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831A -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 Google Patents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1831A
KR20150071831A KR1020130158861A KR20130158861A KR20150071831A KR 20150071831 A KR20150071831 A KR 20150071831A KR 1020130158861 A KR1020130158861 A KR 1020130158861A KR 20130158861 A KR20130158861 A KR 20130158861A KR 20150071831 A KR20150071831 A KR 20150071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composite oxide
titanium composite
titanium
peak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8358B1 (ko
Inventor
최수봉
최준화
고형신
이재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Priority to KR1020130158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358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7Tin or alloys based on t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 함량이 조절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은 이종 금속 도핑에 의하여 흡습성이 제어될 뿐만 아니라, 불순물로서 포함되는 루타일상, 아나타제상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감소하여,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지의 충방전 특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Manufacturing method of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and lithium titanium composite oxide made by same}
본 발명은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 함량이 조절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이 부극과 정극을 이동함으로써 충방전이 행해지는 비수전해질 전지는 고에너지 밀도 전지로서 활발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 Li 흡장 방출 전위가 높은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이 주목받고 있다.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은 리튬 흡장 방출 전위에서는 원리적으로 금속 리튬이 석출되지 않아 급속 충전이나 저온 성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에는 일반식 Li(1+x)Ti(2-x)Oy(x = -0.2 내지 1.0, y = 3 내지 4)로 표시되는 스피넬형 티탄산리튬이 포함되고, 그의 대표적인 예에는 Li4/3Ti5/3O4, LiTi2O4 및 Li2TiO3가 있다. 이 재료는 양극활물질로서 종래로부터 사용되어 왔고, 음극 활물질로서도 활용할 수 있어서, 전지의 양극 및 음극 활성물로서의 장래가 기대된다. 이들은 리튬 기준으로 1.5 V의 전압을 가지고, 수명이 길다. 또한 충전 방전시의 팽창 및 수축을 무시할 수 있으므로 전지의 대형화시 주목되는 전극 재료이다. 특히 상기 스피넬(spinel)형 티탄산리튬(조성식 Li4 +xTi5O12(0≤x≤3))은 충방전시의 부피 변화가 작고, 가역적으로 우수하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다.
Li4Ti5O12의 티탄산리튬 스피넬 타입 구조에서, 티탄의 공식 원자가는, 티탄에 대해 얻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산화 상태인 +4이다(자카우-크리스티안센 등의, 솔리드 스테이트 이오닉스. 40-41 파트 2, 페이지 580-584 (1990)).
이론적으로, 애노드에서의 리튬 삽입 반응(인터칼레이션)은 아래와 같다.
3Li+ + Li4Ti5O12 -> Li7Ti5O12
이 반응은 금속 리튬에 대해 약 1.5 V에서 발생한다. 티탄은 +4 상태에서 +3 상태로 감소되며, 완전하게 삽입될 때 3.4의 평균 산화 상태(60% Ti3 + 및 40% Ti4+)로 된다.
상기 Li4Ti5O12 재료는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HEV) 응용들에 대해 이상적으로 되는 격자(오주쿠 등, J 일렉트로켐 Soc, 142(5), 페이지 1431-1435 (1995))에 대한 가압 또는 수축을 행하지 않고 리튬 이온을 삽입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스피넬형 티탄산리튬의 이론 용량은 175 mAh/g으로, 고용량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스피넬형 티탄산리튬은 제조 과정 중에서 일부가 루타일(rutile)형 TiO2(r-TiO2)로 상분리되어 버린다. 이들 루타일(rutile)형 TiO2(r-TiO2)는 암염 구조로 전기화학적 활성은 있으나, 반응 속도가 낮고 경사진 전위 곡선을 가지며, 용량이 작기 때문에, 얻어지는 티탄산리튬의 실효 용량을 작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티탄산리튬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전극 물질 및 전극 제조 과정 중에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이와 같이 흡습된 수분은 분해되어 다량의 기체를 발생시켜서 결과적으로는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066813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리튬 티탄 산화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습성이 낮으면서도 불순물로서의 루타일상의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낮은 새로운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티탄 산화물, M 함유 화합물, 및 A 함유 화합물을 양론비로 혼합하여 용매에 분산시키는 (ⅰ)단계;
상기 혼합물을 평균입자 직경이 0.8 ㎛ 미만이 되도록 분쇄하는 (ⅱ)단계;
분무 건조하여 1차 입자가 응집된 2차 입자를 제조하는 (ⅲ)단계;
LiX 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혼합하고 에너지를 가하여 교반하는 (ⅳ)단계;
리튬 화합물과 혼합하는 (ⅴ)단계;
열처리 하는 (ⅵ)단계; 를 포함하고, 아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Li4 - ZTi5 -(x+y)MxAyO12 - ZXZ
(상기 화학식에서 M 은 Zr, Mg, Al, Ni, Co, Mn, 및 Cu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A 는 Na, K, V, 및 B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X 는 F, Cl, Br, 및 I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0.1≤x≤1.5, 0≤y≤1, 0≤Z≤1 임)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ii)단계의 습식 분쇄는 3000 내지 4000 rpm의 교반 속도에서, 30 내지 60 분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ⅳ)단계는 500 내지 700 rpm의 교반 속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튬 화합물이 산화 리튬, 수산화 리튬, 탄산 리튬, 리튬의 오르토실리케이트, 메타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실리케이트, 황산 리튬, 옥살산(oxalate) 리튬, 아세트산 리튬,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1 ℃/min 내지 5 ℃/min의 승온 속도로, 700 내지 1000 ℃의 온도로 승온 후, 3 내지 25 시간 동안, 1 내지 10 L/min의 속도로 산소, 공기 또는 산소와 공기의 혼합 가스를 주입하는 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티탄 산화물은 아나타제형, 또는 함수 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고, 아래 화학식으로 표시되고, 1차 입자가 응집하여 2차 입자를 형성하고, 상기 1차 입자의 직경이 0.3 ㎛ 내지 0.8 ㎛이고, 상기 2차 입자의 직경이 5 ㎛ 내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Li4 - ZTi5 -(x+y)MxAyO12 - ZXZ,
(상기 화학식에서 M 은 Zr, Mg, Al, Ni, Co, Mn, 및 Cu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A 는 Na, K, V, 및 B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X 는 F, Cl, Br, 및 I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0.1≤x≤1.5, 0≤y≤1, 0≤Z≤1 임)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은 루타일형 이산화티탄의 피크 강도가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주피크 강도 대비 1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은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의 피크 강도가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주피크 강도 대비 1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은 Li2TiO3 의 피크 강도가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주피크 강도 대비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피넬형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주피크는 X선 회절 패턴에서 격자 간격 d가 4.83 Å인 경우의 피크를 나타낸다. 또한,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의 주피크, 루타일형 이산화티탄의 주피크 및 Li2TiO3의 주피크는 격자 간격 d가 각각 3.51 Å, 3.25 Å 및 2.07 Å인 경우에서의 피크를 나타낸다. 스피넬형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주피크는 2θ가 약 18.4° 부근에서 나타나고, 루타일형 이산화티탄의 경우 2θ가 약 27.5°에서 110 피크가 나타난다. 또한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은 2θ가 약 25.3°에서 101 피크가 나타나고, Li2TiO3는 2θ가 약 23.3°및 43.6°에서 021 피크와 200 피크가 나타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은 1g 당 400 ppm 이하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양극을 함유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음극을 함유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은 이종 금속 도핑에 의하여 흡습성이 제어될 뿐만 아니라, 불순물로서 포함되는 루타일상, 아나타제상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감소하여,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지의 충방전 특성이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SEM 사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XRD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지의 율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티탄 산화물로서 TiO2, M 함유 화합물로서 Zr을 양론비로 혼합하여 용매에 분산시키고 지르코늄 비드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평균입자 직경이 0.8 ㎛ 미만이 되도록 분쇄하였다. 투입 열풍온도를 250 ℃, 배기 열풍 온도를 100 ℃ 로 분무 건조하여 1차 입자가 응집된 2차 입자를 제조한 후, LiF 화합물을 아래 표 1에서와 같은 비율로 혼합하고, 500 rpm으로 교반하였다. 여기에 다시 리튬 화합물과 혼합한 후, 기계적 밀링으로 교반하고, 공기 분위기 하에서, 750 ℃에서, 10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제조하였다.
F 함량
실시예 1 0.006
실시예 2 0.008
실시예 3 0.03
실시예 4 0.05
비교예 0
< 실험예 > SEM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SEM 사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표 2를 통해 F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1차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1차 입자 직경
실시예 1 0.3 ~ 0.4 μm
실시예 2 0.3 ~ 0.5 μm
실시예 3 0.4 ~ 0.6 μm
실시예 4 0.6 ~ 0.8 μm
< 실험예 > 입자의 물리적 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탭밀도, BET 표면적 및 수분 함량을 측정하고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items 실시예 4 비교예
crystal structure spinel
particle size distribution, μm D10 3.23 4.33
D50 8.36 8.68
D90 16.32 16.50
tap density, g/ml 0.88 0.81
BET surface area, m2/g 3.31 3.50
moisture content, ppm 300 900
< 실험예 > XRD 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XRD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F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F가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하여 루타일형 이산화티탄의 피크 강도,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의 피크 강도 및 Li2TiO3 피크 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 수분 방치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200 ℃ 온도에서 1시간 건조 후 온도가 35 ℃이고 습도가 75 %로 유지되는 챔버에서 보관하면서 시간에 따른 (0분, 30분, 60분, 120분, 180분, 240분, 300분) 수분량을 칼피셔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F를 포함하는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잔류 수분량이 감소하며, F의 포함량에 따라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제조예 > 코인 전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양극활물질로 하고, 리튬 호일을 상대 전극으로 하며, 다공성 폴리에틸렌막(셀가르드 엘엘씨 제, Celgard 2300, 두께: 25 ㎛)을 세퍼레이터로 하고,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메틸 카보네이트가 부피비로 1:2로 혼합된 용매에 LiPF6가 1 몰 농도로 녹아 있는 액체 전해액을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제조공정에 따라 코인 전지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율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의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테스트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기화학 분석장치(TOSCAT 3100, Toyo 사 제품)을 이용하여 율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Claims (15)

  1. 티탄 산화물, M 함유 화합물, 및 A 함유 화합물을 양론비로 혼합하여 용매에 분산시키는 (ⅰ)단계;
    상기 혼합물을 평균입자 직경이 0.8 ㎛ 미만이 되도록 분쇄하는 (ⅱ)단계;
    분무 건조하여 1차 입자가 응집된 2차 입자를 제조하는 (ⅲ)단계;
    LiX 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혼합하고 에너지를 가하여 교반하는 (ⅳ)단계;
    리튬 화합물과 혼합하는 (ⅴ)단계;
    열처리 하는 (ⅵ)단계; 를 포함하고, 아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Li4 - ZTi5 -(x+y)MxAyO12 - ZXZ
    (상기 화학식에서 M 은 Zr, Mg, Al, Ni, Co, Mn, 및 Cu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A 는 Na, K, V, 및 B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X 는 F, Cl, Br, 및 I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0.1≤x≤1.5, 0≤y≤1, 0≤Z≤1 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i)단계의 습식 분쇄는 3000 내지 4000 rpm 의 교반 속도에서, 30 내지 60 분 간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화합물이 산화 리튬, 수산화 리튬, 탄산 리튬, 리튬의 오르토실리케이트, 메타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실리케이트, 황산 리튬, 옥살산(oxalate) 리튬, 아세트산 리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ⅵ)단계의 열처리는 1 ℃/min 내지 5 ℃/min 의 승온 속도로, 700 내지 1000 ℃ 의 온도로 승온 후, 3 내지 25 시간 동안, 1 내지 10 L/min 의 속도로 산소, 공기, 또는 산소와 공기의 혼합 가스를 주입하는 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것인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탄 산화물은 아나타제형, 또는 함수 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고, 아래 화학식으로 표시되고, 1차 입자가 응집하여 2차 입자를 형성하고, 상기 1차 입자의 직경이 0.3 ㎛ 내지 0.8 ㎛ 이고, 상기 2차 입자의 직경이 5 ㎛ 내지 2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화학식] Li4 - ZTi5 -(x+y)MxAyO12 - ZXZ
    (상기 화학식에서 M 은 Zr, Mg, Al, Ni, Co, Mn, 및 Cu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A 는 Na, K, V, 및 B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X 는 F, Cl, Br, 및 I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0.1≤x≤1.5, 0≤y≤1, 0≤Z≤1 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은 루타일형 이산화티탄의 피크 강도가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주피크 강도 대비 1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은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의 피크 강도가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주피크 강도 대비 1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은 Li2TiO3 의 피크 강도가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주피크 강도 대비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은 1 g 당 400 ppm 이하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인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12. 제 7 항의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13. 제 7 항의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14. 제 12 항의 양극을 함유하는 리튬 이차 전지.
  15. 제 13 항의 음극을 함유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130158861A 2013-12-19 2013-12-19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KR101588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861A KR101588358B1 (ko) 2013-12-19 2013-12-19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861A KR101588358B1 (ko) 2013-12-19 2013-12-19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831A true KR20150071831A (ko) 2015-06-29
KR101588358B1 KR101588358B1 (ko) 2016-01-25

Family

ID=5351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861A KR101588358B1 (ko) 2013-12-19 2013-12-19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3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328A1 (ko) * 2018-03-12 2019-09-19 (주)포스코케미칼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710848A (zh) * 2020-06-30 2020-09-25 贝特瑞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硅氧复合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锂离子电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813A (ko) 1999-06-03 2001-07-11 추후제출 리튬-티탄 복합 산화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JP2012030989A (ja) * 2010-07-28 2012-02-16 Hitachi Chem Co Ltd 二酸化チタン、二酸化チタンの製造方法、二酸化チタン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20130061115A (ko) *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이종 금속이 도핑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이종 금속이 도핑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813A (ko) 1999-06-03 2001-07-11 추후제출 리튬-티탄 복합 산화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JP2001192208A (ja) * 1999-06-03 2001-07-17 Titan Kogyo Kk リチウムチタン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JP2012030989A (ja) * 2010-07-28 2012-02-16 Hitachi Chem Co Ltd 二酸化チタン、二酸化チタンの製造方法、二酸化チタン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20130061115A (ko) * 2011-11-30 2013-06-10 주식회사 포스코이에스엠 이종 금속이 도핑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이종 금속이 도핑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328A1 (ko) * 2018-03-12 2019-09-19 (주)포스코케미칼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710848A (zh) * 2020-06-30 2020-09-25 贝特瑞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硅氧复合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锂离子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358B1 (ko) 201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9691B2 (en) Spherical or spherical-like cathode material for a lithium battery, a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US8535832B2 (en) Metal oxide coated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based batteries
KR101650230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KR20180063849A (ko) 리튬이차전지용 니켈계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을 함유한 리튬이차전지
KR20180063858A (ko) 리튬이차전지용 니켈계 활물질 전구체,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리튬이차전지용 니켈계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을 함유한 리튬이차전지
KR101925105B1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64919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2626945B1 (en) Lithium titanium oxid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KR20160075404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Ye et al. Al, B, and F doped LiNi 1/3 Co 1/3 Mn 1/3 O 2 as cathode material of lithium-ion batteries
CN103403929A (zh) 锂电池的两相正极材料及其合成方法
JP5810752B2 (ja) チタン酸リチウム粒子粉末、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粒子粉末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600476B1 (ko)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와 이의 전체 또는 일부에 코팅된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로 이루어진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
JP5708939B2 (ja) チタン酸リチウム粒子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粒子粉末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588358B1 (ko)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KR101634088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90572B1 (ko)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1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티탄 복합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559819B2 (en) Titanium oxide, and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each manufactured using same
KR20140074051A (ko) 고율 특성이 우수한 리튬티탄산화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고율 특성이 우수한 리튬티탄산화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극 및 리튬이차전지
KR20160043862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KR102317416B1 (ko)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2차전지
KR102537010B1 (ko)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KR102404146B1 (ko) 리튬-티타늄 산화물 기반의 철입자가 도핑된 리튬이온배터리용 음극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1219B1 (ko)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리튬 티탄 복합 산화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44700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