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928A -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접속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67928A KR20020067928A KR1020027008755A KR20027008755A KR20020067928A KR 20020067928 A KR20020067928 A KR 20020067928A KR 1020027008755 A KR1020027008755 A KR 1020027008755A KR 20027008755 A KR20027008755 A KR 20027008755A KR 20020067928 A KR20020067928 A KR 200200679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lock member
- receptacle
- lock
- connector plu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된 커넥터플러그(3)를 갖춘 플러그부(P)와 이 플러그부(P)가 삽입되는 리셉터클부(R)를 갖춘 접속장치이고, 커넥터플러그(3)의 외주면에 케이블(2)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손잡이부(12)가 부착된 록해제부재(4)로 이루는 플러그부(P)와, 플러그부(P)가 삽탈가능하게 되는 리셉터클부(R)를 갖추고, 리셉터클부(R)내에 수용되고, 커넥터플러그(3)와 결합하여 플러그부(P)의 빼기를 록하는 록부재(5)를 록해제부재(4)의 외주면에 설치된 캠부(40)(41)를 거쳐서 록해제부재(4)의 케이블(2)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어하고, 리셉터클부(R)에 삽입된 커넥터플러그(3)를 록하고 또는 록을 해제한다.
Description
종래 복수의 전자기기 사이를 신호 수수(授受, 주고받음)를 가능한 상태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전용의 신호케이블이 이용되고, 신호케이블과 전자기기와의 사이의 접속에는 커넥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접속장치는 예를 들면 통상 신호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플러그 또는 잭을 기기측에 설치되어 있는 잭 또는 플러그에 끼우는 것으로, 신호케이블과 전자기기간의 접속을 행한다.
또 근년 각종 전자기기의 접속에 이용되는 신호케이블은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는 전기신호케이블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빛을 이용하여 정보전송을 행하는 광신호케이블 등도 이용되고 있다.
빛을 이용하여 전자기기 사이에서 정보전송을 행하는 기기로서, 유럽특허출원공개 043107A2에 기재된 것이 있다. 또 접속플러그와 접속잭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 간단하게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접속장치로서, 미국특허명세서 제 4,540,236호로 기재된 것이 있다.
여기서 광신호케이블을 이용해서 전자기기 사이에서 정보전송을 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접속장치의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이 접속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105)측에 잭(103)이 설치되고, 이 잭(103)에 삽입 결합되는 플러그(102)가 광케이블(104)의 양단에 부착되어 있다.
플러그(102)가 잭(103)의 받아들이는 구멍에 삽입되면, 플러그(102)중심에 설치된 광케이블(104)의 심선(106)이 전자기기(105)내에 설치된 광학소자(100)와 대향한다. 전자기기(105)내에 설치된 잭은 리셉터클(수용부)로 호칭된다.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구조를 모식적인 단면도로서 나타낸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결합상태를 설명한다.
도 2a에 나타내는 플러그(102)는 복수의 전자기기(105)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케이블인 광케이블(104)의 선단에 부착되고, 광파이버의 심선(106)을 중심축심에 유지한 거의 원통형의 플러그본체(111)와, 플러그본체(111)의 외주측에 플러그본체(111)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록해제부재(121)를 갖춘다. 이들 플러그본체(111)와 록해제부재(121)는 플러그본체(111)의 외주면에 돌설한 링크형의 계지편(114)이 공극부(122)내에 있고, 이 공극부(122)내의 공간의 범위에서 플러그(102)의 축방향으로 상호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기측에 설치된 잭(103)은 중심부에 플러그본체(111)의 선단부에 형성한 테이퍼부(111a)에 적합한 테이퍼공(136)을 천공하고, 삽입된 플러그(102)의 중심에 설치된 심선(106)과 기기내에 설치된 광학소자(100)가 일정의 위치를 유지하고, 일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잭(103)의 내부에는 잭(103)에 삽입된 플러그(102)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록부재(131)가 수납되어 있다. 록부재(131)는 지점부(135)를 거쳐서 잭(103)내에 지지되고, 지점부(135)를 중심으로 하여 플러그(102)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록부재(131)는 중앙부에 압압조작자(134)가 돌설되고, 도 2a 및 도 2b중 우단에 잭(103)에 삽입되는 플러그(102)측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플러그계지편(1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의 플러그(102)는 플러그본체(111)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록해제부재(121)를 손으로 잡아서 잭(103)에 삽입되므로 잭(103)의 도중까지 삽입한 상태에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해제부재(121)가 그 내부에 돌출한 당접편(127)을 플러그본체(111)측의 계지편(114)에 당접시킨상태에 있다. 즉, 록해제부재(121)는 플러그본체(1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도 2b중 우편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플러그(102)가 또한 잭(103)내에 삽입되어 플러그본체(111)의 선단에 형성한 테이퍼부(111a)가 잭(103)의 중심에 설치한 테이퍼공(136)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심선(106)과 기기내에 설치된 광학소자(100)와의 중심이 일치하는 상태로 되어서 플러그(102)의 잭(103)으로의 삽입이 완료한다.
잭(103)측에 설치한 록부재(131)는 플러그(102)의 삽입에 의해 압압조작자(134)가 록해제부재(121)에 의해 압압조작되고,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점부(135)를 중심으로 하여 선단측의 플러그계지편(133)이 삽입되는 플러그본체(111)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플러그(102)가 또한 잭(103)내에 삽입되고, 잭(103)에 완전히 삽입되면, 록부재(131)는 삽입되는 플러그(102)측에 회동복귀하고, 플러그계지편(138)을 플러그본체(111)의 선단부에 형성한 결합홈(124)에 결합시키고, 압압조작자(134)를 플러그본체(111)의 중도부에 형성한 캠홈(123)에 결합시킨다.
플러그계지편(133)은 결합홈(124)에 결합함으로써 플러그본체(111)를 협지하고, 플러그본체(111)의 잭(103)에 대한 삽입위치를 유지하고, 외부에서 광케이블(104)에 장력이 인가된 때의 플러그(102)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도모한다.
다음에 플러그(102)를 잭(103)에서 빼고자 할 때에는, 록해제부재(121)를 광케이블(104)의 축방향에 따라서 도 2a 및 도 2b중 좌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록해제부재(121)가 도 2a 및 도 2b 중 좌방향으로 이동하면, 록부재(131)의 중도부에 설치한 압압조작자(134)가 캠홈(123)에 가이드 되어서 록해제부재(121)의 외주면측으로 이동하고, 록부재(131)는 지점부(135)를 중심으로서 플러그계지편(133)을 플러그본체(111)에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플러그본체(111)에 대한 록을 해제한다.
플러그(102)와 잭(103)의 결합부는 광케이블(104)측의 심선(106)과 기기내부의 광학소자(100)의 광학적인 접속부분으로 되고, 플러그(102)의 삽입에 의해 플러그(102)측의 광케이블(104)의 심선(106)은 기기측의 광학소자(100)와 대향한다. 접속부의 전달손실을 적게 하는데는 광케이블(104)과 광학소자(100)의 축심을 고정밀도로 일치시키고 광학소자(100)와 광케이블(104)의 선단단면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록부재(131)의 플러그계지편(133)에 의한 플러그본체(111)의 결합유지의 구성은 플러그(102)와 잭(103)과의 접속후의 광케이블(104)의 단면의 이동을 방지하고, 광케이블(104)의 전달특성을 최량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갖추는 것이다.
여기서 록부재(131)의 지점부(135)의 위치는 구조적으로 잭(103)의 축심인 광학소자(100)의 중심에서 어느 정도 떨어지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상태를 개략 도면으로서 나타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점부(135)를 회전중심으로서 록부재(131)가 회전하기 때문에 플러그계지편(133)은 도 3중 화살표(X)에서 나타내는 궤적에 따라서 운동한다. 플러그계지편(133)의 선단부는 플러그본체(11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완만한 원호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플러그(102)와 잭(103)의 접합부인 테이퍼부분에 어느 정도의 느슨함이 발생하기 쉽고, 외부로부터의 장력의 변화에 의해 광학소자(100)와 광케이블(104)과의 간격의 변동이나 축심의 엇갈림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광케이블에 큰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플러그(102)가 잭(103)에서 탈락하는 것도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측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는, 전자기기의 체재라는 관점에서 사용자로부터 보아 어려운 위치, 예를 들면 기기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많다. 이 때문에 커넥터를 뺏다 끼웠다 하는 것은 간단하게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뺏다 끼웠다 하는 동작에 가해서 고정하기 위한 동작을 부가하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환영되는 것은 없다.
한편 정보기기의 보급에 수반하여 복수의 전자기기가 광케이블 등의 신호케이블에 의해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기기끼리의 접속에는 다수의 신호케이블이 이용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들 다수의 신호케이블의 내 일체의 신호케이블이 어느 요인에 의해 분리된 때는 그 신호케이블의 탐색이 곤란하게 되고 있다. 이 때문에 플러그와 잭에 의한 접속부는 신호케이블에 어느 정도 장력이 가해져도 분리되지 않는 구조인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접속장치는 광케이블의 단면의 잭측의 광학소자에 대한 축심방향의 거리도 변동하기 쉽고, 신호전달특성의 변동도 무시할 수 없는 특성상의 문제도 생기고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와 신호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플러그와 접속잭을 갖추고, 접속플러그를 접속잭에 삽입함으로써 전자기기에 대한 신호케이블의 접속을 도모하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실정에 감안해서 제안된 것이고, 신호케이블의 전자기기에 대한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플러그의 잭에 대한 접속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고, 양호한 신호전달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는 신호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된 커넥터플러그를 유지하고, 커넥터플러그의 외주면에 케이블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손잡이부가 부착된 록해제부재로 이루는 플러그부와, 플러그부가 삽탈가능하게 되는 리셉터클부를 갖추고, 리셉터클부내에 수용되고, 커넥터플러그와 결합하여 플러그부의 빠져나감을 록하는록부재를 록해제부재의 외주면에 설치한 캠부를 거쳐서 록해제부재의 케이블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어한다.
여기서 이용하는 록부재는 록해제부재가 케이블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회동 제어되는 때 회동지점위치가 이동가능하게 되어서 리셉터클부에 설치된 록부재수납부내에 수용되어 있다.
커넥터플러그를 록하는 록부재를 케이블의 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가세력 및 케이블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가세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가세된다.
록부재를 가세하는 탄성부재에는 록부재와 일체 성형된 판형의 Z스프링이 이용된다.
또 탄성부재는 박판을 절곡하여 Z형으로 성형한 Z스프링을 이용하는 것도 있다.
플러그부를 구성하는 커넥터플러그는 선단측에 리셉터클부에 설치되는 받는측의 테이퍼부에 결합하는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있다.
록부재는 선단측에 커넥터플러그에 결합하는 플러그계지편을 설치하고, 플러그계지편을 탄성변위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신호케이블에는 광케이블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은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구체적인 구성에 의해 한층 명확하게 되는 것이다.
*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전자기기측에 설치된 잭과 광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된 플러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플러그의 록기능 부착의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접속장치의 록기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플러그부의 리셉터클부로의 삽입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Z스프링과 일체 형성된 록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록부재를 리셉터클의 수용부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a∼도 9f는 플러그부를 리셉터클부에 삽입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Z스프링과 일체 성형된 록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a∼도 10e는 플러그부를 리셉터클부에서 빠져나가게 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Z스프링과 일체로 형성된 록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a∼도 11b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에 이용되는 Z스프링을 사용한 록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1a는 Z스프링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b는 리셉터클에 수납되어서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에 이용되는 Z스프링을 사용한 록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2a는 Z스프링에 부하가 가해져 있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b는 리셉터클에 수납되어서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에 이용되는 링크형의 스프링을 사용한 록부재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3a는 스프링에 부하가 가해져 있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b는 리셉터클에 수납되어서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록부재의 다른 예를 나태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15는 록부재의 동작경로를 지정하는 록부재 가이드핀부착의 록부재를 갖춘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ⅩⅥ- ⅩⅥ선 단면도이다.
도 17a∼도 17c는 플러그부를 리셉터클부에 대하여 삽입할 때의 클릭감을 강조하는 가이드홀을 사용한 록부재의 플러그부 삽입시의 동작스텝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a∼도 18c는 리셉터클부에 삽입한 플러그부를 빼내는 동작의 스텝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플러그부의 리셉터클부로의 삽탈시에 클릭감을 부여하는 플러그삽입검출스위치를 갖춘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의 또 다른 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록부재를 가세하는 Z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a∼도 22c 플러그부를 리셉터클부에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a∼도 23c는 리셉터클부에 삽입한 플러그부를 빼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4a∼도 24c는 광케이블을 파지하여 플러그부가 뽑아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나타내는 접속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7a∼도 27d는 플러그부를 리셉터클부에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측면도이다.
도 28a∼도 28c는 리셉터클부에 삽입한 플러그부를 빼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9a∼도 29c는 광케이블을 파지하여 플러그부가 빼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부(P)와그 받는 기기인 리셉터클부(R)로 구성된다.
플러그부(P)는 예를 들면 광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광케이블(2)의 단부에 부착되고, 리셉터클부(R)는 전자기기의 예를 들면 배면측등의 패널(13)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접속장치는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의 전면측의 중앙부에 설치된 플러그삽입공(70)에 도 4중 화살표(C)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플러그부(P)의 선단에 노출되어 있는 광케이블(2)의 케이블심선인 광파이버(1)와 기기내에 배치된 광학소자(1a)가 광학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기기내에 광학소자(1a)에 대하여 광파이버를 배치하고, 플러그부(P)측의 광파이버(1)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플러그부(P)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플러그부(P)는 거의 원통형의 커넥터플러그(3)의 중심에 커넥터플러그(3)와 동심에 광파이버(1)와 광케이블(2)을 유지하고, 도 4 및 도 5중 좌편에 위치하는 기단부측에 원환형의 플러그 이동범위규제부재(11)를 부착하고 있다. 광케이블(2)과 플러그이동범위규제부재(11)는 정형의 케이블멈춤구(10)에 의해 커넥터플러그(3)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커넥터플러그(3)의 외주측에는 플러그부(P)가 리셉터클부(R)에 삽입된 때,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에 록하는 록기구의 록을 해제시키는 록해제부재(4)가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록해제부재(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도 4 및 도 5중 우편의 선단부에는 끝이 뾰족한 형태를 이루는 테이퍼부(4a)가 형성되고, 선단측의 중도부에는 원환형의 캠홈(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홈(40)은 록해제부재(4)의 선단측의 들어올리는 면을 경사면부(41)로 하고 있다. 록해제부재(4)의 중지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이 관통홈에 삽입되는 커넥터플러그(3)가 자유로이 이동가능한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록해제부재(4)의 기단부에는 이 록해제부재(4)를 조작하고, 리셉터클부(R)에 플러그부(P)를 삽입할때에 플러그부(P)를 파지하기 위해 이용하는 손잡이부(12)가 부착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1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선단측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12a)를 록해제부재(4)의 기단부측의 외주면에 형성한 나사부에 끼워짐으로써 록해제부재(4)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또한 손잡이부(12)의 기단부측의 내주부에는 플러그이동범위규제부재(11)를 수납하는 수납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오목부(14)는 커넥터플러그(3)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록해제부재(4)를 일정범위에서 이동을 허용하는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즉 록해제부재(4)는 이 록해제부재(4)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손잡이부(12)와 동시에 수납오목부(14)의 범위에서 도 5중 화살표(D1)방향 또는 화살표(D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4중 화살표(C)방향을 '케이블의 축방향'이라 칭하고, 화살표(C)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을 '케이블축과 수직방향'이라 칭하는 것이다.
또한 플러그부(P)를 잡아서 리셉터클부(R)에 대한 삽입조작할때의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것을 도모하기 위해, 손잡이부(12)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요철의 형상을 붙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리셉터클부(R)를 설명한다.
리셉터클부(R)는 플라스틱으로 일체 성형된 좌우대칭의 한쌍의 리셉터클하프(7R, 7L)를 도 4중 화살표(A)방향으로 맞대어 결합하여 구성한 리셉터클(7)을 갖추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7)은 이 리셉터클(7)에 삽입되는 플러그부(P)의 삽입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분할되면 좋고, 플러그부(P)의 케이블축심을 통하는 수직면에서의 분할방법은 리셉터클(7)의 내부구조에 따라서 적의 선택되는 것이다.
리셉터클부(R)를 구성하는 리셉터클(7)은 좌우의 리셉터클하프(7R, 7L)를 접합상태에서 중심으로 플러그부(P)의 삽입되는 플러그삽입공(70)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삽입공(70)의 플러그부(P)의 삽입측의 선단부에는 플러그부(P)의 커넥터플러그(3)의 선단부에 형성한 끝이 뾰족한 형태의 테이퍼부(35)가 결합하는 이 테이퍼부(35)와는 역방향의 받는측 테이퍼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플러그부(3)측 및 리셉터클(7)의 플러그삽입공(70)측의 각각에 상대 결합하는 테이퍼부(35, 75)를 설치함으로써 커넥터플러그(3)의 중심을 플러그삽입공(70)의 중심에 정확히 일치시켜서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에 접속할 수 있다.
리셉터클(7)내에는 플러그삽입공(7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의 상대향하는 위치에 록부재수납부(74)를 구성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록부재수납부(74)는 플러그삽입공(70)에 제 1 및 제 2관통공(76, 77)을 거쳐서 삽통하고 있다.
리셉터클(7)내에 설치된 한쌍의 록부재수납부(74, 74)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Z스프링(6)부착의 록부재(5)가 수납 설치되어 있다.록부재수납부(74)에 수납된 록부재(5)는 선단측에 설치된 플러그계지편(51)을 제 1관통공(76)을 거쳐서 플러그삽입공(70)내에 돌출시키고, 중도부에 설치되는 압압조작자(52)를 제 2관통공(77)을 거쳐서 플러그삽입공(70)내에 돌출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록부재수납부(74)에 수납 설치된 각 록부재(5, 5)는 플러그삽입공(70)에 플러그부(P)가 삽입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측에 설치된 플러그계지편(51)이 제 1관통공(76)에서 플러그삽입공(70)내에 돌출하여 커넥터플러그(3)의 선단측의 외주면에 형성한 계지편결합홈(31)에 결합하고, 압압조작자(52)가 제 2관통공(77)에서 플러그삽입공(70)내에 돌출해서 록해제부재(4)에 설치된 캠홈(40)에 결합한다.
리셉터클(7)이 설치되는 전자기기측의 패널(13)에는 도 4중 일점쇄선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형의 빼기공(13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빼기공(13a)에는 리셉터클(7)의 전면측의 중앙부에 설치한 링크형의 결합돌기(7a)가 결합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에서는 패널(13)은 리셉터클하프(7R)의 전면부만이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리셉터클(7)은 예를 들면 부착용나사를 패널(13)에 설치된 부착공에 삽통하고, 리셉터클(7)의 전면에 설치된 나사공에 나사삽입등의 수단에서 패널(13)의 소정위치에 고정된다.
리셉터클부(R)에 삽입된 플러그부(P)를 삽입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록부재(5)는 일 예로서 플라스틱 등에서 Z스프링(6)과 일체로 성형된다. 이 록부재(5)는 도 4중 화살표(B)방향에서 리셉터클(7)의 상하에 2개 설치된 거의 장방형의 공소인 록부재수납부(74)에 수용된다. 이때 Z스프링(6)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외력에 의해 압축되고 록부재(5)에 케이블의 축방향 및 케이블의 축방향에 수직의 2방향의 힘을 발생한다.
리셉터클부(R)측에 설치되는 플러그부(P)를 일정의 삽입위치에 록하는 록부재(5)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또한 상세하게 설명한다.
록부재(5)는 Z스프링(6)에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는 해방상태에 있고, 록부재수납부(74)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에 있다.
록부재(5)는 도 4중 화살표(W1)에서 나타내는 폭을 갖고 장방향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측에 수직으로 가깝게 절곡하도록 하여 플러그계지편(51)을 형성하고, 거의 중앙에 폭(W1)에 상당하는 길이의 돌조의 압압조작자(52)를 형성하고, 측면에서 보아 거의 F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계지편(51)은 커넥터플러그(3)의 선단부측의 외주면에 링형의 홈부로서 형성된 계지편결합홈(31)과의 결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에 중앙부를 원호형으로 파여진 홈부(51a)를 형성하고 있지만, 선단부는 원호를 설치하지 않고 직선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동일하게 압압조작자(52)의 선단부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이 아니고, 중앙부를 원호형으로 파이게 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의 길이를 갖는 레버로서 형성되고, 레버본체의 일단측에 수직으로 입상하도록 플러그계지편을 설치하고, 레버본체의 중도부에 돌조의 압압조작자를 설치한 록부재(5)와 같이 레버는 일반적으로 플러그계지편을 설치한일단측과는 반대측의 타단측이 고정되고, 이 고정된 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자재로 지지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본 발명에 이용되는 록부재(5)와 같이 록부재수납부(74)에 수납된 경우에는 록부재(5)의 지점을 일점으로 규제하는 부재가 록부재수납부(74)측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록부재수납부(74)에 수납된 록부재(5)는 플러그계지편(51)이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타단측은 가동지점으로서 록부재수납부(74)내에서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록부재(5)의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이다. 록부재수납부(74)내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부재(5)의 지점으로 이루는 타단측의 이동을 규제하는 가동범위규제부(72)나, 타단측의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였을 때의 플러그계지편(51)의 회동방향을 가이드 하는 회동가이드(7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범위규제부(72) 및 회동가이드부(71)는 록부재수납부(74)의 내주면의 일부를 가지고 형성된다.
또한 리셉터클(7)내에 형성되는 록부재수납부(74)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폭(W2)을 록부재(5)의 폭(W1)보다 크게 되고, 폭방향의 접촉에 의해 록부재(5)의 회동과 Z스프링(6)의 운동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록부재(5)에 설치되는 압압조작자(52)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록해제부재(4)의 선단측에 설치한 테이퍼부(4a)와 캠홈(40)내의 경사면부(41)로 구성되는 캠기구의 캠홀로워로서 기능하여 록부재(5)를 회동 조작한다. 록부재(5)에 설치된 플러그계지편(51)은 커넥터플러그(3)에 설치된 계지편결합홈(31)에 결합한때 커넥터플러그(3)를 리셉터클(7)측에 압압하도록 기능한다.
다음에 록부재(5)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Z스프링(6)의 형상 및 기능을 도 4,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록부재(5)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Z스프링(6)은 짧은 지주(62)의 양단에 거의 박막의 반원형의 스프링부(61)를 형성한 형상으로 되고, 이 반원형상의 스프링부(61)의 타단은 각각 리셉터클(7)에 의해 유지되는 장방형의 박판(63) 및 록부재(5)에 접속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록부재(5)의 폭(W1)과 상기 박판(63), 스프링부(61) 및 지주(62)의 폭도 동일의 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주(62)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1개의 스프링부(61)의 양단이 박판(63) 및 록부재(5)에 접속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Z스프링(6)의 1조의 스프링부(61, 61)는 박판(63)의 일단과 록부재(5)의 중앙부근에 접속되고, 다른 1조의 스프링부(61, 61)는 박판(63)의 중앙부와 록부재(5)의 지점부(55)의 근방에 접속되고, 2개의 Z스프링(6, 6)은 서로 평행하게 되고, 또 박판(63)과 록부재(5)도 거의 평행하게 유지되고, 2개의 Z스프링(6, 6)과, 박판(63)과 록부재(5)에서 거의 평행사변형을 구성하고 있다.
록부재(5)와 Z스프링(6)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B)방향에서 리셉터클(7)의 록부재수납부(74)에 수용할때 Z스프링(6)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부재(5)로 구성되는 평행사변형이 상하에 편평하게 되도록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Z스프링(6)은 박판(63)과 록부재(5)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중 화살표(F)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압압되고, 록부재(5)에 대하여 케이블의 축심에 수직인 방향의 힘과 케이블의 축심과 평행한 방향의 힘을 부여한다.
즉 Z스프링(6, 6)은 스프링의 회전각의 변화에 의해 가세되는 1종의 나사스프링과 동일한 동작을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플러그부(P)가 리셉터클부(R)에 삽입되면,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플러그(3)의 선단부에 형성한 테이퍼부(35)가 리셉터클(7)의 플러그삽입공(70)측에 설치한 테이퍼부(75)에 상대 결합함으로써 커넥터플러그(3)의 중심을 플러그삽입공(70)의 중심에 정확하게 일치시켜서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록부재(5)의 플러그계지편(51)은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결합홈(31)에 결합하여 커넥터플러그(3)를 도 8중 화살표(G1)방향의 우방향으로 누른다. 또 압압조작자(52)는 록해제부재(4)의 캠홈(40)에 결합하고 있다.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에 대하여 삽입하는 과정의 상세를 도 9a∼ 도 9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 도 9f의 각 도면은 리셉터클(7)의 상반부와 플러그부(P)의 커넥터플러그(3)와 록해제부재(4)의 상반분을 도 5와 동일한 단면으로 나타내고, 플러그부(P)의 삽입위치에 따른 스텝순으로 록부재(5)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에 삽입하는 데는 손잡이부(12)를 손가락에 의해 파지하고,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부(P)의 커넥터플러그(3)를 록해제부재(4)와 함께 플러그삽입공(70)에 삽입한다.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의 플러그삽입공(70)에 삽입하기 전은 록부재(5)는 Z스프링(6)에 눌러져서 록부재수납부(74)의 하면에 전면이 당접하고 있다.
플러그부(P)가 리셉터클부(R)에 삽입되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해제부재(4)의 삽입단측에 형성한 테이퍼부(4a)가 압압조작자(52)에 당접한다.
또한 플러그부(P)가 도 9a중 화살표(G1)방향으로 삽입되면,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해제부재(4)의 선단부의 테이퍼부(4a)가 압압조작자(52)를 도 9b중 화살표(H1)방향의 위로 밀어올린다.
록부재(5)의 플러그계지편(51)이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타단부는 가동범위규제부(72)의 하단에 당접하고, 이 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록부재(5)를 회동시키고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수평의 가세로 한다.
커넥터플러그(3)는 선단측의 테이퍼부(35)의 상부에 플러그계지편(51)이 위치하기까지 플러그삽입공(70)내에 진입한다.
플러그부(P)가 리셉터클부(R)에 또한 삽입되고, 도 9c에 나태는 바와 같은 상태로 하면 압압조작자(52)가 록해제부재(4)의 외주면의 가장 높은 위치, 즉 가장 큰직경의 부분에 얹혀지고, 록부재(5)는 가동범위규제부(72)의 하단에 당접한 지점부(55)를 중심으로 도 9c중 화살표(J1)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삽입단측이 들어올리고, 플러그계지편(51)이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결합홈(31)에서 이탈된다.
또한 플러그부(P)가 리셉터클부(R)내에 삽입되면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조작자(52)가 캠홈(40)내에 형성한 경사면부(41)상에 들러 올리고, 플러그계지편(51)이 커넥터플러그(3)의 외주면에 당접하여 록부재(5)를 지지한다. 록부재(5)는 도 9d중 좌측의 타단측이 내려진 자세를 취한다.
플러그부(P)가 도 9e까지 삽입되면, 록부재(5)는 타단측이 하향하고, 록부재수납부(74)의 하면에 당접한다. 압압조작자(52)가 캠홈(40)의 경사면부(41)가 당접하여 록부재(5)를 지지하고 있다. 록부재(5)는 회동가이드부(71)에 안내되어서 전체로서 도 9e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러그계지편(51)을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결합홈(31)에 빠지기 쉽게 한다.
도 9f는 플러그부(P)를 완전하게 리셉터클부(R)에 삽입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플러그계지편(51)이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결합홈(31)에 빠지고, 커넥터플러그(3)의 선단부의 테이퍼부(35)가 플러그삽입공(70)에 설치한 테이퍼부(75)에 완전히 접촉하고, Z스프링(6)의 축방향의 가세력, 즉 도 9f중 화살표(G1)방향의 가세력에 의해 록부재(5)는 회동가이드부(71)에 안내되어서 도 9f중 화살표(G1)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러그계지편(51)이 동방향의 도 9e중 화살표(G1)중 우편으로 커넥터플러그(3)를 압압한다.
이와 같이 삽입완료후도 Z스프링(6)의 가세력에 의해 플러그계지편(51)이 도 9f중 화살표(G1)방향의 우방향으로 커넥터플러그(3)를 압압하고, 항상 커넥터플러그(3)의 위치를 유지하여 광파이버를 소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리셉터클부(R)에 삽입된 플러그부(P)를 빠져나가는 동작의 스텝을 도 10a∼도 10e는 도 9a∼도 9f와 동일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빠져나가는 스텝 1∼5를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에서 발취할때에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2)를 파지하고, 손잡이부(12)와 동시에 록해제부재(4)를 도 10a중화살표(G2)방향의 도면중 좌방향으로 빼낸다. 록해제부재(4)가 빠지게 되면, 록부재(5)의 압압조작자(52)가 캠홈(40)내의 경사면부(41)상에 얹혀져 간다.
록해제부재(4)가 또한 도 10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되고, 압압조작자(52)가 캠홈(40)의 경사면부(41)에서 밀어 올리고 록부재(5)의 도면중 좌단측의 타단부가 가동범위규제부(72)의 하단에 당접하고, 이 위치를 지점으로서 록부재(5)를 회전시키고, 거의 수평의 자세로 한다. Z스프링(6)은 거의 압축되어 있다.
이때 록부재(5)는 거의 수직으로 상편의 도 10b중 화살표(H1)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러그계지편(51)도 거의 수직으로 이동하고,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결합홈(31)에서 이탈한다.
따라서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결합홈(31)의 입상면의 각도는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가까이 급각도로 할 수 있다.
록해제부재(4)가 또한 도 10b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하면 압압조작자(52)의 밀어 올리는 양은 최대로 되고,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부재(5)의 타단부측의 좌단이 가동범위규제부(72)의 하단에 당접한 채, 이 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록부재(5)가 회전하고, 선단측의 플러그계지편(51)을 커넥터플러그(3)에서 이간시킨 우상의 자세로 된다. 이때 Z스프링(6)은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로 압축되어 있다.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결합홈(31)에서 플러그계지편(51)이 퇴거되고, 커넥터플러그(3)는 록해제부재(4)와 동시에 도 10c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러그부(P)를 또한 도 10c중 화살표(G2) 방향의 리셉터클부(R)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빼내면, 압압조작자(52)는 도 1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플러그(3)에 하강하고, 록부재(5)의 타단부도 하강하고, 가동범위규제부(72)의 하단에서 이탈한다. 이 도 10d에 나타내는 스텝에서는 커넥터플러그(3)는 록해제부재(4)에 따라서 큰 부하를 받는 것은 아니고 도 10d중 화살표(G2)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된다.
플러그부(P)를 또한 도 10e중 화살표(G2)방향으로 발취하면, 록해제부재(4) 및 커넥터플러그(3)는 록부재(5)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된다.
록부재(5)는 Z스프링(6, 6)에 눌려져서 록부재수납부(74)의 하면에 전면이 당접하고, 먼저 설명한 도 9a에 나타내는 초기상태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에 대한 삽입, 빼기의 각 스텝에서 록부재(5)는 록해제부재(4)의 케이블축선 방향의 이동에 의해 구동되고, 가동범위규제부(72)와 회동가이드부(71)에 안내되어서 그 가세를 스텝마다 변화시킨다. 이때 록부재(5)의 플러그계지편(51)이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타단부측의 지점부(55)는 그 위치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킨다. 즉 지점이 일점으로 한정되지 않고, 또는 범위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지만, 본 록부재(5)의 동작상의 특징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Z스프링(6)의 다른 예를 도 11∼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a, 도 11b 및 도 12a, 도 12b는 먼저도 9∼도 10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도면방향에서 3종의 Z스프링을 나타내고 외력 없이 자유형상과 리셉터클 수용시의 압축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Z스프링(6a)은 먼저 설명한 2개사용의 경우와 동일하게 짧은 지주(62)의 양단에 거의 박막의 반원형의 스프링부(61)를 형성한 Z스프링(6a)을 1개만큼 사용하였으므로, 반원형상의 스프링부(61)의 타단은 각각 박판(63a) 및 록부재(5a)에 접속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나사스프링으로서 기능하고, 록부재(5a)를 케이블축심에 대하여 수직 및 수평한 방향으로 힘을 미치게 한다.
이와 같이 Z스프링(6a)은 1개라도 좋고 또 3개이상의 사용도 가능하다. 스프링부의 강도나 지점위치를 변경하면, 록부재(55a)에 작용하고 도 11b중 화살표에서 나타내는 수평방향에 부여되는 힘의 비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성형품의 록부재(5b)와는 별도품으로서 예를 들면 금속등의 박판에서 Z스프링을 형성한 것으로, 주로 중앙부의 경사의 부위에서 나사스프링의 작용을 이룬다. 단순한 장방형의 부재를 Z형으로 절곡하는 만큼에서 스프링으로 되고, 하부의 일단을 절곡해서 록부재(5b)와 결합하는 등 안가로 가공할 수 있는 스프링이 얻어진다.
Z스프링의 대신에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오링형의 스프링(6c)의 사용도 가능하다. 박막의 원통형의 부재를 반경방향으로 압축하여 거의 타원형으로서 스프링으로 하는 것으로 타원의 긴직경방향의 두께를 변환한다던지 미리 변형시켜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일 예로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부재(5c)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가동핀(19)을 설치한 록부재(5c)를 사용한다. 리셉터클(7c)의 록부재수납부(74)내의 소정위치에 상기 가동핀(19)과 병행하는 고정핀(18)을 설치하고, 오링형의 스프링(6c)의 장착시는 스프링(6c)의 내측의 중공부에 고정핀(18)과 가동핀(19)을 배치한다.
또한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리셉터클(7c)에는 가이드홀수납부(78)내의 록부재가이드홀(20)이 나타내고 있지만, 이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오링형의 스프링(6c)의 장착시는 스프링압축에 의한 거의 케이블의 축에 수직방향의 힘이 록부재(5c)에 인가되어 있다.
도 13a에 나타내는 록부재(5c)가 가장 커넥터플러그(3)에 근접한 위치인 최저의 위치에 있을 때, 링형의 스프링(6c)의 압축량은 최소에서, 타원의 긴 직경도 최소로 된다. 가동핀(19)은 타원의 중심에 향하는 도 13a중 화살표(K1)방향의 힘을 받고, 그 케이블의 축방향의 수평분력이 동도면중 우방향의 힘으로서 록부재(5c)에 인가된다.
플러그부(P)의 삽입 또는 빼기의 스텝에서,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부재(5c)가 커넥터플러그(3)에서 가장 이간한 최상위치로 되면 링형의 스프링(6c)은 정밀도로 압축되고, 타원의 긴 직경도 최장(最長)된다. 고정핀(18)과 가동핀(19)의 외형부의 거리보다 타원의 직경이 길면, 링형의 스프링(6c)에서 가동핀(19)에 운동하는 힘은 삭감한다.
이와 같이 플러그부(P)의 삽입 또는 빼기 중은 수평력이 감소 또는 삭감하고, 특히, 커넥터플러그(3)와 리셉터클(7c)의 테이퍼부(35, 75)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플러그부(P)의 삽입완료시에 강한 수평분력이 얻어지는 것은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를 구성하는 록부재는 플러그부(P)의 삽입 또는 빼기의 스텝마다, 상하좌우로 요동을 반복하고, 그 동작도 혹은 정한 순번으로 반복하고, 말하자면, 히스테리시스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요동이 주로 리셉터클에 일체로 설치된 가동범위규제부(72)와 회동가이드부(71)의 안내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은 이미 기술하였다.
동일하게 히스테리특성은 예를 들면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기구라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록부재(5d)는 플러그계지편(51)이 설치된 선단측에 가까운 플러그계지편(51)의 근원부근의 양측면에 록부재가이드핀(15)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리셉터클(7d)의 상하의 록부재수납부(74d)의 양측벽에 합계 4개소, 거의 O형의 닫힌 경로를 가지고 움푹한 록부재가이드홈(16)이 주입되어 있고, 록부재가이드핀(15)이 이 록부재가이드홈(16)에 결합하여 안내된다.
플러그부의 삽입 또는 빼낼때에 록부재가이드핀(15)이 록부재가이드홈(16)을 일주함으로써 록부재(5)는 소정의 요동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록부재수납부(74d)의 도 15중 우측부는 확대되어서 록부재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의 히스테리시스특성은 도 17a∼도 17c 및 도 18a∼도 18c에 동작스텝을 나타내고, 전동체인 록부재가이드홀(20)을 이용하여도 달성된다.
도 17a∼도 1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7)에는 도 17중 우단에 가까운 회동가이드부(71)부근에 구형의 가이드홀수납부(78)를 설치한 리셉터클(7e)을 사용한다. 이 가이드홀수납부(78)에 구형의 록부재가이드홀(20)을 수용한다.
선단의 플러그계지편(51)의 외측면측의 중간위치에 돌기(53)를 설치한 록부재(5e)가 사용되고, 이 돌기(53)이외는 통상의 2연의 Z스프링이 일체 성형된 록부재와 거의 동일이다.
록부재가이드홀(20)은 가이드홀수납부(78)에 회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또한 구형의 록부재가이드홀(20)에 대하여 원통형의 것을 사용하여도 가능하다.
도 17a∼도 17c는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로의 삽입스텝을 나타내고, 도 18a∼도 18c는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로부터의 빼내는 스텝을 나타낸다. 도시의 방법은 전술한 도 9∼도 10의 예에 따른 것이고, 리셉터클(7)의 상반부와 플러그부(P)의 커넥터플러그(3)와 록해제부재(4)의 상반분을 단면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17a는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로의 삽입이 개시되고, 록해제부재(4)의 도면중 우단의 테이퍼부(4a)가 압압조작자(52)에 당접하고, 커넥터플러그(3)의 선단측의 테이퍼부(35)에 플러그계지편(51)이 당접한 상태에 있다. 록부재(5e)는 커넥터플러그(3)에 근접하여 수평으로 내린 채의 상태에 있다.
록부재(5e)의 플러그계지편(51)에 설치된 돌기(53)는 록부재가이드홀(20)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부(P)를 삽입하고, 도 17b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면,록해제부재(4)의 선단측의 테이퍼부(4a)가 압압조작자(52)를 도 17b중 화살표(H1)방향으로 밀어 올리고, 록부재(5)의 도면중 우단측의 선단부가 상승되고, 플러그계지편(51)이 커넥터플러그(3)의 선단측에 설치한 계지편결합홈(31)에서 이탈한다.
록부재(5e)의 돌기(53)는 록부재가이드홀(20)을 얹히고, 이 록부재가이드홀(20)의 도면중 상측으로 이동한다.
도 17c는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로의 삽입을 완료한 스텝(3)에서 커넥터플러그(3)의 선단부의 테이퍼부(35)가 리셉터클부(R)에 설치한 플러그삽입공(70)의 테이퍼부(75)에 완전하게 접촉하고, 록부재(5)의 플러그계지편(51)이 도17c중 화살표(G1)방향으로 커넥터플러그(3)를 압압한다. 록부재(5e)의 돌기(53)는 록부재가이드홀(20)의 상측에서 재차 하측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도 18a∼도 18c를 참조하고, 리셉터클부(R)에 삽입된 플러그부(P)의 빼내는 스텝을 설명한다.
도 18a는 손잡이부(12)를 손가락에 의해 파지하고, 록해제부재(4)를 도 18a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하고, 록부재(5e)의 압압조작자(52)와 캠홈(40)내의 경사면부(41)가 당접하고, 록부재(5e)가 선단측의 플러그계지편(51)을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결합홈(31)에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조금 회동된다.
록부재(5e)의 돌기(53)는 록부재가이드홀(20)의 하측에 있다.
록해제부재(4)가 또한 도 18b중 화살표(G2)방향으로 또한 이동하면, 압압조작자(52)의 밀어 올리는 량은 최대로 되고, 록부재(5)의 동도면중 좌단이 가동범위규제부(72)의 하단에 당접한 채, 이 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록부재(5)가 도 18b중화살표(J1)방향으로 회전하고, 도면중 우상의 가세로 된다. Z스프링(6)은 최대로 압축되어 있다.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결합홈(31)에서 플러그계지편(51)이 퇴거하고, 커넥터플러그(3)는 록해제부재(4)와 동시에 도 18b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한다.
록부재(5e)의 돌기(53)는 록부재가이드홀(20)을 타고 넘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로부터의 빼내는 것이 완료하면, 도 1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해제부재(4) 및 커넥터플러그(3)가 록부재(5)에 구속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록부재(5)는 Z스프링(6)에 눌러져서 록부재수납부(74)의 하면에 전면이 당접하고, 먼저 설명한 도 17a와 동일한 초기상태로 돌아간다. 그리고 록부재(5e)의 돌기(53)는 록부재가이드홀(20)의 상측에서 재차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록부재가이드홀(20)을 돌기(53)가 타고 넘어갈 때에 록부재(5e)에 수평의 움직임을 부여하면서 회동된다. 먼저 기술한 히스테리시스특성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도 13에 나타낸 링크형의 스프링(6c)을 채용한 예에서도 거의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동작을 하고, 록부재가이드홀(20)의 효과는 충분히 발휘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록부재가이드핀과 록키가이드홈의 결합, 또는 록부재의 돌기와 록부재가이드홀의 결합에 의해 플러그부(P)의 삽입 및 빼내는 스텝에서 록부재를 미리 결정된 위치와 자세(姿勢)를 취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커넥터플러그의 유지 등이 행하여진다.
또한 케이블의 접속조작을 행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도 커넥터플러그 삽입과정의 록순간의 메리하리를 이용한 감촉 등에 의해 쾌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는 록해제부재(4)가 커넥터플러그(3)에 대하여 케이블축심방향, 즉 커넥터플러그(3)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록해제부재(4)는 손잡이부(12)에 설치된 플러그이동범위규제부재(11)를 수납하는 수납오목부(14)내에 구성되는 공극의 범위에서 도 5중 화살표(D1)방향 및 화살표(D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커넥터플러그(3)가 록부재(5)에 록된 상태에서 록해제부재(4)와 이것에 고정된 손잡이부(12)가 케이블축심방향의 도 5중 화살표(D1)방향 및 화살표(D2)방향으로 조금 여유를 갖는 상태로 되고 사용자에 대하여 감각적으로 안정한 인상을 부여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 대책으로서 별도 클릭기구를 부가하여 록해제부재(4)를 고정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 클릭기구를 설치한 예를 갖춘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접속장치는 종래부터 사용되어 온 플러그검출스위치를 클릭기구에 겸용한 것이다. 도 19는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에 삽입한 때의 리셉터클(7e)의 수평면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도 5에 나타낸 절단면에 대하여 90도 회전시킨 위치에서의 단면도이고, 광케이블(2)의 축심을 포함하는 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접속장치는 플러그삽입검출스위치(17)를 구성하는 접점스프링(17a)과 고정접점(17b)을 탑재한 프린트기판(17c)이 리셉터클(7e)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리셉터클(7e)의 소정위치에는 접점스프링(17e)과 고정접점(17b)을 수용하는 수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21)는 록해제부재(4)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공(70)까지 달하고 있다.
접점스프링(17a)은 금속제의 박판을 절곡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하고, 도 19중 좌측의 기판을 프린트기판(17c)의 구멍에 삽입하여 고정되어 있다. 접점스프링(17a)은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9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인 절곡된 두부(22)가 록해제부재(4)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공(70)의 내부까지 삽입되어 있다. 두부(22)는 누르면 자신의 탄성에 의해 도 19중 화살표(K)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고정접점(17b)은 상부에 접점을 형성한 프린트기판(17c)에 고정되어 있고, 접점스프링(17a)이 도 19중 실선의 위치로 이동하면, 접점스프링(17a)의 도 19중 우측의 선단이 고정접점(17b)의 접점과 접촉하여 전기적인 도통이 도모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장치는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에 삽입하면, 록해제부재(4)의 선단부에 형성한 테이퍼부(4a)가 접점스프링(17a)의 두부(22)를 밀어 내리기 시작한다. 록해제부재(4)가 도 19중 화살표(G1)방향의 우편으로 삽입되는 것에 따라서 접점스프링(17a)은 또한 밀어내려서 접점스프링(17a)의 도 19중 우측의 선단이 고정접점(17b)의 접점과 접촉하고, 플러그삽입검출의 신호로서 외부에 송출된다.
플러그부(P)의 삽입이 완료하면, 접점스프링(17a)의 두부(22)는 록해제부재(4)의 캠홈(40)의 경사면부(41)와 접촉한다. 접점스프링(17a)은 자신의 탄력에서 플러그삽입공(70)내에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으므로, 플러그삽입공(70)에 삽입되는 록해제부재(4)의 캠홈(40)의 경사면부(41)를 압압하고, 그 케이블의 축방향의 분력에서 록해제부재(4)를 도 19중 화살표(G1)방향의 우측방향으로 향해 누르고, 록해제부재(4)의 선단부의 테이퍼부(4a)를 리셉터클(7e)측의 테이퍼부(75)에 강하게 접촉시키고, 록해제부재(4)의 놀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에 삽입한때 록부재(5)의 플러그계지편(51)이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결합홈(31)에 결합함으로써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에 대한 소정의 삽입위치에 고정한다.
리셉터클부(R)에 삽입 고정된 플러그부(P)는 록해제부재(4)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손잡이부(12)를 파지하여 리셉터클부(R)에서 빼냄으로써 커넥터플러그(3)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록해제부재(4)에 의해 록부재(5)에 의한 커넥터플러그(3)의 록을 해제한 후 커넥터플러그(3)를 리셉터클부(R)측에서 발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취조작을 행함으로써 플러그부(P)측의 커넥터플러그(3)나 리셉터클부(R)측의 록부재(5)에 큰 부하를 부여하지 않고, 플러그부(P)를 안전하게 또한 확실히 리셉터클부(R)에서 발취할 수 있다.
그런데 플러그부(P)는 리셉터클부(R)에 접속되고, 리셉터클부(R)가 설치된전기기기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므로 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하기 위한 광케이블(2)이 인출되고 있다. 광케이블(2)은 커넥터플러그(3)에서 인출되어 있다. 그 결과 리셉터클부(R)에 삽입된 플러그부(P)는 손잡이부(12)를 파지하지 않고, 광케이블(2)을 잡고 꺼내는 조작이 행하여지고 있다. 또 플러그부(P)는 전자기기에 접속된 상태에 있을때 플러그부(P)에서 연장된 광케이블(2)에 빼내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2)이외에 부분에 빼내는 힘이 가해지면, 커넥터플러그(3)에 직접 빼내는 힘이 가해지고, 록부재(5)를 포함하는 커넥터플러그(3)의 록기구를 손상시켜버릴 우려가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불용의한 플러그부(P)의 발취조작이 행해진 경우라도 록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플러그(3)의 록기구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 플러그부(P)나 리셉터클부(R)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는 접속장치의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예와 공통하는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나타내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부재(150)에 설치되는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결합홈(31)에 결합하여 커넥터플러그(3)를 리셉터클부(R)에 대한 삽입위치에 록하는 플러그계지편(151)을 탄성변위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록부재(150)는 탄성변위가능한 합성수지재료를 이용해서 형성되고, 플러그계지편(151)을 크게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크게 만곡하여 형성된 플러그계지편(51)은 만곡된 방향으로 용이하게 소성변형한다.
이 예에서는 플러그결합편(151)에 소성변형력을 부여하기 위해 록부재(150)를 탄성변위가능한 합성수지재료를 이용해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록부재(150)를 커넥터플러그(3)측에 압착시키고, 커넥터플러그(3)를 리셉터클부(R)측의 테이퍼부(75)에 압축시키는 방향의 힘을 가세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Z스프링과 같이 록부재(150)에 일체적으로 설치할 수 없다.
그래서 록부재(150)를 가세하는 Z스프링(160)은 록부재(150)는 별도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용되는 Z스프링(160)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얇은 금속성의 판스프링에 한쌍의 잘라 세운편(161, 162)을 설치한 것으로서, 이들 잘라 세운편(161, 162)의 선단부를 록부재(150)의 배면측에 끼워서 록부재(150)에 연결된다. 록부재(150)에 연결된 Z스프링(160)은 록부재(150)와 동시에 리셉터클(7)내에 설치한 록부재수납부(74)에 수납된 때 평판형의 기판(163)의 양단부를 록부재수납부(74)의 저면측에 설치한 끼움홈(164)에 끼움으로서 리셉터클(7)에 부착된다.
또한 Z스프링(160)의 한쌍의 잘라 세운편(161, 162)은 록부재(150)를 커넥터플러그(3)측에 압착시키고, 커넥터플러그(3)를 리셉터클부(R)측의 테이퍼부(75)에 압착시키는 방향의 힘을 부여시키도록 만곡되고, 또 적절한 압착력이 얻어지도록 만곡이 곡률도 선택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속장치도,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에 접속하는 것은 전술한 접속장치와 동일하게 손잡이부(12)를 파지하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커넥터플러그(3)의 선단측을 리셉터클부(R)측의 플러그삽입공(70)에 삽입한다.
이때 커넥터플러그(3)측에 부착된 플러그이동범위규제부재(11)가 손잡이부(12)의 수납오목부(14)의 일측면(14a)에 당접하고, 록해제부재(4)와 커넥터플러그(3)와 일체로 되고, 도 20중 화살표(G1)방향의 삽입방향으로 삽입되어 간다.
커넥터플러그(3)의 선단측을 플러그삽입공(70)에 삽입한 상태에서 또한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내에 삽입하여 가면, 록부재(150)에 설치된 압압조작자(52)가 록해제부재(4)의 외주면의 가장 높은 위치, 즉 가장 큰 직경의 부분에 얹히고, 록부재(150)는 도 22a중 화살표(J1)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삽입단측이 들어올리고, 플러그계지편(151)이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결합홈(31)에서 이간한 위치로 이동된다.
도 22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다시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내에 삽입하면,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조작자(52)가 캠홈(40) 내에 형성한 경사면부(41) 상에 얹히고, 플러그계지편(151)이 커넥터플러그(3)의 외주면에 당접하여 록부재(5)를 지지한다.
플러그부(P)가 도 22c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삽입되면, 록부재(150)는, 플러그계지편(151)이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타단측이 내려가고, 록부재 수납부(74)의 하면에 당접한다. 이 때, 록부재(150)는 회동가이드부(71)에 안내되어서 전체로서 도 22c 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러그계지편(151)을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 결합홈(31)에 빠지기 쉽게 한다.
플러그부(P)가 리셉터클부(R)에 완전히 삽입되면, 도 2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계지편(151)이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 결합홈(31)에 빠지고, 커넥터플러그(3)의 선단부의 테이퍼부(35)가 플러그 삽입구멍(70)에 설치된 테이퍼부(75)에 완전 접촉하고, Z스프링(160)의 축방향의 가세력, 즉 도 22c 중 화살표(G1)방향의 가세력에 의해, 록부재(150)는 회동가이드부(71)에 안내되어서 도 22c중 화살표(G1)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러그계지편(151)을 도 22c중 화살표(L1)방향으로 가세하여 커넥터플러그(3)를 가압한다.
이와 같이, 삽입 완료 후도 Z스프링(160)의 가세력에 의해, 플러그계지편(151)이 도 22c중 화살표(G1)방향 및 화살표(L1)방향으로 커넥터플러그(3)를 리셉터클부(R) 측의 테이퍼부(75)에 가압 가세함으로, 상시 커넥터플러그(3)의 리셉터클부(R)에 대한 삽입위치를 유지한다. 커넥터 플러그(3)의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는 것에서, 플러그부(P) 측의 광섬유(1)와 전자기기 측의 광학소자(8)와의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정확한 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부(R)에 삽입된 플러그부(P)를 빼내는데는, 손잡이부(12)를 파지하고, 손잡이부(12)와 함께 록해제부재(4)를 도 23a 중 화살표 (G2)방향의 도면 중 좌편으로 빼낸다. 록해제부재(4)가 빠지면, 록부재(150)의 가압조작자(52)가 캠홈(40) 내의 경사면부(41) 상에 얹혀져 간다. 이 때, 록해제부재(4)가 커넥터플러그(3)에 대해서 약간 선행하여 23a 중 화살표(G2)방향으로이동하고, 커넥터플러그(3) 측에 부착된 플러그 이동범위 규제부재(11)가 손잡이부(2)의 수납오목부(14)의 타측면(14b)에 당접하고, 록해제부재(4)와 커넥터 플러그(3)와 일체로 되어, 도 23a 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한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록해제부재(4)가 다시 도 23b 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되고, 가압조작자(52)가 캠홈(40)의 경사면부(41)에서 밀어 올려지고, 록부재(150)가 동 23b 중 화살표(J1)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때, Z스프링(160)은 압축된다.
록해제부재(4)가 다시 도 23 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압조작자(52)의 밀어 올리는 양은 최대가 되며, 록부재(150)가 도 23b 중 화살표 (J1)방향으로 회동되고, 선단측의 플러그계지편(151)을 커넥터플러그(3)에서 이간시킨 우측이 올라간 자세가 된다. 이 때, Z스프링(160)은, 최대로 압축되어 있다. 커넥터(3)의 계지편 결합홈(31)에서 플러그계지편(151)이 퇴거하고, 커넥터플러그(3)는, 록해제부재(4)와 함께 도 23b 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러그부(P)를 다시 도 23b 중 화살표(G2)방향의 리셉터클부(R)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빼내면, 록해제부재(4) 및 커넥터플러그(3)는, 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부재(150)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 때, 록부재(150)는, Z스프링(160)에 밀어서 록부재 수납부(74)의 하면에 전면이 당접한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그런데, 여기서 나타내는 접속장치는, 플러그부(P)가 리셉터클부(R)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2)가 파지되지 않고 광케이블(2)에 직접 부하가 가해져서뽑아내기가 행해졌다고 하여도, 플러그계지편(151)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광케이블(2)에 가해지는 부하를 흡수함으로써, 록부재(150) 등의 커넥터플러그(3)를 록하는 기구에 큰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광케이블(2)이 뽑아내기 조작되었을 때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플러그부(P)가 리셉터클부(R)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케이블(2)이 도 24a 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인장되면, 커넥터플러그(3)가 록해제부재(4)와는 독립하여 동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커넥터(3)의 계지편 결합홈(31)에 결합되어 있는 플러그계지편(151)이 계지편 결합홈(31)의 상승면(31a)에 가압되어서 도 23b 중 화살표(J1)방향으로 휘어 변형된다.
이 때, 커넥터플러그(3) 측에 부착된 플러그 이동범위 규제부재(11)가 손잡이부(12)의 수납오목부(14)의 일측면(14a)에 당접하고, 록부재 해제부재(4)와 커넥터플러그(3)가 일체로 되어서, 도 24b 중 화살표(G2)방향의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다시 광케이블(2)의 빼내는 작업이 조작되면, 커넥터플러그(3)가 플러그계지편(151)을 휘면서 도 24c 중 화살표(G2)방향의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록해제부재(4)도 동방향으로 이동한다. 록해제부재(4)가 커넥터플러그(3)와 일체로 도 24c 중 화살표 G2방향의 빼내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압조작자(52)를 캠홈(40)의 경사면부(41) 상에 밀어 올리고, 록부재(150)를 도 24c 중 화살표(J1)방향으로 회동하고, 선단측의 플러그계지편(151)을 커넥터플러그(3)에서 이탈시킨다. 플러그계지편(151)이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 결합홈(31)이 이탈됨으로써,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 측의 록이 해제되고,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로부터의 빼내기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광케이블(2)의 빼내는 작업이 조작되어도, 그 빼내는 힘을 록부재(150)측의 플러그계지편(151)의 탄성변위에 의해 흡수하고, 더구나, 커넥터플러그(3)의 록을 해제하여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로부터의 빼내기를 가능하게 하므로, 오작이 행해진 경우라도, 안전하게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로부터의 빼내기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부주의한 플러그부(P)의 빼내기 조작이 행해진 경우라도, 록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록기구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 플러그부(P)나 리셉터클부를 포함하는 커넥터플러그의 록기구 등의 파손을 방지하고, 플러그부(P)나 리셉터클부(R)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는 접속장치의 다른 예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장치는, 다시 록부재를 각각의 기능을 한층 양호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커넥터플러그(3)를 록하는 플러그계지편을 설치한 부분과, 록해제부재(4)에 의해 조작되는 가압조작자가 설치된 부분을 독립해서 형성한 것이며, 또한, 록부재를 가압 가세하는 가세부재로서의 Z스프링을 독립해서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각 부재를 독립해서 형성함으로써, 커넥터플러그의 록기구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에 대한 삽입위치를 규제할 수 있고, 정확한 신호의 수수를 실현할 수 있는 접속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 각 부재를 독립해서 구성한 접속장치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예와 공통하는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 나타내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 결합홈(31)에 결합하여 커넥터플러그(3)를 리셉터클부(R)에 대한 삽입위치에 록하는 플러그계지편(251)을 선단측에 설치한 록부재(250)와, 이 록부재(250)를 플러그부(P)의 삽입에 관련하여 이동조작하는 가압조작자(52)를 설치한 이동제어부재(255)와, 록부재(250)를 가세하는 Z스프링(260)을 각각 독립의 부재로서 형성하고 있다. 이들 부재는, 리셉터클(7)에 설치한 로그부재 수납부(74)에 수납한 상태로 서로 관련되고, 상술한 접속장치에 설치된 일체의 록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한다.
여기서, 록부재(250)는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 결합홈(31)에 결합하여 커넥터플러그(3)를 리셉터클부(R)에 대한 삽입위치에 록하는 플러그계지편(251)을 탄성변위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록부재(250)는, 탄성변위 가능한 합성수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플러그계지편(251)을 크게 만곡한 형태로 형성하고 있다. 크게 만곡하여 형성된 플러그계지편(251)은 만곡된 방향으로 용이하게 휘어 변형한다.
또한, 록부재(250)의 양측에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씩의 가이드핀(266, 267)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핀(266, 267)은, 록부재 수납부(74)의 내벽에 형성한 회동가이드홈(268, 269)에 결합됨으로써, 록부재(250)의 회동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하고 있다.
가압조작자(52)를 중앙부에 돌출 설치한 이동조작부재(255)는, 합성수지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부재(250)에 중합되도록 하여 록부재 수납부(74)에 수납된다. 이 때, 이동제어부재(255)는, 가압조작자(52)를 제 2관통구멍(77)에서 플러그 삽입구멍(70) 내에 돌출시켜서 록부재 수납부(74)에 설치된다. 또, 이동제어부재(252)는, 기단부에 설치된 계지편(252a)을 록부재 수납부(74) 내에 설치한 계지홈(74b)에 계지시켜서 설치됨으로써, 록부재 수납부(74) 내에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록부재(250)를 가세하는 Z스프링(260)은 얇은 금속성의 판스프링에 한 쌍의 잘라 세운편(261, 262)을 설치한 것이며, 이들 잘라 세운편(261, 262)의 선단부를 록부재(150)의 배면측에 질러 넣어서 록부재(250)에 연결된다. 록부재(250)에 연결된 Z스프링(260)은, 록부재(250)와 함께 리셉터클(7) 내에 설치한 록부재 수납부(74)에 수납되었을 때, 평판형의 기판(263)의 양단부를 록부재 수납부(74)의 저면측에 설치한 질러넣는 홈(264)에 꽂음으로써, 리셉터클(7)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속장치도,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에 접속하는데는, 상술한 접속장치와 동일하게, 손잡이부(12)를 파지하고, 도 2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플러그(3)의 선단측을 리셉터클부(R) 측의 플러그 삽입구멍(70)에 삽입한다.
이 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커넥터플러그(3) 측에 부착된 플러그 이동범위 규제부재(11)가 손잡이부(12)의 수납오목부(14)의 일측면(14a)에 당접하고, 록해제부재(4)와 커넥터플러그(3)가 일체로 되어서, 도 27a 중 화살표 G1방향의 삽입방향으로 삽입되어 간다.
커넥터플러그(3)의 선단측을 플러그 삽입구멍(70)에 삽입한 상태에서 다시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내에 삽입하여 가면, 이동제어부재(252)에 설치된 가압조작자(52)가 록해제부재(4)의 외주면의 가장 높은 위치, 즉 가장 큰 지름의 부분에 얹혀지고, 이동제어부재(252)가 계지홈(74b)에 계지시킨 기판부측의 계지편(252a)을 지지점으로 하여 도 27b 중 화살표(S1)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동제어부재(252)가 회동 조작됨으로써, 이 이동제어부재(252) 상에 중첩된 록부재(250)도 같은 방향의 도 27b 중 화살표 S1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때, 록부재(250)의 선단측에 설치한 플러그계지편(251)이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 결합홈(31)에서 이간한 위치로 이동된다.
도 22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다시 플러그부(P)를 리셉터클부(R)내에 삽입하면, 도 2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제어부재(252)에 설치된 가압조작자(52)가 캠홈(40) 내에 형성한 경사면부(41) 상에 얹혀지고, 플러그계지편(251)이 커넥터플러그(3)의 외주면에 당접하여 록부재(5)를 지지한다.
플러그부(P)가 도 22d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삽입되면, 이동제어부재(252)와 함께 록부재(250)는, 플러그계지편(251)이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타단측이 내려가고, 록부재 수납부(74)의 하면에 당접한다. 이 때, 록부재(250)는, 회동가이드홈(71)에 안내되어서 전체로서 도 27d 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러그계지편(251)을 커넥터 플러그(3)의 계지편 결합홈(31)에 빠지기 쉽게 한다.
플러그부(P)가 리셉터클부(R)에 완전히 삽입되면, 도 27d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플러그계지편(251)이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 결합홈(31)에 빠지고, 커넥터플러그(3)의 선단부의 테이퍼부(35)가 플러그 삽입구멍(70)에 설치한 테이퍼부(75)에 완전 접촉하고, Z스프링(160)의 축방향의 가세력, 즉 도 22d 중 화살표(G1)방향의 가세력에 의해, 록부재(250)는 회동가이드부(71)에 안내되어서 도 27d 중 화살표(G1)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러그계지편(251)을 도 27d 중 화살표(T1)방향으로 가세하여 커넥터플러그(3)를 가압한다.
이와 같이, 삽입완료 후도 Z스프링(260)의 가세력에 의해, 플러그계지편(251)이 도 27d 중 화살표(G1)방향 및 화살표(T1)방향으로 커넥터플러그(3)를 리셉터클부(R)측의 테이퍼부(75)에 가압 가세하므로, 상시 커넥터플러그(3)의 리셉터클부(R)에 대한 삽입위치를 유지한다. 커넥터플러그(3)가 일정위치에 유지되는 것에서, 플러그부(P) 측의 광섬유(1)와 전자기기 측의 광학소자(8)와의 상대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정확한 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리셉터클부(R)에 삽입된 플러그부(P)를 빼내는 데는, 손잡이부(12)를 파지하고, 손잡이부(12)와 함께 록해제부재(4)를 도 28a 중 화살표(G2)방향의 도면 중 왼편으로 빼낸다. 록해제부재(4)가 빼내어지면, 이동제어부재(252)의 가압조작자(52)가 캠홈(40) 내의 경사면부(41) 상에 얹혀져 간다.
이 때, 록해제부재(4)가 커넥터플러그(3)에 대해서 약간 선행하여 도 28a 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하고, 커넥터플러그(3) 측에 부착된 플러그 이동범위 규제부재(11)가 손잡이부(12)의 수납오목부(14)의 타측면(14b)에 당접하고, 로그해제부재(4)와 커넥터플러그(3)가 일체로 되어서, 도 23a 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의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록해제부재(4)가 다시 도 28 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되고, 가압조작자(52)가 캠홈(40)의 경사면부(41)에서 밀어 올려지고, 이동제어부재(252)가 록부재(250)와 함께 도 28b 중 화살표(S1)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Z스프링(260)은 압축된다.
록해제부재(4)가 다시 도 28b 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압조작자(52)의 밀어 올리는 양은 최대가 되며, 록부재(250)가 이동제어부재(252)에 가압조작되어서 도 28b 중 화살표(S1)방향으로 회동되고, 선단측의 플러그계지편(251)을 커넥터플러그(3)에서 이간시킨 우측이 올라간 자세가 된다. 이 때, Z스프링(260)은, 최대로 압축되어 있다.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 결합홈(31)에서 플러그계지편(251)이 퇴거하여, 커넥터플러그(3)는 록해제부재(4)와 함께 도 28b 중 화살표(G2)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러그부(P)를 다시 도 28b 중 화살표(G2)방향의 리셉터클부(R)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빼내면, 록해제부재(4) 및 커넥터플러그(3)는, 도 2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그부재(250)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 때, 록부재(250)는, 이동제어부재(252)와 함께, Z스프링(260)에 눌려서 록부재 수납부(74)의 하면에 전면이 당접한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그런데, 여기에 나타내는 접속장치는, 플러그부(P)가 리셉터클부(R)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2)가 파지되지 않고 광케이블(2)에 직접 부하가 가해져서빼내기가 행해졌다고 하여도, 플러그계지편(251)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광케이블(2)에 가해지는 부하를 흡수함으로써, 록부재(250) 등의 커넥터플러그(3)를 록하는 기구에 큰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광케이블(2)이 빼내는 작업이 조작되었을 때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플러그부(P)가 리셉터클부(R)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케이블(2)이 도 29a 중 화살표 G2방향으로 인장되면, 커넥터플러그(3)가 록해제부재(4)와는 독립하여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 결합홈(31)에 결합되어 있는 플러그계지편(251)이 계지편 결합홈(31)의 상승면(31a)에 가압되어서 도 29b 중 화살표(J1)방향으로 휘어 변형된다.
이 때, 커넥터플러그(3)측에 부착된 플러그 이동범위 규제부재(11)가 손잡이부(12)의 수납오목부(14)의 일측면(14a)에 당접하고, 록해제부재(4)와 커넥터플러그(3)가 일체로 되어서, 도 29b 중 화살표(G2)방향의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다시 광케이블(2)의 빼내는 작업이 조작되면, 커넥터플러그(3)가 플러그계지편(251)을 휘게 하면서 도 29c 중 화살표(G2)방향의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록해제부재(4)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록해제부재(4)가 커넥터플러그(3)와 일체로 도 29c 중 화살표 G2방향의 빼내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제어부재(252)의 가압조작자(52)를 캠홈(40)의 경사면부(41) 상에 밀어 올리고, 록부재(150)를 도 24c 중 화살표 S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선단측의 플러그계지편(251)을 커넥터플러그(3)에서 이탈시킨다. 플러그계지편(251)이 커넥터플러그(3)의 계지편 결합홈(31)이 이탈됨으로써,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 측에의 록이 해제되고,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로부터의 빼내기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광케이블(2)의 빼내는 작업이 조작되어도, 그 빼내는 힘을 록부재(250) 측의 플러그계지편(251)의 탄성변위에 의해 흡수하고, 더구나, 커넥터플러그(3)의 록을 해제하여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로부터의 빼내기를 가능하게 하므로, 오조작이 행해진 경우라도 안전하게 플러그부(P)의 리셉터클부(R)로부터의 빼내기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속장치는, 플러그부의 커넥터플러그를 록부재에 의해 록하는 동시에, 록부재의 회동조작을 록해제부재에 설치한 캠부에 제어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록부재의 회동 지지점을 가동시킬 수 있고, 록부재의 선단에 설치한 플러그계지편을 커넥터플러그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이동시키고, 커넥터플러그에 설치한 계지홈에 계탈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플러그를 일정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록부재를 가세하는 스프링에, 록부재를 케이블의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력과, 케이블의 축방향 혹은 케이블의 축방향의 경사 전편으로 가세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가세부재로서의 Z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커넥터플러그의 선단측의 테이퍼부를, 이 테이퍼부를 받는 리셉터클 측의 테이퍼부에 밀착하도록 가압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플러그의 리셉터클에 대한 삽입위치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양호한 전송특성을 가지고 신호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9)
- 신호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된 커넥터플러그를 가지고, 상기 커넥터플러그의 외주면에 상기 케이블의 축방향에 소정거리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손잡이부가 부착된 록해제부재로 이루는 플러그부와, 상기 플러그부가 삽탈가능하게 되는 리셉터클부로 이루는 접속장치에 있어서,상기 리셉터클부내에 수용되고, 상기 커넥터플러그와 결합하여 살기 플러그부의 빼기를 계지하는 록부재를 상기 록해제부재의 외주면에 설치한 캠부를 거쳐서, 상기 록해제부재의 상기 케이블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록부재는 상기 록해제부재가 상기 케이블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회동제어되는 때 회동지점위치가 이동가능하게 되어서 상기 리셉터클부에 설치된 록부재수납부내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록부재수납부에 상기 록부재의 상기 회동지점위치근방 또는 플러그계지편근방의 어느 하나의 위치 혹은 양위치에 상기 록부재의 일부에 당접하여 상기 록부재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일단을 리셉터클에 의해 유지되고, 타단을 상기 록부재로 유지되고, 또한 상기 록부재에 상기 케이블의 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가세력 및 상기 케이블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가세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록부재와 일체성형된 판형의 Z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탄성부재는 박판을 절곡하여 Z형으로 형성한 Z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탄성부재는 단면이 박판의 파이프형의 스프링으로 되고, 상기 스프링의 중공부에 상기 록부재의 폭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된 가동핀과, 상기 록부재수납부내부에 상기 가동핀과 평행하게 형성된 고정핀을 삽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록부재의 폭방향의 양면에 돌출한 가이드핀을 형성하고, 대응한 상기 록부재수납부의 벽면에 오목한 폐경로를 갖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상기 가이드핀이 결합하여 상기 록부재의 운동에 따라서 상기 록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록부재는 플러그계지편의 일측면에서 돌출한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록부재수납부의 벽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전동체를 수용하고, 상기 록부재의 운동에 따라서 상기 돌기가 상기 전동체와 당접하는 위치를 변환하고, 상기 록부재를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리셉터클에 기부를 부착한 스프링부재의 결합부를 상기 록해제부재의 이동시의 궤적내에 돌출시키고, 상기 플러그부삽입시에 상기 결합부가 상기 록해제부재의 외주면에 설치한 상기 캠부의 경사면부를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플러그는 선단측에 상기 리셉터클부에 설치되는 받는측의 테이퍼부에 결합하는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록부재는 선단측에 상기 커넥터플러그에 결합하는 플러그계지편을 설치하고, 상기 플러그계지편을 탄성변위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록부재는 탄성변위가능한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신호케이블은 광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신호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된 커넥터플러그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플러그의 외주면에 상기 케이블의 축방향에 소정거리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손잡이부가 부착된 록해제부재로 이루는 플러그부와, 상기 플러그부가 삽탈가능하게 되는 리셉터클부로 이루는 접속장치에 있어서,상기 리셉터클부내에 수용되고, 상기 커넥터플러그와 결합하여 상기 플러그부의 빼기를 계지하는 록부재와,상기 록해제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된 캠부를 거쳐서 상기 록해제부재의 상기 케이블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록부재는 상기 록해제부재가 상기 케이블의 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제어부재가 회동 조작됨으로써 회동조작되는 때 회동지점위치가 이동가능하게 되어서 상기 리셉터클부에 설치된 록부재수납부내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록부재는 선단측에 상기 커넥터플러그에 결합하는 플러그계지편을 설치하고, 상기 플러그계지편을 탄성변위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록부재는 탄성변위가능한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플러그는 선단측에 상기 리셉터클부에 설치되는 받는측의 테이퍼부에 결합하는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349334 | 2000-11-10 | ||
JPJP-P-2000-00349334 | 2000-11-10 | ||
PCT/JP2001/009842 WO2002039551A1 (fr) | 2000-11-10 | 2001-11-09 | Connecteu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67928A true KR20020067928A (ko) | 2002-08-24 |
Family
ID=18822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7008755A KR20020067928A (ko) | 2000-11-10 | 2001-11-09 | 접속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6692287B2 (ko) |
JP (1) | JPWO2002039551A1 (ko) |
KR (1) | KR20020067928A (ko) |
CN (1) | CN100359353C (ko) |
DE (1) | DE10194843B4 (ko) |
HK (1) | HK1054623A1 (ko) |
TW (1) | TW546500B (ko) |
WO (1) | WO200203955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3228B1 (ko) * | 2006-03-03 | 2008-02-14 |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75742B2 (ja) * | 2001-08-03 | 2005-07-27 | 日本電気株式会社 | デジタル信号出力端子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および音声信号出力装置 |
JP2004029162A (ja) * | 2002-06-21 | 2004-01-29 | Sharp Corp | メカニカルロック式コネクタ |
DE102004042671B4 (de) * | 2004-09-01 | 2014-02-13 | Neutrik Aktiengesellschaft | Elektrischer Klinkenstecker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
CN2847596Y (zh) * | 2005-11-04 | 2006-12-13 | 西安科耐特科技有限责任公司 | 快插自锁射频同轴连接器 |
DE102006001630A1 (de) * | 2006-01-11 | 2007-07-12 | Neutrik Aktiengesellschaft | Steckerbuchse |
ATE500529T1 (de) * | 2007-10-12 | 2011-03-15 | Firecomms Ltd | Faseroptischer verbinder |
WO2011100634A2 (en) * | 2010-02-12 | 2011-08-18 | Adc Telecommunications, Inc. | Managed fiber connectivity systems |
US20130017703A1 (en) * | 2011-07-14 | 2013-01-17 | Jeffrey N. Gamelsky | Releasable Connector System |
US10741968B2 (en) * | 2018-09-10 | 2020-08-11 | Vadovations, Inc. | Electrical connector |
US10483690B1 (en) | 2018-09-10 | 2019-11-19 | Vadovations, Inc. | Electrical connector |
CN110196471A (zh) * | 2019-06-04 | 2019-09-03 | 长春光吉科技有限责任公司 | 一种用于光纤耦合的高机械强度快速自定位锁止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93610A (en) * | 1973-02-01 | 1974-02-19 | Itt | Axially mating positive locking connector |
US4540236A (en) * | 1983-07-18 | 1985-09-10 | Cordis Corporation | Quick lock/quick release connector |
US5121454A (en) * | 1989-11-24 | 1992-06-09 |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 Optical connector |
JPH0456083A (ja) * | 1990-06-21 | 1992-02-24 | Nec Corp | 同軸コネクタ |
FR2670615B1 (fr) * | 1990-12-18 | 1993-02-19 | Radiall Sa | Connecteur electrique coaxial. |
US5082455A (en) * | 1991-01-18 | 1992-01-21 | Wei Mu Kang | Lock assembly of a din type connector |
US5233674A (en) * | 1991-11-21 | 1993-08-03 | Methode Electronics, Inc. | Fiber optic connector with sliding tab release |
DE4325895C1 (de) * | 1993-08-02 | 1994-12-22 | Contact Gmbh | Steckverbinderpaar |
US5348491A (en) * | 1993-10-29 | 1994-09-20 | Adc Telecommunications, Inc. | Jack module |
JP3231542B2 (ja) * | 1994-04-15 | 2001-11-26 |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 プラグ誤脱防止機構 |
JP3086844B2 (ja) * | 1995-05-24 | 2000-09-11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気自動車用コネクタ |
US5876217A (en) * | 1996-03-14 | 1999-03-02 | Molex Incorporated |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tention characteristics |
US6113429A (en) * | 1997-02-25 | 2000-09-05 | Dbt Automation Gmbh | Plug-type coupling for sheathed electrical cables |
DE19739576A1 (de) * | 1997-09-10 | 1999-03-25 | Wieland Electric Gmbh | Elektrische Steckverbindung |
KR200246718Y1 (ko) * | 1998-06-02 | 2001-12-17 | 김덕용 | 커넥터체결장치 |
US6464403B1 (en) * | 1999-02-12 | 2002-10-15 | Huber & Suhner Ag | Optical connector |
EP1137115A3 (de) * | 2000-01-25 | 2002-04-10 |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 Kontaktträger |
DE10021377C2 (de) * | 2000-05-02 | 2002-03-07 | Franz Binder Gmbh & Co Elek Sc | Rundsteckverbinder |
TW511801U (en) * | 2001-08-31 | 2002-11-21 | Hon Hai Prec Ind Co Ltd | Cable connector assembly |
-
2001
- 2001-11-09 KR KR1020027008755A patent/KR2002006792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1-11-09 US US10/169,629 patent/US669228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11-09 CN CNB01803604XA patent/CN10035935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11-09 TW TW090127920A patent/TW546500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11-09 JP JP2002541763A patent/JPWO2002039551A1/ja not_active Withdrawn
- 2001-11-09 WO PCT/JP2001/009842 patent/WO200203955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1-11-09 DE DE10194843T patent/DE10194843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7-25 HK HK03105407.3A patent/HK1054623A1/zh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3228B1 (ko) * | 2006-03-03 | 2008-02-14 |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0359353C (zh) | 2008-01-02 |
DE10194843B4 (de) | 2006-01-26 |
TW546500B (en) | 2003-08-11 |
WO2002039551A1 (fr) | 2002-05-16 |
HK1054623A1 (zh) | 2003-12-05 |
CN1395754A (zh) | 2003-02-05 |
US6692287B2 (en) | 2004-02-17 |
US20030060081A1 (en) | 2003-03-27 |
JPWO2002039551A1 (ja) | 2004-03-18 |
DE10194843T1 (de) | 2003-08-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0067928A (ko) | 접속장치 | |
EP1548896B1 (en) | Module connect/disconnect structure and method for disconnecting a module using the structure | |
US20050226587A1 (en) | Mechanism for releasing lock between optical transceiver and cage, optical transceive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releasing lock between optical transceiver and cage | |
TWI536682B (zh) | 纜線組件之閂鎖 | |
US7070439B2 (en) | Package with lock mechanism | |
US6149451A (en) | Cable connector latching device | |
KR100325563B1 (ko) | 커넥터 플러그 | |
US20090209125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release mechanism | |
EP0378909A2 (en) | Trouble-free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 |
CN113296193A (zh) | 光学连接器及其光学连接器模块 | |
US4875867A (en) | Extension handle for a circuit board injector/ejector mechanism | |
JP7146980B2 (ja) | コネクタ又はバヨネット式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組込み又は使用のための方法 | |
WO2013042000A1 (en) | Fiber optic connector with shutter | |
JP5059068B2 (ja) | 着脱工具 | |
CN111679376A (zh) | 连接器 | |
KR100356555B1 (ko) | Pc카드커넥터용카드이젝트버튼장치 | |
US20020006253A1 (en) | Plug construction for an optical plug-and-socket connection | |
CA2387867A1 (en) | Coupling device for coaxial plug-in connectors | |
TW200903907A (en) | Connector device for card | |
CN218383386U (zh) | 光纤耦合结构、光纤耦合座、光纤插头及光声成像系统 | |
JP2000147323A (ja) | コネクタプラグ | |
JP4173249B2 (ja) | 光コネクタおよびキー | |
CN218670592U (zh) | 换挡手柄及换挡手柄总成 | |
JP2006227575A (ja) | 光コネクタ用工具、工具付き光コネクタ | |
CN221408483U (zh) | 充电装置及除颤仪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