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327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327B1
KR0184327B1 KR1019960013435A KR19960013435A KR0184327B1 KR 0184327 B1 KR0184327 B1 KR 0184327B1 KR 1019960013435 A KR1019960013435 A KR 1019960013435A KR 19960013435 A KR19960013435 A KR 19960013435A KR 0184327 B1 KR0184327 B1 KR 0184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ontainer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accommodating portion
photosensitiv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512A (ko
Inventor
다까시 아꾸쯔
요시까즈 사사고
하루히사 오시다
도시유끼 가라까마
간지 요꼬모리
신야 노다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499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44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14597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339148A/ja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96003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46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using a handle for carrying or pulling out of the main machine, legs of ca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03G2221/1633Details concerning the developing proc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이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서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토너 수용 용기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개구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와,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에 의해 조직되어서 커버 부재가 변형될 때에 서로에 대해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장치
제1도는 현상 프레임과 세척 프레임의 결합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현상 프레임과 세척 프레임 사이의 결합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현상 프레임과 세척 프레임 사이의 결합부의 부분 절결 평면도.
제4도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제5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횡단면도.
제6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
제7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삽입 또는 제거하는 중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우측 안내부의 구조를 나타나는 설명도.
제8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삽입 또는 제거하는 중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좌측 안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9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안에 장착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안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적인 단면도.
제11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안으로 더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2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안으로 더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3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안으로 더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4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안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단면도.
제15도는 화상 형성 장치의 뚜껑이 개방되어 있으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완전히 장착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6도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본해 사시도.
제17도는 토너 밀봉부가 현상 프레임에 장착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8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 사시도.
제19도는 링크 부재가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장착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20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손에 쥐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1도는 토너 수용 용기의 사시도.
제22도는 토너가 충전되었을 때의 토너 용기의 사시도.
제23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단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25도는 토너 수용 용기의 내측의 사시도.
제26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 시스템 2 : 기록 매체
3 : 운반 수단 3a : 급지 카세트
3b : 픽업 롤러 3c : 가압 부재
6 : 파지부 7, 107 : 감광 드럼
8, 108 : 대전 롤러 10 : 현상 장치
10d, 109c : 현상 롤러 10e, 109d : 현상 블레이드
11a, 110a : 세척 블레이드 12, 112 : 현상 프레임
13, 113 : 세척 프레임 14 : 주 조립체
16 : 안내 레일 17 : 안내 부재
29 : 링크 부재 31 : 기어 커버
32 : 충전 개구 33 : 캡
36 : 링크 지지 부재 38 : 아암부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일례로, LES 프린터 또는 레이저 프린터), 전자 사잔 모사 전송기(팩시밀리), 전자 사진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이며, 그 안에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 전자 사진 감광 부재가 일체로 하우징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그리고 적어도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을 일체로 포함하거나, 또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그리고 적어도 현상 수단을 일체로 포함할 수 있다.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작용하는 처리수단들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처리를 기본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그들 스스로 화상 형성 장치를 보수 유지할 수 있었으며 정비 기술자가 필요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 효율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었다. 결국,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한 계속적인 개발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향상된 효율로 조립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고, 향상된 효율로 프로세스 카트르지를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그리고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호환성이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현상 수단이 신뢰성 있게 배치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고, 이와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호환성이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현상 수단을 서로 소정의 압력으로 신뢰성 있게 접촉 유지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고, 이와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호환성이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이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서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토너 수용 용기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개구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와,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에 의해 조작되어서 커버 부재가 변형될 때에 서로에 대해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정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작동 가능한 처리수단과,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토너 수용부의 개구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 및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토너 수용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로 조작되어서 커버가 변형될 때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수단과 기록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작동 가능한 처리수단과,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개구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토너 수용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로 조작되어서 커버가 변형될 때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과 기타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제1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 순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반적인 구조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는 화상 형성 장치를 먼저 설명하고, 카트리지 장착 수단, 드럼 셔터의 개폐 구조, 드럼 셔터의 개폐 이동, 카트리지 프레임의 구조를 차례로 설명한다. 그 후, 상술한 두 개의 카트리지 프레임을 결합하는 방법을 기술하기로 한다.
[일반적 구조]
제4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A)(레이저 비임 프린터)에 있어서, 화상 데이타를 보유하는 광 비임이 드럼 형태의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광학 시스템(1)로부터 투사되어 잠상을 형성하고, 이 잠상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는 화상 데이타 보유 광 비임으로 조사되기 전에 대전 롤러(8)에 의해 대전된다. 토너 화상의 형성과 동기하여, 급지 카세트(3a) 내에 배치된 기록매체(2)는 픽업 롤러(3b)와 접촉하여 소정 압력을 가하도록 배치된 가압부재(3c)에 의해 하나씩 하나씩 분리되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 공급된다. 기록매체(2)는 콘베이어 롤러 쌍(3d), 정합롤러 쌍(3e) 등을 구비한 운반 수단(3)에 의해 장치의 더 안쪽으로 운반된다. 전사 수단으로서의 전사 롤러(4)에 전압이 인가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에 일체로 배치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기록매체(2) 상에 전사된다. 토너 화상을 수용한 기록매체(2)는 콘베이어 벨트(3f)에 의해 정착 수단(5)로 반송된다. 정착 수단(5)은 구동 롤러(5a), 정착롤러(5d)를 구비하고 있다. 정착 롤러(5d)는 히터(5b)를 내장하고 있고 지지 부재(5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록매체(2)는 정착수단(5)을 통과하며, 열과 압력이 기록 매체(2) 상에 인가되어 기록매체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이 기록매체(2) 상에 정착된다. 정착된 토너 화상을 가진 기록매체(2)는 역전 통로를 통해 운반되고 방출 롤러 쌍(3a, 3h)에 의해 시트 파지부(6)로 방출된다. 이 화상 형성 장치(A)는 또 수동 급지 트레이(3i)와 롤러쌍(3j)을 구비하고 있어서 기록 매체(2)가 수동 급지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처리 수단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소제하기 위한 세척 수단 등을 포함한다. 제5도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감광층을 가진 드럼형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인 감광 드럼(7)이 회전되고, 회전 감광 드럼(7)의 표면은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8)에 전압을 인가하여 균일하게 대전된다. 감광 드럼(7)의 표면은 개구(9)를 통하여 상술한 광학 시스템(1)로부터 투사된 광학 화상에 노출되어 감광 드럼(7) 상에 잠상이 형성된다. 잠상은 현상 장치(10)에 의해 현상된다. 제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대 전롤러(8)는 감광 드럼(7)과 접촉한다.
현상 수단(10)에서, 토너 수용부(10a)에 수용된 토너는 제1 회전 토너 공급 부재(10b1) 및 제2 회전 토너 공급 부재(10b2)에 의해 고정 자석(10c)을 내장한 현상 부재인 현상 롤러(10d) 상으로 보내진다. 현상 롤러(10d)가 회전하면, 현상 블레이드(10e)에 의해 마찰전기 대전된 토너층이 현상 롤러(10d)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토너 층내의 토너 입자는 상술한 잠상에 대응하여 감광 드럼(7) 상에 전사되어 잠성이 토너 화상, 즉 가시 화상으로 현상된다.
토너 화상의 극성과는 반대 극성을 가진 전압이 전사 롤러(4)에 인가됨으로써 토너 화상이 기록매체(2)에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7) 상에 잔류하는 토너는 잔류 토너 소제용 세척 블레이드(11a), 감광 드럼(7)으로부터 긁어내어진 토너를 수용하는 수용 시트(11b), 폐토너 수집용 폐토너 수집기(11c)를 포함하는 세척 수단(11)에 의해 제거된다. 제5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세척 블레이드(11a)는 감광 드럼(7)과 접촉한다.
감광 드럼(7)와 같은 부품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프레임 내에 일체로 배치되어 있어서,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 프레임은 현상 프레임(12) 및 세척 프레임(13)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현상 프레임은 현상 프레임(12a), 현상 프레임 저부(12b) 및 현상 프레임 뚜껑(12c)을 함께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카트리지 설치 수단]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5)을 개방함으로써 장치 주 조립체(14) 내에 장착된다.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설치 수단은 뚜껑(15)을 축(15a)을 중심으로 회전 개방시킬 때 노출되는 한쌍의 안내 레일(16)을 포함한다(제4도). 안내 레일(16)에는 상향 만곡부(본 실시예에서는 거의 호형임)가 제공되어 있고, 카트리지 수납 공간을 가로질러 장치 주 조립체(4)의 각 측벽에 대칭 배치된다. 안내 레일(16)의 상방에는 안내 부재(17)가 장착된다. 안내 레일(16)의 입구 측에는 제1 경사면(16a), 제2 경사면(16b)이 제공되어 있다. 제2 경사면(16b)은 제1 경사면(16a) 보다 가파른 각도를 갖고 있으며, 제1 경사면(16a)의 저단부로부터 더욱 하향 연장되어 있다.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경우 종단부 표면에는 안내부가 제공되어 있고, 이 안내부에는 두 개의 안내부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대응 단부면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대응 돌출되어 있고 안내 레일(16)에 의해 안내된다. 제6도를 참조하면, 안내부는 보스부(18)와 리브부(19)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보스부(18)와 리브부(19)는 감광 드럼(7)이 장착되는 세척 프레임(1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18)는 감광 드럼(7)의 회전축의 가장 연장선과 일직선으로 되어 있고, 리브부(19)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삽입 방향에 대해 보스부(18)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안내 레일(16)의 형상과 일치하는 상향 만곡부(본 실시예에서는 거의 호형임)를 형성한다.
제10도 내지 제15도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상술한 구조를 가진 장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뚜껑(15)을 우선 개방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주 조립체에 삽입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선단부가 광학 수단(1) 하방의 공간 내로 침몰하게 한다. 안내 레일(16)은 호형이며, 안내 레일(16) 상방에 배치된 안내 부재(17)는 안내 부재(17)와 꼭 맞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리브(19)는 안내 부재(17)의 형상과 똑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결국,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더 깊숙이 삽입하면, 그 배향은 거의 수평이 된다. 카트리지(B)를 더욱 내측으로 삽입하면, 장치 주 조립체(14) 상에 제공된 맞닿음 부재(20)가 세척 프레임(13)의 선단부의 각 종단 상에 제공된 접촉면(21)과 접촉하게 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보스부(18)는 안내 레일(16)의 가장 깊숙한 단부에 배치된 요홈(16c)으로 낙하하게 된다. 결국, 감광 드럼(7)의 종단부 중 하나에 고정된 드럼 기어(도시 않음)는 장치 주 조립체(14)측상에 제공된 구동 기어(22)(제8도)와 결합하게 되어 구동력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제12도를 참조하면, 뚜껑(15)이 폐쇄되면 뚜껑(15) 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부터의 압력하에 있는 가압 부재(24)는 세척 프레임(13)의 아암부(15)와 접촉하게 되고, 뚜껑(15)의 폐쇄 이동에 의해 토오크를 받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발생된 소정 압력으로 눌리게 된다. 동시에, 장치 주 조립체(14) 상에 제공된 맞닿음 부재(2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접촉면(21)과 접촉하게 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제15도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취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뚜껑(15)을 열어서 가압부재(24)를 통해 인가된 압력을 제거한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B)는 상향 견인하여 보스부(18)를 요홈(16c)으로부터 취출한다.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리브부(19)가 안내 레일(16)을 따르게 하면서 제12도의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서 견인하여 제거될 수 있다.
카트리지 프레임의 저부에는 감광 드럼(7)이 운반된 기록 매체(2)와 접촉하게 하는 개구(O)가 제공되어 있다. 카트리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개구는 드럼 셔터 부재(28)를 폐쇄함으로써 보호되어 감광 드럼(7)을 보호한다. 제6도를 참조하면, 드럼 셔터 부재(28)는 셔터 아암(27)과 링크 부재(2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셔터 아암(27)은 현상 프레임(12)의 종방향 측벽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축선(26)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지만, 링크 부재(29)는 회전 중심(29a)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 프레임의 종방향 측벽 상에 지지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 레일(16)을 따라 삽입되면, 링크 부재(29)의 굽힘부로 구성된 돌출부(29b)는 안내 레일(16)의 제1 및 제2 경사면(16a, 16b)과 접촉하게 되어 셔터 부재(28)를 개방시킨다(제11도 및 제12도). 반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취출하고 나면 셔터 부재(28)는 축선(26) 주위에 끼워진 비틀림 코일 스프링(30)(제6도)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A)에 착탈할 때, 사용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현상 프레임(12)의 손잡이부(12c2)를 들어낸다. 손잡이부(12c2)는 카트리지 뚜껑(12c)의 표면에 대향하는 경사진 상면을 갖고 있다. 제6도를 참조하면, 이 경사부, 즉 손잡이부(12c2)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주 조립체에 착탈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리브(12c1)가 형성된 미세한 산과 골이 형성되어 있다. 제5도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프레임의 저부에는 하향으로 불거진 R부가 제공되어 있고, 이 R부에는 손잡이부(12a10)를 구성하는 상술한 리브(12a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리브(12a9)가 제공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A)에 착탈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손잡이부(12c2, 12a10)(리브(12c1) 및 리브(12a9))를 들어내고, 세척 프레임(13)의 보스부(18)와 리브부(19)가 안내 레일(16)에 따르게 하면서 장치 주 조립체에 삽입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주 조립체에 너무 빨리 밀어 넣으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현상 프레임(12)과 세척 프레임(13)을 결합하는 핀(41) 상에 대부분 작용하는 큰충격을 받게 된다. 그러나, 현상 프레임(12)과 세척 프레임(13)은 핀(41)에 대해 회전 가능하므로, 상술한 충격은 전체 카트리지 프레임에 걸쳐 분배되며, 충격은 특정 부위에만 집중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충격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 및 현상 프레임 저부(12b) 사이의 용접 이음부에 집중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 및 현상 프레임 저부(12b)의 용접 강도는 양 프레임부(12a, 12b)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할 정도이다. 결국,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 및 현상 프레임 저부(12b)를 용접할 때, 용접 조건을 특별히 조절할 필요가 없게 되어, 생산성을 해치지 않고 현상 프레임(12)의 조립이 가능해진다.
또, 현상 롤러(10d)와 현상 블레이드(10e)에 대한 장착 시트의 위치 결정 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 상에 제공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에는 아암부(38)가 제공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허용 롤러(10d) 및 블레이드(10e)는 정밀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어서 현상 프레임(12) 상에 장착된 감광 드럼(7)과의 위치 관계를 충분히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다.
[드럼 셔터 개폐 구조]
제6도, 제18도 및 제19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드럼 셔터의 개폐 구조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개폐 구조]
제6도를 참조하여, 셔터 아암(27)의 한 단부가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의 종단 표면 상에 제공된 축(26)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다른 단부에는 드럼 셔터 부재(보호 커버)(28)의 짧은 엣지의 한 단부에 형성된 링부(28a)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셔터 부재(28)에는 엣지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링부(28a)에 대향한 측면 상에 종방향 엣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홈(28b)이 제공되어 있다. 이 홈(28b)에는, 금속 와이어를 굽혀서 형성한 셔터 링크 부재(지지 부재(29))가 회전 가능하게 꽃혀 있다.
제6도 및 제18도를 참조하면, 링크 부재(29)의 단부(29a)가 링크 지지 부재(36) 및 기어 커버(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9도를 참조하면, 링크 지지 부재(36)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의 토너 충전 개구(32)를 덮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조립 공정 중에, 토너는 토너 충전개구(32)를 통해 토너 유지부(10a)에 충전되고, 토너 충전 개구(32)는 캡(33)으로 일봉된다. 그 후, 링크 지지 부재(36)는 캡(33)을 덮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에 용접된다.
링크 지지 부재(링크 마운트)(36)에는 특정 지점(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에 링크 지지 부재(36)를 용접한 후에 토너 충전 개구(32) 바로 상방에 배치된)에 배치된 축 구멍(36a)이 제공되어 있다. 링크 부재(29)의 단부(29a)는 이 축 구멍(36a)에 삽입되어 있어서, 링크 부재(29)는 단부(29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8도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다른 측면 상에, 감광 드럼(7)의 종단에 고정된 드럼 기어(21a)와 기어(21b 내지 21g)를 포함하는 기어열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의 종방향 단부면 상에 정착된다. 이 기어열은 현상 롤러(10d)와 토너 이송 부재(10b1, 10b2)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술한 기어 커버(31)는 이 기어열을 덮도록 장착된다. 링크 부재(29)의 다른 단부는 다른 단부(29a)가 링크 부재(2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기어 커버(31) 내에 제공된 축 구멍(31a))에 삽입된다.
제6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보아, 링크 부재(29)는 L자형을 이루고, 그 굽힘부로부터 U자형 돌기(29a)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으로 외향 돌출하게 되어 있다. 이 돌기(29b)가 회전 가능하게 이동하면, 링크 부재(29)는 회전 이동되어 셔터 부재(28)는 개구(O)를 노출하거나 또는 덮개 된다.
상술한 축(26)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0)이 제공되어 있다. 스프링(30)의 한 단부는 셔터 아암(27)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단부는 세척 프레임(1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셔터 부재(28)는 스프링(30)의 탄성에 의해 발생된 폐쇄 방향으로 일정 압력하에 유지된다.
(개폐 이동)
다음에, 제10도 내지 제15도를 참조하여, 드럼 셔터(28)의 개폐 이동을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제11도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A)에 삽입할 때, 링크 부재(29)의 돌기(29b)는 안내 레일(16)의 제1 경사면(16a)과 접촉하게 된다. 이 접촉 순간에, 제1 경사면(16a)과 링크 부재(29)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θ는 예각이다. 결국, 링크 부재(29)와 제1경사면(16a)은 서로 기대지 않게 되어 셔터 부재가 원활하게 개방되게 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원활하게 삽입되게 한다.
다음에, 제12도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더욱 삽입되면 돌기(29b)는 제1 경사면(16a)과 접촉한 채 남아 있기 때문에, 셔터 부재(28)가 점차 후방으로 개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더욱 깊이 삽입되면, 돌기(29b)는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레일(16)의 제2 경사면(16a) 상으로 이동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 삽입 공정을 완료한다. 제2 경사면(16b)은 제1 경사면(16a) 보다는 가파른 각도를 갖고 있어서 셔터 부재(28)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더욱 삽입시킴으로써 링크 부재(29)의 돌기(29b)가 제2 경사면(16b) 상으로 이동한 후에도 동일한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셔터 부재(28)는 너무 많이 개방되지도 않고 또 충분히 개방되지 못하지도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28)는 링크 부재(29)가 회전 이동함에 따라 개폐된다. 그러나, 링크 부재(29)는 토너 충전 개구(32)를 덮는 링크 지지 부재(36)에 의해 지지되며, 링크 부재(29)는 토너 충전 개구 바로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 부재(28)가 화상 형성 장치(A)의 제한된 내부 공간 내에 소정 장소를 차지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제한되던 링크 부재(29)의 회전 중심의 위치 결정에 허용 범위가 넓어지게 되며, 토너 충전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토너 충전 장치(32)의 크기를 증대시켜야 하는 경우에도 링크 부재(29)의 설치점의 위치 결정 허용 범위가 넒어지게 할 수 있다.
(카트리지 프레임의 구조)
다음에, 카트리지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카트리지 프레임은 폴리스티롤 수지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제16도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프레임은 현상 프레임(12)인 제1 프레임과, 세척 프레임(13)(드럼 프레임)인 제2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현상 프레임(12)은 현상 프레임 저부(12b)(현상 롤러지지 프레임)을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에 그 종방향 엣지를 따라서 용접한 후 선행하는 두 개의 프레임부의 상부에 뚜껑(12c)를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에는 토너 공급 개구(12a1) 및 토너 충전 개구(12a2)가 제공되어 있다. 토너 공급 개구(12a)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토너 충전개구(12a2)는 종방향 단부벽의 하나에 배치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 내에는 몇 개의 지지 부재(12a3)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은 직립되어 있으며, 프레임부의 종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현상 수단 조립시에, 제1 토너 공급 부재(10b1)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에 먼저 조립하고 그 다음 뚜껑 부재(12)가 용접된다. 다음에, 토너 공급 개구(12a1)는 토너 공급 개구(12a) 주위에 형성된 밀봉 부착 시트(12a5)에 토너 밀봉부재(막)(31)을 토너 공급 개구(12a) 주위에 형성된 시일 부착 시트(12a5)에 용접하여 밀봉된다. 이 때, 토너가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의 토지 유지부(10a)에 충전된 후에, 캡(32)은 토너 유지부(10a)를 밀봉하도록 토너 충전개구(12a2) 상방에 배치된다. 제17도를 참조하면, 토너 공급 개구(12a1)를 밀봉한 토너 밀봉 부재(31)는 토너 공급 개구(12a1)의 종단부 중 한 종단부가 뒤로 젖혀지고 그 자유 단부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의 슬릿(12a8)을 통해 노출되게 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사용 개시할 때 사용자가 노출된 자유단을 견인하여 토너 밀봉 부재(31)를 제거할수 있게 한다.
다음에, 현상 프레임 저부(12b)는 종방향 엣지를 따라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에 용접되고 제2 토너 이송 부재(10b2)는 현상 프레임 저부(12b)에 부착된다. 이 때, 발포 우레탄 등으로 된 시일(35)이 블레이드 장착 시트(12a4) 하방에 부착되고 현상 블레이드(10e)는 블레이드 장착 시트(12a4)에 나사 체결된다. 다음에, 발포 우레탄 등으로 제조된 시일(34)이 부착되고 현상 롤러(10d)의 축이 베어링(33a, 33b) 내에 배치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에는 베어링(33a, 33b)을 고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인 호형부(12a6)가 제공되고, 베어링(33a, 33b)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의 호형부(12a6)에 고정된다. 따라서, 축이 베어링(33a, 33b)에 의해 지지된 현상 롤러(10d)는 적당한 정밀도로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에 부착된다.
링크 지지 부재(36)는 상술한 캡(32)을 덮는 현상 프레임(12)의 종단부 중 하나에 부착된다. 현상 프레임(12)의 다른 쪽에는, 감광 부재(7), 현상 롤러(10d) 등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열이 장착되고, 기어 커버(37)가 기어열을 덮도록 부착된다. 기어 커버(37)에는 위치 결정 축(37a)에 제공되어 있다. 기어 커버(37)의 위치는, 베어링(33a)의 구멍(33a1) 및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의 구멍(12a7)에 삽입함으로써 이 위치 결정축(37a)을 고정한 후에, 결합 갈퀴, 나사 등을 이용하여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에 고정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의 종단부 중 하나에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와 일체로 형성된 이음부로서의 아암부(38)가 제공되어 있다. 또,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의 다른 종단부에 부착된 기어 커버(37)에는 이음부(제16도)에 아암부(38)가 제공되어 있다.
상술한 현상 수단을 구비하는 각종 부품이 조립되는 현상 프레임(12)과,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및 세척 수단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조립되는 세측 프레임(13)은 아암부(38)에서 서로 결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완성한다.
(현상 프레임과 세척 프레임의 결합 구조)
다음에,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현상 프레임(12)과 세척 프레임(13)을 결합하는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상기 2개의 프레임(12, 13)의 사시도로서 그 결합방법을 도시한다. 제2도는 연결부의 내부 구조를, 제3도는 연결부의 부분 절결 개략적 평면도이다. 프레임(12, 13)이 아암부(38)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극 연결부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한 쪽에 대한 설명만을 하기로 한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현상 프레임(12)과 세척 프레임(13) 사이에 형성된 각도로 탄성 가요성을 주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스프링 부착부(39a)와 원통부(39b)를 일체로 포함하는 압축 스프링 고정 부재(39)에 부착된 압축 스프링(40)이 제공되어 있다. 원통부(39d)는 스프링 부착부(39a)에 부착된 압축 스프링(40)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원통부의 헤드부에는 리브(39b)가 제공되어 있고, 원통부(39d)의 주위면에는 두 개의 플랜지(39c)가 제공되어 있다.
현상 프레임(12)의 아암부(38)의 상향면에는 요홈(38a)(수납부)이 제공되어 있다. 요홈(38a)의 위치는 프레임(12)과 세척 프레임(13)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후에 요홈(38a)이 세척 프레임(13)의 부착 구멍(13a) 바로 하방에 배치된다. 또, 핀(41)이 끼워지는 관통 구멍(38b)은 아암부(38)의 선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핀(4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세척 프레임(13)에는 상술한 스프링 고정 부재(39)가 가압되는 부착 구멍(13a)이 제공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부착구멍(13a)은 스프링 고정 부재(39)의 플랜지(39c)나 원통부(39d) 보다 약간 큰 원통형 구멍부(13a1)와 절결부(13a2)로 구성된다. 세척 프레임(13)의 외벽(13b)에는 핀(41)이 삽입되는 구멍(13c)에 제공되어 있고, 세척 프레임(13)의 내벽(13d)에는 핀(41)이 가압되는 구멍(13e)이 제공되어 있다. 구멍(13c, 13e)의 축선이 서로 일치하고, 세척프레임(13)의 종방향에 대해 다른 쪽에 제공된 구멍(13c, 13e)의 축선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리브(13f)는 부착구멍(13a)에 인접한 세척 프레임(13)의 내면 상에 제공된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상술한 구조를 이용하여 프레임(12)과 세척 프레임(13)을 결합할 때, 현상 프레임(12)의 아암부(38)는 세척 프레임(13)의 결합부(13h)에 삽입된다. 다음에, 핀(41)은 세척 프레임(13)의 구멍(13c)과 아암부(38)의 관통구멍(38b)을 통해 순서대로 삽입되고 구멍(13e)으로 밀어 넣어진다. 결국, 현상 프레임(12) 및 세척 프레임(13)은 핀(41)에 대해 회전 가능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이런 프로세스 카트리지(B) 조립 단계에서,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10d)를 서로 가압하는 힘은 전혀 존재하지 않으므로, 조립 작업자는 양 부품의 회전 가능성의 정도를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도를 참조하면, 스프링(40)이 부착되는 스프링 고정 부재(39)는 부착 구멍(13a)에 삽입되고, 부착구멍(13a)의 절결부(13a2)와 스프링 고정 부재(39)의 플랜지(39c)는 요홈(38a)는 저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스프링(40)의 선단과 정렬되며, 스프링 고정 부재(39)는 스프링 고정 부재(39)가 리브(13f) 하방에 배치되고 원통부(39d)가 부착 구멍(13a)의 원통 구멍부(13a1)에 의해 안내되게 될 때까지 스프링(40)의 압축 방향으로 직접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 고정 부재(39)는 90∴ 회전하여서 해제된다. 결국, 스프링 고정 부재(39)가 원통형 구멍부(13a1)에 의해 안내되면서 스프링(40)의 탄성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그리고 나서 플랜지(39c)가 부착 구멍(13a)의 저단부에 닿는 점에서 정지된다.
결국, 현상 프레임(12) 내에 정착된 룰러(10d)는 세척 프레임(13) 내에 장착된 감광 드럼(7)을 향해 압박되어 현상 롤러(19d)의 종단부에 설치된 스페이서로서의 링 부재(도시 않음)와 접촉하게 되어 감광 드럼(7)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감광 드럼(7)의 종단부에 고정된 드럼 기어는 현상 롤러(10d)의 종단부에 고정된 롤러 기어와 결합하여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다음의 구조를 갖는다.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드럼 프레임(13)(세척 프레임), 현상 프레임(12), 토너 프레임(12a)을 포함한다. 드럼 프레임(13)은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을 둘러싸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8),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상에 잔류하는 토너 제거를 위한 세척 블레이드(11a)를 둘러싸며, 여기서 대전 롤러(8)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7)과 접촉하며, 세척 블레이드(11a)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7)과 접촉한다. 현상 프레임(12)은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10d)와, 상술한 현상을 위해 사용된 토너를 유지하는 토너 유지부(10)를 구비한 토너 프레임(12a)을 둘러싼다. 토너 프레임(12a)은 그 종단부를 따라 프레임(12)과 결합되어 있고 아암부(38)를 지지한다. 아암부(38)는 토너 프레임(12a)의 각 종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그 종단부에 직각인 방향으로 드럼 프레임(13)을 향해 돌출하여 현상 프레임(12,12)이 서로에 대해 진동하도록 결합되게 한다. 또, 토너 프레임(12a)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유지하는 손잡이부(12a10, 12c2)로 구성된다. 이들은 토너 프레임(12a)의 드럼 프레임(13)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손잡이부(12a10, 12c2)는 토너 프레임(12a)의 토너 유지부(10a)의 뚜껑(12c)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뚜껑(12c)을 토너 프레임(12a)에 부착할 때 토너 프레임(12a)의 일부가 된다. 또, 토너 프레임(12a)에는 토너가 충전되는 토너 충전 개구(12a2)와, 토너 유지부(10a) 내의 토너를 현상 롤러(10d)에 공급하는 토너 공급 개구(12a1), 그러나 토너 시일(31)이 부착되는 토너 밀봉 마운트(12a5)가 제공되어 있다. 토너 충전 개구(12a2)는 토너 프레임(12a)의 종단부 중 하나에 배치되고, 토너 공급 개구(12a1)와 토너 밀봉 마운트(12a5)는 토너 프레임(12a)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토너 시일(31)은 토너 공급 개구(12a1)를 밀봉 해제 가능하게 밀봉한다. 토너 프레임(12a) 및 현상 프레임(12)은 아암부(38)의 구멍(38b)과 드럼 프레임(13)의 구멍(13c, 13e)을 통해 배치된 핀(41)에 연결되며, 토너 프레임(12a)과 드럼 프레임(13)이 결합된 현상 프레임(12)은 핀(41)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12)과 제2 프레임(13)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10d)의 회전 능력이 보장되고, 감광 드럼(7)과 현상 롤러(10d)는 스프링 고정 부재(39)에 의해 고정된 스프링(40)에 의해 서로 가압되므로, 현상 롤러(10d)에 의해 감광 드럼(7)에 가해진 압력 맥동이 제거된다. 또, 스프링 고정 부재(39)는 스프링 고정 부재(39)에 부착된 압축 스프링(40)을 적절히 압축시킨 상태에서 유지하도록 부착되므로 압축 스프링(40)은 뒤틀리기 십다. 또, 스프링 고정 부재(39)는 스프링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도 교체할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스프링 고정 부재(39)는제1 및 제2 프레임(12, 13)이 연결된 채로 교체할 수가 있어서, 스프링 고정 부재(39)는 카트리지 조립 순서에 관계없이 적절한 압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스프링 고정 부재로 교환할 수가 있다.
결국,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대한 조립 효율이 향상된다. 또, 상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이용하여 화상이 형성될 때, 롤러(10d)에 의해 가해진 압력(10d)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맥동하지 않게 되므로 고화질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화상 형성 장치의 각종 부품을 설명하기로 한다.
선행 실시예에서, 현상 프레임(12)과 세척 프레임(13)을 연결하는 아암부(38) 중 하나에는 기어 커버(37) 상에 배치되어 있고, 이 기어 커버(37)는 현상 프레임(12)의 종단부 중 하나에 고정되지만, 양 아암부(38)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 상에 직접 형성된다. 이 배치는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중에 발생된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도 있다.
또, 선행 실시예에서, 링크 지지 부재(30)는 카트리지 프레임에 용접시켰지만, 링크 지지 부재(30)는 카트리지 프레임에 나사 고정할 수도 있고 접착제로 카트리지 프레임에 집착시킬 수도 있다.
(토너 유지 프레임의 내부 구조)
다음에, 제21도 및 제22도를 참조하여,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격벽 부재(12a3)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에 제공되어 있는데, 이 격벽 부재(12a3)와 프레임 뚜껑(12c) 사이에는 간극이 제공되어 있다. 이런 배치는 사용자가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pcB)를 너무 견고하게 쥐어서 프레임 뚜껑(12c)이 휘어지더라도 프레임 뚜껑(12c)의 휘어진 부분이 격벽 부제(12a3)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격벽 부재(12a3)와 토너 유지부(10a) 사이에도 간극이 제공된다. 이런 배치는 토너 충전 개구(12a2)를 통해 토너 유지부(10a)로 주입된 토너가 격벽 부재(12a3)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격벽 부재(12a3)에 의해 격리된 공간 각각에 효과적으로 분배될 수 있게 한다.
제16도를 참조하면, 프레임 뚜껑(12c)의 상부의 경사면에는 손잡이부(12c2)를 형성하는 다수의 평행 리브(12c1)가 제공되어 있다. 또, 제21도를 참조하면,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의 저부에는 하향으로 볼록한 R부가 제공되어 있다. R부의 외면에도 손잡이부(12a10)를 구성하는 다수의 평행 리브(12a5)가 제공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2a10, 12c2)를 쥐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용이하게 파지할수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장치(A)에 원활하게 착탈할 수 있다(제9도).
이하에서는, 토너 유지부(10a) 내에 제공된 격벽 부재(12a3)와 프레임 벽면 사이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제5도를 참조하면, 간극(S1)은 격벽 부재(12a3)의 후단부와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의 후방벽(후방이라 함은 토너 유지부(10a) 내의 토너가 현상 롤러(10d)에 공급되는 방향에 관한 것임)의 내면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또, 격벽부재(12a3)의 상단부와 프레임 뚜껑(12c)의 내면 사이에는 미소 간극이(S2)이 제공되어 있다.
격벽부재(12a3)의 목적은 손잡이부(12c1, 12a10)를 쥐어서 프레세스 카트리지(B)를 취급하는 사용자에 의해 과도한 압력이 가해질 때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와 프레임 뚜껑(12c)의 형성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너무 견고하게 쥐어서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 및/또는 프레임 뚜껑(12c)이 변형되더라도, 격벽 부재(12a3)의 상단부와 프레임 뚜껑(12c)의 내면은 서로 접촉하게 되며 변형량이 조절된다.
토너 유지부(10a) 내에 격벽 부재(12a3)을 둠으로써, 토너 유지부(10a)의 내부 공기가 토너 충전중에 적절히 해제되지 않으면 토너는 충분한 높은 밀도로 충전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 부재(12a3)와 상술한 바와 같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의 후방벽의 내면사이에 간극(S1)을 제공하였다. 결국, 토너가 토너 충전 개구(12a2)를 통해 충전되면 토너 유지부(10a)의 내부 공기는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S1)을 통해 토너 유지부(10a)로부터 흘러나오게 할 수 있다(토너 흐름은 검은 화살표로 표시하고 공기의 흐름은 백색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결국, 토너는 충분한 밀도를 가지고 토너 유지부(10a)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해제 효율과 프레임 변형을 조절함에 있어서의 효율성간의 적절한 형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간극(S1)은 5mm 내지 20mm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간극(S2)이 격벽 부재(12a3),와 프레임 뚜껑(12c)의 상단부에 제공되어 있으므로, 버어(burr)의 발생이 방지된다. 특히, 간극(S2)을 제공하지 않고 프레임 뚜껑(12c)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에 부착할 때, 격벽 부채(12a3) 상단부와 프레임 뚜껑(12c)의 내면은 제조 공차로 인해 접촉하게 되는 일도 있다. 격벽 부재(12a3)와 프레임 뚜껑(12c)이 서로 접촉할 때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와 프레임 뚜껑(12c)이 초음파 용접에 의해 서로 용접되면, 격벽 부재(12,a3) 상단부와 프레임 뚜껑(12c)의 내벽 사이에는 버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운반 등을 상황에서 버어가 토너 유지부(10a)로 낙하하여 토너와 섞여서 토너 핵을 형성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버어의 발생을 방지할수 있다.
한편, 간극(S2)이 너무 크면, 토너 유지부(10a)의 내압은 증가되기 쉽다. 이는 초음파 용접을 사용하여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에 용접된 프레임 뚜껑(12c)상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견고하게 파지할 때 과도한 간극이 존재하게 되면 양 프레임부를 변형시키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극(S2)의 크기는 손잡이부가 견고하게 파지될 때 토너 유지 프레임부(12a) 및 프레임 뚜껑(12c)의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0.0 내지 0.5mm의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 간극(S2)은 0.2mm로 설정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격벽 부재(12a3) 및 프레임의 내면 사이의 간극(S1, S2)의 제공은 토너를 고밀도로 충전되게 할 뿐 아니라, 토너에 버어가 섞이는 것도 방지하고, 프레임도 변형도 최소화시킨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ㄱ)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ㄴ)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10d), (ㄷ)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에 접촉되어 이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로(8), (ㄹ)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블레이드(11e), (ㅁ)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 개구(12a1)를 가지고 토너 공급 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진 저면을 구비하며 격벽이 경사면에 제공되어 있는 토너 수용부(10a), 토너 수용부(10a) 내부에 복수 개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을 따르는 방향으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는 적벽 부재(12a3), 토너 수용부 내에 토너가 충전될 수 있게 토너 수용부 종방향 단부에 제공된 토너 충전 개구(12a2), 및 토너를 공간에 공급할 수 있게 토너 수용부의 길이를 따라 하나의 종방향 단부로부터 다른 종방향 단부로 연장되며 토너 수용부의 벽면과 격벽 사이에 형성되어 토너 공급 개구에 대항한 후방 벽면과 격벽 사이에 제공된 관통 통로(S1)를 구비한 토너 수용 용기(12a)를 포함한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ㄱ)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ㄴ)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10d), (ㄷ)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에 접촉되어 이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8), (ㄹ) 전자 사진 감광 드럼(7)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블레이드(11e), (ㅁ) 전자 사진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7)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 개구(12a1)를 가지고 토너 공급 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진 저면을 구비하며 격벽이 경사면에 제공되어 있는 토너 수용부(10a), 토너 공급 개구(12a1) 이외의 개구를 덮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향상 장치의 주 조립체상에 장착될 때 상부 위치에 있는 토너 수용부(10a)의 상부에 제공된 개구는 덮는 커버 부재(12c), 토너 수용 용기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커버 부재(12c) 상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리브(12c1)를 갖는 손잡이부(12c2)를 구비한 토너 수용 용기(12a)를 포함한다. 토너 수용 용기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리브(12a9)가 제공되어 있다. 용기(12a) 취급 시에, 커버의 리브와 용기(10a)의 리브를 집으면 된다.
토너를 토너 수용부(10a)에 충전하기 위해, 수용부의 종방향 한 단부에 토너 충전 개구(12a2)가 제공되며 수용부(10a)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2a3)이 제공된다. 커버 부재(12c)와 격벽 부재(12a3) 사이에는 간극(S2)이 형성된다. 토너 수용 용기 파지 시에 커버 부재가 휘게 되면, 격볍과 커버 부재(12c)가 접촉하게 된다. 격벽 부재(12a3)와 와 커버 부재(12c) 사이의 간극(S2)은 약 0.5mm 이하이다. 토너 수용부(10a) 및 커버(12c)는 용접된다.
다음에, 제23도 내지 제26도를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격벽 부재(111e)의 저단부(111e1)와 프레임 뚜껑(111) 사이에는 간극 X가 제공된다. 제23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횡단면도이고, 제24도는 외부 사시도이고, 제25도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내부 사시도이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또 제4도 및 제9도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주 조립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3도 및 제24도를 참조하면,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감광층을 가진 감광 드럼(107)이 회전되고, 회전하는 감광 드럼(107)의 표면(107)은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108)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균일하게 대전된다. 감광 드럼(107)의 대전된 표면은 노출 개구(126)를 통해 광학 수단(1)으로부터 투사된 광 화상에 노출되어 감광 드럼(107) 상에 잠상이 형성된다. 잠상은 현상 수단(109), 즉 현상 장치에 의해 현상된다.
현상 수단(109)에서, 토너 유지부(109b) 내에 저장된 토너는 고정 자석을 내장한 현상 롤러(109c) 상에 토너 공급 부재(109b)에 의해 송출된다. 현상 롤러(109c)가 회전되면, 현상 블레이드(109d)에 의해 마찰 대전된 토너층이 현상 롤러(109c)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토너층의 토너 입자는 상술한 잠상에 대응하여 감광 드럼(107)에 전사되어 잠상이 토너 화상, 즉 가시 화상으로 현상된다.
토너 화상이 토너 화상과는 반대의 극성을 가진 전압을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전사 롤러(4)에 인가함으로써 기록 매체(2) 상에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107) 상에 잔류하는 토너는 잔류 토너를 긁어내기 위한 세척 블레이드(110a)와 폐 토너를 수집하기 위한 폐 토너 수집기(110b)를 포함하는 세척 수단(110)에 의해 제거된다.
감광 부재(107)와 같은 부품은 카트리지 형태, 즉 토너 유지 프레임(111)과 프레임(112)을 결합하고 세척 프레임(113)을 조합된 상기 양 프레임(111, 112)에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에 일체로 배치된다. 이렇게 형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장치(A)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카트리지 수용 수단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양 종단부의 표면에는 은못(113a),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조립체 상에 제공된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긴 가이드(112a) 및 짧은 가이드(113b)가 제공된다.
제23도 및 제24도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손잡이부(117) 및 리브(123,124)가 제공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용이하게 파지할수 있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그 개폐 이동이 화상 형성 장치(A)에 대해 삽입 또는 제거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과 연계된 드럼 셔터(118)가 제공되어 있어서, (제23도)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A)로부터 취출할 때 셔터(118)는 감광 드럼(107)을 보호하도록 덮인 채 유지된다.
(하우징의 구조)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 현상 프레임(112), 세척 프레임(113)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한다. 이하에, 이 하우징의 구조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제23도를 참조하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는 토너 유지부(109a)를 포함하며, 토너 공급 부재(109b)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에 부착되어 있다. 현상 롤러(109c)와 현상 블레이드(109d)가 현상 프레임(112) 내에 정착되어 있고, 현상실 내의 토너를 순환시키는 교반 부재가 현상 롤러(109c)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와 프레임(112)은 용접에 의해 일체화되어 제2 프레임으로서의 현상 유니트를 형성한다(제24도).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구조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감광 부재(107), 대전 롤러(108), 세척 수단(110)은 세척 프레임(113)에 장착되고,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취출될 때 감광 드럼을 덮고 보호하는 드럼 셔터(118)도 세척 프레임(113)에 부착되어 제1 프레임(제24도)으로서의 세척 유니트를 형성한다.
결국, 유니트와 세척 유니트는 결합 부재(122)를 사용하여 결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완성한다. 제24도의 참고 부호 113c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위치 결정 시트와 접촉하게 되는 위치 결정부를 표시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의 구조)
다음에,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23도를 참조하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는 상부인 본체부(111a)와 하부인 뚜껑부(111b)를 서로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제25도에 있어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본체부(111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을 구비한 두 개의 손잡이부(117)가 제거된다. 또, 본체부(111a) 내에서, 격벽 부재로서의 변형 방지 리브(111e)는 세개의 위치에 직립되어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들 변형 방지 리브(111e)는 사용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삽입 또는 제거하기 위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을 쥘 때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에 적용된 압력에 대항하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양 손잡이부(117)를 파지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손으로 쥘 때, 엄지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저면과 접촉하게 되고 손가락은 손잡이부(117)에 걸게 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유지프레임부(111)는 화살표 a 및 b로 표시한 힘을 받게 된다.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종방향 중앙부를 손으로 쥐면, 엄지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상면에 닿게 되고 손가락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저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에,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는 화살표 a 및 c에 의해 표시된 힘을 받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에서, 변형 방지 리브(111e)는 세 위치에 직립되며, 상술한 압력(화살표 a, b, c 방향)에 대항하기 위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종방향으로 정렬되므로, 상술한 압력에 의해 발생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변형은 최소하될 수 있어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 내에서의 압력 변동으로 인해 토너가 날리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또,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에는 토너를 충전하기 위한 개구(111d)가 제공되어 있고, 변형 방지 리브(111e)는 개구(111d)를 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토너는 변형 방지 리브(111e)의 변형으로 인해 방해를 받지 않고 개구(111d)를 통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로 원활하게 충전될 수 있다.
또, 변형 방지 리브(111e)가 배치되는 위치는 손잡이부(117)와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되며,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특정 영역, 즉 상술한 압력이 가해지는 영역, 다시 말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사용자가 쥐게 되는 영역(특히, 엄지가 접촉는 영역)에 대응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변형은 신뢰성 있게 방지될 수 있다.
또, 변형 방지 리브(111e)의 단부와 뚜껑부(111b)의 사이에는 미소 간극(X)이 제공되어 있어서 변형 방지 리브(111e)가 직립된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본체부(111a)와 뚜껑부(111b)가 서로 용접될 때 변형 방지 리브(111e)는 용접작업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 간극(X)은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내압 변동에 의해 토너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작게 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간극(X)은 0.1 내지 1.0mm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런 구조에 있어서, 변형 방지 리브(111e)는 뚜껑부(111b), 본체부(111a)를 함께 용접하는 작업을 방해하지 않으며, 동시에, 캐리지 장착 또는 제거 중에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변형은 최소화 된다. 결국,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 내의 압력 변동으로 인한 토너 날림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변형 방지 리브(111e)만이 제공되어 있다. 게다가, 변형 방지 리브(111e)는 뚜껑부(111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효과는 저렴한 가격으로 얻을 수 있다.
선행 실시예에서, 변형 방지 리브(111e)를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 내의 세 위치에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종방향으로 정렬시켜 직립시키는 구조를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조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 방지 리브(111f)를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 내에 직립시킬 수도 있다. 이 구조 역시 프레세스 카트리지(B)를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손잡이부(117)에서 파지할 때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토너 유지 프레임부(111)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선행 실시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와 동일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변형 방지 리브(111f)에는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적정 수의 개구(111f1)가 제공되어 변형 방지 리브(111f) 상방의 공간(제26도 참조)을 토너 유지 공간으로서 사용할수도 있게 된다.
또, 선행 실시예에서, 변형 방지 리브를 세 위치에서 토너 유지 프레임부의 종방향으로 정렬시켜 격벽 부재로서 직립시키는 구조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들어, 변형 방지 리브는 두 위치 또는 세 위치 이상에서 직립시킬 수도 있다. 변형 방지 리브의 갯수는 선택적인 것이며, 카트리지의 크기나 카트리지 길이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명백하게, 이런 변경은 선행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격벽 부재는 카트리지 착탈 중에 현상제 유지부에 적용된 압력에 대항할 수 있도록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의 착탈 중에 현상제 유지부를 파지할 때 현상제 유지부의 변형을 최소화할수 있다. 결국, 현상제 유지부의 변형으로 인한 현상제 날림은 저렴한 가격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 현상제 유지부에는 현상제를 충전하기 위한 개구가 제공되지만, 격벽 부재는 개구를 피하도록 배치되므로, 현상제는 격벽 부재를 방해하지 않고 개구를 통해 현상제 유지부로 원활히 충전될 수 있다.
또, 현상제 유지부에는 카트리지의 착탈을 위한 손잡이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손잡이부를 쥘때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대응하여 격벽 부재가 직립되어 있으므로, 현상제 유지부의 변형도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결국, 현상제 유지부 내의 압력변동으로 인한 토너 날림을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또, 현상제 유지부는 상부 프레임부 및 저부 프레임부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는 격벽 부재가 제공되고, 격벽 부재의 저단부와 저부 프레임부 사이에는 미소 간극이 제공되므로, 격벽 부재는 상하 프레임부를 결합하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되고, 동시에 카트리지 착탈 시의 현상제 유지부의 변형도 최소화할수 있다. 결국, 현상제 유지부 내의 공기 압력 변동에 의한 현상제의 날림도 방지할수 있다.
또, 상술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단색 화상을 형성하는 형태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색 화상를 형성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만 적합한 것은 아니며,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현상 수단을 포함하고 다색 화상(예를 들어 2색 화상, 3색 화상, 전색 화상 등 )을 형성하는 카트리지에도 적용할수 있다.
현상 방법으로서는, 두 성분 토너를 채택하는 자기 브러쉬 현상법, 캐스케이드 현상법, 터치 다운 현상법, 클라우드 현상법 등과 같은 공지의 각종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는 감광 드럼에 한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것을 포함할수 있다
먼저, 감광 재로로서, 아몰퍼스 실리콘, 아몰퍼스 셀레눔, 산하 아연, 산화 티탄, 유기 광도체(OPC) 등의 감광 재료도 포함할 수 있다. 감광 재료가 도포되는 기초 부재의 형상에 대해서는 드럼 같은 회전체나 무단 벨트 같은 시트 형태의 부재도 포함된다. 일반적으로는 드럼이나 벨트 형태의 부재가 채택된다. 예를들어, 감광 드럼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원통에 감광 재료를 도포 또는 피복시킨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선행 실시예에서 기술한 대전 수단의 구조는 소위 접촉식이었지만, 다른 종래의 구조로 채택할수 있음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텅스텐 와이어를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 외피로 삼면에서 둘러싸고 텅스텐 와이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발생된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감광 드럼의 표면 상에 전달하여 드럼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구조를 채택할수 있다.
선행 실시예에서 기술한 롤러형 대전 수단이외에도 대전 수단으로서, 블레이드형(대전 블레이드), 패드형, 블럭형, 봉형, 와이어형 등의 대전 수단을 채택할수 있다.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소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해, 세척 수단은 블레이드, 강모 브러쉬, 자기 브러쉬 등을 포함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적어도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현상 수단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현상 수단과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대전 수단과 세척 수단의 조합과, 그리고 현상 수단과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대전 수단 또는 세척 수단의 조합과, 현상 수단과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조합 등의 조합을 카트리지 형태로 일체화시켜서 장치 주 조립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할수도 있다.
또, 선행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레이저 비임 프린터인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선행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복사기, 모사 전송기, 워드 프로세서 등의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할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부 내에는 가해진 압박력에 대해 보강 부재의 기능을 하는 격벽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취급할때 현상제 수용부의 변형은 최소화되어 토너의 날림 가능성은 저렴한 비용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현상제 수용부는 현상제 충전용 개구를 갖고 있으며, 격벽은 개구에 도달하지 않을 정도로 연장되어 현상제가 현상제 수용부 내에 충전될 때 격벽이 충전 작업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현상제 수용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을 촉진하는 손잡이인 파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격벽은 취급 중의 파지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 위치에 제공되어 있어서 변형을 최소화하여 토너의 날림도 최소화할 수 있다.
현상제 수용부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상부 프레임에 제공된 격벽을 상기 격벽 부재와 하부 프레임 사이에 작은 간극을 두고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므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중의 현상제 수용부의 변형은 최소화되며, 토너가 날리는 것도 방지할수 있다.
본 발명을 이제까지 그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구조의 세부 사항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범위 내에서나 또는 특허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4)

  1.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할수 있으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이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서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토너 수용 용기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개구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와,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에 의해 조작되어서 커버 부재가 변형될 때에 서로에 대해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외부 표면이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때에 상기 커버 부재의 리브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리브가 파지되고, 상기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토너 수용부의 상부 부분을 덮고 그리고 상기 상부 부분이 상부 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 부분에서의 간극이 0.5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외부 표면이 요홈을 구비하며,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때에 상기 커버 부재의 리브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요홈이 파지되고, 상기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토너 수용부의 하부 부분을 덮고 그리고 상기 하부 부분이 하부 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 부분에서의 간극이 0.1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6.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에는 토너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제를 향하여서 상기 토너 수용부의 종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종방향 한 단부에는 토너를 상기 토너 수용부로 충전하기 위한 토너 충전 개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토너 수용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 부분에서의 간극이 0.1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와 함께 사용할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드럼 형태의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서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을 수용하고, 상기 처리 수단이 대전 롤러, 현상 롤러 및 세척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대전 롤러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접촉하고, 상기 현상 롤러가 토너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로 공급하도록 회전 가능하며, 상기 세척 블레이드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접촉하여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10.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할수 있으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이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토너 수용 용기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로서, 토너를 토너 수용부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 개구가 마련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토너 공급 개구가 아닌 다른 개구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와,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로서 상기 캡 부재의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파지부를 파지하고 있는 동안에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수 있게 하는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내측이 토너로 충전할수 있도록 상기 토너 수용부의 종방향 한 단부에 마련된 토너 충전 개구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로 조작되어서 커버가 변형 될 때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되며, 상기 격벽과 캡 부재간의 간극이 0.1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외부 표면이 다수의 호홈을 구비하며,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때에 상기 커버 부재의 리브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요홈이 파지되고, 상기 용기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토너 수용부의 하부 부분을 덮고 그리고 상기 하부 부분이 하부 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토너 수용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와 함께 사용할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드럼 형태의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서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을 수용하고, 상기 처리 수단이 대전 롤러, 현상 롤러 및 세척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대전 롤러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접촉하고, 상기 현상 롤러가 토너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로 공급하도록 회전 가능하며, 상기 세척 블레이드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접촉하여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로부터 전류 토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14. 화상 형성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및 이 전자 사진 감광 부재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블레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토너 수용 용기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로서, 토너를 토너 수용부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 개구가 마련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토너 공급 개구가 아닌 다른 개구를 덮도록 마련되고 토너 수용부의 하부 부분을 덮으며 상기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상기 하부 부분은 하루 위치를 취하는 커버 부재와,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로서 상기 캡 부재의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파지부를 파지하고 있는 동안에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수 있게 하고, 상기 파지부가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외부 표면이 다수의 요홈을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때에 상기 커버 부재의 리브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요홈이 파지되게 구성된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내측이 토너로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토너 수용부의 종방향 한 단부에 마련된 토너 충전 개구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볍과 커버 부재는 수용 용기가 파지부로 조작되어서 커버가 변형될 때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되며, 상기 격벽과 캡 부재 간의 간극이 0.1mm 내지 1.0mm이고, 상기 토너 수용부가 커버 부재 상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15. 화상 형성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할수 있으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및 이 전자 사진 감광 부재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전자 사진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블레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토너 수용 용기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로서, 토너를 토너 수용부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 개구가 마련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토너 공급 개구가 아닌 다른 개구를 덮도록 마련되고 토너 수용부의 상부 부분을 덮으며 상기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상기 상부 부분은 상부 위치를 취하는 커버 부재와,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로서 상기 캡 부재의 모든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파지부를 파지하고 있는 동안에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수 있게 하고 , 상기 파지부가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외부 표면이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때에 상기 커버 부재의 리브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리브가 파지되게 구성된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내측이 토너로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토너 수용부의 종방향 한 단부에 마련된 토너 충전 개구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로 조작되어서 커버가 변형될 떼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되며, 상기 격벽과 캡 부재 간의 간극이 0.1mm 내지 1.0mm이고 , 상기 토너 수용부가 커버 부재 상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수용 용기.
  16.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과 토너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개구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와,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에 의해 조작되어서 커버 부재가 변형될 때에 서로에 대해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외부 표면이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때에 상기 커버 부재의 리브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리브가 파지되고, 상기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토너 수용부의 상부 부분을 덮고 그리고 상기 상부 부분이 상부 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 부분에서의 간극이 0.5mm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외부 표면이 요홈을 구비하며,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때에 상기 커버 부재의 리브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모든 요홈이 파지되고, 상기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코너 수용부의 하부 부분을 덮고 그리고 상기 하부 부분이 하부 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 부분에서의 간극이 0.1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제16항, 제18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에는 토너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향하여서 상기 토너 수용부의 종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종방향 한 단부에는 토너를 상기 토너 수용부로 충전하기 위한 토너 충전 개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토너 수용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모든 상부 부분에서의 간극이 0.1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감광 드럼 및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대전 롤러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접촉하고, 상기 현상 롤러가 토너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공급하도록 회전 가능하며, 상기 세척 블레이드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접촉하여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5.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롤러와 토너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로서, 토너를 토너 수용부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 개구가 마련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토너 공급 개구가 아닌 다른 개구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와,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로서 상기 캡 부재의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파지부를 파지하고 있는 동안에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수 있게 하는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내측이 토너로 총전될 수 있도록 상기 토너 수용부의 종방향 한 단부에 마련된 토너 충전 개구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로 조작되어서 커버가 변형될 때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되며, 상기 격벽과 캡 부재 간의 간극이 0.1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외부 표면이 요홈을 구비하며,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때에 상기 커버 부재의 모든 리브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요홈이 파지되고, 상기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토너 수용부의 하부 부분을 덮고 그리고 상기 하부 부분이 하부 위치를 취하는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토너 수용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대전 롤러와 세척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전 롤러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접촉하고, 상기 현상 롤러가 토너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로 공급하도록 회전 가능하며, 상기 세척 블레이드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접촉하여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9.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접촉하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접촉하는 세척 블레이드와, 토너 수용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로서 토너를 토너 수용부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 개구가 마련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토너 공급 개구가 아닌 다른 개구를 덮도록 마련되고 토너 수용부의 하부 부분을 덮으며 상기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상기 하부 부분은 하부 위치를 취하는 커버 부제와, 캡부제 상에 마련된 파지부로서 상기 캡부재의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파지부를 파지하고 있는 동안에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수 있게 하고, 상기 파지부가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외부 표면이 요홈을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때에 상기 커버 부재의 리브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요홈이 파지되게 구성된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내측이 토너로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토너 수용부의 종방향 한 단부에 마련된 토너 충전 개구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로 조작되어서 커버가 변형될 때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되며, 상기 격벽과 캡 부재 간의 간극이 0.1mm 내지 1.0mm이고, 상기 토너 수용부가 커버 부재 상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0.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접촉하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접촉하는 세척 블레이드와, 토너 수용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로서 토너를 토너 수용부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 개구가 마련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토너 공급 개구가 아닌 다른 개구를 덮도록 마련되고 토너 수용부의 상부 부분을 덮으며 상기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상기 상부 부분은 상부 위치를 취하는 커버 부재와,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로서 상기 캡 부재의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파지부를 파지하고 있는 동안에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수 있게 하고, 상기 파지부가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외부 표면이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때에 상기 커버 부재의 리브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리브가 파지되게 구성된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내측이 토너로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토너 수용부의 종방향 한 단부에 마련된 토너 충전 개구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로 조작되어서 커버가 변형될 때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되며, 상기 격벽과 캡 부재 간의 간극이 0.1mm 내지 1.0mm이고, 상기 토너 수용부가 커버 부재 상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1.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수단과, 기록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과, 토너 수용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는, 전자 사진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개구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와,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며,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에 의해 조작되어서 커버 부재가 변형될 때에 서로에 대해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2.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정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수단과, 기록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롤러와, 토너 수용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로서 토너를 토너 수용부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 개구가 마련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토너 공급 개구가 아닌 다른 개구를 덮도록 마련된 커버 부재와,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로서 상기 캡 부재의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파지부를 파지하고 있는 동안에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수 있게 하는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내측이 토너로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토너 수용부의 종방향 한 단부에 마련된 토너 충전 개구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로 조작되어서 커버가 변형될 때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되며, 상기 격벽과 캡 부재 간의 간극이 0.1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3.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수단과, 기록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접촉하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접촉을 세척 블레이드와, 토너 수용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로서 토너를 토너 수용부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 개구가 마련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토너 공급 개구가 아닌 다른 개구를 덮도록 마련되고 토너 수용부와 하부 부분을 덮으며 상기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상기 하부 부분은 하부 위치를 취하는 커버 부재와,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로서 상기 캡 부재의 모든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파지부를 파지하고 있는 동안에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수 있게 하고, 상기 파지부가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외부 표면이 요홈을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때에 상기 커버 부재의 리브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요홈이 파지되게 구성된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내측이 토너로 충전할수 있도록 상기 토너 수용부의 종방향 한 단부에 마련된 토너 충전 개구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로 조작되어서 커버가 변형될 때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되며, 상기 격벽과 캡 부재 간의 간극이 0.1mm 내지 1.0mm이고, 상기 토너 수용부가 커버 부재 상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4.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수단과, 기록재료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며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토너를 공급하게 되는 현상 롤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접촉하는 대전 롤러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접촉하는 세척 블레이드와, 토너 수용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는, 전자 시잔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로서 토너를 토너 수용부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 개구가 마련된 토너 수용부와, 토너 수용부의 토너 공급 개구가 아닌 다른 개구를 덮도록 마련되고 토너 수용부의 상부 부분을 덮으며 상기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에 상기 상부 부분은 상부 위치를 취하는 커버 부재와, 캡 부재 상에 마련된 파지부로 상기 캡 부재의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파지부를 파지하고 있는 동안에 수용 용기가 조작될 수 있게 하고, 상기 파지부가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외부 표면이 다수의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수용 용기가 조작될 때에 상기 커버 부재의 리브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리브가 파지되게 구성된 파지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내측이 토너로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토너 수용부의 종방향 한 단부에 마련된 토너 충전 개구와, 토너 수용부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토너 수용부 내에서 연장되며 커버 부재와 함께 그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과 커버 부재는 토너 수용 용기가 파지부로 조작되어서 커버가 변형될 때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되며, 상기 격벽과 캡 부재 간의 간극이 0.1mm 내지 1.0mm이고, 상기 토너 수용부가 커버 부재 상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19960013435A 1995-04-28 1996-04-29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KR0184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499595A JP3294465B2 (ja) 1995-04-28 1995-04-28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95-104995 1995-04-28
JP95-145975 1995-06-13
JP7145975A JPH08339148A (ja) 1995-06-13 1995-06-13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512A KR960038512A (ko) 1996-11-21
KR0184327B1 true KR0184327B1 (ko) 1999-04-15

Family

ID=2644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3435A KR0184327B1 (ko) 1995-04-28 1996-04-29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43528A (ko)
EP (1) EP0740227B1 (ko)
KR (1) KR0184327B1 (ko)
CN (1) CN1090769C (ko)
DE (1) DE69622462T2 (ko)
HK (1) HK10120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282B1 (ko) * 2004-08-13 2012-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7590B2 (ja) * 1996-07-04 200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802432A (en) * 1996-12-20 1998-09-0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housing and pin construction
JP3697065B2 (ja) 1997-06-1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68205B2 (ja) * 1997-06-19 2003-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68139B2 (en) 1997-06-19 2005-11-2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282326A (ja) * 1998-03-26 1999-10-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28097B2 (ja) * 1998-04-24 2005-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893222B2 (ja) 1998-08-31 2007-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ャッターピン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3604919B2 (ja) * 1998-08-31 2004-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3658202B2 (ja) * 1998-08-31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
JP3530751B2 (ja)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30752B2 (ja)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現像剤供給容器及び測定部品
EP1016939B1 (en) * 1998-12-28 2006-02-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ment unit frame
JP3347686B2 (ja) 1999-04-02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押込み機構
US6397016B1 (en) * 1999-06-28 2002-05-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units and translucent toner detection window
JP3363873B2 (ja) 1999-07-13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量逐次表示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43772B2 (ja) 1999-08-06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51490A (ja) 1999-08-06 2001-02-23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38024B2 (ja) 1999-09-27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取っ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取っ手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38023B2 (ja) 1999-09-27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取っ手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87487B2 (ja) 1999-10-08 2006-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機構、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061268A (en) * 1999-10-27 2000-05-09 Kuo; James B. 0.7V two-port 6T SRAM memory cell structure with single-bit-line simultaneous read-and-write access (SBLSRWA) capability using partially-depleted SOI CMOS dynamic-threshold technique
JP2001255786A (ja) 2000-01-07 2001-09-2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20707B2 (ja) 2000-01-19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290355A (ja) 2000-04-06 2001-10-19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697578B2 (en) 2000-08-25 2004-02-24 Canon Kabushiki Kaisha Memory member, unit,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553194B2 (en) * 2000-12-11 2003-04-22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Toning station drive chain cover assembly
JP3667243B2 (ja) 2000-12-01 2005-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52246B2 (ja) 2000-12-21 2005-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196647A (ja) 2000-12-22 2002-07-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636791B2 (en) * 2001-01-05 2003-10-21 Calsonic Kansei Corporation Collision record apparatus, collision state estimation method, and record medium
US6714746B2 (en) 2001-01-23 2004-03-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rotationally driving image bearing member and contact electrifying member of process cartridge and process cartridge comprising image bearing member and contact electrifying member
JP3542583B2 (ja) 2001-02-02 2004-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258720A (ja) 2001-03-05 2002-09-1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2278415A (ja) 2001-03-16 2002-09-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31155B2 (ja) 2001-03-16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着脱機構
JP3625431B2 (ja) 2001-03-16 2005-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着脱機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208074A (ja) * 2002-01-11 2003-07-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25007B2 (ja) 2002-01-11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11930B2 (ja) 2002-02-20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241606A (ja) 2002-02-20 2003-08-2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
JP4164293B2 (ja) 2002-06-03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174380B2 (ja) * 2002-07-04 2008-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101668A (ja) * 2002-09-06 2004-04-02 Canon Inc 分解工具
JP4047135B2 (ja) 2002-10-31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の再生産方法
JP2004205950A (ja) * 2002-12-26 2004-07-22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51929B2 (ja) * 2003-02-06 2007-08-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色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5004178A (ja) * 2003-05-20 2005-01-0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
US7072603B2 (en) * 2003-08-01 2006-07-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holding member
JP3782807B2 (ja) * 2003-11-28 2006-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の取り付け方法
JP4124153B2 (ja) * 2004-03-31 2008-07-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027218A (ja) * 2004-07-21 2006-02-02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の消耗品部材及びそれが着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JP4815932B2 (ja) * 2004-10-29 2011-1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84732B2 (ja) * 2005-04-27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639968B2 (en) * 2006-03-27 2009-12-2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19462B2 (ja) * 2007-01-31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930044B1 (ko) 2007-03-27 2009-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JP4663801B2 (ja) * 2008-09-01 2011-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963733B2 (ja) * 2009-08-04 201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JP4605822B1 (ja) 2009-12-14 2011-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825770B2 (ja) * 2009-12-24 2015-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754578B2 (ja) * 2010-03-08 2015-07-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感光体ユニット
US8670689B2 (en) * 2010-03-16 2014-03-11 Zhuhai Seine Technology Limited Processing cartridge
JP5690655B2 (ja) * 2011-05-26 2015-03-25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ユニット
JP5312638B2 (ja) * 2011-06-17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US8855527B2 (en) * 2012-07-27 2014-10-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aling device including a first replaceable compliant sealing member and a latch member
JP6207140B2 (ja) * 2012-09-27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855284B2 (ja) 2017-03-03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967A (ja) * 1982-07-23 1984-01-31 Canon Inc トナ−カ−トリツジ
JPS60229071A (ja) * 1984-04-27 1985-11-14 Toshiba Corp 現像剤補給装置
JPS60250371A (ja) * 1984-05-28 1985-12-11 Fuji Photo Film Co Ltd 複写機用現像器
US5404198A (en) * 1989-12-15 1995-04-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126532B2 (ja) * 1992-02-10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19230A (ja) * 1992-06-30 1994-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157610B2 (ja) * 1992-06-30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75439A (ja) * 1992-06-30 1994-03-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85392B2 (ja) * 1992-09-04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770932B1 (en) * 1992-09-04 1999-08-2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0134171B1 (ko) * 1992-09-04 1998-04-22 미타라이 하지메 프로세스카트리지
JP3347476B2 (ja) * 1993-06-30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
CA2160649C (en) * 1994-10-17 1999-11-23 Yoshiya Nomura Toner container, toner container assembling metho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282B1 (ko) * 2004-08-13 2012-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43528A (en) 1999-08-24
CN1160875A (zh) 1997-10-01
DE69622462D1 (de) 2002-08-29
DE69622462T2 (de) 2002-12-12
CN1090769C (zh) 2002-09-11
EP0740227B1 (en) 2002-07-24
KR960038512A (ko) 1996-11-21
EP0740227A1 (en) 1996-10-30
HK1012074A1 (en) 199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327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KR0182797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223663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KR0184560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225209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EP1271265B1 (en)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on image forming apparatus
KR0135893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Process Cartridge and Forming Apparatus)
EP0679965B1 (en) Shutt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774766A (en) Process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ssembly method,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99700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재제조 방법
EP0679959A2 (en) Developing means fram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38240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
JP2000056657A (ja) 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30524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1605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44058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305253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