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524B1 -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 - Google Patents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524B1
KR0158524B1 KR1019950041604A KR19950041604A KR0158524B1 KR 0158524 B1 KR0158524 B1 KR 0158524B1 KR 1019950041604 A KR1019950041604 A KR 1019950041604A KR 19950041604 A KR19950041604 A KR 19950041604A KR 0158524 B1 KR0158524 B1 KR 0158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ire
plate
vulcanize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1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101A (ko
Inventor
노브히코 이리에
Original Assignee
오기노 카네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기노 카네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기노 카네오
Publication of KR960017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02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5Mounting of moulds or mould support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Tyre-vulcanising presses with two or more moulds, e.g. stacked upon each other
    • B29D2030/0651Tyre-vulcanising presses with two or more moulds, e.g. stacked upon each other the moulds being arranged side by side, or in a cir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Tyre-vulcanising presses with two or more moulds, e.g. stacked upon each other
    • B29D2030/0653Exchanging moulds in the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타이어가황금형을 새로히 분할형금형장치를 준비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는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타이어가황금형M의 상부금형외주부에 형성한 상부플랜지 혹은 상부금형(100)을 장착하는 플레이트(105)의 외주부에 형성한 상부플랜지(105a)와, 하부 금형(101)을 승강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플레이트(107)의 외주부에 형성한 하부플랜지(107a)와, 상기 각플랜지중 한쪽의 플랜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동시에 다른쪽의 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한 록링(106)을 가진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7)에 가압장치(113)의 일단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동 가압장치(113)의 타단부에 출력측을 상기 플레이트(107)부를 관통해서 상기 하부금형(101)의 가압판(108)에 당접하도록 장착해서,상기 타이어가황금형M을 폐쇄해서 상기 록링(106)에 의해 상기 각플랜지부를 연결했을 때에 타이어가황금형M의 내부압력에 의한 금형개방력을 봉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
제1도는 타이어가황설비의 일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시시a-a선을 따른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화살표A방향에서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일실시예(제1실시예)를 표시한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5도는 동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를 제2도의 화살표A방향에서 본 종단측면도.
제6도는 타이어가황설비의 다른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시시a-a선을 따른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다른실시예(제2실시예)를 제7도의 시시b-b선을 따라서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9도는 동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표시한 가압제어장치의 계통도.
제11도는 동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이 또다른 실시예(제3실시예)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12도는 타이어가황설비의 일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시시a-a선을 따른 종단정면도.
제14도는 타이어가황설비의 다른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시시a-a선을 따른 종단정면도.
제16도는 제12도의 시시a'-a'선을 따른 종단측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시시e-e선을 다른 종단측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시시f-f선을 따른 상부열판착탈수단의 일예를 표시한 횡단평면도.
제19도는 제17도의 시시f-f선을 따른 상부열판착탈수단의 연결상태를 표시한 횡단면도.
제20도는 제16도의 화살표g부분의 확대종단측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시시h-h선을 따른 횡단측면도.
제22도는 제20도의 시시i-i선을 따른 횡단평면도.
제23도는 타이어가황설비의 일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시시a-a선을 따라서 표시한 측면도.
제25도는 타이어가황기용분할금형장치를 제24도의 시시b-b를 다라서 표시한 종단정면도.
제26도는 동타이어가황기용 분활금형장치와 금형개폐장치의 1태양을 제24도의 시시b-b선을 따라서 표시한 종단정면도.
제27도는 동타이어가황기용분활금형장치와 금형개폐장치의 다른태양을 제24도의 시시b-b선을 따라서 표시한 종단정면도.
제28도는 타이어가황설비의 일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29도는 제28도의 시시a-a선을 따른 정면도.
제30도는 제29도의 시시c-c선을 따른 종단측면도.
제31도는 제30도의 시시d-d선을 따른 종단측면도.
제32도는 금형착탈장치의 1태양을 제31도의 시시e-e선을 따라 표시한 횡단면도.
제33도는 금형착탈장치의 다른 태양을 제31도의 시시e-e선을 따라 표시한 호이단평면도.
제34도는 제28도의 시시b-b선을 따른 미가왕타이어공급장치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측금형 101 : 하측금형
102 : 트레드금형 103 : 시그먼트
104 : 외부링 105 : 플레이트
105a : 플랜지 106 : 롤링
106a: 링 106의 하부 106b : 롤러
107 :하부플레이트 107a : 하부플레이트 107의 하부플랜지
108 : 가압판 108a : 가압판 108의 중앙통부분
109 :로드 111 : 스토퍼
112 : 블록 113 :가압장치(가압실린더)
113a : 가압장치 (113)의 상부플랜지
107b : 하부플레이트 (107)의 관통구멍
114 : 탄성체 115 :롤러
116 : 롤러 118 : 블록
본 발명은, 타이어가와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건 출원인은, ①복수조의 타이어가황금형을 배열해서 가황을 행하는 가황스테이션과, 동 타이어가황금형을 열러서 가황완료타이어를 인출하고 이어서 가황해야할 미가황타이어를 삽입정형해서 동타이어가황금형을 닫는 금형개폐스테이션과, 동가황스테이션과 동금형개폐스테이션간에 왕복구동하는 금형운반대차로 이루어진 타이어가황설비(일본국특원평5-228961호 명세서참조), ②가황설비에서 사용하는 타이어가황금형으로서 금형내부의 내압반력을 셀프록해서 가황중에 금형체결력을 필요로 하지않는 타이어가황용 분리 금형장치(일본국특명평 6-122661호 명세서참조), ③복수조의 타이어가황금형을 고정상태로해서, 이복수조의 금형의 개폐조작 등을 행하게 하는 공유의 금형개폐장치를 금형군에 대해서 이동시키는 형식의 타이어가황설비(일본국특원평5-244658호 명세서참조)를 이미 제안하고 있다.
다음의 상기 ①의 타이어가황설비를 제12도∼제22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2도는, 타이어가황설비의 일예를 표시한 평면도이다.
제13도는, 제12도의 시시a-a선을 따른 종단정면도이다.
제14도는, 타이어가황설비의 다른예를 표시한 정면도이다.
제15도는, 제14도의 시시a-a선을 따른 종단정면도이다.
제16도는, 제12도의 시시a'-a'선을 따른 종단정면도이다
제17도는, 제16도의 시시e-e선을 따른 종단측면도이다.
제18도는, 제17도의 시시f-f선을 따른 상부열판착탈수단의 일예를 표시한 횡단면도이다.
제19도는, 제17도의 시시f-f선을 다른 상부열판착탈수단의 연결상태를 표시한 횡단평면도이다.
제20도는, 제16도의 활살표g부분의 확대종단측면도이다.
제21도는, 제20도의 시시h-h선을 따른 횡단측면도이다.
제22도는, 제20도의 시시i-i선을 따른 횡단평면도이다.
먼저 본 타이어가황설비의 전체를 제12도, 제13도에 의해 설명한다.
가황스테이션((1')(1a'및1b'))은, 복수의 타이어금형(M(Ma,Mb,Mc,…))을 걸쳐놓는 복수의 금형받침대(5'(5a',5b',5c',…))로 이루어지고, 각금형받침대5'에는, 도시생략한 금형이동수단(에를들면 실린더구동의 추진체),필요에 따라서 가열가압매체보충수단 및 배관등이 배설되어 있다.
금형개폐스테이션(2'(2a'및2b'))는, 공지의 타어어가황기에 유사한 금형개폐장치(6'(6a'와6b'))와, 타이어금형으로부터 가황완료타이어를 반출하는 공지의 언로더(7a')와, 타이어금형에 미가황타이어를 반입하는 공지의 로더(8a')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서 가황완료타이어 반송용 콘베이어(9a'), 미가황타이어용랙(10a')등이 배설된다.
금형운반대차는, 바다면에 고정된 레일(4')와, 레일(4')에 안내되어, 구동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주행하는 공지의 대차(3'(3a'와3b'))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형교환스테이션(2')는, 피가황타이어의 사양변경에 수반하는 타이어금형내부의 트레드금형, 사이드월금형 등의 교환이나, 소모품인 블래더의 교환 등을 행하는 금형교환테이블(11')이고, 이들 교환작업에 필요한 금형개폐수순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제16도∼제22도에 의해 상기 금형(M)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6도의 시시d-d선으로부터 좌측은, 타이어금형(M)이 개방되어서, 가황완료타이어가 반출된 후의 상태를 표시하고, 우측은, 미가황타이어(T)가 반입되어서, 타이어금형이 폐쇄되고,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안쪽으로 가열가압매체가 도입되어서, 가황이 개시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301)은 타이어금형(M)의 기판이고, 동기판(301)은, 기판(301)의 하부면에 매설된 볼캐스(302)를 개재해서 금형개폐장치(6a')의 프레임(6e')상부에 수평활동자재하게 걸쳐놓여 있고, 공지의 록장치(도시생략)에 의해 프레임(6a')에 고정되어 있다.
또 기판(301)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301a)의 외주면을 안내해서 승강활동가능하게 삽입된 부시(308)에 하부열판(303)이 고정되어 있고, 프레임(6e)에 고정된 실린더(6f)의 로드가 기판(301)에 형성된 구멍(301e)를 관통하고 있고, 이것이 승강하므로서, 하부열판(308)이 승강한다.
(305)는 하부열판(303)에 볼트체결된 하부사이드월금형, (306)은 부시(308)에 공지의 베이어닛록기구로 짜붙인 하부비드링이고, 하부비드링(306)에 볼트체결된 블래더압압부재(307)과 하부비드링(306)의 사이에 블래더(B)의 하단부가 클램프되어 있다.
(309)는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트레드형이고, 폐쇄시에는 외주면이 실용상의 원추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시그먼트(310)의 내주면에 트레드형(309)가 볼트체결되어 있다. 시그먼트(310)의 외주면과 걸어맞춤하는 원추면을 원들레에 가진 외부링(311)은, 스페이서(312)를 개재해서 기판(301)에 볼트체결되어 있다. 또 시그먼트(310)의 원추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T홈(310a)에 대하여 걸어맞춤해서, 활동가능한 T막대(310a)가 외부링(311)의 원주원추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6f)의 작용에 의해, 하부열판(303)이 상승하면, 하부열판(303)에 고정된 수압판(受壓板)(304)를 개재해서 시그먼트(310)이 밀어올려지는 동시에, T막대(311a)에 안내되어서 반경방향외부쪽에도 활동해서, 하부사이드월금형(305)에 대해 트레드금형(309)가 상대적으로 반경방향외부쪽으로 벌어지는 동시에, 폐쇄시에 걸어맞춤하고 있었던 하부열판(303)의 외주에 형성된 발톱(303a)에 대해 시그먼트(310)의 하부쪽에 형성된 발톱(310b)이 반경방향 외부쪽으로 상대이동해서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되어있다.
또 수압판(315)를 고정한 상부열판(314)가 타이어금형(M)폐쇄시에는, 수압판(315)를 개재해서 시그먼트(310)에 타고있고, 상부열판(314)에 형성된 발톱(314a)와 시그먼트(310)의 상부에 형성된 발톱(314a)이, 시그먼트(314)의 반경방향으로의 활동에 의해, 걸어맞춤하거나, 걸어맞춤이 해제하거나 한다.
(313)은 상부열판(314)에 볼트체결된 상부사이드월금형, (316)은 상부사이드월금형(313)에 볼트체결된 상부비드링이다.
또한 프레임6e에 승강가능하게 짜붙인 암(6c')에는, 프레임(6e')에 고정된 실린더(6d')의 로드의 선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6d')의 작동에 의해, 암(6c')가 승강한다.
또 상부열판(314)를 암(6c')에 착탈가능하게 하는 공지의 착탈가능수단(6k'), 즉, 선단부에 T자 형상으로 발톱(325a)이 일체화된 T로드(325)의 타단부에 로터리실린더(324)가 고정되어 있고, 로터리실린더(324)의 자동에 의해, T로드(325)가 90°왕복회전해서, 상부열판(314)에 일체화된 발톱(314b)에 대해서 걸어맞춤 또는 통과가능하게된 수단이 암(6c)에 결합되어 있고, 착탈수단(6k)가 암(6c)와 상부열판(314)을 연결되고 또한 시그먼트(310)이 반경방향외부쪽으로 이동해서, 발톱(310c)과 (314a)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있는 동안에, 실린더(6d')가 작동하면, 상부사이드월금형(313) 및 상부비드링(316)이 상부열판(314)와 함께 승강한다.
또 기판(3301)의 원통부(301a)의 상단부에 볼트체결된 부시(320)의 내주면을 안내해서 활동승강가능하게 제2의 센터포스트(321)이 삽입되어 있다. 또 제2의 센터포스트(321)의 상단부에 볼트체결된 부시(322)의 내주면을 안내해서 활동승강가능하게 제1센터포스트(323)이 삽입되어 있고, 프레임(6e')에 고정된 센터포스트승강용실린더(도시생략)의 로드의 선단부에 나사결합된 연장로드(6j') 및 연장로드6j'에 회전가능하게 짜붙쳐진 원통(6b)의 상단부에 형성된 발톱(6j')과 제1센터포스트(323)의 하단부에 형성된 발톱(323c)과의 걸어맞춤을 개재해서 제1의 센터포스트(323)이 승강한다.
제1센터포스트(323)이 상승해서, 제1센터포스트(323)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323b)가 제2센터포스트(321)의 상단부가까이의 안쪽에 형성된 링형상돌기(321b)에 당접하면, 제2센터포스트(321)이 상승하고, 제2센터포스트(321)의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321a)가 원통(301a)의 상단부근처의 안쪽에 형성된 링형상돌기(301c)에 당접해서, 제1 및 제2센터포스트(321),(323)의 상승이 정지한다. 하강시는, 부시(322)의 외주단부가 부시(320)에 당접해서, 제2센터포스트(321)의 하강이 정지하고, 제1센터포스트(323)의 상단부에 볼트체결된 플랜지(318)이 부시(322)에 당접해서, 제1센터포스트(323)의 하강도 정지한다.
블래더B의 상단부가 플랜지(318)에 볼트체결된 블래더압압부재(317)과의 사이에 끼워져 유지되어 있고, 센터포스트(323)의 승강에 의해, 블래더B의 상하단부거리가 멀어지거나, 접근하거나 한다.
또 기판(301)의 원통부(301a)에는,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공급배출하기 위한 통로(301b)가 형성되어 있고, 통로(301b)의 하단부는, 금형개폐장치(6)의 배관(6g)와 공지의 착탈수단(326)을 개재해서 착탈가능하게 되어있다. 즉,
착탈수단(326)은, 기판(301)에 매설, 고정된 밸브보디(327)과, 밸브보드(327)의 한쪽의 내주면(327b)를 안내해서 활동하고, 밸브보디(327)의 중간부에 형성된 밸브시트(327a)에 걸어맞추는 시트면(327a)를 가진 밸브체(328)과, 밸브체(328)을 빌브시트(327a)에 압압하는 코일스프링(329)로 이루어진 첵밸브와, 프레임(6e)에 결합된 승강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승강해서, 선단부외주에 밸브보디(327)의 다른쪽의 내주면(327c)에 활동적으로 걸어맞춤가능한 원통면을 형성한 배관(6g)로 이루어지고, 또한 배관(6g)의 선단부에는, 밸브체(328)의 시트면(327a)쪽으로 뻗는 밸브막대(328c)에 당접하는 Y자체를 형성하고 있고, 배관(6g)의 밸브보디(327)에의 삽입시에, 밸브체(328)을 밀어올려서, 통로(301b)와 배관(6g)를 연통하고, 배관(6g)를 끌어내릴때에는, 밸브체(328)이 코일스프링(329)에 의해 밀어내려서, 통로(301b)가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관(6g)와 가열가압매체공급원과의 사이에는, 절환밸브(도시생략)등이 결합되어 있다.
또 제1센터포스트(323)에도, 셰이핑용증기 등을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내부쪽으로 도입하기 위한 통로(323a)가 형성되어 있고, 통로(323a)의 하부쪽에도, 마찬가지의 착탈수단이 짜붙어져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금형개폐장치(6)은, 종래의 타이어가황기에 비해서, 가열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해서 타이어금형이 개방할려는 힘에 대항해서 타이어금형이 개방되지 않도록 타이어금형을 꽉죄어두는 가압수단이 없는점 및 상착탈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거의 동일하다.
상기 타이어가황설비의 일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12도는, 가황스테이션(1a')의 금형받침대(5a')에 있었던 타이어금형(Ma)내부의 타이어가황이 종료하고, 금형운반대차(3a')에 의해, 금형개폐스테이션(2a')의 금형개폐장치(6a')내부에 반입을 종료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상태에서, 먼저실린더(6d')를 작동시켜서, 암을 하강시켜,착탈수단(6k')에 의해, 타이어금형(Ma)의 상부열판(314)와 암(6c')를 연결하는 동시에, 배관(6g')를 상승시켜서, 통로(301b)와 연통시키고, 연장로드(6j')를 약간 상승시켜서, 통로(323a)도 연통시키고, 원통(6h')를 회전시켜서, 멈춤쇠(6i')와 (323c)를 걸어맞춤시킨다.
이어서 절환밸브(도시생략)를 작동시켜서, 타이어(T)내부의 가열가압매체를 배출하고, 타이어(T)내부압력이 충분히 강하한 것을 확인한 다음에, 실린더(6f')를 작동시켜서, 하부열판(303)을 밀어올린다. 이 밀어올리기에 의해, 트레드금형(309)가 타이어(T)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져서 금형분리된다. 트레드금형(309)가 충분하게 지름이 확대해서, 시그먼트(310)의 발톱(310b),(310c)와 상하부열판의 발톱(303a),(314a)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었으면, 실린더(6d')의 작동에 의해, 상부열판(314)를 상승시켜서, 상부사이드월금형(313)의 금형분리를 행하고, 통로(323a)를 개재해서 블래더(B)내부에 진공을 걸면서, 센터포스트(323)을 상승시켜서, 타이어T의 내부쪽으로부터 블래더(B)를 인출한다.
이어서, 언로더(7a)의 작용에 의해, 가황완료타이어(T)가 타이어금형(Ma)외부로 매달아꺼내지고 로더(8a')의 작용에 의해, 다음에 가황되는 미가황타이어(T)가 타이어금형(Ma)내부에 매달아 넣게된다. 통로(323a)를 개재해서 블래더(B)내부에 셰이핑용증기를 공급하면서, 센터포스트(323)을 하강시켜서, 매달아넣은 미가황타이어(T)의 내부쪽에 블래더(B)가 삽입되었으면, 로더(8a')가 타이어(T)의 클램프를 해제해서, 대기위치에 이동한다. 상부열판(314)에 대해서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했으면, 실린더(6d')의 작동에 의해, 상부열판(314)를 하강시켜서, 공지의 수순에 의해서 셰이핑 및 타이어금형폐쇄공정을 행하고, 상부열판(314)가 시그먼트(310)에 당접한 후, 실린더(6f')도 작동시켜서, 시그먼트(310)을 개재해서 상부열판(314)에 의해 하부열판(303)을 밀어내리고, 이 멀어내림에 의해, 트레드금형(309)가 지름이 축소되어서, 타이어금형(Ma)가 폐쇄된다.
이때, 동시에 발톱(310c)와 (314a) 및 (303a)와 (310b)와의 걸어맞춤도 행하여지므로, 타이어금형(Ma)의 금형폐쇄후,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내부쪽에 가열가압매체가 도입되어서, 가황이 개시되더라도, 가열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해, 금형을 개방할려는 힘은, 발톱(310c)와 (314a),(303a)와 (310b)와의 결어맞춤에 의해, 시그먼트(310)을 개재해서 상쇄되어서, 금형이 개방되지 않는다.
그리고, 타이어가황이 개시된 후, 상기와 반대의 수순으로 타이어금형(Ma)와 금형개폐장치(6a')와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때, 통로(323a) 및 (301b)에는, 첵벨브가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타이어내부압력이 유지된다.
이어서 타이어금형(Ma)가 금형운반대차(3a')에 의해 가황스테이션(1a')의 금형받침대(5a')위에 반송되어서, 가황이 속행되고, 금형운반대치(3a')는, 다음에 가황이 종료된 타이어금형을 받아서, 금형개폐스테이션(2a')에 운반한다.
또한 블래더(B) 등의 교환을 행할 경우는, 다음에 가황되는 타이어(T)를 매달아넣지 않고 일단금형을 폐쇄한 다음에 (이 경우, 가열가압매체의 도입도 물론 행하지 않는다), 금형교환스테이션(11')에 반송하고, 블레더(B)등이 교환되는 동안은, 금형운반대차(3a'), 및 금형개폐스테이션(6a')에서는, 다른 타이어금형의 타이어반출입이 행하여지며, 블래더(B) 등의 교환이 종료되면, 금형개폐스테이션으로 운반되어서, 다음에 가황되는 타이어의 삽입이 행하여진다.
먼저 본타이어가황설비의 다른예의 전체를 제14도∼제22도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동일기능품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상기한 일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4도의 가황스테이션(12')(12a' 및 12b')는, 복수의 타이어금형(M(Ma,Mb,Mc,…)를 걸쳐 놓는 복수의 금형받침대(5'(5a',5b',5c',))와, 복수의 금형받침대(5')를 결합한 가대(14')로 이루어지고, 각금형받침대(5')에는, 도시생략된 금형이동수단(예를들면 실린더구동의 추진체),필요에 따라서 가열가압매체보충수단, 및 배관등이 배설되어 있다. 글형개폐스네이션(6'(6a' 및 6b'))의 가황스테이션(12')에 대한 배치는, 상기한 일예와 상이하고 있으나, 구성,작용은 동일하다
금형운반대차는, 바닥면에 고정된 레일(4')와, 레일(4')에 안내되어서 구동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주행하는 공지의 대차(13'(13a'와 13b'))로 구성되어 있고, 이 점에서는 상기한 일예와 동일하나, 타이어금형(M)을 2면을 적재가능하다. 또한 적재면이 승강가능하며, 하강시에는, 하부쪽의 금형받침대(5')와, 상승시에는, 상부쪽의 금형받침대(5')와, 타이어금형을 걸쳐놓는 면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르다.
제15도는, 금형받침대(5a')에 있어서 종료된 금형(Ma)를 금형개폐스테이션(2a')로 운반해서, 타이어의 반출입을 완료하고 또한 금형받침대(5b')에 있어서 가황을 종료한 금형(Mb)를 금형운반대치(13a')의 한쪽의 적재위치에 적재하고, 빈적재위치를 금형개폐장치(6a')의 앞으로 이동시켜서, 정지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먼저 타이어반출입이 종료된 타이어금형(Ma)를 구도수단(도시생략)에 의해, 금형운반대차(13a')의 빈적재위치로 이동시킹후, 금형개폐장치(6')의 앞에 타이어금형(Mb)가 오도록 동대차(13a')를 이동하고, 정차시켜서, 타이어금형(Mb)를 금형개폐장치(6a')내부에 공급한다. 상기의 수순에 의해서 타이어금형(Mb)의 가황완료타이어(T)를 반출하고, 다음에 가황되는 미가황타이어(T)를 매달아넣고, 셰이핑 및 금형폐쇄공정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동대차(13a')에 의해, 타이어금형(Ma)를 금형받침대(5a')위에 반송하고, 다음에 가황이 종료된 타이어금형(예를들면 MC)을 동대차(13a')위의 소정위치(제3도의 Mb가 실리고 있었던 위치)에 적재하여 되돌아온다.
다음에 상기 ②의 타이어가황기용분할금형장치를 제23도∼제27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23도는,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를 적용하는 타이어가황설비의 평면도이다.
제24도는, 제23도의 시시a-a선을 따라서 표시한 측면도이다.
제25도는, 동타이어가황기용분할금형장치를 제24도의 시시b-b를 따라서 표시한 종단정면도이다.
제26도는, 동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와 금형개폐장치의 1태양을 제24도의 시시b-b선을 따라서 표시한 종단정면도이다.
제27도는, 동타이어가황기용분할금형장치와 금형개폐장치의 다른 태양을 제24도의 시시b-b선을 따라서 표시한 종단정면도이다.
또한 제23도 및 제24도는, 상기 제12도 및 제13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설비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음에 제25도 제27도에 의해 타이어가황기용분할금형장치를 설명한다. 또한 제25도는, 미가황타이어(T)가 반입되어서, 타이어가황용금형이 폐쇄하고,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내부쪽에 가열가압매체가 도입되어서, 가황이 개시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401)이 타이어가황용금형(M)의 기판이고, 동기판(401)은, 금형개폐장치(6a')의 프레임(6e')상부에 수평활동자재하게 걸쳐놓여져 있고, 공지의 록장치(도시생략)에 의해 프레임(6e')에 고정되어 있다.
(403)이 경질단열재(402)를 개재해서 기판(401)에 고정한 하부원판(본예에서는 가열가압매체통로를 형성해서 열판겸용으로 하고 있다), (405)는 하부원판(403)에 고정한 하부사이드월금형,(406)은 하부사이드월금형(405)의 원주원통면을 걸어맞춤하는 외주면을 가진 하부비드링이고, 원통체(420)의 중앙외주부에 형성된 플랜지(402a)에 클램퍼(408)에 의해 착탈자재하게 짜붙어져 있고, 하부비드링(406)에 볼트체결된 블래더압압부재(407)과 하부비드링(406)의 사이에 블래더(B)의 하단부가 끼워져 유지되어 있다.
(409)가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트레드금형이고, 폐쇄시에는, 외주면이 실용상의 원추면을 형성하고, 하부원판(403)의 외주부에 형성된 플랜지(403b)상부에 고정된 수압판(404)상부를 활동자재한 시그먼트(410)의 내주면에 트레드금형(409)가 볼트체결되어 있다.
(411)이 시그먼트(410)의 외주면에 걸어맞춤하는 원추면을 내부둘레에 가진 외부링이고, 동외부링(411)에는, 시그먼트(410)의 원추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T홈(410a)에 걸어맞춤해서 활동가능한 T막대(411a)가 외부링(411)의 내주원추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원판(414)의 외주부에 반경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암(414a)에 반경방향으로의 활동자재하게 결합된 슬라이드가이드(415)가 시그먼트(41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원판(414)와 외부링(411)이 측심방향에 상대적으로 승강하면, 트레드금형(409)가 시그먼트(410)을 개재해서 반경방향으로 이동해서 확경(擴徑),축경(縮徑)되는 동시에, 트레드금형(409)가 폐쇄시에는,시그먼트(4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된 발톱(410b),(410c)가 상부원판(414) 및 하부원판(403)의 외주부에 형성된 발톱(414b),(403a)에 걸어맞춤하고, 트레드금형개방시에는, 상기 발톱(410b)와 (410c), (410c)와 (403a)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413)이 상부원판(44)(본 실시예에서는 가열가압매체통로를 형성해서 열판으로 겸용하고있다)에 고정된 상부사이드월, (416)이 상부사이드월(413)에 볼트체결된 상부비드링이다.
(412)가 상기 원통체(420)에 승강(활동)가능하게 끼워넣은 센터포스트, (422)가 센터포스트(421)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장착해서 외주면이 원통체(420)의 내주면을 활동하는 부시,(423)이 원통체(420)의 상단부에 삽입해서 내주면이 센터포스트(421)을 활동하는 패킹, (424)가 패킹(423)의 이탈방지부재이고, 센터포스트(421)의 하단부에 형성된 오목부(421a)에는, 센터포스트승강실린더(도시생략)의 로드의 선단부에 결합시킨 자동연결수단이 압입되고, 센터포스트(421)의 산단부에는, 캡(425)가 핀(42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418)이 캡(425)에 볼트체결한 플랜지, (417)이 플랜지(418)에 볼트체결한 부래더압압부재이고, 플랜지(418)의 외주부와 부래더압압부재(417)의 사이에 부래더(B)의 상단부가 클래프되어있고, 상기 센터포스트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부래더(B)의 양단부가 접근, 이간한다.
또한 상기 원통체(420)에는,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내부쪽에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하는 복수의 노즐(427a)를 가진 노즐링(427)이 고정되고, 노즐(427a)에 연통하는 가열가압촉매통로(420c), 가열가압촉매배출통로(420d)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통로(420c),(420d)와 금형장치외부관로를 접속하는 첵밸브부착퀵커플러(428),(429)가 이들의 통로(420c),(420d)의 출구부에 결합되어 있다.
(430)이 커버플레이트이고, 동커버플레이트(430)은, 그외주부가 스페이서링(412) 및 경질단열재(431)을 개재해서 외부링(411)에 볼트체결되어 있다. (432)가 상부원판(414)에 고정된 스페이서, (419a),(419b),(419c)가 연질의 보온재이다.
상부원판(414)와 커버플레이트(430)과의 록수단은, 상부원판(414)에 볼트체결한 내부링(438)과, 커버플레이트(430)의 내주부에 부시(433)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 외부링(434)와, 외부링(414)의 내주와 내부링(438)의 외주에 형성되고 또한 외부링(414)의 회전각도 여하에 따라 걸어맞춤 또는 축심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복수짝의 발톱(434a),(438a)와, 후기하는 요동회전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436)은 외부링(434)에 고정된 이탈방지부재이다.
제26도, 제27도의 (440)이 금형개폐장치(6a')의 지주부에 승강(활동)가능하게 결합시킨 암(6c')에 고정한 볼스터플레이트이고, 승강실린더(6a')의 작동에 의해 승강한다.
(441)이 볼스터플레이트(440)과 커버플레이트(430)을 착탈하는 공지의 착탈장치,(435)가볼스터플레이트(440)에 고정한 스토퍼, (442)가 일단부를 볼스터플레이트(440)에 고정한 복수의 로드, (443)이 로드(442)의 타단부에 볼트체결한 금형개폐실린더, (444)가 금형개폐실린더(443)의 로드(443a)의 선단부에 고정한 연장로드, (446)이 연장로드(444)에 회전(활동)가능하게 결합시킨 슬리브, (445)가 슬리브(446)의 상단부내부쪽에 비틀어박은 부시이다.
상기 금형개폐실린더(443)과 상기 상부원판(414)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연장로드(444)와, 부시(445)와, 슬리브(446)과, 내부링(438)에 일체적으로 장착한 연결로드(439)와,연결로드(439)의 외주상부와 슬리브(446)의 내주하부에 형성해서 슬리브(446)의 회전각도여하에 따라 걸어맞춤 또는 축심방향으로 통과가능한 복수짝의 발톱(439a),(44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448)이 레버이고, 동레버(448)은, 선단부가 포크형상으로 형성되고, 핀(449)를 개재해서 볼스터플레이트(4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동레버(448)의 타단부와 볼스터플레이트(440)의 사이에는, 실린더(450)이 결합되어 있고, 동 실린더(450)의 작동에 의해 레버(448)이 핀(449)를 중심으로 요동한다.
(447)이 슬리브(446)으로부터 외부쪽으로 연장하는 암(446c)에 고정한 로드이고, 동로드(447)은, 슬리브(446)과 평행하다. 그리고 동로드(447)이 상기 레버(448)의 선단부포크부에 형성된 U자홈에 삽입되고, 슬리브(446)의 외주에 축심과 평행으로 형성된 키홈(446a)에 암(437)의 선단부가 삽입되고, 동암(437)이 외부링(434)에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450)이 작동해서, 레버(448)이 요동하므로서, 슬리브(446)이 회전하는 동시에, 슬리브(446)과 암(437)을 개재해서 외부링(434)도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발톱(434a),(438a)의 짝이 걸어맞춤상태에 있을때는, 발톱(439a),(446b)의 짝이 통과가능(해제상태)하게되며, 발톱(434a),(438a)의 짝이 통과가능(해제상태)할때는, 발톱(439a),(446b)의 짝이 걸어맞춤상태가 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제23도, 제24도의 타이어가황설비에 적용한 제25도∼제27도의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23도∼ 제25도, 및 제27도는, 가황스테이션(1a')의 금형받침대(5a')에 있었던 타이어가황용금형(Ma)내부의 타이어의 가황이 종료하고, 금형운반대차(3a')에 의해, 금형개폐스테이션(2a')의 금형개폐장치(6a')내부에 반입이 끝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때, 멈춤쇠(434a),(438a)의 짝은, 걸어맞춤상태에 있고,발톱(439a),(446b)의 짝은, 통과 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먼저 실린더(6d')를 작동시켜서, 암(6c')를 하강시키고, 착탈장치(441)에 의해, 커버플레이트(430)과 볼스터플래이트(440)을 연결하는 (제26도참조)동시에,가열가압매체통로(420c),(420d)를 퀵커플러(428),(429)를 개재해서 금형외부배관(도시생략)에 접속한다.
이어서 절환밸브(도시생략)을 작동시켜서, 타이어(T)내부의 가열가압매체를 배출하고, 타이어(T)내부의 압력이 충분히 강하한 것을 확인했으면, 실린더(450)를 작동시키고, 발톱(439a),(446b)의 짝을 걸어맞춤시켜서, 상부원판(414)와 실린더(443)의 로드(443)을 연결하는 동시에, 발톱(434a),(438a)의 짝을 통과가능한 상태로해서, 록을 해제한다.
이어서 공지한 바와같이 실린더(443)을 상부원판(414)의 밀어내리기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동시에, 실린더(6d')를 볼스터플레이트(440)의 상승방향으로 작동시킨다. 그러자, 트러드금형(409)가 타이어(T)로부터 잡아떼어져서, 확경되는 동시에, 발톱(410b)와 발톱(414b), 발톱(403a)와 발톱(410c)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또 볼스터플레이트(440)이 상승해서, 실린더(443)이 스트로그엔드에 도달하면, 발톱(439a),(446b)가 걸어맞춤되어 있으므로, 상부원판(414)가 끌어올려져서, 타이어가황용금형이 열린다.
이어서 가황완료타이어(T)를 타이어가황용금형밖으로 반출하고, 이어서 가황되는 타이어를 반입하고, 이어서 실린더(6d')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켜서, 타이어가황용금형을 닫는다. 그러자, 먼저 상부원판(414)에 걸어매달린시그먼트(410)이 수압판(404)에 당접하고, 그 다음에는 실린더(443)이 되밀리면서, 볼스터플레이트(440)을 개재해서 외부실린더(410)이 하강해서, 트레드금형(409)가 축경해서, 타이어가황용금형이 닫힌다.
이런 사이에, 타이어(T)의 내부쪽에는, 정형용 압력기체가 도입되고, 트레드금형(409)의 축경의 최종단계에서는, 발톱(410b)와 발톱(414b), 발톱(403a)와 발톱(410c)가 걸어맞춤한다.
이렇게 해서 타이어가황용금형이 폐쇄종료되면, 실린더(443)의 작동을 정지하는 동시에, 실린더(450)을 반대방향으로 작동시켜서, 발톱(434a),(438a)의 짝을 걸어맞춤상태로해서, 커버플레이트(430)과 상부원판(414)를 록하는 동시에, 발톱(439a),(446b)의 짝을 통과가능한 상태로 하고, 이어서 타이어의 내부쪽에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해서, 가황공정에 들어간다.
이때, 가열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한 사이드월금형(405),(413)을 이간시킬려고하는 힘이, 상부원판(414), 발톱(414b),(410b),시그먼트(410),발톱(410c),(403a), 하부원판(403)을 개재해서 금형장치내부에서 상쇄된다.
또 트레이드금형(409)를 확경시키려고 하는 반경방향의 힘이, 시그먼트(410)을 개재해서 외부링(411)내부에서 상쇄되는 동시에, 시그먼트(410)과 외부링(411)의 사이에 개재하는 활동경사면에 의해 생기는 상기 반경방향의 힘의 수직분력, 즉, 외부링(411)을 부상시키려는 힘이, 스페이서링(412), 경질단열재(431), 커버플레이트(430), 외부링(434), 발톱(434a),(438a), 내부링(438), 상부원판(414), 발톱(414b),(410b)를 개재해서 금형장치내부에서 상쇄되다.
따라서 이제와서는 볼스터플레이트(440)을 개재해서 금형장치를 외부힘으로 억누를 필요가 없어, 착탈장치(441)을 해방하고, 실린더(6d')를 작동시켜서, 암(6c')를 상승시키면서,상기와 반대의 수순으로 금형장치를 가황스테이션의 소정위치에 이동시켜서, 가황을 속행한다.
다음에 상기③의 타이어가황설비를 제28도∼ 제38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28도는, 타이어가황설비의 일예를 표시한 평면도이다.
제29도는, 제28도의 시시a-a선을 따른 정면도이다.
제30도는, 제29도의 시시c-c선을 따른 종단측면도이다.
제31도는, 제30도의 시시d-d선을 따른 종단측면도이다.
제32도는, 금형착탈장치의 1태양을 제31도의 시시e-e선을 따라서 표시한 횡단면도이다.
제33도는, 금형착탈장치의 다른태양을 제31도의 시시e-e선을 따라서 표시한 횡단평면도이다.
제34도는, 제28도의 시시b-b선을 따른 미가황타이어공급장치의 정면도이다.
먼저 타이어가황설비의 전체를 제28도, 제29도에 의해 설명하면, (1)이 블래더조작용 하부중심기구 등을 내장한 베이스, (M(M1,,M2…))이 베이스(1)의 상부면에 볼트 등에 의해 장착된 복수조의 타이어금형, (2)가 각타이어금형(M)에 병행배치된 궤도이고, 동궤도(2)가 베이스(1)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다.
(3)이 궤도(2)위를 주행하는 금형개폐장치, (20)이 금형개폐장치(3)의 주행프레임, (24)가 주행프레임(20)에 고정된 금형승강실린더이고, 동금형승강실린더(24)의 피스톤로드의 하단부가 주행프레임(20)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된 암(21)에 고정되고, 동암(21)에는, 상부중심기구(23)이 내장되는 동시에 금형착탈장치(22)가 장착되어 있다.
(4)가 궤도(2)위를 주행하는 언로더,(4a)가 암,(4b)가 동암(4a)의 선단부에 결합시킨 타이어클램프기구이고, 암(4a)가 언로더(4)의 주행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또한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동언로도(4)는, 궤도(2)위를 주행하는 점을 제외하면, 공지의 언로더와 동일하다.
(5)가 궤도(2)위를 주행하는 로더, (5a)가 암, (5b)가 동암(5a)의 선단부에 결합시킨 타이어클램프기구이고. 암(5a)가 로더(5)의 주행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또한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있다. 동로더(5)는, 궤도(2)위를 주행하는 점을 제외하면, 공지의 로더와 동일하다.
(6)이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미가황타이어공급장치, (7)이 타이어인플레이트용 에어절환밸브 등을 내장한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팽창냉각장치(PIC)용 베이스, (P(P1,P2…))가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팽창냉각장치용 베이스(7)에 착탈자재하게 장착된 복수의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팽창냉각장치이고,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팽창냉각장치(P(P1P2…))는, 베이스(7)에 차탈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공지의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평창냉각장치와 유사하다.
(8)이 베이스(7)에 고정된 궤도, (9)가 궤도(8)위를 주행하는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평창냉각장치용 언로더, (10)이 동언로더(9)의 주행프레임이고, 동주행프레임(10)의 한쪽면에는, 록하우징승강장치(10)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고, 동록하우징승강장치(10a)의 선단부에는, 록하우징착탈장치(10b)가 장착되고, 상기 주프레임(10)의 다른측면에는, 암(10c)가 승강가능하게 또한 요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동암(10c)의 선단부에는, 타이어클램프기구(10d)가 장착되어있다. (11)이 가황완료타이어송출용 벨트콘베이어, (12)가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팽창냉각장치(P(P1P2…))에서 사용하는 링의 보관장치이다.
다음에 상기 각타이어금형(M)와 착탈장치(22)를 제 30도∼제 33도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501)이 단열판(500)을 개재해서 상기 베이스(1)에 고정된 하부원판이고, 동하부원판(501)의 상부면에는, 외주부에 플렌지(503a)를 가진 하부열판(503)과 가이드판(502)가 조정되어 있고, 하부열판(503)의 상부면에는, 하부사이드월금형(Md)가 볼트체결되고, 내주부에는,블래더(B)를 조작하는 동시에, 블래더(B)내부에 가열·가압매체 등의 공급·배출하는 하부중심기구(28)의 외부통(29)가 매달려 있다. 또한 (Me)는 하부중심기구(28)에 공지의 수단에 의해 장착된 하부비드링이다.
(Mc)가 둘레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된 트레드금형, (504)가 동각트레드금형(Mc)의 외부면에볼트체결된 동수의 시그먼트이고, 동 각시그먼트(504)는, 상부열판(501)의 외주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510a)로부터 방사형상으로 뻗은 가이드(510b)에 안내되어서 반경방향으로 활동가능하게 매달며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열판(510)의 하부면에는, 상부사이드월금형(Mb)가 볼트체결되고, 상부사이드월금형(Mb)의 내부쪽에는, 상부비드링(Ma)가 볼트체결되고, 상부비드링(Ma)의 내부쪽에, 수압판(511)이 볼트체결되어 있다.
(509)가 상부원판이고, 동상부원판(509)의 외주부하부면에는, 스페이서(508)을 개재해서 내부에 증기실을 가진 외부링(505)가 볼트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T자형부재(506)이 시그먼트(504)의 외부쪽경사면에 고정되고, 동T자형부재(506)이 외부링(505)의 내부쪽경사면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뻗는 T자홈에 활동가능하게 걸어맞춤하고 있고, 상부원판(509)가 상부열판(510)에 대해서 승강하므로서, 트레드형금형(Mc)가 시그먼트(504)와 함께 반경방향으로 활동하고,면접촉하고 있는 시그먼트(504)의 하부면과 가이드판(502)가 활동해서, 시그먼트(504)가 반경방향내부쪽으로 이동했을 때, 각 금형(Mb),(Mc),(Md)가 접합해서, 동각금형(Mb),(Mc),(Md)의 내부면이 타이어의 외부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시그먼트(504)의 상하각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발톱(504a)(504b)가 하부열판(503) 및 상부열판(510)의 플랜지(503a),(510a)에 걸어맞춤하도록 되어있다. (507)은 보온재이다.
또한 상기 각타이어금형(M)은, 타이어가황시, 타이어의 내부쪽에 도입된 고온·고압의 가열·가압매체(증기,증기+불활성가스, 또는 온수)의 압력에 의해 타이어금형을 개방할려고 하는 힘을 타이어금형의 내부에서 상쇄시키는 형식의 타이어금형에 상당하고 있다.
한편, 상기 금형개폐장치(3)의 암(21)에 내장된 상부중심기구(23)에서는, 시그먼트개폐용실린더(25)의 헤드단부가 플랜지를 개재해서 암(21)에 고정되고, 동시그먼트개폐용실린더(25)의 피스톤로드(25a)와 금형(M)의 상부열판(110)의 내부쪽에 볼트체결된 플랜지(512)가 연결고리(27)을 개재해서 착탈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고리(27)의 상부쪽의 구멍에 활동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로드(25a)의 선단부에 링(26)이 고정되고,연결고리(27)의 하단부내부면에 복수의 발톱(27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연결고리(27)의 요동회전각도 여하에 따라 동작발톱(27a)에 결어맞춤하거나 동각발톱(27a)사이를 통과하는 동수의 볼록형상발톱(512b)가 플랜지(512)의 중앙부로부터 상부쪽으로 뻗는 축(512a)의 상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연결고리(27)에 레버(27b)가 고정되고, 동레버(27b)의 타단부가 연결용실린더(도시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금형착탈장치(22)에서는, 로터리실린더(30)이 암(21)에 볼트체결되고, 동로터리실린더(30)의 T로드(31)이 암(2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부 원판(509)의 내부구멍내부면에 발톱(509a)가 설치되고, T로드(31)의 회전각도 여하에 따라 동발톱(509a)에 걸어맞춤하거나, 동발톱(509a)의 사이를 통과하는 발톱(31a)가 T로드(3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미가황타이어공급장치(6)을 제34도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30)이 바닥면에 고정된 프레임, (31)이 동프레임(30)에 고정된 레일, (32)가 동레일(31)을 따라서 승강하는 롤러콘베이어이고, 롤러콘베이어(32)는, 구동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승강한다. (33(33a,33b,…33e))가 프레임(31)에 장착된 복수의 롤러콘베이어(미가황타이어수납선반), (34)가프레임(31)에 고정된 레일, (35)가 레일(34)를 따라서 승강하는 롤러콤베이어이고, 롤러콤베이어(35)는, 구동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승강한다.
상기 타이어가황설비의 작용을 다음과 같다.
제28도는, 타이어금형(M1)내부의 타이어가황완료직전의 상태에 있고, 금형개폐장치(3)과 언로더(4)와 로더(5)가 타이어금형(M1)위치에 집합해서, 로더(5)가 이미 다음 미가황타이어를 클램프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가황이 종료해서, 타이어내부쪽의 가열·가압매체를 배출하기 시작하면, 금형개폐장치(3)의 암(21)을 하강시키고, 암(21)을 타이어금형(M1)에 당접시켰으면, 금형착탈장치(22)의 로터리실린더(30) 및 상부중심기구(23)의 연결용실린더를 작동해서, 암(21)과 타이어금형(M1)을 연결한다.
타이어내부쪽의 가열·가압매체를 배출해서, 블레더내압을 충분히 저하시켰으면, 상부중심기구(23)의 시그먼트개폐실린더(25)의 피스톤로드(25a)를 신장방향으로 작동시키면서, 금형승강실린더(24)를 작동시켜서 암(21)을 상승시키고, 타이어금형(M1)의 상부원판(509)와 상부열판(510)을 이간시켜서, 트레드금형((Mc)를 시그먼트(504)와 함께 확경시켜서, 타이어(T)로부터 잡아떼는 동시에, 시그먼트(504)와 상부열판(510) 및 하부열판(503)과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킨다. 시시먼트게폐실린더(25)가 스트로크엔드에 도달했으면, 상부사이드월금형(3b)가 타이어(T)로부터 박리해서, 상승한다.
이어서 하부중심기구(28)의 작용에 의해, 하부비드링(Mc)를 밀어올려서, 타이어(T)를 하부사이드월금형(Md)로부터 박리하고, 블래더(B)를 하부중심기구(28)내부에 인입하여, 수납하고, 이어서 언로더(4)의 클램프기구(4b)를 요동, 하강시켜서, 가황완료타이어(T)를 클램프하여, 상승, 요동시켜서, 매달아 꺼낸다.
가왕완료타이어(T)를 매달아 꺼내었으면, 로더(5)를 요동, 하강시켜서, 동로더(5)에 의해 클램프하고 있던 다음에 가황할 미가황타이어를 타이어금형내부에 설치한다. 또 미가황타이어를 타이어금형내부에 설치했으면, 클램프기구(5b)로부터 미가황타이어를 해방하고, 상승,요동해서, 필요한 경우는 주행해서, 미가황타이어공급장치(6)에 미가황타이어를 취득하러 간다.
한편, 상기 언로더(4)에 의해 매달아꺼낸 가황완료타이어(T)를, 필요에 따라 언로더(4)를 주행시켜서,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팽창냉각장치(7)에 공급한다. 제28도에서는, P1또는 P2에공급한다.
또 미가황타이어공급장치(6)에 있어서, 예를들면 공급하는 타이어로서 제34도의 B2위치의 타이어를 선택한 것으로 하면, 먼저 롤러콘베이어(32)를 상승시켜서, B1위치(실선위치)에 도달하였으면, 롤러콘베이어(32)와 롤러콘베이어(33b)를 동시에 구동해서, B2위치의 타이어를 받침접시(36)과 함께 B1위치에 이동시키고, B3위치의 타이어를 B2위치에 이동시킨다. 이어서 롤러콘베이어(32)를 상승시켜서, A1위치(송출위치)에 이동시키고, 로더(5)가 취득하러 올때까지 대기한다.
이어서 로더(5)에 의해 미가황타이어를 매달아올리고, 빈받침접시(36)을 탑재한 롤러콘베이어(32)를 E1위치까지 하강시키는 동시에, 빈롤러콘베이어(35)도 E4위치까지 하강시키고, 이어서 롤러콘베이어(32),(33e),(35)를 동시에 구동해서, 롤러콘베이어(32)위의 받침접시(36)을 롤러콘베이어(33e)를 개재해서 롤러콘베이어(35)위로 이송한다.
받침접시(36)이 도착했으면, 롤러콘베이어(35)를 미가황타이어를 받을위치A1까지 상승시키고, 미가황타이어를 공급했으면, 빈보관위치(이경우는 제7도의 B3위치)에 받침접시(36)과 함께 이송한다.
만일 다음에 사용되는 타이어가 가끔 B3위치에 있었다고하면, B2위치의 타이어를 벨트콘베이어(32),(33e),(35)를 개재해서 B3위치에 이송하고, 그동안에 B3위치에 있던 타이어는 B2위치에 이동되므로, 이 조작된후에, 상기 수순에 의해 A1위치(송출위치)에 이송한다.
상기 타이어가황설비는, 분할금형장치(통칭 섹셔널모드콘테이너 혹은 시그맨틀몰드콘테이너)의 사용을 전제로하거나, 본건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셀프록형식의 분할금형장치의 사용을 전제로 하고 있다.
상기 타이어가황설비 그자체는, 공간절약, 제조코스트의 저감, 공장의 자동화 등에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종래의 타이어가황금형(Sectional mould Container)에 결합해서 사용하는 타이어가황금형)을 그대로 사용할 수있지만, 분할금형장치를 새로히 준비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경제적인 가황설비라는 관점에서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비추어 제안하는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바는, 본건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타이어가황설비에, 종래의 타이어가황금형을 새로히 분할금형장치를 준비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는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를 제공할려고 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발명은, 타이어가황금형의 상부금형외주부에 형성한 상부플랜지 혹은 상부금형을 장착하는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형성한 상부플랜지와,하부금형을 승강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형성한 하부플랜지와, 상기 각 플랜지중 한쪽의 플랜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동시에 다른쪽의 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한 록링을 가진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가압장치의 일단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동가압장치의 타단부에 출력축을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해서 상기 하부금형에 당접하도록 장착해서, 상기 타이어가황금형을 폐쇄해서 상기 록링에 의해 상기 각플랜지부를 연결했을때에 타이어가황금형의 내부압력에 의한 금형개방력을 봉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제1발명에 있어서, 록링에 형성된 돌기편과 동돌기편에 착탈가능한 록링의 회전구동기구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3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제1발명에 있어서,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를 설치하는 가대와, 동가대에 상기 가압장치를 지지하는 탄성지지체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제4발명은, 타이어가황금형의 상부금형외주부에 형성한 상부플랜지 혹은 상부금형을 장착하는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형성한 상부플랜지와, 하부금형을 승강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형성한 하부플랜지와, 상기 각 플랜지중 한쪽의 플랜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동시에 다른쪽의 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한 록링을 가진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금형을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장치와, 동가압장치의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5발명은, 타이어가황금형의 상부금형외주부에 형성한 상부플랜지 혹은 상부금형을 장착하는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형성한 상부플랜지와, 하부금형을 승강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형성한 하부플랜지와,상기 각 플랜지중 한쪽의 플랜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동시에 다른쪽의 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한 록링을 가진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금형을 떨어져나가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6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제4발명에 있어서, 플레이트에 가압장치의 일단부를 착탈자재하게 장착하고, 동가압장치의 타단부에 출력축을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해서 상기 하부금형에 답접하도록 장착해서, 상기 록링에 의해 상기 각 플랜지를 연결했을때에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타이어가황금형을 압압폐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발명 내지 제3발명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제1실시예)에서는, 다음의 작용이 행하여진다.
①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가 금형교환장소로부터 타이어가황설비에 운반된다.
②이때, 금형이 설치되는 장소의 가압장치의 출력축이 완전히 인입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부도 금형조립체의 집입에 형편이 좋게 부상한 상태로 있다.
③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가 소정위치에 정지해서, 고정된다. 이때, 록링회전구동부도 걸어맞춤한다.
④금형폐쇄장치가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위치에 이동해와서, 연결하는 도시에 록링의 회전구동기구가 작용해서, 금형을 개방하는 준비가 정돈된다.
⑤이어서 금형이 개방되고, 생타이어가 공급되어서, 금형이 폐쇄된다.
⑥상기 록링이 연결상태로되고, 가압장치의 출력축이 신장해서, 금형이 압압되는 동시에, 가압장치의 걸어맞춤부도 걸어맞춤상태로 되어서, 금형이 압압, 폐쇄된다.
⑦가압장치에 의한 압압이 개시되면, 금형폐쇄장치가 연결을 해제하고, 다른 금형위치에 이동해서, 소정의 작업을 행하고, 그후, 적당한 시기에 상기 금형위치에 복귀해온다.
⑧가황이 종료하면, 가압장치의 출력축이 가압상태에 의해 약간 인입하고, 금형의 압압, 폐쇄가 해제되는 동시에, 록링이 회전가능상태로 된다.
⑨록링이 회전하고, 연결해재의 상태로 되는 금형폐쇄장치와 연결되어, 금형이 개방되고,완성타이어의 인출, 생타이어의 공급이 차례로 행하여진다.
⑩생타이어의 공급후, 금형을 폐쇄하게되고, 록링이 재차연결상태로 되고, 가압장치의 출력축이 신장해서, 금형이 압압되는 동시에, 가압장치의 걸어맞춤부도 걸어맞춤상태로 되어서 금형이 압압, 폐쇄된다.
이하, 마찬가지의 작용이 반복하여 행하여져서, 금형 또는 블래더교환할때는, 가압장치의 출력축이 완전히 인입되고, 분리되어서, 운반된다.
본 발명의 제4발명내지 제6발명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에서는, 다음의 작용이 행하여 진다.
가황중의 복수의 타이어가황금형을 배열한 가황스테이션으로부터, 가황이 종료된 타이어가황금형이 금형운반대차에 의해 수취어서, 금형개폐스테이션에 반송된다. 동금형개폐스테이션에 반입한 타이어가황금형은, 금형개폐장치에 결합된 후, 금형개폐장치의 작용에 의해, 금형이 개방되어, 동금형개폐장치에 부속된 언로더에 의해 가황완료타이어가 반출되고, 가황완료타이어를 반출한 타이어가황금형에는, 부속의 로더에 의해 다음에 가황되는 미가황타이어가 반입되어, 타이어가황금형폐쇄공정중에 동타이어의 정형이 행하여지고, 타이어가황금형이 폐쇄된 후, 타이어내부쪽에 가열·가압매체가 도입되고 또한 봉입되어서, 타이어가황공정에 들어간다. 그리고 가황을 개시한 금형과 금형개폐장치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재차, 금형운반대차에 의해 반송되어서, 가황스테이션에 복귀된다. 상기 작용의 과정에서, 제2실시예의 경우는,
①금형개폐장치위치에 의해 금형이 폐쇄하게된 후, 록링이 작용하고 또한 가압장치에 의해 금형체결력이 부여되고, 필요하면 이 위치에서 소정의 가황압력으로 이르는 가열가압매체가 봉입되고,
②이동중 혹은 가황스테이션에 도착한 다음에도, 상기 가압장치가 작용한다.
③금형체결력의 해제는, 가황스테이션, 운반대차에 의한 운전중, 또는 금형개폐장치부분에서 행하여진다.
제3실시예의 경우는,
①금형개폐장치위치에서 금형이 폐쇄될때, 하부금형부분에 설치된 스프링체를 찌부러뜨리면서 폐쇄하고, 그후, 록링이 작용해서, 연결상태로 되며, 이어서 금형과 금형개폐장치와의 결합이 해방되어서, 개폐장치가 상승하면, 록링의 상부 또는 하부에 존재하고 있던 클리어런스가 없어지도록 스프링체가 작용하고 또한 타이어내부의 저압 또는 중앙력에 대항해서 금형이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②금형이 운반대치로 운반되어서, 가황스테이션에 도착하면, 가황스테이션쪽의 가압장치가 작용해서, 운반되어온 금형이 소정의 금형체결력까지 가압된 후, 소정의 고압가열매체가 공급된다.
③금형체결력의 해제는 각가황스테이션에서 행하여 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를 제1도∼제5도에 표시한 일실시예(제1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는, 타이어가황설비의 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시시a-a선을 따른 측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통칭 Sectimal moull container)를 내장하는 형식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제1실시예)를 제2도의 화살표A방향에서 본측면도이고,제3도중, 좌측절반은, 가압장치에 의한 가압이 행하여져서 타이어(T)가 블래더(B)를 개재해서 가황되고 있을때의 상태를 표시하고, 우측절반은, 금형의 교환 혹은 블래더의 교환등을 위하여 금형조립체가 이동할때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4도는, 제3도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평면도이고, 일부를 삭제하고 있다.
제5도는, 제2도의 화살표A방향에서본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통칭 투피스몰드 혹은 2분할몰드를 내장하는 형식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종단측면도이고, 제5도중, 좌측절반은, 가압장치에 의해 가압되어서 타이어(T)가 블래더(B)를 개재해서 가황되고 있을때의 상태를 표시하고, 우측절반은, 금형의 교환 혹은 블래더의 교환 등을 위하여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가 이동할때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블래더조작용 중심기구는, 본건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상기 ②의 타이어가황용분할금형장치에서 상세히 설명했으므로, 도시생략하고 있다. 또 분할금형개폐장치기구도, 상기②의 타이어가황용 분할금형장치에서 상세히 설명했으므로, 도시생략하고 있다. .
먼저 타이어가황설비의 전체를 제1도, 제2도에 의해 설명하면, (1)이 가압장치 및 블래더조작용 중심기구 등을 내장한 베이스, (M(M1,M2,…))이 베이스(1)이 상부면에 설치된 복수조의 타이어가황금형, (2)가 각타이어가황금형(M)에 병행설치된 궤도이고, 동궤도(2)가 베이스(1)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다.
(3)이 궤도(2)위를 주행하는 금형개폐장치, (20)이 금형개폐장치(3)의 주행프래임, (24)가 주행프레임(20)에 고정된 금형승강실린더이고, 동금형승강실린더(24)의 피스톤로드의 하단부가 주행프레임(20)에 스앙가능하게 장착된 암(21)에 고정되고, 동암(21)에는, 상부중심기구(23)이 내장되는 동시에 금형탁탈장치(22)가 장착되어 있다.
(4)가 궤도(2)위를 주행하는 언로더, (4a)가 암, (4b)가 동암(4a)의 선단부에 결합시킨 타이어클램프기구이고, 암(4a)가 언로더(4)의 주행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또한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있다. 동언로더(4)는, 궤도(2)위를 주행하는 점을 제외하면, 공지의 언로더와 동일하다.
(5)가 궤도(2)위를 주행하는 로더, (5a)가 암, (5b)가 동암(5a)의 선단부에 결합시킨 타이어클램프기구이고, 암(5a)가 로더(5)의 주행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또한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동 로더(5)는, 궤도(2)위를 주행하는 점을 제외하면, 공지의 로더와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궤도(2)가 금형개폐장치(3)과 언로더(4)와 로더(5)에 공용으로 되어있으나, 전용으로 해도된다.
(6)은 본건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상기 ③의 타이어가황설비에서 상세히 설명한 미가황타이어공급장치, (7)이 타이어인플레이트용에어절환밸브 등을 내장한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팽창냉각장치(PCI)용 베이스, (P(P1,P2,…))가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팽창냉각장치용 베이스(7)에 착탈자재하게 장착된 복수의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냉각장치이고,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팽창냉각장치(P(P1,P2,…))는, 베이스(7)에 착탈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공지의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팽창냉각장치와 유사하다.
(8)이 베이스(7)에 고정된 궤도, (9)가 궤도(8)위를 주행하는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팽창냉각장치용 언로더, (10)이 동언로더(9)의 주행프레임이고, 동주행프레임(10)의 한쪽면에는,록하우징승강장치(10a)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고, 동록하우징승강장치(10a)의 선단부에는, 록하우징착탈장치(10b)가 장착되고, 상기 주해프레임(10)의 다른 측면에는, 암(10c)가 승강가능하게 또한 요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동암(10c)의 선단부에는, 타이어클램프기구(10d)가 장착되어 있다. (11)이 가황완료타이어송출용 벨트콤베이어, (12)가 가황완료타이어클램프팽창냉각장치(P(P1,P2,…))에서 사용하는 링이 보관장치이다.
다음에 제3도∼제5도에 의해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분할금형장치는, 상부사이드금형(100)과, 하부사이드금형(101)과, 분할된 트레드금형(102)와, 동 트레드금형(102)를 장착한 시그먼트(103)과, 동시그먼트(103)을 요동가능하게하는 외부링(10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사이드금형(100)은,플레이트(105)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하게 되어있으며, 간략적으로 도시한 상부중심기구(23)에 의해 구동된다. 또 상기 외부링(104)가 상기 플레이트(105)에 볼트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105)의 외주부에는, 플랜지(10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105)에는, 록링(106)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링(106)의 하부(106a)가 톱니꼴부착으로 되어있어서, 하부플레이트(107)의 하부플랜지(107a)의 톱니꼴에 걸어맞춤가능하게 되어있다.
동하부플레이트(107)은, 베이스(1)위에 설치된 롤러(115),(116)에 의해 안내되는 동시에,공지의 고정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소정위치에서 베이스(1)에 대해서 고정된다.
하부사이드금형(101)은 가압판(108)에 장착되고, 동가압판(108)의 중앙통부분 (108a)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07)의 중앙부(107b)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안내된다. 또 상기 가압판(108)의 적소에 늘어뜨려 설치한 로드(109)가 스프링(110)을 개재해서 상기 가압판(108)을 하부쪽으로 인장하도록 짜넣어져있다.
또 상기 하부플레이트(107)과 가압판(108)의 사이에는 스토퍼(111)이 설치되고, 동스토퍼(111)에 의해 상기 로드(109)에 의한 하부쪽이동이 적정량에 규제되도록 되어있다.
이 적정량이란, 상기 가압판(108)이 하강해서 스토퍼(111)상부에 배치되었을때에 상기 록링(106)을 회전시키는 데에 필요최소한의 틈새를 부여하는 양이다. 물론, 이 양은, 내장되는 금형의 열팽창량도 가미해서 결정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07)의 하부면적소에는, T자형홈을 가진 블록(112)가 설치되고, 동블록(112)가 가압실린더(113)의 상부플랜지(113a)에 걸림·빠짐이 자유자재로 되어있다.
상기블록(112)의 T자형홈의 방향은,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이 이동할 때, 가압실린더(113)이 장해가 되지 않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압실린더(113)의 출력축인 로드부(113b)는, 신장시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07)의 관통구멍(107b)를 통과해서 상기 가압판(108)에 당접하도록 또한 인입시에는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또 가압실린더(113)은, 하단부가 스프링 등의 탄성체(114)에 의해 베이스(1)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하면, 가압실린더(113)의 로드(113b)의 전체를 인입한 상태로 했을때,가압실린더(113)이 제3도의 우측절반부분과 같이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없다. 또 금형압압시는, 반력이 플랜지(112a)→블록(112)→하부플레이트(107)에 전달되어서, 록링(106)이 연결상태어 되어있으면, 내장된 금형이 압압폐쇄된다.
상기 록링(106)의 적소에는, 돌출한 암(106a)가 있고, 동암(106a)의 선단부에는, 롤러(106b)가 있다. 또 베이스(1)쪽의적소에는,실린더(117)에 의해 이동가능한 블록(118)이 있고,이 블록(118)의 오목부에 롤러(106b)가 걸어맞춤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115)에 의해 안내되어서 진입해온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의 록링(106)의, 롤러(106b)가 블록(118)에 걸어맞춤가능하며, 걸어맞춤상태에서 실린더(117)을 구동하면, 롤러(106b)를 개재해서 링(106)이 회전해서, 상기 링의 톱니꼴부(106a)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톱니꼴부(107a)와의 걸림·빠짐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①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이 금형교환장소(도시생략)로부터 타이어가황설비에 공지의 방법에 의해 운반되어 온다.
②이때,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을 설치할 장소의 가압실린더(가압장치)(113)의 출력축은 완전히 인입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부도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의 진입에 형편좋게 부상된 상태(제3도의 우측절반부참조)(제5도의 우측절반부참조)와 같이 되어 있다.
③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이 소정위치에 정지해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록링(106)회전구동부도 걸어맞춘다(제4도참조).
④금형개폐장치(3)이, 받아들인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의 위치에 이동해와서 연결되는 동시에, 록링(106)의 회전구동기구가 작용해서,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을 개방하는 준비가 완료된다.
⑤이어서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이 개방되고, 생타이어가 공급되어서,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이 폐쇄된다.
⑥록링(106)이 연결상태로 되고, 가압실린더(113)의 출력축이 신장방향으로 작동해서,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이 압압되는 동시에, 가압실린더(113)의 걸어맞춤부도 걸어맞춤상태로 되어서(제3도의 죄측절반부참조)(제5도의 좌측절반부참조),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이 압압, 폐쇄된다.
⑦가압실린더(113)에 의한 압압이 개시되면, 금형개폐장치(3)은, 연결을 해제하고, 다른 금형위치에 이동해서, 소정의 작업이 행하여진다. 그후의 적당한 시기에 당해금형위치에 복귀된다.
⑧가황이 종료되면, 가압실린더(113)의 출력축이 가압상태때보다도 약간 인입되고,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의 압압, 폐쇄가 해제되는 동시에, 록링(106)이 회전가능상태로 된다.
⑨록링(106)이 회전되어서, 금형개폐장치(3)에 연결되고,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이 개방되어서, 완성타이어의 인출과 생타이어의 공급이 차례로 행하여 진다.
⑩생타이어를 공급한 후,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이 폐쇄되고, 록링(106)이 재차 연결상태로 되고, 가압실린더(113)의 출력이 신장방향으로 되어서,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을 압압하는 동시에, 가압실린더(113)의 걸어맞춤부도 걸어맞춤상태로 되어서,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이 압압, 폐쇄된다.
이하, 마찬가지의 작용이 반복행하여저서,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M)또는 블래더교환때는, 가압실린더(113)의 출력축이 완전히 인입되고, 분리되어서, 운반된다.
제5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통칭 투피스몰드 혹은 2분할몰드를 내장하는 형식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작용도 완전히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에 의하면,
①종래의 타이어가황금형을 새로히 분할금형장치를 준비하지 않아도, 본건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타이어가황설비에 사용가능하게 된다.
②금형교환 또는 블래더교환 등을 위하여 타이어가황위치로부터 분리해서 이동할 때, 록링의 구동장치 및 가압장치가 자동적으로 연결해제 되어서, 교환작업이 자동화되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를 제6도∼제12도에 표시한 다른 실시예(제2, 제3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제6도는, 타이어가황설비의 일예를 표시한 평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시시a-a선을 따른 측면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종단측면도이고, 좌측절반부는, 본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에 소정의 금형체결력을 부여한 가황중의 상태를 표시하고, 우측절반부는, 금형개폐장치에 의해 금형폐쇄직후 또한 소정금형체결개시전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9도는, 동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평면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가압제어장치(P)의 계통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제3실시예를 표시한 종단측면도이다.
먼저 타이어가황설비의 전체를 제6도, 제7도에 의해 설명한다.
가황스테이션(1'(1a' 및 1b'))은, 복수의 타이어가황금형(Ma,Mb,Mc,…)을 걸쳐놓는 복수의 금형받침대(5'(5a',5b',5c',…))로 이루어지고, 각금형받침대(5)에는, 도시생략된 금형이동수단(예를들면 실린더구동의 추신체), 필요에 따라서 가열가압매체보충수단, 배관등이 배설되어 있다.
금형개폐스테이션(2'(2a' 및 2b'))는,공지의 타이어가황기에 유사한 금형개페장치(6'(6a',6b'))와, 타이어가황금형으로부터 가황완료타이어를 반출하는 공지의 언로더(7a')와, 타이어가황금형에 미가황타이어를 반입하는 공지의 로더(8a')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서 가황완료타이어반송용콘베이어(9a'), 미가황타이어용랙(10a')등이 배설되어 있다.
금형운반대차는, 바닥면에 고정된 레일(4')와 , 레일(4')에 안내되어서 구동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주행하는 공지의 대차(3'(3a'와3b'))로 이루어지고, 금형교환스테이션은, 피가황타이어의 사양변경에 수반하는 타이어가황금형내부의 트레드금형, 사이드월금형 등의 교환이나,소모품인 블래더의 교환 등을 행하는 금형교환테이블(1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타이어가황금형예열실을 부속시켜도 된다. 또 금형교환테이블(11')을 단순한 타이어가황금형의 임시재치대 또는 타이어가황금형예열실로하고, 타이어가황금형포크리프트등에 의해 다른 장소로 반송해서, 금형내부의 부품교환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제2실시예)를 제8도∼제10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8도의 하부금형(222)는, 가압판(225)에 공지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226)은 하부플레이트이고, 내주부(226a)에 의해 상기 가압판(225)의 중앙통부분(225a)를 승강가능하게 안내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26)의 외주부플랜지(226b)는, 톱니꼴플랜지로 되어 있고, 상기 록링의 하부쪽단부(224a)의 톱니꼴플랜지에 걸어맞춤가능하게 되어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26)과 가압판(225)의 사이에는 스토퍼(227)이 있고, 상기 가압판(225)로부터 늘어뜨린 복수개의 로드(228)과 스프링(229)에 의해 하부플레이트(226)에 설치된 가압실린더(230)의 로드(230a)가 인입되고 있을 때, 상기 가압판(225)가 상기 스토퍼(227)위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타이어(T)내부에 블래더(B)를 공지의 수순에 의해 삽입하면서 금형개폐장치(226)에 의해 금형폐쇄하면, 플랜지(223a)와 플랜지(226b)가 당접했을 때, 록링(224)와 플랜지(226b)의 사이에 제8도 우측절반부에 표시한 바와 같이 틈새가 형성되어서, 록링(224)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스토퍼(227)의 높이가 적정높이가 되면, 도시한 2분할금형의 상부금형(221), 하부금형(222)의 맞춤부분의 틈새가 적정한 양으로 되어서, 록링(226)이 공지의 방법에 의해 록되고, 그후, 가압실린더(230)의 로드(230a)가 신장방향으로 작동하면, 상기 금형(221),(222)의 맞춤부분의 틈새가 없어지는 동시에, 금형(221),(222)가 소망의 금형체결력까지 압압된다.
그후, 타이어(T)에 블래더(B)를 개재해서 고온·고압매체를 도입하면, 가황이 개시된다.
상기 가압실린더(230)에 의한 금형체결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26)의 적소의 스페이서(231)을 개재해서 상기(221)∼(230)의 부재가 베이스·프레이트(232)에 걸쳐놓여지고,이 베이스플레이트(232)상부의 적소에 가압제어장치(P)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압제어장치(P)와 가압실린더(230)과는 배관(23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가압제어장치(P)를 제10도에 의해 설명한다.
(240)은 공유압변환장치로서, 공기압에 의한 왕복작동에 의해 고압의 유압이 발생하는 공지의 것으로서, 에어리시버(241),파일럿첵밸브(242), 메카니컬밸브(243)에 의해 운전된다.
(244)는 파일럿첵밸브이며, 상기 메카니컬밸브(243), 공유압변환기(245)에 의해 운전된다.
(246)은 오일탱크, (247)은 에어리시버(241)에 구동에어를 보급할때에 사용되는 퀵커플러형의 첵밸브이다.
(248)은 동첵밸브(247)에 연결되는 배관과 메카니컬밸브(243)을 구동하는 푸시로드(249)가 금형개폐스테이션(2'(2a',2b')), 또는 금형운반대차(3'(3a',3b'))또는 가황스테이션(5'(5a',5b',5c'))에 설치되어 있다.
금형개폐스테이션(2')위에 상기 로드(249),배관(248)이 배설되어 있는 경우의 예로서 가압제어장치(P)의 작용을 설명한다.
금형개폐장치에 의해 금형조작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 푸시로드(249)가 밀어올려져서, 첵밸브(244)가 변환기(245)가 발생하는 유압에 의해 개방되고,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의 로드(228),스프링(229)에 의해 실린더(230)내부의 오일이 밸브(244)를 경유해서 탱크(246)에 복귀되고, 결과로서 실린더(230)의 로드(230a)가 인입된 상태로 된다.
금형폐쇄가 종료하고, 록링(224)가 공지의 방법에 의해 록상태로 되면, 상기 로드(249)가 인입되어서 밸브(243)이 절환되어, 밸브(244)가 폐쇄하고, 밸브(242)가 개방하여, 에어리시버(241)에 저장되고 있던 공기에 의해 공유압변환기(240)이 작동하고, 실린더(230)이 승압해서, 금형이 소정의 금형체결력으로 압압폐쇄된다.
상기 에어리시버(241)에의 고압원의 보층은, 배관(248)을 소요시간에 상승연결하므로서 가능하다.
다음에 제11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8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제2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각명칭만의 기술로 끝인다. (221)은 상부금형, (222)는 하부금형, (223)은 상부플레이트, (223a)는 플랜지,(224)는 록링, (224a)는 플랜지, (225)는 가압판, (225a)는 중앙부통, (226)은 하부플레이트,(226a)는 중앙구멍, (226b)는 플랜지, (250)은 상기 가압판(225)로부터 늘어뜨린 복수개의 로드이고, 상기 가압판(225)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26)을 떨어져나가도록 상호간에 스프링(251)을 개재장착하고 있다. 이 스프링(251)의 출력은, 타이어(T)내부의 공급되는 금형폐쇄직후의 초기의 압력에 충분히 이겨내는 출력이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26)의 적소에는, 관통구멍(226c),T자형홈을 가진 블록(226d)가 설치되어 있다.
가황스테이션의 금형받침대(205)에 스프링(205a)를 개재해서 지지된 가압실린더(205b)의 상부플랜지(205c)가 상기 T자형홈에 걸어맞춤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금형(221),(222)가 스프링(251)에 의해 압압, 폐쇄되어서, 운반대차(203a)의 상부의 안내롤러(203b),(203c)를 개재해서 금형받침대(205)상부의 안내롤러(205d),(205e)에 바꾸어옮겨질 때, 실린더(205b)의 로드(205f)가 완전히 인입되어 있고, 스프링(205a)에 의해서 플랜지부(205c)가 T홈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금형의 진입을 방해하는 일이없다. 또 금형이 소정위치에 정지하고 나서, 실린더로드(205f)를 신장하면, 실린더로드(205f)가 가압판(225)에 당접하고, 이어서 실린더(205b)가 스프링(205a)를 찌부러뜨려서 하강하고, 플랜지부(205c)가 블록(226d)에 걸어맞춤해서, 금형(221),(222)가 소정의 금형체결력까지 죄어 넣게 된다.
가황이 종료했으면, 상기 가압실린더(205b)의 가압을 해방하므로서, 로드(205f)가 인입되고, 플랜지(205c)와 블록(226d)와의 걸어맞춤도 해제되어서, 금형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에 의하면, 종래의 타이어가황금형을 새로히 분할금형장치를 준비하지 않아도, 본건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타이어가황설비에 사용가능하게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에 의하면,
①종래의 타이어가황금형을 새로히 분할금형장치를 준비하지 않아도, 본건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타이어가황설비에 사용할 수 있다.
②금형교환 또는 블래더교환 등을 위하여 타이어가황위치로부터 분리해서 이동할 때, 록링의 구동장치 및 가압장치를 자동적으로 연결해제할 수 있어, 교환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Claims (6)

  1. 타이어가황금형의 상부금형외주부에 형성한 상부플랜지 혹은 상부금형을 장착하는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형성한 상부플랜지와, 하부금형을 승강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형성한 하부플랜지와, 상기 각플랜지중 한쪽의 플랜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동시에 다른쪽의 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한 록링을 가진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가압장치의 일단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동가압장치의 타단부에 출력축을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해서 상기 하부금형에 당접하도록 장착해서, 상기 타이어가황금형을 폐쇄해서 상기 록링에 의해 상기 각플랜지부를 연결했을때에 타이어가황금형의 내부압력에 의한 금형개방력을 봉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링에 형성된 돌기편과 동돌기편에 착탈가능한 록링의 회전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를 설치하는 가대와, 동가대에 상기 가압장치를 지지하는 탄성지지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
  4. 타이어가황금형의 상부금형외주부에 형성한 상부플랜지 혹은 상부금형을 장착하는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형성한 상부플랜지와, 하부금형을 승강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형성한 하부플랜지와, 상기 각플랜지중 한쪽의 플랜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동시에 다른쪽의 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한 록링을 가진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금형을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장치와, 동가압장치의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
  5. 타이어가황금형의 상부금형외주부에 형성한 상부플랜지 혹은 상부금형을 장착하는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형성한 상부플랜지와, 하부금형을 승강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형성한 하부플랜지와, 상기 각플랜지중 한쪽의 플랜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동시에 다른쪽의 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춤한 록링을 가진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금형을 떨어져나가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가압장치의 일단부를 착탈자재하게 장착하고, 동가압장치의 타단부에 출력축을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해서 상기 하부금형에 당접하도록 장착해서, 상기 록링에 의해 상기 각플랜지를 연결했을때에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타이어가황금형을 압압폐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
KR1019950041604A 1994-11-16 1995-11-16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 KR0158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163094 1994-11-16
JP94-281630 1994-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101A KR960017101A (ko) 1996-06-17
KR0158524B1 true KR0158524B1 (ko) 1999-01-15

Family

ID=1764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1604A KR0158524B1 (ko) 1994-11-16 1995-11-16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20886A (ko)
EP (1) EP0712704A3 (ko)
KR (1) KR0158524B1 (ko)
CN (1) CN1067004C (ko)
CZ (1) CZ302795A3 (ko)
SK (1) SK144195A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517B1 (ko) * 2012-11-13 2014-07-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열손실을 방지한 타이어 가류금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284092B6 (cs) * 1997-08-08 1998-08-12 Škoda Ts A.S. Zařízení pro výškové stavění upínací desky
BR9714854A (pt) * 1997-11-14 2000-07-25 Goodyear Tire & Rubber Sistema e método de cura de pneumático
US6610238B1 (en) 1997-11-14 2003-08-26 The Goodyear Tire And Rubber Company Tire curing system and method
JP3569172B2 (ja) * 1999-08-24 2004-09-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プレス用油圧システム
US7459117B2 (en) * 2003-04-17 2008-12-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for curing tires using a self-locking tire mold
JP4291612B2 (ja) * 2003-04-25 2009-07-08 Hirotek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におけるモールド着脱装置
CN100396462C (zh) * 2006-10-18 2008-06-25 宁新华 轮胎模具
WO2009109184A2 (de) * 2008-03-04 2009-09-11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alterung von formen
JP5008708B2 (ja) * 2009-09-30 2012-08-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モールド
FR2951401B1 (fr) * 2009-10-20 2016-12-30 Soc De Tech Michelin Presse de vulcanisation
DE102010040004A1 (de) * 2010-08-31 2012-03-01 Krones Aktiengesellschaft Blasform
FR2966075B1 (fr) * 2010-10-19 2012-12-14 Michelin Soc Tech Dispositif de vulcanisation d'un pneumatique comportant une enceinte de reprise interne
CN102173068B (zh) * 2011-03-01 2013-06-19 巨轮股份有限公司 工程车子午线轮胎平开式活络模具及由其生产轮胎的方法
EP3912782A4 (en) * 2019-02-20 2022-01-1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achinery Systems, Ltd. TIRE VULCANIZATION SYSTEM, VULCANIZED TIRE MANUFACTURING METHOD AND TIRE TRANSPOR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5389A (en) * 1940-07-09 1942-06-09 Akron Standard Mold Co Press
FR1314771A (fr) * 1962-02-12 1963-01-11 Brunotte & Niemeyer Maschinenf Presse à vulcaniser de remise au rond des pneumatiques d'automobiles
AT313731B (de) * 1969-06-06 1974-02-25 Continental Gummi Werke Ag Presse
US3730658A (en) * 1971-06-25 1973-05-01 Goodyear Tire & Rubber Segmented tire mold
DE2204306A1 (de) * 1972-01-31 1973-08-16 Fritsche Siegfried Form zur herstellung von schaumformteilen
FR2182698B1 (ko) * 1972-05-04 1974-07-26 Gazuit Georges
DE2319295A1 (de) * 1973-04-17 1974-11-07 Krupp Gmbh Heizpressen-system
US4013389A (en) * 1973-08-27 1977-03-22 Macmillan Kenneth T Retread mold including matrix biasing means
US3852006A (en) * 1973-10-01 1974-12-03 Mitsubishi Heavy Ind Ltd Mould assembly of tire vulcanizer
US3918861A (en) * 1974-10-11 1975-11-11 Cooper Tire & Rubber Co Vulcanizing press with rotary locking mechanism
JPS57203534A (en) * 1981-06-10 1982-12-13 Mitsubishi Heavy Ind Ltd Tire vulcanizing press
JPS59138432A (ja) * 1983-01-27 1984-08-08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のモ−ルド締付装置
US4453902A (en) * 1983-08-04 1984-06-12 Mcneil-Akron, Inc. Tire curing press
GB2199531B (en) * 1987-01-07 1990-02-14 Mitsubishi Heavy Ind Ltd Tire vulcanizing machine
JPH01221207A (ja) * 1988-02-29 1989-09-04 Kobe Steel Ltd タイヤプレス
JP2686375B2 (ja) * 1991-04-23 1997-12-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製造装置
KR950005703B1 (ko) * 1991-05-08 1995-05-29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타이어 가황 프레스
JP2703170B2 (ja) * 1993-09-14 1998-01-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設備
JP3095591B2 (ja) * 1993-09-30 2000-10-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517B1 (ko) * 2012-11-13 2014-07-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열손실을 방지한 타이어 가류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12704A3 (en) 1996-11-13
CN1132682A (zh) 1996-10-09
EP0712704A2 (en) 1996-05-22
CZ302795A3 (en) 1996-06-12
US5820886A (en) 1998-10-13
KR960017101A (ko) 1996-06-17
CN1067004C (zh) 2001-06-13
SK144195A3 (en) 1997-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8524B1 (ko)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
EP0510332B1 (en) Mold changing apparatus for use in tire vulcanizer
CA1291305C (en) Tire curing system
KR0183503B1 (ko) 타이어가황설비
KR0147182B1 (ko)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
KR0145259B1 (ko) 타이어 가황설비
KR0180924B1 (ko) 타이어금형 운반장치
US6196819B1 (en) Tire vulcanizing equipment
JP2703170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3009567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3300735B2 (ja) タイヤ加硫用金型組立体
JP2000334740A (ja) タイヤ金型のセグメント駆動装置及びセグメント駆動方法
JP3354752B2 (ja) タイヤ加硫金型組立体
US6508640B1 (en) Tire vulcanizing system and tire vulcanizing method
JP3272568B2 (ja) タイヤ金型運搬装置
JP3181180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4191352B2 (ja) タイヤ金型用コンテナ
JP3722865B2 (ja) タイヤ加硫金型組立体
JPH08281658A (ja) タイヤ加硫方法
JPH11138545A (ja) タイヤ加硫機
JPH08164527A (ja) タイヤ加硫設備
JP4119576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2001322126A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JPH09262840A (ja) タイヤ取り出し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