 경과시, 다시 말하면 상기 센서 21이 상기 원고 5를 감지한 후 1초, 상기 저판을 상승시킬 수도 있다. 미리 선택된 시간의 주기는 작업자로 하여금 미리 선택된 위치에 정확하게 상기 원고 5를 세트하는 것을 허용하며, 따라서 바람직한 원고세팅이 향상된다. 또한, 작업자는 아주 길지않은, 원하는 시간의 주기를 상기 시간세팅수단(time setting means)위에 세트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원고 5가 상기 테이블 6위에 세트되자마자, 상기 접촉명령수단위에 상기 저판 7을 상승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이것은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자 스스로의 페이스로 미리 선택된 위치에 상기 원고 5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실시예 3
설명된 실시예 3에 의해 앞서 언급한 네 번째~여섯번째 목적은 달성된다. 실시예 2의 기계적인 배열은 본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배열과 동일하며, 되풀이 설명를 피하기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시예 3에 있어서 포함된 제어시스템은 상기 몸체 2의 상기 동작판넬상에 제공된 스위치에 의해 수행되는 모드세팅(mode setting) 38을 포함한다. 상기 모드세팅 38은 상기 CPU 29와 결합한 모드세팅수단(mode setting means)을 구성한다. 상기 모드세팅 38은 작업자로 하여금 ADF(automatic document feeder: 자동급지장치)모드 또는 표준모드(standard mode)와 SADF(semi automatic document feeder)모드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ADF 모드에 있어서, 상기 DF 1은 상기 테이블 6위에 적재된 상기 원고 5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급지한다. 상기 SADF 모드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상기 테이블 6위에 하나의 원고 5를 세트할때마다 상기 DF 1은 원고를 자동적으로 급지한다. 상기 ADF와SADF모드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CPU 29는 특별한 방법으로 상기 저판 7의 상,하운동을 제어한다. 작업자는, 2이상의 원고들의 동시 급지를 방지하고, 또한 예컨데 상기 원고 5가 더럽혀지는 것을 막기위하여 상기 SADF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SAFD 모드에 있어서, 상기 DF 1은, 만일 작업자가 상기 시작버턴을 누름이 없이 상기 원고 5를 상기 테이블 6위에 하나씩 세트하면, 자동적으로 둘째와 연속적인 원고5를 급지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기본적인 동작은 실시예 1,2와 관련하여 설명된 동작과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이하의 설명은 급지방법, 다시 말하면 상기 저판 7의 구동을 제어하는데 집중할 것이다.
먼저, 상기 저판 7의 상,하운동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 10이 참조된다. 상기 저판 7의 위치는, 상기 몸체 1위에 도시되지 않은 동력스위치가 켜질 때 명확하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몸체 1의 동력상승시(YES,stepS41) 상기 저판센서 34는 상기 저판 7의 위치를 감지한다. 만일 상기 센서 34가 온(ON) 상태에 있으면(YES, steps42), 상기 저판 7은 그 최저위치에 있으므로 상기 저판 7은 하강되지 않는다. 만일 상기 센서 34가 오프(OFF) 상태에 있으면(NO,stepS42), 상기 저판 7은 그 최저위치에 있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상기 저판 7은 그 최저위치로 하강된다(stepS43). 이것은 동력 상승시 실수없이, 상기 저판 7이 그 최저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테이블 6위에 상기 원고 5를 세팅할 때 상기 접촉부재 22에 대하여 상기 원고 5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만일, 상기 단계 S41의 응답이 NO이면, 동력스위치가 이미 켜져있음을 의미하고, 상기 저판 7이 이미 그 최저위치로 되어있기 때문에 단계 S44가 실행된다. 상기 단계 S44에 있어서, 잼(jam) 발생여부는, 상기 원고 5의 이송중에 상기 센서 14,15,18의 출력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만일 상기 단계 S44의 응답이 YES이면, 상기 단계 S42가 실행된다. 만일 상기 단계 S44의 응답이 NO이면, 상기 테이블 6위에 어떤 다른 원고 5의 존재여부는 상기 세트센서 21의 출력에 기초하여 결정된다(stepS45).
만일 상기 단계 S45의 응답이 YES이면, 상기 동작은 되돌아간다. 만일 상기 단계 S45의 응답이 NO이면, 상기 저판 7이 그 최저위치에 있는지 여부는 상기 저판 센서 36에 의해 결정된다(stepS46). 만일 상기 단계 S46의 응답이 YES이면, 상기 동작은 되돌아가며, 만일 그렇지 않다면(NO,stepS46), 상기 SADF모드가 세트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stepS47).
상기 단계 S47에 있어서, 상기 모드세팅 38위에 입력된 양이 확인된다. 만일 상기 단계 S47의 응답이 NO이면, 상기 저판 7은 상기 저판센서 36이 켜지는 그 최저위치로 낮추어진다(stepS48). 만일 상기 단계 S47의 응답이 YES이면, 상기 저판 7은, 상기 급지위치와 그 최저위치사이의 중간위치 또는 SADF위치로 하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CPU 29는 미리 선택된 펄스(pulse)의 수로 상기 저판모터 33을 구동시킨다. 상기 중간위치 또는 SADF 위치는, 상기 테이블 6위에 세트된 하나의 원고가 상기 접촉부재 22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촉되어질 수 있는 위치에 속한다. 이것은 각 급지시 상기 저판 7을 그 최저위치로 낮추는 것을 필요없게 하여, 복사속도를 증가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DF 1는, 상기 동력스위치가 켜질때마다 실수없이 상기 저판 내지 원고상승부재 7을 하강시키며, 작업자로 하여금 확실하게 원고들을 세트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잼이 발견될 때, 상기 저판 7은 그 최저위치로 낮추어진다. 이것은 잼(jam)된 원고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뿐만아니라, 잼된 원고의 제거후 원고의 정확한 세팅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ADF모드에 있어서, 상기 저판 7은, 상기 원고센서 또는 원고감지수단 21이 원고가 존재치 않음을 결정할 때 그 최저위치로 낮추어 진다. 상기 SADF 모드에 있어서, 원고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센서 21에 의해 결정되는 것처럼 상기 저판 7은 급지위치와 그 최저위치사이의 중간위치로 낮추어 진다. 이것은 상기 SADF모드에 있어서 복사속도를 성공적으로 증가시킨다.
실시예 4
이 실시예는 앞서 언급한 일곱 번째~아홉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워졌다. 이 실시예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DF가 간략하게 나타나 있다.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DF 는 원고더미의 선단부를 상승시키며, 픽업롤러 107로 하여금 최상부의 원고(top document)를 인출하도록 한다. 두 개의 다른 급지시스템이 종래기술로써 아래처럼 알려져 있다. 하나의 시스템에선, 상기 픽-업롤러 107과 저판 103이 상기 원고더미의 선단부를 죄고 있는 동안 상기 픽-업롤러 107이 최정부의 원고를 급지하기 위해 회전된다. 다른 시스템에 있어선, 상기 픽-업롤러 107이 그 자체의 무게 때문에 상기 원고더미위에 놓여있는 동안,상기 저판 103과 상기 픽-업롤러 107사이의 원고더미를 수용하고 있는 상기 저판 103은 최상부 용지(top sheet)를 급지하기 위한 적절한 위치가 발견될때까지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픽업롤러 107은 그 스스로의 무게 때문에 최상부의 용지를 인출하기 위하여 회전된다. 상기의 DF에 있어서, 상기 저판 103과 접촉부재내에 포함된 접촉표면 129C, 다시 말하면 스테이(stay) 129부분과의 사이에 틈이 존재한다.따라서 상기 원고가 얇거나 연할 때, 최종원고 또는 밑바닥원고의 선단부가 상기 틈내로 아래로 휘어지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한 상황에 있는 상기 원고는 상기 접촉부재를 넘어갈 수 없으며, 그들 스스로 겹침이 일어나거나 상기 이송경로를 막기 쉽다. 이러한 문제는 또한 상기 원고들이 처음부터 아래로 휘어질 때, 다시 말하면 상기 테이블위에 세트될 때 상기 원고들이 아래로 휘어질 때 발생한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도 11의 점선 103a로 나타난 바와같이 상기 저판 103의 일부를 상기 접촉부재너머로 확장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상기 저판 103의 확장 103a는 상기 저판 103과 상기 접촉부재사이의 상기 틈을 덮는다. 이 경우, 상기 접촉표면 129c는 상기 저판 103으로 부터 전달되어진 상기 원고을 상부원고 가이드( upper document guide) 141로 안내한다. 또한 상기 원고는 벨트 109에 공급되고 이에의해 급지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순간, 상기의 원고를 그 아래에 있는 원고들과 분리하기 위하여 급지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전롤러 110이 회전된다. 이러한 유형의 DF는 일본특개평 9-32553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저판 103의 상기 확장 103a를 포함하는 상기 DF는 얇거나 연한 원고,또는 아래로 휘어진 원고들이 상기 저판 103과 상기 접촉부재사이의 틈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성공적으로 막을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DF도 급지방향에 대하여 맞은편 끝에서 아래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는 벡 컬(back curl)을 가진 원고들에겐 충분한 고려를 줄 수 없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2A는 상기 접촉표면 129C에 대하여 그 끝(edge)이 접촉된 원고가 그 중심으로부터 맞은편 단부에서 아래로 기울어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B는 도 12A의 원고와 같은 방법으로 휘어진 원고뿐만아니라 급지방향으로 파형으로(waving fashion)으로 휘어진 원고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A와 도 12B에 각각 도시된 원고는 상기 접촉표면 129C와 접촉할 때 그 맞은편 끝(opposite side edges)에서 겹침이 일어나기 쉽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2A와 도 12B에 도시된 원고가 상기 테이블위에 세트될 때, 상기 원고의 중심부는 상기 픽-업롤러 107과 상기 저판 103사이에 작용하는 압력, 또는 상기 픽-업롤러 107의 무게에 의해 곧바르게 펴지기 때문에 상기 접촉표면 129C를 넘어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원고의 반대쪽 단부들은 상기 백컬(back curl) 때문에 아래로 기울어지고, 상기 접촉표면 129C를 쉽게 넘어갈 수 없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시예 4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시된 바와같이, DF 1은 복사기의 몸체위에 올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공급부 100, 이송부 200 및 배출부 3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각 공급부 100, 이송부 200, 배출부 300는 도시되지 않은 각각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도 14와 15는 상기 공급부 100내에 포함된 원고 세팅부(document setting portion)를 나타내고 있다.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원고 세팅부는 저판 113을 포함하는 테이블 112와, 완전하게 스테이(stay) 139에 부설된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재는 접촉표면 139A와 경사진 안내표면(inclined guide surface) 139 B 및 139b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재는, 원고들이 상기 테이블위에 세트될 때 상기 접촉부재에 대하여 원고들이 접촉되도록 급지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원고들은 그들의 화상표면(image surface) 또는 앞면을 위쪽으로하면서 상기 저판 113을 포함하는 상기 테이블 112위에 세트된다. 상기 스테이 139는 그 반대쪽 끝의 도시되지 않은 상기 DF 1의 반대쪽 벽에 올려져 있다(도 15참조). 상기 저판 113은 상기 스테이 139위에 올려져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상승모터(elevation motor)에 의해 구동되어 풀크럼(fulcrum) 138(화살표 a와 b) 주위를 위,아래로 회전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저판 113의 일부는 도 11의 종래의 DF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목적으로 급지방향으로 상기 접촉부재너머로 뻗어있다. 세트센서 115와 필러(feeler)114는 상기 저판 113위에 배열되며, 상기 저판 113과 함께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세트센서 115는 상기 테이블 112위에 세트된 원고들에 반응한다. 상기 필러 114는 상기 원고가 상기 접촉부재에 대하여 접촉되어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저판센서 116은 상기 저판 113이 미리 선택된 위치에 놓여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 139위에 올려져 있다.
상기 접촉표면 139A와 안내표면 139B, 139b를 가진 상기 스테이 139는 추가하여 상기 접촉표면 139A와 그 높이에서 다른, 도 16에 도시된 139a에 상당하는,접촉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재는 벨트 119와 역전롤러 120사이의 닢(nip)근처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표면 139B, 139b는 상기 저판 113으로부터 전달되어진 원고를 상기 닢쪽으로 뻗어있는 상부 원고가이드 151로 안내한다.
상기 접촉부재는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높이를 가지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픽-업롤러 또는 급지수단 117에 인접하는 중심부에선 높고, 맞은편 단부에선 낮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접촉표면은 (상기 표면 139A에 상당하는) 상기 원고의 맞은편 단부들과 접촉되리라 기대되는 부분보다 (도 6의 상기 표면 139a에 상당하는) 상기 픽-업롤러 117에 의해 급지된 원고선단의 중심부와 접촉하리라 기대되는 부분에서는 높다.
상기 각각의 안내표면 139B와 139b는 특별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예를들면, 두 개의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접촉표면이 제공될 때, 작은 경사를 가지는 상기 안내표면 139B는 (상기 표면 139A에 상당하는) 더 낮은 접촉표면과 결합됨에 반하여, 큰 경사를 가지는 상기 안내표면 139b는 (도 16의 상기 표면 139a에 상당하는) 더높은 접촉표면과 결합된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 백 컬(back curl)을 가지는 원고의 선단 중심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픽-업롤러 117의 무게에 의해 곧바로 펴지기 때문에 상기 접촉부재를 쉽게 넘을 수 있다. 심지어 상기 아래로 휘어진 원고의 상기 측단부(side eadg portion)도, 상기 중심부보다 작게 경사되고 그 높이가 낮은 상기 접촉부재의 상기 단부(접촉표면 139a와 안내표면 139B)에 대하여 접촉하기 때문에 쉽게 상기 접촉부재를 넘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완전하게 상기 스테이 139에 부설된다. 다르게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접촉표면 139A와 139a를 가지고, 상기 안내표면 139B와 139b를 포함하는 접촉부재 152는 스크류 또는 이와 유사한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스테이 139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부재 152는 상기 스테이 15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 152의 일부는 분리할 수 있는 부재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특별한 높이의 상기 접촉표면 139A와 139a, 특별한 경사의 안내표면 139B와 139b를 가지는 다수의 접촉부재 152 각각은 여러 유형의 컬(curl)과 여러유형의 용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준비될 수도 있다. 이것은 성공적으로 대체비용을 줄인다.
상기 DF 1이 작동하지 않을 때, 픽-업롤러는 레버(lever)로 하여금, 비록 상세하게 도시되진 않았지만 화살표 c 에 의해 지적된 방향으로 캠(cam)을 경유하여 상기 픽-업롤러 117을 들어 올게 한다. 작업자가 상기 저판 113위에 원고를 세트하고 그 다음 복사시작버턴을 누를 때, 상기 픽-업롤러 117위에 작용하는 상기 레버의 바이어스(bias)는 취소된다. 그 결과, 상기 픽-업롤러 117은 화살표 d에 의해 지적된 방향으로 그 자신의 무게 때문에 낮추어 진다. 후속하여, 상기 저판 113은 상승되고, 교대로 원고더미의 최상부(top)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픽-업롤러 117을 상승시킨다. 센서 118은 상기 픽-업롤러 117의 높이를 감지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저판 113의 상승된 위치를 결정한다. 즉, 상기 센서 118은 상기 저판 113위에 존재하는 최상부 원고의 높이(level)를 감지하며, 이에 의해 상기 최상부 원고를 인출하기 위한 적절한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픽-업롤러 117은 앞서 언급한 픽-업모터에 의해 급지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공급부 110내에 포함된 상기 밸트 119는 급지(paper feed)방향으로 상기 공급모터에 의해 구동됨에 반하여, 역전롤러는 상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공급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역전롤러 120은 최상부의 원고 아래에 있는 원고를 역전시키며, 따라서 상기 최상부의 원고만 급지된다. 풀-아웃(pull-out) 롤러 121은 상기 밸트 119에 의해 급지된 상기 원고를 등록(registration)롤러 123에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급지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풀-아웃 센서 122는 상기 풀-아웃롤러 121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원고들을 감지하며, 이는 광반사형 센서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상기 풀-아웃 롤러 122는 상기 원고의 선단과 끝단을 감지하며, 그래서 상기 원고의 길이가 상기 급지모터에 부과되는 펄스(pulse)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등록롤러 123은 또한 상기 원고를 유리 플래턴 141에 보내기 위해 상기 급지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등록센서 125는 상기 등록롤러 123에 의해 이송되어지고 있는 상기 원고에 대하여 반응하는 것으로 광반사형 센서이다. 상기 등록센서 125는 상기 유리 플래턴 141에 상기 원고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타이밍 센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부 200에 있어서, 영구밸트 127은 구동롤러 126위로 통과되며, 고무 또는 직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롤러 126은 상기 밸트 127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밸트 127은 원고 스캐일 142와 상기 유리 플래턴 141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원고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 상기 밸트 127과 유리 플래턴 141에 이를 때, 상기 밸트 127과 유리 플래턴 141은, 상기 유리 플래턴 141과 원고, 상기 밸트 127과 원고와의 마찰계수의 차이 때문에 그들사이로 상기 원고를 이송한다.
상기 원고스캐일 142는 상기 유리 플래턴 141의 상부 표면보다 미세하게 그 높이가 높다. 원고더미는 그 일단이 상기 원고스캐일 142에 대하여 접촉되며, 원고화상이 정확한 기록으로 판독될 수 있다. 스캐너 140은 상기 복사기 몸체내에 포함된 스캐너 유니트(unit)내에 설치된다. 상기 유리 플래턴 125을 아래로부터 주사(scanning)함에 의해 상기 스캐너 140은 CCD 이미지센서 또는 이와 유사한 이미지 센서에 의해 화상자료(image data)를 판독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캐너 140은 상기 유리 플래턴 141위에 놓인 상기 원고를 따라 이동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스캐너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배출부 300에 있어서, 센서 128은 상기 밸트 127에 의해 이송된 상기 원고에 반응하며, 광반사형 센서로 수행된다. 인렛(inlet)롤러 128, 단일(simplex)모드롤러 130과 이중(duplex)모드롤러 135는 상기 배출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센서 32는 또한 광반사형 센서로서 상기 이중복사모드에 있어 턴-오버(turn-over)시와 배출시에 경로 선택자 131을 제어하는 트리거(trigger)로 사용된다. 단일트래이 137은 상기 복사기 몸체위에 올려져 있으며(도 13의 오른쪽) 단일복사모드에 있어 원고들을 받아들인다. 이중모드 트FP이 136은 상기 이중복사모드에 있어 원고들을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테이블 112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작업에서, 작업자가 상기 단일복사모드를 선택하며, 상기 테이블 112위에 세트하고, 복사시작신호를 눌렀다고 가정해 보자. 이때, 상기 급지모터가 시계방향(순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픽-업롤러 117, 밸트 119 및 풀-아웃 롤러 121로 하여금 동일한 방향으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에 반하여 상기 역전롤러 120은 시계반대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같이, 방향 d로 하강된 상기 픽-업롤러 117은 상기 테이블 112로부터 최상부의 원고를 인출한다. 상기 최상부의 원고는 상기 밸트 119와 역전롤러 120의 협력에 의해 그 아래의 원고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풀-아웃 롤러 121에 의해 밖으로 당겨진다.
상기 풀-아웃롤러 121에 의해 이송된 원고는 상기 풀-아웃 센서 122에 의해 그 끝단이 감지된 후 상기 등록롤러 123에 도달한다. 상기 등록센서 125의 결과적인 출력에 반응하여, 상기 급지모터는 역전된다. 동시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라인(driveline)이 상기 픽-업롤러 121로 하여금 순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역전롤러 120으로 하여금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 결과, 상기 원고는 상기 풀-아웃롤러 121로부터 상기 등록롤러 123까지 이송되나, 다음 원고는 상기 밸트 119와 상기 역전롤러 120사이의 닢(nip)내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이송모터는 상기 급지모터가 역전됨에 따라 그 동시에 순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지며, 따라서 상기 원고는 상기 밸트 127에 의해 상기 유리 플래턴 141에 이송된다. 이 순간, 상기 등록센서 125가 상기 원고의 끝단을 감지한후, 상기 이송모터는 또한 미리 선택된 펄스(pulse) 수에 의해 구동되고, 그 다음 동력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원고의 이동은 상기 유리 플래턴 141위에서 정확하게 정지된다. 상기 유리 플래턴 141위의 원고가 상기 스캐너 140에 의해 판독되어진후, 상기 이송모터는 상기 밸트 127로 하여금 상기 원고를 상기 배출부 300으로 이송시키도록 하기 위해 역전된다.
상기 배출부 300에 있어서, 상기 배출모터는 상기 이송모터처럼 동시에 역전된다. 따라서 상기 원고는 뒤집어짐이 없이 상기 트래이 300으로 배출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단일복사모드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회전 솔레노이드(turn solenoid)는 상기 경로 선택자 131이 상기 원고를 화살표에 의해 지적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경로선택자 131을 스위치(switch)한다. 그 결과, 상기 원고는 상기 롤러 128과 130에 의해 상기 단일 모드트FP이 137로 배출된다. 상술한 급지동작은 또한 상기 이중 복사모드에 있어서도 또한 실행된다.
상기 이중 복사모드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택자 131은 화살표f에 의해 지적된 방향으로 상기 원고가 향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동시에, 상기 경로선택자 134는 상기 회전 솔레노이드에 의해 화살표 h로 지적된 방향으로 상기 원고가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상기 원고는 뒤집어진채 상기 유리 플래턴 141쪽으로 상기 롤러 128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원고의 반대쪽 또는 뒤의 화상이 상기 스캐너 140에 의해 판독되어진후, 상기 원고는 상기 이송부 200로부터 상기 배출부 300 로 이송된다.
뒤집어져 상기 배출부 300으로 들어간 상기 원고는 상기 이중모드 트래이 136으로 배출된다. 만일 상기 원고가 상기 단일모드 트래이 137에 배출된다면, 그 페이지는 순서에 따라 역전될 것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경로선택자 131이 f방향을 선택하도록 됨에 반하여, 상기 경로선택자 134는 화살표 g 에 의해 지적된 방향을 선택하도록 되어진다. 이러한 조건에서, 상기 원고는 회전 가이드(turn guide) 133과 롤러 135를 경유하여 상기 이중모드 트래이 137에 이송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원고의 선단중심부와 접촉하리라 기대되는 상기 접촉표면부, 다시 말하면 상기 접촉표면 139a는 상기의 선단의 맞은편 끝단부와 접촉하리라 기대되는 상기 접촉표면 139A보다 그 높이가 높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심지어 원고가 그 중심부보다 맞은편에 큰 벡컬(back curl)을 가질때라도, 상기 맞은편은 쉽게 상기 접촉부재를 넘을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접촉부재를 통과할 때, 상기 원고의 맞은편(opposite side)이 겹침(folding)을 포함한 어려움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표면 139A와 139a 각각의 상단으로부터 뻗어있는 상기 안내표면 139B와 129b 각각은 상기 관련된 접촉표면의 높이에 어울리는 특별한 경사를 가진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표면 129b는 상기 안내표면 139B보다 더 큰 경사를 가진다. 따라서, 그 중심보다 더 휘어진(curled) 상기 원고의 맞은편 쪽은 작은 경사를 가지며 상기 안내표면에 대하여 접촉하며, 따라서 쉽게 그러한 안내표면을 넘어간다. 이것은 또한 상기 접촉부재를 통과할 때, 상기 원고의 맞은편 쪽이 겹침(folding)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적어도 상기 접촉부재 152의 일부는 분리할 수 있는 부재로써 구현되어, 다뤄지는 원고의 벡컬(back curl)의 정도에 따라 대체될 수 있다. 이것은 부품의 대체비용을 줄이면서 효율적인 어셈블리(assembly)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저판 113의 일부는 상기 접촉표면 139A와 139a를 너머 급지방향으로 뻗어있다. 그러한 신장(extension)은 연한 원고 또는 그 선단에서 아래로 휘어진 백컬(back curl)을 가진 원고가 상기 저판 113과 상기 접촉부재사이의 틈으로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으로부터 당업자는 여러 가지의 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은 최초복사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복사시, 펙시밀리 장치, 스캐너 또는 이와 유사한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를 제공함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급지시작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수단;
    원고더미로 채워진 적재수단;
    상기 적재수단위에 세트된 원고더미를 감지하기 위한 원고감지수단;
    최상부의 원고(top document)의 원고를 뽑아내기 위해 상기 적재수단위에 적재된 상기 최상부의 하나의 원고를 접촉하는 피킹수단(picking means);
    급지방향에 대하여 원고더미의 선단부를 미리 선택된 위치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원고상승수단; 및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원하는 동작시작타이밍(operation start timing)에 기초하여 상기 원고감지수단과 상기 급지시작신호의 출력에 반응하여 상기 원고상승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2. 급지시작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수단;
    원고더미로 채워진 적재수단;
    상기 적재수단위에 세트된 원고더미를 감지하기 위한 원고감지수단;
    최상부의 원고(top document)의 원고를 뽑아내기 위해 상기 적재수단위에 적재된 상기 최상부의 하나의 원고를 접촉하는 피킹수단(picking means);
    급지방향에 대하여 원고더미의 선단부를 미리 선택된 위치까지 상승시키기위한 원고상승수단; 및
    상기 원고상승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원고를 감지하자마자 상기 원고상승수단을 상승시키는 제 1모드와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상기 원고를 감지한 후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급지시작신호를 받을 때 상기 원고상승수단을 상승시키는 제 2모드중 어느 하나에서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3. 급지장치를 들어 올리기 위한 리프팅수단(lifting means)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위에 올려진 급지장치에 있어서,
    급지시작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수단;
    원고더미로 채워진 적재수단;
    상기 적재수단위에 세트된 원고더미를 감지하기 위한 원고감지수단;
    최상부의 원고를 뽑아내기 위해 상기 적재수단위에 적재된 최상부의 하나의 원고와 접촉하는 피킹수단;
    급지방향에 대하여 원고더미의 선단부를 상기 최상부의 원고가 상기 피킹수단과 접촉하고 있는 미리 선택된 위치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원고상승수단;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급지기의 리프트-업(lift-up)을 감지하기 위한 리프트-업 감지수단(lift-up sensing meansor);
    상기 화상형성장치위에 선택된 제 1모드에 있어,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상기 원고를 감지할 때 상기 원고상승수단을 상승시키고, 상기 리프트-업 감지수단이 뒤에 상기 리프트-업(lift-up)을 감지할 때 상기 원고상승수단을 그 상승된 위치에 두는 제 1제어수단;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위에 선택된 제 2모드에 있어서,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상기 원고를 감지한 후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급지시작신호를 받아들일 때 상기 원고상승수단을 상승시키는 제 2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상기원고를 감지한후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급지시작신호를 받아들이기 전에, 상기 리프트-업 감지수단이 상기 리프트-업(lift-up)을 감지할 때 상기 제 2제어수단이 상기 원고상승수단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5. 급지시작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수단, 원고더미로 채워진 적재수단, 상기 적재수단위에 세트된 원고더미를 감지하는 원고감지수단, 최상부의 원고를 뽑아내기 위하여 상기 적재수단위에 적재된 상기 최상부의 하나의 원고에 접촉하는 피킹수단(picking means), 그리고 급지방향에 대하여 상기 원고더미의 선단부를 미리 선택된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원고상승수단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급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재수단위에 세트된 상기 원고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수단을 경유하여 상기 급지시작신호를 받아들이는 단계; 및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원고상승수단의 원하는 동작시작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원고감지수단과 상기 급지시작신호의 출력에 대한 반응으로 상기 원고상승수단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가능한 급지방법.
  6. 급지시작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수단, 원고더미로 채워진 적재수단, 상기 적재수단위에 세트된 원고더미를 감지하는 원고감지수단, 최상부의 원고를 뽑아내기 위하여 상기 적재수단위에 적재된 상기 최상부의 하나의 원고에 접촉하는 피킹수단, 그리고 급지방향에 대하여 상기 원고더미의 선단부를 미리 선택된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원고상승수단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급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재수단위에 세트된 상기 원고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수단을 경유하여 상기 급지시작신호를 받아들이는 단계; 및
    상기 원고상승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상기 원고를 감지하자마자 상기 원고상승수단을 상승시키는 제 1모드와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상기 원고를 감지한후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급지시작신호를 받아들일 때 상기 원고상승수단을 상승시키는 제 2모드중 어느 하나에서 작동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가능한 급지방법.
  7. 급지시작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수단, 원고더미로 채워진 적재수단, 상기 적재수단위에 세트된 원고더미를 감지하는 원고감지수단, 최상부의 원고를 뽑아내기 위하여 상기 적재수단위에 적재된 상기 최상부의 하나의 원고에 접촉하는 피킹수단, 급지방향에 대하여 상기 원고더미의 선단부를 상기 최상부의 원고가 상기 피킹수단과 접촉하는 미리 선택된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원고상승수단, 그리고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해 야기되는 리프트-업(lift-up)을 감지하기 위한 리프트-업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급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재수단위에 세트된 상기 원고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수단을 경유하여 상기 급지시작신호를 받아들이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위에서 선택된 제 1모드에 있어서,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상기 원고를 감지할 때 상기 원고상승수단을 상승시키고, 상기 리프트-업 감지수단이 뒤에 상기 리프트-업(lift-up)을 감지할 때 상기 원고상승수단을 그 상승된 위치에 두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위에 선택된 제 2모드에 있어서,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상기 원고를 감지한 후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급지시작신호를 받아들일 때 상기 원고상승수단을 상승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가능한 급지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모드에 있어서,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상기원고를 감지한후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급지시작신호를 받아들이기 전에, 상기 리프트-업 감지수단이 상기 리프트-업(lift-up)을 감지할 때 상기 원고상승수단이 상승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가능한 급지방법.
  9. 원고더미로 채워진 적재수단;
    상기 적재수단위에 세트된 원고더미를 감지하기 위한 원고감지수단;
    상기 원고가 상기 적재수단으로부터 급지될 수 있도록 상기 원고가 급지부(feed portion)에 대하여 상기 적재수단위에 적재되도록 하는 접촉수단;
    상기 원고의 급지중 순차적으로 상기 원고를 상기 적재수단위에 적재되도록 하기위해 상기 적재수단에 연결된 급지수단; 및
    상기 급지수단으로부터 급지된 각 원고를 상기 원고를 판독하는 화상판독부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급지수단에 연결된 이송수단;
    상기 접촉수단은,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상기 원고를 감지할 때 상기 급지부에 대하여 상기 원고가 상기 적재수단위에 적재되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장치형성용 급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은,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상기 원고를 감지한 후 미리 선택된 시간 주기의 경과시 상기 급지부에 대하여 상기 원고를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급지부에 대하여 상기 원고를 접촉하도록 할 때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주기가 변해지는 것을 허용하는시간세팅수단(time setting means), 그리고 상기 접촉수단은 시간의 주기경과시 상기 원고를 상기 급지부에 대하여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용 급지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상기 원고를 감지한 후 상기 접촉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급지부에 대하여 상기 원고를 접촉하도록 하기위한 접촉명령수단, 그리고 상기 접촉수단은 상기 접촉명령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접촉명령에 대한 반응으로 상기 원고로 하여금 상기 급지부에 대하여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13. 원고더미로 채워진 적재수단;
    상기 적재수단위에 세트된 원고더미를 감지하기 위한 원고감지수단;
    원고더미의 선단부를 급지방향에 대하여 상기 최상부의 원고가 피킹수단과 접촉하는 미리 선택된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원고상승수단;
    상기 원고를 공급하는 중에 상기 원고를 순차적으로 상기 적재수단위에 적재 되도록 하기위해 상기 적재수단과 연결된 급지수단; 및
    상기 급지수단으로부터 급지된 각 원고를 상기 원고를 판독하기 위하여 화상판독부까지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급지수단과 그 일단이 연결된 이송수단;
    상기 원고상승수단은 동력상승시 그 최저위치로 하강되어 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14. 원고더미로 채워진 적재수단;
    상기 적재수단위에 세트된 원고더미를 감지하기 위한 원고감지수단;
    원고더미의 선단부를 급지방향에 대하여 상기 최상부의 원고가 피킹수단과 접촉하는 미리 선택된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원고상승수단;
    상기 원고를 공급하는 중에 상기 원고를 순차적으로 상기 적재수단위에 적재되도록 하기위해 상기 적재수단과 연결된 급지수단;
    상기 급지수단으로부터 급지된 각 원고를 상기 원고를 판독하기 위하여 화상판독부까지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급지수단과 그 일단이 연결된 이송수단; 및
    원고 잼(jam)을 감지하기 위한 잼 감지수단;
    상기 원고상승수단은, 상기 잼 감지수단이 원고 잼(jam)을 감지할 때 그 최저위치로 하강되어 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15. 원고더미로 채워진 적재수단;
    상기 적재수단위에 세트된 원고더미를 감지하기 위한 원고감지수단;
    원고더미의 선단부를 급지방향에 대하여 상기 최상부의 원고가 피킹수단과 접촉하는 미리 선택된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원고상승수단;
    상기 원고를 급지하는 중에 상기 원고를 순차적으로 상기 적재수단위에 적재되도록 하기위해 상기 적재수단과 연결된 급지수단;
    상기 급지수단으로부터 급지된 각 원고를 상기 원고를 판독하기 위하여 화상판독부까지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급지수단과 그 일단이 연결된 이송수단;및
    상기 적재수단위에 적재된 상기 원고를 자동, 순차적으로 급지하기 위한 ADF(automatic document feeder)모드와 하나의 원고가 상기 적재수단위에 놓여질때마다 상기 하나의 원고를 자동적으로 급지하기 위한 SADF(semi automatic document feeder)모드중 어느 하나를 허용하는 모드세팅수단(mode setting means); 여기에서 상기 ADF모드에 있어서 상기 원고상승수단은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상기 원고를 감지할 때 그 최저위치로 하강됨에 반하여, 상기 SADF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원고상승수단은 상기 원고감지수단이 원고가 없음을 감지할 때 급지위치와 상기의 최저위치사이의 중간위치로 하강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16. 원고더미로 채워진 테이블;
    상기 원고더미가 상기 테이블위에 세트될 때 상기 원고더미의 선단에 대하여 접촉하는 접촉부재; 및
    상기 테이블위에 적재된 원고더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지수단;
    여기에서, 상기 접촉부재의 일부는 공급되는 원고의 벡컬(back curl) 정도에 따라 그 높이가 변할 수 있음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17. 원고더미로 채워진 테이블;
    상기 테이블위에 적재된 최상부의 한나의 원고를 인출하기 위한 픽-업롤러;
    상기 원고더미의 선단이 상기 원고더미가 상기 테이블위에 세트될 때 급지방향으로 접촉부재에 접하도록 급지방향에 수직하여 뻗어있는 접촉부재;
    여기에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인출된 상기 원고의 선단중심부와 접촉하리라 기대되는 부분과 상기 선단의 맞은편 단부와 접촉하리라 기대되는 부분 각각에 특별한 높이를 가지는 접촉표면을 가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표면의 상기 각각의 부분에 어울리는 경사를 가지는 경사진 표면 각각은 상기 접촉표면으로부터 밖으로 뻗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접촉부재의 일부는 분리할 수 있는 부재로써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위에 세트된 원고더미를 상승시키고, 적어도 급지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상기 접촉표면위로 뻗어있는 저판(bottom plate)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KR1019980049262A 1997-11-17 1998-11-17 화상형성장치용급지장치 KR100310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347297 1997-11-17
JP9-333472 1997-11-17
JP34757397 1997-12-17
JP9-347573 1997-12-17
JP10-41676 1998-02-24
JP10-41675 1998-02-24
JP04167598A JP3747986B2 (ja) 1998-02-24 1998-02-24 原稿給紙装置
JP04167698A JP3560803B2 (ja) 1998-02-24 1998-02-24 自動原稿給紙装置
JP29306998A JP3566108B2 (ja) 1997-11-17 1998-09-29 原稿給紙装置
JP10-293069 1998-09-29
JP10-281633 1998-10-02
JP28163398A JPH11237771A (ja) 1997-12-17 1998-10-02 原稿給紙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344A KR19990045344A (ko) 1999-06-25
KR100310128B1 true KR100310128B1 (ko) 2002-02-19

Family

ID=2755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262A KR100310128B1 (ko) 1997-11-17 1998-11-17 화상형성장치용급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91927A (ko)
KR (1) KR100310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7240B2 (en) * 2001-03-12 2003-11-11 Canon Kabushiki Kaisha Original feed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sensors
JP3661783B2 (ja) * 2001-10-15 2005-06-22 ニスカ株式会社 原稿給紙装置及び原稿給紙制御方法
JP2004043178A (ja) * 2002-05-23 2004-02-12 Ricoh Co Ltd 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4001928A (ja) * 2002-05-30 2004-01-08 Sharp Corp シート体供給搬送装置
JP2004048290A (ja) * 2002-07-10 2004-02-12 Ricoh Co Ltd 照明装置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
JP2004238161A (ja) * 2003-02-06 2004-08-26 Sharp Corp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59781B2 (ja) * 2003-02-06 2008-03-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172185B2 (en) * 2003-05-23 2007-02-06 Ricoh Company, Ltd. Sheet punch device, sheet processing device, image forming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3751293B2 (ja) * 2003-07-02 2006-03-01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51294B2 (ja) * 2003-07-02 2006-03-01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51743A (ja) * 2003-07-15 2005-02-24 Canon Inc 原稿読み取り装置
JP3753718B2 (ja) * 2003-08-18 2006-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I245537B (en) * 2004-07-23 2005-12-11 Avision Inc Sca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n open/close state of a cover
JP4695526B2 (ja) * 2005-05-20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19564B2 (ja) * 2008-03-07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143694A (ja) * 2008-12-17 2010-07-01 Canon Inc 原稿給送装置
EP2399382B1 (en) 2009-02-19 2013-04-24 Contex A/s Document conveying device for use in a scanner or the like
JP5366007B2 (ja) * 2009-09-25 2013-12-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材の長さ測定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938909B2 (ja) 2012-01-11 2016-06-22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システム、用紙搬送プログラム、及び用紙搬送方法
JP6040714B2 (ja) 2012-11-06 2016-12-07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搬送装置、自動原稿搬送装置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571846B2 (en) 2018-03-13 2020-02-2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document reading device and conveyance method
JP7196644B2 (ja) 2019-01-30 2022-12-27 株式会社リコー 傾き検出装置、読取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傾き検出方法
JP7131415B2 (ja) 2019-01-31 2022-09-06 株式会社リコー 傾き検出装置、読取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傾き検出方法
JP2021061582A (ja) * 2019-10-09 2021-04-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
JP7363365B2 (ja) 2019-10-28 2023-10-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JP2021187590A (ja) * 2020-05-27 2021-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5636A (en) * 1989-01-30 1992-06-3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pying machine capable of copying two originals on one sheet of paper
US5465949A (en) * 1993-06-24 1995-11-14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sheet feeding device with selectively applied pressure member
JPH07125877A (ja) * 1993-11-05 1995-05-16 Fujitsu Ltd 用紙の供給・搬送機構
US5552859A (en) * 1994-02-08 1996-09-03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rocking sheet stacking plate
JP3558699B2 (ja) * 1994-09-29 2004-08-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み取り装置
US5887867A (en) * 1995-02-15 1999-03-30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including first and second sheet supply rollers and a separation roller all made of the same material
JPH08268571A (ja) * 1995-03-30 1996-10-15 Canon Inc 給紙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3056421B2 (ja) * 1995-10-26 2000-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344A (ko) 1999-06-25
US6091927A (en) 2000-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128B1 (ko) 화상형성장치용급지장치
US7267335B2 (en) Method of controlling sheet feeder apparatus
US5263697A (en) Finish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6142469A (en) Sheet ejecting mechanism with contact member and advance descending of tray to prevent direct return of contact member
US6522862B2 (en) Compact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vertical arrangement
JP2618892B2 (ja) シートスタック装置
JPS6364375B2 (ko)
CA1229369A (en) Copiers for simplex and duplex copying
GB2230764A (en) Stapl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707554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US6834854B2 (en) Sheet supply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969065B2 (en) Sheet transfer apparatus and sheet supply apparatus
US5368285A (en) Automatic sheet feeding apparatus
JP3415708B2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729088Y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2008050144A (ja)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566108B2 (ja) 原稿給紙装置
US5010364A (en) Copier with automatic document feed having jam prevention function
JP3906884B2 (ja)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3877510B2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排出装置
JP3560803B2 (ja) 自動原稿給紙装置
JP3747986B2 (ja) 原稿給紙装置
JPH1179422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
JP2558872B2 (ja) 給紙機構
JP3736712B2 (ja) 排紙装置および電子写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