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557A -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 Google Patents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557A
KR20190001557A KR1020180073132A KR20180073132A KR20190001557A KR 20190001557 A KR20190001557 A KR 20190001557A KR 1020180073132 A KR1020180073132 A KR 1020180073132A KR 20180073132 A KR20180073132 A KR 20180073132A KR 20190001557 A KR20190001557 A KR 20190001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iffusion
fuel cell
diffusion layer
layer
carbon nano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913B1 (ko
Inventor
박기호
김부곤
박종수
Original Assignee
가드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드넥(주) filed Critical 가드넥(주)
Publication of KR2019000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26Humidifying
    • H01M8/04149Humidifying by diffusion, e.g. making use of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4Carbonace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26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01M8/1011Direct alcohol fuel cells [DAFC], e.g.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1
    • Y02E60/52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GAS DIFFUSION LAYER COMPRISING CARBON NANOFIBER SPUN FOR FUEL CELL}
본 발명은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7년 6월 26일에 한국 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출원 제 10-2017-0080431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연료전지(Fuel Cell)란 연료의 산화로 인해 생기는 화학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지로서, 최근 화석 연료의 고갈 문제, 이산화탄소 발생에 의한 온실효과와 지구 온난화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태양전지 등과 함께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료전지는 일반적으로 수소와 산소의 산화,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애노드 (anode)에서 수소가 산화되어 수소 이온과 전자로 분리되고, 수소 이온은 전해질 (electrolyte)을 통해 캐소드 (cathode)로 이동한다. 이때, 전자는 회로를 통해 양극으로 이동한다. 양극에서 수소 이온, 전자 및 산소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는 환원반응이 일어난다.
연료전지의 기체확산층은 외부 또는 연료전지의 단위 전지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 (separator)를 통하여 유입되는 반응 기체 (수소, 산소 등)를 전기화학반응이 발생하는 촉매층으로 유입시키면서, 전기화학반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연료전지의 기체확산층이 반응 기체의 원활하게 유입시키지 못하면, 반응 농도가 저하되어 발전 전압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연료전지의 기체확산층이, 전기화학반응으로 인하여 발생된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키지 못하면, 역시 반응 농도가 저하되어 발전 전압의 저하를 초래한다.
한편, 연료전지의 기체확산층이 발생된 열을 원활하게 배출시키지 못하면, 전해질이 통과하는 전해질막을 건조시킴으로 인하여 이온 전도도의 저하를 초래하여, 저항 손실을 증가시켜 역시 발전 전압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종래의 연료전지의 기체확산층은, 반응 기체의 유입 촉진 및 응축수 배출 촉진을 위하여 그 기공율을 높일 경우, 전해질막의 건조를 초래하여 전기화학반응으로 발생하는 열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일정 수준 이상 기공율을 높일 수 없었으며, 전기전도율이 낮아 발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연료전지의 기체확산층은 전해질막의 습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미세 탄소 입자를 코팅함으로써, 고분자막의 기공을 미세한 크기로 조절하였으나, 이러한 전해질막은 기공의 분포가 불균일하여 반응 기체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여,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다층 적층 구조로 인하여 두께 조절 등의 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균일한 기공 분포 및 높은 기공율을 가지면서도, 열전달 및 전기전도 효율이 뛰어나 우수한 발전 효율을 나타내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으로서,
상기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은 고분자 조성물을 전기 방사하여 형성한 것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해질막; 및 상기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은 상기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및 촉매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들 사이에 개재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스택;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산화제를 상기 전기발생부로 공급하는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확산층은 높은 기공율 및 균일한 기공 분포를 가짐으로써 반응 기체의 유입 촉진 및 응축수 배출을 촉진하면서도, 열전달 및 전기전도 효율이 우수하여 전해질막의 건조를 억제하므로,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는 우수한 발전 효율을 나타낸다.
도 1은 시험예 1에서, 실시예 1-2에 따라 만들어진 기체확산층의 미세구조를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 장치로 촬영한 화상으로 배율은 10k 이다.
도 2는 시험예 1에서, 비교예 1-2에 따라 만들어진 기체확산층의 미세구조를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 장치로 촬영한 화상으로 배율은 10k 이다.
도 3은 시험예 2에서,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4-2에 따른 각 단위 전지의 전류-전압 값을 측정하여 전류-전압 곡선을 도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은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은 고분자 조성물을 전기 방사하여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방사는 상기 고분자 조성물의 방사 시 30 kV 내지 70 kV의 전압,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kV 내지 60 kV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다. 상기 전압이 30 kV 미만이면, 섬유의 스플릿(Split)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용매의 휘발도가 저하되며, 70 kV 초과이면, 고분자 조성물이 방사되는 노즐의 첨단에서 막힘 현상(팁트러블)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방사는 50℃ 내지 80℃의 온도 하에서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 전기방사가 수행되는 온도가 50℃ 미만일 경우, 상기 고분자 용액의 점도가 높아져서 원활하게 방사가 되지 못하며, 이는 양산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방사가 수행되는 온도가 80℃를 초과할 경우, 상기 고분자 용액 중 용매의 휘발이 발생하여 고분자 용액의 조성이 변할 수 있으며, 용매 휘발에 의한 용액 탱크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폭발을 일으킬 위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방사된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의 섬유 평균 직경은 0.01 ㎛ 내지 2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 내지 1 ㎛이다. 상기 섬유 평균 직경이 0.01 ㎛ 미만이면, 섬유와 섬유간의 공극의 크기가 감소하여 기체 투과율이 저하되며, 2 ㎛ 초과이면 섬유간의 공극의 크기가 증가하여 기체 내 존재하는 이물질이 공극 사이를 통과하여 전지 스택 내에 누적 됨으로 인하여, 연료전지의 기체확산층으로서 연료전지 특성 평가 시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방사는 상기 고분자 조성물이 저장된 용기의 개방부인 팁과 상기 팁으로부터 중력 방향으로 이격된 집전판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압력이 인가되어 분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팁과 상기 집전판 사이의 이격 거리는 10 cm 내지 20 cm, 바람직하게는 12 cm 내지 16 cm이다. 상기 이격거리가 10 cm 미만이면, 섬유의 스플릿(Split)이 미쳐 이루어지기 전에 방사가 끝이 나므로 잔류용매가 남게 되고, 이러한 잔류용매로 인하여 나노섬유의 멜팅(melting) 현상이 발생으로 원하는 탄소 나노 섬유의 변형이 발생하며, 20 cm 초과이면 집전판 사이의 자기장 형성이 불안해져 탄소 나노 섬유층이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조성물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폴리아크릭에시드(Polyacrilic acid, PA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등의 폴리아크릴수지; 폴리비닐크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c) 등의 폴리비닐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ne terephthalate, PBT) 등의 폴리에스테르수지; 나일론(Nylo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르 프로필렌 공중합체[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HF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 공중합체[poly(vinylidene fluoride)-co-(chlorotrifluoroethylene); P(VDF-C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Poly tetrafluoro ethylene-co-hexafluoro propyrene-co-vinylidene fluoride, THV); 폴리이써이써케톤(Poly ether ether ketone), 폴리페닐레옥사이드(Poly phenylene oxide, PPO); 폴리페닐렌설폰(Poly phenylene sulfone, PPS); 폴리설폰(Poly sulfone, PS); 폴리이써설폰(Poly ehter sulfone, PES); 폴리이미드(Poly imide, PI); 폴리이써이미드(Polyether imide, PEI); 폴리아마이드이미드(Polyamide imide, PAI); 폴리벤지이미다졸(Polybenzimidazole, PBI); 폴리벤조옥사졸(Polybenzoxazole, PBO); 및 폴리아라미드(Poly ar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조성물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의 두께는 20 ㎛ 내지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150 ㎛이다. 상기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의 두께가 20 ㎛ 미만이면, 열처리 시 물성 저하가 발생하며, 200 ㎛ 초과이면 열처리 후 가스분리층의 막-전극 접합체의 적층 시 공간 상 제약으로 인하여 연료 전지의 성능 발현에 필요한 유효한 촉매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은 상기 전기 방사에 의해 형성된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열처리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산화안정화 단계, 탄화 단계 및 흑연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산화안정화 단계는 제 1 온도구간을 갖는 제 1 히터내로 상기 나노섬유 방사층을 도입시킴으로써 상기 나노섬유 필름의 고리화 반응을 일으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산화안정화 단계에서 생성된 이중결합은 탄소화 과정에서 사슬의 절단을 줄이고,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온도구간은 실온에서 300±30℃ 까지 순차적으로 상승하는 구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화 단계는 탄화 제 2 온도구간을 갖는 제 2 히터내로 상기 나노섬유 방사층을 도입시킴으로써 상기 나노섬유 필름을 탄화시켜 탄소질 필름으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탄화 제 1 온도구간은 300±30℃ 내지 1,000℃로 순차 상승하는 구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흑연화 단계는 선형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인 제 3 온도구간을 갖는 제 3 히터 내로 상기 탄소질 필름을 도입시켜 다공성을 갖는 그라파이트 필름으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3 온도구간은 1,000℃ 내지 2,800℃로 순차 상승하는 구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3 온도구간은 1,000℃ 내지 1,500℃의 제 3-1 온도구간, 1,500℃ 내지 2,200℃의 제 3-2 온도구간 및 2,200℃ 내지 2,800℃의 제 3-3 온도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흑연화 단계는 상기 제 3-1 온도구간 내에서 상기 탄소질 필름을 횡방향으로 0.33 ㎜/초 내지 1.33㎜/초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제 3 히터의 내부 온도를 분당 1℃ 내지 5℃로 상승시키면서 1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상기 탄소질 필름에 대하여 열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아세톤; 디메틸설폭시드, 디에틸설폭시드 등의 설폭시드계 용매; N, N-디메틸포름아미드, N, N-디에틸포름아미드 등의 포름아미드계 용매; N, 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 N-디에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세트아미드계 용매; N-메틸-2-피롤리돈, N-비닐-2-피롤리돈 등의 피롤리돈계 용매; 페놀, o-, m-, 또는 p-크레졸, 크실레놀, 할로겐화 페놀, 카테콜 등의 페놀계 용매; 헥사메틸포스포르아미드, γ-부틸올락톤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크실렌,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디에틸아세트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특별한 제한 설명이 없다면, 이하의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의 제조방법은, 고분자 조성물을 전기 방사하여 나노 섬유 방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나노 섬유 방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고분자 조성물의 방사 시 30 kV 내지 70 kV의 전압,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kV 내지 60 kV의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방사 단계는 상기 고분자 조성물이 저장된 용기의 개방부인 팁과 상기 팁으로부터 중력 방향으로 이격된 집전판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압력이 인가되어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의 제조방법은, 상기 전기 방사에 의해 형성된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산화안정화 단계, 탄화 단계 및 흑연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는 상기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상기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은 퍼플루오르술폰산 폴리머, 탄화수소계 폴리머, 폴리이미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포스파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술폰, 이들의 산 또는 염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은 각각 기체확산층 및 촉매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의 촉매층은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및 백금-전이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촉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전극의 촉매층은 백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 또는 상기 캐소드 전극의 촉매는 탄소계 담체에 담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는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들 사이에 개재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스택;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산화제를 상기 전기발생부로 공급하는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는 막-전극 접합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막고 외부에서 공급된 연료 및 산화제를 막-전극 접합체로 전달하는 역할과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직렬로 연결시켜주는 전도체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공급부는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 및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스택으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료로는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수소 또는 탄화수소 연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연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천연가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제 공급부는 산화제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산소 또는 공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펌프로 주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는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 또는 직접메탄올형 연료전지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의 제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AN) 100g에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900g을 넣고 용해시켜 고분자 방사 용액(농도: 10 wt%)을 제조하였다.
이후 오성테크놀로지사에서 제조된 전기 방사 장치의 고분자 조성물 공급 용기에 제조된 고분자 방사 용액 6 ㎖를 주입 후, 상기 공급 용기의 개방부인 팁과 상기 팁으로부터 중력 방향으로 이격된 집전판 사이의 거리를 15 cm로 유지하고, 상기 공급 용기 내 온도를 70 ℃로 항온 제어한 채로 상기 팁과 상기 집전판 사이에 30 kV 의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공급 용기의 고분자 방사 용액을 8시간 동안 가압 분사시켜 가로 25 cm, 세로 45 cm, 두께 100 um인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2-1>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의 제조
전기 방사 장치의 고분자 방사 용액의 공급 용기 내 온도를 45℃로 항온 제어한 것을 제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과정으로 기체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의 제조
전기 방사 장치의 고분자 방사 용액의 공급 용기 내 온도를 35℃로 항온 제어한 것을 제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과정으로 기체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1>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의 제조
전기 방사 장치의 고분자 방사 용액의 공급 용기 내 온도를 25℃로 항온 제어한 것을 제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과정으로 기체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기체확산층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열처리를 하여 기체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제 1 온도구간을 갖는 제 1 히터 내로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나노섬유 방사층을 도입시킴으로써 상기 나노섬유 필름의 고리화 반응이 일어난 안정화 된 나노섬유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 온도구간은 300± 30℃이까지 순차적으로 상승하는 구간이다.
이렇게 안정화 된 나노섬유 필름을 제 2 온도구간을 갖는 제 2 히터 내로 도입시킴으로써 나노섬유 필름을 탄화시켜 탄소질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2 온도구간은 300±30℃ 내지 1,000℃로 순차 상승하는 구간이다.
상기 방법으로 만든 탄소질 필름을 제 3 온도구간을 갖는 제 3 히터 내로 도입시켜 다공성을 갖는 기체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3 온도구간은 1,000℃ 내지 2,800℃로 순차 상승하는 구간이다.
<실시예 2-2> 기체확산층의 제조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으로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과정으로 기체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기체확산층의 제조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으로 상기 실시예 3-1에서 제조된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과정으로 기체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2> 기체확산층의 제조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으로 상기 실시예 4-1에서 제조된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과정으로 기체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촉매층이 형성된 전해질막의 제조
전해질막은 퍼플루오르술폰산 폴리머인 듀퐁사의 나피온막(Nafion 112)을 사용하였다. 촉매 잉크를 제조하기 위하여, 애노드와 캐소드 촉매로 백금 담지 카본 촉매(Pt/C)를 사용하였다. 나피온(Nafion) 용액, 이소프로필 알콜 및 물을 혼합하고, 상기 촉매와 섞어 촉매 : nafion 건조 중량 : 용매 = 1 : 0.3 : 20 이 되도록 한 후, 잘 분산되도록 교반하고 고속 믹서기(2시간)를 통해 균일하게 혼합하여 촉매 잉크를 준비하였다.
제조된 촉매 잉크를 스프레이 코터(spray coater)를 이용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의 일면에 분사함으로써, 0.4㎎/㎠ 씩 촉매층을 각각 형성하였다.
<실시예 1-4> 단위전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에 따라 제조한 전해질막의 양면에 상기 실시예 1-2에 따라 제조된 기체확산층을 겹친 후 막-전극 접합체를 중심으로 가스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210㎛의 가스켓을 전극 부분을 제외한 고분자 전해질 부분에 밀착시키고, 막-전극 접합체에 수소의 투입 및 균일한 압력을 주기 위한 유로를 가진 음극용 판과, 공기의 투입 및 막-전극 접합체에 균일한 압력을 주기 위한 양극용 판을 밀착시켜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단위전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기체확산층을 기체확산층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한 과정으로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4> 단위전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3-2에서 제조된 기체확산층을 기체확산층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한 과정으로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4> 단위전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4-2에서 제조된 기체확산층을 기체확산층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한 과정으로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의 제조
전기 방사 시 고분자 조성물 공급 용기의 온도를 제어하지 않고 실온인 25 ℃로 유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과정으로 가로 25 cm, 세로 45 cm, 두께 100 um인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기체확산층의 제조
상기 비교예 1-1에 따라 제조된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과정으로 기체확산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촉매층이 형성된 전해질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과정으로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단위전지의 제조
상기 비교예 1-1에 따라 제조된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기체확산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한 과정으로 단위전지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FE-SEM을 통한 미세구조 관찰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방법에 따라 만들어진 기체확산층의 미세구조를 히타치사에서 제조된 제품명 SU-70인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 장치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사용하여 촬영하여,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의 제조시 고분자 방사액의 온도를 일정한 범위로 제어되는지 여부에 따라 섬유의 선경이 차이가 있으며, 이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기 방사 시 일정한 온도가 유지가 되지 않았을 때 잔류용매 휘발이 부족하여 용매에 나노섬유 일부가 녹아서 생기는 현상을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단위전지의 성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 조건 하에서 단위전지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상대 습도: 80%
전지 온도: 65℃
기체 공급: 애노드 - 수소 / 캐소드 - 공기
측정 장치: CNL사의 연료전지 성능 TEST STATION
전해질막 표면적: 25 cm2
우선, 상기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4-2에 따른 각 단위 전지의 전류-전압 값을 측정하여 도 3에 전류-전압 곡선을 도시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시 고분자 방사 용액을 공급 용기 내에서 온도를 각각 45℃, 70℃로 유지하면서 전압을 인가하여 제조된 기체확산층을 사용하는 실시예 1-2 및 실시예 2-2의 연료전지는, 각각 35℃, 25℃로 유지하면서 전압을 인가하여 제조된 기체확산층을 사용하는 실시예 3-2 및 4-2의 연료전지보다 발전 성능이 특히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1-2의 연료전지가 실시예 2-2의 연료전지보다 발전 성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서 전류 밀도 800 내지 1200 mA/cm2의 구간은 기체확산층의 기공 크기와 연관되어 물의 배출, 기체 유입으로 인하여 농도 구배에 의하여 성능 감소가 발생하는 물질 전달 (mass transfer) 구간에 해당되는데, 이 구간에서 실시예 1-2 및 실시예 2-2의 연료전지는 실시예 3-2 및 4-2의 연료전지 에 비하여 성능 감소가 적으며, 특히 실시예 1-2는 물질 전달 구간에서의 성능 저하가 거의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으로서,
    상기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은 고분자 조성물을 전기 방사하여 형성한 것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방사는 30 kV 내지 70 kV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방사는 40℃ 내지 80℃의 온도 하에서 수행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은 상기 전기 방사에 의해 형성된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열처리한 것인, 연료전지용 기체 확산층.
  5. 전해질막; 및
    상기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은 기체확산층 및 촉매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체확산층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인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6.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5항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들 사이에 개재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스택;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산화제를 상기 전기발생부로 공급하는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20180073132A 2016-09-27 2018-06-26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KR102018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4179 2016-09-27
KR1020170080431A KR20180034198A (ko) 2016-09-27 2017-06-26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KR1020170080431 2017-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57A true KR20190001557A (ko) 2019-01-04
KR102018913B1 KR102018913B1 (ko) 2019-11-04

Family

ID=6176068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741A KR101984472B1 (ko) 2016-09-27 2016-11-28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KR1020170080431A KR20180034198A (ko) 2016-09-27 2017-06-26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KR1020180073132A KR102018913B1 (ko) 2016-09-27 2018-06-26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KR1020180073134A KR102018914B1 (ko) 2016-09-27 2018-06-26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741A KR101984472B1 (ko) 2016-09-27 2016-11-28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KR1020170080431A KR20180034198A (ko) 2016-09-27 2017-06-26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134A KR102018914B1 (ko) 2016-09-27 2018-06-26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289721B2 (ko)
JP (4) JP6942377B2 (ko)
KR (4) KR101984472B1 (ko)
CN (3) CN110050371A (ko)
WO (3) WO20180626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313A (ko) * 2019-07-30 2021-02-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섬유상 전기화학 소자용 전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472B1 (ko) * 2016-09-27 2019-05-31 가드넥(주)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TWI781215B (zh) 2017-08-21 2022-10-21 金學模 改善散熱及電磁波屏蔽功能的層壓石墨的膜上晶片型半導體封裝
US11153678B1 (en) * 2019-01-16 2021-10-19 Amazon Technologies, Inc. Two-way wireless headphones
CN111584909B (zh) * 2019-12-31 2022-04-05 上海嘉资新材料科技有限公司 气体扩散层、其制备方法,对应的膜电极组件以及燃料电池
CN111509252A (zh) * 2020-05-06 2020-08-07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气体扩散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101771A (zh) * 2022-06-28 2022-09-23 广东德氢氢能科技有限责任公司 燃料电池气体扩散层及其制备方法、燃料电池膜电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6858A (ja) * 2010-05-28 2011-12-08 Mitsubishi Rayon Co Ltd ナノ炭素含有繊維及びナノ炭素構造体繊維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の方法で得られたナノ炭素含有繊維及びナノ炭素構造体繊維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5743B2 (ja) * 2000-05-31 2010-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ス拡散層
JP2002170574A (ja) * 2000-09-21 2002-06-14 Ube Ind Ltd 燃料電池用電極基材
JP4880131B2 (ja) * 2001-04-23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ス拡散電極およ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4876318B2 (ja) * 2001-03-08 2012-0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とその製造方法
EP1244165A3 (en) * 2001-03-19 2006-03-29 Ube Industries, Ltd. Electrode base material for fuel cell
US20040265676A1 (en) * 2001-10-25 2004-12-30 Jun Takagi Polymer electrolyte solution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fuel cell
JP3878512B2 (ja) * 2002-05-23 2007-0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US7468340B2 (en) * 2003-04-18 2008-12-23 Ube Industries, Ltd. Metal-supported porous carbon film, fuel cell electrode and fuel cell employing the electrode
JP2005293976A (ja) 2004-03-31 2005-10-20 Nissan Motor Co Ltd ガス拡散層及び燃料電池
KR100599799B1 (ko) * 2004-06-30 2006-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막-전극 접합체, 연료전지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KR20070019868A (ko) * 2005-08-11 2007-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의제조방법
JP5182908B2 (ja) * 2005-09-08 2013-04-17 日東電工株式会社 膜電極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KR101082810B1 (ko) * 2005-11-01 2011-11-11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가스 확산 전극, 막-전극 접합체,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2007149565A (ja) * 2005-11-29 2007-06-14 Toshiba Corp 燃料電池
KR100763548B1 (ko) * 2006-01-16 2007-10-04 주식회사 아모메디 연료전지용 가스 확산층의 형성방법
JP2007234359A (ja) * 2006-02-28 2007-09-13 Honda Motor Co Ltd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膜電極構造体
JP5151063B2 (ja) 2006-04-19 2013-0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解質膜用多孔質材料、その製造方法、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mea)、及び燃料電池
JP2008201106A (ja) * 2007-02-22 2008-09-04 Shinano Kenshi Co Ltd 複合材、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および複合材の製造方法
JP5213499B2 (ja) * 2008-04-01 2013-06-1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燃料電池
KR20100011644A (ko) * 2008-07-25 2010-02-03 주식회사 아모메디 탄소나노섬유웹을 이용하여 촉매층과 가스확산층을일체화시킨 연료전지 전극,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사용한연료전지
WO2011070893A1 (ja) * 2009-12-09 2011-06-16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炭素繊維不織布
JP2011246695A (ja) * 2010-04-27 2011-12-08 Toray Ind Inc 複合化高分子電解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893373B2 (en) * 2010-05-25 2018-02-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inforced electrolyte membrane
WO2011148466A1 (ja) * 2010-05-25 2011-1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5648785B2 (ja) * 2010-07-29 2015-01-07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極
US20140038077A1 (en) 2011-02-18 2014-02-06 Dai Nippon Printing Co., Ltd.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olid polymer fuel cell using membrane-electrode assembly
KR101767370B1 (ko) * 2011-07-29 2017-08-2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CN102427141B (zh) * 2011-12-01 2013-11-20 中山大学 一种复合质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US10326148B2 (en) * 2012-10-19 2019-06-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Fuel cell gas diffusion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777595B2 (ja) * 2012-11-14 2015-09-09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燃料電池、炭素複合構造、およびその作製方法
CN102936764A (zh) * 2012-11-27 2013-02-20 天津工业大学 一种聚丙烯腈基纳米碳纤维的制备方法
KR101995527B1 (ko) * 2012-12-28 2019-07-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강화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JP5621949B1 (ja) 2013-02-13 2014-11-12 東レ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ガス拡散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19772B1 (ko) * 2013-03-14 2014-07-17 (주)에프티이앤이 내열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내열성/무기 고분자 2층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9461311B2 (en) * 2013-03-15 2016-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icroporous layer for a fuel cell
KR101392227B1 (ko) * 2013-03-21 2014-05-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분자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탄소섬유 웹
JP6131696B2 (ja) * 2013-04-26 2017-05-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ガス拡散層、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る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KR102098639B1 (ko) * 2013-09-30 2020-04-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US20160133944A1 (en) * 2014-11-07 2016-05-12 Ford Motor Company Catalyst layer with through-holes for fuel cells
JP2016207514A (ja) * 2015-04-24 2016-1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解質膜と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6027187B2 (ja) * 2015-05-25 2016-11-16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燃料電池および炭素複合構造
KR102042463B1 (ko) * 2015-07-29 2019-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박막에 전기방사법으로 섬유상 코팅층을 도입한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분리막
CN105261767A (zh) * 2015-09-07 2016-01-20 武汉理工大学 纳米碳掺杂多孔纤维单电极、膜电极及制备方法
JP6657712B2 (ja) * 2015-09-29 2020-03-04 日本製紙株式会社 炭素繊維及び炭素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7066540A (ja) * 2015-09-29 2017-04-06 日本製紙株式会社 炭素繊維及び炭素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80095845A (ko) * 2015-12-24 2018-08-2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가스 확산 전극
CN106299429B (zh) * 2016-08-24 2019-11-01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用碱性阴离子交换复合膜及制备方法
KR101984472B1 (ko) * 2016-09-27 2019-05-31 가드넥(주) 다공 탄소질 필름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6858A (ja) * 2010-05-28 2011-12-08 Mitsubishi Rayon Co Ltd ナノ炭素含有繊維及びナノ炭素構造体繊維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の方法で得られたナノ炭素含有繊維及びナノ炭素構造体繊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313A (ko) * 2019-07-30 2021-02-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섬유상 전기화학 소자용 전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6002A (ja) 2020-08-27
US20200119381A1 (en) 2020-04-16
CN110800145A (zh) 2020-02-14
KR20180034165A (ko) 2018-04-04
CN110800144A (zh) 2020-02-14
CN110050371A (zh) 2019-07-23
US20190237778A1 (en) 2019-08-01
KR102018914B1 (ko) 2019-09-05
WO2019004712A1 (ko) 2019-01-03
JP2022068246A (ja) 2022-05-09
KR20190001558A (ko) 2019-01-04
WO2019004711A1 (ko) 2019-01-03
WO2018062622A1 (ko) 2018-04-05
JP2020526001A (ja) 2020-08-27
KR101984472B1 (ko) 2019-05-31
KR102018913B1 (ko) 2019-11-04
JP6942377B2 (ja) 2021-09-29
KR20180034198A (ko) 2018-04-04
JP2019533298A (ja) 2019-11-14
US11289721B2 (en) 2022-03-29
US20200127306A1 (en)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913B1 (ko)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KR101577828B1 (ko)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용 충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
KR101178644B1 (ko) 이온전도성 복합막,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US10381672B2 (en) Reinforced composi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JP6235554B2 (ja) 高分子電解質膜、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膜−電極アセンブリ
US8617764B2 (en) Ion conductive resin fiber, ion conductive hybrid membran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KR20110006122A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21217A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45305A (ko)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분리막
JP2006190627A (ja) 補強材を有する高分子固体電解質膜
KR20130078153A (ko) 고분자 전해질 강화막의 제조 방법 및 고분자 전해질 강화막
US11038184B2 (en) Porous support having excellent filling characteristics of ion conducto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inforced membrane including the same
JP5430486B2 (ja) 水分管理シート、ガス拡散シート、膜−電極接合体及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KR101630212B1 (ko) Pai-ptm 부직포에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을 함침시켜 제조한 복합막 및 이의 용도
KR20130106074A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20130004615A (ko)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JP2005085562A (ja) 膜−電極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KR20200005059A (ko) 연료전지용 탄화수소계 강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화 고분자 전해질막
KR20110129110A (ko)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0566A (ko) 내구성이 우수한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1716742B1 (ko) 복합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0036396A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및 그 제조방법
Lee et al. Electrospun Poly (Ether Sulfone) Membranes Impregnated with Nafion for High-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KR20110129112A (ko) 다공성 나노섬유 웹
KR20130106072A (ko) 연료전지용 강화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