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291B1 - 자주식 파쇄기계 - Google Patents

자주식 파쇄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291B1
KR100224291B1 KR1019960702112A KR19960702112A KR100224291B1 KR 100224291 B1 KR100224291 B1 KR 100224291B1 KR 1019960702112 A KR1019960702112 A KR 1019960702112A KR 19960702112 A KR19960702112 A KR 19960702112A KR 100224291 B1 KR100224291 B1 KR 100224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crusher
self
feeder
prope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5632A (ko
Inventor
유키오 다무라
미츠히사 사카에
사토루 코야나기
토루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960705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1Safety devices or mea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차체와 그 차체의 하부에 부착한 주행체와 상기 차체의 상부에 부착한 파쇄기와 상기 차체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파쇄기의 입구에 피파쇄물을 공급하는 피더를 구비한 호퍼를 구비한 자주식 파쇄 기계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를 구동하는 파쇄기 구동 수단과 그 파쇄기 구동 수단에 과부하가 작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과부하 검출 수단과 상기 피더를 구동하는 피더 구동 수단과 상기 과부하 검출 수단이 과부하를 검출했을 때 상기 피더 구동 수단을 정지하고 과부하를 검출하지 않았을 때 상기 피더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이다.

Description

자주식 파쇄 기계
자주식 파쇄 기계로서는 일본 실개소 64-32744호 공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우 1쌍의 주행체를 구비한 차체상의 파쇄기와 그 파쇄기에 결합된 호퍼와 그 파쇄기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부착하고, 그 차체의 하부에 있어서의 좌우 1쌍의 주행체간에 배출 콘베이어를 상하로 선회할 수 있도록 부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자주식 파쇄 기계는 자주(自走)할 수 있고 호퍼내에 투입한 건물 잔해등의 피파쇄물을 파쇄기로 잘게 파쇄하고 그 파쇄편을 배출 콘베이어에 의해서 차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런데 이같은 자주식 파쇄 기계에서는 유압 쇼벨등의 적입기(loader machine)로 피파쇄물을 호퍼에 투입하고, 그 호퍼에 의해서 피파쇄물을 파쇄기로 보내어 파쇄하지만 파쇄기내에 그 능력 이상의 피파쇄물을 공급한 경우, 즉, 과공급 상태로 피파쇄물을 계속 공급한 경우, 파쇄기가 정지되거나 심한 경우엔 파쇄기 자체가 파손되는 수가 있다.
그래서 종래는 유압 쇼벨등의 적입기의 조작자외에 파쇄기를 구동 제어하는 작업자가 자주식 파쇄 기계에 탑승하고 파쇄기에 피파쇄물을 과공급한 경우에는 파쇄기를 긴급 정지하게 하고 있었기 때문에 작업자가 2명 필요해질 뿐 아니라 적입기에 의해서 호퍼내에 피파쇄물을 투입할 때 잘못하여 작업자에 피파쇄물이 부딛치는 경우가 있어서 매우 위험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1명의 작업자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피파쇄물을 파쇄할 수 있고 피파쇄물이 부딛힐 위험도 없는 자주식 파쇄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파쇄 기계의 한 양태는, 차체와, 차체의 하부에 부착한 주행체와, 차체의 상부에 부착한 파쇄기와, 차체의 상부에 부착되고 파쇄기의 입구에 피파쇄물을 공급하는 피더를 구비한 호퍼를 구비한 자주식 파쇄 기계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를 구동하는 파쇄기 구동 수단과, 파쇄기 구동 수단에 과부하가 작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과부하 검출 수단과, 피더를 구동하는 피더 구동 수단과, 과부하 검출 수단이 과부하를 검출했을 때 피더 구동 수단을 정지시키고 과부하를 검출하지 않을 때 피더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파쇄기에 피파쇄물이 과공급되어서 과부하가 작용하면 피더가 자동 정지하여 파쇄기로의 피파쇄물의 공급이 없어지며, 피파쇄물이 파쇄되어서 파쇄기로의 과부하가 없어지면 재차 피더가 작동한다. 따라서 파쇄기가 정지하거나 파손되거나 하지 않고 구동을 계속하므로 적입기에 의해서 호퍼에 피파쇄물을 투입함으로써 피파쇄물을 연속해서 자동적으로 파쇄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파쇄기를 눈으로 보면서 그 구동·정지를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1명의 작업자에 의해 효율적으로 피파쇄물을 파쇄할 수 있고, 피파쇄물이 부딛힐 위험도 없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쇄기 구동 수단이 파쇄기용 모터와 파쇄기용 모터로의 압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파쇄기용 전환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더 구동 수단이 피더용 모터와, 피더용 모터로의 압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피더용 전환 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과부하 검출 수단이 파쇄기용 모터의 회전을 검출하고,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 이하로 된 것을 과부하로서 검출하는 회전 센서이며, 상기 제어 수단이 회전 센서에 의해 검출된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 이하인 때 상기 피더용 전환 밸브를 밸브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를 초과했을 때 상기 피더용 전환 밸브를 밸브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제어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파쇄 기계의 다른 양태는, 차체와, 차체의 하부에 부착한 주행체와, 차체의 상부에 부착한 파쇄기와, 차체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고 파쇄기의 입구에 피파쇄물을 공급하는 피더를 구비한 호퍼와, 차체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고, 파쇄기의 출구에서 파쇄물을 받아들이는 배출 콘베이어를 구비한 자주식 파쇄 기계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를 구동하는 파쇄기 구동 수단과, 파쇄기 구동 수단에 과부하가 작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과부하 검출 수단과, 배출 콘베이어를 구동하는 배출 콘베이어 수단과, 콘베이어 구동 수단에 과부하가 작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2 과부하 검출 수단과, 피더를 구동하는 피더 구동 수단과, 제 1 및 제 2 과부하 검출 수단의 적어도 한쪽이 과부하를 검출했을 때 피더 구동 수단을 정지시키고, 제 1 및 제 2 과부하 검출 수단의 양쪽이 과부하를 검출하지 않을 때 상기 피더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파쇄기 외에 배출 콘베이어에 과부하가 작용한 경우도 피더가 자동 정지하고, 배출 콘베이어에 과부하가 작용하지 않게 되면 피더가 자동적으로 작동을 개시하므로 1명의 작업자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양호하게 피파쇄물을 파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기는 상기 파쇄기 구동 수단이 파쇄기용 모터와 그 파쇄기용 모터로의 압유 공급을 제어하는 파쇄기용 전환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더 구동 수단이 피더용 모터와, 피더용 모터로의 압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피더용 전환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 콘베이어 구동 수단이 콘베이어용 모터와 그 콘베이어용 모터로의 압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톰베이어용 전환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과부하 검출 수단이 파쇄기용 모터의 회전을 검출하고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 이하로 된 것을 과부하로서 검출하는 회전 센서이며, 상기 제 2 과부하 검출 수단이 콘베이어용 모터의 구동 유압을 검출하고, 그 구동 유압이 미리 정해진 유압 이상으로 된 것을 과부하로서 검출하는 압력 센서이며, 상기 제어 수단이 회전 센서에 의해 검출된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 이하인 때 및/또는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된 유압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인 때, 상기 피더용 전환 밸브를 밸브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를 초과하는 동시에 유압이 미리 정해진 압력 미만인 때 상기 피더용 전환 밸브를 밸브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기이다.
또한, 상기 파쇄기 구동 수단을 미정전(微正轉), 미역전(微逆轉) 작동 시키는 파쇄기 미동(微動) 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그 경우, 바람직하기는 상기 파쇄기 미동 수단은 수동에 의해 파쇄기 구동 수단을 일시적으로 정전 또는 역전 상태로 하는 파쇄기 정전 스위치 및 파쇄기 역전 스위치이다.
또, 상기 피더 구동 수단은 미작동시키는 피더 미작동(微作動) 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그 경우, 바람직하기는 상기 피더 미작동 수단은 수동에 의해 상기 피더 구동 수단을 일시적으로 작동 상태로 하는 피더 구동 스위치이다.
또한, 상기 호퍼를 구성하는 1쌍의 제 1 종판(縱板)과 제 2 종판의 상측 부분을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 상기 차체에 상기 배출 콘베이어와 대향해서 자선기(磁選機)를 부착해도 좋다.
또, 상기 차체에 차체 본체의 동력원에 접속된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와,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에 접속된 차체측 접속부를 설치하고, 차체측 접속부를 배관 부재를 통해 각종 어태치먼트의 구동용 모터에 접속해도 좋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양태
이하에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의한 자주식 파쇄 기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자주식 파쇄 기계 전체의 기본 구조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파쇄 기계의 일실시예의 기본 구조는 제 1 도 내지 제 6 도에 도시하듯이 차체(1)와 이 차체(1)의 하부에 부착한 좌우 1쌍의 주행체(2,2)와, 차체(1) 상부의 앞측 가까이에 부착한 파쇄기(3)와, 차체(1) 상부의 후측 가까이에 부착한 동력원(4)과, 그 동력원(4)을 덮는 커버체(5)와, 그 커버체(5)상에 부착되어 있고 파쇄기(3)의 입구에 접속된 호퍼(6)와, 상기 차체(1) 하부의 앞측 가까이에서 좌우 1쌍의 주행체(2,2)간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부착한 배출 콘베이어(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실시예는 상기 기본 구조에 덧붙여서 제 7 도와 제 8 도에 도시하듯이 어태치먼트로서 차체(1)의 전단부에 부착되어서 배출 콘베이어(7)의 상방에 위치하는 자선기(磁選機, magnetic ore separator)(8)와 상기 배출 콘베이어(7)의 배출측에 부착한 진동식 스크린(9)을 구비하고 있다.
주행체(2)의 구체적 구조
주행체(2)는 차체(1)의 좌우 하부에 부착한 트랙 프레임(10)의 후단 및 전단에 스프로켓(11)과 아이들러(12)를 각각 설치하고, 스프로켓(11)과 아이들러(12)에 무한 궤도(crawler)(13)를 감아 구성된 무한 궤도식 주행체로 되어 있다.
파쇄기(3)의 구체적 구조
파쇄기(3)는 하우징(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15)에 복수의 해머(도시 생략)를 방사상으로 부착한 임팩트식 파쇄기이다. 그 회전축(15)은 풀리(16), 벨트(17), 풀리(18)를 통해 파쇄기 모터(19)에 연결되어 있다. 파쇄기(3)는 입구(3a)로 투입된 피파쇄물을 파쇄하여 출구(3b)로 배출한다.
호퍼(6)의 구체적 구조
호퍼(6)는 서로 대향된 좌우 양측의 1쌍의 제 1 종판(縱板)(20, 20)과 후측의 제 2 종판(21)과 저판(22)에 의해 위쪽과 앞쪽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저판(22)이 파쇄기(3)의 입구(3a)를 향하여 왕복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저판(22)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링크(23)의 타단이 피더용 모터(24)로 회전되는 원판(25)에 부착되고, 그 피더용 모터(24)를 작동시킴으로써 저판(22)을 파쇄기(3)의 입구(3a)를 향해 왕복 이동시켜서 호퍼(6)내에 투입한 피파쇄물을 파쇄기(3) 내에 자동적으로 공급하게 되어 있으며 이것들이 피더(110)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호퍼(6)의 제 1 종판(20)은 하부 고정 종판(20a)의 상단 가장자리에 상부 가동 종판(20b)의 하단 가장자리를 힌지(26)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상부 가동 종판(20b)을 본트(27)로 고정함으로써 기립 자세로 유지되게 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호퍼(6)의 제 2 종판(21)은 하부 고정 종판(21a)의 상단 가장자리에 상부 가동 종판(121b)의 하단 가장자리를 힌지(26)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상부 가동 종판(21b)을 볼트(27)로 고정함으로써 기립 자세로 유지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시에는 상부 가동 종판(20b, 21b)을 기립 자세로 고정해서 호퍼(6)를 대용량의 피파쇄물을 받을 수 있게 하고, 자주식 파쇄 기계를 트럭등에 적재해서 수송할 때는 볼트(27)를 풀어서 상부 가동 종판(20b, 21b)을 아래쪽으로 회전함으로써 호퍼(6)의 높이를 낮게 하고 자주식 파쇄 기계의 정상부까지 전 높이가 높아지지 않게 하고 있다.
배출 콘베이어(7)의 구체적 구조
배출 콘베이어(7)의 좌우 1쌍의 프레임(30, 30)을 간격을 두어 연결하고 그 프레임(30, 30)사이에 도시 생략의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설치하고 그것들에 걸쳐서 벨트(31)를 거는 동시에 프레임(30)에 설치한 콘베이어용 모터(32)에 의해 구동 스프로켓을 직접 구동하게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프레임(30)의 후단부가 파쇄기(3)의 출구(3b)에 설치된 가요성을 갖는 배출 가이드(33)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 프레임(30)은 차체(1)에 핀(34)으로 상하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차체(1)에 부착한 지지 프레임(35)과 프레임(30) 사이에 실린더(36)가 그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자선기(8)의 구체적 구조
자선기(8)는 본체(40)의 좌우 양단에 구동 풀리(41)와 종동 풀리(42)를 각각 설치하고 양 풀리(41, 42)에 자성 벨트(43)를 거는 동시에 자선기용 모터(44)로 구동 풀리(41)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40)를 상기 지지 프레임(35)의 하단 가까이에 핀(45)으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며 그 본체(40)와 지지 프레임(35)의 선단 상부 사이에 예컨대 턴 버클(turn buckle)등의 신축 부재(46)가 그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연결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자선기(8)는 배출 콘베이어(7)의 위쪽에 있어서 자성 벨트(43)가 배출 콘베이어(7)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신축 부재(46)를 신축함으로써 상하로 요동해서 배출 콘베이어(7)에 접근, 이격하게 되어 있다.
진동식 스크린(9)의 구체적 구조
진동식 스크린(9)은 배출 호퍼(50) 내에 스크린(51)을 부착하고 그 배출 호퍼(50)에 진동 발생용 모터(52)를 구비한 도시 생략의 진동 발생기를 부착하고 그 배출 호퍼(50)를 배출 콘베이어(7)의 아래쪽에 설치한 가대(56)상에 탄성재(57)을 통해 설치함으로써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피파쇄편이 스크린(51)상에 낙하하면 그중의 작은 파쇄편이 스크린(51)을 통해서 2차 벨트 콘베이어(54) 상에 낙하하고 큰 파쇄편이 스크린(51)을 따라서 3차 벨트 콘베이어(55) 상에 낙하하게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파쇄편을 큰 파쇄편과 작은 파쇄편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유압 회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유압 회로에서는 제9도에 도시하듯이 엔진(60)과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제 6, 제 7 유압 펌프(61, 62, 63, 64, 65, 66, 67)와 파쇄기용 전환 밸브(68)와 피더용 전환 밸브(69)와 콘베이어용 전환 밸브(70)와 리프트용 전환 밸브(71)와 자선기용 전환 밸브(72)와 진동용 전환 밸브(73)가 상기 동력원(4)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파쇄기용 전환 밸브(68), 자선기용 전환 밸브(72)는 각각 제 1, 제 2 전자 전환 밸브(74, 75)에서의 파일롯 압유로 중립 위치(a)에서 제 1 위치(b) 또는 제 2 위치(c)로 전환되고 리프트용 전환 밸브(71)는 파일롯 밸브(76)에서의 파일롯 압유로 중립 위치(a)에서 제 1 위치(b) 또는 제 2 위치(c)로 전환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제 2 전자 전환 밸브(74, 75)와 피더용 전환 밸브(69)는 제어기(77)에서 통전됨으로써 중립 위치(a)에서 제 1 위치(b) 또는 제 2 위치(c)로 전환되고 콘베이어용 전환 밸브(70)는 제어기(77)에서 통전됨으로써 드레인 위치(d) 또는 공급 위치(e)로 전환되고 진동용 전환 밸브(73)는 수동 조작에 의해서 중립 위치(a)에서 제 1 위치(b) 또는 제 2 위치(c)로 전환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유압 회로도는 유압의 흐름을 도시한 것 뿐이며 이 유압 회로는 실제로는 릴리프 밸브, 카운터 밸런스 밸브 등이 설치되어 있는데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이것들의 도시를 생략했다.
상기 제어기(77)에는 파쇄기 정전(正轉) 스위치(78), 파쇄기 역전(逆轉) 스위치(79), 피더 미동 스위치(80), 자선기 구동 스위치(81), 자동 운전 스위치(82)에서 각각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피더용 전환 밸브(69)와 피더용 모터(24)를 접속하는 제 1, 제 2 주 회로(112, 113)에 설치한 제 1, 제 2 압력 스위치(84, 85)에서 신호가 입력되고 파쇄기 모터(19)에 설치한 회전센서(86)에서 파쇄기 회전수가 입력되고 콘베이어용 모터(32)와 콘베이어용 전환 밸브(70)를 접속하는 주 회로(87)에 설치한 압력 센서(88)에서 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기(77)의 기능을 설명한다.
자동 운전 스위치(82)에서 자동 운전 신호를 입력했을 때.
제어기(77)는 제 1 전자 밸브(74)에 통전해서 제 1 전자 전환 밸브(74)를 제 1 위치(b)로 전환하고, 그것에 의해서 파쇄기용 전환 밸브(68)를 제 1 위치(b)로 전환하고, 제 1 유압 펌프(61)의 토출압유를 파쇄기용 모터(19)에 공급해서 파쇄기(3)를 정전(正轉)시킨다.
파쇄기용 모터(19)의 회전수가 회전 센서(86)에서 검출되어서 제어기(77)에 입력되고 그 회전수가 예컨대 파쇄기 회전수의 1000rpm에 상당하는 값을 초과하면 제어기(77)는 피더용 전환 밸브(69)에 통전해서 그 피더용 전환 밸브(69)를 제 1 위치(b)로 전환하고 이것에 의해서 제 2 유압 펌프(61)의 토출압유를 피더용 모터(24)에 공급해서 피더(110)를 구동하고 호퍼(6)내의 피파쇄물을 파쇄기(3)내에 순차 공급한다.
이것과 동시에 제어기(77)는 콘베이어용 전환 밸브(70)에 통전해서 그 콘베이어 공급 밸브(70)를 공급 위치(e)로 전환하고 제 3 유압 펌프(63)의 토출압유를 콘베이어용 모터(32)에 공급해서 배출 콘베이어(7)를 구동해서 파쇄물을 차체 외부에 배출한다.
이때, 파일롯 밸브(76)를 조작해서 실린더(36)를 신축함으로써 배출 콘베이어(7)의 높이를 미리 설정해 두는 동시에 자선기 구동 스위치(81)를 ON으로 하여 자선기용 모터(44)를 구동한다.
이제, 상술의 동작중의 파쇄기(3)내에 피파쇄물이 과공급되어서 파쇄기용 모터(19)의 회전수가 900rpm보다 저하된 것이 회전 센서(86)에 의해서 검출되면 제어기(77)는 피더용 전환 밸브(69)로의 통전을 중지하고 그 피더용 전환 밸브(69)를 중립 위치(a)로 되돌려서 피더용 모터(24)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램프 또는 경고 부저(alarm buzzer) 등의 경고 부재(89)를 작동시킨다.
또, 상술의 동작중에 배출 콘베이어(7)에 피파쇄물이 막히거나 해서 배출이 불가능하게 되면 콘베이어용 모터(32)의 회전 부하가 크게 되어서 압력 센서(88)에서 과부하 신호가 제어기(77)에 입력되며 이것에 의해서 제어기(77)는 상술과 마찬가지로 해서 피더용 모터(24)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부저등의 경고 부재(89)를 작동시킨다.
점검 정비시에는 파쇄기 정전 스위치(78) 또는 파쇄기 역전 스위치(79)를 눌러서 파쇄기(3)를 정전(正轉) 또는 역전(逆轉)시키는 동시에 피더 구동 스위치(80)를 눌러서 피더(110)를 작동시키는 즉, 저판(22)을 왕복운동 시킨다.
또한, 자동 운전 스위치(82)를 눌렀을 때는 다른 스위치를 눌러도 상술의 자동 운전 모드로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자선기(8), 전동식 스크린(9), 2차 벨트 콘베이어(54), 3차 벨트 콘베이어(55)는 어태치먼트로서 특별한 자주식 파쇄 기계의 경우에만 부착하는 것이며 그 경우 특히 진동식 스크린(9), 2차 벨트 콘베이어(54), 3차 벨트 콘베이어(55)는 지면에 설치되므로 그것들의 동력원을 지면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10도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차체(1)에 탑재한 동력원(4)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0도에 도시하듯이 커버체(5) 내에 콘베이어용 전환 밸브(70), 자선기용 전환 밸브(72), 진동용 전환 밸브(73)가 설치되고 그 자선기용 전환 밸브(72)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관로(90, 91)를 자선기용 모터(44)에 접속하고 콘베이어용 전환 밸브(70)에 접속한 제 3, 제 4 관로(92,93)와 진동용 전환 밸브(73)에 접속한 제 5, 제 6 관로(94, 95)를 차체(1)의 전단 가까이까지 배치해서 퀵 커플러(quick coupler) 등의 차체측 접속부(96)에 각각 접속한다.
또한, 상기 배출 콘베이어(7)의 프레임(30)을 따라서 제 1 내지 제 4 배관(97, 98, 99, 100)을 부착하고 그 제 1, 제 2 배관(97, 98)의 일단부를 호스(101)를 통해 차체측 접속부(96)에 접속해서 제 1, 제 2 배관(97, 98)을 각각 제 3, 제 4 관로(92, 93)에 접속하고 제 1, 제 2 배관(97, 98)의 타단부를 호스(102)를 통해 콘베이어용 모터(32)와 2차 벨트 콘베이어(54)의 콘베이어용 모터(59a)와 3차 벨트 콘베이어(55)의 콘베이어용 모터(54a)에 각각 분기 접속한다.
또, 상기 제 3, 제 4 배관(99, 100)의 일단부를 호스(103)를 통해 차체측 접속부(96)에 접속해서 제 3, 제 4 배관(99, 100)를 제 5, 제 6 관로(94, 95)에 연결하여 통하게 하고, 제 3, 제 4 배관(99, 100)의 타단부를 호스(104)를 통해 진동 발생용 모터(52)에 접속한다.
또한, 상기 파쇄기(3), 동력원(4), 호퍼(6) 및 배출 콘베이어(7)의 배치 위치는 상기 실시예와는 전후 역으로 해도 좋다.
또, 본원과 동일 출원인의 특허 협력 조약에 의거하는 국제 출원 제 PCT/JP 93/01312호, 제 PCT/JP 93/01313호 및 제 PCT/JP 94/00298호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개시의 일부로서 원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개시한 실시예에 관해서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 생략, 추가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 범위에 기재된 요소에 의해서 규정되는 범위 및 그 균등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건물 철거 현장에서 건물 잔해등을 파쇄하는 자주식 파쇄기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에 의 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발명을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고 다만 설명 및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면중,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주식 파쇄 기계의 일실시예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상기 실시예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도
제3도는 상기 실시예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4도는 상기 실시예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제5도는 상기 실시예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제6도는 상기 실시예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는 저측면도
제7도는 상기 실시예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상태의 평면도
제9도는 상기 실시예의 유압 회로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파쇄 기계의 다른 실시예의 어태치먼트로의 배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Claims (31)

  1. 차체와, 차체의 하부에 부착한 주행체와, 차체의 상부에 부착한 파쇄기와, 차체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고 파쇄기의 입구에 피파쇄물을 공급하는 피더를 구비한 호퍼와, 상기 파쇄기를 구동하는 파쇄기 구동 수단과, 파쇄기 구동 수단에 과부하가 작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과부하 검출 수단과, 피더를 구동하는 피더 구동 수단과, 과부하 검출 수단이 과부하를 검출했을 때 피더 구동 수단을 정지시키고 과부하를 검출하지 않았을 때는 상기 피더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 구동 수단은 파쇄기용 모터와, 파쇄기용 모터로의 압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파쇄기용 전환 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더 구동 수단은 피더용 모터와, 피더용 모터로의 압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피더용 전환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과부하 검출 수단은 파쇄기용 모터의 회전을 검출하고 그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 이하로 된 것을 과부하로서 검출하는 회전 센서이며, 상기 제어 수단은 회전 센서에 의해 검출된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 이하인 때 피더용 전환 밸브를 밸브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를 초과했을 때는 피더용 전환 밸브를 밸브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3. 차체와, 차체의 하부에 부착한 주행체와, 차체의 상부에 부착한 파쇄기와, 상기 차체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파쇄기의 입구에 피파쇄물을 공급하는 피더를 구비한 호퍼와, 차체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고 파쇄기의 출구에서 파쇄물을 받아내는 배출 콘베이어와, 상기 파쇄기를 구동하는 파쇄기 구동 수단과, 파쇄기 구동 수단에 과부하가 작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과부하 검출 수단과, 배출 콘베이어를 구동하는 배출 콘베이어의 구동 수단과, 콘베이어 구동 수단에 과부하가 작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2 과부하 검출 수단과, 피더를 구동하는 피더 구동 수단과, 제 1 및 제 2 과부하 검출 수단의 적어도 한쪽이 과부하를 검출했을 때 피더 구동 수단을 정지시키고 제 1 및 제 2 과부하 검출 수단 모두가 과부하를 검출하지 않았을 때 피더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 구동 수단은 파쇄기용 모터와, 파쇄기용 모터로의 압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파쇄기용 전환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더 구동 수단은 피더용 모터와, 피더용 모터로의 압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피더용 전환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 콘베이어 구동 수단은 콘베이어용 모터와 콘베이어용 모터로의 압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콘베이어용 전환 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과부하 검출 수단은 파쇄기용 모터의 회전을 검출하고 그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 이하로 된 것을 과부하로서 검출하는 회전 센서이며, 상기 제 2 과부하 검출 수단은 콘베이어용 모터의 구동 유압을 검출하고 그 구동 유압이 미리 정해진 유압 이상으로 된 것을 과부하로서 검출하는 압력 센서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회전 센서에 의해 검출된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 이하인 때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된 유압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인 때, 피더용 전환 밸브를 폐쇄 밸브 상태로 전환하고,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를 초과하는 동시에 유압이 미리 정해진 압력 미만인 때 피더용 전환 밸브를 밸브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 구동 수단을 미정전(微正轉), 미역전(微逆轉) 작동시키는 파쇄기 미동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 구동 수단을 조금씩 이동(inching)시키는 피더 미동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 미동 수단은 수동에 의해 파쇄기 구동 수단을 일시적으로 정전(正轉) 또는 역전(逆轉) 상태로 하는 파쇄기 정전 스위치 및 파쇄기 역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 미동 수단은 수동에 의해 피더 구동 수단을 일시적으로 작동 상태로 하는 피더 구동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 1 종판(縱板)과 제 2 종판의 상측 부분을 상하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10.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배출 콘베이어와 대향해서 자선기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체 본체의 동력원에 접속된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와,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에 접속된 차체측 접속부를 상기 차체에 설치하고, 차체측 접속부를 배관 부재를 통해 각종 어태치먼트 구동용 모터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12. 제5항에 있어서, 피더 구동 수단을 미동시키는 피더 미동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를 구성하는 한쌍의 제 1 종판과 제 2 종판의 상측 부근을 상하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를 구성하는 한쌍의 제 1 종판과 제 2 종판의 상측 부근을 상하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를 구성하는 한쌍의 제 1 종판과 제 2 종판의 상측 부근을 상하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를 구성하는 한쌍의 제 1 종판과 제 2 종판의 상측 부근을 상하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배출 콘베이어와 대향해서 자선기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배출 콘베이어와 대향해서 자선기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배출 콘베이어와 대향해서 자선기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배출 콘베이어와 대향해서 자선기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배출 콘베이어와 대향해서 자선기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22. 제5항에 있어서, 차체 본체의 동력원에 접속된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와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에 접속된 차체측 접속부를 상기 차체에 설치하고, 차체측 접속부를 배관 부재를 통해 각종 어태치먼트의 구동용 모터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23. 제6항에 있어서, 차체 본체의 동력원에 접속된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와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에 접속된 차체측 접속부를 상기 차체에 설치하고, 차체측 접속부를 배관 부재를 통해 각종 어태치먼트의 구동용 모터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24. 제7항에 있어서, 차체 본체의 동력원에 접속된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와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에 접속된 차체측 접속부를 상기 차체에 설치하고, 차체측 접속부를 배관 부재를 통해 각종 어태치먼트의 구동용 모터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25. 제8항에 있어서, 차체 본체의 동력원에 접속된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와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에 접속된 차체측 접속부를 상기 차체에 설치하고, 차체측 접속부를 배관 부재를 통해 각종 어태치먼트의 구동용 모터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26. 제9항에 있어서, 차체 본체의 동력원에 접속된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와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에 접속된 차체측 접속부를 상기 차체에 설치하고, 차체측 접속부를 배관 부재를 통해 각종 어태치먼트의 구동용 모터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27. 제10항에 있어서, 차체 본체의 동력원에 접속된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와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에 접속된 차체측 접속부를 상기 차체에 설치하고, 차체측 접속부를 배관 부재를 통해 각종 어태치먼트의 구동용 모터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2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 구동 수단을 미정전, 미역전 작동시키는 파쇄기 미동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2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 구동 수단을 미동(inching)시키는 피더 미동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30.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 1 종판과 제 2 종판의 상측 부분을 상하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31.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차체 본체의 동력원에 접속된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와 어태치먼트용 전환 밸브에 접속된 차체측 접속부를 상기 차체에 설치하고, 차체측 접속부를 배관 부재를 통해 각종 어태치먼트의 구동용 모터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 기계.
KR1019960702112A 1993-10-25 1994-10-25 자주식 파쇄기계 KR100224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66522A JP2777773B2 (ja) 1993-10-25 1993-10-25 自走式破砕機械
JP93-266522 1993-10-25
PCT/JP1994/001787 WO1995011756A1 (fr) 1993-10-25 1994-10-25 Machine de concassage 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632A KR960705632A (ko) 1996-11-08
KR100224291B1 true KR100224291B1 (ko) 1999-10-15

Family

ID=17432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112A KR100224291B1 (ko) 1993-10-25 1994-10-25 자주식 파쇄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97548A (ko)
EP (1) EP0724910B1 (ko)
JP (1) JP2777773B2 (ko)
KR (1) KR100224291B1 (ko)
DE (1) DE69423362T2 (ko)
WO (1) WO19950117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307B1 (ko) * 2001-07-27 2008-12-01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파쇄장치, 그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들을 탑재한 이동식파쇄기
KR101685177B1 (ko) 2016-04-21 2016-12-20 삼영플랜트주식회사 부하 감응형 모바일 죠 크러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853B1 (ko) * 1995-01-23 1999-01-15 안자키 사토루 이동식 크러셔 및 크러셔의 제어방법
JP3784169B2 (ja) 1998-03-20 2006-06-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移動式破砕機械
JP2002113384A (ja) * 2000-10-10 2002-04-16 Komatsu Ltd 磁選機装置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破砕装置及び取付方法
FI109662B (fi) * 2001-08-31 2002-09-30 Metso Minerals Tampere Oy Siirrettävän murskausyksikön tärysyöttimen kuljetuslukitus
ES2199039B1 (es) * 2001-11-08 2005-05-01 Antonio Jose Lopez Saez Carro triturador hidraulico.
FR2832939B1 (fr) * 2001-12-05 2004-02-27 Cff Recycling Installation amelioree de pre-broyage d'objets
JP2005279612A (ja) * 2004-03-31 2005-10-1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自走式破砕機
FI119921B (fi) * 2004-11-10 2009-05-15 Metso Minerals Oy Siirrettävän mineraalimateriaalien prosessointilaitteen runko sekä monitoimikiinnitin
KR101620986B1 (ko) * 2008-08-08 2016-05-13 다이헤이요 세멘토 가부시키가이샤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 장치 및 연료화 방법
DE102010013154A1 (de) * 2009-04-04 2010-12-30 Takraf Gmbh Mobilbrecher
JP5027187B2 (ja) * 2009-05-25 2012-09-19 日立建機株式会社 振動機械
FI128934B (fi) * 2012-06-08 2021-03-31 Metso Minerals Inc Menetelmä mineraalimateriaalin prosessointilaitoksen ohjaamiseksi ja mineraalimateriaalin prosessointilaitos
CN103433110B (zh) * 2013-08-07 2015-09-16 肥乡县农乐机械科技有限公司 移动式煤块粉碎机
EP2837583B1 (en) * 2013-08-14 2015-10-14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Mobile bulk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with slewing conveyor
ES1209488Y (es) * 2018-03-12 2018-07-03 Talleres Zb S A Fragmentadora movil de materiales metalicos con seguridad mejorada
CA3101015A1 (en) 2018-05-23 2019-11-28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Shredder for comminuting bulk material
DE102021111930B4 (de) * 2021-05-07 2024-04-25 Kleemann Gmbh Brecheranlag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1666A (en) * 1977-08-15 1979-03-08 Kiyoshi Yoshii Crusher
US4793561A (en) * 1982-05-24 1988-12-27 Mac Corporation Of America Speed-responsive reversing hydraulic drive for rotary shredder
JPS58183251U (ja) * 1982-05-27 1983-12-06 株式会社気工社 ポ−タブルクラツシヤ
JPS6061049A (ja) * 1983-09-14 1985-04-08 株式会社栗本鉄工所 廃棄物破砕装置の自動制御方法
JPS6240687A (ja) * 1985-08-19 1987-02-21 Fujitsu Ltd 磁気バブルメモリ素子
US4721257A (en) * 1986-12-04 1988-01-26 Williams Patent Crusher And Pulverizer Company Rotary shredding apparatus
DE3803809A1 (de) * 1988-02-09 1989-08-17 Gronholz Claus Aufbereitungsanlagenzug zum herstellen von brechkorngemischen
JPH044029A (ja) * 1990-04-21 1992-01-08 Sugiyama Juko Kk 回転容器型混合機
US5074435A (en) * 1990-06-01 1991-12-24 Don Suverkrop, Inc. System for controlling the feed rate of a vibrating feeder
JPH0817959B2 (ja) * 1990-07-04 1996-02-28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破砕装置におけるホッパ
JP2682744B2 (ja) * 1990-12-10 1997-11-26 日鉄鉱業株式会社 破砕プラントの原料供給量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115809A (ja) * 1991-10-29 1993-05-14 Noodobaagu Nippon Kk 移動式クラツシヤ
JPH05168971A (ja) * 1991-12-25 1993-07-02 Kobe Steel Ltd 切出し装置の制御方法
JPH07179B2 (ja) * 1992-01-22 1995-01-11 富士車輌株式会社 スクラップ用破砕装置
WO1994019107A1 (en) * 1993-02-26 1994-09-01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Mobile crusher
US5566893A (en) * 1993-03-22 1996-10-22 Getz; Roland A. Portable recycle crush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307B1 (ko) * 2001-07-27 2008-12-01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파쇄장치, 그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들을 탑재한 이동식파쇄기
KR101685177B1 (ko) 2016-04-21 2016-12-20 삼영플랜트주식회사 부하 감응형 모바일 죠 크러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77773B2 (ja) 1998-07-23
KR960705632A (ko) 1996-11-08
EP0724910A1 (en) 1996-08-07
US5797548A (en) 1998-08-25
WO1995011756A1 (fr) 1995-05-04
DE69423362D1 (de) 2000-04-13
DE69423362T2 (de) 2000-07-27
EP0724910A4 (en) 1998-04-15
JPH07116541A (ja) 1995-05-09
EP0724910B1 (en) 200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4291B1 (ko) 자주식 파쇄기계
JP2547627Y2 (ja) 自走式破砕機械
KR0167013B1 (ko) 자주식 파쇄기
KR100207760B1 (ko) 이동식 파쇄 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장치
JPH11226446A (ja) 破砕機のフィーダ制御装置
US5716014A (en) Self-advancing crushing machine
KR20040057922A (ko) 파쇄장치
JP2000325829A (ja) 自走式破砕機のフィーダ制御装置
US3335967A (en) Scrap metal reduction apparatus
KR0167854B1 (ko) 이동식 파쇄기
KR0160865B1 (ko) 파쇄기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JP3679947B2 (ja) 自走式破砕機
JPH08196934A (ja) 建設廃材破砕機の安全装置
JPH11156226A (ja) 自走式破砕機の駆動装置
JP2002028524A (ja) 自走式リサイクル品生産機の排出物噛み込み予知装置
JPH11156227A (ja) 破砕機の駆動装置
JP3166947B2 (ja) 自走式破砕機械
JP2005205365A (ja) 破砕機の制御装置
JP2565246Y2 (ja) 自走式破砕機械
JP2001321690A (ja) 自走式破砕機及び自走式破砕機の運転方法
JP3631044B2 (ja) 自走式破砕機の油圧駆動装置
JPH08299820A (ja) 破砕方法及び破砕装置
JP2510729Y2 (ja) 連動式破砕ユニット
JP2003103191A (ja) 自走式破砕機
JP2003170076A (ja) 自走式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