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224B1 - 타이어 가황 시스템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224B1
KR0155224B1 KR1019950013007A KR19950013007A KR0155224B1 KR 0155224 B1 KR0155224 B1 KR 0155224B1 KR 1019950013007 A KR1019950013007 A KR 1019950013007A KR 19950013007 A KR19950013007 A KR 19950013007A KR 0155224 B1 KR0155224 B1 KR 0155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mold
frame
movab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437A (ko
Inventor
히사시 미타무라
고타로 오자키
가시로 우레시노
히로유키 다케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메다카 소키치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351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8627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38301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8960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37938A external-priority patent/JP282521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메다카 소키치,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메다카 소키치
Publication of KR950031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2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rectilinear movement
    • B29C33/24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rectilinear movement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3Loading or unloading the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타이어 가황 시스템은
(a) 복수의 성형스테이션을 가지고 있는 타이어 가황프레스,
(b) 성형 스테이션위에 타이어를 밀어 넣기 위한 타이어로더, 및
(c) 성형스테이션으로부터 타이어를 빼내기 위한 타이어로더로 이루어지고 거기서 타이어 가황 프레스는 각각의 성형스테이션의 고정된 금형이 장착된 고정된 프레임, 각각의 성형스테이션의 이동가능한 금형이 장착된 이동가능한 프레임, 성형스테이션 사이에 배열되고, 이동가능한 프레임에 고정된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봉, 고정된 프레임에 대하여 지지봉을 따라 이동가능한 프레임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실린더, 필요할 때 지지봉에 이동가능한 프레임을 체결함으로써 고정된 프레임에 이동가능한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하프블록, 그리고 타이어 가황동안 상기 고정된 상기 이동가능한 금형을 강제로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타이어 가황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시스템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시스템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프블록의 정면도(3a) 및 측면도(3b)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클램핑기구의 단면도.
제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로더와 언로더의 작동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제6도는 클램핑기구의 단면도.
제7도는 클램핑기구의 단면도.
제8도는 클램핑기구의 단면도.
제9도는 클램프된 상태의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정면도.
제10도는 금형 클램핑기구가 연결봉위에 제공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정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정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평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A-A에서 취해진 단면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제14도는 제13도의 화살표 B에 의해서 도시된 방향으로부터 도면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프레임 3 : 연결봉
4 : 하프블록 5 : 최상부프레임
6 : 승강수단 7 : 미가공타이어
8 : 클램핑기구 9 : 중공실린더
10 : 중공로드 15 : 하부플래튼
27 : 타이어로더 31 : 언로더
[발명의 배경]
일본국 특공소 제59-12827호와 일본국 특공평 제4-358808호에서 개시된 선행기술의 타이어 가황시스템은 성형스테이션이 바닥에 고정된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면프레임 및 측면프레임의 최상부에 체결된 최상부 프레임에 의해서 모든 측면상에 지지되는 타이어 가황프레스를 포함한다. 이들 타이어 가황프레스에 의하여 몇 개의 미가공 타이어는 동시에 가황될 수 있다.
타이어 가황시스템은 또한 일반적으로 가황프레스의 성형스테이션(들)상에 미가공 타이어를 밀어넣기 위한 타이어로더를 포함한다. 이 타이어로더는 미가공타이어를 파지하기 위한 척수단, 척수단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척승강수단 및 척수단을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성형스테이션의 상부금형이 상승되었을 때 미가공타이어는 타이어 언로더의 척수단을 수직으로 그리고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성형스테이션의 클램핑 위치상으로 밀어넣어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가황시스템에서, 가황프레스의 성형스테이션의 어느 한쪽 측면상의 측면프레임의 배열은 다음의 문제점을 일으킨다.
(1) 측면프레임은 전체적으로 가황프레스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가황시스템을 위치시키는데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필요로 한다.
(2) 측면프레임의 존재는 타이어를 가황프레스의 성형스테이션상으로 밀어넣을 수 있는 방법을 제한함으로써 타이어로더의 설계를 제한한다.
(3) 측면프레임은 성형스테이션의 금형을 변화시키는 조작을 방해한다.
더구나, 상기 기술된 선행기술의 가황시스템에서, 타이어로더와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독립적으로 제공됨으로써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상부금형의 수직이동에 대하여 타이어로더의 척승강수단을 동위시킬 필요가 생기며, 차례로 검출 및 제어수단의 제공의 필요로 인한 문제점의 결과롤 제조 비용이 증가된다.
상기 기술된 문제점은 상기 기술된 종류의 직동타이어 가황프레스에 존재할 뿐아니라 성형스테이션(들) 둘레에 위치된 측면프레임에 상당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돔-자물쇠형 프레스(일본국 특공평 1-24050) 및 컬럼자물쇠형 타이어 가황프레스(일본국 특공평 4-332607)에서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타이어 가황시스템에 존재하는 상기 기술된 문제점의 견지에서 만들어졌고, 본 발명의 목적은 몇 개의 성형 스테이션이 측면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지지됨으로써 선행기술의 가황프레스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타이어 가황프레스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황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은 타이어로더의 조작을 위한 검출 또는 제어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타이어 가황시스템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가황시스템은 미가공타이어가 함께 클램프된 이동가능한 금형과 고정된 금형사이에서 성형되는 복수의 성형스테이션을 가지고 있는 타이어 가황프레스를 포함하며, 상기 가황프레스는 상기 성형스테이션의 상기 고정된 금형을 지지하는 고정된 프레임; 상기 성형스테이션의 상기 이동가능한 금형을 지지하는 이동가능한 프레임; 상기 고정된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이동가능한 프레임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이동가능한 프레임에 상기 고정된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성형스테이션 사이에 배열된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고정된 프레임에 상기 이동가능한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 및 상기 고정된 금형에 상기 이동가능한 금형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 수단을 포함한다.
성형스테이션은 성형스테이션 사이에 배열된 연결수단에 의해서 이와 같이 지지되기 때문에, 본 시스템에 따른 타이어 가황시스템은 측면 프레임이 성형스테이션의 어느 한쪽 측면에 위치되는 직동형, 돔-자물쇠형 및 컬럼-자물쇠형 가황프레스를 포함하는 종래의 타이어 가황시스템에 비하여 더 소형이다.
더구나, 성형스테이션 사이의 연결수단의 배열을 통하여, 금형교환조작뿐만 아니라 성형스테이션으로부터 타이어를 밀어넣고 빼내는 조작을 원활하게 한다. 더구나, 측면프레임이 없기 때문에 로더와 언로더의 설계상의 한계가 감소된다.
연결수단은 클램핑 조작동안에 우수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복수의 성형스테이션 사이에 직접 제공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가황시스템은 또한 타이어 가황프레스 외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된 금형과 이동가능한 금형사이의 지정된 위치로 미가공 타이어를 밀어넣기 위한 타이어 로더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어로더는 미가공타이어를 파지하기 위한 척수단; 및 수평방향으로 상기 척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이동가능한 프레임상에 장착된 수평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동가능한 프레임상에 타이어로더를 장착시킴으로써, 타이어로더는 승강수단의 단독작동을 통하여 이동가능한 프레임과 함께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타이어로더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승강수단을 분리시킬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이동가능한 프레임의 수직이동을 타이어로더의 수직이동과 동위시키기 위해서 종래의 타이어 가황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검출수단과 제어수단이 필요없다. 따라서 구성부재의 수가 감소되고, 그 결과 비용이 감소될 수 있고 더 소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어 로더는 거기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동가능한 프레임상에 장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금형교환의 조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프레임에 대하여 타이어 로더를 상승시키고, 타이어 로더에 의해서 성형스테이션으로 운반되어지기 위해서 대기하고 있는 미가공타이어의 위치 변화에 다른 척수단의 최하부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타이어로더의 수직이동이 상부금형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도록 사용되는 승강기구에 의해서 달성되는 시스템을 채택함으로써 타이어를 밀어넣는 조작과 타이어로더 자체의 구조 모두를 단순화하는 특징은 상기 기술된 형태의 타이어 가황시스템에서의 적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타이어 가황시스템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가황시스템은 또한 다음의 3단계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로더를 포함한다.; (i) 상기 복수의 성형스테이션중의 하나로부터 타이어를 빼내는 조작, (ii) 고정된 타이어 지지체를 가지고 있는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로 타이어를 운반하는 조작, 그리고(iii)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로부터 운반수단으로 타이어를 운반하는 조작. 상기 3단계 조작 모두를 실행할 수 있는 이와 같은 타이어 언로더를 사용함으로써 구성요소의 수는 감소되고 그것으로 인하여 어떠한 유지조작도 원할하게 된다.
분리된 클램핑수단은, 금형스테이션 사이의 금형높이에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각각의 성형스테이션의 금형에 가해진 클램핑힘이 균일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성형스테이션에 제공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클램핑수단은 나머지 대하여 상기 고정된 금형을 향하여 상기 이동가능한 금형을 강제로 가압하기 위한 금형클램핑기구; 및 금형의 변화를 수반하는 금형 높이디멘션에서의 변화에 다라 상기 이동가능한 금형의 수직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따라서, 존재하는 금형이 높이 디멘션이 다른 금형대신에 교환되는 경우에, 이동가능한 금형의 수직위치는 금형 높이 디멘션에서의 이 차이에 따라 필요한 만큼 조정될 수 이다.
금형클램핑기구와 이 클램핑수단의 조정기구는 단일 유니트로 결합된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런 식으로 양쪽기구에 공통인 부분은 불필요하게 반복되지 않고, 그것으로 인하여 구성요소의 수는 감소되고 그 결과로 비용이 감소될 수 있으며, 유지에 대하여 시스템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램핑 수단은 중공코어를 가져서 분할축(41)은 필요할 때 이 중공코어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제1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장치는 미가공타이어(7)를 성형하기 위한 가황프레스,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성형스테이션내로 미가공타이어를 밀어넣기 위한 타이어로더(27) 및 타이어 가황프레스의 성형스테이션이 밖으로 성형된 타이어를 빼내기 위한 언로더(31)를 포함한다.
제2도에 도시된 타이어 가황프레스는 바닥에 고정된 베이스 프레임(1)(고정된 프레임)을 가진다. 연결봉(3)은 베이스 프레임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장착되고 연결봉의 최상부 말단부는 최상부프레임(5: 이동가능한 프레임)의 중심에서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그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끼워진다.
연결봉(3)은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에 고정된 바닥부의(3a), 베이스프레임(1)으로부터 상향으로 수직 연장된 중간부위(3b) 및 최상부위(3c)로 구성된다. 이것은 또한 최상부위(3c)와 중간부위(3b) 사이에 위치되며, 그 직경이 중간 및 최상부위의 직경보다 작은 홈형상부위(3d)를 포함한다.
한쌍의 하프블록(4)은 이 흠형상부위(3d) 둘레에 장착된다. 이들 하프블록(4)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블록이동수단에 의해서 최상부 프레임(5)의 최상부 표면에 평행인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블록이동수단은 하프블록을 서로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홈형상부위(3d) 둘레의 하프블록을 잠금하고, 하프블록을 서로로부터 떨어지게 이동시킴으로써 홈형상 부위로부터 하프블록을 잠금해제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블록들은 오목한 내부표면을 가지고 있어서, 블록들이 함께 움직일 때 홈형상부위(3d)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의 구멍을 형성한다. 잠금상태에서, 하프블록의 최상부표면과 바닥표면 각각은 최상부위(3c)의 하부표면과 최상부프레임(5)의 상부표면과 접촉하여 최상부 프레임을 연결봉(3)에 고정하며 따라서 베이스프레임(1)에 고정한다.
한쌍의 성형스테이션(39)은 연결봉(3)이 2개 사이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최상부 프레임(5)의 하부면상에 장착한다. 이들 성형스테이션의 각각은 금형 큼램핑기구를 포함하는 클램핑기구(8) 및 금형높이조정기구를 포함한다. 내장 열원을 가지고 있는 상부플래튼(15)은 클램핑기구(8)의 바닥상에 장착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기구(8)은 회전을 못하게 하기 위해서 고정된 중공실린더(9), 실린더의 내부에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누수되지 않게 이 실린더에 끼워진 중공로드(10), 및 로드(10)의 내부를 통하여 통과하도록 배열된 분할축(41)을 포함한다.
공급수단(도시안됨)으로부터 공급된 가압작동유는 실린더에 대하여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실리더(9)와 로드(10)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12)또는 제2 공간(11)중의 어느 하나로 향하게 된다. 작동유가 제2 공간(11)에 공급된다면, 로드(10)는 실린더(9)의 외부로 밀리고 상부 플래튼(15)은 베이스프레임(1)을 향하여 하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부 금형이 소정의 클램핑힘에 의해서 하부금형에(최상부 프레임(5), 연결봉(3) 및 베이스프레임(1)을 통하여) 클램핑된다. 다른 한편으로, 게속해서 작용유가 제1 공간(12)에 공급된다면, 로드(10)는 실린더(9)내로 후퇴되고 클램핑 작동은 해제된다.
클램핑기구를 최상부 프레임(5)상에 지지시키는 높이조정기구는 클램핑기구(8)와 일체화된다. 상세하게는 이 기구는 실린더(9)의 외부표면상에 형성된 수나사(9a)와 최상부 프레임(5)에 형성된 구멍안에서 자유롭게 회전하기 위해서 장착된 너트(13)을 포함하여, 실린더(9)는 이것을 통과한다. 이 너트(13)는 그 내부표면에 형성된 암나사(13a)를 가지고 이 암나사(13a)는 실린더(9)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9a)와 정합한다. 너트(13)의 외부표면부위는 그 위에 형성된 기어(13b)를 가지고, 이 기어(13b)는 최상부 프레임(5)상에서 회전하도록 축선방향으로 장착된 피니언(14)과 체결린다. 기어(13b)는 최상부 프레임(5)의 지지요소(5a)에 의해서 지지되어서 너트(13)는 최상부 프레임(5)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할 수 없다. 너트(13)가 회전될 때 실린더(9)가 수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실린더(9)는 멈춤쇠를 사용하여 회전이 방지된다.
너트(13)가 회전되지 않는다면, 클램핑기구는 암나사(13a)와 수나사(9a)의 맞물림을 통하여 최상부 프레임(5)에 대하여 수직하게 고정된다. 실린더(9)는 최상부 프레임(5)에 대하여 그리고 희망하는 정도의 이동에 상당하는 다수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구동수단(도시안됨)을 통하여 피니언(14)을 회전시킴으로써 희망하는 정도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16)은 상부플래튼(15)의 하부측면에 장착되고, 이 상부금형(16)은 상부플래튼(15)내에 설치된 열원에 의해서 가황조작동안 가열된다. 하부금형(17)은 상부금형(16) 아래에 배열되고, 미가공타이어는 하부와 상부금형이 서로 클램프될 때 상기 금형사이에 형성된 동공내에 삽입된다.
하부금형(17)은 내장 열원을 역시 가지는 하부플래튼(18)에 의하여 베이스프레임(1)에 고정되고, 중심기구(19)의 승강봉(20)은 하부금형(17)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안에 끼워진다. 승강봉(20)은 하부와 상부금형사이의 동공내에 삽입된 미가공타이어의 내부표면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가압되도록 팽창된 블래더(21)을 지지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기구(8)와 상부플래튼(15)을 통하여 상부 금형(16)을 지지하는 최상부프레임(5)은 베이스프레임(1)에 고정된 프레임 승강실린더(6)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 프레임승강 실린더(6)는 연결봉(3)에 평행이 되게 배열되고 실린더로드(6a)의 최상부말단부(6a)는 최상부 프레임(5)의 하부표면에 고정된다.
최상부프레임(5)의 후방면상에는 프레임 안내요소(29)가 장착된다. 이들 프레임 안내요소(29)는 수직이동을 위해서 연결봉(3)의 축선과 평행하도록 수직하게 장착된 프레임 안내레일(30)과 체결된다. 따라서, 최상부프레임(5)은 실린더(6)의 실린더로드(6a)의 연장부를 통하여 연결봉(3)으로부터 이동된 최상부위치(제2도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됨)로 프레임안내레일(30)을 따라 상승될 수 있고, 계속하여 이것이 연결봉(3)상에 다시 한 번 끼워지는 바닥위치로 후퇴하여 프레임 안내레일(30)을 따라 하강할 수 있다.
최상부프레임(5)의 전방면상에는(도면에서의 좌측면) 트롤리상에 밀어넣어진 사전가황처리된 미가공타이어를 상부와 하부금형(16, 17) 사이의 위치로 운반하기 위한 타이어 로더(27)가 장착된다. 이 타이어 로더(27)는 프레임승강슬린더(6)의 작동을 통하여 최상부프레임(5)과 수직하게 이동하도록 설계되고, 최상부 프레임(5)의 전방면상에 장착된 로더안내레일(22), 수직이동을 위해서 로더안내레일(22)과 체결된 로더안내요소(23), 로더안내요소(23)상에 장착된 회전수단(25), 및 회전수단(25)상에 장착된 로더척(26)을 포함한다.
로더안내레일(22)은 연결봉(3)의 축선과 평행하게 장착된다. 로더안내레일(22)과 로더안내요소(23)는 (i) 트롤리(40)상에 위치된 미가공타이어(7)의 수직위치에 대응하는 높이로 로더척(26)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그리고 (ii) 금형교환시에 최상부위치안에 척을 위치시키도록 사용됨으로써 교환조작을 원활하게 한다. 트롤리(40)상에 위치된 미가공타이어(7)의 수직위치에 대응하는 높이로 로더척(26)의 수직위치의 검출은 로더척(26)의 하부측면상에 장착된 리밋스위치에 의해서 실행된다. 로더척의 높이는 리밋스위치가 미가공타이어(7)와 접촉할 때 발생되는 검출신호를 통하여 제어된다. 회전수단(25)은 지지요소(24)를 통하여 로더안내요소(23)에 부착된고, 회전자(25a), 회전자(25a)의 회전축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회전자(25a)에 부착된 축(25b), 및 축(25b)의 바닥상에 장착되고 축(25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25c)을 포함한다.
축(25b)의 중심축선은 연결봉(3)의 중심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장착되고, 미가공타이어를 파지할 수 있는 로더척은 아암(25c)의 말단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술된 구조를 가지는 한쌍의 좌우 타이어로더(27)는 각각이 좌우 성형스테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 최상부 프레임(5)상에 장착된다. 회전자(25a)의 회전작동을 통하여 로더척은 트롤리(40)상에 장착된 미가공타이어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부 및 하부금형(16, 17) 사이의 위치사이의 수평평면에서 아암(25c)과 축(26b)에 의하여 회전된다.
더구나, 제1도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좌우 성형스테이션(39)을 사용하기 위한 한쌍의 좌우 언로더(31)는 최상부 프레임(5)의 후방면(도면에서의 우측면)을 향하여 위치된다. 이들 언로더(31)는 바닥부 및 프레임안내레일(30)에 체결된 수직프레임(32)에 의해서 지지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더(31)는 (i) 수직프레임(32)에 둘다 체결되어 그 축선들이 연결봉(3)에 평행하게 움직이도록 된 언로더 승강실린더(33)와 안내축(34), (ii) 안내축(34)에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지고 언로더 승강실린더(33)의 실린더로드(33a)의 말단부에 부착된 언로더 안내요소(35), (iii) 언로더 안내요소의 어느 한쪽 측면상에 장착된 회전가능한 아암(36) 및 (iv) 각각의 회전가능한 아암(36)의 말단부상에 장착된 언로더척(37)을 포함한다. 수직프레임(32)은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28)도 지지한다. 이 포스트큐어 인프레이터(28)는 서로 단단하게 상하 배열된 상부 타이어 지지부(28a)와 하부 타이어 지지부(28b)를 포함한다. 타이어는 이들 상부 및 하부 타이어 지지부(28a, 28b)중의 하나에 의해서 고정되며, 이때 가압공기가 타이어를 팽창하도록 타이어의 내부로 공급된다.
언로더 안내요소(35)는 언로더 승강실린더(33)의 실린더로드(33a)를 각각 연장 및 수축시킴으로써 안내축(34)을 따라 하강되고 상승된다. 언로더 안내요소(35)의 최상부 위치는 언로더척(37)에 의해서 파지된 미가공타이어가 상부 타이어지지부(28a) 위로 상승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언로더 안내요소(35)의 하부위치는 언로더척(37)에 의해서 파지된 미가공타이어가 팽창-냉각후 마무리된 타이어를 운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타이어 운반부(38)위에 위치되도록 설정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타이어 운반부(38)는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28)와 성형스테이션(39)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아암(36)의 통로를 따라 배열된다. 언로더(31)의 조작은 (a)성형스테이션(39)으로부터 타이어를 빼내는 단계, (b)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28)로 타이어를 운반하는 단계, 그리고 (c) 평창-냉각후 타이어 운반부(38)상으로 타이어를 운반하는 단계의 3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에 타이어로더(27)의 조작이 기술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더안내요소(23)의 수직위치는 로더척(26)의 최하부 위치가 타이어 트롤리(40)상의 타이어의 수직위치에 대한 최적수직위치와 정합되도록 조정된다. 조정이 완료되고 로더안내요소(23)가 로더안내레일(22)에 고정되었을 때, 로더척(26)은 회전수단(25)을 통하여 타이어 트롤리(40) 위의 위치로 회전된다. 그리고 나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 하프블록(4)에 의해서 최상부 프레임(5)은 프레임 승강실린더(6)을 사용하여 하강되고, 이 작동에 의해서 로더척(26)은 이것이 타이어 트롤리(40)상에 위치된 타이어 내부로 삽입되는 위치로 최상부프레임(5)과 함께 하강된다. 로더척(26)은 타이어를 파지하고, 프레임 승강실린더(6)의 작동을 통하여 최상부 프레임(5)과 함께 상승된다. 따라서 상부 금형(16)도 역시 하부 금형(17)위의 위치로 최상부 프레임(5)과 함께 상승된다. 프레임 승강실린더(6)를 사용하는 상승조작은 로더척(26)에 의해서 파지된 미가공타이어가 하부금형(17)보다 더 높은 소정의 수직위치에 도달할 때 정지된다.
다음에 로더척은 회전수단(25)을 사용하여 수평평면에서 회전되어서 미가공타이어(7)는 상부 및 하부금형(16, 17) 사이에 위치된다. 그 다음에 로더척(26)은 프레임 승강실린더(6)를 사용하여 최상부프레임(5)과 함께 하강되어서 로더척(26)에 의해서 파지된 미가공타이어는 하부금형상의 클램핑 위치내로 하강된다.
그 다음에 로더척은 회전수단(25)의 회전과 최상부프레임(5)의 수직이동을 통하여 성형스테이션(39)으로부터 후퇴된다. 그 다음에 최상부프레임(5)은 프레임 승강실린더(6)에 의해서 최하부위치로 하강되고, 그 후 하프블록(4)이 연결봉(3)의 홈형상부위(3d) 둘레에 끼워지도록 서로를 향하여 이동된다. 이 조작을 통하여 최상부프레임(5)은 연결봉(3)에 잠금되어서, 최상부프레임(5)이 연결봉(3)에 의하여 베이스프레임(1)에 효과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제4도와 관련하여, 작동유는 로드(10)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클램핑기구(8)의 제2 공간(11)을 향하게 되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으로 인하여 상부금형(16)은 상부 및 하부금형을 함께 클램프하도록 하부 금형(17)상으로 가압된다. 그 후, 상부 및 하부금형은 가열되고, 상부 및 하부금형 사이의 동공안에 위치된 미가공타이어의 내부표면은 블래더(21)의 작동에 의해서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가압된다. 미가공타이어는 그것으로 인하여 가황된다.
가황의 완료후, 하프블록(4)은 다시 한 번 분리되고, 최상부 프레임(5)은 프레임 승강실린더(6)의 작동에 의해서 상승되고, 그것에 의하여 상부금형(16)은 하부금형(17)으로부터 분리된다. 그 다음 언로더 안내요소(35)는 언로더 승강실린더(33)에 의해서 상부 및 하부금형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는 중간위치로 상승되고, 언로더척(37)은 하부금형(17) 바로 위의 위치로 회전된다.
타이어를 파지한 후, 로더척(37)은 하부금형(17)으로부터 타이어(7)를 제거하고,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28)와 성형스테이션(39) 사이의 중간위치로 회전한다. 그 다음에 언로더척(37)은 언로더 승강실린더에 의해서 포스트큐어 인프레이터(28)의 하부 또는 상부 타이어지지체(28a, 28b)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로 상승된다. 그 다음에 언로더척(37)은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를 향하여 회전되고, 타이어는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의 상부 또는 하부 타이어 지지체상에 장착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의 팽창-냉각조작이 완료될 때, 타이어(7)를 파지하는 언로더척(37)은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28)와 성형스테이션(39) 사이의 위치에서 회전가능한 아암(36)의 통로를 따라 회전되고, 그 후 타이어(7)를 밀어넣기 위하여 타이어 운반부(38)상으로 하강된다.
다음에, 서로 다른 유형의 미가공타이어를 가황하는 경우, 상부 및 하부 금형(16, 17)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금형이 이전의 금형과 다른 높이 디멘션의 금형이면, 피니언(14)을 회전시킴으로써 높이 디멘션의 변화에 따라서 금형의 수직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13)의 암나사(13a)는 실린더(9)의 수나사(9a)와 정합하고, 실린더(9)는 멈춤쇠(도시안됨)에 의해서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피니언(14)을 회전시킴으로써 너트(13)가 회전된다면, 실린더(9)는 수직으로 이동되고 클램핑기구(8)의 수직위치는 새로운 금형의 높이 디멘션에 따라 필요한 만큼 조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가황처리될 사전가황된 미가공타이어(7)는 새로운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스테이션(39)으로 운반되고, 상기 기술된 동일한 방식으로, 함께 클램프된 상부와 하부 금형사이에서 소정의 클램핑힘으로 가황된다.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은 고정된 프레임으로서 채택되고 최상부 프레임은 이 베이스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된다. 그러나, 고정된 프레임으로서 최상부프레임을 채택하고, 이동가능한 프레임으로서 베이스프레임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구나, 연결봉(3)은 고정된 프레임 또는 이동가능한 프레임의 어느 한 쪽에 고정될 수 있고, 이동가능한 프레임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가황프레스는 상기 기술된 실시예와 같이 수직클램핑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수평클램핑 형태일 수도 있다.
연결봉(3)이 고정된 프레임에 고정된다면, 안정한 클램핑상태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봉(3)이 이동가능한 프레임에 고정되고 잠금수단이 고정된 프레임상에 제공된다면, 이동가능한 프레임과 제휴하여 움직일 수 있는 잠금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파이프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구는 단순화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성형스테이션들(39; 즉 클램핑 기구 등)은 연결봉(3)이 이들 사이에서 중앙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배열되었다. 그러나, 연결봉은 상기 한쌍의 성형 스테이션 사이의 어딘가에 위치된다면 정확한 중심위치로부터 편심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실시예와 같은 트윈 성형스테이션 프레스에 제한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의 성형스테이션을 가지고 있는 프레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동가능한 프레임에 연결봉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하프블록 대신에 핀삽입 또는 꼭지쇠 형태의 잠금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구나, 체결된 프레임과 이동가능한 프레임에 각각 연결된 2개의 분리부위를 가지고 있는 분할연결봉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때 이동가능한 프레임은 2개의 분리부위의 말단부와 함께 잠금되어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된다.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로더척의 수평이동은 회전수단(25)을 사용하는 회전 이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수평이동은 신장/수축 이동 등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있다.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클램핑기구(8)는 중공이고 상부 금형(16)과 접촉하도록 그 중간부를 통하여 수직으로 주행하는 분할축(41)을 가진다. 그러나, 분할축(41)을 중심기구(19)에 위치시켜 그 중간부를 통하여 수직으로 주행하여 하부금형(17)과 접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할축(41)을 완전히 없애고 솔리드 클램핑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의 클램핑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6도에 도시된 클램핑기구(50)는 최상부 프레임(5)에 고정된 주공실린더(51)를 포함한다. 이 실린더(51) 내부에는 상부 플래튼(15)이 연결된 중공로드(52)가 배열된다. 이 중공로드(52)와 중공실린더(51)는 그 사이에 제1 공간(55)을 형성한다. 실린더(51) 내부에 끼워진 중공로드(52) 위에는 그 중간부를 통하여 분할축(41)이 주행하는 조정나사(53)와 조정나사(53)와 정합하는 너트(54)가 제공된다. 조정나사(53)는 너트(54)에 의해서 수직이동될 수 있도록 실린더(51)에 고정된다.
상기 기술된 조정나사(53)는 중공로드(52)와 함께 그 사이에는 제2 공간(56)을 형성한다. 이들 제1 및 제2 공간(55, 56)은 작동유공급수단(도시안됨)으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도록 설계된다. 작동유가 제2 공간(56)에 공급된다면, 중공로드(52)는 실린더(51)의 밖으로 밀리고 플래튼은 아래로 가압된다. 이어서 작동유가 제1 공간에 공급된다면, 중공로드(52)는 실린더내로 후퇴되고 플래튼(15)에 작용하는 힘은 해제된다.
수나사(53a)는 조정나사(53)의 상부 좁은 직경부분의 원주표면상에 형성되고, 너트(54)는 이 수나사(53a)와 정합한다. 너트(54)의 하부부위는 실린더(51)내로 자유회전되도록 끼워지고, 너트(54)의 상부분은 실린더(51)의 상부부분을 고정한다. 너트(54)의 최상부 부분의 원주표면상에는 기어가 형성되고 이 기어는 피니언(58)과 체결된다. 피니언(58)이 실린더(51)의 최상부 말단부에서 너트(54)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면 조정나사(53)는 수직으로 이동된다.
금형높이의 수직위치가 조정될 때, 너트(54)는 피니언(58)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된다. 너트(54)는 조정나사(53)의 수나사(53a)와 정합되고, 조정나사(53)는 회전할 수 없도록 체결된다. 따라서 너트(54)가 회전된다면 그 때 조정나사(53)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조정나사(53)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중공로드(52)는 조정나사(53)와 함께 수직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클램핑기구(8)의 수직위치는 새로운 금형의 높이 디멘션에서의 변화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제7도에 도시된 클램핑기구(60)는 최상부 프레임(5)에 고정된 중공실린더(61)를 포함한다. 그 바닥부에 연결된 하부플래튼(15)을 가지고 있는 중공로드(62)는 중공실린더(61)내로 누수되지 않게 끼워진다. 이 중공실린더(61)와 중공로드(62)는 그 사이에 제1 공간(65)을 형성한다.
중공로드(62)의 내주면상에는 금형높이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암나사(62a)가 형성된다. 그 중심을 통하여 수직으로 주행하는 분할축(41)을 가지는 중공조정나사(63)의 수나사(63a)는 암나사(62a)와 정합한다. 중공로드(62)는 조정나사(63) 또는 중공로드(62)중의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나사(63)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중공로드(62)가 회전되는 경우, 중공로드(62)만이 회전되고 플래튼(15)은 회전하지 않아서 중공로드(62)가 플래튼(15)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구조를 채택할 필요가 있다.
상기 기술된 조정나사(63)는 (i) 그 원주표면상에 수나사(63a)가 형성된 큰 직경부위(63b), (ii) 분할축(41)에 평행하게 수직상향으로 연장된 좁은 직경부위(63c) 및 (iii) 큰 직경부위(63b)와 좁은 직경부위(63c)를 연결하는 숄더부위(63d)로 구성된다. 피스톤요소(64)는 숄더부위(63d)의 최상부면과 접촉하고, 이 피스톤요소(64)의 외주면은 중공실린더(61)의 내주면에 누수되지 않게 끼워진다. 피스톤요소(64) 위에는 조정나사와 좁은 직경부위(63c)와 중공실린더(61)의 상부림 사이의 공간을 마감하는 클로징요소(66)가 제공된다. 이 클로징요소(66)는 피스톤요소(64)와 함께 그 사이에 제2 공간(67)을 형성한다.
제1 공간(65)과 제2 공간(67)은 공급수단(도시안됨)으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도록 설계된다. 작동유가 제2 공간(67)으로 향하게 되면 피스톤요소(64)는 조정나사(63)의 벤트부위(63d)에 대하여 하향으로 가압되고, 차례로 조정나사의 수나사(63a)와 정합하는 중공로드(62)는 하향으로 가압됨으로써 플래튼(15)이 일정한 힘으로 하향으로 밀린다. 계속하여 작동유가 제1 공간(65)에 공급되면, 중공로드(62)는 실린더(61)내로 후퇴되고 플래튼(15)에 하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은 해제된다.
금형의 수직위치로 조정하기 위해서 조정나사(63) 또는 중공로드(62)는 회전된다. 조정나사(63)의 수나사(63a)는 중공로드(62a)의 암나사와 정합되어서 조정나사(63)가 회전되면 중공로드(62)는 조정나사(6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직 이동된다. 또한 조정나사의 벤트부위(63d)의 상부표면은 피스톤요소(64)와 접촉함으로써 조정나사(63)의 피스톤의 상부한계는 요소(64)에 의해서 일정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조정나사(63) 또는 중공로드(62)가 회전된다면, 중로드(62)는 최상부 프레임(5)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 상부플래튼에 끼워진 새로운 금형의 높이 디멘션에서의 변화에 따라 중공로드(62)의 수직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8도에 도시된 클램핑기구(70)는 최상부프레임(5)에 고정된 중공실린더(71)를 포함한다. 그 바닥부에 고정된 플래튼(15)을 가지고 있는 중공로드(72)는 이 중공실린더 내부에 끼워진다. 분할축(41)은 이 중공로드(72)를 통하여 수직으로 주행한다. 중공로드의 상부 큰 직경부위(72a)의 원주표면은 실린더(71)의 내주면에 누수되지 않게 끼워진다. 실린더(71)와 중공로드(72)는 함께 큰 직경부위(72a) 아래와 위에 각각 위치된 제1 공간(73)와 제2 공간(74)을 생기게 한다.
이들 제1 및 제2 공간(73,74)은 작동유 공급수단(도시안됨)에 의해서 작동유가 공급되도록 설계된다. 작동유가 제2 공간(74)에 공급되면 실린더(71)의 바깥쪽으로 중공로드(72)를 밀어내도록 힘이 작용하고, 플래튼(15)은 일정한 힘으로 하향으로 가압된다. 이어서 작동유가 제1 공간(73)으로 향하게 되면 중공로드(72)를 실린더(71)내로 상향으로 밀어내도록 힘이 작용하고, 플래튼에 작용하는 하향 가압력은 해제된다.
더구나, 돌출부(71a)는 실린더(71)의 하부부분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볼트(75)는 이 돌출부(71a)내로 나사끼움되어 이것의 축선은 분할축(41)의 축선과 평행하다. 돌출부(71a)의 하향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트(75)의 팁은 플래튼(15)의 최상부와 접촉된다. 볼트(75)의 위치를 조정하여 플래튼(15)의 최상부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실린더(71)에 대한 중공로드(72)의 수직위치는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볼트(75)가 회전하면, 볼트(75)는 수직으로 이동된다. 볼트(75)를 수직 이동시킴으로써 플래튼(15)의 상부한계가 설정될 수 있어서 실린더(71)에 대한 중공로드(72)의 수직위치는 끼워진 새로운 금형의 높이 디멘션에서의 변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클램핑수단(8, 50, 60, 70)은 제1도에 도시된 종류의 타이어 가황프레스에 대하여 이들의 이용에 관하여 모두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들 클램핑수단은 이와 같은 타이어 가황프레스에만 적용되도록 제한되지 않을 뿐아니라, 프레임승강실린더(6)에 의해서 지지되고 수직하게 이동되도록 배열되며 각각의 성형스테이션(39)에 대하여 제공된 잠금기구(42)를 가지고 있는 최상부 프레임(5)을 포함하는 제9도에 도시된 타이어 가황프레스와 같은 다른 형태의 가황프레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컬럼-자물쇠형 또는 돔-자물쇠형 가황프레스와 같은 다른 종류의 가황프레스에서 상기 기술된 클램핑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분리클램핑기구(8,50,60,70)는 각각의 성형스테이션에 제공되었다. 그러나,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블록(4)과 최상부프레임(5)사이에 단일 클램핑기구를 끼우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그래서, 상부와 하부금형은 최상부 프레임(5)에 하향력을 적용하도록 클램핑기구를 사용함으로써 함께 강제로 클램프된다. 이런 방식으로 모든 성형스테이션의 클램핑은 단일 클램핑기구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구성부재의 수는 감소될 수 있고, 비용은 감소되고, 유지보수는 더 단순하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 실시에는 제11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제11도에 있어서, 1은 베이스프레임을, 92는 스탠드 프레임을, 5는 최상부프레임을, 17은 하부금형을, 16은 상부금형을, 18은 하부플래튼을, 15는 상부플래튼을, 89는 상부플래튼 지지체를, 6은 프레임 승강실린더(승강수단)을, 그리고 91은 상부와 하부금형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기구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하부금형은 하부플래튼 지지체(88) 등에 의하여 베이스프레임(1)상의 좌우위치에서 상향면에 지지된다. 유사하게, 한쌍의 상부금형(16)은 상부 플래튼지지체(89)에 의하여 최상부프레임(9)상의 대응하는 좌우위치에서 하향면에 지지된다.
스탠드프레임(92)은 각각 상부(16) 및 하부금형(17)을 포함하는 한 쌍의 성형스테이션 사이의 위치에서 베이스프레임(1)의 후방측면에 고정된다. 안내수단(81)은 최상부프레임(5)과 스탠드 프레임(92) 사이에 제공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안내수단(81)은 그 중심이 최상부프레임(5)의 무게중심과 수직하게 정렬되도록 배열되고, 프레임 승강실린더(6)의 실린더로드(6a)는 최상부프레임이 최상부프레임(5)의 균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프레임승강실린더(6)의 실린더로드(6a)의 수축 및 신장에 의해서 하강 및 상승될 수 있도록 최상부 프레임의 무게중심과 수직하게 정렬되는 지점에서 최상부 프레임(5)에 부착된다.
19는 가열가스 등이 그 내부에 공급되는 블래더를 미가공타이어 내부에 삽입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중심기구를 나타낸다. 92'는 타이어로더 등의 부착을 위해 세워진 스탠드 프레임을 나타낸다.
다음에 안내수단(81)은 제13도와 제14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안내수단(81)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스탠드 프레임(92)상에 장착된 한쌍의 레일(82)과 최상부 프레임(5)의 측면플레이트(5a)에 고정된 가동운반부(83)를 포함한다. 레일(82)의 숄더부분상에는 4개의 홈(85)이 제공되고, 가동운반부(83)의 채널유니트(86)안에는 각각의 루프가 하중베어링 볼(87a) 길이와 릴리프 볼(87b)의 평형배열된 길이를 가지는 4개의 볼열(87)의 루프가 포함된다. 볼은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가동운반부(83)는 홈(85)을 따라 하중베어링 볼(87a) 길이의 굴림작동을 통하여 레일(82)을 따라 움직인다. 하중베어링볼(87a)길이는 4개의 방향 전부로부터 레일(82)의 숄더부위(84)를 둘러싸도록 배열되어서 가동운반부는 높은 정밀도의 미끄럼작동을 달성할 수 있도록 모든 방향으로부터 하중을 지지한다.
전체로서 안내수단(81)은 (i) 가동운반부(83)의 수용채널(86)과 레일(82)의 높은 강도로 인하여, 또한(ii) 볼의 직경과 비슷한 직경의 둥근형태로 레일(82)의 홈(85)이 주어짐으로써 볼과 채널사이에 달성된 라인접촉으로 인하여 높은 수준의 강도를 가진다. 더구나, 이 안내수단(81)에 의해서 가동운반부(83)가 레일(82)에 정확하게 끼워진다는 사실로 인하여 그리고 채널과 볼열사이의 백래시가 소정의 사전하중을 적용함으로써 제거된다는 사실로 인하여 옆으로 어떠한 흔들거리는 작동없이 가동운반부(83)의 정확한 선이동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기술된 타이어가황프레스의 조작이 설명될 것이다. 최상부 프레임(5)은 프레임 승강실린더(6)의 실린더로드(6a)를 상승시킴으로써 상승되어서 상부금형(16)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나서 미가공타이어는 하부금형(17)상의 지정위치안에 배치된다. 그리고 나서 중심기구(19)의 블래더는 타이어 내부에 삽입되고, 블래더가 팽창되어 타이어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동시에, 최상부 프레임(5)은 프레임 승강실린더(6)의 실린더로드(6a)를 수축시킴으로써 하강되어 상부금형(16)이 하부금형(17a)상으로 하강된다. 그러고 나서, 클램핑기구(91)를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각각의 좌우 금형쌍의 상부 및 하부플래튼에 클램핑힘을 적용함으로써 하부 및 상부금형(16, 17)의 강제클램핑을 달성하는 동안에 블래더의 내부로 가열가스를 공급함으로써 가황이 이루어진다. 가황이 완료되면, 최상부프레임(5)은 프레임승강실린더(6)의 실린더로드(6a)를 연장시킴으로써 상승된다. 가황된 타이어를 상부금형(16)으로부터 탈리시키고 하부금형(17)상에 타이어시팅을 남긴다. 타이어 언로더를 사용하여 가황된 타이어를 프레스 외부의 위치로 제거함으로써 가황사이클이 완료되고, 새로운 미가공타이어가 하부금형상에 밀어넣어짐으로써 새로운 가황사이클이 시작된다.
상기 기술된 가황사이클동안 최상부프레임의 상승과 하강은 최상부프레임(5)과 스탠드프레임(92) 사이에 위치된 가동운반부(83)와 레일(82)을 포함하는 안내수단(81)의 사용에 의해서 달성된다. 안내수단(81)은 고정밀도로 구성되기 때문에, 정밀한 센터링과 평행성은 상부 및 하부금형(16,17)의 개폐동안에 실행될 수 있어서 미가공타이어의 성형과 가황된 타이어의 상부 금형으로부터의 탈리는 정확하게 수행되며, 고정밀도로 마무리된 가황타이어를 생산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트윈 동공 가황프레스로 금형의 좌우세트 둘다를 동시에 사용하여 트윈가황을 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금형의 좌우세트의 하나를 사용하여 단일 가황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 하부금형으로부터 타이어를 탈리시킬 때 발생되는 견인력과 미가공타이어의 성형동안 클램핑작동에 대한 반동력은 금형의 세트중 하나에만 작용한다.
예를 들어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력 F가 상부금형(16)에 작용하면 모멘트(F×L)는 안내수단(81)에 작용할 것이다. 여기서 L은 좌우 금형간의 중간지점에 대한 거리이다. 모멘트(f×H)는 이 모멘트(F×L)와 반대이다. 여기서 f는 가동운반부(83)의 하나에 작용하는 반동력이고, H는 상부 및 하부 가동 운반부(83)의 중심간의 거리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프레임에 장착된 2개의 레일(82)이 있고, 이상적으로 이들 레일중의 하나에 의해서 지지되는 하중은 (f×H)/2와 동일하다. 따라서, 가동운반부(83)상의 수평방향의 하중은 상부 및 하부 가동운반부(83) 사이의 거리가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여, 크기를 무분별하게 증가시킬 필요없이 적당한 크기의 레일(82)과 가동운반부(83)를 선택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승강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한쌍의 레일(82)을 사용함으로써 정밀한 승강조작은 더 확실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플래튼지지체(88, 89)의 측면과 이들 사이에 위치된 기구는 상부 및 하부금형(16, 17)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기구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신축가능하게 함께 폐쇄될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돔 내부에서 상부 및 하부금형의 강제클램핑이 달성되는 돔-자물쇠형 프레스에 동일한 효과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제로, 어떠한 형태의 클램핑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구나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유압실린더는 승강수단으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결합형태수단등과 같은 기계적 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최상부 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해서 사용된 유압실린더는 양호한 균형을 유지하도록 금형의 좌우세트 사이의 중심에 위치된다고 기재되었다. 그러나, 레일(82)과 가동운반부(83)를 포함하는 선이동 안내부의 강도에 의해서 제한되는 범위에서 이 중심 위치에서 편심된 지점에 실리더를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5)

  1. 함께 클램프되는 이동가능한 금형과 고정된 금형사이에서 미가공타이어가 성형되는 복수의 성형스테이션을 가지는 타이어 가황프레스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황프레스는, 상기 가황 프레스는 상기 성형스테이션의 상기 고정된 금형을 지지하는 고정된 프레임; 상기 성형스테이션의 상기 이동가능한 금형을 지지하는 이동가능한 프레임; 상기 고정된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이동가능한 프레임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가수단; 상기 이동가능한 프레임에 상기 고정된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성형스테이션 사이에 배열된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고정된 프레임에 상기 이동가능한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함 잠금수단; 및 상기 고정된 금형에 상기 이동가능한 금형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타이어 가황프레스 외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된 금형과 이동가능한 금형사이의 소정의 위치로 미가공타이어를 밀어넣기 위한 타이어로더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타이어로더는 미가공타이어를 파지하기 위한 척수단; 및 상기 수단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이동가능한 프레임상에 장착된 수평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수단은 그것에 대하여 수직이동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가능한 프레임상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스테이션 사이에 배열된 안내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수단은 수직하게 장착되고 그 위에 형성된 홈을 가지고 있는 레일; 및 상기 이동가능한 프레임에 부착된 적어도 2개의 가동운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운반부는 상기 레일의 상기 홈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그 안에 장착된 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레일은 서로 평행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타이어 가황프레스 외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된 금형과 이동가능한 금형사이의 소정의 위치로 미가공타이어를 밀어넣기 위한 타이어로더와 상기 성형스테이션 사이에 배열된 안내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타이어로더는 미가공타이어를 파지하기 위한 척수단과 상기 척수단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이동가능한 프레임상에 장착된 수평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수단은 수직하게 장착되고 그위에 형성된 홈을 가지고 있는 레일; 및 상기 이동가능한 프레임에 부착된 적어도 2개의 가동운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운반부는 상기 레일의 상기 홈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그 안에 장착된 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시스템.
  7.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클램핑 수단이 각각의 성형스테이션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중공코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나머지에 대하여 상기 고정된 금형을 향하여 상기 이동가능한 금형을 강제로 가압하기 위한 클형클램핑기구; 및 금형의 변화를 수반하는 금형 높이디멘션에서의 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가능한 금형의 수직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클램핑기구와 조정기구는 단일유니트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시스템.
  11.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이동가능한 프레임상에 또는 상기 고정된 프레임상의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성형스테이션 사이에 직접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시스템.
  13.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상기 복수의 성형스테이션중의 하나로부터 타이어를 빼내는 조작, (ii) 고정된 타이어 지지체를 가지고 있는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로 타이어를 운반하는 조작, 그리고 (iii) 포스트큐어 인플레이터로부터 운반수단으로 타이어를 운반하는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타이어 언로더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시스템.
  14. 한쌍의 상부 및 한부의 금형; 상기 상부금형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한쌍의 상부 및 하부금형을 개폐하기 위한 상부금형승강수단; 및 타이어척과 수평평면에서 상기 타이어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타이어로더를 포함하고 있으며, 수평평면에서 상기 타이어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상부 금형승강수단에 부착되어서 수평평면에서 상기 타이어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상부금형승강수단의 작동을 통하여 수직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프레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수평평면에서 상기 타이어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은 그것에 대하여 수직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금형승강수단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프레스.
KR1019950013007A 1994-05-24 1995-05-24 타이어 가황 시스템 KR0155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35192A JP2862795B2 (ja) 1994-05-24 1994-05-24 タイヤ加硫機
JP94-135192 1994-05-24
JP94-138301 1994-05-26
JP13830194A JP2896082B2 (ja) 1994-05-26 1994-05-26 タイヤ加硫機の締付機構
JP94-137938 1994-05-27
JP6137938A JP2825218B2 (ja) 1994-05-27 1994-05-27 タイヤ搬送ロー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437A KR950031437A (ko) 1995-12-18
KR0155224B1 true KR0155224B1 (ko) 1998-12-01

Family

ID=2731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007A KR0155224B1 (ko) 1994-05-24 1995-05-24 타이어 가황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83726A (ko)
EP (1) EP0684126B1 (ko)
KR (1) KR0155224B1 (ko)
CN (1) CN1062809C (ko)
CZ (1) CZ132595A3 (ko)
DE (1) DE69522043T2 (ko)
MY (1) MY130584A (ko)
TW (1) TW2606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284092B6 (cs) * 1997-08-08 1998-08-12 Škoda Ts A.S. Zařízení pro výškové stavění upínací desky
CZ284291B6 (cs) * 1997-09-24 1998-10-14 Škoda Ts A.S. Odebírací zařízení vulkanizačního lisu
DE19846540A1 (de) * 1998-10-09 2000-04-13 Thyssen Krupp Ag Führung der Führungssäule einer Reifenheizpresse
JP4246862B2 (ja) * 1998-11-20 2009-04-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
WO2000066336A1 (fr) * 1999-04-30 2000-11-0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Installation de vulcanisation de pneus, ouverture/fermeture de cette installation, et postes de vulcanisation
ES2379802T3 (es) * 2001-08-10 2012-05-03 Bridgestone Corporation Método de fabricación de cubiertas para usarse en un sistema de vulcanización de cubiertas
US6908584B2 (en) * 2002-08-16 2005-06-21 John R. Cole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a tire vulcanizing press
ES2293812B2 (es) * 2003-08-07 2010-02-18 John R. Cole Aparato y metodo para bloquear una prensa de vulcanizacion de cubiertas.
CN1935486B (zh) * 2006-09-08 2010-12-15 管利斌 一种橡胶硫化结帮机及其制鞋工艺
KR100773343B1 (ko) * 2006-11-20 2007-11-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용 금형
JP4969274B2 (ja) * 2007-03-12 2012-07-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左右独立作動式コラム型加硫機
KR101322675B1 (ko) * 2008-08-12 2013-10-30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몰드 툴링을 갖는 몰드
CN101585218B (zh) * 2009-07-03 2011-09-28 江苏华瑞重工机械有限公司 平移硫化机
CN102189628B (zh) * 2009-07-03 2013-08-28 江苏华瑞重工机械有限公司 装卸胎装置
CN101722601B (zh) * 2009-11-26 2012-07-25 桂林橡胶机械厂 轮胎硫化机装卸胎机构
JP4939661B1 (ja) * 2011-02-25 2012-05-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およびその輸送・梱包方法
JP5725907B2 (ja) * 2011-02-25 2015-05-27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
CN102490295B (zh) * 2011-12-23 2013-10-30 桂林橡胶机械厂 平移式液压轮胎定型硫化机
CN102632570B (zh) * 2012-03-29 2016-01-27 台州弗德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硫化机及其硫化方法
JP5968249B2 (ja) * 2013-02-22 2016-08-10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タイヤ加硫機
US8777600B1 (en) * 2013-06-25 2014-07-15 Superior Star Engineering Co., Ltd. Hydraulic curing system
CN104760172B (zh) * 2014-01-02 2017-08-25 华澳轮胎设备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新型多模结构的液压式轮胎硫化机
DE102016003071A1 (de) * 2015-05-28 2016-12-01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Schließkrafteinheit
DE102016007645A1 (de) * 2016-06-21 2017-12-21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Handhabungsvorrichtung für Reifen
CN112192869B (zh) * 2020-09-14 2022-06-21 杭州朝阳橡胶有限公司 一种紧凑型全钢轮胎硫化车间布局
CN113665151B (zh) * 2021-09-22 2024-09-10 福建省益震科技有限公司 一种内胎自动硫化机及其工作方法
CN114619694B (zh) * 2022-01-26 2024-07-12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轮罩胎模自动切换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5251A (en) * 1975-11-06 1977-05-24 Nrm Corporation Vulcanizer lock means
JPS5912827B2 (ja) 1976-05-26 1984-03-26 清水建設株式会社 塔状建造物の解体工法および解体用足場装置
US4390334A (en) * 1980-04-09 1983-06-28 Nrm Corporation Hydraulic tire press
US4338069A (en) * 1980-04-09 1982-07-06 Nrm Corporation Tire press
JPS5912827A (ja) * 1982-07-13 1984-01-23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プレス
JPS59138432A (ja) 1983-01-27 1984-08-08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のモ−ルド締付装置
IN167091B (ko) * 1985-03-11 1990-09-01 Kobe Steel Ltd
US4725212A (en) * 1986-08-04 1988-02-16 Nrm Corporation Tire curing press and loader
US4744739A (en) * 1987-02-02 1988-05-17 Nrm Corporation Tire curing press
JPH0674157B2 (ja) * 1987-07-17 1994-09-21 旭硝子株式会社 プリント層焼付け曲板ガラスの製造方法
JPH01221207A (ja) * 1988-02-29 1989-09-04 Kobe Steel Ltd タイヤプレス
US4921412A (en) * 1988-10-11 1990-05-01 Scantland Industries, Inc. Tire curing press
JPH072332B2 (ja) * 1991-05-08 1995-01-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プレス
JPH04358808A (ja) * 1991-06-05 1992-12-11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プレス
JP2505675B2 (ja) * 1992-01-24 1996-06-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プレス
EP0589050A1 (en) * 1992-03-24 1994-03-30 Kabushiki Kaisha Kobeseikosho Tire vulcanizing press
US5447424A (en) * 1993-10-29 1995-09-05 National Feedscrew & Machining, Ind. Inc. Cross beam lock for tire p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84126A2 (en) 1995-11-29
MY130584A (en) 2007-06-29
EP0684126B1 (en) 2001-08-08
CN1127699A (zh) 1996-07-31
DE69522043T2 (de) 2002-05-29
CZ132595A3 (en) 1996-01-17
CN1062809C (zh) 2001-03-07
EP0684126A3 (en) 1996-03-20
TW260636B (en) 1995-10-21
US5683726A (en) 1997-11-04
KR950031437A (ko) 1995-12-18
DE69522043D1 (de) 200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5224B1 (ko) 타이어 가황 시스템
US4332536A (en) Hydraulic tire press
KR900001908B1 (ko) 타이어 가황기
KR20120115216A (ko) 타이어의 가류 장치
WO2014054416A1 (ja) タイヤの加硫方法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US5445508A (en) Vulcanizing mold setting apparatus
JP4138153B2 (ja) タイヤ金型のセグメント駆動装置
US5656303A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JP5069636B2 (ja) タイヤ加硫プレス
CN111976179A (zh) 多层多模轮胎硫化机及其生产工艺
JP4490916B2 (ja) タイヤの加硫方法及び同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加硫機
US10449741B2 (en) Rigid core mold removal devic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JP3404189B2 (ja) タイヤ加硫装置
CN212528786U (zh) 多层多模轮胎硫化机
CN212948716U (zh) 新型橡胶履带硫化机
US6343917B1 (en) Center mechanism of tire press
KR0168511B1 (ko)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
CN107379352B (zh) 硫化装置外模、内模、硫化装置以及多工位硫化装置
JP3865503B2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装置の金型交換方法並びにタイヤ加硫方法
CN86100360A (zh) 装配于硫化压机中用来对拟取下之轮胎进行定心的装置
JP2898919B2 (ja) タイヤ加硫機
JP2002337148A (ja)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加硫システム
JP4623881B2 (ja) タイヤ加硫システム
JP2000334741A (ja) 金型交換装置及び金型交換方法
JP4623882B2 (ja) タイヤ加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