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327B1 - 다극동축커넥터 - Google Patents

다극동축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327B1
KR100968327B1 KR1020080022512A KR20080022512A KR100968327B1 KR 100968327 B1 KR100968327 B1 KR 100968327B1 KR 1020080022512 A KR1020080022512 A KR 1020080022512A KR 20080022512 A KR20080022512 A KR 20080022512A KR 100968327 B1 KR100968327 B1 KR 100968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ground
signal
terminal
coaxi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4638A (ko
Inventor
코스케 요시오카
나루토시 호시노
슈지 카토
히로히사 타나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6568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07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6574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145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65692A external-priority patent/JP43055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65755A external-priority patent/JP43055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657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314589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8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4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for shielded flat cable
    • H01R12/598Each conductor being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e.g. multiple coaxial cables in fla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9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with wires separated by conductiv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다극동축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해 부재 사이의 피치를 작게 하여, 접속체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다극동축커넥터를 얻는다. 하우징 블록(3)과 리셉터클(4)을 결합하였을 때에, 신호 포스트(5)와 신호 컨택트(8)가 도통됨과 아울러, 접지 컨택트(6)와 접지 케이스(7)가 도통되고, 내부도체(21)와 신호SMD단자(81)가 도통됨과 아울러, 외부도체(23)와 접지SMD단자(71)가 도통되는 다극동축커넥터(1)에 있어서, 접지 컨택트(6)가, 인접하는 접지 컨택트(6) 측이 개방되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Figure R1020080022512
다극동축커넥터, 동축케이블, 상호간섭, 내노이즈, 커넥터, 리셉터클

Description

다극동축커넥터{MULTI-POLE 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同軸)케이블을 접속한 동축케이블 접속체(接續體)와 신호단자 및 접지(ground)단자를 갖는 고정측 접속체를 결합하는 다극(多極)동축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축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5-10851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 끼리를 접속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동축커넥터에서는, 한 쪽의 동축케이블의 접속체인 수(雄)몸체와, 다른 쪽의 동축케이블의 접속체인 암(雌)몸체를 끼워 맞춰 결합함으로써, 각각의 수몸체 및 암몸체에 설치한 도전부재(導電部材) 즉, 핫단자(hot terminal)나 어스단자(earth terminal)(접지단자)를 통해, 서로 접속하려고 하는 동축케이블의 내부도체(導體)끼리와 외부도체끼리를 도통(導通)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다극동축커넥터에서는, 수부재 및 암부재에 각각 설치된 어스단자는 중심부에 배치되는 핫단자의 외측에 절연재(絶緣材)를 통해 외측에서 끼워지지만, 이때 각 어스단자는 핫단자의 전 둘레를 둘러싸도록 통(筒)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내(耐)노이즈성(noise resistance)의 향상이나 신호의 상호 간섭의 억제 등을 도모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수부재 및 암부재에 각각 설치한 다극동축커넥터에서는, 통 형상으로 형성한 어스단자를 병설(竝設)한 경우에, 인접하는 각각의 어스단자의 2개의 두꺼운 부분이 병설방향으로 존재하게 되는 만큼, 어스단자 사이의 피치(pitch)가 커지게 되고, 나아가서는 수부재나 암부재 등의 접속체가 동축케이블의 병설방향으로 대형화하여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욱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다극동축커넥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동축케이블의 내부도체에 접속되는 신호 포스트(post)와, 이 신호 포스트에 절연체(絶緣體)를 통해 외측에서 끼워져 이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에 접속되는 접지 컨택트(ground contact)와의 조합이 복수개 평행하게 배치된 동축케이블 접속체와, 신호단자를 갖는 신호 컨택트와, 이 신호 컨택트에 절연체를 통해 외측에서 끼워져 접지단자를 갖는 접지 케이스(ground case)와의 조합이 복수개 평행하게 배치된 고정측 접속체를 구비하고, 상기 동축케이블 접속체와 상기 고정측 접속체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신호 포스트와 상기 신호 컨택트가 도통됨과 아울러, 상기 접지 컨택트와 상기 접지 케이스가 도통되고, 상기 내부도체와 상기 신호단자가 도통됨과 아울러, 상기 외부도체와 상기 접지단자가 도통되는 다극동축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지 컨택트가, 인접하는 접지 컨택트측이 개방되는 단 면(斷面)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접지 컨택트는 외부도체의 외측으로부터 압압(押壓)하여 고정하는 스웨이징부(swaging unit)를 구비하고, 이 스웨이징부가 인접하는 접지 컨택트측을 제외하고 외부도체의 외측을 둘러싸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접지 케이스가, 인접하는 접지 케이스측이 개방되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신호 컨택트는 상기 신호 포스트를 양측으로부터 탄발력(彈發力)으로써 끼우는 한 쌍의 접촉편을 갖고, 상기 접지 케이스는 상기 신호 컨택트에 절연체를 통해 외측에서 끼워져 상기 접지 컨택트의 한 쌍의 접촉편에 탄발력으로써 끼워져서, 상기 접지 컨택트의 한 쌍의 접촉편의 개폐방향과, 상기 신호 컨택트의 한 쌍의 접촉편의 개폐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접지 컨택트의 한 쌍의 접촉편에 의해 끼우는 접지 케이스의 접촉부분이 평판(平板)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접지 컨택트의 한 쌍의 접촉편의 개폐방향을 상기 고정측 접속체의 표리(表裏)방향으로 하여, 그 고정측 접속체의 표면 및 이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이 접촉편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회피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신호단자와 상기 접지단자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그러한 표면이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고정측 접속체로부터 돌출하여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접지단자의 상기 신호단자와 면(面)대향하는 부분의 선단(先端) 측이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두 갈래 형상으로 된 각 선단부가 상기 신호단자에 걸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더욱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다극동축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동축케이블이 공통부분으로서의 하우징에 접속된 하우징 블록(housing block)과, 기판에 고정된 리셉터클(receptacle)을 서로 끼워 맞추는 다극화(多極化)된 동축커넥터에 대하여 예시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하우징 블록의 하우징에 대한 동축케이블의 삽입방향 앞쪽을 전방, 삽입방향 안쪽(앞쪽)을 후방으로 한다.
도 1은 다극동축커넥터의 전체 사시도, 또한, 도 2는 다극동축커넥터 속의 일부를 꺼내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극동축커넥터(1)는, 복수의 동축케이블(2)이 접속되는 동축케이블 접속체로서의 하우징 블록(3)과,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는 고정단자로서의 신호 SMD단자(신호단자)(81) 및 접지SMD단자(접지단자)(71)를 갖는 고정측 접속체로서의 리셉터클(4)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하우징 블록(3)과 리셉터클(4)을 끼워 맞춰 결합하는 것으로, 하우징 블록(3)에 설치된 도전부재로서의 신호 포스트(5) 및 접지 컨택트(6)와, 리셉터클(4)에 설치된 도전부재로서의 접지 케이스(7) 및 신호 컨택트(8)을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2)의 내부도체(21)와 상기 신호SMD단자(81), 및 외부도체(23)와 상기 접지SMD단자(71)가 서로 도통되도록 되어 있다.
동축케이블(2)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불평형(不平衡)한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특성 임피던스(impedence)가 규정된 전선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체로 이루어지는 선재(線材)로서의 내부도체(21)와, 이 내부도체(21)의 외주(外周)를 피복하는 절연체(22)와, 이 절연체(22)의 외주를 피복하는 외부도체(23)와, 또한 최외층의 보호피막으로서의 시스(sheath)(24)를 구비하고,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 가요성(可撓性)의 케이블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하우징 블록에 포함되는 하우징의 사시도, 도 4는 하우징 블록에 포함되는 조립블록의 사시도, 또한, 도 5는 하우징에 대한 조립블록의 삽입상태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블록(3)은 대략 사각형의 박판(薄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단면 사각형 형상의 삽입구멍(31a)이 일정한 극간(極間) 피치(단자간 피치, P)(도 1 참조)로 길이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나란히 정렬 형성된 하우징(31)과, 이 하우징(31)의 길이방향(도면 중 왼쪽 위 - 오른쪽 아래) 양측에 설치되어 리셉터클(4)에 결합하는 로크아암(lock arm)(32)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1)의 각 삽입구멍(31a)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포스트(5)와 접지 컨택트(6)가 서브 어셈블리(sub assembly)된 조립블록(9)을,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2)이 접속된 상태로 끼워 부착된다.
이때,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2)의 내부도체(21)는 신호 포스트(5)에 접속됨과 아울러, 외부도체(23)는 접지 컨택트(6)에 접속된다. 여기서, 신호SMD단자(81)는 신호 컨택트(8)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접지SMD단자(71)는 접지 케이스(7)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리셉터클을 그 중간부에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4)은 외곽을 이루는 금속제의 쉘(shell)(41)과, 이 쉘(41) 내에 끼워 삽입되는 합성수지제의 절연몸체(42)를 구비하고, 또한 이 절연몸체(42)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형상(42a)에 끼워 삽입(압입(壓入)된 접지 케이스(7) 및 신호 컨택트(8)를 구비하고 있다.
쉘(41)의 전단부(前端部)는 하우징(31)의 뒷부분에 단부(段部)로써 형성된 도 3에 도시하는 끼워맞춤부(31M)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하우징 블록(3)과 리셉터클(4)이 결합된다.
도 7은 하우징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하우징에 로크아암을 설치하는 모습을 외측방(外側方)에서 본 요부 사시도, 또한, 도 9는 하우징에 로크아암을 설치하는 모습을 내측방(內側方)에서 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블록(3)의 본체부로서의 하우징(31)은 합성수지에 의해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짧은 방향(도면 중 왼쪽 위 -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구멍(31a)이 긴 방향(도면 중 왼쪽 위 -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1)의 긴 방향 양 단부(端部)에는, 동축(同軸) 케이블(2)의 삽입방향 앞쪽(= 괴리(乖離)방향; X방향)으로 향해 돌출하는 로크아암(32)의 부착돌기(3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돌기(31b)의 밑부분에는 단차부(段差部)(31c)가 형성되고, 그 만큼 상기 부착돌기(31b)는 하우징(31)의 본체측과 비교하여 두께 방향으로 얇아져 있다.
그리고, 하우징(31)의 긴 방향 양 단부에는 로크아암(32)의 가이드(guide)(31d)가 형성됨과 아울러, 부착돌기(31b)의 외측면에는 걸림오목부(31e)가 형성되고 또한 그 부착돌기(31b)의 내측면을 따른 본체부에 삽입구멍(31f)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구멍(31f)은 하우징 블록(3)의 리셉터클(4)로부터의 괴리방향(각 도면 중 X방향)으로 개구(開口)되어 있다.
로크아암(32)은 하우징(31)의 긴 방향 양 단연부(端緣部)의 형상을 따라 대략 크랭크(crank)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그 기단부(基端部)(전단부)에는, 부착돌기(31b)의 위쪽에 걸쳐지는 단면이 역(逆) U자 형상인 끼움장착부(32a)가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부(先端部)(후단부)에는, 리셉터클(4)에 결합하는 결합부(32b)가 형성되며, 또한 끼움장착부(32a)의 외측면에는, 걸림오목부(31e)에 결합하는 절상(切上)돌기(32c)가 형성됨과 아울러, 끼움장착부(32a)의 내측면에는 삽입구 멍(31f)에 압입되는 혀형상편(32d)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아암(32)은 하우징(31)의 긴 방향 양 단연부에 맞대여 후방으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끼움장착부(32a)가 부착돌기(31b)에 덮이고, 또한 선단부가 가이드(31d)로 안내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혀형상편(32d)이 삽입구멍(31f)에 압입됨과 아울러, 절상돌기(32c)가 걸림오목부(31e)에 걸리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삽입구멍(31f)이 로크아암 압입구멍에 상당한다.
그리고, 로크아암(32)의 하우징(31)에 대한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1이나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아암(32)의 끼움장착부(32a)의 후단면(後端面)(32e)과 단차부(31c)의 전단면(前端面)(31g)이 서로 접촉하여 있다. 또한, 이 전단면(31g)은 본 발명의 충합면(衝合面)에 상당하고, 하우징 블록(3)이 리셉터클(4)로부터 괴리하는(끼워 맞춤이 해제되는) 방향(각 도면 중 X방향)으로 거의 접하는데, 바꾸어 말하면, 전단면(31g)의 법선(法線)방향은 이 괴리방향(X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로크아암(32)의 혀형상편(32d)의 삽입구멍(31f)으로의 압입은, 후단면(32e)이 전단면(31g)에 부딪칠 때까지 행해지게 된다.
도 10은 리셉터클에 설치되는 쉘의 사시도, 도 11은 리셉터클에 설치되는 절연몸체의 사시도, 도 12는 쉘과 절연몸체를 조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쉘(41)은 띠 모양의 금속판이 편평한 단면 사 각형 형상으로 절곡(切曲)되어 중공(中空)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상면의 후연부(後緣部)에는 복수의 노치부(notch)(41a)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들 노치부(41a) 사이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결합구멍(4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쉘(41)의 긴 방향 양단에서는, 로크아암(32)의 선단 결합부(32b)(도 7 참조)가 걸려지는 결합편(41c)이 쉘(41)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가교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몸체(42)는 내부에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삽입형상(42a)이 복수개 형성된 수지 블록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형상(42a)은 외측구멍(42aout)과 내측구멍(42ain)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외측구멍(42aout)은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구멍(42ain)은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앞부분(도면 중 왼쪽 상측의 부분)에는 외측구멍(42aout)과 내측구멍(42ain)의 사이의 격벽(隔璧)으로 이어지는 통부(筒部)(42b)가 전방으로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절연몸체(42)의 후단부 상면에는, 쉘(41)에 끼워 삽입하였을 때에 노치부(41a)에 끼워 맞추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위치결정돌기(42c)가 돌출 설치됨과 아울러, 쉘(41)의 결합구멍(41b)에 결합하는 빠짐방지용의 돌기부(42d)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4)은 절연몸체(42)의 각 삽입형상(42a)에 접지 케이스(7)와 신호 컨택트(8)가 끼워 삽입된 상태에서, 이 절연몸체(42)를 전체적으로 쉘(41)에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이 리셉터클(4)을,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블록(3)의 후단부에 끼워 장착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포스트(5)와 신호 컨택트(8)가 접촉편(83)을 통하여 도통됨과 아울러, 접지 컨택트(6)와 접지 케이스(7)가 접촉편(63, 72)을 통하여 도통된다. 이렇게 하여, 동축케이블(2)의 내부도체(21)와 신호SMD단자(81)가 서로 도통됨과 아울러, 외부도체(23)와 접지SMD단자(71)가 서로 도통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극동축커넥터(1)를 이루는 하우징 블록(3)과 리셉터클(4)을 끼워 장착하였을 때에는, 로크아암(32)의 선단 결합부(32b)가 쉘(41)의 결합편(41c)에 걸려짐으로써, 하우징 블록(3)과 리셉터클(4)의 빠짐방지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다극동축케이블 접속체로서의 하우징 블록(3)의 제조방법, 특히, 공통부분으로서의 하우징 블록(3)에 장착되는 각 극(極)부분(동축케이블을 포함하는 도통부재의 서브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하우징 블록 내에 포함되는 도통부재 및 동축케이블의 서브 어셈블리의 제조공정을 (a)∼(e)의 순서를 따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4는 2개의 도통부재 및 동축케이블의 조립순서를 (a)∼(c)의 순서를 따라 나타내는 사시도, 또한, 도 21a는 도 13의 XXI-XXI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블록(3)에는, 도통부재로서 동축케이블(2)의 내부도체(21)에 접속되는 신호 포스트(5)와, 이 신호 포스트(5)에 절연체로서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절연 블록(51)을 통하여 외측에서 끼워져서, 동 축케이블(2)의 외부도체(23)에 접속되는 접지 컨택트(6)가 포함된다(도 2 참조).
그리고, 이들 도통부재(신호 포스트(5) 및 접지 컨택트(6))는, 모두 띠판(帶板) 모양의 금속부재를 감은 후프(hoop)(100, 101)(도 13 참조)를 되감으면서, 이 후프(100, 101)의 되감기 부분을 순차적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우선은,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프(100)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후프(100)의 폭방향의 일측부(一側部)에 복수의 신호 포스트(5)가, 그 긴 방향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성형된다. 여기에서는, 신호 포스트(5)는 소정의 피치로 후프(100)의 폭방향을 따라(후프(100)의 연신(延伸)방향과 대략 직각으로) 돌출하는 자세로 성형된다( 제1 후프성형공정).
다음으로,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신호 포스트(5)가 후프(100)에 연결된 상태인 채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신호 포스트(5)의 소정 부위에 절연체(예를 들면, 절연성 수지 등 )로 이루어지는 절연 블록(유전체(誘電體) 블록)(51)이 고정된다(절연체성형공정).
한편, 도 1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후프(101)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후프(101)의 폭방향 일측부에 복수의 접지 컨택트(6)가, 그 긴 방향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형성된다(제2 후프성형공정).
다음으로, 도 1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포스트(5) 및 접지 컨택트(6)가, 각각의 후프(100, 101)에 연결된 상태로 서로 조립되어 조립 블록(9)이 형성된다. 이때, 도 14a, (b)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포스트(5)의 주위에는 절연 블록(51)이 고정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상 단면을 갖는 접지 컨택트(6) 내에 절연 블록(51)이 개재된 상태로 신호 포스트(5)가 내측에서 끼워지게 된다(조립공정).
이 조립공정 후, 신호 포스트(5)가 후프(100)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단계에서는 접지 컨택트(6)는 후프(10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립 블록(9)은 후프(101)에 연결된 채로의 상태로 된다(제1 후프분리공정).
다음으로, 도 13(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프(101)에 연결된 상태에서, 조립 블록(9)에 동축케이블(2)이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동축케이블(2)의 내부도체(21)가 신호 포스트(5)에 접속됨과 아울러, 외부도체(23)가 접지 컨택트(6)에 접속된다(동축케이블 접속공정).
다음으로, 도시 생략하였지만, 동축케이블(2)과 조립 블록(9)의 서브 어셈블리가, 하우징 블록(3)에 삽입된다(도 5 참조). 서브 어셈블리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 공정을 실시하기 직전에, 접지 컨택트(6) 즉, 동축케이블(2)과 조립 블록(9)의 서브 어셈블리를 후프(101)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2 후프분리공정).
그런데, 신호 포스트(5)를 성형하는 상기 제1 후프성형공정에서는, 도 13(a) 및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2)의 내부도체(21)의 접속부로 되는 기단부(5b)에, 단면 V자 형상의 노치(52)가 성형되도록 되어 있다. 이 노치(52)는 내부도체(21)와의 접속부로 되기 때문에, 표면 정밀도가 높은(면조도(面粗度)가 낮은) 후프(100)의 롤(roll)면(표면 또는 이면)에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1 후프성형공정에서는, 도 2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포스트(5)의 선단부(5c)가 다각형(본 실시형태에서는 사각형) 단면의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형상으로 성형됨과 아울러, 뾰족한 끝(5a)은 대체로 뾰족하도록 모따기된다.
또한, 이 제1 후프성형공정에서는, 신호 포스트(5)의 기단부(5b)에, 이 신호 포스트(5)의 폭방향으로 뻗는 얕은 홈이 형성된다. 이 홈의 부분이, 제1 후프분리공정에서의 절단부(C)로 된다.
또한, 상기 절연체 성형공정에서는,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 블록(51)의 도면 중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융기부(51a, 51b)가 돌출 설치된다.
한편, 접지 컨택트(6)를 성형하는 상기 제2 후프성형공정에서는,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 컨택트(6)는 바닥면(61)과 양 측면(62, 62)을 가져 전체적으로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그 선단부 양측에는, 접지 케이스(7)와의 접촉편(63, 63)이 선단 연장방향으로 한 쌍 돌출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접촉편(63, 63)이 부착되는 밑부분의 양측 위쪽에는, 절연 블록(51)의 고정돌기편(64, 65)이 각각 위쪽에 한 쌍씩 돌출 설치된다. 또한, 접지 컨택트(6)의 기부(基部)측은,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23)를 고정하는 스웨이징부(66)로 되어 있고, 그 스웨이징부(66)의 양측에 한 쌍의 고정돌기편(67)이 설치된다. 또한, 도 1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프(101)로의 밑부분에 절단부(C)가 설정된다.
그런데, 도 14에서는, 조립 블록(9)을 편의상,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접지 컨택트(6)의 개방측을 위쪽으로 향해 나타냈지만, 실제로 조립 블록(9)과 동축케이블(2)의 서브 어셈블리가 하우징(31)에 조립될 때에는, 상기 접지 컨택트(6)의 개방측은 동축케이블(2)의 병설(竝設)방향 즉,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접촉편(63, 63)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배치되게 된다.
즉, 접지 컨택트(6)는, 인접하는 접지 컨택트(6) 측이 개방되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지 컨택트(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면(61)과 양 측면(62, 62)에 의해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들 바닥면(61), 측면(62, 6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개방측으로 되지만, 이 개방측은 인접하는 접지 컨택트(6)의 바닥면(61)에 의해 거의 막혀진 상태로 된다.
또한, 접지 컨택트(6)의 스웨이징부(66)는 인접하는 접지 컨택트(6)측을 제외하고 외부도체(23)의 외측을 둘러싸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웨이징부(66)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고정돌기편(67, 67) 사이에 접지 컨택트(6)의 병설방향과 다른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직행하는 방향)의 스웨이징력(swaging force)이 부가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웨이징부(66)는 바닥면(61)의 연장부분과 고정돌기편(67, 67)에 의해, 접지 컨택트(6)의 본체부분과 같은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들 바닥면(61)의 연장부분 및 고정돌기편(67, 67)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이 개방측으로 되지만, 이 개방측은 인접하는 접지 컨택트(6)의 바닥면(61)에 의해 거의 막혀진 상태로 된다.
이때, 한 쌍의 접촉편(63, 63)은, 그들 대향면이 후프(101)의 표면으로 되도 록 성형된다. 또한, 한 쌍의 접촉편(63, 63)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발력(彈發力)이 부여되어 있어, 하우징 블록(3)과 리셉터클(4)을 결합하였을 때에, 접촉편(63, 63)은 리셉터클(4)의 안쪽으로 삽입되며, 이 탄발력이 리셉터클(4)의 표면과 이면방향으로 생기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지 컨택트(6)의 다른 한 쪽 측면(62)에는, 선단측이 연결된 절상편(68)(도 4 참조)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조립 블록(9)이 하우징(31)의 삽입구멍(31a)에 삽입되었을 때에, 절상편(68)이 삽입구멍(31a)의 내면으로 파고들어 빠짐방지된다.
그리고, 신호 포스트(5) 및 접지 컨택트(6)를 조립하는 상기 조립공정에서는,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측의 고정돌기편(64)이 각각 안쪽에 절곡되어 있고, 접지 컨택트(6)의 후방(도면 중 오른쪽)으로부터 절연 블록(51)을 갖는 신호 포스트(5)가 삽입되어,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측의 융기부(51a)가 고정돌기편(64)에 부딪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도체(21) 및 외부도체(23)를 노출시킨 동축케이블(2)의 선단부가 접지 컨택트(6)의 대략 U자 형상의 오목부 내에 배치되고, 내부도체(21)가 신호 포스트(5)의 노치(52)에 끼워 넣어져 납땜되어 내부도체(21)와 신호 포스트(5)가 접속된다.
그 후, 고정돌기편(65, 65)을 양쪽이 근접하는 쪽으로 절곡하여 접합하고, 전후의 융기부(51a, 51b) 사이의 오목설치부(51c)를 붙잡아 둠과 동시에, 접지 컨택트(6)의 기부측의 고정돌기편(67, 67)을 양쪽이 근접하는 쪽으로 절곡하여 접합 하고 납땜하여 동축케이블(2)의 외부도체(23)를 붙잡아 둠으로써, 외부도체(23)와 접지 컨택트(6)를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동축케이블(2)과 조립 블록(9)의 서브 어셈블리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2 접속체로서의 리셉터클(4)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리셉터클의 제조공정을 (a)∼(e)의 순서를 따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접지 케이스의 조립공정의 확대 사시도, 또한, 도 17은 신호 컨택트의 조립공정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4)에는, 도통부재로서 절연몸체(42)에 끼워 장착되어 접지SMD단자(71)를 갖는 접지 케이스(7)와, 이 접지 케이스(7)에 비접촉 상태로 내측에서 끼워져 신호SMD단자(81)를 갖는 신호 컨택트(8)가 포함된다(도 2 참조).
그리고, 이들 도통부재(접지 케이스(7) 및 신호 컨택트(8))는 모두 띠판 형상의 금속부재를 감은 후프(102, 103)(도 15 참조)를 되감으면서, 이 후프(102, 103)의 되감기 부분을 순차적으로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먼저,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 케이스(7)가 후프(102)의 일측부에 일부를 연결한 상태로 프레스 성형된다.
또한,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컨택트(8)가 후프(103)의 일측부에 일부를 연결한 상태로 프레스 성형된다.
다음으로, 도 1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 케이스(7)가 후프(102)에 연결한 상태로 절연몸체(42)에 끼워 장착된 후, 도 1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컨택트(8)가 후프(103)에 연결된 상태로 접지 케이스(7)에 내측에서 끼워진다. 또한, 도 16에서는, 편의상, 후프(102)를 생략하고 있지만, 이 단계에서는 접지 케이스(7)는 후프(102)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접지 케이스(7) 및 신호 컨택트(8)는 절연몸체(42)에 조립된 후에 후프(102, 103)로부터 분리되어 도 15(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절연몸체(42)에 쉘(41)이 끼워 장착되어 리셉터클(4)이 얻어진다.
그런데, 접지 케이스(7)는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4)의 표면과 이면방향(상하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편(72, 72)과 이들 접촉편(72, 72)의 기부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편(73)을 갖고 있다.
접지 케이스(7)는, 인접하는 접지 케이스(7)측이 개방되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지SMD단자(71)는, 한 쪽의 접촉편(72)(도 15에서는 아래쪽)의 긴 방향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접촉편(72)의 기단부에서 대략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반(上半)부분(71a)이 형성되며, 또한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된 후에 접촉편(72)의 연장 설치방향으로 절곡되어, 폭이 좁아진 선단부분(71b)이 접촉편(72)과 대략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접지 케이스(7)에서는, 한 쪽의 접촉편(72)(도 15에서는 위쪽)의 기부측이 후프(102)와 연결되어 있고, 그 부분에 절단부(C)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 케이스(7)의 접촉면으로 되는 접촉편(72, 72)의 상기 표면과 이면방향(즉, 리셉터클(4)의 표면과 이면방향)의 외벽 면에 접지 컨택트(6)의 접촉편(63, 63)이 소정의 압접력(壓接力)으로써 접촉된다. 이때, 외벽면(즉, 접촉편(63, 63)과의 접촉면)은 표면 정밀도가 높은(면조도가 낮은) 후프(102)의 롤면(표면 또는 이면)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편(72, 72)이 절연몸체(42)에 끼워 장착되는 기부측 부분의 양측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그 절연몸체(42)의 삽입형상(42a)(도 11 참조)의 좌우 내측으로 파고들어게 하기 위한 톱니부(74)가 형성되어 그 톱니부(74)에 의해 빠짐방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컨택트(8)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면(82)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발력이 부여된 한 쌍의 접촉편(83, 83)과, 바닥면(82)의 선단부의 양측을 위쪽으로 절곡한 한 쌍의 가이드편(84, 84)과, 바닥면(82)의 기단측 부분의 폭방향 양측을 위쪽으로 절곡한 한 쌍의 끼워맞춤편(85, 85)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블록(3)과 리셉터클(4)이 결합되었을 때에는, 한 쌍의 접촉편(83, 83) 사이에 신호 포스트(5)가 삽입되어, 그들 접촉편(83, 83)에서 신호 포스트(5)의 외측을 탄발력에 의해 끼워 넣음으로써, 양호한 접촉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신호SMD단자(81)는 바닥면(82)의 긴 방향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기단부로부터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됨으로써 바닥면(82)과 선단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폭이 좁아진 선단부가 바닥면(82)의 연장 설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이 신호SMD단자(81)의 선단측이 후프(103)에 연결되어 있고, 그 신호SMD단 자(81)의 선단에 절단부(C)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편(85, 85)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절연몸체(42)의 삽입형상(42a)의 위쪽 내측으로 파고들게 하기 위한 톱니부(86)가 형성되어 그 톱니부(86)에 의해 빠짐방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5(c)와 같이 절연몸체(42)에 접지 케이스(7)가 끼워 장착됨에 있어서는, 먼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형상(42a)의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인 외측구멍(42aout)에 접지 케이스(7)가 삽입된다. 이때, 접지 케이스(7)가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촉편(72, 72)은 외측구멍(42aout)으로부터 삽입방향 내측으로 노출하고, 통부(42b)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밀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접지 케이스(7)가 끼워 장착된 후에,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컨택트(8)가 삽입형상(42a)의 내측구멍(42ain)에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접촉편(83, 83)은 통부(42b)의 통 안에 위치한다. 즉, 접지 케이스(7)와 신호 컨택트(8)는, 통부(42b)에 의해 비접촉 상태(절연상태)가 확보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지 컨택트(6)의 한 쌍의 접촉편(63, 63)의 개폐방향과 신호 컨택트(8)의 한 쌍의 접촉편(83, 83)의 개폐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즉,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 컨택트(6)의 한 쌍의 접촉편(63, 63)은 도면 중 상하방향(즉 리셉터클(4)의 표면과 이면방향)으로 대향시켜 배치되고 있는 한편, 신호 컨택트(8)의 한 쌍의 접촉편(83, 83)은 그 방향에 대하 여 직각이 되는 방향(동축케이블(2)의 배열방향)으로 대향시켜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지 컨택트(6)의 한 쌍의 접촉편(63, 63)의 개폐방향과, 신호 컨택트(8)의 한 쌍의 접촉편(83, 83)의 개폐방향이 서로 직교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지 컨택트(6)의 한 쌍의 접촉편(63, 63)에 의해 끼우는 접지 케이스(7)의 접촉부분(한 쌍의 접촉편(72, 72))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지 케이스(7)는, 한 쌍의 접촉편(72, 72)이 상하방향으로 대향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 접촉편(72, 72)은 후프(102)로부터 천공된 채로의 평판 형상 상태로서, 특별히, 이들 접촉편(72, 72)에 대하여 만곡시키는 등의 굽힘가공은 실시되지 않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지 컨택트(6)의 한 쌍의 접촉편(63, 63)의 개폐방향을 리셉터클(4)의 표면과 이면방향으로 하여, 도 10,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리셉터클(4)(의 쉘(41))의 표면(41S) 및 이면(41B)의 양쪽에 접촉편(63, 63)과의 간섭을 피하는 회피구멍(4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극동축커넥터(1)는 다극화되어, 복수의 동축케이블(2)에 대해 도통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포스트(5), 접지 컨택트(6), 접지 케이스(7) 및 신호 컨택트(8)가 대응하는 각 후프(100∼103)에 형성되는 피치는, 모두 다극화되는 동축케이블(2)의 극간 피치(P)(즉, 하우징(31)이나 절연몸체(42)의 삽입구멍(31a, 42a)의 피치 P(도 1 참조)의 정수배(단, 1 이상의 정수)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를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8은 신호 포스트와 접지 컨택트와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의 경우, 신호 포스트(5)는 1개의 극간 피치 P와 동일한 피치 P(즉, 극간 피치 P의 1배)로 형성되는 한편, 접지 컨택트(6)는 피치(2P)(즉, 극간 피치 P의 2배)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우선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프(101)에 소정의 피치(2P)로 성형된 복수의 접지 컨택트(6)에, 후프(100)에 소정의 피치 P로 성형된 복수의 신호 포스트(5)가 조립되어, 이 조립된 신호 포스트(5)가 후프(10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접지 컨택트(6)의 피치(2P)는, 신호 포스트(5)의 피치 P의 2배로 되기 때문에, 후프(100)에는 1개 간격의 피치 2P로 신호 포스트(5)가 잔존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시 생략하였지만, 후프(100)에 피치 2P로 잔존하는 신호 포스트(5)를 새로운(예를 들면, 하류측(下流側) 또는 병렬 배치된 다른) 후프(101)에 동일한 피치 2P로 연결된 접지 컨택트(6)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조립할 수 있다.
리셉터클(4)의 도통부분에 대하여는, 도 1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 케이스(7)는 후프(102)에, 극간 피치 P의 3배의 피치 3P로 성형되며, 신호 컨택트(8)는 도 1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프(103)에, 극간 피치 P의 2배의 피치 2P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절연몸체(42)에 대하여, 접지 케이스(7)에 대해서는, 삽입형상(42a)의 3개 간격으로 3회의 조립공정을 하고, 신호 컨택트(8)에 대해서는 삽입형상(42a)의 2개 간격으로 2회의 조립공정을 한다.
그런데, 예를 들면, 동축케이블(2)와 조립 블록(9)을 조립하는 공정(도 13, 도 14 참조)과, 동축케이블(2)과 조립 블록(9)의 서브 어셈블리를 하우징(31)에 조 립하여 하우징 블록(3)을 얻는 공정(도 5 참조)을, 다른 장소(설비나 공장)에서 행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도 13(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조립 블록(9) 및 동축케이블(2)이 후프(101)에 연결된 서브 어셈블리를 유통에 제공하도록 하면, 복수의 조립 블록(9)을 더욱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신호SMD단자 및 접지SMD단자가 리셉터클로부터 꺼내지는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신호SMD단자(81)와 접지SMD단자(71)가, 소정의 간격 δ를 두고 그러한 표면이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리셉터클(4)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호SMD단자(81)의 상반부분(81a)과, 접지SMD단자(71)의 상반부분(71a)이 서로 대략 평행하게 전후방향으로 대향하고 있고, 이러한 간격이 δ로 되어 있다.
접지SMD단자(71)는 상반부분(71a)의 선단측이 측방으로 절곡되어, 신호SMD단자(81)의 폭이 좁아지는 선단부분(81b)을 우회하고 있어, 이로써, 이 선단부분(81b)과 접지SMD단자(71)의 선단부분(71b)이 횡방향으로 나열된 상태에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SMD가 실장(實裝)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지 컨택트(6)가, 인접하는 접지 컨택트(6) 측이 개방되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 개방측에 접지 컨택트(6)의 벽부(壁部)가 존재하지 않은 만큼, 적어도 그 벽부의 두께분만큼 접지 컨택트(6)의 배열 피치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접지 컨택트(6)를 더 채워 배치할 수 있을 만큼, 이 배열방향으로 하우징 블록(3), 나아가서는 이것에 결합되는 리셉터클(4), 및 하우징 블록(3)과 리셉터클(4)을 구비하는 다극동축커넥터(1)를 더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개방측은, 인접하는 접지 컨택트(6)의 바닥면(61)에 의해 거의 막혀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신호 포스트(5)의 외주(外周)는 접지 컨택트(6)로 거의 둘러싸여진 구조가 되므로, 이 접지 컨택트(6)에 의해 내(耐)노이즈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신호의 상호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지 컨택트(6)의 스웨이징부(66)가, 인접하는 접지 컨택트(6) 측을 제외하고 외부도체(23)의 외측을 둘러싸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 인접하는 접지 컨택트(6) 측에 스웨이징부(66)의 벽부가 존재하지 않는 만큼, 적어도 그 벽부의 두께분만큼 스웨이징부(66)의 배열 피치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접지 컨택트(6)를 더 채워 배치할 수 있는 만큼, 이 배열방향으로 하우징 블록(3), 나아가서는 이에 결합되는 리셉터클(4), 및 하우징 블록(3)과 리셉터클(4)을 구비하는 다극동축커넥터(1)를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지 케이스(7)가, 인접하는 접지 케이스(7) 측이 개방되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 개방측에 접지 케이스(7)의 벽부가 존재하지 않는 만큼, 적어도 그 벽부의 두께분만큼 접지 케이스(7)의 배열 피치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접지 케이스(7)를 더 채워 배치할 수 있는 만큼, 이 배열 방향으로 리셉터클(4), 나아가서는 이것에 결합되는 하우징 블록(3), 및 리셉터클(4)과 하우징 블록(3)을 구비하는 다극동축커넥터(1)를 더 소형 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개방측은, 인접하는 접지 케이스(7)의 연결편(73)(구획벽)에 의해 거의 막혀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신호 컨택트(8)의 외주는 접지 케이스(7)로 거의 둘러싸여진 구조가 되므로, 이 접지 케이스(7)에 의해 내노이즈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신호의 상호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일본 특허공개 2004-355932호 공보 등에 개시되는 종래의 동축커넥터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신호 심선(芯線)의 한 쌍의 접촉편과 리셉터클 심선용 차폐부(shield)의 한 쌍의 접촉편은, 각각의 끼워진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신호 심선의 한 쌍의 접촉편에 갖게 하는 개폐(開閉)의 마진(margine)과, 리셉터클 심선용 차폐부의 한 쌍의 접촉편에 갖게 하는 개폐의 마진이 같은 방향으로 겹쳐져 버려, 결과적으로 플러그측과 리셉터클측의 양쪽의 결합부분의 폭이 커져, 동축커넥터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복수의 동축케이블이 병설되는 다극화된 동축커넥터에서는, 상기 결합부분의 증가폭이 병설방향으로 누적되기 때문에, 동축커넥터를 더 대형화할 수밖에 없게 되어 버렸다.
이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지 컨택트(6)의 한 쌍의 접촉편(63, 63)의 개폐방향과, 신호 컨택트(8)의 한 쌍의 접촉편(83, 83)의 개폐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각각의 개폐 마진이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블록(3)과 리셉터클(4) 양쪽의 결합부분의 폭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동축커넥터(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지 컨택트(6)의 한 쌍의 접촉편(63, 63)에 의해 끼우는 접지 케이스(7)의 접촉편(72, 72)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이 접촉편(72, 72)를 제조함에 있어서, 띠형상판의 가공소재를 만곡시키는 등의 여분의 가공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 가공이 용이하게 되어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리셉터클(4)의 쉘(41)의 표면(41S) 및 이면(41B)에 접지 컨택트(6)의 접촉편(63)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회피구멍(41d)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회피구멍(41d)을 접촉편(63)과의 간섭을 피하는 마진으로서 사용할 수 있어, 리셉터클(4)를 더 박형(薄型)으로 형성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동축커넥터(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회피구멍(41d)은 쉘(41)의 표면(41S) 및 이면(41B) 중 어느 한 쪽에 설치해도 좋다.
이 효과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다극화된 동축커넥터(1)에 있어서 극히 현저하게 된다. 즉, 만일 접촉편(63, 63)의 개폐방향을 동축케이블(2)의 배열방향으로 하면, 서로 인접하는 극간에서의 접촉편(63)끼리가 접촉하지 않도록, 극간 피치를 각 접촉편(63)의 휨 범위의 마진과 절연격벽의 두께의 만큼 넓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접촉편(63, 63)의 개폐방향을 리셉터클(4)의 표면과 이면방향(두께방향)으로 하면, 타극(他極)과의 단락(短絡)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는 만큼, 절연격벽이 불필요하게 되어 회피구멍(41d)을 형성할 수 있어 그만큼 박형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일본 특허공개 2004-355932호 공보 등에 개시되는 종래의 동축커넥 터에서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서로 끼워 맞춰 결합한 후는, 멈춤나사를 이용하거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에 일체 성형된 돌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로크기구를 이용하거나 하여, 플러그와 리셉터클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멈춤나사를 사용하면, 이 멈춤나사의 제거가 번거로운 문제가 생긴다. 한편, 합성수지 등으로 돌기를 본체부에 일체 성형한 경우에는, 슬라이드형이 필요하게 되어 제조에 노력과 시간이 드는 경우가 있고, 또한 특히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착탈 회수가 많은 경우에는, 돌기 등이 설치된 부분에서 내려앉거나, 꺽임, 균열 등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그 대책으로서, 본체부와는 별체(別體)의, 예를 들면,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는 로크부재를 이 본체부에 고정하는 구성이 고려되지만, 그 경우에는, 동축케이블이 인장(引張)되는 등으로 하여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서로 괴리시키는 방향의 외력(外力)이 작용한 경우에, 상기 로크부재가 본체부로부터 빠지지 않게 하여 둘 필요가 있었다.
이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로크아암(32)의 혀형상편(32d)을 삽입구멍(31f)에 압입함으로써, 로크아암(32)을 하우징(31)에 용이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압입은, 상기 로크아암(32)의 끼움장착부(32a)의 후단면(32e)이 하우징(31)의 전단면(31g)에 부딪칠 때까지 행하면 좋고, 더 용이하면서 더 확실하게 완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동축케이블(2) 등으로부터 하우징 블록(3)에 대하여, 리셉터클(4)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즉, 하우징 블록(3)이 리셉터클로부터 괴리하는 방향; X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하우징(31)의 전단면(31g)으로부터 로크아암(32)의 후단면(32e)에, 상기 외력과 같은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외력에 의해 로크아암(32)이 삽입구멍(31f)으로부터 빠져 나가 하우징(3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일본 특허공개 2005-108510호 공보 등에 개시되는 종래의 동축커넥터에서는, 각각의 접속체에 설치된 도통부재(핫(hot) 단자 및 어스 단자)는 각각 을 조립함에 있어서, 어느 접속체에 있어서도 통 형상으로 형성된 어스 단자의 안쪽에 절연체를 통하여 핫 단자를 조립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각 접속체의 조립시에는, 종래에서는 1개의 독립한 어스 단자의 안쪽에 1개의 독립한 핫 단자를 끼워 맞춰서, 1개씩 조립하여 가게 되어, 작업 공정수의 증가와 더불어 작업시간이 증대하여, 필연적으로 제품 단가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특히,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설치한 다극화한 동축커넥터에서는 그 경향이 현저하게 되었다.
이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신호 포스트(5) 및 접지 컨택트(6)를, 각각이 후프(100, 101)에 연결된 상태로 성형하여 조립함으로써, 이들을 각각 별개로 성형하여 1개씩 개별적으로 조립하는 경우에 비해, 후프(100, 101)에 연결되어 있는 만큼, 취급이 용이하게 되어, 서로 조립할 때의 위치 결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블록(3)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신호 포스트(5)를 먼저 후프(100)로부터 분리하여 복수의 조립 블록(9)이 후프(101)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였지만, 이에 대신하여 조립 블록(9)이 후프(10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후프(100)에 연결된 상태로 절연 블록(51)을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복수의 신호 포스트(5)에 대하여 한 번에 절연체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블록(3)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절연체는, 후프(101)에 연결된 접지 컨택트(6)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하여도 좋고, 신호 포스트(5) 및 접지 컨택트(6)의 양쪽에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신호 포스트(5) 및 접지 컨택트(6) 중 한 쪽의 피치가 다른 쪽의 피치의 정수배(단, 1 이상의 정수)로 되기 때문에, 하우징 블록(3)의 조립 시에, 신호 포스트(5)와 접지 컨택트(6)의 조립을, 각각의 후프(100, 101)끼리의 상대 위치를 조금 옮겨, 상기 배수로 되는 회수를 행함(즉,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접지 컨택트(6)의 피치 2P가 신호 포스트(5)의 피치 P의 2배이었을 때는, 조립을 2회 반복함)으로써, 양쪽을 다 사용할 수 있어 하우징 블록(3)을 더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신호 포스트(5)의 피치가, 접지 컨택트(6)의 피치의 정수배로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후프성형공정에서의 프레스 처리에 의해, 선단부(5c)의 외주면에서 접촉면적을 크게 확보하기 쉬운 형상(다각형 단면의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단면)을 갖는 신호 포스트(5)를 더 용이하면서 더 신속히 얻을 수 있다. 또한, 후프(100)를 프레스 처리함으로써 상기 선단부 형상을 얻을 수 있기 때 문에, 핀을 1개씩 연삭 혹은 연마하여 선단부를 형성하여 조립하는 경우에 비하면, 동시 다량 처리가 가능해지는 만큼, 생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신호 포스트(5)의 선단부(5c)가, 도 21b에 도시하는 대략 타원형상 단면이나 도시하지 않는 완전한 원형상 단면으로 성형된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대략 V자 형상의 노치(52)에 의해, 신호 포스트(5)와 동축케이블(2)의 내부도체(21)와의 접속 처리시에는 상기 내부도체(21)를 신호 포스트(5)의 소정의 설치위치에 의해 정밀하게 위치결정하고, 또한 상기 소정의 설치위치에 임시 파지하기 쉬워져, 더욱 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부분을 땜납하는 경우에, 땜납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도통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일본 특허공개 2004-355932호 공보 등에 개시되는 종래의 동축커넥터에 있어서는,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는, 리셉터클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서는, 신호단자의 측방에 접지단자가 배치되어 있고, 신호단자의 표면과 접지단자의 표면이 거의 직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신호단자와 접지단자가 서로 비교적 근접한 상태로 리셉터클로부터 돌출하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부분에서는, 용량 성분의 조정, 나아가서는 임피던스(impedance)의 조정이 곤란하게 되었다.
이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신호SMD단자(81)(의 상반부분(81a))와 접지SMD단자(71)(의 상반부분(71a))가, 그러한 표면끼리 소정의 간격 δ를 두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리셉터클(4)로부터 돌출하여 있으므로, 상기 서로 대향하고 있는 부분(즉 상반부분(71a, 81a)끼리)에서, 상호간의 거리(δ) 혹은 서로 겹치는 면적 등을 조정(설정)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용량 성분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임피던스 특성의 조정(설정)을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더 내노이즈성이 높고, 신호간의 상호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양호한 동축커넥터(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동축커넥터에 있어서, 신호SMD단자 및 접지SMD단자가 리셉터클로부터 꺼내지는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동축커넥터(1A)는, 상기 동축커넥터(1)와 마찬가지의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그들 마찬가지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0에서는, 편의상, 리셉터클(4)의 쉘(41)이나 절연몸체(42)를 생략하여, 신호 컨택트(8) 및 접지 케이스(7)를 노출시킨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동축커넥터(1A)에 있어서도, 접지SMD단자(71)는 한 쪽의 접촉편(72)(도 20에서는 위쪽)의 긴 방향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편(72)의 기단부에서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반부분(71a)이 형성된다. 다만, 이 상반부분(71a)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각각이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된 후에 접촉편(72)의 연장 설치방향으로 절곡되어, 폭이 좁아진 2개의 선단부분(71b)이 접촉편(72)과 대략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두 갈래 형상으로 된 각 선단부분(71b)이 신호SMD단자(81)의 선단부분(81b)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즉, 다극화된 동축커넥터(1A)에서는, 각 극 (極)에 대하여 접지SMD단자(71)의 선단부분(71b)의 양측에 신호SMD단자(81)의 선단부분(81b)이 배치된 구성이, 동축케이블의 배열방향을 따라 배열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도, 신호SMD단자(81)의 상반부분(81a)과 접지SMD단자(71)의 상반부분(71a)의 사이에는 간격 δ가 설정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도 20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의하면, 신호SMD단자(81)의 선단부분(81b)의 양측에, 두 갈래 형상으로 나누어진 접지SMD단자(71)의 선단부분(71b)이 배치되기 때문에, 내노이즈성을 더 향상시켜, 신호간의 상호간섭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은, 다극동축커넥터에 있어서, 접지 전위가 별개로 설정되는 경우에, 신호간의 상호간섭을 더 확실히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통부재인 신호 포스트(5), 접지 컨택트(6), 접지 케이스(7) 및 신호 컨택트(8)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른 그 이외의 형상으로서 얻을 수 있고, 또한, 동축케이블 접속체인 하우징 블록(3)이나 고정측 접속체인 리셉터클(4)은 물론, 그러한 형상이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의 도통부재를 지지 및 보호하여 서로 착탈할 수 있는 구조이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크아암이 동축케이블 접속체의 본체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로크아암이 고정측 접속체의 본체부에 설치되는 동축커넥터로서도 마찬가지로 실시 가능하다. 단, 이 경우의 괴리방향은, 고정측 접속체를 기준으로 하여 이 고정측 접속체가 동축케이블 접속체로부터 괴리하는 방향으로 된다.
또한, 동축케이블 접속체끼리를 접속하는 구조로서도, 본 발명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 속의 일부를 꺼내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동축케이블 접속체로서의 하우징 블록에 포함되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동축케이블 접속체로서의 하우징 블록에 포함되는 조립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동축케이블 접속체로서의 하우징 블록에 포함되는 하우징에 대한 조립블록의 삽입상태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고정측 접속체로서의 리셉터클을 중간부에서 절단하여 확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동축케이블 접속체로서의 하우징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동축케이블 접속체로서의 하우징 블록에 로크아암을 설치하는 모습을 외측방에서 본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동축케이블 접속체로서의 하우징 블록에 로크아암을 설치하는 모습을 내측방에서 본 요부 사시도이 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고정측 접속체로서의 리셉터클에 포함되는 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고정측 접속체로서의 리셉터클에 포함되는 절연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고정측 접속체로서의 리셉터클에 포함되는 쉘과 절연몸체를 조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동축케이블 접속체로서의 하우징 블록에 포함되는 도전부재 및 동축케이블의 서브 어셈블리의 제조공정을 (a)∼(e)의 순서를 따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동축케이블 접속체로서의 하우징 블록에 포함되는 2개의 도전부재 및 동축케이블의 조립순서를 도 14a∼도 14c의 순서를 따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고정측 접속체로서의 리셉터클의 제조공정을 (a)∼(e)의 순서를 따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고정측 접속체로서의 리셉터클에 포함되는 접지 케이스의 조립공정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고정측 접속체로서의 리셉터클에 포함되는 신호 컨택트의 조립공정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동축케이블 접속체 로서의 하우징 블록에 포함되는 신호 포스트와 접지 컨택트와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고정측 접속체로서의 리셉터클로부터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가 꺼내지는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다극동축커넥터의 고정측 접속체로서의 리셉터클로부터 신호단자 및 접지단자가 꺼내지는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동축케이블 접속체로서의 하우징 블록에 포함되는 신호 포스트의 단면도로서, 도 21a는 도 13의 XXI-XXI 단면도, 도 21b는 변형예에서의 도 13의 XXI-XXI 단면과 동등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Claims (10)

  1. 동축케이블의 내부도체(導體)에 접속되는 신호 포스트와, 상기 신호 포스트에 절연체를 통하여 외측에서 끼워져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에 접속되는 접지 컨택트(ground contact)와의 조합이 복수개 평행하게 배치된 동축케이블 접속체와,
    신호단자를 갖는 신호 컨택트와, 상기 신호 컨택트에 절연체를 통하여 외측에서 끼워져서 접지단자를 갖는 접지 케이스와의 조합이 복수개 평행하게 배치된 고정측 접속체를 구비하고,
    상기 동축케이블 접속체와 상기 고정측 접속체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신호 포스트와 상기 신호 컨택트가 도통(導通)됨과 아울러, 상기 접지 컨택트와 상기 접지 케이스가 도통되고, 상기 내부도체와 상기 신호단자가 도통됨과 아울러, 상기 외부도체와 상기 접지단자가 도통되는 다극동축(多極同軸)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지 컨택트가, 인접하는 접지 컨택트측이 개방되는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동축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컨택트는, 외부도체의 외측으로부터 압압하여 고정하는 스웨이징부(swaging unit)를 구비하고, 상기 스웨이징부가, 상기 외부도체의 외측 중 인접하는 접지 컨택트측을 제외한 부위를 둘러싸는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동축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케이스가, 인접하는 접지 케이스측이 개방되는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동축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컨택트는 상기 신호 포스트를 양측으로부터 탄발력(彈發力)으로써 끼우는 한 쌍의 접촉편을 갖고,
    상기 신호 포스트에 절연체를 통하여 끼워지는 상기 접지 컨택트는, 상기 신호 컨택트에 절연체를 통하여 끼워지는 상기 접지 케이스를 탄발력으로써 끼우는 한 쌍의 접촉편을 가지며,
    상기 접지 컨택트의 한 쌍의 접촉편의 개폐방향과, 상기 신호 컨택트의 한 쌍의 접촉편의 개폐방향을 서로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동축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컨택트의 한 쌍의 접촉편에 의해 끼우는 접지 케이스의 접촉부분이 평판(平板)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동축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컨택트의 한 쌍의 접촉편의 개폐방향을 상기 고정측 접속체의 두께방향으로 하여, 상기 고정측 접속체의 표면 및 이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상기 접촉편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회피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동축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단자와 상기 접지단자가, 상기 신호단자 및 상기 접지단자의 표면끼리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고정측 접속체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동축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자의 상기 신호단자와 대향하는 부분의 선단(先端)측이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지단자의 두 갈래 형상으로 된 각 선단부가 상기 신호단자의 선단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동축커넥터.
  9. 제1항에 기재한 다극동축커넥터의 동축케이블 접속체.
  10. 제1항에 기재한 다극동축커넥터의 고정측 접속체.
KR1020080022512A 2007-03-14 2008-03-11 다극동축커넥터 KR100968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65755 2007-03-14
JPJP-P-2007-00065689 2007-03-14
JP2007065689A JP4380717B2 (ja) 2007-03-14 2007-03-14 同軸コネクタ
JP2007065743A JP4314588B2 (ja) 2007-03-14 2007-03-14 同軸ケーブル接続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65692A JP4305535B2 (ja) 2007-03-14 2007-03-14 同軸コネクタ
JP2007065755A JP4305536B2 (ja) 2007-03-14 2007-03-14 多極同軸コネクタ
JPJP-P-2007-00065692 2007-03-14
JPJP-P-2007-00065754 2007-03-14
JPJP-P-2007-00065743 2007-03-14
JP2007065754A JP4314589B2 (ja) 2007-03-14 2007-03-14 多極同軸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638A KR20080084638A (ko) 2008-09-19
KR100968327B1 true KR100968327B1 (ko) 2010-07-08

Family

ID=3945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512A KR100968327B1 (ko) 2007-03-14 2008-03-11 다극동축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07944B2 (ko)
EP (1) EP1970997B1 (ko)
KR (1) KR100968327B1 (ko)
AT (1) ATE483261T1 (ko)
DE (1) DE602008002779D1 (ko)
TW (1) TWI3676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9816B2 (ja) * 2007-08-31 2011-11-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86330B2 (ja) * 2008-10-07 2013-04-17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多極コネクタ
JP5433322B2 (ja) 2009-06-30 2014-03-05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コネクタ、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及び半導体試験装置
US7909646B2 (en) * 2009-08-10 2011-03-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arrier assembly and system of electrical carrier assemblies
US7927144B2 (en) * 2009-08-10 2011-04-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locking plates
US7850489B1 (en) 2009-08-10 2010-12-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7997933B2 (en) 2009-08-10 2011-08-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8187035B2 (en) * 2010-05-28 2012-05-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US20140248803A1 (en) * 2011-10-25 2014-09-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368917B2 (en) 2011-12-23 2016-06-14 Commscope Technologies Llc Telecommunications cabling system, and electrical connection module and shielding interface therefor
JP5903726B2 (ja) * 2012-12-27 2016-04-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このケーブル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KR101575441B1 (ko) * 2013-12-30 201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알에프 커넥터 조립체
US9293874B2 (en) * 2014-06-17 2016-03-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speed radio frequency connector
JP6443433B2 (ja) * 2016-12-22 2018-12-2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1679A (ja) * 1989-02-10 1990-12-03 C R T:Kk 同軸ケーブル用プラグ
JPH10228962A (ja) 1996-11-05 1998-08-25 Itt Mfg Enterp Inc 低プロフィールコネクタシステム
KR19990044924A (ko) * 1997-11-18 1999-06-25 조셉 에스. 로마나우 커넥터 조립체 및 케이블 접지 방법
JP2006012647A (ja) 2004-06-25 2006-01-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3979U (ja) 1982-01-29 1983-08-04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ロツク付コネクタ
US4975066A (en) * 1989-06-27 1990-12-04 Amp Incorporated Coaxial contact element
JP2704305B2 (ja) 1990-03-15 1998-01-2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高周波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597637Y2 (ja) 1992-09-09 1999-07-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553012Y2 (ja) 1993-04-23 1997-11-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H07122335A (ja) 1993-10-20 1995-05-1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高速伝送用コネクタ
JP3446989B2 (ja) * 1997-05-29 2003-09-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US6227882B1 (en) 1997-10-01 2001-05-08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for electrical isolation in a condensed area
JP2002042990A (ja) * 2000-07-21 2002-02-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端子
US6540559B1 (en) 2001-09-28 2003-04-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staggered contact pattern
US6746277B2 (en) * 2001-12-05 2004-06-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JP3841348B2 (ja) 2003-02-25 2006-11-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グラウンド構造
JP3848300B2 (ja) 2003-05-28 2006-11-22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コネクタ
JP2005108510A (ja) 2003-09-29 2005-04-21 Clarion Co Ltd 多極型高周波同軸コネクタ
JP2005294036A (ja)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94034A (ja)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2005294035A (ja)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4039408B2 (ja) 2004-08-18 2008-01-30 松下電工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360364B2 (ja) 2005-08-26 2009-1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US7384306B2 (en) 2006-07-26 2008-06-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F connector with adjacent shielded modu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1679A (ja) * 1989-02-10 1990-12-03 C R T:Kk 同軸ケーブル用プラグ
JPH10228962A (ja) 1996-11-05 1998-08-25 Itt Mfg Enterp Inc 低プロフィールコネクタシステム
KR19990044924A (ko) * 1997-11-18 1999-06-25 조셉 에스. 로마나우 커넥터 조립체 및 케이블 접지 방법
JP2006012647A (ja) 2004-06-25 2006-01-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638A (ko) 2008-09-19
ATE483261T1 (de) 2010-10-15
EP1970997B1 (en) 2010-09-29
DE602008002779D1 (de) 2010-11-11
TW200845515A (en) 2008-11-16
US7607944B2 (en) 2009-10-27
US20080227334A1 (en) 2008-09-18
TWI367609B (en) 2012-07-01
EP1970997A2 (en) 2008-09-17
EP1970997A3 (en)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327B1 (ko) 다극동축커넥터
US7175444B2 (en) Plug connector and construction therefor
US9905944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6338652B1 (en) Low profile cable connector with grounding means
US7311552B1 (en) Micro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8475208B2 (en) Electrical connector configured to shield cable-termination regions
JP4314589B2 (ja) 多極同軸コネクタ
US1168285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241556B1 (en) Retention member for connector
US6910914B1 (en) Shielded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US20040259421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shield members
US6929512B2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with a shield device
US6250959B1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with very fine conductors
US6544050B1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787885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KR100532003B1 (ko) 로크 부분을 구비한 차폐 외피를 가지는 커넥터
WO200714007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US6808410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pulling mechanism
US20180166812A1 (en) Grounding bar contacting shielding plate, grounding contact, wire braiding and shell
JP4380717B2 (ja) 同軸コネクタ
KR100803228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JP4068092B2 (ja) 多極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て方法
EP0951092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EP1120867B1 (en) High speed, shielded cable assembly
JPH1154217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