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836B1 - 광코넥타 - Google Patents

광코넥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836B1
KR940000836B1 KR1019900019165A KR900019165A KR940000836B1 KR 940000836 B1 KR940000836 B1 KR 940000836B1 KR 1019900019165 A KR1019900019165 A KR 1019900019165A KR 900019165 A KR900019165 A KR 900019165A KR 940000836 B1 KR940000836 B1 KR 940000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ug
optical
connector
opt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와노 신니찌
나가세 료오
가나야마 가쯔노리
수기따 에쯔우찌
안도 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닛뽄덴신덴와 가부시끼가이샤
고지마 마사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03185A external-priority patent/JP27718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3106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718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9546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48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7774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47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64169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02089Y2/ja
Application filed by 닛뽄덴신덴와 가부시끼가이샤, 고지마 마사시 filed Critical 닛뽄덴신덴와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ontaining optical and electrical 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axial spring biasing or loa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6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 G02B6/383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comprising a keying element on the plug or adapter, e.g. to forbid wrong conn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5Floatingly supported slee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02B6/3879Linking of individual connector plugs to an overconnector, e.g. using clamps, clips, common housings comprising several individual connector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2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beveled fibr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7Split slee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코넥타
제1(a)도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북셀프식으로 조립체에 배치된 종래의 플러그인 광코넥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b)도는 어댑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푸쉬-풀 광코넥타를 나타내는 부분절취 사시도.
제2도 내지 제3도는 이 발명의 제1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제2도는 광코넥타의 부분절취 사시도.
제3(a)도 내지 제3(j)도는 제2도에 도시된 광코넥타의 결합 및 결합해제 단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플러그인 코넥타에 적용가능 하도록 결합수단 및 해제 수단의 수 및 위치가 변형된 광코넥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제4도는 부분절취 평면도.
제5도는 부분절취 측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플러그 코넥타의 종래의 플로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8도 내지 제11도는 이 발명의 제2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코넥타의 프로트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제8(a)도 및 제8(b)도는 부분 평단면도 및 단면도.
제9(a)도 및 제9(b)도는 제8(a)도의 선 II-II 및 선 III-III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10(a)도는 패키지 보드에 고정된 슬롯부재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
제10(b)도는 슬롯부재에 끼워 맞춤된 축부재를 나타내는 확대도면.
제11도는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트 구조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도.
제12도는 어댑터를 통해 연결되는 종래의 광코넥타를 나타내는 부분절취 사시도.
제13(a)도 내지 제13(c)도는 종래의 광코넥타가 플러그인 광코넥타에 적용되는 경우 플러그와 슬리이브 호울더 사이의 결합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14(a)도는 종래의 페룰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14(b)도는 종래의 페룰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15도 내지 제17도는 이 발명의 제3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제15(a)도는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 플러그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5(b)도는 제1(a)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제15(c)도는 선 B-B에 따른 단면도.
제16(a)도 및 제16(b)도는 광코넥타 플러그와 슬리이브 호울더 사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17(a)도는 페룰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17(b)도는 측면도.
제18도는 종래의 광코넥타와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주요 설명도.
제19도 내지 제24도는 이 발명에 따른 제4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제19도는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가 어댑터를 사용하는 푸쉬-풀 광코넥타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취 단면도.
제20도는 광플러그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1도는 광플러그의 평면도.
제22도는 제20도에 도시된 광플러그의 좌측면도.
제23도는 광코넥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주요 설명도.
제24도는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가 백패널에 고정된 플러그-인 광코넥타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취 단면도.
제25도는 종래의 광코넥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6(a)도 및 제26(b)도는 종래의 광코넥타 플러그가 코넥타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제27도 내지 제31도는 이 발명의 제5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제27도는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8(a)도 내지 제28(d)는 광코넥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제28(a)도는 정면도, 제28(b)도는 평면도, 제28(c)도는 부분 측단면도, 제28(d)도는 밑면도.
제29도는 광코넥타 플러그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30도는 이 발명에 따른 코넥타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31(a)도 및 제31(b)도는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 플러그가 코넥타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32도는 종래의 플러그 잭 광코넥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3도 내지 제38도는 이 발명의 제6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제33(a)도는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 잭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3(b)도는 광코넥타 잭의 후방 하우징으로부터 이동되는 전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33(c)도는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 잭의 후방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34(a)도는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 잭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취 단면도.
제34(b)도는 전방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35도는 전방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36(a)도는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 잭의 제3실시예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절취 단면도.
제36(b)도는 한쌍의 광코넥타 잭과 광코넥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7(a)도는 광코넥타 잭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37(b)도는 제37(a)도에 도시된 광코넥타 잭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38도는 전방 하우징이 제거되는 제37(a)도에 도시된 광코넥타 잭을 나타내는 유사단면도.
제39도 내지 제41도는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의 제1 내지 제5특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제39(a)도는 플러그인 광코넥타에 적용되는 제1광코넥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제39(a)도는 정면도, 제39(c)도는 우측면도, 제39(d)도는 평면도.
제40(a)도는 동일한 광코넥타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 제40(b)도는 동일한 광코넥타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 제41(a)도는 플러그인 광코넥타에 적용되는 제2광코넥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제41(b)도는 정면도, 제41(c)도는 우측면도, 제41(d)도는 평면도, 제42(a)도는 광코넥타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제42(b)도는 광코넥타의 확대 종단면도.
제43도는 백패널에 대한 제2코넥타의 플로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키지 보드 5 : 백 패널
9 : 노브 블럭 10 : 어댑터
11 : 돌기 12 : 플러그
13 : 노브 15 : 광코넥타 엘레멘트
16 : 플러그 하우징 17 : 걸어맞춤 레버
17a : 측면돌기 18 : 돌기부
18a, 20a : 걸어맞춤면 20 : 갈고리 부분
30 : 제1코넥타 31 : 제2코넥타
32 :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 32a : 끝단부
33 : 제1하우징 34 : 제2하우징
35 :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 36 : 제3하우징
37 : 제1돌기부 37a : 경사면
37b : 걸어맞춤면 38 : 제1탄성걸어맞춤레버
38a : 갈고리 부분 38b : 측면돌기
39 : 제2돌기부 40 : 제2탄성걸어맞춤레버
40a : 측면돌기 40b : 측면돌기
41 : 제1해제부재 41a : 경사면
42 : 제2해제부재 42a, 42c : 경사면
43, 44 : 끝단부 45 : 안내면
46 : 홈 47 : 바닥부
50 : 제1코넥타 51 : 제2코넥타
52 : 제1하우징 53 : 제2하우징
54 : 제3하우징 55 : 나사
56 : 제1돌기부 57 : 제1탄성걸어맞춤레버
57a : 갈고리 부분 58 : 제2돌기부
59 : 제2탄성걸어맞춤레버 60 : 제1걸어맞춤 해제부재
60a : 제1경사면 61 : 해제부
101 : 백패널 102 : 플로트 핀
102a : 플로트(Float)축부 103 : 백패널 하우징
103a : 플로트 구멍 104 : 패키지 코넥타
105 : 나사 106 : 패키지 보드
107 : 안내핀 108 : 안내구멍
109 : 부재 109a : 플로트 구멍
110 : 전기 터미널 120 : 백패널 하우징
121,124 : 광 엘레멘트 122 : 백패널
123 : 패키지 하우징 125 : 패키지 보드
126 : 지지면 127 : 축부재
128 : 너트 부재 129 : 관통구멍
130 : 슬롯부재 131 : 직경
132 : 지지면 133 : 플로트 슬롯
134 : 평행부 135 : 플로트 축부
136 : 어깨면 138,140 : 평행부
139 : 나사부분 211 : 플러그
212 : 어댑터 213 : 코넥타
221 : 페룰 221b : 플랜지부
221c : 키홈 222 : 플러그 하우징
222a : 내벽 223 : 스프링
224 : 광섬유 225 : 탄성 스프링
226 : 슬리이브 호울더 201 : 페룰
201b : 플랜지부 202 : 플러그 하우징
203 : 스프링 205 : 탄성 분할 슬리이브
206 : 슬리이브 호울더 252 : 페룰 지지부
253 : 어깨 개구부 302 : 광플러그
303 : 플러그 어댑터 304 : 탄성 레버
305 : 어댑터 하우징 306 : 갈고리 부분
309 : 걸어맞춤 돌기 311 : 플러그 어댑터
312 : 원통형상 슬리이브 313 : 페룰
314 : 광플러그 315 : 플러그 하우징
316 : 노브 블럭 317 : 광코드
318 : 걸어맞춤 돌기 319 : 끼움 경사면
320 : 빼기 경사면 321 : 걸어맞춤 해제돌기부
322 : 카플링 플랜지 323 : 호울더
324 : 탄성 아암 326, 327 : 걸어맞춤면
328 : 해제 측면부 329 : 끼움 경사면
330 : 위치결정 홈 331 : 위치결정돌기
351 : 백패널 352, 353 : 백패널 하우징
354 : 광플러그 355, 356 : 구멍
357 : 탄성아암 359 : 플러그 하우징
360 : 걸어맞춤 돌기 361 : 광코드
362 : 노브 블럭 400 : 광섬유
401 : 광코넥타 플러그 402 : 코넥타 하우징
403 : 페룰 404 : 플러그 하우징
405 : 노브 406 : 중공형 정렬 슬리이브
407 : 끼움구멍 408 : 홈
409 : 걸어맞춤 오목부 410 : 걸어맞춤 아암
411 : 갈고리 부분 412 : 광섬유
413 : 홈 419 : 돌기부
416 : 끼움구멍 420 : 코넥타 하우징
420a, 420b : 돌출부 421 : 홈
422 : 끼움구멍 423 : 간막이벽
424 : 걸아맞춤 부재 또는 하우징 돌기 425 : 홈
426 : 걸어맞춤 아암 426a : 걸어맞춤 갈고리 부분
426b : 돌출부 430 : 간극
501 : 광코넥타 잭 502 : 잭 본체
503 : 페룰 503A : 페룰
504 : 정렬 슬리이브 505 : 광코넥타 플러그
50 : 패키지 코넥타 507 : 백패널 코넥타
508 : 패키지 보드 509 : 백패널
511 : 끝단면 531 : 페룰 끝단면
521 : 후방 하우징 522 : 전방 하우징
523 : 수나사부 524 : 어깨부
525 : 암나사부 526, 527 : 마찰 걸어맞춤부
528 : 스프링 530 : 광섬유
531 : 끝단면 631 : 가로부재
632 : 간막이 633 : 삽입 안내 코너부
642 : 간막이 659 : 장착부
691 : 지지슬롯
이 발명은 광섬유들을 접속하기 위한 광코넥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고밀도 조립유니트를 구성하기 위하여 북셀프(Book-Shelf)식으로 각각에는 다양한 광요소 또는 부품 및 전기요소 또는 부품들이 탑재되어 있는 복수의 패키지보드를 패키지보드에 수직한 백패널에 붙이고 뗄수 있는 플러그-인(Pulg-In)광코넥타에 적용할 수 있는 광섬유코넥타에 관한 것이다.
광통신 시스템에서 광기술의 발전에 따라, 소위 플러그인 코넥타로 구성되는 고밀도 조립유니트가 더욱더 필요하게 되었으며, 플러그인 광코넥타에 있어서, 간단한 삽입 및 해제 결합 작동으로 다수의 광섬유들을 동시에 접속시키고 접속해제시켜야만 하게 되었다. 또한 다수의 광섬유들은 광코넥타하우징들내에서 압력하에 서로 접속되기 때문에, 코넥타하우징을 통하여 패키지보드와 백패널에 페룰( Ferrule) 접속압력이 직접 인가되지 않도록 코넥타하우징 로크기구가 필요하다.
또한, 광조립 유니트에서는 다수의 패키지보드가 플러그인 코넥타에 북셀프식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광코넥타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광코넥타 엘레멘트(플러그와 잭)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립오차를 완화하여야 한다.
또한, 다수의 광코넥타 엘레멘트(플러그와 잭)는 플러그인 광코넥타에 동시에 끼워맞춤되기 때문에, 플러그/잭의 축방향 치수오차 및 조립오차를 완화하여야 한다. 플러그/잭과 코넥타 사이의 축방향 접속오차를 완화한 때에는 코넥타의 축방향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플러그/잭의 축방향길이를 증가시키지 않고 코넥타하우징내에 플러그/잭을 안정되게 지지하여야 한다.
또한, 광섬유의 끝단에 접속되는 페룰을 가진 광플러그가 광코넥타에 끼워맞춤될 때, 자유단에 갈고리(Claw)를 가진 탄성을 가진 외팔보 아암을 포함한 광플러그 체결기구가 광플러그와 광코넥타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다. 그러나, 체결기구는 섬유배치밀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그 크기가 점점 축소되기 때문에, 간단한 삽입 및 해제작동에도 불구하고 광섬유에 큰 인장력이 적용될 때에도 코넥타 플러그를 코넥타하우징에 견고히 체결하여야 한다.
또한, 광플러그가 광코넥타에 삽입될 때에는 고속 광신호 전달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한쌍의 광페룰 사이의 축정렬 오차를 제거하는 소정의 방향으로 광플러그가 코넥타 하우징에 용이하게 끼워맞춤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광섬유의 끝단과 정렬슬리이브에 접속되는 페룰을 가진 광잭이 광코넥타에 끼워맞춤될 때에는, 광잭이 코넥타하우징에 접속되고 접속해제될 때는 언제나 페룰 정렬 슬리이브내에 마모칩이 생성되기 때문에 페룰끝단을 용이하게 청소하고 또한 페룰정렬슬리이브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기술에 따른 광코넥타의 구조 및 장치를 첨부도면에 의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 발명의 제1목적은 축방향의 광코넥타 엘레멘트 접속오차를 완화하면서 페룰 접속압력을 패키지보드 및 백패널에 직접 적용하지 않고 한쌍의 광섬유를 압력하에서 접속시키기 위하여 간단한 삽입 및 해제 접속작동으로 체결하고 체결해제할 수 있는 광코넥타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제2목적은 코넥타 하우징의 크기는 증대시키지 않고 페룰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조립오차를 완화할 수 있는 광코넥타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제3목적은 페룰의 축방향 크기를 증대시키지 않고 코넥타하우징내에서 광코넥타 엘레멘트를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광코넥타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제4목적은 광섬유에 큰 인장력을 적용시킬 때에도 광플러그가 코넥타하우징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광코넥타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제5목적은 한쌍의 광페룰 사이의 잘못된 축정렬을 제거하기 위하여 광플러그를 소정의 방향으로 코넥타 하우징에 항상 끼워맞춤할 수 있는 광코넥타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제6목적은 페룰을 용이하게 세정하고 페룰정렬 슬리이브를 새로운 것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광잭을 가진 광코넥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제1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광플러그 또는 잭을 지지하는 제1하우징(33)과 ; 상기 제1하우징에 접속된 제2하우징(34)과 ; 상기 제1광잭 또는 플러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광페룰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하우징(34)의 내부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1하우징(33)에 접속된 제3하우징(36)과 ;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3하우징을 상기 제2하우징과 걸어맞춤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하우징과 제3하우징 사이에 마련된 제1걸어맞춤수단(37, 38)과 ; 상기 제1하우징이 상기 제2 및 제3하우징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3하우징을 상기 제1하우징과 걸어맞춤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하우징과 제3하우징 사이에 마련된 제2걸어맞춤수단(39,40)과 ;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2걸어맞춤 수단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에 걸어맞춤되는 경우, 상기 제1걸어맞춤 수단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하우징에 마련된 제1해제수단(41)과,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3하우징에 접속되고 상기 제1하우징이 상기 제2 및 제3하우징으로부터 접속해제될때 상기 제2걸어맞춤 수단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2하우징에 마련된 제2해제수단(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걸어맞춤수단은, 상기 제2하우징에 형성된 제1돌기(37) 및 제3하우징에 형성된 제1탄성레버(38)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해제수단은 플러그 및 잭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탄성레버를 변형시키는 해제부재(4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3하우징에 형성된 제2돌기(39) 및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된 제2탄성레버(40)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해제수단은 플러그 및 잭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2탄성레버를 변형시키는 해제부재(4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돌기(37)에는 제1돌기 걸어맞춤면(37b) 및 제1돌기 경사면(37a)이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레버(38)에는 상기 제1돌기 걸어맞춤면(37b)과 걸어맞춤 가능한 제1레버 측면돌기(38a) 및 제1레버 측면돌기(38a)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해제부재(41)에는 상기 제1레버 측면돌기(38a)와 걸어맞춤가능한 제1해제부재 경사면 (41a)을 형성하며 ;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1해제부재 경사면(41a)이 상기 제1탄성레버(38)를 변형시키는 상기 제1레버 측면돌기(38a)와 접촉되어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2하우징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과 접속해제되며 ;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과 접속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돌기 경사면(37a)이 상기 제1탄성레버(38)를 변형시키는 상기 제1레버 측면 돌기(38a)와 접촉되어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2하우징과 접속하고 있다.
상기 제2탄성레버(40)에는 상기 제2돌기(39) 및 제2레버 측면돌기(40b)와 걸어맞춤 가능한 제2레버 측면돌기(40a)가 형성되며, 상기 제2해제부재(42)에는 제2해제부재 제1경사면(42c) 및 제2해재부재 제2경사면(42a)이 형성되며 ;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2탄성레버를 변형시키는 상기 제2해재부재 제1경사면(42c)이 상기 레버 측면돌기(40b)와 접촉되어,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에 접속되며 ; 상기 제1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과 접속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2해제부재 제2경사면(42a)이 상기 제2탄성레버를 변형시키는 상기 제2레버 측면돌기(40b)와 접촉되어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과 접속해제된다. 적어도 두개의 상기 제1걸어맞춤수단(37,38), 적어도 두개의 상기 제2걸어맞춤수단 (39,40), 적어도 두개의 상기 제1해제수단(41) 및 적어도 두개의 상기 제2해제수단 (42)이 직선으로 정렬된 다수의 광학 플러그 및 잭이 동시에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인 광코넥타의 코넥타 하우징 외측면에 대칭으로 배열된다.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에 있어서, 패키지에 장착된 광코넥타 하우징은 유니트 프레임에의 패키지보드의 삽입 및 분리만으로 유니트 프레임의 백패널에 장착된 광코넥타 하우징과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해제될 수 있으며, 코넥타 자체에 체결기구가 제공되며,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축방향에 따른 걸어맞춤 위치에 대하여 특별한 정밀도를 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백패널에의 패키지보드의 삽입 및 분리만으로 패키지 측면 하우징의 광엘레멘트가 유니트 프레임에 깊이 삽입된 백패널 측면 하우징의 광학 엘레멘트에 접속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발명에 따른 플레그인 광코넥타의 경우 광코넥타가 접속된 후,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장력이 직접 백패널에 직접 적용되지 않는다.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의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걸어맞춤에 있어서, 제2 및 제3하우징을 포함하는 제2코넥타가 제1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코넥타에 접속되는 경우, (1) 제2코넥타는 제2하우징 및 제3하우징이 걸어맞춤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코넥타에 결합되며, (2)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가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에 접속되며, (3) 제1코넥타의 제1하우징이 제2코넥타의 제3하우징과 걸어맞춤되며, (4) 제3하우징이 제2하우징으로부터 걸어맞춤 해제되며, (5) 삽입방향에서 다른 치수오차는 제2하우징이 삽입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걸어맞춤해제에 있어서, 제1코넥타에서 제2코넥타가 제거될 경우, (1) 제3하우징이 제1하우징으로써 이동되며, (2) 제2하우징이 제3하우징과 걸어맞춤되며, (3) 제3하우징이 제1하우징으로부터 걸어맞춤해제되며, (4)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가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로부터 접속해제되며, (5) 제2코넥타가 제1코넥타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제2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광코넥타는, 다양한 광부품 및 전기부품이 부조립 유니트로서 탑재되는 백패널 또는 패키지보드(125)와 접촉하여 코넥타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플러그인 코넥타 하우징을 플로트수단을 더 포함한다. 백패널(5)과 접촉하는 상기 코넥타 하우징에 마련된 플러그인 코넥타 하우징 플로트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로트 수단은, 광플러그(35)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백패널이 형성된 슬롯(691)과, 상기 슬롯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상기 코넥타 하우징에 고정된 축부재(55B)들과, 상기 축부재들과 배열측 하우징 사이에 팩판넬이 헐겁게 삽입되도록 상기 축부재들의 끝단에 고정된 배열측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 발명에 따라, 플로트 슬롯이 형성된 슬롯부재가 패키지보드에 형성된 관통개구에 끼워맞춤되는 방식의 간단하고 정확한 플로트 구조를 실현시킬 수 있고 ; 하우징의 플로트 차축부재가 플로트 슬롯으로 삽입되며 ; 너트부재가 플로트 차축부재의 단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플로트 조건은 슬로트 부재의 슬롯과 플로트 차축부재 사이의 클리어런스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제3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광코넥타는, 광잭(124)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패키지보드에 끼워맞춤되고, 슬롯(133)이 형성된 슬롯부재(130)와 ; 상기 슬롯부재의 슬롯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며, 상기 코넥타 하우징에 고정된 축부재(127)와 ; 상기 축부재 및 너트부재 사이에 패키지보드가 헐겁게 삽입되도록 상기 축부재의 끝단에 고정된 너트부재(28)를 포함한다. 광코넥타에 끼워맞춤된 광코넥타 플러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넥타 플러그는, 대중공부(254)와 소중공부(252) 사이에 어깨부(253)를 형성하며, 상기 두 부분 사이에는 돌기부를 형성하지 않는 플러그 하우징(202)과 ; 광섬유(204)에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대중공부(201b)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플랜지부 (201b)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소중공부를 관통하는 끝단(201a)을 형성하는 플러그 페룰(201)과 ;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어깨부(253)에 대해 상기 플러그 페룰의 플랜지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내에 수납된 스프링(203)을 포함한다.
이 발명에 따라, 페룰은 플러그 하우징내에 지지되고, 스프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가압된다. 슬리이브 호울더가 페룰 지지면으로부터 플러그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경우, 슬리이브 호울더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하여 어깨부를 관통하는 페룰의 플랜지부와 접촉되어 페룰이 축위치 오차를 흡수하도록 초기위치로 부터 더 깊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4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3하우징(352) 각각이 전방 안쪽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자유단에 측면돌기, 삽입경사면 및 걸어맞춤면이 형성된 갈고리(358)를 가지는 탄성레버 아암(357)을 더 포함하며 ; 외측 걸어맞춤 돌기(360)를 가지고, 광섬유(361)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접속된 플러그 하우징(359)과 ; 걸어맞춤 경사면 및 해제 경사면이 형성된 외측 해제돌기(364)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 사이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노브블럭(362)을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359)이 상기 하우징(352)에 접속될 때에, 상기 노브블럭(362)의 외측 해제돌기(364)의 걸어맞춤 경사면은 상기 제1 또는 제3하우징(352)의 상기 내측 탄성레버 아암(357)의 상기 측면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내부 레버 아암을 바깥쪽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외측 걸어맞춤 돌기(360)가 상기 내측 탄성아암(357)의 걸어맞춤면에 걸어맞춤 되도록 하고 ; 상기 플러그 하우징(359)이 상기 제1 또는 제3 하우징(352)과 결합해제될 때에, 외측 해제돌기(364)의 해제 경사면은 상기 내측 탄성레버 아암(357)의 측면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내측 레버 아암을 바깥쪽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내측 탄성아암이 상기 걸어맞춤 돌기(360)로부터 걸어맞춤 해제되도록 한다.
이 발명에 의한 광코넥타에 있어서, 광플러그가 코넥타 하우징에 삽입될 때 광플러그의 걸어맞춤 돌기가 코넥타 하우징에 마련된 탄성아암의 갈고리 부분에 접촉되어 탄성아암을 변형시키므로, 걸어맞춤 돌기의 걸어맞춤면은 갈고리의 걸어맞춤면에 걸어맞춤된다.
이 상태에서 만일 광플러그의 광코드가 당겨지면 그 힘이 걸어맞춤 돌기를 개재하여 갈고리 부분에 전달된다 하더라도 힘작용점이 코넥타 하우징에 대하여 탄성아암의 베이스부로부터 상쇄되기 때문에, 탄성아암 끝단이 이 탄성아암의 고정끝단에 대하여 광플러그측으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탄성아암 주위에 모멘트가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광플러그가 어댑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광코드에 장력이 가해질 때 탄성아암 끝단은 광플러그측으로 이동되므로, 갈고리의 걸어맞춤면은 걸어맞춤 돌기의 걸어맞춤면쪽으로 더욱 가압되어 안정한 걸어맞춤조건에 이르게 된다. 한편, 광플러그가 코넥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에는 즉, 노브블럭이 조여지고 광플러그가 코넥타 하우징으로부터 당겨지면, 블록의 걸어맞춤 해제 돌기는 코넥타 하우징의 탄성아암의 걸어맞춤해제 측면돌기를 위쪽으로 밀어대기 때문에, 탄성아암은 걸어맞춤 돌기가 갈고리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그러므로, 광코드가 당겨질 때에 광플러그는 코넥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가 있다.
상기 제5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또는 제3하우장(416)에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홈(425)과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하우징 돌기(424)가 형성되어 있고 ; 일측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돌기(419)와 그 대향 측면상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플러그 홈(418)이 형성되어 2개의 대향하는 하우징 돌기(424)와 걸어맞춤되고, 외형은 축중심 및 플러그 돌기의 중간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는 대칭이나 축중심에 대하여는 비대칭인 사각단면 형상을 갖는 광코넥타 플러그(411)를 더 포함한다.
이 발명에 의한 광코넥타에 있어서, 광코넥타 플러그가 가능한한의 가장 높은 장착밀도로 코넥타 하우징에 장착될 때 2개의 대향측면은 이 2개 대향측면에 평행한 중심면에 대해서는 대칭이 되고 이 2개 대향측면의 중심축에 대해서는 비대칭이 되므로, 소정방향에 반대되는 잘못된 접속방향으로 광코넥타 플러그가 코넥타 하우징의 삽입구멍에 삽입됨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플러그는 항상 하우징내에 정확히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6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 코넥타 하우징에 끼워맞춤된 후방하우징(21)과 ; 상기 후방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춤된 전방하우징(22)과 ; 상기 전방하우징에 고정되게 끼워맞춤되는 정렬 슬리이브(524)와 ; 광섬유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정렬 슬리이브에 끼워맞춤되어 그 앞끝단이 상기 전, 후방 하우징 사이의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페룰(503)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또는 제3코넥타 하우징에 끼워맞춤된 광코넥타 잭(501)을 더 포함한다.
전, 후방 하우징은 나사 또는 마찰을 통하여 분리가능하게 서로 걸어맞춤된다.
이 발명에 의한 코넥타 잭에 있어서, 전 후방 하우징은 나사를 풀거나 또는 마찰력을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전방하우징이 제거됨에 따라, 전방하우징내의 정렬 슬리이브는 잭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새 것으로 대체된다. 또한, 전방하우징의 분리 이후에는 페룰 끝단면이 후방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므로, 페룰 끝단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코넥타 잭에 있어서, 전 후방 하우징은 나사를 풀거나 마찰력을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전방하우징의 분리 이후에는 페룰 끝단면이 후방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므로 페룰 끝단면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한 광코넥타는 2개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광코넥타를 통하여 그 다양한 특징들이 설명되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 광플러그 및 잭을 접속하는 광어댑터에도 이 발명의 특징은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발명의 제1특징은 광섬유를 접속하기 위한 광코넥타의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광부품이나 전기부품등을 탑재한 둘이상의 패키지를 유니트 프레임에 장착할 경우에 사용되는 플러그-인형 광코넥타에 적용 가능한 광코넥타에 관한 것이다.
광코넥타를 설명하기 전에 첨부도면에 따라 종래의 광코넥타를 먼저 설명한다.
광섬유를 접속하기 위하여는, 정밀한 기구를 가지는 광코넥타가 사용된다. 특히 각종 광모듈이 탑재된 패키지보드를 유니트 프레임에 장착하고, 이 패키지와 다른 패키지보드 또는 외부장치와의 사이에서 광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895,425호 [플러그-인 광섬유 코넥타]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플러그-인 형식의 광코넥타가 사용된다.
제1(a)도는 종래의 플러그-인 형식의 광코넥타의 사용형태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패키지보드(1)에는 각종 광/전기부품이 탑재되어 회로가 구성된다. 이들 회로로부터의 광섬유(2)는, 패키지보드(1)에 고정된 코넥타 하우징(3), (3A)으로 안내되고, 광잭(코넥타 엘레멘트)(2A)의 내측페룰에서 종단된다. 한편, 유니트 프레임(4)의 백패널(5)에 장착된 코넥타 하우징(6), (6A)에는 다른 패키지보드나 장치로부터의 광섬유(7)를 종단한 광플러그(코넥타 엘레멘트)(7A)가 보호 유지되어 있다. 패키지보드(1)의 끼우고 빼는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패키지보드(1)와 백패널(5)과의 접속/접속해제가 실현된다. 예를들면, 접속하는 경우에는, 패키지보드(1)를 끼움으로서 백패널측의 하우징(6), (6A)과 패키지측의 하우징(3), (3A)이 결합되고, 동시에 내부의 엘레멘트(7A), (2A)가 결합되어 접속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인형 광코넥타에서는 패키지보드(1)의 끼우기/빼기 조작만으로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확실한 결합/결합해제가 실현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통상 광코넥타 엘레멘트 끼리는 스프링등에 의해 밀어 눌려져 있어서 접속시에는 1가닥당 1Kgf정도의 반발력이 생겨 각각의 코넥타 엘레멘트에 체결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플러그-인 형식의 광코넥타에서는 코넥타부착 위치가 유니트의 뒤쪽에 있고, 또한 패키지 끼우기/빼기 조작만으로 패키지보드의 결합/결합해제를 실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코넥타에는 체결기구를 설치하고 있지 않으며, 그 대신에, 예를들어 일본국 실개소 61-109189호(심사 미청구) [패키지 체결기구]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키지의 앞면에 코넥타와는 별개구조의 걸림구조를 설치한 것이 있다.
이것은, 패키지를 끼우고 빼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을 설치한 셀프에 패키지보드를 실제 장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패키지의 끼우고 빼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판스프링을 당해 패키지보드에 부착하고, 패키지를 빼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판스프링의 일부가 상기 셀프의 수직인 면에 걸리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패키지 체결구조의 경우에는, 광코넥타 엘레멘트 사이의 반발력은 코넥타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백패널이나 유니트 프레임에 작용하는 것이 된다. 광코넥타의 반발력은 접속하는 코넥타 엘레멘트의 가닥수에 거의 비례하며, 광기술의 진전과 함께 유니트당의 접속가닥수는 증대되는 경향에 있다.
예를들면, 반발력은 1가닥당 1Kgf, 1패키지보드당의 가닥수를 4가닥, 1유니트당 30매의 패키지보드가 장착된다고 하면, 120Kgf의 힘이 항상 백패널의 유니트 프레임에 작용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종래 구조의 코넥타에서는 백패널에 반발력이 큰 힘으로 되어 작용하고, 이 힘에 의해 유니트 프레임이나 백패널이 변형하는 현상이 생긴다.
이와 같은 유니트 프레임과 백패널의 변형은 패키지보드와 백패널의 접속위치 관계를 바꾸고, 접속특성의 장기적 안정성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상술한 패키지록크 뿐만 아니라 코넥타 자체가 록크기구를 갖는 광코넥타이며 또한 끼우기/빼기조작만으로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확실한 결합/결합해제를 실현하는 광코넥타로서, 예를들면 전자통신학회기보 S85-128(1985년 12월 20일 발행)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푸쉬풀 체결형식의 광코넥타(SC 광코넥타)가 있다.
이 광코넥타의 구조를 응용하며 제1(b)도는 플러그-인형 광코넥타가 도시되어 있다. 즉 어댑터(10)를 백패널(5)에 장착하고, 플러그(12)의 노브(13)를 패키지보드(1)에 고정한다. 또한 제1(b)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어댑터(10)의 패키지측과는 반대측(도면에서 좌측)에는 다른 패키지보드 또는 장치로부터의 케이블을 종단한 플러그를 장착한다.
플러그(12)는 광코넥타 엘레멘트(이하“페룰”이라함)(15)을 유지하고 있는 하우징(16)과 노브(13)로 구성되고, 하우징(16)은 노브(13)의 내부에서 엘레멘트 (15)의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한 구조이다. 패키지보드(1)를 백패널(5)에 끼우는 것만으로 백패널(5)에 장착되어 있는 어댑터(10)의 걸어맞춤 레버(17)와 패키지보드(1)에 부착되어 있는 플러그(12)의 하우징(16)의 돌기부(18)가 결합되어 패키지플러그(12)와 어댑터(10)가 걸어맞춤된다. 반대로 결합을 해제할 경우에는 패키지보드(1)를 백패널(5)에서 빼내기 전에 두 돌기(11)가 걸어맞춤 레버(10)의 두 측면돌기와 접촉하게 될 때 걸어맞춤 레버(17)를 바깥쪽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어댑터(10)의 걸어맞춤 레버(17)와 플러그(12)의 하우징(16)의 돌기부(18)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의 코넥타를 플러그-인형 코넥타로서 사용하는 경우, 본질적인 문제가 있다. 걸림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는, 한번 플러그(12)의 노브(13)(즉, 노브가 고정되어 있는 패키지보드)를 충분히 끼워넣은 후 약간 백(빼기)(우측방향으로)하는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걸어맞춤 레버(17)의 갈고리 부분(20)과 돌기부(18)가 걸리게 되어 힘을 발생시키기 위하여는, 갈고리 부분(20)의 걸어맞춤면(20a)과 돌기부(18)의 걸어맞춤면(18a)이 접촉해야만 한다. 걸어맞춤면(20a)의 백패널(5)로부터의 위치와, 걸어맞춤면(18a)의 패키지보드(1)에 대한 위치는 각각의 부품의 치수나 부착위치등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이고, 패키지보드(1)를 백패널(5)에 끼워넣은 경우, 한번 패키지보드(1)를 충분히 밀어넣어 걸어맞춤면(17)과 돌기부(18)를 접속시킨 후에, 갈고리 부분(20)의 걸어맞춤면(20a)과 돌기부(18)의 걸어맞춤면(18a)이 접촉하여 걸어맞춤력이 발생하는 위치까지 패키지보드(1)를 백(빼냄)시키는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약간의 백조작을 정확하게 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또한 통상적으로 패키지용 전기코넥타등의 여러종류의 코넥타나 복수의 코넥타가 동일한 패키지보드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이들 패키지용 코넥타는 패키지보드를 충분히 밀어 넣어 백패널에 맞닿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결합조건이 설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시키는 조작은 코넥타 접속조건을 변동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코넥타와 혼합하여 탑재할 수 없는 염려가 있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더우기 복수의 코넥타를 동일 패키지보드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들 코넥타의 부착위치의 어긋남이나 유니트 프레임 및 패키지보드등의 제조오차에 의해 통상 플러그-인 형식의 코넥타에서는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축방향의 1mm 정도의 접속오차를 완화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전술한 구조에서는 이와 같은 오차를 흡수하고, 또한 전술한 다른 종류의 코넥타와의 혼합하여 탑재할 수 있는 광코넥타 구조를 실현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러그-인형의 광코넥타는 코넥타 체결기구를 갖지 않으므로 광코넥타의 반발력이 패키지보드나 백패널에 작용하여 백패널을 변형시킨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체결기구를 갖는 광코넥타 구조를 응용하여 끼우기/빼기 동작만으로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결합/결합해제가 가능한 플러그-인형 광코넥타를 구성한 경우, 조작성의 저하나 코넥타 치수정밀도의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하는 결점도 있다.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의 제1특징은, 끼우기/빼기 동작만으로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결합/결합해제가 가능하고 또한 코넥타 자체가 체결하는 구조의 코넥타이고, 더우기 결합시에 축방향의 위치정밀도를 요하지 않는 구조의 코넥타로서, 특히 플러그-인형 광코넥타로서 사용할 수 있는 광코넥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이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2 및 제3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발명의 광코넥타는, 플러그-인형 광코넥타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광코넥타로 하여도 사용할 수 있지만, 다음의 설명은 이 발명의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나는 플러그-인형 광코넥타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한다.
제2도는 광코넥타 엘레멘트를 생략한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절결한 사시도이다. 제3(a)도 내지 제3(j)도는 코넥터의 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 발명의 코넥타는, 제1코넥타(30) 및 제2코넥타(31)로 이루어진다. 제1코넥타(30)는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제3(a)도 참조)를 수용하고 있는 제1하우징(33)을 포함한다. 제2코넥타(31)는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에 결합된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제3(a)도 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제3하우징(36)을 포함한다. 제3하우징(36)은 제2하우징(34)의 내부에서 광코넥타 엘레멘트(32), (35)의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한 구조이다.
제1코넥타(30)와 제2코넥타(31)를 결합하기 전에는, 제2하우징(34)과 제3하우징(36)과는 서로 제1걸어맞춤수단에 의해 걸어맞춤 된다. 제1걸어맞춤수단은, 제2하우징(34)에 설치된 제1돌기부(37)와, 제3하우징(36)에 설치된 갈고리 부분( 38a)을 갖는 제1탄성 걸어맞춤편(38)에 의해 구성된다.
제1코넥타(30)와 제2코넥타(31)의 결합시에는, 제1하우징(33)과 제3하우징 (36)이 제2걸어맞춤수단에 의해 결합한다. 제2걸어맞춤수단은, 제3하우징(36)에 설치된 제2돌기부(39)와, 제1하우징(33)에 설치된 측면돌기(40a)를 갖는 제2탄성걸어맞춤레버(40)와로 구성된다.
제1코넥타(30)와 제2코넥타(31)가 결합된 후, 제2하우징(34)과 제3하우징 (36)사이의 제1걸어맞춤수단이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1탄성걸어맞춤레버(38)를 변형시키기 위한 경사면(41a)을 갖는 제1해제부재(41)로 이루어진 제1걸어맞춤 해제수단에 의해 해제하게 되므로 제3하우징(36)은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축방향으로 제2하우징(34)에 대하여 미끄럼 가능하게 된다.
제1코넥타(30)와 제2코넥타(31)의 결합을 해제할 경우에는, 제2걸어맞춤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제1하우징(33)과 제3하우징(36)과의 걸어맞춤을 제2걸어맞춤 해제수단에 의해 해제한다. 제2걸어맞춤 해제수단은 제2탄성걸어맞춤레버(40)를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제2경사면(42a)이 형성된 제2해제부재(42)로 구성된다.
다음에, 이 발명의 결합단계를 제3(a)도 내지 제3(j)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a)도 내지 제3(j)도는 이 발명의 광코넥타의 결합 개시로부터 결합이 완료될 때까지의 동작을 차례로 나타낸 것이다.
제3(a)도 내지 결합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1코넥타(30)는 백패널(5)에 고정되고, 제2코넥타(31)의 제2하우징(3)은 패키지보드(1)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1코넥타(30)의 제1하우징(33) 내부에 두개의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를 유지하고 있다. 제3하우징(36)에는 제2하우징(34)의 내부에서 도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이지만, 결합전에는 제1탄성걸어맞춤레버(38)의 갈고리 부분(38a)이 제1돌기부(37)에 걸리어 제2하우징(34)에 대하여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3하우징(36)에는 복수의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가 유지되어 있다.
백패널(5)에 대하여, 패키지보드(1)를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먼저 제1코넥타(30)의 끝단부(43)에 대하여 제2코넥타(31)의 끝단부(44)가 안내면(45)에 의해 안내되어 제1하우징(33)에 제2하우징(34)이 끼워넣어진다.
제3(b)도는 제1하우징(33)에 제2하우징(34)과 제3하우징(36)이 결합된 직후의 도면이다. 제1하우징(33)에 대하여 제2하우징(34)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하우징(33)에 유지되어 있는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의 선단부(32a)와 제3하우징 (36)에 유지되어 있는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의 끝단부(35a)와는 서로 부드럽게 결합하는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제2탄성맞춤레버(40)의 측면돌기(40b)가 제2해제부재(42)의 경사면( 42c)에 의해 도면에서 아래쪽으로 변형하여 경사면(42b)으로 올라타게 된다. 이로써 제2탄성걸어맞춤레버(40)와 제2하우징(34) 및 제3하우징(36)이 간섭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제1하우징(33)에 대하여 제2하우징(34) 및 제3하우징(36)이 부드럽게 넣어질 수 있게 되어, 제2걸어맞춤레버(40)는 제2돌기부(39)와 걸어맞춤될 수 있다.
제3(c)도는 패키지보드(1)를 더욱 밀어 넣은 상태이다. 제1걸어맞춤수단(37, 38)과 제2걸어맞춤수단(39, 40)은 양쪽 모두 걸린 상태로 된다. 즉 제1돌기부(37)와 제1탄성걸어맞춤레버(38)의 걸어맞춤 상태는 유지되고, 제2탄성걸어맞춤레버 (40)도 제2탄성 해제부재(42)로부터 미끄러져 내려 제2탄성걸어맞춤레버(40)이 측면돌기(40a)가 제3하우징(36)에 형성된 홈(46)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와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 사이의 반발력은, 각각의 하우징(33), (34), (36)과 제1 및 제2걸어맞춤수단(37), (38), (39) 및 (40)을 통하여 백패널(5)과 패키지보드(1)에 간접적으로 작용한다.
이 상태에서,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와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는 결합상태이고,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와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 사이에 밀어 누름력(1가닥당 1Kgf 정도)이 발생된다. 이 힘은 패키지보드(1)를 끼워 넣는 중에는, 각각 하우징(33), (34), (36)을 통하여 백패널(5)과 패키지보드(1)에 걸리어 있다.
제3(d)도는 더욱 패키지보드(1)를 밀어 넣은 상태이다. 패키지보드(1)를 밀어 넣음으로써, 제2하우징(34)과 제3하우징(36)도 제1하우징(33)에 밀어 넣어진다. 이로서 제1탄성걸어맞춤레버(38)의 선단의 측면돌기(38b)가 제1해제부재(41)의 경사면(41a)에 의해 아래쪽, 즉 제1돌기부(37)로부터 갈고리 부분(38a)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변형한다.
제3(e)도는, 제3(d)도에서 패키지보드(1)를 약간 밀어 넣어 제1걸어맞춤수단이 해제된 후의 도면이다. 제1돌기부(37)와 제1갈고리 부분(38a)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와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의 반발력에 의해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는 제3하우징(36)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제3하우징(36)은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와,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의 반발력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제2돌기부(39)가 제2탄성걸어맞춤레버 (40)와 접촉하는 위치에 이르러, 제1코넥타(30)와 제2코넥타(31)가 접속이 완료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광코넥타 엘레멘트들 사이의 반발력은 백패널(5), 제2하우징(34) 및 패키지보드(1)에 인가되지 않고 제1하우징(33)과 제3하우징(36)을 통하여 제1돌기부(39) 및 제2걸어맞춤수단의 제2탄성걸어맞춤레버(40)에 인가된다. 즉,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들을 지지하는 제1하우징(33)과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 (35)들을 지지하는 제3하우징(32)은 제2걸어맞춤수단(39, 40)에 의하여 서로 강하게 결합되어 이들 하우징(33, 36)은 반발력에 대하여 제2하우징(34)과 패키지보드 (1)로부터 플로우트 된다.
제3(f)도는, 패키지보드(1)를 제2하우징(34)의 끝단부(44)가 제1하우징(33)의 바닥부(47)에 맞닿을 때까지 끼워 넣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제3(e)도의 상태에서 끝단부(44)와 바닥부(47)의 간격(C)만큼 패키지보드(1) 및 제2하우징(34)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제3하우징(36)과 제1하우징(33)은 제2돌기(39)와 걸어맞춤 측면돌기(40a)의 걸림에 의해 걸려져 있기 때문에, 제3하우징 (36)과 제1하우징(33)의 위치관계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하우징(33)과 제3하우징(36)과 위치관계는 변화하지 않고 제3(e)도와 같은 광섬유의 접속상태가 유지된다.
제3(g)도 내지 제3(j)도는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의 결합시에서 결합이 해제될 때까지 해제동작을 차례로 나타낸 것이다.
제3(g)도는 결합시(제3(e)도, 제3(f)도)에서 패키지보드(1)를 빼내기 위하여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 때의 도면이다. 패키지보드(1)를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패키지보드(1)에 고정되어 있는 제2하우징(34)도 이동한다. 그러나, 제3하우징(36)은 제2돌기부(39)와 제2탄성걸어맞춤레버(40)의 걸림에 의해 제1하우징(33)에 걸리어 이동하지 않는다. 제2하우징(34)이 제3(e)도의 위치에 대하여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돌기부(37)가 제1탄성걸어맞춤레버(38)를 도면에서 아래쪽으로 변형시키는 것으로 된다. 즉 경사면(37a)을 제1탄성걸어맞춤레버(38)의 갈고리부분(38a)이 미끄러져 갈고리부분(38a)이 제1돌기부(37)의 걸어맞춤면(37b)에 있게 된다.
제3(h)도는, 제3(g)도의 상태에서 패키지보드(1)를 더욱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이다. 제1탄성걸어맞춤레버(38)의 갈고리부분(38a)이 제1돌기부(37)위를 통과하게 되어, 제1걸어맞춤수단(37, 38)과 제2걸어맞춤수단(39, 40)은 양쪽 모두 걸림상태로 된다. 즉 이 상태는 제3(c)도와 마찬가지인 상태이다.
제3(i)도는 더욱 패키지보드(1)를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이다. 패키지보드 (1)에 고정되어 있는 제2하우징(34)도 일체로 우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2하우징(34)의 제2해제부(42)도 우측으로 이동한다. 제2하우징(34)의 제2해제부(42)가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탄성걸어맞춤레버(40)의 측면돌기(40b)를 도면에서 아래쪽으로 변형시킨다. 이로써 제2탄성걸어맞춤레버(40)와 제2돌기부(39)에 의해 제2걸어맞춤수단이 해제된다. 즉 제1하우징(33)에 걸려 있던 제3하우징(36)에 걸림을 해제한다. 제2걸어맞춤수단이 해제되면,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와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 사이의 밀어 누름력에 의해 제3하우징(36)은 갈고리부분(38a)과 제1돌기부(37)에 의해 걸리는 위치까지 우측으로 이동한다.
제3(j)도는 제3(i)도에서 더욱 패키지보드(1)를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이다. 제2탄성걸어맞춤레버(40)의 측면돌기(40b)가 해제부(42)의 측면돌기(42b)에서 미끄러져 제2측면돌기(40a)가 제2돌기부(39)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변형된다. 제3하우징(36)은 제1하우징(33)과 걸림이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패키지보드(1)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하우징(34)과 동시에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3(a)도와 마찬가지인 결합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걸림수단(37, 38), 제2걸림수단(39, 40), 제1걸어맞춤 해제수단(41) 및 제2걸어맞춤 해제수단(42)을 어느 것이나 광코넥타의 측면에 1개씩 설치되어 있으나, 이들은 복수로 하여도 좋고, 또한, 광코넥타의 상하좌우에 설치하여도 좋다.
제4도 및 제5도는 제2실시예로서 제4도는 패키지보드(1)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제5도는 패키지보드(1)에 평행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이 제2실시예에서, 광코넥타는 제1코넥타(50)와 제2코넥타(51)로 이루어진다. 제1코넥타(50)는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를 유지하고 있는 제1하우징(52)으로 구성되며, 제2코넥타(51)는 제2하우징(53)과,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와 결합하는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를 유지하는 제3하우징(54)으로 구성된다. 제2하우징(53)은 고정나사(55)로 패키지보드(1)에 고정되어 있다. 제3하우징(54)은 제2하우징(53)의 내부에서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한 구조이다.
제1코넥타(50)와 제2코넥터(51)를 결합하기 전에는 제2하우징(53)과 제3하우징(54)이 서로 제1걸어맞춤수단에 의해 걸리게 된다. 제1걸어맞춤수단은 제2하우징 (53)에 형성된 제1돌기부(56)와, 제3하우징(54)에 형성된 갈고리부분(57a)을 갖는 제1탄성걸어맞춤레버(57)와로 구성된다. 제1코넥타(50)와 제2코넥타(51)의 결합시에는, 제1하우징(52)과 제3하우징(54)이 제2걸어맞춤수단에 결합된다. 제2걸어맞춤수단은, 제3하우징(54)에 형성된 제2돌기(58)와, 제1하우징(52)에 형성된 제2탄성걸어맞춤레버(59)와로 구성된다.
제1코넥타(50)와 제2코넥타(51)가 결합한 후에는, 제2하우징(53)과 제3하우징(54)의 제1걸어맞춤수단이 제1걸어맞춤 해제수단에 의해 해제되어 제3하우징(54)이 제2하우징(53)에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제1걸어맞춤 해제수단은, 제1탄성걸어맞춤레버(57)를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제1경사면(60a)이 형성된 제1걸어맞춤 해제부재(60)로 구성된다.
제1코넥타(50)와 제2코넥타(51)의 결합을 해제할 경우에는, 제2걸어맞춤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제1하우징(52)과 제3하우징(54)과의 걸어맞춤을 제2걸어맞춤 해제수단에 의해 해제한다. 제2걸어맞춤 해제수단은, 제2탄성걸어맞춤레버(59)를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제2경사면 (61a)이 형성된 해제부(61)로 구성된다. 결합동작 및 결합해제동작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제2실시예의 구조로 한 경우에는 걸어맞춤구조가 광코넥타 엘레멘트에 대하여 상하, 좌우에 대칭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반발력을 균형있게 받아 안정된 걸어맞춤이 가능하고,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가닥수가 많은 경우에 적합한 구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에서 패키지보드를 빼내는 것만으로 코넥타 체결이 해제되기때문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조작성이 우수한 플러그-인형식의 광코넥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광코넥타 엘레멘트 가닥수나 유니트프레임에 장착되는 패키지보드의 매수가 증대하여도 백패널과 유니트 프레임에 과대한 힘을 미치게 되는 일이 없고, 백패널과 유니트프레임의 변형이나 손상을 일으킬 염려가 없게 된다. 따라서, 광코넥타 엘레멘트를 다수 장착할 수 있게 되어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조립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광섬유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패키지보드를 다소 밀어 넣을 수 있기 때문에, 패키지보드와 유니트 프레임의 치수오차가 허용되어 장치의 경제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특히 이와 같은 치수오차가 문제로 되는 각종의 시스템에 대하여 폭넓게 적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발명의 제2특징은, 북셀프식 장착유니트에 적용 가능한 플러그-인 코넥타의 유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수직 패키지보드가 북셀프식으로 배열되고 코넥타들을 통하여 백패널에 연결된다.
코넥타 지지구조에 관한 종래기술은 먼저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플러그-인 코넥타는 미합중국 특허 제4,895,42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각종의 부품을 탑재한 패키지보드와 복수의 패키지보드가 북셀프식으로 장착되는 유니트 프레임 배면의 백패널과를 접속하는 코넥타로서, 백패널에 설치하게 되는 백패널 코넥타와 패키지보드에 설치하게 되는 패키지 코넥타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플러그-인 코넥타에서는, 유니트 프레임이나 패키지보드 및 코넥타들을 설치할 때 발생하는 위치오차를 완화하여, 백패널 코넥타와 패키지 코넥타의 양호한 걸어맞춤을 실현하기 위해서, 백패널에 설치하는 코넥타의 하우징을 백패널에서 플로트시켜 보호지지하는 구조가 되게 한다.
제6도는 상술한 종래기술을 나타내고 있는 플로트구조의 예이다. 백패널(101 )에 플로트핀(102)을 고정하고, 백패널 하우징(103)에 설치된 플로트구멍 (103a)과 플로트핀(102)의 플로트축부(102a)의 간극에 의해 백패널 하우징(103)을 백패널( 101)에서 플로트 보호지지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플로트 구조에서는, 하우징(103) 내부에 플로트부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코넥타 형상은 필연적으로 크게 된다. 더우기 패키지 하우징(104)은 고정나사(105)에 의해 패키지보드(106)에 고정되어 있다. 걸어맞춤시에는 패키지 하우징(104)에 대하여 백패널 하우징(103)이 다소 어긋난 위치에 있어도, 안내핀(107)과 안내구멍(108)이 헐거운 끼워맞춤됨으로써 플로트하고 있는 백패널 하우징(103)이 이동하여 패키지 하우징(104)과 정렬한다.
플로트량이 크게 되면 백패널 하우징(103)의 기울기가 커지게 되어, 안내핀( 107)과 안내구멍(108)의 끼워맞춤이 잘 되지 않고, 또한 플로트량이 지나치게 작게 되면 하우징끼리의 정렬이 되지 않게 된다. 정확한 플로트동작을 행하도록, 플로트구멍 형상과 플로트축부의 형상은 정밀하게 만들어져야만 한다.
또한, 제7도는 상술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는 플르트 구조이다. 플로트핀(102)의 플로트축부(102a)를 백패널 하우징(103)의 외부에 설치하고, 폴로트구멍(109a)이 형성된 별도의 부재(109)를 백패널(101)에 고정하고, 플로트구멍(109a)에 플로트축부(102a)를 관통시켜서 플로트를 보호지지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다. 백패널(101)에 형성된 구멍(410)은 단순히 플로트구멍(109a)보다 큰 구멍이고, 실제의 플로트동작은 플로트구멍(109a)과 플로트축부(102a)의 형상에 의해 제어된다.
이 경우는 플로트구멍(109a)이 형성된 부재(109)와 이것을 고정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고, 백패널의 두께 방향의 추가공간이 필요해 진다. 더우기 상기 예에서는 플로트구멍(109a)이 형성된 부재(109)는 백패널(101)에 고정되어 있는 전기터미널(110)을 통하여 마찰력으로 백패널(101)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지지된다.
패키지 하우징(104)을 플로트 보호지지하는 경우, 상술한 플로트 구조를 채택하면, 플로트 구조에서 요하는 공간이 크기 때문에 코넥타 형상이 크게 되고, 코넥타의 장착 밀도나 패키지의 장착 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직접 패키지보드(106)에 플로트 구멍들을 형성하는 구조도 생각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는, 플로트구멍 형상은 통상 원형은 아니며 고정밀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패키지보드(104)에 정밀도가 좋은 플로트구멍을 가공하려면 코스트가 높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의 제2특징은 패키지보드에서 패키지 하우징을 플로트 보호지지할 때에, 정밀도가 좋은 플로트 보호지지 구조를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또한 콤팩트하게 실현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8도 내지 제1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8(a), 8(b)도는 부분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제9(a)도와 제9(b)도는 각각 제8(a)도의 선II-II 및 선III-III에 따른 단면도, 제10(a)도는 슬롯부재의 평면도, 제10(b)도는 축부재의 확대도, 제11도는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요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제8(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패널 하우징(120)은 광 엘레멘트(121)를 보호지지하고 있고, 백패널(122)에 고정되어 있다. 패키지 하우징(123)은 백패널 하우징(120)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광 엘레멘트(124)를 보호지지하고 있다. 패키지 하우징(123)에는 도면에서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2개소에 플로트 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패키지보드(125)에 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플로트 보호지지 된다.
제8(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키지 하우징(123)은, 지지면(126)과, 지지면(126)에서 연장되는 돌출부(127)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판형상의 고정부재로서의 너트부재(128)에 의해 패키지보드(125)에서 지지된다. 이 플로트 지지 상태를 제9(a)도와 제3(b)도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9(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키지보드(125)에는 관통구멍(129)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129)에는 슬롯부재(130)가 끼워맞춤 되어 있다. 패키지 하우징(123)의 지지면(126)에서 연장되는 돌출부(127)는 슬롯부재(130)를 관통하여 그 선단에 너트부재(128)가 고정되어 있다. 너트부재(128)는 관통구멍(129)보다 큰 직경(131)을 갖고 있다. 패키지 하우징(123)의 지지면(126)과 너트부재(128)의 지지면(132)에 의해 패키지 하우징(123)은 패키지보드(125)에서 지지된다. 그위에 패키지보드(125)의 삽입방향, 즉 도면에서 좌우방향에 관하여는 플로트 슬롯(133)과 평행부(134)의 간극이 작기 때문에 패키지 하우징(123)이 패키지보드(125)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제9(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키지보드(125)의 삽입방향과 직각방향, 즉 도면에서 좌우방향에 관하여는 축부재(127)의 플로트축부(135)의 폭에 비하여 원방형상부재(130)의 플로트구멍(133)의 폭이 크게 되어 둘 사이의 간극이 크기 때문에 축부재(127)는 플로트 슬롯(133)내에서 이동가능하다. 또한, 너트부재(128)의 축방향 위치는 플로트 슬롯(135)의 어깨면(136)에 너트부재(128)에 지지면(132)에 접하는 위치에서 결정되나, 이때, 지지면(126)과 지지면(132)의 간극은 패키지(125)의 두께보다 조금 크게 되도록 어깨면(136)의 위치를 설정한다. 이들에 의해, 패키지 하우징(123)은 패키지보드(125)의 삽입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플로트 가능하게 된다.
슬롯부재(130)는 제10(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키지보드(125)에 형성된 관통구멍(129)에 억지로 끼워맞춤된다. 축부재(127)는 플로트 슬롯(133)에 헐겁게 끼워맞춤되고, 슬롯(133)의 장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축부재(127)에는 축부재(127)가 슬롯(133)의 장축을 따라 단지 수직방향으로만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플로트 슬롯(133)의 단축의 폭보다는 약간 좁은 폭을 가지는 한쌍의 평행부(138)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재(127)는 슬롯(133)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패키지 하우징은 슬롯(133)의 단축을 따라서는 이동함이 없이 슬롯(133)의 장축을 따라 플로트되어 이동가능하다. 또한, 슬롯부재(130)는 몰드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플로트 슬롯(133)을 정밀하게 그리고 저가격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축부재(127)는 제10(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축부(135)와 나사축부(139)를 갖는다. 플로트 축부(135)는 1쌍의 평행부(140)가 설치된 대략 긴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다. 플로트축부(135)는 플로트 슬롯(133)의 평행부(138)와 플로트축부(135)의 평행부(140)와를 접촉시키어 슬롯부재(130)의 플로트 슬롯(133)에 끼워맞춤된다. 플로트 구멍이 플로트 슬롯에 형성되므로 플로트축부(135)는 슬롯부재(130)의 플로트 슬롯(133)내에서 회전하지 않고, 플로트 슬롯(133)의 주축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게 된다. 즉, 슬롯부재(130)는 패키지보드(125)에 대하여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플로트 구조를 제8(a)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2개소 이상 설치함으로써, 슬롯부재(130)가 패키지보드(125)에 대하여 느슨하다 하더라도, 패키지보드(125)에 대한 패키지 하우징(123)의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하우징(123)은 몰드 성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정밀도를 요하는 축부재(127)도 정밀하게 또한 저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11도는 패키지 하우징(123)이 패키지보드(125)에 부착될 때 플로트 구조를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보드(125)에 형성된 관통구멍(129)에 슬롯부재 (130)를 끼워맞춤하고 슬롯부재(130)의 플로트 슬롯(133)에 패키지 하우징의 축부재(127)를 관통 삽입시킨 후, 축부재(127)의 선단의 나사부분(139)과 너트부재 (128)를 나사맞춤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패키지 하우징(123)의 플로트 이동방향은 광코넥타 엘레멘트(124)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하우징(123)이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때 축부재(127)의 주축방향은 관통구멍(129), 슬롯부재(130), 너트부재(128)의 형상을 변경시킴이 없이 변화하게 된다. 또한, 플로트 거리(이동가능한 행정)는 플로트 슬롯(133)의 평행부(138) 또는 축부재(127)의 평행부의 치수를 변경함에 따라 조절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패키지 코넥타 하우징을 콤팩트한 플로트 구조에 의해 패키지에 정밀히 플로트시키어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패키지보드의 가공은 관통구멍들이 정밀가공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간단한 형상이기 때문에 패키지의 가공 코스트가 저감된다. 또한, 플로트 구조가 복잡할 때라도 몰드 가공에 의하면 고정밀도를 또한 저가격으로 플로트 거리(이동가능한 행정)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북셀프형으로 패키지들을 장착하는 경우, 서로 이웃한 패키지보드와 간섭이 없도록 패키지보드에 탑재하는 부품의 높이에 제한이 있으나, 이 발명에 의하면 플로트 부품들이 코넥타 하우징에 배치되기 때문에 콤팩트한 형상으로 패키지 하우징의 플로트를 실현할 수 있다. 코넥타 하우징에는 어떠한 플로트 부품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코넥타 하우징으로의 코넥타 엘레멘트의 장착영역을 넓힐 수가 있고, 엘레멘트의 실제 장착수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또한, 패키지보드의 배면에는 단지 고정 너트만이 설치되기 때문에 두개의 이웃한 패키지보드들이 간섭함이 없이 패키지보드의 유니트프레임으로의 장착밀도를 증대시킬 수가 있다.
또한, 패키지 하우징을 플로트시킴으로써, 종래의 플러그-인 코넥타와는 달리 백패널 코넥타를 플로트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백패널 하우징을 백패널을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외부 장치등에 연결되어 있는 백패널 코넥타 엘레멘트 케이블이 잡아당겨지는 경우에도, 유니트 내부의 패키지보드에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발명의 제3특징은 광섬유를 접속하기 위한 광코넥타의 페룰 보호지지 구조 및 광코넥타용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광부품이나 전기 부품등을 탑재한 패키지보드를 유니트에 장칙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플러그-인 형 광코넥타에 적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우선, 페룰 보호지지 구조에 관한 종래기술을 설명한다.
(1) 광섬유 상호간의 접속에 사용되는 광코넥타로는 예를들면 JIS C5970에 규정되어 있는 F01형의 단일코어 광섬유 코넥타가 있다. 상기 코넥타에서, 광섬유는 원통형상의 페룰 중심에 고정하고, 이것을 정밀한 내경을 갖는 중공 원통형상의 정렬 슬리이브 내측에 삽입하여 페룰의 단면끼리를 맞닿게 하는 구조의 것이다. 이 광코넥타는 플러그 및 어댑터로 구성되고, 어댑터에 양측에서 1쌍의 플러그를 끼워맞춤시켜 결합하는 것이다.
제12도에 일측의 플러그(211)와 어댑터(212)의 구조를 도시한다. 광섬유 (224)는 페룰(221)에 접착되고, 페룰(221)은 플러그 하우징(222)의 내부에 부상되게 지지되어 있다. 페룰(221)의 단면끼리를 서로 밀어 붙이기 때문에 플러그 하우징(222)내에서 페룰(221)은 스프링(223)에 힘이 가해진다.
상기 스프링(223)은 예정된 종용력으로 압축시키기 위하여 플러그 하우징 (222)내에 수용되고, 상기 종용력은 페룰(221)의 플랜지부(221)가 플러그 하우징 (222)에 형성된 내벽(222a)에 맞닿게 될 때 수용하게 된다. 어댑터(212)는 슬리이브 호울더(226)가 보호지지 되고, 슬리이브 호울더(226)에는 2개의 페룰(221)을 지지하는 탄성 슬리이브(225)가 보호지지 되어 있다. 탄성 슬리이브(225)를 개재하여 2개의 페룰(221)을 어댑터(212)에 지지함으로써, 플러그(211), 어댑터(212), 플러그(211)로 구조로 하여 2개의 광섬유(224)를 접속할 수가 있다.
(2) 한편, 특히 각종 광모듈이 탑재된 패키지보드를 유니트프레임에 장착하고, 이 패키지보드와 다른 패키지 또는 외부장치 사이의 광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플러그인 코넥타가 미합중국 특허 제4,895,425호에 개시되어 있다. 플러그-인 형식의 광코넥타의 경우, 복수의 코넥타를 패키지보드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 코넥타의 부착위치의 어긋남이나 유니트프레임 및 패키지보드등의 제조오차에 의해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축방향에 대해서 1mm 정도의 끼워맞춤 오차를 완화하여 일정한 위치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상기(1)에서 나타낸 광섬유 코넥타와는 다른 플러그-잭(Plug-Jack)형식의 엘레멘트가 사용되고 있다.
(3) 또한, 이와 같은 플러그-인 형식에 있어서, 패키지보드당의 가닥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제2도 및 제3도에서 이미 설명하였듯이 개개의 페룰의 종용력이 직접 백패널상에 가해지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광코넥타는 패키지보드의 끼워넣는 조작에 의하여 대향의 광코넥타들이 독립적으로 자동 체결되고, 패키지보드의 빼기 조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체결 해제되어 패키지보드를 빼낼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체결된 상태에서는 쌍방의 광 엘레멘트의 위치관계가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각 엘레멘트의 구조로서는 전술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단심 코넥터로서 사용되는 구조와 동등의 구조, 즉 플러그·어댑터·플러그 구조를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일 코어형 광코넥타와 플러그를 공용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이 광코넥타에서는 각 엘레멘트의 구조로써, 한쪽이 플러그, 다른쪽이 분할 슬리이브를 내장한 슬리이브 호울더를 플러그에 부착한 상태의 잭이 사용된다.
제13(a)도 내지 제13(c)도는 단일 광섬유 코넥타가 플러그인 광코넥타에 적용될 때 플러그와 잭 사이의 위치관계 및 종래기술의 플러그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 따라서 광섬유(224)를 지지하기 위한 페룰(221)은 스프링(223)에 의해 플랜지부(221b)를 경유하여 종용하게 되고 플랜지부(221b)는 플러그 하우징(222)의 내벽(222a)과 접촉하게 된다.
잭측의 플러그(도시생략)에 지지된 페룰(221A)과, 페룰(221)은 탄성 슬리이브(225)에 끼워맞춤되어 맞닿게 되고, 잭측의 플러그에 끼워넣어진 슬리이브 호울더(226)를 플러그(211)에 끼워넣는 것으로, 2개의 광섬유가 결합된다.
이 광코넥타는 플러그-인 형식이기 때문에 최종 결합 위치에 있어서, 내벽(222a)과 슬리이브 호울더(226)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이 틈새에 의하여 결합시 축방향 1mm 정도의 끼워맞춤 오차를 완화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후에는 패키지보드를 끼워넣는 조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대향의 광코넥타들이 독립적으로 자동 체결되어 쌍방의 엘레멘트의 위치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4(a)도 및 제14(b)도에는 페룰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221b)에는 키홈(221c)이 형성되고, 플러그 하우징(222)에 설치된 키(도시생략)가 키홈(221c)에 끼워맞춤됨으로써, 페룰(221)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3)에서 설명한 광코넥타는 (2)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플러그-인 형식이기 때문에 결합시에 축방향으로 1mm 정도의 끼워맞춤 오차를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13(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종 결합위치보다 플러그와 잭이 근접하는 상태를 상정해야만 한다. 그 때문에 최종 결합위치에 있어서는, 제13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222)의 내벽(222a)과 슬리이브 호울더(226)의 사이에 틈새가 필요하게 되고, 이 틈새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탄성 슬리이브(225)를 짧게 하든가 페룰(221)을 길게 해야만 한다. 탄성 슬리이브(225)를 짧게 하는 것은 접속안정성을 줄이고, 페룰(221)을 길게 하는 것은 페룰(221)의 굽힘 강도의 저하를 초래함과 동시에 다른 광코넥타와의 호환성에 있어서도 불리한 것이다.
또한, 다른 해결책으로, 각 플러그 엘레멘트와는 별개로 축방향의 끼워맞춤 오차를 완화하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되나, 플러그 하우징(222)의 대형화를 피할 수 없고, 본래의 목적인 가닥수를 많게 하는데 방해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의 제3특징은, 끼우기/빼기 동작만으로 광코넥타 엘레멘트의 결합/결합해제가 가능하고, 또한 플러그-인 광코넥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끼워맞춤시의 축방향의 1mm 정도의 위치오차를 쉽게 완화할 수 있는 광코넥타의 페룰 보호지지 구조 및 광코넥타용 플러그를 제공하고 또한, 제2도 및 제3도에 따라 개시된 광코넥타와 같이, 코넥타 자체가 체결하는 구조의 것으로 적용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제15도 내지 제17도를 참고로 하여 페룰 보호지지부 구조 및 그 페룰 보호지지 구조에 이용되는 광코넥타용 플러그를 설명한다.
제15(a)도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코넥타용 플러그의 단면도, 제15 (b)도는 제15(a)도에서의 선A-A에 따른 단면도, 제15(c)도는 제15(d)도에서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 제17(a)도는 페룰의 정면도, 제17(b)도는 페룰의 측면도이다.
제15(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204)는 페룰(201)의 본체에 접착되고, 페룰(201)은 플러그 하우징(202)의 내부로 플로트 되어 있다. 페룰(201)에서는 플랜지부(201b)가 형성되고, 플랜지부(201b)는 플러그 하우징(202)에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맞춤된다. 플랜지부(201b)의 단면형상은 제15(b)도 및 제17(a)도에 나타낸 것과 같고,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상이며 플러그 하우징(202)도 페룰 (201)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해 플랜지부(201b)가 끼워맞춤되는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01b)의 형상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육각형등 여러종류의 형상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러그 하우징(202) 내측에는 플랜지부(201b)를 밀어누르는 스프링(203)이 배치설치되고, 페룰(201)은 스프링을 끼워서 제15(a)도에서 우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202)의 단부는 단턱 부착 개구부(251)을 끼워서 페룰 지지부 (252)와 연결하여 통하고, 플랜지부(201b)의 외주원주에 지는 어깨개구(253)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페룰 지지부(252)에서는 제15(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룰 (201)의 끝단부(201a)가 플로트된 상태로 지지되고, 페룰 지지부(252)내에서 끝단부(201a)는 후술하는 슬리이브 호울더(206)에 지지된다.
제16(a)도 및 제16(b)도에 따라 페룰(201)의 지지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6도는 이 발명에 따른 플러그와 잭을 끼워맞춤시킨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는 탄성분할 슬리이브(205)와 이 분할 슬리이브(205)를 지지하는 슬리이브 호울더(206)를 포함하고 있다. 제16도는 잭측의 플러그를 도시 생략하고 있다. 슬리이브 호울더(206)는 페룰 지지부(252)내에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고, 플러그 하우징(202)에 끼워져 관통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페룰 지지구조에서는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구조에서의 내벽(222a)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슬리이브 호울더(206)가 플러그 하우징(202)내에 끼워져 관통가능하게 되어 있어, 제16(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203)의 미치는 힘에 저항하여 어깨 개구부(253)를 초기의 페룰 위치보다 넘어 초기 페룰 위치로 깊숙이 슬리이브 호울더(206)를 밀어 넣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플러그-인 광코넥타로써 사용한 경우에 축방향의 끼워맞춤 오차를 흡수하기 쉬우며, 제16(b)도와 같이 통상의 단심 광코넥타의 동일한 방식으로 페룰(201)이 최대한으로 분할 슬리이브(205)로 깊숙이 끼워진 상태로 최종적인 끼워맞춤 위치를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광코넥타의 접속 분리의 특성을 좋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결합하는 양쪽의 페룰(201)을 항상 같은 방향에서 끼워맞춤 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페룰 지지 구조에서는 플랜지(201b)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의 각을 라운딩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페룰(201)의 축회전이 위치 결정이 끼우기/빼내기의 특성을 좋게 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의 페룰 지지 구조 및 광코넥타용 플러그는 슬리이브 호울더를 플러그 하우징에 끼워 넣음으로써, 페룰을 초기 위치보다 더욱더 안쪽까지 밀어 넣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축방향의 끼워맞춤 오차를 쉽게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특별한 기구가 설치되어도 플러그-인 광코넥타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며 소형인 여러가닥의 플러그-인 광코넥타를 구성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크다. 또한, 같은 구조로 단심의 광코넥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플러그의 공용화에 의해 코스트도 다운되는 큰 효과를 갖는다.
더우기 페룰의 위치는 플랜지의 사각 플랜지부에 의하여 결정되어 상술한 보호지지 구조로 하는 경우에도 쉽게 소형의 광코넥타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며,이점에 있어서도 많은 가닥의 플러그-인 광코넥타를 구성하는 경우에 매우 유리하다.
이 발명의 제4특징은 광코드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도록 접속하는 광코넥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속시의 인장력에 대하여 그 결합력을 확보한 것이다.
먼저, 이러한 광코넥타의 종래기술을 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하기로 한다.
광섬유가 각각 짜 넣어진 복수개의 광코드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끔 결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광코드의 선단부에 광플러그를 각각 맞붙이고, 이 광플러그에 의해 플러그 어댑터를 사이에 두고 광코드를 상호 접속하도록 한 광코넥타가 채용된다. 이와 같은 플러그 어댑터에 대한 광플러그의 붙이고 떼는 조작이 간단하여 결합 손실이 적은 고성능인 광코넥타로서,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3-239,407호 공보등에서 개시도니 단심형 광코넥타가 알려져 있다.
이 단심형 광코넥타의 개략구조를 나타내는 제1(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코드(광섬유)(18)의 선단부에 형성된 광플러그(12)가 각각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도록 장착되는 플러그 어댑터(10)는 탄성레버(17)가 내부에 돌출설치된 어댑터 하우징을 가지고 있고, 이 탄성레버(17)의 선단에는 갈고리부분(20)과 두개의 걸어맞춤편(2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광플러그(12)는 페룰(15)과 걸어맞춤용 돌기부(18)를 가지는 하우징(16)과, 이 플러그 하우징(16)에 대하여 미끄럼동작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해제용 돌기(11)를 형성한 노브 블럭을 가진다.
따라서, 광플러그(12)를 플러그 어댑터(1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플러그 어댑터(10)에 돌출설치된 탄성레버(17)의 갈고리부분(20)이 광플러그(12)의 플러그 하우징(16)에 형성된 걸어맞춤용 돌기부(18)와 걸어맞춤하고 플러그 어댑터(10)와 광플러그(12)가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역으로, 플러그 어댑터(10)에 대하여 광플러그(12)를 빼내는 경우에는, 광플러그(12)에 장착된 노브 블럭을 플러그 어댑터(10)로부터 잡아 빼는 것에 의해, 노브 블럭에 형성된 해제용 돌기(11)가 빼내기용 걸어맞춤편(20a)에 맞닿아서 탄성레버(17)를 밀어 올려, 갈고리부분(20)과 걸어맞춤용 돌기부(18)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플러그 어댑터(10)와 광플러그(12)의 결합이 해제된다.
단심형 광코넥타에서의 종래의 걸어맞춤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플러그(302)와 플러그 어댑터(303)와의 걸어맞춤은, 플러그 어댑터(303)의 어댑터 하우징(305)으로부터 돌출설치된 탄성아암(304)의 갈고리부분(306)과 광플러그(302)의 플러그 하우징(310)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 (309)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된다.
여기에서, 광플러그(302)를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인장한 경우 그 힘은 걸어맞춤용 돌기(309)를 사이에 두고 갈고리부분(306)에 전달되나, 그 작용점과 탄성레버(304)의 베이스부 사이의 거리가 d만큼 벗어나 있으므로 탄성레버(304)에는 그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하는 좌회전 굽힘 모멘트(M)가 발생한다.
따라서, 광플러그(302)와 플러그 어댑터(303)를 분리하는 것과 같은 인장력이 커지면, 탄성레버(304)의 선단측이 점점 위쪽으로 반발되어 갈고리부분(306)의 걸어맞춤면이 걸어맞춤용 돌기(309)의 걸어맞춤면을 미끄러져 이들 걸어맞춤 상태가 풀려 플러그 어댑터(303)로부터 광플러그(302)가 빠져 나가버릴 염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불합리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들면 전술한 특개소 63-239,407호 공보의 [광코넥타]에서는 갈고리부분(306)의 걸어맞춤면과 걸어맞춤용 돌기(309)의 걸어맞춤면과의 마찰계수를 충분히 크게 하기도 하고, 광플러그(302)의 인장방향과 갈고리부분(306) 및 걸어맞춤용 돌기(309)의 걸어맞춤면이 이루는 각을 예각으로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광코넥타가 소형인 경우에는 갈고리부분(306)이나 걸어맞춤용 돌기 (309)의 치수형상등도 작아지기 때문에 갈고리부분(306) 및 걸어맞춤용 돌기(309)의 걸어맞춤면에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며, 또한 광플러그 (302)의 인장방향과 갈고리부분(306) 및 걸어맞춤용 돌기(309)의 걸어맞춤면이 이루는 각을 예각으로 한 경우에는, 이들 갈고리부분(306) 및 걸어맞춤용 돌기(309)의 고정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이들이 파손되어 버리며, 어느 경우에도 플러그 어댑터(303)로부터 광플러그(302)가 빠져 버리는 바와 같은 부적합함을 해소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의 제5특징은 광코드에 큰 인장력이 인가되더라도 광플러그와 플러그 어댑터의 결합이 풀어지지 않도록 한 광코넥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를 푸쉬풀 형식에 적용한 일실시예의 개략구조가 제19도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그 광플러그의 정면도 및 평면도를 제20도 및 제21도에 나타내고, 제19도의 좌측면도를 제22도에 나타낸다.
플러그 어댑터(311)의 중앙부에 끼워붙임된 원통형상의 슬리이브(312)에 대하여 밀착하여 끼워맞춤하는 페룰(313)을 선단에 갖는 광플러그(314)의 플러그 하우징(315)에는 직사각형의 원통형상을 이루는 노브 블럭(316)이 끼워맞춤되고, 이 노브 블럭(316)은 플러그 하우징(315)에 대하여 제1도에서 좌우방향으로 일정범위를 미끄럼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후단으로부터 광코드(317)가 연장된다. 이 광플러그(314)의 플러그 하우징(315)의 선단부에는 상하 1쌍의 걸어맞춤 돌기(318)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걸어맞춤 돌기(318)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노브 블럭(316)의 선단부에는 끼움 경사면(319)과 빼내기 경사면(320)과를 갖는 걸어맞춤 해제 돌기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 플랜지(322)가 형성된 상기 플러그 어댑터(311)에는 광플러그(314)의 선단측에 덮어 씌어지는 직사각형의 원통형상의 갈고리 모양 호울더(3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갈고리 모양 호울더(323)의 내부에는 당해 갈고리 모양 호울더(323)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연장되는 상하 1쌍의 탄성아암(324)이 광플러그 (314)를 잡도록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들 탄성아암(324)의 선단부에는 광플러그 (314)의 걸어맞춤 돌기(318)에 각각 걸어맞춤 할 수 있는 갈고리부분(325)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갈고리부분(325)의 걸어맞춤면(326)은 플러그 어댑터 (311)에 대하여 광플러그(314)를 결합하는 방향을 향하고, 상기 걸어맞춤 돌기 (318)의 걸어맞춤면(327)은 광코드(317)를 빼내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어맞춤 해제 돌기부(321)와 대응하여 이 탄성아암(324)의 선단부에는 상기 걸어맞춤 해제 돌기부(321)의 끼움 경사면(319) 및 빼내기 경사면(320)에 맞닿을 수 있는 걸어맞춤 해제 측면부(328)가 갈고리부분(325)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른 걸어맞춤 부분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표시하는 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코드(317)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광플러그(314)에 도면에서 우측방향의 인장력이 가해진 경우, 그 힘은 걸어맞춤 돌기(318)를 사이에 두고 갈고리부분(325)에 전달되나, 그 작용점과 갈고리 모양 호울더(323)로부터 돌출하는 탄성아암(324)의 고정부분의 거리가 d만큼 벗어나 있으므로, 탄성아암 (324)에는 그 고정부분을 중심으로 좌회전 굽힘 모멘트(M)가 발생한다.
이 결과, 광플러그(314)와 플러그 어댑터(311)를 분리하는 인장력이 커지면 탄성아암(324)의 선단측이 점차 아래쪽으로 구부러지고 갈고리부분(325)의 걸어맞춤면(326)과 걸어맞춤 돌기(318)의 걸어맞춤면이 겹쳐 물린 상태로 되고, 플러그 어댑터(311)와 광플러그(314)의 걸어맞춤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광코드(317)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갈고리부분(325)와 걸어맞춤 돌기(318)가 보다 강하게 걸리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갈고리부분(325)의 걸어맞춤면(326) 및 걸어맞춤 돌기(318)의 걸어 맞춤면(327)의 마찰계수를 크게 하기도 하고, 광코드(317)의 빼내는 방향과 갈고리 부분(325) 및 걸어 맞춤돌기(318)의 걸어 맞춤면(326), (327)의 이루는 각을 예각으로 하지 않더라도, 이들의 결합 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가 있다.
특히, 광코넥타가 소형인 경우에는 갈고리 부분(325)이나 걸어 맞춤돌기 (318)도 작게 할 필요가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이들의 걸어 맞춤면(326), (327)의 마찰계수를 특별히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더우기, 광코드(317)의 빼내는 방향과 갈고리 부분(325) 및 걸어 맞춤 돌기(318)의 걸어 맞춤면(326), (327)의 이루는 각을 예각으로 할 필요가 없으므로, 갈고리 부분(325) 및 걸어 맞춤돌기(318)의 고정부분에 가해지는 응력집중을 완화할 수 있고, 이들 갈고리 부분(325) 및 걸어 맞춤 돌기(318)의 강도를 크게 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 플러그 어댑터(311)에 광플러그(314)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먼저 노브 블럭(316)을 손가락으로 꽉 잡아 광플러그(314)의 측을 플러그 어댑터 (311)내에 끼워 넣으면 노브 블럭(316)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어 맞춤 해제 돌기부 (321)의 끼움 경사면(319)이 탄성아암(324)의 걸어 맞춤 해제 측면부(328)에 맞닿아서, 탄성아암(324)의 선단측이 걸어 맞춤 돌기(318)로부터 떨어지도록 굽어지고, 뒤이어 그 빼내기 경사면(320)이 탄성아암(324)의 걸어 맞춤 해제 측면부(328)에 맞닿은 상태로 되고, 플러그 어댑터(311)에 대하여 노브 블럭(316)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 동작과 병행하여 걸어맞춤면(326)과 반대측의 갈고리부분(325)에 형성된 끼움 경사면(329)에 대해서, 광플러그(314)의 걸어맞춤 돌기(318)가 이 끼움 경사면(329)을 밀어 올리고, 탄성아암(324)의 선단측이 걸어맞춤 돌기(318)로부터 떨어지도록 굽어지고, 걸어맞춤 돌기(318)가 탄성아암(324)의 갈고리부분(325)을 통과한 후, 탄성아암(324)은 본래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되어 걸어맞춤 돌기(318)와 갈고리부분(325)에 걸어 맞춤 상태로 된다.
한편, 이 광플러그(314)를 플러그 어댑터(311)에서 빼내는 경우에는, 노브 블럭(316)을 플러그 어댑터(311)에 대하여 제19도에 우측방향으로 인장함으로써, 노브 블럭(316)이 광플러그(314)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고, 이어서 이 노브 블럭 (316)과 함께 광플러그(314)가 제19도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을개시한다. 이때, 먼저 노브 블럭(316)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어 맞춤 해제 돌기부(321)의 빼내기 경사면(320)이 탄성아암(324)의 걸어 맞춤 해제 측면부(328)에 맞닿아서 탄성아암 (324)의 선단측이 걸어 맞춤 돌기(318)로 부터 떨어지도록 구부러진다. 이에 따라, 걸어맞춤 돌기(318)와 갈고리부분(325)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노브 블럭(316)과 함께 광플러그(314)가 플러그 어댑터(311)로부터 빠진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소위 광플러그의 반대끼움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플러그(314)의 외형을 페룰(313)의 축중심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한다. 보다 상세히 언급하면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어댑터(311)의 내벽에 위치결정 홈(330)을 형성하고 외벽에 노브 블럭(316)을 형성시켜 제20도와 같이 위치 결정 홈(330)과 걸어 맞춘다. 또한,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 블럭(316)의 양측에 형성된 걸어 맞춤 해제 돌기부(321)의 폭과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어댑터(321)에 형성된 걸어 맞춤 해제 절단부(3)의 폭을 각각 좌우로 상이하게 설정한다. 즉, 광플러그(314)가 잘못된 방향으로 플러그 어댑터(311)로 끼워질 때 플러그 어댑터와 광플러그(314) 사이의 커플링 방향이 결정되어 폭이 넓은 측의 걸어 맞춤 해제돌기부(321)와 플러그 어댑터(311)가 간섭하기 때문에 광플러그(314)가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에서 광플러그(314)의 페룰(313)의 선단면과 걸어 맞춤 돌기(318)의 걸어 맞춤면(327)의 간격을 제1(b)도 및 제18도에 나타낸 종래의 것보다 작게 할 수 있고, 광플러그 (314)의 걸어 맞춤돌기(318)와 탄성 아암(324)의 갈고리 부분(325)과의 걸어 맞춤 위치를 광플러그(314)의 선단측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이 발명은 소위 플러그-인 형식의 광코넥타에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발명의 광코넥타를 플러그-인 형식의 광코넥타의 백패널측에 적용한 일 실시예의 일부를 파단한 단면구조를 제24도에 나타낸다.
즉, 백패널(351)에는 먼저 설명한 제19도 및 제22도에 나타낸 플러그 어댑터(311)와 거의 동일 구조의 주 백패널 하우징(352)과, 이 백 패널(351)을 잡고 주 백패널 하우징(352)과 대향하는 부 백패널 하우징(353)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주 백패널 하우징(352)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 제19도 내지 제21도에 나타낸 광플러그(314)와 동일한 구조의 광플러그(354)가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끔 장착된다.
이때문에, 부 백패널 하우징(353) 및 백패널(351)에는 광플러그(354)가 관통하는 관통구멍(355), (356)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탄성아암(357)은 주 백패널 하우징(352)의 백패널(351)측의 단부로부터 도면에서 우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고, 그 갈고리 부분(358)이 플러그 하우징(359)의 선단부에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360)에 걸어 맞춤함으로써, 주 백패널 하우징(352)과 광플러그(354)가 결합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도 광플러그(354)의 후단으로 부터 연장되는 광코드 (361)가 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인장된 경우, 그 인장력은 플러그 하우징(359)의 걸어 맞춤 돌기(360)를 사이에 두고 탄성 아암(357)의 갈고리부분(358)에 작용하고,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갈고리 부분(358)과 걸어 맞춤 돌기(360)가 밀착된 상태로 되고, 주 백패널 하우징(352)과 광플러그(354)의 걸어 맞춤 상태가 그대로 지지된다.
또한, 패키지측의 구조에 대해서는 공지의 구조의 것을 채용하여도 좋고, 제19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구조를 변경하여 제24도에 나타내는 이 실시예에 짜넣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광플러그(354)를 주 백패널 하우징(352)으로부터 빼내는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노브 블럭(362)을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광플러그(354)를 주 백패널 하우징(352)으로부터 쉽게 빼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 발명은 단일형 광코넥타 및 플러그-인 형식의 광코넥타에 각각 적용하였으나, 이들 이외의 구조인 광코넥타에 적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에 의하면, 광코드에 큰 인장력이 가해져도 플러그 어댑터의 탄성아암의 선단측이 광플러그의 걸어 맞춤 돌기측으로 거꾸로 들어가도록 탄성변형하는 경향으로 되는 것만이고, 탄성 아암의 갈고리 부분의 걸어 맞춤면과 광플러그의 걸어 맞춤 돌기의 걸어 맞춤면과의 걸어 맞춤 상태가 악화되는 바와 같은 변화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플러그 어댑터로부터 광플러그를 빼내는 경우에는 노브 블럭을 광플러그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좋고, 따라서 인장강도가 커지고 더우기 조작성이 좋은 광코넥타를 실현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5특징은, 광섬유를 접속하기 위한 광코넥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밀도의 장착이 요구되는 경우나, 광부품이나 전기부품등을 탑재한 패키지 보드를 유니트 프레임에 장착하는 때에 사용하는 플러그-인형 광코넥타등에 사용하는 경우에 적절한 광코넥타의 위치 결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상호간의 접속에 사용하는 광코넥타의 구조로는 예를들면 지스(Jis) 규격에 규정되어 있는 F04형의 단심 광섬유 코넥타와 같이, 광섬유를 원통형상의 페룰 중심에 고정하고, 이것을 정밀한 내경을 갖는 중공 원통형상의 정렬 슬리이브 내측에 끼워넣어 페룰의 단면끼리의 맞닿게 하는 방법이 있다.
이 광코넥타는 제2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코넥타 플러그(401) 및 어댑터로 불리우는 코넥타 하우징(402)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코넥타 하우징(402)의 양측에서 한쌍의 광코넥타 플러그(401)를 끼워맞춤시켜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광코넥타 플러그(401)는, 광섬유(400)의 일단에 부착된 페룰(103)을 지지하게 되는 플러그 하우징(404)과 노브(405)와로 구성되고, 플러그 하우징(404)은 노브(405)의 내부에서 페룰(403)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한 구조이다. 이 광코넥타 플러그(401)와 끼워맞춤하는 코넥타 하우징(402)은, 페룰(403)을 끼워넣은 중공 원통형상의 정렬 슬리이브(405)와, 노브(405)의 선단부분을 일체로 끼워넣는 끼움 구멍(40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광코넥타 플러그(401) 및 코넥타 하우징(402)은, 페룰(403)과 정렬 슬리이브(406) 및 손잡이(405)와 끼움 구멍(407)이 각각 끼워맞춤되는 것으로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걸어 맞춤은 광코넥타(401)의 대향하는 2측면에 형성된 홈(408)의 걸어 맞춤 오목부(409)와 코넥타 하우징(402)의 걸어 맞춤 아암(410)의 갈고리 부분(411)과 결합됨으로써 걸어 맞춤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광코넥타를 특히 단심 광섬유의 접속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속하는 쌍방의 플러그를 서로 일정 방향으로 향하게 접속함으로써, 페룰의 축에 대한 광섬유의 코어의 편심이 있어도 접속특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때문에, 전술한 F04의 단심 광섬유 코넥타의 경우에는 광코넥타 플러그(401)의 일측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가 끼워맞춤되는 홈(413)을 코넥타 하우징(402)에 형성함으로써, 대칭면을 갖는 광코넥타 플러그(401)가 일정한 방향에서만 이 코넥타 하우징(402)에 끼워맞춤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특히 각종 광모듈이 탑재된 패키지 보드들을 유니트 프레임에 장착하고, 이들 패키지보드와 다른 패키지 또는 외부의 장치와의 사이에서 광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는 미합중국 특허 제4,895,425호「플러그-인 코넥타」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플러그-인 형식의 광코넥타가 사용된다.
이 플러그-인 형식의 광코넥타의 경우, 통상적으로 복수개의 광코넥타 플러그가 하우징에 끼워맞춤되고, 접속하는 쌍방의 광코넥타 플러그는, 각각 끼워맞춤되어 있는 하우징 끼리가 서로 동시에 결합함으로써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우징에 대하여 고밀도로 광코넥타 플러그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통상의 단심 광코넥타의 경우에 있어서도, 특히 고밀도의 장착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플러그가 동시에 끼우맞춤 될수 있는 어댑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제26(a)도 및 (b)도는 복수의 광코넥타 플러그(401)가 끼워맞춤되는 코넥타 하우징(420)을 나타낸다. 광코넥타 플러그(401)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를 받는 홈(421)이 코넥타 하우징(420)의 각 끼움 구멍(422)에 설치되기 때문에, 장착 피치를 최대한으로 작게 한 경우에는 인접하는 것 끼리의 끼움구멍(422)을 나누는 간막이 벽(423)은 분단되는 형으로 되고, 각 끼움구멍(422)들끼리 통과한 상태로 된다. 이 코넥타 하우징(420)과 광코넥타 플러그(401)의 결합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코넥타 하우징(420)의 각 끼움구멍(422)의 내측면에 설치된 용수철 형상의 걸어 맞춤 부재(242)와, 광코넥타 플러그(401)의 측면에 형성된 홈(409)을 걸어 맞춤 시키는 것으로 광코넥타 플러그(401)를 체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코넥타 하우징(420)에 광코넥타 플러그(401)를 끼워맞춤시킨 상태는 제(26a)도에 도시되어 있다. 광코넥타 플러그(401)의 측면에 형성된 2개의 홈(409) 및 1개의 돌기에 코넥타 하우징(420)의 내면에 형성된 2개의 걸어 맞춤 부재(424) 및 1개의 홈(425)의 끼워맞춤되는 형으로 광코넥타 플러그(401)는 코넥타 하우징(420)에 끼워 넣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F04형의 광코넥타와 같은 플러그 위치결정 구조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광코넥타 플러그(401)의 2측면의 홈(409)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과, 돌기를 제거한 형상에 대한 대칭면과는 일치하고 있으므로 제26(a) 및 (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들면 번호 ③의 끼움 구멍(422)에 통상과 반대로 향하여 광코넥타 플러그(401)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광코넥타 플러그(401)를 삽입하면, 단심 광섬유의 경우에는 페룰(403)의 중심에 대한 섬유 코어의 편심방향이 엮으로 되기 때문에, 통상의 끼워맞춤 상태에 비해 코어의 축의 어긋남 량이 변동함으로써 접속손실이 변화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부위에서 역으로 광코넥타 플러그(401)를 끼워넣어 버리면 다른 끼움 구멍(422)에는 끼워넣을 수 없게 되는 부위가 생긴다.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의 제5특징은 복수개의 광코넥타 플러그를 최대한 고밀도로 장착할 수 있는 코넥타 하우징에 있어서도 각 광코넥타 플러그가 일정한 방향에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광코넥타의 위치결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이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제27도는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의 사시도, 제28(a)도는 광코넥타 플러그의 정면도, 제28(b), (d)도는 양측면도, 제28(c)도는 측단면도, 제29도는 광코넥타 플러그를 코넥타 하우징에 끼워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30도는 코넥타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코넥타 플러그(411)는 전술한 F04형 광코넥타와 마찬가지로, 광섬유(412)를 접착한 페룰(413)을 내부에 플로트 보호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414)과, 페룰(413)에 밀어누름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415)과, 광코넥타 플러그(411) 및 코넥타 하우징(416)의 사이에서 체결/체결 해제를 행하기 위한 노브(417)를 구비한 것이므로 그 페룰(413)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이며, 노브(417)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페룰(413)의 축방향에 따라 홈(418)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일측면에는 축을 따라 연장하는 돌기부(4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브(417)의 양측면의 홈(418)을 형성할 때에 형성되는 돌출부(420a), (420b)는 그 축방향에 따라 직교하는 한변의 길이(W1), (W2)를 향상(W1), (W2)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광코넥타 플러그(411)의 한쪽의 측면형상과, 다른쪽의 측면형상과가, 양측면에 평행으로 축을 통한 평면을 중심으로 대칭이고, 또한 양측면의 형상이 페룰(413)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형 비대칭으로 되어 있다.
한쪽의 코넥타 하우징(416)은, 광코넥타 플러그(411)를 끼워넣기 위한 복수의 끼움구멍(416a)을 하우징본체(422)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하우징 본체(422)에는 광코넥타 플러그(411)의 홈(418)이 끼워맞춤되는 돌기(424) 및 돌기부(419)가 끼워맞춤되는 홈(424)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코넥타용 하우징의 끼움구멍내에는 광코넥타 플러그(411)의 페룰(413)을 끼워넣는 중공원통 형상의 정렬 슬리이브(425)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광코넥타 플러그(411)의 홈(418)의 걸림 오목부(418a)에 걸어 맞춤하는 걸어 맞춤 갈고리 부분(426a)을 갖는 탄성변형이 자유로운 걸어 맞춤 아암(4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아암(426)에는 광코넥타 플러그(411)가 끼우기, 빼기와로, 이 걸어 맞춤 아암(426)을 갖고 위로 올리기 위한 측면돌기(42b)가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고, 광코넥타(411)의 돌기부(420a),(420b)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체결/체결 해제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코넥타 하우징(416)의 끼움 구멍(416a)내에 광코넥타(411)를 끼워넣으면, 노브(417)의 양측면에 형성된 홈(418)과 끼움 구멍(416a) 내측의 돌기(423)가 끼워맞춤 하면서 끼워넣어지고, 결과적으로 홈(418)의 걸림오목부(418a)에 걸어 맞춤 갈고리 부분(426a)이 걸어 맞춤 됨과 동시에 홈(418)의 안쪽부에 돌기(424)가 걸리게 되어, 광코넥타 플러그(411)와 코넥타 하우징(416)이 최종적으로 끼워맞춤하는 것으로 된다(제29도 참조). 제30도는 복수의 광코넥타 플러그를 보호지지하는 코넥타 하우징(416)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코넥타 하우징(416)은 4부분 I~IV의 4개소의 끼움구멍(416a)을 갖는 것이다. 광코넥타 플러그(411) 및 코넥타 하우징(416)을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예를들면 제31(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 III의 끼움구멍(416a)에 1개만 광코넥타 플러그를 끼워넣는 경우에 있어서도, 비록 광코넥타 플러그(411)를 역방향으로 끼워넣을 때라도 제31(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간섭(430)(W1~W2)이 발생하여 두 상이한 폭을 갖는 돌기(420a)(420b) 사이의 홈에 코넥타 하우징(416)의 돌기(424)가 끼워맞춤되지 않기 때문에 광코넥타 플러그(411)를 역방향으로 끼워넣을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광코넥타(411)를 최대한 고밀도로 장착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광코넥타 플러그(411)를 잘못하여 역방향에서 끼워넣는 위험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비대칭으로 하는 것을 노브(417)들의 홈(418)의 형성위치를 오프세팅하여 돌기부(420a), (420b)의 폭을되도록 한 일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대향하는 양측면의 형상이 양측면에 평행으로 축을 통하는 평면을 중심으로 대칭이고, 또한 양측면의 형상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 비대칭이 되는 것이며, 어느 경우의 대응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 플러그의 위치결정 구조는 광코넥타 플러그의 대향하는 한쪽의 측면형상과 다른쪽의 측면형상이 양측면에 평행으로 축을 통하는 평면을 중심으로 대칭이고, 또한 양측면의 형상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 비대칭으로 하였으므로 광코넥타 플러그를 나란히 하여 최대한 고밀도로 장착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광코넥타 플러그를 잘못하여 역방향으로 끼워넣는 위험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때문에 특히 고밀도의 장착이 요구되는 경우나, 복수의 가닥을 동시에 접속하는 플러그-인 광코넥타를 구성하는 경우에 매우 유익한 것이다.
이 발명의 제6특징은, 광섬유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접속하는 플러그-잭 식 광코넥타에 사용되는 광코넥타 잭에 관한 것이다.
먼저, 첨부도면에 따라 종래기술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광코넥타에는, 플러그-어댑터-플러그(PAP)형식의 광코넥타와, 플러그-잭(PJ)형식의 광코넥타가 있다. PAP형식의 광코넥타는, 광섬유의 끝단이 접속된 페룰을 보호지지하는 2개의 광코넥타 플러그와, 이들과 걸어 맞춤되고 쌍방의 페룰이 끼워지는 정렬 슬리이브를 보호지지하는 광어댑터로 구성된다. 또한, PJ형식의 광코넥타는, 광섬유의 끝단이 접속된 페룰을 보호지지하는 광코넥타 플러그와, 이 광코넥타 플러그와 걸어 맞춤되고 광섬유의 단부가 접속된 페룰 및 이 페룰이 끼워지는 정렬 슬리이브를 보호지지하는 광코넥타 잭으로 구성된다.
이중, 각종 광장치등에는, PJ형식의 광코넥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PJ형식의 광코넥타로서는, 예를 들면, 제32도에 나타낸 구조의 플러그-인 광코넥타가 미합중국 특허 제4,895,42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광코넥타는, 패키지보드(508)에 부착된 패키지코넥타(506)와, 백패널(509)에 부착된 백패널 코넥타(507)로 된다. 즉, 패키지 코넥타(507)에는 광코넥타 플러그(505)가 장착되어 있고, 이 광코넥타 플러그(505)에는, 도시되지 않은 광섬유의 끝단이 접속된 페룰(503A)이 일체로 보호지지되어 있다.
한편, 패키지 코넥타(506)에는 광코넥타잭(501)이 장착되어 있고, 이 광코넥타잭(501)은 광코넥타플러그와 걸어 맞춤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광코넥타잭(501)의 잭본체(502)내에는 정렬 슬리이브(504), 페룰(503) 및 이들을 일체로 보호지지하는 하우징(521)이 수납되어 있다. 페룰(503)은 정렬슬리이브(504) 내측에 삽입됨과 동시에 도시되지 않은 광섬유의 끝단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광섬유의 접속은 광코넥타잭(501)과 광코넥타플러그(505)를 위치결정하고, 광코넥타잭(501) 내측의 정렬 슬리이브(504)에 광코넥타 플러그(505) 내측에 페룰(503A)를 삽입하고, 페룰(503)들을 동축으로 마주보게 하고, 밀어누름 스프링(528)에 의해 서로 밀어부치도록 함으로써 실현된다.
여기에서, 정렬 슬리이브(504)에는, 페룰(503)만이 아니고 페룰(503A)도 끼워지므로 페룰끝단면(531)은 정렬슬리이브(504)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결국, 페룰(503)의 끝단면(531)이 정렬슬리이브(504)의 내부를 따라서 광코넥타잭(501)의 내측 안쪽에 있는 구조이다.
상술한 광코넥타에 의한 광섬유에 접속에 있어서는, 페룰 끝단면(531)이나 정렬 슬리이브(504)의 내면에 먼지나 붙이고 뗄 때의 마모칩이 부착되면, 접속손실이 복귀손실이 크게 되어 특성이 열화된다. 이 때문에, 페룰끝단면(531)이나 정렬 슬리이브(504)를 정기적으로 청소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코넥타잭에서는, 페룰끝단면(531)이나 정렬 슬리이브(504) 내면이 잭의 내측안쪽에 있는 구조이므로, 정렬 슬리이브(504)의 안쪽에 있는 페룰끝단면(531)을 청소하기 위해 가느다란 직경의 정렬 슬리이브(504)에, 예를들면 면봉등의 청소구를 끼워넣어 청소해야만 하므로 청소가 곤란했었다.
금후, 광통신기술의 진전에 따라 광코넥타도 소형화, 고밀도화가 요구된다. 이들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페룰(503A)이나 정렬 슬리이브(504)의 소형화, 세경화가 필요불가결하다.
그러나, 종래 구조의 광코넥타잭에서는, 정렬 슬리이브(504)의 내경이 가능게 된 경우, 면봉등의 청소구를 끼우기가 불가능하고 페룰끝단면(531)이나 정렬 슬리이브(504)내면의 청소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광코넥타에서는, 코넥타를 붙이고, 뗄 때에 페룰(503A)과 정렬 슬리이브(504)의 마찰에 의해 마모칩이 발생하고, 이 마모칩이 페룰 끝단면(531)에 부착하면, 접속손실이 반사가 커져서 접속특성이 열화된다. 이 마모칩의 생성을 줄이기 위해 근래에는 정렬 슬리이브의 재료로서 지르코니아 세라믹스등의 내마모성이 좋은 세라믹스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세라믹스제 정렬 슬리이브는 취성이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조작시에 실수로 정렬슬리이브에 설계치 이상의 비틂응력을 가하면, 정렬 슬리이브가 파손되기가 용이하여, 쉽게 정렬 슬리이브를 교환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요망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광코넥타 잭에서는, 광코넥타잭으로부터 정렬 슬리이브(504)가 쉽게 꺼내지는 구조가 아니므로, 정렬 슬리이브(504)를 끝단면(511)으로부터 떼어내어 교환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또는 불가능한 상태이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PJ형식의 광코넥타는, 광 코넥타 잭내에 정렬 슬리이브가 일체로 보호지지되어 있으므로, 페룰 끝단면이나 정렬 슬리이브 내면의 청소가 곤란하고, 또한 정렬슬리이브가 파손된 경우등에 있어서도 정렬 슬리이브의 교환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페룰의 청소나 정렬 슬리이브의 교환이 곤란하다고 하는 것은, 금후 광코넥타의 소형화, 고밀도화가 진행되고, 페룰이나 정렬 슬리이브의 세경화나 정렬슬리이브의 세라믹스화가 진행되어 갈 때에 중대한 문제로 된다.
이 발명에 따른 광코넥타의 제6특징은, 페룰이나 정렬 슬리이브의 청소가 용이하고, 또한 정렬 슬리이브의 교환이 용이한 광코넥타 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이하, 이 발명에 다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3(a), (b) 및 (c)도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광코넥타잭(501)에서는, 잭본체(502)내에 후방하우징(521) 및 전방하우징(522)으로 되는 하우징이 설치되어 있다. 즉, 후방하우징(521) 및 전방하우징(522)은, 각각 원통형상이며 후방하우징(521) 앞쪽의 내측둘레에는 걸어맞춤수단으로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한편, 전방하우징(522)의 후방외주면에는 걸어맞춤수단으로서 수나사부(52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암나사부(525)에 수나사부(523)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전방하우징(522)과 후방하우징(521)이 걸어 맞춤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나사결합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그들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방하우징(522)의 내측에는, 정렬 슬리이브(504)가 헐겁게 끼워져 지지되어 있고, 이 정렬 슬리이브(504)가 뒤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전방하우징(522)의 뒤쪽부에는 내경이 작은 부분으로 어깨부(524)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하우징(521)의 뒤쪽부에는 내경이 작은 부분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 페룰(503)이 지지되어 있다. 페룰(503)은 전방하우징(522)과 정렬 슬리이브(504)내에 끼워 넣어짐과 동시에 광섬유(530)의 끝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페룰(503)의 끝단면(531)은, 전방하우징(522), 후방하우징(521)의 걸리는 부분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종래의 하우징으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나, 페룰 끝단면(531)의 뒤쪽부에서 전방하우징(522)과 후방하우징(521)의 걸어 맞춤 해제가 자유롭게 분할되어 있다.
또한, 페룰(503)의 뒤쪽에는, 밀어누름 스프링(528)이 설치되어 있고, 페룰 끝단면(531)과 도시되지 않은 광코넥타 플러그의 페룰끝단면을 정렬 슬리이브(504)내에서 밀어붙여 맞출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이 실시예의 광코넥타 잭은, 제33(b) 및 (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나사부(525)와 수나사부(523)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후방하우징(521)에서 전방하우징(522)을 간단하게 떼어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암나사부(525)와 수나사부(523)와를 조여 붙임으로써 후방하우징(521)에서 전방하우징(522)을 확실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광코넥타잭(501)에서 전방하우징(522)을 떼어내면, 정렬슬리이브(504)는 전방하우징(522)에 헐겁게 끼워져 지지되어 있으므로, 전방하우징(522)에서 빠져나와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후방하우징(521)에서 전방하우징(522)을 떼어내면, 후방하우징(521)에서 페룰(503)의 끝단면(531)이 돌출하므로, 예를들어, 그때 그 선봉을 미세한 직경이 정렬슬리이브(504)에 끼워넣을 필요도 없다.
다음에, 이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34(a) 및 (b)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후방하우징(521)과 전방하우징(522)과의 걸림수단으로서 마찰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전방하우징(522)의 뒤쪽 외주면은 큰 직경으로 된 마찰걸림부(526)로 됨과 동시에 후방하우징(521)의 앞쪽 내측 둘레는 그 마찰 걸어맞춤부(526) 보다도 약간 작은 내경으로 된 마찰 걸어 맞춤부(527)로 되어 있고, 이 마찰 걸어 맞춤부(526), (527)를 상호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전방하우징(22), 후방하우징(521)을 마찰 걸어 맞춤되도록 하고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마찰 걸어 맞춤부(526), (527)사이의 마찰력에 저항하여 후방하우징(521)에서 전방하우징(522)를 빼내면, 전방하우징(522)에 지지된 정렬 슬리이브(504)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또한 후방하우징(521)에서 돌출하는 페룰(503)의 끝면(531)을, 예를들어 선봉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실시예에서는, 전방하우징(522)에 형성된 어깨부(524)는 전방하우징(522)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어깨부(524)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제3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어깨부(524)로서 전방하우징 (522)과 별개 부재인 링(529)을 설치하여도 좋다. 링(529)은 전방하우징(522)의 내경보다도 약간 큰 직경으로 함으로써, 마찰에 의해 끼워맞추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링(529)을 떼어내어 더욱 용이하게 정렬 슬리이브(504)를 교환할 수 있다.
제36(a), (b) 및 (c)도, 제37도와 제38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다수의 광섬유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접속하는 플러그-인 형 광코넥타에 관한 것이다. 즉, 제36(a), (b) 및 (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광코넥타는 패키지보드(508)에 부착된 코넥타(506)와, 백 패널(509)에 부착된 백 패널 코넥타(507)로 구성되어 있다. 패키지 코넥타(506)에는 복수의 광코넥타잭(501)이 장착되어 있고, 또한 백 패널 코넥타(507)에는 이들에 대응하는 복의 광코넥타 플러그(505)가 장착되어 있다.
광코넥타잭(501)은 제37(a)도 및 37(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잭 본체(502), 후방하우징(521), 전방하우징(522)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방하우징(521)은 잭 본체(502)의 앞쪽에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이 후방하우징(521)의 앞쪽부에 전방하우징(522)이 마찰력에 의해 걸림해제가 가능하도록 걸리어 있다. 전방하우징(522)은 대략 원통형상의 부재이고, 그 내부에는 정렬 슬리이브(504)가 지지되는 한편, 후방하우징(521)내에는 페룰(503)이 지지되어 있다. 이 페룰(503)은 정렬슬리이브 (504)내에 삽입되고, 그 끝단면(531)은 후방하우징(521)과 전방하우징(522)과의 걸어 맞춤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방하우징(522)의 뒤쪽 내주에는 정렬슬리이브(504)가 빼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어깨부(524)가 형성되고, 전방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528)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36(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광코넥타잭(501), 광코넥타 플러그(505)를 위치결정시켜 패키지 코넥타(506)와 백패널 코넥타(507)를 끼워맞춤시키면, 정렬슬리이브(504)내에 페룰(503A)이 끼워넣어져 광섬유가 접속된다.
또한, 제3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찰력에 저항하여 후방하우징(521)에서 전방하우징(522)을 잡아빼면, 전방하우징(522)에 지지된 정렬슬리이브(504)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또한 후방하우징(521)에서 돌출하는 페룰(503)의 끝단면 (531)을 예를들어 선봉등을 이용하여 간단히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전순한 실시예들에서는, 전방하우징과 후방하우징과를 나사 맞춤함으로써 또는 마찰력으로써 걸어맞춤해제가 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이들 수단이외에도 확실하게 걸어 맞춤되고, 간단하게 걸어 맞춤을 해제할 수 있는 수단이 있다면 이들로 대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광코넥타 잭은 하우징을 전방과 후방으로 분할하였기 때문에 전방하우징을 떼어내어 정렬슬리이브를 교환할 수 있고, 또한 전방하우징을 떼어 낸 상태에서 페룰 끝단면이 후방하우징에서 돌출되므로 페룰끝단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정렬슬리이브가 파손된 경우에도 정렬슬리이브의 교환이 용이하게 되고, 광코넥타 잭의 접속 손실이 열화된 경우에도 페룰 끝단면의 청소로 용이하게 특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 특히, 페룰이나 정렬 슬리이브가 미세한 직경으로 된 경우에도 광코넥타 잭의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문에 광코넥타 잭의 특성이 열화된 경우에는, 예를들어 패키지 전체를 떼어내고 교환하지 않고, 광코넥타 잭의 청소, 정렬 슬리이브의 교환의 잭의 특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제1도 내지 제5도의 특징이 있는 실현되는 플러그 인 광코넥타에 대한 실시예를 제39도 내지 제43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상이하게 제1코넥타(30)는 패키지 보드(1)에 부착되고 제2코넥타(31)는 백패널(5)에 부착된다.
제39(a)도 내지 제39(b)도는 좌측면도, 부분적으로 절개된 정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각각 제1코넥타를 나타낸다. 제40(a)도 및 제40(b)도는 제1코넥타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로서, 제40(a)도는 횡단면도, 제40(b)도는 종단면도이다. 제41(a)도 내지 제41(d)도는 좌측면도, 부분적으로 절개된 정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각각 제2코넥타를 나타낸다. 제42(a)도 및 제42(b)도는 제2코넥타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로서, 제42(a)도는 횡단면도, 제42(b)도는 종단면도이다. 제43도는 백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39(a)도 내지 제39(d)를 참조하면, 제1하우징(33)을 갖는 제1코넥타(30)는 패키지보드(1)에 나사(55)로 고정된다. 제1하우징(33)은, 그 상, 하부면에 제2탄성 걸어 맞춤 레버(40)가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탄성 걸어 맞춤 레버(40)에는 측면돌기(40a) 및 2개의 측면돌기(4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하우징(33)에는 경사면(41a)을갖는 제1해제 부재(41)가 형성되어 있다.
제1하우징(33)내에는 제40(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들 사이에 페룰(201)을 가지는 제1광코넥타와 엘레멘트(플러그)를 지지하는 간막이벽(632) 및 그들사이에서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를 지지하는 갈고리 부분(358A)(제24도에 도시됨)을 각각 갖는 탄성 아암(357A)이 마련된다. 또한, 제1하우징(33)에는 간막이벽(632)에 연결된 가로부재(631)가 형성되어 정렬 슬리이브(504)가 각각 삽입되는 하우징(슬리이브 호울더)(522)(제33도에 도시됨)을 지지한다. 또한, 제39(b)도에 있어서, 삽입안내 코드(633)들이 하우징(30)에 형성된다. 제40(a)도 및 제40(b)도에 있어서는, 2개의 걸어 맞춤 돌기(360)(제24도에 도시됨)가 각각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 (32)에 형성된다.
제41(a)도 내지 제42(b)도를 참조하면, 백패널(5)상에 플로트 지지되는 제2코넥타(31)는 제2하우징(34), 제3하우징(36) 및 배면측 하우징(641)으로 구성된다.
제41(d)도 및 제43도에서와 같이, 대략적으로 사각형상인 장착구멍(659)은 백패널(5)에 형성되며, 이 장착 구멍(659)의 4개 코너 근처에는 4개의 나사 지지슬롯(691)이 형성되며, 각각의 슬롯(691)은 수직, 수평의 양방향으로 플로트 나사 (55B)의 직경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제2코넥타(31)는 플로트 지지되는데 플로트 나사(55B)에 의하여 백패널(5)이 제2하우징(34)과 배면측 하우징(641) 사이에 놓임으로써 지지된다. 따라서, 제2코넥타(31)는 플로트 나사(55B)의 직경과 나사지지슬롯(691)의 폭 사이에 틈새가 있는 백패널(5)에 의하여 플로트 지지되고, 제3하우징 (36)은 제2하우징(34)과 배면측 하우징(641) 모두의 내부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장착구멍(659)을 통과할 수가 있다.
제3하우징(36)에는 제1탄성 걸어 맞춤 레버(38) 및 제2돌기(39)가 형성된다. 제42(a)도에서와 같이 제2하우징(34)이 제1하우징(33)과 걸어 맞춤 되지 않을 때에는 제3하우징(36)의 제1탄성 걸어 맞춤 레버(38)들이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제2하우징(34)의 제1돌기부와 걸어 맞춤된다. 한편, 제2하우징(34)이 제1하우징(33)과 걸어맞춤 될 때에는 제3하우징(36)의 제1탄성 걸어 맞춤 레버(38)가 제2하우징(34)의 제1돌기부(37)로부터 걸어 맞춤 해제되어, 제3하우징(36)이 제41(b)도의 수평방향으로 제2하우징(34)내에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다. 제3하우징(36)을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2하우징(34)과 배면측 하우징 (641)사이에 간격(SP)이 형성된다.
제3하우징(36)의 제2돌기부(39)는, 제2하우징(34)이 제1하우징(33)에 접속될 때에 제1하우징(33)의 제2탄성 걸어 맞춤 레버(40)의 측면돌기(40a)에 걸어맞춤된다. 제2하우징(34)이 제1하우징(33)과 순조롭게 걸어 맞춤되거나 또는 걸어 맞춤 해제되기 위해서 제2해제부재(32)가 제2하우징(34)에 형성된다.
제3하우징(36)내에는 제42(a)도에서와 같이 그 사이에 페룰(204)를 갖는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잭)(35)를 지지하는 간막이벽(642)과, 그 사이에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를 체결시키는 갈고리 부분(358b)(제24도에 도시됨)을 갖는 각각의 탄성 아암(357B)이 마련된다. 또한, 제2하우징(34)은 2개의 경사면(42a, 42c)과 편평한 면(42b)을 갖는 제2해제 부재(42)가 형성된다.
제3하우징(36)내에서,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는 제2탄성 아암(357B)에 의하여 걸어 맞춤된다. 제3하우징(36)은 제3하우징(36)의 제1탄성 걸어 맞춤 레버 (38)와 제2하우징(34)의 제1돌기부(37) 사이의 걸어 맞춤에 의하여 제2하우징(34)과 걸어 맞춤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코넥타(30)는 패키지 보드(1)에 나사(55)로 고정된다. 제1하우징(33)내에서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는 탄성 아암(357A)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의 전방에는 전방 하우징(슬리이브 호울더) (522)이 지지되며, 정렬 슬리이브(504)는 후방 하우징(522)에 삽입되어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의 페룰(201)을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의 페룰(204)과 정렬시킨다.
제1하우징(33)의 전방 단부에서, 제2코넥타(31)가 제1코넥타(30)에 접속될때에 제1해제부재(41)의 제1경사면(41a)이 제3하우징(36)의 제1탄성 걸어 맞춤 레버(38)와 제2하우징(34)의 제1돌기부(37)의 걸어 맞춤을 해제시키도록 형성된다.
제2코넥타(31)의 제2하우징(34)에는 2개의 경사면(41a) 및 (42c)과 편평한 면(42b)을 갖는 각각의 제2해제부재(42)가 형성되며, 제3하우징(36)에는 제2돌기부 (39)가 형성된다.
한편, 제1코넥타(30)의 제1하우징(33)내에는 측면돌기(40a)와 2개의 측면돌기(40b)를 갖는 각각의 제2탄성 걸어 맞춤 레버(40)가 형성되어, 제2코넥타(31)가 제1코넥타(30)에 접속된 때에 2개의 측면돌기(40b)가 경사면(41b)과 접촉되어 제3하우징(36)의 제2돌기(39)와 걸어 맞춤 되도록 한다.
또한, 제1하우징(33)은 삽입 안내코너부(633)가 형성되고, 제2하우징(34)에는 그 끝단에 이와 유사한 삽입 안내코너부(643)가 형성되어 각각 2개의 코넥타 하우징이서로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코넥타의 걸어 맞춤 및 걸어 맞춤 해제작동은 하기와 같다 :
걸어맞춤
(1) 제2하우징(34) 및 제3하우징(36)이 제1하우징(33)으로 정렬되고 ;
(2) 제1하우징(33)의 제2탄성 걸어 맞춤 레버(40)의 측면돌기(40b)는 제2탄성 걸어 맞춤 레버(40)를 변형시키도록 제2하우징(34)의 제2해제 부재(42)의 경사면(42c)과 접촉되며 ;
(3)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의 페룰(204)이 정렬 슬리이브(504)에 정렬되고 ;
(4)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의 페룰(204)은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의 페룰(201)과 접속되며 ;
(5) 제1하우징(33)의 제2탄성 걸어 맞춤 레버(40)가 제3하우징(36)의 제2돌기(39)와 걸어 맞춤 되고 ;
(6) 제2하우징(34)의 제1돌기(37)의 제3하우징(36)의 제1탄성 걸어 맞춤 레버(38) 사이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며 ;
(7) 제3하우징(36)은 제2하우징(34)내에서 미끄럼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1하우징(33)과 접속되므로, 제1코넥타(30)와 제2코넥타(31) 사이의 결합을 완료시키게 된다.
걸어맞춤 해제
(1) 제1하우징(33) 및 제3하우징(36)은 제2하우징(34)내에서 함께 미끄럼 이동되고 ;
(2) 제3하우징(36)의 제1탄성 걸어 맞춤 레버(38)는 제2하우징(34)의 제1돌기부(37)와 걸어 맞춤되며 ;
(3) 제1하우징(33)의 제2탄성 걸어 맞춤 레버(40)의 측면돌기(40b)는 제2하우징(34)의 제2해제부재(42)의 경사면(42a)에 접촉되어, 제2탄성 걸어 맞춤 레버 (40)가 제3하우징(36)의 제2돌기부(39)로부터 걸어 맞춤 해제되도록 하며 ;
(4)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의 페룰(204)은 제1광코넥타 엘레멘트(32)의 페룰(201)로부터 분리 이동되고,
(5) 제2광코넥타 엘레멘트(35)의 페룰(204)은 정렬 슬리이브(504)로 부터 분리되며 ;
(6) 제2탄성 걸어 맞춤 레버(40)의 측면돌기(40b)는 제2하우징(34)의 제2해제부재(42)의 경사면(42c)으로부터 분리이동되고 ;
(7) 제2하우징 및 제3하우징(36)은 제1하우징(33)으로부터 함께 분리되어, 제1코넥타(30)와 제2코넥타(31) 사이의 결합해제를 완료시킨다.

Claims (31)

  1. 적어도 하나의 제1광플러그 또는 잭을 지지하는 제1하우징(33)과 ; 상기 제1하우징에 접속된 제2하우징(34)과 ; 상기 제1광잭 또는 플러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광페룰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하우징(34)의 내부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1하우징(33)에 접속된 제3하우징(36)과 ;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3하우징을 상기 제2하우징과 걸어맞춤 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하우징과 제3하우징 사이에 마련된 제1걸어맞춤수단(37, 38)과 ; 상기 제1하우징이 상기 제2 및 제3하우징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3하우징을 상기 제1하우징과 걸어맞춤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하우징과 제3하우징 사이에 마련된 제2걸어맞춤수단(39, 40)과 ;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2걸어맞춤수단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에 걸어 맞춤되는 경우, 상기 제1걸어맞춤수단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하우징에 마련된 제1해제수단(41)과 ;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3하우징에 접속되고 상기 제1하우징이 상기 제2 및 제3하우징으로부터 접속해제될때 상기 제2걸어맞춤수단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2하우징에 마련된 제2해제수단(42)으로 이루어지는 광코넥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어맞춤수단은, 상기 제2하우징에 형성된 제1돌기 (37) 및 상기 제3하우징에 형성된 제1탄성 걸어 맞춤 레버(38)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해제수단은 플러그 및 잭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탄성 레버를 변형시키는 해제부재(41)를 포함하고 있는 광코넥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어맞춤수단은, 상기 제3하우징에 형성된 제2돌기부(39) 및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된 제2탄성 걸어 맞춤 레버(40)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해제수단은 플러그 및 잭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2탄성 레버를 변형시키는 해제부재(42)를 포함하는 광코넥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37)에는 제1돌기 걸어맞춤면(37b) 및 제1돌기 경사면(37a)이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 걸어 맞춤 레버(38)에는 상기 제1돌기 걸어맞춤면(37b)과 걸어맞춤 가능한 제1갈고리부분(38a) 및 제1레버 측면돌기(38a)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해제부재(41)에는 상기 제1레버 갈고리부분(38a)과 걸어맞춤 가능한 제1해제부재 경사면(41a)을 형성하며 ;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1해제부재 경사면(41a)이 상기 제1탄성 걸어 맞춤 레버(38)를 변형시키는 상기 제1레버 갈고리부분(38a)과 접촉되어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2하우징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과 접속해제되며 ;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과 접속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돌기 경사면 (37a)이 상기 제1탄성 걸어맞춤 레버(38)를 변형시키는 상기 제1레버 측면돌기 (38b)와 접촉되어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2하우징과 접속되는 광코넥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 레버(40)에는 상기 제2돌기(39) 및 제2레버 측면돌기(40b)와 걸어맞춤 가능한 제2레버 측면돌기(40a)가 형성되며, 상기 제2해제부재(42)에는 제2해제부재 제1경사면(41c) 및 제2해제부재 제2경사면(42a)이 형성되며 ;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2탄성 레버를 변형시키는 상기 제2해제부재 제1경사면(42c)이 상기 레버측면돌기(40b)와 접촉되어,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에 접속되며 ;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과 접속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2해제부재 제2경사면(42a)이 상기 제2탄성 레버를 변형시키는 상기 제2레버측면돌기(40b)와 접촉되어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하우징과 접속해제되는 광코넥타.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상기 제1걸어맞춤수단(37, 38), 적어도 두개의 상기 제2걸어맞춤수단(39, 40), 적어도 두개의 상기가 제1해제수단(41) 및 적어도 두개의 상기 제2해제수단(42)이 직선으로 정렬된 다수의 광학 플러그 및 잭이 동시에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인 광코넥타의 코넥타 하우징 외측면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광코넥타.
  7. 제1항에 있어서, 다양한 광부품 및 전기부품이 부조립 유니트로서 탑재되는 백패널 또는 패키지보드(125)와 접촉하여 코넥타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플러그인 코넥타 하우징 플로트수단을 더 포함하는 광코넥타.
  8. 제7항에 있어서, 백패널(5)과 접촉하는 상기 코넥타 하우징에 마련된 플러그인 코넥타 하우징 플로트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로트수단은 광플러그(35)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백패널이 형성된 슬롯(691)과, 상기 슬롯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고 상기 코넥타 하우징에 고정된 축부재(55B)들과, 상기 축부재들과 배면측 하우징 사이에 팩패널이 헐겁게 삽입되도록 상기 축부재들의 끝단에 고정된 배면측 하우징과를 포함하는 광코넥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수단은, 광잭(124)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패키지보드에 끼워맞춤되고, 슬롯(133)이 형성된 슬롯부재(130)와 ; 상기 슬롯부재의 슬롯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며, 상기 코넥타 하우징에 고정된 축부재(127)와 ; 상기 축부재 및 너트부재 사이에 패키지보드가 헐겁게 삽입되도록 상기 축부재의 끝단에 고정된 너트부재(28)를 포함하는 광코넥타.
  10. 제1항에 있어서, 광코넥타에 끼워맞춤된 광코넥타 플러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넥타 플러그는, 대중공부(254)와 소중공부(252) 사이에 어깨개구부(253)를 형성하며, 상기 두부분 사이에는 돌기부를 형성하지 않은 플러그 하우징(202)과 ; 광섬유(204)에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대중공부(201b)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플랜지부(201b)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소중공부를 관통하는 끝단(201a)을 형성하는 플러그 페룰(201)과 ;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어깨개구부 (253)에 대해 상기 플러그 페룰의 플랜지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내에 수납된 스프링(203)을 포함하는 광코넥타.
  11. 제10항에 있어서, 짝을 이루는 잭페룰(201)은 내부에 플로트 분할 슬리이브 (205)를 가지는 슬리이브 호울더(206)를 통해 상기 플러그 하우징(202)의 소중공부 (252)에 끼워맞춤되어, 슬리이브 호울더(206)의 내단에 의해 상기 플러그 페룰의 플랜지부(201b)를 상기 스프링(203)에 대해 축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플러그 페룰과 잭페룰사이의 축방향 끼워맞춤 치수오차를 완화할 수 있는 광코넥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대중공부(254) 및 플러그 페룰의 플랜지부(201b)가 모두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광코넥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대중공부(254)와 상기 플러그 페룰의 플랜지부(201b)가 모두 모서리진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광코넥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하우징(352) 각각이 전방 안쪽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자유단에 측면돌기, 삽입 경사면 및 걸어맞춤면이 형성된 갈고리(358)를 가지는 탄성 레버아암(357)을 더 포함하며 ; 외측 걸어맞춤 돌기(360)를 가지고, 광섬유(361)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접속된 플러그 하우징(359)과 ; 걸어맞춤 경사면 및 해제 경사면이 형성된 외측 해제돌기(364)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 사이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노브블럭(362)을 포함하는 광코넥타.
  15. 제14항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359)이 상기 하우징(352)에 접속될 때에, 상기 노브블럭(362)의 외측 해제돌기(364)의 걸어맞춤 경사면은 상기 제1 또는 제3하우징(352)의 상기 내측 탄성 레버아암(357)의 상기 측면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내부 레버아암을 바깥쪽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외측 걸어맞춤 돌기(360)가 상기 내측 탄성아암(357)의 걸어맞춤면에 걸어맞춤 되도록 하고 ; 상기 플러그 하우징(359)이 상기 제1 또는 제3하우징(352)과 결합 해제될 때에, 외측 해제돌기 (364)의 해제 경사면은 상기 내측 탄성 레버아암(357)의 측면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내측 레버아암을 바깥쪽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내측 탄성아암이 상기 걸어맞춤 돌기(360)로부터 걸어맞춤 해제되도록 하는 광코넥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3하우징(416)에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홈(425)과 적어도 2개의 대향하는 하우징 돌기(424)가 형성되어 있고 ; 일측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돌기(419)과 그 대향 측면상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플러그 홈(418)이 형성되며 2개의 대향하는 하우징 돌기(424)와 걸어맞춤되고, 외형은 축중심 및 플러그 돌기의 중간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는 대칭이나 축중심에 대하여는 비대칭인 사각단면 형상을 갖는 광코넥타 플러그(411)를 더 포함하는 광코넥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타 하우징에 끼워맞춤된 후방 하우징(21)과 ; 상기 후방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걸어맞춤된 전방 하우징(22)과 ; 상기 전방 하우징에 고정되게 끼워맞춤되는 정렬 슬리이브(524)와 ; 광섬유 끝단에 접속되고 상기 정렬 슬리이브에 끼워맞춤되어 그 앞끝단이 상기 전, 후방 하우징 사이의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페룰(503)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또는 제3코넥타 하우징에 끼우맞춤된 광코넥타 잭(501)을 더 포함하는 광코넥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 후방 하우징은 나사를 개재하여 서로 분리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광코넥타.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 후방 하우징은 마찰을 통하여 서로 분리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광코넥타.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하우징(522)에는 상기 정렬 슬리이브를 그 내부에 고정되도록 위치시키는 소직경부(524)가 형성되는 광코넥타.
  21. 대중공부(254)와 소중공부(252) 사이에 어깨부(253)가 형성되고, 상기 두 부분사이에는 돌기가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플러그 하우징(202)과 ; 광섬유(204)에 접속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대중공부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플랜지부(201b)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소중공부를 관통하는 끝단부(201a)가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 페룰(201)과 ; 상기 플러그 페룰의 플랜지부를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어깨부(253)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내에 수납된 스프링 (203)으로 이루어진 광코넥타 플러그.
  22. 제21항에 있어서, 짝을 이루는 잭 페룰(201)은 스프링(203)에 대항하여 슬리이브 홀더(206)의 내부단부에 의해 플러그 페룰의 플랜지부(201b)를 축방향으로 종용함에 의해 플러그 페룰과 잭 페룰사이의 축방향 끼워맞춤 치수오차를 흡수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플로팅 슬릿 슬리이브(205)를 갖는 슬리이브 호울더(206)를 개재하여 플러그 하우징(202)의 소중공부(252)에 끼워맞춤되는 광코넥타 플러그.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대중공부(254) 및 상기 플러그 페룰의 플랜지부(201b)는 모두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광코넥타 플러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대중공부(254) 및 상기 플러그 페룰의 플랜지부(201b)는 모두 모서리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광코넥타 플러그.
  25. 안쪽으로 외측에서 내측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탄성 레버아암(324)이 마련되고, 그 자유단에 측면 돌기부(328) 삽입 경사면(329)이 형성된 갈고리 부분(325), 걸어맞춤면(326)을 갖는 어댑터 하우징(311)과 ; 광섬유(317)의 끝단에 접속되고 상기 광어댑터에 결합되며, 외측 걸어맞춤 돌기(318)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315)과 ; 상기 광어댑터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사이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걸어맞춤 경사면(319) 및 해제 경사면(320)이 형성된 외측 해제돌기 (321)를 갖는 노브블럭(316)으로 이루어지는 광코넥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315)이 상기 광어댑터(311)에 접속될 때에 상기 노브블럭(316)의 외측 해제돌기(321)는 상기 광어댑터(311)의 상기 내측 탄성 레버아암(324)의 상기 돌기부(328)와 접촉하여 상기 내측 레버아암을 외부쪽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외측 걸어맞춤돌기(318)가 상기 내측 탄성아암(324)의 걸어맞춤면(326)에 걸어맞춤시키며 ; 상기 광플러그 하우징(315)이 상기 광어댑터로부터 접속해제될 때에는 외측 해제돌기(321)의 해제 경사면(320)이 상기 내측 탄성 레버아암(324)의 측면돌기부(328)와 접촉되어 상기 내측 레버아암을 외부쪽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내측 탄성 아암(324)을 상기 걸어맞춤 돌기(318)로부터 걸어맞춤 해제시키는 광코넥타.
  27. 하우징 홈(425) 및 2개의 대향하는 하우징 돌기(424)가 형성된 어댑터 하우징과 ; 그 일측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돌기부(419)가 형성되어 하우징 홈(425)과 걸어맞춤되고, 2개의 대향하는 측면상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홈(418)이 형성되어 2개의 대향하는 하우징 돌기(424)와 걸어맞춤되고, 그 외형은 축중심 및 플러그 돌기의 중간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는 대칭이나 축중심에 대하여는 비대칭인 사각단면 형상을 갖는 광코넥타 플러그(411)로 이루어지는 광코넥타.
  28. 잭본체(502)와 ; 상기 잭본체(502)에 끼워진 후방 하우징(521)과 ; 상기 후방 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전방 하우징(522) ; 상기 전방 하우징에 고정되게 끼워진 정렬된 슬리이브(504)와 ; 광섬유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정렬된 슬리이브에 끼워져서 광섬유의 전방단부가 결합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페룰(503)로 이루어진 광잭.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하우징은 나사를 개재하여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게 되는 광잭.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하우징은 마찰을 통하여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광잭.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하우징(522)은 그 안에 정렬된 슬리이브를 고정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작은 직경부(524)가 형성되어 있는 광잭.
KR1019900019165A 1989-11-24 1990-11-24 광코넥타 KR940000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1-303185 1989-11-24
JP1303185A JP2771869B2 (ja) 1989-11-24 1989-11-24 プラグインコネクタのフロート構造
JP1310680A JP2771870B2 (ja) 1989-12-01 1989-12-01 光コネクタ
JPP1-310680 1989-12-01
JPP2-49546 1990-03-02
JP4954690A JP2504852B2 (ja) 1990-03-02 1990-03-02 光コネクタプラグ
JPP2-97774 1990-04-16
JP9777490A JP2514738B2 (ja) 1990-04-16 1990-04-16 光コネクタの位置決め構造
JP8641690U JP2502089Y2 (ja) 1990-08-20 1990-08-20 光コネクタジャック
JPP2-217166 1990-08-20
JP21716690 1990-08-20
JPU2-86416 1990-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836B1 true KR940000836B1 (ko) 1994-02-02

Family

ID=2755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9165A KR940000836B1 (ko) 1989-11-24 1990-11-24 광코넥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5121454A (ko)
EP (5) EP0660144B1 (ko)
KR (1) KR940000836B1 (ko)
AU (1) AU623043B2 (ko)
CA (1) CA2030897C (ko)
DE (5) DE69033276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3697B2 (en) * 2016-02-01 2022-11-08 Molex, Llc Optical fiber adap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7501A (en) * 1989-11-24 1996-07-1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Optical connector
US5121454A (en) * 1989-11-24 1992-06-09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Optical connector
US5239606A (en) * 1990-11-19 1993-08-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Optical connector comprising an optical connection adapter with means for connection/disconnection of an optical contact
GB9106183D0 (en) * 1991-03-22 1991-05-08 Bicc Plc Optical guide connection
US5274729A (en) * 1992-07-30 1993-12-28 At&T Bell Laboratories Universal optical fiber buildout system
US5418875A (en) * 1992-09-04 1995-05-23 Honda Tsushin Kogyo Co., Ltd. Adapter for optical connector having float-type sleeve holder and panel fitting for mounting the same
US5325455A (en) * 1992-10-21 1994-06-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ber optic edge card connector
DE69430876T2 (de) * 1993-03-31 2002-12-1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Optisches Faserarray und Methode zu seiner Herstellung
US5276750A (en) * 1993-04-02 1994-01-04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s having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compliance about the leading edge
GB9307488D0 (en) * 1993-04-08 1993-06-02 Amp Holland Optical fibre connector latching mechanism
US5333222A (en) * 1993-05-14 1994-07-26 Molex Incorporated Adapter for interconnecting optical fiber connectors or the like
US5386487A (en) * 1993-09-27 1995-01-31 The Whitaker Corporation Apparatus for maintaining plug assemblies of optical fiber connectors in a side by side relation with float therebetween
US5394498A (en) * 1993-11-05 1995-02-28 At&T Corp. Optical fiber array and process of manufacture
US5481634A (en) * 1994-06-24 1996-01-02 At&T Corp. Connector for optical fiber
EP0713111A1 (en) * 1994-11-15 1996-05-22 The Whitaker Corporation Sealed multiposition fiber optic connector
JPH08234056A (ja) * 1995-02-28 1996-09-13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
US5613025A (en) * 1995-07-13 1997-03-18 Grois; Igor Adapter assembly for fiber optic connectors
US5579425A (en) * 1995-08-30 1996-11-26 Lucent Technologies Inc. Anti-snag duplex connector
US5608828A (en) * 1995-09-12 1997-03-04 Itt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or apparatus
DE19539549C1 (de) * 1995-10-12 1996-12-05 Siemens Ag Optischer Steckverbinder
CH689702A5 (de) * 1995-11-17 1999-08-31 Diamond Sa Kupplungsteil für eine Lichtwellenleiter-Steckverbindung und Lichtwellenleiter-Steckverbindung mit einem solchen Kupplungsteil.
US5619604A (en) * 1996-02-26 1997-04-08 Alcoa Fujikura Limited Multi-fiber optical connector
EP0805366A1 (de) * 1996-05-02 1997-11-05 Harting KGaA Steckverbindung
US5790733A (en) * 1996-06-07 1998-08-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ouring Company Optoelectronic device recepta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815618A (en) * 1996-06-07 1998-09-29 Molex Incorporated Adaptor for interconnecting optical fibers
DE19626036A1 (de) * 1996-06-28 1998-01-02 Whitaker Corp Optischer Steckverbinder
KR19980016218A (ko) * 1996-08-27 1998-05-25 양승택 다심 광커넥터
US6116788A (en) * 1996-10-11 2000-09-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Optical plug connector
US5828804A (en) * 1996-10-15 1998-10-27 Panduit Corp. Fiber optic connector system
JP3307846B2 (ja) * 1997-01-24 2002-07-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3535952B2 (ja) * 1997-05-08 2004-06-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パネルコネクタ
CA2330965A1 (en) 1998-05-01 1999-11-11 Alan C. Lesesky Modular connector
FR2781061B1 (fr) * 1998-07-10 2000-09-15 Framatome Connectors France Connecteur optique a nettoyage aise
DE19845854C2 (de) * 1998-10-05 2000-11-02 Framatome Connectors Int Lichtwellenleiter-Steckverbinder für eine mechanischlösbare Verbindung zwischen-mindestens einem LWL-Steckerpaar-mindestens einem LWL-Stecker und einer Leiterplatte
US6076975A (en) * 1998-10-15 2000-06-20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US6240229B1 (en) 1998-12-21 2001-05-29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US6454464B1 (en) 1998-12-28 2002-09-24 Computer Crafts, Inc. Fiber optic connectors and transceiver test devices
US6464408B1 (en) 1998-12-28 2002-10-15 Computer Crafts, Inc. Fiber optic connectors
WO2000048030A1 (de) * 1999-02-12 2000-08-17 Huber & Suhner Ag Optischer steckverbinder
JP2000241670A (ja) * 1999-02-19 2000-09-08 Hirose Electric Co Ltd 誤挿入防止突起を備えた光コネクタ
FR2799888B1 (fr) * 1999-10-14 2001-12-21 Fci France Systeme de connecteurs mixtes optique/electrique et procede d'assemblage d'un tel systeme
JP2001147346A (ja) * 1999-11-19 2001-05-29 Yazaki Corp 雌コネクタ
EP1102099A3 (en) * 1999-11-19 2002-10-02 Yazaki Corporation Hybrid connector
US6715931B1 (en) 1999-12-07 2004-04-06 Wenzong Chen Self-contained fiber optic connector module
US6406192B1 (en) 1999-12-07 2002-06-18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floating mount
US6371657B1 (en) 1999-12-07 2002-04-16 Molex Incorporated Alignment system for mating connectors
US6361218B1 (en) 1999-12-07 2002-03-26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module
US6331079B1 (en) * 1999-12-07 2001-12-18 Molex Incorporated Mounting system for a connector assembly to a substrate
DE10001680C1 (de) 2000-01-12 2001-08-23 Infineon Technologies Ag Mehrkanalige optische Koppelanordnung
CN1187632C (zh) * 2000-02-11 2005-02-02 胡贝尔和茹纳股份公司 用于光插塞连接器的接头和具有这种接头的光插塞连接器
JP2001319731A (ja) * 2000-02-28 2001-11-16 Sony Corp 接続装置、接続プラグ、接続ジャック
US6364536B1 (en) * 2000-03-30 2002-04-02 Wenzong Chen Floating connector assembly
US6357930B1 (en) 2000-04-07 2002-03-19 Panduit Corp. Reversible connector sleeve with a breakway tab
KR20020067928A (ko) * 2000-11-10 2002-08-2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접속장치
GB2371374A (en) * 2001-01-18 2002-07-24 Mao-Hsiang Chen Optical fibre plug connector with opposing holes for elastic inserts
JP3786581B2 (ja) * 2001-03-02 2006-06-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コネクタ部品
DE10140153B4 (de) 2001-08-16 2004-05-06 Agilent Technologies, Inc. (n.d.Ges.d.Staates Delaware), Palo Alto Steckverbindung zum gleichzeitigen Verbinden mehrerer Koaxialkabel
US6769814B2 (en) 2001-08-31 2004-08-03 Teradyne, Inc. Waferized fiber optic connector
US7073953B2 (en) * 2001-08-31 2006-07-11 Amphenol Corporation Modular fiber optic connection system
JP3921063B2 (ja) * 2001-09-17 2007-05-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US6776533B2 (en) * 2002-02-19 2004-08-1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Latching fiber optic connector system
AU2003252823A1 (en) * 2002-03-14 2003-09-22 Huber + Suhner Ag Fibre-optic plug-in connector system
US6839935B2 (en) * 2002-05-29 2005-01-11 Teradyn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leaning optical connectors
US6762941B2 (en) 2002-07-15 2004-07-13 Teradyne, Inc. Techniques for connecting a set of connecting elements using an improved latching apparatus
US6832858B2 (en) * 2002-09-13 2004-12-21 Teradyne, Inc. Techniques for forming fiber optic connections in a modularized manner
US7204016B2 (en) * 2002-12-20 2007-04-17 Amphenol Corporation Ferrule assembly and methods therefor
US7042562B2 (en) * 2002-12-26 2006-05-09 Amphenol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inspecting an optical interface
JP3800606B2 (ja) * 2002-12-27 2006-07-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アダプタ
US6935789B2 (en) * 2003-03-11 2005-08-3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iber optic connector with long terminus movement and moderate length
US7210857B2 (en) * 2003-07-16 2007-05-01 Finisar Corporation Optical coupling system
NL1025381C2 (nl) * 2004-02-02 2005-08-03 Framatome Connectors Int Optisch connectorsysteem.
NL1025379C2 (nl) * 2004-02-02 2005-08-03 Framatome Connectors Int Optisch connectorsysteem.
US7331717B2 (en) * 2004-07-01 2008-02-19 Amphenol Corporation Flexible optical interconnection system
JP2006158859A (ja) 2004-12-10 2006-06-22 Olympus Corp 内視鏡及び内視鏡システム
US7658548B2 (en) 2004-12-15 2010-02-09 A.R.C. Laser Gmbh Coupling device for a light guide
DE102005000925A1 (de) * 2005-01-07 2006-07-20 Infineon Technologies Fiber Optics Gmbh Bauteil und Verfahren zur exzentrischen Ausrichtung eines ersten und eines zweiten Stifts, die jeweils eine Lichtleitfaser zentrisch enthalten, sowie Modulvorsatz und Steckerkopplung mit meinem solchen Bauteil
US8167638B2 (en) 2007-06-12 2012-05-01 Panduit Corp. Multi-position quick release plug cassette assembly
US11294136B2 (en) 2008-08-29 2022-04-0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High density and bandwidth fiber optic apparatuses and related equipment and methods
JP5311570B2 (ja) * 2009-05-26 2013-10-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装置及び相手側光コネクタ装置
WO2010148336A1 (en) * 2009-06-19 2010-12-23 Corning Cable Systems Llc High density and bandwidth fiber optic apparatuses and related equipment and methods
US8491199B1 (en) 2010-07-21 2013-07-23 Carlisle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Fiber optic contacts and connectors
US8672559B2 (en) 2011-01-31 2014-03-1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Thin connector assembly that has optical and electrical capabilities and that includes a plug having an optical surface that can be easily wiped clean
CN102081204B (zh) * 2011-03-11 2012-04-04 洪健 预埋式光纤现场连接器
CN102335901B (zh) * 2011-09-28 2013-06-12 河南省通信电缆有限公司 光纤活动连接器旋装机
US9122020B2 (en) * 2012-06-06 2015-09-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lidable connector
JP5890273B2 (ja) * 2012-07-27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及び光コネクタ接続体
US9146374B2 (en) * 2012-09-28 2015-09-29 Adc Telecommunications, Inc. Rapid deployment packaging for optical fiber
JP6244173B2 (ja) * 2012-11-09 2017-12-0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ES2768452T3 (es) * 2013-03-12 2020-06-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Módulo, sistema y método óptico de guiado de ondas
US9857538B2 (en) 2013-03-15 2018-01-02 Us Conec, Ltd. Alignment adapter and alignment design for a connector therefor
CN105814469B (zh) * 2013-12-09 2018-12-25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光纤连接器
JP6381647B2 (ja) * 2013-12-09 2018-08-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光ファイバコネクタ妥当性確認
JP5702884B1 (ja) * 2014-03-10 2015-04-15 株式会社精工技研 光コネクタプラグ
JP6318008B2 (ja) * 2014-05-30 2018-04-2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CN104124570B (zh) * 2014-08-11 2017-12-22 深圳市众恒世讯科技股份有限公司 集束电缆连接插座、插头及集束电缆测试工装
EP2991362A1 (en) * 2014-08-29 2016-03-02 Xieon Networks S.à r.l. A connector panel for plug-in units of a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associated shelf
CN104991311B (zh) * 2014-09-06 2017-02-01 泰兴市航联电连接器有限公司 一种中性光纤连接器
CN104977659B (zh) * 2014-09-06 2017-02-01 泰兴市航联电连接器有限公司 一种中性光纤终端接触件及中性光纤连接器
US9455522B1 (en) * 2015-03-23 2016-09-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sealing electrical connector
US10042125B2 (en) 2015-07-06 2018-08-07 Xyratex Technology Limited Optical connectors
US9645323B2 (en) * 2015-08-27 2017-05-09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Micro hybrid LC duplex adapter
JP7084315B2 (ja) * 2016-04-01 2022-06-14 アイピージー フォト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コネクタ
FR3050286A1 (fr) * 2016-04-14 2017-10-20 Interlemo Holding Sa Element contacteur pour connecteur optique a ferule
CN109599721B (zh) * 2017-09-29 2020-08-1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电混装分离脱落连接器
JP6546978B2 (ja) * 2017-11-29 2019-07-1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接続方法
US11054589B2 (en) * 2017-12-28 2021-07-06 Fujikura Ltd.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optical connector
CN109830839A (zh) * 2019-01-23 2019-05-31 武汉华仪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快速插拔式中间转换连接器
CN114746147A (zh) 2019-10-29 2022-07-12 Ipg光子公司 光纤线缆连接器
CN111708127B (zh) * 2020-06-29 2022-01-11 武汉光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适配器组件和光纤连接装置
CN114063218B (zh) * 2020-07-31 2023-0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光纤插芯及通信设备
US11199669B1 (en) * 2020-09-24 2021-12-1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Modular faceplate optical sub-assembly
CN112327026B (zh) * 2020-10-31 2022-09-23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双绕组双计量高压组合式计量箱
CN112670750B (zh) * 2020-12-14 2022-03-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电集成链路及其实现装置
CN112636083B (zh) * 2020-12-14 2022-03-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差分、射频、光复合板用集成化连接器及插座
CN115407461A (zh) * 2021-02-26 2022-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光电适配器及通信系统
DE102021111447B3 (de) * 2021-05-04 2022-10-06 Md Elektronik Gmbh Verbindungssystem zum verbinden von signalleitern
DE102021111848A1 (de) * 2021-05-06 2022-11-10 Odu Gmbh & Co. Kg Steckervorrichtung, Steckverbinder und Anschlusskabel
CN113960726B (zh) * 2021-12-21 2022-05-17 南京信远光电有限公司 一种lc型光纤连接器
CN117395923B (zh) * 2023-12-07 2024-03-05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电子设备封装用壳体模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03929A1 (de) * 1982-02-05 1983-08-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Loesbare kupplung fuer lichtleiter
FR2531544B1 (fr) * 1982-08-04 1985-01-25 Cit Alcatel Tete de cable optique
JPS59148287A (ja) * 1983-02-14 1984-08-24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
US4611887A (en) * 1983-02-24 1986-09-16 Amp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and wall outlet thereof
US4541685A (en) * 1983-03-07 1985-09-17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connector sleeve
JPS6011307U (ja) * 1983-07-04 1985-01-2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光フアイバコネクタ
US4850670A (en) * 1983-08-29 1989-07-25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connector comprising drawn glass tubes
AU577099B2 (en) * 1984-03-19 1988-09-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ceptacle, plug and optical connector
US5157749A (en) * 1984-06-08 1992-10-20 Amp Incorporated High precision optical fiber connectors
DE3587537T2 (de) * 1984-06-08 1994-03-03 Whitaker Corp Zugentlastung für faseroptischen Stecker.
JPS61109189A (ja) * 1984-10-31 1986-05-27 神鋼電機株式会社 引出しロツク機構
CA1269265A (en) * 1984-11-13 1990-05-22 Roger H. Ellis Optical fiber contact
JPS61213811A (ja) * 1985-03-19 1986-09-22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
JPS61285409A (ja) * 1985-06-13 1986-12-1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
US4735480A (en) * 1985-11-20 1988-04-05 Raychem Corp. Optical fiber connector
JPH077139B2 (ja) * 1985-12-24 1995-01-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浮動ホルダ型光コネクタ
JP2567390B2 (ja) * 1987-03-27 1996-12-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コネクタ
DE68922515T2 (de) * 1988-02-26 1995-09-21 Nippon Telegraph & Telephone Steckbarer Verbinder.
KR940010425B1 (ko) * 1988-04-25 1994-10-22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이동형 시라우드 보호수단을 갖는 코넥터 어셈블리
US5016970A (en) * 1989-08-22 1991-05-21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 Ferrule for optical fiber transmit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optical fiber connector using this ferrule
US5121454A (en) * 1989-11-24 1992-06-09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Optical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3697B2 (en) * 2016-02-01 2022-11-08 Molex, Llc Optical fiber ada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33276D1 (de) 1999-10-07
CA2030897C (en) 2002-05-07
DE69033738T2 (de) 2001-09-06
EP0430107B1 (en) 1996-04-10
EP0660145B1 (en) 1999-09-01
DE69033767T2 (de) 2002-04-18
EP0663601A1 (en) 1995-07-19
EP0663601B1 (en) 2001-07-25
DE69033767D1 (de) 2001-08-30
DE69033277D1 (de) 1999-10-07
EP0660145A1 (en) 1995-06-28
DE69026472D1 (de) 1996-05-15
EP0430107A3 (en) 1992-09-23
EP0660144A1 (en) 1995-06-28
AU6698790A (en) 1991-07-25
EP0660144B1 (en) 1999-09-01
DE69033738D1 (de) 2001-06-28
CA2030897A1 (en) 1991-05-25
DE69033276T2 (de) 1999-12-30
EP0663602B1 (en) 2001-05-23
DE69026472T2 (de) 1996-10-17
EP0663602A1 (en) 1995-07-19
DE69033277T2 (de) 1999-12-30
EP0430107A2 (en) 1991-06-05
US5121454A (en) 1992-06-09
AU623043B2 (en) 1992-04-30
US5404416A (en) 1995-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836B1 (ko) 광코넥타
US5673346A (en) Optical jack for plug-jack optical connector
US5537501A (en) Optical connector
US5528711A (en) Opt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optical plugs to a connector housing
US6530696B1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upling structure
EP1486808B1 (en) Receptacle for optical fibre connection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2771870B2 (ja) 光コネクタ
US20030156796A1 (en) Connector housing for fiber-optic module
EP1148366B1 (en) Eccentricity adjustable optical fiber connector
EP0156397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KR100325563B1 (ko) 커넥터 플러그
US5151961A (en) Ferrule alignment assembly for blind mating optical fiber connector
US5796896A (en) Multi-ferrule fiber optic connector for high density backplane applications
KR20000029058A (ko) 광 섬유 커넥터 조립체
KR20040015285A (ko) 모듈이 장착된 얼라인먼트 광 커넥터
EP0938006A1 (en) Structures for optical semiconductor module, optical connector, and shape adapting optical connector
GB2325309A (en) Optical backplane connector with floating housing
US20120141070A1 (en)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structure on a bracket for mounting connectors
CN216214454U (zh) 连接器、适配器及连接器组合
US6435728B2 (en) Optical connector housing, optical connector using the optical connector housing,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n opt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optical connector housing and an optical component
AU648222B2 (en) Optical connector
CA2354171C (en) Optical connector
CN220626715U (zh) 一种光纤连接头、光纤连接插头及光纤连接组件
JPH10319274A (ja) 光コネクタ及び光モジュール
JPS61147209A (ja) 光コネクタを有するパツケ−ジの結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