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323B1 -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 함유 식물추출물을 이용한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 함유 식물추출물을 이용한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323B1
KR100623323B1 KR1020010087594A KR20010087594A KR100623323B1 KR 100623323 B1 KR100623323 B1 KR 100623323B1 KR 1020010087594 A KR1020010087594 A KR 1020010087594A KR 20010087594 A KR20010087594 A KR 20010087594A KR 100623323 B1 KR100623323 B1 KR 10062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kin
derivatives
appearanc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7205A (ko
Inventor
서충석
공우식
김관철
임동진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10087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3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7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앱시스산(Abscisic acid: Dormin: ABA) 또는 그 메칠에스터(Methyl abscisate: MeABA)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식 1)
Figure 112001035343216-pat00001
(여기서, R은 H 또는 CH3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앱시스산 또는 그 유도체를 건조중량 기준으로 0.00001~1중량% 포함하며,
앱시스산 또는 그 메칠에스터,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잔주름 및 주름살 제거를 포함하는 항노화효과가 있는 화학제 및 그 효과에 대한 부정적인 요인을 극복하는 동시에 주름살을 방지하고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외관개선제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앱시스산(Abscisic acid:Dormin)

Description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 함유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FOR IMPROVING APPEARANCE USING PLANT EXTRACTS CONTAINING ABSCIS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
본 발명은 식물호르몬인 앱시스산(Abscisic acid: Dormin: ABA) 및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관개선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항노화 작용에 의한 외관개선 물질 및 그 효과에 대한 부정적인 요인을 극복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얻으려는 소구점인 주름살 및 노화된 피부 외관을 감소시키고, 피부 투명성 및 피부 정돈을 부여하기 위한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인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는 하기의 일반식 1로 표시된다.
[일반식 1]
Figure 112001035343216-pat00002
(여기서, R은 H 또는 CH3이다)
일반적으로 레티놀,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페놀 및 알파하이드록시산(AHA) 등을 화장품 또는 의약품의 주성분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소비자의 욕구와 많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예컨대, 피부의 잔주름 및 주름살, 건조하고 처진 피부와 같은 노화 또는 광노화된 피부의 징후 및 여드름에 의한 과각화 현상 및 피지분비는 소비자의 최대 관심사였다. 레티놀,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페놀 등은 이러한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정돈되지 않은 각질층을 인위적으로 탈락시켜서 각질을 정돈해 주어 각질층 밑에 있는 살아있는 세포의 활성 및 재생 증가를 도모하고, 피부 외관에 나타나는 피부 비늘(scale)을 제거함으로써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자 하는 용도로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페놀, 알파하이드록시산(AHA) 등과 같은 화학물질은 부작용 및 안정성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레티놀은 효과가 우수함에도 피부자극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이 극히 제한되어 왔었다. 최근에는 알파하이드록시산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다른 부작용 완화제를 첨가하려는 시도가 화장품 업계에 소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티놀, 알파하이드록시산 (AHA), 트리클로로아세틱산 등의 화학물질이 가지고 있는 부작용이나 안정성 문제를 극복하면서, 주름살 및 노화된 피부의 외관을 감소시키고, 피부 투명성 및 피부 정돈을 부여하는 화장료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앱시스산 및 그 메칠 에스터(Methyl abscisate: MeABA) 또는 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반식 1)
Figure 112001035343216-pat00003
(여기서, R은 H 또는 CH3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앱시스산 및 그 메칠에스터는, 각각 하기의 구조식 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구조식 1]
Figure 112001035343216-pat00004
[구조식 2]
Figure 112001035343216-pat00005
상기 구조식 1의 앱시스산 및 상기 구조식 2의 앱시스산 유도체는 모든 식물체에 존재하며 이를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수선화(Narcissus Tazetta), 애기장대(Arabidopsis), 아보카도(Avocado),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및 완두콩(Pisum sativum)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는 화학합성 등의 방법으로 직접 제조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식물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를 특히 고농도로 포함하는 식물추출물 자체를 본 발명의 항노화 피부개선제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얻을 수가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효과가 크다.
종래에 상기 구조식 1 및 2의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와 같은 식물호르몬들은 식물종자 배양에 이용되어 왔다. 대표적인 식물호르몬에는 기네틴(Kinetin), 지베렐린, 시토키닌, 에틸렌 등이 있다. 앱시스산의 경우 식물체의 환경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Anal Biochem, 289, 2001; Duffield 등). 그 구성작용을 살펴보면, 앱시스산이 수분 스트레스 동안에 공변세포로 들어가 K+를 공변세포 밖으로 방출되도록 조절함으로서 물이 공변세포 밖으로 이동되고 느슨해진 공변세포는 수축되면서 열렸던 기공을 닫는 역할을 한다. 특히 겨울철 휴면기에 들어가는 식물들의 휴면을 유도하는 중요한 호르몬으로도 알려져 있다. 작용기작으로는 특정 단백질형성에 관여하는 mRNA의 생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Planta, 82, 1968; Villiers).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유사 화합물은 인체에 안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미국특허 제3,958,025호).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들은 가금류의 먹이로써 이 용됨을 고려할 때, 사람과 동물 및 조류에 필수 영양소로 이용되어 질 것이라고 믿어지고 있다. 앱시스산의 항산화제로서의 기능도 주목할 만하며(J. Pharm. Pharmacol., 50, 1998; Takahiro), 마우스 백혈병 모델인 L5178Y에서 앱시스산의 항암효과가 아스코르브산염(Sodium ascorbate) 보다 높으며, 레티놀과 함께 사용할 경우 길항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식물 성장 조절제 및 항산화제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앱시스산 및 그 메칠에스터(Methyl abscisate; MeABA)를 주름살 및 노화된 피부의 외관을 감소시키고, 피부 투명성 및 피부 정돈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개념의 항노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살아있는 포유동물에서 정상적인 세포는 제한된 분열능력을 가진다. 실제로 성인의 진피로부터 성립된 섬유아세포의 일차배양물이 태아 또는 신생아의 진피로부터의 배양물보다 낮은 총 증식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1961년 Hayflick에 의해 처음 주장되었으며, 1992년 Telomere라고 하는 염기서열의 존재함을 확인함으로써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사실로 기초하여, 과도한 피부박리 및 이를 통한 피부의 주름개선은 장기적으로 사용 시 항노화 피부개선보다는 앞에서 밝힌 것처럼 피부자극의 원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기초화장료, 다시 말하면 유연화장수(스킨), 수렴화장수, 크림, 로션 등에 첨가하거나 혹은 의약품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첨가량은 그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001~1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0.8중량%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농도는 앱시스산의 세포 독성을 고려한 농도 범위이다(J. Pharm. Pharmacol., 50, 1998; Takahiro).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앱시스산 또는 그 메칠 에스터를 상기한 범위로 사용할 수 있으나, 건조 중량 기준으로 0.01~0.5중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화장료에는 피부 유연제, 주름 제거제 또는 미백제를 혼합할 수 있으며, 특히 다른 항산화제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시험예, 제형예 등을 통하여 예증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아보카도 열매를 구입한 후, 중과피(Mesocarp) 300g 에 90:10의 메탄올 및 구연산완충용액에 넣고, 혼합 분쇄한 후, 16,000g로 10분간 분별 추출하였다. 용해물을 제거한 후, 구연산완충용액을 실리카겔 칼럼 및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앱시스산(ABA) 및 그 메칠에스터(Methyl abscisate; MeABA)를 0.45 mg 얻었다.
실시예 1:
상기한 제조예 1에서 얻은 앱시스산의 각질박리 효과를 측정하였다.
피시험자는 20세에서 40세 사이의 건강한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피시험자의 팔 상박부 안쪽에 색상을 크로마토미터(CR-200, Minolta, 일본)로 측정하였다. 그 후 디하이드록시 아세톤용액으로 피시험자의 피부를 갈색으로 착색하였다.
이후 0.05% 앱시스산이 포함된 통상 유액 및 젖산 또는 글리콜산이 5% 함유된 동일 유액의 턴오버 주기(Turnover time; 디하이드록시 아세톤에 의해 착색된 피부가 완전히 원상 복귀되는데 걸리는 시간)를 측정하였다. 통상 동업자들에게 알려진 각질박리효과를 나타내는 젖산 및 글리콜산의 유효농도를 고려하여 젖산 및 글리콜산의 농도는 5%로 하였다.
시료의 종류 턴오버 주기(일)
블랭크 19.3 ± 2.1
글리콜릭산 15.0 ± 3.5
젓산 15.7 ± 4.5
앱시스산 17.5 ± 2.8

상기한 표 1에서 보듯이 앱시스산은 글리콜산 및 젖산과 같은 인위적인 각질박리제와 상대적으로 비슷한 효과를 보여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블랭크 시료 보다 턴오버 주기가 약간 짧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앱시스산은 피부에 도포 할 경우 피부 각질층을 정돈하고 외부환경에 의한 과탈락 현상을 지연시켜 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
앱시스산이 식물호르몬으로서 식물세포의 성장과 관계가 있음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 유래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여, 앱시스산에 대한 세포 증식 시간, 이하 더블링 타임(Doubling time)을 측정하여 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즉, 1% FBS/DMEM 배지(Gibco사 제품)에 현탁된 섬유아세포(5×103 세포/플라스크)를 이식하여, 37℃, 5% CO2 하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경우, 각각 앱시스산의 농도를 0.2㎍/ml 및 0㎍/ml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하기의 표 2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서 작성되었다. 유의성 검증을 위해서 실험군은 3개의 서로 다른 세포섬유군을 사용하였으며, 각각 2번씩 측정하였다. 세포 증식의 측정은 디메틸아졸-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MTT) 환원법을 이용하여 세포 농도를 측정한 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대조군의 세포증식 시간
* 세포증식률 = ----------------------- ×100
실험군의 세포증식 시간
시료의 종류 세포증식률(%)
대조군 100
실험군 A 96±0.5
실험군 B 96±1.5
실험군 C 95.4±0.7

모든 세포배양물은 배양액에서 증식할 수 있는 통상적인 최고세포농도까지 도달됨이 관찰되었다. 즉, 위의 결과로부터 앱시스산은 섬유아세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세포의 성장을 다소간 지연시킴으로써 세포로 하여금 일정한 영양분 하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면서 세포가 성장하는 것을 도와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실시예 1 및 2의 결과로부터, 식물 호르몬인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는 피부표면 정돈시킴과 아울러, 피부 섬유아세포의 성장을 조절함으로써 피부의 과각화 및 과탈락 현상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료 및 세안료 등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을 각기 실시예 3~7 및 비교예 1,2로 하였다.
실시예 3 : 유연화장수
성 분 함량(중량%)
살리실산 0.5
1,3-부틸렌글리콜 5.0
모노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3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0.7
에탄올 15.0
향료 0.2
방부제 적량
앱시스산 0.05
정제수 잔부

실시예 4 : 수렴화장수
성 분 함량(중량%)
구연산 0.1
살리실산 0.5
1,3-부틸렌글리콜 5.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1.3
에탄올 15.0
향료 0.2
방부제 적량
앱시스산 0.05
정제수 잔부
실시예 5 : 크림
성 분 함량(중량%)
마카데미아오일 2.0
스쿠알란 3.0
스테아린산 7.0
바셀린 3.0
1,3-부틸렌글리콜 15.0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 에틸렌소르비탄 1.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7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4.0
향료 0.25
방부제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앱시스산 0.05
정제수 잔부

실시예 6 : 로션




성 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0.5
에탄올 10.0
바셀린 1.0
스쿠알란 2.5
유동파라핀 6.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5
1,3 부틸렌글리콜 8.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0.05
트리에탄올아민 0.8
향료 0.2
방부제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앱시스산 0.05
정제수 잔부

실시예 7 : 연고제
성 분 함량(중량%)
밀납 5
세레신 3
스쿠알란 6
유동파라핀 40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2
1,3 부틸렌글리콜 8.0
향료 0.2
방부제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앱시스산 0.05
정제수 잔부

비교예 1 : 크림


성 분 함량(중량%)
마카데미아오일 2.0
스쿠알란 3.0
스테아린산 7.0
바셀린 3.0
1,3-부틸렌글리콜 15.0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 에틸렌소르비탄 1.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7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4.0
향료 0.25
방부제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정제수 잔부

비교예 2 : 로션
성 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0.5
에탄올 10.0
바셀린 1.0
스쿠알란 2.5
유동파라핀 6.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5
1,3 부틸렌글리콜 8.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0.05
트리에탄올아민 0.8
향료 0.2
방부제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정제수 잔부

시험예 1 : 피부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3-7 및 비교예 1,2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한 제품들의 피부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팔하박부에 각 시료의 적당량(2.0g)을 첩포시험용 헤이즐챔버에 묻혀 48시간 첩포한 후, 헤이즐챔 버를 제거하고 30분∼1시간 경과후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여 이를 1차판정한 다음 제거하고 48시간 이후에 다시 판독하여 이를 2차 판정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0에 나타낸다.
제품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실시예3 30 29 30 0.27
실시예4 30 30 30 0
실시예5 30 29 30 0.27
실시예6 30 30 30 0
실시예7 30 30 30 0
비교예8 30 30 30 0
비교예9 30 29 30 0.27
* 판정표
- : 반응없슴 (자극 정도 :0)
±: 의심되는 양성반응. 약간의 홍반반응 있슴. (자극 정도 :0.5)
+: 약간의 양성반응. 홍반, 구진, 확실한 인설반응 (자극 정도 :1.0)
++: 심한 양성반응. 소포성 반응: 홍반, 구진, 침윤병소, 소포 (자극 정도 :2.0)
+++: 격심한 양성반응. (자극 정도 :3.0)
[수학식 2]
Figure 112001035343216-pat00006
상기한 시험예 1의 피부자극성 시험 결과로부터, 앱시스산을 함유한 실시예들의 제품에 있어 자극성은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시험예 2 : 사용성 평가 시험
일반 고객인 25~30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5 및 6과 비교예 7 및 8의 화장료 제품을 일반적인 사용법에 따라 사용할 때의 피부의 촉감 및 잔주름에 관한 진보성에 대하여 그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평가점수는 매우만족:2점, 만족:1점, 보통:0점, 나쁨:-1점, 매우나쁨:-2점으로 하여 종합점수를 아래의 식에 따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1에 나타낸다.
[수학식 3]
Figure 112001035343216-pat00007

구 분 부드러움 종합 점수 윤기성 종합 점수
2 1 0 -1 -2 2 1 0 -1 -2
실시예 5 9 11 0 0 0 1.45 8 10 2 0 0 1.30
비교예 7 0 0 6 6 8 -1.10 0 3 10 7 0 -0.20
실시예 6 5 11 4 0 0 1.05 0 7 8 5 0 0.10
비교예 8 0 9 8 3 0 0.30 5 12 3 0 0 1.10

상기한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앱시스산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추출물을 도포하였을 경우 피부의 외관을 진보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부드러운 피부가 유지되었다는 느낌을 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젖산 또는 글리콜산을 포함한 유액보다 턴오버의 주기가 길어짐에도 불구하고 사용성 평가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이것은 앱시스산의 경우 피부에 과각화된 죽은 각질세포를 탈락시킴과 동시에 살아있는 피부세포의 활성 또는 성장을 도와주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는 피부의 외관을 정돈시킴과 아울러, 피부 섬유아세포의 성장을 조절함으로써 피부의 과각화 및 과탈락 현상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규명되었으며, 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화장료는, 자극성이 없고, 주름살 및 노화된 피부를 감소시키며, 피부 투명성 및 피부 정돈을 부여하는 새로운 개념의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4)

  1. 하기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앱시스산 또는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일반식 1)
    Figure 112001035343216-pat00008
    (여기서, R은 H 또는 CH3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앱시스산 또는 그 유도체의 첨가량이 건조중량 기준으로 0.00001~1중량% 포함하는 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앱시스산 또는 그 유도체가 식물 추출물의 형태로 되어 있는 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식물 추출물이 수선화(Narcissus Tazetta), 애기장대(Arabidopsis), 아보카도(Avocado),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또는 완두콩(Pisum sativum)으로부터의 추출물인 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10087594A 2001-12-28 2001-12-28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 함유 식물추출물을 이용한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2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594A KR100623323B1 (ko) 2001-12-28 2001-12-28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 함유 식물추출물을 이용한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594A KR100623323B1 (ko) 2001-12-28 2001-12-28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 함유 식물추출물을 이용한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205A KR20030057205A (ko) 2003-07-04
KR100623323B1 true KR100623323B1 (ko) 2006-09-11

Family

ID=3221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594A KR100623323B1 (ko) 2001-12-28 2001-12-28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 함유 식물추출물을 이용한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6947A1 (en) * 2004-02-04 2005-10-13 Dale Kern Agents for sequestering serum aging factors and uses therefore
FR2871061B1 (fr) * 2004-06-04 2007-08-10 Coletica Sa Principe actif capable d'induire la transformation du tgbf- latent inactif en tgfb actif
FR2893252B1 (fr) * 2005-11-17 2008-02-15 Engelhard Lyon Sa Extraits vegetaux stimulant has2
US8911774B2 (en) * 2009-05-18 2014-12-16 Cellhealth Technologies Ltd. Topical composition for anti-aging skin treatment using dual DNA repair mechanism and method of use
KR101155807B1 (ko) * 2009-11-11 2012-06-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FR2997300B1 (fr) * 2012-10-30 2014-12-26 M & L Lab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et son utilisation
EP3179995B1 (en) 2014-08-12 2018-11-07 University of Pécs (Pécsi Tudományegyetem) Methods and materials for reducing ischemia-reperfusion injury
EP3773905A1 (en) * 2018-04-12 2021-02-17 Vytrus Biotech, S.L. Abscisic acid for the treatment of skin diseas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1895A (ja) * 1981-09-22 1983-03-26 Noda Sangyo Kagaku Kenkyusho アブシジン酸の製造法
JPH07165702A (ja) * 1993-12-09 1995-06-27 Toray Ind Inc 天然型アブシジン酸の単離方法
JPH1135444A (ja) * 1997-07-18 1999-02-09 Nikko Chem Kk 新規化粧料
JPH11315007A (ja) * 1998-05-01 1999-11-16 Yamakawa Boeki Kk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1895A (ja) * 1981-09-22 1983-03-26 Noda Sangyo Kagaku Kenkyusho アブシジン酸の製造法
JPH07165702A (ja) * 1993-12-09 1995-06-27 Toray Ind Inc 天然型アブシジン酸の単離方法
JPH1135444A (ja) * 1997-07-18 1999-02-09 Nikko Chem Kk 新規化粧料
JPH11315007A (ja) * 1998-05-01 1999-11-16 Yamakawa Boeki Kk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205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157B1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675112B2 (ja) アルクチン、アルクチゲニン又はその混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20200026646A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4897B1 (ko)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3157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623323B1 (ko) 앱시스산 및 그 유도체 함유 식물추출물을 이용한외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64059A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551243B1 (ko) 말굽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BR102014011361A2 (pt) composições compreendendo extratos de bursera simaruba, método para melhorar a função da barreira de hidratação e sinais de envelhecimento e uso da dita composição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6417A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4742A (ko) 디오스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525090B1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87644A (ko)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028238B1 (ko) 자작나무, 상지 및 설강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781069B1 (ko) 닥나무 속 식물의 캘러스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685554B1 (ko) 닥나무 속 식물의 캘러스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US20110237671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vitamin u as active ingredient for healing wounds and reducing wrinkles
KR100540854B1 (ko) 피토라이트 및 락테이트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0527A (ko)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28010B1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551240B1 (ko)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