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765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765B1
KR100259765B1 KR1019970013478A KR19970013478A KR100259765B1 KR 100259765 B1 KR100259765 B1 KR 100259765B1 KR 1019970013478 A KR1019970013478 A KR 1019970013478A KR 19970013478 A KR19970013478 A KR 19970013478A KR 100259765 B1 KR100259765 B1 KR 100259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passage
unit
original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1165A (ko
Inventor
에이끼 요시미쯔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970071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04N1/2032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of two pictures corresponding to two sides of a single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2개의 원고 독취부, 원고이송유니트 및 정착 유니트가 장치내에 최소한의 공간을 이룰수 있도록 배열된다.
또한 원고독취장치는 반전형 시트-스루 원고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반전통로에 적합하지 않은 비교적 두껍거나 비교적 긴 원고라도 독취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본발명은 원고가 이송되는 동안 고정광학계로서 용지형태로된 원고를 읽는 독취부(讀取部)를 포함한 팩시밀리, 복사기 및 이와유사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고가 이송되는 동안 고정광학계로서 원고나 용지를 읽기 위하여 팩시밀리나 복사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가능한 원고독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화상형성장치는 장치본체와 이에 연결된 하나이상의 시스템 장치를 갖는다. 상기 시스템 장치는 통상 여러 형태의 화상형성장치에 연결가능하게 되어 있어 원가절감을 도모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장치 본체의 기능을 단순화시켜 장치본체로 부터 분리 될 수 있는 부분들을 시스템 장치로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독취부를 포함하는 팩시밀리 혹은 이와 유사한 화상형성장치에는 통상적으로 원고묶음을 효율적으로 취급하기 위하여 자동원고이송유니트(ADF)를 탑재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ADF는 그 트레이 혹은 적재부로 부터 원고를 한 장씩 분리하면서 분리된 하나의 원고를 이송로로 급송한다.
상기 이송로는 원고공급측으로부터 원고배출측으로 선형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송로상의 정해진 위치에는 접촉선 화상센서나 이와 유사한 고정광학계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분리 및 이송기구에 적합하지 않은 비교적 두꺼운 원고는 수동으로 상기 독취부에 직접 삽입된후 자동이송된다.
그러나 선형 이송통로는 상당히 긴 길이를 갖기 때문에 전체 장치의 체적을 크게 한다.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예를들어 일본 특허 공고 번호 63-40514에 개시된 바와같이 용지 이송방향으로 고정광학계에서 독취한 원고를 배출할수 있는 반전형(turn-over type) 시트-스루(sheet-through)ADF가 제안되어 실시화된 바 있다.
이같은 종류의 ADF는 하나의 원고를 다른 것으로 부터 분리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원고 분리 및 이송부; 전체적으로 U-자 형태의 반전통로, 및 독취부가 고정독취광학계에 배치되고 상기 반전통로에 의해 반전된 원고를 이송하는 이송통로를 갖는다.
화상형성장치가 원고독취부, 적재부로부터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이송부, 및 독립장치로 구성되고 용지에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를 갖고 있으며, 이들 장치가 개별적으로 장치본체에 연결가능하게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장치는 장치본체내에 있는 공간이 이들 장치들에 의해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없어 장치본체의 전체 크기가 증대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단지 한 번 원고를 이송하면서 원고의 양면을 읽기 위해 상기 원고 이송장치는 원고를 반전시키고 다시 이를 독취부로 이송하거나 혹은 2개의 독취부가 이송통로의 양면에 위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같은 종류의 배열은 이송장치에 할당되는 공간 및 독취장치에 할당되는 공간을 증대시켜 화상형성장치전체를 소형화시키기가 어려운 것이다.
상기 통상의 반전형 시트-스루 ADF는 다음 문제점을 갖는다.
원고이송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ADF는 통상적으로 곡률반경이 아주 작은 U-자 형상의 반전통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 반전통로는 비교적 두꺼운 원고나 비교적 긴 원고는 처리할수 없는 것이다.
특히, 원고가 반전통로를 따라 이송될 때 아주 큰 이송력이 필요하게 된다.(통상 이송력은 원고의 폭에 비례하며 원고 두께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상기 반전통로로는 두껍거나 넓은 원고가 이송될수 없는 것이다.
또한 긴 원고는 상기 반전통로를 통해 이송될 때 루프잼(loop jam)을 일으키기 쉬운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ADF로 처리될수 있는 원고종류가 제한되는 것이다.
이에 본발명의 목적은 2개의 독취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배치된 원고이송유니트와 정착유니트, 및 반전형 시트-스루 ADF내의 정해진 독취위치로 비교적 두껍거나 비교적 긴 원고라도 이송시킬수 있는 원고 독취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화상형성장치의 요부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된 독취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화상형성장치에 또한 포함되며 상·하 안내면상의 독취위치에 있는 압압기구의 특정배열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원고독취장치의 개략사시도,
제5도는 제4a도 및 제4b도의 장치에 포함된 수동공급장치 탈착기구의 사시도,
제6도는 제4a도 및 제4b도의 장치에 포함된 원고센서의 개략 사시도,
제7도는 제4a도 및 제4b도 장치에 적용가능한 복수의 원고 센서의 특정배열을 나타낸 개략도,
제8도는 제4a도 및 제4b도 장치에 역시 포함된 수동 공급장치의 경사를 설명하는 상태도,
제9도는 수동공급장치의 경사도와 마찰하중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2 : 정착유니트(fixing unit)
3c : 하부안내면(upper guide surface)
4, 33 : 자동원고이송유니트(antomatic document feeding unit, ADF)
4a ,41 : 반전통로(turn-over path)
4b, 40, 42, 43 : 컨베이어 롤러쌍(conveyor roller pairs)
4c : 상부안내면(upper guide surface)
5 : 제1독취부(first reading section)
6 : 제2독취부(second reading section)
7, 47 : 유리판(glass platen) 8 : 광원(light source)
9 : 접촉화상센서(contact image sensor)
10 : 이송통로(transport path) 20 : 압압기구(pressing mechanism)
22 : 압압플레이트(presser plate) 23 : 압축스프링(compression spring)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그 적재부상에 적재된 원고를 이송하는 원고 이송유니트, 원고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정착하는 정착유니트, 및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독취부를 갖는다.
스캐너 지지체가 상기 정착유니트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의해 지지된다.
이송통로는 상기 원고이송유니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캐너 지지체의 상부에 마련된 하부 안내면과 상기 원고이송유니트의 저부에 마련된 상부안내면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고이송유니트 상부에는 제1 독취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독취부는 이송통로와 대면하는 고정광학계를 갖고 있으며, 그 고정광학계는 상기 이송통로를 따라 이송되는 원고의 전면(前面)을 독취한다.
또한 상기 스캐너지지체상에는 제 2 독취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독취부는 이송통로와 대면하는 고정 광학계를 갖고 있으며, 그 고정광학계는 상기 이송통로를 따라 이송되는 원고의 후면(後面)을 독취한다.
필요하다면 제1 독취부와 제2 독취부의 독취광학계는 원고의 후면과 전면을 각각 독취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원고 독취장치는 원고를 다른 원고로부터 분리하면서 원고를 이송하는 원고분리 및 이송부, 원고를 반전시키는 전체적으로 U-자 형태의 반전통로, 및 상기 반전 통로에 의해 반전된 원고가 이송되는 이송통로, 를 포함하는 반전형 시트-스루 ADF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통로는 상기 고정광학계에 부여된 독취위치를 포함한다.
수동공급유니트는 상기 원고 독취장치의 외측으로부터 반전통로에 따르는 이송통로의 상류측에 직접 통합되는 삽입통로를 형성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는 본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요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이 장치는 통상의 전자사진공정에 의해 용지상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본체 1을 포함한다. 정착유니트 2는 용지 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정착시킨다. 스캐너 지지체 3이 축 1a에 의해 상기 본체 1에 연결되어 있다.
스캐너 지지체 3은 장치본체 1와 접촉하는 작동 또는 폐쇄위치와 장치 본체 1의 내부를 개방하는 비작동 또는 개방위치사이에서 축주위를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스캐너 지지체 3으로부터는 버팀부재(stay)3a가 장치본체 1로 돌출하여 있으며, 상부에 정착유니트가 탑재된다.
상기 스캐너 지지체 3이 폐쇄위치에 있을때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착유니트 2는 용지에 토너상을 정착시키기 위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게 된다.
ADF혹은 자동원고이송유니트 4는 도 1의 작동위치와 비작동 혹은 개방위치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축 3b에 의해 스케너 지지체 3에 연결되어 있다.
ADF내에는 반전통로 4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반전통로 4a를 따라 복수의 컨베이어롤러쌍 4b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ADF 유니트 4의 저면은 상부 안내면 4c를 이룬다.
상기 상부 안내면 4c를 따라 복수의 컨베이어롤러 4d가 배열되어 있다.
상기 ADF 유니트 4 및 상기 스캐너 지지체 3에는 각각 제1 및 제2 독취부 5 및 6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독취부 5 및 6 각각은 유리판 7, 원고 D를 조사하는 광원 8, 및 1:1 광학계로 원고 D로 부터 나온 반사광을 읽는 접촉화상센서 9를 포함한다.
상기 스캐너 지지체 3의 상단에는 하부 안내면 3c가 제공되어 있다.
ADF유니트 4가 도 1에 도시된 작동위치에 유지되어 있을때는, 상기 하부안내면 3c는 상부 안내면 4c와 협력하여 상기 반전통로 4a와 이어지는 이송통로 를 이룬다.
상기 하부 안내면 3c를 따라서는 복수의 컨베이어롤러 3d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 컨베이어 롤러는 상기 상태에서 롤러쌍을 구성하는 컨베이어롤러와 접촉한다.
상기 제1 독취부 5는 유리판 7의 저면 또는 접촉면이 상기 상부 안내면 4c와 평평하게 되도록 ADF 유니트 4에 탑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독취부 6은 유리판 7의 상부 또는 접촉면이 하부안내면 3c와 평평하게 되도록 상기 스캐너 지지체 3에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화상센서 9와 광원 8은 유리판 7을 통해 통로 10과 대면한다.
원고 D는 표면을 아래로 하여 트레이 혹은 원고 재치부 11상에 놓여진다. 픽업롤러 4e, 컨베이어 롤러 4f 및 역회전 롤러(reverse roller) 4g는 작동시 원고를 반전통로 4a로 이송한다.
컨베이어 롤러 쌍 4b는 반전통로 4a를 따라 원고 D를 이송시킨다.
반전통로 4a로부터 이송통로 10으로 이동된 원고 D는 컨베이어 롤러 3d 및 4d에 의해 이송된다.
원고 D가 정해진 독취속도로 이송되는 동안 제1 독취부 5는 광원 8로 하여금 원고 D의 전면을 조사시키게 하며 또한 화상센서 9로 하여금 원고 D로부터의 결과 반사를 받도록 한다.
이에 대응하여, 화상센서 또는 고정광학계 9는 입사반사광을 상응하는 전기적 주사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원고 D가 양면, 즉 양면에 화상을 담지하고 있고, 상기 장치는 원고 D의 양면을 미리 읽도록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2 독취부 6은 광원 8로 하여금 정해진 속도로 이송되는 원고 D의 타면 혹은 뒷면을 조사하도록 한다.
제2 독취부 6의 화상센서 9는 원고 D의 뒷면으로 부터 나온 그 결과의 반사광을 상응하는 전기적 주사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독취부 5 및 6으로부터 멀리 이동된 원고 D는 컨베이어 롤러 3d와 4d에 의해 다른 트레이 12로 보내진다.
원고 D의 전면만이 읽혀질때는 상기 주사신호는 독취부 5의 접촉화상 센서 9로 부터 시계적(時系的)으로 출력된다.
원고 D의 양면이 읽혀질때는 상기 주사신호는 상기 2개의 독취부 5 및 6의 화상센서 9로부터 시계적으로 출력된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가 이같은 주사신호를 화상신호로 변환시킨다.
장치 본체 1은 제어기로 부터 수신된 화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기초로 용지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원고 D는 표면을 아래로 하여 트레이 11 상에 놓여진다.
선택적으로, 원고 D는 표면을 위로 하여 놓여질수도 있다.
이같은 경우에 있어서, 제1 및 제2 독취부 5 및 6은 각각 원고 D의 뒷면 및 전면을 그 화상센서 9로 읽을 것이다.
도 2는 상기 2개의 독취부 5 및 6중 한가지에 대한 특정배열을 보여준다. 도 3은 상하 안내면상에 정해진 2개의 독취부 각각에 위치한 압압기구의 특정배열을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리판 7은 원고 D의 폭방향(화살표 A)에 대하여 그 양면에 단차부 7a를 갖는 하나의 구조물로 구현되어 있다.
단차부 7a 각각은 접촉면 7b로 부터 측정시 높이 δ를 가지며 유리판 7의 각측면에서 원고 이송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신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안내면 3c 혹은 하부안내면 4c에는 독취부 5 또는 6과 대면되게 압압기구 20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압압기구 20은 압압 플레이트 22 및 안내면 3c 또는 4c에 형성된 장홈 21내에 수용된 압축 스프링 23을 갖는다.
스프링 23은 도 3에서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으로 압압플레이트 22을 계속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압압플레이트 22는 단차부 7a의 상표면과 압압접촉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상태에서, 높이 δ인 통로가 접촉면 7b와 압압플레이트 22 사이에 통로 24가 마련되어 원고 D는 독취부 5 및 6에 의해 독취되면서 통과되게 된다.
유리판 7과 일체로 성형되며 통로 24를 이루는 단차부 7a는 단차부 7a와 동일한 배열을 갖고 있으나 유리판에 부착되어 있는 간격부재보다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이익적이다.
간격부재는 간격부재의 칫수 불량 및 간격부재와 유리판 7사이의 두께 불균일로 인해 통로 24의 높이 불균일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유리판 7의 단차부 7a는 접촉 화상센서 9와 독취될 원고 D의 전면 및 후면과의 사이에 있는 광학통로의 길이 변동을 감소시킨다.
이로인해 화상센서 9가 아무런 하자없이 원고 D를 읽을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1 독취부 5는 ADF 유니트 4에 마련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하기 위하여 ADF 유니트 4상에 탑재된다.
스캐너 지지체 3은 장치 본체 1내에서 정착유니트 2를 지지하기 때문에 본체 1에 마련된 공간을 역시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
이같은 구조는 2개의 독취부 5 및 6, ADF유니트 4 및 정착유니트 2를 포함한 팩시밀리 등의 화상장치의 전체 칫수를 감소시킨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고 독취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원고독취장치는 팩시밀리 장치에 적용되며 전체적으로 스캐너 유니트 31과 ADF유니트 33으로 이루어져 있다.
ADF유니트 33은 스캐너 유니트 31의 상단과 협력하여 반전형 시트-스루 ADF 34를 이룬다.
ADF 34는 도시되지 않은 원고 더미가 적재되는 트레이 35를 포함한다.
픽업롤러 36, 컨베이어 롤러 37 및 역회전 롤러 38은 용지 분리 및 이송부 39를 구성한다. 컨베이어 롤러 37과 역회전 롤러 38은 쌍으로 제공된다. 상기 분리 및 이송부 39는 트레이 35상에 놓여 있는 원고중에서 최상단원고를 분리하여 트레이로부터 이송한다.
전체적으로 U-자 형태로된 반전 통로 41은 한쌍의 컨베이어롤러 40을 포함한다. 반전통로 41은 컨베이어롤러쌍 42, 43 및 배출롤러쌍 44를 포함하는 본질적으로 수평 선형 이송통로 45로 이어진다.
이 방식에서는, 서로 대면하는 이송통로 45는 스캐너 유니트 31의 표면과 ADF 유니트 33사이에 이송통로 45가 형성되어 있다.
ADF 유니트 33이 개방시, ADF 유니트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송통로 45를 개방시킨다. 독취부 46은 스캐너 유니트 31상에 탑재되며 컨베이어롤러 42와 43사이에서 이송통로 45와 대면하는 도시되지 않은 접촉화상센서를 갖는다.
독취부 46은 유리판 47을 포함한다.
접촉화상센서는 소위 용지 스캐너의 역할을 하며; 화상센서가 위치한 곳이 독취 위치이다.
독취부 48은 원고이송방향으로 볼 때 상기 독취부 46의 하류에 있는 ADF 유니트 33에 탑재되어 있다.
독취부 48은 원고의 뒷면을 읽기위한 보조 독취부 또는 독취부이며, 또한 접촉화상센서를 포함한다. 트레이 35로 부터 이송되는 용지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이 ADF 유니트 33에 설치되어 있다.
수동 급지 유니트 49가 축 32부근에서 ADF 유니트 33에 탑재되어 있다.
상기 수동급지 장치 49는 통로 45의 상류에서 이송통로 45로 이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ADF 유니트 33의 양면에는 돌기 51(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음)이 형성되어 있다.
수동급지 유니트 49는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약 90°만큼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수동급지 유니트 49에는 상기 돌기와 각각 맞물린 체결부 52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체결부 52는 상기 돌기 51로 부터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제한되나 돌기로 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개구부를 갖는다.
원고 센서 53이 스캐너 유니트 31상에 탑재되고 삽입통로 50내에 설치된다.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원고센서 53은 수동으로 삽입된 원고에 의해 이동되는 엑튜에이터 54를 갖는다.
실시예에서, 도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원고 센서 53은 각각이 원고의 이송방향에 수직인 폭방향으로 특정원고 또는 용지 크기에 감응하는 3개의 원고 센서 53a, 53b 및 53c 로서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특정배열에서, 원고센서 53a 는 폭방향으로 중심에 위치한다. 원고 센서 53b 는 크기 A4의 폭바깥에 위치하나 B4크기폭의 내측에 위치한다.
원고 센서 53c는 B4폭의 외측에 위치하나 크기 A3의 내측에 위치한다.
원고가 수동급지유니트 49내에 그 중심을 기준점으로 하여 삽입시, 원고센서 53a은 이를 검출한다.
상기 센서 53a만 ON되면 원고는 A4크기인 것으로 판단된다.
센서 53a 및 53b가 ON 될 때 원고는 B4크기인 것으로 판단되며, 모든 센서를 53a - 53c가 ON되면, 원고는 A3크기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경우에,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 49는 도 4a에 실선으로 나타낸바와 같이 개구되거나 혹은 ADF 유니트 33으로 부터 하방으로 멀어지게된다. 그 결과 삽입통로 50이 개방된다. 원고는 손으로 엎어서 원고의 독취부 가장자리가 콘베이어 롤로 쌍 42에 의해 파지될 때까지 수동 공급 유니트 49를 거쳐 삽입통로 50으로 삽입된다. 원고 센서 53a가 원고의 독취부 가장자리를 감지할 때, 상기 콘베이어 롤러 42 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 또한 작동 가능하게 된다.
원고의 크기(폭)는 원고 센서 53a~53c 의 출력(ON 혹은 OFF)를 기준으로 결정됨으로 원격지(remote station)에서 화상 데이타를 정확한 크기로 수신할 수 있다. 롤러 쌍 42가 원고를 파지하고 원고를 이송통로 45로 구동하기 시작한 후, 원고는 독취부 46의 접촉 화상 센서에 의해 연속적으로 한 행씩 독취된다.
그후, 원고가 배출 롤러 쌍 44에 의해 배출된다. 이는 다른 원고의 경우에도 또한 적용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비교적 두껍거나 혹은 긴 원고도 곡선 통로를 통하지 않고 수동급지 유니트 49 및 삽입통로 50을 거쳐 일직선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 수동급지 유니트 49에 의해 형성된 삽입 통로 50의 경사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들어 비교적 두꺼운 원고가 수동급지 유니트 49를 거쳐 삽입 통로 50로 삽입되는 경우, 유니트 49로 부터 신장되는 경로가 이송통로 45내로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로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조금 경사질 수 있다. 수동급지 유니트 49에 의해 형성된 경로가 도 8에 나타낸바와 같이 각 θ로 경사질때, 각 θ가 커짐에 따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θ가 커짐에 따라, 삽입통로 50의 유입부 55에 대하여 원고가 기대도록 하는 마찰하중이 특히 증가한다. 마찰하중이 과하면, 예를들어 이송도중 콘베이어 롤러 42가 미끌어지는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문제로는 원고가 화상센서에 의해 독취되는 경우, 화상의 신장 및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의 동기화 실패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 θ는 마찰하중이 적은 범위, 예를들어 15°이하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는 접촉화상 센서를 중심으로 기재하였으나, 이는 광원을 갖는 형태의 광학계, 데이타 축소 초점 시스템(reduction type focusing system)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화상 센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본체는 ADF 유니트 33로 설치되고 이에 상기 수동 급지 유니트 49는 ADF 유니트 33에 개폐가능하도록 탑재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스캐너 유니트 31은 장치본체의 일부로 구성되거나 혹은 그 위에 개폐가능한 구조로 수동급지 유니트 49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가지 잇점에 대하여 요약한다.
(1) ADF유니트에서 이용가능한 공간 및 장치 본체에서 이용가능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원고의 양면을 독취할 수 있는 2 독취부, 원고 이송 유니트 및 정착 유니트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반적인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2) ADF유니트가 그 작동위치로 부터 개방되는 경우, 상부안내면 및 하부안내면이 열린다. 이 상태에서, 조작자는 이송통로에 걸린(jamming) 원고를 쉽게 게거하거나 혹은 그렇지 않으면, 예를들어 2 독취부에 내에 포함되어 있는 유리판을 세정하거나 보수할 수 있다.
(3) 단차부는 유리판의 대향되는 면에서 각 독취부의 유리판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는 상부안내면 혹은 하부안내면과 접촉하여 원고의 통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단차부는 단차부와 배열이 동일한 스페이서 부재에는 이롭지만, 유리판에 부착된다. 상기 스페이서 부재는 스페이스 부재의 치수상 오차 및 스페이서 부재와 유리판사이의 접착제층 두께의 불규칙성으로 인하여 통로의 높이가 매우 불규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차부는 정지 독취 광학계와 독취하려는 원고표면사이의 광학 통로 길이의 변동이 감소되도록 한다. 이는 정지 독취 광학계가 원고를 선명하게 독취하도록 한다.
(4) 반전형 시트-스루(turn-over type sheet-through) ADF는 그 내부에 반전(turn-over) 통로 및 상기 반전 통로와 인접한 이송통로를 갖는다. 수동급지 유니트는 삽입통로가 외부로부터 ADF 이송통로의 상류말단내로 직접 이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반전통로에 적절하지 않은 비교적 두껍거나 혹은 긴 원고가 하나씩 삽입통로를 거쳐 이송통로로 직접 삽입될 수 있다. 이는 광학계가 어떠한 종류의 원고라도 독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5) 상기 수동공급유니트가 장치 본체에 닫혀질수 있도록 탑재됨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경우에 수동급지 유니트는 닫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ADF에 의해 차지되는 공간이 감소된다. 더욱이, 수동급지 유니트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급지하지 않아도되는 광학계 유니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6)윈고 센서는 삽입통로에서 원고의 존재 유·무 및 삽입통로에 존재하는 원고의 크기를 측정하도록 제공된다. 이는 파지하여 삽입된 원고를 독취하는 작동이 적당한 시간에 행하여지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본 발명이 팩시밀리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미리 원고크기를 감지함으로써 화상데이타를 정확한 크기로 수신할 수 있다.
(7)상기 삽입통로는 과다한 마찰하중을 회피할 수 있는 각으로 일직선으로 이송통로내로 합병된다. 따라서, 독취부가 파지하여 공급되는 원고를 독취하는 경우, 롤러의 미끄러짐 및 구동모터의 동기화실패등에 의한 화상의 신장이 제거될 수 있다.

Claims (6)

  1. 원고적재부상에 적재된 원고를 이송하는 원고이송유니트(4); 원고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정착하는 정착유니트(2); 원고상의 화상을 읽는 독취부; 상기 정착유니트(2)와 일체로 구성되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의해 지지되는 스캐너 지지체(3); 상기 스캐너지지체(3)의 상부에 제공된 하부안내면과 상기 원고이송유니트(4)의 저부에 제공된 상부 안내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고이송유니트(4)에 연결된 이송통로; 상기 원고 이송유니트(4)상에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통로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원고(D)의 전면을 읽으며 상기 이송통로와 대면하는 고정광학계를 갖는 제1 독취부(5); 및 상기 스캐너 지지체(3)상에 탑재되어있으며, 상기 이송통로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원고(D)의 뒷면을 읽으며 상기 이송통로와 대면하는 고정광학계를 갖는 제2 독취부(6);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 이송유니트(4)는, 상기 원고 이송유니트(4)가 작동위치에서 상기 스캐너 지지체(3)와 협력하여 이송통로를 이루거나 혹은 비작동위치에서는 스캐너 지지체(3)로 부터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음으로써 상기 상부 안내면과 상기 하부 안내면을 개방하도록 작동위치와 비작동 위치사이에서 상기 스캐너지지체(3)상에 탑재된 축(3b)주위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스캐너 지지체(3)은 장치본체(1)와 접촉하는 작동 또는 폐쇄위치와 장치 본체(1)의 내부를 개방하는 비작동 또는 개방위치사이에서 축(1a) 주위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독취부(5)(6) 각각은 상기 이송통로를 통해 운반되어지는 원고(D)로부터 나온 반사광이 접촉화상센서(9)로 입사되는 유리판(glass platen)(7)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판(7)은 원고(D)의 폭방향에 대하여 반대측에 단차부(stepped portions)(7a)를 포함하는 단일 성형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차부(7a)는 상기 상부 안내면이나 상기 하부 안내면과 접촉하여 통과되는 원고(D)의 통로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다른 원고로부터 어느 원고를 분리하면서 그 원고를 이송하는 원고 분리 및 이송부, 원고를 반전시키기 위해 전체적으로 U-자 형태로된 반전통로(41) 및 상기 반전통로(41)에 의해 반전된 원고가 이송되고 고정 광학계에 할당된 독취 부위를 갖는 이송통로(45)를 포함하는 반전형 시트-스루 ADF(turn-over type sheet-through ADF)(34); 및 장치의 외측으로부터 반전통로(41)를 따라 상기 이송통로(45)의 상류측으로 직접 이어지는 삽입통로(50)를 이루는 수동급지유니트(49); 를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급지유니트(manual feed unit)(49)는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탑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삽입통로(50)내에 원고가 있는지 여부 및 원고의 크기를 측정하는 원고센서(5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통로(50)는 마찰하중이 가벼운 각도로 상기 이송통로(45)내에 선형으로 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70013478A 1996-04-11 1997-04-11 화상형성장치 KR100259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30896 1996-04-11
JP8-89308 1996-04-11
JP22574696 1996-08-28
JP8-225746 1996-08-28
JP9-22470 1997-02-05
JP02247097A JP3537981B2 (ja) 1996-04-11 1997-02-05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165A KR970071165A (ko) 1997-11-07
KR100259765B1 true KR100259765B1 (ko) 2000-06-15

Family

ID=2728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478A KR100259765B1 (ko) 1996-04-11 1997-04-1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5986775A (ko)
JP (1) JP3537981B2 (ko)
KR (1) KR100259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7981B2 (ja) * 1996-04-11 2004-06-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342317B2 (ja) * 1996-09-25 2002-11-05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画像読取装置の光学ユニットの支持構造
US6678076B1 (en) * 1998-03-13 2004-01-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US6661538B1 (en) * 1998-05-29 2003-12-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6721074B1 (en) * 1999-05-13 2004-04-13 Mustek Systems Inc. Double side scanner module
JP2001233491A (ja) * 2000-02-24 2001-08-28 Murata Mach Ltd 自動シート搬送装置
US6587228B1 (en) * 2000-03-29 2003-07-01 Hasco International, Inc. Double-sided scanner
JP4447740B2 (ja) * 2000-06-08 2010-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7110148B2 (en) * 2000-12-28 2006-09-19 Canon Kabushiki Kaisha Duplex image reading apparatus
JP2003005473A (ja) * 2001-06-22 2003-01-08 Canon Inc 原稿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425451B1 (ko) 2001-06-29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처리 챔버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의 열처리 방법
US7202983B2 (en) 2001-08-22 2007-04-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JP5028726B2 (ja) * 2001-08-28 2012-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
US7170658B2 (en) * 2001-09-13 2007-01-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JP2003140275A (ja) * 2001-10-30 2003-05-14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US7002715B2 (en) * 2002-02-08 2006-02-21 Portable Peripheral Co., Ltd. Paper pressing device for a scanner
JP3958674B2 (ja) * 2002-03-04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TW582162B (en) * 2002-10-03 2004-04-01 Veutron Corp Scanner with a side reverse device
US7379700B2 (en) * 2003-05-06 2008-05-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with rotatable internal and external guides
JP2005089125A (ja) * 2003-09-18 2005-04-0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473079B2 (ja) * 2003-09-19 2010-06-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0636464B1 (ko) * 2003-11-14 2006-10-1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및 반송로 개폐 기구
JP4589087B2 (ja) * 2004-11-22 2010-12-01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
JP4455371B2 (ja) 2005-02-28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反転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形成装置
JP4498325B2 (ja) * 2005-09-07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34459B2 (ja) * 2006-05-25 2011-12-1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200803456A (en) * 2006-06-02 2008-01-01 Primax Electronics Ltd Duplex scanning apparatus
KR101154900B1 (ko) * 2007-10-11 201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너 및 그 제어방법
US8199371B2 (en) * 2008-02-25 2012-06-12 Ricoh Company, Ltd. Image reader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JP5170145B2 (ja) * 2010-03-30 2013-03-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754625B2 (ja) 2011-03-18 2015-07-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537433B2 (en) * 2011-04-26 2013-09-17 Eastman Kodak Company Forward facing scanner
US8582183B2 (en) * 2011-04-26 2013-11-12 Kodak Alaris Inc. Forward facing scanner
JP5472219B2 (ja) 2011-06-30 2014-04-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910030B2 (ja) * 2011-11-28 2016-04-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6540041B2 (ja) * 2014-01-29 2019-07-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92569B2 (ja) 2014-11-18 2019-04-03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搬送装置、画像処理装置、シート搬送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7218273A (ja) 2016-06-06 2017-12-14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1134055A (ja) * 2020-02-27 2021-09-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3974A (en) * 1986-12-18 1988-05-10 Xerox Corporation Dual scanning array raster input scanner
US4975749A (en) * 1988-06-17 1990-12-04 Ricoh Company, Ltd. Automatic document feeder
JPH0437964A (ja) * 1990-06-01 1992-02-07 Eastman Kodak Japan Kk 文書読取装置
US5513017A (en) * 1990-09-28 1996-04-30 Xerox Corporation Automatic document imaging mode selection system
DE69330440T2 (de) * 1992-03-19 2001-11-08 Fujitsu Ltd Bildlesegerät
JPH07283902A (ja) * 1994-04-07 1995-10-27 Fujitsu Ltd 画像読み取り装置
US5662321A (en) * 1995-06-15 1997-09-02 Stephen Borostyan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skew control
JP3384205B2 (ja) * 1995-08-28 2003-03-10 富士通株式会社 媒体搬送装置
JP3537981B2 (ja) * 1996-04-11 2004-06-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151478A (en) * 1996-09-09 2000-11-21 Minolta Co., Ltd. Document feeder for a copying machine
JPH1087110A (ja) * 1996-09-09 1998-04-07 Minolta Co Ltd 原稿搬送装置
US6088135A (en) * 1997-03-11 2000-07-11 Minolta Co., Ltd. Image rea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165A (ko) 1997-11-07
JP3537981B2 (ja) 2004-06-14
JPH10126569A (ja) 1998-05-15
US5986775A (en) 1999-11-16
US6400472B1 (en) 200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9765B1 (ko) 화상형성장치
US6640082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KR20080075672A (ko)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기기
KR20080061615A (ko)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기기
JP4259325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4589087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3571288B2 (ja) 画像読取手段を具備する自動原稿送り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4072711B2 (ja) 画像読取装置
JP4306985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4099240A (ja) 画像読取装置
JP3636653B2 (ja) 画像読取装置
JP200122220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9390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82437A (ja) 画像読取手段を具備する自動原稿送り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3051915A (ja) 画像読取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253163B2 (ja) 画像読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98890B2 (ja) 画像読取装置
JP3626944B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3420479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02321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7059821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764359A (ja) 原稿供給装置
JP2001194835A (ja) 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04318A (ja) 両面画像読取り装置
JP200407231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