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62622A1 -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 Google Patents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62622A1
WO2018062622A1 PCT/KR2016/013820 KR2016013820W WO2018062622A1 WO 2018062622 A1 WO2018062622 A1 WO 2018062622A1 KR 2016013820 W KR2016013820 W KR 2016013820W WO 2018062622 A1 WO2018062622 A1 WO 20180626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as diffusion
fuel cell
diffusion layer
layer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38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기호
김부곤
Original Assignee
가드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드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드넥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80089620.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050371A/zh
Priority to US16/336,450 priority patent/US11289721B2/en
Priority to JP2019537724A priority patent/JP6942377B2/ja
Publication of WO20180626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626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26Humidifying
    • H01M8/04149Humidifying by diffusion, e.g. making use of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4Carbonace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26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01M8/1011Direct alcohol fuel cells [DAFC], e.g.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lyte separator; And an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electrolyte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provide a fuel cell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gas diffusion layer and the catalyst layer for the fuel cell.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tack including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one or more of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and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A fuel supply unit supplying fuel to the stack; And an oxidant supply unit supplying an oxidant to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 the average pore area ratio of the porous carbonaceous film layer is 10% to 90%, preferably 50% to 90%, more preferably 70% to 90%. If the average pore area ratio of the porous carbonaceous film layer is less than 10%,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may not be discharged smoothly, and the reaction concentration is also lowered to lower the power generation voltage. This leads to drying of electricity, which leads to poor emission of heat generated by electrochemical reactions, resulting in low electrical conductivity.
  • the average pore area ratio means a percentage of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average pore per unit area of the porous carbonaceous film layer.
  • the heat treatment is a method comprising a carbonization step and a graphite step.
  • the first temperature section is a section sequentially rising to 500 ⁇ 50 °C to 1000 °C.
  • the graphite step includes converting the carbonaceous film into a graphite film into a second heater having a second temperature section which is a section where the temperature rises linearly.
  • the second heater has a length of 4000 mm to 6000 mm.
  • the porous carbonaceous film layer is a heat treatment to the polyimide film to form pores.
  • the aromatic diamine component includes paraphenylenediamine, and may further include 4, 4'-diaminodiphenyl ether.
  • the fuel cell membrane-electrode assembly includes the electrolyte separator for the fuel cell; And an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electrolyte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electrolyte separator is a perfluorosulfonic acid polymer, a hydrocarbon-based polymer, polyimid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ether sulfone, polyphenylene sulfide, polyphenylene oxide, polyphosphazin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ster, doped polybenzimidazole, polyetherketone, polysulfone, acids or bases thereof.
  • the oxidant is injected into a pump.
  • the prepared gas diffusion layer had a thickness of 25 ⁇ m, an average pore diameter of 10 ⁇ m, an average pore area ratio of 50%, and a porosity of 58%.
  • Preparation Example 1 a frequency of 60 kHz, a processing stage output 1.2 W, irradiation with a laser irradiation device of a brand name RFP-3P20 manufactured by UHT for a 25 ⁇ m thick graphite film manufactured by Guard Neck Co., Ltd.
  • a graphite film obtained by the same procedure as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prepared as a gas diffusion layer, except that the polyimide film subjected to the pretreatment step of irradiating the laser under the condition of the number of 15 shots / hole and the irradiation time of 7.3 seconds was wound in a jig.
  • the prepared gas diffusion layer had a thickness of 25 ⁇ m, an average pore diameter of 10 ⁇ m, an average pore area ratio of 5%, and a porosity of 6%.
  • Ketjenblack powder having a BET surface area of 1500 m 2 / g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and water and isopropyl alcohol as a solvent were uniformly mixed for 30 minutes through a high speed mixer to prepare a coating composition for forming a microporous layer. It was. At this time, the polytetrafluoroethylene was adjusted to be 25% by weight relative to the weight of Ketjenblack.
  • the prepared composition was spray coated at 5 mg / cm 2 weight per unit area on SGL carbon paper having no microporous layer and consisting of large pores. After the heat treatment for 30 minutes at 350 °C to finally prepare a gas diffusion layer having a microporous layer.
  • the prepared gas diffusion layer had a thickness of 25 ⁇ m and an average pore diameter of 5 ⁇ m.
  • a unit cell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3, except that the gas diffusion layer prepa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1 was used as the gas diffusion layer.
  • the fuel cells of Examples 3-3 to 7-3 having a gas diffusion layer having a microporous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gas diffusion layer even in a state of low humidifica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terface resistance is low by maintaining a wet state compared to the fuel cell of Comparative Example 1-3, in particular, the fuel cells of Examples 3-3, 5-3 and 6-3 has a low interface resistance Can b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으로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의 기공의 평균 직경은 0.1 ㎛ 내지 100 ㎛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본 발명은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6년 9월 27일에 한국 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출원 제10-2016-0124179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연료전지(Fuel Cell)란 연료의 산화로 인해 생기는 화학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지로서, 최근 화석 연료의 고갈 문제, 이산화탄소 발생에 의한 온실효과와 지구 온난화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태양전지 등과 함께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료전지는 일반적으로 수소와 산소의 산화,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애노드 (anode)에서 수소가 산화되어 수소 이온과 전자로 분리되고, 수소 이온은 전해질 (electrolyte)을 통해 캐소드 (cathode)로 이동한다. 이때, 전자는 회로를 통해 양극으로 이동한다. 양극에서 수소 이온, 전자 및 산소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는 환원반응이 일어난다.
연료전지의 기체확산층은 외부 또는 연료전지의 단위 전지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 (separator)를 통하여 유입되는 반응 기체 (수소, 산소 등)를 전기화학반응이 발생하는 촉매층으로 유입시키면서, 전기화학반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연료전지의 기체확산층이 반응 기체의 원활하게 유입시키지 못하면, 반응 농도가 저하되어 발전 전압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연료전지의 기체확산층이, 전기화학반응으로 인하여 발생된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키지 못하면, 역시 반응 농도가 저하되어 발전 전압의 저하를 초래한다.
한편, 연료전지의 기체확산층이 발생된 열을 원활하게 배출시키지 못하면, 전해질이 통과하는 전해질 분리막을 건조시킴으로 인하여 이온 전도도의 저하를 초래하여, 저항 손실을 증가시켜 역시 발전 전압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종래의 연료전지의 기체확산층은, 반응 기체의 유입 촉진 및 응축수 배출 촉진을 위하여 그 기공율을 높일 경우, 전해질 분리막의 건조를 초래하여 전기화학반응으로 발생하는 열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일정 수준 이상 기공율을 높일 수 없었으며, 전기전도율이 낮아 발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연료전지의 기체확산층은 전해질 분리막의 습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미세 탄소 입자를 코팅함으로써, 고분자막의 기공을 미세한 크기로 조절하였으나, 이러한 전해질 분리막은 기공의 분포가 불균일하여 반응 기체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여,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다층 적층 구조로 인하여 두께 조절 등의 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균일한 기공 분포 및 높은 기공율을 가지면서도, 열전달 및 전기전도 효율이 뛰어나 우수한 발전 효율을 나타내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으로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의 기공의 평균 직경은 0.1 ㎛ 내지 100 ㎛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해질 분리막; 및 상기 전해질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은 상기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및 촉매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들 사이에 개재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스택;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산화제를 상기 전기발생부로 공급하는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확산층은 높은 기공율 및 균일한 기공 분포를 가짐으로써 반응 기체의 유입 촉진 및 응축수 배출을 촉진하면서도, 열전달 및 전기전도 효율이 우수하여 전해질 분리막의 건조를 억제하므로,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는 우수한 우수한 발전 효율을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 3-3 내지 7-3 및 비교예 1-3에 따른 연료전지에 대하여 셀 온도를 70℃로 유지하고 50% 저가습 조건에서 전류에 따른 출력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은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질 필름층의 기공의 평균 직경은 0.1 ㎛ 내지 100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의 평균 기공 면적율은 10% 내지 90%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이다.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의 평균 기공 면적율이 10% 미만이면, 전기화학반응으로 인하여 발생된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키지 못하여, 역시 반응 농도가 저하되어 발전 전압의 저하되며, 90% 초과이면, 전해질 분리막의 건조를 초래하여 전기화학반응으로 발생하는 열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전기전도율이 저하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균 기공 면적율은 다공 탄소질 필름층의 단위 면적 당 평균 기공의 면적의 비율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의 기공율은 20% 내지 90%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이다.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의 평균 기공 면적율이 20% 미만이면, 전기화학반응으로 인하여 발생된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키지 못하여, 역시 반응 농도가 저하되어 발전 전압의 저하되며, 90% 초과이면, 전해질 분리막의 건조를 초래하여 전기화학반응으로 발생하는 열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전기전도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의 단위 면적 100 mm2 당 기공수는 63000 개 내지 64000 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의 두께는 1 ㎛ 내지 200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은 폴리이미드 필름층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은 다공 그래파이트층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 그래파이트층의 탄소 함량은 상기 다공 그래파이트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이상이다. 상기 다공 그래파이트층의 탄소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다공 그래파이트층의 열이 원활하게 확산되지 않아 전해질 분리막의 건조를 초래하며, 전기전도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 그래파이트층은 폴리이미드 필름을 열처리하여 탄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다공 폴리이미드 필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탄화 단계 및 그래파이트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화 단계는 제 1 온도구간을 갖는 제 1 히터내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도입시킴으로써 상기 고분자 필름을 탄화시켜 탄소질 필름으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온도 구간은 500±50℃ 내지 1000℃로 순차 상승하는 구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그래파이트 단계는 선형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인 제 2 온도 구간을 갖는 제 2 히터내로 상기 탄소질 필름을 도입시켜 그라파이트 필름으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히터는 4000 mm 내지 6000 mm의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도 구간은 1000℃ 내지 2800℃로 순차 상승하는 구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도 구간은 1000℃ 내지 1500℃의 제 2-1 온도 구간, 1500℃ 내지 2200℃의 제 2-2 온도구간, 및 2200℃ 내지 2800℃의 제 2-3 온도 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그래파이트 단계는 상기 제 2-1 온도구간 내에서 상기 탄소질 필름을 횡방향으로 0.33 mm/초 내지 1.33 mm/초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제 2 히터의 내부 온도를 분당 1℃ 내지 5℃로 상승시키면서 1 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상기 탄소질 필름에 대하여 열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은 핀을 가압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기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핀은 평균 직경이 1 ㎛ 내지 100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공 간의 평균 간격은 1 ㎛ 내지 10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핀은 하나 이상의 것이며, 상기 핀들의 간격은 평균 10 ㎛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핀은 하나 이상의 것이며, 상기 핀들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마름모형, 또는 이들의 조합인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핀의 가압방향은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의 일면의 수직 방향 또는 그 배면의 수직방향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핀의 가압방법은 수직으로 가압 또는 핀을 회전하며 가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은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에 기공을 형성한 후 열처리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은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에 열처리한 후 기공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공지의 폴리이미드 필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폴리아믹산 용액을 가열하여 수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폴리아믹산 용액을 필름형상으로 캐스트하고 열적으로 탈환화 탈용매시켜서 수득하는 것, 또는 폴리아믹산 용액에 환화촉매 및 탈수제를 혼합하고 화학적으로 탈환화시켜서 겔필름을 제작하고, 이것을 가열 탈용매하여 수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믹산 용액은, 원료의 방향족 디아민 성분과 방향족산 이무수물 성분, 또는 이 양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학물질을 유기용매 중에서 중합시킴으로써 수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아민 성분은, 파라페닐렌디아민을 포함하는 것이며, 4, 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무수물 성분은, 피로메리트산 이무수물 및/또는 3, 3', 4, 4'-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이무수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믹산 용액은 추가 디아민 성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추가 디아민 성분은, 3, 3'-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메타페닐렌디아민, 4, 4'-디아미노디페닐프로판, 3, 4'-디아미노디페닐프로판, 3, 3'-디아미노디페닐프로판, 4, 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 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 3'-디아미노디페닐메탄, 벤지딘, 4, 4'-디아미노디페닐설파이드, 3, 4'-디아미노디페닐설파이드, 3, 3'-디아미노디페닐설파이드, 4, 4'-디아미노디페닐설폰, 3, 4'-디아미노디페닐설폰, 3, 3'-디아미노디페닐설폰, 2, 6-디아미노피리딘, 비스-(4-아미노페닐)디에틸실란, 3, 3'-디클로로벤지딘, 비스-(4-아미노페닐)에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4-아미노페닐) 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4-아미노페닐)-N-페닐아민, 비스-(4-아미노페닐)-N-메틸아민, 1, 5-디아미노나프탈렌, 3, 3'-디메틸-4, 4'-디아미노비페닐, 3, 4'-디메틸-3', 4-디아미노비페닐-3, 3'-디메톡시벤지딘, 2, 4-비스(p-β-아미노-t-부틸페닐)에테르, 비스(p-β-아미노-t-부틸페닐)에테르, p-비스(2-메틸-4-아미노펜틸)벤젠, p-비스-(1, 1-디메틸-5-아미노펜틸)벤젠, m-자일릴렌디아민, p-자일릴렌디아민, 1, 3-디아미노아다만탄, 3, 3'-디아미노-1, 1'-디아미노아다만탄, 3, 3'-디아미노메틸-1, 1'-디아다만탄, 비스(p-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헥사메틸렌디아민, 헵타메틸렌디아민, 옥타메틸렌디아민, 노나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3-메틸헵타메틸렌디아민, 4, 4'-디메틸헵타메틸렌디아민, 2, 11-디아미노도데칸, 1, 2-비스(3-아미노프로폭시)에탄, 2, 2-디메틸프로필렌디아민, 3-메톡시헥사에틸렌디아민, 2, 5-디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 5-디메틸헵타메틸렌디아민, 5-메틸노나메틸렌디아민, 1, 4-디아미노시클로헥산, 1, 12-디아미노옥타데칸, 2, 5-디아미노-1, 3, 4-옥사디아졸, 2, 2-비스(4-아미노페닐)헥사플루오르프로판, N-(3-아미노페닐)-4-아미노벤즈아미드, 4-아미노페닐-3-아미노벤조에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믹산 용액은 추가 산이수물 성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추가 산이수물은, 2, 3', 3, 4'-비페닐테트라카르본산 이무수물, 3, 3', 4, 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본산 이무수물, 2, 3, 6, 7-나프탈렌디카르본산 이무수물, 2, 2-비스(3, 4-디카르복시페닐)에테르, 피리딘-2, 3, 5, 6-테트라카르본산 이무수물, 1, 2, 4, 5-나프탈렌테트라카르본산 이무수물, 1, 4, 5, 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본산 이무수물, 1, 4, 5, 8-데카히드로나프탈렌테트라카르본산 이무수물, 4, 8-디메틸-1, 2, 5, 6-헥사히드로나프탈렌테트라카르본산 이무수물, 2, 6-디클로로-1, 4, 5, 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본산 이무수물, 2, 7-디클로로-1, 4, 5, 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본산 이무수물, 2, 3, 6, 7-테트라클로로-1, 4, 5, 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본산 이무수물, 1, 8, 9, 10-페난트렌테트라카르본산 이무수물, 2, 2-비스(2, 3-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 1, 1-비스(3, 4-디카르복시페닐)에탄 이무수물, 1, 1-비스(2, 3-디카르복시페닐)에탄 이무수물, 비스(2, 3-디카르복시페닐)메탄 이무수물, 비스(3, 4-디카르복시페닐)메탄 이무수물, 비스(3, 4-디카르복시페닐)설폰 이무수물, 벤젠-1, 2, 3, 4-테트라카르본산 이무수물, 3, 4, 3', 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본산 이무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믹산 용액은 유기용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디메틸설폭시드, 디에틸설폭시드 등의 설폭시드계 용매, N, N-디메틸포름아미드, N, N-디에틸포름아미드 등의 포름아미드계 용매, N, 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 N-디에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세트아미드계 용매, N-메틸-2-피롤리돈, N-비닐-2-피롤리돈 등의 피롤리돈계 용매, 페놀, o-, m-, 또는 p-크레졸, 크실레놀, 할로겐화 페놀, 카테콜 등의 페놀계 용매는, 또한 헥사메틸포스포르아미드, γ-부틸올락톤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크실렌,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는 상기 연료전지용 전해질 분리막; 및 상기 전해질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분리막은 퍼플루오르술폰산 폴리머, 탄화수소계 폴리머, 폴리이미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포스파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술폰, 이들의 산 또는 염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은 각각 기체확산층 및 촉매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의 촉매층은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및 백금-전이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촉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전극의 촉매층은 백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 또는 상기 캐소드 전극의 촉매는 탄소계 담체에 담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는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들 사이에 개재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스택;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산화제를 상기 전기발생부로 공급하는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는 막-전극 접합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막고 외부에서 공급된 연료 및 산화제를 막-전극 접합체로 전달하는 역할과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직렬로 연결시켜주는 전도체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부는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 및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스택으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료로는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수소 또는 탄화수소 연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연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천연가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제 공급부는 산화제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산소 또는 공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펌프로 주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는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 또는 직접메탄올형 연료전지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그래파이트 필름의 제조
TAIMADE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TL-050인 두께가 50㎛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롤형태로 지그에 권취시킨후, 제 1 온도구간을 갖는 제 1 히터내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도입시킴으로써 상기 고분자 필름을 탄화시켜 탄소질 필름으로 변환시켰다. 상기 제 1 온도 구간에서는, 500℃에서 1000℃까지 분당 10℃로 승온시킨 후, 1000℃의 온도를 2시간 정도 동안 유지하였다.
이후, 제 1 히터에서 변환된 탄소질 필름은 5000 mm의 길이를 갖게 되며, 상기 탄소질 필름을 횡방향으로 1.00 mm/초로 이동하고, 아르곤 가스를 5kgf/cm2의 압력 분위기인 제 2 히터 내로 도입시킴으로써 그라파이트 필름으로 변환시켜 그래파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2 온도 구간에서는, 1000℃ 내지 1500℃의 제 2-1 온도 구간과, 1500℃~2200℃의 제 2-2 온도구간, 그리고, 2200℃ 내지 2800℃의 제 2-3 온도 구간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였으며,
상기 제 2-1 온도 구간인 1000℃ 내지 1500℃에서는 분당 3 ℃로 승온을 3 시간동안 진행시켰고, 상기 제 2-2 온도 구간인 1500℃ 내지 2200℃에서는 분당 5℃로 2 시간 동안 진행시켰으며,
제 2-3 온도구간인 2200℃ 내지 2800℃에서는 분당 10℃로 승온시킨 후 2800℃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구간을 2 시간 동안 진행시켰다.
<실시예 1-1> 기체확산층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그래파이트 필름에, UHT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RFP-3P20인 레이저 조사기기로 주파수 60kHz, 가공단 출력 1.2 W, 조사횟수 15shot/hole 및 조사시간 7.3초의 조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기체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체확산층의 두께는 25 ㎛, 평균 기공 직경은 10 ㎛, 평균 기공 면적율은 50%, 기공율은 58%이었다.
<실시예 1-2> 촉매층이 형성된 전해질 분리막의 제조
전해질 분리막은 퍼플루오르술폰산 폴리머인 듀퐁사의 나피온막(Nafion 112)을 사용하였다. 촉매 잉크를 제조하기 위하여, 애노드와 캐소드 촉매로 백금 담지 카본 촉매(Pt/C)를 사용하였다. 나피온(Nafion) 용액, 이소프로필알콜 및 물을 혼합하고, 상기 촉매와 섞어 촉매: nafion 건조중량: 용매 = 1: 0.3: 20이 되도록 한 후, 잘 분산되도록 교반하고 고속 믹서기(2시간)를 통해 균일하게 혼합하여 촉매 잉크를 준비하였다.
제조된 촉매 잉크를 스프레이 코터(spray coater)를 이용하여 고분자 전해질 막의 일면에 분사함으로써, 0.4mg/cm2 씩 촉매층을 각각 형성하였다.
<실시예 1-3> 단위전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에 따라 제조한 전해질 분리막의 양면에 상기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기체확산층을 겹친 후 막-전극 접합체를 중심으로 가스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210㎛의 가스켓을 전극 부분을 제외한 고분자 전해질 부분에 밀착시키고, 막-전극 접합체에 수소의 투입 및 균일한 압력을 주기 위한 유로를 가진 음극용 판과, 공기의 투입 및 막-전극 접합체에 균일한 압력을 주기 위한 양극용 판을 밀착시켜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기체확산층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하여 UHT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RFP-3P20인 레이저 조사기기로 주파수 60kHz, 가공단 출력 1.2 W, 조사횟수 15shot/hole 및 조사시간 7.3초의 조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를 실시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지그에 권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득한 그래파이트 필름을 기체확산층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체확산층의 두께는 25 ㎛, 평균 기공 직경은 10 ㎛, 평균 기공 면적율은 50%, 기공율은 58%이었다.
<실시예 2-3> 단위전지의 제조
기체확산층으로 상기 실시예 2-1에 따라 제조된 기체확산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과정으로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기체확산층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가드넥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GD-025인 두께가 25 ㎛의 그래파이트 필름에 대하여 UHT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RFP-3P20인 레이저 조사기기로 주파수 60kHz, 가공단 출력 1.2 W, 조사횟수 15shot/hole 및 조사시간 7.3초의 조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를 실시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지그에 권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득한 그래파이트 필름을 기체확산층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체확산층의 두께는 25 ㎛, 평균 기공 직경은 10 ㎛, 평균 기공 면적율은 50%, 기공율은 58%이었다.
<실시예 3-3> 단위전지의 제조
기체확산층으로 상기 실시예 3-1에 따라 제조된 기체확산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과정으로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기체확산층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가드넥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GD-025인 두께가 25 ㎛의 그래파이트 필름에 대하여 UHT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RFP-3P20인 레이저 조사기기로 주파수 60kHz, 가공단 출력 1.2 W, 조사횟수 15shot/hole 및 조사시간 7.3초의 조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를 실시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지그에 권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득한 그래파이트 필름을 기체확산층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체확산층의 두께는 25 ㎛, 평균 기공 직경은 10 ㎛, 평균 기공 면적율은 5%, 기공율은 6%이었다.
<실시예 4-3> 단위전지의 제조
기체확산층으로 상기 실시예 4-1에 따라 제조된 기체확산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과정으로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1> 기체확산층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가드넥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GD-025인 두께가 25 ㎛의 그래파이트 필름에 대하여 UHT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RFP-3P20인 레이저 조사기기로 주파수 60kHz, 가공단 출력 1.2 W, 조사횟수 15shot/hole 및 조사시간 7.3초의 조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를 실시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지그에 권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득한 그래파이트 필름을 기체확산층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체확산층의 두께는 25 ㎛, 평균 기공 직경은 10 ㎛, 평균 기공 면적율은 70%, 기공율은 81%이었다.
<실시예 5-3> 단위전지의 제조
기체확산층으로 상기 실시예 5-1에 따라 제조된 기체확산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과정으로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1> 기체확산층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가드넥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GD-025인 두께가 25 ㎛의 그래파이트 필름에 대하여 UHT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RFP-3P20인 레이저 조사기기로 주파수 60kHz, 가공단 출력 1.2 W, 조사횟수 15shot/hole 및 조사시간 7.3초의 조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를 실시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지그에 권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득한 그래파이트 필름을 기체확산층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체확산층의 두께는 25 ㎛, 평균 기공 직경은 10 ㎛, 평균 기공 면적율은 85%, 기공율은 89%이었다.
<실시예 6-3> 단위전지의 제조
기체확산층으로 상기 실시예 6-1에 따라 제조된 기체확산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과정으로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1> 기체확산층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가드넥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GD-025인 두께가 25 ㎛의 그래파이트 필름에 대하여 UHT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RFP-3P20인 레이저 조사기기로 주파수 60kHz, 가공단 출력 1.2 W, 조사횟수 15shot/hole 및 조사시간 7.3초의 조건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를 실시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지그에 권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득한 그래파이트 필름을 기체확산층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체확산층의 두께는 25 ㎛, 평균 기공 직경은 10 ㎛, 평균 기공 면적율은 92%, 기공율은 96%이었다.
<실시예 7-3> 단위전지의 제조
기체확산층으로 상기 실시예 7-1에 따라 제조된 기체확산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과정으로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기체확산층의 제조
BET 표면적이 1500m2/g인 케첸블랙 분말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과 용매로서 물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을 고속 믹서기를 통해 3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미세기공층 형성을 위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케첸블랙 중량에 대하여 25% 중량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을 미세기공층이 없고 큰 기공으로 이루어져있는 SGL사 탄소페이퍼에 단위 면적당 5mg/cm2 중량으로 스프레이 코팅하였다. 이후 350℃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최종적으로 미세기공층을 갖는 기체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체확산층의 두께는 25 ㎛, 평균 기공 직경은 5 ㎛이었다.
<비교예 1-3> 단위전지의 제조
기체확산층으로 상기 비교예 1-1에 따라 제조된 기체확산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과정으로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계면저항 측정
상기 실시예 3-3 내지 7-3 및 비교예 1-3에 따른 연료전지에 대하여 연료전지의 60% 저가습 조건에서 HIOKI사의 상품명 3540-02 장비로 two electrode의 impedance방법을 사용하여, 단일 전지에서의 막-전극 접합체의 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기준전극에는 300 sccm의 수소기체를, 작업전극에는 1200sccm의 공기를 흘려주었으며 100m-10kHz 구간에서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여 하기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계면 저항 (Ω)
비교예 1-3 1.3
실시예 3-3 0.5
실시예 4-3 0.8
실시예 5-3 0.2
실시예 6-3 0.4
실시예 7-3 0.7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공층을 갖는 기체확산층을 구비한 실시예 3-3 내지 실시예 7-3의 연료전지는 가습량이 적은 상태에 있어서도, 종래의 기체확산층을 구비한 비교예 1-3의 연료전지에 비해 습윤 상태를 유지하여 계면저항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3-3, 5-3 및 6-3의 연료전지가 계면저항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출력밀도 측정
상기 실시예 3-3 내지 7-3 및 비교예 1-3에 따른 연료전지에 대하여 셀 온도를 70℃로 유지하고 50% 저가습 조건에서 전류에 따른 출력밀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공층을 갖는 기체확산층을 구비한 실시예 3-3 내지 실시예 7-3의 연료전지는 가습량이 적은 상태에 있어서도, 종래의 기체확산층을 구비한 비교예 1-3의 연료전지에 비해 높은 출력밀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비교예 1-3의 연료전지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3 내지 7-3, 특히, 실시예 3-3, 5-3 및 6-3의 연료전지가 저가습 조건에서도 기체확산층이 습윤 상태를 유지하여 높은 출력밀도를 나타내는 것임을 확인 할 수 있다.

Claims (14)

  1.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으로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의 기공의 평균 직경은 0.1 ㎛ 내지 100 ㎛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의 평균 기공 면적율은 10% 내지 90%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의 기공율은 20% 내지 90%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의 두께는 1 ㎛ 내지 200 ㎛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은 다공 그래파이트층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그래파이트층은 폴리이미드 필름을 열처리하여 탄화한 것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은 다공 폴리이미드 필름인 것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그래파이트층은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에 기공을 형성한 후 열처리한 것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그래파이트층은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에 열처리한 후 기공을 형성한 것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그래파이트층의 탄소 함량은 상기 다공 그래파이트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이상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탄소질 필름층은 핀을 가압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기공을 형성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 간의 평균 간격은 1 ㎛ 내지 10 ㎛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13. 전해질 분리막; 및
    상기 전해질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은 기체확산층 및 촉매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체확산층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인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14.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13항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들 사이에 개재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스택;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산화제를 상기 전기발생부로 공급하는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PCT/KR2016/013820 2016-09-27 2016-11-28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WO2018062622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89620.4A CN110050371A (zh) 2016-09-27 2016-11-28 包括多孔碳质薄膜层的燃料电池用气体扩散层
US16/336,450 US11289721B2 (en) 2016-09-27 2016-11-28 Gas diffusion layer comprising porous carbonaceous film layer for fuel cell
JP2019537724A JP6942377B2 (ja) 2016-09-27 2016-11-28 多孔炭素質フィルム層を含む燃料電池用ガス拡散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179 2016-09-27
KR20160124179 2016-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2622A1 true WO2018062622A1 (ko) 2018-04-05

Family

ID=6176068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3820 WO2018062622A1 (ko) 2016-09-27 2016-11-28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PCT/KR2018/007248 WO2019004712A1 (ko) 2016-09-27 2018-06-26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PCT/KR2018/007247 WO2019004711A1 (ko) 2016-09-27 2018-06-26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7248 WO2019004712A1 (ko) 2016-09-27 2018-06-26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PCT/KR2018/007247 WO2019004711A1 (ko) 2016-09-27 2018-06-26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289721B2 (ko)
JP (4) JP6942377B2 (ko)
KR (4) KR101984472B1 (ko)
CN (3) CN110050371A (ko)
WO (3) WO20180626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472B1 (ko) * 2016-09-27 2019-05-31 가드넥(주)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KR102198698B1 (ko) 2017-08-21 2021-01-05 김학모 방열 및 전자파 차폐 기능이 개선된 그라파이트 라미네이트 칩온필름형 반도체 패키지
US11153678B1 (en) * 2019-01-16 2021-10-19 Amazon Technologies, Inc. Two-way wireless headphones
KR102262168B1 (ko) * 2019-07-30 2021-06-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섬유상 전기화학 소자용 전극
CN111584909B (zh) * 2019-12-31 2022-04-05 上海嘉资新材料科技有限公司 气体扩散层、其制备方法,对应的膜电极组件以及燃料电池
CN111509252A (zh) * 2020-05-06 2020-08-07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气体扩散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30246201A1 (en) * 2022-01-31 2023-08-03 Hydrogenics Corporation Additive application of microporous layer onto gas diffusion layer
CN115101771A (zh) * 2022-06-28 2022-09-23 广东德氢氢能科技有限责任公司 燃料电池气体扩散层及其制备方法、燃料电池膜电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422A (ko) * 2001-03-19 2002-09-30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전지용 전극 기재
JP2005293976A (ja) * 2004-03-31 2005-10-20 Nissan Motor Co Ltd ガス拡散層及び燃料電池
JP2007287553A (ja) * 2006-04-19 2007-11-01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電解質膜用多孔質材料、その製造方法、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mea)、及び燃料電池
KR20140000712A (ko) * 2011-02-18 2014-01-0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상기 막-전극 접합체를 사용한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
KR20150118087A (ko) * 2013-02-13 2015-10-2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연료 전지용 가스 확산층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5743B2 (ja) 2000-05-31 2010-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ス拡散層
JP2002170574A (ja) * 2000-09-21 2002-06-14 Ube Ind Ltd 燃料電池用電極基材
JP4880131B2 (ja) * 2001-04-23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ス拡散電極およ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4876318B2 (ja) * 2001-03-08 2012-0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とその製造方法
US20040265676A1 (en) * 2001-10-25 2004-12-30 Jun Takagi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fuel cell
JP3878512B2 (ja) * 2002-05-23 2007-0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WO2004095614A2 (en) * 2003-04-18 2004-11-04 Ube Industries, Ltd. Metal-supported porous carbon film, fuel cell electrode and fuel cell employing the electrode
KR100599799B1 (ko) * 2004-06-30 2006-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연료전지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KR20070019868A (ko) * 2005-08-11 2007-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의제조방법
JP5182908B2 (ja) * 2005-09-08 2013-04-17 日東電工株式会社 膜電極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KR101082810B1 (ko) * 2005-11-01 2011-11-11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가스 확산 전극, 막-전극 접합체,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2007149565A (ja) * 2005-11-29 2007-06-14 Toshiba Corp 燃料電池
KR100763548B1 (ko) * 2006-01-16 2007-10-04 주식회사 아모메디 연료전지용 가스 확산층의 형성방법
JP2007234359A (ja) * 2006-02-28 2007-09-13 Honda Motor Co Ltd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膜電極構造体
JP2008201106A (ja) * 2007-02-22 2008-09-04 Shinano Kenshi Co Ltd 複合材、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および複合材の製造方法
JP5213499B2 (ja) * 2008-04-01 2013-06-1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燃料電池
KR20100011644A (ko) * 2008-07-25 2010-02-03 주식회사 아모메디 탄소나노섬유웹을 이용하여 촉매층과 가스확산층을일체화시킨 연료전지 전극,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사용한연료전지
CN102652192B (zh) * 2009-12-09 2014-12-24 日清纺控股株式会社 柔性碳纤维非织造布
JP2011246695A (ja) * 2010-04-27 2011-12-08 Toray Ind Inc 複合化高分子電解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004001B (zh) * 2010-05-25 2016-02-17 3M创新有限公司 强化的电解质膜
JP5257513B2 (ja) * 2010-05-25 2013-08-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5552904B2 (ja) * 2010-05-28 2014-07-1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ナノ炭素含有繊維及びナノ炭素構造体繊維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の方法で得られたナノ炭素含有繊維及びナノ炭素構造体繊維
JP5648785B2 (ja) * 2010-07-29 2015-01-07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極
KR101767370B1 (ko) * 2011-07-29 2017-08-2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CN102427141B (zh) * 2011-12-01 2013-11-20 中山大学 一种复合质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US10326148B2 (en) * 2012-10-19 2019-06-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Fuel cell gas diffusion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777595B2 (ja) * 2012-11-14 2015-09-09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燃料電池、炭素複合構造、およびその作製方法
CN102936764A (zh) * 2012-11-27 2013-02-20 天津工业大学 一种聚丙烯腈基纳米碳纤维的制备方法
KR101995527B1 (ko) * 2012-12-28 2019-07-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강화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KR101419772B1 (ko) * 2013-03-14 2014-07-17 (주)에프티이앤이 내열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내열성/무기 고분자 2층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9461311B2 (en) * 2013-03-15 2016-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icroporous layer for a fuel cell
KR101392227B1 (ko) * 2013-03-21 2014-05-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분자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탄소섬유 웹
JP6131696B2 (ja) 2013-04-26 2017-05-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ガス拡散層、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る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KR102098639B1 (ko) * 2013-09-30 2020-04-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DE102015014433A1 (de) * 2014-11-07 2016-05-12 Daimler Ag Katalysatorschicht mit Durchtrittsöffnung für Brennstoffzellen
JP2016207514A (ja) * 2015-04-24 2016-1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解質膜と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6027187B2 (ja) * 2015-05-25 2016-11-16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燃料電池および炭素複合構造
KR102042463B1 (ko) * 2015-07-29 2019-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박막에 전기방사법으로 섬유상 코팅층을 도입한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분리막
CN105261767A (zh) * 2015-09-07 2016-01-20 武汉理工大学 纳米碳掺杂多孔纤维单电极、膜电极及制备方法
JP6657712B2 (ja) * 2015-09-29 2020-03-04 日本製紙株式会社 炭素繊維及び炭素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7066540A (ja) * 2015-09-29 2017-04-06 日本製紙株式会社 炭素繊維及び炭素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
JP6187720B1 (ja) * 2015-12-24 2017-08-30 東レ株式会社 ガス拡散電極
CN106299429B (zh) * 2016-08-24 2019-11-01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用碱性阴离子交换复合膜及制备方法
KR101984472B1 (ko) * 2016-09-27 2019-05-31 가드넥(주)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422A (ko) * 2001-03-19 2002-09-30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전지용 전극 기재
JP2005293976A (ja) * 2004-03-31 2005-10-20 Nissan Motor Co Ltd ガス拡散層及び燃料電池
JP2007287553A (ja) * 2006-04-19 2007-11-01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電解質膜用多孔質材料、その製造方法、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mea)、及び燃料電池
KR20140000712A (ko) * 2011-02-18 2014-01-0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연료 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상기 막-전극 접합체를 사용한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
KR20150118087A (ko) * 2013-02-13 2015-10-2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연료 전지용 가스 확산층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4712A1 (ko) 2019-01-03
KR102018913B1 (ko) 2019-11-04
CN110050371A (zh) 2019-07-23
CN110800145A (zh) 2020-02-14
KR102018914B1 (ko) 2019-09-05
US20190237778A1 (en) 2019-08-01
KR20190001558A (ko) 2019-01-04
US20200127306A1 (en) 2020-04-23
JP2022068246A (ja) 2022-05-09
WO2019004711A1 (ko) 2019-01-03
KR20180034165A (ko) 2018-04-04
KR20190001557A (ko) 2019-01-04
KR20180034198A (ko) 2018-04-04
US11289721B2 (en) 2022-03-29
JP2020526001A (ja) 2020-08-27
US20200119381A1 (en) 2020-04-16
JP2019533298A (ja) 2019-11-14
JP2020526002A (ja) 2020-08-27
KR101984472B1 (ko) 2019-05-31
CN110800144A (zh) 2020-02-14
JP6942377B2 (ja)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62622A1 (ko)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WO2014104785A1 (en) Reinforced composi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WO2013147520A1 (ko)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WO2017052248A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EP3267519A1 (en) Conductive aromatic polyimide porous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1149241A2 (en) Polyimide porous web,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KR101264331B1 (ko)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WO2017175891A1 (ko)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WO2010128737A1 (en) Method for preparing membrane-electrode assembly, membrane-electrode assembly prepared therefrom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KR20110043908A (ko)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 제조 방법
WO2017171471A1 (ko) 강화막,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 및 연료 전지, 및 상기 강화막의 제조방법
WO2016117915A1 (ko) 고분자 전해질 막 및 그 제조방법
WO2018101591A1 (ko) 막-전극 접합체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
WO2022114726A1 (ko) 강화층을 형성한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 제조 방법
WO2021137517A1 (ko) 연료전지의 역전압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막-전극 어셈블리,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1440659B1 (ko)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WO2021133044A1 (ko)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것의 내구성 측정방법
WO2017052179A1 (ko) 연료전지용 분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연료전지 전극 어셈블리
WO2019139415A1 (ko)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의 제조방법
WO2023101310A1 (ko) 연료전지용 강화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WO2021133045A1 (ko) 고분자 전해질막,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기화학 장치
KR20180034290A (ko)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WO2019146959A1 (ko) 촉매층의 제조방법, 촉매층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WO2023113218A1 (ko)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WO2024014741A1 (ko)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178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3772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178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