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916B1 -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916B1
KR101027916B1 KR1020080127992A KR20080127992A KR101027916B1 KR 101027916 B1 KR101027916 B1 KR 101027916B1 KR 1020080127992 A KR1020080127992 A KR 1020080127992A KR 20080127992 A KR20080127992 A KR 20080127992A KR 101027916 B1 KR101027916 B1 KR 101027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tact
coaxial cable
receptacle
co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9334A (ko
Inventor
임종인
Original Assignee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 에이. 이 (주) filed Critical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to KR1020080127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91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동축케이블(3)의 단부가 결속되는 플러그(10)와, 보드(2)에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10)와 결속되는 리셉터클(20)을 구비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는, 복수의 컨택트 삽입홈(1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플러그 몰드(11)와, 상기 컨택트 삽입홈(11a)에 각각 삽입되고 동축케이블(3)의 심선(3a)과 접속되는 제1 컨택트(12)와, 복수로 마련된 동축케이블(3)의 외부도체(3c)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동축케이블(3)을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플러그 몰드(11)에 안착되는 그라운드바(13)와, 상부 플러그 몰드(11)의 상부를 덮고 상기 그라운드바(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셀(14)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20)은, 도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형태를 갖는 복수의 쉴드하우징(21a)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이 접속되면 상기 외부셀(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21)와, 상기 쉴드하우징(21a)의 내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컨택트(12)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2 컨택트(22)와, 상기 베이스(21)와 제2 컨택트(22)를 고정시키는 리셉터클 몰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축케이블, 커넥터, 플러그, 리셉터클, 그라운드바

Description

동축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COAXIAL CABLE}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결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고주파영역에서도 신호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게임기, PMP, PDA 등과 같은 전자기기 또는 통신기기에서는 각종 부품이 내장된 보드와 다른 보드를 연결하거나, 보드와 케이블을 접속시키기 위해서 접속부위에 보드와 보드, 보드와 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커넥터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케이블 자체의 신호손실이 적고, 주파수대역과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제조기술의 발달로 케이블의 직경이 미세해지고 있는 동축케이블을 적용하기 위해서, 플러그와 리셉터클로 이루어지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고, 동시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를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의 동축케이블을 복수로 배열하고, 각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일일이 커넥터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따르면, 복수의 동축케 이블을 보드에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일일이 동축케이블을 하나씩 보드에 접속시켜야 하므로, 번거롭고 기기의 조립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들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야 하므로 커넥터 설치에 많은 공간이 소요되는 바, 이로 인하여 기기를 소형화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아울러, 기기의 소형화를 위하여 커넥터들이 배치되는 간격을 좁히는 경우, 인접한 동축케이블에 의해서 신호가 손실될 우려가 존재하므로, 커넥터들의 간격을 일정간격 이하로 좁히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따르면, 기기의 소형화를 위해서 동축케이블이 접속되는 간격을 좁히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간격을 좁히면 신호의 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기의 보드에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커넥터의 크기를 줄여 소형화가 가능하며, 접속된 상태에서도 고주파 영역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복수의 동축케이블의 단부가 결속되는 플러그와, 보드에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와 결속되는 리셉터클을 구비하여, 상기 동축케이블을 상기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복수의 컨택트 삽입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플러그 몰드와, 상기 컨택트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고 동축케이블의 심선과 접속되는 제1 컨택트와, 복수로 마련된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을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플러그 몰드에 안착되는 그라운드바와, 상부 플러그 몰드의 상부를 덮고 상기 그라운드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셀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도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형태를 갖는 복수의 쉴드하우징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접속되면 상기 외부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와, 상기 쉴드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컨택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2 컨택트와, 상기 베이스와 제2 컨택트를 고정시키는 리셉터클 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컨택트는, 상부면에 심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심선안착부와, 상기 심선안착부의 일측으로 상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심선이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심선의 측면을 지지하는 심선가이드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심선안착부에서 하향되게 연장되는 제1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택트는, 상기 제1 접속부의 하부가 측면에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의 하단에 일측으로 연결되어 보드의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턴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쉴드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접속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가 상기 쉴드하우징의 내부에서 접속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플러그 몰드의 일측에서는 상기 플러그 몰드의 상부면보다 낮게 그라운드바 안착부가 형성되고, 피복이 제거된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가 상기 제1 컨택트가 배치되는 간격으로 상기 그라운드바에 접속되어, 상기 그라운드바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외부셀의 둘레를 따라 하향되게 복수의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상기 파지부가 물어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되게 파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결속되면, 상기 파지부가 파지돌기를 물어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따르면, 고주파 에서도 케이블에 요구되는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제1 컨택트와 제2 컨택트가 접속되어 데이터가 전송될 때, 상기 제1 컨택트와 제2 컨택트의 외측을 쉴드하우징이 커버하므로, 접속부위에서 발생한 전자기파가 인접한 제1 컨택트와 제2 컨택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동축케이블을 인접하게 배치하더라도,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기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복수의 동축케이블이 연결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결속시키는 것만으로도, 복수의 동축케이블을 용이하게 보드의 패턴에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 및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서 플러그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서 리셉터클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플러그(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택트 삽입 홈(11a)이 형성되는 플러그 몰드(11)와, 상기 컨택트 삽입홈(11a)에 각각 삽입되고 동축케이블(3)의 심선(3a)과 접속되는 제1 컨택트(12)와, 동축케이블(3)의 외부도체(3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플러그 몰드(11)에 안착되는 그라운드바(13)와, 상부 플러그 몰드(11)의 상부를 덮고 상기 그라운드바(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셀(14)을 포함한다.
플러그 몰드(11)는 내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컨택트 삽입홈(11a)과, 그라운드바(13)가 안착되는 그라운드바 안착부(11b)가 형성된다. 상기 컨택트 삽입홈(11a)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후술되는 제1 컨택트(12)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제1 컨택트(12)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플러그 몰드(11)는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제1 컨택트(12)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지만, 전기적으로는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그라운드바 안착부(11b)는 상기 플러그 몰드(11)의 일측에 후술되는 그라운드바(13)와 복수의 동축케이블(3)이 안착되도록 상기 플러그 몰드(11)의 상부면에서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그라운드바 안착부(11b)는 플러그 몰드(11)의 상부면보다 낮도록 단차지게 형성하여, 그라운드바(13)와 동축케이블(3)이 플러그 몰드(11)에 안착되도록 한다.
제1 컨택트(12)는 동축케이블(3)의 심선(3a)이 안착되는 심선안착부(12a)와, 심선(3a)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심선가이드(12b)와, 후술되는 제2 컨택트(22)과 접속되는 제1 접속부(12c)를 포함한다. 상기 심선안착부(12a)는 상기 제1 컨택트(12)의 상부면을 형성하여, 동축케이블(3)의 심선(3a)과 솔더링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심선가이드(12b)는 상기 심선안착부(12a)의 일측에서 상향되게 절곡되어 형성되고, 중간에는 상기 심선(3a)이 직교하게 관통하게 홈이 형성됨으로써, 심선(3a)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심선(3a)을 가이드한다. 상기 제1 접속부(12c)는 상기 심선안착부(12a)의 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속부(12c)가 후술되는 제2 접속부(22a)를 파지하여 접속된다. 상기 제1 접속부(12c)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제1 접속부(12c)가 제2 접속부(22a)에 결속되면, 제1 접속부(12c)가 제2 접속부(22a)를 파지할 수 있도록 아래로 갈수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1 접속부(12c)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 접속부(12c)의 하단은 용이하게 결속 및 해제될 수 있고,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컨택트(12)는 도전성의 금속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제조되는 바, 상기 심선안착부(12a)로부터 상기 심선가이드(12b)와 제1 접속부(12c)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컨택트(12)는 상기 플러그 몰드(11)의 삽입홈(11a)에 삽입되고, 제1 컨택트(12)의 상부와 하부가 노출되며, 측면이 플러그 몰드(11)에 지지된다.
그라운드바(13)는 복수로 구비되는 동축케이블(3)이 서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동축케이블(3)의 외부도체(3c)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절연층(3b)과 피복(3d)에 단차지게 제거되어 심선(3a)과 외부도체(3c)가 외부로 노출된 동축케이블(3)을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그라운드바(13)를 외부도체(3c)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그라운드바(13)와 외부도체(3c)를 솔더링하여, 동축케이블(3)들의 외부도체(3c)를 서로 결속시킨다. 상기 그라운드바(13)는 바람직하게는 한 쌍 으로 마련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 동축케이블(3)이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그라운드바(13)에 의해서 동축케이블(3)과 그라운드바(13)가 가조립되면, 상기 그라운드바(13)가 플러그 몰드(11)의 그라운드바 안착부(11b)에 위치하도록 안착시킨다. 한편, 동축케이블(3)과 그라운드바(13)의 가조립물을 플러그 몰드(11)의 그라운드바 안착부(11b)에 안착시키면, 심선(3a)은 상기 제1 컨택트(12)의 심선안착부(12a)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심선(3a)과 심선안착부(12a)를 솔더링함으로써, 제1 컨택트(12)와 심선안착부(12a)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외부셀(14)은 플러그 몰드(11)의 외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 몰드(11)에 제1 컨택트(12)가 삽입되고, 동축케이블(3)과 그라운드바(13)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몰드(11)의 상부면과 측면을 덮는다. 상기 외부셀(14)은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라운드바(1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관통공(14a)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4a)을 이용하여 그라운드바(13)와 외부셀(14)을 솔더링함으로써, 동축케이블(3)의 외부도체(3c)와 외부셀(1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외부셀(14)의 측면으로는 리셉터클(20)과 접속되었을 때, 플러그(10)가 리셉터클(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파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는 외부셀(14)에서 동축케이블(3)이 배열된 방향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파지부(14b)와, 외부셀(14)에서 동축케이블(3)의 길이방향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파지부(14c)가 형성된다.
리셉터클(2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쉴드하우징(21a)이 형성되는 베이스(21)와, 상기 쉴드하우징(21a)의 내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제2 컨택트(22)와, 상기 베이스(21)와 제2 컨택트(22)를 고정시키는 리셉터클 몰드(23)를 포함한다.
베이스(21)는 도전성의 금속재질의 판상(板狀)의 형태를 갖고, 간격을 두고 쉴드하우징(21a)이 형성된다.
쉴드하우징(21a)은 플러그(10)의 제1 컨택트(12)와 리셉터클(20)의 제2 컨택트(22)가 접속되어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전자기파로 인하여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쉴드하우징(21a)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제1 컨택트(12)가 삽입 또는 탈거될 수 있도록 개방되며, 하부도 제2 컨택트(22)를 설치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21)는 상기 외부셀(14)의 제1 파지부(14b)와 제2 파지부(14c)가 물어 잡을 수 있도록 제1 파지돌기(21b)와 제2 파지돌기(21c)가 형성된다. 즉, 상기 외부셀(14)과 접속되었을 때, 외부셀(14)의 제1 파지부(14b)와 제2 파지부(14c)가 각각 물어잡을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21)로부터 상향돌출되게 제1 파지돌기(21b)와 제2 파지돌기(21c)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파지부(14b)-제1 파지돌기(21b), 제2 파지부(14c)-제2 파지돌기(21c)는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이 접속되면,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파지하는 형태를 가질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도 연결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21)에서 쉴드하우징(21a)의 직하방에는 후술되는 제2 컨 택트(22)가 위치할 수 있도록, 베이스(21)에 홈이 형성되고, 쉴드하우징(21a)의 측면일부가 베이스(2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컨택트(22)는 제1 컨택트(12)의 제1 접속부(12c)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22a)와, 상기 제2 접속부(22a)와 일체로 형성되어 보드(2)에 형성된 패턴(2a)에 접속되는 패턴접속부(22b)를 포함한다. 제2 접속부(22a)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제1 접속부(12c)의 사이로 원활하게 삽입, 이탈될 수 있도록 상단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플러그(10)가 리셉터클(20)에 끼워지면, 상기 제1 접속부(12c)의 하단이 상기 제2 접속부(22a)의 상단과 접속되기 시작하고 상기 제1 접속부(12c)의 하부가 상기 제2 접속부(22a)의 측면을 물어잡게 된다. 패턴접속부(22b)는 상기 제2 접속부(22a)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보드(2)의 패턴(2a)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리셉터클 몰드(23)는 상기 베이스(21)와 제2 컨택트(22)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21)와 제2 컨택트(22)의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베이스(21)의 쉴드하우징(21a) 내부에 상기 제2 컨택트(22)의 제2 접속부(22a)가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베이스(21)와 제2 접속부(22a)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수지 등과 같이 절연체로 재질로한 리셉터클 몰드(23)를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가공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몰드(23)의 상부면 일부는 흡착기구가 부압(負壓)을 이용하여 픽업할 수 있는 픽업부(23a)가 형성된다. 상기 픽업부(23a)에 흡착기구로 흡착하여 승강 또는 이동시킴으로써, 조립된 리셉터클(20)을 이송시키거나, 보 드(2)에 실장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동축케이블(3)의 선단에 플러그(10)를 결합시키고, 상기 보드(2)에 리셉터클(2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10)를 리셉터클(20)에 결속시키는 것만으로도, 신속하게 동축케이블(3)이 보드(2)의 패턴(2a)에 접속되도록 한다.
플러그(10)에서 외부셀(14)과 플러그 몰드(11)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 5 및 동축케이블용 커넥터(1)의 단면을 도시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가 리셉터클(20)에 삽입되면, 동축케이블(3)의 심선(3a)이 제1 컨택트(12)와 제2 컨택트(22)를 통하여 보드(2)의 패턴(2a)에 접속되고, 동축케이블(3)의 외부도체(3c)는 그라운드바(13)와 외부셀(14)과 베이스(11)를 통하여 접지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컨택트(12)의 제1 접속부(12c)와 제2 컨택트(22)의 제2 접속부(22a)가 서로 접속되어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제1 컨택트(12)와 제2 컨택트(22)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쉴드하우징(21a)이 차폐할 수 있으므로, 고주파 대역에서도 요구되는 RF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동축케이블(3)이 설치되는 간격을 좁히더라도 충분히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10)내에서 제1 컨택트(12)가 배치되는 간격과, 베이스(21)의 내부에서 제2 컨택트(22)가 배치되는 간격을 줄일 수 있어서, 커넥터(1)의 크기를 소형화시킴으로써, 기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쉴드하우징(21a) 에 의해 각 접속부위의 영향이 인접한 접속부위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1 컨택트(12)와 제2 컨택트(22)가 설치되는 간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커넥터를 반복하여 배열하던 종래기술에 비하여, 동축케이블(3)이 설치되는 간격을 좁혀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 각 동축케이블(3)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발생되는 신호손실을 방지하여 동축케이블용 커넥터(1)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는 4개의 제1 컨택트(12)와 제2 컨택트(22)가 마련되고 4개의 동축케이블(3)이 마련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한 제1 컨택트(12)에만 동축케이블(3)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4개의 제1 컨택트(12)가 구비되어 있어도, 필요에 따라 2개의 동축케이블(3)만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플러그(10) 및 리셉터클(20)에 구비되는 제1 컨택트(12)와 제2 컨택트(22)의 수, 제1 컨택트(12)에 연결되는 동축케이블(3)의 수는 예시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서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서 플러그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a는 플러그 몰드에 제1 컨택트와 동축케이블이 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플러그 몰드에 외부셀을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서 리셉터클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4a는 베이스와 제2 컨택트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베이스와 제2 컨택트에 리셉터클 몰드를 인서트 몰드하여 완성한 리셉터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서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 : 커넥터 2 : 보드
2a : 패턴 3 : 동축케이블
3a : 심선 3b : 절연층
3c : 외부도체 3d : 피복
10 : 플러그 11 : 플러그 몰드
11a : 삽입홈 11b : 그라운드바 안착부
12 : 제1 컨택트 12a : 심선안착부
12b : 심선가이드 12c : 제1 접속부
13 : 그라운드바 14 : 외부셀
14a : 관통공 14b : 제1 파지부
14c : 제2 파지부 20 : 리셉터클
21 : 베이스 21a : 쉴드하우징
21b : 제1 파지돌기 21c : 제2 파지돌기
22 : 제2 컨택트 22a : 제2 접속부
22b : 패턴접속부 23 : 리셉터클 몰드
23a : 픽업부

Claims (5)

  1. 복수의 동축케이블(3)의 단부가 결속되는 플러그(10)와, 보드(2)에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10)와 결속되는 리셉터클(20)을 구비하여, 상기 동축케이블(3)을 상기 보드(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는,
    복수의 컨택트 삽입홈(1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플러그 몰드(11)와,
    상기 복수의 컨택트 삽입홈(11a)에 각각 삽입되고 동축케이블(3)의 심선(3a)과 접속되는 복수의 제1 컨택트(12)와,
    복수로 마련된 동축케이블(3)의 외부도체(3c)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동축케이블(3)을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플러그 몰드(11)에 안착되는 그라운드바(13)와,
    상부 플러그 몰드(11)의 상부를 덮고 상기 그라운드바(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셀(14)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20)은,
    원통형의 형태를 갖는 복수의 쉴드하우징(21a)이 연결되며, 도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이 접속되면 상기 외부셀(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판상의 베이스(21)와,
    상기 복수의 쉴드하우징(21a)의 내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컨택트(12)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2 컨택트(22)와,
    상기 베이스(21)와 제2 컨택트(22)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동시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베이스(21)와 제2 컨택트(22)에 인서트 몰딩되는 리셉터클 몰드(23)를 포함하고,
    상기 판상의 베이스(21)에는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의 쉴드하우징(21a)이 접속되되, 상기 베이스(21)에서 상기 복수의 쉴드하우징(21a)의 직하방에는 상기 복수의 제2컨택트(22)가 위치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각 쉴드하우징(21a)의 측면일부가 상기 베이스(21)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셀(14)에는 둘레를 따라 하향지게 형성되는 제1,2파지부(14b,14c)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1)에는 상기 플러그(10)가 리셉터클(20)에 결속되면 상기 제1,2파지부(14b,14c)를 각각 물어잡을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되는 제1,2파지돌기(21b,21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12)는,
    상부면에 심선(3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심선안착부(12a)와,
    상기 심선안착부(12a)의 일측으로 상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심선(3a)이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심선(3a)의 측면을 지지하는 심선가이드(12b)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심선안착부(12a)에서 하향되게 연장되는 제1 접속부(12c)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택트(22)는,
    상기 제1 접속부(12c)의 하부가 측면에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부(22a)와,
    상기 제2 접속부(22a)의 하단에 일측으로 연결되어 보드(2)의 패턴(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턴접속부(2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하우징(21a)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접속부(22a)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속부(12c)와 제2 접속부(22a)가 상기 쉴드하우징(21a)의 내부에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몰드(11)의 일측에서는 상기 플러그 몰드(11)의 상부면보다 낮게 그라운드바 안착부(11b)가 형성되고,
    피복(3d)이 제거된 동축케이블(3)의 외부도체(3c)가 상기 제1 컨택트(12)가 배치되는 간격으로 상기 그라운드바(13)에 접속되어, 상기 그라운드바 안착부(11b)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5. 삭제
KR1020080127992A 2008-12-16 2008-12-16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101027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992A KR101027916B1 (ko) 2008-12-16 2008-12-16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992A KR101027916B1 (ko) 2008-12-16 2008-12-16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334A KR20100069334A (ko) 2010-06-24
KR101027916B1 true KR101027916B1 (ko) 2011-04-12

Family

ID=4236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992A KR101027916B1 (ko) 2008-12-16 2008-12-16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419A1 (ko) * 2021-01-18 2022-07-21 주식회사 센서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395B1 (ko) 2018-11-19 2024-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셔터 수납 방식 카고 스크린 유닛 및 차량
WO2023058696A1 (ja) * 2021-10-06 2023-04-13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 コネクター、コネクターセット及びコネクター付きケーブ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74B1 (ko) * 2003-12-19 2007-02-15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동축 전기 커넥터
KR20070090704A (ko) * 2006-03-03 2007-09-06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74B1 (ko) * 2003-12-19 2007-02-15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동축 전기 커넥터
KR20070090704A (ko) * 2006-03-03 2007-09-06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419A1 (ko) * 2021-01-18 2022-07-21 주식회사 센서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334A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067B1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CN100472884C (zh) 低感应屏蔽连接器
US7510425B2 (en) Cable assembly with wire managemen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9217031B (zh) 板对板型射频插头及其连接器组件
KR101984566B1 (ko) 삽입형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및 상기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
EP222690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spacing member
WO2007110699A2 (en) Reduced-height wire to board connector
WO2005083850A1 (ja) コネクタ組立品及びコネクタ組立品の製造方法
US20130295796A1 (en) Multiple plug connector unit
CN110247262B (zh) 具有阻抗控制体的电气装置
US6250953B1 (en) Connector assembly for coaxial cables
US20080293292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wire management member thereof
JPH11510301A (ja) 電子装置箱同軸接続組立体
US787885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US20150214680A1 (en) Durable plug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1147598B1 (ko) 전기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TW202301746A (zh) 電連接器
KR950007426B1 (ko) 차폐 전기 접속기
TW201901704A (zh) 具有絕緣體薄片的電氣裝置
KR101027916B1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101212716B1 (ko) 동축 커넥터
US6371805B1 (en) Cable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6065968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KR101521386B1 (ko) 케이블 접속 방법
KR100803228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