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390B1 - 동축형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형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390B1
KR101743390B1 KR1020160002578A KR20160002578A KR101743390B1 KR 101743390 B1 KR101743390 B1 KR 101743390B1 KR 1020160002578 A KR1020160002578 A KR 1020160002578A KR 20160002578 A KR20160002578 A KR 20160002578A KR 101743390 B1 KR101743390 B1 KR 101743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able
insulating
signal transmiss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919A (ko
Inventor
요이치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2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23Insulating enclosures f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양호한 신호 전송 특성을 안정적으로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 SC와 내부 도체 콘택트(12)의 결선 부분에 임하도록 배치한 홈의 내벽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11e)를 쉘 덮개부(13b)와 일체적으로 개폐되는 절연 누름판(11d)의 일부에 설치하고, 이들 결선 부분과 공간부(11e)를 쉴드 쉘(13)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내방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절연 누름판(11d)의 공간부(11e)에 의해 형성되는 임피던스 조정용의 공기층을 임피던스의 부정합이 생기기 쉬운 결선 부분에 대면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임피던스의 정합 정도(VSWR)의 조정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축형 전기 커넥터{COAXIAL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세선(細線) 동축 케이블 등의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가 연결되어 사용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등의 여러 가지의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에 이용되는 신호 전송 매체로서, 세선 동축 케이블 등의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가 널리 채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를 인쇄 배선 기판에 효율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절연 하우징의 외주측에 대략 중공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부 도체 쉘(쉴드 쉘(shield shell))이 장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외부 도체 쉘의 환형 개구부에 대해서 쉘 덮개부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부를 연결할 때에 개방 상태에 있던 쉘 덮개부가, 외부 도체 쉘의 내방 영역에 배치된 내부 도체 콘택트와 함께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하여 폐색됨으로써,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가 절곡되도록 소성 변형하고, 이에 의해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가 협지(挾持)된 상태로 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 등의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를 내부 도체 콘택트에 연결하기 위한 땜납 접속 작업이 생략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땜납재의 폐기 등에 의한 환경적 관점의 문제가 해소되고, 게다가 땜납의 사용량의 차에 기인한 특성 임피던스(impedance)의 어긋남이 없어지게 된다고 하는 이점도 얻어진다.
그렇지만, 종래의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서는, 특히, 근년에 있어서의 전송 신호의 고주파화나, 전기 커넥터의 급속한 소형화 또는 콤팩트(compact)화가 진행됨에 따라, 전송 신호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의 정합(matching) 정도(VSWR)가 부정합 상태로 되는 경향이 있어 양호한 고주파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1-40262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양호한 신호 전송 특성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 동축형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는 절연 하우징과, 그 절연 하우징의 외표면을 덮도록 장착된 대략 중공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부 도체 쉘과, 당해 외부 도체 쉘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내방 영역에 배치된 내부 도체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과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의 결선 부분이,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직경 방향의 내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외부 도체 쉘이 가지는 환형 개구부에는, 당해 환형 개구부를 개방·폐색하는 쉘 덮개부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절연 하우징에 상기 쉘 덮개부와 일체적으로 개폐되는 절연 누름판이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쉘 덮개부가 상기 외부 도체 쉘의 환형 개구부를 덮도록 폐색될 때에 상기 절연 누름판이 절곡부를 형성하도록 변형됨으로써, 당해 절연 누름판의 누름력에 의해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의 설편(舌片) 형상부가 상기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에 누름 접촉하여 상기 결선 부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 누름판의 표면의 일부로서, 상기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과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의 결선 부분에 임하는 위치에, 단차 형상을 이루어 움푹 패인 홈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가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외부 도체 쉘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내방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뻗어 있는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의 내경 치수 W1이,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의 설편 형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폭방향의 외형 치수 W2보다 작게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 누름판에 단차 형상을 이루어 움푹 패인 홈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가, 외부 도체 쉘의 직경 방향의 내방 영역에 배치된 결선 부분에 임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공간부에 의해 형성되는 임피던스 조정용의 공기층이 임피던스의 부정합이 생기기 쉬운 결선 부분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되고, 전기 커넥터의 중요 설계 요소인 임피던스의 정합(matching) 정도(VSWR)의 조정이 효율적으로 행해짐으로써,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 또는 콤팩트화를 행하면서 고주파 신호의 양호한 전송이 용이하게 유지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부는 상기 결선 부분으로부터 상기 절곡부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에 상기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를 따라 뻗어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 누름판의 절곡부가 외부 도체 쉘에 대해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부위에 있어서도, 절연 누름판에 설치된 공간부에 의해 임피던스의 조정용의 공기층이 형성되어 임피던스의 정합이 더욱 효율적으로 행해짐과 아울러, 절연 누름판의 절곡부에 있어서의 강성이 공간부에 의해 저감되기 때문에, 당해 절연 누름판의 절곡 작업이, 파손 등이 생기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연 누름판이 상기 쉴드 쉘의 환형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상기 쉘 덮개부의 내벽면을 따라 뻗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쉘 덮개부의 내벽면에 상기 공간부와 대향하는 쉘측 오목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절연 누름판의 공간부에 의한 임피던스의 정합 작용에 더하여, 쉘 덮개부의 내벽면에 설치된 쉘측 오목홈부(concaved groove part)에 의해서도 임피던스의 정합이 행해지기 때문에, 임피던스의 정합이 한층 효율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간부가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제조가 용이한 관통공에 의해 공간부가 구성되기 때문에 제조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이상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은,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와 내부 도체 콘택트의 결선 부분에 임하도록 배치한 공간부를 쉘 덮개부와 일체적으로 개폐되는 절연 누름판의 일부에 설치하고, 이들 결선 부분과 공간부를 외부 도체 쉘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내방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절연 누름판의 공간부에 의해 형성되는 임피던스 조정용의 공기층을 임피던스의 부정합이 생기기 쉬운 결선 부분에 대면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임피던스의 정합 정도(VSWR)의 조정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양호한 신호 전송 특성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가 있어 전기 커넥터의 신뢰성을 저렴하고 또한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plug) 커넥터) 단체(單體)를 정면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 단체를 측면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 단체를 정면 하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 내의 IV-IV선을 따른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 내의 V-V선을 따른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되는 신호 전송 매체의 일례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의 단체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초기 개방 상태(케이블 비연결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쉴드 쉘 단체의 초기 개방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쉴드 쉘 단체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절연 하우징 단체의 초기 개방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절연 하우징 단체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절연 하우징 단체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2~도 13에 도시된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절연 누름판을 절곡한 후의 폐색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절연 하우징 단체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 4 상당의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7 내의 XVIII-XVIII선을 따른 종단면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이용되고 있는 절연 하우징 단체의 초기 개방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이하, 신호 전송 매체로서 세선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행한다.
[동축형 전기 커넥터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우선, 도 1~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10)는,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도시를 생략한 소정의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된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도시 생략)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하여 감합(嵌合) 또는 발거(拔去)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0)의 감합·발거 작업은 인쇄 배선 기판의 평면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행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커넥터(10)에 있어서의 주된 감합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커넥터 본체부는, 개략 형상에 있어서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커넥터 본체부에 대해서, 직경 방향 외방측의 일 방향으로부터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부가 연결되고, 그 세선 동축 케이블 SC가 연결된 상태로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의 상방 위치에 대면하도록 플러그 커넥터(10)가 배치된다. 그리고, 당해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체가, 인쇄 배선 기판의 외표면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강되어 감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0)의 하단 부분이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의 상단 부분에 대해서 감합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10)가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진 감합 상태로 됨으로써,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부가 플러그 커넥터(10) 및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를 통해 인쇄 배선 기판 상의 배선 패턴(pattern) 도전로에 접속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에 있어서, 상대측의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끼워 넣는 방향을「하방향」으로 하고, 그것과는 반대로 뽑아내는 발거 방향을 「상방향」으로 한다. 또, 플러그 커넥터(10) 자체에 있어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부가 접속되는 쪽의 단연(端緣) 부분을 「정면측 단연 부분」으로 함과 아울러, 그것과는 반대측의 단연 부분을 「배면측 단연 부분」으로 하고, 또한 그 「배면측 단연 부분」으로부터 「정면측 단연 부분」을 향하는 방향을 「커넥터 전(前) 방향」, 그 반대 방향을 「커넥터 후(後) 방향」으로 한다. 또, 이들「커넥터 상하 방향」및 「커넥터 전후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방향을 「커넥터 좌우 방향」으로 한다.
[동축 케이블에 대해서]
특히,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로서의 세선 동축 케이블 SC는, 복수의 도선으로 형성된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 및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가 케이블 유전체 SCc를 개재하여 동축 형상으로 적층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중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는 외주 피복재 SCd가 박피(剝皮)됨으로써 노출 상태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는 또한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 및 케이블 유전체 SCc가 박피됨으로써 노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중심축을 따르도록 하여 배치된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절연 하우징(11)에 장착된 내부 도체 콘택트(신호 콘택트 부재)(12)에 접속됨으로써 신호 회로가 구성된다. 또, 케이블 중심 도체 SCa의 외주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블 외부 도체 SCb는 쉴드 쉘(13)의 외부 도체 쉘(13a)에 접속되고, 그 외부 도체 쉘(13a)이 접지용의 콘택트 부재로서 기능함으로써 접지(ground) 회로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에 대해서]
여기서,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은, 도 5에 도시하듯이, 주된 감합 부분인 커넥터 본체부를 구성하는 대략 원판 형상의 절연 본체부(11a)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그 절연 본체부(11a)의 하방측 부분에, 감합 상대인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의 내방측에 삽입되는 절연 삽입부(11b)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그 중 절연 본체부(11a)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상술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재치(載置)되도록 하여 세팅(setting)되지만, 그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재치하는 내부 도체 콘택트(신호 콘택트 부재)(12)가 절연 본체부(11a)의 상(上)표면의 대략 중앙 부분에 있어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부위에 장착되어 있다.
또, 상술한 내부 도체 콘택트(12)의 주위를 외방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하여 접지 콘택트(contact)로서의 쉴드 쉘(13)의 외부 도체 쉘(13a)이 상술한 절연 본체부(11a)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절연 본체부(11a)의 정면측 단연 부분에는, 정면시에 있어서 대략 반원 형상을 이루는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지지부(11c)(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그 케이블 지지부(11c)의 내방측의 벽면에 상술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재치되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에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를 상방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설편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절연 누름판(11d)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절연 누름판(11d)은 절연 본체부(11a)의 커넥터 후단측의 단연으로부터 편지(片持) 형상을 이루어 세선 동축 케이블 SC를 따르도록 돌출하는 가늘고 긴 평판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특히, 도 12~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재치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당해 절연 누름판(11d)이 상방으로 일으켜 세워진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절연 하우징(11)에 세팅된 후에, 후술하듯이 쉴드 쉘(13)에 설치된 쉘 덮개부(13b)와 함께 하방으로 절곡되고. 그 때에 형성되는 절곡부(11f)로부터 평판 형상을 이루어 뻗어 나와 있는 부위가 세선 동축 케이블 SC를 따라 상방측으로부터 겹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술한 것처럼 편지 형상을 이루어 뻗어 나와 있는 절연 누름판(11d)의 근본(根本) 기부(基部)측의 영역에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뻗어 있는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공간부(11e)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간부(11e)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뻗어 있는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에 있어서 절연 누름판(11d)의 대략 중앙 부분에, 당해 절연 누름판(11d)의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 방향으로 단차 형상으로 움푹 패인 홈(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공)의 내벽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듯이, 절연 누름판(11d)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상방측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술한 공간부(11e)는 절연 누름판(11d)에 배치되고, 그 공간부(11e)의 내벽면에 의해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층이,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와 내부 도체 콘택트(12)의 전기적 접속 영역인 「결선 부분」을 상방측으로부터 임하도록 배치되게 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공간부(11e)는, 외부 도체 쉘(접지 콘택트 부재)(13)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내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지만, 특히,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당해 공간부(11e)에 있어서의 폭방향(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뻗어 있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내경 치수 W1이, 전술한 내부 도체 콘택트(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일부를 이루는 상측 빔부(beam part)(설편 형상부)(12a)가 구비되어 있는 폭방향의 외형 치수 W2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W1<W2). 내부 도체 콘택트(12)의 상측 빔부(설편 형상부)(12a)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그 설편 형상부를 이루는 상측 빔부(12a)가 세선 동축 케이블 SC에 상방측으로부터 누름 접촉함으로써, 당해 세선 동축 케이블 SC에 대한 「결선 부분」을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부 도체 콘택트(12)의 상측 빔부(설편 형상부)(12a)에 대해서 공간부(11e)가 가지는 폭 치수의 대소 관계(W1<W2)에 의해, 절연 누름판(11d)은 하방을 향해 절곡되었을 때에 내부 도체 콘택트(12)에 맞닿게 되는 관계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양쪽 부재(11d, 12)는 일체적으로 절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것처럼 절연 누름판(11d)에 설치된 공간부(11e)는, 특히,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와 내부 도체 콘택트(12)의 전기적 접속 영역인 「결선 부분」을 상방측으로부터 임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지만, 또한 그 「결선 부분」에 임하는 위치로부터, 커넥터 후방측인 절연 누름판(11d)의 근본 기부측을 향해 뻗어 나와 있고, 당해 절연 누름판(11d)에 형성된 절곡부(11f)를 따라 만곡하도록 뻗친 후에, 하방을 향해 뻗어 있다.
한편, 이러한 절연 누름판(11d)을 포함한 주된 감합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에 대해서, 당해 절연 본체부(11a)로부터 하방을 향해 일체적으로 돌출하는 대략 중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절연 삽입부(11b)는, 상술한 것처럼 감합 상대인 상대측 전기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의 내방측을 향해 당해 절연 삽입부(11b)의 하단측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쉴드 쉘에 대해서]
또한 도 10및 도 11에도 도시되어 있듯이, 상술한 절연 본체부(11a) 및 절연 삽입부(11b)를 가지는 절연 하우징(11)의 외측 표면은, 박판 금속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쉴드 쉘(13)의 주된 감합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외부 도체 쉘(13a)에 의해 덮여 있다. 이 외부 도체 쉘(13a)은 주로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를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부터 환형으로 덮도록 형성된 대략 중공 원통형의 접지 콘택트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또, 이 외부 도체 쉘(접지 콘택트 부재)(13a)의 하방측 부분은 상술한 절연 삽입부(11b)를 직경 방향 외방측으로부터 환형으로 덮는 쉘 삽입부(13a1)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당해 외부 도체 쉘(13a)의 상단측의 환형 개구 부분에는, 상술한 절연 본체부(11a)의 상면측을 덮는 쉘 덮개부(13b)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에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을 접속하여 고정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쉴드 쉘(13)은, 특히, 도 7~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술한 외부 도체 쉘(13a)에 대해서 쉘 덮개부(13b)가 상방측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당해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쉘 덮개부(13b)는, 외부 도체 쉘(13a)의 후방측 단연 부분에, 좁은 폭의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이음 부재(13b1)를 통해 대략 연직 상방으로 일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그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內)면, 즉 당해 쉘 덮개부(13b)가 폐색되었을 때에 내방측에 위치하는 면에는,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로부터 상방으로 일어서는 설편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절연 누름판(11d)이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음 부재(13b1)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개수는 임의로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쉴드 쉘(13)의 개방 상태(초기 상태)에 있어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절연 하우징(11)의 케이블 지지부(11c)에 수용되도록 재치되어 세팅된 후, 이음 부재(13b1)가 절연 누름판(11d)과 함께 하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쉴드 쉘(13)의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지면, 이에 의해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의 전체가, 쉘 덮개부(13b)에 의해 상방측으로부터 덮이고, 쉴드 쉘(13)이 폐색 상태로 된다.
이 때의 쉘 덮개부(13b)는 상술한 것처럼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져 폐색되었을 때에, 외부 도체 쉘(13a)의 상단측의 환형 개구 부분을 덮도록 씌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그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진 쉘 덮개부(13b)의 정면측 부분에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특히, 케이블 유전체 SCc 및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를 상방측으로부터 덮는 전방 커버부(13b2)가 일체적으로 연설(連設)되어 있다. 이 전방 커버부(13b2)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와 함께 상술한 외부 도체 쉘(13a)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케이블 보호 암(arm)(13a2, 13a2)을 외방측으로부터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에 상술한 케이블 보호 암(13a2, 13a2)은 세선 동축 케이블 SC를 사이에 둔 좌우 방향의 양측을 따라 뻗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전술한 외부 도체 쉘(13a)의 정면측 단연 부분으로부터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을 따라 한 쌍이 서로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하여 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쉘 덮개부(13b)의 정면측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된 전방 커버부(13b2)의 양측 연부(緣部)에는, 한 쌍의 설편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고정 보유판(13b3), 제2 고정 보유판(13b4) 및 제3 고정 보유판(13b5)이, 플랜지판(flange plate)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중 제1 고정 보유판(13b3)은 세선 동축 케이블 SC 및 케이블 보호 암(13a2, 13a2)을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절곡되어 코킹(caulking)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들 한 쌍의 제1 고정 보유판(13b3, 13b3)을 구성하고 있는 양측 플랜지판은,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졌을 때에, 케이블 보호 암(13a2, 13a2)의 양측 외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그 상태로부터 코킹을 행하도록 케이블 보호 암(13a2, 13a2)의 양측 외벽면을 따라 커넥터 내방측으로 절곡되고, 이에 의해 외부 도체 쉘(13a)에 대한 쉘 덮개부(13b)의 고정이 행해짐과 아울러,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특히, 케이블 유전체 SCc가 쉘 덮개부(13b)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고정 보유판(13b4) 및 제3 고정 보유판(13b5)은 상술한 제1 고정 보유판(13b3)의 전방측에 인접하여 병렬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비교적 소형의 플랜지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2 고정 보유판(13b4) 및 제3 고정 보유판(13b5)은 세선 동축 케이블 SC에 있어서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 및 외주 피복재 SCd를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절곡되어 코킹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들 제2 고정 보유판(13b4) 및 제3 고정 보유판(13b5)을 구성하고 있는 양측 플랜지판은,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졌을 때에, 세선 동축 케이블 SC에 있어서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 및 외주 피복재 SCd의 양측 외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그 상태로부터 코킹을 행하도록 커넥터 내방측으로 절곡된다. 이에 의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b 및 외주 피복재 SCd에 대한 쉘 덮개부(13b)의 고정이 행해짐과 아울러, 케이블 외부 도체 SCb가 제2 고정 보유판(13b4)에 접촉함으로써, 쉴드 쉘(13)에 의한 접지 회로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쉴드 쉘(13)의 하방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쉘 삽입부(13a1)는, 감합 상대인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의 직경 방향 외방측 부분에 외감(外嵌)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전술한 상대 커넥터의 직경 방향 내방측에 삽입되는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삽입부(11b)와 함께 커넥터 연결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쉘 삽입부(13a1)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쉘 삽입부(13a1)의 삽입측의 하단 부분에, 직경 방향 내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환형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계합(係合)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진 후에, 당해 연결 계합부가 감합 상대인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연결 계지(係止)부(도시 생략)에 대해서 탄성적인 감합 관계로 되도록 되어 있다.
[신호 콘택트 부재에 대해서]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채용되어 있는 내부 도체 콘택트(신호 콘택트 부재)(12)는,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본체부(11a)에 압입 또는 인서트(insert) 성형 등에 의해 장착되어 있지만,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에 접속되는 한 쌍의 상하 빔부(12a, 12b)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협지(挾持)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그 케이블 협지부에 있어서의 하측 빔부(12b)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뻗어 나오도록 설치된 탄성 스프링부(12c)가, 감합의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에 설치된 도전 콘택트(도시 생략)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케이블 협지부를 구성하고 있는 상측 빔부(12a) 및 하측 빔부(12b)는, 일련(一連)으로 뻗어 있는 띠판(band plate)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시에 있어서 대략 'C'자 형상 또는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클립빔(clip beam)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후술하듯이 하측 빔부(12b)에 상측 빔부(12a)를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양자의 연결 부분을 절곡 변형시킴으로써,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양쪽 빔부(12a, 12b)끼리의 사이에 상하로부터 클립 형상으로 끼움으로써, 본 발명에서 말하는 「결선 부분」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에 케이블 협지부의 상측 빔부(12a)는 상술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을 연결하기 전의 단계인 초기 상태에 있어서, 특히, 도 7~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일으켜 세워진 설편 형상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당해 설편 형상부로서의 상측 빔부(12a)가 상방 개방 상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하측 빔부(12b)로부터 상방으로 이간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케이블 협지부의 하측 빔부(12b)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재치되는 케이블 재치부로서 형성된 것으로서, 상측 빔부(설편 형상부)(12a)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커넥터 전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뻗어 나와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절연 하우징(11)의 케이블 지지부(11c)에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재치되었을 때에, 당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케이블 협지부의 하측 빔부(12b)의 표면에 상방측으로부터 재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단말 부분이 절연 하우징(11)의 케이블 지지부(11c)에 재치되어 세팅 상태로 된 후에, 쉴드 쉘(13)의 쉘 덮개부(13b)가, 전술한 절연 누름판(11d)과 함께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지게 되지만, 그 때에는, 절연 누름판(11d)에 의해 하방측으로 눌린 케이블 협지부의 상측 빔부(설편 형상부)(12a)가 대략 수평 상태로 될 때까지 밀어 넘어뜨려지도록 굴곡 변형되고, 당해 상측 빔부(12a)가, 특히,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상방측으로부터 누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케이블 협지부를 구성하는 상측 빔부(설편 형상부)(12a)에 있어서의 뻗어 있는 방향의 중간 위치는,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를 상방측으로부터 누르는 상방 전극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상측 빔부(12a)에 설치된 상방 전극부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를 협지하는 하방향으로 돌출하는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방측 굴곡 형상 부분이 세선 동축 케이블 SC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 형상 접점부로 되어 있다. 이 돌출 형상 접점부는, 전술한 것처럼 쉘 덮개부(13b)가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졌을 때에, 하측 빔부(12b) 상에 세팅되어 있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에 대해서 상측으로부터 압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양쪽 빔부(12a, 12b)끼리의 사이에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가 압접된 상태로 협지됨과 아울러,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가 내부 도체 콘택트(신호 콘택트 부재)(12)에 접속되는 전기적 접속 영역을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결선 부분」이라고 하고 있다.
또, 상술한 내부 도체 콘택트(12)의 케이블 재치부로서 설치된 하측 빔부(12b)는, 설편 형상부를 이루는 상측 빔부(12a)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평탄 형상을 이루어 전방으로 뻗어 나오는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절연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절연 본체부(11a)의 상표면에 재치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하측 빔부(12b)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둥근 구멍 형상을 이루는 접속 감시 구멍(12b1)이 관통 형성되어 있지만, 당해 접속 감시 구멍(12b1)과 거의 동축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 삽입 구멍이 절연 하우징(11)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 삽입 구멍은 접속 감시 구멍으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고, 상술한 접속 감시 구멍(12b1)을 통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의 배치 상태를 하방측으로부터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케이블 협지부의 하측 빔부(12b)는 커넥터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는 띠판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당해 하측 빔부(12b)의 판폭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단연부로부터는, 하방측을 향해 한 쌍의 탄성 스프링부(12c, 12c)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일체적으로 뻗어 나와 있고, 이들 양쪽 탄성 스프링부(12c, 12c)끼리의 사이 부분에, 감합의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등)에 설치된 핀(pin) 형상의 신호 도전 콘택트(도시 생략)가 압접 상태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것처럼 초기 상태에 상방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쉴드 쉘(13)의 쉘 덮개부(13b)가, 하방측을 향해 밀어 넘어뜨려질 때에는, 마찬가지로 초기 상태에 상방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절연 하우징(11)의 절연 누름판(11d)이,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에 있어서의 소정의 영역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대향하여 압접 상태로 되고, 그 후에, 쉘 덮개부(13b)와 함께 대략 수평 상태까지 밀어 넘어뜨려져 간다. 그리고, 이들 쉘 덮개부(13b) 및 절연 누름판(11d)이 내부 도체 콘택트(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상측 빔부(설편 형상부)(12a)를 통해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의 상방측에 적층형으로 배치된다. 이 때에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과 절연 누름판(11d)이 압접하는 대향 영역에는, 가늘고 긴 쉘측 오목홈부(14)가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 SC를 따라 커넥터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쉘측 오목홈부(14)는, 쉘 덮개부(13b)의 내면의 일부를 판 두께 방향으로 단차 형상으로 움푹 패이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당해 쉘측 오목홈부(14)의 내벽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공기층이, 전술한 절연 누름판(11d)의 공간부(11e)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공기층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대향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쉘측 오목홈부(14)와 공간부(11e)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상태로 겹쳐지는 배치 관계에 의해 양쪽 부재(14, 11e)끼리의 사이 부분에 전송 신호의 임피던스를 조정하기 위한 공기층이 겹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쉘측 오목홈부(14)는, 예를 들면 프레스(press)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당해 쉘측 오목홈부(14)의 홈 깊이 분(分)만큼 쉘 덮개부(13b)의 판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설치되어 있지만, 임피던스의 조정량에 따라서는 쉘측 오목홈부(14)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쉘측 오목홈부(14)는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 SC를 따라 뻗어 있지만, 당해 쉘측 오목홈부(1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뻗어 있는 범위는, 내부 도체 콘택트(신호 콘택트 부재)(12)의 후단부인 하측 빔부(케이블 재치부)(12b)와 상측 빔부(설편 형상부)(12a)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 SC의 유전체 SCc가 노출되어 있는 부위의 상방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히,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쉘측 오목홈부(14)는,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 SCa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영역인 결선 부분의 상방에 위치하는 좁은 폭 홈부(14a)와,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유전체 SCc의 상방에 위치하는 넓은 폭 홈부(14b)를 직선 형상으로 연속하도록 구비한 것으로서, 전기적 접속 영역인 결선 부분에 배치된 좁은 폭 홈부(14a)가 가지고 있는 홈폭(groove width)은, 전술한 절연 누름판(11d)이 전기적 접속 영역에 있어서 가지는 판폭(plate width)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쉘측 오목홈부(14)의 홈폭 방향 양측에 대응한 영역은,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상술한 결선 부분에 배치된 좁은 폭 홈부(14a)의 양측에 위치하는 쉘 덮개부(13b)의 덮개 내면은, 절연 누름판(11d)의 상측 표면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맞닿는 빠져 들어감 억지부(13b6)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이 빠져 들어감 억지부(13b6)는 절연 누름판(11d)의 상측 표면에 맞닿음으로써 당해 절연 누름판(11d)의 상방에 적층되는 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쉘측 오목홈부(14)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공기층의 전기적 접속 영역에 배치된 좁은 폭 홈부(14a)의 내부에 절연 누름판(11d)이 들어가는 일이 없이 전기적 접속 영역에 쉘측 오목홈부(14)가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넓은 폭 홈부(14b)의 홈폭은 절연 누름판(11d)의 판폭보다 크게 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절연 누름판(11d)은 뻗어 나오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좁은 폭 홈부(14a)의 중간 위치까지밖에 뻗어 있지 않고, 넓은 폭 홈부(14b)에 대향하는 것은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쉴드 쉘(13)의 쉘 덮개부(13b)가 밀어 넘어뜨려진 폐색 상태에 있어서도, 넓은 폭 홈부(14b)의 내부에 절연 누름판(11d)이 들어가는 일은 없고, 당해 절연 누름판(11d)은 전체 길이에 걸쳐 쉘 덮개부(13b)의 내면에 압접한 적층 상태로 보유된다. 그리고, 그 절연 누름판(11d)의 상방에 쉘 덮개부(13b)가 적층된 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당해 절연 누름판(11d)의 직상(直上) 위치에 쉘측 오목홈부(14)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전기적 접속 영역인 결선 부분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쉘측 오목홈부(14)의 다른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넓은 폭 홈부(14b)는, 상술한 것처럼 세선 동축 케이블 SC에 있어서의 유전체 SCc의 노출 부분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당해 넓은 폭 홈부(14b)가 가지고 있는 홈폭은,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유전체 SCc가 가지고 있는 외경보다 약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유전체 SCc는 쉘측 오목홈부(14)의 넓은 폭 홈부(14b)의 내부에 수용되고, 이에 의해 커넥터의 콤팩트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 전술한 것처럼 넓은 폭 홈부(14b)가 가지고 있는 홈폭은, 절연 누름판(11d)의 판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전기적 접속 영역에 있어서의 내부 도체 콘택트(12)의 판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쉘측 오목홈부(1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좁은 폭 홈부(14a)의 홈폭은,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 SC의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 즉 내부 도체 콘택트(신호 콘택트 부재)(12)가 접촉하는 부분의 선경(線徑)과 동일 또는 그 이상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쉘측 오목홈부(14)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좁은 폭 홈부(14a)의 홈폭은, 내부 도체 콘택트(신호 콘택트 부재)(12)의 상측 빔부(12a)가 가지는 판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절연 누름판(11d)에 설치된 관통공의 내벽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11e)가, 쉴드 쉘(13)의 외부 도체 쉘(13a)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내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와 내부 도체 콘택트(12)의 전기적 접속 영역인 결선 부분에 임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당해 공간부(11e)에 의해 형성되는 임피던스 조정용의 공기층이 임피던스의 부정합이 생기기 쉬운 결선 부분에 대면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전기 커넥터의 중요 설계 요소인 임피던스의 정합 정도(VSWR)의 조정이 효율적으로 행해짐으로써,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 또는 콤팩트화를 행하면서 고주파 신호의 양호한 전송이 용이하게 유지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절연 누름판(11d)에 설치된 공간부(11e)가 당해 절연 누름판(11d)의 절곡부(11f)에 이르는 영역까지 뻗어 있기 때문에, 쉴드 쉘(13)의 외부 도체 쉘(13a)에 대해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부위에 있어서도, 임피던스의 조정용의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그 결과, 임피던스의 정합이 더욱 효율적으로 행해짐과 아울러, 절연 누름판(11d)의 절곡부(11f)에 있어서의 강성이 공간부(11e)에 의해 저감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 누름판(11d)에 대한 절곡 작업이, 파손 등이 생기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절연 누름판(11d)의 공간부(11e)에 의한 임피던스의 정합 작용에 더하여, 쉴드 쉘(13)의 쉘 덮개부(13b)에 설치된 쉘측 오목홈부(14)에 의해서도 임피던스의 정합이 행해지기 때문에, 임피던스의 정합이 한층 효율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공간부(11e)를 관통공에 의해 구성해 두면, 제조가 용이한 관통공에 의해 공간부(11e)가 형성되기 때문에, 그 만큼 제조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다음에, 도 17~도 19에 도시된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 형태에서 부여한 부재 부호의 10 단위인 「1」을 「2」로 바꾸어 나타내고 있지만, 당해 제2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플러그 커넥터(동축형 전기 커넥터)(20)에서는, 절연 누름판(21d)의 근본 기부측의 영역에 설치된 공간부(21e)가,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뻗어 있는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어 있는 바닥이 있는 오목 형상 홈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의 부재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바닥이 있는 오목 형상 홈의 내벽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21e)도, 절연 누름판(21d)의 표면의 일부에 판 두께 방향(상방향)으로 단차 형상을 이루어 움푹 패이도록 형성된 것이지만, 절연 누름판(21d)이 세선 동축 케이블 SC의 상방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었을 때에, 당해 공간부(21e)를 구성하고 있는 오목 형상 홈이,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와 내부 도체 콘택트(12)의 전기적 접속 영역인 「결선 부분」을 상방측으로부터 임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 오목 형상 홈으로 이루어지는 공간부(21e)는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a와 내부 도체 콘택트(12)의 「결선 부분(전기적 접속 영역)」으로부터, 커넥터 후방측인 절연 누름판(21d)의 근본 기부측을 향해 뻗어 나와 있고, 절연 누름판(21d)에 형성된 절곡부(21f)를 따라 만곡하도록 뻗친 후에 하방을 향해 뻗어 있다.
이러한 바닥이 있는 오목 형상 홈으로 이루어지는 공간부(21e)를 구비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는, 수직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수평 감합형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단심(單芯)의 세선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극상으로 배치된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나, 동축 케이블과 절연 케이블을 복수 혼합한 타입의 전기 커넥터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는 각종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다종 다양한 전기 커넥터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플러그 커넥터(동축형 전기 커넥터)
11 : 절연 하우징 11a : 절연 본체부
11b : 절연 삽입부 11c : 케이블 지지부
11d : 절연 누름판 11e : 공간부(관통공)
11f : 절곡부
12 : 내부 도체 콘택트(신호 콘택트 부재)
12a : 상측 빔부(설편 형상부)
12b : 하측 빔부(케이블 재치부)
12b1 : 접속 감시 구멍 12c : 탄성 스프링부
13 : 쉴드 쉘(shield shell)
13a : 외부 도체 쉘(접지 콘택트 부재)
13a1 : 쉘 삽입부
13a2 : 케이블 보호 암(arm)
13b : 쉘 덮개부 13b1 : 이음 부재
13b2 : 전방 커버부
13b3 : 제1 고정 보유판 13b4 : 제2 고정 보유판
13b5 : 제3 고정 보유판 13b6 : 빠져 들어감 억지부
14 : 쉘측 오목홈부 14a : 좁은 폭 홈부
14b : 넓은 폭 홈부
SC : 세선 동축 케이블(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
SCa : 케이블 중심 도체(신호선)
SCb : 케이블 외부 도체(쉴드선)
SCc : 케이블 유전체 SCd : 외주 피복재
20 : 플러그 커넥터(동축형 전기 커넥터)
21 : 절연 하우징 21a : 절연 본체부
21b : 절연 삽입부 21c : 케이블 지지부
21d : 절연 누름판
21e : 공간부(오목 형상 홈)
21f : 절곡부
22 : 내부 도체 콘택트(신호 콘택트 부재)
22a : 상측 빔부(설편 형상부)
22b : 하측 빔부(케이블 재치부)
22b1 : 접속 감시 구멍 22c : 탄성 스프링부
23 : 쉴드 쉘
23a : 외부 도체 쉘(접지 콘택트 부재)
23a1 : 쉘 삽입부 23a2 : 케이블 보호 암
23b : 쉘 덮개부 23b1 : 이음 부재
23b2 : 전방 커버부 23b3 : 제1 고정 보유판
23b4 : 제2 고정 보유판 23b5 : 제3 고정 보유판
23b6 : 빠져 들어감 억지부
24 : 쉘측 오목홈부 24a : 좁은 폭 홈부
24b : 넓은 폭 홈부

Claims (4)

  1.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이 연결되는 절연 하우징과, 그 절연 하우징의 외표면을 덮도록 장착된 중공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부 도체 쉘과, 당해 외부 도체 쉘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내방 영역에 배치된 내부 도체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과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의 결선 부분이 상기 외부 도체 쉘의 직경 방향의 내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외부 도체 쉘이 가지는 환형 개구부에는, 당해 환형 개구부를 개방·폐색하는 쉘 덮개부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절연 하우징에 상기 쉘 덮개부와 일체적으로 개폐되는 절연 누름판이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쉘 덮개부가 상기 외부 도체 쉘의 환형 개구부를 덮도록 폐색될 때에 상기 절연 누름판이 절곡부를 형성하도록 변형됨으로써, 당해 절연 누름판의 누름력에 의해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의 설편 형상부가 상기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에 누름 접촉하여 상기 결선부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된 동축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 누름판의 표면의 일부로서, 상기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단말 부분과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의 결선 부분에 임하는 위치에, 단차 형상을 이루어 움푹 패인 홈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가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외부 도체 쉘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의 내방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의 뻗어 있는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의 내경 치수 W1이, 상기 내부 도체 콘택트의 설편 형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폭방향의 외형 치수 W2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결선 부분으로부터 상기 절곡부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에 상기 케이블 형상 신호 전송 매체를 따라 뻗어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누름판이 상기 외부 도체 쉘의 환형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상기 쉘 덮개부의 내벽면을 따라 뻗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쉘 덮개부의 내벽면에 상기 공간부와 대향 배치되는 쉘측 오목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가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20160002578A 2015-01-28 2016-01-08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1743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13884 2015-01-28
JP2015013884 2015-01-28
JPJP-P-2015-242582 2015-12-11
JP2015242582A JP6065968B2 (ja) 2015-01-28 2015-12-11 同軸型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919A KR20160092919A (ko) 2016-08-05
KR101743390B1 true KR101743390B1 (ko) 2017-06-02

Family

ID=5668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578A KR101743390B1 (ko) 2015-01-28 2016-01-08 동축형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65968B2 (ko)
KR (1) KR101743390B1 (ko)
CN (1) CN105826709B (ko)
TW (1) TWI6056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6768B (zh) * 2018-02-28 2024-03-15 义巍安防科技(宁波)有限公司 机械自动门锁
US11967789B2 (en) * 2019-02-04 2024-04-23 I-Pex Inc.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with clamping feature for connecting to a cable
JP2021039932A (ja) * 2019-08-30 2021-03-11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7468079B2 (ja) * 2019-08-30 2024-04-16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3214A (ja) 2003-12-19 2005-07-07 Hirose Electric Co Ltd 同軸電気コネクタ
JP2005317260A (ja) 2004-04-27 2005-11-10 Tyco Electronics Amp Kk 同軸コネクタ
JP2011040262A (ja) 2009-08-10 2011-02-24 Tyco Electronics Japan Kk 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596B2 (ja) * 1990-04-19 2001-05-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ベース管理装置
JP4148339B2 (ja) * 2001-04-26 2008-09-10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同軸コネクタ
US6971913B1 (en) * 2004-07-01 2005-12-06 Speed Tech Corp. Micro coaxial connector
TWI431875B (zh) * 2009-03-09 2014-03-21 Hon Hai Prec Ind Co Ltd 電連接器及其端子
TWM365590U (en) * 2009-05-27 2009-09-21 Advanced Connectek Inc Coaxial micro-connector
JP5522410B2 (ja) * 2011-10-12 2014-06-18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CN104126255B (zh) * 2012-04-02 2017-06-09 第一电子工业株式会社 插塞式连接器及由该插塞式连接器构成的同轴连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3214A (ja) 2003-12-19 2005-07-07 Hirose Electric Co Ltd 同軸電気コネクタ
JP2005317260A (ja) 2004-04-27 2005-11-10 Tyco Electronics Amp Kk 同軸コネクタ
JP2011040262A (ja) 2009-08-10 2011-02-24 Tyco Electronics Japan Kk 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65968B2 (ja) 2017-01-25
JP2016146318A (ja) 2016-08-12
CN105826709A (zh) 2016-08-03
KR20160092919A (ko) 2016-08-05
TWI605647B (zh) 2017-11-11
TW201637305A (zh) 2016-10-16
CN105826709B (zh)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026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grounding structure
KR101592724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JP4222617B2 (ja) コネクタ
KR101703419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1974328B1 (ko)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 접속 방법
US20060172589A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low profile
US7794271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wire management member thereof
WO2018008374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5523154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
KR101743390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US787885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JPWO2020085398A1 (ja) 同軸コネクタ装置
US8790134B2 (en) Connector, cable assembly, and semiconductor testing device
JP6847016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0803228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JP6241597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2015130266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6135147B2 (ja) 同軸コネクタ
JP2017147108A (ja) プラグコネクタ
JP6813177B2 (ja) 圧接接続型コンタクト及び同軸コネクタ
JP5943017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949804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6025019A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