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500B1 - 방적장치 - Google Patents

방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500B1
KR100246500B1 KR1019950006456A KR19950006456A KR100246500B1 KR 100246500 B1 KR100246500 B1 KR 100246500B1 KR 1019950006456 A KR1019950006456 A KR 1019950006456A KR 19950006456 A KR19950006456 A KR 19950006456A KR 100246500 B1 KR100246500 B1 KR 100246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pinning
pair
yarn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루키히로시게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쥰이치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쥰이치,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쥰이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1Spinning by false-twisting
    • D01H1/115Spinning by false-twisting using pneumatic mea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9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transient twist, i.e. false twist
    • D01H7/923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transient twist, i.e. false twist by means of rot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프론트 로울러(2)의 근방에 배치하여 설치된 선회공기류를 발생시키는 방적노즐(3)과, 이 방적노즐의 하류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연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공동 로울러(t11)를 보유하는 한 쌍의 가연유닛(T1), (T2)을 구비한 방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탄성을 보유하는 공동 로울러끼리를 접촉시켜서, 섬유다발을 잡는 접촉면을 형성하였으므로, 공동 로울러의 탄성력 및 원심력과 어울려서, 확실하게 섬유다발을 잡을 수가 있으므로, 가연장치를 고속구동하여도, 충분한 가연을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섬유다발에 강한 송출력 및 되돌려 꼬이는 힘을 부여할 수가 있고, 따라서, 고속방적이 실현될 수 있음과 아울러, 강도 및 균형도가 우수한 더우기 보풀이 적은 방적사를 제조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방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방적장치의 요부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방적장치에 사용되는 가연장치를 구성하는 가연유닛의 축선방향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가연장치를 구비한 방적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가연장치를 구비한 방적장치를 표시하는 요부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프론트 로울러 (3) : 방적노즐
(4) : 딜리버리 로울러 (T) : 가연장치
(T1),(T2) : 가연유닛
본 발명은 슬라이버를 드래프트장치에 의하여 드래프트한 후, 2개의 가연장치에 의하여 가연하여 방적사를 제조하는 방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슬라이버를 드래프트장치에 의하여 드래프트한 후, 서로 선회공기류의 방향이 반대인 한 쌍이 방적노즐에 공급하여 가연을 실시하여 방적사를 제조하도록 한 방적장치 혹은 상기의 한 쌍의 방적노즐의 한쪽의 방적노즐에 대신에 벨트식 가연장치를 사용한 방적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방적장치는 드래프트장치의 프론트 로울러 측에 위치하는 방적노즐(이하, 간단히 「제1노즐」이라 함) 및 제1노즐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방적노즐(이하, 간단히 「제2노즐」이라 함) 혹은 벨트식 가연장치를 보유하고 있고, 드래프트장치의 프론트 로울러로부터 제1노즐을 지나 제2노즐 혹은 벨트식 가연장치에 도입되는 섬유다발에는 제2노즐 혹은 벨트식 가연장치에 의하여 프론트 로울러의 닙(nip)점에까지 도달하는 가연이 부여된다.
한편, 프론트 로울러와 제1노즐 사이에 있어서는, 섬유다발은 제1노즐에 의하여 상기의 가연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벌루닝되어 있으며, 이 벌루닝에 의하여 섬유다발의 표면부를 구성하고 있는 섬유의 선단은 프리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섬유다발의 주위에 형성된 선단이 프리상태인 섬유는 가연을 부여하기 위한 제2노즐 혹은 벨트식가연장치를 통과하여 가연이 해연(解燃)되는 과정에서, 삽입된 가연과는 역방향으로 해연되는 심섬유의 주위에 감겨부착되어 심섬유와 감겨부착되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방적사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적장치에 있어서는, 제1노즐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가연장치에 의하여 이 가연장치로부터 프론트 로울러의 닙점까지 도달하는 보다 많은 또 강력한 가연을 섬유다발에 부여함으로서, 강도 및 균형도가 우수한 방적사를 제조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고속방적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1노즐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가연장치에 있어서, 섬유다발을 강하게 잡으므로서 방적사에 의하여 강한 송출력을 부여하여 보다 고속으로 방적사를 주행시켜 보다 고속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노즐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가연장치에 있어서, 섬유다발을 강하게 잡으므로서 섬유다발에 강한 되돌려 꼬이는 힘을 부여할 수가 있고, 이것으로서 강도 및 균형도가 우수한 방적사를 제조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노즐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가연장치로서 방적 노즐을 사용한 경우에는 기계적인 직접 접촉에 의해 잡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다 많은 또 강력한 가연을 섬유다발에 부여할 수가 없고, 따라서 강도 및 균형도가 우수한 방적사를 제조할 수 없음과 아울러, 고속방적을 실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섬유다발을 강하게 잡을 수가 없으므로, 방적사에 부여되는 송출력이 약하고 또 섬유다발에 강한 되돌려 꼬이는 힘을 부여할 수가 없으므로 방적사를 고속으로 주행시킬 수가 없으며, 고속방적을 실현할 수 없음과 아울러, 강도 및 균형도가 우수한 방적사를 제조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제1노즐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가연장치로서 벨트식 가연장치를 사용한 경우에도 벨트가 느슨해져서 벨트사이에 섬유다발이 확실하게 잡히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생기게 되고, 또 벨트식 가연장치에 있어서는 벨트의 신장 혹은 마모 등에 의하여 꼬임의 변동이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강도 및 균형도가 우수한 방적사를 제조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방적장치가 보유하는 과제를 해결하고 보다 고속이며, 더우기 강도 및 균형도가 우수한 방적사를 제조할 수가 있는 방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적장치에 프론트 로울러의 근방에 배치하여 설치된 선회공기류를 발생시키는 방적노즐과 이 방적노즐의 하류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연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공동 로울러를 보유하는 한 쌍의 가연유닛을 배치하여 설치한 것이며, 또 상기 공동 로울러를 중앙부가 부풀은 나무통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며, 또한, 상기 공동 로울러에 투시구멍을 설치한 것이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방적장치의 요부사시도인 제1도 및 본 발명의 방적장치에 사용되는 가연장치를 구성하는 가연유닛의 축선방향단면도인 제2도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취지를 넘지 않는 한 하등,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호 1 및 2는 드래프트장치를 구성하는 에이프런(1')을 보유하는 미들 로울러 및 프론트 로울러이며, 부호 3은 프론트 로울러(2)측에 위치하는 선회공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공지의 방적노즐이고, 부호 T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회전축을 보유하는 한 쌍의 가연유닛(T1), (T2)으로 이루어지는 가연장치이며, 방적노즐(3)의 하류측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가연장치(T)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부호 4는 제조된 방적사(y)를 꺼내기 위한 한 쌍의 로울러로 이루어지는 딜리버리 로울러이다. 프론트 로울러(2)로부터 송출된 섬유다발(s)은 방적노즐(3) 및 가연장치(T)에 의하여 방적사(y)로 형성되고, 방적사(y)는 딜리버리 로울러(4)에 의하여 꺼내진 후, 도시되어 있지 않는 권취장치의 보빈에 감긴다.
다음에, 방적노즐(3)의 하류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한 쌍의 가연유닛(T1), (T2)으로 이루어지는 가연장치(T)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호 t1은 방적장치의 적당한 고정샤프트(t2)에 부착된 수직프레임이며, 수직프레임(t1)의 상부에는 가연장치(T)의 한쪽의 가연유닛(T1)이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부호 t3은 수직프레임(t1)의 대략 중간에 부착된 수평프레임이며, 수평프레임(t3)의 선단부에는 가연장치(T)의 또 다른 한쪽의 가연유닛(T2)이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주로 제2도를 사용하여 가연유닛(T1), (T2) 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가연유닛(T1), (T2)의 구성, 부착수단 등은 같으므로 수직프레임(t1)에 배치하여 설치된 가연유닛(T1)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또한 가연유닛(T2)의, 가연유닛(T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그 부호에 대시(')가 붙여져 있다.
부호 t4는 축받이(t5)를 통하여 수직프레임(t1)에 부착된 보스(t6)에 지지되어 있는 회전축이다. 부호 t7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판형상날밑부(t8) 및 원통형상날밑부(t9)가 배치하여 설치된 유지부재이며, 유지부재(t7)는 평판형상날밑부(t8)가 회전축(t4)의 선단부측에 위치하도록 회전축(t4)에 적당한 고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고, 원통형상날밑부(t9)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보스(t6)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 원통형상날밑부(t9)의 수직프레임(t1)측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원주방향 외주에는 가장자리부(t10)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부호 t11는 고무 혹은 연질수지 등의 연탄성재로 형성된 적당한 연성과 탄성을 보유하는 중앙부가 부풀은 나무통형상의 공동(空洞) 로울러이며, 공동 로울러(t11)의 한쪽의 끝부(t12)를 유지부재(t7)의 평판형상날밑부(t8)의 바깥둘레부에 끼워 붙이고 또, 공동 로울러(t11)의 또 다른 한쪽의 끝부(t13)를 유지부재(t7)의 원통형상날밑부(t9)에 끼워 붙임으로서 공동 로울러(t11)가 유지부재(t7)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지부재(t7)에 끼워 맞춰진 공동 로울러(t11)의 한쪽의 끝부(t13)는 유지부재(t7)의 원통형상날밑부(t9)에 돌출하여 설치된 가장자리부(t10)에 맞닿고 공동 로울러(t11)가 가장자리부(t10)를 넘어서 수직프레임(t1)측에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유지부재(t7)에 끼워 맞춰진 공동 로울러(t11)의 한쪽의 끝부(t12)는 볼트(t14)등의 적당한 고착구에 의하여 회전축(t4)의 끝면에 부착된 공동 로울러(t11)의 끝부(t12)의 내경보다 약간 큰 외경을 보유하는 플랜지(t15)에 맞닿고 있으며, 따라서 공동 로울러(t11)가 플랜지(t15)를 넘어서 회전축(t4)의 끝부측에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부재(t7)의 평판형상날밑부(t8) 및 원통형상날밑부(t9)에 끼워 붙여진 공동 로울러(t11)는 그 끝부(t12), (t13)가 각각 회전축(t4)의 끝면에 부착된 플랜지(t15) 및 원통형상날밑부(t9)에 돌출하여 설치된 가장자리부(t10)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축(t4)의 축선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흔들리는 일없이 안전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가 있다.
가동시에 따뜻해진 가연유닛(T1), (T2)을 정지시켰을 때에, 따뜻해진 가연유닛(T1), (T2)내의 공기보다 바깥 기온이 낮으면 공동 로울러(t11)가 수축하거나 혹은 변형하거나 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공동 로울러(t11)의 수축 혹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동 로울러(t11)에 적당수의 투시구멍(t16)이 뚫어설치되어 있다. 가연유닛(T1), (T2)의 공동 로울러(t11)의 중앙영역에 위치하도록 되므로 상기 투시구멍(t16)은 섬유다발(s)이 투시구멍(t16)에 접촉하지 않도록 공동 로울러(t11)의 끝부에 뚫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 t17은 공동 로울러(t11)가 배치하여 설치된 측과 반대측의 회전축(t4)의 끝부에 부착된 풀리이며, 풀리(t17)를 후술하는 벨트(t18)에 의하여 회전시킴으로서, 회전축(t4)을 구동시켜 유지부재(t7)에 끼워 붙인 공동 로울러(t11)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 t19는 방적장치의 적당한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샤프트이며, 구동샤프트(t19)에 팽팽하게 설치된 벨트(t18)를 적당한 위치에 배치하여 설치한 가이드풀리(t20), (t21)을 통하여 회전축(t4)에 부착된 풀리(t17)에 매달므로서 가연유닛(T1)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한쪽의 가연유닛(T2)도 마찬가지로 구동샤프트(t19)에 팽팽하게 설치된 벨트(t22)를 적당한 위치에 배치하여 설치된 가이드풀리(t23), (t24)를 통하여 회전축(t4')에 부착된 풀리(t17')에 매달므로서 구동된다.
제1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보유하는 가연유닛(T1), (T2)의 한쪽의 가연유닛(T1)은 회전축(t4)이 대략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또 다른 한쪽의 가연유닛(T2)은 회전축(t4')이 대략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연유닛(T1), (T2)을 공동 로울러(t11)끼리 면접촉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고 면접촉하고 있는 공동 로울러(t11)끼리의 접촉부에 의하여 섬유다발(s)을 잡아 섬유다발(s)에 가연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동 로울러(t11)를, 연탄성재로 형성함과 아울러, 중앙부가 부풀은 나무통형상으로 형성하였으므로, 한 쌍의 공동 로울러(t11)를 부풀은 중앙부에서 접촉시키고, 이 접촉상태를 공동 로울러(t11)끼리의 접근(接近)·이반(離反)에 의하여 조절함으로서 접촉면적, 접촉압력 등을 적당히 조절할 수가 있다. 공동 로울러(t11)끼리의 접촉면적, 접촉압력 등을 섬유다발(s)의 길이, 섬유다발(s)을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 가연유닛(T1), (T2)의 회전속도등을 고려하여 공동 로울러(t11)끼리를 맞닿게 했을 때에 접촉면이 곡면을 형성하지 않도록 적당히 설정한다. 또, 연탄성재로 형성되는 공동로울러(t11)의 연성 혹은 탄성도는 똑같이 섬유다발(s)의 길이, 섬유다발(s)을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 가연유닛(T1), (T2)의 회전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연유닛(T1), (T2)을 벨트(t18), (t22)에 의하여 구동하였으나, 회전축(t4), (t4')을 직접 모터 등에 의하여 구동할 수도 있으며, 또 한쪽의 회전축(t4)을 모터 등에 의하여 구동하고, 또 다른 한쪽의 회전축(t4')을 벨트 혹은 기어 등의 적당한 전달수단을 통하여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로울러의 발열을 억제하면서도 닙점이 넓게 확보될 수 있고, 안정된 가연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방적장치를 제공한다.
그때문에, 서로 축방향을 교차하여 접촉상태로 지지하고, 이 접촉부분에서 실을 닙하면서 송출하는 한 쌍의 회전체로 이루어지는 방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체 각각이 가요성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상호간에 유연성이 다른 것으로 하였다. 또, 상기 회전체 각각이 중공 로울러이고, 그 주벽부의 두께를 서로 다르도록 함으로서 상호간에 유연성을 다르게 하였다. 그리고, 방적장치로서 상기 회전체의 실걸개 상류측에, 선회기류를 발생시키는 공기방적노즐을 배치하였다.
상기 방적장치에서는 접촉상태에 있는 한 쌍의 회전체의 탄성변형은 보다 유연한 측의 회전체에 있어서, 주도적으로 일어나고, 또한 그 변형패턴이 똑같음과 아울러, 접촉면이 과도하게 밀착하지 않고, 또 접촉면내에서의 압력분포도 완만하기 때문에 한 쌍의 회전체 상호의 마찰 및 탄성변형에 의한 발열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하여 한 쌍의 회전체 상호가 누르는 양을 많게 하여 접촉면 즉 실의 닙점을 넓게 확보할 수가 있으며 안정된 가연을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실어긋남 및 그에 의한 실끊어짐이 감소하고 또한 실이음시 등에 있어서의 회전체 사이로의 실의 도입도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한 방적장치에서는 한 쌍의 회전체로 실을 닙하여 가연함으로서 실의 보풀이 억제되고, 또한 충분한 가연과 송출력이 얻어지고, 실의 강력 및 균형도가 우수한 방적을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속방적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실시의 한 예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가연장치(101)를 구비한 방적장치(102)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의 방적장치(102)는 백 로울러(31), 미들 로울러(32) 프론트 로울러(33)로 이루어지는 드래프트장치(103)의 프론트 로울러(33) 하류측에 공기방적노즐(104), 가연장치(101)를 직렬 배치하고, 또한 가연장치(101)의 하류측에는 딜리버리 로울러(105) 및 권취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을 배치하고 있다.
가연장치(101)는 서로 회전방향을 교차하여 접촉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한 쌍의 중공 로울러(11), (12)로 이루어진다. 중공 로울러(11), (12)는 각각 고무 혹은 연질수지재 등의 가요성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두께 얇은 중공의 로울러이며, 또한 그 둘레면 양단부에 대하여 중앙부가 단면활형상으로 부풀은 나무통형의 외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중공 로울러(11), (12)는 각각 로울러회전축(11a), (12a)에 끼워맞춰 고정한 로울러 심체(11b), (12b)의 양단 플랜지부(11f), (12f)에 각 중공 로울러(11), (12)의 양단부를 끼워 맞춘 후, 각 회전축(11a), (12a)의 선단에 작은 나사(13)로 원판(14)을 고정함으로서, 로울러심체(11b), (12b)로 부터의 일탈 및 축방향으로의 변형이 규제된 상태에서 이 로울러심체(11b), (12b)만에 지지되고,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중공 로울러(11), (12)는 기본적으로는 동일구조이지만, 각각 중공 로울러 주벽부의 두께만이 다르고, 한쪽의 중공 로울러(12)는 다른 쪽의 중공 로울러(11)보다도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고, 그것에 의하여 각 중공 로울러(11), (12)는 상호간에 유연성(강성)을 달리하고 있다.
그리고 각 중공 로울러(11), (12)의 회전축(11a), (12a)은 제4도에 한쪽의 회전축(11a)에 대해서만 표시하듯이 기계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고정한 브래킷(15)에 베어링(16)을 통하여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각각의 회전축(11a), (12a)의 다른 일단에는 풀리(17), (18)가 고정되어 있다. 이중 한쪽의 풀리(17)와 모터(19)의 회전축에 고정한 풀리(20)와의 사이에는 벨트(21)가 평평하게 걸리고 다른 쪽의 풀리(18)와 상기 모터(19)의 회전축에 고정한 상기 풀리(20)와 일체의 풀리(22)와의 사이에는 벨트(23)가 2개의 아이들 풀리(24), (25)로 굴곡되어 감아 걸려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모터(19)를 구동하면 그 회전은 벨트(21), (23)를 통하여 각각의 회전축(11a), (12a)에 전달되고, 각 중공 로울러(11), (12)는 같은 속도로 동기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중공 로울러(11), (12)는 공기방적노즐(104)과 딜리버리 로울러(105)의 사이의 실걸개가 각 로울러가 접촉부분에서의 원주속도 방향이 이루는 교차각의 2등분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각 중공 로울러(11), (12)의 원주속도는 그 실주행방향 성분이 실(Y)의 주행속도와 같거나 또는 약간 크게 설정하여 오버 피드로 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 근거하여 작용을 설명한다.
가연장치(101)의 한 쌍의 중공 로울러(11), (12)는 그것들이 탄성변형하지 않고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다시 소정의 누르는 양만 눌러 서로 눌려 접한 상태에서서 지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호간에 두께가 다른 상기 한 쌍의 중공 로울러(11), (12)의 탄성변형은 제4도에 표시하듯이, 보다 두께가 얇은 유연한 측의 중공 로울러(11)에 있어서 주도적으로 일어나고 그 변형패턴도 한결같다. 또, 두께가 같은 중공 로울러끼리 눌러 접하는 경우에 비해 접촉면내에서의 압력분포가 완만하며, 접촉면적도 커진다.
그 때문에 중공 로울러(11), (12)가 상기 눌려 접한상태에 있어서 전술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동기회전한 경우에 이 중공 로울러(11), (12) 상호의 마찰 및 탄성변형에 의한 발열이 억제되고 그로 인하여 중공 로울러(11), (12)의 누르는 양을 충분히 취하고, 그들의 접촉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면적내에서 실(Y)의 닙점을 넓게 잡을 수가 있으며, 실(Y)을 확실하게 닙하여, 이 실(Y)에 안정된 가연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실(Y)의 상기 접촉면내로부터의 일탈 및 그에 따른 실끊어짐이 감소하고 또 중공 로울러(11), (12) 사이로의 실(Y)의 도입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연장치(101)는 한 쌍의 중공 로울러(11), (12)로 실(Y)을 기계적으로 닙하여 가연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충분한 가연과 실에 대한 송출력이 얻어진다. 이 때문에 이 가연장치(101)의 상류측에 공기방적노즐(104)을 배치한 방적장치(102)에 있어서는 드래프트장치(103)의 프론트 로울러(33)와 가연장치(101)의 사이에서 실(Y)이 벌루닝하지 않고, 그것에 의한 진동도 일어나지 않으므로, 가연장치(101)에 의하여 실(Y)에 부여되는 가연이 상류측으로 확실하게 전달되고, 프론트 로울러(33)에서 송출된 슬라이버의 집속점이 안정되며, 실강력 및 균형도가 우수한 실을 방적할 수 있다. 또, 공기방적노즐(104)을 통과한 실(Y)이 가연장치(101)의 한 쌍의 중공 로울러(11), (12)에서 닙되어 가연될 때, 실표면의 보풀은 실 자체에 꼬여 들어가, 이것에 의하여 얻어진 실(Y)은 그 보풀이 억제되어 외관상도 뛰어난 것이 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 근거한 구체적 실험데이타에 의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검증한다.
표 1은 폴리에스테르 65% 면 35%인 Ne30의 혼방사를 방적속도300m/분 방적조건에 의하여,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하는 방적장치(102)에 있어서, NBR 고무제의 중공 로울러(11), (12)의 두께를 각각 1.35mm, 1.8mm, 누르는 양 3mm로 하여 이 중공 로울러의 회전수 및 공기방적노즐(4)의 압력의 조건을 바꾸어 방적하여 얻어진 실 및 종래예로서 표시한 2노즐식의 공기방적장치에 의하여 얻어진 실의 각 물성값을 표시하는 것이다.
표1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여 얻어진 방적사의 실의 물성값은 실강력, 신도 및 균형도 U%, Thin, Thick 등의 1PI값 공히, 종래의 방적사에 비교하여 현격하게 향상되어 있으며, 또한 고속화하는 여지를 충분히 남기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 표1중 보풀수는 방적사 10m당에 있어서의 실중심에서 0.5mm 떨어진 위치에서 관측되는 보풀의 총수이지만 이 보풀수는 종래의 방적사의 10분의 1정도까지 감소되고 있으며, 거의 보풀없는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의 방적조건에서, 각 중공 로울러를 두께 1.8mm끼리, 또는 1.35mm끼리의 같은 두께의 중공 로울러로서 실험을 시도하였으나, 상기 전자에서는 누르는 양을 1.5mm 이상으로 하면 발열이 크고, 또한 실이 중공 로울러 사이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있고, 연속하여 방적을 실시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 후자에서는 발열이 그 정도는 아니지만, 중공 로울러 사이의 눌려 접한것이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실험데이타가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실이음시에 실이 중공 로울러 사이에 들어가기 힘든 것도 확인되었다. 이들, 중공 로울러의 두께가 같은 경우에는 로울러 두께나 누르는 양의 설정이 곤란하지만 전술한 본 발명 실시예의 가연장치(101)에서는 누르는 양의 허용범위가 넓고, 그 설정이 용이하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중공 로울러(11), (12)의 두께를 각각 다르게 하여, 그들의 유연성을 다르게 한 경우에 대하여 표시하였으나, 두께가 두꺼운 측의 로울러(12)를 속이 찬 고무로울러로 하여도 좋다. 또 한 쌍의 중공 로울러(11), (12)는 자연상태에서의 외견상의 두께가 같아도 각각의 중공 로울러(11), (12)의 소재에 상호 유연성이 다른 것을 사용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회전체의 각각의 중공 로울러이었지만 한 쌍의 회전체의 각각이 무단형상의 벨트라도 좋고 한 쌍의 회전체의 한쪽이 중공 로울러이고, 다른 쪽이 무단형상의 벨트여도 좋다.
또한 한 쌍의 회전체의 실송출분력이 이루는 각도, 즉 로울러(11)의 실송출분력과 로울러(12)의 실송출분력이 이루는 각도(θ)는 70°~85°의 범위가 좋고 바람직하게는 75°~80°의 범위가 좋다. 70°이하이면 꼬기 힘들고, 85°이상이면 너무 꼬여 실끊어짐이 증가하고 실강력도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기재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연탄성을 보유하는 공동 로울러 끼리를 접촉시켜서 섬유다발을 잡는 접촉면을 형성하였으므로, 공동 로울러의 탄성력 및 원심력과 어울려서, 확실하게 섬유다발을 잡을 수가 있으므로, 가연장치를 고속구동하여도, 충분한 가연을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섬유다발에 강한 송출력 및 되돌려 꼬이는 힘을 부여할 수가 있고, 따라서 고속방적이 실현될 수 있음과 아울러, 강도 및 균형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보풀이 적은 방적사를 제조할 수가 있다.
섬유다발을 잡는 부재를 공동 로울러로 하였으므로, 회전에 의한 편심흔들림 혹은 변형이 적고, 고속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고속방적이 실현될 수 있음과 아울러, 공동 로울러의 원심력에 의하여 보다 강한 잡는 힘이 발생하고, 따라서 충분한 가연을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섬유다발에 강한 송출력 및 되돌려 꼬이는 힘을 부여할 수가 있다.
공동 로울러를 연탄성재로 형성하고, 더우기 중앙부가 부풀은 나무통형상으로 형성하였으므로, 가연유닛의 위치를 적당히 바꿈으로서, 접촉면적, 접촉력 등의 조정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공동 로울러에 투시구멍을 뚫어 설치하였으므로 공동 로울러의 안팎에 있어서의 온도차에 의하여 생기는 공동 로울러의 수축 혹은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서로 축방향을 교차하여 접촉상태로 지지되고 이 접촉부분에서 닙하면서 송출하는 한 쌍의 회전체로 이루어지는 방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체 각각이 가요성탄성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호 유연성을 다르게 한 것이므로, 회전체 사이의 발열을 억제하면서, 이들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실의 닙점을 넓게 확보할 수가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안정된 가연을 부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또한 닙접으로부터의 실의 일탈과 그것에 의한 실끊어짐이 감소하고 또 실이음시에 있어서의 실이 들어오는 것도 양호하게 된다. 또한, 회전체가 누르는 양의 설정 조절 등의 작업이 용이하며, 또한 회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회전체 각각이 중공 로울러이며, 또한 로울러 주벽부의 두께를 서로 달리하게 함으로서, 중공 로울러 상호간에 유연성을 달리하게 한 것이므로, 상술의 각 효과가 더욱 더 조장되는 것에 덧붙여, 중공 로울러의 재료 선택 및 유연성비율의 선정 및 변경이 용이하다.
그리고, 방적장치로서 상기 회전체의 실걸개 상류측에 선회기류를 발생시키는 공기방적노즐을 배치하였으므로, 실강력, 균형도 등의 실의 물성이 우수하고, 또한 보풀이 적고 외관상도 뛰어난 실을 방적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속방적이 가능하며, 또한 실끊어짐을 방지하여 안정된 방적을 실시할 수가 있고 실의 생산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프론트 로울러의 근방에 배치하여 설치된 선회공기류를 발생시키는 방적노즐과, 이 방적노즐의 하류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연탄성재로 이루어지며 중앙부가 불룩한 나무통형상으로 형성된 공동로울러를 보유하는 한 쌍의 가연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공동 로울러에 투시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장치.
  3. 서로 축방향을 교차하여 접촉상태로 지지되고, 이 접촉부분에서 실을 닙하면서 송출하는 한 쌍의 회전체로 이루어지는 방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체 각각이 가요성탄성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호간에 유연성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장치.
  4. 제4항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체 각각을 그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 로울러로 하고, 또한 각각의 로울러 주벽부(周壁部)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상호간에 유연성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장치.
  5.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체의 실걸개 상류측에 선회기류를 발생시키는 공기방적노즐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장치.
KR1019950006456A 1994-07-15 1995-03-25 방적장치 KR100246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86780A JP2626571B2 (ja) 1994-07-15 1994-07-15 紡績装置
JP94-186780 1994-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6500B1 true KR100246500B1 (ko) 2000-04-01

Family

ID=1619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456A KR100246500B1 (ko) 1994-07-15 1995-03-25 방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99661A (ko)
JP (1) JP2626571B2 (ko)
KR (1) KR100246500B1 (ko)
CN (1) CN1047211C (ko)
DE (1) DE19526048C2 (ko)
TW (1) TW3206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5457A3 (en) * 1997-01-27 2000-10-18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Fluff suppressing device for an automatic winding machine
JP3196706B2 (ja) * 1997-09-22 2001-08-06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機の運転方法
US6076346A (en) * 1997-09-29 2000-06-20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Twisting apparatus
DE102005022186A1 (de) * 2005-05-13 2006-11-16 Saurer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uftgesponnenen Fadens
DE102005035049A1 (de) * 2005-07-27 2007-02-01 Saurer Gmbh & Co. Kg Spinn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esponnenen Fadens mittels eines umlaufenden Luftstroms
CN103726143B (zh) * 2012-10-15 2016-01-20 浙江华孚色纺有限公司 摩擦假捻装置
DE102012023985A1 (de) 2012-12-07 2014-06-12 Saurer Germany Gmbh & Co. Kg Luftspinnvorrichtung
DE102013108095A1 (de) * 2013-07-29 2015-01-29 Maschinenfabrik Rieter Ag Spinnmaschine und Falschdralleinrichtung
CN103696107B (zh) * 2013-12-30 2015-02-25 苏州华策纺织科技有限公司 织机张力补偿装置
CN105970371B (zh) * 2016-07-07 2019-01-08 山东圣润纺织有限公司 一种新型并列复合纱线纺纱设备
CN106757568B (zh) * 2017-03-22 2018-10-09 江南大学 一种同步异向加捻纺纱装置和纺纱方法
CN110079901B (zh) * 2019-06-11 2024-03-08 经纬纺织机械股份有限公司 空气集合器
US11891264B2 (en) * 2022-01-24 2024-02-06 Jean-Michel Libeau System for producing yar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25A (ja) * 1990-04-13 1992-01-07 Murata Mach Ltd 結束紡績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328A (en) * 1885-12-01 Drawing-roll
US2943433A (en) * 1955-03-04 1960-07-05 American Enka Corp Crimping or curling of yarns or threads
US3842582A (en) * 1972-12-18 1974-10-22 Leesona Corp Apparatus and process for imparting twist to filamentary material
US4047373A (en) * 1975-06-24 1977-09-13 Oda Gosen Kogyo Kabushiki Kaisha False-twis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rimped filament yarns
US4400931A (en) * 1980-11-07 1983-08-30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Belt-type false twisting unit
JPS5916007B2 (ja) * 1981-12-11 1984-04-12 村田機械株式会社 ベルト式仮撚ユニツト
CH662585A5 (de) * 1982-02-03 1987-10-15 Murata Machinery Ltd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erstellung gesponnenen garns.
CH660888A5 (de) * 1982-05-07 1987-05-29 Barmag Barmer Maschf Friktionsfalschdraller.
DE3464067D1 (en) * 1983-05-18 1987-07-09 Heberlein Hispano Sa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cored yarn
JPS6088132A (ja) * 1983-10-14 1985-05-17 Murata Mach Ltd 紡績糸の製造方法
JPS63264925A (ja) * 1987-04-22 1988-11-01 Murata Mach Ltd 紡績糸の製造装置
US4823545A (en) * 1987-08-31 1989-04-25 Maschinenfabrik Rieter Ag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alse-twist spinning
US4936087A (en) * 1987-11-19 1990-06-26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Belt type false twisting device
US5243813A (en) * 1989-10-04 1993-09-14 Fritz Stahlecker Process and an arrangement for false-twist spinning
US5228281A (en) * 1989-11-04 1993-07-20 Fritz Stahlecker Arrangement and method for false-twist spinning
JPH03128674U (ko) * 1990-04-09 1991-12-25
FR2667618A1 (fr) * 1990-10-04 1992-04-10 Devtex Procede pour l'obtention d'un file de fibres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óoeuvre.
JPH06123018A (ja) * 1992-10-09 1994-05-06 Murata Mach Ltd 紡績糸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JPH06123017A (ja) * 1992-10-09 1994-05-06 Murata Mach Ltd 紡績糸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JPH06123016A (ja) * 1992-10-09 1994-05-06 Murata Mach Ltd 紡績糸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JP2624139B2 (ja) * 1993-08-06 1997-06-25 村田機械株式会社 毛羽抑制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25A (ja) * 1990-04-13 1992-01-07 Murata Mach Ltd 結束紡績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20657B (ko) 1997-11-21
DE19526048C2 (de) 2000-05-11
JP2626571B2 (ja) 1997-07-02
JPH0835126A (ja) 1996-02-06
CN1047211C (zh) 1999-12-08
CN1120082A (zh) 1996-04-10
US5699661A (en) 1997-12-23
DE19526048A1 (de) 199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500B1 (ko) 방적장치
JP2001164432A (ja) コアヤーン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H0465535A (ja) 紡績装置
JPH036251B2 (ko)
CS215122B2 (cs) Zařízeni pro spřádání vláken v přízi
JP2624139B2 (ja) 毛羽抑制装置
KR100227480B1 (ko) 방적사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JPH03161525A (ja) 紡績糸の製造装置
JPH0532502B2 (ko)
JPS6344846B2 (ko)
JP3196706B2 (ja) 紡績機の運転方法
CN214782336U (zh) 一种用于生产麻纺纱的大牵伸气流纺纱装置
JPH04163325A (ja) 紡績装置
CN113005576A (zh) 一种用于生产麻纺纱的大牵伸气流纺纱装置
JPH08209463A (ja) 仮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紡績装置
JPH0959829A (ja) 繊維集合体の加撚方法及び加撚装置並びに紡績糸の製造方法
JPH08246254A (ja) 仮撚装置
JP2970094B2 (ja) ロータ式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
JPH069028Y2 (ja) 紡績装置
JP2806380B2 (ja) 紡績糸
JPH0683774U (ja) 毛羽抑制装置
JPH09111542A (ja) 紡績装置
JP3358572B2 (ja) 加撚紡績方法
JP2599146Y2 (ja) ロータ式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
JPH07258930A (ja) 紡績糸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