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970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970B1
KR100288970B1 KR1019980020599A KR19980020599A KR100288970B1 KR 100288970 B1 KR100288970 B1 KR 100288970B1 KR 1019980020599 A KR1019980020599 A KR 1019980020599A KR 19980020599 A KR19980020599 A KR 19980020599A KR 100288970 B1 KR100288970 B1 KR 100288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aterial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image
conveyanc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640A (ko
Inventor
요시꾸니 이또우
마사히로 이노우에
요이찌 기무라
유지 베쓰호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6181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6396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484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652070B2/ja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19990006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것은 토너 화상을 수반하는 화상 담지 부재와, 피기록 재료를 정전기적으로 수반해서 공급하는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와,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에서는 피기록 재료를 수반하지 않는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한 쪽에 제공되어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지지하는 롤러와, 전사 위치에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상으로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대전 수단 및, 상기 분리 위치에서 상기 롤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가로지르게 제공되어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피기록 재료를 분리할 때에 상시 피기록 재료를 방전시키는 방전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전류 공급시에 전압이 발생되는 소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AN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피기록 재료 이송 부재 상에 있는 피기록 재료에 화상이 전사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다수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을 갖는 다양한 화상 형성 장치들이 제안되어 있으며, 거기에서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의해 다양한 칼라 토너 화상들이 형성되고 그런 화상들은 동일한 피기록 재료 상에 중첩적으로 전사되어서, 하나의 칼라 화상을 형성한다.
그런 장치들 중의 하나인 무단부 순환식 피기록 재료 이송 부재를 이용하는 다색 전자 사진 방식의 칼라 복사기는 고속 화상 형성 장치로 알려져 있다.
도2를 보면서 칼라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겠다. 그런 장치에는 제1, 제2, 제3 및 제4의 화상 형성 스테이션(Pa, Pb, Pc, Pd)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그 것들에 의해 다양한 칼라 토너 화상들이 잠상 형성 과정과 현상 과정 및 화상 전사 과정을 거쳐서 형성된다.
상기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각각에는 화상 담지 부재(3a, 3b, 3c, 3d)가 제공되어 있고, 일종의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형태인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토너 화상이 하나씩 전사된다.
각각의 감광 드럼에 인접한 곳에는 유전성 재료로 된 전사 벨트(130)의 형태인 피기록 재료 이송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감광 드럼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사 벨트(130) 상에 있는 피기록 재료(p) 상에 전사된다. 전사상을 갖는 피기록 재료(p)는 분리 대전기(32: 코로나 대전된)의 작용에 의해 전사 벨트(130)에 대한 인력이 감소되어 전사 벨트(130)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 피기록 재료(p)는 정착 스테이션(9)으로 이송되어 열 및 압력에 의해 토너 화상이 피기록 재료 상에 정착되고나서, 외부의 트레이(63) 상으로 복사물 또는 인쇄물로 방출된다.
그러나, 이런 구조는 예를 들어 피기록 재료가 고습도의 조건에 방치됨으로써 저저항을 갖게 된 경우에는 문제가 있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그런 피기록 재료가 전사 위치와 반대의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접지된 도전성 구동 롤러(분리 수단: 13)의 사이에서 회로 단락체로서 오작동하는 경우에는 토너 화상이 피기록 재료 상에 양호한 순서대로 전사되지 못하거나, 피기록 재료 상에 전사될 때의 토너 화상이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하류에서 드럼 상에 재전사됨으로써 화상 전사 또는 형성이 매우 불량해진다. 일반적으로, 피기록 재료의 체적 저항은 피기록 재료의 물질이나 습도에 따라 약 107내지 1011오옴이다.
도5를 보면서 이런 현상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겠다. 화상 형성중 피기록 재료는 구동롤러(13)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 있는 감광 드럼 사이의 회로를 단락시킨다. 그러면, 피기록 재료와 구동 롤러 (13: 도 5의 빗금친 부분E)에 접촉하는 전사 벨트(130)의 일부에서 전하쌍의 일부의 후방의 양전하가 구동 롤러 (13)로 흐르고, 그 표면의 음전하는 피기록 재료를 통해 전사 대전부로 흐른다. 결과적으로, 방전이 일어난다. 이 때, 전사 대전기 (24d)로부터 감광 드럼(3d: 반대 전극)으로 도5 화살표 A 및 B로 보이듯이 흐르는 전사 전하는 화살표 A 및 D로 보이듯이 전사 벨트(E)로 흘러서 전사 전하가 불충분해진다.
피기록 재료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감광 드럼(3d)과 구동 롤러(13)의 사이를 단락시키면, 전사 벨트(130)의 E 부분은 전사 전류의 전부를 취할 뿐만 아니라 감광 드럼(3d)으로부터 양전하를 공급하는 경향이 있고, 피기록 재료의 저항은 더욱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전류는 A와 D 및 C와 D의 방향으로 흐른다.
또한, 분리 방전기(32)가 화상 전사와 동시에 피기록 재료와 전사 벨트(130)를 분리시키도록 작동되면, 음전하가 분리 방전기(32)로부터 피기록 재료를 통해 감광 드럼(3d)으로 공급됨으로써 화상 전사가 불량해진다.
C 방향은 적절한 화상 형성 방향인 B 방향과 반대이다. 반대 전류에 의해 토너가 적절히 전사되지 못하거나, 또는, 토너가 감광 드럼(3d)으로 전사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피기록 재료 이송 부재로의 불량한 화상 전사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보면 좀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1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요도.
도2는 제1 내지 제7 실시예들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요도.
도3은 제3 및 제4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요도.
도4는 제5 내지 제7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요도.
도5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요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1c, 1d: 현상 수단
3a, 3b, 3c, 3d: 감광 드럼
5, 6: 인력 대전기
7a, 7b, 7c, 7d: 방전 니들
11, 17: 공급 롤러
12: 정합 롤러
13: 구동 롤러
14, 15: 지지 롤러
18: 테이크업 롤러
21: 백업 롤러
22: 인장 롤러
24a, 24b: 전사 대전기
32: 분리 대전기
130: 전사 벨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보면서 설명하겠다. 아래의 설명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앞서 설명한 도 2에 도시된 전색 화상 형성 장치의 형태이다.
감광 드럼(3a, 3b, 3c, 3d)의 둘레에는 노출 램프(111a, 111b, 111c, 111d)와 드럼 대전기(2a, 2b, 2c, 2d)와 전위 감지기(113a, 113b, 113c, 113d)와 현상 장치(1a, 1b, 1c, 1d)와 전사 대전기(24a, 24b, 24c, 24d)와 클리너(4a, 4b, 4c, 4d)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광원과 다각경이 제공되어 있다.
광원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은 다각경(117)에 의해 주사하듯이 편향되며, 레이저 빔은 반사경에 의해 편향되어 에프-쎄타 렌즈(f-θ lens)를 통해 감광 드럼(3a 내지 3d)을 향해 지향되어 그 것을 드럼의 생성 라인의 방향으로 주사하여 화상 신호에 따라 감광 드럼(3a 내지 3d) 상에 잠상이 형성되게 한다.
현상 수단(1a 내지 1d)은 도시되지 않은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어 음극 하전성을 갖는 예정된 양의 청록색과 자홍색과 황색 및 흑색의 토너 입자들을 수용하고 있다. 현상 수단(1a 내지 1d)은 감광 드럼(3a 내지 3d) 상의 잠상을 역현상을 통하여 청록색 토너 화상과 자홍색 토너 화상과 황색 토너 화상 및 흑색 토너 화상으로 가시화하도록 현상한다.
피기록 재료(p)는 피기록 재료 카세트(10) 속에 수용되어 다수의 공급 롤러(11)와 정합 롤러(12)에 의해 전사 벨트(130)로 공급되며, 피기록 재료들은 그런 피기록 재료가 감광 드럼(3a)에 대면되는 전사 스테이션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전사 벨트(13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판(PET)이나 폴리비니라이덴플루오라이드 수지판이나 폴리우레탄 수지판 등과 같은 유전물질로 된 판이다. 그 양단은 중첩되어 서로 접착됨으로써 무단부 순환형 필름으로 되거나, 또는, 그 것은 유전물질로 되고 이음매가 없는 무단부 순환형 필름일 수도 있다.
도전성 구동 롤러(13) 및 지지 롤러(14, 15)들은 전사 벨트(130)를 회전시키며, 전사 벨트(130)가 곤경에 처한 것이 검출되면, 피기록 재료(p)가 정합 롤러(12)로부터 전사 벨트(130)로 공급되고 제1 화상 형성 스테이션(Pa)의 전사 스테이션으로 이송된다. 그와 동시에 화상 기입 신호가 턴온되고 감광 드럼(3a) 상의 화상 형성 작동은 제1 화상 형성 스테이션(Pa)에서의 기입 신호에 따라 정해진 시기에 시작된다.
제1 화상 형성 스테이션(Pa)의 전사 대전기(24a)와 지지 롤러(14)의 사이에는 인력 대전기(5, 6)가 제공되며, 전사 벨트(130)는 인력 대전기들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피기록 재료는 전사 작동의 전에 전사 벨트 상에 끌어당겨진다. 전사 대전기(24a)는 전기장을 가하거나 전사 벨트(130)와 감광 드럼(3a)의 사이에 형성된 조각인 전사 위치에서 대전됨으로써, 제1 칼라의 토너 화상이 감광 드럼(3a)으로부터 피기록 재료(p) 상으로 전사된다. 인력 대전기(5, 6)는 생략될 수 있으며, 피기록 재료(p)는 전사 벨트(130)에 정전기적으로 단단히 끌어당겨질 수 있다. 그 후 피기록 재료(p)는 제2 화상 형성 스테이션(Pb) 및 후속적인 화상 형성 스테이션으로 공급된다. 즉, 피기록 재료(p)는 화상 전사 작동과 동시에 전사 벨트(130) 상에 정전기적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이 예에서, 인력 대전기(5, 6)는 롤러의 형태이지만, 그것들은 코로나 대전기 등과 같은 비접촉식 대전기이거나 블레이드 또는 브러시 등과 같은 대전 부재를 이용하는 접촉식 대전기일 수 있다.
이 예에서, 전사 대전기(24a 내지 24b)는 전사 블레이드의 형태이지만, 그 것들은 코로나 대전기 등과 같은 비접촉식 대전기이거나 블레이드 또는 브러시 등과 같은 대전 부재를 이용하는 접촉식 대전기일 수 있다. 접촉식 대전기는 오존 생성량이 훨씬 적고 환경의 습도와 온도의 영향이 작다는 점에서 양호하다. 본 실시예는 접촉식 대전기를 인력 대전기와 전사 대전기로 이용한다.
화상 전사에서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전사 벨트(130)의 이동 방향으로 보아 전사 대전기(24a, 24b, 24c, 24d)의 하류에 방전 니들(7a, 7b, 7c, 7d)이 제공될 수 있다. 방전 니들(7a 내지 7d)은 전사 벨트(130)와 접촉하지 않고 있지만, 전사 전류의 일부를 방전한다. 이런 구조에서 감광 드럼으로부터 피기록 재료를 분리할 때에 전사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리 방전이 방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습도가 낮을 때에는 특히 그렇다.
제2, 제3 및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Pb, Pc, Pd)에서의 화상 형성 및 전사 작동은 제1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서와 같다. 4색의 토너 화상을 갖는 피기록 재료(p)는 방전 수단으로서의 분리 대전기(32)에 의해 전사 위치의 하류의 분리 위치에서 방전됨으로써 전사 벨트(130)에 대한 정전기적 인력이 감소되고, 피기록 재료는 전사 벨트(130)로부터 분리된다. 분리 대전기(32)는 피기록 재료(p)에 작용하여 피기록 재료(p)를 대전시키거나 방전시키면서 토너 화상을 분리시키며, 따라서, 비접촉식 대전기(코로나 대전기)가 이용된다. 분리 작동시에 분리 대전기에는 피크-투-피크 전압이 10kVpp이고 주파수가 500Hz인 교류 전압이 공급된다.
전사 벨트(130)로부터 분리된 피기록 재료(p)는 안내 부재를 따라 공급 수단(62)에 의해 정착 장치(9)로 공급된다.
정착 장치(9)는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와 정착 롤러 및 가압 롤러를 세척하는 내열성 세척 부재(54, 55)와,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에 배치된 롤러 가열용 가열기(56, 57)와, 디메틸실리콘 오일 등과 같은 분리 오일을 도포하는 오일 도포 롤러와, 오일을 수용하고 있는 오일 용기(53)와, 가압 롤러의 표면에서 검출된 온도에 따라 정착 온도를 제어하는 서미스터(58)를 포함한다.
4색 토너 화상을 갖는 피기록 재료(p)는 화상 정착 작동을 받아서 토너 화상이 피기록 재료(p) 상에서 혼합되어 정착되게 하며, 그럼으로써, 전색 토너 화상이 생성되고 피기록 재료(p)가 방출 트레이(63) 상으로 방출된다.
화상 전사 작동 후에 감광 드럼(3a 내지 3d)은 클리너(4a 내지 4d)에 의해 세척됨으로써 잔류 토너가 제거되고 차기의 잠상 형성 작동 등의 준비가 이루어진다. 전사 벨트(130) 상에 잔류하는 토너와 이물질은 세척용 웨브(19: 비직조포)에 의해 쓸어내어진다. 전사 벨트(130)에 대한 세척용 웨브(19)의 접촉은 공급 롤러(17)와 테이크업 롤러(18)와, 인장 롤러(22)와, 백업 롤러(21)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예정된 전류가 백업 롤러(21)와 인장 롤러(22)의 사이에 가해져서 전사 벨트(130)를 방전시킨다.
그런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전사 벨트는 1013~1018Ohm.cm의 체적 저항을 갖는 PET 수지판이나, 폴리비닐라이덴 플루오라이드 수지판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판 등과 같은 유전 부재로 된 판이다.
전사 대전 수단의 화상 전사 작용에 기여할 수 있는 전류가 적절한 일정치로 되게 제어(일정 전류 제어)되면 화상은 안정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 전류 제어가 수행되어 피기록 재료의 종류(두께나 물질 등)에 따라, 또는, 종이 등의 습도 조건에 따라 체적 저항이 변할지라도 일정한 전류를 제공하게 한다.
그런 제어에서 전사 대전기(24a 내지 24d)에 가해지는 전사 전압이 전사 벨트(130)의 대전에 따라 예를 들어 제1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서의 1kV와, 제2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서의 2kV와, 제3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서의 3kV와, 제4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서의 4kV로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전사 벨트(130) 및 피기록 재료(p)는 전사 과정에서의 일정 전류 제어에 의해 정해진 양의 전하가 주어진 후에 분리부에서 서로 분리되고, 전사 벨트(130)는 쌍의 롤러(21, 22)가 제공된 전사 벨트 방전 스테이션에 의해 방전되며, 피기록 재료는 정착 과정 후에 피기록 재료 방전 스테이션(도시 안됨)에 의해 방전된다.
제1 실시예
도1을 보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하겠다.
전사 벨트(130)의 유전성 시트의 물질은 예를 들어 PET,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스티렌, 폴리부틸렌에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펜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우레탄, 실리콘 수지 재료,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바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아로마틱 폴리에스터, 폴리에테르이미드, 아로마틱 폴리이미드 등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 재료 필름 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계적 성질이나 전기적 성질 및 불연성의 측면에서 폴리이미드 수지 재료가 이용된다. 그 것은 이음매가 없으며, 체적 저항은 1016Ω.cm이고, 두께는 10μm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처리 속도(전사 벨트와 감광 드럼의 회전 속도)는 100mm/s이다.
전사 대전기(24a, 24b, 24c, 24d)는 피기록 재료 공급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추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상을 갖는 판형 도전성 고무로 되어 있다. 판형 도전성 고무는 전사 벨트(130)를 통해 해당 감광 드럼(3a, 3b, 3c, 3d)을 향해 밀리고 있다. 전사부로 공급되는 피기록 재료(p)의 배면은 전사 대전기(24a 내지 24d)에 의해 토너의 극성과 반대인 극성(양극)으로 하전됨으로써 토너 화상이 감광 드럼(3a 내지 3d)으로부터 피기록 재료(p)의 표면 상으로 정전기적으로 전사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 전류 제어가 수행되며, 전사 전류는 6μA이다.
앞서 설명한 도5에서 보이듯이, 구동 롤러(13)는 본체 접지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고, 전사 대전기(24d)와 구동 롤러(13)의 사이의 거리(d1)는 50mm이다. 화상 형성 작동시의 구동 롤러(13)로 흐르는 전류는 고온 및 고습도의 환경(절대 수분 함량(공기 1kg내의 수증기 중량 wt.(g))이 약 22g/kg이고, 온도와 상대 습도가 30℃와 80%임)에서 3μA이었다. 이 때 형성된 화상은 전사 결함으로 인해 만족스럽지 못했다. 그러나, 피기록 재료(p)가 제4 감광 드럼(3d)과 구동 롤러(13)의 사이, 또는, 제3 감광 드럼(3c)과 구동 롤러(13) 사이에 있을 때에만 구동 롤러(13) 내로의 전사 전류의 흐름(A-D 방향, C-D 방향) 및 그에 따른 전사 결함이 발생한다. 피기록 재료(p)는 전사 벨트(130)가 제3 전사 대전기(24c)에 접촉되는 위치로부터 구동 롤러(13)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컸으며, 그 것은 충분한 기간 동안 환경에 방치한 상태의 기본 중량이 157g/m2인 일본의 니폰 세이시 가부시키 가이샤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상표명이 ″GINKAN″인 것이다. 여기에서, 전사 전류는 제4 전사 대전기(24d) 또는 제3 전사 대전기(24c)로부터 구동 롤러(13)로 빠져나가거나 또는 피기록 재료(p)가 분리 대전기(32)에 의해 방전(음의 전하가 감광 드럼(3c, 3d)을 향해 흐름)될 때에 전류가 구동 롤러(13) 속으로 흐르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롤러(13)는 도1에 보이듯이 본체 접지부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구동 롤러(13)는 일정 전원(70)을 거쳐 본체 접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일정 전원(70)은 구동 롤러(13)와 전사 대전기(24d)의 사이, 또는, 구동 롤러(13)와 감광 드럼(3d)의 사이에 전류를 방지하도록 일정 전류 제어를 실행한다.
순차 제어는 피기록 재료가 제4 감광 드럼(3d)과 구동 롤러(13)의 사이를 단락시킬 때나, 또는 피기록 재료가 제3 감광 드럼(3c)과 구동 롤러(13)의 사이를 단락시킬 때에만 일정 전원(70)이 있게 하는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화상 형성시에도 오프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구동 롤러(13)를 통한 전류는 예정값보다 크지 않도록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롤러를 통한 전류가 0μA가 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전사 전류가 구동 롤러를 통해 본체 접지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피기록 재료(p)가 분리 대전기(32)에 의해 방전될 때에 구동 롤러(13) 속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술한 전사 결함에 기인한 화상 결함이 회피될 수 있다.
저습도 조건에서의 분리부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분리 방전에 비추어 전원(70)은 본 실시예에서의 습도 조건에 따라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74)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저습도 환경에서 분리 대전기(32)는 온되고, 일정 전원(70)은 오프되며, 고습도 환경에서 분리 대전기(32)는 오프되고, 일정 전원(70)은 온된다.
분리 대전기(32)는 전사 벨트(130)의 최하류 위에, 즉, 전사 벨트(130)의 구동 롤러(13) 위에 배치되며, 방전선이 구비된다. 방전선은 추력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그 장력은 방전선의 한 단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유지된다. 방전선에 대한 전기 에너지 공급은 본체 접지부에 제공된 커넥터를 통하고 도시되지 않은 전기 에너지 공급 접점과 전기 에너지 공급 핀 및 방전선을 통해 실행된다.
구동 롤러(13)는 일정 전원(70)을 통해 본체 접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방전선을 위한 반대 전극으로서도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 대전기(24d)와 분리 대전부(피기록 재료(p)가 전사 벨트(130)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의 사이의 거리(d2)는 50mm이고, 분리 대전기 (32)에는 10kVpp, 500Hz의 교류 전압이 공급된다.
앞서 설명했듯이, 저습도 환경에서 피기록 재료와 전사 벨트(130)의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은 커지고, 그러므로, 분리 대전기(32)에 의한 정전기적 인력의 약화의 효과는 크다. 저습도 환경에서 분리 대전으로 인한 화상 결함은 전사 벨트(130)와 피기록 재료의 사이의 분리시에 일어나는 경향이 있고, 분리 대전기(32)는 그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작용한다. 전사 결함은 저습도 환경에서는 쉽사리 일어나지 않으며, 그러므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동 롤러(13)에 대한 제로 암페어 제어(일정 전류 제어)는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저습도 환경에서는 일정 전류 제어가 오프(비작동)되고 분리시에 분리 대전기(32)에 부여하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고습도 환경에서는 전사 벨트(130)와 피기록 재료의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이 저습도 환경의 경우에 비해 작으며, 그러므로, 분리 대전기(32)의 역할이 비교적 작다. 그러나, 전사 결함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으며, 그러므로, 구동 롤러(13)를 위한 일정 전류 제어가 수행되는 것이 양호하다. 따라서, 고습도 환경에서 분리 대전기는 오프되고, 일정 전류 제어가 온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 대전기(32)와 일정 전류 제어의 온-오프는 습도 환경(절대 수분 함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수분 함량 분리 대전기 일정 전류 제어
환경 A 10g/kg 이상 오프
환경 B 10g/kg 이하 오프
환경 A 및 B에서 피기록 재료(p)의 체적 저항은 약 107및 1011Ω.cm이며, 구동 롤러(13)로의 전류는 약 3μA 및 0μA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류 발생원으로서의 분리 대전기(32)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류를 포함한 전류의 흐름이 방지된다.
그럼으로써, 전사 벨트(130)와 피기록 재료(p)의 사이의 분리성 및 화상 품질이 저습도 환경에서도 고도로 유지되고, 고습도 환경에서도 전사 결함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환경 온도 및 습도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공된 온도 및 습도 검출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검출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 대전기(32)와 일정 전류 제어의 온-오프가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74)에 의해 피기록 재료(p)의 종류에 따라 제어된다.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피기록 재료의 기본 중량은 약 50g/m2~200g/m2이고, 피기록 재료들의 저항은 상이하다.
큰 기본 중량을 갖는 피기록 재료는 비교적 큰 두께를 가지며, 그러므로, 그 전방과 후방 사이의 저항은 크다. 그러므로, 높은 전사 전압이 요구되며, 전사 전류는 구동 롤러(13)로 잘 빠져나가는 경향이 있다. 피기록 재료의 두께가 크다는 것은 전류가 통과하는 단면적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전사 전류가 구동 롤러(13)로 빠져나가는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큰 두께를 갖는 피기록 재료 상에 화상이 형성될 때에 전사 대전부와 구동 롤러의 사이에 제로 암페어 제어(일정 전류 제어)가 수행되어 전사 전류가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고, 그러므로, 전사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피기록 재료의 종류는 기계적 센서나 광학적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구별되지만, 조작자가 제어 패널 상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습도의 탐색 결과(절대 수분 함량)와 피기록 재료(p)의 종류에 따라 분리 대전기(32) 및 일정 전원(70)의 온-오프 전환을 제어하도록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도3에 보이듯이 구동 롤러(13)에 전원(72)에 의한 예정된 양전압(전사 대전기(24a 내지 24d)에 가해지는 전압의 극성과 같은 극성의 전압, 또는, 감광 드럼 상의 토너 화상의 극성과 반대인 극성의 전압)이 공급됨으로써 구동 롤러(13) 자체의 전위가 높아지고, 그럼으로써, 전사부로의 음전하의 흐름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음전하는 전사부로 흐르지 않으며, 심각한 전사 결함 및 화상 결함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72)이 일정 전원이다.
저습도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리 방전의 관점에서, 전원(72)에 의해 구동 롤러(13)에 가해지는 양전압 바이어스(전사 대전기(24a 내지 24d)에 가해지는 전압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압)은 본 실시예에서는 환경 습도에 따라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74)에 의해 변화된다.
저습도에서 충분히 유지된 피기록 재료(p)의 체적 저항과 고습도에서 충분히 유지된 피기록 재료(p)의 체적 저항은 4자릿수만큼 다르다. 그러므로, 음전하의 흐름량은 환경에 크게 의존하여 변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실시예에서 가해진 전압은 저습도 환경에서는 낮고 고습도 환경에서는 높음으로써 전사부로의 음전하의 흐름량이 제어된다.
저습도 환경에서 피기록 재료(p)의 체적 저항은 고습도 환경에서의 경우에 비해 높으며(예를 들어, 1012Ω.cm 이상), 그러므로, 전사부로의 음전하의 흐름량은 낮아진다. 그러므로, 전원(72)으로부터 구동 롤러(13)에 가해지는 양전압은 작은 것이 양호하다.
한편, 고습도 환경에서 피기록 재료(p)의 체적 저항은 낮으며(예를 들어, 1010Ω.cm 이하), 그러므로, 전사부로의 음전하의 흐름량은 크다. 그러므로, 구동 롤러(13)에 가해지는 양전압은 높은 것이 양호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해진 전압이 습도(절대 수분 함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환경 C (절대 수분 함량이 20g/kg 이상): 7kV
환경 D (절대 수분 함량이 1.5g/kg 이상 20g/kg 이하): 4kV
환경 E (절대 수분 함량이 1.5g/kg 이하): 1kV
환경 C와 D 및 E에서 피기록 재료(p)의 체적 저항은 약 1010, 1011및 1015Ω.cm이다.
앞서 설명한 구조에서 환경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전사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환경 온도 및 습도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공된 온도 및 습도 검출 센서에 의해 자동 검출될 수 있지만, 조작자가 제어 패널 상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롤러(13)에 가해지는 양전압 바이어스(전사 대전기(24a 내지 24d)에 가해지는 전압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압)는 피기록 재료의 종류에 따라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74)에 의해 변화된다.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피기록 재료의 기본 중량은 50g/m2~200g/m2이며, 그러므로, 피기록 재료(p)들의 저항들은 매우 상이하고, 화상 형성시에 전사부로 흐르는 음전하의 양은 피기록 재료(p)의 성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큰 기본 중량을 갖는 피기록 재료(p)는 큰 두께를 가지며, 그러므로, 전사부로 흐르는 음전하의 양이 크기 때문에 그 전방과 후방 사이의 저항이 크며, 그러므로, 상기 전사 결함 발생의 경향이 있다. 한편, 작은 기본 중량을 갖는 피기록 재료(p)는 작은 두께를 가지며, 그 결과는 반대이다. 그러므로, 큰 두께를 갖는 피기록 재료 상에서 화상 형성이 수행될 때, 구동 롤러(13)에 가해지는 양전압이 높아짐으로써, 전사부로 흐르는 음전하의 양은 감소되며, 전사 결함을 방지한다.
피기록 재료의 종류는 기계적 센서나 광학적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구별되지만, 조작자가 제어 패널 상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
제5 실시예
발명자는 도2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해서 고온 고습도 환경(30℃의 실온과 80%의 상대습도)에서 화상 형성을 수행했고, 그 때, 감광 드럼(3d)과 전사 대전기(24d) 사이의 저항이 측정되었고, 그것은 100M Ω이었다. 이 때, 전사 대전기(24d)와 감광 드럼(3d)의 사이에 전사 벨트(130)와 피기록 재료(p)가 배치되었고, 피기록 재료(p)는 157g/m2의 기본 중량을 갖는 종이(니폰 세이시 가부시키 가이샤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복사지 Ginkan 157g/m2)이었다. 측정과 동시에 전사 대전기(24d)와 분리 대전기(32)와 반대의 전극으로서의 구동 롤러(13)의 접지부의 사이의 저항이 결정되었으며, 그 것은 10M Ohm이었다.
그 것은 전사 대전기(24d)에 대해 예정된 전사 전압을 가하고 감광 드럼(3d)과 구동 롤러(13)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롤러(13)가 본체 접지부(GND)에 직접 연결되지 않지만, 도4에 보이듯이, 구동 롤러(13)가 1000M Ω의 저항(R)을 통해 본체 접지부(GND)에 접지되며, 전사 대전기(24)와 구동 롤러(13)의 접지부의 사이의 저항은 10M Ω으로부터 10+1000=1010M Ω으로 증가되며, 즉, 감광 드럼(3d)과 전사 대전기(24d) 사이의 저항 100M Ω보다 훨씬 커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 대전기(24d)에 의한 전사 전류는 구동 롤러(13)를 통해 본체 접지부(GND)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감광 드럼(3d)에 대해 충분한 전사 전류가 공급되고, 감광 드럼(3d)으로부터 전사 재료(P)상으로 토너 화상이 적절히 전사됨으로써, 전사 결함이 없는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한다. 또한, 분리시에 분리 대전기(32)에 의해 피기록 재료가 방전될 때의 전사 결함의 방전이 방지될 수 있다.
앞에서는 구동 롤러(13)를 통해 본체 접지부(GND)로 전사 전류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 롤러(13)와 본체 접지부(GND)의 사이에 저항(R)이 연결되어 구동 롤러(13)와 본체 접지부(GND)의 사이의 저항(임피던스)을 증가시키지만, 저항(R)의 대신에 배리스터가 이용될 수도 있다.
선택 사양으로서, 구동 롤러(13)의 표면에 고저항 부재가 제공되어 구동 롤러(13)와 전사 대전기(24d) 사이의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구동 롤러(13)를 통해 본체 접지부(GND)로 전사 전류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6 실시예
본 실시예는 도4에 도시된 제5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구동 롤러(13)와 본체 접지부(GND)의 사이에 제공된 저항(R)이 배리스터 저항의 형태이고, 저항이 환경 습도에 따라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74)에 의해 변화된다.
앞서 설명했듯이, 저습도 환경에서 전사 벨트(130)와 피기록 재료의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은 고습도 환경에서의 경우에 비해 크며, 그러므로, 분리 대전기(32)에 의한 정전기적 인력의 약화는 크다. 그러나, 문제로 되는 전사 결함은 저습도 환경에서는 쉽사리 발생하지 않으며, 그러므로, 피기록 재료를 위한 분리성을 열악화시킨다는 관점에서 구동 롤러(13)와 본체 접지부(GND)의 사이의 저항을 증가시킬 필요는 없다. 그럼으로써, 저습도 환경에서는 분리 대전기(32)에 대한 반대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구동 롤러(13)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변 저항기(R)의 저항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습도 환경에서, 전사 벨트(130)와 피기록 재료의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은 저습도 환경의 경우에 비해 작으므로, 분리 대전기(32)에 기인한 정전기적 인력 감소 효과는 그다지 심각하지 않다. 또한, 전사 결함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러므로, 구동 롤러(13)와 본체 접지부(GND)의 사이의 저항은 높다. 따라서, 고습도 환경에서 가변 저항기(R)의 저항은 큰 것이 양호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습도 환경에서 가변 저항기(R)가 저저항을 제공하고, 고습도 환경에서 고저항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변 저항기(R)의 저항의 예는 아래에 주어져 있다.
환경 F (절대 수분 함량이 15g/kg 이상): 1000M Ω
환경 G (절대 수분 함량이 5~15g/kg): 100M Ω
환경 H (절대 수분 함량이 5g/kg 이하): 0 Ω
환경 F, G 및 H에서 피기록 재료의 체적 저항은 약 1010Ω.cm, 1011Ω.cm 및 1015Ω.cm이고, 구동 롤러(13)와 전사 대전기(24d)의 사이에서 측정된 저항은 약 10M Ω과 1000M Ω 및 1000M Ω이다.
앞서 설명했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롤러(13)와 본체 접지부(GND)의 사이의 저항이 환경 습도에 따라 변화되어 저습도 환경에서 전사 벨트(130)와 피기록 재료 사이의 높은 분리성을 유지하면서 고습도 환경에서 고품질의 화상을 유지하게 한다.
고습도 환경(절대 수분 함량이 15g/kg 이상)에서 피기록 재료와 전사 벨트(130)의 사이에 충분한 분리성이 제공될 때에, 구동 롤러(13)와 본체 접지부(GND)의 사이의 저항을 증가시키는 대신에 구동 롤러(13)를 본체 접지부(GND)로부터 격리(부유)시킬 수 있다.
온도 및 습도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공된 온도 및 습도 검출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검출될 수 있으며, 검출된 습도에 따라 저항 변화도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온도 및 습도는 온도계와 습도계에 의해 검출되고, 조작자 또는 서비스맨이 온도를 수동으로 입력하고 저항을 수동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제7 실시예
본 실시예는 도4에 도시된 제5 및 제6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구동 롤러(13)와 전사 대전기(24d)의 사이의 임피던스는 피기록 재료(p)의 종류에 따라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74)에 의해 제어된다.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피기록 재료의 기본 중량은 약 50~200g/m2이다. 피기록 재료의 저항은 기본 중량에 따라 크게 변한다. 큰 기본 중량을 갖는 피기록 재료는 큰 두께를 가지므로, 전방과 후방 사이의 저항은 크다. 그러므로, 요구되는 전사 전압이 크고, 전사 전류는 피기록 재료(p)를 통해 구동 롤러(13)로 빠져나가는 경향이 있다.
큰 두께를 갖는 피기록 재료 상에서 화상 형성이 실행될 때에 구동 롤러(13)와 전사 대전기(24d)의 사이의 저항이 증가되어 전사 전류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전사 결함이 없이 고품질의 화상이 제공된다.
피기록 재료의 종류는 기계적 또는 광학적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검출될 수도 있지만, 제어 패널 상에서 수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전사 대전기는 코로나 대전기나 도전성 탄성 롤러 또는 브러시 등과 같은 것일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화상 담지 부재는 전기 사진식 감광 부재이면 제한이 없지만, 정전기적 기록에서의 유전 부재일 수 있다.
화상 담지 부재(3a 내지 3d)상에 정전기적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1a 내지 1d)을 간단하게 설명하겠다. 일반적으로, 비자성 토너의 경우에 그 것은 블레이드 등을 이용하여 슬리브에 도포되며, 자성 토너의 경우에는 자력을 이용하여 슬리브에 도포된다. 토너는 슬리브에 적재되어 현상 구역으로 이송된다. 거기에는 슬리브가 화상 담지 부재에 접촉되지 않는 일부품 비접촉 형상 방법 및 슬리브가 화상 담지 부재에 접촉되는 일부품 접촉 현상 방법이 있다. 다른 종류로는 혼합된 토너 입자와 자성 캐리어 입자들을 수용하고 있는 현상기를 이용하기도 하며, 그런 현상기는 자력에 의해 이송된다. 거기에는 현상기가 화상 담지 부재와 접촉되는 이부품 접촉 현상 방법과 현상기가 화상 담지 부재에 접촉되지 않는 이부품 비접촉 현상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그런 4종류의 현상 방법이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의 고품질과 고도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이부품 접촉 현상 시스템이 이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현상 방법에도 이용될 수 있다.
예시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그것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은 다음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못한 변화나 변경 또는 개선을 보호범위에 둘 것을 의도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피기록 재료 이송 부재로의 불량한 화상 전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5)

  1. 토너 화상을 수반하는 화상 담지 부재와,
    피기록 재료가 상기 화상 담지 부재와 접촉하도록 피기록 재료를 정전기적으로 수반해서 공급하는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피기록 재료를 수반하는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측면에 대향된 위치에 배치된 롤러와,
    전사 위치에서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상기 피기록 재료 상으로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대전 수단과,
    상기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될 때 피기록 재료를 전기적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롤러에 대향 배치되는 방전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 수단의 방전 작업은 토너 화상이 상기 전사 대전 수단에 의해 전사될 때 개시되고,
    상기 롤러는 배리스터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수단이 코로나 대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화상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피기록 재료로 전사될 때, 상기 전사 대전 수단은 피기록 재료를 수반하는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측면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는 유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화상 담지 부재들이 제공되어 다양한 색상의 토너 화상을 수반하고, 토너 화상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피기록 재료 상에 차례로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다수의 전사 대전 수단이 제공되어 순차적인 화상 전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토너 화상을 수반하는 화상 담지 부재와,
    피기록 재료를 정전기적으로 수반해서 공급하는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피기록 재료를 수반하는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측면에 대향된 위치에 배치된 롤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상기 피기록 재료 상으로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대전 수단과,
    상기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될 때 기록 재료를 전기적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롤러에 대향 배치되는 방전 수단과,
    상기 롤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 수단과,
    온도와 습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습도에 대응하는 절대 수분 함량에 따라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피기록 재료를 분리할 때 상기 전압 인가 수단으로부터 상기 롤러로의 전류를 예정값이 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피기록 재료의 종류를 검출하기 위한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이 상기 피기록 재료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절대 수분 함량에 따라 방전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값은 사실상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수단이 코로나 대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화상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피기록 재료로 전사될 때, 상기 전사 대전 수단은 피기록 재료를 수반하는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가 유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피기록 재료 공급 방향으로 측정된 피기록 재료의 길이는 토너 화상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되는 피기록 재료 상으로 전사되는 위치와 상기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8항에 있어서, 다수의 화상 담지 부재들이 제공되어 다양한 색상의 토너 화상을 수반하고, 토너 화상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피기록 재료 상에 차례로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다수의 전사 대전 수단이 제공되어 순차적인 화상 전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토너 화상을 수반하는 화상 담지 부재와,
    피기록 재료를 정전기적으로 수반해서 공급하는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피기록 재료를 수반하는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측면에 대향된 위치에 배치된 롤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상기 피기록 재료 상으로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대전 수단과,
    상기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될 때 기록 재료를 전기적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롤러에 대향 배치되는 방전 수단과,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의 토너 화상의 정극에 대향하는 극성의 전압을 상기 롤러에 인가하는 전압 인가 수단과,
    온도와 습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피기록 재료를 분리할 때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습도에 대응하는 절대 수분 함량에 따라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피기록 재료의 종류를 검출하기 위한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의 출력에 따라 전압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이 상기 피기록 재료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절대 수분 함량이 높을 때에 상기 롤러로의 전류가 거의 제로로 되도록 상기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수단이 코로나 대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화상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피기록 재료로 전사될 때, 상기 전사 대전 수단은 피기록 재료를 수반하는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측면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는 유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피기록 재료 공급 방향으로 측정된 피기록 재료의 길이는 토너 화상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되는 피기록 재료 상으로 전사되는 위치와 상기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20항에 있어서, 다수의 화상 담지 부재들이 제공되어 다양한 색상의 토너 화상을 수반하고, 토너 화상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피기록 재료 상에 차례로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다수의 전사 대전 수단이 제공되어 순차적인 화상 전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1. 토너 화상을 수반하는 화상 담지 부재와,
    피기록 재료를 정전기적으로 수반해서 공급하는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피기록 재료를 수반하는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측면에 대향된 위치에 배치된 롤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상기 피기록 재료 상으로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대전 수단과,
    상기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될 때 기록 재료를 전기적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롤러에 대향 배치되는 방전 수단과,
    상기 롤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 수단과,
    온도와 습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 인가 수단으로부터 상기 롤러로 공급되는 전류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습도에 대응하는 절대 수분 함량이 예정값보다 낮을 때에 비해 상기 절대 수분 함량이 예정값과 같거나 높을 때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절대 수분 함량이 예정값보다 낮지 않을 때, 상기 롤러는 전기적으로 부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절대 수분 함량이 예정값보다 낮을 때, 상기 롤러는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수단이 코로나 대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화상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피기록 재료로 전사될 때, 상기 전사 대전 수단은 피기록 재료를 수반하는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측면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는 유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피기록 재료 공급 방향으로 측정된 피기록 재료의 길이는 토너 화상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되는 피기록 재료 상으로 전사되는 위치와 상기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9. 제31항에 있어서, 다수의 화상 담지 부재들이 제공되어 다양한 색상의 토너 화상을 수반하고, 토너 화상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피기록 재료 상에 차례로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0. 제49항에 있어서, 다수의 전사 대전 수단이 제공되어 순차적인 화상 전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1. 토너 화상을 수반하는 화상 담지 부재와,
    피기록 재료를 정전기적으로 수반해서 공급하는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피기록 재료를 수반하는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측면에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저항 소자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지된 롤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상기 피기록 재료 상으로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대전 수단과,
    상기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될 때 기록 재료를 전기적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롤러에 대향 배치되는 방전 수단과,
    상기 저항 소자의 저항값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피기록 재료 공급 방향으로 측정된 피기록 재료의 길이는 토너 화상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되는 피기록 재료 상으로 전사되는 위치와 상기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에 기초해서 저항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습도에 대응하는 절대 수분 함량에 기초하여 저항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5. 제42항에 있어서, 피기록 재료의 종류를 검출하기 위한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의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한 저항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은 상기 피기록 재료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7.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피기록 재료의 종류를 검출하기 위한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의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한 저항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은 상기 피기록 재료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9.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0.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수단이 코로나 대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1.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화상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기록 재료로 전사될 때, 상기 전사 대전 수단은 피기록 재료를 수반하는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2.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는 유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화상 담지 부재가 다른 칼라의 토너 화상을 수반하기 위해 마련되며, 상기 토너 화상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피기록 재료 상으로 순차적으로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순차적인 화상 전사를 수행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사 대전 장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5. 토너 화상을 수반하는 화상 담지 부재와,
    피기록 재료를 정전기적으로 수반해서 공급하는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피기록 재료를 수반하는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측면에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저항 소자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는 롤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상기 피기록 재료 상으로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대전 수단과,
    상기 롤러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인가 수단과,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전압 인가 수단으로부터 상기 롤러로 인가된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피기록 재료 공급 방향으로 측정된 피기록 재료의 길이는 토너 화상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되는 피기록 재료 상으로 전사되는 위치와 상기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7.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습도에 대응하는 절대 수분 함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9. 제58항에 있어서, 절대 수분 함량이 예정 수준보다 작지 않을 때,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롤러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사실상 0이 되도록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 수분 함량은 예정 수준 보다 작을 때, 상기 롤러는 전기적으로 접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1. 제57항에 있어서, 피기록 재료의 종류를 검출하기 위한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기록 재료의 종류에 기초해서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은 상기 피기록 재료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3.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피기록 재료의 종류를 검출하기 위한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기록 재료의 종류에 기초해서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은 상기 피기록 재료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5.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롤러를 거쳐 흐르는 전류가 사실상 0이 되도록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6.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될 때 기록 재료를 전기적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롤러에 대향 배치되는 방전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7.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롤러를 거쳐 흐르는 전류가 예정 전류가 되도록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8. 토너 화상을 수반하는 화상 담지 부재와,
    피기록 재료를 정전기적으로 수반해서 공급하는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피기록 재료를 수반하는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측면에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저항 소자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는 롤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상기 피기록 재료 상으로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대전 수단과,
    상기 롤러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인가 수단과,
    피기록 재료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전압 인가 수단으로부터 상기 롤러로 인가된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피기록 재료 공급 방향으로 측정된 피기록 재료의 길이는 토너 화상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되는 피기록 재료 상으로 전사되는 위치와 상기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0. 제68항 또는 제69항에 있어서, 피기록 재료의 종류를 검출하기 위한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기록 재료의 종류에 기초한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은 상기 피기록 재료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2. 제68항 또는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롤러를 거쳐 흐르는 전류가 사실상 0이 되도록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3. 제68항 또는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될 때 기록 재료를 전기적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롤러에 대향 배치된 방전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4. 토너 화상을 수반하는 화상 담지 부재와,
    피기록 재료를 정전기적으로 수반해서 공급하는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피기록 재료가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피기록 재료를 수반하는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의 측면에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고 저항 소자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는 롤러와,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피기록 재료 이송 벨트 상에 수반된 상기 피기록 재료 상으로 토너 화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사하는 전사 대전 수단과,
    상기 롤러를 거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6. 제74항에 있어서,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서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습도에 대응하는 절대 수분 함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 수분 함량이 예정 수준 보다 작을 때, 상기 제어 수단은 사실상 0이 되도록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9. 제74항 내지 제7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피기록 재료의 종류에 기초해서 전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0. 제74항 내지 제7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피기록 재료의 두께에 기초해서 전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1. 제74항 내지 제7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기록 재료의 종류를 검출하기 위한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의 검출된 출력값에 기초한 저항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록 재료 검출 수단은 상기 피기록 재료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3.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사실상 0이 되도록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4.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롤러에 대해 일정한 전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일정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5.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전압은 화상 전사 작업 동안 상기 전사 대전 수단에 인가된 전압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9980020599A 1997-06-04 1998-06-03 화상형성장치 KR100288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61811 1997-06-04
JP16181197A JP3639695B2 (ja) 1997-06-04 1997-06-04 画像形成装置
JP19484797A JP3652070B2 (ja) 1997-07-04 1997-07-04 画像形成装置
JP97-194847 1997-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640A KR19990006640A (ko) 1999-01-25
KR100288970B1 true KR100288970B1 (ko) 2001-05-02

Family

ID=2648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599A KR100288970B1 (ko) 1997-06-04 1998-06-03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26486B1 (ko)
EP (1) EP0883037B1 (ko)
KR (1) KR100288970B1 (ko)
CN (2) CN1110724C (ko)
DE (1) DE6981745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4191B2 (ja) * 1999-10-27 2004-03-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01209233A (ja) * 1999-11-19 2001-08-0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442356B2 (en) 2000-04-06 2002-08-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7536940B2 (en) * 2001-12-20 2009-05-26 Fujifilm Corporation Clean booth and sheet conveyor device
KR100429802B1 (ko) * 2001-12-28 200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화상형성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화상형성방법
US7953333B2 (en) * 2004-05-24 2011-05-31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measuring print sheet moisture and controlling a decurler in a xerographic printer
JP2006215313A (ja) * 2005-02-04 2006-08-1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889090B2 (ja) * 2005-03-18 2012-02-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220288B2 (ja) * 2006-07-26 2013-06-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52671B2 (ja) * 2006-08-17 2011-08-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129548A (ja) * 2006-11-24 2008-06-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586853B2 (ja) 2008-01-29 2010-1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00086751A (ko) * 2009-01-23 2010-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693426B2 (ja) 2010-10-04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06047B2 (ja) * 2010-10-04 2016-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04739B2 (ja) 2010-10-04 2016-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749122B1 (ko) * 2010-10-29 2017-06-2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5443434B2 (ja) * 2011-05-17 2014-03-19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5794159B2 (ja) 2012-01-25 2015-10-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78129B2 (ja) * 2014-05-30 2018-08-22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114329B2 (en) * 2016-05-27 2018-10-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controls period between trailing edge of preceding sheet and leading edge of next she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957A (ja) * 1993-03-05 1994-09-16 Hitachi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6159A (ja) 1988-04-28 1989-11-06 Toshiba Corp 記録装置
US5017969A (en) * 1988-05-30 1991-05-21 Canon Kabushiki Kaisha Device having movable belt
JP2707331B2 (ja) 1989-08-10 1998-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951678B2 (ja) 1990-02-07 1999-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187536A (en) 1990-11-30 1993-02-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3069977B2 (ja) 1991-11-12 2000-07-24 日本電熱株式会社 暖房器具の故障監視装置
US5659843A (en) * 1992-01-22 1997-08-19 Ricoh Company, Ltd. Image transferring device for image forming equipment
JP3373655B2 (ja) 1994-03-07 2003-02-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5594538A (en) 1992-12-29 1997-01-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ulti-layer transfer material bearing member with different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s between layers
US5469248A (en) * 1993-02-01 1995-11-2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applying a common transfer bias voltage to first and second transfer rollers
US5493371A (en) * 1993-06-11 1996-02-20 Ricoh Company, Ltd. Image transferr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H07134503A (ja) 1993-09-17 1995-05-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461215B2 (ja) 1994-01-11 2003-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69515262T2 (de) 1994-11-17 2000-08-03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JP3325136B2 (ja) * 1994-11-30 2002-09-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8339127A (ja) 1995-06-09 1996-12-24 Ricoh Co Ltd 転写装置
JPH0934205A (ja) * 1995-07-20 1997-02-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9106191A (ja) 1995-10-11 1997-04-22 Ricoh Co Ltd 転写紙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957A (ja) * 1993-03-05 1994-09-16 Hitachi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724C (zh) 2003-06-04
DE69817454D1 (de) 2003-10-02
CN1421748A (zh) 2003-06-04
US6226486B1 (en) 2001-05-01
EP0883037A2 (en) 1998-12-09
EP0883037B1 (en) 2003-08-27
EP0883037A3 (en) 1999-03-17
CN1210628C (zh) 2005-07-13
DE69817454T2 (de) 2004-06-09
CN1202639A (zh) 1998-12-23
KR19990006640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8970B1 (ko) 화상형성장치
US8929760B2 (en) Transfer device with bias outpu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0338722B1 (ko)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방전기술 및클리닝기술의 개량
US644235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453540B2 (ja) 画像形成装置
JP3833050B2 (ja) 画像形成装置
US6347209B1 (en) Electric charge device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187209B2 (ja) 画像形成装置
JP3472055B2 (ja) 画像形成装置
JP3639695B2 (ja) 画像形成装置
JP3453541B2 (ja) 画像形成装置
JP3652070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352806A (ja) 画像形成装置
US648738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ransfer member for carrying a recording medium
JP358159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92278A (ja) 画像形成装置
JP344199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21806A (ja) 画像形成装置
JPH11149220A (ja) 画像形成装置
JP438363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62897A (ja) 画像形成装置
JP305397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33101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33753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35035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