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166B1 - 제판용 마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제판장치 - Google Patents

제판용 마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제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166B1
KR100244166B1 KR1019970702113A KR19970702113A KR100244166B1 KR 100244166 B1 KR100244166 B1 KR 100244166B1 KR 1019970702113 A KR1019970702113 A KR 1019970702113A KR 19970702113 A KR19970702113 A KR 19970702113A KR 100244166 B1 KR100244166 B1 KR 100244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roll
master roll
plat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6133A (ko
Inventor
미트루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스기타 케이지
가부시키가이샤 도호꾸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기타 케이지, 가부시키가이샤 도호꾸 리코 filed Critical 스기타 케이지
Publication of KR970706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182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13/00Stencilling apparatus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use
    • B41L13/04Stencilling apparatus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use with curved or rotary stencil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4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4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 B41C1/144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by perforation using a thermal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13/00Stencilling apparatus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use
    • B41L13/04Stencilling apparatus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use with curved or rotary stencil carriers
    • B41L13/06Stencilling apparatus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use with curved or rotary stencil carriers with a single cylinder carrying the stenc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24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28Wound package of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05Opening of web rolls; Removing damaged outer layers; Detecting the leading end of a closed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6Positioning; Changing position
    • B65H2301/364Positioning; Changing position of material in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2Surface aspects
    • B65H2701/124Patterns, marks, printed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2Surface aspects
    • B65H2701/124Patterns, marks, printed information
    • B65H2701/1242Patterns, marks, printed information printed information
    • B65H2701/12422Patterns, marks, printed information printed information codes or the like which can be used for further processing, e.g. relative to consumed or still availa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제판용 마스터의 느즌해짐을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공판(孔版)인쇄 장치 등의 인쇄장치에 구비된 제판장치에 이용되는 마스터롤로부터 풀려나오는 마스터가 느즌해지지 않도록 구성된 제판용 마스터에 관한 것이다.
마스터 16a가 심재 16B의 주위에 롤상으로 권치되어 형성된 마스터롤 16의 단면 16t중, 최소 1단면 16t에 접착용 풀(16a1)이 도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이 풀을 도포한다는 간단한 구성으로 마스터롤 16을 회전동작시킬 때 생기는 관성력에 의해 마스터롤 16의 거동이 불안정하게 되어도 롤부의 느즌해짐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마스터롤로부터 풀려나오는 마스터가 이완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제판용(製版用)마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제판 장치
종래부터 간편한 인쇄장치로서 감열 디지탈제판식 공판(孔版))인쇄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공판인쇄장치는, 감열재료로서 열가소성수지 필름을 갖는 감열제판용 마스터에 대하여 열헤드에 의해 화상정보에 따라 가열천공(穿孔)하고, 그 천공제판된 제판완료된 마스터를 판몸체에 감은 다음 판몸체 내부로부터 잉크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판몸체에 감은 제판완료된 마스터에 대하여 판 몸체로부터 잉크를 스며나오게 하고 그 마스터를 통해 프레스롤러등 압압수단에 의해 인쇄용지를 판몸체 표면에 압압함으로서 제판된 마스터의 천공부분으로 부터 스며나오는 잉크를 인쇄용지로 전이시켜 화상을 인쇄하도록 되어 있다.
마스터의 천공에 이용되는 열헤드는 판몸체의 축방향에 해당하는 주주사방향(主走査方向)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발열소자를 갖고 그 발열소자에 대하여 선택적인 통전제어를 함으로써 발열소자를 선택적으로 발열시킴으로써 발열부위에 대응하는 마스터의 부위를 가열 용융시켜 천공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공판인쇄 장치에는 예를들어 일본 실개소 63-178134 공보에 개시된 바와같이, 제판에 필요한 화상정보를 원고로부터 읽기 위한 원고 독취부를 인쇄장치내의 제판부상부에 배치하여, 원고의 독취와 제판처리를 인쇄장치내에서 일관하여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
상기한 인쇄장치에서는, 예를들어 마스터가 소비되어 새로운 마스터와 교환되어 제판처리가 실행되게 한 경우 다음 절차가 채택된다.
먼저, 인쇄장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원고 독취부를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하여 제판부의 전역이 장치상방에서 볼수 있는 상태로 된다.
마스터는 고유면적을 적게 하고자하는 의도에서 통상 심재(心材)의 주위에 감겨있어 롤상으로 형성된 마스터롤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마스터롤을 인쇄장치의 상방에서 제판부의 롤 지지부에 장착마스터롤을 롤지지부에 장착후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의 선단을 인출하여 소정의 길이 또는 형상으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끝단을 장치외부로 취출(取出)한 다음 새로운 마스터의 선단이 소정위치로 계속하여 나오게 된다. 그후 원고독취부를 인쇄장치의 소정위치로 되돌린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방법에서는, 조작이 복잡할 뿐만아니라 번거러우며, 상당한 숙련을 필요로 하므로 전문적인 조작자를 필요로 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장치의 구조상 원고독취부를 정규위치와 그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와의 사이에 변위가능하게 설할 필요가 있으므로, 원고독취부의 설취부의 기계적 강도, 중량 및 부품수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따라 장치의 가공 단가나 조립비용등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인쇄장치에 이용되는 제판용 마스터는 필름 시트상의 마스터를 감아 적층한 상태로 되어 있는 마스터롤로 공급된다. 마스터롤은 롤부가 회전됨에 따라 나오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가 있다.
그러나, 제판용 마스터의 선단은 열헤드 및 플라틴 롤러에 의해 압압. 협지되어 있으나, 롤러부는 회전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롤러부가 회전시작시 내지는 회전정지시에는 마스터롤의 중량으로 인해 관성력이 발생한다. 이같이 마스터롤은 지금까지와 다른 동작이 개시되면 그 관성력의 작용에 의해 롤부의 거동이 안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경우에는 마스크가 느즌해지게 된다.
마스크에 이완(노즌함)이 생기면, 롤부를 회전시켜도 이완된 부분이 풀려나오게 되어 롤부의 회전량을 정확히 제어하여도 그 회전량과 풀려나오는 량이 다르게 되기 쉽다.
이에 따라 제판을 위하여 필요한 길이를 맞출수가 없는 것이다.
또한, 마스터롤을 롤 지지부에 장착할때에, 롤부의 마스터에 권취이완이 생기게 되어 풀려나오는 마스터에 이완이 발생하는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판용 마스타는 롤지지부의 지지구조에 따라서는 선단의 풀려나오는 방향이 한정되는 경우도 있어, 롤 지지부에 장전되는 때에 잘못이 없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조작자는 마스터의 장전조작을 잘못이 없도록 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 장전조작이 번거로운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마스터롤의 반송이나 취급시에 마스터롤의 롤부로부터 마스터가 느즌해지거나 마스터롤에 감겨져 있는 마스터가 감김틈이 생기지 않는 제판용 마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발명의 제2 목적은 마스터롤로부터 풀려지는 마스터가 느즌해지지 않게 하는 제판용 마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제3의 목적은 마스터롤의 교환시 마스터롤을 장진할때에 풀려나와야 할 선단의 방향성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 제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제4 목적은 마스터롤의 롤부로부터 마스터의 선단을 자동적 혹은 반자동적으로 박리하여 반송시킬수 있는 제판장치를 공급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제판용(製版用) 마스터(master)의 느즌함을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공판(孔版) 인쇄장치 등의 인쇄장치에 장착된 제판장치에 사용되는 마스터롤로부터 계속하여 나오는 마스터가 느즌해지지 않도록 구성된 제판용 마스터, 및 제판장치에 마스터롤을 장진시 그 마스터롤의 방향성을 판별할수 있고 또한 마스터롤로 부터 마스터의 선단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풀리게 할수 있는 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판용 마스터가 이용되는 공판인쇄장치 및 본발명의 일실시예로서의 제판 장치가 구비된 공판인쇄장치의 전체 개략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제판 장치의 확대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제판장치에 있어서의 마스터롤 보지부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마스터롤 보지부의 요부사시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제판장치에 사용되는 마스터 분리수단의 일예의 사시도,
제6도는 제2도에 도시된 마스터 분리수단의 요부 구성 및 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마스터 분리수단의 요부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제8도는 제6도에 도시한 마스터 분리수단의 요부구성의 작용중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제9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제판장치에 이용되는 제어부의 블록도,
제10도는 제 1실시예에 사용되는 마스터롤의 외관사시도,
제11도는 제2도에 도시된 제판장치의 초기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12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제판 장치에 있어서 마스터롤 보지부가 장딘된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13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제판장치에 있어서,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의 선단이 풀려나온 직후의 동작을 나타낸 모식도,
제14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제판 장치에 있어서, 마스터 선단이 열 헤드 및 플라틴 롤러와의 대향위치로 이동한 동작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제15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제판장치에 있어서, 마스터의 선단이 열헤드 및 플라틴 롤러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제16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제판장치에 있어서 제판대기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제17도는 제9도에 도시한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제18도는 제9도에 도시한 제어부의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제19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제판장치의 변형예 1을 나타낸 모식도,
제20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제판장치의 변형예 2을 나타낸 모식도,
제21도는 제1발명에 관한 제 2실시예를 보여주는 마스터롤의 요부외관 사시도,
제22도는 제 2실시예의 변혀예 1을 보여주는 마스터롤의 요부외관 사시도,
제23도는 제 2실시예의 변형예 2를 보여주는 마스터롤의 요부외관 사시도,
제24도는 제 2실시예의 변형예 3을 보여주는 마스터롤의 요부외관 사시도,
제25도는 제 2실시예의 변형예 3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마스터롤의 요부외관 사시도,
제26도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 4를 보여주는 마스터롤의 요부외관사시도,
제27도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 4를 보여주는 다른예의 마스터롤의 요부외관 사시도,
제28도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 5를 보여주는 마스터롤의 요부외관사시도,
제29도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3을 보여주는 마스터롤 보지부의 평면도,
제30도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 6을 보여주는 마스터롤의 요부외관 사시도,
제31도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 7를 보여주는 마스터롤의 요부외관 사시도이다.
제1 발명에 의한 제판용 마스터는, 마스터가 롤상에 감겨 형성된 마스터롤의 끝단면중 적어도 한쪽 단면에 풀(糊)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롤의 단면중 최소 일단면에 풀이 도포되어 있음으로서 마스터롤로서 감겨있는 마스터의 측단면이 접착되며, 또한 이에 의해 마스터롤의 단면에 있어서의 마스터의 측단주연부도 접착되게 된다.
따라서 공급자가 마스터롤을 반송 또는 취급시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가 풀어지거나 마스터롤에 감겨 있는 롤부의 마스터가 말려 풀어지거나 혹은 이완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발명에 있어서의 청구범위 제1 항 기재의 제판용 마스터에 있어서, 제판된후 판본체에 감겨진 후 잉크를 공급시켜 밀착시킨 인쇄용지에 화상을 전사하는 인쇄에 이용되며, 상기 마스터가 감열재료를 갖고, 상기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의 선단이 풀려질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마스터롤이 인쇄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마스터롤의 회전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해 롤부의 거동이 안정되지 않는 경우에 생기는 이완발생을 방지할수 있다.
또한 마스터롤을 인쇄장치에 셋팅하는 경우, 마스터롤이 말려풀리게 되는 것도 방지된다. 이에 의해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의 선단을 자동적 내지는 반자동적으로 박리하는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확실히 마스터의 선단을 박리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발명에 있어서의 청구범위 제1 또는 2항 기재의 제판용 마스터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의 단면에 도포된 상기 풀의 접착력은 상기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가 풀러나옴에 따라 상기 마스터롤로부터 상기 마스터가 박리되는 정도의 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를 풀어낼때의 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마스터의 측단면이 접착되며, 또한 이에 의해 마스터롤 단면에 있어서의 마스터의 측단 주연부도 접착되게 되는 것으로서, 마스터롤의 회전에 필요한 회전구동부재의 출력을 저감시킬수가 있게 된다.
또한 제1 발명에 있어서의 청구범위 제1, 2 또는 3항기재의 제판용 마스터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의 선단부를 제외하고 상기 마스터롤의 단면에 상기 풀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의 선단풀림이 저해되지 않는 상태에서 마스터의 측단면이 접착되며, 또한 이에 의해 마스터롤의 단면에 있어서의 마스터 측단주연도 접착되게 되어 마스터 분리수단에 대하여 마스터의 선단을 원할하게 대향시킬수가 있으며, 이에따라 마스터의 이완 발생을 방지한 상태에서도 마스터의 선단을 원할하게 도출시킬수가 있게 된다.
게다가, 제1 발명에 있어서의 청구범위 제 1, 2, 3 또는 4항 기재의 제판용 마스터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의 단면의 전영역에 걸쳐 상기 풀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롤에서 마스터가 풀려지거나 마스터롤이 감겨풀리거나 혹은 이완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제판용 마스터로서의 마스터롤이 인쇄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보다 확실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 1발명에 있어서의 청구범위 1, 2, 3 또는 4항 기재의 제판용 마스터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의 단면의 1개소에서 그 반경 방향에 걸쳐 상기 접착용 풀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발명에 있어서의 청구범위 1, 2, 3 또는 4항 기재의 제판용 마스터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의 단면의 여러개소에 그 반경방향에 걸쳐 상기 풀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가 풀려나올 때 마스터의 측단면의 접착부 내지는 마스터롤의 단면에 있어서의 마스터의 측단주연부의 접착부를 박리시키기 위한 저항이 적게 되어 마스터롤의 회전에 필요한 회전구동력을 저감시켜 구동장치의 소형화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발명에 있어서의 청구범위 1, 2, 3또는 4항 기재의 제판용 마스터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 단면의 접착용풀의 도포면은 색구분된 복수의 동심윤상대(同心輪狀帶)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의 사용에 의해 마스터 롤러의 외경이 작아지게 됨에 따라 마스터롤 단면의 접착풀의 도포면의 색이 다른 것을 판별할수 있는 것으로서, 마스터의 사용에 의한 잔량을 특별한 검출기구를 요하지 않고 판단할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발명에 있어서의 청구의 범위 제 1, 2, 3 또는 4항 기재의 제판용 마스터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의 양단면에 접착용 풀이 도포되어 있어 그 양면의 풀도포면에 서로 다른 식별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발명에 있어서의 청구범위 제 9항 기재의 제판용 마스터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시가 색(色)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발명에 있어서의 청구범위 제 9항 기재의 제판용 마스터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시가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양면의 접착풀 도포면의 식별표시가 서로 다름으로써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의 선단을 풀어낼 때의 마스터의 방향성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가 있으며, 마스터의 선단을 풀때의 마스터롤의 방향을 확실히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발명에 있어서의 청구범위 제 1 내지 11항중 어느하나에 기재된 제판용 마스터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터롤 보지부와, 마스터롤을 상기 마스터를 지지부에 셋팅한후 상기 마스터의 선단을 풀어내도록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가지는 제판장치에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발명에 있어서의 청구범위 1 내지 11항중 어느하나에 기재된 제판용 마스터로서,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터롤 보지부와, 상기 마스터롤을 상기 마스터롤 보지부에 셋팅한후,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수단과, 상기 마스터롤의 직경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터롤의 외주면에 당접하거나 근접하고, 상기 마스터의 선단을 떼어내는 박리수단을 갖는 제판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발명에 있어서의 청구범위 제 9항 기재의 제판용 마스터이며,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터롤 보지부를 갖고, 또한 상기 마스터롤 보지부에 지지된 상기 마스터롤의 양단부에 대응한 상기 마스터롤 보지부의 각 위치에 상기 마스터롤의 양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식별표시에 각각 대응한 식별표시를 형성하고 있는 제판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에 의한 제판장치로서, 청구범위 제15항 기재의 제판장치는, 청구범위 제1 내지 11항 어느하나에 기재된 제판용 마스터의 상기 마스터롤로 부터 마스터의 선단을 풀어내는 제판장치이며,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터롤 보지부와, 상기 마스터롤을 상기 마스터를 보지부에 셋팅한후 상기 마스터의 선단을 풀어내도록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가짐을 특징으호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의 선단을 반자동적으로 풀어낼수가 있다.
제2 발명에 있어서의 청구범위 제 16항 기재의 제판장치는 청구범위 제1 내지 11항중 어느하나에 기재된 제판용 마스터의 상기 마스터롤에서 마스터의 선단을 자동적으로 박리하여 풀어내는 제판장치이며,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터롤 보지부와, 상기 마스터롤을 상기 마스터롤 보지부에 셋팅한후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마스터롤의 직경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터롤의 외주면에 당접 내지는 근접하고, 상기 마스터의 선단을 떼어내는 박리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의 선단을 자동적으로 박리하여 풀어낼수가 있다.
제2 발명에 있어서의 청구범위 17항 기재의 제판장치는 청구범위 9항 기재의 제판용 마스터를 이용하는 제판장치이며,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터롤 보지부를 갖고, 그리고 상기 마스터롤 보지부에 지지된 상기 마스터롤의 양단면에 대응한 마스터롤 보지부의 각 위치에 상기 마스터롤의 양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식별표시에 각각 대응한 식별표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롤 보지부에 마스터를 장진시 마스터의 선단 풀림이 가능한 마스터의 방향성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마스터의 선단풀림을 위해 마스터롤의 셋팅조작을 간단히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제1도는 본발명에 의한 제판용 마스터가 사용되는 인쇄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인쇄장치는 천공제판(穿孔製版)된 마스터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공판(孔版)인쇄장치이다.
먼저 상기 공판 인쇄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서 부호 1은 공판 인쇄장치를 나타낸다. 공판인쇄장치 1은 판본체 2가 배치된 공판인쇄공정을 구비하고 있으며, 급지장치 5, 제판장치 10, 배판부(排版部) 20 및 배지부로 주로 구성된다.
공판 인쇄장치 1에 있어서 제판장치 10은 본 발명에 관한 신규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그 이외의 굽지장치 5, 배판부 20 및 배지부는 통상의 구성을 갖는다.
공판인쇄장치 1은 회전축 2A를 중심으로 정. 역 회전가능한 판본체 2를 포함한다.
판본체 2는 인쇄공정실행시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마스터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판 본체 2는 그 외주면상에 천공제판된 제판완료된 마스터를 감는 알려진 구조 및 기능을 갖는다. 판 본체2는 일부를 제외하고 주면(周面)에 다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표면에는 예를들어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얇은 박층(薄層)의 메쉬스크린(도시되지 않음)이 취부되어 있다. 이 메쉬스크린의 재료로서는 금속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판본체 2의 외주면에서 천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는 마스터의 선단을 협지하기 위한 크램프 2D가 배설되어 있다. 크램프 2D는 판본체 2의 하나의 모선(母線)에 따라 배치된 적치면을 갖는 스테이지 2E와, 그 스테이지 2E의 일측단에 배설된 고정축 2G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스테이지 2E에 대하여 접리(接離) 자재인 파지부재 2F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지 2E는 자성체일수 있으며, 파지부재 2F는 고무자석일수 있다.
스테이지 2E는 마스터의 선단을 재치할 수가 있으며, 스테이지 2E상에 선단을 재치한 마스터는 스테이지 2E와 파지부재 2F에 의해 협지고정되게 되어 있다.
마스터의 선단 이외의 범위는 후술하는 잉크 공급기구 3에서 판본체 2의 표면으로 향해 공급되는 잉크의 점착력에 의해 판본체 표면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판본체 2의 내부에는 잉크 공급기구 3이 설해져 있다. 잉크 공급기구 3은 회전축 2A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잉크롤러 3A의 닥터 롤러 3B를 주요부로 구비하고 있다.
잉크롤러 3A 는 금속롤러이며, 회전축 2A 하부의 판본체내에서 후술하는 프레스롤러 4와 대향하는 위치에 판본체 2를 협지하여 배치되어 있다.
잉크롤러 3A 는 판본체 2의 내주면에 당접하므로 판본체 2의 주속도와 동기한 주속도로 회전하고, 닥터롤러 3B에 의해 담지량이 규정된 잉크를 판본체 2 및 메쉬스크린의 관통공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닥터롤러 3B에 의해 담지량이 규정되는 잉크는 회전축 2A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구 2C로 부터 상기 양롤러 3A, 3B 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의 잉크 체류부 3C에 적하되게 되어 있다.
잉크롤러 3A는 후술하는 프레스롤러4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에 의해 판본체 2에 프레스 롤러 4가 압압된때의 압력에 의해 판본체2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는 백업롤러로서의 기능도 하고 있다.
잉크롤러 3A의 하방에는 판본체 2를 사이에 두고 잉크롤러 3A에 대향하는 프레스롤러 4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스롤러 4는 회전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판본체 2에 대하여 접리(接離) 가능하게 설해져 있다.
프레스 롤러 4는 요동아암 4A 일단의 자유단에서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요동아암 4A의 타단의 요동단은 부채꼴아암 4B의 윤곽주면(周面)에 당접하고 있다.
부채꼴 아암4B는 미도시된 구동부에 의해 후술하는 급지 장치 5로부터의 인쇄용지 S의 급지 타이밍에 맞쳐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급지장치 5로부터 인쇄용지 S가 급지 되지 않을 때에는 그 대경부(大俓剖)를 요동아암 4A의 타단요동부에 대향시키고 있다.
부채꼴 아암 4B는 급지장치 5로부터 인쇄용지 S가 급지되면 회전하여 그 소경부(小徑剖)를 요동아암 4A의 타단요동부에 대향시켜 요동아암 4A를 제1 도에 있어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인쇄용지 S는 급지 장치 5로 부터 급송되어 판본체 2와 프레스롤러 4와의 사이에 삽입된때 프레스 롤러 4가 상승변위됨으로써 판 본체 2의 표면에 압압된다. 인쇄용지 S는 제판된 마스터를 통해 판본체 2의 표면에 압압되면 판본체 2에 감겨있는 마스터의 천공부분에서 전이하는 잉크에 의해 인쇄된다. 따라서 프레스 롤러 4가 판본체 2에 압압하는 위치는 화상전사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된다.
급지 장치 5는 프레스롤러 4의 도면에서 우측근처에 배채치되어 있다.
급지장치 5는 픽업롤러 6, 분리롤러 7 및 레지스터 롤러 9를 급지방향에 따라 포함하고 있다.
픽업롤러 6은 급지 트레이 5A에 수용되어 있는 인쇄용지 S의 최상위용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접근가능하게 설해지며, 인쇄용지 S를 도시된 화살표 방향에 상당하는 급송방향에 향하여 풀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급지 트레이 5A는 승강자재로 설하고 있으며 항상 상승하는 힘을 부여하여 최상위에 위치하는 인쇄용지 S를 픽업롤러 6에 당접시키도록 되어 있다.
인쇄용지 S를 보급할때에는 급지 트레이 5A가 하강되며, 최상위위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내에 인쇄용지 S를 삽입할 수가 있다.
분리롤러 7은 픽업롤러 6과 마찬가지로 인쇄용지 S중의 최상위 것에 당접하여 회전가능하며, 최상위에 있는 인쇄용지 S 만을 제공할수 있도록 인쇄용지 S 자체의 마찰계수 보다도 인쇄용지 S중 최상위의 것과의 사이의 마찰계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레지스터 롤러 9는 인쇄용지 S의 급송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 당접하는 1셋트의 롤러로 구성되며, 판본체 2와 프레스롤러 4가 접촉하는 위치에 향하여 인쇄용지 S의 급송타이밍을 따라 인쇄용지 S를 보낸다.
급지장치 5에서는 급지 트레이 5A가 상승하여 급지 트레이 5A 상의 인쇄용지 S중 최상위 것이 픽업롤러 6에 당접하여 급지 위치를 차지하면 도시되지 않은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픽업롤러 6이 회전된다.
이에 의해 인쇄용지 S가 급지방향으로 가게 되며 분리롤러 7에 의해 최상위의 용지 1장만이 분리되어 레지스터롤러 9로 향해 급송된다.
인쇄용지 S는 레지스터 롤러 9에 의해 그 선단이 당접되며 이송이 정지된다. 이어서 프레스롤러 4가 판본체 2에 압압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마스터의 화상위치와 인쇄용지 S에서의 인쇄개시위치를 정합시키는 타이밍을 이용하여 인쇄용지 S는 판본체 2와 프레스롤러 4와의 사이를 향해 급송된다. 그래서 상기한 주지의 인쇄동작에 의해 인쇄화상이 얻어진다.
도 1에 있어서, 판본체 2의 우측상부에는 본발명의 제2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로서의 제판장치 10이 배치되어 있다.
제판 장치 1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판장치 1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해 마스터 반송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마스터 반송방향에 따라 마스터 반송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스터 반송방향의 좌우양측을 단지「좌」, 「우」라고 할 때가 있으며, 또한 상기 마스터 반송방향의 상류측을 「후(後)」, 하류측을 「전(前)」이라고 할 때가 있다.
제판장치 10은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스터롤보지부 11, 마스터분리수단 12, 마스터 회전구동부 13 및 플라틴압제어부 14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판장치 10은 마스터 16a가 롤상으로 감아 형성된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마스터 16a의 선단을 자동적으로 박리하여 풀어내는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제판장치 10은 마스터롤 1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터롤 보지부 11을 갖고, 마스터롤 16을 마스터롤 보지부 11에 셋팅한후 마스터롤 16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후술함)과, 마스터롤 16의 직경 변화에 대응하여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당접 또는 근접하고, 마스터 16a 의 선단을 박리하는 박리수단(후술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마스터롤 16에 감겨있는 마스터 16a는 광투과성을 갖는 1-2㎛정도의 얇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대하여 천연섬유나 합성섬유 혹은 이들 양재료를 혼합한 것으로 되는 다공성 지지체를 접합하여 라미네이트 구조로 한 것이 이용되며, 열헤드 등의 발열소자에 의해 가열천공된 것이다.
상기 제판 장치 10에서는 마스터 16a의 두께가 3-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롤 1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스터 16a가 마스터 16a 의 폭칫수와 동일한 칫수로 형성된 관상의 심재 16B의 주위에 감아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마스터롤 16은 마스터 16a가 그 축방향의 양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심재에 감아 형성된 종래의 구성이 아니며, 마스터 16a가 마스터롤 16의 양단면과 같은 위치에 각 축단을 갖는 심재 16B에 감아 형성된 특징적인 구성을 이룬다.
상기 마스터롤 16으로서는 후술하는 제2 실시예 및 변형예 등에 나타나 있는 각 마스터롤이 이용된다.
마스터롤 16은 도 10에 나타난 바와같이 롤상으로 감겨져 있는 롤부중에서 사용관계에 도달한 위치로 부터 최종단부까지의 권취방향에 따른 범위에 저반사율부 16A를 갖는다. 저반사율부 16A에는 예를들면 흑색코팅이 되어 있다.
이같은 마스터롤 16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판본체 2에 향하여 마스터 16a의 선단을 풀어낼수가 있는 상태에서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수납 凹부 11A4에 낙하여 장진된다.
제판장치 10의 내부에는 가이드 부재 15가 배설되어 있다.
각 가이드 부재 15는 제4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단면채널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마스터 반송로에 따라 좌우 양측에 소정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채널상을 이루는 개구측을 상호 대향 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부재 15는 제판 장치 10의 좌우양측에 배설된 좌, 우 측판(도시되지 않음)에 각각 고착설치되어 있다. 우측에 배설된 가이드부재 15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마스터 구동롤러 11D, 11E의 각축을 가이드 부재 15의 우외측에 도출하기 위한 장홈 1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홈 15a는 가이드 부재 15의 길이 방향에 따라 마스터롤 보지부 11의 이동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롤 보지부 11은 마스터롤 보지부 11A, 마찰보지부재 11A1, 덮개채 11B, 손잡이 11C, 1쌍의 마스터 구동롤러 11D, 11E, 압압부 11G 및 돌조부 11A5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마스터롤 보지부 11의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 덮개 11B, 손잡이 11C, 압압부 11G 및 돌조부 11A5는 예를들어 금속판으로 적의 부위가 삽입보강되며,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부분을 갖는 대략 상자체를 이루고 있으며, 마스터롤 1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 및 기능을 갖는다.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에는 마스터롤 16의 하반주(下半周)의 일부를 삽탈가능한 수납 凹부 11A4가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좌우 양측의 외측벽에는 제3도 및 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쌍의 가이드부재 15의 상기 채널상 개구내에 감입하는 직사각형상의 돌조부 11A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조부 11A5는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좌우양측의 외측벽에 4개소 설해져 있다.
마스터롤 보지부 11의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는 1쌍의 가이드 부재 15의 상기 채널상의 각 개구내에 2개소의 돌조부 11A가 감입되어 미끄러지게 요동될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스터 반송로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소정범위내에서 이동자재로 되어 있다.
상기 마스터 반송방향의 좌우 양측에 대응한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양내측면에는 마스터롤 16의 양단면에 대향하여 접촉하는 마찰보지부재 11A1이 구비되어 있다. 마찰보지부재 11A1은 예를들어 고무나 스폰지 고무로 될 수 있다.
마찰보지부재 11A1은 마스터롤 16의 양단면에 당접하여 그 마스터롤 16의 장진위치를 결정함과 동시에 마스터롤 16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에 마찰을 일으켜 마스터롤 16의 풀림에 저항하는 힘을 생기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저항력은 마스터롤 16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된때 그 회전방향에 반대힘으로 되며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풀려지는 마스터 16 a에 장력(back tension)을 일으키는 것으로 마스터 16a가 풀릴 때 생기기 쉬운 이완(느즌해짐)을 없게 할 수가 있다.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수납 凹부 11A4에 장진된 마스터롤 16은 마스터롤 16의 양단면이 마찰보지부재 11A1에 당접함에 의해 마스터 폭방향의 위치결정이 되는 것으로 단지 수납 凹부 11A4에 낙하하기 만하면 좋으며, 이에 의해 심재형성에 필요로 되는 재료의 사용량을 적게 하여 마스터롤 16의 재료단가를 저감할 수가 있다.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후측에는 제판장치 10의 측벽일부를 이루는 덮개 11B가 일체로 설해져 있다. 덮개 11B의 후부 외표면에는 손잡이 11C가 취부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11C를 조작함으로써 마스터롤 보지부 11은 1쌍의 가이드부재 15를 통해 화살표 D로 나타낸 양방향으로 이동시킬수가 있다. 즉, 손잡이 11C를 쥐고 마스터롤 보지부 11을 제2도에서의 우측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제판장치 10의 외부로 인출하여 마스터롤 16을 장진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를 점할 수가 있으며, 또한 역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후술하는 삽입위치를 점할 수가 있다.
덮개 11B와 반대측의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좌우 양외측벽에는 후술하는 박리 편지지부재 12C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계합하는 압압부 11G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우측의 가이드부재 15부근에 대응하는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저벽에는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가 삽입위치를 차지한 때에 후술하는 마스터 검지 수단 60을 향하게 하기 위한 개구부 11A3이 설해져 있다. 개구부 11A3주위 및 이와 반대측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내저벽 주위에는 롤러수용 凹부 11A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각롤러 수용 凹부 11A2는 마스터롤 16의 마스터 16a가 사용됨으로써 그 외경이 서서히 작아져서 최종적으로 그 사용한계인 심재 16B의 외경과 거의 같은 사용한계의 마스터롤 16'으로 된때에 그 사용한계의 마스터롤 16'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설해져 있다.
또한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 및 마찰보지부재 11A1 등의 세부 형상에 대하여는 그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마스터롤 16을 마스터롤 보지부 11의 수납 凹부 11A4에 장진시 마스터롤 16의 외표면의 마스터 16a에 접촉할 염려가 있는 상기 각 부재의 각부위에는 마스터 16a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적절한 가공이나 안내테이퍼 형성등이 되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수납 凹부 11A4에는 마스터롤 16이 수납 凹부 11A4에 삽입된때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당접하는 마스터구동롤러 11D, 11E가 배치되어 있다.
마스터 구동률 11D, 11E는 마스터 롤러 16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마스터구동롤러 11D, 11E는 이들 각축의 양단부가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저벽부에 각각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마스터 구동롤로 11D, 11E는 마스터 회전구동부 13을 구성하는 회전모터 13A(도 3에 도시)의 회전구동에 의해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마스터 16a의 선단을 빼내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어 있다.
마스터 구동률 11D, 11E는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마스터롤 16에 있어서의 마스터 16a의 권취방향(혹은 마스터 16a의 감기는 방향)으로 마스터롤 16을 회전하는 것이 가능한 소정범위의 마찰계수를 갖는 재료, 예를들어 고무나 스폰지 고무등으로 될 수 있다.
마스터 구동롤러 11D, 11E는 마스터롤 16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중심각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즉, 사용하지 않은 새로운 마스터롤 16의 마스터 16a 가 사용되어 심재 16B의 하부가 롤러 수용 凹부 11A2의 근방위치에 이른때 마스터 구동롤러 11D, 11E에 대하여 마스터롤 16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균등한 위치에서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을 당접시키는 위치관계를 설정할수 있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다.
또한 마스터롤 16의 마스터 16a가 완전히 소비되어 거의 심재 16B만으로 된 사용한계의 마스터롤 16'로 된때에 상기 위치 상태로 배치된 마스터 구동 롤로 11D, 11E에 의해 심재 16B의 외주면이 회전자재로 지지된다.
마스터 회전구동부 13 은 마스터 롤 16을 회전시키는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마스터 회전구동부 13은 그 상세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한 마스터 구동롤러 11D, 11E, 구동모터 13A, 구동기어 13B, 피동기어 11D1, 풀리 13C, 13D 및 벨트 13E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마스터 회전구동부 13은 제판장치 10의 삽입위치 부근의 상기 우측판에 고착설치된 구동모터 13A를 가지며, 그 구동모터 13A의 출력축단에는 구동 기어 13B가 취부되어 있다.
구동 모터 13A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마스터롤 16이 마스터 롤 보지부재 11A에 장진되어 셋트되며, 그 상태에서 마스터 16a가 풀려나올때에 일반 풀리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후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방향 및 회전순서가 설정되어 있다.
마스터 구동롤러 11D 및 마스터 구동롤러 11E의 각축에는 풀리 13C, 13D가 각각 고정되며, 이들 각 풀리 13C, 13D 사이에는 벨트 13E가 설치되어 있다.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가 제판장치 10내에 삽입되어 삽입위치에 있을 때 구동기어 13B와 대향하고 있는 마스터 구동롤 11D의 축에는 구동기어 13B에 맞물려 피동기어 11D1이 취부되어 있다. 구동기어 13A로 부터의 회전력은 구동기어 13B, 피동기어 11D1, 풀리 13C 및 벨트 13E를 통하여 풀리 13D로 전달되며, 마스터구동 롤러 11D 및 마스터 구동롤러 11 E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가 제판장치 10내에 삽입된 삽입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마스터 분리수단 12가 설해져 있다.
마스터 분리수단 12는 마스터롤 16의 직경 변화에 대응하여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근접하거나 당접하고, 마스터 16a이 선단을 분리하는 박리수단으로서의 박리편 12A와 박리편 지지부재 12C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박리편 12A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요동부가 마스터롤의 외주면에 당접하는 당접위치(실선 및 가상선으로 나타냄)와 그 당접위치로 부터 이격된 비당접위치(1점 쇄선으로 나타냄)과의 사이에서 요동자재로 되어 있다.
박리편 12A는 회전축 12B를 통해 후술하는 박리편 지지부재 12C, 압축 스프링 12D 및 상기한 압압부 11G에 의해 당접위치와 비당접위치간에 요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박리편 12A 의 좌우양단부에는 도 5- 8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축 12B를 삽통하여 박리편 12A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관통공 12A 3를 갖는 축수부 12A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박리편 12A와 박리편 지지부재12 C는 서로 공통의 회전축 12B에 의해 각각의 기단(基端)이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 12B는 제판장치 10내에 배설된 상기 좌, 우측판에 의해 지지되며, 제판장치 10 내부에서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박리편 12A는 금속이나 수지를 이용한 박편으로 된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박리편 12A의 선단은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당접될 때 이상 부하를 마스터 16a의 표면에 작용시키지 않도록 탄성변형하며 이에 의해 마스터 16a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게 한다.
박리편 12A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스터롤 16의 폭방향 중앙부에 대향하는 중앙부분에, 마스터롤 16의 폭방향 양단보다 마스터 풀림방향 T의 상류 측에 돌출한 돌출부 12A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 12A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 12A2로 되어 있다.
이같은 박리편 12A는 그 자중(自重)에 의해 요동부의 돌출부 12A1을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근접시키거나 당접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 12A1의 두께는 상기한 마스터 16a의 두께에 대하여 가능한 얇은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3- 50 ㎛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박리편 12A의 평면시(平面視)형상이 상기한 형상으로 설정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박리편 12A 의 요동단이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근접하거나 당접한 경우, 그 마스터롤 16에 있어서의 선단의 폭방향 중앙부로부터 순서대로 마스터 16a가 박리 된다.
이에따라 마스터롤 16의 롤부에서 박리되는 때에 마스터롤 16에서 풀러나오는 마스터 16a의 선단은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로 부터 순차 박리되게 되어 박리시의 저항을 적게 하여 확실히 박리, 분리된다. 그렇더라도 박리편 12A의 요동선단부는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향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그 경사부 12A만이 마스터롤 16의 외주면과 대향하고 마스터롤 16의 롤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마스터 16a의 선단내표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마스터롤 16에 대한 박리편 12A의 당접면적은 적으며, 마스터 16a의 풀림시에 생기는 저항이 경감됨과 동시에 마스터롤 16에서 마스터 16a의 선단이 벗겨지기 쉽게 된다.
박리편 지지부재 12C는 요동단측에 일단이 배설되어 있는 압축 스프링 12D에 의해 통상 박리편 12A가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의 요동습성을 부여하고 있다.
박리편 지지부재 12C의 요동단은 부여되어 있는 습성에 의해 요동한 경우 가이드 부재 15상방의 상기 우측판에 고정된, 도 6에 나타나 있는 스토퍼 84에 의해 제판장치 10내의 삽입위치에 셋트된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압압부 11G에 의해 압동(押動)될 수가 있는 위치로 위치결정이 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마스터 분리수단 12에서는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가 제판장치 10내의 삽입위치에 셋트된 경우 압압부 11G에 의해 박리편지지부재 12C의 요동단이 압동된다.
요동단이 압동되면 박리편 지지부재 12C는 상기 습성에 저항하여 박리편 12A를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근접시키는 영향으로 요동된다.
이 경우 박리편 12A의 요동단은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당접하면 마스터 16a의 표면을 손상시킬수도 있어 마스터 16a 자신의 곡강도를 강하게 함에 의해 선단을 기상(起上) 시킬수 있는 강성을 갖는 마스터 16a 라면 그 선단을 벗겨내는 것이 가능한 간격을 가지며, 즉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근접대향하게 하면 좋다.
박리편 12A는 그 요동부가 마스터롤 16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있는 정도의 간격을 가지고 근접하고 있는 경우, 예를들어 마스터롤 16의 외경칫수 변화를 롤 직경검지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지하고, 그 변화에 대응하여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요동단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예를들면 마스터 16a의 곡강성이 비교적 약하고, 소위 처리강도가 낮아, 스스로 선단을 일으킬수가 없는 마스터롤 16의 마스터 16a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약한 압력에 의해 박리편 12A의 요동단을 마스터 16a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 1실시예에서는 박리편 12A의 요동단이 자중에 의해 요동함에 의해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당접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박리편 12A는 상기 박리수단으로서의 기능이외에 마스터롤 16으로부터 마스터 16a의 선단이 풀려나온때 마스터 16a를 박리편 12A의 상면을 접동(摺動)시켜,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후술하는 플라틴 압 제어부 14의 열헤드 14A와 플라틴롤 14B와의 대향위치로 향하게 안내하는 안내수단의 기능도 갖는다.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가 제판장치 10으로부터 인출되면, 압축스프링 12D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박리편 지지부재 12C가 요동하고 그 요동에 연동하여 박리편 12A는 도 6에서 부호 A1으로 나타낸 위치로 요동. 배치된다.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가 제판장치 10내의 상입위치에 셋트되면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압압부 11G에 의해 박리편 지지부재 12C의 요동단이 압축스프링 12D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요동한다.
그 요동에 연동하여 박리편 12A는 마스터롤 16의 직경변화에도 불구하고 그 자중에 의해 마스터롤 16의 외주변에 당접하는 위치로 변위할 수가 있다. 도 6에서, 부호 A 2 는 마스터롤 16의 외경이 가장 클때의 박리편(편의상 부호 12A'라고 표시한다)의 위치를 나타내며, 또한 부호 A3는 마스터롤 16의 외경이 최소인 사용한계의 마스터롤 16 '로 변화한 때의 박리편(편의상 부호12A"라 한다)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마스터롤 16의 최소직경은 상기한 바와같이 마스터 16a로서 사용 가능한 한계량에 도달한때의 직경이다.
이를 위해, 박리편 지지부재 12C 에 있어서의 박리편 12A의 지지면 형상은 도 7에 도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는 마스터롤 보지부 11의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가 제판장치 10내의 삽입위치에 삽입됨에 따라, 박리편 지지부재 12C의 요동부가 압축스프링 12D에 의한 부세력에 저항하여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압압부 11G에 의해 압동된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박리편 지지부재 12C의 상부에는 박리편 12A의 수용면 12A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으로서 경사면 12C1과 수평면 12C2가 회전축 12B를 중심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 12C1과 수평면 12C2는 도 7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박리편 12A에 자유단을 요동가능하게 하기 위해 회전축 12B를 중심으로한 회전반경을 갖는 원이 형성된 면을 통하여 연결되게 되어 있다.
경사면 12C1은 최대직경의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박리편 12A의 요동단을 당접시킬수 있는 면이며, 수평면 12C2는 최소직경의 마스터롤 16'(도 6참조)의 외주면에 박리편 12A의 요동단을 당접시킬수가 있는 면이다.
박리편 지지부재 12C는 상기 마스터 반송방향에 대하여 대향하여 본 경우, 거의 문(門)형상을 갖고 있다. 즉 박리편 지지부재 12C는 박리편 지지부재 12C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 12C1 및 수평면 12C2가 상기 마스터 반송로의 하방의 마스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경사면 12C1 및 수평면 12C2의 좌우양측에 있어서 기동상(柱狀)으로 수직하강한 대략 문형상을 이룬다.
박리편 지지부재 12C는 좌우양측의 주상을 이루는 부분이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압압부 11G에 의해 압동됨으로써 도 6에 있어서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거의 직립한 상태로 설정된다.
이때 박리편 12A는 박리편 지지부재 12C와는 독립하여 마스터롤 16의 직경변화(도 6중 부호 A2 및 A3로 나타낸 범위)에 따라 자유로운 상태에서 요동될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박리편 지지부재 12C는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압압부 11G에 의해 압동되는 상태가 해제되면, 도 6에서 회전축 12B를 중심으로 하여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하고, 경사한 상태로 설정된다. 이때 박리편 12A의 수용면 12A5는 박리편 지지부재 12C의 수평면 12C2에 재치된 상태에서 요동하고 도 6에 있어서 부호 A1으로 나타낸 위치에 경사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박리편 지지부재 12C에 있어서의 박리편 12A의 지지면의 이같은 형상설정에 의해 박리편 12A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스터롤 16의 최대직경부터 최소직경으로의 변화에 대응하여 요동할 수가 있다.
플라틴 압 제어부 14는 도 2에 있어서 마스터 풀림방향 T에 있어서의 마스터 분리수단 12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서, 플라틴압 제어부 14는 열헤드 14A와 플라틴롤러 14B를 포함하고 있다.
열헤드 14A는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풀러나오는 마스터 16a 를 선택적으로 가열 천공하는 주지의 기능을 갖는다.
열헤드 14A는 후술하는 구조에 의해 플라틴 롤러 14B에 대하여 접리자재로 되어 있다.
플라틴 롤러 14B는 마스터롤 16으로부터 풀러나오는 마스터 16a 혹은 열헤드 14A에 의해 가열천공된 제판후의 마스터 16a를 열헤드 14A와의 사이에 협지하면서 마스터 반송로의 하류측에 반송하는 통상의 기능을 갖는다.
플라틴 롤러 14B는 이종류의 제판장치와 같이 열헤드 14A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도시되지 않은 구동전달기구를 통하여 플라틴 구동모터(미도시됨)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해져 있다. 상기 플라틴 구동모터는 예를들어 스태핑 모터로 된다. 열헤드 14A와 플라틴 롤러 14B는 이들 양부재사이의 접리동작을 행하며, 마스터롤 16으로부터 풀려나오는 (공급되는) 마스터 16a로 협지압을 작용시키거나 해재시킨다.
열헤드 14A는 헤드지지 아암 14A2의 요동단측에 재치고정되어 있다.
헤드 지지아암 14A2는 상기 좌, 우 측판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회전측 14A1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헤드 지지아암 14A2의 요동단에 있어서의 열헤드 재치부와 반대측의 이면에는 상기 우측판에 고정된 편심캠구동모터 14A30(도 9참조)에 의해 회전되는 편심캠 14A3가 배치되어 있다.
헤드지지아암 14A2는 헤드지지아암 14A2의 요동단측과 상기 좌, 우측판에 걸려있는 인장스프링 14A4에 의해 도 2에 있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 인장스프링 14A4의 부세력에 의해 편심캠 14A3는 시게반대방향으로 요동하는 습성을 갖는 헤드 지지 아암 14A2의 이면에 항상 접촉되어 있다.
편심캠 14A3는 플라틴압 해제부재를 갖고 있으며, 비제판시에는 그 소경부(小徑部)로 헤드지지아암 14A2의 이면에 당접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헤드지지아암 14A2에 고정되어 있는 열헤드 14A는 상기 마스터 반송로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으로 마스터 16a에의 협지력이 해제된다.
열헤드 14A가 플라틴 롤러 14B에 당접한때에 플라틴 롤러 14B는 상기 플라틴 구동모터에 의해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마스터 16a를 끌어내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구성을 갖춘 플라틴압 제어부 14에서는 마스터롤 16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마스터 16a를 제판시 편심캠 14A3가 회전함에 의해 그 대경부(大徑部)가 지지아암 14A2의 요동단이면에 압접된다. 이에 의해 편심캠 14A3의 대경부에 의해 헤드 지지아암 14A2는 압동되며, 열헤드 14A는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요동된다. 시계방향으로 요동한 열헤드 14A는 플라틴 롤러 14B에 당접한다. 이에따라 마스터 16a는 열헤드 14A 및 플라틴 롤러 14B에 의해 협지압이 작용한 상태에서 반송된다. 마스터 16a는 반송되는 과정에서 열헤드 14A에서의 선택적인 발열에 의해 주주사방향 및 부주사방향으로 가열천공된다. 부주사방향은 주주사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마스터 풀림 방향 T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도 열헤드 14를 플라틴롤러 14B에 대하여 당접시키는 방향으로 요동시키고 있으나, 이와 반대로 플라틴 롤러 14B를 열헤드 14A에 대하여 당접시키는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편심캠 14B3는 상기 제판시에 덧붙여서 마스터롤 16으로 부터의 마스터 16a의 선단이 풀려나올 때 마스터 16a가 이동된 시점에서 단시간의 차이만 연속회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열헤드 14A는 플라틴 롤러와의 사이에 마스터 16a를 끼워넣고 플라틴 롤러 14B에 대하여 접리를 반복할 수가 있다. 이같은 열헤드 14A와 플라틴 롤러 14B사이의 접리반복동작에 연동하여 플라틴 롤러 14B를 마스터 풀림방향 T로 회전시킴으로서 플라틴압 제어부 14에 위치하는 마스터 16a는 상기 마스터 반송로의 하류측에 단속적으로 반복하여 인장된다.
그결과 마스터롤 보지부재 11A의 수납 凹부 11A4내에서 마스터롤 16의 양단면에 생기는 마찰력을 마스터 풀림시의 저항력으로 하여 마스터롤 16으로부터 풀린 마스터 16a 부분에 생기는 주름 등을 신장시켜 제거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스터 16a의 비제판시에는 편심캠 14A3가 회전하여 그 소경부가 헤드지지 아암 14A2의 요동단이면에 당접된다. 이에따라 열헤드 14A는 플라틴 롤러 14B로부터 떨어지며 마스터 16a에 대한 협지압이 해제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플라틴압 제어부 14에 있어서의 상기 마스터 반송로 하류측에는 제판후의 마스터 16a 내지는 마스터 16a의 선단부가 후단부를 절단하기 위한 재단장치 17이 배설되어 있다.
이 재단장치 17로서는 기로틴 커터나 로타리커터가 사용될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재단장치 17에 있어서의 상기 마스터 반송로 하류측에는 1쌍의 상호 접촉한 반송롤러 18 및 제판후 마스터 16a내지는 마스터 16a를 판본체2의 크램프 2D로 향하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19가 배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판후의 마스터 16a 내지는 마스터 16a 의 선단부는 재단장치 17에 의해 필요길이로 제단되며, 급판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판본체 2의 넓게 열린 파지부재 2F와 스테이지 2E와의 사이에 삽입되며, 파지 부재 2F가 닫힌 상태에서 그 선단을 파지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반송롤러 18은 상기 우측단에 고착설치된 반송모터 18A(도 9 참조)에 도시되지 않은 축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반송롤러 18의 구동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것이어도 좋다. 예를들어 반송롤러 18의 축단에 기어를 고착설치하고 그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상기 플라틴 구동모터에 설함과 동시에, 반송롤러 18의 축과 상기 기어와의 사이에 전자(電磁) 클러치 장착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는 상기를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도 1에 있어서 공판(孔版)인쇄장치 1의 상부에는 도시를 생략한 원고 독취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고 독취부는 컨덕트글라스를 이용한 원고주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원고주사부에 배설된 광원으로부터의 광(光)을 컨덕트글라스상에 재치된 원고에 조사하고, 그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거울 및 결상 렌즈를 포함하는 결상광학계를 통해 CCD등으로 되는 화상센서에 입력시켜 화상정보를 얻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화상정보는 후술되는 제어부로 출력되어, 제판장치 10에서의 천공처리를 위한 데이터로서 이용된다.
도 1에 있어서, 판본체 2의 부근에 위치하고 사용후의 마스터 16a를 협지가능한 벨트를 서로 당접시킨 상부 배판부재(上部排版部材)20A 및 하부배판부재 20B와 배판박스 21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 및 하부 배판부재 20A, 20B에 구비된 벨트는 판본체 2 의 근방에 위치하는 롤러와 배판박스 21측에 위치하는 롤러에 각각 걸려 있다.
판본체 2에 감겨있는 사용후의 마스터 16a는 상기 벨트에 의해 판본체2의 외주면으로 부터 박리되어 그 벨트에서 배판 박스 21로 향해 이송된다. 상기 판부재중 하부배판 부재 20B는 판본체 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배판시에 판본체 2의 외주면에 대하여 근접할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근접한 때에는 사용후의 마스터 16a의 후단을 수용하여 배판 박스 21에 향해 이송시킬수 있게 되어 있다.
배판 박스 21의 상부에는 승강자재인 압축 부재 22가 설해져 있다.
압축부재 22는 배판 박스 21내에 수용된 사용후의 마스터 16a를 압축하여 다음에 폐기되는 마스터 16a의 수용공간을 준비하도록 되어 있다. 배판 박스 21내부가 사용후의 마스터 16a에 의해 채워진 경우에는 공판인쇄장치 1의 외부에 배판 박스 21을 취출하여 배판박스 21내에 수용된 사용후의 마스터 16a가 폐기처분된다.
도 1에서, 프레스 롤러 4와 대향하는 판본체 2의 하방측에 있어서 도면중 화살표로 나타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판 본체 2의 하류측에는 그 선단부가 판본체2의 외주면에 대하여 근접가능한 박리편 30이 설해져 있다.
박리편 30은 판본체 2위에서부터 인쇄용지 S를 박리하고, 박리된 인쇄용지 S가 배출반송장치 41로 향해 배출된다.
배출반송장치 41은 1쌍의 롤러 42, 43에 걸린 무한반송벨트 44를 갖고 있으며 인쇄용지 S의 배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판본체 2의 외주면으로부터 박리된 인쇄용지 S는 배출반송장치 41의 반송벨트 44상에 이송되어 배지트레이 45로 향해 반송된다.
반송 벨트 44상에 이송된 인쇄용지 S에 대하여 인쇄용지 S중 흡인하기 위한 흡인팬 46이 반송벨트 44에 있어서의 인쇄용지 S의 재치면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지 트레이 45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축을 기단(基端)에 설함으로써 인쇄장치의 측벽면에 대하여 기도(起倒)가능하게 설하는 경우도 있다.
도 9에는 원고 독취부로 부터의 화상정보에 기하여 제판장치 10에서의 천공처리제어를 행하는 제어부 5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 제어부 50은 원고화상의 독취 공정에서부터 제판, 급판공정, 인쇄공정 및 배지공정에 걸친 전반적인 시퀀스제어를 행하기 위한 기초 프로그램을 기억한 ROM 50B, 데이터를 등록하기 위한 RAM 50C를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도면에서는 부호 CPU로 나타나 있다) 50A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실시예의 요지부와 관계있는 제어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이하에 기술한다. 도시되지 않은 I/O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제어부50의 입력측에는, 상기 원고독취부, 마스터검지수단60, 마스터세트검지수단61, 마스터선단검지수단 62 및 조작부63가 각각 접속된다. 한편, 제어부50의 출력측에는, 마스터회전구동부13의 구동모터13A, 플라틴압제어부14의 편심캠구동모터14A30, 플라틴롤14B의 상기 플라틴구동모터, 플라틴4A, 반송롤18을 회전시켜 반송모터18A 및 재단장치17를 구동시키는 재단구동부17A가 각각 접속된다.
또한, 제어부50의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고 이점쇄선으로 둘러싼 작동설정키 63a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제어구성요소를 표시한다.
마스터검지수단6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부재15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반사형광자센서이다. 마스터검지수단60은,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하고 있고, 마스터롤보지부재11A의 수납요홈부11A에 마스터롤16이 장진되어있는 경우에 얻어지는 반사광을 검지하도록 되어있다. 마스터롤16은 마스터롤보지부재11A의 수납요홈부11A4내에 위치하여 있을 때, 마스터검지수단60에 의해서 존재하고 있는 것이 검지된다.
상기 마스터검지수단60은, 반사형광자센서이고, 마스터롤16이 사용할 수 있는 한계까지 도달된 경우를 검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도 10를 참조하여 기술한 바와같이, 마스터롤16은, 흑색도장이 되어 있는 저반사부재16A를 구비한다. 마스터롤16의 마스터16a가 소비되어 사용한계에 도달된 경우, 그 반사율보다도 낮은 저반사부재16A에 상당하는 흑색도장부를 마스터검지수단60에 대향시키기 때문에, 마스터검지수단60은, 반사율이 낮은 것을 의미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50에서는, 마스터검지수단60에 의하여 저반사부재16A로부터 반사율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마스터16a의 풀림을 정지시켜야 되는지를 판별한다.
마스터세트검지수단61은,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마스터롤보지부재11A가 제판장치10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마스터분리수단12의 박리편지지부재12C가 마스터롤지지부재11A의 압압부11G에 의해서 압동된 것을 검지한다. 박리편지지부재12C의 요동선단부에는, 입사광을 반사하는 반사면(도시생략)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 있는 마스터세트검지수단61은, 박리편지지부재12C의 요동선단부의 상기 반사면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는 반사형광자센서가 사용된다. 마스터세트검지수단61은, 박리편지지부재12C가 마스터롤보지부재11A의 압압부11G에 의해 압동된 것을 검지하여 마스터회전구동부13의 구동모터13A의 동작개시시기를 검지하고, 그 검지신호를 제어부50에 출력하는 작동검지수단이기도 하다.
마스터선단검지수단6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스터풀림방향T에서의 마스터분리수단12의 하측이고, 상기 마스터반송로에서의 플라틴롤14B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마스터선단검지수단62A와, 상기 마스터반송로에서의 재단장치17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의 마스터선단검지수단62B가 설치된다.
제1, 제2의 마스터선단검지수단62A, 62B는, 모두 반사형광자센서이고,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하는 주지의 구성이다. 이 마스터선단부검지수단중, 제1마스터선단부검지수단62A는, 마스터16a의 선단을 검지한 시점으로 플라틴압제어부14를 구동하기 위한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유지한다. 또한, 제2마스터선단검지수단62B는, 마스터16의 선단을 검지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의 사이에, 마스터16a의 풀림을 계속하기 위한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유지한다. 제2마스터선단검지수단 62B로부터의 신호가 출력된 때에 결정되는 마스터16a의 풀림량은, 마스터16a의 선단이 판본체2의 클램프2D에 향하는 위치에 도달되는 양이다. 조작부6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판개시스위치, 인쇄매수지령용키등이 구비된다. 제판개시스위치는, 새로운 제판제인 마스터16a를 판본체2에 권장하는 경우에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상기 제판개시스위치가 조작되면, 플라틴압제어부14에 향한 마스터롤16로부터 마스터16a를 자동적으로 풀어 제판하고, 제판완료된 마스터16A를 판본체2에 권장하고, 인쇄용지S를 1매씩 넣어 판본체2와 제판제의 마스터16a의 천공부분에 인키를 삼출시켜, 이른바 판재동작이 행해진다. 더하여, 연속적인 인쇄동작을 개시한 경우에는, 상기 제판개시스위치와는 별개로 설치된 인쇄개시지령용스위치가 조작된다.
제어부50에서는, 마스터조작수단60, 마스터세트검지수단61로부터의 검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마스터회전구동부13의 구동모터 13A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플라틴압제어부14에서는, 편심캠14A3의 편심캠구동모터14A30에 대응하고, 편심캠14A3의 소경부를 헤드지지암14A2의 요동부에 접촉시킨 상태가 얻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플라틴롤14B의 상기 플라틴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에 의해, 플라틴압제어부14에서는, 열헤드14A와 플라틴롤14B에 의하여 마스터 16a의 결지가 해제되고 마스터16a에 대한 결지로부터의 반송 및 가열천공을 할 수 없다.
한편, 제어부50는 마스터검지수단60, 마스터세트검지수단61로부터의 검지신호가 입력되면, 마스터회전구동부13의 구동모터13A를 구동시켜 마스터롤16로부터 마스터 16a의 선단부가 풀리는 상태를 설정한다.
상기 경우의 마스터회전구동부13에 있어서 구동모터13A의 회전방향은, 일단, 마스터롤16로부터 마스터16a의 선단이 풀리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하고, 다음에, 마스터16a가 풀리는 방향으로 절환되도록 한다. 이것은, 마스터롤16로부터 박리, 분리된 마스터16a의 선단이 어떠한 위치에 있어도, 마스터분리수단12의 박리편12A와의 대향관계를 정확하게 하고 마스터16a의 선단을 확실하게 박리,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예를들면, 마스터16a 의 선단이 박리편12A를 통과하고 그 박리편12A의 근접위치에 있는 경우, 풀리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박리편12A에 선단이 대향하는 위치까지 마스터16a가 되돌아오기 때문에, 풀림방향으로 마스터롤16이 회전함으로써 마스터16a의 선단이 박리되고 마스터롤16로부터 분리될 때 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풀린 마스터16a의 선단이 제1선단검지수단62A에 의해서 검지되면, 제어부50은, 마스터회전구동부13의 회전을 소정시간 계속한 후에 정지시킨다. 마스터회전구동부13의 회전이 소정시간 계속될 때, 마스터16a의 선단은 플라틴압제어부 14에 있어서의 열헤드14A와 플라틴롤14B로 결지된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이와같이 동작함과 동시에, 제어부50은 헤드지지암14A2(제2도 참조)을 플라틴롤14B측으로 향해 요동시키기 때문에 편심캠14A3의 편심캠구동모터14A30의 회전제어를 행하지 않고, 열헤드14A와 플라틴롤14B에 의해 마스터16a로의 결지력을 작용시키는 상태를 설정한다.
열헤드14A가, 플라틴14B에 당접하여 마스터16a에 대한 결지력을 작용시키는 상태가 설정되면, 플라틴롤14B은 상기 플라틴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열헤드14A와 협동하여 마스터16a를 결지시키기 때문에 반송가능한 상태가 된다.
더욱이, 제2선단검지수단62B에 의해 마스터16a의 선단검지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50는, 플라틴롤14B의 상기 플라틴구동모터 및 반송롤18의 반송모터18A를 소정량 회전시킨다. 플라틴롤14B 및 반송롤18이 소정량 회전되면, 마스터16a의 선단은 판본체2에 있어서의 파지부재2F와 스테이지2E와의 사이로 이송된다.
제1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마스터롤16로부터의 마스터16a의 풀림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제11도∼제16도 및 제어부50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제17도 및 제18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급판처리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더하여, 제11도∼제16도의 동작도는, 간명하게 도시하였기 때문에 제1도 및 제2도에 대해서 어느정도 모식적으로 보인다.
제11도는, 새로운 마스터롤16을 장진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에는, 손잡이(11C)가 작업자에 이해 조작되는 것에 의해, 마스터롤보지부재11A가, 예를들면, 제판장치10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새로운 마스터롤16이 장진되는 경우에는, 지금까지 장진되어 있는 마스터롤16과 교환되는 것으로 되지만, 그 교환이 필요한 지는 마스터검지수단60에 의해서 검지된다. 결국, 마스터롤16은 그 마스터롤16a이 소비되어 사용한계량에 접근하면 마스터16a의 권장량이 감소된다. 이 때문에, 마스터검지수단60로부터 출사된 빛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롤16에 설치된 저반사율부16A의 영향에 의해서 반사되지 않고, 마스터검지수단60으로의 반사광량의 저하를 초래한다. 마스터검지수단60에서는, 반사광량의 변화를 추적하고, 그 광량이 소정치이하로 도달하면, 상기 상태를 검지한 것을 의미하는 검지신호를 제어부50으로 출력한다.
제어부50는, 마스터검지수단60로부터의 검지신호가 입력되면, 마스터롤보지부11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를 설정한다.
플라틴압제어부14에서는, 편심캠14A3의 편심캠구동모터14A30에 대해서 편심캠14A3의 소경부를 헤드지지암14A2의 요동부에 대향시키는 회전제어가 이루어진다. 그것에 의하여, 열헤드14A는, 플라틴롤14B와 함께 마스터16a로의 결지압을 해제하는 상태로 된다. 이와 동시에, 플라틴롤14B의 플라틴구동모터도 회전구동을 정지한다.
더구나, 마스터롤보지부재11A가 제판장치10의 외측으로 이동되면, 그 압압부11G에 의해 압동되어 있는 마스터분리수단12의 박리편지지부재12C가, 제11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박리편12A의 요동부가 마스터롤16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마스터롤16은, 그 마스터16a에 대한 플라틴압제어부14에서의 결지를 해제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판장치10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에 저항을 받는 것이 없다. 그래서, 제판장치10의 회측으로 이동된 마스터롤보지부재11A의 수납요홈부11A4에 새로운 마스터롤16이 장진되고, 다시한번, 마스터롤보지부재11A가 제판장치10내의 삽입위치로 이동되면, 제12도에 보인 상태로 된다.
제12도에 있어서, 마스터롤보지부재11A가 제판장치10내의 삽입위치로 이동되면, 마스터롤보지부재11A의 압압부11G에 의해서 마스터분리수단12의 박리편지지부재12C가, 도면의 시계회전방향으로 요동하고 박리편12A를 마스터롤16의 외주면의 소정위치로 당접시킨 상태가 된다. 즉, 박리편12A가 당접위치를 얻는다.
더하여, 마스터롤보지부재11A가 제판장치10내의 삽입위치로 이동되면, 마스터검지수단60에 의해서, 사용한계가 된 마스터롤16의 존재가 검지됨과 동시에, 마스터세트검지수단61에 의해서 마스터롤보지부재11A가 삽입위치로 세트된 것이 검지된다.
조작부63에서 상기 제판개시스위치가 조작되면, 제어부50에서는 제17도에 보인 처리가 실행된다. 제17도에 있어서, 마스터검지수단60 및 마스터세트검지수단61로부터의 검지신호가 판별된다(단계ST1, ST2). 양 검지수단60, 61로부터의 검지신호가 입력되어 판별되면, 마스터회전구동부13의 구동모터13A가 회전구동되고, 마스터회전구동부13의 각 동작이 개시된다(단계ST3).
마스터회전구동부13의 구동모터13A가 회전구동되면, 마스터롤보지부재11A의 수납요홈부11A4에 위치한 마스터구동롤11D, 11E이 마스터롤16로부터 마스터16a의 선단을 푸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의 구동모터13A의 회전구동은, 상술한 바와같이, 마스터구동롤11D, 11E이 일단, 마스터롤16로부터 마스터16a이 풀리는 방향(도면중에, 각 시계회전방향이 화살표로 표시)과 역방향으로 회전한 후, 마스터롤16로부터 마스터16a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런 상태는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래서, 마스터회전구동부13의 동작개시와 동시에, 마스터16a의 선단을 검지하는 제1마스터선단검지수단62A로부터의 검지신호의 유무가 판별된다(단계ST4).
제1마스터선단검지수단62A로부터 마스터16a의 선단을 검지한 신호가 출력되면, 마스터회전구동부13의 동작이 계속된다. 이때, 마스터16a의 선단은, 플라틴압제어부14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단계ST5).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마스터회전구동부13에 있어서 구동모터13A의 회전동작이 계속될 때, 제1마스터선단검지수단62A에 의해 선단이 검지된 마스터16a는 상기 마스터16a의 선단이, 제1마스터선단검지수단62A에 의해 검지된 위치로부터 플라틴압제어부14의 플라틴롤14B와 열헤드 14A와의 닙(nip)부를 통과할때까지의 거리 20㎜ 정도 반송된다. 구동모터13A는, 상기한 바와같이, 마스터16a의 선단을 상기 마스터반송로의 하측으로 반송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소정의 회전량이 설정되어 있고, 이 상태는 제14도에 도시된다.
단계ST5에 있어서 설정된 마스터롤회전구동부13에서의 회전량이 얻어지면, 마스터회전구동부13의 동작이 정지된다(단계ST6). 더하여, 제17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마스터회전구동부13의 구동모터13A의 회전구동정지시간의 판별은, 마스터회전구동부13에 있어서 구동모터13A의 소정 회전량을 로터리엔코더등으로 되는 마스터롤회전량검지수단(도시생략)을 구비하여 제어부50에서 독취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플라틴압제어부14에서의 제어처리가 실행된다(단계ST7).
상기 단계ST7에서의 제어처리는, 플라틴압제어부14에 있어서의 플라틴롤14B에 대해서 열헤드14A를 당접시키어 마스터16a에 결지력을 작용시킨다. 이 때문에, 제어부50은, 제15도에 있어서, 플라틴압제어부14의 편심캠구동모터14A30를 회전제어하고, 그것에 의해, 편심캠14A3은 그 대경부가 헤드지지암14A2의 요동부표면에 압접된다.
이 결과, 헤드지지암14A2는, 열헤드14A를 플라틴롤14B측으로 향하여 요동시키기 때문에, 열헤드14A와 플라틴롤14B가 마스터16a를 결지시키지 않아 반송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때에는, 편심캠14A3이 단시간 동안, 연속회전되고, 마스터16a를 끼워 열헤드14A와 플라틴롤14B와의 접이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진다. 또한 이 동작에 연동하여, 플라틴롤14B를 하여 상기 마스터반송로의 하측에 마스터16a를 반송하는 방향, 다시말해서 제15도에 있어서 플라틴롤14B를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마스터16a를 계속적으로 풀어 당긴다. 그것에 의해, 마스터롤16로부터 풀리는 마스터16a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단계ST6 이후의 처리동작에 있어서, 마스터롤16로부터의 마스터16a를 푸는 동작은, 플라틴롤14B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고, 마스터롤16은 마스터구동롤 11D, 11E위를 미끄러지면서 회전된다.
상기 단계ST7에 있어서 플라틴압제어부14에서의 처리가 이루어지면, 회전하고 있는 플라틴롤14B에 대한 열헤드 14A의 접이가 반복됨으로써 플라틴롤14B에 열헤드14A가 당접한 때에 마스터16a가 마스터롤16로부터 풀려, 상기 마스터16a의 선단이 제2마스터선단검지수단62B의 위치에 도달한다. 이런 상태가 제2마스터검지수단 62B에 의해서 검지된다(단계ST8).
제2마스터선단검지수단62B에 의해 마스터16a의 선단이 검지되면, 플라틴 롤14B의 상기 플라틴구동모터 및 반송롤18의 반송모터18A가 소정량씩 회전구동된다. 그것에 의해, 플라틴롤14B 및 반송롤18이 소정량 회전하면, 마스터16a의 선단은 판본체2의 클램프2D에 대향된 상태로 된다(단계ST9). 이 상태는 제16도에 도시되어 있고, 이 상태가 제판대기상태이다. 이런 경우의 마스터16a의 이동량은, 플라틴압제어부14의 위치로부터 판본체2의 클램프2D에 대향될 수 있는 위치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25㎜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플라틴 구동모터 및 반송모터18A의 회전정지시기의 판별은, 마스터회전구동부13의 회전정지시기의 판별과 같은 것으로, 플라틴롤14B의 상기 플라틴구동모터의 회전량을 로터리엔코더등의 신호발생수단을 구비시켜 독취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단계ST9에 있어서 회전구동된 상기 플라틴 구동모터 및 반송모터18A는, 소정량의 회전구동후 정지된다(단계ST10).
제18도는, 플라틴 압제어부14에서의 마스터16a에 대한 결지작용을 해제하기 위한 처리(도면에 있어서는, 자동리셋처리로 표시되어 있다)를 보이고 있다. 이런자동리셋처리는, 마스터롤보지부재11A가 제판장치10내의 삽입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할 때, 마스터16a의 결지를 해제하고 마스터롤보지부재11A를 원할하게 인출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8도에 있어서, 마스터세트검지수단61으로부터의 신호출력 및 제1마스터선단검지수단62A로부터의 신호출력이 판별된다(단계ST11, 단계ST12). 단계ST11, 12에 있어서 마스터세트검지수단61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또한 제1마스터선단검지수단62A로부터의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는, 플라틴압제어부14에 있어서 결지압해제처리가 실행된다(단계ST13).
단계ST13는, 플라틴압제어부14의 편심캠14A3의 편심캠구동모터14A30를 회전구동시켜 편심캠14A3의 소경부를 헤드지지암14A2의 요동표면에 접촉시킨다.
그것에 의해, 플라틴롤14B로부터 열헤드14A가 떨어지기 때문에, 마스터16a로의 결지압이 해제된다. 더하여, 마스터롤보지부재11A를 제판장치10내의 삽입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이동이 개시될 때, 플라틴압제어부14에 마스터16a가 결지되어 있어도, 마스터롤보지부재11A가 인출된다면, 결지되어 있는 마스터16a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마스터롤보지부재11A의 수납요홈부11A4내에서 마스터롤16이 회전되고 풀어져 느슨해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플라틴압제어부14에서의 결지력을 받고 있어도, 마스터롤16로부터 마스터16a가 절단되는 것과 같은 파손은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같이, 판본체2의 클램프2D에 대향된 상태로 된 마스터 16a의 선단부는, 파지부재2F 및 스테이지2E에 의해 파지되고, 플라틴 압제어부14의 열헤드14A와 플라틴롤14B에 의해 결지되면서 플라틴롤14B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어 열헤드 14A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열천공된 후, 그 제판완료된 마스터16a가 판본체2위로 풀려, 연속적으로 혹은 단계적으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판본체2의 외주면상에 감기게 된다.
이후, 인쇄공정에 있어서, 판본체2의 외주면으로부터 사용완료된 마스터16a가 배판될때마다, 마스터롤보지부재11A위의 마스터롤16로부터 새로운 마스터16a가 풀리고, 열헤드14A에 의해 가열천공제판이 실행되어, 판본체2의 외주면에 감기는 것에 의해 새로운 인쇄처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하면, 새로운 마스터롤16이 세트된 경우에는, 그 마스터롤16을 제판장치10내의 삽입위치로 이동시키고, 마스터롤16로부터 마스터 16a의 선단을 자동적으로 풀어 급판. 제판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박리수단으로서의 박리편12A를 탄성체로 된 박편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마스터롤16의 외주면에 당접한 경우에는, 상기 박편부재가 탄성변형되는 것에 의해 상당한 압력을 마스터롤16의 외주면에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마스터롤16의 마스터16a 표면이 긁히고,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박리편12A가, 마스터16a의 폭방향 중앙부로부터 마스터풀림방향T의 상측에 있어서의 마스터16a의 양측 박리편부로 향하여 서서히 경사된 마스터16a의 선단에 근접 혹은 당접가능하게 되는 것에 의해, 마스터롤16에 감긴 마스터16a의 선단이, 박리편12A에 의해 그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박부를 향해서 순차적으로 박리, 분리되기 때문에, 마스터16a의 선단이 박리편12A로 끌여당겨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서, 마스터롤16로부터 박리, 분리하여 풀리는 마스터16a의 잼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하여, 박리편12A의 선단에 경사부12A2를 구비시키고 있기 때문에, 마스터16a를 박리할때의 마스터16a와의 접촉부분을 가능한 적게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에 의해서, 박리편12A이 마스터16a에 대해서 지나치게 접촉을 일으키지 않고, 마스터롤16로부터 마스터16a의 선단을 박리할때의 안내를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하여 그 박리를 보다 더 확실하게 행하는 잇점이 있다.
또한, 박리편12A이 자중에 의해 마스터롤16의 외주면에 당접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별한 부세수단 등이 필요하지 않고, 마스터롤16로부터 마스터16a의 선단을 확실하게 박리,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1]
도 19에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을 나타내었다.
제1 실시예의 처리는 상기한 바와같이, 마스터롤 16을 마스터롤보지부재 11A의 수납 凹부 11A4에 장착한 후, 마스터회전구동부 13을 구동하여,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16a의 선단을 자동적으로 풀리게 하는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마스터 16a 의 선단을 자동적으로 풀리게 하는 것을 원하지 않게 되면, 예를들어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마스터 16a의 선단을 수동으로 벗겨내고, 분리하여 풀리도록 해도 좋다.
이 변형예 1은 오퍼레이터가 제판장치 10내의 삽입위치로 부터 마스터롤보지부재11A를 이동시킨 후, 마찬가지로 오퍼레이터의 수동조작에 의해,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마스터 16a의 선단을 벗겨내고, 분리하여 박리편 12A의 상면으로 향해 풀려지고, 그후, 마스터롤보지부재 11A를 제판장치 10내의 삽입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오퍼레이터에 의한 마스터 16a 의 선단 풀려짐이 행해지는 경우더라도, 마스터검지수단 60에 의한 마스터롤 16의 검지가 행해진 후의 처리는 도17에 나타난 급판처리와 거의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에 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퍼레이터에 의한 마스터 16a의 선단 풀려짐이 행해지는 경우에 사용되는 구성을 제1 실시예와 상위한 점에 대하여 기술한다.
변형예 1은 제1 실시예의 박리편보지부재 12C를 대신하여 박리편보지부재 12C'를 갖고, 박리편보지부재 12C'가 마스터롤보지부재 11A의 상기 압압부 11G에 상당하는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과 압축스프링 12D가 불필요하는 것이 주로 상위하다. 박리편보지부재 12C'는 마스터롤보지부재 11A와 함께 가이드부재 15상을 접동(摺動)할 수 있고, 회전축 12B'는 마스터롤보지부재 11A에 지지, 고정되어 있다. 오퍼레이터에 의해, 마스터롤보지부재 11A가 제판장치 10내의 삽입위치로 부터 도면중의 화살표 D로 나타낸 방향으로 인출된 때, 그 수납 凹부 11A4에 장착된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마스터 16a 의 선단이 벗겨지고, 분리되어 인출되는 것에 의해, 마스터 16a의 선단을 박리부재 12A의 윗면을 향해 풀리게 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20에 제1 실시예의 변형예 2를 나타내었다.
오퍼레이터의 수동조작에 의해 마스터 16a의 선단 풀려짐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같이, 마스터롤보지부재 11A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박리편보지부재 12C'에 대하여 박리편 12A'를 고정하여 설치하고, 박리편 12A'의 선단을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근접시킴과 함께, 요동하지 않게 고정하여 설치하도록한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같은 구성에 있어서, 마스터 16a의 선단을 소정길이로 풀리게 하여 박리편 12A, 12A'의 윗면에 위치시킨 후, 마스터롤보지부재 11A를 제판장치 10내의 삽입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도 17에 나타낸 스텝 ST1 이후와 마찬가지인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마스터 16a의 선단을 박리편 12A, 12A'의 윗면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스텝 ST3에 있어서, 마스터구동롤 11, 11E를 역회전시키는 동작은 하지않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마스터검지수단 60, 마스터세트검지수단 61에 대신하여, 예를들어, 제판장치 10에 덮개 11B의 폐쇄상태로의 이동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를 마스터 16a를 풀리게 하기 위한 동작개시 시기를 검지하는 수단으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마스터세트검지수단 61을 마스터회전구동부 13에 의한 마스터 16a의 풀려짐 동작개시를 위한 검지수단으로서 사용하고 있지만, 동작개시시기검지수단으로서, 마스터검지수단 60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이유는 마스터검지수단 60이 마스터롤 16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에 덧붙여, 마스터롤보지부재11A의 수납 凹부 14A4에 장착된 마스터롤 16이 제판장치 10내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것을 검지하고 있는 것이다 라는 것에 의한다.
또한, 작동검지수단으로서의 상기 검지수단을 생략하고, 이것에 대신하여 제9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마스터회전구동부 13의 동작개시 시기를 설정하는 동작설정수단으로서의 작동설정키 63a를 조작부 63에 설치하고, 마스터롤보지부 11을 제판장치 10내의 삽입위치로 이동시킨 후, 그 이동설정키 63a를 조작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작동설정키 63a가 조작된 때에 얻어지는 동작개시시기 설정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 50이 마스터회전구동부 13의 동작을 개시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플라틴압제어부 14에 있어서, 마스터 16a에 생기는 주름을 제거하는 주름교정처리를 행하기 위해, 제1 선단검지수단 62A에 의해 마스터 16a의 선단이 검지된 경우에 열헤드 14A와 플라틴롤 14B와의 단속적인 접촉분리동작을 행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들어, 마스터 16a의 선단이 플라틴롤 14B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이송되고, 마스터 16a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름교정처리의 실행이 반드시 필요로 되지는 않는다. 한편, 마스터 16a의 선단이 제2 선단검지수단 62B에 의해 검지되는 때까지, 열헤드 14A와 플라틴롤 14B를 서로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하고 제2 선단검지수단 62B에 의한 마스터 16a의 선단검지신호에 근거하여 플라틴압제어부 14의 편심캠 구동모터 14A30을 구동하고, 열헤드 14A와 플라틴롤 14B와의 단속적인 접촉분리동작을 행하게 하여 주름교정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주름교정처리에 있어서는 적어도 1회, 열헤드 14A 와 플라틴롤 14B와의 접촉을 해제하면 좋다.
마스터롤 16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으로서는 마스터롤 16의 외주면에 접하여 마스터롤 16을 회전시키는 것(제1 실시예에서는 마스터구동롤 11D, 11E) 외, 마스터롤 16의 코아 16B의 내주부에 접하여 마스터롤 16을 회전시키는 것과, 또는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소정길이 인출된 마스터 16a를 끼워두어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마스터 16a를 풀리게하면서 마스터롤 16을 회전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판장치가 장착되는 인쇄장치는 상기한 공판인쇄장치 1에 한정하지않고, 예를들어, 일본의 특개평7-17013호 공보에 제시된 바와같은 인쇄드럼의 외측으로 부터 잉크를 공급하는 구성의 인쇄장치이더라도 좋다.
제 21도에 본 발명의 제1발명에 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제1 실시예로서의 제판용마스터는 마스터 16a가 코아 16B의 주위에 롤상으로 감겨져 형성된 마스터롤 16의 단면 16t 중의, 한쪽의 단면 16t(제21도에 있어서는 좌측의 단면 16t를 나타낸다)에 접착용풀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마스터롤 16은 그 단면 16t로 부터 보면, 마스터 16a가 다수적층되어 있고, 적층되어있는 하나 하나의 마스터 16a의 측단면이 집합하는 것으로 단면 16t를 이루고 있다. 이 마스터롤 16 좌측의 단면 16t의 전영역에 걸쳐, 도면중 사선(도면중, 부호 16a1로 나타난 부분)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접착용 풀이 도포되어 있다. 이 같이 마스터롤 16 좌측의 단면 16t의 전영역에 걸쳐 접착용 풀이 도포되어져 있는 것에 의해, 마스터롤 16의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같이 적층되어 있는 하나 하나의 마스터 16a의 측단면 끼리가 접착용 풀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마스터롤 16의 좌측의 단면 16t의 전영역에 걸쳐 접착용 풀을 도포한 때에, 마스터롤 16에 있어 마스터 16a의 감아 조이는 힘의 정도와 단면 16t에서 개개의 마스터 16a의 측단면의 미소한 울퉁불퉁함에 의해, 마스터롤 16의 측단 가장자리 근방 표면으로 스며나온 상태로 마스터 16a의 측단 가장자리 끼리를 접착하게 된다.
마스터롤 16의 단면 16t에의 접착용풀 도포형태는 한쪽의 단면 16t에 한정되지 않고, 양쪽의 단면 16t를 대상으로 하여 접착용풀을 도포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이, 마스터롤 16의 양쪽 단면 16t에 접착용풀을 도포한 경우에는 마스터롤 16의 축방향으로,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마스터 16a를 분리, 박리할 때에, 마스터 분리수단 12의 박리부재 12A에 작용하는 부하를 축방향으로 균일화할 수 있다.
마스터롤 16의 단면 16t에 도포하는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접착용풀에는 전분과 주지의 아라비아 고무, 또는 합성고무 등의 유기재료가 사용된다.
전분은 분자식(C6H10O5)n을 갖고, 냉수에는 녹지않지만, 온수중에서는 교질입자가 풀어져 풀과 같이 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풀을 만들 수 있다. 즉, 전분을 물과 함께 가열하면, 덩어리의 아밀로펙틴이 부셔지고, 아밀로오스가 물에 용해되어 풀이 된다. 이때 풀이 되는 온도는 60-80℃이고, 이때 알카리를 가하면, 상기 온도는 내려가기 때문에 이 성질을 응용하여 공업용의 풀을 양산한다.
아라비아 고무는 아카시아, 세네갈 그외의 아카시아 속의 가지로 부터 분비되는 헤미셀루로스를 물에 녹여 아교상의 액으로 만든 것으로 부터 만들어진다.
마스터롤 16의 양면 16t에 도포된 접착용풀의 접착력은 마스터롤 16으로 부터의 마스터 16a을 풀리게 하는 힘에 의해, 마스터롤 16을 부터 마스터 16a가 벗겨지는 정도의 강도가 되도록(도 13 참조), 풀의 재료 선택, 풀의 도포량, 풀의 농도, 또는 건조조건등이 설정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는 이상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마스터롤 16의 단면 16t에 접착용 풀이 도포되어, 도포된 접착용풀의 접착력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된 마스터롤 16이 제판장치 10의 마스터롤유지부재 11A 의 수납 凹부 11A4에 장착된다.
마스터롤 16은 마스터회전구동부 13의 마스터구동롤 11D, 11E에 의해 풀리게 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마스터 16a의 선단이 마스터분리수단 12의 박리편 12A에 의해 롤부로 부터 벗어진다. 이와같이 마스터롤 16은 회전되는 것과 함께 소정량의 풀려짐이 종료하면 회전정지되게 되지만, 그 때의 관성력에 의해 롤부에서 느슨해짐이 생기도록 하더라도, 단면 16t에 있어 마스터 16a의 측단면 및/또는 마스터 16a의 측단 가장자리 끼리가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터 16a의 측단면 및/또는 마스터 16a의 측단 가장자리 끼리가 분리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마스터롤 16에 있어 롤부의 원주면에서 느슨해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마스터롤 16의 이송, 초기 세트, 재차 세트시의 취급에 있어서,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마스터 16a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터롤 16의 단면 16t 중에서 적어도 한쪽의 단면 16t에 접착용풀을 도포한다라고 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느슨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2에 제2 실시예의 변형예 1을 나타내었다.
이 변형예 1은 마스터 16a의 선단부를 제외한 마스터롤 16의 단면 16t에, 접착용풀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서, 마스터 16a의 선단부를 제외하고, 마스터롤 16 좌측의 단면 16t 전영역에 걸쳐 접착용풀을 도포한 때에, 마스터롤 16에 있어 마스터 16a의 감아 조이는 힘의 정도와 단면 16t에서 개개의 마스터 16a의 측단면의 미소한 울퉁불퉁함에 의해, 마스터롤 16의 좌측의 단면 16t에 도포된 접착용풀이 하나 하나의 마스터 16a의 측단가장자리 근방표면으로 비어져 나온 상태에서 마스터 16a의 측단가장자리 끼리를 접착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마스터롤 16 좌측의 단면 16t에 있어서는 풀리게되는 마스터 16a의 선단을 제외한 마스터 16a의 측단가장자리 끼리(도면중, 부호16b가 붙여진 사선으로 나타낸 영역)가 접착용풀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변형예 1은 이상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풀려짐 시에 마스터 16a 자신의 굽힘강성이 강도에 의해 선단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마스터 분리수단 12의 박리편 12A와 마스터 16a의 선단과의 대향 관계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23에 제2 실시예의 변형예 2를 나타내었다.
이 변형예 2는 마스터롤 16의 단면 16t의 일지점에 있어서, 그 반경방향에 걸쳐, 접착용 풀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스터롤 16의 좌측의 단면 16t에는 도면중 부호 16c를 붙인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그 회전중심위치의 내측으로 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반경방향에 걸쳐 접착용풀이 도포된 방사상의 영역이 넓어지는 부채꼴의 형태로 풀이 도포되어 있다.
변형예 2는 이상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단면 16t의 전영역에 걸쳐 접착용풀을 도포한 경우에 비하여 그 접착력을 작게 할 수 있어서 마스터롤 16으로 부터의 마스터 16a을 풀리게하는 때에 필요로 되는 마스터롤 16의 회전구동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착용풀의 사용량을 적게할 수 있다.
도 24에 제2 실시예의 변형예 3을 나타내었다.
이 변형예 3은 마스터롤 16의 단면 16t의 복수개소에 있어서, 그 반경방향에 걸쳐 접착용풀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스터롤 16의 좌측의 단면 16t에는 도면중, 부호 16d를 붙인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중심위치의 내측으로 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반경방향에 걸쳐 접착용풀이 도포된 방사상의 영역이 넓어지는 부채꼴을 이루는 형태로 풀이 도포되어 있다. 이 처럼 마스터롤러 16의 외측에서의 도포영역을 넓게하는 것은 롤부의 외경이 크게 회전개시시 또는 정지시에서의 관성이 크게 생기는 것에 대응하여 마스터 16a의 느슨함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 같이 도포영역을 상술한 부채꼴상으로 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25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중심위치의 내측으로 부터 외측으로 향해 동일 면적의 도포영역(도면중, 부호 16e를 붙인 사선으로 나타낸 영역)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2 실시예 및 각 변형예 1-3 등에 있어서는 마스터롤 16의 단면 16t를 대상으로 하여 접착용풀을 도포하는 경우, 그 단면은 도 21-25에 나타내어진 바와같이, 마스터롤 16의 한쪽 단면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축방향의 양방의 단면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의 어느 것이나 선택할 수 있다. 이경우의 선택기준으로서는 예를들면, 마스터 16a의 풀려지는 때의 벗겨지는 성질, 또는 풀어짐 양에 영향을 주는 관성의 크기등이 열거되어진다.
도 26에 제2 실시예의 변형예 4를 나타내었다.
이 변형예 4는 마스터롤 16의 단면 16t의 접착용풀 도포면이 색 분류된 복수의 동심 환상대(環狀帶)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스터롤 16 좌측의 단면 16t에는 도면중, 부호 A, B, C 영역의 각 사선의 각도를 서로 다르게 나타나도록, 복수의 각 동심 환상대로 색 분류되어 접착용풀이 도포되어 있다. 이같은 색 분류된 다른 색의 풀은 동심 환상대로 색 분류되어진 전영역에 걸쳐 도포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용한계에 달한 롤경에 상당하는 롤부만으로 도포하도록 해도 좋다.
변형예 4는 이상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마스터롤 16의 마스터 16a의 사용후 마다 그잔량을 식별할 수 있고, 사용한계에 달하여 교환시기인 것도 색 분류된 풀의 색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 4에서의 출의 도포상태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 24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 이유에 의해, 반경방향에 걸쳐 방사상부분에 부채꼴상 면적을 갖게 도포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한 접착용풀의 도포상태는 균일한 도포에 한정하지 않고, 메시지 등의 기입을 행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 28에 제2 실시예의 변형예 5를 나타내었다.
이 변형예 5은 마스터롤 16의 양방의 단면 16t에 접착용풀이 도포되어 있고, 이 양방의 풀 도포면에, 서로 다른 식별표시로서의 채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8에 있어서, 마스터롤 16의 양방 단면 16t에는 도면중, 사선부(부호P1으로 나타낸 부분) 및 교차하는 사선부(부호P2로 나타낸 부분)으로 나타내어져 있도록, 서로 다른 색의 풀이 도포되어 있다. 이 경우 도포영역은 도 21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면의 전영역이 해당된다.
마스터롤 16 양쪽의 단면 16t 끼리 다른 색의 풀을 도포하는 것은 마스터롤 16을 제판장치 10의 마스터롤보지부재 11a(제2도 및 제3도 참조)의 수납 凹부 11a4에 대하여 장착하는 때에 있어서, 마스터 16a의 선단의 풀려짐 위치를 판별하기 위해서이다. 이것에 의해, 마스터 16a의 선단이 롤부 원주면 윗방향으로 부터 그 접선방향으로 풀려지게 되는 경우, 또는 롤부 원주면의 아랫방향으로 부터 그 접선방향으로 풀려지게 되는 경우에 대응한 마스터롤 16의 향함을 단면 16t의 색에 의해 식별한 것으로, 장착할 수 있다. 그 결과,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풀려지게 된 마스터 16a의 선단이 도중에서 막히거나 하여 급판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면 16t에서의 식별표시로서는 색을 다르게 하는 것에 한정되지않고, 예를들어, "청", "적"등의 문자로 이루어지는 메시지를 기입하여도 좋다. 요컨대, 상기 단면 16t에서의 식별표시로서는 무엇인가의 단면 16t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방법이 있으면 좋고, 상기 각 표시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변형예 4 등에 있어서도, 도 21-25에 나타낸 실시예 및 각 변형예 1-3등과 마찬가지로, 마스터롤 16 한쪽의 단면 16t 또는 양쪽의 단면 16t의 어느 것이나 도포하는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도 29에 제1 실시예의 변형예 3을 나타내었다.
이 제1 실시예의 변형예 3은 마스터롤보지부 11에 지지된 마스터롤 16의 양단면 16t에 대응한 마스터롤유지부 11의 각 위치에, 마스터롤 16의 양쪽의 단면 16t에 시공되어 있는 식별표시에 각각 대응한 식별표시가 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낸 마스터롤 16이 장착된 마스터롤보지부재 11A의 마스터롤보지부재 11A의 마스터롤 보지부 11을 나타내고 있다. 같은 도면에 있어서, 마스터롤보지부재 11A에 있어 마스터롤 16의 장작위치에는 마스터롤 16의 양방의 단면 16T에 도포된 접착용풀의 색에 맞는 색의 착색부 11A10(P1에 대응한다), 11A11(P2에 대응한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실시예의 변형예 3은 이상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마스터롤 16을 제판장치 10내로 세트하는 경우에는 마스터롤 16의 양쪽 단부 16t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용풀의 색과 마스터롤보지부재 11A측의 착색부 11A10, 11A11의 색을 대응시킨다. 이것에 의해, 세트된 마스터롤 16으로 부터의 마스터 16a의 선단 풀려짐 위치 및 그 방향을 오인하는 일없이, 또한,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마스터롤 16의 한쪽 단면 16t에만 접착용풀이 도포되어 있어 식별표시가 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마스터롤보지부재 11A에 있어 마스터롤 16의 장작위치에, 마스터롤 16 한쪽의 상기 식별표시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표시를 시공하여도 좋다.
도 30에 제2 실시예의 변형예 5을 나타내었다.
이 변형예 6은 마스터 16a의 선단부를 제외하여 마스터롤 16의 최외측의 단면 16t만, 및/또는 마스터 16a의 선단부를 제외하여 마스터롤 16의 최외측에 있어 마스터 16a의 측단 가장자리 끼리만으로 접착용풀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면중, 부호 16f를 붙인 사선으로 나타낸 부위에, 마스터 16a의 선단부를 제외하고 마스터롤 16의 최외측에 있어 마스터 16a의 측단 가장자리 끼리 만으로 접착용풀이 도포되어 있다. 도 31에 제2 실시예의 변형예 7을 나타내었다.
이 변형예 7은 마스터롤 16의 단면 16t의 복수개소에 있어서, 그 반경방향의 외측부분에만 접착용풀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스터롤 16의 좌측 단면 16t에는 도면중, 부호 16g로 붙여진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중심위치의 내측으로 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반경방향의 회측부분에만 접착용풀이 도포되어 있다.
변형예 6 및 7은 각각 이상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마스터롤 16의 이송, 초기세트시 등의 취급에 있어서,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마스터 16a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도21-28에 나타낸 제2 실시예 및 각 변형예에 있어 마스터롤 16이 마스터롤 16의 이송, 초기세트시 뿐만이 아니라 재차 세트시에도 마스터롤 16으로 부터 마스터 16a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하여, 변형예 6 및 7이 서플라이로서의 마스터롤의 초기공급시에만 상기 이점을 갖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예 및 이들의 각 변형예 등에 사용된 마스터롤 16의 마스터 16a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어, 매우 얇은 1-3㎛두께의 실질적으로 열가소성 수지필름만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터를 롤상으로 감은 마스터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열가소성수지필름만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터 라는 것은 마스터가 열가소성수지필름만으로 이루어진 것 외에, 열가소성수지필름에 재전방지제 등의 미량성분을 함유하여 되는 것, 또는 열가소성수지필름의 주된 면, 즉, 겉면 또는 안쪽면 중 적어도 한쪽에 오버코트층 등의 박막층을 1층 또는 복수층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1, 제2 실시예 및 이들의 각 변형예 등에 사용된 마스터롤 16에 한정되지 않고, 마스터롤의 양쪽단면으로 부터 코아가 돌출하여 형성된 종래형의 마스터롤에도 제2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판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종래형의 마스터롤의 코아부분의 위치결정지지구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코아를 사용하지 않고 감겨져 형성된 마스터롤에도 제2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제판장치에 있어서도, 그 마스터롤의 위치결정지지구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제2 실시예 및 이들의 각 변형예 등에 사용된 마스터롤 16은 도 10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의 흑색도장으로 이루어진 저반사율부 16A를 갖고 있는 것은 말할 것까지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발명에 관한 제판용 마스터는 제판에 공급되는 서플라이로서, 인쇄장치 중에서도 특히 공판인쇄장치에 장착된 제판장치에 사용하는 것으로 유용하고, 이송, 취급 및 마스터롤 초기세트시에 그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발명에 관한 제판장치는 인쇄장치 중에서도 특히, 공판인쇄장치 등에 장착된 제판장치에 있어서, 마스터롤 초기세트시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마스터롤로 부터 미스터의 선단을 느슨하게 하는 것없이 자동적 또는 반자동적으로 풀리게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17)

  1. 제판용 마스터에 있어서, 마스터가 롤상으로 권취되어 형성된 마스크롤의 단면중 최소 일단면에 접착용풀(접착제)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용 마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판된후 판본체(版胴)에 권취된 상태에서 잉크를 공급하여 밀착시킨 인쇄용지에 화상을 전사하는 인쇄에 이용되며, 상기 마스터가 감열재료를 갖고, 상기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의 선단이 풀러나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용 마스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의 단면에 도포된 상기 접착용풀의 접착력은 상기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를 풀리게하는 힘에 의해 상기 마스터롤로부터 상기 마스터가 박리되는 정도로 강한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용 마스터.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의 선단부를 제외하고 상기 마스터롤의 단면에 상기 접착용풀이 도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용 마스터.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의 단면의 전영역에 걸쳐 상기 접착용 풀이 도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용 마스터.
  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이 단면의 일개소에 있어서, 그 반경 방향에 걸쳐 상기 접착용풀이 도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용 마스터.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의 단면의 복수개소에 있어서 그 반경방향에 걸쳐 상기 접착용 풀이 도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용 마스터.
  8.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의 단면의 접착용풀의 도포면은 색구분된 복수의 동심윤상대(同心輪狀帶)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용 마스터.
  9.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의 양단면에 접착용 풀이 도포되어 있으며, 그 양면의 풀 도포면에 서로다른 식별표시가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용 마스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시가 색(色)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용 마스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시가 문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용 마스터.
  12. 제1항, 2항, 10항, 11항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터롤 보지부와, 상기 마스터롤을 상기 마스터롤 보지부에 셋트한후 상기 마스터의 선단을 풀어내도록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갖는 제판장치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용 마스터.
  13. 제1항, 2항, 10항, 11항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터롤 보지부와, 상기 마스터롤을 상기 마스터롤 보지부에 셋트한후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마스터롤의 직경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터롤의 외주면에 당접내지 근접하고 상기 마스터의 선단을 박리하는 박리수단을 갖는 제판장치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용 마스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터롤 보지부를 갖고, 또한 상기 마스터롤 보지부에 지지된 상기 마스터롤의 양단면에 대응한 상기 마스터롤 보지부의 각위치에 상기 마스터롤의 양단면에 설치된 상기 식별표시에 각각 대응한 식별표시를 갖고 있는 제판장치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용 마스터.
  15. 제1항, 2항, 10항, 11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제판용마스터의 상기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의 선단을 풀어내는 제판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터롤보지부와, 상기 마스터롤을 상기 마스터롤 보지부에 셋트한후 상기 마스터의 선단을 풀어내도록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장치.
  16. 제1항, 2항, 10항, 11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제판용 마스터의 상기 마스터롤로부터 마스터의 선단을 자동적으로 박리하여 풀어내는 제판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터롤 보지부와, 상기 마스터롤을 상기 마스터롤 보지부에 셋트한후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마스터롤의 직경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터롤의 외주면에 당접내지는 근접하고 상기 마스터의 선단을 박리하는 박리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장치.
  17. 제 9 항 기재의 제판용 마스터를 이용한 제판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터롤 보지구를 갖고, 또한 상기 마스터롤 보지부에 지지된 상기 마스터롤의 양단면에 대응한 상기 마스터롤보지부의 각위치에 상기 마스터롤의 양단면에 설한 상기 식별표시에 각각 대응한 식별표시가 설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장치.
KR1019970702113A 1995-07-31 1996-06-20 제판용 마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제판장치 KR100244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95,309 1995-07-31
JP19530995 1995-07-31
PCT/JP1996/001713 WO1997004967A1 (fr) 1995-07-31 1996-06-20 Original pour realisation de cliches et appareil a realiser les clich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133A KR970706133A (ko) 1997-11-03
KR100244166B1 true KR100244166B1 (ko) 2000-03-02

Family

ID=1633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113A KR100244166B1 (ko) 1995-07-31 1996-06-20 제판용 마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제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5799577A (ko)
KR (1) KR100244166B1 (ko)
CN (2) CN1064904C (ko)
GB (1) GB2308098B (ko)
WO (1) WO19970049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9534A (ja) * 1995-08-11 1997-04-28 General Kk スタンプ及びスタンプカセット
US6113346A (en) 1996-07-31 2000-09-05 Agfa Corporation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a supply of plates in an automated plate handler
JP4180693B2 (ja) * 1997-11-21 2008-11-12 東北リコー株式会社 多色印刷方法及び多色印刷システム
JPH11268390A (ja) * 1998-03-20 1999-10-05 Riso Kagaku Corp 製版印刷装置
JP4486154B2 (ja) * 1999-02-03 2010-06-23 高園産業株式会社 分包紙用紙管
US6257410B1 (en) * 1999-07-30 2001-07-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able products having end-wise indicia
JP4401534B2 (ja) 1999-08-26 2010-01-20 東北リコー株式会社 マスタ原紙ロール及びマスタ原紙ロール保持装置
FR2867051B1 (fr) * 2004-03-05 2006-09-29 Georgia Pacific France Rouleau a distribution controlee
DE102004012727A1 (de) * 2004-03-16 2005-10-06 Voith Paper Patent Gmbh J-Linie
US8181896B1 (en) * 2008-09-11 2012-05-22 Scribner Patrick L Marking off tape assembly
US9476206B2 (en) * 2013-10-09 2016-10-25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Wallboard joint tape having directional indicators
JP6498977B2 (ja) * 2015-03-20 2019-04-1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
DE102019201601A1 (de) 2019-02-07 2020-08-13 Bhs Intralogistics Gmbh Materialrollen-Vorbereitungs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082A (ja) * 1982-07-06 1984-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製版・印刷機
JPS5916791A (ja) * 1982-07-19 1984-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ロ−ル式感熱孔版印刷用原紙
JPS5916792A (ja) * 1982-07-19 1984-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ロ−ル式孔版印刷用原紙
JPS5996983A (ja) * 1982-11-26 1984-06-04 Riso Kagaku Corp 孔版式製版印刷装置
JPH0310055Y2 (ko) * 1985-08-21 1991-03-13
JPS63178134A (ja) * 1986-09-22 1988-07-22 Asahi Chem Ind Co Ltd 芳香族ポリケトン系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802087B2 (ja) * 1989-02-06 1998-09-21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製版印刷装置
US5207157A (en) * 1989-12-22 1993-05-04 Ricoh Company, Ltd. Control device for a stencil duplicating machine
JPH05155169A (ja) * 1991-12-06 1993-06-22 Ricoh Co Ltd 感熱性孔版原紙
DE9210495U1 (de) * 1992-08-06 1993-12-02 Beloit Corp Rollenwickelmaschine mit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Bahnenden
JPH06239047A (ja) * 1993-02-17 1994-08-30 Tohoku Ricoh Co Ltd 孔版印刷用原紙
JP2790963B2 (ja) * 1993-06-30 1998-08-27 東北リコー株式会社 印刷装置
JP3370740B2 (ja) * 1993-07-23 2003-0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ユニット、テープカセット並びにテープ印字装置
JP3466283B2 (ja) * 1993-09-13 2003-11-10 東北リコー株式会社 孔版製版装置及びマスタ貯容ユニット
JP2843238B2 (ja) * 1993-09-30 1999-01-06 東北リコー株式会社 印刷機における製版及び給版装置
JP3422826B2 (ja) * 1993-11-09 2003-06-3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孔版印刷装置
JPH0999620A (ja) * 1995-07-31 1997-04-15 Tohoku Ricoh Co Ltd 製版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製版用マスタ
JPH09201934A (ja) * 1995-11-21 1997-08-05 Tohoku Ricoh Co Ltd シートロールの自動先端剥離装置および製版装置
JP3957791B2 (ja) * 1995-12-22 2007-08-15 東北リコー株式会社 製版書込み装置
JP3257485B2 (ja) * 1997-11-19 2002-02-18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通信方式と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76461A (en) 2000-06-20
US5927192A (en) 1999-07-27
CN1161018A (zh) 1997-10-01
CN1139496C (zh) 2004-02-25
GB2308098A (en) 1997-06-18
KR970706133A (ko) 1997-11-03
GB2308098B (en) 1998-10-21
WO1997004967A1 (fr) 1997-02-13
US5799577A (en) 1998-09-01
GB9706353D0 (en) 1997-05-14
CN1064904C (zh) 2001-04-25
CN1307974A (zh) 2001-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166B1 (ko) 제판용 마스터 및 이를 이용한 제판장치
US5816149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peeling off the leading edge of a stencil from a stencil roll and master making device having the same
JPH0999620A (ja) 製版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製版用マスタ
JP2826069B2 (ja) 製版印刷装置
JP2019177484A (ja) 印刷装置
JP3825155B2 (ja) 孔版印刷装置
JP3957791B2 (ja) 製版書込み装置
JP2863319B2 (ja) 製版用マスタおよび製版装置
JP4322325B2 (ja) 製版装置
JP2001080187A (ja) 孔版印刷装置
US6792853B2 (en) Stencil printer
GB2321877A (en) Stencil perforating device
JP4903438B2 (ja) 印刷装置および孔版印刷装置
JP2002036511A (ja) 印刷装置
JPH08118776A (ja) 孔版式製版印刷装置
JP2014008706A (ja) 製版装置、印刷装置およびマスタロール
JP3889591B2 (ja) 孔版印刷装置
JP5059342B2 (ja) 両面印刷装置
JP3222636B2 (ja) 孔版印刷装置の製版装置
JP3215005B2 (ja) 給排版一体型の孔版印刷装置
JPH0752513A (ja) 孔版式製版印刷装置
JP2002036700A (ja) 印刷装置の排版装置
JPH07125399A (ja) 孔版印刷装置
JP2001080197A (ja) 孔版印刷装置
JPH09104157A (ja) 孔版式製版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