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924B1 - 타이어금형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금형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924B1
KR0180924B1 KR1019950042107A KR19950042107A KR0180924B1 KR 0180924 B1 KR0180924 B1 KR 0180924B1 KR 1019950042107 A KR1019950042107 A KR 1019950042107A KR 19950042107 A KR19950042107 A KR 19950042107A KR 0180924 B1 KR0180924 B1 KR 0180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ire
track
trolley
vulca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125A (ko
Inventor
이리에노부히코
무타테루아키
Original Assignee
오기노 카네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기노 카네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기노 카네오
Publication of KR960017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5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s for the processing of ty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06Handling moulds, e.g. between a mould store and a mould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Tyre-vulcanising presses with two or more moulds, e.g. stacked upon each other
    • B29D2030/0651Tyre-vulcanising presses with two or more moulds, e.g. stacked upon each other the moulds being arranged side by side, or in a cir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장착하는 공기타이어의 가황설비에 적용하는 타이어 금형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금형개폐장치 등이 고장나거나 했을 때의 생산량의 저하를 필요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그에 더하여 비용절감할 수 있는 데다가, 부품수감소에 의해 타이어금형운반장치의 고장발생률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타이어가황용 금형조립체(M)를 배열해서 가황을 행하는 가황스테이션(51)과, 타이어가황용 금형조립체로부터 가황완료타이어를 꺼내고, 다음에 가황하는 미가황타이어를 삽입하는 금형개폐스테이션(54)를 가진 타이어가황설비에 있어서, 타이어가황용 금형조립체(M)를 가황스테이션(51)과 금형개폐스테이션(54)과의 사이에 반송하는 타이어금형운반장치를 타이어금형(M)을 얹어서 궤도가 없는 바닥면을 이동하는 대차(52)와, 해당 대차(52)를 연결해서 이동시키는 반송차(53)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대차(52)의 하부면에 에어슬라이더(62)를 실시해서, 상기 에어슬라이더(62)와 바닥면(FL)과의 사이로부터 공기를 불어내서 상기 대차(52)를 부상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금형운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의 제1실시형태를 표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Y1-Y1선부분을 확대해서 표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화살표 a-a선을 따른 종단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화살표 b-b선을 따른 종단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의 제2실시형태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의 제3실시형태를 표시한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화살표 b-b선을 따른 종단측면도.
제8도는 제6도의 화살표 c-c선을 따른 종단측면도.
제9도는 본 건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타이어가황설비의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화살표 A-A선을 따른 종단측면도.
제11도는 상기 타이어가황설비에 있어서의 타이어가황용 분할금형장치와 금형개폐장치와의 일형태를 제10도의 화살표 B-B선을 따라서 표시한 종단정면도.
제12도는 타이어가황용 분할금형장치와 금형개폐장치와의 다른 형태를 제10도의 화살표 B-B선을 따라서 표시한 종단정면도.
제13도는 종래의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표시한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Ma1~Ma7,Mb1~Mb7: 타이어가황용 금형 51,51a~51b : 가황스테이션
51a1~51a7,51b1~51b7: 금형정치대 52,52a1~52a7,52b1~52b7: 대차
53,53a~53c : 반송차 54 : 금형개폐스테이션
55 : 금형개폐장치 61 : 대차(52)의 본체
63 : 다리부 64 : 대차연결용 전자석
FL : 바닥면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장착되는 공기 타이어의 가황설비에 적용하는 타이어 금형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이어가황기에서는, 금형을 폐쇄한 상태에서 금내형내의 타이어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해서, 가황반응을 행하는 데, 이때의 가황반응시간에 비해서 미가황타이어의 반입, 정형 및 가황완료타이어의 꺼내기를 행하기 위한 시간이 매우 짧고, 이 때문에 타이어반출입장치나 타이어반출입을 위하여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개폐하는 장치의 가동률이 낮다는 문제가 있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건 출원인은, 1조의 금형개폐장치 및 타이어반출입장치와 복수의 금형으로 이루어진 타이어가황설비를 이미 제안했다(일본국 특원평 5-228961호 명세서 참조).
이 타이어가황설비의 가황스테이션(22)(200a 및 200b)은, 제9도,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타이어가황용 금형(M)(Ma,Mb,Mc,......)을 걸쳐놓는 복수의 금형대(204)(204a,204b,204c,...)로 이루어지고, 각 금형대(204)에는, 도시생략한 금형이동수단(예를 들면 실린더구동의 푸셔), 필요에 따라서 가열가압매보체충수단 및 배관 등이 배설되어 있다.
금형개폐스테이션(201)(201a 및 201b)은 공지의 타이어황기와 유사(차이는 후술함)한 금형개폐장치(205)((205a 및 205b))와;타이어황금형으로부터 가황완료타이어를 반출하는 공지의 언로더(206)(206a 및 206b)와;타이어가금형에 미가황 타이어를 반입하는 공지의 로더(207)(207a 및 207b)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서 가황완료타이어반송용 컨베이어(208)(208a 및 208b), 미가황타이어용 랙(209)(209a 및 209b)등이 설치되어 있다.
금형반송대차는, 바닥면에 고정된 레일(203)과, 이 레일(203)에 안내되어, 도시생략한 구동수단의 작용에 의해 주행하는 공지의 대차(202)((202a) 및 (202b))로 이루어지고, 금형교환스테이션은, 피가황타이어의 사양변경에 따른 타이어가황 용금형내의 트레드형, 측벽형 등의 교환이나, 소모품인 블래더의 교환 등을 행하는 금형교환테이블(210)을 가지고, 상기 교환작업에 필요한 금형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타이어가황설비에는, 가황스테이션(200)으로부터 가황이 종료된 타이어 가황용 금형(M)을 금형운반대차(202a)에 의해서 받아들여서, 금형개폐스테이션(201a)에 반송한다.
상기 금형개폐스테이션(201a)에 반입한 타이어가황용 금형(M)을 금형개폐장치(205a)에 결합한 후, 금형개폐장치(205a)의 작용에 의해 타이어가황용 금형(M)을 개방하고, 상기 금형개폐장치(205a)에 결합한 후, 금형개폐장치(205a)에 부속한 언로더(206a)에 의해 가황완료타이어를 반출하고, 가황완료타이어를 반출한 타이어가황용 금형(M)에는, 부속의 로더(207a)에 의해 다음에 가황될 미가황타이어를 반입하고, 타이어가황용 금형폐쇄공 정중에 해당 타이어의 정형을 행하고,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폐쇄한 후, 타이어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하고, 봉입해서 타이어가황공정에 들어간다. 그리고, 가황을 개시한 타이어가황용 금형(M)과 가황개폐장치(205a)와의 결합을 해방하고, 금형(M)을 재차 금형운반대차(202a)에 의해서 반송해서, 가황스테이션(200a)에 복귀 시킨다.
또 타이어가황용 금형에는 타이어가황중, 타이어가안쪽에 도입할 가열가압매체에 의해, 타이어금형을 밀어서 열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본건 출원인은, 이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밀어서 열려고 하는 힘을 타이어가황용 금형내에서 상쇄가능하게 한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이미 제안했다.(일본국 특원평 6-12661호 명세서 참조.)
이 타이어가황용 금형은 제11도~제13도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제13도는 미가황타이어(T)가 반입되어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폐쇄하고,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안쪽에 가열가압매체가 도입되어 가황이 개시된 상태를 표시한다.
(101)은 타이어가황용 금형(M)의 기판이고, 이 기판(101)은, 금형개폐장치(205a)의 프레임(205e)상에 수평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걸쳐놓고 있고, 도시 생략한 공지의 록장치에 의해 프레임(205e)에 고정되어 있다.
(103)은 경질단열대(102)를 개재해서 기판(101)에 고정한 하부원판(본 실시예에서는 가열가압매체통로를 형성해서 열판겸용으로 하고 있으나, 하부원판(103)으로부터 독립한 종래 공지의 열판을 하원부판(103)의 아래쪽에 장착해도 됨), (105)는 하부원판(103)에 고정한 하부측벽형, (106)는 하부측벽형(105)의 내주원통면에 걸어맞춤하는 외주면을 하부비드링이고, 원통체(120)의 중앙외주부에 형성한 플랜지(120a)에 클램퍼(108)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장착조립되어 있고, 하부비드링(106)에 볼트조임된 블래더누르개(107)와 하부비드링(106)과의 사이에 블래더(B)의 하단부가 끼워져 있다.
상기 원통체(1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1)에 고정설치해도 되고, 하부 원판(103)혹은 하부원판의 아래쪽의 독립열판에 고정설치해도 된다.
(109)는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트레드형이고, 폐쇄시에는 외주면이 실용상의 원추면을 형성하고, 하부원판(103)의 외주부에 형성한 플랜지(103b)상에 고정한 수압판(104)상을 미끄럼이동가능한 세그먼트(110)의 내주면에 트레드형(109)이 볼트조임되어 있다.
(111)은 세그먼트(110)의 외주면에 걸어맞춤하는 원추면을 내주에 가진 아우터링으로서, 이 아우터링(111)에는 세그먼트(110)의 원추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한 T홈(110a)에 걸어맞춤해서 미끄럼이동가능한 T막대(111a)가 아우터링(111)의 내주원추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원판(114)의 외주부에 반경방향으로 뻗은 복수의암(114a)에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장착조립된 슬라이드가이드(115)가 세그먼트(11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원판(114)과 아우터링(111)이 축심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승강하면, 트레드형(109)이 세그먼트(110)를 개재해서 반경방향으로 이동해서 확대축소되는 동시에, 트레드형(109)의 폐쇄시에는, 세그먼트(1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한 클릭(110b),(110c)이 상부원판 (114) 및 하부원판(103)의 외주부에 형성한 클릭(114b),(103a)에 걸어맞춤하고, 트레드형개방시에는, 상기 클릭(110b)과 (114b),(110c)와 (103a)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113)은 상부원판(114)(본 실시예에서는 가열가압매체통로를 형성해서 열판으로 겸용하고 있으나, 상부원판(114)으로부터 독립한 공지의 열판을 상부원판(114)의 위쪽에 장착해도 됨)에 고정한 상부측벽, (116)는 상부측벽(113)에 볼트조임된 상부비드링이다.
(121)은 상기 원통체(120)에 승강(미끄럼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센터포스트, (122)는 센터포스트(121)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장착해서 외주면이 원통체(120)의 내주면을 미끄럼이동하는 부시, (123)은 원통체(120)의 상단부에 삽입해서 내부면이 센터포스트(121)를 미끄럼이동하는 패킹, (124)는 패킹(123)의 빠짐방지부이고, 센터포스트(121)의 하단부에 형성한 오목부(121a)에는 센터포스트승강실린더(도시생략)의 로드의 선단부에 장착조립한 자동연결수단이 삽입되고, 센터포스트(121)의 상단부에는, 캡(125)이 핀(12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118)은 캡(125)에 볼트조임된 플랜지, (117)이 플랜지(118)에 볼트조임된 블래더누르개이고, 플랜지(118)의 외주부와 블랜더누르개(117)와의 사이에 블래더(B)의 상단부가 끼워져 있고, 상기 센터포스트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블래더(B)의 양단부가 접근, 이간한다.
또한, 상기 원통체(120)에는, 블레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하는 복수의 노즐(127a)을 가진 노즐링(127)이 고정되고, 노즐(127a)에 연통하는 가열가압매체통로(120c), 가열가압매체배출통로(120d)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통로(120c),(120d)와 금형장치외관로를 접속하는 체크밸브부착퀵커플러(128),(129)가 이들 통로(120c),(120d)의 출구부에 장착조립되어 있다.
(130)은 커버플레이트이고, 이 커버플레이트(130)는, 그 외주부가 스페이서링(112) 및 경질단열재 (131)를 개재해서 아우터링(111)에 볼트조임되어 있다. (132)는 상부원판(114)에 고정한 스페이서, (119a),(119b),(119c)가 연질의 보온재이다.
상부원판(114)과 커버플레이트(130)와의 록수단은, 상부원판(114)에 볼트조임된 안쪽링(138)과, 커버플레이트(130)의 내주부에 부시(133)를 재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조립된 바깥링(134)과, 바깥링(134)의 내주와 안쪽링(138)의 외주에 형성되고 또한 바깥링(134)의 회전각도여하에 따라 걸어맞춤 또는 심축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복수쌍의 클릭(134a),(138a)과, 후기 요동회전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136)은 바깥링(134)에 고정한 빠짐방지부이다.
제11도 및 제12도의 (140)은 금형개폐장치(205a)의 지지부에 승강(미끄럼이동)가능하게 장착조립한 암 (205c)에 고정한 볼스터플레이트이고, 승강실린더(205d)의 작동에 의해 승강한다.
(141)은 볼스터플레이트(140)와 커버플레이트(130)를 착탈하는 공지의 착탈장치, (135)는 볼스터플레이트(140)에 고정한 푸셔, (142)는 일단부를 볼스터플레이트(140)에 고정한 복수의 로드, (143)은 로드(142)의 타단부에 볼트조임된 금형개폐실린더, (144)는 금형개폐실린더(143)의 로드(143a)의 선단부에 고정한 연장로드, (146)은 연장로드(144)에 회전(미끄럼이동)가능하게 장착조립한 슬리브, (145)가 슬리브(146)의 상단부안쪽에 비틀어 넣은 부시이다.
상기 금형개폐실린더(143)와 상기 상원판(114)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연장로드(144)와, 부시(145)와, 슬리브(146)와, 안쪽링(138)에 일체적으로 장착한 연결로드(139)와, 연결로드(139)의 외주상부와 슬리브(146)의 내주하부에 형성해서 슬리브(146)의 회전각도여하에 따라 걸어맞춤 또는 축심방향으로 통과가능한 복수쌍의 클릭(139a),(14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48)은 레버로서, 이 레버(148)는, 선단부가 포크형상으로 형성되고, 핀(149)을 개재해서 볼스터플레이트(14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조립하고, 상기 레버(148)의 타단부와 볼스터플레이트(140)와의 사이에는, 실린더(150)가 장착조립되어 있고, 해당 실린더 (150)의 작동에 의해 레버(148)가 핀(149)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147)는 슬리브(146)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암(146c)에 고정한 로드로서, 이 로드(147)는 슬리브(146)와 평행하다. 그리고, 상기 로드(147)가 상기 레버(148)의 선단포크부에 형성한 U가 홈에 삽입되고, 슬리브(146)의 외주에 축심과 평행하게 형성한 키홈(146a)에 암(137)의 선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암(137)이 바깥링(134)에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150)가 작동해서, 레버(148)가 요동함으로써, 슬리브 (146)가 회전하는 동시에 슬리브(146)와 암(137)을 개재해서 바깥링(134)도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클릭(134a)(138a)의 조가 걸어맞춤상태에 있을때에는, 클릭(139a),(146b)조가 통과가능(해제상태)하게 되고, 클릭(134a),(138a)의 조가 통과가능상태(해제상태)에 있을때는, 클릭(139a),(146b)의 조가 걸어맞춤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푸셔(135)는, 볼스터플레이트(140)의 착탈장치(141)와 커버플레이트(130)가 맣닿아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푸셔(135)가 커버플레이트(130)의 내주부분을 아래쪽으로 밀어내려서 탄성변형시켜, 상기 상부원판(114)에 고정된 스페이서(132)에 맞닿아 변형량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바깥링(134)이 회전될 때에는, 바깥링(134)의 내주부의 클릭(134a)과, 안쪽링(138)의 외주클릭(138a)의 높이방향에 틈새를 두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는 한편, 회전시켜 상기 클릭(134a)과 클릭(138a)이 걸어맞춤상태가 되도록 한 후, 상기 볼스터플레이트(140)를 상승시키고 클릭(134a)과 클릭(138a)이 맞닿았을때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130)의 아래쪽변위량의 대부분이 남아서 상기 커버플레이트(130)가 탄생체로서 작용하고, 아우터링(111), 세그먼트(110), 상부원판(114)의 상대이동을 내부 상쇄하도록 되어 있다. 즉, 타이어내부의 내부압력이 트레드형(109), 세그먼트(110)의 반경향으로 힘을 발생하고, 이 힘이 아우터링(111)의 경사면에서 상향의 힘으로 변환되고, 아우터링(111)이 세그먼트(110)에 대하여 상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움직임을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하향의 탄성변형력이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9도~제12도의 타이어가황설비와 제13도의 타이어가황용 분할금형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2도 및 제13도는 가황스테이션(200a)의 금형대(204a)에 있었던 타이어가황용 금형(Ma)내의 타이어의 가황이 종료하고, 그 금형(Ma)을 금형운반대차(202a)에 의해, 금형개폐스테이션(201a)의 금형개폐장치(205a)내에 반입하여 종료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때, 클릭(134a),(138a)의 조는, 걸어맞춤상태에 있고, 클릭(139a),(146b)의 조는, 통과기능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먼저 실린더(205d)를 작동시켜서, 암(205c)을 하강시키고, 착탈장치(141)에 의해, 커버플레이트(130)와 볼스터플레이트(140)를 연결하는(제11도참조)동시에, 푸셔(135)가 커버플레이트(130)를 아래쪽으로 변형시키고, 클릭(134a)과 클릭(138a)의 걸어맞춤면사이에 틈새를 만든다. 또, 가열가압매체통로 (120c) , ( 120d)를 퀵커플러(128),(129)를 개재해서 금형외배관(도시생략)에 접속한다.
이어서, 절환밸브(도시생략)를 작동시켜서, 타이어(T)내의 가열가압매체를 배출하고, 타이어(T)내의 압력이 충분히 강하한 것을 확인하면, 실린더(150)를 작동시키고 클릭(139a),(146b)의 조를 걸어맞춤시켜서, 상부원판(114)과 실린더(143)의 로드(143)를 연결하는 동시에, (134a),(138a)의 조를 통과가능한 상태로 해서, 록을 해제한다.
이어서, 공지와 같이 실린더(143)를 상부원판(114)의 밀어내리기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동시에, 실린더(205d)를 볼스터플레이트(140)의 상승방향으로 작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트레드형(109)이 타이어(T)로부터 벗겨져서 직경확대하는 동시에 클릭(110b)과 클릭(114b), 클릭(103a)과 클릭(110c)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또 볼스터플레이트(140)가 상승해서, 실린더(143)가 스트로크엔드에 달하면, 클릭(139a),(146b)이 걸어맞춤하고 있으므로, 상부원판(114)이 끌어올려져 타이어가황용 금형이 개방한다.
이어서, 가황완료타이어(T)를 타이어가황용 금형밖으로 반출하고, 이어서 가황되는 타이어를 반입한다. 그후, 실린더 (205d)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서,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패쇄한다.
그렇게 하면, 먼저 상부원판(114)에 걸쳐 매달린 세그먼트(110)가 수압판(104)에 맞닿고, 그로부터는 실린더(143)가 되밀리면서, 볼스터플레이트(140)를 개재해서 아우터링(111)이 하강해서, 트레드형(109)이 직경축소해서 타이어가황용 금형이 페쇄하고, 또, 푸셔(135)가 커버플레이트(130)를 아래쪽으로 휘게한다.
이 동안, 타이어(T)의 안쪽에는, 정형용 압력기체가 도입되고, 트레드형(109)의 직경축소의 최종단계에서는 클릭(110b)과 클릭(114b), 클릭(103a)과 클릭(110c)이 걸어맞춤한다.
이렇게 해서 타이어가황용 금형이 폐쇄종료하면, 실린더(143)의 작동을 정지하는 동시에, 실린더(15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서 클릭(134a),(138a)의 조를 걸어맞춤상태로 해서, 커버플레이트(130)와 상부원판(114)을 록하는 동시에, 클릭(139a),(146b)의 조를 통과가능한 상태로 하고, 볼스터플레이트(140)가 상승해서, 상기 클릭(134a)과 클릭(138a)이 걸어맞춤해서 맞닿는다. 이어서, 타이어의 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해서, 가황공정에 들어간다.
이때, 가열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한 측벽형(105),(113)을 이간시키려고 하는 힘이, 상부원판(114), 클릭(114b),(110b), 세그먼트(110), 클릭(110c),(103a), 하부원판(103)을 개재해서 금형장치내에서 상쇄한다.
또, 트레드형(109)을 직경확대시키려고 하는 반경방향의 힘이, 세그먼트(110)를 개재해서 아우터링(111)내에서 상쇄되는 동시에, 세그먼트(110)와 아우터링(111)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미끄럼이 동경사면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반경방향력의 수직분력, 즉, 아우터링(111)을 부상 시키려고 하는 힘이 스페이서링(112), 경질단열재(131), 커버플레이트(130) 및 커버플레이트의 탄성복귀력, 바깥링(134), 클릭(134a),(138a), 안쪽링(138), 상부원판(114), 클릭(114b),(110b)을 개재해서 금형장치내에서 상쇄한다.
따라서, 미리 볼스터플레이트(140)를 개재해서 금형장치를 외력에 의해서 눌러둘 필요가 없이, 착탈장이(141)를 해방하고, 실린더(205d)를 작동시켜서 암(205c)을 상승시키고 나서, 상기와 반대의 수순으로 금형장치를 가황스테이션이-소정위치에 이동시켜서, 가황을 속행한다.
상기 제9도~제12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설비에서는, 복수조의 타이어금형을 배열해서 가황을 행하는 가황스테이션과, 상기 타이어금형을 개방해서 가황완료 타이어를 꺼내고, 다음에 가황해야할 미가황타이어를 삽입해서, 정형한 후 해당 타이어금형을 폐쇄하는 금형개폐스테이션과의 사이를 중량물인 타이어금형을 선택적으로 효율좋게 또한 안전하게 반송할 필요가 있다.
또, 타이어가황설비의 각 구성장치가 순조롭게 가동하고 있는 동안은 문제가 없으나, 만일, 금형이동재치장치가 고장나면, 수리할 동안, 반송중의 타이어금형은 물론이고, 고장난 금형이동재치장치가 소속된 그룹의 반송중이외의 타이어금형에서도 가황완료타이어의 꺼내기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없게되어, 생산량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비추어서 제안하는 것으로, 그목적으로 하는 바는, ①가황스테이션과 금황개폐스테이션과의 사이를 중량물인 타이어금형을 선택적으로 효율좋게 또한 안전하게 반송할 수 있고, ②금형개폐장치 등이 고장나거나 했을 때의 생산량의 저하를 필요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③비용절감할 수 있는 데다가, 고장발생률을 저감할 수 있는 타이어금형운반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는, 복수조의 타이어금형(M)을 배열해서 가황을 행하는 가황스테이션(1)과, 상기 타이어금형(M)을 개방해서 해당 금형으로부터 가황완료타이어를 꺼내고, 다음에 가황해야할 미가황타이어를 해당 금형내에 삽입해서 그것을 정형한 후 상기 타이어금형(M)을 폐쇄하는 금형개폐스테이션(2)과의 사이를 왕복하는 금형운반장치(3)에 있어서, 상기 가황스테이션(1) 및 상기 금형개폐스테이션(2)을 따라서 부설한 제1궤도(4)와 상기 금형개폐스테이션(2)에 설정한 제1위치(P1)와 상기 가황스테이션(1)의 앞의 복수개소에 설정한 제2위치(P2)와의 사이를 상기 제1궤도(4)를 따라서 이동하는 구동장치부착대차(19)와, 상기 대차(19)상에 제1궤도(4)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설한 제2궤도(12)와, 상기 가황스테이션(1)이 복수개소에 설정한 제3위치(P3)에 상기 제1궤도(4)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설한 제3궤도(13)와, 이제3궤도(13)의 1개와 상기 대차(19)상의 제2궤도(12)가 접속했을때에 이들 제2궤도(12) 및 제3궤도(13)를 따라서 이동하는 금형이동재치장치(32)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제1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에 있어서, 제1궤도(4)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황스테이션(1)의 각 제3위치(P3)와 대칭인 각 제4위치(P4)에 제1궤도(4)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설한 제3궤도(13)를 가지고, 상기 제3궤도(13)의 1개와 대차(19)상의 제2궤도(12)가 접속했을때에 이들 제2궤도(12) 및 제3궤도(13)를 따라서 금형이동재치장치(32)를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3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에 있어서, 대차(19)상의 제2궤도(12) 및 금형이동재치장치(32)를 수평면내에서 180。 선회가능하게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3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제3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에 있어서, 대차(19)가 제1위치(P1)에 있을 때, 대차(19)상의 타이어금형(M)을 제2궤도(12)로부터 부상시키고 또한 상기 대차(19)를 제1궤도(4)로부터 부상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5발명은, 상기 제1~제3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에 있어서, 타이어금형이동운반장치(32)에, 제4궤도(33)위를 이동가능한 슬라이더(35)와, 이 슬라이더(35)위를 상기 제2궤도(12)의 방향으로 제5궤도(37)를 따라서 이동가능한 빔(38)과, 상기 빔 (38)위를 제2궤도(12)의 방향으로 제6궤도(39)를 따라서 이동가능한 블록(41)과 빔(38)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체인 힐(45)과, 이 체인 휠(45)에 맞물리고 또한 적소를 블록(41) 및 슬라이더(35)에 연결한 체인(46)을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6발명은, 상기 제1~제3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에 있어서, 제1궤도(4)와 제2궤도(12)와 제3궤도(13)의 각각을, 중량받이전용궤도(4b),(12b),(13a)와 방향안내전용궤도(4c),(12b),(13b)에 의해 구성하고, 이 방향 안내전용궤도(4c ),(1 2b),(13b)를 타이어금형(M)의 중심점을 통과하도록 부설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7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는, 타이어금형(M)을 얹어서 궤도가 없는 바닥면을 이동하는 대차(52)와, 이 대차(52)를 연결해서 이동시키는 반송차(53)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8발명은 상기 제7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에 있어서, 대차(52)의 하부면에 에어슬라이더(62)를 설치해서, 이 에어슬라이더(62)와 바닥면과의 사이로부터 공기를 불어내서 상기 대차(52)를 부상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를 제1도~제4도에 표시한 제1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타이어가황설비의 전체를 제1도에 의해 설명하면, 가황스테이션(1)(1a 및1b)은, 뒤에 상세히 설명하거나, 복수의 타이어금형(M)(Ma, Mb, Mc.....)을 걸쳐 놓은 복수의 금형대(5)(5a, 5b, 5c.....)로 이루어지고, 각 금형대(5)에는, 필요에 따라서 도시를 생략한 가열가압매체보충수단 및 배관 등이 배설되어 있다.
금형개폐스테이션(2)((2a) 및 (2b))은 공지의 타이어가황기에 있어서와 마찬가지의 금형개폐장치(6)((6a) 및 (6b))와;타이어금형으로부터 가황완료타이어를 반출하는 공지의 언로더(7a)와;타이어금형에 미가황타이어를 반입하는 공지의 로더(8a)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서 가황완료타이어반송용 컨베이어(9a), 미가황타이어용 랙(10a)등이 설치된다.
타이어금형운반장치는, 공동베이스에 고정된 제1궤도(4)와, 이 제1궤도(4)에 안내되고, 도시생략한 구동장치에 이해 주행하는 대차장치(3)((3a) 및 (3b))로 이루어진다.
금형교환스테이션은, 피가황타이어의 사양변경에 따른 타이어금형내의 트레드형, 측벽형 등의 교환이나, 소모품인 블래너의 교환등을 행하는 금형교환테이블(11)로서, 이들 교환작업에 필요한 금형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타이어금형예열실을 부속시켜도 된다. 또, 금형교환테이블(11)을 단순한 타이어금형의 임시재치대 또는 타이어금형예열실로 하고, 타이어금형을 포크리프트등에 의해 다른 곳에 반송해서 금형내의 부품교환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제2도~제4도에 의해 타이어금형운반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황스테이션(1)내의 금형대(5)의 증감의 편의를 배려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통베이스(14)가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제2도에는, 그 중의 하나인 금형대(5a),(5b)용 공통베이스(14)가 표시되어 있고, 그 양단부에는 금형대(5a),(5b)용 가설대(14a),(14b)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공통베이스(14)의 중심선 Y1-Y1과 직교한 중심선 X-X를 따라서 공통베이스(14)를 걸쳐서 복수의 제1궤도(4)가 고정되어 있다. 제1궤도(4)의 프레임(4a)의 양사이드에는, 중량받이전용궤도(4b)가 배설되고, 중앙에는 안내전용궤도(4c)가 배치되어 있다.
이 중량받이전용궤도(4b)에는, 롤러(15)가 각 1열로 수평으로 장착조립되어서 롤러열이 형성되고, 대차(19)의 이면에 레일(17)이 고정되어서, 이 레일(17)이 롤러(15)열의 위에 놓여 있다.
또, 상기 안내전용궤도(4c)는, 롤러(16)가 2열로 수직으로 장착조립되어서, 롤러열이 형성되고, 대차(19)의 이면에 키(18)가 고정되고, 이 키(18)가 롤러(16)열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대차(19)가 롤러(16)열에 의해 안내되어서, 도시를 생략한 구동장치에 의해 롤러(15)열의 위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롤러열과 레일 또는 키와의 배치관계를 반대로 할 수도 있다.
대차(19)의 상부면에는 각 수평장착롤러(20)를 일렬로 장착조립한 좌우 1쌍의 중량받이전용궤도(12a)와 이 궤도(12a)의 중앙에 수직장착롤러(21)를 2열로 장착조립한 안내전용궤도(12b)로 이루어진 제2궤도(12)가 제1궤도(4)에 대해서 직교하는 안내전용궤도(12b)로 이루어진 제2궤도(12)가 제1궤도(4)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조립되어 있고, 각 타이어금형(M)의 이면에 고정한 레일(22)이 궤도(12a)에 올라타고, 타이어금형(M)의 이면에 고정한 키(23)가 궤도(12b)의 롤러열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또 금형대(5a),(5b)용 가설대(14a),(14b)위에도, 상기 제2궤도(12)의 연장 방향으로 제2궤도(12)와 마찬가지로 롤러(24)를 일렬로 배열한 1쌍의 중량받이전용궤도(13a)와 롤러(25)를 2열로 배열한 안내전용궤도(13b)로 이루어진 제3궤도(13)가 장착조립되어 있고, 상세한 것을 후술하는 타이어금형이동재치장치(32)에 의해 타이어금형(M)이 대차장치(3a)위와 금형대(5a)위 또는 (5b)위의 사이를 이들 궤도 (12)(13)를 따라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궤도(4)와 마찬가지로 제2 및 제3궤도도, 롤러와 레일 또는 키의 관계를 반대로 할 수도, 미끄럼이동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대차장치(3a)가 타이어금형 (M)을 적재해서 금형개폐장치(6a)내에 와서, 금형(M)의 개폐를 하는데 있어서, 금형개폐장치(6a)에의 금형(M)의 위치결정을 위하여, 그리고 금형(M)의 개폐중의 정형반력등이 상기 제1궤도(4) 및 제2궤도에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궤도(4)의 프레임(4a)의 금형개폐장치(6)내의 삽입부에 복수의 액압실린더(26)가 장착조립되는 동시에, 복수의 위치결정로드(27)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대차장치(3a)가 제1위치(P1)(제1도참조)에 왔을 때, 상기 로드(27)의 선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7a)가 침입가능한 오목부를 가진 블록(28)이 대차(19)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대차(19)하부면에 고정된 블록(29)을 개재해서 액압실린더(26)에 의해 대차(19)가 부상했을 때, 상기블록(28)의 오목부와 위치결정로드(27)의 선단플랜지(27a)가 걸어맞춤해서, 부상한 대차(19)의 위치결정이 행해지도록 되어있다.
대차(19)의 상부면과 각 타이어금형(M)의 이면에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액압실린더(30)와, 위치결정로드(31)와, 블록이 장착조립되어 있고, 타이어금형(M)의 부상 및 위치 결정이 행해지도록 되어있다.
금형이동재치장치(32)의 대차(19)의 상부면에는, 타이어금형(M)을 대차장치(3a)위와 금형대(5a)위와의 사이에서 이동재치하는 금형이동재치장치(32a)와, 타이어금형(M)을 대차장치(3a)위와 금형대(5b)위와의 사이에서 이동재치하는 금형이동 재치장치(32b)가 배치되어 있다.
이 금형이동재치장치(32)(32a 및 32b)는, 대차(19)의 상부면에 상기 제2궤도(12a),(12b)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된 제4궤도(33)를 안내부재로서 미끄럼이동하는 직동베어링(34)에 슬라이더(35)가 고정되고, 이 슬라이더(35)가 도시를 생략한 슬라이더이동용 구동장치에 의해 제2궤도(12a),(12b)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고, 이 슬라이더(35)에 고정한 직동베어링(36)을 안내부재로서 제2궤도(12a),(12b)에 병행해서 미끄럼이동가능한 제5궤도(37)가 빔(32)에 고정되고, 이 슬라이더(35)에 장착조립된 유체압실린더(44)의 로드엔드부재(43)가 핀블록(42)을 개재해서 상기 빔(38)에 연결되어 있고, 유체압실린더(44)에 의해 빔(38)이 제2궤도(12)에 병행해서 미끄럼이동한다.
또, 이 빔(38)의 양단부에 체인휠(45)이 회전가능하게 장착조립되고, 이 체인휠(45)에 체인(46)이 걸쳐지고, 이 체인(46)의 아래쪽의 적소가 슬라이더(35)에 장착조립되고, 제6궤도(39)가 제5궤도(37)와 병행해서 빔(38)에 고정되고, 이제6궤도(39)를 안내부재로서 미끄럼이동하는 직동베어링(40)에 금형구동단부용 블록(41)이 고정되고, 상기 체인(46)의 위쪽의 적소가 이 금형구동단부용 블록(41)에 장착조립되어 있고, 상기 유체압실린더(44)에 의해 상기 금형구동단부용 블록(41)이 빔(38)과 동일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한다.
따라서, 금형구동단부용 블록(41)은, 빔(38)의 스트로크의 2배의 스트로크로 이동한다. 이 금형구동단부용 블록(41)에는, 타이어금형(M)의 이면에 블록(47)을 개재해서 캠(48)이 회전가능하게 장착조립되고, 이 캠(48)에 걸어맞춤하는 ㄷ자형상의 오목부(49)가 금형구동단부용 블록(41)에 형성되어 있고, 금형구동단부용 블록(41)의 오목부(49)와 캠(48)이 Y1-Y1방향(제2궤도 또는 제3궤도의 방향)에 있을 때, 슬라이더(35)가 대차(19)의 중심쪽으로 이동하면, 오목부(49)와 캠(48)이 걸어맞춤해서, 타이어금형(M)과 이동재치장치(32)가 연결되고, 슬라이더(35)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이 해제된다.
다음에, 상기 제1도~제5도에 표시한 타이어금형운반장치(제1실시형태)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제, 가령 금대형(5a)위의 타이어금형(Ma)내에서 타이어의 가황이 종료임박하면, 빈 대차장치(3a)가 타이어금형(Ma)의 앞위치(P2a)로 이동하고, 금형이동재치장치(32a)(타이어금형(Ma)의 가황이 종료한 것이면 금형이동재치장치(32b))의 슬라이더(35)가 대차(19)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타이어금형(Ma)에서의 가황이 종료하면 유체압실린더(44)가 작동해서, 금형구동단부용 블록(41)이 타이어금형(Ma)의 아래로 이동한 후, 슬라이더(35)가 반대로 이동해서, 타이어금형(Ma)과 이동재치장치(32a)가 연결한다.
타이어금형(Ma)과 이동재치장치(32a)와의 연결이 완료하면, 상기 유체압실린더(44)가 반대방향으로 작동해서, 타이어금형(Ma)이 대차장치(3a)의 중심(P2a)으로 이동재치되고, 이어서 타이어금형(Ma)을 적재한 대차장치(3a)가 금형개폐장치(6a)의 개폐위치(P1)까지 이동한다.
대차장치(3a)가 금형개폐장치(P1)에 달해서 정지하면, 실린더(26) 및 (30)가 작동해서 대차(19)가 제1궤도(4a),(4b)로부터 부상하는 동시에, 타이어금형(Ma)이 제2궤도(12a),(12b)로부터 부상해서, 위치결정로드(27) 및 (31)와 대차(19)에 의해 타이어금형 (Ma)이 금형개폐장치(6a)에 위치결정된다.
이어서, 공지의 수순으로 가황완료타이어의 꺼내기, 이어서 미가황타이어의 반입, 정형이 행해지고, 타이어금형이 폐쇄하면, 타이어안쪽에 가황용 가열가압매체가 도입되어서, 다음의 가황공정에 들어간다.
이렇게 해서 가황공정에 들어온 타이어금형은, 상기와 반대의 수순으로, 가황스테이션내의 소정위치에 반송되어서, 가황공정이 게속되고, 대차장치(3a)는 다음에 가황공정을 종료하는 타이어금형을 반송하기 위하여 이동한다.
또한, 금형의 교환, 블래더의 교환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금형내에 미가황타이어를 반입하지 않고, 일단 타이어금형을 폐쇄하고, 대차장치(3a)에 의해 금형교환스테이션(11)에 이송하고, 금형교환 등을 행한 후, 금형개폐스테이션에 이송해서, 다음에 가황하는 미가황타이어의 반입등을 행한다.
[제2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를 제5도에 표시한 제2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한다.
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실시형태와 ①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차장치(3)의 대차의 구성이 다르다. ② 제1실시형태에서는 금형이동재치장치(32)가 2조(32a,32b)장비되어 있었으나, 제2실시형태에서는 1조만이 장비되어 있다. ③ 대차부상용 실린더(26) 및 위치결정로드(27)의 장착위치가 바뀔 뿐이고 그밖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의 대차(19)에 대응하는 부재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면에 레일(17) 및 키(18)를 고정한 대차(50)와, 회전용 베어링(52) 및 평면부시(53)를 개재해서 수평면내를 선회가능하게 대차(50)에 장착조립한 턴테이블(51)로 이루어지고, 턴테이블(51)의 상부면에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궤도(12) 및 금형이동재치장치(32)(단 상기와 같이 1조의 금형이동재치장치(32))등이 배치되고, 턴테이블(51)의 하부면에는, 위치결정로드용 블록(28)이 장착조립되어 있고, 도시를 생략한 구동장치에 의해 대차(50)는, 제1궤도(4)상위를 제1도의 X-X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 도시를 생략한 구동장치에 의해 턴테이블(51)은, 제2궤도 (12)가 제1궤도(4)에 대해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즉, 제3궤도(13)의 방향으로 각90。선회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1궤도(4)의 프레임(4a)에 장착조립된 대차부상용 실린더(26) 및 위치결정로드(27)는, 금형개폐장치내에 있어서, 턴테이블(51)을 직접 부상위치결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금형대(5a)위와의 사이에서의 타이어금형(M)의 이동재치시에는, 턴테이블(51)을 시계방향으로 90。 선회한 상태로 한다. 또, 금형대(5b)위와의 사이에서의 타이어금형(M)의 이동재치시에는, 턴테이블(51)을 반시계방향으로 90。선회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금형이동재치장치(32)는 제1실시형태의 금형이동재치장치(32a)나, 금형이동재치장치(32b)의 어느 한쪽을 장비해두면 되게 한다.
또한 턴테이블(51)의 선회는, 각 금형대의 앞에 있을때에 행해도, 대차장치(3a)가 제1궤도(4)위를 이동중에 행해도 된다. 또, 대차장치(3a)가 금형개폐장치(6b)내의 정위치(P1)에 달했을 때, 턴테이블(51)상의 제2궤도(12)가 제1궤도(4)에 대해서 평행이 되도록 할지, 직각이 되도록 할지는, 가황스테이션(1a)내의 금형대 및 금형교환테이블(11)의 배치(한쪽에 많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직각으로 한편이 유리)등을 고려해서 선택하면된다. 또한, 바꿔옮겨진 금형조립체를 가황스테이션(5b)의 소정위치에 고정하는 스톱퍼를 포함한 고정장치(100)가 각 가황스테이션에 장비되어 있으나, 공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를 제6도~제8도에 표시한 제3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한다.
가황스테이션(51)(그룹 a용 가황스테이션(51a), 그룹 b용 가황스테이션(51b))은, 복수의 타이어가황용 금형(M)(Ma1~Ma7, Mb1~Mb7)을 수용하는 금형정치대(51)(51a1~51a7, 51b1~51b7)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서 가열가압매체보충수단, 배관등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이 제3실시형태에서는 상세한 것을 후술하는 대차(52)(52a1~52a7, 52b1~5b7)에 타이어금형(M)을 걸쳐 놓은 그대로 금형대에 수납하는 형식으로 하고 있으나, 대차(52)로부터 금형정치대(51)에 타이어금형(M)을 이동재치하는 형식으로 하는 경우에는, 금형이동재치수단(예를 들면 롤러컨베이어 및 실린더 구동푸셔)이 부속하고 있다.
금형개폐수단(54)은 공지의 타이어가황기와 유사한 금형개폐장치(55)와 ; 타이어금형(M)으로부터 가황완료타이어를 반출하는 공지의 언로더(56)(56a, 56b)와 ; 타이어금형(M)에 미가황타이어를 반입하는 공지의 로더(57)(57a, 57b)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서 가황완료타이어반송용 컨베이어(58), 미가황타이어반송용 컨베이어(59)가 설치된다.
또한, 이 제3실시형태의 금형개폐장치(55)는, 상기 제9도의 금형개폐장치(205)(205a,205b) 2대를 등을 맞대어 접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금형개폐장치(55)의 (55a1~55b1)이 지지부(55c)에 승강가능하게 장착조립한 암, (55a2~55b2)가 지지부(55c)로부터 뻗은 빔에 고정한 승강실린더이고, 이 승강실린더(55a2),(55b2)의 로드의 선단부가 상기 압(55a1),(55b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승강실린더(55a2),(55b2)의 작동에 의해, 암(55a1),(55b1)이 승강한다. [(55a1),(55b2), (55a3)이 상기 제10도의 (205c ),(205d)(205c)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이 제3실시형태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는 각 타이어금형(M)을 걸쳐놓은 대차(52)(52a1~52a7,52b1~52b7)와, 반송차(53)(그룹a용 반송차(53a), 그룹b용 반송차(53b), 도시를 생략한 예비그룹 c용 반송차(53c))로 이루어지고, 각 대차(52)는,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 타이어금형(M)의 기판(101)에 일체의 대차본체(61)와, 미대차본체(61)의 하부면에 고정한 복수의 다리부(63) 및 복수의 에어슬라이더(62)와, 동에어슬라이더(62)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배관(도시생략)에 의해 구성되어있다.
또한, 타이어금형(M)은, 상기 기판(101)에 장착조립하는 대신에 대차(61)의 상부면에 장착조립하는 점이외에는, 상기 제13도에 표시한 타이어금형(M)과 완전히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8도에 표시한 타이어금형(M)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반송차(53)는, 바닥면(FL)에 배설한 도선을 뒤쫓는 형식의 공지의 자주대차로서, 반송차(53)의 프레임이 안내부재(65)와 대차연결용 전자석(64)을 개재해서 대차본체(61)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와같이 연결하는 것은, 반송중의 반송차(53)와 대차본체(61)와의 상대높이가 변동해도 지장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반송차(53)에는, 에어슬라이더(62)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 등의 압축공기공급원(도시생략)과, 대차(52)의 압축공기공급구에 연결되는 배관(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6도~제8도에 표시한 타이어금형운반장치(제3실시형태)의 작용을 구제적으로 설명한다.
가황스테이션(51)내에서는, 대차 (52)의 복수의 다리부(63)의 하부면이 금형 정치대(51)의 상부면에 맞닿아서 걸쳐놓은 가황중의 타이어금형(M)을 지지하고 있다.
가령 타이어금형(Ma1)내에서 타이어의 가황이 종료했다고 하면, 반송차(53a)가 대차(52a1)의 앞으로 이동하고, 대차연결용 전자석(64)에 통전되어서, 반송차 (53a)와 대차(52a1)가 연결되고, 다음에 블로워가 기동하여, 압축공기가 대차(52a1)의 복수의 에어슬라이더(62)에 공급되고, 에어슬라이더(62)와 바닥면과의 사이로부터 공기가 불어나오고, 대차(52a1)가 약간 부상해서, 대차(52a1)와 바닥면이 무접촉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타이어금형(Ma1)을 걸쳐 놓은 대차(52a1)가 반송차(53a)에 의해 금형개폐장치(55)내의 a그룹쪽, 즉, 베이스판(55a3)위로 이동한다.
베이스판(55a3)위에 도달하면, 반송차(53a)가 미동해서, 타이어금형(Ma1)과 베이스판(55a3)과의 센터링을 행한다. 그때, 필요에 따라서 센터링장치(도시생략)의 보조를 받는다.
이어서, 블로워가 정지되고, 대차 (52a1)의 다리부(63)가 베이스판(55a3)의 상부면에 맞닿아서 정치된다.
이어서, 종래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타이어금형(Ma1)이 개방되고, 가황완료타이어가 꺼내지고, 그후, 다음에 가환되는 미가황타이어가 반입되고, 정형되어서, 타이어금형(Ma1)이 폐쇄되고, 이어서 타이어금형(Ma1)이 상기의 요령으로 가황스테이션(51)내의 소정위치(51a1)로 복귀한다.
상기 직업중 만일 그루을 구성하는 장치의 1개가 고장난 경우, 고장이 반송차(53a)에 발생하면, 대차(52a1)와의 연결이 해제되고, 예비반송차(53c)가 이동해와서, 고장난 방송차(53a)가 밀리거나 끌리거나 해서, 통로가 확보되고, 이어서 예비 반송차(53c)가 대차(52a1)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이 계속된다.
또, 고장이 언로더(56a), 로더(57a), 그밖에 금형개폐장치(55)의 a그룹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고장을 수리하는 동안, 타이어금형(M)이 다른 그룹의 타이어개폐장치에 이송되어서 처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제6발명의 금형반송장치에서는, 가황스테이션(1)내의 복수의 타이어금형(M)의 1개가 가황을 종료하면, 빈 대차(19)를 그 타이어금형(M)의 앞(제2위치(P2))으로 이동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제2궤도(12)를 선회시킨후, 타이어금형이동재치장치(32)의 금형이동구동장치를 대차(19)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황이 종료하면, 동 구동장치의 빔(38)을 이동시켜서, 블록(41)을 타이어금형(M)의 아래쪽에 삽입하고, 그후, 대차(19)의 중심쪽으로 이동시켜서 타이어금형(M)의 하부면에 설치한 돌기와 상기 블록(41)에 형성한 잘린 부분을 걸어맞춤시켜서, 대차(19)와 타이어금형(M)을 연결시킨다. 이어서 빔(38)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타이어금형 (M)을 제3궤도(13)→제2궤도(12)로 이동시킨다. 그때, 타이어금형(M)은 중량받이전용궤도(4b),(12a),(13a)와 방향안내전용궤도(4c),(12b),(13b)에 의해 지지되고, 대차(19)의 중심으로 이동재치된다. 타이어금형(M)의 이동재치가 종료하면, 타이어금형(M)을 이동재치한 대차(19)를 제1위치(P1)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타이어금형(M)을 부상시켜서, 금형개폐장치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동시에, 계속해서 행해지는 가황완료타이어의 꺼내기, 미가황타이어의 반입정형(spaping)시에, 정형반력 등을 각궤도등에 직접 작용시키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가황완료타이어의 꺼내기, 미가황타이어의 반입, 정형을 종료해서, 타이어금형(M)을 폐쇄하면, 타이어안쪽에 가황용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해서, 다음의 가황공정에 들어가고, 가황공정에 들어온 타이어금형(M)을 상기와 반대의 수순으로 가황스테이션(1)내의 소정위치에 반송해서, 가황공정을 계속하고, 대차(19)를 다음에 가황공정을 종료하는 타이어금형반송을 위하여 이동시킨다. 또한 금형의 교환, 블래더의 교환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미가황타이어를 삽입하지 않고 일단 타이어금형(M)을 폐쇄한 후, 대차(19)에 의해 금형교환스테이션으로 이송하고, 금형교환 등을 행한 후, 금형개폐스테이션(2)에 이송하고, 다음에 가황되는 미가황타이어의 반입 등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해서, 복수조의 타이어금형(M)을 배열해서 가황을 행하는 가황스테이션(1)과 상기 타이어금형(M)을 개방해서 가황완료타이어를 꺼내서 다음에 가황해야 할 미가황타이어를 삽입해서 정형한 후, 상기 타이어금형(M)을 폐쇄하는 금형개폐스테이션(2)과의 사이를 중량물인 타이어금형(M)을 선택적으로 효율좋게 또한 안전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 가황스테이션(1)이 대차 (19)의 통로의 양쪽에 가황중의 타이어금형(M)을 놓는 금형대를 배치할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당초에는 소구의 금형대를 설치하고, 추후에 금형대를 증설해가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7, 제8발명의 타이어금형운반장치에서는, 가황스테이션(51)에서 가황이 종료한 타이어금형(M)의 앞에 반송차(53)를 이동시켜서, 타이어금형(M)을 걸쳐놓은 대차(52)에 연결하고, 동시에 반송차(53)쪽의 압축공기공급원을 배관을 개재해서 대차(52)하부면의 에어글라이더(62)에 연결하고, 에어슬라이더(62)로부터 불어내는 공기에 의해 대차(52)를 부상시키고, 이 상태에서 반송차(53)에 의해 대차(52)를 금형개폐장치(55)내의 소정위치에 반입하고, 공기부상을 정지시켜서, 소정위치에 정지한다. 이어서 가황완료타이어를 타이어금형(M)으로부터 꺼내고, 다음에 가황할 미가타이어를 반입하고 정형해서, 타이어금형(M)을 폐쇄한다. 이어서, 대차(52)를 재차 공기부상시켜서, 그 금형을 반송차(53)에 의해 가황스테이션(51)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공기부상을 정지시켜서, 반송차(53)와 대차(52)와의 연결을 풀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 타이어금형(M)에서는 가황을 속행하고, 연결을 푼 반송차(53)를 다음에 운반해야 할 타이어금형(M)의 앞에 이동시켜서, 상기와 동일한 작업을 반복해서 행한다. 또, 반송차(53)가 고장나거나, 정기점검 등을 행할때에는, 예비반송차를 사용한다. 또한, 금형개폐장치가 고장나거나, 정기점검 등을 행할때에는, 다른 그룹의 금형개폐장치 혹은 예비의 금형개폐장치의 곳에 운반해서, 상기한 작업을 반복해서 행하므로, 금형개폐장치 등이 고장나거나 했을 때의 생산량이 저하를 필요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타이어금형운반장치를 대차(52)와 반송차(53)로 분할하는 한편, 타이어 금형장착조립기판(101)을 대차(52)로서 사용하므로, 비용절감할 수 있는 데다가 부품수감소에 의해 타이어금형운반장치의 고장발생률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8)

  1. 복수조의 타이어금형(M)을 배열해서 가황을 행하는 가황스테이션(1)과, 상기 타이어금형(M)을 개방해서 해당 금형으로부터 가황완료타이어를 꺼내고, 다음에 상기 금형내에 가황해야 할 미가황타이어를 삽입해서 정형한 후 상기 타이어금형(M)을 폐쇄하는 금형개폐스테이션(2)과의 사이를 왕복하는 금형운반장치(3)에 있어서, 상기 가황스테이션(1) 및 상기 금형개폐스테이션(2)을 따라서 부설한 제1궤도(4)와, 상기 금형개폐스테이션(2)에 설정한 제1위치(P)와 상기 가황스테이션(1)의 앞의 복수개조에 설정한 제2위치(P2)와의 사이를 상기 제1궤도(4)를 따라서 이동하는 구동장치부착대차(19)와, 이 대차(19)상에 상기 제1궤도(4)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설한 제2궤도(12)와, 상기 가황스테이션(1)의 복수개소에 설정한 제3위치(P3)에 상기 제1궤도(4)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설한 제3궤도(13)와, 이 제3궤도(13)의 1개와 상기 대차(19)상의 제2궤도(12) 및 제3궤도(13)를 따라서 이동하는 금형이동재치장치(3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금형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궤도(4)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황스테이션(1)의 각 제3위치(P3)와 대칭인 각 제4위치(P4)에 상기 제1궤도(4)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설한 제3궤도(13)를 가지고, 상기 제3궤도(13)의 1개와 상기 대차(19)상의 제2궤도(12)가 접속했을 때에 제2궤도(12) 및 제3궤도(13)를 따라서 금형이동재치장치(32)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금형운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대차(19)상의 제2궤도(12) 및 상기 금형이동재치장치(32)를 수평면내에서 180。 선회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금형운반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19)가 상기 제1위치(P1)에 있을 때, 해당 대차(19)상의 타이어금형(M)을 상기 제2궤도(12)로부터 부상시키고 또한 상기 대차(19)를 상기 제1궤도(4)로부터 부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금형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금형이동운반장치(32)에, 상기 제2궤도(12)에 직교하도록 부설한 제4궤도(33)위를 이동가능한 슬라이더(35)와, 이 슬라이더(35)위를 상기 제2궤도(12)의 방향으로 제5궤도(37)를 따라서 이동가능한 빔(38)과, 해당 빔(38)위를 상기 제2궤도(12)의 방향으로 제6궤도(39)를 따라서 이동가능한 블록(41)과, 상기 빔(38)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체인휠(45)과, 상기 체인휠(45)에 맞물리고 또한 적소를 상기블록(41) 및 상기 슬라이더(35)에 연결한 체인(4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금형운반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궤도(4)와 상기 제2궤도(12)와 상기 제3궤도(13)의 각각을, 중량받이전용궤도(4b),(12a),(13a)와 방향안내전용궤도(4c),(12b),(13b)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방향안내전용궤도(4c),(12b),(13b)를 타이어금형(M)의 중심점을 통과하도록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금형운반장치.
  7. 타이어금형(M)을 얹어서 궤도가 없는 바닥면을 이동하는 대차(52)와, 상기 대차(52)를 연결해서 이동시키는 반송차(53)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금형운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52)의 하면부에 에어슬라이더(62)를 실시해서, 해당 에어슬라이더(62)와 바닥면과의 사이로부터 공기를 불어내서 상기 대차(52)를 부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금형운반장치.
KR1019950042107A 1994-11-18 1995-11-18 타이어금형 운반장치 KR0180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523794 1994-11-18
JP94-285237 1994-11-18
JP95-177492 1995-07-13
JP17749295A JP3219643B2 (ja) 1994-11-18 1995-07-13 タイヤ金型運搬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125A KR960017125A (ko) 1996-06-17
KR0180924B1 true KR0180924B1 (ko) 1999-05-15

Family

ID=2649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2107A KR0180924B1 (ko) 1994-11-18 1995-11-18 타이어금형 운반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23154A (ko)
EP (2) EP0712705B1 (ko)
JP (1) JP3219643B2 (ko)
KR (1) KR0180924B1 (ko)
CN (2) CN1061587C (ko)
CZ (1) CZ292133B6 (ko)
DE (1) DE69526031T2 (ko)
SK (1) SK283583B6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049A (ja) * 1996-10-23 1998-05-12 Fuji Seiko Kk タイヤ加硫装置
JP3999331B2 (ja) 1998-02-25 2007-10-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設備
US6582212B1 (en) * 1998-11-25 2003-06-24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vulcanizer and tire vulcanizing equipment equipped with the tire vulcanizer
EP1108512B1 (en) * 1999-04-01 2005-03-23 Bridgestone Corporation Metal mold change device for tire vulcanizer
WO2000066336A1 (fr) * 1999-04-30 2000-11-0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Installation de vulcanisation de pneus, ouverture/fermeture de cette installation, et postes de vulcanisation
JP2001079850A (ja) * 1999-07-15 2001-03-27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加硫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39171B1 (ko) * 1999-07-30 2002-05-31 마스다 노부유키 타이어 가황 설비 및 타이어 가황 방법
JP4745534B2 (ja) * 2001-05-28 2011-08-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
KR100798165B1 (ko) * 2006-10-26 2008-01-2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운반장치
KR100986843B1 (ko) * 2007-09-19 2010-10-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륜 공급장치
DE102008041250A1 (de) * 2008-08-13 2010-02-25 Ers Electroni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hermischen Bearbeiten von Kunststoffscheiben, insbesondere Moldwafern
BR112012012123A2 (pt) * 2009-11-30 2019-09-24 Michelin & Cie método de controle do volume do produto em um molde de volume fixo
US9284418B2 (en) * 2012-12-18 2016-03-15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Grafting functional species to rubber
CN104985723B (zh) * 2015-07-06 2017-10-27 卓越高新模塑技术(深圳)有限公司 模具调度装置
KR101978712B1 (ko) * 2017-12-21 2019-05-1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몰드 보온장치
CN110871535B (zh) * 2018-09-03 2021-12-24 钜钢机械股份有限公司 直线多模站成型加工机械的模具交换机构
CN113601766A (zh) * 2021-08-09 2021-11-05 浙江中特密封件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橡胶密封圈自动硫化成型设备
CN113787349B (zh) * 2021-09-16 2024-09-24 张家港市张运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端板自动焊接生产线
CN114522859B (zh) * 2022-02-09 2023-03-28 湖南南辰环保有限公司 一种涂装生产线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79292A1 (de) * 1966-02-21 1970-07-30 Nii Shinnoi Promy Vorrichtung zum Ausformen und Vulkanisieren von Luftreifenmaenteln
US3932079A (en) * 1975-01-29 1976-01-13 Valery Leonidovich Legostaev Pneumatic tire vulcanizing apparatus
JPS57186572A (en) * 1981-05-13 1982-11-17 Mitsubishi Electric Corp Conveyor unit
EP0092685B2 (de) * 1982-04-26 1995-08-02 Battenfeld GmbH Schnellwechsel- und/oder Spannvorrichtung für die Formwerkzeuge von Spritzgiessmaschinen
US4444039A (en) * 1982-04-26 1984-04-24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Die forging press
JPS60159010A (ja) * 1984-01-31 1985-08-20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機の金型交換装置
JPS61160348A (ja) * 1985-01-10 1986-07-21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浮上運搬装置
IT1189673B (it) * 1986-05-20 1988-02-04 Firestone Int Dev Spa Impianto di vulcanizzazione di pneumatici
DE3737594A1 (de) * 1986-11-06 1988-06-01 Mazda Motor Umformanlage
US4946358A (en) * 1988-08-29 1990-08-07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Mold mounting apparatus
SE468346B (sv) * 1990-06-19 1992-12-21 Tour & Andersson Ab Anordning vid en vertikal pressgjutningsmaskin samt saett att anvaenda densamma
GB2253600B (en) * 1991-03-14 1994-06-29 Noel Joseph Goom Load transfer pallet or platform
JP2686375B2 (ja) * 1991-04-23 1997-12-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製造装置
KR930023177U (ko) * 1992-04-10 1993-11-25 금형의 낙하 방지장치
JP3244825B2 (ja) * 1992-07-09 2002-01-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の金型装着装置
JP3045436B2 (ja) * 1992-08-06 2000-05-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の金型装着装置
AT403134B (de) * 1993-04-28 1997-11-25 Engel Gmbh Maschbau Formwechseleinrichtung für spritzgiessmaschinen
JP3450027B2 (ja) * 1993-05-07 2003-09-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における型交換台車
JP3128640B2 (ja) * 1993-07-23 2001-01-29 鹿島建設株式会社 建設現場内の資材の搬送装置
US5820885A (en) * 1993-09-14 1998-10-13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Tire vulcanizing system
JPH07100833A (ja) * 1993-10-05 1995-04-18 Shinko Electric Co Ltd 金型交換用無人搬送台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23154A (en) 1998-03-03
KR960017125A (ko) 1996-06-17
EP0712705B1 (en) 2002-03-27
EP0712705A2 (en) 1996-05-22
CN1289715A (zh) 2001-04-04
CN1061587C (zh) 2001-02-07
SK144295A3 (en) 1996-10-02
CZ292133B6 (cs) 2003-08-13
EP0712705A3 (en) 1997-05-07
EP0963826A1 (en) 1999-12-15
JP3219643B2 (ja) 2001-10-15
CN1125658A (zh) 1996-07-03
JPH08192429A (ja) 1996-07-30
CZ304095A3 (en) 1996-06-12
DE69526031D1 (de) 2002-05-02
CN1148311C (zh) 2004-05-05
DE69526031T2 (de) 2002-11-07
SK283583B6 (sk) 200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924B1 (ko) 타이어금형 운반장치
KR0183503B1 (ko) 타이어가황설비
KR0147182B1 (ko)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
KR0145259B1 (ko) 타이어 가황설비
KR0158524B1 (ko)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
JP3872589B2 (ja) 金型開閉・加硫ステーション
JPH08281655A (ja) タイヤ加硫設備
KR100348926B1 (ko) 타이어 가황처리 장치
JP4191316B2 (ja) タイヤ加硫設備
KR100359546B1 (ko) 타이어 가황처리 시스템 및 그 금형 개폐·가황처리스테이션
JPH1034660A (ja) タイヤ加硫機
JP2703170B2 (ja) タイヤ加硫設備
US6508640B1 (en) Tire vulcanizing system and tire vulcanizing method
JP3300735B2 (ja) タイヤ加硫用金型組立体
JP3009567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3272568B2 (ja) タイヤ金型運搬装置
JP3739822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3181180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3722865B2 (ja) タイヤ加硫金型組立体
JP3540500B2 (ja) タイヤ取り出し方法、タイヤ取り出し装置及びタイヤ加硫設備
JP2002113720A (ja) 金型開閉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設備
JPH08155959A (ja) タイヤ加硫設備
KR100315834B1 (ko) 타이어 가황처리 장치
JPH11124034A (ja) レール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