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307B1 - 파쇄장치, 그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들을 탑재한 이동식파쇄기 - Google Patents

파쇄장치, 그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들을 탑재한 이동식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307B1
KR100871307B1 KR1020020042991A KR20020042991A KR100871307B1 KR 100871307 B1 KR100871307 B1 KR 100871307B1 KR 1020020042991 A KR1020020042991 A KR 1020020042991A KR 20020042991 A KR20020042991 A KR 20020042991A KR 100871307 B1 KR100871307 B1 KR 100871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vable
movable case
fixed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585A (ko
Inventor
모리야유끼오
요시다히로시
나까야마도오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28583A external-priority patent/JP48794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32065A external-priority patent/JP487941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11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6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02C13/09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and throwing the material against an anvil or impact plate
    • B02C13/095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and throwing the material against an anvil or impact plate with an adjustable anvil or impact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02C21/026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self-prope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과제) 케이스를 대형화하여도 수송시의 높이제한을 확실히 해소할 수 있는 파쇄장치 및 이 파쇄장치를 탑재한 이동식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과, 타격판과 반발판의 간격을 쉽게 또한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간격의 크기를 간단한 구조로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파쇄장치의 간격조정장치의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이동식 파쇄기의 파쇄장치 (30) 에 있어서, 케이스 (31) 를 고정케이스 (70) 와 가동케이스 (80) 를 갖는 분할식으로 하고,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가장자리 (724) 가 가동케이스 (80) 의 상부가장자리 (820) 보다 하방위치가 되도록 분할라인 S-S를 형성하고,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측 전역을 가동케이스 (80) 로 덮어, 가동케이스 (80) 의 투입구 (31A) 측을 회전운동기구 (39) 를 이용하여 하방으로 내려가게 함으로써, 수송시의 높이제한을 확실히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파쇄장치의 간격조정장치 (60) 의 진퇴부 (65) 를 너트부재 (66) 와 볼트부재 (67) 로 이루어지는 나사식으로 하고, 너트부재 (66) 측을 유압모터 (64) 로 회전구동시키는 구조로 하여, 타격판과 반발판의 간격을 쉽게 또한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간격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20042991
이동식 파쇄기, 간격조정장치, 파쇄장치

Description

파쇄장치, 그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들을 탑재한 이동식 파쇄기 {CRUSHER, ADJUSTER THEREFOR AND MOBILE CRUSHER MOUNTING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파쇄장치를 탑재한 이동식 파쇄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이동식 파쇄기를 피파쇄물의 투입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은 상기 이동식 파쇄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파쇄장치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가동케이스가 작업자세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는 상기 파쇄장치의 내부구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상기 파쇄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4 의 VII-VII선 단면도이고, 상기 케이스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는 상기 케이스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b 는 상기 케이스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상기 가동케이스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상기 케이스에 사용되는 중간부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상기 고정케이스 및 가동케이스의 지지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 다.
도 12 는 상기 가동케이스를 여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 은 상기 가동케이스가 메인터넌스 자세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 는 상기 가동케이스를 내려가게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 는 상기 가동케이스가 수송자세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 은 상기 가동케이스가 라이너 교환자세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 은 상기 이동식 파쇄기를 분해하지 않고 수송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은 상기 이동식 파쇄기를 일부 분해하여 수송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상기 이동식 파쇄기로부터 분해한 부위의 수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은 종래의 파쇄장치의 케이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 은 파쇄장치의 간격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동식 파쇄기 2 : 기대부
4 : 동력부 10 : 주행부
30 : 파쇄장치 31 : 케이스
31A : 투입구 32 : 회전체인 로터
33,331,332,333 : 반발판 39 : 회전운동기구
60 : 간격조정장치 63 : 구동부
66 : 케이스측 부재인 너트부재 67 : 반발판측 부재인 볼트부재
68 : 커버부재 70 : 고정케이스
80 : 가동케이스 83 : 처마부
322 : 타격부인 타격판 636 : 탄성부재인 러버재
662 : 조작부 682 : 신축부
724,820 : 상부가장자리 C1,C2,C3 : 간격
본 발명은 파쇄장치 및 파쇄장치를 탑재한 이동식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분할식 케이스를 구비한 파쇄장치 및 이 파쇄장치가 탑재된 이동식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쇄장치의 간격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쇄장치의 타격부 및 반발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쇄석장이나 건물의 해체현장 등에 반입되는 이동식 파쇄기는 예컨대 크롤러식 주행부를 구비함으로써 현장내를 자주(自走) 가능하지만, 그 같은 현장까지의 일반 공도를 자주할 수는 없기 때문에 오로지 트레일러에 의해 수송된다.
한편, 이 같은 이동식 파쇄기에 탑재되는 파쇄장치는 일반적으로 피파쇄물의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는 도 20 에 나타내는 파쇄장치 (9;파쇄장치) 의 케이스 (900) 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식 파쇄기의 도시하지 않은 기대부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 (901) 와, 고정케이스 (901) 에 핀 접합된 가동케이스 (902) 를 갖는 분할식이고, 고정케이스 (901) 측에 투입구 (90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같은 케이스 (900) 에서는 좌우로 이분하도록 고정케이스 (901) 및 가동케이스 (902) 의 분할라인 S-S가 형성되고, 유압실린더 (904) 에 의해 가동케이스 (902) 가 접합부분의 핀 (905) 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가동케이스 (902) 를 분할라인 S-S로부터 이간시켜 열린 상태로 하면 파쇄장치내의 수리ㆍ점검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가동케이스 (902) 를 연 경우, 고정케이스 (901) 측에는 상면부 (901A) 가 존재하고, 가동케이스 (902) 의 개폐에 상관없이 케이스 (900) 의 높이치수가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런데, 파쇄장치는 쇄석현장이나 해체현장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큰 바위, 큰 콘크리트 덩어리, 또는 아스팔트 덩어리도 쉽게 파쇄할 수 있도록 보다 대형의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탑재되는 파쇄장치를 대형화하면 파쇄장치의 케이스도 대형화되어 그 높이치수가 커지기 때문에 트레일러를 통한 수송시에 높이제한을 넘길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같은 경우에는 파쇄장치와 주행부측을 해체하여 개별적으로 수 송할 필요가 있음은 물론, 현장에서 다시 재조립해야 하는 등,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부터, 건물의 해체현장이나 쇄석장에서 나오는 콘트리트 덩어리, 아스팔트 덩어리, 또는 안산암 등과 같은 자연석 등의 피파쇄물을 파쇄장치로 파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같은 파쇄장치는 회전하는 로터의 타격판 (타격부) 에 의해 피파쇄물을 타격하거나, 이 타격에 의해 비산된 피파쇄물을 반발판에 충돌시킴으로써 당해 피파쇄물을 파쇄한다. 이 때, 파쇄물의 크기 (피파쇄물의 파쇄후의 크기) 는 타격판 및 반발판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소정 크기의 파쇄물을 얻기 위해서는 반발판을 이동시켜 타격판과의 간격을 정확히 조정하여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 간격을 조정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66921호에는 반발판을 타격판과의 접촉위치 (제로점 위치) 로부터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동시킴으로써 타격판과의 간격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반발판을 유압실린더로 이동시키는 것으로는, 미리 설정된 스트로크분만큼 이동시킬 수는 있어도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기는 어렵다. 요컨대 유압실린더를 사용한 경우에는 얻고자 하는 파쇄물의 입도분포에 따라 반발판을 이동, 정지시키고, 따라서 타격판 및 반발판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위치에서의 스트로크량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류나, 번잡한 유압회로 등이 필요해져서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공보 기재의 방법에 따르면 유압실린더에 의해 반발판이 지지되게 되지만, 피파쇄물의 크기나 경도에 따라서는 반발판에 연결된 피스톤로드가 되밀리기 때문에 간격의 크기가 일시적으로 변동하여 양호하게 유지되지 않고, 그 사이에 얻어지는 파쇄물의 입도분포의 편차가 커진다. 따라서, 반발판을 간격조정후의 위치로 확실히 지지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기계적인 지지지구가 별도로 필요하고, 이 점에서도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케이스를 대형화하여도 수송시의 높이제한을 확실히 해소할 수 있는 파쇄장치 및 파쇄장치를 탑재한 이동식 파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도 20 에서 나타낸 종래의 케이스 (900) 에 따르면 가동케이스 (902) 가 열린 상태에서는 이 가동케이스 (902) 가 하측의 핀 (905) 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방측 (도면 우측, 투입구 (903) 와는 반대측) 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케이스 (900) 의 전방측을 넓게 비워 둘 필요가 있는데, 이 공간은 가동케이스 (902) 를 열 때 이외에는 쓸모없는 공간이다. 따라서, 쓸모없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서는 그 만큼 이동식 파쇄기의 전체길이가 길어져서 기동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케이스를 열 때에 필요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파쇄장치 및 파쇄장치를 탑재한 이동식 파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타격부 및 반발판 사이의 간격을 쉽게 또한 임 의로 조정할 수 있고, 더욱이 간격의 크기를 간단한 구조로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파쇄장치의 간격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기재된 파쇄장치는 고정케이스와, 이 고정케이스에 부착된 가동케이스를 갖는 분할식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케이스는 상기 고정케이스의 상부측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케이스의 상부가장자리는 상기 가동케이스의 상부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파쇄장치에서는 고정케이스의 상부가장자리가 가동케이스의 상부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고정케이스의 상부가장자리보다 높은 위치에 가동케이스가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수송시에 있어서, 가동케이스를 가동시켜 가동케이스 자신의 높이위치를 낮추거나, 또는 가동케이스를 고정케이스 위로부터 분리시키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면 케이스를 대형화하여도 수송시의 케이스 전체의 높이치수가 작아져서 높이 제한이 확실히 해소된다.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파쇄장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케이스가 상기 고정케이스의 상측을 수용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케이스의 내측으로 수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파쇄장치에서는 고정케이스 및 가동케이스 중 일방이 타방에 수용되어지므로 고정케이스에서 가동케이스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아도 케이스의 높이치수가 쉽게 작아진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파쇄장치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적어도 상기 가동케이스가 파쇄작업 가능한 상태에 있는 작업 자세와, 상기 가동케이스가 하방향으로 동작한 상태에 있는 수송자세를 포함하는 복수의 자세로 유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파쇄장치에 따르면 피파쇄물의 파쇄를 행하는 파쇄작업시에는 가동케이스가 닫힌 상태의 작업자세로 유지되고, 트레일러 등을 통한 수송시에는 가동케이스가 하방향으로 동작한 상태의 수송자세로 유지된다. 따라서, 각 상태에서의 자세유지에 의해 파쇄작업 도중 및 수송 도중에서의 갑작스런 자세변화가 방지되고, 파쇄작업 및 수송이 확실히 이루어진다.
또한, 가동케이스를 작업자세나 수송자세 외에, 열린 상태의 메인터넌스 자세로 유지 가능하게 설치해도 된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파쇄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케이스에는 피파쇄물의 투입구를 형성하는 부위와 일체로 처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동케이스를 동작시킴으로써, 수송시의 케이스 전체의 높이치수가 작아지는 본 발명의 파쇄장치에 따르면 파쇄작업 가능한 상태에서는 가동케이스의 높이위치를 충분히 높게 설정하여 투입구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투입구를 크게 하면 보다 큰 피파쇄물을 투입할 수 있는 반면, 파쇄시에 튕긴 피파쇄물이 케이스 내부로부터 튀어나오기 쉬워진다.
그러므로, 가동케이스에 있어서의 투입구를 형성하는 부위에 처마부를 형성 하고, 튕긴 피파쇄물이 처마부에 부딪치도록 하면 피파쇄물의 외부로의 비산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그리고, 이 같은 처마부에 사슬이나 주렴형상의 수하부재 등을 매닮으로써, 피파쇄물의 비산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해도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 에 기재된 파쇄장치는 고정케이스와, 이 고정케이스에 부착된 가동케이스를 갖는 분할식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케이스는 상기 고정케이스의 상부측에 회전운동기구를 통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파쇄장치에 있어서는 고정케이스와 가동케이스를 접합하는 회전운동기구가 케이스 전체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동케이스의 회전운동동작이 보다 높은 위치에서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회전운동기구보다 낮은 위치에서는 케이스를 열 때 요구되는 공간이 거의 필요없게 되어 종래에는 쓸모없는 공간이었던 공간이 유효하게 이용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파쇄장치는 청구항 5 에 기재된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기구는 상기 케이스내에 피파쇄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파쇄장치는 회전운동기구가 투입구와는 반대측에 설치되고, 더욱이 이 회전운동기구가 상부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가동케이스를 소정의 각도만큼 상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경우 등, 회전운동기구가 하부 근처에 있는 경우에 비해 투입구가 보다 상방으로 넓어지도록 커져서 투입구로의 피파쇄물의 투입이 한층 쉬워 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7 에 기재된 이동식 파쇄기는 주행부를 구비한 기대부와, 동력부와,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파쇄장치를 탑재하고, 이 파쇄장치는 고정케이스와, 이 고정케이스에 부착된 가동케이스를 갖는 분할식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케이스는 상기 고정케이스의 상부측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케이스의 상부가장자리는 상기 가동케이스 전체의 상부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이동식 파쇄기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파쇄장치가 탑재되므로, 전술한 청구항 1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쇄장치의 케이스를 대형화해도 수송시의 케이스의 높이치수가 작아져서, 이동식 파쇄기를 그대로 트레일러 등을 통해 수송하는 경우에도 높이제한이 확실히 해소되어 역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높이제한이 해소됨으로써, 파쇄장치 등을 기대부측과는 별도로 수송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이들을 현장에서 다시 조립해야 하는 번잡한 작업이 필요없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8 에 기재된 이동식 파쇄기는 주행부를 구비한 기대부와, 동력부와,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파쇄장치를 탑재하고, 이 파쇄장치는 고정케이스와, 이 고정케이스에 부착된 가동케이스를 갖는 분할식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케이스는 상기 고정케이스의 상부측에 회전운동기구를 통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이동식 파쇄기에서는 청구항 4 에 기재된 파쇄장치가 탑재되므로, 전술한 청구항 4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쇄장치의 케이스를 열 때 요구되는 공간이 작아지므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파쇄기를 탑재하였을 경우, 파쇄기 주변의 쓸모없는 공간이 작아지므로, 그 만큼 이동식 파쇄기가 컴팩트해지고, 이동성이 향상된다. 특히 선회성능이 향상되어 좁은 현장에서도 확실히 가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청구항 9 의 간격조정장치는 타격부를 갖는 회전체와, 타격부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반발판과, 이들 회전체 및 반발판이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반발판측에 부착되는 반발판측 부재와, 이 반발판측 부재에 나사결합 또는 맞물려서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케이스측 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측 부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발판측 부재와 상기 케이스측 부재로 구성되는 진퇴부가 그 진퇴방향으로 고정되지 않게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케이스측 부재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타격부 및 반발판 사이의 간격이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반발판측 부재와 케이스측 부재가 나사결합한다는 것은 예컨대 일방의 부재가 너트형상으로 되고, 타방의 부재가 볼트형상으로 되고, 양 부재가 나사식으로 연결되는 경우 등을 말한다.
또한, 반발판측 부재와 케이스측 부재가 나사결합한다는 것은 예컨대 일방의 부재가 래크형상으로 되고, 타방의 부재가 피니온형상이 되어 양 부재가 맞물림식으로 걸리는 경우 등을 말한다. 그리고, 이 같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타방의 부재측 (피니온형상측) 이 회전구동된다.
이 같은 간격조정장치에서는 서로 나사결합 또는 맞물린 반발판측 부재 및 케이스측 부재로 반발판을 지지함과 동시에, 케이스측 부재를 구동부에서 정반대방향으로 필요한 양만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케이스측 부재에 대해 반발판측 부재가 무단계로 이동하고, 타격부 및 반발판 사이의 간격이 쉽게 또한 임의로 조정된다.
또한, 서로 나사결합 또는 맞물려 있는 반발판측 부재 및 케이스측 부재는 반발판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그 이동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우는 없으므로, 복잡한 지지기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반발판이 확실히 지지되고, 간격의 크기가 확실히 유지된다.
청구항 10 의 간격조정장치는 청구항 9 에 기재된 파쇄장치의 간격조정장치에 있어서, 나사결합 또는 맞물린 상태의 상기 반발판측 부재 및 케이스측 부재는 적어도 일부에 신축부를 갖는 커버부재로 덮여 있고, 이 커버부재의 신축방향의 양 가장자리가 상기 반발판측 및 케이스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간격조정장치에 따르면 일부에 신축부를 갖는 커버부재로 반발판측 부재 및 케이스측 부재를 덮기 때문에, 이들 부재의 동작에 추종하여 커버부재도 신축되어 각 부재가 언제나 양호하게 피복된다. 따라서, 반발판측 부재 및 케이스측 부재의 나사결합부분 또는 맞물림부분 등에 모래먼지나 물 등이 침입할 우려가 없어 간격조정장치의 내구성 등이 향상된다.
그리고, 커버부재의 양 가장자리는 반발판 자체 및 케이스 자체에 부착되어도 되고, 반발판측 부재의 반발측 근처의 부분 및 케이스측 부재의 케이스측 근처의 부분에 부착되어도 된다.
청구항 11 의 파쇄장치의 간격조정장치는 청구항 9 에 기재된 파쇄장치의 간격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케이스측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간격조정장치는 구동부가 케이스측에 고정되므로, 진동이 많은 반발판측에 부착되는 경우에 비해 구동부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구동부가 탄성부재를 통해 고정되므로, 예컨대 반발판측 부재 및 케이스측 부재가 나사결합하는 나사식인 경우에서, 또한 반발판이 케이스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경우에 현저하듯이, 반발판의 회전운동에 의해 각 부재가 다소 기울어져도 이 기울기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구동부로의 외력이 탄성부재의 탄성변형에 의해 흡수되게 되고, 구동부와 각 부재의 위치관계가 양호하게 유지되어 구동부에서 케이스측 부재로의 동력전달이 확실히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구동부는 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모래먼지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되고, 또한 메인터넌스 등도 쉬워진다.
청구항 12 의 파쇄장치의 간격조정장치는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파쇄장치의 간격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측 부재는 상기 구동부에서 회전됨과 동시에, 공구로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이 조작부를 수동조작하는 것으로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간격조정장치에 따르면 구동부가 어떠한 이유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케이스측 부재를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간격조정을 수동으로 도 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식 파쇄기 (1) 의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 는 이동식 파쇄기 (1) 를 피파쇄물의 투입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3 은 이동식 파쇄기 (1) 의 평면도이다.
[이동식 파쇄기의 전체적인 설명]
도 1 내지 도 3 에서, 이동식 파쇄기 (1) 는 기대부 (2) 위에 작업기 (3) 및 동력부 (4) 를 탑재한 구성이다.
기대부 (2) 는 작업현장내를 자주하기 위한 한쌍의 크롤러식 주행부 (10) 와, 이 주행부 (10) 가 부착되고, 또한 상기 작업기 (3) 및 동력부 (4) 가 탑재된 프레임 (20) 을 구비하고 있다.
작업기 (3) 는 기대부 (2) 의 대략 중앙에 탑재된 파쇄장치 (30;이하, 파쇄장치라고 함) 와, 파쇄장치 (30) 에 피파쇄물을 공급하는 피파쇄물 공급부 (40) 와, 파쇄된 파쇄물을 배출하는 배출 벨트 컨베어 (50) 를 구비하고 있다.
동력부 (4) 는 주행부 (10), 파쇄장치 (30), 및 배출 벨트 컨베어 (50) 등의 동력원이고, 도시하지 않은 엔진과, 이 엔진으로 구동되는 유압펌프와, 유압펌프로부터의 작동오일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밸브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동력부 (4) 의 상부측에는 이동식 파쇄기 (1) 의 주행조작 및 선회조작을 행하는 주행레버 (4A) 나 주행용 인디케이터류가 배치된 상부 컨트롤 박스 (도시하지 않음) 가 설치되고, 동력부 (4) 의 측부 근방에는 작업기 (3) 를 조작하기 위한 측부 컨트롤 박스 (도시하지 않음)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동력부 (4) 의 파쇄장치 (30) 측 (파쇄장치 (30) 의 바로 전방측) 은 당해 동력부 (4) 의 상면에서 형성된 제 1 작업용 플로어 (28) 로 되어 있고, 이 제 1 작업용 플로어 (28) 위에서 주행레버 (4A) 등의 조작이나, 파쇄장치 (30) 의 메인터넌스 작업, 점검작업 등, 각종 작업이 행해진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동식 파쇄기 (1) 의 배출 벨트 컨베어 (50) 측을 전방 (도 1 중의 우측) 으로 하고, 피파쇄물 공급부 (40) 측을 후방 (도 1 중의 좌측) 으로 하고, 이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도 2 중의 좌우방향) 을 횡방향으로 하여 각 부위를 설명한다.
주행부 (10) 는 프레임 (20) 의 일부를 형성하는 크롤러프레임 (22) 에 형성되고, 크롤러프레임 (22) 의 전방측으로 유압모터 (11) 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모터 (11) 의 스프로킷 (11A) 과 타단측의 아이들러 (12) 에는 당해 유압모터 (11) 로 구동되는 무한궤도의 크롤러벨트 (13) 가 감겨 있다. 그리고, 유압모터 (11) 는 컨트롤밸브를 통해 동력부 (4) 의 유압펌프로부터의 유압으로 구동된다.
프레임 (20) 은 한쌍의 상기 크롤러프레임 (22) 이외에, 이들 크롤러프레임 (22) 이 부착되는 메인프레임 (21) 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프레임 (21) 위의 일부에는 평탄한 파쇄장치용 탑재부 (211;도 4 ) 가 형성되고, 이 파쇄장치용 탑재부 (211) 에 파쇄장치 (30) 가 탑재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 (21) 위에는 또한 피파쇄물 공급부 (40) 를 탑재하기 위한 호퍼프레임 (23) 과, 동력부 (4) 를 탑재하기 위한 엔진프레임 (24) 이 고정되어 있다.
파쇄장치 (30) 는 도 4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파쇄물의 투입구 (31A) 를 갖는 케이스 (31) 를 구비하고, 케이스 (31) 내에는 로터본체 (321) 및 타격판 (322;타격부) 을 갖는 로터 (32;회전체) 와, 타격판 (322) 선단의 회전궤적 A로부터 간격 (C1,C2,C3) 을 두고 위치한 반발판 (33) 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같은 파쇄장치 (30) 에서는 투입구 (31A) 로부터 투입된 피파쇄물은 회전하는 타격판 (322) 으로 타격되거나, 타격시에 비산되어 반발판 (33) 에 충돌함으로써 파쇄되고, 케이스 (31) 의 저면측의 배출구 (31B) 에서 배출 벨트 컨베어 (50) 위로 떨어져 배출된다.
피파쇄물 공급부 (40) 는 피파쇄물이 쌓이는 호퍼 (41) 와, 호퍼 (41) 하방으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그리즐리 (체) 피더 (42) 를 구비하고 있다.
호퍼 (41) 는 사방의 지지부 (411) 를 통해 프레임 (20) 의 호퍼프레임 (23) 위에 지지되고, 상방을 향해 크게 확장 개방되어 있다.
피더 (42) 는 동력부 (4) 로부터의 유압으로 구동되는 진동장치 (421) 를 구비한 진동식으로서, 복수의 코일스프링 (422) 을 통해 호퍼프레임 (23) 위에 지지되고, 호퍼 (41) 와 접촉하지 않도록 전술한 간격내에서 진동하고, 피파쇄물을 파쇄장치 (30) 측으로 보낸다. 이 때, 호퍼 (41) 및 피더 (42) 의 단부는 도 4 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장치 (30) 의 투입구 (31A) 에 수용되어져 있어 피파쇄물이 파쇄장치 (30) 내로 확실하게 투입된다.
또한, 피더 (42) 는 피파쇄물을 파쇄장치 (30) 에 공급하는 기능 이외에, 파 쇄가 필요없는 작은 투입물을 빗살형상의 그리즐리부 (423;도 3 ) 로 선별하여 하방으로 체로 쳐서 떨어뜨리는 기능을 갖고 있다. 체로 쳐서 떨어뜨려진 투입물은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별도의 벨트컨베어 (43) 위로 떨어져 배출되거나, 도시하지 않은 댐퍼를 전환함으로써, 배출 벨트 컨베어 (50) 위로 떨어져 파쇄물과 함께 배출된다.
배출 벨트 컨베어 (50) 는 그 이송방향의 기단측 (도 1 중의 좌측) 이 프레임 (20) 의 하측에 위치하고, 파쇄장치 (30) 의 배출구 (31B) 로부터 배출된 파쇄물이나, 필요에 따라 배출되는 그리즐리부 (423) 로부터의 배출물 (상기 투입물과 동일) 을 선단측 (도 1 중의 우측) 으로 이송한다. 또한, 배출 벨트 컨베어 (50) 는 3단 접이식 구조이고, 선단측에서의 배출높이가 충분히 확보되고, 2차 벨트컨베어가 없어도 작업이 확실히 이루어진다. 이 배출 벨트 컨베어 (50) 도 동력부 (4) 로부터의 유압으로 구동된다.
배출 벨트 컨베어 (50) 의 중간정도에는 프레임 (20) 에 지지되도록 하여 자선기 (51) 가 배치되고, 콘크리트 덩어리의 파쇄시에 나오는 철근 등의 금속재를 영구자석으로 부착시켜 부속의 벨트컨베어로 배출시킨다.
[파쇄장치의 설명]
이하, 도 4 , 도 5 를 참조하여 파쇄장치 (30)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파쇄장치 (30) 의 케이스 (31) 는 프레임 (20;도 1 ) 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 (70) 와,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측에 부착된 가동케이스 (80) 를 갖는 분할식이고, 고정케이스 (70) 내에 로터 (32) 가 배치되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케이스 (80) 에 반발판 (33) 이 부착되어 있다.
고정케이스 (70) 는 상부측 전역이 개구하고, 또한 바닥측에 전술한 배출구 (31B) 를 갖는 상자형상이며, 횡방향 양측이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로 되어 있다. 각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의 각각에는 2개의 점검도어 (720,721;일방의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만을 도시) 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점검도어 (720,721) 를 엶으로써, 케이스 (31) 안을 점검하거나, 케이스 (31) 바닥측의 배출구 (31B) 에서의 파쇄물의 막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단, 점검도어의 크기나 개수 등은 그 실시시에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가동케이스 (80) 는 고정케이스 (70) 의 상측개구를 덮도록 설치된 덮개형상이고, 가동케이스 (80) 자신의 후방측의 단부가장자리에서 투입구 (31A) 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가동케이스 (80) 의 횡방향의 양측은 가동케이스측 측면부 (82) 로 되어 있다. 각 가동케이스측 측면부 (82) 는 고정케이스 (70) 의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가동케이스측 측면부 (82) 의 하부가장자리 (821) 부분이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의 상측인 상부가장자리 (724) 부분을 수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의 케이스 (31) 에서는 상부가장자리 (724) 부분 및 하부가장자리 (821) 부분이 횡방향으로 겹쳐 있고, 이 겹친 부분을 따라 고정케이스 (70) 및 가동케이스 (80) 의 분할라인 S-S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케이스 (70) 와 가동케이스 (80) 는 투입구 (31A) 와는 반대측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운동기구 (39) 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이 회전운동기구 (39) 의 회전운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가동케이스 (80) 가 고정케이스 (70) 에 대해 상방으로 회전운동하여 열리거나, 하부가장자리 (821) 가 맞닿음부 (725) 에 맞닿을 때까지 하방으로 깊게 내려간다. 요컨대 도 4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는 가동케이스 (80) 의 작업자세이고, 이 자세일 때에 파쇄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케이스 (80) 가 열린 상태는 가동케이스 (80) 메인터넌스 자세이고, 열림으로써 노출되는 반발판 (33 ; 331,332,333) 의 반전작업이나 교환작업 등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동케이스 (80) 가 내려간 상태는 가동케이스 (80) 의 수송자세이고, 내려감으로써 케이스 (31) 전체의 높이가 낮아지고, 이동식 파쇄기 (1) 를 트레일러 수송할 때의 높이 제한에 대응시키고 있다.
또한, 고정케이스 (70) 와 가동케이스 (80) 는 회전운동기구 (39) 로부터 약간 투입구 (31A) 측에 있어서, 유압실린더 (394) 로 연결되어 있다. 이 유압실린더 (394) 는 가동케이스 (80) 의 회전운동시에 작동하며, 대중량이 되는 가동케이스 (80) 의 회전운동동작을 어시스트한다. 이 같은 유압실린더 (394) 는 상측이 실린더이고 하측이 로드가 되도록 배치되고, 실린더의 로드측의 단부에 모래먼지 등이 퇴적하는 것을 방지하여 패킹 등의 내구성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파쇄장치 (30) 의 로터 (32) 는 횡방향의 양 가장자리측이 케이스 (31) 외부의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에 지지되고, 일단측에 풀리 (34)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 (31) 의 외부에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유압모터 (35) 가 배치되고, 이 유압모터 (35) 의 풀리 (36) 및 상기 풀리 (34) 에는 V벨트 (37) 가 감겨 있다. 요컨대 로터 (32) 는 V벨트 (37) 를 통해 유압모터 (35) 로 회전구동된다. 그리 고, 이 유압모터 (35) 도 컨트롤밸브를 통해 동력부 (4) 의 유압펌프로부터의 유압으로 구동된다.
로터 (32) 의 타격판 (322) 은 횡방향 (로터본체 (321) 의 축선방향) 을 따라 케이스 (31) 의 횡폭보다 조금 좁은 범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로터본체 (321) 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개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타격판 (322) 은 착탈이 자유로우며, 그 마모상태에 따라 반전되어 사용되거나, 새로운 타격판과 교환된다.
이어서, 도 5 에서 파쇄장치 (30) 의 반발판 (33) 은 투입구 (31A;도 4 ) 측으로부터 로터 (32) 의 회전방향을 따라 차례로 제 1 반발판 (331), 제 2 반발판 (332) 및 제 3 반발판 (333) 으로 되어 있다.
제 1 반발판 (331) 은 다른 것보다 크고, 투입 당초의 큰 피파쇄물을 확실히 받아낼 수 있다. 제 1 반발판 (331) 의 이면측에는 한쌍의 걸림용 돌부 (331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용 돌부 (331A) 는 제 1 암 (334) 의 하부측의 걸림부 (334A) 사이에 걸림과 동시에, 일방의 걸림부 (334A) 에 설치된 나사식 고정구 (334B) 와, 횡방향의 단부측에 설치된 고정구 (334C) 로 지지되어 있다. 이 같은 제 1 반발판 (331) 은 횡방향으로 복수개 밀착하여 병설되어 있고, 고정구 (334B) 및 고정구 (334C) 를 해제함으로써, 각각이 횡방향으로 삽입발출 가능해지고, 그 마모상태에 따라 반전되어 사용되거나, 새로운 반발판과 교환된다.
제 2, 제 3 반발판 (332,333) 은 동일한 형상이며, 이면측의 걸림용 돌부 (332A,333A) 를 통해 제 2 암 (335) 의 하부측에 형성된 걸림부 (335A) 사이에 각 각고정구 (335B) 및 고정구 (335C) 로 지지된다. 이들 제 2, 제 3 반발판 (332,333) 도 역시 제 2 암 (335) 에 대해 삽입발출 가능하고, 마모상태에 따라 교환된다. 단, 그다지 크지 않은 제 2, 제 3 반발판 (332,333) 은 파쇄작업에 의한 마모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반전되어 사용되는 경우는 없지만, 제 1 반발판 (331) 과 마찬가지로, 반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제 2 암 (334,335) 은 각각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 병설되고, 각각 연결플레이트 (334D,335D) 및 연결바 (334E,335E) 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제 2 암 (335) 은 한쌍의 제 1 암 (334) 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제 2 암 (334,335) 의 상부측은 케이스 (31) 내 상방에 회전운동축 (38) 으로 함께 축지지되어 있다. 이에 비해, 제 1, 제 2 암 (334,335) 의 하부측은 연결바 (334E,335E) 에 부착된 신축이 자유로운 제 1, 제 2 간격조정장치 (60;61,62) 에 의해 매달려 있다.
이 같은 제 1, 제 2 간격조정장치 (61,62) 는 상단측의 구동부 (63) 의 유압모터 (64) 를 구동함으로써 신축하는 구조이고, 후술하겠지만, 너트형상의 부재 및 볼트형상의 부재를 갖는 나사식이 채용되고 있다. 제 1, 제 2 간격조정장치 (61,62) 를 신축시킴으로써, 제 1, 제 2 암 (334,335) 이 회전운동축 (38) 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고, 타격판 (322) 선단의 회전궤적 A 및 제 1 ∼ 제 3 반발판 (331∼333) 사이의 각 간격 (C1,C2,C3) 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간격조정장치 (62) 에서는 제 2, 제 3 반발판 (332,333) 중, 제 3 반발판 (333) 에서의 간격 (C3) 을 조정한다. 이는 간격 (C3) 을 조정하는 것이 파쇄물의 최종적인 입도를 결정하는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제 2 암 (335) 에 설치된 제 2 반발판 (332) 에서의 간격 (C2) 의 조정은 제 2, 제 3 반발판 (332,333) 의 서로의 위치관계로부터, 간격 (C3) 을 조정함으로써 저절로 완료된다.
또한, 제 1 암 (334) 에는 제 1 간격조정장치 (61) 의 신장방향으로의 회전운동량을 규제하기 위해, 굴곡식 규제링크 (336) 가 설치되어 있다. 이 규제링크 (336) 에 따르면 제 1 간격조정장치 (61) 의 과대한 신장이 방지되고, 제 1 암 (334) 의 회전운동량이 규제된다. 한편, 제 2 암 (335) 에서는 제 1 암 (334) 과의 맞닿음에 의해 그 회전운동량이 규제된다.
또한, 제 1 암 (334) 에 있어서, 제 1 반발판 (331) 의 상방에는 역시 삽입발출이 자유로운 라이너 (337) 가 부착되어 피파쇄물 등으로부터 제 1 암 (334) 을 보호하고 있다.
이상의 파쇄장치 (30) 에 있어서, 고정케이스 (70) 의 일방의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에는 풀리커버 (75) 의 상측으로서, 제 1 작업용 플로어 (28) 와 동일한 높이레벨로 제 2 작업용 플로어 (29)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작업용 플로어 (29) 는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의 전후방향에 걸친 발판형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작업용 플로어 (29) 의 전단측은 제 1 작업용 플로어 (28) 에 근접되어 있고, 각 작업용 플로어 (28,29) 가 평면이 대략 사각형인 파쇄장치 (30) 의 각도를 이루는 2변을 따라 형성되고, 각 작업용 플로어 (28,29) 사이의 왕래를 쉽게 할 수 있게 되 어 있다.
이 같은 제 2 작업용 플로어 (29) 로부터는 가동케이스 (80) 가 메인터넌스 자세에 있을 때, 고정케이스 (70) 를 넘어 파쇄장치 (30) 에 쉽게 들어 갈 수 있고, 또한 호퍼 (41) 및 피더 (42) 의 전단측 (31A;투입구측) 을 넘음으로써, 호퍼 (41) 안으로 들어가서 피더 (42) 위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파쇄장치의 케이스의 상세한 설명]
계속하여,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서 파쇄장치 (30) 의 케이스 (31)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에서, 케이스 (31) 는 프레임 (20;도 1 ) 에 고정된 고정케이스 (70) 와,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측에 부착된 가동케이스 (80) 를 갖는 분할식이며, 고정케이스 (70) 내에 로터 (32) 가 배치되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케이스 (80) 에 제 1 ∼ 제 3 반발판 (331∼333), 제 1, 제 2 암 (334,335), 및 제 1, 제 2 간격조정장치 (61,62) 가 부착되어 있다.
고정케이스 (70) 는 투입구 (31A) 의 하방측에 형성된 정면부 (71) 와, 횡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와, 정면부 (71) 에 대해 대향한 위치에 형성된 배면부 (73) 를 갖는 상자형상으로 되고, 상측이 모두 개구하여 종래와 같은 상면부 (901A;도 20) 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도 4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고정케이스 (70) 중 어느 한 부위도 가동케이스 (80) 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각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의 각각에는 2개의 점검도어 (720,721,722, 723) 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점검도어 (720∼723) 를 엶으로써 전술한 간격 (C1∼C3) 의 크기를 확인하거나, 타격판 (322) 이나 제 1 ∼ 제 3 반발판 (331∼ 333) 의 마모상태를 점검하거나, 또는 케이스 (31) 의 바닥측의 배출구 (31B) 에서의 파쇄물의 막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단, 점검도어의 크기나 개수 등은 실시시에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에 있어서, 그 상부가장자리 (724;점선으로 도시) 는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제 1 수평부 (724A) 와, 투입구 (31A) 로부터 이간됨에 따라 하방에 위치하게 되는 경사부 (724B) 와,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제 2 수평부 (724C) 를 포함하는 단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같은 상부가장자리 (724) 는 가동케이스 (80) 가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측의 전역을 덮도록 부착되기 때문에, 도 4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가동케이스 (80) 의 상부가장자리 (820;능선부분)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부가장자리 (724) 의 배면부 (73) 측의 상부, 즉 케이스 (31) 의 투입구 (31A) 와는 반대측으로서, 케이스 (31) 전체 중에서도 상부측의 위치에는 가동케이스 (80) 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축지하는 회전운동기구 (39) 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운동기구 (39) 는 도 7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케이스 (70) 에 형성된 고정케이스측 통형상부 (391) 와, 가동케이스 (80) 측에 형성되어 고정케이스측 통형상부 (391) 의 외측에 위치하는 가동케이스측 통형상부 (392) 와, 이들 통형상부 (391,392) 에 끼워져 통하게 되는 케이스용 지지핀 (393) 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 케이스용 지지핀 (393) 의 플랜지부 (393A) 가 가동케이스측 통형상부 (392) 에 볼트 (393B) 로 고정되어 있다. 이 같은 회전운동기구 (39) 에 의해 가동케이스 (80) 는 케이스용 지지핀 (393) 을 회전운동축으로 하여 회전운동한다.
이 때, 고정케이스 (70) 와 가동케이스 (80) 는 회전운동기구 (39) 보다 조금 투입구 (31A) 측에 있어서, 유압실린더 (394) 로 연결되어 있다. 이 유압실린더 (394) 는 가동케이스 (80) 의 회전운동시에 작동하고, 대중량이 되는 가동케이스 (80) 의 회전운동동작을 어시스트한다. 이 같은 유압실린더 (394) 는 상측이 실린더이고, 하측이 로드가 되도록 배치되고, 실린더의 로드측의 단부에 모래먼지 등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패킹 등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도 8a, 8b 에는 유압실린더 (394) 와 가동케이스 (80) 의 연결부분의 구조가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케이스 (80) 의 하부가장자리 (821) 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2장의 연결편 (821A) 이 형성되고, 이들 연결편 (821A) 사이에 유압실린더 (394) 의 부착고리 (394A) 가 삽입되고, 이들을 실린더용 핀 (395) 이 관통하고 있다. 실린더용 핀 (395) 은 그 플랜지부 (395A) 를 관통하는 1개의 볼트 (395B) 로 연결편 (821A) 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 도 8b 에서, 고정케이스 (70) 의 내면에는 이 내면을 피파쇄물의 충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금속제 라이너 (311) 가 장설되어 있다. 이 같은 라이너 (311) 는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를 관통하는 외측으로부터의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단, 고정케이스 (70) 의 내면일지라도 제 1 ∼ 제 3 반발판 (331∼333) 보다 전방 (안쪽) 부분에는 피파쇄물이 돌아 들어올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그 같은 라이너 (311) 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물론, 가동케이스 (80) 의 내면에도 피파쇄물이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는 라이너 (311) 가 동일하게 장 설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고정케이스 (70) 의 양측의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에 있어서, 그 상부가장자리 (724) 의 바로 하방에는 도 6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상부가장자리 (724) 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는 별도의 부재의 용착 등에 의해 형성되어 후술하는 중간부착구 (90) 를 부착하는 부위로 이용됨과 동시에 박판상의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를 보강하고, 또한 중간부착구 (90) 의 고정에 이용되는 볼트 (93) 의 나사부를 충분히 형성하기 위해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의 판두께를 보완하고 있다.
한편, 가동케이스 (80) 는 도 4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케이스 (70) 의 상측개구를 덮도록 형성된 상면부 (81) 와, 상면부 (81) 의 횡방향의 양측에 연직 방향으로 형성된 가동케이스측 측면부 (82) 를 갖는 덮개형상이며, 가동케이스 (80) 자신의 후방측의 단부가장자리에서 투입구 (31A) 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가동케이스 (80) 의 투입구 (31A) 를 형성하는 부분은 종래의 케이스 (900;도 20) 에 비해 피파쇄물 공급부 (40)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된 부분이 가동케이스 (80) 와 일체의 처마부 (83;도 4 ) 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스 (31) 는 종래의 케이스 (900) 에 비해 대형이고, 높이치수도 크고, 투입구 (31A) 의 개구면적도 크다. 따라서, 파쇄작업시에는 투입구 (31A) 에 대해 큰 피파쇄물을 투입할 수 있는 반면, 케이스 (31) 내에서 튕긴 피파 쇄물이 투입구 (31A) 로부터 튀어나오기 쉬워진다. 따라서, 피더 (42) 측으로 연장된 처마부 (83) 를 형성함으로써, 피파쇄물이 이 처마부 (83) 에 닿아 비산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처마부 (83) 에는 도 4 에만 도시하고 있으나, 투입구 (31A) 를 막도록 철제의 사슬 (831) 및 고무제이며 주렴형상의 수하부재 (832) 가 매달려, 케이스 (31) 내로부터의 피파쇄물의 비산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고 있다.
이 같은 가동케이스 (80) 의 상면부 (81) 는 투입구 (31A) 측을 향해 완만하게 확개되어 있고, 보다 큰 투입구 (31A) 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부 (81) 의 투입구 (31A) 와 반대측의 위치에는 제 1, 제 2 간격조정장치 (61,62) 가 끼워져 통하게 되는 한쌍의 삽입통과 구멍 (81A) 이 형성되고, 이들 삽입통과 구멍 (81A) 주위에는 제 1, 제 2 간격조정장치 (61,62) 의 각 구동부 (63) 가 부착되어 있다.
가동케이스측 측면부 (82) 는 고정케이스 (70) 의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가동케이스측 측면부 (82) 의 하부가장자리 (821) 부분이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의 상측인 상부가장자리 (724) 부분을 수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의 케이스 (31) 에서는 상부가장자리 (724) 부분 및 하부가장자리 (821) 부분이 횡방향으로 겹쳐져 있고, 이 겹쳐져 있는 부분을 따라 고정케이스 (70) 및 가동케이스 (80) 의 분할라인 S-S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케이스측 측면부 (82) 의 하부가장자리 (821) 부분에는 도 9 에도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하부가장자리 (821) 를 따른 수평한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의 적당한 장소에는 횡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841) 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 (841) 에는 장공형상의 노치부 (842) 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케이스의 부착구조, 회전운동동작, 및 자세의 설명]
파쇄장치 (30) 의 케이스 (31) 에 있어서, 가동케이스 (80) 는 고정케이스 (70) 에 대해 중간부착구 (90) 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중간부착구 (90) 는 도 4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의 상부가장자리 (724) 를 따라 굴곡된 연속부재이며, 또한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부 (91) 및 수평부 (92) 를 갖는 단면 T자 형상이다.
또한, 도 10, 도 11에서, 중간부착구 (90) 는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의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에 대해 연직부 (91) 를 관통하는 볼트 (93) 로 고정되고, 수평부 (92) 의 일단측이 고정케이스 부착부 (74) 의 상면에서 형성되는 받이부 (741) 에 탑재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의 내부가장자리는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의 외부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중간부착구 (90) 의 수평부 (92) 를 받이부 (741) 로부터 분리하면 가동케이스 (80) 전체가 하방으로 내려가고,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측을 더욱 삼킬 수 있다.
이 같은 중간부착구 (90) 의 수평부 (92) 에 있어서,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의 노치부 (842;도 9 ) 에 대응한 위치에는 회전운동이 자유로운 아이볼트 (94) 가 부착되어 있다. 아이볼트 (94) 의 고리형상부 (941) 는 수평부 (92) 의 하면에 설치된 2개의 지지편 (921) 사이에 배치되고, 이 고리형상부 (941) 에는 지지편 (921) 사이에 지지된 축부재 (922) 가 끼워져 통하게 되고, 따라서 아이볼트 (94) 전체가 축부재 (922) 를 중심으로 회전운동가능하다. 그리고, 아이볼트 (94) 를 회전운동시키고, 나사부 (942) 를 상방향으로 한 상태에서는 이 나사부 (942) 가 수평부 (92) 의 노치부 (923) 로 들어가고, 수평부 (92) 위로부터 연직방향으로 돌출된다.
이 수평부 (92) 의 상면에는 가동케이스 (80) 의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가 탑재된다.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가 탑재된 상태에서는 아이볼트 (94) 의 나사부 (942) 가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의 노치부 (842) 로도 들어가고, 이 나사부 (942) 에 나사결합된 너트 (943) 에 의해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와 중간부착구 (90) 가 접합되어 가동케이스 (80) 전체가 중간부착구 (90) 위에 지지된다.
그리고, 가동케이스 (80) 가 중간부착구 (90) 에 의해 지지된 상태, 즉 도 4 에 나타내는 상태는 가동케이스 (80) 의 파쇄작업시의 자세이고, 이 작업자세시에 있어서, 피파쇄물이 투입구 (31A) 로부터 투입되어 파쇄작업을 실시한다. 따라서, 가동케이스 (80) 는 일반적으로 이 작업자세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이어서, 도 12, 도 13 에 기초하여 가동케이스 (80) 를 상방으로 여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가동케이스 (80) 를 열기 위해서는 먼저,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부착구 (90) 의 아이볼트 (94) 에 나사결합된 너트 (943) 를 느슨하게 풀어 나사부 (942) 가 하방을 향하도록 아이볼트 (94) 를 회전운동시킨다. 그럼으로써, 나사 부 (942) 를 가동케이스 (80) 측의 노치부 (842) 로부터 분리하고, 가동케이스 (80) 와 중간부착구 (90) 의 접합상태를 해제한다. 그 후, 유압실린더 (394) 의 어시스트를 수반하여 가동케이스 (80) 를 상방으로 연다.
도 13 에는 가동케이스 (80) 를 상방으로 연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투입구 (31A) 도 이분됨과 동시에,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가장자리 (724) 의 전역이 노출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제 1 ∼ 제 3 반발판 (331∼333) 이 완전히 노출되고, 이들 제 1 ∼ 제 3 반발판 (331∼333) 의 횡방향으로부터의 삽입발출이 고정케이스 (70) 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그들의 반전작업이나 교환작업이 쉽게 이루어진다.
즉,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케이스 (80) 가 열려진 상태는 가동케이스 (80) 의 메인터넌스 자세이다.
또한, 이 메인터넌스 자세에서는 가동케이스 (80) 가 상부측에 있는 회전운동기구 (39) 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가동케이스 (80) 를 최대로 연 경우에도 고정케이스 (70) 의 전방으로는 가동케이스 (80) 가 크게 돌출되지 않고, 이 고정케이스 (70) 의 배면부 (73) 에 동력부 (4) 를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가동케이스 (80) 가 메인터넌스 자세에 있을 때, 회전운동기구 (39) 근방에서는 고정케이스 (70) 와 가동케이스 (80) 가 겹친 부분에 이들을 관통하는 로크핀 (396) 이 삽입되어 가동케이스 (80) 가 갑작스럽게 닫히는 것을 기계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이하, 도 14 및 도 15 를 참조하면서 가동케이스 (80) 를 하방으로 내려가게 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가동케이스 (80) 를 하방으로 내려가게 하는 동작은 먼저,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부착구 (90) 의 볼트 (93) 를 분리함과 동시에, 아이볼트 (94) 에 나사결합된 너트 (943) 를 느슨하게 풀어 중간부착구 (90) 를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로부터 이간시키도록 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중간부착구 (90) 의 수평부 (92) 를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의 받이부 (741) 로부터 분리시킨다.
이 때, 중간부착구 (90) 의 슬라이드는 유압실린더 (394) 를 동작시켜 가동케이스 (80) 를 중간부착구 (90) 채로 약간 뜨게 하여 가동케이스 (80) 의 중량이 중간부착구 (90) 에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이 때의 중간부착구 (90) 의 슬라이드량은 아이볼트 (94) 의 나사부 (942) 가 가동케이스 부착부 (84) 의 노치부 (842) 로부터 빠지지 않는 정도이다. 중간부착구 (90) 의 슬라이드 후에는 너트 (943) 를 가볍게 조여 중간부착구 (90) 를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로부터 탈락되지 않을 정도로 부착시켜 둔다.
그 후, 도면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케이스 (80) 의 투입구 (31A) 측을 유압실린더 (394) 의 어시스트를 수반하여 천천히 하방으로 내려가게 한다.
여기서,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와 가동케이스 부착부 (84) 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동케이스 (80) 를 내려가게 한 경우에도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가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5 에는 가동케이스 (80) 를 하방으로 내려가게 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고정케이스 (70) 의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의 상측이 가동케이스 (80) 내에 크게 수용되어지고, 가동케이스 (80) 의 상부가장자리 (820) 가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가장자리 (724) 와 대략 평행해진다. 따라서, 케이스 (31) 전체의 높이는 전술한 작업자세에 비해 현격히 낮아진다.
즉,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케이스 (80) 가 내려간 상태는 수송시의 높이제한을 해소하기 위한 자세이고, 가동케이스 (80) 의 수송자세이다.
또한, 가동케이스 (80) 가 수송자세에 있을 때, 가동케이스 (80) 의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는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에 형성된 맞닿음부 (725) 에 맞닿고, 가동케이스 (80) 의 중량을 이 맞닿음부 (725) 에서 받음으로써 수송자세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호퍼 (41) 및 피더 (42) 의 단부는 투입구 (31A) 내에 져 있지만, 충분히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가동케이스 (80) 가 내려가서 투입구 (31A) 가 좁아져도 가동케이스 (80) 와 접촉하는 일은 없다.
그런데, 가동케이스 (80) 는 작업자세, 메인터넌스 자세, 및 수송자세 이외에, 라이너 교환자세가 있다. 이하에는 이 라이너 교환자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 에서 가동케이스 (80) 는 제 1 ∼ 제 3 반발판 (331∼333) 등과 일체로 회전운동하는 회전운동측 가동케이스 (801) 와, 투입구 (31A) 측의 투입구측 가동케이스 (802) 로 분할 가능하며 (도 6 참조), 투입구측 가동케이스 (802) 가 고정케이스 (70) 위에 부착된 채로, 분할라인 S'-S'를 경계로 하여 회전운동측 가동케이스 (801) 가 열린다. 요컨대, 회전운동측 가동케이스 (801) 가 열린 상태에 서는 이 회전운동측 가동케이스 (801) 로부터는 고정케이스 (70) 측의 아이볼트 (94) 가 분리되어 있지만, 투입구측 가동케이스 (802) 와 고정케이스 (70) 는 다른 아이볼트 (94) 에 의해 부착상태가 유지된다.
회전운동측 가동케이스 (801) 와 투입구측 가동케이스 (802) 의 접합구조는 종래의 플랜지 끼리를 맞닿게 하는 구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회전운동측 가동케이스 (801) 측에는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의 연장인 회전운동측 플랜지부 (803) 가 설치되고, 투입구측 가동케이스 (802) 에는 아이볼트 (805) 가 부착된 투입구측 플랜지부 (804) 가 설치되어 있다. 각 플랜지부 (803,804) 끼리의 접합은 아이볼트 (805) 를 회전운동시켜 회전운동측 플랜지부 (803) 에 걸어맞추고, 이 아이볼트에 나사결합된 너트 (806) 를 체결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같은 가동케이스 (80) 의 라이너 교환자세에서는 제 1 반발판 (331) 의 상방에 형성된 라이너 (337) 가 횡방향으로도 노출되어 라이너 (337) 를 가동케이스측 측면부 (82) 측으로부터 쉽게 삽입발출하여 교환할 수 있다. 단, 이 같은 라이너 교환자세에서, 제 1 ∼ 제 3 반발판 (331∼333) 의 점검작업이나 교환작업을 행해도 된다.
[이동식 파쇄기의 수송에 대한 설명]
도 17 에는 이동식 파쇄기 (1) 의 수송시에, 이 이동식 파쇄기 (1) 를 트레일러 (T) 의 하대 위에 적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같은 상태에서는 파쇄장치 (30) 의 가동케이스 (80) 는 수송시의 높이제한을 해소하기 위해 수송자세가 되고, 가동케이스 (80) 가 고정케이스 (70) 의 상 측을 수용하도록 내려져 있다.
또한, 도 1 에도 나타낸 회전등 (25) 등, 수송시의 높이제한을 초과하는 것 중에서 구조적으로 간단한 것은 적절히 하방으로 어긋나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높이제한을 해소시키고 있다. 그리고, 피더 (42) 의 하방의 벨트컨베어 (43) 는 접혀져 상방으로 튕겨 올려져 벨트컨베어 (43) 를 분리하지 않고 폭제한도 해소시키고 있다.
또한, 도 18, 도 19 에는 수송 도중에 높이가 낮은 육교 밑 등을 통과할 필요가 있는 등, 보다 엄격한 높이제한을 해소하기 위한 수송형태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8 에 나타내는 이동식 파쇄기 (1) 에서는 파쇄장치 (30) 로부터 가동케이스 (80) 가 통채로 분리되어 있으며, 가동케이스 (80) 를 도 19에 나타내는 별도의 트레일러 (T') 로 수송한다. 가동케이스 (80) 를 고정케이스 (70) 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6 , 도 7 에 나타내는 케이스용 지지핀 (393) 을 빼내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기타, 이동식 파쇄기 (1) 로부터는 호퍼 (41), 파쇄장치 (30) 주변의 핸드레일 (26,27;난간), 및 배출 벨트 컨베어 (50) 등이 분리되고, 이것들을 마찬가지로 별도의 트레일러로 수송한다. 단, 도 19 에서는 배출 벨트 컨베어 (50)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주행레버 (4A) 는 쓰러뜨릴 수 있게 되어 쓰러진 상태로 된다.
이 같이, 이동식 파쇄기 (1) 의 일부를 분해하는 것은 수송시의 중량제한에 대처하는 경우에도 유효하다.
[간격조정장치의 상세한 설명]
이하, 도 21 을 참조하면서 간격조정장치 (60)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제 1, 제 2 간격조정장치 (61,62) 는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것들을 모두 간격조정장치 (60) 로서 설명한다.
도 5 , 도 21 에서 간격조정장치 (60) 는 전술한 구동부 (63) 와, 이 구동부 (63) 로 구동되는 로드형상의 진퇴부 (65) 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 (63) 는 가동케이스 (80) 의 상면에 볼트로 고정된 부착시트 (805) 위에 상하로 겹쳐 쌓아진 한쌍의 접시스프링 (806) 을 통해 부착되어 있고, 이 접시스프링 (806) 위의 받이대 (631) 를 구비하고 있다. 받이대 (631) 에는 가동케이스 (80) 및 부착시트 (805) 에 형성된 삽입통과 구멍 (81A,805A) 과 동심의 삽입통과 구멍 (631A) 이 형성되고, 이들 삽입통과 구멍 (81A,805A,631A) 에 진퇴부 (65) 가 끼워져 통하게 되어 있다.
또한, 구동부 (63) 는 받이대 (631) 위에 설치된 외장케이스 (632) 를 구비하고 있다. 외장케이스 (632) 에는 진퇴부 (65) 의 상단측을 수용하는 수용부 (632A) 가 형성되고, 이 수용부 (632A) 내에는 도 21 중의 VI-VI선 횡단면도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단면 육각형상의 중공부 (633A) 를 갖는 통형상 기어 (633) 가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이 횡단면도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 기어 (633) 의 중공부 (633A) 내에는 진퇴부 (65) 에 형성된 평면 육각형상의 끼워맞춤부 (661) 가 끼워맞춰져 있고, 통형상 기어 (633) 가 회전함으로 써 진퇴부 (65) 측도 회전한다.
이 통형상 기어 (633) 는 보다 작은직경의 기어 (634) 와 끼워맞춰지고, 이 기어 (634) 가 유압모터 (64) 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진퇴부 (65) 는 유압모터 (64) 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이 때, 유압모터 (64) 의 회전은 기어 (634) 와 통형상 기어 (633) 사이에서 감속되어 진퇴부 (65) 로 전달된다. 그리고, 통형상 기어 (633) 와 기어 (634) 의 끼워맞춤 부분은 외장케이스 (632) 내에 주입된 윤활유로 윤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장케이스 (632) 는 그 하면에 설치된 종단면 L자 형상의 부착편 (635) 을 통해 부착시트 (805), 요컨대 가동케이스 (80) 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 부착편 (635) 의 수평부분은 탄성부재로서의 상하 한쌍의 러버재 (636,637) 사이에 끼여 있고, 이들 부착편 (635) 및 러버재 (636,637) 를 관통하는 슬리브 (638) 및 볼트 (639) 를 사용하여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러버재 (636,637) 를 갖는 부착부분은 도 21 에서는 1개소만 개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통형상 기어 (633;진퇴부 (65) ) 의 회전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치한 위치에도 형성되고, 구동부 (63) 가 2개소에서 가동케이스 (80) 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진퇴부 (65) 는 가동케이스 (80) 측에 부착된 케이스측 부재로서의 너트부재 (66) 와, 하단측이 반발판 (33) 측의 연결 바 (334E,335E) 에 부착된 반발판측 부재로서의 볼트부재 (67) 를 구비하고, 볼트부재 (67) 에 형성된 나사부 (67A) 가 너트부재 (66) 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 (66A) 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너트부재 (66) 의 상부측에는 전술한 끼워맞춤부 (661) 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도 21 중의 횡단면도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 (661) 보다 한단계 작은 평면 육각형상의 조작부 (662) 가 별도의 부재의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조작부 (662) 는 그 상부에 볼트로 고정된 검출플레이트 (691) 를 분리함으로써, 박스렌치 등의 수공구를 끼워넣을 수 있게 되고, 너트부재 (66) 를 수동조작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볼트부재 (67) 는 그 하단측의 조인트부재 (671) 를 통해 연결 바 (334E, 335E) 에 부착되고, 조인트부재 (671) 와 상방의 부착시트 (805) 사이에는 진퇴부 (65) 의 케이스 (31) 내에 삽입된 부분을 덮는 커버부재 (68)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부재 (68) 는 조인트부재 (671) 에 고정된 하측의 원통부 (681) 와, 부착시트 (805) 에 고정된 상측의 뱀 복부형상의 신축부 (682) 를 접합한 구조이다. 볼트부재 (67) 와 함께 진퇴하는 원통부 (681) 의 상단측은 둥근 고리형상의 실링재 (683) 를 통해 너트부재 (66) 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이 원통부 (681) 및 볼트부재 (67) 의 길이는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볼트부재 (67) 가 진퇴 가능한 범위 (스트로크) 내에서는 실링재 (683) 가 언제나 너트부재 (66) 의 외주면과 밀착하여 원통부 (681) 내에 모래먼지나 물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같은 진퇴부 (65) 는 가동케이스 (80) 및 구동부 (63) 의 삽입통과 구멍 (81A,805A, 631A) 에 끼워져 통하게 되고, 그 자중이 구동부 (63) 의 받이대 (631) 에 나일론패드 (631B) 를 통해 받아지고 있다. 따라서, 진퇴부 (65) 는 그 삽입 방향에 대해서는 어떠한 부위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고, 큰 피파쇄물이 반발판 (33) 에 거세게 충돌하거나, 반발판 (33) 과 타격판 (322) 사이에 막히는 것과 같은 이상시에는 끼워맞춤부 (661) 가 받이대 (631) 로부터 이간됨과 동시에, 진퇴부 (65) 전체가 상방으로 돌출된다. 단, 진퇴부 (65) 의 돌출은 파쇄작업 중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이상시의 현상으로서, 이 같은 진퇴부 (65) 를 유압실린더로 구성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종래의 로드의 복귀현상과 다르다.
그리고, 돌출이 해소된 진퇴부 (65) 는 그 자중, 반발판 (33) 의 중량, 및 제 1, 제 2 암 (334,335) 의 중량 등에 의해 하방으로 되돌아가지만 그 때의 충격 등이 한쌍의 접시스프링 (806) 에 의해 흡수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간격조정장치 (60) 에 따르면 진퇴부 (65) 의 너트부재 (66) 를 유압모터 (64) 로 회전시키면 반발판 (33) 측에 부착되는 볼트부재 (67) 는 회전하지 않고, 너트부재 (66) 의 회전량 및 회전방향에 따라 무단계로 진퇴하고, 이 볼트부재 (67) 의 진퇴에 의해 반발판 (33) 이 제 1, 제 2 암 (334,335) 을 통해 이동 (회전운동) 한다.
그리고, 반발판 (33) 의 이동에 의한 간격조정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이 유압모터 (64) 를 제어하여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어 (634) 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노치부를 갖는 원반상의 검출반 (692) 이 형성되어 있고, 외장케이스 (632) 에는 회전중인 검출반 (692) 의 노치부를 검출하고, 이 노치부가 통과할 때마다 검출신호를 제어수단에 출력하는 회전량 검출센서 (693) 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수단에서는 회전량 검출센서 (693) 로부터의 검출신호의 입력회수에 기초하여 기어 (634) 및 통형상 기어 (633) 사이의 감속비, 진퇴부 (65) 의 맞물림 부분의 나사피치, 및 보정계수 등을 고려한 후에 볼트부재 (67) 의 진퇴량, 나아가서는 반발판 (33) 의 이동량을 산출하고, 이 이동량이 미리 입력된 원하는 이동량에 도달할 때까지 유압모터 (64) 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이 같은 제어는 제어수단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행해진다.
즉, 예컨대 파쇄물의 입도를 보다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발판 (33) 을 타격판 (322) 으로부터 이간하도록 원하는 이동량을 입력하고, 파쇄물의 입도를 보다 작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발판 (33) 을 타격판 (322) 에 근접하도록 원하는 이동량을 입력하면 되고, 이 입력된 이동량분만큼 반발판 (33) 이 이동하고, 반발판 (33) 과 타격판 (322) 의 간격 (C1∼C3) 이 무단계로 조정된다.
그런데, 볼트부재 (67) 를 진출시켜 반발판 (33) 을 타격판 (322) 측에 근접시켜 가면, 반발판 (33) 이 타격판 (322) 이나 로터본체 (321) 에 맞닿는다. 이 같은 경우에 또한 볼트부재 (67) 를 진출시키고자 하여 유압모터 (64) 를 회전시키면 볼트부재 (67) 는 진출하지 않고, 반대로 너트부재 (66) 측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진퇴부 (65) 전체가 구동부 (63) 에 대해 삽입되어 있을 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간격조정장치 (60) 에서는, 볼트부재 (67) 의 상단에 설치된 검출플레이트 (691) 의 위치는 브래킷 (807) 을 통해 부착된 돌출검출센서 (694) 로 검출되도록 되어 있어 진퇴부 (65) 가 돌출된 것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돌출검출센서 (694) 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제어수단측에서는 반발판 (33) 이 타격판 (322) 또는 로터본체 (321) 와 맞닿았음을 인식하여 유압모터 (64) 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
또한, 이 같은 돌출검출센서 (694) 로부터의 출력은 예컨대 반발판 (33) 의 제로점 설정에 사용된다.
요컨대 반발판 (33) 의 위치를 타격판 (322) 의 회전궤적 A로부터 소정량 이간시킴으로써 타격판 (322) 과의 사이의 간격 (C1∼C3) 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반발판 (33) 을 일단 타격판 (322) 또는 로터본체 (321) 와 맞닿게 한 후, 반발판 (33) 을 서서히 되돌리면서 회전궤적 A의 위치에 맞추고, 이 위치를 반발판 (33) 의 제로점 위치로 설정한다. 이 같은 제로점 설정도 제어수단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지지만, 이 때에 반발판 (33) 과 타격판 (322) 또는 로터본체 (321) 와의 맞닿음을 인식하는 데 돌출검출센서 (694) 로부터의 출력이 이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반발판 (33) 과 타격판 (322) 사이에 큰 피파쇄물이 막히는 것에 의해서도 진퇴부 (65) 가 돌출되기 때문에, 이 상태도 돌출검출센서 (694) 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인식 가능하고, 이 같은 경우에는 피더 (42) 의 구동을 제어하여 파쇄장치 (30) 내에 피파쇄물이 공급되는 것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도 있다.
[실시형태의 효과]
이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이동식 파쇄기 (1) 에 탑재된 파쇄장치 (30) 에서는 케이스 (31) 가 고정 케이스 (70) 및 가동케이스 (80) 를 갖는 분할식으로 되어 있지만,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가장자리 (724) 가 가동케이스 (80) 의 상부가장자리 (820) 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분할라인 S-S가 설정되고, 고정케이스 (70) 의 상측 개구 전체를 덮도록 가동케이스 (80) 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동식 파쇄기 (1) 를 트레일러 수송하는 경우에는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가동케이스 (80) 의 투입구 (31A) 측을 고정케이스 (70) 에 대해 하방으로 내려가게 하면 되고, 그럼으로써 케이스 (31) 전체의 높이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수송시의 높이제한을 확실히 해소할 수 있다.
2) 그리고, 큰 케이스 (31) 의 파쇄장치 (30) 를 탑재해도 수송시의 높이제한상 아무런 문제가 없으므로, 파쇄장치 (30) 의 대형화를 확실히 촉진할 수 있고, 대형파쇄장치 (30) 를 사용하여 작업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쇄장치 (30;케이스 (31) ) 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투입구 (31A) 도 큰 개구면적으로 할 수 있어 피파쇄물을 쉽게 투입할 수 있음은 물론, 투입구 (31A) 에서 피파쇄물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히 투입할 수 있다.
3) 케이스 (31) 의 가동케이스 (80) 는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를 수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가동케이스 (80) 를 회전운동기구 (39) 에 의해 회전운동시켜 그 투입구 (31A) 측을 하방으로 내려가게 하면 되고, 가동케이스 (80) 를 고정케이스 (70) 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아도 케이스 (31) 의 높이치수를 작게하기가 쉽다.
4) 케이스 (31) 에서는 회전운동기구 (39) 의 케이스용 지지핀 (393) 을 해제한 후, 고정케이스 (70) 로부터 가동케이스 (80) 를 통채로 분리하고, 나아가 프 레임 (20) 으로부터 호퍼 (41) 및 배출 벨트 컨베어 (50) 등을 분리함으로써, 이동식 파쇄기 (1) 측을 더욱 낮게 할 수 있어 한층 더 엄격한 높이제한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식 파쇄기 (1) 측으로부터 분리된 가동케이스 (80) 및 호퍼 (41) 등은 높이치수가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수송시의 높이제한을 신경쓰지 않고 이것들을 별도의 트레일러로 지장없이 수송할 수 있다.
5) 파쇄장치 (30) 로 파쇄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가동케이스 (80) 를 작업자세로 하고, 중간부착구 (90) 를 통해 고정케이스 (70) 와 접합시키면 되고, 파쇄작업시에 갑작스럽게 하방으로 내려갈 우려는 없다.
또한, 이동식파쇄기 (1) 의 수송시에는 내려간 가동케이스 (80) 가 맞닿음부 (725) 에서 확실히 지지되므로, 필요 이상으로 지나치게 내려갈 우려가 없어 수송자세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가동케이스 (80) 의 메인터넌스 자세에서는 열려진 가동케이스 (80) 가 로크핀 (396) 에 의해 확실히 로크되므로, 역시 메인터넌스 자세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제 1 ∼ 제 3 반발판 (331∼333) 의 점검이나 교환작업을 부담없이 실시할 수 있다. 이 점은 가동케이스 (80) 의 회전운동측 가동케이스 (801) 가 열리는 라이너 교환자세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상, 가동케이스 (80) 를 각종 작업에 맞춰 적절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고, 파쇄장치 (30) 로서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가동케이스 (80) 에는 피더 (42) 측으로 연장된 처마부 (83)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 (31) 내에서 튕긴 피파쇄물이 처마부 (83) 에 부딪치게 되어 투입구 (31A) 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처마부 (83) 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 (31) 내로부터의 피파쇄물의 비산을 신경쓰지 않아도 되므로, 투입구 (31A) 를 크게 설계할 수 있고, 이 점에서도 피파쇄물을 쉽고 확실하게 투입할 수 있다.
7) 또한, 이 처마부 (83) 에는 사슬 (831) 및 수하부재 (832) 가 매달리므로, 피파쇄물의 비산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투입된 피파쇄물을 확실하게 파쇄할 수 있다.
8) 가동케이스 (80) 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회전운동기구 (39) 는 케이스 (31) 전체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동케이스 (80) 의 회전운동동작을 보다 높은 위치에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운동기구 (39) 보다 낮은 위치인 고정케이스 (70) 의 전방측에서는 케이스 (31) 를 열 때에 필요한 공간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게 할 수 있고, 그 만큼 동력부 (4) 를 파쇄장치 (30) 측에 접근시켜 배치할 수 있는 등, 쓸모없는 공간을 없애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9) 동력부 (4) 를 파쇄장치 (30) 에 접근시켜 배치할 수 있음으로써, 이동식 파쇄기의 전체길이 (전후방향의 길이) 를 짧게 할 수 있어 이동식 파쇄기 (1) 전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식 파쇄기 (1) 의 기동성, 특히 선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좁은 현장에서도 확실하게 가동시킬 수 있다.
10) 회전운동기구 (39) 는 투입구 (31A) 와는 반대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부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케이스 (80) 를 소정의 각도만큼 상향으로 회전운 동시킨 경우 등, 회전운동기구 (39) 가 하부 근처에 있는 경우에 비해, 투입구 (31A) 를 보다 상방으로 넓어지도록 크게 할 수 있어 투입구 (31A) 로의 피파쇄물의 투입을 더욱 쉽게 할 수 있을 뿐아니라 막힘 등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11) 회전운동기구 (39) 가 상부측에 있으면 가동케이스 (80) 를 회전운동시켰을 때에는 투입구 (31A) 측이 보다 연직방향에 가까운 궤적을 그릴 수 있게 되므로, 소정량 만큼 상하동시킬 때에는 그 궤적을 보다 짧게 할 수 있고, 특히 작업자세로부터 투입구 (31A) 를 내려가게 하여 수송자세로 하거나, 수송자세로부터 작업자세로 복귀시키는 것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12) 투입구 (31A) 는 케이스 (31) 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회전운동기구 (39) 를 투입구 (31A) 측에 설치하면 가동케이스 (80) 를 열었을 때에, 호퍼 (41) 나 피더 (42) 와 가동케이스 (80) 가 간섭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호퍼 (41) 나 피더 (42) 에 어떠한 퇴피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고, 퇴피시키기 위한 퇴피공간도 확보해야만 한다. 따라서, 그 퇴피공간이 퇴피시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는 쓸모없는 공간이 되어 이동식 파쇄기 (1) 의 전체길이가 커져 기동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운동기구 (39) 가 투입구 (31A) 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같은 호퍼 (41) 나 피더 (42) 를 퇴피시킬 필요가 없으며, 그 만큼 퇴피공간도 필요로 하지 않게 할 수 있어 이동식 파쇄기 (1) 전체의 소형화를 더욱 촉진할 수 있다.
13) 가동케이스 (80) 를 수송자세로 함에 있어서,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와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는 가동케이스 (80) 를 동작시켜도 간섭하지 않는 위 치에 있기 때문에,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로부터 중간부착구를 분리함으로써, 고정케이스 (70) 와 가동케이스 (80) 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 가동케이스 (80) 를 고정케이스 (70) 의 하방측으로 확실하게 내려가게 할 수 있다.
14) 이 때, 고정케이스 (70) 와 가동케이스 (80) 는 중간부착구 (90) 를 통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중간부착구 (90) 만큼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및 가동케이스측 측면부 (82)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고, 가동케이스 (80) 를 내려가게 할 때 등, 각 부착부 (74,84) 의 간섭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내려가는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15) 파쇄장치 (30) 에서는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및 가동케이스측 측면부 (82) 사이의 간격이 커서 각 부착부 (74,84) 끼리가 떨어져 있어도,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와 중간부착구 (90) 를 밀착시키고, 또한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와 중간부착구 (90) 를 밀착시킴으로써, 이들 고정케이스 (70) 및 가동케이스 (80) 끼리를 중간부착구 (90) 를 통해 간격없이 고정할 수 있어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6) 또한, 고정케이스 (70) 와 가동케이스 (80) 사이에는 중간부착구 (90) 가 개장되어 있을 뿐, 고정케이스 (70) 에 대한 가동케이스 (80) 의 지지부분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 (31) 가 필요 이상으로 대형화되지 않고, 그 만큼 수송시의 트레일러 등의 하대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17) 중간부착구 (90) 의 수평부 (92) 는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의 받이부 (741) 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에서 중간부착구 (90) 나아가서는 대중량의 가동케이스 (80) 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케이스 (80) 에 의한 큰 하중은 중간부착구 (90) 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 (93) 에는 바로 작용하지 않아 볼트 (93) 를 작게 할 수 있고, 그 부착작업 및 해체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18) 또한, 가동스테이지측 부착부 (84) 와 중간부착구 (90) 에 있어서도, 서로 고정할 수 있는 정도의 아이볼트 (94) 및 너트 (943) 를 채용하면 되므로, 역시 가동케이스 (80) 의 큰 하중을 고려한 큰 고정용 부착구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할 수 있어 그 부착작업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9) 중간부착구 (90) 를 고정케이스 (70) 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이 중간부착구 (90) 를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의 노치부 (842) 를 따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로부터 이간시키면 되고, 반대로 중간부착구 (90) 를 고정케이스 (70) 에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중간부착구 (90) 를 이간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시켜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에 접근시키면 되므로, 고정케이스 (70) 에 대한 중간부착구 (90) 의 착탈을 쉽게 할 수 있다.
20) 파쇄장치 (30) 에 설치된 간격조정장치 (60) 에서는 반발판 (33) 을 이동하기 위한 진퇴부 (65) 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진퇴부 (65) 는 너트부재 (66) 와 볼트부재 (67) 를 나사식으로 연결하고, 너트부재 (66) 측을 유압모터 (64) 로 회전구동하는 구조이므로, 너트부재 (66) 를 정역 (正逆) 방향으로 필요한 양만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볼트부재 (67) 측에 부착된 반발판 (33) 을 무단계로 이동할 수 있고, 종래의 유압실린더를 사용한 경우와 달리, 타격판 (322) 및 반발판 (33) 사이의 간격 (C1∼C3) 을 쉽게 또한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21) 또한, 너트부재 (66) 및 볼트부재 (67) 는 각각의 나사부 (66A,67A) 에서 서로 나사결합하고 있으므로, 반발판 (33) 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그 이동방향으로 어긋나는 일은 없으며, 종래와 같은 복잡한 지지기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반발판 (33) 을 확실히 지지할 수 있고, 간격 (C1∼C3) 의 크기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22) 진퇴부 (65) 를 구성하는 너트부재 (66) 및 볼트부재 (67) 는 케이스 (31) 내에 수용되어 있는 부분이 커버부재 (68) 로 덮여 있으므로, 그들 너트부재 (66) 및 볼트부재 (67) 의 나사결합 부분에 파쇄작업시에 발생하는 모래먼지, 또는 케이스 (31) 내의 세정시의 물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진퇴부 (65) 를 장기간에 걸쳐 확실히 기능시킬 수 있다.
23) 특히, 커버부재 (68) 는 뱀 복부형상의 신축부 (682) 를 구비하고 있어 볼트부재 (67) 의 진퇴동작이나, 진퇴부 (65) 전체의 돌출동작에 추종하여 커버부재 (68) 를 신축시킬 수 있고, 너트부재 (66) 및 볼트부재 (67) 를 언제나 양호하게 피복할 수 있으며, 이 점에서도 진퇴부 (65) 를 장기간에 걸쳐 확실히 기능시킬 수 있어 간격조정장치 (60) 의 내구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4) 간격조정장치 (60) 의 구동부 (63) 는 가동케이스 (80) 측에 고정되므로, 진동이 많은 반발판 (33) 측에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 구동부 (63) 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5) 반발판 (33) 은 회전운동축 (38) 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상으로 이동하 고, 그 이동방향이 진퇴부 (65) 의 직선상의 후퇴방향과는 미묘하게 어긋나기 때문에, 반발판 (33) 을 이동시키면 진퇴부 (65) 가 기울고, 너트부재 (66) 의 끼워맞춤부 (661) 를 통해 구동부 (63) 에 외력이 작용하여 구동부 (63) 를 좌굴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부 (63) 가 러버재 (636,637) 를 통해 가동케이스 (80) 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반발판 (33) 의 회전운동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진퇴부 (65) 가 다소 기울어도 이 기울기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구동부 (63) 로의 외력을 러버재 (636,637) 의 탄성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어 구동부 (63) 의 좌굴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 (63) 와 끼워맞춤부 (661) 의 끼워맞춤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구동부 (63) 에서 너트부재 (66) 로의 동력전달을 확실히 할 수 있다.
26) 또한, 구동부 (63) 가 가동케이스 (80) 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모래먼지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구동부 (63) 의 메인터넌스도 가동케이스 (80) 를 닫은 상태 (작업자세) 에서 쉽게 실시할 수 있다.
27) 타격판 (322) 과 반발판 (33) 사이의 간격조정은 회전량 검출센서 (693) 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수단이 유압모터 (64) 를 제어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일일이 간격 (C1∼C3) 의 조정상태를 육안으로 보면서 수동으로 할 필요가 없어 조정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히 할 수 있다.
28) 반발판 (33) 을 타격판 (322) 측으로 이동시켜 반발판 (33) 이 타격판 (322) 이나 로터본체 (321) 에 충돌한 경우에는 진퇴부 (65) 가 상방으로 돌출되므 로, 반발판 (33) 이 로터 (32) 로 파고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들 파손 등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29) 또한, 반발판 (33;특히 제 1 반발판 (331)) 이 로터 (37) 측에 접촉하지 않고, 그대로 크게 이동하는 경우일지라도 그 이동이 규제링크 (336) 에 의해 규제되고, 볼트부재 (67) 가 필요 이상으로 신장되어 너트부재 (66) 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0) 한편, 너트부재 (66) 의 상단에는 수공구를 끼워넣어 너트부재 (66) 를 회전시키는 조작부 (662) 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동부 (63) 나 제어수단 등이 어떠한 이유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일지라도 너트부재 (66) 를 조작부 (662) 의 조작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고 간격 (C1∼C3) 의 조정을 수동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구성 등을 포함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변형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케이스 (80) 의 투입구 (31A) 측에는 처마부 (83)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같은 처마부 (83) 가 없는 경우일지라도 청구항 4의 발명을 제외한 다른 발명에 포함된다. 그러나, 이 같은 처마부 (83) 는 가동케이스 (80) 가 작업자세에 있을 때에는 가장 높은 위치로 돌출되게 되지만, 가동케이스 (80) 를 수송자세로 함으로써 하방으로 내려가므로, 높이제한상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6) 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고려하면 처마부 (83) 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케이스 (80) 로서 작업자세, 메인터넌스 자세, 수송자세, 및 라이너 교환자세의 자세를 취할 수 있었지만, 이 중의 메인터넌스 자세 및 라이너 교환자세는 케이스 (31) 의 내부구조, 구체적으로는 반발판 (33) 이나 암 (334,335) 의 개수, 형상, 배치위치, 나아가서는 파쇄장치의 종류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케이스 (80) 가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측을 수용하는 구조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가동케이스 (80) 의 하부측이 고정케이스 (70) 의 내부에 삼켜지는 구조일 수도 있고, 어느 케이스가 삼켜질지는 그 실시시에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케이스 (80) 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회전운동기구 (39) 가 투입구 (31A) 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 같은 회전운동기구 (39) 를 투입구 (31A) 측에 설치한 경우일지라도 청구항 6의 발명을 제외한 다른 발명에 포함된다. 단, 고정기구 (39) 를 투입구 (31A) 측에 설치하면 전술한 (12) 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역시 투입구 (31A) 와는 반대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운동기구 (39) 를 케이스 (31) 전체의 하부측에 설치한 경우일지라도 가동케이스 (80) 가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측에 부착되고,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가장자리 (724) 가 가동케이스 (80) 의 상부가장자리 (820)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가동케이스 (80) 를 고정케이스 (70) 에 대해 내려가게 하는 구성이면 청구항 1 의 발명에 포함된다.
그리고, 가동케이스 (80) 를 고정케이스 (70) 보다 하방으로 내려가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회전운동기구 (39) 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예컨대 가동케이스 (80) 를 고정케이스 (70) 에 대해 하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하는 등, 슬라이드식으로 내려가게 해도 되고, 또한 가동케이스 (80) 를 그 높이위치가 단계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케이스 (70) 에 볼트로 고정시키는 구성일 수도 있다. 요컨대 가동케이스 (80) 를 고정케이스 (70) 에 대해 어느 기구로 내려하게 할지는 그 실시시에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0 과 같이 케이스 (900) 를 좌우로 이분하도록 분할라인 S-S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일지라도, 그 회전운동기구가 케이스 (900) 전체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청구항 5 의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이동식 파쇄기 (1) 는 크롤러식 주행부 (10) 를 구비한 자주식이지만, 크롤러식에 국한되지 않고 차륜식일 수도 있고, 또한 자주식에 국한되지 않고 견인식일 수도 있다. 요컨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본 발명의 이동식 파쇄기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파쇄장치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파쇄장치 (30) 에 국한되지 않고, 예컨대 죠 파쇄장치, 쉐어 파쇄장치, 콘 파쇄장치, 롤 파쇄장치 등, 임의의 파쇄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파쇄장치는 이동식 파쇄기 (1) 에 탑재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용 파쇄장에 놓여진 정치식일 수도 있다. 이 같은 경우일지라도, 어떠한 이유에 의해 파쇄장치의 수송이 필요해진 경우에는 가동케이스 (80) 를 수송자세로 함으로써, 수송시의 높이제한을 확실히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간격조정장치 (60) 에 있어서, 수동조작용 조작부 (662) 는 그 외형형상이 평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내면형상이 평면 육각형으로 된 오목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같은 경우에는 오목형상 부분에 볼록형상의 렌치류의 수공구를 끼워넣어 너트부재 (66) 를 회전시킨다.
또한, 수공구를 거는 부분의 형상은 임의의 형상일 수 있고, 육각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그 형상은 육각형 이외의 다각형일 수도 있고, 원형의 통공을 삼각형의 정점위치가 되로록 뚫어 형성하고, 각 통공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를 갖는 렌치로 조작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그 같은 조작부 (662) 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은 아니며, 설치되지 않는 경우일지라도 청구항 12 의 발명을 제외한 다른 청구항의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커버부재 (68) 는 원통부 (681) 의 하단이 조인트부재 (671) 에 고정되어 있지만, 이 원통부 (681) 를 조인트부재 (671) 도 덮도록 구성하고, 그 하단을 제 1, 제 2 암 (334,335) 에 고정해도 된다. 또한, 신축부 (682) 의 상단이 부착시트 (805) 에 고정되어 있지만, 부착시트 (805) 및 받이대 (631) 의 각 삽입통과 구멍 (805A,631A) 을 더욱 크게 하고, 신축부 (682) 를 상단을 너트부재 (66) 의 끼워맞춤부 (661) 하면 등에 접촉시켜도 된다. 요컨대, 커버부재 (68) 는 진퇴부 (65) 의 케이스 (31) 내에 수용된 부분을 빠짐없이 덮는 구조이면 되고, 구체적인 구조 등은 그 실시시에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단, 신축부 (682) 의 상단을 부착시트 (805) 에 고정함으로써, 부착시트 (805) 의 삽입통과 구멍 (805A) 이 덮이므로, 모래먼지나 물이 삽입통과 구멍 (805A) 등으로부터 케이스 (31) 의 외부에 있는 구동부 (63) 측으로 누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한쌍의 접시스프링 (806) 사이로 들어가서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신축부 (682) 의 상단을 너트부재 (66) 가 아닌 고정케이스 (70) 측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간격조정장치 (60) 의 구동부 (63) 가 케이스 (31) 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케이스 (31) 의 내부에 설치해도 된다.
그러나, 전술한 (7) 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구동부 (63) 를 케이스 (31) 의 외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진퇴부 (65) 에서는 너트부재 (66) 가 가동케이스 (80) 측에, 볼트부재 (67) 가 반발판 (33) 측에 각각 부착되어 있지만, 이것들이 반대여도 된다. 즉, 너트부재 (66) 를 반발판 (33) 측에 부착하고, 볼트부재 (67) 를 가동케이스 (80) 측에 부착해도 되고, 임의이다.
상기 실시형태의 진퇴부 (65) 는 너트부재 (66) 와 볼트부재 (67) 를 나사결합시킨 나사식이지만, 본 발명의 간격조정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측 부재를 회전구동되는 피니온기어로 구성하고, 반발판측 부재를 상기 피니온기어와 맞물리는 래크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래크 및 피니온에 의한 기어식의 경우에는 래크측을 반발판 (33) 의 이동궤적을 따른 원호상으로 해도 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반발판 (33) 이 이동하여도 서로의 맞물림위치가 어긋날 우려가 없으며, 맞물림 부분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그 같은 원호상의 래크를 고정케이스 (70) 에 있어서의 양방의 고정케이스측 측면부 (72) 의 내면에 고정시켜 두고, 반발판 (33) 측의 횡방향의 양 가장자리에 피니온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피니온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니온기어 자신이 래크 위를 전동하고 반발판 (33) 이 이동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도 반발판 (33) 을 무단계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파쇄작업중에 반발판 (33) 이 쉽게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간격조정장치 (60) 는 제 1, 제 2 암 (334,335) 을 개별적으로 회전운동시킬 필요성에서, 제 1 간격조정장치 (61) 와 제 2 간격조정장치 (62) 로 구성되어 있지만, 암이 하나인 경우에는 간격조정장치 (60) 도 하나이면 되고, 암이 3개 이상인 경우에는 간격조정장치 (60) 도 3 개 이상 설치하면 되고, 간격조정장치 (60) 의 개수는 암의 개수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이동식 파쇄기 (1) 는 크롤러식 주행부 (10) 를 구비한 자주식이지만, 크롤러식에 한정되지 않고 차륜식일 수도 있고, 또한 자주식에 한정되지 않고 견인식일 수도 있다. 요컨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본 발명의 이동식 파쇄기에 포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파쇄장치는 이동식 파쇄기 (1) 에 탑재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용 파쇄장에 놓여진 정치식일 수도 있다. 이 같은 경우일지라도 간격조정장치 (60) 를 나사식 또는 기어식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 성할 수 있다.
기타, 프레임 (20), 피파쇄물 공급부 (40), 배출 벨트 컨베어 (50) 등의 구성은 물론, 케이스 (31) 의 고정케이스측 부착부 (74), 가동케이스측 부착부 (84), 중간부착구 (90) 등 케이스측 부재, 반발판측 부재, 회전체, 타격부 의 구체적인 형상 등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케이스를 대형화하여도 수송시의 높이제한을 확실히 해소할 수 있고, 케이스를 열 때에 필요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파쇄장치 및 파쇄장치를 탑재한 이동식 파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격부 및 반발판 사이의 간격을 쉽게 또한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더욱이 간격의 크기를 간단한 구조로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파쇄장치의 간격조정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2)

  1. 파쇄장치에 있어서,
    고정케이스 (70) 와,
    이 고정케이스 (70) 에 부착된 가동케이스 (80) 를 갖는 분할식 케이스 (31) 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케이스 (80) 는 상기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측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가장자리 (724) 는 상기 가동케이스 (80) 의 상부가장자리 (820)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가동케이스 (80) 는 상기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측에 회전운동기구 (39) 를 통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3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케이스 (80) 는 상기 고정케이스 (70) 의 상측을 수용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케이스 (70) 의 내측으로 수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3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31) 는 적어도
    상기 회전운동기구 (39) 의 회전운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동케이스 (80) 가 상기 고정케이스 (70) 에 대해 상방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가동케이스 (80) 가 파쇄작업 가능한 상태에 있는 작업 자세와,
    상기 회전운동기구 (39) 의 회전운동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가동케이스 (80) 가 하방향으로 동작한 상태에 있는 수송자세를 포함하는 복수의 자세로 유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3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케이스 (80) 에는 피파쇄물의 투입구 (31A) 를 형성하는 부위와 일체로 처마부 (83)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30).
  5. 삭제
  6. 파쇄장치에 있어서,
    고정케이스 (70) 와,
    이 고정케이스 (70) 에 부착된 가동케이스 (80) 를 갖는 분할식 케이스 (31) 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케이스 (80) 는 상기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측에 회전운동기구 (39) 를 통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운동기구 (39) 는 상기 케이스 (31) 내에 피파쇄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31A) 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30).
  7. 이동식 파쇄기에 있어서,
    주행부 (10) 를 구비한 기대부 (2) 와,
    동력부 (4) 와,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파쇄장치 (30) 를 탑재하고,
    상기 파쇄장치 (30) 는 고정케이스 (70) 와, 이 고정케이스 (70) 에 부착된 가동케이스 (80) 를 갖는 분할식 케이스 (31) 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케이스 (80) 는 상기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측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가장자리 (724) 는 상기 가동케이스 (80) 상부가장자리 (820)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 (1).
  8. 이동식 파쇄기에 있어서,
    주행부 (10) 를 구비한 기대부 (2) 와,
    동력부 (4) 와,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파쇄장치 (30) 를 탑재하고,
    상기 파쇄장치 (30) 는 고정케이스 (70) 와, 이 고정케이스 (70) 에 부착된 가동케이스 (80) 를 갖는 분할식 케이스 (31) 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케이스 (80) 는 상기 고정케이스 (70) 의 상부측에 회전운동기구 (39) 를 통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 (1).
  9. 삭제
  10. 파쇄장치 (30) 의 간격조정장치에 있어서,
    타격부 (322) 를 갖는 회전체 (32) 와,
    타격부 (322) 에 대해 간격 (C1,C2,C3) 을 두고 배치되는 반발판 (33) 과,
    이들 회전체 (32) 및 반발판 (33) 이 부착되는 케이스 (31) 와,
    상기 반발판 (322) 측에 부착되는 반발판측 부재 (67) 와,
    이 반발판측 부재 (67) 에 나사결합 또는 맞물려서 상기 케이스 (31) 에 부착되는 케이스측 부재 (66) 와,
    상기 케이스 (31) 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측 부재 (66) 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 (63) 를 구비하고,
    상기 반발판측 부재 (67) 와 상기 케이스측 부재 (66) 로 구성되는 진퇴부 (65) 가 그 진퇴방향으로 고정되지 않게 상기 케이스 (31) 에 지지되고,
    상기 케이스측 부재 (66) 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타격부 (322) 및 반발판 (33) 사이의 간격 (C1,C2,C3) 이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나사결합 또는 맞물린 상태의 상기 반발판측 부재 (67) 및 케이스측 부재 (66) 는 적어도 일부에 신축부 (682) 를 갖는 커버부재 (68) 로 덮여 있고,
    이 커버부재 (68) 의 신축방향의 양 가장자리가 상기 반발판 (33) 측 및 케이스 (31) 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30) 의 간격조정장치 (6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63) 는 상기 케이스측 부재 (66) 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탄성부재 (636,637) 를 통해 상기 케이스 (31) 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30) 의 간격조정장치 (60).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측 부재 (66) 는 상기 구동부 (63) 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공구로 조작 가능한 조작부 (662) 를 구비하고, 이 조작부 (662) 를 수동조작하는 것으로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30) 의 간격조정장치 (60).
KR1020020042991A 2001-07-27 2002-07-22 파쇄장치, 그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들을 탑재한 이동식파쇄기 KR100871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28583 2001-07-27
JP2001228583A JP4879414B2 (ja) 2001-07-27 2001-07-27 破砕装置および破砕装置を搭載した移動式破砕機
JP2001232065A JP4879415B2 (ja) 2001-07-31 2001-07-31 インパクトクラッシャの隙間調整装置
JPJP-P-2001-00232065 2001-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585A KR20030011585A (ko) 2003-02-11
KR100871307B1 true KR100871307B1 (ko) 2008-12-01

Family

ID=2661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991A KR100871307B1 (ko) 2001-07-27 2002-07-22 파쇄장치, 그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들을 탑재한 이동식파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293727B2 (ko)
EP (1) EP1287894A3 (ko)
KR (1) KR100871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307B1 (ko) 2001-07-27 2008-12-01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파쇄장치, 그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들을 탑재한 이동식파쇄기
JP4022406B2 (ja) 2001-08-27 2007-12-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インパクトクラッシャの隙間調整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隙間調整装置
FI109662B (fi) * 2001-08-31 2002-09-30 Metso Minerals Tampere Oy Siirrettävän murskausyksikön tärysyöttimen kuljetuslukitus
GB0408594D0 (en) * 2004-04-16 2004-05-19 Extec Screens & Crushers Ltd Crusher apparatus
GB0723505D0 (en) * 2007-11-30 2008-01-09 Terex Pegson Ltd Impact crusher
WO2009146185A2 (en) * 2008-04-16 2009-12-03 Apopka Recycling, Inc. A roller jaw crusher system and method
KR100893529B1 (ko) * 2009-02-02 2009-04-17 주식회사 씨이씨 석탄 분쇄기에 구비되는 라이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라이너
US8714467B2 (en) * 2010-01-29 2014-05-06 Scott Equipment Company Dryer/grinder
ITMI20111662A1 (it) * 2011-09-15 2013-03-16 Saint Gobain Ppc Italia S P A Impianto e procedimento per riciclare pannelli di cartongesso e simili materiali da costruzione
US8844851B2 (en) * 2011-12-29 2014-09-30 Flsmidth A/S Crusher device
JP6021044B2 (ja) * 2012-01-16 2016-11-02 新東工業株式会社 グリット製造用破砕装置、および金属ロールの製造方法
WO2016115229A1 (en) * 2015-01-16 2016-07-21 Flsmidth A/S Extraction mechanism for a comminution device
EP3222355B1 (en) * 2016-03-24 2018-10-24 Metso Minerals, Inc. Compact noise encapsulation for mobile processing devices
CN106310810B (zh) * 2016-08-19 2019-04-02 安徽元琛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除尘滤袋袋口自动检测装置
CN106423475A (zh) * 2016-08-30 2017-02-22 安徽包钢稀土永磁合金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稀土合金材料的破碎机
CN107855272B (zh) * 2017-11-03 2020-02-18 湖南屈原水利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建设用沙子筛选设备
US11077448B2 (en) * 2018-05-01 2021-08-03 Tigercat Industries Inc. Portable grinding/shredding/chipping system having manipulable track drive and other improvements
US11293155B2 (en) * 2018-10-10 2022-04-05 Maximum Density LLC Landfill compact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0818A (ko) * 1993-02-26 1996-02-24 안자끼 사또루 자주식 파쇄기(Mobile crusher)
JPH08266921A (ja) * 1995-03-25 1996-10-15 Krupp Foerdertechnik Gmbh 粉砕機の粉砕ギャップを自動的に調節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粉砕機
JPH08299839A (ja) * 1995-05-02 1996-11-19 Komatsu Ltd 移動式破砕機
KR970057061A (ko) * 1995-12-26 1997-07-31 배순훈 텔레비젼의 고주파 신호 절환장치
KR970057061U (ko) * 1996-04-16 1997-11-10 주식회사삼천리기계 재활용 충격식 파쇄기
JP2777773B2 (ja) * 1993-10-25 1998-07-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破砕機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76087C (de) 1952-01-25 1963-02-21 Hazemag Hartzerkleinerung Prallschleudermuehle zur Hartzerkleinerung
US2858082A (en) 1957-07-22 1958-10-28 William E Berling Hammer mill construction
AT277725B (de) 1966-10-07 1970-01-12 Franz Wageneder Prallmühle mit um eine horizontale Welle umlaufendem Rotor und im Mühlengehäuse fest angeordneten Prallplatten, insbesondere für die Steinzerkleinerung bis zur Sandfeinheit
DE1607502A1 (de) 1967-03-03 1969-09-18 Hazemag Hartzerkleinerung Fahrbare Zerkleinerungsanlage mit Vorabsiebung
DE2543769C3 (de) * 1975-10-01 1980-09-18 Lindemann Maschinenfabrik Gmbh, 4000 Duesseldorf Zerkleinerungsmaschine mit in einem Gehäuse umlaufendem Rotor und im Gehäuse befestigten Werkzeug
DE2632330C2 (de) * 1976-07-17 1983-04-07 Neue Bruderhaus Maschinenfabrik GmbH, 7410 Reutlingen Schneidmühle
ATE112979T1 (de) 1988-12-31 1994-11-15 Gronholz Claus Prallbrecher.
DE3911271A1 (de) 1989-04-07 1990-10-11 Salzgitter Maschinenbau Verfahren zum betrieb einer zerkleinerungsmaschine und anlage zur automatischen einstellung der zerkleinerungsmaschine
JP2653941B2 (ja) 1991-07-16 1997-09-1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ディジタル直交復調回路
JP2547627Y2 (ja) * 1992-09-14 1997-09-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破砕機械
JP3022020B2 (ja) 1993-01-22 2000-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のrim成形法
CA2130292C (en) * 1993-08-17 2005-12-06 Michel Leblond Rock crusher
JPH0821948A (ja) 1994-07-08 1996-01-23 Minolta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3661892B2 (ja) 1996-01-12 2005-06-22 日立建機株式会社 自走式破砕機
JP4440354B2 (ja) 1996-11-15 2010-03-24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ピン処理装置
JP2000015130A (ja) 1998-06-30 2000-01-18 Komatsu Ltd 木材破砕機
JP4070171B2 (ja) 1999-06-30 2008-04-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木材破砕機
DE10008742C2 (de) * 2000-02-24 2003-08-21 Hermann Schwelling Aufsatz für Aktenvernichter zur Aufnahme und Zuführung von Schriftgut
JP4582859B2 (ja) 2000-04-26 2010-11-17 不二製油株式会社 パン改良剤及びパン類の製造方法
JP3460066B2 (ja) 2001-05-24 2003-10-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衝撃式破砕機の破砕間隙自動調整方法及び装置
KR100871307B1 (ko) 2001-07-27 2008-12-01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파쇄장치, 그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들을 탑재한 이동식파쇄기
JP2003103186A (ja) 2001-09-28 2003-04-08 Kobukuro Iron Works Co Ltd モービルクラッシャ搭載用インパクトクラッシャ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0818A (ko) * 1993-02-26 1996-02-24 안자끼 사또루 자주식 파쇄기(Mobile crusher)
JP2777773B2 (ja) * 1993-10-25 1998-07-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破砕機械
KR100224291B1 (ko) * 1993-10-25 1999-10-15 안자키 사토루 자주식 파쇄기계
JPH08266921A (ja) * 1995-03-25 1996-10-15 Krupp Foerdertechnik Gmbh 粉砕機の粉砕ギャップを自動的に調節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粉砕機
JPH08299839A (ja) * 1995-05-02 1996-11-19 Komatsu Ltd 移動式破砕機
KR970057061A (ko) * 1995-12-26 1997-07-31 배순훈 텔레비젼의 고주파 신호 절환장치
KR970057061U (ko) * 1996-04-16 1997-11-10 주식회사삼천리기계 재활용 충격식 파쇄기
KR0134341Y1 (ko) * 1996-04-16 1999-01-15 이은우 재활용 충격식 파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93727B2 (en) 2007-11-13
EP1287894A2 (en) 2003-03-05
US7278596B2 (en) 2007-10-09
US20070001043A1 (en) 2007-01-04
EP1287894A3 (en) 2005-04-06
KR20030011585A (ko) 2003-02-11
US20030062434A1 (en) 200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307B1 (ko) 파쇄장치, 그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들을 탑재한 이동식파쇄기
CA2638055C (en) Mobile impact crusher assembly
US4896835A (en) Screening machine
KR100873049B1 (ko) 임팩트 크러셔의 간극조정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간극조정장치
RU2638191C2 (ru) Установка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минера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ой установкой
US20040050987A1 (en) Mobile jaw crusher assembly
US20040050986A1 (en) Mobile jaw crusher assembly
CA2960544C (en) Vibratory classifier apparatus
JP4879415B2 (ja) インパクトクラッシャの隙間調整装置
KR20070054861A (ko) 폐목재 파쇄장치
CA2498968C (en) Mobile impact crusher assembly
JP4879417B2 (ja) 移動式破砕機
JP4031357B2 (ja) 自走式破砕機
JP2003038977A (ja) 破砕装置および破砕装置を搭載した移動式破砕機
JP4879418B2 (ja) インパクトクラッシャ
US20240229904A1 (en) Crusher belt tensioning apparatus
EP4071383A1 (en) A crusher belt tensioning apparatus
JP2003038978A (ja) 破砕装置
JP4745555B2 (ja) インパクトクラッシャ
JP4071608B2 (ja) 自走式破砕機
JP5595253B2 (ja) 自走式処理機及びそのコンベヤ組み付け方法
JP2005349341A (ja) 破砕装置
JP2003047883A (ja) 破砕装置
JP2005131518A (ja) 木材破砕装置
JP2004174457A (ja) 自走式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