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77328A1 -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77328A1
WO2019177328A1 PCT/KR2019/002821 KR2019002821W WO2019177328A1 WO 2019177328 A1 WO2019177328 A1 WO 2019177328A1 KR 2019002821 W KR2019002821 W KR 2019002821W WO 2019177328 A1 WO2019177328 A1 WO 20191773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oxide
titanium composite
lithium titanium
particles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28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수봉
강춘구
김정한
이재안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79078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WO2019177328(A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케미칼 filed Critical (주)포스코케미칼
Priority to CN201980019243.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867978A/zh
Priority to JP2020547173A priority patent/JP7145225B2/ja
Priority to EP19768665.2A priority patent/EP3766837A4/en
Priority to US16/979,958 priority patent/US20210020930A1/en
Publication of WO20191773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773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03Titanates
    • C01G23/005Alkali tita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8Inhibitors, e.g. gassing inhibitors, corrosion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 C01P2002/54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one element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0Agglomerated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1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C01P2004/82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 C01P2004/84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one phase coated with the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1Powder tap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comprising a primary particle coated with aluminum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nonaqueous electrolyte cells Various properties are required for nonaqueous electrolyte cells depending on the use of the cell. For example, a discharge under a current of about 3 C is expected when a nonaqueous electrolyte cell is used in a digital camera, and a discharge under a current of at least about 10 C is expected when used in a vehicle such as a hybrid electric vehicle. In view of such a situation, a high current property is particularly required for the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ed in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field.
  • lithium titanium oxide has been researched as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to replace carbon, lithium titanium oxide has little volume change during charge and discharge,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and relatively high of 1.5 V (vs Li + / Li) Due to the potential, there is no safety problem such as not forming a dendrite even during overcharging and decomposing the electrolyte, which is advantageous for high speed and low temperature operating conditions.
  • Lithium Titanium Oxide (Li 4 Ti 5 O 12 , LTO) material has the disadvantage that its operating voltage is 1.3 ⁇ 1.6 V, which is higher than conventional carbon-based anode material and its reversible capacity is as small as 170 mAh / g. It is possible that there is almost no irreversible reaction (over 95% of initial efficiency), and the heat of reaction is very low, so the safety is excellent.
  • the theoretical density is about 2 g / cm 3
  • Li 4 Ti 5 O 12 has a theoretical density of about 3.5 g / cm 3, which has a capacity per volume similar to that of a carbon material.
  • the LTO manufacturing method examples include a solid phase method, a semi-solid method, and a sol-gel method.
  • the semi-solid method is a method of preparing an LTO by mixing a solid phase reaction raw material and then slurrying it. If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including many processes such as heat treatment and second milling, and the process steps are not properly controlled,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LTO having desired physical properties and it is difficult to remove impurities from the LTO. have.
  • LiOH and / or Li 2 CO 3 is used as the lithium compound.
  • the lithium compound when used, the amount of residual lithium present in the form of LiOH and Li 2 CO 3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high.
  • Such residual lithium that is, unreacted LiOH and Li 2 CO 3 reacts with the electrolyte and the like in the battery, causing gas generation and swelling,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severely deteriorating high temperature safety.
  •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thium titanium composite comprising aluminum-coated primary particles of a novel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the generation of gas by coating the primary particles of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with a dissimilar meta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oxid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aim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comprising aluminum coated primary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comprising an aluminum coated primary particle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condary particles formed by aggregation of a plurality of primary particles, and the size of the secondary particles is characterized in that 7 to 20 um.
  •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dual lithium is 2,000 ppm or less.
  •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nsity of the rutile titanium dioxide peak compared to the LTO main peak is within 3%, and the intensity of the anatase type titanium dioxide peak compared to the LTO main peak is within 1%.
  •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ultrasonic waves.
  •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secondary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hanges to primary particles during electrode produc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de including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primary particles having a D50 of 1.0 to 4.0 um pulverized from the secondary particles of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 ii) dispersing the solid mixture of i) in a solvent and wet grinding until it contains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 m to 0.2 ⁇ m to prepare a slurry;
  • the dissimilar metal compound is a zirconium compound.
  • the aluminum compou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luminum sulfate.
  • the fir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treatment for 10 to 20 hours at 700 to 800 °C.
  • the heat treatment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treatment for 10 to 20 hours at 400 to 500 °C.
  •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including the aluminum-coated primary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grinded after the production of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and mixed with the aluminum compound and spray-dried again to spray-dry as the primary particles are coated with aluminum.
  • a battery comprising a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comprising aluminum-coated primary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decomposition of the electrolyte by the titanium ions of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and the generation of gas caused by residual lithium. .
  •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hange in particle size with the wet grinding time.
  •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SEM photograph of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before firing.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SEM photograph of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after firing.
  •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SEM photograp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after firing.
  •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SEM photograph of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pulverized after firing.
  • FIG. 6 is a SEM photograph of an electrode made of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particle 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ultrasonic application after firing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prepared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Zirconia bead particles used in wet milling in Example 1 and slurry particle size according to wet milling time were measured and shown in FIG. 1.
  • Zirconium and wet grinding time was adjusted to prepare a slurry by varying the particle size,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prepared slurry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secondary particles prepared using the slurry are shown in Table 1 below.
  • Example 1 SEM pictures of lithium titanium oxide before firing and lithium titanium oxide after firing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2 and 3.
  • Example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le size of the slurry prepared in Example 1 and the primary particle size of the active material prepared therefrom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2 and FIG. 4 below.
  •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of SP-1 to SP-5 prepared in Example 1 was ground.
  • Example 2 Aluminum sulfate was mixed as an aluminum compound, mixed with water as a solvent, stirred, and the primary particles were coated with aluminum.
  • the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 was used a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lithium foil was used as the counter electrode, and the porous polyethylene membrane (manufactured by Celgard ELC, Celgard 2300, thickness: 25 ⁇ m) was used as a separator, and ethylene carbonate Electrode and coin battery were prepared according to a commonly known manufacturing process using a liquid electrolyte solution in which 1 mol of LiPF6 was dissolved in a solvent mixed with dimethyl carbonate in a volume ratio of 1: 2.
  • the ultrasonic wave was applied to measure the particle chang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ultrasonic applicat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7 and 11. .
  •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battery including the particles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2 be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은 리튬티탄 복합 산화물 제조 후 재분쇄한 입자를 알루미늄 화합물과 혼합하고 다시 분무 건조하여 2차 입자를 제조함으로써 1차 입자가 알루미늄으로 코팅됨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을 포함하는 전지는 종래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의 티탄 이온에 의한 전해액 분해, 잔류리튬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스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지의 용도에 따라 비수성 전해질 전지에 다양한 성질들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비수성 전해질 전지가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될 때 약 3C의 전류 하에서 방전이 예상되고,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사용될 때 적어도 약 10C의 전류 하에서의 방전이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면, 상기 예시한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비수성 전해질 전지에 고전류 성질이 특히 요구된다.
현재 상용화된 리튬 이차전지의 대부분은 음극물질로 탄소 재료를 사용하고 있는데 탄소는 전자전도도가 우수하고, 용량이 높은 장점이 있지만, 열에 불안정하고, 전해질과 호환성이 낮으며, 전극표면에 수지상을 쉽게 형성하는 등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자동차에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리튬티탄산화물(LTO)이 탄소를 대체할 음극 물질로 많이 연구되고 있는데, 리튬티탄산화물는 충방전시에 체적변화가 거의 없어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1.5 V (vs Li+/Li)의 비교적 높은 전위로 인해 과충전시에도 수지상을 형성하지 않고, 전해질을 분해시키는 등의 안전문제가 없어, 고속 저온작동조건에 유리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리튬티탄산화물(Li 4Ti 5O 12, LTO) 물질은 작동 전압이 1.3 ~ 1.6 V로 기존의 탄소계 음극재에 비해 높고 가역 용량은 170 mAh/g정도로 작다는 단점이 있으나, 고속 충방전이 가능하고 비가역 반응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초기 효율 95%이상), 반응열이 매우 낮아 안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소 재료의 경우 이론 밀도가 약 2 g/cm 3 정도로 낮으나 Li 4Ti 5O 12는 이론 밀도가 3.5 g/cm 3 정도로 높아 부피당 용량은 탄소 물질과 유사한 수준이다.
이러한 LTO의 제조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고상법, 준고상법 및 졸겔법이 있으며, 이중 준고상법은 고상의 반응 원료들을 혼합한 후 슬러리화하여 LTO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건조, 제1 분쇄, 열처리 및 제2 분쇄 등의 많은 공정을 포함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각 공정 단계를 적절하게 제어하지 못할 경우에는 원하는 물성을 갖는 LTO를 제조하기가 어려우며 LTO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때 상기 리튬 화합물로는 LiOH 및/또는 Li 2CO 3가 사용되나, 이와 같은 리튬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양극활물질 표면에 LiOH, Li 2CO 3 형태로 존재하는 잔류 리튬량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잔류 리튬 즉, 미반응 LiOH 및 Li 2CO 3는 전지 내에서 전해액 등과 반응하여 가스 발생 및 스웰링(swelling) 현상을 유발함으로써, 고온 안전성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한, LTO 내의 Ti 가 전해액과 반응하여 아래 경로를 통해 가스를 발생시킨다는 점이 최근 문제가 되고 있다.
Figure PCTKR2019002821-appb-img-0000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튬티탄복합산화물의 1차 입자를 이종 금속으로 코팅함으로써 가스 발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산화물은 복수개의 1차 입자가 응집되어 형성되는 2차 입자이고, 상기 2차 입자의 크기는 7 내지 20 u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산화물은 잔류 리튬이 2,000 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지 내에서 잔류 리튬 즉, 미반응 LiOH 및 Li 2CO 3와 전해액 등과의 반응에 따른 가스 발생 및 스웰링(swelling) 현상 유발은 전지의 고온 안전성을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은 전지 내의 잔류 리튬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지 내의 가스 발생양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전지의 고온 안정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본원 표 11 참조).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산화물은 LTO 주피크 대비 루타일형 이산화티탄 피크의 강도가 3% 이내이며, LTO 주피크 대비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 피크의 강도가 1%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산화물은 초음파 인가에 따라 입도 분포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산화물 2차 입자는 전극 제조 시 1차 입자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입도를 분석하기 위해 초음파를 인가하여 초음파 인가 유무에 따른 입도 변화를 확인한 결과, 초음파 전의 입도보다 초음파 후의 입도가 작아지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이용하여 전극 제조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이 2차 입자 형태가 아닌 1차 입자 형태로 변화하여 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본원 도 7 참조).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극은 상기 리튬티탄 복합 산화물의 2차 입자로부터 분쇄된 D50 이 1.0 내지 4.0 um 인 1차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i) 리튬 함유 화합물, 티탄 산화물, 이종금속 화합물을 양론비로 고상 혼합하는 단계;
ii) 상기 i)의 고상 혼합물을 용매에 분산시키고 0.1 ㎛ 내지 0.2 ㎛ 의 평균입자 직경을 갖는 입자를 함유할 때까지 습식 분쇄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iii) 상기 슬러리를 분무건조하여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iv) 상기 분무건조된 입자를 소성하는 단계;
v) 상기 소성된 입자를 분쇄하는 단계;
vi) 상기 분쇄된 입자와 알루미늄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산시키고 교반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vii)분무 건조하는 단계: 및
viii)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종금속 화합물은 지르코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화합물은 황산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성 단계에서는 700 내지 800 ℃ 에서 10 내지 20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에서는 400 내지 500 ℃ 에서 10 내지 20 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은 리튬티탄 복합 산화물 제조 후 재분쇄하고, 분쇄된 입자를 알루미늄 화합물과 혼합하여 다시 분무 건조함으로써 1차 입자가 알루미늄으로 코팅됨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을 포함하는 전지는 종래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의 티탄 이온에 의한 전해액 분해, 잔류리튬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스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습식 분쇄시간에 따른 입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소성 전 리튬티탄복합 산화물의 SEM 사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소성 후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SEM 사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소성 후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단면의 SEM 사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소성 후 분쇄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SEM 사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리튬 티탄 복합산화물로 제조된 전극의 SEM 사진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소성 후 초음파 인가 유무에 따른 입자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입자의 SEM 사진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출발물질로서 탄산리튬 1 몰과 아나타제형 산화티탄 1몰 및 수산화지르코늄 1 몰을 고상 혼합하고, 물에 교반하며 용해하였다. 이어서 지르코니아 비드를 사용하여 3000 rpm 으로 습식 분쇄한 후, 열풍 온도를 250℃, 배기 열풍 온도를 110 ℃로 분무건조하고, 700~800℃ 공기 분위기하에서 10~20시간 동안 열처리함으로써 이종 금속으로서 Zr 이 도핑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습식 분쇄 시간에 따른 입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습식 분쇄시 사용된 지르코니아 bead 입자 및 습식 분쇄 시간에 따른 슬러리 입자 크기를 측정하고 도 1 에 나타내었다.
지르코늄과 습식 분쇄 시간을 조절하여 입도를 다르게 하여 슬러리를 제조하고, 제조된 슬러리의 입도 및 이와 같은 슬러리를 이용하여 제조된 2차 입자의 입도 분포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2821-appb-img-000002
상기 실시예 1에서 소성전 리튬 티탄 산화물 및 소성후 리튬 티탄 산화물의 SEM 사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슬러리의 입도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활물질의 1차 입자 크기와의 관계를 측정하고 아래 표 2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2 내지 도 4 및 상기 표 2 에서 슬러리 입도에 따라 소성 전 2차 입자에서 1차 입자 및 소성 후 2차 입자에서의 1차 입자의 형상 및 크기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2821-appb-img-000003
< 실험예 > 입자 단면 SEM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소성된 리튬 티탄 산화물 단면의 SEM 사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슬러리 입도가 0.54 인 SPL-1 보다 슬러리 입도가 0.1 인 SPL-1 의 경우 1차 입자 크기가 최소화 되면서 균일하게 혼합되고, 이에 따라 열처리시 이산화탄소가 빠져나가면서 만들어지는 pore 가 매유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2> 1차 입자로 분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SP-1 내지 SP-5의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분쇄하였다.
SP-1 내지 SP-5 각각의 입자에 대한 분쇄후 입도 분포를 측정하고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2821-appb-img-000004
분쇄된 입자의 SEM 사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3> 1차 입자가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분쇄된 슬러리에 알루미늄 화합물로서 황산알루미늄을 혼합하고 용매로서 물에 혼합하고 교반하며 1차 입자를 알루미늄으로 코팅하였다.
열풍 온도를 250℃, 배기 열풍 온도를 110 ℃로 분무건조하여 다시 2차 입자로 재응집시키고, 450 ℃ 공기분위기하에서 10시간 동안 열처리함으로써 1차 입자가 알루미늄으로 표면 처리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알루미늄 코팅 함량에 따른 물리적 특성 확인
상기 실시예 3에서 첨가되는 황산알루미늄의 코팅 함량에 따른 물리적특성을 측정하고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2821-appb-img-000005
< 실시예 4>
열처리 온도를 450 ℃ 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입자를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2821-appb-img-000006
< 실험예 >
열처리 온도를 475 ℃ 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입자를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2821-appb-img-000007
< 실험예 > 열처리 온도에 따른 물성 측정
열처리 온도를 500 ℃ 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입자를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2821-appb-img-000008
< 실험예 > 열처리 온도에 따른 물성 측정
열처리 온도를 525 ℃ 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입자를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2821-appb-img-000009
< 실험예 > 열처리 온도에 따른 물성 측정
열처리 온도를 550 ℃ 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입자를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9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2821-appb-img-000010
< 실험예 > 알루미늄 함량에 따른 물성 측정
< 실험예 > 기체 발생량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복합산화을 전해액(PC/EMC/DMC=2/2/6, LiPF6=1.0M) 4ml에 함침 후 80℃ 에서 2주간 보관한후 가스 발생양을 분석하고 아래 표 10에 나타내었다.
< 제조예 > 전극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양극활물질로 하고, 리튬 호일을 상대 전극으로 하며, 다공성 폴리에틸렌막(셀가르드 엘엘씨 제, Celgard 2300, 두께: 25㎛)을 세퍼레이터로 하고,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메틸 카보네이트가 부피비로 1:2로 혼합된 용매에 LiPF6 1몰 농도로 녹아 있는 액체 전해액을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제조공정에 따라 전극 및 코인 전지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SEM 사진 측정
제조된 전극의 SEM 사진을 측정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 1차 입자가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입도 변화 분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1차 입자가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소성 후, 초음파를 인가하여 초음파 인가 유무에 따른 입자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 및 표 1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2821-appb-img-000012
< 실험예 > 전기화학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입자들을 포함하는 전지의 전기 화학 특성을 측정하고 아래 표 1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9002821-appb-img-000013

Claims (14)

  1.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탄 복합산화물은 복수개의 1차 입자가 응집되어 형성되는 2차 입자이고, 상기 2차 입자의 크기는 7 내지 20 um 인 것인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탄 복합산화물은 잔류 리튬이 2,000 ppm 이하인 것인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탄 복합산화물은 LTO 주피크 대비 루타일형 이산화티탄 피크의 강도가 3% 이내인 것인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탄 복합산화물은 LTO 주피크 대비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 피크의 강도가 1% 이내인 것인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탄 복합산화물은 초음파 인가에 따라 입도 분포가 변하는 것인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탄 복합산화물 2차 입자는 전극 제조 시 1차 입자로 변하는 것인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극.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리튬티탄 복합 산화물의 2차 입자로부터 분쇄된 D50 이 1.0 내지 4.0 um 인 1차 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전극.
  10. i) 리튬 함유 화합물, 티탄 산화물, 이종금속 화합물을 양론비로 고상 혼합하는 단계;
    ii) 상기 i)의 고상 혼합물을 용매에 분산시키고 0.1 ㎛ 내지 0.2 ㎛ 의 평균입자 직경을 갖는 입자를 함유할 때까지 습식 분쇄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iii) 상기 슬러리를 분무건조하여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iv) 상기 분무건조된 입자를 소성하는 단계;
    v) 상기 소성된 입자를 분쇄하는 단계;
    vi) 상기 분쇄된 입자와 알루미늄 화합물의 혼합물을 용매에 분산시키고 분쇄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vii)분무 건조하는 단계: 및
    viii)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금속 화합물은 지르코늄 화합물인 것인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화합물은 황산알루미늄인 것인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의 제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단계에서는 700 내지 800 ℃ 에서 10 내지 20 시간 동인 열처리하는 것인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의 제조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에서는 400 내지 500 ℃ 에서 10 내지 20 시간 동인 열처리하는 것인
    알루미늄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의 제조 방법.
PCT/KR2019/002821 2018-03-12 2019-03-12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177328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19243.0A CN111867978A (zh) 2018-03-12 2019-03-12 包含涂敷有铝的一次粒子的锂钛复合氧化物及其制备方法
JP2020547173A JP7145225B2 (ja) 2018-03-12 2019-03-12 アルミニウムでコーティングされた一次粒子を含むリチウムチタン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19768665.2A EP3766837A4 (en) 2018-03-12 2019-03-12 LITHIUM-TITANIUM COMPOSITE OXIDE COMPRISING ALUMINUM-COATED PRIMARY P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IT
US16/979,958 US20210020930A1 (en) 2018-03-12 2019-03-12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comprising aluminum-coated primary part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28A KR102090572B1 (ko) 2018-03-12 2018-03-12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8-0028828 2018-03-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7328A1 true WO2019177328A1 (ko) 2019-09-19

Family

ID=6790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2821 WO2019177328A1 (ko) 2018-03-12 2019-03-12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20930A1 (ko)
EP (1) EP3766837A4 (ko)
JP (1) JP7145225B2 (ko)
KR (1) KR102090572B1 (ko)
CN (1) CN111867978A (ko)
WO (1) WO20191773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57149A (ja) * 2020-09-30 2022-04-1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867B1 (ko) * 2020-11-19 2021-01-08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양극활물질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1038A (ko) *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이종 금속이 도핑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이종 금속이 도핑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KR20140137720A (ko)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이종 금속이 도핑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이종 금속이 도핑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KR20150071831A (ko) * 2013-12-19 2015-06-29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KR20160045029A (ko) * 2014-10-15 2016-04-26 주식회사 포스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7095074A1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티타늄계 복합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2118B2 (ja) * 1993-03-17 2004-03-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負極の製造法
JP2001155729A (ja) * 1999-11-24 2001-06-08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該正極活物質を用いた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
KR101166281B1 (ko) * 2007-08-24 2012-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이 피복된 리튬티탄산화물 분말, 이를 구비한 전극, 및이차전지
CA2760985A1 (en) * 2009-05-26 2010-12-02 Ishihara Sangyo Kaisha, Ltd. Lithium titanate comprising secondary particles
DE102011012713A1 (de) * 2011-03-01 2012-09-06 Süd-Chemie AG Lithium-Titan-Mischoxid
CN102376947B (zh) * 2011-10-26 2013-03-27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股份公司 一种氧化铝包覆纳米钛酸锂复合材料的制备方法
JP5694208B2 (ja) 2012-01-19 2015-04-01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用負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電池パック
JP5497094B2 (ja) * 2012-03-29 2014-05-21 太陽誘電株式会社 リチウムチタン複合酸化物、それを用いた電池用電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785266B1 (ko) * 2013-01-18 2017-1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복합양극활물질, 이를 채용한 양극 및 리튬전지, 및 그 제조방법
EP2846381B1 (en) * 2013-05-07 2018-02-28 LG Chem,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secondary battery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US9771273B2 (en) * 2013-08-30 2017-09-26 Ube Industries, Ltd. Lithium titanate powder, active material, and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JP5790894B1 (ja) 2014-05-21 2015-10-07 宇部興産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電極用チタン酸リチウム粉末、及び活物質材料、並びにそれ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
JP6625821B2 (ja) 2015-04-23 2019-12-25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金属化合物粒子群、金属化合物粒子群を含む蓄電デバイス用電極および金属化合物粒子群の製造方法
CN104852035B (zh) * 2015-04-28 2017-07-07 湖南瑞翔新材料股份有限公司 氧化铝包覆的钛酸锂的制备方法
PL3327833T3 (pl) * 2015-12-24 2021-11-02 Lg Chem, Ltd. Materiał czynny elektrody ujemnej o ulepszonej charakterystyce wyjściowej i elektroda dla urządzenia elektrochemicznego zawierająca materiał czynny elektrody ujemnej
WO2017135758A1 (ko) 2016-02-05 2017-08-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CN105870437A (zh) * 2016-05-10 2016-08-17 北京泰和九思科技有限公司 一种形貌可控的纳米钛酸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锂离子电池
CN105958021B (zh) * 2016-05-27 2019-07-30 天津泰和九思科技有限公司 一种钛酸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锂离子电池
JP6891886B2 (ja) 2016-06-30 2021-06-18 宇部興産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電極用チタン酸リチウム粉末および活物質材料、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極シートおよび蓄電デバイス
JP7077959B2 (ja) 2016-12-16 2022-05-31 Ube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電極用チタン酸リチウム粉末および活物質材料、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極シートおよび蓄電デバイス
CN107221642B (zh) * 2017-06-27 2020-10-02 四川兴能新材料有限公司 一种氧化铝包覆的钛酸锂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1038A (ko) *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이종 금속이 도핑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이종 금속이 도핑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KR20140137720A (ko)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이종 금속이 도핑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이종 금속이 도핑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KR20150071831A (ko) * 2013-12-19 2015-06-29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KR20160045029A (ko) * 2014-10-15 2016-04-26 주식회사 포스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7095074A1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티타늄계 복합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766837A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57149A (ja) * 2020-09-30 2022-04-1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JP7235984B2 (ja) 2020-09-30 2023-03-0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US11929501B2 (en) 2020-09-30 2024-03-12 Nichia Corporatio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67978A (zh) 2020-10-30
KR102090572B1 (ko) 2020-03-18
KR20190107502A (ko) 2019-09-20
US20210020930A1 (en) 2021-01-21
JP7145225B2 (ja) 2022-09-30
JP2021516208A (ja) 2021-07-01
EP3766837A1 (en) 2021-01-20
EP3766837A4 (en)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11580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첨가제,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5065046A1 (ko)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WO2019112279A2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을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WO2015030402A1 (ko) 리튬 전이금속 복합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WO2013002457A1 (ko) 양극활물질, 상기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및 리튬 전기 화학 전지
WO2015080450A1 (ko) 고체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4084679A1 (ko)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WO2015065098A2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1105832A9 (ko) 고용량의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1087309A2 (ko) 회분식 반응기(batch reactor)를 사용하여 농도구배층을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전구체, 양극활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전구체, 양극활물질.
WO2018056650A1 (ko) 리튬 리치 안티페로브스카이트 코팅 lco계 리튬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17213462A1 (ko) 소듐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060686A1 (ko) 고체 전해질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8093059A1 (ko) 전고체전지용 고이온전도성 고체전해질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9074306A2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2064053A2 (ko)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203432A1 (ko) 양극활물질용 금속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양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225879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74652A1 (ko) 리튬바나듐지르코늄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의 양극활물질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
WO2019177328A1 (ko)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096212A1 (ko) 리튬 화합물, 니켈계 양극 활물질, 산화 리튬의 제조 방법, 니켈계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WO2022080710A1 (ko) 양극 활물질용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WO2020159322A1 (ko)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WO2019078626A1 (ko)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WO2022060138A1 (ko)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686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4717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7686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