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760B1 - 이동식 파쇄 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파쇄 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760B1
KR100207760B1 KR1019960703424A KR19960703424A KR100207760B1 KR 100207760 B1 KR100207760 B1 KR 100207760B1 KR 1019960703424 A KR1019960703424 A KR 1019960703424A KR 19960703424 A KR19960703424 A KR 19960703424A KR 100207760 B1 KR100207760 B1 KR 100207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elt conveyor
crusher
feede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오 다무라
야스타카 니시다
마사호 야마구치
모토키 구로하라
토루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고마쓰 세사쿠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5334010A external-priority patent/JP31170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34125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4230B2/ja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고마쓰 세사쿠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4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체를 구비한 차체에 피더와 파쇄기와 밸트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파쇄 시스템을 설치한 이동식 파쇄기계에 있어서 상기 밸트 콘베이어의 이상 정지를 검출하는 이상 정지 수단과 그 이상 정지 검출 수단에서의 검출 신호에 의해서 상기 피더 및 파쇄기의 작동을 정지하는 작동 정지 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이동식 파쇄 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건물 해체시에 생긴 나무조각, 콘크리드 조각 등을 파쇄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의 피더, 파쇄기, 밸트 콘베이어등으로 이루는 파쇄 시스템을 구동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자주식(自走式)파쇄기계로선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소 64-32744호 공보에 나타내듯이 주행체를 구비한 차체에 호퍼와 파쇄기와 콘베이어를 부착하고 호퍼내에 투입한 피파쇄물을 파쇄기로 파쇄하고 그 파쇄조각을 콘베이어로 차체 외부에 배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자주식 파쇄기계에 있어선 호퍼에 투입한 피파쇄물은 파쇄기에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피더를 설치하는 일이 있으며 상기 피더와 파쇄기 및 밸트 콘베이어는 각각 독립한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며 그 각 구동원은 각각 독립된 피더용 스위치, 파쇄기용 스위치, 밸트 콘베이어용 스위치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 제어 장치라면 피더, 파쇄기, 밸트 콘베이어를 정지하려면 각 스위치를 각각 조작할 필요가 있고 밸트 콘베이어가 이상시 정지된 경우에도, 파쇄기, 피더는 정지하고 않고 구동을 계속하므로 파쇄기에 의해서 피파쇄물이 계속 파쇄되고 그 파쇄조각이 벨트 콘베이어 위에 퇴적되어서 밸트 콘베이어가 파손되는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수리에 시간을 요하며 파쇄작업의 능률이 두드러지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이동식 파쇄기계에 사용하는 파쇄기로선 하우징에 고정조(fixing jaw)와 스윙조(swing jaw)를 설치하고 그 스윙조를 고정조로 향해서 왕복 요동해서 파쇄물을 파쇄하는 것이 있으며 이것은 건물 해체시에 생기는 나무조각, 콘크리트편 등은 파쇄할 수 있는데 큰 철근, 나무부스러기 등은 크고 견고한 피파쇄물은 파쇄되지 않고 고정조와 스윙조의 사이에 물려서 그 파쇄기가 정지되는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파쇄기의 고정조와 스윙조와의 사이에 파쇄물이 끼인 상태로 파쇄기가 정지된 경우엔 스윙조가 고정조로 향해서 이동한 상태에서 정지하므로 그 끼인 피파쇄물을 꺼내려면 매우 큰 힘이 필요하게 되며 그것을 꺼내기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피파쇄물의 꺼내기에 시간을 요하며 파쇄작업의 능률이 두드러지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동식 파쇄기계의 경우엔 파쇄기의 출구측엔 주행체, 밸트 콘베이어 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파쇄기의 밑에 꺼내기용의 공간이 없으며, 상술한 끼인 파쇄물을 꺼내는 것은 매우 번거로웠다. 그때문에 피파쇄물의 꺼내기에 시간을 요하며 파쇄 작업의 능률이 두드러지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뤄진 것으로, 밸트 콘베이어의 파손을 방지하고 파쇄기가 피파쇄물을 물고 있는 경우에도 파쇄물의 꺼냄을 용이하게 해서 파쇄작업이 능률있게 행해질 수 있게 한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주행체를 구비한 차체에 피더와 파쇄기와 밸트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파쇄 시스템을 설치한 이동식 파쇄기계에 있어서, 상기 밸트 콘베이어의 이상 정지를 검출하는 이상 정지 검출수단과 그 이상 정지 검출 수단에서의 검출신호에 의해서 상기 피더 및 파쇄기의 작동을 정지하는 작동정지를 구비한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시스템 구동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벨트 콘베이어가 이상 등으로 정지되었을 때엔 다른 모든 작동이 정리되므로 밸트 콘베이어상에 파쇄조각이 퇴적되는 일이 없고 그것에 의해서 밸트 콘베이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덧붙여서 피더 유압 모터에 압력 오일을 공급하는 피더 전환 밸브와, 파쇄기 유압 모터에 압력 오일을 공급하는 파쇄기 전환 밸브와, 밸브 콘베이어 유압 모터에 압력 오일을 공급하는 밸트 콘베이어 전환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이상 검출 수단은 상기 밸트 콘베이어 유압 모터의 공급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된 것을 검출하는 압력 스위치이며, 상기 작동 정지 수단은 상기 압력 스위치로부터의 검출 신호로 상기 전환한 밸브를 압력 오일 공급 정지 위치에 구동하는 전기 회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 회로가 상기 각 전환 밸브 각각에 접속되어 있어 공급된 전기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각 전환 밸브를 압력 오일 공급 위치 또는 압력 오일 공급 정지 위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과 피더 전환 밸브용의 전환수단에 접속된 피더 릴레이와 그 피더 릴레이를 구동하는 피더스위치와 파쇄기 전환 밸브용의 전환 수단에 접촉된 파쇄기 릴레이와 그 파쇄기 릴레이를 구동하는 파쇄기 스위치와 밸트 콘베이어 전환 밸브용의 전환 수단에 접속된 밸트 콘베이어의 릴레이와 그 밸트 콘베이어의 릴레이를 구동하는 밸트 콘베이어 스위치와, 상기 각 릴레이의 자기 유지 접점과 전원을 접속하는 최초에 설치된 항상 온(ON)형의 이상시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 스위치에서의 검출신호로 상기 이상시 스위치가 오프(OFF)로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릴레이의 자기 유지 접점과 전원을 접속하는 회로에 다시 긴급 정지 스위치를 상기 이상시 스위치와 직렬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더 전환 밸브용 및 밸트 콘베이어 전환 밸브용의 각 전환수단이 솔레노이드이며 상기 파쇄기 전환 밸브용의 전환수단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파일롯 밸브일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주행체를 구비한 차체에 파쇄기와 밸트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파쇄 시스템을 설치하고 상기 파쇄기를 고정조와 파쇄기 유압 모터에 의해서 그 고정조로 향해서 왕복 요동되는 가동조로 구성한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 유압 모터에 압력 오일을 공급하는 파쇄기 전환밸브를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파일롯 밸브에 의해 중립 위치에서 정회전 위치 또는 역회전 위치로 각각 전환되게 하고, 상기 파일롯 밸브를 파쇄기 전환 밸브를 역회전 위치로 하기 위한 위치로 구동하는 제2 솔레노이드와 전원과의 사이에 스위치를 설치한 자주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스위치를 조작했을 때에만 파쇄기 유압 모터를 역전할 수 있으므로 그 스위치를 극히 단시간 조작하므로서 파쇄기 유압 모터를 미세 역전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파쇄기의 스윙조를 고정조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미세 이동시켜서 물려끼인 피파쇄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덧붙여서 상기 스위치와 제2 솔레노이드와의 사이에 타이머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주행체를 구비한 차체에 피더와 파쇄기와 밸트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파쇄 시스템을 설치하고 상기 파쇄기를 고정조와 파쇄기 유입 모터에 의해 그 고정조를 향해서 왕복 요동되는 가동조로 구성한 이동식 파쇄기계에 있어서, 상기 밸트 콘베이어의 이상 정지를 검출하는 이상 정지 검출 수단과 그 이상 정지 검출 수단에서의 검출 신호에 의해서 상기 피더 및 파쇄기의 작동을 정지하는 작동 정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기 유압 모터에 압력 오일을 공급하는 파쇄기 전환 밸브를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파일롯 밸브에 의해 중립 위치에서 정회전 위치 또는 역회전 위치로 각각 전환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파일롯 밸브를 파쇄기 전환 밸브를 역회전 위치로 하기 위한 위치로 구동하는 제2 솔레노이드와 전원과의 사이에 스위치를 설치한 자주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덧붙여서 피더 유압 모터에 압력 오일을 공급하는 피더 전환 밸브와 밸트 콘베이어 유압 모터에 압력 오일을 공급하는 밸트 콘베이어 전환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이상 검출 수단은 상기 밸트 콘베이어 유압 모터의 공급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된 것을 검출하는 압력 스위치이며, 상기 작동 정지 수단은 상기 압력 스위치에서의 검출 신호로 상기 전환 밸브를 압력 오일 공급 정지위치에 구동하는 전기 회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 회로가 상기 각 전환 밸브에 각각 접속되고 있어서 공급된 전기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각 전환 밸브를 압력 오일 공급 위치 또는 압력 오일 공급 정지 위치로 전환하는 전환 수단과 피더 전환 밸브용의 전환수단에 접속된 피더 릴레이와, 피더 릴레이를 구동하는 피더 스위치와 파쇄기 전환 밸브용의 전환 수단에 접속된 파쇄기 릴레이와, 상기 파쇄기 릴레이를 구동하는 파쇄기 스위치와, 밸트 콘베이어 전환 밸브용의 전환 수단에 접속된 밸트 콘베이어 릴레이와, 그 밸트 콘베이어 릴레이를 구동하는 밸트 콘베이어 스위치와 상기 각 릴레이의 자기 유지 접점과 전원을 접속하는 회로에 설치된 항상 온(ON)형의 이상시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 스위치에서의 검출신호로 상기 이상시 스위치가 오프(OFF)로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릴레이의 자기 유지 접점과 전원을 접속하는 회로에 긴급 정지 스위치를 상기 이상시 스위치와 직렬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더 전환 밸브용 및 콘베이어 전환 밸브용의 각 전환 수단이 솔레노이드이며 상기 파쇄기 전환 밸브용의 전환 수단이 상기 파일롯 밸브일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와 제2 솔레노이드와의 사이에 타이머를 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양호하게 이해되는 것으로 될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발명을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설명 및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이동식 파쇄기계 전체의 설명도이다.
제2도는 상기 실시예의 일부인 피더, 파쇄기, 밸트 콘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유압 회로도이다.
제3도는 상기 실시예의 일부인 피더, 파쇄기, 밸트 콘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기 회로도이다.
제4도는 상기 실시예의 다른 파쇄기 구동 제어 유압 회로도이다.
제5도는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파쇄기 구동제어 유압 회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를 첨부 도면 참조로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하듯이 이동식 파쇄기계는 그 차체(1)의 하부 양측엔 주행체(2)가 부착되며 그 차체(1)의 위에는 파쇄기(3)와 호퍼(4)가 부착되고 있다. 파쇄기(3)는 하우징(5)에 고정조(6)와 스윙조(7)를 설치하고 그 스윙조(7)를 고정조를 향해서 왕복 요동하므로서 파쇄물(a)을 고정조(6)와 사이에 파쇄하는 것이다. 상기 호퍼(4)는 피더(8)를 구성하는 가동 저판(a)을 구비하고 그 가동저판(a)을 왕복 요동하므로서 피파쇄물(a)을 파쇄기(3)에 공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체(1)하부의 1쌍의 주행체(2)간엔 밸트 콘베이어(10)가 부착되고 있으며 그 밸트 콘베이어(10)에 의해 파쇄조각(b)을 차체(1)의 외부에 배출하게 되어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유압 회로도이다. 제1 유압 펌프(20)의 토출압력 오일이 파쇄기 전환 밸브(21)로 파쇄기용 유압 모터(22)에 공급 제어된다. 그 파쇄기 전환 밸브(21)는 통상 중립 위치(a)에 유지되며 파일롯 밸브(23)에서 공급되는 보조 유압 펌프(24)의 토출압력 오일로 정회전 위치(b), 역회전 위치(c)에 전환된다. 그 파일롯 밸브(23)는 통상 중립 위치(d)에 유지되며 그 제1, 제2 솔레노이드(25), (26)에 각각 통전되므로서 정회전 위치(e), 역회전 위치(f)에 전환된다.
제2 주유압 펌프(27)의 토출압력 오일은 피더 전환 밸브(28)로 피더용 유압 모터(29)에 공급 제어된다. 그 피더 전환 밸브(28)는 통상 중립 위치(g')에 유지되고 그 제1, 제2 솔레노이드(30,31)에 각각 통전되면 정회전 위치(11), 역회전 위치(i)에 전환된다.
제3 주유압 펌프(32)의 토출압력 오일은 밸트 콘베이어 전환 밸브(33)로 밸트콘베이어용 유압 모터(34)와 탱크(35)에 공급된다. 그 밸트 콘베이어 전환 밸브(33)는 통상 드레인 위치(i)에 유지되며 그 솔레노이드(36)에 통전하면 공급 위치(k)로 된다. 이 밸트 콘베이어 전환 밸브(33)의 입구 포트(33a)와 제3 주유압 펌프(32)의 토출포트(32a)와 사이의 회로(37)에 압력 스위치(38)가 설치되며 이 압력 스위치(38)는 제3 주압력 오일 펌프(32)의 토출압력이 릴리프 밸브(39)의 석정압 이상이 되면 온으로 된다.
제3도는 이 실시예의 전기 회로도이다. 파쇄기 스위치(40)와 피더 스위치(41)와 밸트 콘베이어 스위치(42)는 기동 스위치(43)와 통상 온인 정지 스위치(44)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 각 정지 스위치(44)는 직렬로 접속되어서 긴급 정지 스위치(45), 이상시 스위치(46)을 거쳐서 전원(47)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파쇄기 릴레이(48)의자기 유지접점(48a)을 거쳐서 코일(48b)에 접속되며 피더 릴레이(49)의 자기 유지 접점(49a)을 거쳐서 코일(49b)에 접속되며 밸트 콘베이어 릴레이(50)의 자기 유지 접점(50a)을 거쳐서 코일(50b)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파쇄기·릴레이(48)의 상개 접점(48c)은 파일롯 밸브(23)의 제1 솔레노이드(25)에 접속되며 피더 릴레이(49)의 상개접점(49c)은 피더 전환 밸브(28)의 제1 솔레노이드(30)에 접속되며 밸트 콘베이어 릴레이(50)의 통상 접점(40c)은 밸트 콘베이어 전환 밸브(33)의 솔레노이드(36)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긴급 정지 스위치(45)를 통상 온으로 된다. 또한, 이상시 스위치(46)는 통상 온으로 되며 상기 압력 스위치(38)가 ON되면 일정시간 후에 오프로 된다.
또한, 이 전기 회로에 의하면 파일롯 밸브(23)의 제2 솔레노이드(26), 피더 전환 밸브(28)의 제2 솔레노이드(31)엔 통전되지 않으나 파쇄기 유압 모터(22), 피더 유압 모터(29)는 정전만으로 좋으므로 파일롯 밸브(23)의 제2 솔레노이드(26), 피더전환 밸브(28)의 제2 솔레노이드(31)엔 통전되지 않아도 좋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파쇄기 스위치(40)의 기동 스위치(43)를 온하면 파쇄기 릴레이(48)의 코일(48)에 통전되어 자기 유지 접점(48a)이 온으로 되며 그 코일(48b)은 자기 유지 접점(48a), 정지 스위치(44), 긴급 정지 스위치(45), 이상시 스위치(46)를 거쳐서 전원(47)에 접속되어 상개접점(48c)은 기동 스위치(43)를 오프로 해도 온으로 계속한다. 즉, 파쇄기 릴레이(48)는 자기 유지 기능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서 파일롯 밸브(23)는 정회전 위치(c)로 되어서 파쇄기 전환 밸브(21)가 정회전 위치(b)로 되며 제1 유압 펌프(20)의 토출압력 오일이 파쇄기 유압 모터(22)에 공급되어서 정전 작동하고 파쇄기(3)가 파쇄 작동을 행한다.
그런데 상술의 상태에서 정지 스위치(44)를 오프로 하면 코일(48b)과 전원(47)이 차단되어서 상개 접점(48c)이 오프로 되어서 파일롯 밸브(23)가 중립 위치(d)로 되며 그것에 의해서 파쇄기 절환 밸브(21)가 중립 위치(a)로 되어서 파쇄기 유압 모터(22)가 정지되고 파쇄기(3)가 정지된다.
또한, 피더 스위치(41)의 기동스위치(43), 밸트 콘베이어 스위치(42)의 기동 스위치(43)를 온했을 때는 피더 릴레이(49), 밸트 콘베이어 릴레이(50)가 상술과 마찬가지로 작동하고 피더 유압 모터(29), 밸트 콘베이어 유압 모터(34)가 정전해서 피더, 밸트 콘베이어(10)가 작동한다. 즉, 피더 릴레이(49), 밸트 콘베이어 릴레이(50)는 자기 유지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정지 스위치(44)를 오프하면 상술과 마찬가지로 피더, 밸트 콘베이어(10)가 정지한다.
또한, 상술같이 파쇄기(3), 피더, 밸트 콘베이어(10)를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긴급 정지 스위치(45)를 오프하면 각 릴레이의 자기 유지가 해제되며 각 전환 밸브가 중립 위치로 되어서 파쇄기(3),피더, 밸트 콘베이어(10)가 거의 동시에 긴급 정지한다.
또한, 상술같이 파쇄기(3), 피더, 밸트 콘베이어(10)를 작동해서 피파쇄물(a)을 파쇄하고 그 파쇄조각(b)을 밸트 콘베이어(10)로 배출하고 있을 때, 밸트 콘베이어(10)에 이상이 발생해서 정지하면 밸트 콘베이어 유압 모터(34)가 정지하고 제3 주유압 펌프(32)의 토출압력 오일이 막다르게 되어 압력이 상승한다. 그리고 이 제3 주유압 펌프(32)의 토출압력 오일이 릴리프 밸브(39)의 설정압 이상으로 되면 압력 스위치(38)가 온한다.
압력 스위치(38)가 온하면 제3도에 있어서 이상시 스위치(46)가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오프로 되고 각 릴레이의 자기유지가 해제되어서 각 전환 밸브가 중립 위치로 되어서 각 유압 모터가 정지하고 파쇄기(3), 피더, 밸트 콘베이어(10)가 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밸트 콘베이어(10)가 이상등으로 정지했을 때는 다른 모든 작동이 정지하므로 밸트 콘베이어(10)상에 파쇄조각이 퇴적하는 일이 없고 그것에 의해서 밸트 콘베이어(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밸트 콘베이어(10)의 파손이 방지되며 파쇄 작업을 능률있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릴레이의 자기 유지 점검과 전원(47)을 접속하는 회로에 리모트 콘트롤, 래디오 콘트롤러 온, 오프하는 스위치를 설치해도 좋다.
제4도는 다른 파쇄기 구동 제어 유압 회로이다. 주 유압 펌프(20)의 토출압력 오일이 파쇄기 전환 밸브(21)로 파쇄기용 유압모터(12)에 공급 제어된다. 그 파쇄기 전환 밸브(21)는 통상 중립위치(a)에 유지되며 파일롯 밸브(23)에서 공급되는 보조 유압 펌프(24)의 토출 압력 오일로 정회전 위치(b), 역회전 위치(c)로 전환된다. 그 파일롯 밸브(23)는 통상 중립 위치(d)에 유지되며 제1, 제2 솔레노이드(25),(26)에 각각 통전되므로서 정회전 위치(e), 역회전 위치(5)에 전환된다.
상기 제1 솔레노이드(25)는 릴레이(27)를 거쳐서 전원(47)에 접속되며 그 릴레이(57)는 기동스위치(43)로 제어된다. 상기 제2 솔레노이드(26)는 버턴식의 스위치(20)를 거쳐서 전원(47)에 접속되며 이 스위치(60)는 스프링(61)으로 통상 오프로 되며 스프링(61)을 저항해서 누르므로서 온으로 된다.
다음에 이 파쇄기 구동 제어 유압 회로의 작동을 설명한다.
기동 스위치(43)를 조작하고 릴레이(57)를 온하므로서 제1 솔레노이드(25)에 통전되어서 파일롯 밸브(23)가 정현 위치(e)로 되며 그것에 의해서 보조 유압 펌프(24)의 토출압력 오일가 파쇄기 전환 밸브(21)의 제1 수압부(21a)에 공급되어 정회전 위치(b)로 된다.
이것에 의해 주유압 펌프(20)의 토출압력 오일이 파쇄기 유압 모터(22)의 정전 포트(22a)에 공급되어서 파쇄기 유압 모터(22)가 정전하고 파쇄기(3)의 스윙조(7)가 왕복 요동해서 파쇄묵을 파쇄한다.
여기에서 기동 스위치(43)를 조작하고 제1 솔레노이드(25)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동시에 스위치(60)를 온하면 제2 솔레노이드(26)에 통전되어서 파일롯 밸브(23)가 역회전 위치(f)로 되며 이것에 의해서 보조 유압 펌프(24)의 토출압력 오일가 파쇄기 전환 밸브(21)의 제2 수압부(21b)에 공급되어 역회전 위치(c)로 된다.
이것에 의해서 주유압 펌프(20)의 토출압력 오일가 파쇄기 유압 모터(22)의 역전 포트(22b)에 공급되어서 파쇄기 유압 모터(22)가 역전하고 파쇄기(3)의 스윙조(7)가 고정조(6)에서 떨어지는 방향에 미이동한다.
따라서, 고정조(6)와 스윙조(7)과 사이에 피파쇄물이 물려들었을 때 기동 스위치(43)를 조작해서 제1 솔레노이드(25)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동시에 상술같이 스위치(60)를 수회 온하므로서 스윙조(7)가 고정조(6)에서 떨어지는 방향에 미이동하므로 피파쇄물이 자중으로 낙하하거나 작은 힘으로 피파쇄물을 꺼집어낼 수 있게 된다.
제5도는 파쇄기 구동 제어 유압회로의 또한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선 스위치(60)와 제2 솔레노이드(26)와 사이에 타이머(22)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스위치(60)를 온하면 제2 솔레노이드(26)에 일정 시간 통전되므로 스윙조(7)가 소정거리만큼 고정조(6)에서 떨어지는 방향에 이동한다.
이상같이 상기 파쇄기 구동 제어 유압 회로에 의하면 스위치(22)를 조작했을 때에만 파쇄기 유압 모터(22)를 역전할 수 있으므로 그 스위치(22)를 매우 단시간 조작하므로서 파쇄기 유압 모터(22)를 미역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파쇄기(3)의 스윙조(7)를 고정조(6)에서 떨어지는 방향에 미이동시켜서 물어들인 피파쇄물을 용이하게 꺼집어낼 수 있다. 따라서 피파쇄물의 꺼내기에 시간이 들지 않으며 파쇄작업을 능률있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개시한 실시예에 관해서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일탈하면 여러가지의 변경, 생략, 추가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선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요소에 의해서 규정되는 범위 및 그 균등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주행체(走行體)를 구비한 차체에 피더 및 파쇄기와 밸트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파쇄 시스템을 설치한 이동식 파쇄 기계의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트 콘베이어의 이상 정지를 검출하는 이상 정지 검출 수단과, 상기 이상 정지 검출 수단에서의 검출 신호에 의해서 상기 피더 및 파쇄기의 작동을 정지하는 작동 정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피더 유압 모터에 압력 오일을 공급하는 피더 전환 밸브와, 파쇄기 유압 모터에 압력 오일을 공급하는 파쇄기 전환 밸브와, 밸트 콘베이어 유압 모터에 압력 오일을 공급하는 밸트 콘베이어 전환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이상 검출 수단이 상기 밸트 콘베이어 유압 모터의 공급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된 것을 검출하는 압력 스위치이며, 상기 작동 정지 수단이 상기 압력 스위치에서의 검출 신호로 상기 전환 밸브를 압력 오일 공급 정지 위치로 구동하는 전기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가 상기 각 전환 밸브에 각각 접속되어 공급된 전기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각 전환 밸브를 압력 오일 공급 위치 또는 압력 오일 공급 정지 위치로 전환하는 전환 수단과, 피더 전환 밸브용의 전환 수단에 접속된 피더 릴레이와, 상기 피더 릴레이를 구동하는 피더 스위치와, 파쇄기전환 밸브용의 전환 수단에 접속된 파쇄기 릴레이와, 상기 파쇄기 릴레이를 구동하는 파쇄기 스위치와, 밸트 콘베이어 릴레이와, 상기 밸트 콘베이어 릴레이를 구동하는 밸트 콘베이어 스위치와, 상기 각 릴레이의 자기 유지 접점과 전원을 접속하는 회로에 설치된 항상 온(ON)형의 이상시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 스위치에서의 검출 신호로 상기 이상시 스위치가 오프(OFF)로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릴레이의 자기 유지 접점과 전원을 접속하는 회로에 긴급 정지 스위치를 상기 이상시 스위치와 직렬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
  5. 제3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 전환 밸브용 및 콘베이어 전환 밸브용의 각 전환 수단은 솔레노이드이며, 상기 파쇄기 전환 밸브용의 전환 수단이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파일롯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
  6. 주행체를 구비한 차체에 파쇄기와 밸트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파쇄 시스템을 설치하고, 상기 파쇄기를 고정조(fixing jaw)와 파쇄기 유압 모터에 의해 상기 고정조를 향해서 왕복 요동되는 가동조(swing jaw)로 구성한 이동식 파쇄 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에서, 상기 파쇄기 유압 모터에 압력 오일을 공급하는 파쇄기 전환 밸브를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파일롯 밸브에 의해서 중립 위치에서 정회전 위치 또는 역회전 위치로 각각 전환되게 하며, 상기 파일롯 밸브를 파쇄기 전환 밸브를 역회전 위치로 하기 위한 위치로 구동하는 제2 솔레노이드와 전원과의 사이에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
  7. 제6항 기재의 자주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에서, 상기 스위치와 제2 솔레노이드와의 사이에 타이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
  8. 주행체를 구비한 차체에 피더와 파쇄기와 밸트 콘베이어를 포함하는 파쇄 시스템을 두고 상기 파쇄기를 고정조와 파쇄기 유압 모터에 의해 상기 고정조를 향해서 왕복 요동되는 가동조로 구성한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에서, 상기 밸트 콘베이어의 이상 정지를 검출하는 이상 정지 검출 수단과, 상기 이상 정지 검출 수단에서의 검출 신호에 의해 상기 피더 및 파쇄기의 작동을 정지하는 작동 정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기 유압 모터에 압력 오일을 공급하는 파쇄기 전환 밸브를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파일롯 밸브에 의해 중립위치에서 정회전 위치 또는 역회전 위치로 각각 전환되게 하며, 상기 파일롯 밸브를 파쇄기 전환 밸브를 역회전 위치로 하기 위한 위치에 구동하는 제2 솔레노이드와 전원과의 사이에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피더 유압 모터에 압력 오일을 공급하는 피더 전환 밸브와 밸트 콘베이어 유압 모터에 압력 오일을 공급하는 밸트 콘베이어 전환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이상 검출 수단이 상기 벨트 콘베이어 유압 모터의 공급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된 것을 검출하는 압력 스위치이며 상기 작동 정지 수단이 상기 압력 스위치에서의 검출 신호로 상기 전환 밸브를 압력 오일 공급 정지 위치에 구동하는 전기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가 상기 각 전환 밸브 각각에 접속되어 있어 공급된 전기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각 전환 밸브를 압력 오일 공급 위치 또는 압력 오일 공급 정지 위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과, 피더 전환 밸브용의 전환수단에 접속된 피더 릴레이와, 상기 피더 릴레이를 구동하는 피더 스위치와 파쇄기 전환 밸브용의 전환수단에 접촉된 파쇄기 릴레이와, 상기 파쇄기 릴레이를 구동하는 파쇄기 스위치와 밸트 콘베이어 전환 밸브용의 전환수단에 접속된 밸트 콘베이어 릴레이와 상기 밸트 콘베이어 릴레이를 구동하는 밸트 콘베이어 스위치와 상기 각 릴레이의 자기 유지 접점과 전원을 접속하는 회로에 설치된 항상 온(ON)형의 이상시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 스위치에서의 검출 신호로 상기 이상시 스위치가 오프(OFF)로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릴레이의 자기 유지 접점과 전원을 접속하는 회로에 긴급정지 스위치를 상기 이상시 스위치와 직렬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
  12. 제10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 전환 밸브용 및 밸트 콘베이어 전환 밸브용의 각 전환 수단은 솔레노이드이며, 상기 파쇄기 전환 밸브용의 전환 수단이 상기 파일롯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와 제2 솔레노이드와의 사이에 타이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 장치.
KR1019960703424A 1993-12-28 1994-12-27 이동식 파쇄 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장치 KR100207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34010 1993-12-28
JP05334010A JP3117054B2 (ja) 1993-12-28 1993-12-28 自走式破砕機の破砕機駆動制御装置
JP93-334125 1993-12-28
JP33412593A JP3494230B2 (ja) 1993-12-28 1993-12-28 移動式破砕機の駆動制御装置
PCT/JP1994/002273 WO1995017969A1 (fr) 1993-12-28 1994-12-27 Appareil de commande de systeme de concassage pour concasseurs mobi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7760B1 true KR100207760B1 (ko) 1999-07-15

Family

ID=2657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424A KR100207760B1 (ko) 1993-12-28 1994-12-27 이동식 파쇄 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30373A (ko)
EP (1) EP0737516B1 (ko)
KR (1) KR100207760B1 (ko)
DE (1) DE69430138T2 (ko)
WO (1) WO1995017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853B1 (ko) * 1995-01-23 1999-01-15 안자키 사토루 이동식 크러셔 및 크러셔의 제어방법
JP3416843B2 (ja) * 1998-06-22 2003-06-16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竪型射出成形機の安全装置
GB9904438D0 (en) * 1999-02-26 1999-04-21 Errut Prod Ltd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ycling ground material
JP2003053203A (ja) * 2001-08-16 2003-02-25 Komatsu Ltd ジョークラッシャ
DE10215475B4 (de) * 2002-04-09 2007-05-16 Forus Gmbh Hydraulischer Antrieb für eine Zerkleinerungsmaschine
GB0215441D0 (en) * 2002-07-04 2002-08-14 Extec Ind Plc A crusher machine
DE10333359B3 (de) * 2003-07-23 2005-01-20 Vecoplan Maschinenfabrik Gmbh & Co. Kg Zerkleinerungsvorrichtung für Abfälle
EP2837583B1 (en) * 2013-08-14 2015-10-14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Mobile bulk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with slewing conveyor
CN104675773B (zh) * 2015-03-06 2016-11-23 浙江大学 一种辊压速度精准调控的辊压机纯水液压系统及其方法
CN105536918B (zh) * 2016-01-29 2017-12-08 陈安 一种带监控的微型颚式破碎机
US20230095438A1 (en) * 2021-09-30 2023-03-30 Curtis Randolph Automotive hydraulic system smart monitor and safety systems an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888013A1 (ru) * 1979-04-26 1981-12-07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Неруд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Гидромеханизации (Вниинеруд)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процесса дроблени и классификации
US4793561A (en) * 1982-05-24 1988-12-27 Mac Corporation Of America Speed-responsive reversing hydraulic drive for rotary shredder
US4721257A (en) * 1986-12-04 1988-01-26 Williams Patent Crusher And Pulverizer Company Rotary shredding apparatus
US4988045A (en) * 1987-04-13 1991-01-29 American Pulverizer Company Vertical scrap metal crusher
JPH044029A (ja) * 1990-04-21 1992-01-08 Sugiyama Juko Kk 回転容器型混合機
US5074435A (en) * 1990-06-01 1991-12-24 Don Suverkrop, Inc. System for controlling the feed rate of a vibrating feeder
JP2682744B2 (ja) * 1990-12-10 1997-11-26 日鉄鉱業株式会社 破砕プラントの原料供給量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3359650B2 (ja) * 1991-12-03 2002-12-24 メッツォ・ミネラルズ・ジャパン株式会社 移動式クラッシャ
US5566893A (en) * 1993-03-22 1996-10-22 Getz; Roland A. Portable recycle cru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30373A (en) 1998-03-24
EP0737516B1 (en) 2002-03-13
DE69430138D1 (de) 2002-04-18
EP0737516A4 (en) 1998-04-15
EP0737516A1 (en) 1996-10-16
WO1995017969A1 (fr) 1995-07-06
DE69430138T2 (de) 200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7760B1 (ko) 이동식 파쇄 기계의 파쇄 시스템 구동 제어장치
US5803376A (en) Crushing machine control system for a self-traveling crushing machine vehicle
KR100224291B1 (ko) 자주식 파쇄기계
EP0685264B1 (en) Mobile crusher
JPH11107320A (ja) バッテリ駆動の油圧作業機械
KR100626137B1 (ko) 전단 파쇄기의 파쇄 제어 장치
JP3953658B2 (ja) 樹枝粉砕機
JP3494230B2 (ja) 移動式破砕機の駆動制御装置
JPH09239286A (ja) クラッシャーの負荷制御装置
JP2000325829A (ja) 自走式破砕機のフィーダ制御装置
JP3327733B2 (ja) 破砕機
JP3294719B2 (ja) 破砕機の駆動装置
JP3117054B2 (ja) 自走式破砕機の破砕機駆動制御装置
JPH08196934A (ja) 建設廃材破砕機の安全装置
SU1502106A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 и управлени дробилкой кормов
JP3562829B2 (ja) 破砕機の運転装置
JP2008080222A (ja) 破砕機の制御装置
JPH10141307A (ja) 液圧ユニット
JP2000225355A (ja) 破砕機
JPS5820980A (ja) 圧縮機の台数制御装置
JP2512231B2 (ja) 固定刃付破砕装置
JP3247019B2 (ja) 自走式建設廃材破砕機の警報装置
JP2000225356A (ja) 破砕機の破砕制御システム
JP2003154504A (ja) 樹枝粉砕機
JP2880099B2 (ja) チッパシュレッ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