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165B1 - 타이어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165B1
KR100798165B1 KR1020060104734A KR20060104734A KR100798165B1 KR 100798165 B1 KR100798165 B1 KR 100798165B1 KR 1020060104734 A KR1020060104734 A KR 1020060104734A KR 20060104734 A KR20060104734 A KR 20060104734A KR 100798165 B1 KR100798165 B1 KR 100798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ire
guide shaft
transport devic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 B62B2202/031Wheels, t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2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사이에 수평하게 이격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양측에 회전롤러가 구비되는 고정지지대로 이루어진 한 쌍의 본체프레임; 상기 고정지지대의 중앙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샤프트;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중심으로부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각 끝단 위치에 한 쌍의 경로지지롤러가 이격 구비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누름 조작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상기 이동프레임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 1조작페달;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프레임과 가이드샤프트 사이에 링크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 2조작페달;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홀딩프레임; 일단이 상기 고정지지대의 회전롤러에 고정되어 수직하게 하부로 연장되고, 타단이 홀딩프레임의 회전롤러에 고정되는 베이스연결부; 상기 베이스연결부의 하부 양측에는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바퀴 사이에 연결축이 연결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운반장치에 의하면, 휠과 조립된 중량의 타이어를 원하는 작업공간 내에서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타이어 운반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적재된 타이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동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물리적인 힘이 발생하지 않아 근 골격계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체프레임, 가이드샤프트, 이동프레임, 홀딩프레임, 베이스연결부.

Description

타이어 운반장치{Tire Transport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운반장치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얼 운반장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프레임, 11: 수직부,
12: 손잡이부, 13: 고정지지대,
14: 회전롤러, 20: 가이드샤프트,
21: 제 2조작페달, 22: 링크부재,
30: 이동프레임, 31: 제 1조작페달,
32: 경로지지롤러, 40: 홀딩프레임,
41: 연장부, 42: 투입부,
43: 바닥부, 50: 베이스연결부,
51: 굴곡부, 60: 이동부재,
61: 바퀴, 62: 연결축.
본 발명은 타이어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휠과 조립된 중량의 타이어를 원하는 작업공간 내에서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타이어 운반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적재된 타이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동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물리적인 힘이 발생하지 않아 근 골격계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타이어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입 타이어는, 자동차의 전체하중을 지탱하는 지지기능,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노면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능, 불규칙적인 노면으로 인해 발생하는 외부충격을 완화하는 충격완화기능,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위치를 전환하는 위치전환기능 등을 다양하게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타이어의 제조공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타이어를 이루는 각종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각각 반제품들을 제조하고, 이 반제품들을 타이어 성형기의 성형드럼에 차례로 감아 압착롤로 압착하여 상기 반제품들을 서로 부착시키는 성형공정을 통해 그린케이스(Green Case)를 제조하며, 상기 그린케이스를 가류몰드에 투입하여 블래더로 상기 그린케이스 내부에 온도 및 압력을 가하는 가류공정을 거친 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을 거친 완제품 타이어는, 통상 타이어의 종류별로 4본씩 적재하여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상기 완제품 타이어들을 다른 장소로 운반시 작업자가 타이어를 2본 또는 4본을 적재하여 인위적으로 직접 굴려 운반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타이어를 운반시 시간적 손실이 발생됨은 물론, 장거리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타이어를 직접 굴려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시, 작업공간의 최소화를 위해 다시 적재해야만 하는 이중 작업이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물리적인 힘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물리적인 힘이 발생할 경우 근 골격계 질환 뿐만 아니라 각종 안전사고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휠과 조립된 중량의 타이어를 원하는 작업공간 내에서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타이어 운반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적재된 타이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동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물리적인 힘이 발생하지 않아 근 골격계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운반장치에 의하면, 양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사이에 수평하게 이격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양측에 회전롤러가 구비되는 고정지지대로 이 루어진 한 쌍의 본체프레임; 상기 고정지지대의 중앙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샤프트;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중심으로부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각 끝단 위치에 한 쌍의 경로지지롤러가 이격 구비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누름 조작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상기 이동프레임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 1조작페달;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프레임과 가이드샤프트 사이에 링크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 2조작페달;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홀딩프레임; 일단이 상기 고정지지대의 회전롤러에 고정되어 수직하게 하부로 연장되고, 타단이 홀딩프레임의 회전롤러에 고정되는 베이스연결부; 상기 베이스연결부의 하부 양측에는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바퀴 사이에 연결축이 연결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딩프레임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 내측에 타이어를 투입하기 위해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투입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 내측에 적재된 타이어를 잡거나 풀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연결부는 상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만곡진 형상의 굴곡부를 이루면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운반장치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 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얼 운반장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운반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프레임(10), 가이드샤프트(20), 이동프레임(30), 제 1조작페달(31), 제 2조작페달(21), 홀딩프레임(40), 베이스연결부(50) 및 이동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양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 사이에 수평하게 이격 구비되는 손잡이부(12)와, 양측에 회전롤러(14)가 구비되는 고정지지대(1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샤프트(20)는 상기 고정지지대(13)의 중앙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이동프레임(30)은 상기 가이드샤프트(20)의 중심으로부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각 끝단 위치에 한 쌍의 경로지지롤러(32)가 이격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조작페달(31)은 상기 이동프레임(30)의 후방에 설치되어 누름 조작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상기 이동프레임(30)을 하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2조작페달(21)은 상기 가이드샤프트(2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프레임(30)과 가이드샤프트(20) 사이에 링크부재(22)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프레임(30)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홀딩프레임(40)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전방에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41)와; 상기 연장부(41)의 상단 내측에 타이어를 투입하기 위해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투입부(42)와; 상기 연장부(41)의 하단 내측에 적재된 타이어를 잡거나 풀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바닥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연결부(50)는 일단이 상기 고정지지대(13)의 회전롤러(14)에 고정되어 수직하게 하부로 연장되고, 타단이 홀딩프레임(40)의 회전롤러(14)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연결부(50)는 상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만곡진 형상의 굴곡부(51)를 이루면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60)는 상기 베이스연결부(50)의 하부 양측에는 바퀴(61)가 구비되고, 상기 바퀴(61) 사이에 연결축(62)이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운반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조공정을 거친 완제품 타이어를 다른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타이어 운반장치를 완제품 타이어 부근에 위치시킨다.
먼저, 상기 가이드샤프트(20)의 후방에 설치된 제 2조작페달(21)을 누르게 되면, 상기 이동프레임(30)과 가이드샤프트(20) 사이에 연결된 링크부재(22)가 수직하게 이동되고, 상기 이동프레임(30)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이동프레임(30)에 구비된 프리롤러 타입(Free Roller Type)의 경로지지롤러(32)가 상기 베이스연결부(50) 상부의 굴곡부(51)로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연결부(50)의 하부가 좁아짐과 동시에, 상기 홀딩프레임(40)에 형성된 바닥부(43)가 내측으로 좁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홀딩프레임(40) 상부로부터 타이어를 투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홀딩프레임(40) 상부의 투입부(42)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타이어를 홀딩프레임(40)의 중앙으로 투입시키기 용이함은 물론, 운반시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홀딩프레임(40)의 바닥부(43)로부터 적재된 타이어를 운반시, 상기 본체프레임(10) 사이에 구비된 손잡이부(12)를 잡은 상태에서 바퀴(61)가 구비된 이동부재(60)를 이용하여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타이어 운반장치에 의해 이동된 타이어를 원하는 작업공간내에 다시 적재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동프레임(30)의 후방에 설치된 제 1조작페달(31)을 누르게 되면, 상기 이동프레임(30)이 상기 가이드샤프트(20)를 통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프레임(30)에 구비된 경로지지롤러(32)가 상기 베이스연결부(50)의 굴곡부(51)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홀딩프레임(40)의 회전롤러(14)에 의해 고정된 상기 베이스연결부(50)의 하부가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짐과 동시에, 상기 홀딩프레임(40)에 형성된 바닥부가 외측으로 벌어져 적재된 타이어를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내려놓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운반장치에 의하면, 휠과 조립된 중량의 타이어를 원하는 작업공간 내에서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타이어 운반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적재된 타이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동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물리적인 힘이 발생하지 않아 근 골격계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양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 사이에 수평하게 이격 구비되는 손잡이부(12)와, 양측에 회전롤러(14)가 구비되는 고정지지대(13)로 이루어진 한 쌍의 본체프레임(10);
    상기 고정지지대(13)의 중앙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샤프트(20);
    상기 가이드샤프트(20)의 중심으로부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각 끝단 위치에 한 쌍의 경로지지롤러(32)가 이격 구비되는 이동프레임(30);
    상기 이동프레임(30)의 후방에 설치되어 누름 조작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상기 이동프레임(30)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 1조작페달(31);
    상기 가이드샤프트(2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프레임(30)과 가이드샤프트(20) 사이에 링크부재(22)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프레임(30)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제 2조작페달(21);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홀딩프레임(40);
    일단이 상기 고정지지대(13)의 회전롤러(14)에 고정되어 수직하게 하부로 연장되고, 타단이 홀딩프레임(40)의 회전롤러(14)에 고정되는 베이스연결부(50);
    상기 베이스연결부(50)의 하부 양측에는 바퀴(61)가 구비되고, 상기 바퀴(61) 사이에 연결축(62)이 연결되는 이동부재(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운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프레임(40)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41)와; 상기 연장부(41)의 상단 내측에 타이어를 투입하기 위해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투입부(42)와; 상기 연장부(41)의 하단 내측에 적재된 타이어를 잡거나 풀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바닥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운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연결부(50)는 상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만곡진 형상의 굴곡부(51)를 이루면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운반장치.
KR1020060104734A 2006-10-26 2006-10-26 타이어 운반장치 KR100798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734A KR100798165B1 (ko) 2006-10-26 2006-10-26 타이어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734A KR100798165B1 (ko) 2006-10-26 2006-10-26 타이어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165B1 true KR100798165B1 (ko) 2008-01-24

Family

ID=3921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734A KR100798165B1 (ko) 2006-10-26 2006-10-26 타이어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1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7225A (zh) * 2014-11-20 2015-04-01 国网浙江省电力公司培训中心 培训用计量装置搬运车
CN104875781A (zh) * 2015-06-11 2015-09-02 江苏省电力公司扬州供电公司 一种电杆安装辅助车及其工作方法
KR20160056416A (ko) 2014-11-11 2016-05-2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운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125A (ko) * 1994-11-18 1996-06-17 오기노 카네오 타이어금형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125A (ko) * 1994-11-18 1996-06-17 오기노 카네오 타이어금형 운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416A (ko) 2014-11-11 2016-05-2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운반장치
CN104477225A (zh) * 2014-11-20 2015-04-01 国网浙江省电力公司培训中心 培训用计量装置搬运车
CN104875781A (zh) * 2015-06-11 2015-09-02 江苏省电力公司扬州供电公司 一种电杆安装辅助车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165B1 (ko) 타이어 운반장치
KR101063495B1 (ko) 트래버스 장치
KR101115338B1 (ko) 토션빔용 금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88765B1 (ko) 차량용 휠 로딩 시스템 및 이에 구비된 휠 로딩장치
ITMO20130292A1 (it) Metodo per formare una lastra di materiale termoplastico rinforzato
CN205677275U (zh) 一种建筑用可自主支撑的安全防护装置
JP5705762B2 (ja) タイヤ加硫機、および、タイヤ加硫設備
JP6118570B2 (ja) 生タイヤ支持装置及び生タイヤからのドラムの取り外し方法
CN204822911U (zh) 一种链条传动式全驱动起重机主梁输送装置
CN107813486B (zh) 一种全自动扭力杆胶芯减震套矫形抛光生产线
CN106881892B (zh) 一种轮胎生产用生胎转移系统
KR101188856B1 (ko) 제동 디스크 그립장치
CN205441721U (zh) 一种方便移动的输送装置
CN210212449U (zh) 一种滚筒式样台车
CN107618547A (zh) 新型太阳能板小推车
KR101579531B1 (ko) 벤딩 장치
KR100441956B1 (ko) 트레드 프리킹 장치
KR101317163B1 (ko) 벤딩장치
KR20130134434A (ko) 현가부재용 조립장치
CN205676588U (zh) 一种粗纱机铁炮皮带保护装置
CN213564496U (zh) 一种硫化胶囊存储转运装置
KR100476079B1 (ko) 그린타이어 인출장치
ITMO20070144A1 (it) "apparato pressore"
CN210027533U (zh) 一种汽车生产用轮毂运送装置
JP7365009B2 (ja) ウェブロール搬送用台車およ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