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814B1 - 자동 종이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종이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25814B1 KR100225814B1 KR1019960028649A KR19960028649A KR100225814B1 KR 100225814 B1 KR100225814 B1 KR 100225814B1 KR 1019960028649 A KR1019960028649 A KR 1019960028649A KR 19960028649 A KR19960028649 A KR 19960028649A KR 100225814 B1 KR100225814 B1 KR 1002258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roller
- separation
- pick
- separ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10000002105 tongue Anatomy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840 feed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079 width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3 fri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65H3/5253—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61—Retainers of the roller type, e.g. 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07—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cooperating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pile from roller or rotary separator after a separation ste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9—Driving devic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3—Couplings
- B65H2403/732—Torque limi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20—Actuating means angular
- B65H2555/26—Stepper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지의 중첩송출 및 송출미스를 방지하고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비용을 억제한 구성의 종이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용지카세트내에 수납된 용지를 빼내는 피크로울러, 용지를 1장씩 분리하는 분리로울러, 이 분리로울러를 상기 피크로울러에 접촉분리 이동하는 분리로울러 구동수단, 피크로울러에 당접하는 리프터, 이 리프터를 구동하는 리프터 구동수단, 분리로울러 구동수단과, 이 리프터 구동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원, 종이공급시는 상기 분리로울러와 용지를 피크로울러에 당접하고 종이를 공급하지 않을 때는 상기 분리로울러와 용지를 피크로울러에서 이탈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용지의 중첩 송출 및 송출미스를 방지할 수 있고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화상형성장치의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39도는 예를 들면 일보국 특허공개공보 평성02-221033호에 개시된 종래의 자동 종이공급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용지, (2)는 용지(1)을 수납하는 용지카세트, (3)은 상기 용지카세트(2)내의 용지(1)을 빼내는 피크로울러(pick roller), (4)는 상기 피크로울러(3)에 의해 빼내진 용지(1)을 분리해서 1장씩 송출하는 분리로울러, (5)는 용지카세트(2)내의 용지(1)을 상기 피크로울러(3)에 당접시키기 위한 부세수단(힘을 가하는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지카세트(2)내의 용지(1)의 선단부는 코일 스프링(5)에 의해 밀어올려지고, 최상면의 용지(1)은 피크로울러(3)의 하면부에 당접되어 있다. 또, 피크로울러(3)에 회전접촉하도록 분리로울러(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태에서 피크로울러가 용지 반송방향으로 회전되면 용지(1)이 용지카세트(2)내에서 빼내어진다.
용지카세트(2)내에서 빼내어진 용지(1)이 1장 빼내어진 경우에는 피크로울러( 3)과 용지(1)의 마찰력에 의한 용지(1)의 반송력이 분리로울러(4)의 점선화살표 방향의 분리토크로 제압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분리로울러(4)는 피크로울러(3)의 회전에 종동회전하여 용지(1)을 다음 행정으로 송출한다.
용지카세트(2)내에서 빼내어진 용지(1)이 2장 빼내어진 경우에는 분리로울러( 4)의 분리토크가 2장의 용지 1사이의 마찰력으로 제압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분리로울러(4)가 점선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해서 용지(1)을 분리하여 1장만 다음 행정으로 송출한다.
그러나, 제39도에 도시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구성에서는 분리로울러(4)가 항상 피크로울러(3)에 접해 있으므로, 분리된 용지(1)이 종이공급카세트(2)내로 되돌려보내지지 않고 피크로울러(3)과 분리로울러(4)의 접점부인 용지분리부(19) 부근에 위치되는 경우, 분리되어 1장만 송출된 용지(1)인 후단이 상기 분리부(19)를 통과한 직후에 피크로울러(3)의 회전을 정지시키지 않으면 상기 분리부(19)부근에 위치된 분리된 용지(1)이 상기 분리되어 1장만 송출된 용지(1)에 이어 반송되어 버리는 용지의 중첩송출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분리로울러(4)에는 항상 용지(1)의 반송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토크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분리로울러(4)가 피크로울러(3)에 항상 접하고 있는 상태이면, 용지(1)의 1장 반송시 용지(1)의 분리로울러(4)와의 접촉면에 있어서 용지(1)의 반송속도와 분리로울러(4)의 주속도에 속도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상기 속도차에 기인하는 용지(1)로의 손상 및 로울러흔적이 남는 등의 결함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제39도에 도시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구성에서는 종이공급카세트(2)내의 용지(1)의 선단부는 코일스프링(5)에 의해 항상 밀어올려지고 최상면의 용지(1)은 피크로울러(3)의 하면부에 항상 압접되고 있으므로, 피크로울러(3)이 용지(1)의 반송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항상 용지 카세트(2)내의 용지(1)을 빼낼 가능성이 있으므로 용지의 중첩송출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용지카세트(2)내의 용지(1)을 코일스프링(5)에 의해 밀어올리고 용지(1)을 피크로울러(3)의 하면부에 당접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용지(1)을 상기 피크로울러(3)의 하면부에 당접시켰을 때의 압접력은 코일스프링(5)에 의해 결정되고 또 용지카세트(2)로의 용지(1)의 적재량 및 용지(1)의 종류에 의해 상기 압접력이 달라 사용하는 용지가 한정된다.
또, 피크로울러(3)이 용지카세트(2)내에서 용지(1)을 빼내는 힘이 안정되지 않으므로, 용지의 송출미스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용지카세트(2)내에서 용지(1)을 중첩송출 및 송출미스없이 빼냄과 동시에 용지 표면에 손상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또한 특성이 다른 여러 가지 종류의 용지(1)에 대응할 수 있는 자동 종이공급장치를 용지분리성능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저가(低價)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실시예 1의 제어기구부의 블럭도.
제3도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종이공급동작의 초기상태를 도시한 측면단면도.
제4도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종이공급동작의 종이공급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측면단면의 확대도.
제7도는 실시예 3의 종이공급동작을 도시한 상태도.
제8도는 실시예 3의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구성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제12도는 실시예 7의 용지분리동작의 초기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측면단면도.
제13도는 실시예 7의 용지분리동작을 도시한 주요부 측면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제15도는 실시예 9의 종이공급동작의 초기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측면단면도.
제16도는 실시예 9의 종이공급동작을 도시한 주요부 측면단면도.
제17도는 실시예 9의 종이공급동작을 도시한 주요부 측면단면도.
제18도는 실시예 9의 종이공급동작을 도시한 주요부 측면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측면단면 확대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측면단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측면단면 확대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의한 용지 가이드부의 측면단면 확대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측면단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의한 분리로울러의 사시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측면단면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9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측면단면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0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설명도.
제3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0의 제어기구부의 블럭도.
제3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0의 흐름도.
제3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측면단면도.
제3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흐름도.
제3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2의 흐름도.
제3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3의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측면단면도.
제3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3의 흐름도.
제3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4의 동작을 도시한 상태도.
제3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4의 흐름도.
제39도는 종래의 자동 종이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지
1a : 분리부에 용지가 2장 진입한 경우의 상측의 용지
1b : 분리분에 용지가 2장 진입한 경우의 하측의 용지
2 : 용지카세트 3 : 피크로울러
3a : 피크로울러 3b : 피크로울러
3c : 피크로울러 4 : 분리로울러
5 ; 코일 스프링 6 : 리프터
7 : 레버 9 : 캠
10 : 스프링 11 : 스프링
12 : 피크로울러 기어 13 : 분리로울러 기어
14 : 토크리미터 15 : 기어a
16 : 기어b 17 : 레버 회동축
18 : 리프터회전축 19 : 분리부
20 : 용지가이드 21 : 돌기
22 : 피드 로울러 22a : 피드로울러
22b : 피드로울러 23 : 피드로울러 부세수단
24 : 피드로울러축 25 : 분리로울러 가이드
26 : 마찰재 27 : 날개차
28 : 종이배출 로울러 29 : 종이배출 센서
30 : 스텝모터 30a : 모터기어
30b : 캠 기어 31 : 제어부
32 : 용지피크부 33 : 용지반송부
34 : 종이공급센서 35 : 중첩송출 검지수단
36 ; 스텝모터 37 : 회전량 설정수단
38 : 누름텅 39 : 마찰부재
40 : 용지폭 규제판 41 : 용지폭 규제판
a : 캠정회전방향 b : 종이공급시의 레버 회전운동방향
c : 피크로울러 중심과 분리로울러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L : 직선 c에 수직이고 또한 분리부를 통과하는 직선
F : 용지분리시 접선력 N : 용지 1b에 발생하는 항력
μN : 용지 1b에 발생하는 용지반송력
L1 : 용지피크부에서 분리부까지의 거리
L2 : 분리부에서 용지반송부까지의 거리
P1 : 용지피크부에서 용지반송부까지 피크로울러의 용지반송에 필요한 펄스수
P2 : 용지피크부에서 종이공급센서까지 피크로울러의 용지반송에 필요한 펄스수
P3 : 용지피크부에서 중첩송출 검지센서까지 피크로울러의 용지반송에 필요한 펄스수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는 용지카세트내에 수납된 용지를 빼내는 피크로울러, 이 피크로울러와 접촉분리되고 상기 피크로울러에 의해 빼내어진 용지를 1장씩 분리하는 분리로울러, 이 분리로울러를 상기 피크로울러와 접촉분리해서 이동시키는 분리로울러 구동수단, 상기 용지카세트내에 수납된 상기 용지를 이동해서 상기 피크로울러에 당접하는 리프터, 이 리프터를 구동하는 리프터 구동수단, 상기 분리로울러 구동수단과 이 리프터 구동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분리로울러 구동수단과 상기 리프터 구동수단을 제어해서 종이 공급시는 상기 분리로울러와 상기 용지를 상기 피크로울러에 당접시키고 종이를 공급하지 않을 때는 상기 분리로울러와 상기 용지를 상기 피크로울러에서 이탈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로울러 구동수단과 상기 리프터 구동수단을 구동하는 상기 구동수단은 1개의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분리로울러의 구동수단과 상기 리프터 구동수단은 연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3]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로울러 구동수단은 상기 용지의 반송방향 평면에 대해서 직교하고 또한 용지 반송방향과 평행한 평면내에 있어서의 임의의 점을 중심으로 회전운동가능한 레버에 의해 구성되고, 이 레버의 회전운동중심은 상기 피크로울러와 상기 분리로울러의 접점부를 통해서 상기 피크로울러 회전중심과 상기 분리로울러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서 수직인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4]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크로울러와 분리로울러의 접점부 부근에 위치하고 분리로울러가 피크로울러에 당접된 위치에 있을 때는 용지분리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분리로울러가 피크로울러에서 퇴피한 위치에 있을 때는 분리로울러보다 위쪽이고 또한 용지반송경로내에 위치하는 용지통과 방지부재를 더 마련하고 있다.
[5]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를 상기 용지카세트 하면방향으로 압압하는 용지 압압수단을 더 마련하고 있다.
[6]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압압수단은 상기 용지 빼냄부 근방이고 또한 상기 피크로울러의 축방향으로 상기 용지카세트중심에서 대략 등간격으로 여러개 구비되어 있다.
[7]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로울러보다 용지반송방향 하류에서 상기 피크로울러와 대향하고 피크로울러에 당접하는 상기 분리로울러에 의해서 분리된 용지를 인화부로 반송하는 피크로울러를 구비하고 있다.
[8]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카세트의 용지 반송방향 하류측의 대략 용지양끝부 위치에서 용지와 대면하는 측에 마찰부재를 마련하고 있다.
[9]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용지카세트내에 마련한 용지 폭 규제판의 용지와 대면하는 측에 배치하고 있다.
[10]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크로울러를 동일한 회전축에 소정간격을 갖고 동일 반경의 로울러로 여러개 분할하고, 이 분할된 피크로울러의 적어도 1개의 상기 분리로울러를 접촉분리가능하게 구성하고, 이 분리로울러에 의해 분리된 용지를 인화부로 반송하는 피드로울러는 상기 분리로울러의 용지반송방향 하류측에서 분리로울러와 접촉분리가능한 피크로울러 이외의 피크로울러의 적어도 1개와 접촉분리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11]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로울러의 용지 반송방향 상류측에 상기 분리로울러의 용지반송방향측 앞면을 덮는 용지가이드를 마련하고 있다.
[12]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를 상기 분리로울러의 상기 피크로울러에 대한 접촉 분리동작에 연동시켜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13]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의 표면은 오목볼록형상으로 가공하고 있다.
[14]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이드의 표면에는 마찰부재를 마련하고 있다.
[15]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로울러에는 날개차를 마련하고 있다.
[16]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로울러는 그의 표면이 오목볼록형상으로 가공되어 있는 것이다.
[17]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로울러는 그의 표면에 마찰부재가 마련된 것이다.
[18]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크로울러에 대해서 용지카세트내의 용지를 빼내는 반사측에 인화후의 종이배출경로를 마련하고, 이 종이배출경로는 상기 피크로울러 사이의 위치에 마련된 종이배출로울러와 이 종이배출로울러를 상기 피크로울러와 접촉분리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19]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용지카세트에 적재하는 용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리프터 구동수단의 구동량을 변경가능하게 하는 구동량 가변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20]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로울러에 의해 분리된 용지를 인화부로 반송하는 피드로울러와 상기 피크로울러가 용지카세트내의 용지를 상기 피드로울러로 반송하는데 필요한 피크로울러의 회전량을 미리 설정하는 회전량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피크로울러가 종이공급개시후, 피크로울러의 회전량이 상기 설정회전량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분리로울러 구동수단을 구동시켜서 분리로울러를 피크로울러에서 퇴피시키고 또한 리프터 구동수단을 구동시켜서 리프터를 하강시키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21]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로울러에 의해 분리된 용지를 인화부로 반송하는 피드로울러, 상기 피드로울러의 용지반송방향 하류측에 용지를 검지하는 용지검지수단, 이 용지검지수단으로 용지를 반송하는데 필요한 피크로울러의 회전량을 미리 설정하는 회전량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피크로울러가 종이공급개시후, 피크로울러의 회전량이 설정량에 도달하는 동안에 상기 용지검지수단이 용지를 검지하지 않는 경우 피크로울러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리프터의 상승량을 증가시킨후 피크로울러를 재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22]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로울러에 의해 분리된 용지를 인화부로 반송하는 피드로울러, 상기 피드로울러의 용지반송방향 하류측에 용지를 검지하는 용지검지수단, 이 용지검지수단으로 용지를 반송하는데 필요한 피크로울러의 회전량을 미리 설정하는 회전량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피크로울러가 종이공급개시후 피크로울러의 회전량이 설정량에 도달하는 동안에 상기 용지검지수단이 용지를 검지하지 않는 경우 피크로울러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피크로울러를 상기 미리설정한 회전량만큼 용지반송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재차 종이공급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23]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로울러의 용지 반송방향 하류측에 용지의 중첩송출을 검지하는 용지중첩송출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이 용지중첩송출 검지수단에 의해 용지의 중첩송출이 검지된 경우 피크로울러와 분리로울러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리프터를 하강해서 피크로울러에 압접된 용지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고 피크로울러를 용지반송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일정량 회전시킨 후 재차 종이공급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것이다.
[24]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분리로울러 구동수단에 의해 분리로울러를 피크로울러에 당접한 후 피크로울러를 용지반송방향으로 회전시켜 분리로울러가 피크로울러의 회전에 대해서 충분히 종동회전한 후 상기 리프터구동수단에 의해 용지카세트내의 용지를 상기 피크로울러에 당접시키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 형태]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1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그 제어기구부의 블럭도이다. 이들의 도에 있어서, (1)은 용지, (2)는 이 용지(1)을 수납하는 용지카세트, (3)은 스텝모터(36)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용지(1)을 빼내는 피크로울러, (4)는 이 피크로울러(3)에 의해 용지카세트(2)에서 빼내어진 상기 용지(1)을 분리하는 분리로울러, (6)은 상기 용지(1)을 상기 피크로울러(3)와 접촉분리시키는 리프터, (7)은 상기 분리로울러(4)를 지지하고 있는 레버로서 축 (17)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분리로울러(4)는 부세수단인 스프링(1)에 의해 상기 피크로울러(3)에 압접되고 상기 분리로울러(4)와 상기 피크로울러(3)의 접점부인 분리부(19)에 접촉압이 부여된다.
또한, 스프링(11)은 한쪽 끝이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케이스에 걸려져 있다.
리프터(6)은 스프링(10)을 거쳐서 캠(8)에 연결되어 있고, 캠(8)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축(18)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캠(8)은 구동원인 스텝모터(30)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종절(follower)(9)을 거쳐서 상기 레버(7)의 위치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피크로울러(3)의 구동력은 피크로울러기어(12)에서 기어(15), 기어(16)을 거쳐서 분리로울러기어(13)으로 전달되어 상기 분리로울러(4)를 구동한다. 기어(15), 기어(16)에는 토크리미터(14)가 연결되어 있고 기어(15)와 기어(16)의 상대 회전토크가 토크리미터(14)의 설정토크 이내이면 기어(15)와 기어(16)은 동위상으로 회전하고, 기어(15)와, 기어(16)의 상대회전토크가 토크리미터(14)의 설정토크이상이면 기어(15)와 기어(16)은 역위상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분리로울러(4)를 상기 피크로울러(3)에 용지(1)을 개재하지 않고 압접한 상태에서는 상기 피크로울러(3)을 용지(1)의 반송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 경우, 분리로울러(4)는 피크로울러(3)에 종동회전(연동회전)하고 각 기어는 제1도의 실선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분리부(19)에 용지(1)이 1장 개재하는 경우에는 토크리미터(14)의 설정토크 및 스프링(11)에 의해 부여되는 분리부(19)의 접촉압에 의해 분리로울러(4)는 실선화살표방향으로 용지(1)을 거쳐서 피크로울러(3)에 종동회전(실선화살표방향)하므로, 용지(1)은 반송방향으로 보내진다. 분리부(19)에 용지(1)이 2장이상 개재하는 경우에는 분리로울러(4)는 토크리미터(14)에 의해 점선화살표방향(용지(1) 반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분리부(19)에 2장이상의 용지(1)이 진입한 경우에는 분리로울러(4)는 용지(1)의 분리를 실행해서 용지(1)을 1장만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31)은 피크로울러(3), 분리로울러(4), 리프터(6)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 공급장치의 실시예 1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3도는 초기상태, 제4도는 종이공급상태를 도시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스프링(11)은 압축된 상태에있고, 축(17)주위에는 한쪽 끝이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케이스에 걸려진 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한 화살표방향의 모멘트가 작용하고 있고, 레버(7)에 부착된 분리로울러(4)를 축(17)주위의 점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고 있지만 종절(9)를 거쳐서 캠(8)에 의해 레버(7)의 위치는 규제되어 있고, 분리로울러(4)는 피크로울러(3)에서 떨어진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공급상태에 있어서는 스텝모터(30)에 의해 캠(8)을 화살표a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종절(9)를 거쳐서 레버(7)의 위치규제를 해제한다. 위치규제가 해제된 레버(7)은 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축(17)을 중심으로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레버(7)에 지지된 분리로울러(4)를 피크로울러(3)에 당접시킨다. 또, 캠(8)을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10)에 의해 연결된 리프터(6)은 축(18)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용지카세트(2)내의 용지(1)을 밀어올려 피크로울러(3)에 압접하고 종이공급접촉압을 발생시켜서 스템모터(36)에 의해 피크로울러(3)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용지(1)을 용지카세트(2)내에서 빼낸다.
종이공급종료후는 스텝모터(30)을 역회전시키고 캠(8)을 제4도에 도시한 화살표a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리프터(6)을 제3도에 도시한 초기위치로 되돌려보내고, 피크로울러(3)에 압접시키고 있던 용지(1)을 용지카세트(2)내로 되돌려 보낸다. 또, 레버(7)은 종절(9)를 거쳐서 캠(8)에 의해 그 위치가 구제되어 제3도에 도시한 초기위치로 되돌려보내지고, 분리로울러(4)는 피크로울러(3)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분리로울러(4)를 피크로울러(3)와 접촉분리시키는 동작과 리프터(6)을 구동시키는 동작의 2개의 동작을 캠(8)을 구동시키는 1개의 동작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형태 2를 도시한 측면단면도이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7)의 회전 운동중심축(17)은 피크로울러(3)과 분리로울러(4)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c에 대해서 수직이고 또한 분리부(19)를 통하는 선L상에 배치되어 있다. F는 용지(1)의 반송시 및 용지(1)의 분리시에 상기 분리부(19)에 발생하는 용지(1)의 반송력 또는 용지(1)의 분리력에 의한 접선력이다. 그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 2에 의하면 상기 접선력 F는 항상 분리로울러(4)의 회전 운동중심축인 축(17)에 가해지게 되고 상기 접선력F에 의한 축(17)주위의 모멘트는 발생하지 않게 되어 분리로울러(4)가 피크로울러(3)에 당접되는 것에 의한 분리부에 발생하는 접촉압으로의 영향을 없앨 수 있다.
[실시예 3]
제6도~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3을 도시한 측면단면의 확대도, 제8도는 그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케이스에 고정된 용지가이드(20)을 분리로울러(4)의 양측에 마련하고 또 이 용지가이드(20)에 돌기(21)을 마련한다. 돌기(21)은 피크로울러(3)과 분리로울러(4)의 접점부인 분리부(19)부근에서 피크로울러(3) 및 분리로울러(4)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돌기(21)의 돌출량은 상기 분리부(19)를 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에, 실시예 3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6도는 분리로울러(4)가 피크로울러(3)에 당접된 상태에서 용지(1)이 분리부(19)에 2장 진입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돌기(21)은 분리부(19)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2장의 용지(1)의 상측의 용지(1a)는 분리부(19)를 돌기(21)과 간섭하는 일 없이 통과해서 다음 행정으로 반송된다. 하측의 용지(1b)는 분리로울러(4)에 의해 분리부(19)에서 분리되고 그 선단부는 용지카세트(2)내로 되돌려보내지지 않고 분리부(19) 부근에서 대기되고 있다.
제7도는 상기 상측의 용지(1)이 분리부(19)를 통과한 후, 분리로울러(4)가 피크로울러(3)에서 퇴피되어 초기위치로 되돌아간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의 상태에 있어서 용지(1a)는 다음 행정으로의 반송도중으로서, 용지(1a)와 용지(1b) 사이에는 용지(1a)의 자신의 무게 및 용지(1b)의 자신의 휨의 복원력에 의한 반력등에 의해 항력N이 발생해서 용지(1a)와 용지(1b)의 마찰계수 μ에 의해 용지(1b)에는 반송력 μN이 발생하고 있고, 용지(1b)는 상기 반송력 μN에 의해 용지가이드(20)에 따라서 용지(1a)에 따르도록 반송방향으로 나아가려고 한다. 이때, 분리로울러(4)는 피크로울러(3)에서 퇴피하고 있으므로, 돌기(21)은 분리로울러(4)보다 위쪽으로 또한 용지(1) 반송경로인 용지가이드(20)의 표면으로 나타내고 용지(1b)과 간섭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 3에 의하면 분리로울러(4)가 피크로울러(3)에서 퇴피한 후의 용지반송경로로 되는 용지가이드(20)에 돌기(21)을 마련하고, 돌기(21)은 분리로울러(4)가 피크로울러(3)에 당접되어 있는 경우의 용지경로인 분리부(19)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분리로울러(4)가 피크로울러(3)에서 퇴피했을 때에는 돌기(21)은 분리로울러(4)보다 위쪽 또는 용지반송경로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분리로울러(4)가 피크로울러(3)에서 퇴피하고 있을 때 분리로울러(4)를 새롭게 통과하려고 하는 용지(1)은 돌기(21)에 의해 정지되고 여분의 용지(1)이 보내지는 일이 없어 중첩송출 및 송출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는 돌기(21)을 마련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돌기(21)에 준한 부재를 용지가이드(20)에 부착해도 좋다.
[실시예 5]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5를 도시한 측면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부(19)에서 분리된 용지(1)을 다음 행정으로 반송하기 위한 피드로울러(22)는 분리로울러(4)의 용지(1)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분리로울러(4)와 간섭하지 않도록 부세수단인 스프링(23)에 의해 피크로울러(3)에 당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드로울러(22)는 피드로울러축(24)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고 피드로울러(22)자체는 구동력을 갖지 않고 대향하는 피크로울러(3)의 회전에 종동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 5에 의하면 피드로울러(22)를 피크로울러(3)에 당접시키고 피크로울러(3)의 회전에 종동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피드로울러(22)자체에는 구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용저감이 예상된다.
[실시예 6]
제10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6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10b도는 측면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분할된 피크로울러(3a), (3b), (3c)중의 피크로울러(3b)에 분리로울러(4)를 당접시키고 분리부(19)의 용지(1)의 반송방향 하류측의 2분할된 피드로울러(22a) 및 (22b)를 피크로울러(3a) 및 (3c)에 당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예 5에서는 하나의 피크로울러(3)에 분리로울러(4) 및 피드로울러(22)를 부세시키고 있었으므로, 분리로울러(4)와 피드로울러(22)가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피드로울러(22)를 분리로울러(4)보다 상당히 용지(1)의 반송방향 하류측으로 배치시킬 필요가 있어 용지반송경로가 위로 올라가 버린다.
상기 실시예 6에 의하면 분리로울러(4)와 피드로울러(22a), (22b)를 각각의 피크로울러(3b), (3a), (3c)에 당접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피드로울러(22a), (22b)는 피드로울러축(24)가 분리로울러(4)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분리로울러(4)에 근접해서 배치할 수 있어 실시예 5보다 용지(1)의 반송경로를 아래로 내릴 수 있게 된다.
[실시예 7]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7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10a도와는 반대방향에서 본 주요부 확대사시도이다. 이 도며에서 (20a)는 용지(1)의 반송경로 하측에 마련된 용지가이드, (20b)는 용지(1)의 반송경로 상측에 마련된 원고가이드로서, 특히 도시하지 않은 장치케이스 등에 고정된다. (38)은 상기 원고가이드(20b)에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된 용지압압수단으로서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누름텅(pressing tongues)이다. 이 누름텅(38)은 용지(1)의 폭방향으로 그 중심에서 등간격으로 2장 마련되어 있고 용지(1)을 용지카세트의 하면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부세하고 있다. 그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이 실시예 7에서는 용지(1)의 반송경로 상측에 마련된 원고가이드(20b)에 소정간격을 두고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누름텅(38)을 마련하므로, 용지(1)의 분리직전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즉, 리프터(6)에 의한 용지카세트(2)내의 용지(91)이 상승에 의해 용지(1)의 상면은 피크로울러(3a),(3b),(3c)에 당접함과 동시에 누름텅(38)에도 당접한다. 누름텅(38)은 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누름텅(38)의 선단은 제12도에 도시한 화살표 G방향으로 변형한다.
용지(1)의 분리부(19)에 용지(1)이 여러장 진입하고 분리로울러(4)에 의해 1장만으로 분리된 상태에서는 분리로울러(4)에 의해 용지카세트(2)측으로 눌려 되돌려보내진 용지(1)의 선단은 분리부(19)의 용지반송방향 상류측 바로 앞에 위치한다. 용지(1)의 분리동작후 분리로울러(4)는 피크로울러(3b)에서 분리되므로,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하고 있던 누름텅(38)은 화살표 H 방향으로 형상 복귀하고 상기 눌려되도려진 용지(1)을 용지가이드(20a)방향으로 밀어 내린다. 따라서, 용지(1)의 상면은 피크로울러(3)에서 분리하므로, 1장만 분리된 용지(1)의 후단이 분리부(19)를 통과한 후에 다음의 용지(1)이 그것에 이어서 피크로울러(3)과 피드로울러(22)의 당접부에 진입하는 것에 의한 중첩송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8]
또한, 상기 실시예 7에서는 누름텅(38)이 탄성체로 형성된 판스프링 형상인 것을 설명하였지만, 누름텅(38)을 탄성체에 의해 형성함과 동시에 누름텅이 용지 카세트(2)내의 용지(1)에 당접하는 부분에 로울러를 설치해도 좋고, 동일한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용지(1)로의 손상의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용지 압압수단은 여러개가 아니라 1개라도 중첩송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9]
제1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9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 제15도, 제16도, 제17도, 제18도는 그 종이공급, 분리동작을 도시한 주요부 단면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39)는 마찰부재로서의 마찰패드로서, 용지(1)의 반송경로 하측에 마련된 용지가이드(20a)의 상면, 용지(1)의 폭의 대략 양끝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7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에 주요부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용지(1)이 용지카세트(2)내에서 2장 이상 빼내어진 경우,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1)의 선단은 마찰패드(39)에 당접해서 그 움직임이 규제된다. 리프터(6)에 의해 발생하는 용지(1)과 피크로울러(3)의 접촉압 및 피크로울러(3)의 회전에 의해 최상면의 용지(1)은 또 도시한 화살표 J방향으로 반송되므로,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면의 용지(1)의 양끝부는 마찰패드(39)에서 화살표 K방향으로 튀는 것에 의해 1장만으로 분리되고,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분리부(19)로 진입한다. 그후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로울러(4) 및 리프터(6)은 초기상태로 복귀함과 동시에 분리된 용지(1)은 피크로울러와 피드로울러(22)에 의해 특히 도시하지 않은 후공정으로 반송된다. 마찰패드(39)에 의해 선단이 규제된 용지(1)은 리프터(6)의 하강과 함께 용지카세트(2)내로 낙하하여 중첩송출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용지(1)의 반송경로 하측에 마련된 용지가이드(20a)의 용지(1)의 폭의 대략 양끝부에 마찰패드(39)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분리부(19)의 반송방향 상류측에서의 사전 분리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0]
또한, 상기 실시예 9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 7에서 설명한 누름텅(38)을 설치하지 않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텅(38) 및 마찰 패드를 동시에 구비해도 좋고 용지(1)의 분리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11]
제2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11을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로서, 도면에 있어서 (40), (41)은 용지카세트(2)내에 마련된 용지폭 규제판이고 도시한 화살표W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42)는 용지카세트(2)내에 회전 운동가능하게 지지된 기어로서, 상기 용지폭 규제판(40)(41)의 일부에 형성된 랙 기어부(40a),(41a)에 맞물려 있다. (39)는 마찰패드로서, 상기 용지폭 규제판(40), (41)에 설치된다. 그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7 및 실시예 9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지(1)의 종이공급 및 분리에 관한 동작은 상기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용지폭 규제판(40), (41)은 기어(4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용지폭 규제판(40)과 용지폭 규제판(41)은 각각 반대방향으로 평행 이동한다. 용지(1)을 용지카세트(2)에 수납한 후, 용지폭규제판(40), (41)을 용지(1)의 폭에 맞게 이동시키면 용지폭 규제판(40a), (40b)에 마련한 마찰패드(39)는 항상 용지(1)의 양끝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즉, 용지카세트(2)에 수납하는 용지(1)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용지(1)의 분리부(19)의 반송방향 상류측에서의 사전 분리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2]
제21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12를 도시한 측면 단면의 부분확대도, 제21b도는 그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25)는 분리로울러(4)의 용지(1)의 반송방향 앞면부를 덮도록 구성된 분리로울러가이드이고, 분리로울러(4)는 피크로울러(3)에 당접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피크로울러(3)에 의해 용지카세트(2)내에서 빼내어진 용지(1)은 분리로울러 가이드(25)에 당접하고 나서 분리부(19)로 보내진다.
상기 실시예 12에 의하면, 용지(1)은 분리로울러 가이드(25)에 당접하고 그 당접각도에 따라 용지(1)의 분리부(19)로의 진입각도를 변경할 수 있고, 분리부(19)로의 원활한 용지(1)의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 피크로울러(3)에 의해 빼내어진 용지(1)이 여러장인 경우에도 분리로울러 가이드(25)의 하부에 당접하는 용지(1)은 분리로울러 가이드(25)에 의해 중지되어 분리부(19)로 진입하는 용지의 장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13]
제2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13을 도시한 측면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로울러 가이드(25)는 분리로울러(4)를 지지하는 레버(7)에 부착되어 있고, 분리로울러(4)의 피크로울러(3)에 대한 접촉 분리동작에 연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 13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12에서는 분리로울러(4)에 의해 분리된 용지(1)이 용지카세트(2)내로 되돌려보내지지 않아 분리로울러 가이드(25)에 걸릴 가능성이 있고, 상기 걸린 용지(1)이 피크로울러(3)과 접촉하면 중첩송출 및 송출미스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분리로울러 가이드(25)를 분리로울러(4)의 피크로울러(3)에 대한 접촉 분리동작과 연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분리로울러 가이드(25)를 피크로울러(3)에서 퇴피시키고 분리된 용지(1)이 분리로울러 가이드(25)에 걸린 경우라도 상기 걸린 용지(1)을 피크로울러(3)에서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14]
제2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14를 도시한 측면단면의 부분확대도이다. 분리로울러 가이드(25)의 표면을 오목볼록형상으로 가공하고 용지(1)이 당접한 경우의 용지(1)과 분리로울러 가이드(25)의 표면의 마찰저항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예 13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 14에 의하면, 용지(1)이 분리로울러 가이드(25)에 당접할 때의 마찰저항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지(1)을 분리부(19)에서 분리로울러(4)에 의해 분리하기 전의 사전 분리효과를 높이고 있다.
[실시예 15]
상기 실시예 14에서는 분리로울러 가이드(25)의 표면을 오목볼록형상으로 가공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중요한 것은 용지(1)이 분리부(19)로 반송되기 전의 사전 분리효과를 높이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로울러 가이드(25)에 마찰부재(26)을 부착한 것이라도 좋다.
[실시예 16]
제2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16을 도시한 측면단면도이다. 분리로울러(4)에 날개차(27)을 마련하고 분리로울러(4)와 날개차(27)이 동기해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 16에 의하면, 분리로울러(4)에 날개차(27)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분리로울러(4)에 의해 분리된 용지(1)이 용지카세트(2)내로 되돌려보내지지 않아 분리부(19)부근에서 정지된 경우라도 날개차(27)이 상기 분리된 용지(1)을 용지카세트(2)내로 되돌려보내려고 하는 것에 의해, 분리된 용지(1)을 용지카세트(2)내로 되돌려보내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 17]
제2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17을 도시한 분리로울러(4)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 17은 분리로울러(4)의 표면을 오목볼록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분리로울러(4)의 표면을 오목볼록형상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용지(1)과의 접촉저항을 높일 수 있다. 또 분리로울러(4)의 표면에 부착하는 용지(1)의 종이분말을 저감하여 분리로울러(4)의 표면의 열화(劣化)를 방지한다.
또, 분리로울러(4)의 표면에 단순히 마찰부재를 마련하는 것만으로도 용지(1)과의 접촉저항을 높혀서 용지(1) 분리시의 보조작용을 얻는다.
[실시예 18]
제2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18을 도시한 측면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배출로울러(28)은 피크로울러(3)에 대해서 종이배출경로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는 수단에 의해 피크로울러(3)과 접촉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종이배출로울러(28)은 그 자체로는 구동력을 갖지 않고 피크로울러(3)에 당접되어 피크로울러(3)의 회전에 종동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29)는 인자공정을 끝내고 배출되는 용지(1)을 검출하는 포토인터럽터를 사용한 투과형의 종이배출센서이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에, 실시예 18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자행정을 끝내고 배출되는 용지(1)이 피크로울러(3)과 종이배출로울러(28) 사이에 있는 종이 배출경로상에 위치되었을 때, 종이배출센서(29)가 이것을 검지하고 그 종이배출센서(29)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수단이 동작해서 종이배출로울러(28)을 피크로울러에 당접시키고 배출되는 용지(1)을 종이배출로울러(28)과 피크로울러(3) 사이에 두는 상태로 한다. 그래서, 피크로울러(3)을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피크로울러(3)과 종이배출로울러(28) 사이에 끼워진 용지(1)은 종이배출방향으로 반송된다.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종이배출로울러(28)의 구동계를 별도로 마련하고 있었지만,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종이배출로울러(28)의 구동원을 생략하고 피크로울러(3)의 구동력에 의해 종이배출동작을 실행하고 또한 피크로울러(3)을 종이배출로울러와 겸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비용저감이 예상된다.
[실시예 19]
제2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종이 공급장치의 실시예 19를 도시한 측면단면도이다. 캠(8)의 구동수단에 스텝모터(30)을 사용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스텝 모터(30)을 구동시키면 모터기어(30a) 및 캠기어(30b)를 거쳐서 캠(8)이 회전한다.
스텝모터(30)의 구동량을 관리해서 캠(8)의 회전각도를 제어하고 캠(8)과 리프터(6)을 연결하고 있는 스프링(10)의 신장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리프터(6)에 의해 들어올려진 용지(1)의 피크로울러(3)에 대한 접촉압을 변경할 수 있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 19에 의하면 스텝모터(30)에 의해 캠(8)의 회전각도를 제어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용지(1)의 피크로울러(3)에 대한 종이공급접촉압을 사용하는 용지(1)의 종류 및 사이즈에 따라 각각 적합한 종이공급 접촉압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0]
제2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20을 도시한 측면단면도이고, 제30도는 그 제어기구부의 블럭도, 제31도는 그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32)는 리프터(6)에 의해 들어올려진 용지(1)이 피크로울러(3)과 접촉하는 점을 나타내는 용지피크부, (33)은 분리로울러(4)의 용지(1)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피드로울러(22)가 스템모터(36)에 의해 구동되는 피크로울러(3)와 접촉하는 점을 나타내는 용지반송부로서, L1은 용지피크부(32)에서 분리부(19)까지의 용지(1)의 반송거리, L2는 분리부(19)에서 용지반송부(33)까지의 용지(1)의 반송거리를 나타낸다. (31)은 제어부, (37)은 용지(1)을 거리 L1+L2만큼 반송하는데 필요한 구동펄스수P1을 설정하는 회전량 설정수단이다. 그밖의 본 실시예의 구성은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에, 실시예 (20)의 동작을 제31도의 제어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31)에 의해 종이공급동작개시의 신호를 받으면, 캠(8)이 구동되고 분리로울러(4)가 피크로울러(3)에 당접된다. 또, 리프터(6)이 구동되는 것에 의해 용지(1)이 피크로울러(3)에 당접되어 종이공급상태가 완료된다. 또한, 종이공급상태 완료까지의 동작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다음에, 스텝모터(36)을 구동해서 피크로울러(3)을 종이공급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스텝모터의 구동펄스수의 카운트를 개시시키고 미리 피크로울러(3)이 용지(1)을 거리 L1+L2만큼 반송하는데 필요한 구동펄스수 P1을 회전량 설정수단(37)에 의해 설정해 둔다. 다음에, 스텝모터(36)이 P1펄스수만큼 구동된 후, 캠(8)을 역회전 구동시켜 리프터(6) 및 분리로울러(4)를 초기위치(제3도 참조)로 되돌려보내고 용지반송부(31)로 보내진 용지(1)은 피드로울러(22)에 의해 다음 행정으로 반송된다.
상기 실시예 20에 의하면, 피크로울러(3)이 용지(1)을 거리 L1+L2만큼 반송해서 용지(1)이 용지반송부(33)으로 보내졌을 때, 분리로울러(4)의 피크로울러(3)에 대한 당접을 해제하고 있는 것에 의해 분리로울러(4)가 용지(1)와 접촉하는 것은 용지피크부(32)에서 용지반송부(33)까지의 거리 L2로 되고, L2의 값을 작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분리로울러(4)가 용지(1)와 접촉하는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분리로울러(4)가 용지(1)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용지(1)표면으로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21]
제3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21을 도시한 측면단면도이고, 제33도는 실시예 21의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34)는 용지 검지수단인 포토인터럽터를 사용한 투과형의 종이공급센서로서, 피드로울러(22)의 용지(1)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예 20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에, 실시예 21의 동작을 제33도의 제어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20에 설명한 동작과 마찬가지로 종이공급상태가 완료된 후, 스텝모터(36)에 의해 피크로울러(3)을 종이공급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스템모터(36)의 구동펄스수의 카운트를 개시시켜 미리 피크로울러(3)이 용지(1)를 용지피크부(30)에서 종이공급센서부(32)까지 반송하는데 필요한 상기 스텝모터(36)의 구동펄스수 P2를 회전량 설정수단(37)에 의해 설정해 두고, 상기 카운트펄스수가 P2에 도달하였을 때에 종이공급센서(32)가 용지(1)을 검지하면 용지(1)이 정상적으로 종이공급되었다고 판단한다.
다음에, 상기 카운트펄스수가 P2에 도달하였을 때에 종이공급센서(34)가 용지(1)을 검지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이공급센서(34)가 용지(1)을 검지하지 않는 경우는 피크로울러(3)의 용지( 1)의 빼냄미스로 판단하고, 우선 피크로울러(3)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캠(8)을 역회전 구동시켜 리프터(6) 및 분리로울러(4)를 초기위치(제2도 참조)로 되돌려 보낸다. 다음에, 캠(8)의 구동량을 상기 종이공급상태로 했을 때보다 증가시켜서 재차 캠을 구동시키고 분리로울러(4) 및 용지(1)을 피크로울러(3)에 당접시켜서 종이공급상태로 한후, 피크로울러(3)을 종이공급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재차 종이공급 동작을 개시한다.
상기 실시예 21에 의하면 피크로울러(3)에 의한 용지(1)의 빼냄미스가 발생한 경우, 캠(8)의 구동량을 증가시키고 용지(1) 빼냄에 필요한 용지피크부(32)에 발생하는 종이공급접촉압을 증가한 상태에서 재차 피크로울러(3)에 의한 용지(1)의 빼냄 동작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용지(1)을 확실하게 빼낼 수 있다.
[실시예 22]
상기 실시예 21에서는 종이공급센서(34)가 용지(1)을 검지하지 않는 경우, 피크로울러(3)의 용지(1)의 빼냄미스로 판단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 22에서는 용지피크부(32)에서 용지반송부(33)까지의 용지반송경로내에서 용지(1)의 송출미스가 발생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4도는 실시예 22의 제어흐름도이다. 우선, 카운트펄스수가 설정펄스수 P2에 도달해도 종이공급센서(34)가 용지를 검지하지 않는 경우는 피크로울러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설정펄스수 P2만큼 피크로울러(3)을 종이공급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캠(8)을 역회전시켜서 용지(1)과 분리로울러(4)의 피크로울러(3)에 대한 당접을 해제하고 초기상태로 되돌려보내 재차 종이공급동작을 개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실시예 22에 의하면, 카운트펄스수가 설정펄스수 P2에 도달해도 종이공급센서(34)가 용지를 검지하지 않는 경우는 피크로울러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설정펄스수 P2만큼 피크로울러(3)을 종이공급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빼낸 용지(1)을 종이공급카세트(2)내로 되돌려보낼 수 있다.
[실시예 23]
본 실시예 23은 상기 실시예 22의 구성에 제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부(19)의 용지(1) 반송방향 하류측으로 각도센서를 사용해서 이 센서의 회전각에서 용지의 두께를 검지하고 용지가 2장 이상반송되는 중첩송출을 검지하는 중첩송출 검지센서(35)를 마련한 것으로서, 제36도에 제어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크로울러(3)이 용지(1)을 용지피크부(32)에서 중첩송출 검지센서(35)까지 반송하는데 필요한 스템모터의 구동펄스수P3를 미리 회전량 설정수단(37)에 의해 설정해 두고 용지(1)이 중첩 송출 검지센서(35)에 검지된 경우, 피크로울러(3)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설정펄스수 P3만큼 피크로울러(3)을 종이공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나서 재차 종이공급동작을 개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실시예 23에 의하면 분리부(19)에서 분리로울러(4)에 의해 용지(1)이 분리되지 않고 반송되도록 해도 중첩송출 검지센서(35)가 그것을 검지해서 용지(1)을 종이공급카세트(2)내로 되돌려보내고 나서 재차 종이공급동작을 개시시키고 재차 분리로울러(4)에 의한 분리작용을 받게 하므로, 확실하게 중첩송출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4]
제3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의 실시예 24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38도는 실시예 24의 제어흐름도이다. 스텝모터(30)에 의해 캠(8)이 각도 θ회전했을 때 분리로울러(4)를 피크로울러(3)에 당접시키지만, 캠(8)에 의한 리프터(6)의 구동량은 용지(1)이 피크로울러(3)에 당접하지 않도록 캠(8)이 구성된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다음에, 실시예 24의 동작을 제38도의 제어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우선, 스텝모터(30)에 의해 캠(8)을 각도 θ만큼 회전시키면, 분리로울러(4)는 피크로울러(3)에 당접되고 분리부(19)가 형성된다. 캠(8)의 회전각도가 θ인 경우, 리프터(6)의 구동량은 적으므로 용지(1)은 피크로울러에 당접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피크로울러(3)을 종이공급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분리로울러(4)를 피크로울러(3)으로 충분히 종동회전시킨 후, 캠(8)을 더욱 회전시켜서 리프터의 구동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용지(1)을 피크로울러(3)에 당접시켜서 용지피크부(32)를 형성하여 용지(1)의 빼냄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분리로울러(4)에는 용지반송방향과는 반대방향(제36도 점선화살표방향)으로 항상 분리토크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피크로울러(3)에 분리로울러(4)가 종동회전하는데는 상기 분리토크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분리로울러(4)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고, 피크로울러(3)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용지가 분리부(19)로 진입하는 경우, 분리로울러(4)는 피크로울러에 충분히 종동회전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용지피크부(32)에서 빼내어진 용지(1)이 분리로울러(4)에 당접할 때, 용지(1)이 분리부(19)로 반송되지 않고 종이걸림 등의 송출미스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지만, 상기 실시예 24에 의하면 분리로울러(4)를 피크로울러(3)에 충분히 종동회전시키고 나서 용지(1)의 빼냄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용지(1)이 분리로울러에 당접하는 경우라도 분리로울러는 종이공급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용지(1)이 분리부( 19)로 원활하게 반송되어 송출미스를 방지한다.
[실시예 25]
상기 실시예 24에서는 분리로울러(4)의 피크로울러(3)에 대한 접촉분리동작 및 리프터(6)의 구동을 캠(8)을 사용해서 1개의 구동수단에 의해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분리로울러(4)의 피크로울러에 대한 접촉분리동작의 구동수단 및 리프터(6)의 구동수단에 각각 별도의 구동수단을 사용해서 구성해도 분리로울러(4)를 피크로울러(3)에 충분히 종동시키고 나서 용지(1)의 빼냄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실시예 24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1]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용지 카세트내에 수납된 용지를 빼내는 피크로울러에 대해서 분리로울러를 접촉 분리 이동하는 분리로울러 구동수단, 용지카세트내의 용지를 이동해서 피크로울러에 당접하는 리프터의 구동수단과 상기 분리로울러 구동수단 및 상기 리프터 구동수단을 제어해서 종이공급시는 상기 분리로울러와 상기 용지를 상기 피크로울러에 당접하고 종이를 공급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분리로울러와 상기 용지를 상기 피크로울러에서 이탈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분리로울러는 종이를 공급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피크로울러에 당접하지 않으므로, 용지가 계속헤서 반송되어 버리는 용지의 중첩송출을 방지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분리로울러를 피크로울러와 접촉분리해서 이동시키는 동작과 리프터를 구동시키는 동작의 2개의 동작을 1개의 구동수단에 의해 연동시킬 수 있으므로, 분리로울러의 피크로울러와 접촉분리해서 이동시키는 동작과 리프터를 구동시키는 동작의 타이밍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또, 분리로울러 구동수단과 리프터의 구동수단을 1개의 구동수단에 의해 실행하므로, 비용 및 부품수의 삭감이 예상된다.
[3]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분리로울러를 용지반송방향 평면에 대해서 직교하고 또한 용지반송방향과 평행한 평면내에 있어서의 임의의 점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가능한 레버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레벌의 회전 운동 중심을 용지분리부를 통해서 피크로울러 회전중심과 분리로울러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서 수직인 직선상에 배치했으므로, 용지분리시에 피크로울러와 분리로울러의 접점부에 발생하는 용지반송력은 항상 분리로울러의 회전 운동중심인 상기 레버의 회전 운동중심축에 걸리게 되고 용지분리시에 발생하는 힘에 의해 분리로울러 회전 운동축주위의 모멘트는 0으로 되어 분리로울러의 피크로울러에 대한 접촉압력으로의 영향이 없어지므로 안정된 분리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용지분리부 부근에 분리 로울러가 피크로울러에 당접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용지분리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분리로울러가 피크로울러에서 퇴피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용지경로내 또한 분리로울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용지통과 방지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분리동작 종료후 분리로울러가 피크로울러에서 퇴피했을 때, 분리로울러부를 통과하려고 하는 용지가 있을 때는 상기 부재와 용지가 간섭하므로 용지는 상기 부재에 의해 정지되어 중첩송출 및 송출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용지를 용지카세트 방향으로 압압하는 용지압압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용지압압수단에 의해 분리후의 용지가 정상으로 반송된 용지에 게속해서 반송되어 버리는 중첩송출을 방지할 수 있다.
[6]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상기 용지압압수단은 상기 용지 빼냄부 근방에서 또한 상기 피크로울러의 축방향에서 상기 용지카세트 중심에서 대략 등간격으로 여러개 구비하고 용지를 여러곳에서 균등하게 누르고 있으므로, 분리후의 용지가 정상으로 반송된 용지에 이어서 반송되어 버리는 중첩송출 방지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7]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피드로울러를 피크로울러에 부세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피드로울러는 피크로울러의 회전에 종동회전하게 되고 피드로울러자체의 구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 비용 및 부품수의 삭감이 예상된다.
[8]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마찰부재를 상기 용지카세트의 용지반송방향 하류측의 대략 용지 양끝부 위치에서 용지와 대면하는 측에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마찰부재에 용지가 접촉했을 때의 마찰저항에 의해 분리로울러에 의한 용지의 분리부의 반송방향 상류측에서의 사전분리효과를 얻을 수 있어 용지의 중첩효과를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9]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용지카세트내에 마련된 용지폭 규제판의 용지와 대면하는 측에 설치했으므로, 용지카세트에 수납하는 용지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상기 마찰부재를 용지의 대략 양끝부 부근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분리로울러에 의한 용지의 분리부의 반송방향 상류측에서의 사전분리효과를 용지사이즈에 관계없이 얻을 수 있어 용지의 중첩송출 방지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10]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상기 피크로울러를 동일한 회전축에 소정간격을 갖고 동일한 반경의 로울러에 여러개 분할하고 이 분할된 피크로울러의 적어도 1개에 상기 분리로울러를 접촉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 분리로울러에 의해 분리된 용지를 인화부로 반송하는 피드로울러는 상기 분리로울러의 용지반송방향 하류측에서 분리로울러와 접촉분리 가능한 피크로울러 이외의 피크로울러의 적어도 1개와 접촉분리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1개의 피크로울러에 분리로울러와 피드로울러를 부세시키면 분리로울러와 피드로울러가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피드로울러를 분리로울러보다 상당히 용지반송방향 하류측에 배치시킬 필요가 있어 용지반송경로가 위로 올라가 버리지만 피드로울러는 피드로울러축이 분리로울러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분리로울러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어 용지반송경로를 아래로 내릴 수 있게 된다.
[11]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분리로울러의 용지반송 방향측 앞면을 덮는 용지가이드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용지분리부에 여러장의 용지가 진입하려고 했을 경우, 상기 용지가이드에 용지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용지분리부에 용지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용지분리부에 진입하는 용지의 장수를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보내진 용지가 용지가이드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 용지분리부로의 용지진입각도를 적절한 각도로 교정할 수 있다.
[12]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용지가이드를 분리로울러의 피크로울러에 대한 접촉 분리동작에 연동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분리된 용지가 상기 용지가이드에 걸린 경우에도 분리로울러가 피크로울러에서 퇴피한 경우이면 상기 걸린 용지가 피크로울러와 접촉하는것을 방지할 수 있어 중첩송출 및 송출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13]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용지가이드의 표면을 오목볼록형상으로 가공하고 용지와의 마찰저항을 높이는 것에 의해 분리동작전의 사전분리효과를 높일 수 있다.
[14]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용지가이드의 표면에 마찰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용지가이드에 용지가 접촉했을 때의 마찰저항을 높이고 분리로울러에 의한 분리동작을 실행하기 전의 사전분리효과를 높일 수 있다.
[15]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분리로울러에 날개차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분리된 용지를 용지카세트내로 되돌려보내는 작용을 높일 수 있다.
[16]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분리로울러의 표면을 오목볼록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분리로울러와 용지의 접촉저항을 높혀 용지분리시의 보조적 작용을 얻을 수 있고, 또 분리로울러표면에 부착하는 용지의 분말을 저감하여 분리로울러표면의 마찰계수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17]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분리로울러의 표면에 마찰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분리로울러와 용지의 접촉저항을 높혀 용지분리시의 보조적 작용을 얻을 수 있다.
[18]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종이배출경로를 피크로울러의 종이공급측과 반대측에 마련하고 종이배출로울러를 사이에 두고 피크로울러에 대향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피크로울러의 회전에 의해 종이배출로울러를 구동할 수 있고, 종이배출롤러자체에 구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 비용 및 부품수의 삭감이 예상된다.
[19]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용지를 피크로울러에 당접시켜서 종이공급접촉압을 발생시키는 리프터의 구동량을 변경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용지카세트에 적재하는 용지의 종류에 의해 리프터의 구동량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용지피크시의 종이공급접촉압은 사용하는 용지의 종류에 적합한 접촉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용지빼냄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20]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용지분리부를 통과한 용지가 피드로울러와 피크로울러의 접점인 용지반송부로 반송되었을 때 분리로울러를 퇴피시키고 또한 용지와 피크로울러의 종이공급접촉압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므로, 분리로울러가 용지와 접촉하는 거리는 용지분리부에서 용지반송부까지의 구간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고, 분리로울러가 용지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용지표면으로의 손상이 있는 구간은 상기 구간에 한정되고 분리로울러에 의한 용지로의 손상이 있는 범위를 억제할 수 있다.
[21]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피드로울러의 용지반송방향 하류측에 용지검지수단을 마련하고 용지피크부에서 상기 용지검지수단까지 용지를 반송하는 데 필요한 피크로울러의 구동량을 미리 설정해 두고, 상기 설정구동량 이내에 용지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는 리프터의 구동량을 높여서 종이공급접촉압력을 증가시키고 나서 재차 종이공급동작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용지빼냄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22]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종이공급동작을 개시하고 나서 피크로울러의 미리 설정된 구동량이내에 용지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 피크로울러를 상기 구동량분만큼 종이공급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나서 재차 종이공급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므로, 용지를 용지카세트내로 되돌려보낼 수 있게 된다.
[23]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용지분리부의 용지반송방향 하류측에 용지의 중첩송출을 검지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중첩송출 검지수단에 의해 중첩송출이 검지된 경우는 피크로울러를 역회전시켜서 용지를 용지카세트내로 되돌려보내로 나서 재차 종이공급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므로, 확실하게 중첩송출을 방지할 수 있다.
[24]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종이공급장치에 의하면, 분리로울러를 피크로울러에 충분하게 종동시키고 나서 용지카세트내의 용지를 피크로울러에 당접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용지피크부에서 보내진 용지가 분리로울러에 당접하는 경우라도 분리로울러는 용지반송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용지는 용지분리부로 원활하게 보내지고 종이걸림, 용지 끝부접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 용지카세트내에 수납된 용지를 빼내는 피크로울러, 상기 피크로울러와 접촉분리되고 상기 피크로울러에 의해 빼내어진 용지를 1장씩 분리하는 분리로울러, 상기 분리로울러를 상기 피크로울러와 접촉분리해서 이동시키는 분리로울러 구동수단, 상기 용지카세트내에 수납된 상기 용지를 이동시켜 상기 피크로울러와 당접시키는 리프터, 상기 리프터를 구동하는 리프터 구동수단, 상기 분리로울러 구동수단과 상기 리프터 구동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분리로울러 구동수단과 상기 리프터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종이공급시에는 상기 분리로울러와 상기 용지를 상기 피크로울러와 당접시키고, 종이를 공급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분리로울러와 상기 용지를 상기 피크로울러에서 이탈시키는 제어수단 및 상기 피크로울러와 분리로울러의 접점부 부근에 위치하고, 분리로울러가 피크로울러와 당접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용지분리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분리로울러가 피크로울러에서 퇴피한 위치에 있을 때에는 분리로울러보다 위쪽이고 또한 용지반송경로내에 위치하는 용지통과 방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종이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8167195 | 1995-07-18 | ||
JP95-181671 | 1995-07-18 | ||
JP8061189A JPH0986705A (ja) | 1995-07-18 | 1996-03-18 | 自動給紙装置 |
JP96-061189 | 1996-03-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7523A KR970007523A (ko) | 1997-02-21 |
KR100225814B1 true KR100225814B1 (ko) | 1999-10-15 |
Family
ID=2640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28649A KR100225814B1 (ko) | 1995-07-18 | 1996-07-16 | 자동 종이공급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000689A (ko) |
EP (1) | EP0754637B1 (ko) |
JP (1) | JPH0986705A (ko) |
KR (1) | KR100225814B1 (ko) |
DE (1) | DE69619901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33901U (ko) * | 1981-02-19 | 1981-10-12 | ||
US6318714B1 (en) * | 1997-11-28 | 2001-11-20 | Diebold, Incorporated | Document unstack system for currency recycl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
US6234470B1 (en) * | 1998-03-18 | 2001-05-22 |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 Sheet material feeding apparatus |
DE69915759T2 (de) | 1998-10-14 | 2005-03-17 | Canon K.K. | Blattzuführvorrichtung, Bilderzeugungsgerät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und Bildlesegerät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
US6354584B1 (en) * | 1998-10-14 | 2002-03-12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fee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JP2000296925A (ja) * | 1999-04-09 | 2000-10-24 | Pfu Ltd | 給紙装置 |
JP3368248B2 (ja) * | 1999-05-13 | 2003-01-2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給送装置、ならびに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
US6547236B1 (en) * | 2000-01-05 | 2003-04-15 | Hewlett-Packard Company | Pick-up mechanism and a method for performing a pick-up cycle in a reproduction machine |
DE10008135A1 (de) * | 2000-02-22 | 2001-08-23 | Giesecke & Devrient Gmbh | Reibradvereinzler zum Vereinzeln von Blattgut |
DE60113389T2 (de) * | 2000-02-24 | 2006-06-22 | Seiko Epson Corp. | Papierförderer und Aufzeichnungsgerät derselben enthaltend |
TW568833B (en) | 2000-05-03 | 2004-01-01 | Benq Corp | Feeding mechanism and method for feeding media |
JP2002053237A (ja) * | 2000-05-29 | 2002-02-19 | Ricoh Co Ltd | 給紙装置 |
US6896253B2 (en) * | 2001-05-10 | 2005-05-24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material fee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
US7040614B2 (en) * | 2002-02-18 | 2006-05-09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feed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
JP3710430B2 (ja) * | 2002-04-05 | 2005-10-2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US7165765B2 (en) * | 2002-06-07 | 2007-01-23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fee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
KR100425327B1 (ko) * | 2002-06-11 | 2004-03-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쇄기의 급지장치 |
JP2004035229A (ja) * | 2002-07-05 | 2004-02-05 | Sharp Corp | シート給送装置 |
KR100449735B1 (ko) * | 2002-08-20 | 2004-09-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쇄기의 용지 중송 방지 장치 |
CN1308205C (zh) * | 2002-11-05 | 2007-04-04 | 诚研科技股份有限公司 | 自动馈纸机构 |
US6932337B2 (en) * | 2003-02-24 | 2005-08-23 | Kabushiki Kaisha Toshiba | Sheet convey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ying sheet |
PL212577B1 (pl) * | 2003-03-10 | 2012-10-31 | Diebold Inc | Urzadzenie do automatycznego przeprowadzania transakcji bankowych |
JP4007277B2 (ja) * | 2003-07-22 | 2007-11-1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TWI220897B (en) * | 2003-07-22 | 2004-09-11 | Benq Corp | Recording media feeding system and method |
JP4357239B2 (ja) * | 2003-08-27 | 2009-11-04 | 三洋電機株式会社 |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
JP3938167B2 (ja) * | 2004-07-01 | 2007-06-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記録装置 |
KR100561374B1 (ko) * | 2004-10-11 | 2006-03-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압판 승강기구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JP4442532B2 (ja) * | 2005-08-22 | 2010-03-31 | 船井電機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4718297B2 (ja) * | 2005-10-24 | 2011-07-06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葉類分離集積装置 |
JP2007290794A (ja) * | 2006-04-21 | 2007-11-08 | Noritsu Koki Co Ltd | シート搬送装置 |
US7753364B2 (en) * | 2006-04-28 | 2010-07-13 | Pitney Bowes Inc. | Method to accommodate a large capacity of sheets in a feeder mechanism |
JP4525657B2 (ja) * | 2006-09-29 | 2010-08-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制御方法 |
JP4525656B2 (ja) * | 2006-09-29 | 2010-08-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印刷装置 |
JP2008105784A (ja) * | 2006-10-24 | 2008-05-08 | Seiko Epson Corp | ホッパ装置、記録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 |
US20080166164A1 (en) * | 2007-01-04 | 2008-07-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o convey printing medium |
JP4922039B2 (ja) * | 2007-03-29 | 2012-04-25 | 株式会社沖データ | 媒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5024534B2 (ja) * | 2007-06-20 | 2012-09-1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給送装置、記録装置 |
JP5153253B2 (ja) * | 2007-08-10 | 2013-02-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給紙装置及び記録装置 |
JP5089468B2 (ja) * | 2008-04-09 | 2012-12-05 | 株式会社Pfu | 給送装置 |
JP2010126327A (ja) * | 2008-11-28 | 2010-06-10 | Fuji Xerox Co Ltd |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CA2796765C (en) | 2010-04-19 | 2018-07-17 | Opex Corporation | Feeder for feeding document to document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feeding documents |
US8123212B1 (en) * | 2010-10-29 | 2012-02-28 | Lexmark International,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media positioning and indexing using an encoder in an image forming device |
JP5825879B2 (ja) * | 2011-06-24 | 2015-12-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5269152B2 (ja) * | 2011-06-24 | 2013-08-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KR101850276B1 (ko) * | 2012-01-03 | 2018-04-19 |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JP5895664B2 (ja) * | 2012-03-30 | 2016-03-3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給紙装置 |
JP6070043B2 (ja) | 2012-03-30 | 2017-02-01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056258B2 (ja) * | 2012-08-17 | 2017-01-11 | 株式会社リコー | シート状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
CN103803321A (zh) * | 2012-11-08 | 2014-05-21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用于纸币清分机中的纸币传送结构 |
JP6156183B2 (ja) * | 2014-02-21 | 2017-07-0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シート分離装置 |
KR20160008762A (ko) | 2014-07-15 | 2016-01-25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능성 수정과 및 그 제조방법 |
US9764570B2 (en) * | 2015-07-21 | 2017-09-19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feeding apparatus |
JP2022164342A (ja) * | 2021-04-16 | 2022-10-27 | 東芝テック株式会社 | シート搬送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67821A (en) * | 1954-03-29 | 1956-10-23 | Royal Mcbee Corp | Sheet feeding mechanism for typewriters or like machines |
JPS5817034A (ja) * | 1981-07-22 | 1983-02-01 | Hitachi Ltd | 給紙装置 |
JPS59156038U (ja) * | 1983-04-06 | 1984-10-19 | オムロン株式会社 | 紙葉類の繰出装置 |
US4494747A (en) * | 1983-07-01 | 1985-01-22 | Diebold, Incorporated | Paper currency dispenser friction picker mechanism |
JPS60252537A (ja) * | 1984-05-30 | 1985-12-13 | Fuji Xerox Co Ltd | 給紙装置 |
JPS61106339A (ja) * | 1984-10-31 | 1986-05-24 | Toshiba Corp | 給紙機構 |
JPS61166447A (ja) * | 1985-01-18 | 1986-07-28 | Sanyo Electric Co Ltd | 給紙装置 |
JPS624147A (ja) * | 1985-06-28 | 1987-01-10 | Sharp Corp | 用紙給紙装置 |
JPS62295844A (ja) * | 1986-06-12 | 1987-12-23 | Ricoh Co Ltd | 給紙装置 |
JPS63154546A (ja) * | 1986-12-12 | 1988-06-27 | Nippon Seimitsu Kogyo Kk | シ−ト搬送装置 |
JPS63202523A (ja) * | 1987-02-13 | 1988-08-22 | Minolta Camera Co Ltd | 給紙装置 |
US5593150A (en) * | 1987-08-18 | 1997-01-14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feeding apparatus for a recording apparatus |
JPH0720717B2 (ja) * | 1988-04-21 | 1995-03-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印字装置の給紙機構 |
JPH01294126A (ja) * | 1988-05-20 | 1989-11-28 | Minolta Camera Co Ltd | 給紙装置 |
JPH02221033A (ja) * | 1989-02-17 | 1990-09-04 | Toshiba Corp | 給紙装置 |
JPH04246038A (ja) * | 1991-01-31 | 1992-09-02 | Ricoh Co Ltd | 給紙装置 |
US5358230A (en) * | 1992-04-24 | 1994-10-25 | Canon Kabushiki Kaisha | Sheet supplying apparatus |
US5351945A (en) * | 1992-05-30 | 1994-10-04 | Mita Industrial Co., Ltd. | Overlapped transfer-preventing mechanism |
-
1996
- 1996-03-18 JP JP8061189A patent/JPH0986705A/ja active Pending
- 1996-07-16 KR KR1019960028649A patent/KR1002258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07-16 EP EP96111428A patent/EP075463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7-16 DE DE69619901T patent/DE69619901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7-17 US US08/684,436 patent/US6000689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754637B1 (en) | 2002-03-20 |
KR970007523A (ko) | 1997-02-21 |
EP0754637A3 (en) | 1998-04-01 |
JPH0986705A (ja) | 1997-03-31 |
DE69619901D1 (de) | 2002-04-25 |
US6000689A (en) | 1999-12-14 |
EP0754637A2 (en) | 1997-01-22 |
DE69619901T2 (de) | 2002-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25814B1 (ko) | 자동 종이공급장치 | |
JP4415002B2 (ja) | 紙葉類繰り出し機構 | |
US8091890B2 (en) | Medium feed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with separated reverse direction feed driving roller | |
JP5153253B2 (ja) | 給紙装置及び記録装置 | |
JP2011079643A (ja) | 媒体送り装置、記録装置 | |
JP2000296925A (ja) | 給紙装置 | |
JP2008080649A (ja) | 搬送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記録装置 | |
US7641186B2 (en) | Sheet feeding/conveying method and sheet feeding/conveying apparatus | |
JP2003321133A (ja) |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S5922826A (ja) | シ−ト排出機構 | |
JP5472599B2 (ja) | 媒体送り装置、記録装置 | |
JP5488794B2 (ja) | 媒体送り装置、記録装置 | |
JP5126517B2 (ja) | 給送装置、記録装置 | |
JP4035369B2 (ja) | シート材給送装置および記録装置 | |
JPH05286585A (ja) | 給紙装置 | |
JPH0876281A (ja) | 自動原稿送り装置 | |
JP2009280293A (ja) | 給送装置、記録装置 | |
JPH10310270A (ja) | 紙葉類の給紙装置 | |
JP2002332130A (ja) | シート材給送装置、シート材給送方法および記録装置 | |
GB2297315A (en) | Removing skew from paper fed to a printer | |
JPS62249830A (ja) | カ−ド分離給送装置 | |
JP2023119557A (ja) |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 |
JP2001233473A (ja) | 給紙装置,記録装置,および給紙方法 | |
JPH02138026A (ja) | カセットケースを用いる給紙装置 | |
JPH08244993A (ja) |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711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