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503B1 - 타이어가황설비 - Google Patents

타이어가황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503B1
KR0183503B1 KR1019950038564A KR19950038564A KR0183503B1 KR 0183503 B1 KR0183503 B1 KR 0183503B1 KR 1019950038564 A KR1019950038564 A KR 1019950038564A KR 19950038564 A KR19950038564 A KR 19950038564A KR 0183503 B1 KR0183503 B1 KR 0183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mold
vulcanization
unvulcanized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615A (ko
Inventor
노부히코 이리에
Original Assignee
오기노 카네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708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1811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9086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268145B2/ja
Application filed by 오기노 카네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기노 카네오
Publication of KR960013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03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 B29C37/0007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using means operable from outside the mould for moving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06Handling moulds, e.g. between a mould store and a mould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29C31/08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of preforms to be moulded, e.g. tablets, fibre reinforced preforms, extruded ribbons, tubes or profiles; Manipul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eeding preforms, e.g. support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3Loading or unloading th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Tyre-vulcanising presses with two or more moulds, e.g. stacked upon each other
    • B29D2030/0651Tyre-vulcanising presses with two or more moulds, e.g. stacked upon each other the moulds being arranged side by side, or in a cir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rosslinked or vulcanised
    • B29K2105/246Uncured, e.g. g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①종래형 가황설비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공장건물과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고, ②평면전유공간을 절감할 수 있고, ③미가황타이어의 공급을 1개의 핸들링장치에 의해 행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리한 타이어가황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그 구성에 있어서, ①가황스테이션의 각 타이어가황용 금형의 위쪽에 미가황타이어의 저장부를 형성하고, ②금형개폐스테이션의 금형개폐장치를 승강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가황완료타이어의 반출과 미가황타이어의 반입을 행하고 있는 동안 대피위치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하고, ③타이어반출위치와 미가황타이어받아들임위치와 미가황타이어를 타이어가황용 금성에 공급하는 공급위치와의 3위치사이를 이동해서 가황완료타이어의 반출 및 미가황타이어의 공급을 행하는 타이어핸들링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금형개폐장치의 개폐스트로크가 적어지고, 가로방향이동과의 조합에 의해서 개폐장치의 전체높이가 낮아져서, 종래형 가황설비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공장건물과의 간섭이 해소된다. 또, 가황스테이션의 상부공간을 이용해서 미가황타이어의 저장과 공급이 가능하고, 종래형 가황설비에서 필요로 했던 가황설비앞쪽의 미가황타이어공급대 및 미가황타이어반송대차의 주차장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평면전용공간이 절감된다. 또 완성타이어의 반출컨베이어도 가황스테이션의 상부를 활용해서 설치가능하고, 이 점으로부터도 공간이 절감된다. 또 완성타이어의 꺼내기, 미가황타이어의 공급이 1개의 핸들링장치에 의해 행해져서,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Description

타이어가황설비
제1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설비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제2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평면도.
제3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에서 사용하는 분할금형장치의 일예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4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
제5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
제6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
제7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
제8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
제9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
제10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
제11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
제12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
제13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
제14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
제15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
제16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
제17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설비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화살표 A-A선을 따른 종단측면도.
제20도는 동 타이어가황설비의 타이어금형반송대차를 표시한 평면도.
제21도는 제18도의 화살표 B-B선을 따른 종단측면도.
제22도는 제18도의 화살표 C-C선을 따른 종단측면도.
제23도는 본건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타이어가황설비의 평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화살표 a-a선을 따른 종단정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화살표 b-b선을 따른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의 종단측면도.
제26도는 동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와 금형개폐장치의 일태양을 표시한 종단정면도.
제27도는 동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와 금형개폐장치의 다른 태양을 표시한 종단정면도.
제28도는 본건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다른 타이어가황용 금형의 종단측면도.
제29도는 제28도의 화살표 e-e선을 따른 종단측면도.
제30도는 제28도의 화살표 f-f선을 따른 상부열판착탈수단의 일예를 표시한 횡단평면도.
제31도는 제28도의 화살표 f-f선을 따른 상부열판착탈수단의 다른 예를 표시하나 횡단평면도.
제32도는 제28도의 화살표 g부분의 확대종단측면도.
제33도는 제28도의 화살표 h-h선을 따른 횡단평면도.
제34도는 제28도의 화살표 i-i선을 따른 횡단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가황스테이션 2a, 2b : 금형개폐스테이션
301~312 : 금형개폐장치 317 : 미가황타이어(G)의 저장부
313 : 타이어핸들링장치 313b : 타이어핸들링장치의 파지장치
D : 금형반송대차 M : 타이어가황용 금형
G, GT : 미가황타이어 T : 가황완료타이어
M(M1~M5) : 타이어금형(가황스테이션)
1100 : 금형개폐장치(금형개폐스테이션)
1200 : 가황완료타이어의 언로더(금형개폐스테이션)
1300 : 가황완료타이어의 냉각설비
1309(1309a~1309j) : 가황완료타이어와 냉각용 림의 조립체
1302, 1502 : 레일 1303, 1503 : 대차
1308, 1508 : 파지장치 1310~1315 : 개폐장치
1400 : 미가황타이어의 로더(금형개폐스테이션)
1500 : 미가황타이어의 공급설비 1509 : 미가황타이어의 지지대
1510 : 미가황타이어의 배출대 1600 : 타이어금형반송대차
1604 : 블래더조작기구 및 가열·가압매체의 공급·배출기구
1700 : 플로어
1800(1800a~1800b) : 금형대(가황스테이션)
P6: 미가황타이어의 배출대의 위치
P7: 미가황타이어의 수취대의 위치
BL : 블래더
본 발명은 타이어가황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건 출원인은, ①타이어가황시 타이어안쪽에 도입되는 고온·고압의 가열·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해 금형을 개방시키려고 하는 힘을 금형내부에서 상쇄시켜 가황중, 금형을 개방하지 않도록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타이어가황용 금형밖으로부터 조여두는 등의 필요를 없앤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와; ②복수조의 타이어가황용 금형(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배열해서 가황을 행하는 가황스테이션과; 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개방해서 가황완료타이어를 꺼내고, 다음에 가황해야 할 미가황타이어를 삽입하고 정형해서 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폐쇄하는 금형개폐스테이션과; 이들 가황스테이션과 금형개폐스테이션과의 사이에 이동가능한 금형운반대차를 가진 타이어가황설비를 이미 제안했다(①의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원평 6-122661호 명세서 참조, ②의 타이어가황설비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원평 5-228961호 명세서 참조).
다음에 상기 ①의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를 제23도~제27도에 의해 설명하면, 제23도의 가황스테이션(1)(1a 및 1b)은, 복수의 타이어가황용 금형(M)(Ma,Mb, …)을 걸쳐놓은 복수의 금형대(5)(5a,5b, …)로 이루어지고, 각 금형대(5)에는, 도시를 생략한 금형이동수단(예를 들면 실린더구동의 푸셔), 필요에 따라서 가열·가압매체보충수단 및 배관 등이 배설되어 있다.
금형개폐스테이션(2)((2a) 및 (2b))은 공지의 타이어가황기와 유사한(차이는 후기) 금형개폐장치(6)((6a)과 (6b))와; 타이어가황기용 금형으로부터 가황완료타이어를 반출하는 공지의 언로더(7a)와; 타이어가황기용 금형에 미가황타이어를 반입하는 공지의 로더(8a)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서 가황완료타이어반송용 컨베이어(9a), 미가황타이어용 랙(10a)등이 설치된다.
제23도, 제24도의 금형반송대차(3a),(3b)는, 바닥면에 고정된 레일(4)과, 레일(4)에 안내되고, 도시생략한 구동수단의 작용에 의해 주행하는 공지의 대차(3)((3a)와 (3b))로 이루어지고, 금형교환스테이션은, 피가황타이어의 사양변경에 따른 타이어금형태의 트레드형, 측벽형등의 교환이나, 소모품인 블래더의 교환등을 행하는 금형교환테이블(11)로서, 이들 교환작업에 필요한 금형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타이어가황용 금형예열실을 부속시켜도 된다. 또 금형교환테이블(11)을 단순한 타이어가황용 금형의 임시재치대 또는 타이어가황용 금형예열실로 하고,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포크리프트 등에 의해 다른 곳에 반송해서 금형내의 부품교환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제25도 내지 제27도에 의해 타이어가황용 분할금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25도는 미가황타이어(T)가 반입되어 타이어가황용 금형이 폐쇄되고,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안쪽에 가열·가압매체가 도입되어 가황이 개시된 상태를 표시한다.
(101)은 타이어가황용 금형(M)의 기판이고, 이 기판(101)은, 금형개폐장치(6a)의 프레임(6e)상에 수평미끄럼이동자재하게 걸쳐놓여 있고, 공지의 록장치(도시생략)에 의해 프레임(6e)에 고정되어 있다.
(103)은 경질단열재(102)를 개재해서 기판(101)에 고정한 하부원판(이 하부원판(103)에는 가열·가압매체통로를 형성해서 열판겸용으로 하고 있다). (105)는 하부원판(103)에 고정한 하부측벽형. (106)는 하부측벽형(105)의 원주원통면을 걸어맞춤하는 외주면을 가진 하부비드링이고, 원통체(120)의 중앙외주부에 형성한 플랜지(120a)에 클램퍼(108)에 의해 착탈자재하게 장착조립되어 있고, 하부비드링(106)에 볼트조임된 블래더누르개(107)와 하부비드링(106)과의 사이에 블래더(B)의 하단부가 끼워져 있다.
(109)는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트레드형이고, 폐쇄시에는 외주면이 실용상의 원추면을 형성하고, 하부원판(103)의 외주부에 형성한 플랜지(103b)상에 고정한 수압판(104)상을 미끄럼이동자재한 세그먼트(110)의 내주면에 트레드형(109)이 볼트조임되어 있다.
(111)은 세그먼트(110)의 외주면과 걸어맞춤하는 원추면을 내주에 가진 아우터링으로서, 이 아우터링(111)에는 세그먼트(110)의 원추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한 T홈(110a)에 걸어맞춤해서 미끄럼이동가능한 T막대(111b)가 아우터링(111)의 내주원추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원판(114)의 외주부에 반경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암(114a)에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이동자재하게 장착조립된 슬라이드가이드(115)가 세그먼트(11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원판(114)과 아우터링(111)이 축심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승강하면, 트레드형(109)이 세그먼트(110)를 개재해서 반경방향으로 이동해서 확대축소되는 동시에, 트레드형(109)의 폐쇄시에는, 세그먼트(1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한 클릭(110b),(110c)이 상부원판(114) 및 하부원판(103)의 외주부에 형성한 클릭(114b),(103a)에 걸어맞춤하고, 트레드형개방시에는, 상기 클릭(110b)과 (110c),(110c)와 (103a)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113)은 상부원판(114)(이 상부원판(114)에는 가열·가압매체통로를 형성해서 열판으로 겸용하고 있다)에 고정한 상부측벽, (116)는 상부측벽(113)에 볼트조임된 상부비드링이다.
(121)은 상기 원통체(120)에 승강(미끄럼이동)가능하게 삽입한 센터포스트, (122)는 센터포스트(121)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장착해서 외주면이 원통체(120)의 내주면을 미끄럼이동하는 부시, (123)은 원통체(12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내주면이 센터포스트(121)를 미끄럼이동하는 패킹, (124)는 패킹(123)의 빠짐방지부이고, 센터포스트(121)의 하단부에 형성한 오목부(121a)에는 센터포스트승강실린더(도시생략)의 로드의 선단부에 장착조립한 자동연결수단이 압입되고, 센터포스트(121)의 상단부에는, 캡(125)이 핀(12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118)은 캡(125)에 볼트조임된 플랜지, (117)이 플랜지(118)에 볼트조임된 블래더누르개이고, 플랜지(118)의 외주부와 블래더누르개(117)와의 사이에 블래더(B)의 상단부가 끼워져 있고, 상기 센터포스트승강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블래더(B)의 양단부가 접근, 이간한다.
또한, 상기 원통체(120)에는,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하는 복수의 노즐(127a)을 가진 노즐링(127)이 고정되고, 노즐(127a)에 연통하는 가열·가압매체통로(120c), 가열·가압매체배출통로(120d)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통로(120c),(120d)와 금형장치외관로를 접속하는 체크밸브부착퀵커플러(128),(129)가 이들 통로(120c),(120d)의 출구부에 장착조립되어 있다.
(130)은 커버플레이트이고, 이 커버플레이트(130)는, 그 외주부가 스페이서링(112) 및 경질단열재(131)를 개재해서 아우터링(111)에 볼트조임되어 있다. (132)는 상부원판(114)에 고정된 스페이서, (119a),(119b),(119c)가 연질의 보온재이다.
상부원판(114)과 커버플레이트(130)의 록수단은, 상부원판(114)에 볼트조임된 안쪽링(138)과, 커버플레이트(130)의 내주부에 부시(133)를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조립한 바깥링(134)과, 바깥링(134)의 내주와 안쪽링(138)의 외주에 형성되고 또한 바깥링(134)의 회전각도 여하에 따라 걸어맞춤 또는 축심방향으로 통과가능한 복수쌍의 클릭(134a),(138a)과, 후기 요동회전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136)은 바깥링(134)에 고정된 빠짐방지부이다.
제26도, 제27도의 (140)은 금형개폐장치(6a)의 지주부에 승강(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장착조립한 암(6c)에 고정한 볼스터플레이트이고, 승강실린더(6d)의 작동에 의해 승강한다.
(141)은 볼스터플레이트(140)와 커버플레이트(130)를 착탈하는 공지의 착탈장치, (135)는 볼스터플레이트(140)에 고정한 스톱퍼, (142)는 일단부를 볼스터플레이트(140)에 고정한 복수의 로드, (143)은 로드(142)의 타단부에 볼트조임된 금형개폐실린더, (144)는 금형개폐실린더(143)의 로드(143a)의 선단부에 고정한 연장 로드, (146)은 연장로드(144)에 회전(미끄럼이동)가능하게 장착조립한 슬리브, (145)가 슬리브(146)의 상단부안쪽에 비틀어넣은 부시이다.
상기 금형개폐실린더(143)와 상기 상부원판(144)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연장로드(144)와, 부시(145)와, 슬리브(146)와, 안쪽링(138)에 일체적으로 장착한 연결로드(139)와, 연결로드(139)의 외주상부와 슬리브(146)의 내주하부에 형성해서 슬리브(146)의 회전각도여하에 따라 걸어맞춤 또는 축심방향으로 통과가능한 복수쌍의클릭(139a),(14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48)은 레버로서, 이 레버(148)는, 선단부가 포크형상으로 형성되고, 핀(149)을 개재해서 볼스터플레이트(14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레버(148)의 타단부와 볼스터플레이트(140)와의 사이에는, 실린더(150)가 장착조립되어 있고, 해당 실린더(150)의 작동에 의해 레버(148)가 핀(149)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147)은 슬리브(146)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암(146c)에 고정한 로드로서, 이 로드(147)는, 슬리브(146)와 평행하다. 그리고, 상기 로드(147)가 상기 레버(148)의 선단포크부에 형성한 U자홈에 삽입되고, 슬리브(146)의 외주에 축심과 평행하게 형성한 키홈(146a)에 암(137)의 선단부가 삽입되고, 이 암(137)이 바깥링(134)에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150)가 작동해서, 레버(148)가 요동함으로써, 슬리브(146)가 회전하는 동시에 슬리브(146)와 암(137)을 개재해서 바깥링(134)도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클릭(134a),(138a)쌍이 걸어맞춤상태에 있을 때에는, 클릭(139a),(146b)쌍이 통과가능(해제상태)하게 되고, 클릭(134a),(138a)쌍이 조가 통과가능(해제상태)에 있을 때는, 클릭(139a),(146b)쌍이 조가 걸어맞춤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3도, 제24도의 타이어가황설비에 적용한 제25도~제27도의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23도~제25도 및 제27도는 가황스테이션(1a)의 금형대(5a)에 있었던 타이어가황용 금형(Ma)내의 타이어의 가황이 종료하고, 금형반송대차(3a)에 의해, 금형개폐스테이션(2a)의 금형개폐장치(6a)내에 반입하여 종료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때, 클릭(134a),(138a)의 조는, 걸어맞춤상태에 있고, 클릭(139a),(146b)의 조는, 통과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먼저 실린더(6d)를 작동시켜서, 암(6c)을 하강시키고, 착탈장치(141)에 의해, 커버플레이트(130)와 볼스터플레이트(140)를 연결하는 동시에, 가열·가압매체통로(120c),(120d)를 퀵커플러(128),(129)를 개재해서 금형외배관(도시생략)에 접속한다.
이어서 절환밸브(도시생략)를 작동시켜서, 타이어(T)내의 가열·가압매체를 배출하고, 타이어(T)내의 압력이 충분히 강하한 것을 확인하면, 실린더(150)를 작동시켜, 클릭(139a),(146b)쌍을 걸어맞춤시켜서, 상부원판(114)과 실린더(143)의 로드(143)를 연결하는 동시에, 클릭(134a),(138a)쌍을 통과가능한 상태로 해서, 록을 해제한다.
이어서 공지와 같이 실린더(143)를 상부원판(114)의 밀어내림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동시에, 실린더(6d)를 볼스터플레이트(140)의 상승방향으로 작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트레드형(109)이 타이어(T)로부터 벗겨져서 직경확대하는 동시에 클릭(110b)과 클릭(114b), 클릭(103a)과 클릭(110c)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또 볼스터플레이트(140)가 상승해서, 실린더(143)가 스트로크엔드에 달하면, 클릭(139a),(145b)이 걸어맞춤하고 있으므로, 상부원판(114)이 끌어올려져 타이어가황용 금형이 개방된다.
다음에, 가황완료타이어(T)를 타이어가황용 금형밖으로 반출하고, 이어서 가황되는 타이어를 반입하고, 실린더(6d)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서,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폐쇄한다. 그렇게 하면, 먼저 상부원판에 걸쳐 매달린 세그먼트(110)가 수압판(104)에 맞닿아, 그로부터는 실린더(143)가 되밀리면서, 볼스터플레이트(140)를 개재해서 아우터링(111)이 하강해서, 트레드형(109)이 직경축소해서 타이어가황용 금형이 폐쇄한다.
이 동안, 타이어(T)의 안쪽에는, 정형용 압력개체가 도입되고, 트레드형(109)의 직경축소의 최종단계에서는 클릭(110b)과 클릭(114b), 클릭(103a)과 클릭(110c)이 걸어맞춤한다.
이렇게 해서 타이어가황용 금형이 폐쇄종료하면, 실린더(143)의 작동을 정지하는 동시에, 실린더(15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서 클릭(134a),(138a)쌍을 걸어맞춤상태로 해서, 커버플레이트(130)와 상부원판(114)을 록하는 동시에 클릭(139a),(146b)쌍을 통과가능한 상태로 하고, 이어서 타이어의 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해서, 가황공정에 들어간다.
이때, 가열·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한 측벽형(105),(113)을 이간시키려고 하는 힘이, 상부원판(114), 클릭(114b),(110b), 세그먼트(110), 클릭(110c),(103a), 하부원판(103)을 개재해서 금형장치내에서 상쇄된다. 또 트레드형(109)을 직경확대시키려고 하는 반경방향의 힘이, 세그먼트(110)를 개재해서 아우터링(111)내에서 상쇄되는 동시에, 세그먼트(110)와 아우터링(111)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미끄럼이동 경사면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반경방향력의 수직분력. 즉, 아우터링(111)을 부상시 아우터링(111)을 부상시키려고 하는 힘이 스페이서링(112), 경질단열재(131), 커버플레이트(130), 바깥링(134), 클릭(134a),(138a), 안쪽링(138), 상부원판(114), 클릭(114b),(110b)을 개재해서 금형장치내에서 상쇄된다.
따라서, 미리 볼스터플레이트(140)을 개재해서 금형장치를 외력에 의해서 눌러둘 필요가 없이, 착탈장치(141)를 해방하고, 실린더(6d)를 작동시켜서 암(6c)을 상승시키고나서, 상기와 반대의 수순으로 금형장치를 가황스테이션의 소정위치에 이동시켜서, 가황을 속행한다.
다음에 상기 ②의 타이어가황설비를 제28도~제34도에 의해 설명하면, 이 타이어가황설비에서도 상기 제23도, 제2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황스테이션(1)(1a 및 1b)과, 금형대(5a),(5b),(5c)…와, 타이어가황용 금형(Ma),(Mb),(Mc),…과, 금형개폐스테이션(2)(2a 및 2b)과, 금형개폐장치(6a),(6b)와, 금형반송대차(3a),(3b),(13a,13b)와, 금형교환스테이션(11)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제28도 내지 제34도에 의해 타이어가황용 금형(M)을 설명한다. 또한, 제28도의 화살표 d-d선으로부터 왼쪽은 타이어가황용 금형(M)이 개방되어 가황완료타이어가 반출된 후의 상태를 표시하고, 오른쪽은 미가황타이어(T)가 반입되어 타이어가황용 금형이 폐쇄되고,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안쪽에 가열·가압매체가 도입되어 가황이 개시된 상태를 표시한다.
(201)은 타이어가황용 금형(M)의 기판이고, 이 기판(201)은, 기판(201)의 하부면에 매설된 볼캐스터(202)를 개재해서 금형개폐장치(6a)의 프레임(6e)상에 수평방향으로 미끄럼이동자재하게 걸쳐놓여 있고, 공지의 록장치(도시생략)에 의해 프레임(6e)에 고정되어 있다.
또, 기판(201)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201a)의 외주면을 안내부로 해서 승강미끄럼이동가능하게 삽입된 부시(208)에 하부열판(203)이 고정되어 있고, 프레임(6e)에 고정된 실린더(6f)의 로드가 기판(201)에 형성한 구멍(201e)을 관통하고 있고, 이것이 승강함으로써 하부열판(203)이 승강한다.
(205)는 하부열판(203)에 볼트조임된 하부측벽형, (206)은 부시(208)에 공지의 베이어닛록기구에 의해서 장착조립된 하부비드링이고, 하부비드링(206)에 볼트 조임된 블래더누르개(207)와 하부비드링(206)과의 사이에 블래더(B)의 하단부가 끼워져 있다.
(209)는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트레드형이고, 폐쇄시에는 외주면이 실용상 원추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세그먼트(210)의 내주면에 트레드형(209)이 볼트조임되어 있다. 세그먼트(210)의 외주면과 걸어맞춤하는 원추면을 원주에 가진 아우터링(211)은, 스페이서(212)를 개재해서 기판(201)에 볼트조임되어 있다. 또 세그먼트(210)의 원추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T홈(210a)에 대하여 걸어맞춤해서 미끄럼이동가능한 T막대(211a)가 아우터링(211)의 내주원추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6f)의 작용에 의해, 하부열판(203)이 상승하면, 하부열판(203)에 고정된 수압판(204)을 개재해서 세그먼트(210)가 밀어올려지는 동시에, T막대(211a)에 안내되어서 반경방향바깥쪽으로도 미끄럼이동해서, 하부측벽형(205)에 대하여 트레드형(209)이 상대적으로 반경방향바깥쪽으로 멀어지는 동시에, 폐쇄시 걸어맞춤한 하부열판(203)의 외주에 형성한 클릭(203a)에 대해서 세그먼트(210)의 아래쪽에 형성된 클릭(210b)이 반경방향바깥쪽으로 상대이동해서 걸어맞춤이 풀리도록 되어 있다.
또, 수압판(215)이 고정된 상부열판(214)은, 타이어금형(M)의 폐쇄시에는, 수압판(215)을 개재해서 세그먼트(210)에 올라타고 있고, 상부열판(214)에 형성한 클릭(214a)과 세그먼트(210)의 상부에 형성한 클릭(210c)이 세그먼트(2100의 반경방향으로의 미끄럼이동에 의해 걸어맞춤하거나, 걸어맞춤이 해제되거나 한다.
(213)은 상부열판(214)에 볼트조임된 상부측벽형, (216)은 상부측벽형(213)에 볼트조입된 상부비드링이다.
또한, 프레임(6a)에 승강가능하게 장착조립된 암(6c)에는, 프레임(6e)에 고정된 실린더(6d)의 로드선단부가 고정되어 있어, 실린더(6d)의 작동에 의해 암(6c)이 승강한다.
또, 상부열판(214)을 암(6c)에 착탈가능하게 하는 공지의 착탈가능수단(6k)즉, 선단부에 T자 형상으로 클릭(22a)이 일체화된 T로드(225)의 타단부에 회전실린더(244)가 고정되어 있고, 회전실린더(224)의 작동에 의해, T로드(225)를 90°왕복 회전해서, 상부열판(214)에 일체화된 클릭(214b)에 대하여 걸어맞춤 또는 통과가능하게 된 수단이 암(6c)에 장착조립되어 있고, 착탈수단(6k)이 암(6c)과 상부열판(214)을 연결하고 또한 세그먼트(210)가 반경방향바깥쪽으로 이동해서, 클릭(210c)과 (241a)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있는 동안에, 실린더(6d)가 작동하면, 상부측벽형(213) 및 상부비드링(216)이 상부열판(214)과 함께 승강한다.
또, 기판(201)의 원통부(201a)의 상단부에 볼트조임된 부시(220)의 내주면을 안내부로 해서 미끄럼이동승강가능하게 제2센터포스트(221)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2센터포스트(221)의 상단부에 볼트조임된 부시(222)의 내주면을 안내부로 해서 미끄럼이동승강가능하게 제1센터포스트(223)가 삽입되어 있고, 프레이(6e)에 고정된 센터포스트승강용 실린더(도시생략)의 로드선단부에 나사결합된 연장로드(6j) 및 연장로드(6j)에 회전가능하게 장착조립된 원통(6b)의 상단부에 형성한 클릭(6i)과, 제1센터포스트(223)의 하단부에 형성된 클릭(223c)과의 걸어맞춤을 개재해서 제1센터포스트(223)가 승강한다.
제1센터포스트(223)가 상승해서, 제1센터포스트(223)의 하부에 형성한 플랜지(223b)가 제1센터포스트(221)의 상단부근처의 안쪽에 형성한 링형상돌기(221b)에 맞닿으면, 제2센터포스트(221)가 상승하고, 제2센터포스트(221)의 하단부에 형성한 플랜지(221a)가 원통(201a)의 상단부근처의 안쪽에 형성한 링형상돌기(201c)에 맞닿아서, 제1 및 제2센터포스트(221),(223)의 상승이 정지한다. 하강시에는, 부시(222)의 외주단부가 부시(220)에 맞닿아, 제2센터포스트(221)의 하강이 정지하고, 제1센터포스트(223)의 상단부에 볼트조임된 플랜지(218)가 부시(222)에 맞닿아, 제1센터포스트(223)의 하강도 정지한다.
블래더(B)의 상단부는 플랜지(218)의 볼트조임된 블래더누르개(217)와의 사이에서 끼워져 있고, 센터포스트(223)의 승강에 의해 블래더(B)의 상하단부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거나 한다.
또, 기판(201)의 원통부(201a)에는,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급배하기 위한 통로(201b)가 형성되어 있고, 통로(201b)의 하단부는, 금형개폐장치(6)의 배관(6g)과 공지의 착탈수단(226)을 개재해서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착탈수단(226)은, 기판(201)에 매설·고정된 밸브보디(227)와, 밸브보디(227)의 한쪽에 내주면(227b)을 안내부로 해서 미끄럼이동하고, 밸브보디(227)의 중간부에 형성된 밸브시이트(227a)와 걸어맞춤하는 시이트면(227a)을 가진 밸브체(228)와, 밸브체(228)를 밸브시이트(227a)에 압압하는 코일스프링(229)으로 이루어진 체크밸브와, 프레임(6e)에 장착조립된 승강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승강하고, 선단부외주에 밸브부디(227)의 다른쪽의 내주면(227c)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걸어맞춤가능한 원통면을 형성한 배관(6g)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배관(6g)의 선단부에는, 밸브체(228)의 시이트면(227a)쪽으로 뻗는 밸브봉(228c)과 맞닿는 Y자 형체를 형성하고 있고, 배관(6g)을 밸브보디(227)에 삽입했을 때, 밸브체(228)를 밀어올려서, 통로(201b)와 배관(6g)을 연통하고, 배관(6g)을 끌어내릴 때에는, 밸브체(228)가 코일스프링(229)에 의해 밀려내려서, 통로(201b)가 폐쇄되게 된다. 또한, 배관(6g)과 가열·가압매체공급원과의 사이에는 절환밸브(도시생략)등이 짜넣어져 있다.
또, 제1센터포스트(223)에도, 셰이핑용 증기 등을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안쪽에 도입하기 위한 통로(223a)가 형성되어 있고, 통로(223a)의 아래쪽에도, 마찬가지의 착탈수단이 장착조립되어 있다.
상기 제23도 및 제24도의 타이거가황설비에 적용한 제28도~제34도의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23도 및 제24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설비에 있어서, 가황스테이션(1a)의 금형대(5a)에 있었던 타이어가황용 금형(Ma)내의 타이어의 가황이 종료하고, 금형 반송대차(3a)에 의해서, 금형개폐스테이션(2a)의 금형개폐장치(6a)내에 반입종료하면 실린더(6d)를 작동시켜서, 암을 하강시키고, 착탈수단(6k)에 의해 타이어가황용 금형(Ma)의 상부열판(214)과 암(6c)을 연결하는 동시에 배관(6g)을 상승시켜서, 통로(201b)와 연통시키고, 연장로드(6j)를 약간 상승시켜, 통로(223a)에도 연통시키고, 원통(6h)을 회전시켜서, 클릭(6j)과 (223c)을 걸어맞춤시킨다.
이어서, 절환밸브(도시생략)를 작동시켜서, 타이어(T)내의 가열·가압매체를 배출하고, 타이어(T)내 압력이 충분히 강하한 것을 확인한 후, 실린더(6f)를 작동시켜서, 하부열판(203)을 밀어올린다. 이 밀어올림에 의해 트레드형(209)을 타이어(T)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지게 해서 이형(離型)시킨다. 트레드형(209)이 충분히 직경확대해서 세그먼트(210)의 클릭(210b),(210c)과 상하부열판의 클릭(203a),(214a)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실린더(6d)의 작동에 의해, 상부열판(214)을 상승시켜서, 상부측벽형(213)의 이형을 행하고, 통로(223a)를 개재해서 블래더(B)내를 진공으로 하면서, 센터포스트(223)를 상승시켜, 타이어(T)의 안쪽으로부터 블래더(B)를 끌어낸다.
이어서 언로더(7a)의 작용에 의해, 가황완료타이어(T)를 타이어금형(Ma)밖으로 끌어내고, 로더(8a)의 작용에 의해, 다음에 가황되는 미가황타이어(T)를 타이어가황용 금형(Ma)내에 끌어들인다. 통로(223a)를 개재해서 블래더(B)내에 셰이핑용 증기를 공급하면서, 센터포스트(223)를 하강시키고, 끌어들인 미가황타이어(T)의 안쪽에 블래더(B)를 삽입한 후 로더(8a)의 타이어(T)의 파지를 해제해서,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부열판(214)에 대해서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실린더(6d)의 작동에 의해, 상부열판(214)을 하강시키고, 공지의 순서에 의해 셰이핑 및 타이어가황용 금형폐쇄공정을 행하여, 상부열판(214)을 세그먼트(210)에 맞닿게 한 후, 실린더(6f)를 작동시켜서, 세그먼트(210)를 개재해서 상부열판(2124)에 의해 하부열판(203)을 밀어내리고 이 밀어내리기에 의해, 트레드형(209)을 직경축소시켜서 타이어가황용 금형(Ma)을 폐쇄한다.
이때, 동시에 클릭(210c)과 (214a) 및 (203a)과 (210b)의 걸어맞춤도 행해지므로, 타이어가황용 금형(Ma)의 폐쇄후,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해서, 가황을 개시해도, 가열·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해 금형을 개방하려고 하는 힘은, 클릭(210c)과 (214a), (203a)과 (210b)과의 결어맞춤에 의해, 세그먼트(2100를 개재해서 상쇄되어 금형을 개방하지 않는다.
그리고, 타이어가황이 개시된 후,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타이어가황용 금형(Ma)과 금형개폐장치(6a)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이때, 통로(223a) 및 (201b)에는, 체크밸브를 하단부에 짜넣고 있으므로, 타이어내압을 유지한다.
이어서 타이어가황용 금형(Ma)이 금형반송대차(3a)에 의해, 가황스테이션(1a)의 금형대(5a)상에 반송되어, 가황이 속행되고, 금형반송대차(3a)는 다음에 가황이 종료한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받아들여서, 금형개폐스테이션(2a)에 운반한다.
또한, 블래더(B)등의 교환을 행하는 경우에는, 다음에 가황되는 타이어(T)의 반입을 행하지 않고 일단 금형을 폐쇄한 후(이 경우, 가열·가압매체의 도입도 물론 행하지 않는다), 금형교환스테이션(11)에 반송하고, 블래더(B)등이 교환되는 동안에는 금형반송대차(3a) 및 금형개폐스테이션(6a)에서는, 다른 타이어가황용 금형의 타이어반출입이 행해지고, 블래더(B)등의 교환이 종료하면, 금형개폐스테이션에 운반되어, 다음에 가황되는 타이어의 삽입이 행해진다.
상기 제23도~제27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 및 상기 제28도~제34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설비에는, 다음의 문제가 있었다. 즉, ⓐ금형을 개방해서 완성타이어를 꺼내는 동시에 미가황타이어를 장입할 때에, 블래더(B)를 신장시킬 필요가 있고, 따라서 센터포스트를 신장하게 된다.
ⓑ또, 제23도, 제24도중에 표시한 금형개폐스테이션(2a),(2b)은 정치형인 바, 금형개방시에는, 상부금형이 하부금형의 위쪽에 대기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완성타이어의 꺼내기를 행하는 언로더(7a) 및 미가황타이어의 공급을 행하는 로더(8a)가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과의 사이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금형개폐스테이션(2a),(2b)의 실린더(6d)의 스트로크를 크게 해서, 상하부금형의 간격을 크게 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가황스테이션(2a),(1b)의 상방부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금형개폐스테이션(2a),(2b)부분의 높이가 높아져서, 이것을 낮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상기 가황스테이션(1a),(1b)의 상부공간을 이용해서 미가황타이어의공급을 행하고자 할 때, 타이어공급장치는, 보다 한층 높은 위치에서의 진입이 필요하게 되어, 금형개폐스테이션(2a),(2b)의 높이에 문제가 마찬가지로 발생하게 된다.
또, 상기 가황설비에서는, 완성타이어의 꺼내기용 언로더와 미가황타이어공급용 로더를 각 1쌍 구비하고 있으나, 타이어 및 미가황타이어의 상부비드부분을 안쪽으로부터 파지하는 동시에 적당한 위치간의 승강, 적당한 위치간의 요동이라는 기본기능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완성타이어의 꺼내기용 언로더와 미가황타이어공급용 로더를 각 1쌍 구비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또한, 제23도, 제24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설비에서는, 가황시간이 짧은 (예를 들면 8~10분)타이어가황설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다. 즉, 타이어금형반송대차(3a)가 가황스테이션(1a),(1b)에서 타이어금형을 받아들이고, 금형개폐스테이션(2a),(2b)에서의 작업을 종료해서, 다시 폐쇄된 타이어금형을 가황스테이션(1a),(1b)에 복귀할 때까지의 시간을 가능한한 짧게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나, 상기 타이어가황설비에서는, 타이어가황설비를 구성하는 금형수를 많게 할 수 없어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없다.
또, 생산운전중에 필요없게 된 타이어금형을 반출하거나, 반출한 타이어금형 대신에 새로운 타이어금형을 시스템운전에 개입시키는 등의 운전관리상, 각 타이어금형의 운반시간이 평균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형개폐스테이션(2a),(2b)에 가까운 타이어금형과 먼 타이어금형에서 운반시간이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금형개폐스테이션(2a),(2b)에서 타이어금형을 폐쇄한 후, 타이어의 안쪽에 도입되는 가열·가압매체는, 운반동안, 일시적으로 봉입되고, 가황스테이션(1a)(1b)에 도착한 후, 재차 가열·가압매체를 공급하나, 이 일시적으로 봉입되는 시간은, 짧을수록 타이어품질 관리상 바람직하다.
가황설비에 의한 연속생산의 경우, 미가황타이어를 중단하는 일 없이 공급할 필요가 있고, 금형개폐스테이션(2a),(2b)에 설치된 로더장치의 가까운 주변에 가능한 한 많은 미가황타이어를 축적하는 동시에, 순차, 새로운 미가황타이어를 보급할 필요가 있다. 또, 승용차용 타이어등의경우, 가황완료타이어의 냉각장치가 필요하고, 금형개폐스테이션(2a),(2b)에 설치된 언로더장치(7a)의 가까운 주변에 가황 완료타이어의 냉각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비추어서 제안하는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①종래형의 가황설비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공장건물과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고, ②평면전유공간을 절감할 수 있고, ③미가황타이어의 공급을 1개의 핸들링장치에의해 행할 수 있고, 또한, ④타이어의 생산을 효율좋게 행하는 동시에 타이어의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경제적으로 유리한 타이어가황설비를 제공하려고 하는 점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조의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배열해서 가황을 행하는 가황스테이션과, 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개방해서 가황완료타이어를 꺼내고, 다음의 가황해야할 미가황타이어를 삽입해서, 정형하고, 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폐쇄하는 금형개폐스테이션과, 상기 가황스테이션과 상기 금형개폐스테이션과의 사이에 이동가능한 금형반송대차를 가진 타이어가황설비에 있어서, 상기 가황스테이션의 각 타이어어가황용 금형의 윗쪽에 미가황타이어의 저장부를 형성한 타이어가황설비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복수조의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배열해서 가황을 행하는 가황스테이션과, 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개방해서 가황완료타이어를 꺼내고, 다음에 가황해야할 미가황타이어를 삽입해서, 정형하고, 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폐쇄하는 금형개폐스테이션과, 상기 가황스테이션과 상기 금형개폐스테이션과의 사이에 이동가능한 금형반송대차를 가진 타이어가황설비에 있어서, 상기 금형개폐스테이션의 금형개페장치를 승강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가황완료타이어의 반출과 미가황타이어의 반입을 행하고 있는 동안 퇴피위치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타이어가황설비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타이어가황설비에 있어서, 타이어반출위치와 미가황타이어받아들임위치와 미가황타이어를 타이어가황용 금형에 공급하는 공급위치와의 3위치사이를 이동해서 가황타이어의 반출 및 미가황타이어의 공급을 행하는 타이어 핸들링장치를 구비한 것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복수조의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배열해서 가황을 행하는 가황스테이션과, 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개방해서 가황완료타이어를 꺼내고, 다음에 가황해야 할 미가황타이어를 삽입해서, 정형하고, 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폐쇄하는 금형개폐스테이션과, 상기 가황스테이션과 상기 금형개폐스테이션과의 사이에 이동가능한 금형반송대차를 가진 타이어가황설비에 있어서, 상기 가황스테이션의 위쪽공간에 가황완료타이어 냉각설비와, 미가황타이어공급설비를 배설한 타이어가황설비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황완료타이어냉각설비의 베이스상에 대차가 주행하는 레일을 부설하고, 해당 레일의 근처에 조립체개폐장치를 배설하고, 상기 레일의 양쪽에 위치하는 복수조의 가황완료타이어와 냉각용 림과의 조립체를 개별적으로 파지해서 상기 개폐장치와의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조립체파지장치를 상기 대차위에 설치한 타이어가황설비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미가황타이어의 베이스상에 복수개의 미가황타이어지지대를 배치하고, 그 사이의 베이스상에 대차가 주행하는 레일을 부설하고, 미가황타이어받아들임위치의 미가황타이어를 파지해서 타이어지지대중 빈 지지대부분에 공급하는 동시에 타이어지지대상의 미가황타이어를 파지해서 미가황타이어배출대상에 반송하는 타이어파지장치를 상기 대차위에 설치한 타이어가황설비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타이어금형반송대차에 타이어금형의 내부의 블래더의 조작기구 및 블래더내에의 가열·가압매체의 공급·배출기구를 설치한 타이어가황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설비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종합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개략설명할 수 있다.
가황스테이션의 상부공간을 이용해서 미가황타이어의 저장과 공급이 가능하고, 종래형의 가황설비에서 필요로 했던 가황설비전방의 미가황타이어공급대 및 미가황타이어반송대차의 주차장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평면전유공간이 절감된다.
금형개폐장치의 개폐스트로크가 적어지고, 가로방향이동과의 조합에 의해서, 금형개폐장치의 전체높이가 낮아져서, 종래형의 가황설비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공장건물과의 간섭이 해소된다.
완성타이어의 반출컨베이어도 가황스테이션의 상부를 활용해서 설치가능하여, 이점에서도 공간이 절감된다.
완성타이어의 꺼내기, 미가황타이어의 공급이 1개의 핸들링장치에 의해 행해져,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또, 전형적인 작용은 이하와 같이 진행한다.
① 가황스테이션에서 가황이 종료한 타이어금형을 타이어금형반송대차에 의해 금형 개폐스테이션에 운반한다.
② 운반한 타이어금형의 상부금형부분을 금형개폐장치의 금형연결장치에 의해 연결하고, 타이어금형의 상부금형부분을 상승시켜서, 타이어금형을 개방한다.
③ 이때, 하부금형부분에서는, 가황완료타이어의 하부금형부분으로부터의 박리, 가황완료타이어와 블래더와의 박리를 행하고, 이어서 언로더를 진입시킨 후, 하강시켜서, 하부금형상의 가황완료타이어를 파지하고, 언로더를 상승시켜서, 타이어를 반출한다.
④ 언로더가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미가황타이어를 파지해서 대기하고 있던 로더를 진입시킨 후 하강시켜서, 미가황타이어를 하부금형부분위에 설치하고, 미가황타이어를 해방해서, 로더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⑤ 로더가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부금형부분을 하강시키는 동시에, 정형해서 타이어금형을 폐쇄한다. 타이어금형의 폐쇄후, 타이어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공급한다.
⑥ 타이어금형의 상부금형부분과 금형개폐장치와의 연결을 풀고, 금형개페장치를 타이어금형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⑦ 타이어금형반송대차에 의해 상기 타이어금형을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시키고, 타이어금형을 타이어금형반송대차로부터 가황스테이션쪽에 이동시키기 직전에 상기 가열·가압매체의 공급을 일시중단해서, 타이어내에 봉입하거나, 가황스테이션쪽으로 이동하면, 다시 가열·가압매체의 공급을 개시한다.
⑧ 타이어금형을 가황스테이션에 인도한 타이어금형반송대차는, 다음에 운반해야 할 타이어금형위치로 이동해서, 마찬가지의 작업을 반복해서 행한다.
⑨ 상기 ③에서 반출한 가황완료타이어를 타이어냉각설비의 개폐장치에 공급한다. 이 개폐장치에의 타이어공급에 앞서서, 예를 들면 가황스테이션에서의 가황종료신호를 받아서 상기 타이어금형에 대응한 조립체(냉각유닛)를 대차의 파지장치에 의해 파지해서 설치하고, 파지장치는 개폐장치의 작용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서 대기한다. 이 개폐장치에서는, 조립체(냉각유닛)의 상하부림의 끼워맞춤을 해방하는 동시에, 상부림쪽을 상승시켜서, 타이어와 하부림부를 아래쪽으로 남긴다. 그 후, 상기 파지 장치를 다시 상부림과 하부림위의 타이어와의 사이에 진입시켜, 타이어를 파지해서 대차를 이동시켜, 반출한다. 타이어를 반출하면, 다시 대차를 개폐장치의 장소로 복귀시켜서 대기시킨다. 개폐장치는, 냉각유닛의 상부림을 위쪽위치로 하고, 하부림을 아래쪽위치로 해서 타이어금형으로부터의 가황완료타이어의 반출을 기다린다. 이 가황완료타이어는, 언로더에 의해 파지해서, 상기 상·하부림 사이에 진입시키고, 타이어를 인도해서 퇴출하여, P1위치로 된다. 퇴출후의 적당한 시기에, 상부림을 하강시키고, 상·하부림의 끼워맞춤을 행하여, 타이어안쪽에 소정의 공기압을 봉입한다. 봉입하면, 냉각유닛과 개폐장치의 연결을 풀고, 상기 대기하고 있었던 파지장치에 의해 냉각유닛을 파지해서, 냉각유닛의 원래의 위치까지 반송해서, 정치시킨다. 그후 파지장치는, 개폐스테이션쪽의 가황종료신호를 받아서 동일한 작업을 개시한다.
⑩ 상기 ④에서 미가황타이어를 로더에 의해 파지할 때까지의 작용을 설명한다. 가황스테이션에서의 가황종료신호를 받으면, 당해 타이어금형에 대응한 미가황타이어를 반출장치에 의해 파지해서, 타이어배출대에 설치한다. 미가황타이어를 인도받은 타이어배출대는, 금형개폐장치의 로더아래의 위치로 이동해서 정지한다. 로더를 하강시켜서, 미가황타이어를 파지하고, 금형개폐장치에서의 소정의 작용종료까지 대기하고, 적당한 시기에 진입해서, 미가황타이어를 하부금형부분에 설치한다. 상기 반출장치는, 배출대에 인도후, 다음에 가황해야 할 미가황타이어를 수취하러가는 작업이나 혹은 타이어수취대에 공급된 타이어를 인수해서, 빈 지지대에 옮기는 작업의 어느 하나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가황종료금형의 운반, 금형의 개폐, 가황완료타이어의 꺼내기와 냉각유닛의 취급, 미가황타이어의 반입 및 미가황타이어의 준비와 공급을 적절하게 행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설비를 제1도, 제2도에 표시한 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설비의 정면도, 제2도는 상기 타이어가황설비의 평면도, 제3도는 상기 타이어가황설비에서 사용하는 분할금형장치의일예를 표시하고, 상세한 것은 상기 제25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4도~제17도는 상기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설명도이다.
제1도, 제2도에 표시한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설비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23도, 제24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설비의 금형교환스테이션 및 이 금형교환스테이션을 공용하는 반대쪽의 가황설비도 포함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설비를 제1도, 제2도에 의해 설명한다.
(301)은 금형개폐스테이션의 베이스이고, 적소에 유압유닛(302)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301)의 상부면에는 직선궤도(303),(304),(305)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문형의 이동프레임(306)하부의 베어링너트(307)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이동은, 일단부가 베이스(301)에, 타단부가 이동프레임(306)의 적소에, 각각 연결된 유압실린더(308)에 의해 행해지고, 금형(M) 및 반송대차(D)의 정지중심a와 대기위치b와의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a위치에서 금형(M)의 하부금형부분(Mb)와 이동프레임(306)쪽에 매달린 금형(M)의 상부금형부분(Ma)의 중심이 맞도록 정확히 정지시키는 공지수단(도시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프레임(306)은, 수평직선궤도(303),(304)상을 주행하는 주각(主脚)(306a)과, 수평직선궤도(305)상을 주행하는 종각(從脚)(306c)과, 주각(306a)과 종각(306c)과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빔(30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주각(306a), 빔(306b), 종각(306c)은 일체구조여도 된다).
볼스터플레이트(311)는, 주각(306a)에 형성된 수직직선궤도(309)에 안내되어서 상기 빔(306b)의 적소에 설치된 유압실린더(310)에 의해 승강된다.
이 볼스터플레이트(311)에는 연결장치(312)가 복수조 설치되는 동시에, 중앙부에는, 상기 일본국 특원평 6-122661호 명세서에 기재된 분할금형조작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301)의 적소에는, 타이어핸들링장치(313)의 지주(313a)가 고정되고, 이 지주(313a)에는, 공지의 승강안내장치 및 승강구동장치가 설치되고, 해당 승강부에 파지장치(313b)가 요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파지장치(131b)는, 금형(M)의 하부금형중심위치a와, 타이어반출위치c와, 미가황타이어받아들임 위치d와의 각 위치에서 정지되는 동시에 각 위치에서의 승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파지장치(313b)는, 위치a에 있을 때, 상한에 있고, 위치d에 있을 때, 하한에 있으나, 제1도는 위치a에 있을 때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 파지장치(313b)는 확대축소자재하고, 타이어(T) 및 미가황타이어(G)의 상부비드부분을 안쪽으로부터 파지하는데 알맞은 공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
(314)는 가황스테이션의 베이스이고, 각 가황스테이션에는, 금형(M)의 반입·반출에 알맞은 공지의 안내롤러군(314a), 하중을 받는 하중롤러군(314b)이 배설되어 있고, 내,외압공급장치(도시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314)의 중앙부에는, 금형반송대차(D)의 직선궤도(314c)가 형성되고, 대차의 이동·정지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금형반송대차(D)상에도, 상기 안내롤러, 하중받이롤러와 유사한 것이 배설되어 있고, 롤러의 배치방향은, 각 가황스테이션의 각 롤러(314a),(314b)와 동일하다.
이 금형반송대차(D)의 상부에는, 밀어내기·끌어넣기장치(도시생략)가 설치되고, 금형(M)을 금형반송대차(D)에 옮기거나, 해당 대차(D)로부터 각가황스테이션에 인도하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314)의 적소에는, 지주(315)가 복수개 세워 설치되고, 상부에는 바닥(316)이 설치되어 있다. 바닥(316)위에는, 복수개의 미가황타이어(G)를 회전시키는 턴테이블(317)(예를 들면 공항등의 짐 찾는 곳 등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것)이 설치되어 있다.
또, 턴테이블(317)위의 소정위치e와 상기 타이어핸들링장치의 미가황타이어받아들임위치d와의 사이에는, 그 사이에 왕복이동가능한 미가황타이어이동재치장치(3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미가황타이어이동재치장치(318)에는, 타이어핸들링장치(313)와 유사한 공지의 것이 사용되고, 적소에 고정한 미가황타이어받침대(320)위에 미가황타이어가 재치된다.
턴테이블(317)위의 미가황타이어(G)는, 필요에 따라서 회전이동되고, 선택된 미가황타이어(G)가 e위치에서 정지한다.
바닥(316)위에는, 타이어핸들링장치의 파지장치(313b)에 의해 반출된 타이어(T)를 타이어가황설비밖으로 반출하는 공지의 롤러컨베이어(319)가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317)위의 미가황타이어의 보관용 빈공간에는, 미가황타이어(G)가 적당한 수단, 예를 들면 모노레일형 천정주행트랜스퍼에 의해 성형공정 등으로부터 반송되어 와서 보충된다.
다음에, 상기 제1도, 제2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① 가황중에 복수의 타이어가황용 금형(M)을 배열한 가황스테이션으로부터 가황이 종료한 타이어가황용 금형(M)을 금형반송대차(D)에 의해 금형개폐스테이션의 정위치까지 반송한다. 이때, 금형개폐장치(306)~(312)는, 금형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까지 하강해서 대기하고 있다. 한편, 타이어핸들링장치(313)의 파지장치(313b)는, 가황완료타이어도 미가황타이어도 파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타이어배출위치 위쪽에 대기하고 있다(제4도, 제5도 참조).
② 금형이 정위치에 정지한 후, 금형개폐장치(306)~(312)가 하강해서, 금형과의 연결이 행해진다(제6도, 제7도 참조).
③ 금형개폐장치(306)~(312)가 상승해서, 타이어가황용 금형(분할금형)(M)도 개방되고, 상부금형이 하부금형위에 남은 타이어 및 블래더조작기구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에 달해서 정지한다(제8도 참조).
④ 금형개폐장치(306)~(312)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해서 정지한다. 정지한 후, 타이어내의 블래더가 신장하고, 타이어내면으로부터의 박리가 행해지는 한편, 타이어핸들링장치(313)가 타이어를 받아들이기 위해 작동을 개시한다(제9도 참조).
⑤ 타이어핸들링장치(313)의 파지장치(313b)가 하강해서, 타이어의 상부비드부분이 파지된다. 동시에 금형개폐장치(306)~(312)가 정지위치에서 일단 개방된 분할금형의 전부 혹은 일부분을 끌어넣어, 상부금형의 최하한위치가 높아져서, 다음의 가로이동의 준비작동이 행해진다(제10도 참조).
⑥ 타이어핸들링장치(313)의 파지장치(313b)가 타이어를 파지해서 상승하고, 소정 높이까지 상승하면 타이어배출위치에 이동한 후, 타이어가 배출된다(제11도 참조). 배출 후, 미가황타이어받아들임위치에 이동해서, 미가황타이어를 받아들인다.
⑦ 미가황타이어를 받아들인 후, 하부금형위쪽위치로 이동하고, 계속 하강해서, 미가황타이어의 하부비드부가 하부금형의 비드링몰드에 걸어맞춤한다(제12도, 제13도 참조).
⑧ 이어서, 압력매체가 블래더내에 공급되는 동시에, 블래더가 미가황타이어내에 삽입되어, 적당한 시기에 타이어핸들링장치(313)의 파지장치(313b)가 미가황타이어의 파지를 해제해서, 상승한 후, 타이어배출위치로 복귀해서 대기한다(제14도 참조).
⑨ 대기하고 있던 금형개폐장치(306)~(312)가 가로이동해서, 상부금형이 하부금형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정지한 후, 하강해서, 금형폐쇄작동이 개시된다(제15도 참조).
⑩ 금형폐쇄완료후, 금형개폐장치(306)~(312)와 금형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금형개폐장치(306)~(312)가 금형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아래위치로 이동해서, 다음의 금형의 진입까지 대기한다(제16도, 제17도 참조).
⑪ 금형이 운반장치에 의해 가황스테이션의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된다. 이하 동일한 작용이 반복되어 생산이 행해진다.
⑫ 배출된 타이어가 가황스테이션윗쪽의 적소에 준비된 롤러컨베이어 등에 의해 메인컨베이어의 방향으로 보내지고, 다음에 공급되는 미가황타이어가 준비되어 있는 타이어중에서 선출되어 미가황타이어공급장치에 공급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18도~제22도에 의해 설명한다.
본 타이어가황설비는, 제1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금형개폐장치(1100)와, 가황완료타이어의 언로더(1200)와, 가황완료타이어의 냉각설비(1300)와, 미가황타이어의로더(1400)와, 미가황타이어의 공급설비(1500)와, 복수조의 타이어금형조립체(M)(M1~M5)와,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0)와, 상기 냉각설비(1300)와 상기 공급설비(1500)를 상기 복수조의 타이어금형조립체의 위쪽공간에 설치하기 위한 지주(도시생략)에 의해서 지지된 플로어(1700)를 가지고 있다.
금형개폐스테이션에는, 상기 금형개폐장치(1100)와, 상기 가황완료타이어의 언로더(1200)와, 상기 미가황타이어의 로더(1400)가 있다.
가황스테이션에는, 상기 각 금형조립체(M)와, 금형대(1800)가 있다.
상기 금형개폐장치(1100)는, 가로빔부(1101a)과, 입주부(立柱部)(1101b)와, 가황스테이션의 금형대(1800a)에 세워설치된 프레임(1101)과, 상기 입주부(1101b)에 고정된 직선궤도(1102)위를 미끄럼이동하는 가이드브래킷(1103)과 이 가이드브래킷(1103)에 고정된 원판(1104)과, 일단부가 상기 가로빔부(1101a)에 장착되고 또한 로드(1105a)가 상기 원판(1104)에 연결된 승강실린더(1105)와, 상기 원판(1104)의 중앙부에 세워설치된 분할금형조작실린더(1106)를 포함한 공지의 분할금형조작장치(1107)(필요하면 일본국 특원평 6-122661호 명세서를 참조바람)와, 상기 원판(1104)의 외주부의 복수조의 공지의 금형연결장치(1108)(필요하면 일본국 특원소 63-283800호 명세서를 참조바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0)의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1)가 타이어금형(M1~M5)의 어느 하나를 운반해와서, 금형개폐장치(1100)의 금형중심위치에 일치해서 정지하면, 실린더(1105)에 의해 원판(1104)이 하강하고, 금형연결장치(1108)가 타이어금형을 연결하고, 상승해서, 제1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금형을 개방한다. 제19동체서는, 타이어금형조립체(M4)의 상부금형부(M4a)가 상승하고, 하부금형부(M4)가 대차(1601)위에 남은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0)는,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1)와, 이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1)를 이동시키는 직선레일(1602)을 고정하는 동시에 구동장치(도시생략, 예를 들면 모터, 랙기어 및 피니언기어 등)를 구비한 베이스(1603)와, 각 타이어금형 조립체(M1)~(M5)의 내부에 설치되어 블래더(BL)를 신장시키거나 축소시키거나 하는 공지의 블래더조작기구(160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블래더조작기구(1604)는, 상기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1)의 중앙하부로부터 늘어뜨리고 있다.
상기 베이스(1603)와 상기 대차(1601)와의 사이에는,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1)와 동시에 이동하는 상기 블래더조작기구(1604)등의 구동원이나 신호배선등이 있으나, 도시를 생략했다.
또,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1)는, 각 금형을 받아들이는 위치에서 정확히 정지하는 공지의 정지장치(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또,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1)의 상부면에는, 타이어금형조립체(M1)∼(M5)를 가황스테이션과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1)와의 사이에 이동시키는 안내롤러군(1605)이 설치되어 있다.
가황스테이션은, 금형조립체(M1), (M2)를 걸쳐놓은 동시에 상기 금형개폐장치(1100)의 입주부(1101b)를 세워 설치하는 금형대(1800a)(제1가황스테이션(C1)과, 금형조립체(M3), (M4), (M5)와 이 금형조립체(M3)∼(M5)를 걸쳐놓은 금형대(180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금형대(1800a), (1800b)의 각 금형조립체부분에는 제20도의 타이어금형조립체(M4) 위치에 표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1)쪽에의 이동용 하중받이 롤러조립체(1801)와, 안내궤도롤러조립체(1802)와, 타이어안쪽으로의 가열·가압매체공급장치(1803)와, 이 가열·가압매체공급장치(1803)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관통구멍(1804)이 있고, 그 밖에 정지위치결정장치(도시생략) 등이 있다.
타이어금형조립체(M1)(M1∼M5)에는, 예를 들면 타이어의 안쪽에 도입되는 고온·고압의 가열·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해 금형을 개방하려고 하는 힘을 금형내부에서 상쇄시키고, 가황 중 금형을 개방하지 않도록 금형밖으로부터 금형을 조여둘 필요가 없는 형식의 금형(일본국 특원평 6-122661호 명세서에 기재된 금형)을 사용하고, 베이스판(Ma)하부에는, 상기 금형대위의 롤러군(1801), (1802)에 접합한 안내레일(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가황완료타이어의 언로더(1200)는, 상기 금형개폐장치(1100)의 입주부(1101b)에 고정된 직선레일(1201)과, 이 직선레일(1201)위를 미끄럼이동하는 가동대차(1202)와, 이 가동대차(1202)위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암(1203)과, 이 암(1203)의 선단부에 설치된 공지의 파지장치(1204)에 의해 구성되어, 실린더(도시생략)에 의해 가동대차(1202)를 승강시키고, 실린더(도시생략)에 의해 암(1203)을 요동시켜, 실린더(도시생략)에 의해 파지장치(1204)의 파지클릭(1205)을 개폐자재하게 한다.
상기 언로더(1200)의 파지장치(1204)의 중심은, 상기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1)위의 하부금형부분(예를 들면 하부금형부분(M4b))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 P0와, 후술하는 냉각링개폐장치의 중심위치 P2와, 이들 각 위치 P0, P2의 중간위치 P1과의 사이를 왕복요동가능하다.
중간위치 P1에 대기하고 있던 언로더(1200)의 파지장치(1204)는, 금형개폐장치(1100)에 의해 개방된 상부금형부분(M4a)의 하부에 진입하고, 하강해서, 하부금형 부분(M4b)위의 타이어(T)를 파지클릭(1205)의 확대개방에 의해 파지해서, 적당한 시기에 상승하여, 제19도의 일점쇄선위치까지 상승한 후, P1위치에 타이어(T)를 반출한다. 반출 후, P1위치에서 상승하고, 후술하는 냉각링 개폐장치에 진입하는데 알맞은 위치로 되어서 P2위치에 진입하고, 하강해서 파지클릭(1205)의 직경축소에 의해 타이어(T)를 냉각링위에 설치하고, 다시 P1위치로 되어서 다음의 작용시기까지 P1위치에서 대기한다.
미가황타이어(GT)의 로더(1400)는, 상기 금형개폐장치(1100)의 입주부(1100b)에 고정된 직선레일(1401)과, 이 직선레일(1401)위를 미끄럼이동하는 가동대차(1402)와, 이 가동대차(1402)위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암(1403)과, 이 암(1403)의 선단부에 설치된 공지의 파지장치(1404)에 의해 구성되고, 실린더(도시생략)에 의해 가동대차(1402)를 승강시키고, 실린더(도시생략)에 의해 암(1403)을 요동시켜, 실린더(도시생략)에 의해 파지장치(1404)의 파지클릭(1405)을 개폐한다.
상기 로더의 파지장치(1404)의 중심은, 상기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1)위의 하부금형부분(M4b)의 중심과 일치하는 P0위치와 후술하는 미가황타이어공급설비의 가동의 타이어지지대의 정지위치 P5와의 사이를 왕복요동가능하다.
P5위치에 준비하고 있던 미가황타이어(GT)를 파지해서 대기하고 있던 로더(1400)의 파지장치(1404)는, 상기 언로더(1200)의 파지장치(1204)가 P0점으로부터 퇴출을 개시하는 동시에 진입하고, P0위치에서 하강해서, 미가황타이어(GT)를 하부 금형부분(M4b)위에 설치한다.
이때, 블래더(BL)는 블래더조작기구(1604)에 의해 축소되면서 미가황타이어(GT)내의 공지의 수순으로 장입되고, 그후, 파지클릭(1405)이 미가황타이어(GT)를 개방해서 상승하고, 상기 P5위치에 복귀되어, 그로부터 필요에 따라서 상승해서, 다음의 미가황타이어(GT)가 파지부(1404)의 하부에 준비될 때까지 대기한다.
가황완료타이어의 냉각설비(1300)는, 상기 플로어(1700)와, 그 위에 설치된 베이스(1301)와, 그 위에 부설된 직선레일(1302)위를 구동장치(도시생략)에 의해 미끄럼이동하는 대차(1303)와, 이 대차(1303)에 세워설치된 지주(1304)와, 이 지주(1304)에 고정된 수직직선레일(1305)과, 상기 지주(1304)에 내장된 실린더(1314)와, 이 실린더(1314)에 의해 상기 수직직선레일(1305)위를 미끄럼이동하는 대차(1306)와, 이 대차(1306)위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암(1307)과, 이 암(1307)의 선단부에 설치된 파지장치(1308)와, 상기 직선레일(1302)에 직각으로 또한 베이스(1301)로부터 바깥쪽으로 내밀도록 설치된 복수의 암(1301a)과, 이들 각 암(1031a)위에 재치되는 복수조의 타이어(T)와 냉각링과의 조립체(1309)(냉각유닛)(1309a∼1309j)와, 상기 베이스(1301)로부터 바깥쪽으로 내밀도록 설치된 암(1301b)과이 암(1301b)에 세워설치된 지주(1310)와, 이 지주(1310)에 고정된 수직직선레일(1311)과, 상기 지주(1310)에 내장된 실린더(1315)와, 이 실린더(1315)에 의해 상기 수직직선레일(1311)위를 미끄럼이동하는 대차(1312a)와, 이 대차(1312a)에 설치된 암(1312)과, 이 암(1312)에 장착된 파지장치(13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장치(1310)∼(1315)는, 상기의 지주(1310)와 수직직선레일(1311)과 실린더(1315)와 대차(1312a)와 암(1312)과 파지장치(13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체(1309) 중, 조립체(1309b)(제1도 참조)의 중심은, 상기 중심위치 P2의 대칭위치에 선정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조립체(1309a), (1309c), (1309d), (1309e), (1309f)는 상기 조립체(1309b)의 중심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1301)의 중심선에 평행한 기준선위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조립체(1309g), (1309h), (1309i), (1309j)는 상기 중심위치 P2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1301)의 중심선에 평행한 기준선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암(1307)의 요동중심 P3은, 상기 베이스(1301)의 중심선위를 이동하므로, 파지장치(1308)의 중심이 조립체(1309)의 중심과 일치하는 정지한 경우, 파지장치(1308)는 암(1307)을 반대쪽으로 요동하면, 반대쪽의 조립체(1309g)의 중심과 일치한다. 즉, 대차(1303)의 정지위치를 6위치제어함으로써, 10조의 조립체(1309a)∼(1309j)를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개폐장치의 중심 P2에의 조립체의 반입·반출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립체(1309a)를 P2위치에 반송할 때에는, P3위치에서 파지장치(1308)에 의해 조립체(1309a)를 파지하고 상승해서, P4위치로 이동한다. 이동중의 상황을 제21도에 표시했다.
P4위치에 정지한 후, 암(1307)을 요동해서 조립체(1309a)를 반대열쪽에 이동시키고 하강시켜, 조립체(1309a)를 P2위치가 되도록 이동한다.
이 이동정지후, 재하강 시켜서, 조립체(1309a)를 P2위치에 설치한다. 설치하면, 파지장치(1308)의 안쪽클릭(1308a)을 해방해서, 이동에 지장없는 위치까지 상승시켜서, 암(1307)의 요동중심을 P4에 이동시켜서 대기한다.
상기 파지장치(1308)에 의해 반입·설치된 조립체(1309a)의 타이머(T)내의 압력공기는, 절환밸브(도시생략)에 의해 배출되고, 이어서 록축(1320)이 실린더(도시생략)에 의해 회전되고, 록하우징(1321)의 록클릭(1321a)과 록축(1320)의 록클릭(1320a)이 빼고 꽂을 수 있는 상태가 되어서, 타이어(T)가 하부림(1322)위에 남고, 상부림(1323)이 록하우징(1321)과 함께 상승한다.
그 후, 대기하고 있던 파지장치(1308)의 바깥클릭(1308b)이 냉각완료타이어(T)의 상부비드부를 파지해서, 조립체(1309f)쪽의 타이어배출위치에 반출한다. 반출하면, 재차 P4위치로 복귀해서 대기한다.
타이어(T)가 림(1322)으로부터 반출된 적당한 시간에 언로더(1200)의 파지장치(1204)에 의해 파지된 가황완료고온타이어를 개폐장치에 진입시키고, 타이어(T)를 방출한 직후의 하부림(1322)위에 고온타이어(T)를 설치해서, 파지장치(1204)는, P1위치에 퇴출한다. 퇴출하면, 상부림(1323) 및 록하우징(1321)을 하강시켜셔, 록클릭(1320a)이 록클릭(1321a)부를 통과하면, 록축(1320)을 회전해서 연결상태로 한다. 이어서 소정압력의 공기를 타이어안쪽으로 공급하고, 상기 절환밸브를 작동해서, 상기 압력공기를 봉입하고, 파지장치(1313)를 해방해서 상승한다. 그 후, 대기중의 파지장치(1308)를 진입시켜서, 림조립체(1309a)를 파지해서 상승하고, 역수순으로 원래의 장소까지 반송한다.
또한, 상기 림조립체(1309)의 하부플레이트(1324)는, 암(1301a) 및 (1301b)위의 위치결정링(1301c)에 의해 센터링된다.
미가황타이어의 공급설비(1500)는, 상기 플로어(1700)상에 설치된 베이스(1501)위의 직선레일(1502)위를 구동장치(도시생략)에 의해 미끄럼이동하는 대차(1503)와, 이 대차(1503)위에 세워설치된 지주(1504)와, 이 지주(1504)에 고정된 수직직선레일(1503)과, 상기 지주(1504)에 고정된 실린더(1513)와, 상기 실린더(1513)에 의해 상기 수직직선레일(1505)위를 미끄럼이동하는 대차(1506)와, 이 대차(1506)위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암(1507)과, 이 암(1507)의 선단부에 장착된 파지장치(1508)와, 상기 직선레일(1502)에 직각으로 또한 상기 베이스(1501)의 양쪽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내밀도록 설치된 복수의 암(1501a)과, 이 각 암(1501a)에 재치된 복수개의 미가황타이어(GT)의 지지대(1509)와, 상기 미가황타이어의 로더(1400)의 파지장치(1404)의 대기위치 P5와 배출위치 P6과의 사이를 왕복이동가능한 미가황타이어배출대(1510)와, 상기 지지대의 이동용 레일베이스(1511)(제18도 참조)와, 이 레일베이스(1511)위에 부설한 직선레일(15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미가황타이어의 공급위치 P7은, 상기 배출위치 P6의 대칭위치에 있고, 위치 P6, P7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1501)의 중심선에 평행한 중심선상에 미가황타이어지지대(1509)가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다.
상기 대차(1503)의 파지장치(1508)의 중심은, 각 미가황타이어지지대(1509), (151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이동, 정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급위치 P7에 공급한 미가황타이어(GT)를, 비어 있는 미가황타이어지지대(1509)에 옮기거나, 미가황타이어지지대(1509)위에 척적되어 있는 미가황타이어(GT)를 배출해서, 위치 P6의 미가황타이어배출대(1510)에 옮기거나 할 수 있다.
또, P6위치에서 미가황타이어(GT)를 받아들인 미가황타이어배출대(1510)는, 직선레일(1512)위를 주행해서, 로더(1400)에의 인도위치 P5로 이동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제18도∼제22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① 가황스테이션(M,1800)에서 가황이 종료한 타이어금형(M)(이하 M4의 예로 설명한다)을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0)에 의해 금형개폐스테이션(1100,1200,1400)에 운반한다.
② 운반한 타이어금형(M)의 상부금형부분(M4a)을 금형개폐장치(1100)의 금형연결장치에 의해 연결하고, 타이어금형(M)의 상부금형부분(M4a)을 상승시켜셔, 타이어금형(M)을 개방한다.
③ 이때, 하부금형부분(M4b)에서는, 가황완료타이어의 하부금형부분(M4b)으로부터의 박리, 가황완료타이어와 블래더와의 박리를 행하고, 이어서 언로더(1200)를 진입시킨 후, 하강시켜서, 하부금형부분(M4b)상의 가황완료타이어를 파지하고, 언로더(1200)를 상승시켜서, 타이어를 반출한다.
④ 상부금형부분(M4a)이 상승을 완료할 때까지의 동안에 미가황타이어를 파지해서 대기하고 있었던 로더(1400)를 진입시킨 후, 하강시켜서, 미가황타이어를 하부금형부분(M1)위에 설치하고, 미가황타이어를 해방해서, 로더(140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⑤ 로더(1400)가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부금형부분(M4a)을 하강시키는 동시에, 정형해서 타이어금형(M)을 폐쇄한다. 타이어금형(M)의 폐쇄후, 타이어 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공급한다.
⑥ 타이어금형(M4)의 상부금형부분(M4a)과 금형개폐장치(1100)와의 연결을 풀고, 금형개폐장치(1100를 타이어금형(M)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⑦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0)에 의해 상기 타이어금형(M)을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시키고, 타이어금형(M)을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0)로부터 가황스테이션(M,1800)쪽으로 이동시키기 직전에 상기 가열·가압매체의 공급을 일시중단해서, 타이어내에 봉입하나 가황스테이션(M,1800)쪽에 이동하면, 다시 가열·가압매체의 공급을 개시한다.
⑧ 타이어금형(M)을 가황스테이션(M,1800)에 인도한 타이어금형반송대차(1600)는 다음에 운반해야 할 타이어금형위치로 이동해서, 마찬가지의 작업을 반복해서 행한다.
⑨ 상기 ③에서 반출한 가황완료타이어를 타이어냉각설비(1300)의 개폐장치(1310)∼(1315)에 공급한다. 이 개폐장치(1310)∼(1315)에의 타이어공급에 앞서서, 예를 들면 가황스테이션(M,1800)에서의 가황종료신호를 받아서 상기 타이어금형(M4)에 대응한 조립체(냉각유닛)(1309)를 반송장치에 의해 파지해서, 개폐장치(1310)∼(1315)에 설치한다. 이 개폐장치(1310)∼(1315)에서는 조립체(1309)의 상부림(1323) 및 하부림(1322)의 끼워맞춤을 해방하는 동시에, 상부림(1323)쪽을 상승시켜서, 타이어와 하부림(1322)을 아래쪽으로 남긴다. 그후, 상기 파지장치를 다시 상부림(1323)과 하부림(1322)위의 타이어와의 사이에 진입시키고, 타이어를 파지해서 반출한다. 타이어를 반출하면 대차(1304)를 개폐장치(1310)∼(1315)의 장소로 복귀시켜서 대기시킨다. 개폐장치(1310)∼(1315)는 조립체(1309)의 상부림(1323)을 윗쪽위치로 하고, 하부림(1322)을 아랫쪽위치로 해서 타이어금형(M4)으로부터의 가황완료타이어의 반출을 기다린다. 이 가황완료타이어는, 언로더(1200)에 의해 파지해서 상부림(1323)과 하부림(1322) 사이에 진입시키고, 타이어를 인도해서 퇴출한다. 퇴출후의 적당한 시기에, 상부림(1323)을 하강시키고, 상부림(1323)과 하부림(1322)의 끼워맞춤에 행하여, 타이어안쪽에 소정의 공기압을 봉입한다. 봉입하면, 조립체(1309)와 개폐장치(1310)∼(1315)와의 연결을 풀고, 상기 대기하고 있었던 대차(1304)의 파지장치(1308)에 의해 조립체(1309)를 파지해서, 조립체(1309)의 원래의 위치까지 반송해서 정치시킨다. 그후 파지장치는, 금형개폐스테이션(1100,1200,1400)쪽의 가황종료신호를 받아서 동일한 작업을 개시한다.
⑩ 상기 ④에서 미가황타이어를 로더(1400)에 의해 파지할 때까지의 작용을 설명한다. 가황스테이션(M,1800)에서의 가황종료신호를 받으면, 당해 타이어금형(M4)에 대응한 미가황타이어를 반출장치에 의해 파지해서, 타이어배출대(1510)에 설치한다. 미가황타이어를 인도받은 타이어배출대(1510)는, 금형개폐장치(1100)의 로더(1400)아래의 위치로 이동해서 정지한다. 로더(1400)를 하강시켜서, 미가황타이어를 파지하고, 금형개폐장치(1100)에서의 소정의 작용종료까지 대기하고, 적당한 시기에 진입해서, 미가황타이어를 하부금형부분(M2)에 설치한다. 상기 반출장치는 배출대(1510)에 인도 후, 다음에 가황해야 할 미가황타이어를 받아들이러가는 작업을 행하거나 타이어수취대에 공급된 타이어를 인수해서, 빈 지지대에 옮기는 작업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가황종료금형의 운반, 금형의 개폐, 가황완료타이어의 꺼내기와 냉각유닛의 취급, 미가황타이어의 반입 및 미가황타이어의 준비와 공급을 적당히 행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설비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 다음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① 가황스테이션의 상부공간을 이용해서 미가황타이어의 저장과 공급이 가능하여, 종래형의 가황설비에서 필요로 했던 가황설비전방의 미가황타이어공급대 및 미가황타이어반송대차의 주차장 등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어, 평면전유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② 금형개폐장치의 개폐스트로크를 적게 해서, 가로방향이동과의 조합에 의해서, 금형개폐장치의 전체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종래형의 가황설비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공장건물과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다.
③ 완성타이어의 반출컨베이어도 가황스테이션의 상부를 활용해서 설치가능하여 이 점에서도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④ 완성타이어의 꺼내기, 미가황타이어의 공급을 1개의 핸들링장치에 의해 행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⑤ 상기 가황스테이션의 위쪽공간에, 가황완료타이어냉각설비와 미가황타이어공급설비를 배설하고 있어, 복수조의 타이어금형의 각각과 금형개폐위치와의 거리, 즉, 타이어금형의 이동거리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이동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타이어의 생산을 효율좋게 행할 수 있다.
⑥ 또, 가황스테이션의 윗쪽공간을 미가황타이어의 공급설비와 가황완료타이어의 냉각설비를 배설하고 있어, 타이어가황설비의 설치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⑦ 또한, 타이어금형반송대차에 타이어금형의 내부를 블래더의 조작기구 및 블래더내에의 가열·가압매체의 공급·배출기구를 설치했으므로, 봉입시간이 타이어금형반송대차로부터 가황스테이션으로 이동할 때에 필요한 시간으로 되어서 타이어의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8)

  1. 복수조의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배열해서 가황을 행하는 가황스테이션과, 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개방해서 가황완료타이어를 꺼내고, 다음에 가황해야 할 미가황타이어를 삽입해서 정형하고, 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폐쇄하는 금형개폐스테이션과, 상기 가황스테이션과 상기 금형개폐스테이션과의 사이에 이동가능한 금형반송대차를 가진 타이어가황설비에 있어서, 상기 가황스테이션의 각 타이어가황용 금형의 위쪽에 미가황타이어의 저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설비.
  2. 복수조의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배열해서 가황을 행하는 가황스테이션과 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개방해서 가황완료타이어를 꺼내고 다음에 가황해야 할 미가황타이어를 삽입해서 정형하고, 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폐쇄하는 금형개폐스테이션과 상기 가황스테이션과 상기 금형개폐스테이션과의 사이에 이동가능한 금형반송대차를 가진 타 타이어가황설비에 있어서, 상기 금형개폐스테이션의 금형개폐장치를 승강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가황완료타이어의 반출과 미가황타이어의 반입을 행하고 있는 동안 퇴피위치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타이어반출위치와 미가황타이어받아들임위치와 미가황타이어를 타이어가황용 금형에 공급하는 공급위치와의 3위치사이를 이동해서 가황완료타이어의 반출 및 미가황타이어의 공급을 행하는 타이어핸들링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설비.
  4. 복수조의 타이거가황용 금형을 배열해서 가황을 행하는 가황스테이션과, 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개방해서 가황완료타이어를 꺼내고, 다음에 가황해야 할 미가황타이어를 삽입해서 정형하고, 상기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폐쇄하는 금형개폐스테이션과, 상기 가황스테이션과 상기 금형개폐스테이션과의 사이에 이동가능한 금형반송대차를 가진 타이거가황설비에 있어서, 상기 가황스테이션의 위쪽공간에 가황완료타이어냉각설비와, 미가황타이어공급설비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황완료타이어냉각설비의 베이스상에 대차가 주행하는 레일을 부설하고, 상기 레일의 근처에 조립체개폐장치를 배설하고, 상기 레일의 양쪽에 위치하는 복수조의 가황완료타이어와 냉각용 림과의 조립체를 개별적으로 파지해서 상기 개폐장치와의 사이를 왕복이동하는 조립체파지장치를 상기 대차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설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가황타이어공급설비의 베이스상에 복수개의 미가황타이어지지대를 배치하고, 그 사이의 베이스상에 대차가 주행하는 레일을 부설하고, 미가황타이어받아들임위치의 미가황타이어를 파지해서 타이어지지대 중 빈 지지대부분에 공급하는 동시에 타이어지지대상의 미가황타이어를 파지해서 미가황타이어배출대상에 반송하는 타이어파지장치를 상기 대차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설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금형반송대차에 타이어금형의 내부의 블래더의 조작기구 및 블래더내에의 가열, 가압매체의 공급·배출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설비.
  8. 제1항에 있어서, 타이어반출위치와 미가황타이어받아들임위치가 미가황타이어를 타이어가황용금형에 공급하는 공급위치와의 3위치사이를 이동해서 가황완료타이어의 반출 및 미가황타이어의 공급을 행하는 타이어핸들링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설비.
KR1019950038564A 1994-10-31 1995-10-31 타이어가황설비 KR0183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708494A JP3181180B2 (ja) 1994-10-31 1994-10-31 タイヤ加硫設備
JP94-267084 1994-10-31
JP30908694A JP3268145B2 (ja) 1994-12-13 1994-12-13 タイヤ加硫設備
JP94-309086 1994-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615A KR960013615A (ko) 1996-05-22
KR0183503B1 true KR0183503B1 (ko) 1999-05-15

Family

ID=2654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8564A KR0183503B1 (ko) 1994-10-31 1995-10-31 타이어가황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81594A (ko)
EP (2) EP0709179B1 (ko)
KR (1) KR0183503B1 (ko)
CN (2) CN1194847C (ko)
DE (1) DE6952617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7156B2 (ja) * 1996-07-29 2005-04-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
US6610238B1 (en) 1997-11-14 2003-08-26 The Goodyear Tire And Rubber Company Tire curing system and method
JP3999331B2 (ja) * 1998-02-25 2007-10-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設備
JP3798545B2 (ja) 1998-03-02 2006-07-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設備
US6582212B1 (en) * 1998-11-25 2003-06-24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vulcanizer and tire vulcanizing equipment equipped with the tire vulcanizer
EP1125708B1 (en) * 1999-04-30 2012-08-0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Tire vulcanization facility and its metal mold opening/closing and vulcanizing stations
JP3964280B2 (ja) * 2002-08-07 2007-08-22 株式会社市丸技研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加硫方法
JP4021725B2 (ja) 2002-08-12 2007-12-12 株式会社市丸技研 タイヤ加硫装置
WO2004048075A1 (ja) * 2002-11-25 2004-06-10 Bridgestone Corporation タイヤ成型システム、それを具えるタイヤ製造システムおよびタイヤの製造方法
DE112007000118A5 (de) * 2006-01-10 2008-10-02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r Nachbehandlung von Reifen
JP4917837B2 (ja) * 2006-05-31 2012-04-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
JP5297029B2 (ja) * 2007-11-30 2013-09-25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のビードリング廻り止め機構
DE102009010322A1 (de) * 2009-02-12 2010-08-19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Produktion von Reifen
JP5424727B2 (ja) * 2009-06-10 2014-02-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8366426B2 (en) * 2009-10-21 2013-02-05 Mcneil & Nrm, Inc. Combination loader and post cure inflator
CN102632570B (zh) * 2012-03-29 2016-01-27 台州弗德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硫化机及其硫化方法
CN102672859B (zh) * 2012-05-09 2016-11-02 青岛康宏安工贸有限公司 双模高效斜交轮胎全自动硫化机
US9649785B2 (en) 2012-08-15 2017-05-16 The Boeing Company Portable Curing System
JP5968249B2 (ja) * 2013-02-22 2016-08-10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タイヤ加硫機
SI2961593T1 (sl) * 2013-02-26 2020-04-30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Postopek za predgretje vsaj enega kalupa
US9346228B2 (en) * 2014-07-09 2016-05-24 Mcneil & Nrm, Inc. Segmented mold operator
CN105108942A (zh) * 2015-09-17 2015-12-02 四川远星橡胶有限责任公司 竖式胶囊硫化装置
KR101778001B1 (ko) 2016-03-16 2017-09-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급속가열 및 급속냉각을 위한 이동형 금형 및 성형방법
CN107214890A (zh) * 2017-07-27 2017-09-29 山东玲珑机电有限公司 一种实心轮胎硫化机
CN108357122A (zh) * 2018-05-09 2018-08-03 三角轮胎股份有限公司 一种从后方装、卸胎进行轮胎硫化的方法
CN108655146A (zh) * 2018-05-09 2018-10-16 三角轮胎股份有限公司 封闭式轮胎硫化的方法
JP7079891B2 (ja) * 2019-02-20 2022-06-02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タイヤ加硫システム及び加硫済みタイヤの製造方法
CN110405994A (zh) * 2019-07-15 2019-11-05 安徽中运智能科技有限公司 汽车零部件用模具的模具水路清洗装置
CN110744847A (zh) * 2019-10-23 2020-02-04 大陆马牌轮胎(中国)有限公司 一种适合高舒适度轮胎制造的成型机
CN214821072U (zh) * 2021-03-31 2021-11-23 萨驰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轮胎硫化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00456A (en) * 1930-03-22 1933-03-07 Fisk Rubber Co Tire vulcanizer
DE1579197A1 (de) * 1965-09-02 1970-04-30 Chepos Zd Y Chemickeho A Potra Vulkanisierpresse,insbesondere fuer Autoreifen
GB1136712A (en) * 1966-01-05 1968-12-18 Nii Shinnoi Promy Device for moulding and vulcanising pneumatic tyre covers
FR1472158A (fr) * 1966-01-10 1967-03-10 Ki Mashinostroitelny Zd Bolshe Installation pour le moulage et la vulcanisation d'enveloppes de pneumatiques
US3932079A (en) * 1975-01-29 1976-01-13 Valery Leonidovich Legostaev Pneumatic tire vulcanizing apparatus
US4092090A (en) * 1977-05-18 1978-05-30 Nrm Corporation Tire curing system
IT1143821B (it) * 1977-08-12 1986-10-22 F A T A Fabbrica Ed Apparecchi Sistema per l alimentazione di prodotti di materiale elastomero crudo ad autoclavi di vulcanizzazione
EP0099507B1 (en) * 1982-07-23 1989-12-27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green tires
IT1198794B (it) * 1984-02-29 1988-12-21 Cima Impianti Spa Attrezzatura di movimentazione dei copertoni pneumatici verso e da una macchina vulcanizzatrice
JPS62251125A (ja) * 1986-04-25 1987-10-31 Bridgestone Corp 成型・加硫工程間の生タイヤ自動搬送設備
IT1189673B (it) * 1986-05-20 1988-02-04 Firestone Int Dev Spa Impianto di vulcanizzazione di pneumatici
DE3713739A1 (de) 1987-04-24 1988-11-17 Roehm Gmbh Verfahren zum verbessern der entwaesserbarkeit von biologischem klaerschlamm
JP3314417B2 (ja) 1992-09-21 2002-08-12 ダイヤニトリックス株式会社 N−ビニルホルムアミドの製造法
FR2708888A1 (fr) * 1993-08-09 1995-02-17 Sedepro Procédé et appareil de vulcanisation de pneumatiques.
US5820885A (en) * 1993-09-14 1998-10-13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Tire vulcanizing system
JPH0847928A (ja) * 1994-06-03 1996-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用割金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26171T2 (de) 2002-11-14
EP0950486A2 (en) 1999-10-20
CN1194847C (zh) 2005-03-30
US5681594A (en) 1997-10-28
EP0709179A3 (en) 1996-10-30
CN1319487A (zh) 2001-10-31
CN1069578C (zh) 2001-08-15
EP0709179B1 (en) 2002-04-03
KR960013615A (ko) 1996-05-22
CN1129636A (zh) 1996-08-28
EP0709179A2 (en) 1996-05-01
DE69526171D1 (de) 2002-05-08
EP0950486A3 (en) 200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3503B1 (ko) 타이어가황설비
JP2686375B2 (ja) タイヤ製造装置
KR0145259B1 (ko) 타이어 가황설비
KR0180924B1 (ko) 타이어금형 운반장치
JP3872589B2 (ja) 金型開閉・加硫ステーション
JP3798545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3219634B2 (ja) タイヤ加硫設備
KR100232337B1 (ko) 타이어 가황기
JP3219618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2703170B2 (ja) タイヤ加硫設備
KR100359546B1 (ko) 타이어 가황처리 시스템 및 그 금형 개폐·가황처리스테이션
JP3009567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3300735B2 (ja) タイヤ加硫用金型組立体
JP3268145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3181180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H11240017A (ja) タイヤ加硫設備及びタイヤ加硫方法
JP4745534B2 (ja) タイヤ加硫装置
JP3540500B2 (ja) タイヤ取り出し方法、タイヤ取り出し装置及びタイヤ加硫設備
JP3238292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3739822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H08300357A (ja) タイヤ加硫システム
JP3593074B2 (ja) 金型開閉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設備
JP3272568B2 (ja) タイヤ金型運搬装置
JP3993286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2713701B2 (ja) 加硫済タイヤの把持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