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659B1 -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659B1
KR101440659B1 KR1020100048544A KR20100048544A KR101440659B1 KR 101440659 B1 KR101440659 B1 KR 101440659B1 KR 1020100048544 A KR1020100048544 A KR 1020100048544A KR 20100048544 A KR20100048544 A KR 20100048544A KR 101440659 B1 KR101440659 B1 KR 101440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fiber web
polyimide
polyimide porous
porous nanofiber
por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108A (ko
Inventor
오흥렬
Original Assignee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filed Critical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Priority to KR102010004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659B1/ko
Priority to EP11786873.7A priority patent/EP2576880B1/en
Priority to JP2013512533A priority patent/JP5855093B2/ja
Priority to PCT/KR2011/003787 priority patent/WO2011149241A2/en
Priority to CN2011800234371A priority patent/CN102892938A/zh
Priority to US13/698,198 priority patent/US20130084515A1/en
Publication of KR20110129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9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3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condensation products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D10B2331/02 - D10B2331/14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0Physical properties por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 및 공경의 조절이 용이하고 다공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통상의 유기용매에 비용해성을 가지며 최적의 공극 분포도를 가짐으로써 이온 전도체가 균일하고 원활하게 함침됨에 따라 이온 전도성이 크게 향상되기 때문에,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또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이용할 수 있는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0 내지 99 %의 다공도; 1.5 ± 0.2 ㎛의 공극이 전체 공극의 80 내지 99% 범위 내에서 분포된 공극 분포도; 및 섬유 집합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Polyimide porous nanofiber we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또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등에 사용 가능한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표면적이 넓고 다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정수용 필터, 공기 정화용 필터, 복합재료, 및 전지용 분리막 등에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전해질막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연료전지는 연료의 산화에 의해서 생기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지로서 높은 에너지 효율성과 오염물 배출이 적은 친환경적인 특징으로 인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일반적으로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그 양쪽에 산화극(anode)과 환원극(cathode)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대표적인 예로는 수소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수소 이온 교환막 연료전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소 이온 교환막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전해질막은 산화극에서 생성된 수소 이온이 환원극으로 전달되는 통로이므로 기본적으로 수소 이온의 전도도가 우수해야 한다. 또한, 전해질막은 산화극에 공급되는 수소가스와 환원극에 공급되는 산소를 분리하는 분리능이 우수해야 하고, 그 외에도 기계적 강도, 형태안정성, 내화학성 등이 우수해야 하며, 고전류밀도에서 저항손실이 작아야 하는 등의 특성이 요구된다. 특히, 자동차용 연료전지는 고온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전해질막이 파열되지 않도록 내열성이 우수해야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으로는 불소계 수지로서 퍼플루오로설폰산 수지(나피온, Nafion, 상품명)(이하 '나피온 수지'라 한다)가 있다. 그러나, 나피온 수지는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장시간 사용하면 핀홀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에너지 전환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나피온 수지의 막두께를 증가시켜 사용하는 시도가 있지만, 이 경우는 저항손실이 증가되고 또한 고가의 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테프론, Teflon, 상품명)(이하 '테프론 수지'라 한다)에 이온 전도체로 나피온 수지를 함침시킴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 전해질막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경우는 나피온 수지가 단독으로 이루어진 전해질막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상대적으로 우수하나, 이온 전도도가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테프론 수지는 접착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연료전지 운전 중 온도 또는 습도 등의 작동 조건 변화에 따라 테프론 수지와 나피온 수지 사이의 접착성이 저하됨에 따라 수소와 산소의 분리능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더불어, 나피온 수지뿐만 아니라 다공성 테프론 수지의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대량 생산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테프론 수지 대신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와 같은 범용의 탄화수소계 수지를 사용하고 이온 전도체로서 나피온 수지 대신에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저가의 탄화수소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는 전해질막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막을 이루고 있는 탄화수소계 수지가 유기용매에 용해되거나, 내열성이 떨어짐에 따라 내구성이 보장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 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 또는 통상의 분리막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름 형태의 탄화수소계 막은 박막화가 곤란하고 다공도가 떨어지며 공경의 조절이 용이치 않은 문제가 있다.
특히, 탄화수소계 막은 공극이 너무 크거나 작기 때문에 즉, 공극 분포도가 낮기 때문에 이온 전도체가 균일하게 함침되지 않음으로써 이온 전도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박막 및 공경의 조절이 용이하고 다공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통상의 유기용매에 비용해성을 가지며 최적의 공극 분포도를 가짐으로써 이온 전도체가 균일하고 원활하게 함침됨에 따라 이온 전도성이 크게 향상되기 때문에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또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이용할 수 있는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60 내지 99 %의 다공도; 1.5 ± 0.2 ㎛의 공극이 전체 공극의 80 내지 99% 범위 내에서 분포된 공극 분포도; 및 섬유 집합체 형태로 이루어진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전구체(precusor)를 유기용매에 녹여 방사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상기 방사용액을 850 내지 3,500 V/㎝의 전기장 하에서 전기방사하여 100 내지 5,000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진 폴리이미드 전구체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폴리이미드 전구체 나노섬유 웹을 이미드화시켜 폴리이미드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박막화가 용이하고 공경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통상의 유기용매에 용해되지 않고 융점이 높기 때문에 내화학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최적의 공극 분포도를 가짐으로써 이온 전도체가 균일하고 원활하게 함침됨에 따라 이온 전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우수한 물성을 갖는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경량화, 고효율, 및 고안정성이 요구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또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등에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이루고 있는 섬유 집합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방사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이루고 있는 섬유 집합체(10)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90 % 이상의 이미드화율을 갖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폴리이미드 전구체가 열처리와 같은 이미드화 공정을 통해 고리화 반응이 일어남으로써 이미드기로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90 % 이상의 이미드화율을 가짐에 따라, 우수한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가지게 된다. 만일, 상기 이미드화율이 90 % 미만일 경우, 유기용매에 대해 나노섬유 웹이 용해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요구 물성을 유지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전기방사시 공정제어가 원활함에 따라 요구되는 직경을 갖는 섬유(11)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60 % 이상의 다공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60 % 이상의 다공도를 가짐에 따라,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비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이온 전도체가 용이하게 함침됨에 따라 이온 전도성이 우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99 % 이하의 다공도를 가질 수 있는데, 만일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의 다공도가 99 %를 초과할 경우 형태안정성이 저하됨으로써 후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5 ~ 50 ㎛의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의 두께가 5 ㎛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 및 형태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고, 반면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의 두께가 50 ㎛를 초과한다면 경량화 및 집적화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100 ~ 5,000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이 상술한 바와 같은 다공도와 두께를 가지기 위해서, 섬유 집합체(10)를 이루고 있는 상기 섬유(11)는 100 ~ 5,000 ㎚ 범위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섬유(11)의 평균 직경이 100 ㎚ 미만일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반면 상기 섬유(11)의 평균 직경이 5,000 ㎚를 초과할 경우 다공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90 % 이상의 이미드화율을 가짐에 따라, 400 ℃ 이상의 융점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의 융점이 400 ℃ 미만일 경우 내열성이 떨어짐에 따라 고온에서 쉽게 변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연료전지 또는 이차전지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의 내열성이 떨어질 경우 이를 적용한 제품이 사용 중 이상 발열에 의해 파손되어 폭발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은 이온들을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이온 전도체를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이온들이 전해질막을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이온 전도체가 나노섬유 웹 전체에 고르게 채워져야 한다. 그러나, 만일 공극의 너무 작거나 너무 큰 경우 이온 전도체가 편중되어 채워지기 때문에 이온 전도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나노섬유 웹은 특정 공경을 갖는 공극이 많아야만 이온 전도체가 원활하게 함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경이 너무 작을 경우 이온 전도체가 원활하게 함침되지 않을 수 있고, 반면 공경이 너무 클 경우 이온 전도체가 과도하게 함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온 전도체가 나노섬유 웹의 공극에 원활하게 함침될 수 있는 공경의 크기는 1.5 ㎛이고 ±0.2 ㎛의 범위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1.5 ± 0.2 ㎛의 공극이 전체 공극의 80 내지 99% 범위 내에서 분포된 공극 분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온 전도체가 가장 원활하게 함침될 수 있는 특정 공극이 다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으로부터 제조된 연료전지는 이온 전도도가 우수함에 따라 발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의 제조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방사 장치의 개략도이다.
먼저, 폴리이미드 전구체(precusor)를 유기용매에 녹여 방사용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전기방사를 통해 제조되기 때문에 다공도가 높고 박막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게 된다.
한편, 유기용매에 비용해성을 갖는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전기방사 공정을 통해 직접 제조할 수 없다. 즉, 유기용매에 비용해성을 갖는 폴리이미드는 유기용매에 녹지 않기 때문에 방사용액을 제조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기용매에 비용해성을 갖는 폴리이미드는 유기용매에 잘 녹는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이용하여 섬유 집합체(10)를 제조한 후 이러한 섬유 집합체(10)를 이미드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전구체로는 폴리아믹애시드(polyamic acid)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믹애시드는 디아민(diamine)을 용매에 혼합하고 이에 디언하이드라이드(dianhydride)를 첨가한 후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언하이드라이드로는 PMDA(pyromellyrtic dianhydride), BTDA(Benzopheno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ODPA(4,4'-oxydiphthalic anhydride), BPDA(biphenyltetracarboxylic dianhydride), 또는 SIDA(bis(3,4-dicarboxyphenyl) dimethylsilane dianhydr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아민으로는 ODA(4,4'-oxydianiline), p-PDA(p-penylene diamine), 또는 o-PDA(openylene diami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믹애시드를 용해시키는 용매로는 m-크레졸, N-메틸-2-피롤리돈(NMP),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아세톤, 디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클로로포름, γ-부티로락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사용액은 5 내지 20 %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방사용액의 농도가 5 % 미만일 경우 방사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섬유(11)가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거나 균일한 직경을 갖는 섬유(11)를 제조할 수 없고, 반면 상기 방사용액의 농도가 20 %를 초과할 경우 토출 압력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방사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방사용액을 도 2와 같은 전기방사 장치를 이용하여 100 내지 5,000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11)로 이루어진 폴리이미드 전구체 나노섬유 웹을 제조한다. 즉, 방사용액이 보관된 용액 탱크에서 정량 펌프를 이용하여 방사부로 상기 방사용액을 일정량으로 공급하고, 상기 방사부의 노즐(2)을 통해 상기 방사용액을 토출 후 비산과 동시에 응고시켜 섬유(4)를 형성하고 형성된 섬유(4)를 컬렉터(5)에서 집속시켜 폴리이미드 전구체 나노섬유 웹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고전압 발생부(3)에 의해 인가된 상기 방사부와 컬렉터(5) 사이의 전기장의 세기는 850 ~ 3,500 V/㎝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전기장의 세기가 850 V/㎝ 미만일 경우 연속적으로 방사용액이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의 나노섬유 웹을 제조할 수 없고, 또한 방사된 후 비산되어 응고된 섬유(4)가 컬렉터(5)에 원활하게 집속될 수 없기 때문에 나노섬유 웹의 제조가 곤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전기장의 세기가 3,500 V/㎝를 초과할 경우 응고된 섬유(4)가 컬렉터(5)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인 형태를 갖는 나노섬유 웹이 얻어질 수 없다.
이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전구체 나노섬유 웹을 이미드화시켜 폴리이미드 나노섬유 웹을 제조한다. 상기 폴리이미드 나노섬유 웹의 제조는 열이미드화, 화학이미드화, 또는 열이미드화와 화학이미드화를 병용한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화학이미드 공정은 상기 폴리이미드 전구체 나노섬유 웹에 아세트산 무수물(acetic anhydride), 또는 피리딘(pyridine) 등과 같은 이미드화 촉매를 처리하는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이미드 공정은 상기 폴리이미드 전구체 나노섬유 웹를 80 ~ 400 ℃의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미드화 공정은 0.2 이하의 연신비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균일하고 우수한 다공도를 갖는 나노섬유 웹을 얻기 위해서 상기 연신비는 0.2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연신비가 0.2를 초과할 경우 나노섬유 웹의 형태가 변형되어 균일한 두께를 얻을 수 없고 응집력이 저하됨에 따라 인장 강력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신비의 하한값은 원활한 공정과 다공도의 저하를 방지하고 적정한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연신하지 않은 상태인 0.0이거나, 과공급된 상태인 0.1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드화 공정을 통해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90 % 이상의 이미드화율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이미드화율이 90 % 미만일 경우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이용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폴리아믹애시드를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용매에 녹여 12 중량%의 방사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정량펌프(1)를 통해 전기방사 장치에 설치된 노즐(2)을 통해 방사한 후 고전압 발생부(3)에 의해 전기장이 인가된 상태에서 비산되어 응고된 섬유(4)를 형성하고, 상기 응고된 섬유(4)들을 컬렉터(5)에 집속시켜 폴리이미드 전구체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였다. 이때, 방사용액의 점도는 180 poise 이고, 인가된 전기장은 2,500 V/㎝ 이었다.
이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전구체 나노섬유 웹을 200 ℃의 온도로 유지된 핫프레스에서 2분 동안 열처리하여 99 %의 이미드화율을 갖는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3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상기 전기장을 각각 3,500 및 850 V/㎝로 인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지 6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상기 방사용액을 각각 8, 10, 및 18 중량%의 농도를 갖는 것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상기 전기장을 각각 3,600 및 750 V/㎝로 인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들의 물성은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균 공극(㎛) 측정
평균 공극은 전자현미경 이미지 분석기(모델명: JSM6700F, 제조사: JEOL, 측정 배율: 1.0K)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공극은 전자현미경 이미지 분석을 통해 이미지를 얻고 이러한 이미지 중 공극 부분, 즉 전자현미경 이미지에서 블랙으로 인식된 부분의 면적인 A를 얻고, 이러한 A와 전자현미경 이미지에서 블랙으로 인식된 부분 중 이미지상의 결점이나 그림자가 아니라 일정 면적 이상을 나타내어 실제 공극으로 볼 수 있는 블랙 이미지 조각의 개수인 유효 공극의 개수 B를 이용하여 셀 밀도를 얻고, 상기 셀 밀도와 상수를 이용하여 아래의 식에 의해 얻을 수 있었다.
상수 = 섬유 원료 고분자의 밀도/나노섬유 웹의 밀도
셀 밀도 = (B/A×100)3/2×109×상수
평균 공극 = [(상수-1)×6/(π×셀 밀도)]1/3×104
다공도 (%) 측정
각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의 다공도는 아래의 식과 같이 전체부피 대비 공기부피의 비율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이때, 전체부피는 직사각형 형태의 샘플을 제조하여 가로, 세로, 두께를 측정하여 계산하였고, 공기부피는 샘플의 질량을 측정 후 밀도로부터 역산한 고분자 부피를 전체부피에서 빼서 얻을 수 있었다.
다공도(%) = (공기부피/전체부피)×100
공극 분포도(%) 측정
공극의 범위가 1.5 ± 0.2 ㎛인 공극 분포도는 Mercury porosimeter win9400 series v. 1.02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저압에서는 200 ㎜Hg의 압력에서 10 분간 인가하고, 수은의 압력은 0.49 psi, 평형 시간은 10 초, 최대침투부피는 100.00 ㎖/g로 설정하였다. 한편, 고압에서는 평형시간은 10 초, 최대침투부피는 100.00 ㎖/g으로 설정하였다.
구분 전기장(V/㎝) 방사용액농도(중량%) 평균공극(㎛) 다공도(%) 공극분포도(%) 비고
실시예 1 2,500 12 1.53 90 91.2
실시예 2 3,500 12 1.40 93.4 93.1
실시예 3 850 12 1.67 86.5 86.2
실시예 4 2,500 8 1.38 91.7 80.3
실시예 5 2,500 10 1.47 90.8 84.5
실시예 6 2,500 18 1.69 78.6 82.2
비교예 1 3,600 12 1.16 99.6 75.2
비교예 2 750 12 - - - 방사안됨
1 : 정량펌프 2 : 노즐
3 : 고전압 발생부 4 : 응고된 섬유
5 : 컬렉터 10 : 섬유 집합체
11 : 섬유 12 : 공극

Claims (6)

  1. 60 내지 99 %의 다공도;
    1.5 ± 0.2 ㎛의 공극이 전체 공극의 80 내지 99% 범위 내에서 분포된 공극 분포도; 및
    섬유 집합체 형태로 이루어진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100 ~ 5,000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0.5 내지 3.0 ㎛ 평균 공극을 갖는 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4. 폴리이미드 전구체(precusor)를 유기용매에 녹여 방사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상기 방사용액을 850 내지 3,500 V/㎝의 전기장 하에서 전기방사하여 100 내지 5,000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진 폴리이미드 전구체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폴리이미드 전구체 나노섬유 웹을 이미드화시켜 폴리이미드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는 공정은 열처리 공정을 통해 90 % 이상의 이미드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용액은 5 내지 20 중량%의 농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의 제조방법.
KR1020100048544A 2010-05-25 2010-05-25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KR101440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544A KR101440659B1 (ko) 2010-05-25 2010-05-25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EP11786873.7A EP2576880B1 (en) 2010-05-25 2011-05-24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a polyimide porous web
JP2013512533A JP5855093B2 (ja) 2010-05-25 2011-05-24 ポリイミド多孔性ウェブ、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電解質膜
PCT/KR2011/003787 WO2011149241A2 (en) 2010-05-25 2011-05-24 Polyimide porous web,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CN2011800234371A CN102892938A (zh) 2010-05-25 2011-05-24 聚酰亚胺多孔网、其制备方法和包含该聚酰亚胺多孔网的电解质膜
US13/698,198 US20130084515A1 (en) 2010-05-25 2011-05-24 Polyimide porous web,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544A KR101440659B1 (ko) 2010-05-25 2010-05-25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108A KR20110129108A (ko) 2011-12-01
KR101440659B1 true KR101440659B1 (ko) 2014-09-19

Family

ID=4549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544A KR101440659B1 (ko) 2010-05-25 2010-05-25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993B1 (ko) * 2012-03-19 2015-02-10 코오롱패션머티리얼(주) 연료전지용 강화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KR101491994B1 (ko) * 2013-02-27 2015-02-10 코오롱패션머티리얼(주) 다공성 지지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기체 또는 액체 필터용 멤브레인
KR102160552B1 (ko) * 2018-02-28 2020-09-28 최영준 절연막 형성 방법 및 절연막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6476A (ja) * 2000-09-20 2002-03-26 Ube Ind Ltd 多孔質膜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連続製造装置
KR20090041637A (ko) * 2007-10-24 2009-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이미드 탄소나노섬유 전극 및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전극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씨디아이 장치
KR20100035208A (ko) * 2008-09-26 2010-04-05 주식회사 코오롱 필터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6476A (ja) * 2000-09-20 2002-03-26 Ube Ind Ltd 多孔質膜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連続製造装置
KR20090041637A (ko) * 2007-10-24 2009-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이미드 탄소나노섬유 전극 및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전극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씨디아이 장치
KR20100035208A (ko) * 2008-09-26 2010-04-05 주식회사 코오롱 필터재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108A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5093B2 (ja) ポリイミド多孔性ウェブ、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電解質膜
KR101995527B1 (ko) 연료전지용 강화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EP3125349B1 (e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containing same
KR20150101039A (ko) 다공성 지지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강화막
KR101096952B1 (ko) 나노 웹 및 그 제조방법
KR101424850B1 (ko)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KR101440659B1 (ko)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9109A (ko)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KR101731802B1 (ko)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KR101560422B1 (ko) 다공성 나노섬유 웹
KR101971269B1 (ko) 다공성 지지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강화막
KR101513076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1451566B1 (ko) 다공성 지지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강화막
KR102560503B1 (ko) 이온전도체의 충진 특성이 우수한 다공성 지지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강화막
KR101560845B1 (ko) 고분자 전해질 나노섬유 웹
KR101488546B1 (ko) 폴리이미드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KR101604410B1 (ko) 다공성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9299B1 (ko) 다공성 나노섬유 웹
KR101513075B1 (ko) 다공성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1993B1 (ko) 연료전지용 강화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KR101972082B1 (ko) 복합 구조를 가지는 다공성 지지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강화막
KR20190101940A (ko) 내화학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다공성 지지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강화막
KR20160077566A (ko) 내화학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다공성 지지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강화막
KR20140085882A (ko) 연료전지용 강화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KR20110129105A (ko) 폴리벤즈이미다졸 다공성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