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228B1 -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228B1
KR100803228B1 KR1020060061977A KR20060061977A KR100803228B1 KR 100803228 B1 KR100803228 B1 KR 100803228B1 KR 1020060061977 A KR1020060061977 A KR 1020060061977A KR 20060061977 A KR20060061977 A KR 20060061977A KR 100803228 B1 KR100803228 B1 KR 100803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contact member
connector
press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704A (ko
Inventor
고지 치카노
신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0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8Terminal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이 세선화되어도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소형화할 수 있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및 이것에 사용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동축 케이블용 배치 피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동축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각각 협지하는 복수개의 제 1 압압단자를 구비하는 제 1 접촉부재와, 소정 피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동축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 중 제 1 압압단자가 협지하는 부분과 다른 부분을 각각 협지하는 복수개의 제 2 압압단자를 구비하는 제 2 접촉부재를 구비한다.
동축 케이블,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Description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Coaxial Ca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리셉터클 컨택트측의 윗쪽에서 본 도면, (b)는 탄성접촉부측의 윗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부재의 사시도로서, (a)는 절연부재, (b)는 리셉터클 컨택트, (c)는 제 1 그라운드 부재, (d)는 제 2 그라운드 부재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윗쪽에서 본 도면, (b)는 아랫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부재의 사시도로서, (a)는 절연부, (b)는 커버부, (c)는 제 1 쉘(shell)부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컨택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 2 접촉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동축 케이블을 절연부에 끼워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동축 케이블의 뒷 끝 윗쪽에서 본 도면, (b)는 동축 케이블의 앞 끝 윗쪽에서 본 도면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의 설명**
10: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20: 리셉터클 커넥터
26: 리셉터클 컨택트 40: 플러그 커넥터
41: 절연부 71: 제 1 접촉부재
74: 제 1 압압단자 76: 플러그 컨택트
81: 제 2 접촉부재 83: 제 2 압압단자
100: 동축 케이블 101: 내부도체
102: 절연체 103: 외부도체
104: 쟈켓(외피)
본 발명은 통신기기, 전송기기, 계측기기, 그 밖의 신호처리기기의 고속전송에 적합한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로서는 신호처리기기에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져 들어가는 플러 그 커넥터를 구비한 것이 있었다. 이 동축 커넥터에서 외부도체와 접속편(片)(예를 들어, 그라운드 컨택트(Ground Contact))에 대한 전기적 접속, 기계적 접속은, 예를 들어, 압착, 납땜에 의해 이루어졌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4-179150호 공보).
하지만,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의 경박단소(輕薄短小)화가 진행됨에 따라, 동축 케이블의 세선화(細線化)가 진행되어, 외부도체와의 접속부의 피치나 깊이(동축 케이블의 축방향의 칫수)이 작아져, 종래의 접속방법으로는 소형화가 어려워지는 동시에, 생산성도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탄성을 가지는 동축 케이블의 고정이 어려워져, 전기적, 기계적인 접속신뢰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었다. 예를 들어, 압착에 의해 접속하는 경우에는, 동축 케이블을 하나하나씩 압착할 필요가 있어, 압착부가 커지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납땜에 의한 경우에는, 납땜을 위한 넓은 공간이 필요하며, 열에 의해 동축 케이블의 쟈켓이 수축 또는 용융해 버림으로써 칫수나 성능이 불규칙적으로 될 우려가 있고, 더욱이 외부도체와 내부도체에서, 또는 서로 인접하는 동축 케이블끼리 단락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압접(IDC: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에 의해 접속하는 경우에는, 동축 케이블이 세선이 되면 쉽게 굴곡되기 때문에, 접속이 불충분해지기 쉽다. 특히, 외부도체가 편조(編組, braided)인 경우에는, 압접시에 편조가 빠져나가기 쉽기 때문에, 안정된 도통을 얻기 어렵다. 또한, 압접의 압력으로 내부도체가 절단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는 소정 피치로 열(列)형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로서, 소정 피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동축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각각 협지하는 복수개의 제 1 압압(押壓)단자를 구비하는 제 1 접촉부재와,
소정 피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동축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 중 제 1 압압단자가 협지하는 부분과는 다른 부분을 각각 협지하는 복수개의 제 2 압압단자를 구비하는 제 2 접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는 제 1 접촉부재를 구비하는 쉘부와, 제 2 접촉부재를 구비하는 절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연부에 쉘부를 끼워맞춤으로써,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를 제 1 압압단자 및 제 2 압압단자에 의해 각각 협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압압단자는 절연부측이 개방된 대략 U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압압단자는 쉘부측이 개방된 대략 U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연부에 쉘부를 끼워맞춤으로써,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를 그 끼워맞춤 방향에 따른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부터 제 1 압압단자 및 제 2 압압단자에 의해 각각 협지하면 좋다.
노출된 외부도체로부터는, 제 1 압압단자 또는 제 2 압압단자를 거친 2개의 도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는, 신호처리기기에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 터와, 소정 피치로 열형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져 들어가는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로서, 플러그 커넥터는 소정 피치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동축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각각 협지하는 복수개의 제 1 압압단자를 구비하는 제 1 접촉부재와, 소정 피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동축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 중 제 1 압압단자가 협지하는 부분과 다른 부분을 각각 협지하는 복수개의 제 2 압압단자를 구비하는 제 2 접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10)(도 1)는, 소정 피치로 열형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1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40)와, 복수개의 신호선과 어스라인을 가지는 신호처리기기에 접속된 리셉터클 커넥터(20)를 가진다. 플러그 커넥터(40)를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끼워넣음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복수개의 컨택트와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100)을 도통시킬 수 있다.
(1) 리셉터클 커넥터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0)는 플러그 커넥터(40)를 끼웠다 뺐다 하는 삽입홈(22a)(도 1 참조)이 형성된 절연부재(21)와, 리셉터클 컨택트(26)와, 제 1 그라운드 부재(31)와, 제 2 그라운드 부재(36)를 가진다.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제 1 그라운드 부재(31)를 절연부재(21)에 밖에서 끼우 고, 제 2 그라운드 부재(36)를 절연부재(21)에 끼워넣음으로써 조립된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절연부재(21)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사출성형품으로써, 동축 케이블(100)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배치된 리셉터클 컨택트(26)(도 3의 (b))가 눌려들어간다. 절연부재(21)의 길이방향에 따른 측벽(23)에는, 동축 케이블(100)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절연부재(21)의 폭방향 안쪽으로 각각 오목 설치된 컨택트 수용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측벽(23)에는 제 1 그라운드 부재 삽입부(23b,2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그라운드 부재 삽입부(23b,23c)는 아랫쪽 끝이 측벽(23)에 고정된 판형상 부재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측벽(23)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한 것이다. 또한, 절연부재(21)의 길이방향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40)의 플러그 컨택트(76)를 끼웠다 뺐다 하는 삽입홈(22a), 및 제 2 그라운드 부재(36)가 끼워져 들어가는 제 2 그라운드 부재 삽입부(22b)가, 서로 평행하게 오목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제 2 그라운드 부재 삽입부(22b)는 절연부재(21)의 길이방향에서 소정 간격마다, 절연부재(2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접촉부 수용부(22b1)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의 (b)에 열형상으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리셉터클 컨택트(26)는 각각,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된 띠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보유부(27)와, 휨부(28)와, 접속단부(29)를 구비한다. 보유부(27)는 측벽(23)의 컨택트 수용부(23a)를 협지하도록 아랫쪽을 향한(도 3의 (b)의 아랫방향) 대략 U자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보유부(27)에는 절연부재(21)의 컨택트 수용부(23a)에 설치된 걸어맞춤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에 걸어맞추기 위하여 폭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걸어맞춤 부(27a)가 설치되어 있다. 보유부(27)의 한 쪽 끝으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된 휨부(28)는 윗쪽을 향한(도 3의 (b)의 윗방향) 대략 U자형상으로 구부러져 이루어지며, 삽입홈(22a) 안에 수용된다. 보유부(27)의 다른 쪽 끝으로부터는, 보유부(27)가 컨택트 수용부(23a)를 협지하도록 배치했을 때, 절연부재(21)의 컨택트 수용부(23a)로부터 수평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접속단부(29)가 연장되어 설치되며, 이 접속단부(29)는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땜납 고정되어, 신호처리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셉터클 컨택트(26)는 기재(예를 들어, 인청구리, 베릴륨구리, 티탄구리) 위에 하지 도금(예를 들어, 니켈 도금)을 실시한 후에, 마무리 도금(예를 들어, 금 도금)을 하여 제작한다. 리셉터클 컨택트(26)의 판두께는 커넥터의 소형화, 저배화를 고려하고, 또한 스프링 설계나 가공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커넥터의 피치가 0.3~0.5mm인 경우에는 0.05~0.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하지 도금은 0.5㎛~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5㎛ 미만이면 하지 도금으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4㎛를 넘으면 플러그 커넥터(40)와의 슬라이딩 접속시의 변형에 의해 클랙이 쉽게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도 3의 (c)에 나타내는 제 1 그라운드 부재(31)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된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절연부재(21)의 측벽(23) 및 길이방향 양 끝의 측벽(24,25)을 덮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을 이루도록 구부러져 이루어져 있다. 제 1 그라운드 부재(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 기부(32)의 양 끝에는, 절연부재(21)에 밖에서 끼웠을 때 측벽(24,25)을 각각 감싸도록 구부러지게 한 측벽보유부(34,35)가 형성되어 있다. 판형상 기부(32)의 아랫쪽 끝으로부터는 고정단부(32a,32b)가, 측벽보유부(34,35)의 아랫쪽 끝으로부터는 고정단부(34a,35a)가, 각각 수평방향으로 제 1 그라운드 부재 삽입부(23b,23c)에 끼워지고, 또한 측벽보유부(34,35)를 측벽(24,25)으로 밖에서 끼워 서로 맞물리게 하며, 더욱이 고정단부(32a,32b), 고정단부(34a,35a)를 회로기판의 소정 위치에 땜납 고정하여 접지함으로써, 절연부재(21)에 대하여 고정한다.
도 3의 (d)에 나타내는 제 2 그라운드 부재(36)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된 금속재로서, 대략 긴 판형상의 기부(37)의 길이방향 양 끝을 구부러지게 하여 평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으로 한 것이다. 이 양 끝에는 제 1 그라운드 부재(31)의 측벽보유부(34,35)의 고정단부(34b,35b)에 각각 맞닿는 돌기(38a,38b)가, 각각 길이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부(37)에는 탄성접촉부 수용부(22b1)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부(37)와 직교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일단 연장된 후에 기부(37)측으로 위로 꺾어져 돌아오도록 구부러진 복수개의 탄성접촉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부재(36)는 복수개의 탄성접촉부(39)를 각각 탄성접촉부 수용부(22b1) 안에 수용하며, 또한 돌기(38a,38b)가 고정단부(34b,35b)에 각각 맞닿도록 기부(37)를 제 2 그라운드 부재 삽입부(22b)로 끼워넣음으로써, 절연부재(21)에 대하여 고정한다. 돌기(38a,38b)가 고정단부(34b,35b)에 각각 맞닿음으로써, 제 1 그라운드 부재(31)와 제 2 그라운드 부재(36)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2) 플러그 커넥터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0)는 절연부(41)와, 커버부(61)와, 제 1 접촉부재(71)를 구비한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절연부(41)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대략 긴 판형상의 사출성형품으로서, 그 길이방향에 따라 동축 케이블(100)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100)과 같은 수 배치된 플러그 컨택트(76), 및 제 2 접촉부재(81)와 일체로 인서트 성형된다. 절연부(41)의 길이방향에 따라, 제 2 접촉부재(81)가 배치된 측의 측벽(43)에는, 제 1 접촉부재(71)의 복수개의 맞물림부(75)가 각각 끼워져 들어가는 복수개의 단자 끼워넣기구멍(44)이 뚫려 있다. 또한, 절연부(41)의 길이방향의 양 끝 부분에는, 커버부(61)의 2개의 끼워맞춤 볼록부(65)가 각각 끼워져 들어가는 2개의 끼워맞춤 오목부(45)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끼워맞춤 오목부(45)에는 절연부(41)의 길이방향 바깥쪽에, 제 1 접촉부재(71)에 2개씩 설치된 접촉 설부(tongue)(72), 맞닿음 설부(73)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2개의 삽입관통구멍부(46)가 각각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 삽입관통구멍부(46)는 절연부(41)를 상하방향(도 5의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 5의 (a), 도 6의 (a)에 나타내는 플러그 컨택트(76)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된 띠형상의 금속재를 구부려 이루어진 것으로, 접속부(77)와, 신호접속부(78)와, 맞물림부(79)를 구비한다. 접속부(77)는 대략 U자형상으로 구부러져 이루어지며, 플러그 커넥터(40)를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끼워넣을 때, U자의 바닥측으로부터 삽입홈(22a) 안으로 수용되도록 절연부(41) 안에 배치된다. 삽입홈(22a) 안에서 접속부(77)는 리셉터클 컨택트(26)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접속부(77)의 입설면(77a)과 휨부(28)의 굴곡부(28a)가 맞닿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1). 신호접속부(78)는 접속부(77)의 한 쪽 끝으로부터 수직으로 멀어지도록 구부러지며, 절연부(41)에서 제 2 접촉부재(81)에 협지된 동축 케이블(100)의 내부도체(101)에 각각 대응,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맞물림부(79)는 접속부(77)의 다른 쪽 끝으로부터 수직으로 멀어지도록 구부러져 이루어지며, 그 폭방향이나 판두께 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맞물림부를 절연부(41)에 일체 성형하여 빠짐방지함으로써, 절연부(41)에 보유된다. 복수개의 플러그 컨택트(76)는 동축 케이블(100)이 배치되는 소정의 간격으로, 절연부(41)에 의해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보유된다. 한편, 플러그 컨택트(76)를 구성하는 재료 및 제법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컨택트(26)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의 (a), 도 6의 (b)에 나타내는 제 2 접촉부재(81)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된 금속재이며, 대략 사각기둥 형상의 기둥형상 기부(82)와, 제 2 압압단자(83)와, 제 1 지지부(84), 제 2 지지부(85)를 구비한다.
기둥형상 기부(82)는 그 길이방향이 절연부(41)의 길이방향에 따르도록 절연부(41)에 배치된다. 제 2 압압단자(83)는 기둥형상 기부(82)의 일측면에서, 동축 케이블(100)의 배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동축 케이블(100)과 같은 수의 대략 U자형상으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U자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폭은, 외부도체(10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좁게 하는 경우, 외부도체(103)를 제 2 압압단자(83) 안으로 눌러넣음으로써, 이에 의해 외부도체(103)가 확실하게 보유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 2 압압단자(83) 안으로 외부도체(103)를 삽입하기 쉽 다는 관점에서는, 제 2 압압단자(83)의 U자형상의 폭이 외부도체(103)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지지부(84) 및 제 2 지지부(85)는 기둥형상 기부(82)의 제 2 압압단자(83)를 설치한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기둥형상 기부(82)로부터 멀어지도록, 또한 몇 개의 제 2 압압단자(83)마다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설편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지지부(84)는 제 2 그라운드 부재(36)의 탄성접촉부(39)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그 바닥면(84a)(도 6의 (b)의 상측면)은 제 2 그라운드 부재(36)의 탄성접촉부(39)의 굴곡면(39a)(도 3의 (d))과 맞닿아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접촉면(84a)을 이루고 있다.
이 제 2 접촉부재(81)는 제 1 지지부(84)를 제 2 그라운드 부재(36)의 탄성접촉부(39)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절연부(41)에 지지된 제 2 압압단자(83)의 U자형상 개구측이 커버부(61) 및 제 1 접촉부재(71) 측으로 향하고, 또한 이 제 2 압압단자(83)가 플러그 커넥터(40)에 보유되는 동축 케이블(100)의 복수개의 외부도체(103)에 대응,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 2 접촉부재(81)에 제 1 지지부(84) 및 제 2 지지부(85)를 설치함으로써, 제 2 접촉부재(81)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절연부(41)에 대한 제 2 접촉부재(81)의 보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 2 접촉부재(81)를 구성하는 재료 및 제법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컨택트(26)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의 (b)에 나타내는 커버부(61)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사출성형품으로 써, 긴 판 형상을 가진다. 그 폭방향의 한 쪽 끝 부분의 아랫면(66)에는 동축 케이블(100)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동축 케이블(100)과 같은 수만큼, 윗면(67) 쪽으로 오목설치된 도입오목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윗면(67)에는 도입오목부(62)에 대응하는 위치보다 폭방향 안쪽으로, 도입오목부(62)에 대응한 피치로 윗면(67)으로부터 아랫면(66)으로 관통하는 단자 삽입관통구멍(6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아랫면(66)의 길이방향 양 끝에는, 아랫쪽으로 돌출하도록 끼워맞춤 볼록부(6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부(61)는 끼워맞춤 볼록부(65)를 절연부(41)의 끼워맞춤 오목부(45)에 각각 끼워넣음으로써, 절연부(41)에 보유된다.
도 5의 (c)에 나타내는 제 1 접촉부재(71)는 대략 긴 판 형상의 금속부재로서, 접촉 설부(72)와, 맞닿음 설부(73)와, 제 1 압압단자(74)와, 맞물림부(75)와, 쉘스프링(도 1, 도 4의 (d))(80)을 구비한다. 한편, 제 1 접촉부재(71)를 구성하는 재료 및 제법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컨택트(26)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접촉 설부(72), 맞닿음 설부(73)는 제 1 접촉부재(71)의 길이방향 양 끝으로부터 아랫쪽으로(도 5의 (c)의 아랫쪽),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부러져 이루어진다. 이 접촉 설부(72), 맞닿음 설부(73)들은 제 1 접촉부재(71)를 커버부(61)를 통하여 절연부(41)에 결합할 때, 절연부(41)의 삽입관통구멍부(46)로 끼워져 들어가, 절연부(41)의 아랫면으로부터 아랫쪽으로 연장되어 나아간다. 접촉 설부(72)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뚫린 관통구멍(72a)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40)를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끼워넣으면, 2개의 접촉 설부(72)의 각각의 관통구멍(72a) 안에, 제 2 그라운드 부재(36)의 돌기(38a,38b)가 각각 맞물리고, 이에 의해 제 1 접촉부재(71)와 제 2 그라운드 부재(3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접촉 설부(72)는 돌기(38a,38b)를 설치한 부분의 스프링성에 의해 제 1 그라운드 부재(31)의 고정단부(34b,35b)에 맞닿아, 제 1 접촉부재(71)는 제 1 그라운드 부재(31)와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압압단자(74) 및 맞물림부(75)는, 제 1 접촉부재(71)의 폭방향의 한 쪽 끝면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100)의 배치 피치에 대응한 피치로, 아랫쪽으로 개방된 대략 U자형상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일렬로 설치되어 있다. 맞물림부(75)는 단자 끼워넣기구멍(4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압압단자(74)는 커버부(61)를 통하여 제 1 접촉부재(71)를 절연부(41)에 결합할 때, 커버부(61)의 단자 삽입관통구멍(64)을 관통하여 앞 끝이 절연부(41)의 단자 끼워넣기구멍(44) 안으로 끼워져 들어간다. 제 1 압압단자(74)의 U자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폭은, 외부도체(10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좁게 한 경우, 외부도체(103)를 제 1 압압단자(74) 안으로 눌러넣음으로써, 이에 의해 외부도체(103)가 확실하게 보유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 1 압압단자(74) 안으로 외부도체(103)를 삽입하기 쉽다는 관점에서는, 제 1 압압단자(74)의 U자형상의 폭이 외부도체(103)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쉘스프링(80)은 제 1 접촉부재(71)의 폭방향의 다른 쪽 끝면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아랫쪽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쉘스프링(80)은 플러그 커넥터(40)를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끼워넣었을 때 판형상 기부(32)의 측면에 맞닿는 곡면(80a)을 구비하고 있다.
동축 케이블(100)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축 쪽으로부터 1개의 도선인 내부도체(101), 절연체(102), 편조의 외부도체(103), 쟈켓(외피)(104)의 순서로 동심의 층 형상으로 배치된 케이블으로서, 소정의 피치(예를 들어, 0.4mm 피치)로, 쟈켓(104)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열형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도체(101)를 하나의 도선으로 하고 있지만, 복수개의 도선이 절연체(102) 안에 수용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이어도 좋다. 또한, 편조가 아닌 타입의 외부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동축 케이블(100)은 그 앞 끝에서, 예를 들어 스트리프(strip) 가공이나 레이저 가공에 의해 내부도체(101), 절연체(102), 외부도체(103), 쟈켓(104)이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10)의 형상에 맞춘 소정의 길이, 소정의 위치에서 노출되도록 가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동축 케이블(100)의 앞 끝에서는, 내부도체(101)가 절연부(41)와 일체가 된 플러그 컨택트(76)의 신호접속부(78)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노출하고, 이어서 절연체(102)가 노출하며, 노출시키지 않고 쟈켓(104)을 남긴 부분을 거쳐, 절연부(41) 위의 제 2 압압단자(8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외부도체(103)가 노출하고 있다. 이 외부도체(103)는 플러그 커넥터(40)에 리셉터클 커넥터(20)를 끼워넣었을 때, 제 1 압압단자(74)가 접촉할 수 있게 되는 위치까지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도체(103)의 노출부분보다 앞 끝 쪽에 쟈켓(104)을 남긴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외부도체(103)의 파단부분이 노출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편조의 일부가 잘려 낙하할 우려가 줄어들어, 작업성이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한, 절연부(41)에 절연체(102)를 위치결정하는 동시에 협지하는 돌기부(47)를 형성하면,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내부도체(101)와 외부도체(103)의 분리를 확실히 즉, 단락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4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서로 결합된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100)을 예를 들어, 전용 지그에 의해 파지하여, 노출된 외부도체(103)의 앞 끝 쪽(노출된 내부도체(101)측)이 제 2 압압단자(83)의 내부에 협지되도록 각각 눌러넣고, 또한 앞 끝의 내부도체(101)를 신호접속부(78)에 각각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외부도체(103)와 제 2 접촉부재(8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내부도체(101)는 신호접속부(78)에 대하여 예를 들어, 핫 플레이트(hotplate), 레이저를 사용하여 납땜되며, 이에 의해 동축 케이블(100)과 플러그 컨택트(76)가 전기적을 접속된다. 한편, 플러그 컨택트(76)와 내부도체(101)의 전기적 접속은 납땜 외에, 압입이나 스프링 접촉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어서, 끼워맞춤 볼록부(65)를 끼워맞춤 오목부(45)에 끼워넣음으로써, 커버부(61)를 절연부(41)에 결합한다. 결합하면, 노출된 외부도체(103) 뒷쪽의 쟈켓(104)은 도입오목부(62) 안에 수용 보유되며, 커버부(61)의 단자 삽입관통구멍(64)의 아랫쪽에 절연부(41)의 단자 끼워넣기구멍(44)이 배치된다. 이어서, 제 1 압압단자(74)를 단자 삽입관통구멍(64)에 삽입하고, 또한 접촉 설부(72), 맞닿음 설부(73)를 삽입관통구멍부(46)에 삽입하여, 제 1 접촉부재(71)를 커버부(61)를 통하여 절연부(41)에 결합한다. 이 때, 제 1 압압단자(74)는 단자 삽입관통구멍(64)을 관통하여, 노출된 외부도체(103) 뒷 끝 쪽의 위치에서 즉, 제 2 압압단자(83)가 협지하는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서, 외부도체(103)를 윗쪽으로부터 협지하도록, 단자 끼워넣기구멍(44) 안으로 끼워져 들어간다. 이에 의해, 외부도체(103)와 제 1 접촉부재(71), 더욱이 제 2 접촉부재(8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욱이, 맞물림부가 단자 끼워넣기구멍(44)에 눌려들어가 맞물림 고정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0)는 리셉터클 컨택트(26)의 휨부(28)와 삽입홈(22a)의 내벽으로 협지되는 공간에 플러그 컨택트(76)의 접속부(77)를 눌러넣도록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끼워져 들어간다. 이에 의해 내부도체(101)와 접속된 플러그 컨택트(76)와 리셉터클 컨택트(2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2개의 접촉 설부(72)가 고정단부(34b)와 돌기(38a) 사이, 및 고정단부(35b)와 돌기(38b) 사이에 각각 눌려 들어가며, 쉘스프링(80)의 곡면(80a)이 제 1 그라운드 부재(31)의 판형상 기부(32)의 바깥측면(32c)에 맞닿기 때문에(도 1), 제 1 접촉부재(71), 제 1 그라운드 부재(31) 및 제 2 그라운드 부재(3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2 그라운드 부재(36)의 탄성접촉부(39)가 그 탄성에 의해 제 2 접촉부재(81)의 제 1 지지부(84)를 윗쪽으로 밀어올리도록 맞닿아 있다. 이에 의해, 제 2 접촉부재(81)와 제 2 그라운드 부재(36)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뿐만 아니라, 제 2 압압단자(83) 안으로 외부도체(103)를 더욱 밀어넣게 되기 때문에, 제 2 접촉부재(81)와 외부도체(103)의 전기적인 접속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그 결과, 제 1 그라운드 부재(31), 제 2 그라운드 부재(36), 제 1 접촉부재(71), 제 2 접촉부재(81), 및 외부도체(10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접지되게 된다.
또한, 외부도체(103)를 제 1 압압단자(74)와 제 2 압압단자(83)에 의해 상하로부터(반대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끼우고, 노출된 외부도체(103)를 압축하도록 압력을 걸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외부도체(103)에 균일하게 부하를 걸 수 있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100)을 보유하는 힘을 높여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동축 케이블(100)이 세선화되어도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어,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10)의 소형화에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이 협지하는 구성에 의해 동축 케이블(100)이 진동, 견인되더라도 접속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적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 접촉부재(81) 안에 동축 케이블(100)의 외부도체(103)를 눌러넣고, 이 외부도체(103)에 제 1 압압단자(74)를 피복한다는 간단한 구성이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100)의 피치가 작아지고, 다극화되어도,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10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용이해져, 이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외부도체(103)로부터의 도통로가 제 1 접촉부재(71)의 제 1 압압단자(74)를 거쳐 제 1 그라운드 부재(31)에 이르는 경로와, 제 2 접촉부재(81)의 제 2 압압단자(83)를 거쳐 제 2 그라운드 부재(36)에 이르는 경로의 2가지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도통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그라운드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제 1 그라운드 부재(31)와 제 2 그라운드 부재(36)를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시킴으로써, 외부도체(103)로부터의 2개의 도통로를 서로 접속하여, 이 닫힌 공간 안에 내부도체(101), 플러그 컨택트(76), 및 리셉터클 컨택트(26)로 이루어지는 신호선 라인을 배치하여, 이들을 감싸는 것에 의해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개선의 목적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개량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2개의 압압단자에 의해 협지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기계적 신뢰성이 높아지고, 또한 동축 케이블이 세선화되어도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어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도통로가 2개가 되기 때문에, 높은 전기적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이 구성에 따르면, 동축 케이블의 피치가 작아지고 다극화되어도 쉽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라인으로 신호선 라인을 감싸게 되기 때문에, 실드(shield)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동축 케이블이 배치되는 간격의 피치로 열형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로서,
    상기 피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동축 케이블의 노출된 외부도체를 각각 협지하는 복수개의 제 1 압압단자를 구비하는 제 1 접촉부재와,
    상기 피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동축 케이블의 노출된 상기 외부도체 중 상기 제 1 압압단자가 협지하는 부분과는 다른 부분을 각각 협지하는 복수개의 제 2 압압단자를 구비하는 제 2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접촉부재를 가지는 쉘부와, 상기 제 2 접촉부재를 가지는 절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부에 상기 쉘부를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를 상기 제 1 압압단자 및 상기 제 2 압압단자에 의해 각각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압단자는 상기 절연부측이 개방된 U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압압단자는 상기 쉘부측이 개방된 U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연부에 상기 쉘부를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를 그 끼워맞춤 방향에 따른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1 압압단자 및 상기 제 2 압압단자에 의해 각각 협지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노출된 상기 외부도체로부터는, 상기 제 1 압압단자 또는 상기 제 2 압압단자를 거친 2개의 도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5. 신호처리기기에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동축 케이블이 배치되는 간격의 피치로 열형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들어가는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피치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노출된 상기 외부도체를 각각 협지하는 복수개의 제 1 압압단자를 구비하는 제 1 접촉부재와,
    상기 피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동축 케이블의 노출된 상기 외부도체 중 상기 제 1 압압단자가 협지하는 부분과 다른 부분을 각각 협지하는 복수개의 제 2 압압단자를 구비하는 제 2 접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KR1020060061977A 2006-03-03 2006-07-03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KR100803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7201A JP2007234490A (ja) 2006-03-03 2006-03-03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JP-P-2006-00057201 2006-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704A KR20070090704A (ko) 2007-09-06
KR100803228B1 true KR100803228B1 (ko) 2008-02-14

Family

ID=3855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977A KR100803228B1 (ko) 2006-03-03 2006-07-03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234490A (ko)
KR (1) KR1008032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92B1 (ko) 2010-07-23 2012-04-13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0284B2 (ja) * 2008-06-19 2013-07-10 矢崎総業株式会社 液面レベル検出装置
KR101125067B1 (ko) * 2008-12-12 2012-03-21 암페놀커머셜인터커넥트코리아(주)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101027916B1 (ko) * 2008-12-16 2011-04-12 케이. 에이. 이 (주)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JP7404142B2 (ja) * 2020-04-17 2023-1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組立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928A (ko) * 2000-11-10 2002-08-2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접속장치
JP2004179150A (ja) * 2002-11-13 2004-06-24 Kel Corp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928A (ko) * 2000-11-10 2002-08-2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접속장치
JP2004179150A (ja) * 2002-11-13 2004-06-24 Kel Corp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92B1 (ko) 2010-07-23 2012-04-13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34490A (ja) 2007-09-13
KR20070090704A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95363B1 (en) High speed connector
US8764486B2 (en) Shielded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hielded connector
US7147512B2 (en) Connector assembly
US7311552B1 (en) Micro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6338652B1 (en) Low profile cable connector with grounding means
KR100968327B1 (ko) 다극동축커넥터
US7442057B2 (en) MIMO RF connector assembly
KR101125067B1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US1168285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60135964A (ko) 저 인덕턴스 차폐 커넥터
US7794271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wire management member thereof
JPH0521110A (ja)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
US1003828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wires soldered upon internal printed circuit board and embedded within insulator
US787885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US6250959B1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with very fine conductors
US1188826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matable board connector and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bar
US6544050B1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assembly
KR100803228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KR20060057990A (ko) 다극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KR101743390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1521386B1 (ko) 케이블 접속 방법
CN113725642A (zh) 包括插座连接器和插头连接器的连接器组件
KR100794733B1 (ko) 커넥터
EP0951092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US20230369784A1 (en) Contact assembly for a cable card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