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182B1 -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182B1
KR0147182B1 KR1019950014673A KR19950014673A KR0147182B1 KR 0147182 B1 KR0147182 B1 KR 0147182B1 KR 1019950014673 A KR1019950014673 A KR 1019950014673A KR 19950014673 A KR19950014673 A KR 19950014673A KR 0147182 B1 KR0147182 B1 KR 0147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mold
segment
outer ring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447A (ko
Inventor
노부히코 이리에
Original Assignee
오기노 카네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기노 카네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기노 카네오
Publication of KR960000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30/0629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with radially movable s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02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2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rectilinear movement
    • B29C33/24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rectilinear movement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30/0629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with radially movable sectors
    • B29D2030/063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with radially movable sectors the moulds being split in upper and lower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Tyre-vulcanising presses with two or more moulds, e.g. stacked upon each other
    • B29D2030/0653Exchanging moulds in th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4Flexible cores therefor, e.g. bladders, bags, membranes, diaphragms
    • B29D2030/0659Details or accessories for the flexible co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가황기에 적용하는 분할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①세그먼트와 아우터링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활동경사면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②록장치의 추가에 의한 타이어가황사이클타임의 연장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③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타이어가황중, 타이어안쪽에 도입한 가열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타이어의 양쪽부용 금형부분을 이간시키려고 하는 힘을 상부원판(114), 양단부에 돌기를 가진 세그먼트(110), 하부원판(103)을 개재해서 상쇄하고, 트레드금형(109)을 확경시키려고하는 반경방향의 힘을 세그먼트(110)를 개재해서 아우터링(111)내에서 상쇄하고, 세그먼트(110)와 아우터링(111)과의 사이에 활동경사면이 개재해있기때문에 발생하는 반경방향힘의 축심방향(상하방향)분력을 아우터링(111), 커버플레이트(130), 록수단(록용클릭), 상부원판(114), 세그먼트(110)를 개재해서 상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를 적용하는 타이어가황설비를 표시한 평면도.
제 2 도는 동타이어가황설비를 제 1 도의 화살표시 A-A선을 따라서 표시한 측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의 일실시예를 제 2 도의 화살표시 B-B선을 따라서 표시한 종단정면도.
제 4 도는 동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와 금형개폐장치와의 일태양을 제 2 도의 화살표시 B-B선을 따라서 표시한 종단정면도.
제 5 도는 동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와 금형개폐장치의 다른 태양을 제 2 도의 화살표시 B-B선을 따라서 표시한 종단정면도.
제 6 도는 종래의 타이어가황용 분할금형장치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 7 도는 동타이어가황용 금형의 제 1 의 착탈장치를 표시한 확대종단측면도.
제 8 도는 동 타이어가황용 금형의 제 2 의 체크밸브부착착탈장치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기판(基板) 102 : 경질단열재
103 : 하부원판 103a : 클릭
103b : 플랜지 104 : 수압판(受壓板)
105 : 하부사이드월금형 106 : 하부비드링
107 : 블래더압압부재 108 : 클램퍼
109 : 트레드금형 110 : 세그먼트
110a : T홈 110c : 클릭
111 : 아우터링 111a : T막대
112 : 스페이서링 113 : 상부사이드월
114 : 상부원판 114b : 클릭
115 : 슬라이드가이드 116 : 상부비드링
117 블래더압압부재 118 : 플랜지
119a,119b,119c : 연질보온재 120 : 원통체
120a : 플랜지 120c,120d : 가열가압매체통로
121 : 센서포스트 121a : 오목부
122 : 부시 123 : 패킹
124 : 탈출방지부재 125 : 캡
126 : 핀 127 : 노즐링
127a : 노즐 128,129 : 신속연접기
130 : 커버플레이트 131 : 경질단열재
132: 스페이서 133: 부시
134 : 아우터링 134a : 클릭
135 : 푸셔 136 : 탈출방지부재
137 ; 암(arm) 138 : 내부링
138a : 클릭 139 : 연결로드
139a : 클릭 140 : 볼스터플레이트
141 : 착탈장치 142 ; 로드
143 ; 금형개폐실린더 143a : 로드
144 ; 연장로드 145 ; 부시
146 : 슬리브 146a :키홈
146b : 클릭 146c : 암
147 : 로드 148 : 레버
149 : 핀 150 : 실린더
200,200a,200b ; 가황스테이션 201,201a,201b : 금형개폐스테이션
202,202a,202b : 대차 203 : 레일
204,204a,204b,204c : 금형대 205,205a,205b : 금형대개폐장치
205c : 암 205d : 실린더
206,206a,206b : 언로우더 207,207a,207b : 로우더
208,208a,208b : 콘베이어 210 : 금형교환테이블
M(Ma, Mb, Mc,....) : 가황용금형
본 발명은, 타이어가황기에 적용하는 분할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이어가황기에서는, 금형을 폐쇄한 상태에서 타이어안쪽으로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해서 가황반응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때의 가황반응시간은 길며, 이에 비해서 미가황타이어의 반입, 정형, 및 가황완료타이어의 인출을 행하기 위한 시간은 매우짧다. 이때문에, 타이어반출입장치나 타이어반출입을 위하여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개폐하는 장치의 가동율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건 출원이는, 1조의 금형개폐장치 및 티어반출입장치와 복수의 금형으로 이루어지는 타이어가황설비를 이미 제안하였다(일복국 특원평 5-228961호 명세서 참조).
이 타이어가황설비는, 제 1 도,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가황중의 복수의 타이어금형M(Mb, Mc,...)을 배열한 가황스테이션(200a)으로부터, 가황이 종료된 타이어가황용 금형Ma를 금형운반대차(202a)에 의해서 받아서, 금형개폐스테이션(201a)에 반송한다. 동 금형개폐스테이션(201a)에 반입된 타이어가황용 금형Ma는 이것을 금형개폐장치(205a)에 결합하고, 그후 금형개폐장치(205a)의 작용에 의해 타이어가황용 금형 Ma를 개방하고, 동 금형개폐장치(205a)에 부속된 언로우더(unloader)(206a)에 의해 가황완료타이어를 반출한다. 가황완료타이어를 반출한 타티어가황용 금형(Ma)에는, 부속의 로우더(207a)에 의해 다음에 가황될 미가황타이어를 반입하여, 타이어가황용 금형폐쇄공정중에 동타이어의 정형을 행하고,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폐쇄한 후, 타이어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하고, 봉입해서, 타이어가황공정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가황을 개시한 타이어가황용 금형Ma와 금형개폐장치(205a)와의 결합을 해방하고, 재차, 금형운반대차(202a)에 의해서 반송해서, 가황스테이션(200a)에 복귀시킨다.
또 타이어가황용 금형에는, 타이어가황중, 타이어안쪽에 도입된 가열가압매체에 의해, 타이어금형을 압압개방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본건 출원인은, 이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압압개방하려고 하는 힘을 타이어가황용 금형내에서 상쇄가능하게한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이미 제안하였다(일본국 특원평 5-262574호 명세서 참조).
이 타이어가황용 금형은, 제 6도-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가황이 종료된 타이어가황용 금형M을 금형개폐장치(205a)의 하부프레임(205e)상의 판(3)위에 반입한 후, 록장치(도시생략)에 의해 판(板)(3)에 동심적으로 록하고, 금형개폐장치(205a)의 실린더(205d)에 의해서 암(205c)을 하강시켜서, 착탈장치(도시생략)에 의해, 동암(205c)과 상부열판(19)을 연결한다.
또, 제 1 의 착탈장치(33) 및 제 2의 체크밸브부착착탈장치(42)의 연결을 행한다. 즉, 제 1 의 착탈장치(33)에서는, 슬리브(Sleeve)승강용 실린더(9)를 슬리브상승방향으로 작동시켜, 슬리브(8)를 상승시켜서, 캠롤러(40)를 개재해서 클릭(37a)을 폐쇄한 후, 센터포스트실린더에 의해 블록(38)을 상승시켜, 슬리브(8)도 동시에 상승시켜서, 폐쇄되어 있는 클릭(37a)을 제 1의 센터포스트(26)의 한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진입시킨다. 이어서 슬리브승강용실린더(9)를 슬리브하강방향으로 작동시켜, 스프링(41)의 부세력에 의해 클릭(37a)을 개방하여, 제 1의 센터포스트(26)의 클릭(26a)에 걸어맞춤시켜서, 제 1 의 착탈장치(33)에서의 연결을 종료한다.
제 2 의 체크밸브부착착탈장치(42)에서는, 복합실린더(58)의 제 1 피스톤(60)에 의해 보디(49)를 상승시켜서, 체크밸브(42a)의 보디(43)에 당접시킨 후, 복합실린더(58)의 제 2 피스톤(59)에 의해 연장보디(56)을 개재해서 밸브보디(51)를 상승시킨다. 이때, 먼저 밸브체(45)와 밸브체(54)의 돌기(54b)를 당접시키고, 또 상승시켜, 양체크밸브를 개방해서, 타이어가황용 금형 M의 기판(10)의 가열가압매체통로(10b)와 타이어가황기내의 파이프(57)를 연통시켜서, 제 2의 체크밸브부착착탈장치(42)에서의 연결을 종료한다.
이어서 금형개폐장치(205a)내의 절환밸브(도시생략)를 절환해서, 블래더(bladder)B를 개재해서 타이어T내에 봉입되어 있던 가열가압매체를 통로(10b)→제 2 의 체크밸브장착착탈장치(42)→파이프(47)를 거쳐서 배출되고, 타이어T의 내압이 충분히 강하한 다음에 금형개폐실런더(4)의 피스톤로드(6)를 개재해서 하부열판(11)을 밀어올린다.
하부열판(11)의 상승에 의해, 트레드금형(18)이 세그먼트(Segment)(17)와 함께 상대적으로 확경(擴徑)해서, 트레드금형(18)이 타이어 T로부터 박리됨과 동시에 클릭(11a)과 클릭(17a), 클릭(17b)과 클릭(19a)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어서 금형개폐장치(205a)의 암(205c)을 상승시켜, 상부사이드월(sidewall)금형(20) 및 상부비드링(bead ring)을 상부열판(19)과 함께 상승시켜서, 상부사이드월금형(20)을 타이어 T로부터 박리시킨다.
이어서 금형개폐장치내의 절환밸브(도시생략)를 절환하여, 블레더B내를 부압(負壓)으로 하면서 센터포스트실린더(7)에 의해, 제 1 의 센터포스트(26)를 개재해서 상부블래더 클램프플랜지(23)를 상승시켜, 블래더B를 타이어 T내로부터 인출해서, 신장시킨다.
제 1 의 센터포스트(26)를 상승시켜서, 아래쪽의 대직경부(26b)를 제 2 의 센터포스트(28)의 안쪽구멍의 위쪽의 소직경구멍(28a)에 당접시키면, 제 2 의 센터포스트(28)가 매달려올라가, 제 2 의 센터포스트(28)의 아래쪽의 대직경부(28b)를 기판(10)의 원통부(10a)의 내주위쪽의 소직경부(10d)에 당접시키면, 상승이 정지된다.(단 블래더 B의 사이즈 여하에 따라서는, 센터포스트실린더(7)의 작동을 도중에서 정지시켜서, 제 1의 센터포스트(26)의 상승을 정지시킨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블래더 B가 타이어 T의 안쪽으로부터 인출종료되었으면, 금형개폐장치에 부속된 언로우더에 의해, 가황완료 타이어 T를 타이어가황용 금형 M밖으로 매달아 인출해서, 다음에 가황하는 미가황타이어 T를 로우더에 의해 매달아 넣는다.
미가황타이어의 매달아넣기가 종료되었으면, 저압의 압축유체(증기 또는 이너트가스(inert gas)를 블래더 B내에 도입시키면서, 상기한것과 반대의 순순으로 불래더B를 타이어T내에 삽입하고, 이어서 상부사이드월금형(20)을 하강시켜, 상부열판(19)이 세그먼트(17)에 당접하였으면, 금형개폐실린더(4)를 복귀시킨다. 그러자, 하부열판(11)이 하강해서, 트래드금형(18)을 측경(縮徑)해간다.
또한, 타이어T내에의 블래더B의 삽입에 있어서, 제 2 의 센터포스트(28)가 하강해서, 기판(10)에 고정된 스토퍼플레이트(34)에 당접하였으면, 제 2 의 센터포스트(28)의 하강을 정지시킨다.
트레드금형(18)이 폐쇄종료되었으면, 절환밸브를 절환해서, 가열가압매체를 파이프(57)→제2 의 체크밸브부착착탈장치(42)→통로(10b)를 거쳐서 브래더B내에 삽입해서, 타이어T의 가황을 개시하나, 이때, 가열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해, 드래드금형(18)을 개방시키려고 하는 힘이 아우터링(16)을 개재해서 상쇄된다. 즉, 하부사이드월금형(12)과 상부사이드월금형(20)을 개방시키려고하는 힘이 서로 걸어맞춤되어 있는 클릭(11a)과 클릭(17a), 클릭(17b)와 클릭(19a)과, 세그먼트(17)를 개재해서 상쇄된다.
가황을 개시해서,타이어T내(블래더B내)(블래더내)의 온도 및 압력이 소정치에 도달하였으면, 상기한것과 반대의 수순으로 각착탈장치(33),(42)의 연결을 해제한다. 복합실린더(58)의 제 2 피스톤(59)에 의해 밸브보디(51)를 하강시켰을때, 양체크밸브는 폐쇄되고, 양체크밸브간의 공간에 가열가압매체가 남아있으므로, 보디(49)의 나사구멍(49c)에 나사박음한 파이프(도시생략)의 끝에 접속된 절환밸브를 개방해서, 통로(49a)로부터 안전적인 장소에 방출시키고, 이어서 제 1 피스톤(60)에 의해 보디(49)를 하강시키면, 연결해제는 완료된다.
각 착탈장치(33),(42)의 연결해제가 종료되었으면, 금형운반대차(202a)에 의해 타이어가황용 금형M을 가황스테이션(201a)에 이송해서, 가황을 속행한다.
상기 제 6 도에 표시한 종래의 타이어가황금형에서는, 블래더B내에 삽입된 가열가압내체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힘중, 하부사이드월금형(12)과 상부사이드월금형(20)을 개방시키려고 하는 힘은 서로 걸어맞춤되어 있는 클릭(11a)과 클릭(17a), 클릭(17b)과 클릭(19a)과, 세그먼트(17)을 개재해서 상쇄된다. 그러나, 세그먼트(17)와 아우터링(16)과의 사이에는, 활동(滑動)경사면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세그먼트(17)를 부상(浮上)시키려고 하는 분력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비추어 제안된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①세그먼트와 아우터링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활동경사면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②록장치의 추가에 의한 타이어가황사이클타임의 연장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③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점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이어양쪽부의 안쪽을 성형하는 상부사이드월 금형부분을 결합시킨 상부원판과, 타이어양쪽부의 다른쪽을 성형하는 하부사이드월금형부분을 결합시킨 하부원판과, 타이어트레드부를 성형하는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트레드금형부분을 결합시킨 분할세그먼트와, 동세그먼트의 바깥쪽경사면에 대응하는 안쪽경사면을 가지고 또한 양경사면을 활동면으로해서 동세그먼트에 동일축심적으로 상대활동가능하게 끼워맞춤한 아우터링에 의해 이루어진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에 있어서, 금형폐쇄시에 상기 상부원판 및 하부원판에 끼워맞춤해서 상부원판 및 하부원판을 이간시키지 않도록 하는 클릭을 상기 세그먼트의 상부 및 하부에 배설하고, 상기 아우터링에 외주를 고정한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상부원판의 위쪽에 설치하고, 금형폐쇄시에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록시키는 록수단을 이들 커버플레이트와 상부원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록수단이 작용하기 전에,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탄성변형시켜서, 록후도 탄성복귀력이 아우터링 및 상부원판 사이에 잔류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가황이 종료된 타이어가황기용 금형의 타이어내에 도입되어 있던 가열가압매체를 금형밖으로 배출하여, 금형 개폐장치에 연결하고, 트레드금형확축수단과 상부원판을 연결수단을 개재해서 연결하는 동시에, 커버플레이트를 탄성변형시킨 후, 커버플레이트와 상부원판과의 사이에 록장치를 해제한다. 그후는 공지의 수순에 의해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개방하고, 언로우더등과 협동해서, 가황완료타이어를 금형밖으로 반출하고, 이어서 가황하는 생타이어를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내에 반입해서, 금형을 폐쇄하면서 정형을 행한다. 동 금형이 폐쇄종료되었으면, 상기 록장치및 상기 연결수단을 동시에 작동시켜서, 커버플레이트와 상부원판을 프리로우드(preload)를 부여한 상태에서 록하는 동시에, 상기원판과 트레드형 확축수단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이어서 타이어 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해서,가황공정에 들어간다. 그후, 필요에 따라서 금형개폐장치와 금형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금형개폐장치 또는 금형장치를 다른곳으로 이동시킨다. 타이어가황중, 타이어안쪽에 도입된 가열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타이어의 양쪽부용 금형부분을 이간시키려고하는 힘을 상부원판, 양끝에 돌기를 가진 세그먼트, 하부원판을 개재해서 상쇄하여, 트레드금형을 확축시키려고 하는 반경방향의 힘, 즉, 세그먼트와 아우터링(outer ring)과의 사이에 활동경사면이 개재되어 있기때문에 발생하는 반경방향힘의 축심방향(상하방향)분력으로 변환된 힘을 아우터링, 커버플레이트 및 커버플레이트의 탄성복귀력, 록수단, 상부원판, 세그먼트를 개재해서 상쇄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용기용 분할금형장치는 상기한 바와같이 타이어가황중, 타이어안쪽에 도입한 가열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아우터링을 부상시키도록 하는 분력, 즉, 세그먼트와 아우터링과의 사이에 활동경사면이 개지되어 있기때문에 발생하는 반경방향힘의 축심방향(상하방향)분력을 아우터링, 커버플레이트, 록수단, 상부원판, 세그먼트를 개재해서 상쇄하므로, ①세그먼트와 아우터링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활동경사면의 경사면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②금형개폐구동장치와의 연결장치와 록장치와의 기계적 동시작동에 의해, 록장치의 추가에 의한 타이어가황사이클 타임의 연장을 필요하지 않게할 수 있고, ③록장치가 록되어 있지않으면 상기 연결장치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고, 금형장치가 금형개폐장치의 밖에 있을때, 록장치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없으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종래의 타이어가황설비에 적용하였을 경우, 암승강용 실린더에 의해 아우터링을 압입해 두는 등의 필요가 없고, 타이어가황중, 실린더의 작동유체공급원을 필요로하지 않는 외에, 금형스페이스만 있으면, 종래가황할 수 없었던 큰사이즈의 금형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에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설비를 제 1 도 - 제 2 도에 표시한 일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를 적용하는 타이어가황설비(제 1 도, 제 2 도)는, 서두에서의 종래기술의 항에서 어느정도 설명하였으나, 이것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즉, 가황스테이션(200)(200d및 200b)는, 복수의 타이어가황용 금형M(Ma, Mb, Mc,....)를 걸쳐놓는 복수의 금형대(204)(204a, 204b, 204c,....)로 이루어지고, 각금형대(204)에는, 도시를 생략한 금형이동수단(예를 들면 실린더구동의 푸셔(pusher), 필요에 따라서 가열가압매체보충수단 및 배관등이 배설되어 있다. 금형개폐스테이션(201)(201a및 201b)는, 공지의 타이어가황기에 유사(차이는 후에 기술)한 금형개폐장치(205)(205a 및 205b)와, 타이어금형으로부터 가황완료타이어를 반출하는 공지의 언로우더(206)(206a 및 206b)와, 타이어가황용 금형에 미가황타이어를 반입하는 공지의 로우더(207)(207a 및 207b)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서 가황완료타이어반송용 콘베이어(208)(208a 및 208b), 미가황타이어용 랙(rack)(209)(209a 및 209b)등이 배설되어 있다.
금형운반대차는, 바닥면에 고정된 레일(203)과, 동레일(203)에 안내되어, 도시생략의 구동수단의 작용에 의해 주행하는 공지의 대차(202)(202a 및 202b)로 이루어지고, 금형교환스테이션은, 피가황타이어의 사양변경에 따른 타이어가황용 금형내의 트레드금형, 사이드월금형등의 교환이나 소모품인 블래더의 교환등을 행하는 금형교환테이블(210)이며, 이들의 교환작업에 필요한 금형개폐수순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타이어금형예열수단을 부속시켜도 된다. 또 금형교환테이블(210)을 단순한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임시놓는 가치대(假置坮) 또는 타이어금형예열대로 하여,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포크리프트(fork lift)등에 의해 다른장소에 반송해서, 금형내의 부품교환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제 3 도 -제 5 도에 의해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 3 도는 미가황타이어T가 반입되어서, 타이어가황용 금형이 폐쇄되고,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안쪽에 가열가압매체가 도입되어서 가황이 개시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101)이 타이어가황용 금형M의 기판으로서, 동기판(101)은, 금형개폐장치(205a)의 프레임(205e)위에 수평활동자재하게 걸쳐 놓였으며, 도시를 생략한 공지의 록장치에 의해 프레임(205a)에 고정되어 있다.
(103)이 경질단열재(102)를 개재해서 기판(101)에 고정된 하부원판(본 실시예에서는 가열가압매체통로를 형성해서 열판겸용으로 하고 있으나 하부원판(103)으로부터 독립된 종래의 공지의 열판을 하부원판(03)의 아래쪽에 장착해도 된다.) (015)가 하부원판(103)에 고정된 하부사이드월금형, (106)이 하부사이드월금형(105)의 내주원통면을 걸어맞춤하는 외주면을 하부비드링으로서, 원통체(120)의 중앙외주부에 형성된 플랜지(120a)에 클램퍼(clamper)(108)에 의해 착탈자재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비드링(106)에 볼트죔된 블래더압압부재(107)와 하부비드링(106)과의 사이에 불래더B의 하단부에 끼워유지되어 있다.
상기 원통체(1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1)에 고정설치해도 되고, 하부원판(103)또는 동 하부원판의 아래쪽의 독립열판에 고정설치해도 된다.
(109)가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트레드금형이며, 동트레드금형(109)은 수입판(受壓板)(104)위를 활동자재한 세그먼트(110)의 내주면에 볼트죔되어 있다. 수압판(104)은, 폐쇄시에는 외주면이 실용상의 원주면을 형성하고, 하부원판(103)의 외주부에 형성된 플랜지(103b)위에 고정되어 있다.
(111)이 세그먼트(110)의 외주면에 걸어맞춤하는 원추면을 내주에 가진 아우터링으로서, 동 아우터링(111)에는, 세그먼트(110)의 원추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T홈(110a)에 걸어맞춤해서 활동가능한 T막대(111a)가 아우터링(111)의 내주원추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원판(114)의 외주부에는 반경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암(114a)이 배설되고, 이 암(114a)에 반경방향으로 활동자재하게 결합된 슬라이드가이드(115)가 세그먼트(1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문에, 상부원판(114)과 아우터링(111)이 축심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승강하면, 트레드금형(109)이 세그먼트(110)를 개재해서 반경방향으로 이도에서 확축(擴縮)되는 동시에, 트레드금형(109)가 폐쇄시에는, 세그먼트(1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된 클릭(110b),(110c)이 상부원판(114) 및 하부원판(103)의 외주부에 형성된 클릭(114b),(103a)에 걸어맞춤하고, 트레드 금형개방시에는, 상기 클릭(110b)와 (114b),(110c)와 (103a)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113)이 상부원판(114)(본 실시예에서는 가열가압매체통로를 형성해서 열판으로 겸용하고 있으나, 상부원판(114) 으로부터 독립된 공지의 열판을 상부원판(114)의 위쪽에 장착해도 된다)에 고정된 상부사이드월, (116)이 상부사이드월(113)에 볼트죔된 상부비드링이다.
(121)이 상기 원통체(120)에 승강(활동) 가능하게 끼워삽입된 센터포스트, (122)이 센터포스트(121)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장착해서 외주면이 원통체(120)의 내주면을 활동하는 부시, (123)이 원통체(120)의 상단부에 삽입해서 내주면이 센터포스트(121)가 활동하는 패킹, (124)가 패킹(123)의 탈출방지부재이며, 센터포스트(121)의 하단부에 형성된 오목부(121a)에는 센터포스트승강실린더(도시생략)의 로드의 선단부에 결합된 자동연결수단(제 7도에 유사한것)이 압입되고, 센터포스트(121)의 상단부에는, 캡(125)이 핀(12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118)이 캡(125)에 볼트죔된 플랜지, (117)이 플랜지(118)에 볼트죔된 블래더압압부재로서, 플랜지(118)의 외주부와 블래더압압부재(117)와의 사이에 블래더B의 상단부가 끼워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센터포스트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블래더B의 양단부가 접근, 이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체(120)에는, 블래더B를 개재해서 타이어T의 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하는 복수의노즐(127A)을 가진 노즐링(127)이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노즐(127a)에 연통하는 가열가압매체통로(120c), 가열가압매체배출통로(120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통로(120c),(120d)와 금형장치외부관로를 접속하는 체크밸브부착신속연접기(quick coupler)(128)(129)가 이들 관통로(120c),(120d)의 출구부에 결합되어 있다.
(130)이 커버플레이트로서, 동커버플레이트(130)는, 그외주부가 스페이서링(112) 및 경질단열재(131)를 개재해서 아우터링(111)에 볼트죔되어 있다. (132)가 상부원판(114)에 고정된 스페이서, (119a),(119b),(119c)가 연질의 보온재이다.
상부원판(114)과 커버플레이트(130)와의 록수단은, 상부원판(114)에 볼트죔된 내부링(138)과, 커버플레이트(130)의 내주부에 부시(133)를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외부링(134)과, 아우터링(134)의 내주와 내부링(138)의 외주에 형성되고 또한 아우터링(134)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걸어맞춤 또는 축심방향으로 통과가능한 복수쌍의 클릭(134a),(138a)과, 후술하는 요동회동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136)은 외부링(134)에 되정된 탈출방지부재이다.
제 4 도, 제 5 도의 (140)이 금형개폐장치(205a)의 지주부에 승강(활동)가능하게 결합된 암(205c)에 고정된 볼스터플레이트(balster plate)이며, 승강실린더(205d)의 작동에 의해 승강한다.
(141)이 볼스터플레이트(140)와 커바플레이트(130)를 착탈하는 공지의 착탈장치, (135)가 볼스터플레이트(140)에 고정된 푸셔, (142)가 일단부를 볼스터플레이트(140)에 고정된 복수의 로드, (143)이 로드(142)의 타단부에 볼트죔된 금형개폐실린더, (144)가 금형개폐실린더(143)의 로드(143a)의 선단부에 고정된 연장로드, (146)이 연장로드(144)에 회전(활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리브, (145)가 슬리브(146)의 상단부안쪽에 나사박음한 부시이다.
상기 금형개폐실린더(143)와 상기 상부원판(114)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연장로드(144)와, 부시(145)와, 슬리브(146)와, 내부링(138)에 일체적으로 장착한 연결로드(139)와, 연결로드(139)의 외주상부와 슬리브(146)의 내주하부에 형성해서 슬리브(146)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걸어마춤 또는 축심방향으로 통과가능한 복수쌍의 클릭(139a),(14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48)이 레버로서, 동레버(148)는, 선단부가 포크형상으로 형성되고, 핀(149)을 개재해서 볼스터플레이트(1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동레버(148)의 타단부와 볼스터플레이트(140)와의 사이에는, 실린더(150)가 결합되어 있으며, 동실린더(150)의 작동에 의해 레버(148)가 핀(149)을 중심으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47)이 슬리브(146)로부터 바깥쪽으로 뻗는 암(146c)에 고정된 로드로서, 동로드(147)은, 슬리브(146)와 평행이다. 그리고 동로드(147)가 상기 레버(148)의 선단부포크부에 형성된 U자홈에 삽입되고, 슬리브(146)의 외주에 축심과 평행하게 형성된 키홈(146a)에 암(137)의 선단부가 삽입되고, 동암(137)이 외부링(134)에 고정되어 있다. 또, 실린더 (150)가 작동해서, 레버(148)가 요동하므로써, 슬리브(146)가 회전하는 동시에, 슬리브(146)와 암(137)을 개재해서 외부링(134)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회전에 의해, 클릭(134a),(138a)의 짝이 걸어맞춤상태에 있을때는, 클릭(139a),(146b)의 짝이 통과가능(해제상태)하게되고, 클릭(134a),(138a)의 짝이 통과가능(해제상태)에 있을때는, 클릭(139a),(146b)의 짝이 걸어맞춤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부시(135)는, 볼스터플레이트(140)의 착탈장치(141)와 커버플레이트(130)가 당접해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플레이트(130)의 내주부분을 아래쪽으로 눌러내려서 탄성변형시키고, 상기 상부원판(114)에 고정된 스페이서(132)에 닿아 변형량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아우터링(134)이 회전될때에는, 이 외부링(134)의 내주분의 클릭(134a)과 내부링(138)의 외주클릭(138a)의 높이방향으로 틈새를 가지고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링(134)을 회전시켜서, 상기 클릭(134a)과 클릭(138a)이 걸어맞춤상태가 되도록한 후, 상기 볼스터플레이트(140)를 상승시키고, 클릭(134a)과 클릭(138a)이 당접하였을 때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130)의 아래쪽변위량의 대부분이 남게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130)가 스프링체로서 작용하여, 아우터링(111), 세그먼트(110), 상부원판(114)의 상대이동을 내부상쇄하도록 되어 있다.
즉, 타이어내부의 내압력이 트레드금형(109), 세그먼트(110)의 반경방향으로 힘을 발생하고, 이 힘이 아우터링(111)의 경사면에서 상향의 힘으로 변환되고, 아우터링(111)이 세그먼트(11)에 대하여 위쪽방향으로 이동하려고하는 움직임을 상기 커버플레이트(130)의 하향의 탄성변형력의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 1 도, 제 2 도의 타이어가황설비에 적용한 제 3 도 - 제 5 도에 표시한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도 - 제 3 도 및 제 5 도는, 가황스테이션(200a)의 금형대(204a)에 있던 타이어가황용 금형Ma내의 타이어의 가황이 종료하고, 금형운반대차(202a)에 의해, 금형개폐스테이션(201a)의 금형개폐장치(205a)내 반입종료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때, 클릭(134a),(138a)의 짝은, 걸어맞춤상태에 있고, 클릭(139a),(146b)의 짝은, 통과가능의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먼저 실린더(205d)를 작동시켜서, 암(205c)를 하강시키고, 착탈장치(141)에 의해, 커버플레이트(130)와 볼스터플레이트(140)를 연결하는 (제 4도 참조)동시에, 푸셔(135)가 커버플레이트(130)를 아래쪽으로 변형시키고, 클릭(134a)과 클릭(138a)의 걸어맞춤면 사이에 틈새를 만든다. 도, 가열가압매체통로(120c),(120d)를 신속점속기(128),(129)를 개재해서 금형외부배관(도시생략)에 접속한다.
이어서 절환밸브(도시생략)를 작동시켜서, 타이어T내의 가열가압매체를 배출하고, 타이어 T내의 압력이 충분히 하강한 것을 확인하였으면, 실린더(150)를 작동시켜, 클릭(139a),(146b)의 짝을 걸어맞춤시켜서, 상부원판(114)과 실린더(143)의 로드(144)를 연결하는 동시에, 클릭(134a),(138a)의 짝을 통과가능의 상태로해서, 록을 해제한다.
이어서, 공지한 바와같이 실린더(143)을 상부원판(114)의 눌러내리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동시에, 실린더(205d)를 볼스터플레이트(140)의 상승방향으로 작동시킨다. 그러자, 트레드금형(109)이 타이어 T로부터 잡아떼어져서, 확경되는 동시에, 클릭(110b)과 클릭(114b), 클릭(103a)과 클릭(110c)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또 볼스터플레이트(140)가 상승해서, 실린더(143)가 행정끝(stroke end)에 도달하면, 클릭(139a),(146b)이 걸어맞춤되어 있으므로, 상부원판(114)이 끌어올려져서, 타이어가화용 금형이 개방된다.
이어서, 가황완료타이어 T를 타이어가황용 금형밖으로 반출하고, 이어서 가황될타이어를 반입하고, 이어서 실린더(205d)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켜서, 타이어가황용 금형을 폐쇄하였다. 그러자, 먼저 상부원판(114)에 매달아걸쳐진 세그먼트(110)가 수압판((104)에 당접하고, 그다음부터는 실린더(143)가 복귀되면서, 볼스터플레이트(140)를 개재해서 아우터실린더(111)가 하강해서, 트레드금형(109)이 축경되어서, 타이어가황용금형이 폐쇄되고, 또 푸셔(135)가 커버플레이트(130)를 아래쪽으로 휘게한다.
이 동안, 타이어T의 안쪽에는, 정형용 압력기체가 도입되고, 트레드금형(109)의 축경의 최종단계에서는, 클릭(110b)과 클릭(114b), 클릭(103a)과 클릭(110c)이 걸어맞춤한다.
이렇게 해서 타이어가황용 금형이 폐쇄종료되면, 실린더(143)의 작동을 정지하는 동시에, 실린더(150)를 역행방지방향으로 작동시켜서, 클릭(134a),(138a)의 짝을 걸어맞춤상태로해서, 커버플레이트(130)와 상부원판(114)을 록하는 동시에, 클릭(139a),(146b)의 짝을 통과가능한 상태로 하고, 볼스터플레이트(140)가 상승하여 상기 클릭(134a)과 클릭(138a)이 걸어맞춤당접한다. 이어서, 타이어의 안쪽에 가열가압매체를 도입해서, 가황공정으로 들어간다.
이때, 가압가압매체의 압력에 의해 사이드월금형(105),(113)을 이간시키려고 하는 힘이, 상부원판(114), 클릭(114b),(110b), 세그먼트(110), 클릭(110c),(103a), 하부원판(103)을 개재해서 금형장치내에서 상쇄된다. 또, 트레드금형(109)을 확경시키려고하면 반경방향의 힘이, 세그먼트(110)를 개재해서 아우터링(111)내에서 상쇄되는 동시에, 세그먼트(110)와 아우터링(111)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활동경사면에 이해 발생하는 상기 반경방향 힘의 수직분력, 즉, 아우터링(111)을 부상시키려고하는 힘이, 스페이서링(112), 경질단열재(131), 커버플레이트(130) 및 동커버플레이트의 탄성복귀력, 외부링(134), 클릭(134a),(138a), 내부링(138), 상부원판(114), 클릭(114b),(110b)을 개재해서 금형장치내에서 상쇄된다.
따라서, 볼스터플레이트(140)를 개재해서 금형장치를 외력으로 눌러둘 필요가 없어지고, 착탈장치(141)를 해방하여, 실린더(205d)를 작동시켜서 암(205c)을 상승시키고 난 다음, 상기와 반대의 수순으로 금형장치를 가황스테이션의 소정위치에 이동시켜서 가황을 속행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1 조의 금형개폐장치와 복수의 금형장치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가황설비에 적용한 경우이나, 타이어가황중, 금형개폐장치 또는 금형장치를 다른곳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타이어가황설비에도 적용가능하다.

Claims (3)

  1. 타이어양쪽부의 안쪽을 성형하는 상부사이드월금형부분을 결합시킨 상부원판과, 타이어 양쪽부의 다른쪽을 성형하는 하부사이드월금형부분을 결합시킨 하부원판과, 타이어트레드부를 성형하는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트레드금형부분을 결합시킨 분할세그먼트와, 동세그먼트의 바깥쪽경사면에 대응하는 안쪽경사면을 가지고 또한 양경사면을 활동면으로해서 동세그먼트에 동일축심적으로 상대활동가능하게 끼워맞춤한 아우터링에 의해 이루어진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에 있어서, 금형폐쇄시에 상기 상부원판 및 하부원판에 끼워맞춤해서 상부원판 및 하부원판을 이간시키지 않도록 하는 클릭을 상기 세그먼트의 상부 및 하부에 배설하고, 상기 아우터링에 외주를 고정한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상부원판의 위쪽에 설치하고, 금형폐쇄시에 상기 상부원판과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록시키는 록수단을 이들 커버플레이트와 상부원판과의 사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외주부가 상기 아우터링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상기 상부원판쪽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내주부에 회전자재하게 걸쳐 장착된 외부링의 안쪽클릭과, 상기 상부원파의 내주부에 고정설치된 내부링의 바깥쪽클릭이 걸어맞춤당접상태로 되었을때에, 상기 탄성변형량의 대부분이 잔류하도록 해서 록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원판 또는 하부원판 아래의 가열판 또는 기판에 세워설치된 원통체내부에 승강자재하게된 센터포스트의 하단부가, 착탈자재한 수단을 구비하고, 센터포스트상단부에 블래더의 상단부를 클램프하는 블래더클램프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블래더상단부를 승강자재한 원통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
KR1019950014673A 1994-06-03 1995-06-03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 KR0147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22661 1994-06-03
JP12266194 1994-06-03
JP95-84109 1995-04-10
JP7084109A JPH0847928A (ja) 1994-06-03 1995-04-10 タイヤ加硫用割金型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447A KR960000447A (ko) 1996-01-25
KR0147182B1 true KR0147182B1 (ko) 1998-08-17

Family

ID=2642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673A KR0147182B1 (ko) 1994-06-03 1995-06-03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89200A (ko)
EP (1) EP0685320B1 (ko)
JP (1) JPH0847928A (ko)
KR (1) KR0147182B1 (ko)
DE (1) DE6951283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9179B1 (en) * 1994-10-31 2002-04-03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Tire vulcanizer
JP3245007B2 (ja) * 1995-05-31 2002-01-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の割金型開閉装置
JP2866027B2 (ja) 1995-06-06 1999-03-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用中心機構
JP3637156B2 (ja) * 1996-07-29 2005-04-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
JPH10119049A (ja) * 1996-10-23 1998-05-12 Fuji Seiko Kk タイヤ加硫装置
JP3999331B2 (ja) 1998-02-25 2007-10-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設備
US6238193B1 (en) * 1998-07-23 2001-05-29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Mold for tire and vulcanizing press fitted to receive mold
US6530763B2 (en) 1999-05-13 2003-03-1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Tire vulcanizing system
JP4493203B2 (ja) 2000-12-12 2010-06-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KR100459658B1 (ko) * 2002-04-08 2004-12-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세그먼트몰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타이어 제조용컨테이너
JP4291612B2 (ja) * 2003-04-25 2009-07-08 Hirotek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におけるモールド着脱装置
JP4884934B2 (ja) * 2006-11-20 2012-02-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
WO2009109184A2 (de) * 2008-03-04 2009-09-11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alterung von formen
FR2966075B1 (fr) * 2010-10-19 2012-12-14 Michelin Soc Tech Dispositif de vulcanisation d'un pneumatique comportant une enceinte de reprise interne
FR2983116B1 (fr) * 2011-11-30 2014-01-17 Michelin Soc Tech Moule autobloquant pour le moulage et la vulcanisation de pneumatiques a effet de levier
FR2983117B1 (fr) * 2011-11-30 2014-01-17 Michelin Soc Tech Moule autobloquant pour le moulage et la vulcanisation des pneumatiques comprenant une cale de limitation d'effort
JP5579292B1 (ja) * 2013-02-25 2014-08-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加硫金型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加硫金型
US9346228B2 (en) * 2014-07-09 2016-05-24 Mcneil & Nrm, Inc. Segmented mold operator
FR3024074B1 (fr) * 2014-07-25 2016-09-02 Michelin & Cie Moule de vulcanisation pour pneumatique a fermeture optimisee
CN105034210B (zh) * 2015-08-12 2019-07-16 华澳轮胎设备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快速锁模装置
CN116604852B (zh) * 2023-07-20 2023-10-10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动力开合模轮胎模具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87540A5 (en) * 1970-05-22 1971-12-31 Dunlop Co Ltd Tyre mould - with tongues and grooves for preventing slipping between shell and segment mould parts
US3817670A (en) * 1970-09-21 1974-06-18 Uniroyal Sa Press for tire shaping and vulcanizing
US3730658A (en) * 1971-06-25 1973-05-01 Goodyear Tire & Rubber Segmented tire mold
US3779677A (en) * 1971-09-27 1973-12-18 Goodyear Tire & Rubber Segmented tire mold
DE2254334C3 (de) * 1972-11-07 1978-08-24 Marangoni Meccanica S.P.A., Rovereto (Italien) Vulkanisierform für Luftreifen
US4129406A (en) * 1975-11-25 1978-12-12 Cima Costruzioni Industriali Metalmeccaniche E Affini S.A.S. Di Capecchi Floriano & C. Mold for the vulcanization or retreading of vehicle tires
IT1176523B (it) * 1984-08-01 1987-08-18 Pirelli Perfezionamenti nelle presse per la vulcanizzazione
JPS6248512A (ja) * 1985-08-29 1987-03-03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機の割金型開閉装置
FR2656563B1 (fr) * 1990-01-02 1992-04-10 Michelin & Cie Moule a secteurs a auto-verrouillage, pour la vulcanisation des enveloppes de pneumatique.
JP3119504B2 (ja) * 1990-07-19 2000-12-25 博明 柳田 セラミックスの電気接合用接合剤
JPH0661797B2 (ja) * 1991-09-28 1994-08-17 株式会社八光電機製作所 ノズル用ヒーター
JP2505675B2 (ja) * 1992-01-24 1996-06-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プレス
US5820885A (en) * 1993-09-14 1998-10-13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Tire vulcanizing system
DE4434440A1 (de) * 1994-09-27 1996-03-28 Kollross Guent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ewinnung von Visko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85320A2 (en) 1995-12-06
EP0685320A3 (en) 1996-03-20
EP0685320B1 (en) 1999-10-20
KR960000447A (ko) 1996-01-25
US5589200A (en) 1996-12-31
DE69512830T2 (de) 2000-05-18
JPH0847928A (ja) 1996-02-20
DE69512830D1 (de)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182B1 (ko) 타이어가황기용 분할금형장치
JP2505675B2 (ja) タイヤ加硫プレス
KR0180924B1 (ko) 타이어금형 운반장치
US5820885A (en) Tire vulcanizing system
KR0158524B1 (ko) 타이어가황금형조립체
KR100348926B1 (ko) 타이어 가황처리 장치
US6158998A (en) Tire vulcanizer
JP3300735B2 (ja) タイヤ加硫用金型組立体
JP4138153B2 (ja) タイヤ金型のセグメント駆動装置
JP3254097B2 (ja) タイヤ加硫用金型組立体
JP2000317943A (ja) タイヤ加硫機及びタイヤ加硫設備
JP2703170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3810585B2 (ja) タイヤ加硫装置
JP3009567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3354752B2 (ja) タイヤ加硫金型組立体
JP3404189B2 (ja) タイヤ加硫装置
JP3722865B2 (ja) タイヤ加硫金型組立体
JP3181180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H08281658A (ja) タイヤ加硫方法
JP3085833B2 (ja) タイヤ加硫用金型
JPH11333845A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装置の金型交換方法並びにタイヤ加硫方法
JP2002361631A (ja) タイヤ加硫機および加硫処理済タイヤの製造方法
JP2000084934A (ja) タイヤの加硫成形装置および加硫成形方法
JPH1158389A (ja) タイヤの加硫成型用金型及び加硫成型方法
JPH08132442A (ja) タイヤ金型組立体のブラダ操作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