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27984A2 -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27984A2
WO2013027984A2 PCT/KR2012/006594 KR2012006594W WO2013027984A2 WO 2013027984 A2 WO2013027984 A2 WO 2013027984A2 KR 2012006594 W KR2012006594 W KR 2012006594W WO 2013027984 A2 WO2013027984 A2 WO 201302798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skin
stem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59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3027984A3 (ko
Inventor
강현서
강승현
김지현
김지성
나용주
채병근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US14/239,675 priority Critical patent/US9089504B2/en
Priority to CN201280052360.5A priority patent/CN103889397B/zh
Priority to JP2014527063A priority patent/JP6215206B2/ja
Publication of WO201302798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27984A2/ko
Publication of WO201302798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2798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green tea component.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cted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natural plant-derived component that does not cause skin side effects and excellent cosmetic anti-aging and anti-wrinkle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containing green tea component is grea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kin safety by using plant-derived components and excellent skin anti-aging and wrinkle improvem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een tea saponin and green tea polypheno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green tea stem cell culture product.
  • the green tea saponin may be extracted from the green tea seed shell to remove sugar residues.
  • the green tea polyphenol may be EGCG (Epigallicatechin gallate) extracted from green tea leaves.
  • the green tea saponin or green tea polyphenol may be contained in 0.001 to 1% by weight, respective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stem cells may be derived from callus.
  • the stem cell culture product may be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em cell lines, lysates thereof, extracts thereof extracts and cultures thereof.
  • the stem cell culture produc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ained in 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may be an anti-aging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may be a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or skin barrier strengthening.
  • the composition may activate the Filagrin gene.
  • the composition may be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skin whitening or skin pigmentation.
  • the composition may activate the interleukin-6 (IL-6) gene.
  • IL-6 interleukin-6
  • the composition may be a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elasticity or improving skin wrinkles.
  • the composition may activate a catalase gene.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safety for the skin, and excellent in improving the biological mechanism in the skin called gene activation and thus can be used as an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 the green tea compon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oosts the gene activity reduced due to aging and increases the biosynthesis of collage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reby not only fundamentally improving aging skin, but also supplying collagen to provide elasticity and shine. It can have a skin rejuvenation and increase skin elasticity and prevent ag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een tea saponin and green tea polyphenols as active ingredients.
  • 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green tea ( Camellia Sinensis ) stem cell culture.
  • Green tea saponin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crude saponin of large molecular weight from green tea seed shells and converts it into ingredients that are well absorbed by the skin by removing the sugar moiety by enzymes and removing them. Use what you have.
  • Green tea polyphenols (polyphenol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GCG (epigallocatechin gallate), which is the most abundant in green tea leaves, and extracts the green tea leaves with hot water and uses a powder component solidified.
  • EGCG epigallocatechin gallate
  • the green tea saponin or green tea polyphenol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01 to 1% by weight, preferably 0.01 to 0.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is less than 0.001%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expect skin cell regeneration and antioxidant effects. In addition, when the content exceeds 1.0% by weight, the effect is no longer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raw material efficiency is lowered. Furthermore, by combining various solvents to stably support the poorly soluble green tea saponin and polyphenol in the formulation, Can devalue.
  • the green tea stem cells can be obtained using a plant stem cell culture technology that has been in the spotlight recently. Induce callus having typical properties from seeds, leaves, stems, roots, etc. of green tea, solid cell culture to establish stem cell line, and suspension cell culture Obtained by extracting active ingredients in large quantities.
  • the culture product may be one or two or more mixtur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duced stem cell lines themselves, their lysates, their extracts and their cultures.
  • the extract is not limited in the extraction method, for example, can be extracted and used in the plant culture method of cell lines derived from the tissue explant (tissue explant) of the plant.
  • the stem cell culture solution obtained from the callus derived from the leaf and the lysate of the stem cell line were simultaneously obtained and used, but the callus derived from the embryo, the formation layer, and the typical layer of green tea was cultured.
  • the same results a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stem cell line, its lysate, its extract or its culture solution.
  • the culture product may contain amino acids and the like extracted and purified from green tea stem cells as an active ingredient, the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creasing the activity of key genes that decrease the activity with skin aging again the skin Enables fundamental response to aging
  • the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creasing the collagen synthesis in the skin to increase the elastic fibers of the dermal layer of the ski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or alleviating wrinkles, and also removes the free radicals that cause skin aging. Therefore, it solves the decrease in gene activity which is the root cause of skin aging, and exhibits a comprehensive anti-aging effect by blocking oxidative stress.
  • the stem cell culture product is contained in 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preferably 0.1 to 5% by weight.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1%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expect anti-aging effect through gene reactivation.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by weight, the efficacy is no longer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raw material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i-aging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skin barrier strengthening, skin whitening, pigmentation inhibition, skin elasticity strengthening, antioxidant or wrinkle improvement.
  • keratinocytes that make up most of the epidermis
  • melanocytes that are responsible for melanin production
  • fibroblasts that make up most of the dermis.
  • keratinocytes it is deeply related to the moisturization that inhibits skin moisture evaporation and the barrier function that protects the skin from external harmful factors
  • melanocytes determine the color and tone of the skin and also produce spots and spots.
  • Fibroblasts are cells that produce elastic fibers such as collagen, and are deeply related to skin elasticity and skin wrinkles.
  • Filaggrin is known as a differentiation marker of keratinocytes and a precursor of natural moisturizing factor.
  • Interleukin-6 is a hypomelanogenic factor that acts on melanocytes and inhibits melanogenesis.
  • Catalase is an enzyme that breaks down peroxides that occur in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with the idea that activating these three key skin genes can return skin age back to a young stat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tivating the Filagrin gene.
  • the pilagrin gene When the pilagrin gene is activated, the moisturizing effect of inhibiting moisture evaporation of the skin is good, and the skin barrier that protects the skin from external harmful factors is enhance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tivating the interleukin-6 (IL-6) gene.
  • IL-6 interleukin-6
  • the skin color and skin tone are brightened, thereby the skin whitening effect, and the formation of blemishes and blemishes is suppressed, and the skin pigmentation is suppresse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tivating a catalase gene.
  • the catalase gene When the catalase gene is activated, collagen production is promoted to improve skin elasticity and improve skin wrinkles.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basic cosmetic, a makeup cosmetic, a hair cosmetic, a body cosmetic, and the like, and its formul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desired.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mulated into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s, powder foundations, emulsion foundations, wax foundations, sprays, and the like.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Basic cosmetics such as (O / W) and water-in-oil (O / W), color cosmetics such as lipstick, makeup base or foundation, cleaning agents such as shampoo, rinse, body cleanser, toothpaste or mouthwash, hair tonic
  • a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such as a hair dressing agent such as a gel or a mousse, a wool or a hair dye.
  •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s a cosmetically acceptable medium or base.
  • a cosmetically acceptable medium or base for example emulsions, suspensions, microemulsions, microcapsules, microgranules or ionic (liposomes) obtained by dispersing an oil phase in a solution, gel, solid or pasty anhydrous product, aqueous phase, and / or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ionic vesicle dispersant or in the form of a cream, skin, lotion, powder, ointment, spray or cone stick.
  • These compositions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in the art.
  •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fier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Fatty acid esters of, 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 liquid carrier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s Solubl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s, talc or zinc oxide
  •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 silicones bentonites
  • silicas talc or zinc oxide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ly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the carrier component is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a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an isethionate, an imidazolinium derivative, a methyltaurate, a sarcosinate, a fatty acid amide.
  •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additionally contain a thickener.
  • the thickener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thyl cellulose, carboxy methyl cellulose, carboxy methyl hydroxy guanine, hydroxy methyl cellulose, hydroxyethyl cellulose, carboxy vinyl polymer, polyquaternium, cetearyl alcohol, stearic acid, Carrageenan and the like can be used, and preferably, at least one of carboxy methyl cellulose, carboxy vinyl polymer and polyquaternium can be used, and most preferably, carboxy vinyl polymer.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contain a variety of suitable bases and additives as necessary, the type and amount of these components can be easily selected by the inventors. If necessary, it may contain an acceptable additive, for example,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such as preservatives, pigments, additives and the like conventional in the art. Preservatives may be specifically phenoxyethanol (Phenoxyethanol) or 1,2-hexanediol (1,2-Hexanediol) and the like, fragrance may be artificial flavors and the like.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posi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soluble vitamins, oil-soluble vitamins, polymer peptides, polymer polysaccharides, sphingolipids, and seaweed extracts.
  • Other components that may be added include fats and oils, moisturizers, emollients, surfactants,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organic powders, ultraviolet absorbers, preservatives, fungicides, antioxidants, plant extracts, pH adjusters, alcohols, pigments, flavorings, Blood circulation accelerators, cooling agents, restriction agents, purified water and the like.
  • the compounding component which may be added other than this is not limited to this, Moreover, any of the above components can be mix
  • the leaves of green tea were cut and cultured in a callus induction medium (Table 1) to induce callus.
  • Callus was induced after 15 days of culture, and callus layer began to separate after 30 days of culture. After the callus layer was separated, the white and soft parts with good growth rate were passaged every 21 days with the same fresh medium as the induced medium.
  • Table 1 the composition of the callus induction medium is shown in Table 1 below.
  • Auxin (Auxin) was added to the medium at a concentration of 1-3 mg / L. Cultivation was carried out in a dark room controlled at 25 ⁇ 1 °C.
  • the solid mediu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um medium medium having a very high content of NO 3 -N, NH 4 -N and K as compared to other mediums.
  • the composition of the solid medium is shown in Table 2 below.
  • Selected stem cell lines were cultured in suspension culture (Table 3) containing sugar and growth hormone.
  • Table 3 shows the composition of the suspension culture cultured stem cells.
  • a mixture of several active ingredients released from the cells cultured in the suspension culture into the external liquid phase was obtained. Additionally, after eluting the cell wall of the cultured cells, eluted components were also obtained.
  • the extract was obtained from green tea seed shells and treated with an enzyme.
  • high purity EGCG was obtained by repeating the extraction and concentration of green tea leaves with hot water.
  • the component mixture extracted from the green tea stem cells was found to increase the collagen biosynthesis of the fibroblast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 Table 5 shows green tea saponins (Example 1), green tea polyphenols (Example 2), a mixture of green tea stem cells and green tea saponins (Example 3), a mixture of green tea stem cells and green tea polyphenols (Example 4),
  • the collagen biosynthesis (RCB: Relative Collagen Biosynthesis) was measured on the mixture of green tea saponin and green tea polyphenol (Example 5), green tea stem cells, green tea saponin and green tea polyphenol (Example 6). will be.
  • Green Tea Ingredient Extract (ppm) Collagen Biosynthesis Rate (RCB) (%) Comparative Example 1 0 (none) 100 Reference Example 1 Green Tea Stem Cells (10ppm) 180 Example 1 Green Tea Saponin (1 ppm) 140 Example 2 Green Tea EGCG (10 ppm) 135 Example 3 Green Tea Stem Cells + Green Tea Saponins 235 Example 4 Green Tea Stem Cells + Green Tea EGCG 215 Example 5 Green Tea Saponin + Green Tea EGCG 190 Example 6 Green Tea Stem Cell + Green Tea Saponin + Green Tea EGCG 270
  • green tea saponins and green tea polyphenols in skin cells
  • normal human Keratinocytes NHK
  • fibroblasts Normal Human Fibroblast, NHF
  • Fibroblasts were evaluated using a replicate senescence model that induced cell aging through repeated passages.
  • filaggrin and interleukin-6 for keratinocytes and catalase for fibroblasts were selected.
  • Green tea stem cells, green tea saponins, and green tea polyphenols were tested at concentrations below 80% cell viability after assessing the cytotoxicity of each target cell. Each cell was treated with green tea stem cells, green tea saponins, and green tea polyphenols, and after 24 hours, the cells were collected and washed twice with 10 ml of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followed by Trizol reagent, Invitrogen, Carlsbad, CA, USA) was used to isolate the total RNA (total RNA) in the cells.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 Primers used were filaggrin: Hs00856927_g1; Interleukin-6: Hs00174360_m1; Catalase: Hs00156308_m1. Table 6 shows the results of real-time PCR for the amount of filaggrin, interleukin-6, and catalase expressed in each cell.
  • Green Tea Stem Cell Culture 1.0 Green Tea Saponin 0.1 Green Tea Polyphenols 0.1 glycerin 3.5 Oleyl alcohol 1.5 ethanol 5.5 Polysorbate 80 3.2 Carboxyl Vinyl Polymer 1.0 Butylene Glycol 2.0 Propylene glycol 2.0 Preservatives, spices Quantity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system 100
  • a massage cream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described in Table 10 below.
  • Green Tea Stem Cell Culture 1.0 Green Tea Saponin 0.1 Green Tea Polyphenols 0.1 glycerin 8.0 Butylene glycol 3.0 Liquid paraffin 45.0 Beta Glucan 7.0 Carbomer 0.1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s 3.0 Beeswax 4.0 Cetearyl Glucoside 1.5 Sesqui oleic acid sorbitan 0.9 paraffin 1.5 Preservative, coloring, flavoring Quantity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system 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 사포닌 및 녹차 폴리페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며, 유전자 활성화라고 하는 피부 속 생물학적 메커니즘 개선 효과가 탁월하여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식물의 전형성능(totipotency)을 이용한 식물세포배양기술이 발전되면서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기능성 2차 대사산물(secondary metabolite)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 2차 대사산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고기능성 화장품의 신원료로 식물 줄기세포 유래 추출물질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천연에 존재하나, 화학적 합성방법으로는 얻기 어려웠던 고기능성 활성물질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사용하지 못했던 새로운 성분들을 개발하고 응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외에도 효소처리(enzyme treatment)를 활용한 물질변환기술(active transformation technology)과 같은 바이오 프로세스를 활용한 소재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대하는 것만큼 신 기능성 소재나 관련 기술의 발전이 충분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무수히 많은 신기능성 성분들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식물줄기세포기술이라던가, 아니면 효소처리와 같은 바이오 프로세스를 이용한 화장품은 다양한 피부 효능, 특히 항노화 효능 부분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천연 식물 유래 성분이면서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개발을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녹차 성분을 함유하게 되면 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유래 성분들을 이용하여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며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차 사포닌 및 녹차 폴리페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녹차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녹차 사포닌은 녹차 씨 껍질에서 추출하여 당 잔기를 제거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녹차 폴리페놀은 녹차 잎에서 추출한 EGCG(Epigallicatechin gallat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녹차 사포닌 또는 녹차 폴리페놀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01~1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줄기세포는 캘러스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줄기세포 배양산물은 줄기세포주, 그의 파쇄물, 그의 추출물 그의 추출물 및 그의 배양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줄기세포 배양산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항노화용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필라그린(Fillagrin) 유전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 색소침착억제용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인터루킨-6(IL-6) 유전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탄력 강화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카탈라제(Catalase) 유전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며, 유전자 활성화라고 하는 피부 속 생물학적 메커니즘 개선 효과가 탁월하여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녹차 성분은 노화로 인해 저하된 유전자 활성을 다시 부스팅시키고, 콜라겐의 생합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키므로, 노화된 피부를 근본적으로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콜라겐을 공급하여 탄력과 윤기가 없어진 피부에 생기를 갖게 할 수 있으며, 피부 탄력증진과 더불어 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효능이 있다.
도 1은 필라그린, 인터루킨-6, 카탈라아제에 대한 유전자 발현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은 녹차 사포닌(Saponin) 및 녹차 폴리페놀(polyphenol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녹차(Camellia Sinensis)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차 사포닌(Saponin)은 녹차 씨 껍질로부터 거대 분자량의 조 사포닌(crude saponin)을 추출하고, 효소로 당 잔기(moiety)를 끊어내어 제거함으로써 피부에 잘 흡수되어 고효능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전환시킨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녹차 폴리페놀(polyphenols)은 녹차 잎에 가장 풍부한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로서, 녹차 잎을 온수로 추출한 후 고형화시킨 파우더 성분을 사용한다.
상기 녹차 사포닌 또는 녹차 폴리페놀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01~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 0.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각 성분의 함유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 세포 재생 및 항산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효능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그 원료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고, 게다가, 난용성인 녹차 사포닌과 폴리페놀을 제형 속에 안정하게 담지하기 위해 여러 용매를 조합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
상기 녹차 줄기세포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식물 줄기세포 배양기술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녹차의 씨앗, 잎, 줄기, 뿌리 등으로부터 전형성능을 갖는 캘러스(callus)를 유도한 후 고체배양(solid cell culture)하여 줄기세포주(stem cell line)를 확립하고 현탁배양(suspension cell culture)을 통해 유효 성분을 대량으로 생산한 후 추출하여 얻는다.
상기 배양산물로는, 유도된 줄기세포주 자체, 그의 파쇄물, 그의 추출물 그의 추출물 및 그의 배양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 방법에 있어서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어, 상기 식물의 조직 외식체(tissue explant)로부터 유래되는 세포주의 식물성 배양 방법으로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예 1에서는 잎으로부터 유래한 캘러스로부터 얻은 줄기세포 배양액과 줄기세포주의 용해물(lysate)을 동시에 획득하여 사용하였으나, 녹차의 배(embryo), 형성층, 전형성층으로부터 유래한 캘러스를 배양하여 얻은 줄기세포주, 그의 파쇄물, 그의 추출물 또는 그의 배양액을 이용하여도 본 발명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배양산물은 녹차 줄기세포로부터 추출하여 분리/정제한 아미노산 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추출물은 피부노화와 함께 활성이 저하되는 핵심 유전자의 활성을 다시 증가시켜 줌으로써 피부노화에 근본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진피층의 탄력 섬유를 증가시켜 주름을 개선 또는 완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피부 노화의 원인이기도 한 활성산소를 제거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 노화의 근본적 원인인 유전자 활성 저하를 해결해주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블로킹하여 종합적인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줄기세포 배양산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10 중량%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0.1 ~ 5 중량%로 함유된다. 함유량이 0.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전자 재활성화를 통한 항노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효능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그 원료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용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피부 장벽 강화용, 피부 미백용, 색소침착억제용, 피부 탄력 강화용, 항산화용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이다.
인간의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는 크게 3가지가 있다. 표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멜라닌 생성을 담당하는 멜라닌형성세포(melanocyte), 진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바로 그들이다. 각질형성세포의 경우, 피부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보습, 외부 유해인자로부터 피부를 지켜주는 장벽기능과 연관이 깊고, 멜라닌 형성세포는 피부색과 톤을 결정함과 동시에 기미와 잡티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섬유아세포는 콜라겐과 같은 탄력섬유를 생산하는 세포로, 피부 탄력, 피부 주름과 연관이 깊다. 피부 유전학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봤을 때, 3가지 세포 각각에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 활성이 가장 크게 저하되는 유전자들을 연구한 결과, 각질형성세포에서는 필라그린(Fillagrin) 유전자, 멜라닌형성세포에서는 IL-6 유전자, 섬유아세포에서는 카탈라제(Catalase) 유전자가 피부노화와 가장 깊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필라그린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마커이며 천연보습인자의 전구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인터루킨-6은 저멜라노겐 인자(hypomelanogenic factor)로서 멜라닌 형성세포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탈라아제는 세포 내에서 발생하는 과산화물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따라서 이 3가지 핵심 피부유전자를 활성화시킨다면, 피부 나이를 다시 젊은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는 생각으로 본 발명을 착안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라그린(Fillagrin)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필라그린 유전자가 활성화되면 피부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보습효과가 좋고, 외부 유해인자로부터 피부를 지켜주는 피부 장벽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터루킨-6(IL-6)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IL-6 유전자가 활성화되면, 피부색과 피부톤이 밝아져서 피부 미백 효과가 있고, 기미와 잡티 생성이 억제되어 피부색소침착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카탈라제(Catalase)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카탈라제 유전자가 활성화되면, 콜라겐 생성이 촉진되어 피부 탄력이 좋아지고, 피부 주름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모발용 화장료, 바디용 화장료 등이 있을 수 있고, 그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바디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젤, 패치, 수중유(O/W)형, 유중수(O/W)형 등의 기초 화장료, 립스틱, 메이크업베이스 또는 파운데이션 등의 색조 화장료, 샴푸, 린스, 바디클렌저, 치약 또는 구강 청정제 등의 세정료, 헤어토닉, 젤 또는 무스 등의 정발제,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점증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증제는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하이드록시 구아닌, 하이드록시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세테아릴 알콜, 스테아릭산,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중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발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부제, 색소, 첨가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또는 1,2-헥산디올 (1,2-Hexanediol) 등이 될 수 있고, 향료는 인공향료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참고예, 제조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참고예, 제조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유효성분 추출
녹차의 잎에 상처를 내고 캘러스 유도용 배지(표 1)에서 배양하여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배양 15일 이후에 캘러스가 유도되기 시작하여 배양 30일 경과 후 캘러스층이 분리되기 시작했다. 캘러스층을 분리한 후, 생장률이 좋은 희고 무른 부분을 유도배지와 동일한 새로운 배지로 매 21일째 계대하였다. 이때, 캘러스 유도용 배지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배지에 생장 조절제로서 옥신(Auxin)을 1~3mg/L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배양은 25±1℃로 조절된 암실에서 실시되었다.
표 1
  조성 함량(mg/L)
무기염 KNO3 1011.1
MgSO4·7H2O 121.56
MnSO4·4H2O 10
ZnSO4·7H2O 2
CuSO4·5H2O 0.025
CaCl2·2H2O 113.23
KI 0.75
CoCl2·6H2O 0.025
NaH2PO4·H2O 130.44
H3BO3 3
Na2MoO4·2H2O 0.25
FeNaEDTA 36.7
비타민 이노시톨(Myo-inositol) 450
티아민-HCl 20
니코틴산 2
피리독신-HCl 2
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100
시트르산 150
식물 호르몬 옥신 1~3
지베렐린산 0.5
아미노산 카세인 가수분해물 500
수크로오스   30,000
활성탄   100
젤라이트(gelrite)   4,000
상기와 같이 캘러스를 유도하여 선별한 후, 선별된 캘러스를 고체배지(Guchefa사)에서 배양하여 안정적으로 생장하는 줄기세포주를 선별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고체 배지는 MS 미디엄 배지로서 다른 배지에 비하여 NO3-N, NH4-N 및 K의 함량이 매우 높은 배지이다. 고체 배지의 조성은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조성 함량(mg/L)
무기염 NH4NO3 1650
H3BO3 6.2
CaCl2 332.2
CoCl2·6H2O 0.025
CuSO4·5H2O 0.025
Na 2-EDTA 37.26
FeSO4·7H2O 27.8
MgSO4 180.7
MnSO4(H2O) 16.9
Na2MoO4·2H2O 0.25
KI 0.83
KNO3 1900
KH2PO4 170
ZnSO4·7H2O 8.6
비타민 이노시톨(Myo-inositol) 100
니코틴산(nicotinic acid) 0.5
피리독신(Pyridoxine)·HCl 0.5
티아민(Thiamine)·HCl 0.1
아미노산 글리신(Glycine) 2
선별된 줄기세포주를 당 및 성장호르몬이 함유된 현탁배양액(표 3)에서 배양하였다. 하기 표 3은 줄기세포주를 배양한 현탁배양액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3
  조성 함량(mg/L)
무기염 KNO3 1011.1
MgSO4·7H2O 121.56
MnSO4·4H2O 10
ZnSO4·7H2O 2
CuSO4·5H2O 0.025
CaCl2·2H2O 113.23
KI 0.75
CoCl2·6H2O 0.025
NaH2PO4·H2O 130.44
H3BO3 3
Na2MoO4·2H2O 0.25
FeNaEDTA 36.7
비타민 이노시톨(Myo-inositol) 200
티아민-HCl 20
니코틴산 2
피리독신-HCl 2
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100
시트르산 150
식물 호르몬 옥신 1~3
지베렐린산 0.1
아미노산 아스파르트산 133
아르기닌 175
프롤린 115
글리신 75
수크로오스   20,000
상기 현탁배양액에서 배양된 세포로부터 외부 액상으로 배출된 여러 활성성분들의 혼합물을 얻었다. 추가적으로 배양된 세포의 세포벽을 파괴한 후 용출된 성분도 함께 획득하였다.
녹차 사포닌의 경우, 녹차 씨 껍질로부터 추출하고 효소로 처리하여 획득하였고, 녹차 폴리페놀의 경우, 녹차 잎을 온수로 추출, 농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고순도 EGCG를 획득하였다.
[시험예 1]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인체 섬유아세포를 24 웰(well) 평판배양기에 배양한 후, 각각 10 ppm(참고예 1), 5 ppm(참고예 2), 1 ppm(참고예 3), 0 ppm(비교예 1)의 녹차 줄기세포로부터 추출한 추출 혼합물이 포함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3일째에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배지인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를 각 웰 당 0.5㎖씩 첨가한 후, L[2,3,4,5-3H]-프롤린 10μCi를 첨가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각 웰에 들어있는 배지와 세포들을 긁어 모아 5% 트리클로로아세트산 (Trichloroacetic acid: TCA) 용액에 넣어 수세한 후, 비교예 1의 시험관은 4℃에서 보관하고, 페닐프로파노이드 각 농도별 참고예 및 실시예의 시험관에는 타입 I 콜라게나제(type I collagenase) 1 unit/㎕를 넣고, 37℃에서 90분간 배양하였다. 그 후, 모든 시험관에 50%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0.05㎖씩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방치한 다음, 각각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각각의 상등액과 침전물을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 (LSC: 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씨피엠(CPM: Count Per Minute) 값을 얻어,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참고예, 비교예에 대해 콜라겐 생합성 값(RCB: Relative Collagen Biosynthesis)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2006594-appb-I000001
표 4
녹차줄기세포 추출물(ppm) 콜라겐생합성 비율(RCB)(%)
참고예 1 10 180
참고예 2 5 149
참고예 3 1 122
비교예 1 0 100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녹차 줄기세포로부터 추출한 성분 혼합물이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생합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하기 표 5는 녹차 사포닌(실시예 1), 녹차 폴리페놀(실시예 2), 녹차 줄기세포와 녹차 사포닌의 혼합물(실시예 3), 녹차 줄기세포와 녹차 폴리페놀의 혼합물(실시예 4), 녹차 사포닌과 녹차 폴리페놀의 혼합물(실시예 5), 녹차 줄기세포, 녹차 사포닌 및 녹차 폴리페놀의 혼합물(실시예 6) 에 대해 콜라겐 생합성 값(RCB: Relative Collagen Biosynthesis)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5
녹차 성분 추출물(ppm) 콜라겐 생합성 비율(RCB)(%)
비교예 1 0(none) 100
참고예 1 녹차 줄기세포(10ppm) 180
실시예 1 녹차 사포닌(1 ppm) 140
실시예 2 녹차 EGCG(10 ppm) 135
실시예 3 녹차 줄기세포 + 녹차 사포닌 235
실시예 4 녹차 줄기세포 + 녹차 EGCG 215
실시예 5 녹차 사포닌 + 녹차 EGCG 190
실시예 6 녹차 줄기세포 + 녹차 사포닌 + 녹차 EGCG 270
[시험예 2] 유전자 활성화 효과
피부세포에서의 녹차 줄기세포, 녹차 사포닌, 녹차 폴리페놀 각각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각질형성세포 (Normal Human Keratinocyte, NHK)와 섬유아세포 (Normal Human Fibroblast, NHF)를 사용하였다. 섬유아세포의 경우 반복적인 계대 배양을 통해 세포 노화를 유발한 복제 세네센스 모델(replicative senescence model)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유전자로 각질형성세포의 경우 필라그린과 인터루킨-6, 섬유아세포의 경우 카탈라아제를 선정하였다.
녹차 줄기세포, 녹차 사포닌, 녹차 폴리페놀은 각 대상 세포별로 세포 독성을 평가한 후 80% 이상의 세포 생존을 보이는 농도 이하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각 세포에 대해 녹차 줄기세포, 녹차 사포닌, 녹차 폴리페놀을 각각 처치하고 24시간 후 세포를 수거하여 10ml의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세포를 두 번 세척하고, 트라이졸(Trizol reagent,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이용하여 세포 내의 전체 RNA(total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키아젠사의 RNA 키트(Qiagen RNeasy kit, Qiagen, Valencia, CA)를 사용하여, 한 번 더 정제한 후 위의 분리된 RNA로부터, 인비트로젠사의 역전사키트(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RT) II kit, Invitrogen, Carlsbad, C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고,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eal time-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으로 필라그린, 인터루킨-6, 카탈라아제 각각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유전자 발현 패턴 변화는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사의 택맨 유전자 발현 시스템(TaqMan® gene expression assay kit, Applied Biosystems, ForsterCity, CA)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필라그린: Hs00856927_g1; 인터루킨-6: Hs00174360_m1; 카탈라아제: Hs00156308_m1 이다. 각 세포에서 필라그린, 인터루킨-6, 카탈라아제가 발현된 양을 Real-Time PCR로 확인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필라그린 유전자 IL-6 유전자 카탈라제 유전자
비교예 2 대조군(none) 1 1 1
실시예 4 녹차 줄기세포(100ppm) 1.8 3.5 1.2
실시예 5 녹차 사포닌(1 ppm) 1.5 1.6 1.4
실시예 6 녹차 EGCG(10 ppm) 5.5 1.4 1.0
실시예 7 녹차 줄기세포 + 녹차 사포닌 4.2 5.5 3.3
실시예 8 녹차 줄기세포 + 녹차 EGCG 8.8 5.1 2.8
실시예 9 녹차 사포닌 + 녹차 EGCG 7.2 4.4 3.0
실시예 10 녹차 줄기세포 + 녹차 사포닌 + 녹차 EGCG 10.3 8.2 5.5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녹차 줄기세포 배양산물(참고예 4), 녹차 사포닌(실시예 1), 녹차 EGCG(실시예 2)가 피부 핵심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녹차 줄기세포의 경우 IL-6 유전자의 발현을 특히 증가시켰고, 녹차 사포닌의 경우 카탈라제 유전자의 발현을 특히 증가시켰으며, 녹차 EGCG는 필라그린 유전자 발현량 증가에 특히 효과가 좋았다. 그리고, 이들 성분들을 조합하는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6의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2종 이상의 성분을 조합하는 경우 시너지 효과가 나타났고, 특히 3가지를 모두 조합한 실시예 6의 경우 3가지 유전자를 모두 크게 활성화시킴으로써 최적의 안티에이징 효능을 유전자 레벨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표 6에서의 유전자 발현량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피부 안전성 테스트
본 발명에 의한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형예 2의 피부에 대한 자극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충북대학교 피부과 병원에서 실시하였다. 평균연령 33.2세의 건강한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등 부위에 48시간 첩포 24시간 동안 피부반응을 살펴보았다. 피부자극의 평가기준은 CTFA 가이드라인(1981년)과 Frosch & Kligman의 판정기준을 참고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인 하기 제형예 2를 첩포한 성인 30명 모두 피부자극을 일으키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피부안전성이 매우 우수한 조성물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하기 예시 이외에도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1] 유연 화장수(스킨 로션)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표 7
성분 함량(중량%)
녹차 줄기세포 배양산물 1.0
녹차 사포닌 0.1
녹차 폴리페놀 0.1
글리세린 3.5
올레일알코올 1.5
에탄올 5.5
폴리솔베이트 80 3.2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2] 영양 화장수(밀크 로션)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표 8
성분 함량(중량%)
녹차 줄기세포 배양산물 1.0
녹차 사포닌 0.1
녹차 폴리페놀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3] 영양 크림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9
성분 함량(중량%)
녹차 줄기세포 배양산물 1.0
녹차 사포닌 0.1
녹차 폴리페놀 0.1
글리세린 3.5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4] 맛사지 크림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맛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10
성분 함량(중량%)
녹차 줄기세포 배양산물 1.0
녹차 사포닌 0.1
녹차 폴리페놀 0.1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5] 팩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표 11
성분 함량(중량%)
녹차 줄기세포 배양산물 1.0
녹차 사포닌 0.1
녹차 폴리페놀 0.1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방부제 적량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녹차 사포닌 및 녹차 폴리페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녹차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사포닌은 녹차 씨 껍질에서 추출하여 당 잔기를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폴리페놀은 녹차 잎에서 추출한 EGCG(Epigallicatechin gal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사포닌 또는 녹차 폴리페놀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01~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캘러스에서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 배양산물은 줄기세포주, 그의 파쇄물, 그의 추출물 및 그의 배양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 배양산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노화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필라그린(Fillagrin)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 색소침착억제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터루킨-6(IL-6)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탄력 강화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카탈라제(Catalase)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12/006594 2011-08-24 2012-08-20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3027984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39,675 US9089504B2 (en) 2011-08-24 2012-08-20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reen tea component
CN201280052360.5A CN103889397B (zh) 2011-08-24 2012-08-20 含有绿茶成分的化妆品组合物
JP2014527063A JP6215206B2 (ja) 2011-08-24 2012-08-20 緑茶成分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701 2011-08-24
KR1020110084701A KR101914157B1 (ko) 2011-08-24 2011-08-24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7984A2 true WO2013027984A2 (ko) 2013-02-28
WO2013027984A3 WO2013027984A3 (ko) 2013-05-10

Family

ID=4774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594 WO2013027984A2 (ko) 2011-08-24 2012-08-20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89504B2 (ko)
JP (1) JP6215206B2 (ko)
KR (1) KR101914157B1 (ko)
CN (1) CN103889397B (ko)
WO (1) WO2013027984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7263A (zh) * 2013-07-11 2016-03-02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源自绿茶种子的21-o-当归酰茶皂醇e3的抗氧化或皮肤美白用组合物
CN105407895A (zh) * 2013-07-11 2016-03-16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来源于绿茶种子的21-o-当归酰茶皂醇e3成分的用于抗老化的皮肤外用剂组合物
JP2016529287A (ja) * 2013-08-30 2016-09-23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21‐o‐アンゲロイルテアサポゲノールe3を含む発毛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CN106456596A (zh) * 2014-02-28 2017-02-22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不含儿茶素的茶水及包含该茶水的组合物
JP2017508758A (ja) * 2014-03-07 2017-03-30 シー・イー・エフ・オ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間葉系幹細胞由来タンパク質を含有する免疫反応抑制用組成物
JP2017537072A (ja) * 2014-11-28 2017-12-14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ゲニステインまたはエピガロカテキンガレートを含む細胞若返り促進誘導用組成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6058A (zh) * 2012-11-18 2014-05-28 镇江新区雨泰香茗园艺专业合作社 一种含有茶多酚和茶皂素的洗面奶及其制备方法
CN103550072B (zh) * 2013-11-13 2016-03-16 长沙昊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水相提取茶籽油工艺废水的利用方法及洗发液配方
CN104178174B (zh) * 2014-08-06 2017-01-11 安徽农业大学 一种稳定和提高水性溶液系统中表没食子儿茶素没食子酸酯egcg抗氧化性的方法及其应用
CN104666178B (zh) * 2015-02-05 2017-12-01 成都山信药业有限公司 一种美白保湿组合物及面膜
KR102359434B1 (ko) * 2015-03-31 2022-02-0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보습용 조성물
KR102506399B1 (ko) * 2015-11-30 2023-03-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폴리페놀계 유효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FR3048360B1 (fr) * 2016-03-02 2018-03-02 Guangdong Marubi Biotechnology Co., Ltd. Composition cosmetique a base de boswellia serrata et de camellia
ITUA20162405A1 (it) * 2016-04-08 2017-10-08 Indena Spa Composizioni cosmetiche per la protezione dagli agenti inquinanti atmosferici
EP3442660B1 (en) * 2016-04-14 2020-12-02 Unilever PLC, a company registered in England and Wales under company no. 41424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composition for protecting skin from drying and/or uv damage and/or inflammation
CN105997556A (zh) * 2016-07-05 2016-10-12 上海相宜本草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包含脂溶性茶多酚的化妆品和/或护肤品
JP6173543B1 (ja) * 2016-08-17 2017-08-02 マイスターバイオ株式会社 プテロスチルベン配糖体を含む外用組成物
TWI698247B (zh) 2017-03-13 2020-07-11 大江生醫股份有限公司 茶樹癒傷組織萃取物於護膚之用途
TWI727159B (zh) 2017-04-10 2021-05-11 大江生醫股份有限公司 蘭花葉片癒傷組織萃取物之應用
CN108721193A (zh) * 2017-04-17 2018-11-02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可食用保健口红
KR101993699B1 (ko) * 2017-04-19 2019-06-28 주식회사 진켐 피부 개선용 조성물
EP3689156A4 (en) * 2017-09-29 2021-06-30 Suntory Holdings Limited COMPOSITION TO ACTIVATE THE EXPRESSION OF AQUAPORIN 3
US11666620B2 (en) 2017-11-22 2023-06-06 Amorepacific Corporation Method for treatment of fine dust-caused skin cell damage, reinforcement of skin barrier, anti-aging, and anti-inflammation
KR102120213B1 (ko) * 2018-09-11 2020-06-08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녹차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297790B (zh) * 2020-02-25 2023-02-17 暨南大学 茶叶外囊泡的应用
KR102248258B1 (ko) * 2020-05-04 2021-05-04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녹차 식물세포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KR102167387B1 (ko) 2020-05-14 2020-10-19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또는 항노화를 위한 조성물
KR102167386B1 (ko) 2020-05-14 2020-10-19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또는 항노화를 위한 조성물
FR3110052B1 (fr) * 2020-05-18 2022-08-26 Black Idol Composition d’enrichissement de produits alimentaires cosmétiques, et/ou dermatologiques
KR102298533B1 (ko) * 2020-10-30 2021-09-07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716B1 (ko) * 2004-01-20 2006-06-15 주식회사 웰스킨 멜라닌 생성 저해용 조성물
KR100659138B1 (ko) * 2005-09-16 2006-12-19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으로 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함유하는 보습용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09507826A (ja) * 2005-09-08 2009-02-26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皮膚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組成物
KR20110023483A (ko) * 2009-08-31 2011-03-08 유씨엘 주식회사 EGCG(에피가로카테킨 갈레이트: Epigallocatechin gallate)와 자외선 차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31801A (ko) * 2009-09-21 2011-03-29 (주)아모레퍼시픽 녹차의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4155A (ja) * 1999-08-30 2001-03-13 Shiga Yoko 新美白料素材
JP2002293736A (ja) * 2001-03-30 2002-10-09 Sunstar Inc メーラード反応阻害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CN1349792A (zh) * 2001-11-06 2002-05-22 广东轻工职业技术学院 一种茶叶洗发水组合物及其制作方法
US7314634B2 (en) * 2002-02-22 2008-01-01 Steven Hernandez Use of polyphenols to treat skin conditions
DE20213787U1 (de) * 2002-09-04 2002-12-19 Warner Lambert Co Hautpflegemittel
US7241461B2 (en) * 2004-03-23 2007-07-10 Lifeline Nutraceuticals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alleviating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a mammal
US20060286062A1 (en) * 2005-06-06 2006-12-21 Schep Raymond A Completely natural plant based shampoo and body wash devoid of synthetic ingredients
JP5089887B2 (ja) * 2006-01-23 2012-12-05 日本精化株式会社 生理活性物質含有複合体
JP5856728B2 (ja) * 2009-07-21 2016-02-10 国立大学法人金沢大学 ポリフェノールを配合してなる経口投与用又は外用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CN101647762B (zh) * 2009-07-23 2011-06-22 杭州六易科技有限公司 一种绿茶洗面奶的制作方法
US9622963B2 (en) * 2009-12-31 2017-04-18 Nnc Blending Llc Methods for stimulating growth and preventing loss of human hai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716B1 (ko) * 2004-01-20 2006-06-15 주식회사 웰스킨 멜라닌 생성 저해용 조성물
JP2009507826A (ja) * 2005-09-08 2009-02-26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皮膚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組成物
KR100659138B1 (ko) * 2005-09-16 2006-12-19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으로 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함유하는 보습용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023483A (ko) * 2009-08-31 2011-03-08 유씨엘 주식회사 EGCG(에피가로카테킨 갈레이트: Epigallocatechin gallate)와 자외선 차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31801A (ko) * 2009-09-21 2011-03-29 (주)아모레퍼시픽 녹차의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7263A (zh) * 2013-07-11 2016-03-02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源自绿茶种子的21-o-当归酰茶皂醇e3的抗氧化或皮肤美白用组合物
CN105407895A (zh) * 2013-07-11 2016-03-16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来源于绿茶种子的21-o-当归酰茶皂醇e3成分的用于抗老化的皮肤外用剂组合物
JP2016528203A (ja) * 2013-07-11 2016-09-15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緑茶種子由来の21−o−アンゲロイルテアサポゲノールe3成分を含有する抗老化用皮膚外用剤組成物
CN105407895B (zh) * 2013-07-11 2019-03-12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来源于绿茶种子的21-o-当归酰茶皂醇e3成分的用于抗老化的皮肤外用剂组合物
CN105377263B (zh) * 2013-07-11 2020-05-29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源自绿茶种子的21-o-当归酰茶皂醇e3的抗氧化或皮肤美白用组合物
JP2016529287A (ja) * 2013-08-30 2016-09-23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21‐o‐アンゲロイルテアサポゲノールe3を含む発毛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CN106456596A (zh) * 2014-02-28 2017-02-22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不含儿茶素的茶水及包含该茶水的组合物
US10987397B2 (en) 2014-02-28 2021-04-27 Amorepacific Corporation Catechin-free tea water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CN106456596B (zh) * 2014-02-28 2021-06-1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不含儿茶素的茶水及包含该茶水的组合物
JP2017508758A (ja) * 2014-03-07 2017-03-30 シー・イー・エフ・オ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間葉系幹細胞由来タンパク質を含有する免疫反応抑制用組成物
JP2017537072A (ja) * 2014-11-28 2017-12-14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ゲニステインまたはエピガロカテキンガレートを含む細胞若返り促進誘導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15206B2 (ja) 2017-10-18
WO2013027984A3 (ko) 2013-05-10
JP2014524466A (ja) 2014-09-22
KR101914157B1 (ko) 2018-12-31
CN103889397B (zh) 2017-05-10
US20140186315A1 (en) 2014-07-03
KR20130022471A (ko) 2013-03-07
CN103889397A (zh) 2014-06-25
US9089504B2 (en) 201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27984A2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940986B2 (ja) 美容的処置のためのハエジゴクの抽出物を含有する組成物
KR20140003198A (ko)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9066121A1 (ko) 식물 유래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FR3059231A1 (fr) Composition comprenant un extrait de truffe et une dihydrochalcone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140018666A (ko)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6209425A (zh) 用于防止脱发和促进生发的组合物
WO2020091295A1 (ko) 저근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0623323B1 (ko)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 함유 식물추출물을 이용한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4444B1 (ko)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102157395B1 (ko) 광천수 함유 배지에서 배양된 생열귀 캘러스 함유 화장료 조성물
JPH1017456A (ja) 細胞活性剤、化粧料及び養毛料
KR101427027B1 (ko)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2284648A (ja) 育毛剤組成物
KR101909533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110237671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vitamin u as active ingredient for healing wounds and reducing wrinkles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055034A1 (ko) 노르데나우수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131685B1 (ko) 피지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255799A1 (ko) 숙근안개초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877803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93708B1 (ko) 침피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257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239675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2706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257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