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2000B1 - 유약 처리한 세라믹 타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약 처리한 세라믹 타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2000B1
KR930012000B1 KR1019860001214A KR860001214A KR930012000B1 KR 930012000 B1 KR930012000 B1 KR 930012000B1 KR 1019860001214 A KR1019860001214 A KR 1019860001214A KR 860001214 A KR860001214 A KR 860001214A KR 930012000 B1 KR930012000 B1 KR 930012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ze
ceramic body
temperature
furnace
f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415A (ko
Inventor
마라찌 필립뽀
Original Assignee
쎄라미까 필립뽀 마라찌 에스. 피. 에이.
마라찌 필립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쎄라미까 필립뽀 마라찌 에스. 피. 에이., 마라찌 필립뽀 filed Critical 쎄라미까 필립뽀 마라찌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86000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glaze or engobe or enamel or varn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7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by pooring, e.g. curtain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9Recycling of the c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3Setting, e.g. drying, dehydrating or firing ceramic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2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vitre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60Production of ceramic materials or ceramic elements, e.g. substitution of clay or shale by alternative raw materials, e.g. as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Tunnel Furnac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약 처리한 세라믹 타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반적인 모식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상세한 설명도.
제3도는 제1도의 장치내의 온도에 대한 도표.
번 발명은 유약 처리한 세라믹 타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공정에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유약 처리된 세라믹 타일은 2가지 일반적인 공정중 하나에 의하여 제조된다. 제1의 공지된 제조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타일의 세라믹 본체를 성형, 건조후 구워내어 소위 초벌구이 제품(biscuit ware)을 산출하는 것이다.
본원에서의 세라믹 본체란 점토, 고령토, 장석, 규회석, 활석, 탄산칼슘, 백운석등과 같은 천연 물질 또는 하소된 고령토[그로그(grog)], 순수산화물(알루미나, 실리카 코런덤)과 같은 합성 재료의 배취(batch)와 원료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결합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임의의 본체(body)를 뜻한다.
이와 같은 본체는 가열 처리동안 화학적 변화 및 구조적 변화를 하여 실질적으로 기계적 성질을 획득하는데, 천연상태의 낮은 인성(靭性)에서 가열처리 후에는 경질의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운 상태로 전이된다.
따라서, 본원 명세서의 "세라믹 본체의 소성(燒成)"이란 일반적으로 화학반응, 경정개질 및 성분의 용융에 의해 세라믹 본체의 기계적 특징의 상기 언급한 실질적인 변화를 유발시키는 가열처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초벌구이 제품에 유약을 칠한 뒤 유약이 구조적 변화-엄밀하게는 유약 성분의 성질에 의존함 -를 발생하도록 한번 더 소성을 실시하고, 간소화 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것을 본 명세서에서는 유리화라고 하겠다.
이 용어는 소성중에 거의 완전히 또는 아주 소량만이 용융될 수 있는 세라믹 타일 제조 공업에 사용되는 유약 전부에 대하여 엄밀히는 정확한 것이라고 할 수 없고, 후자의 경우에는 소결화에 더 가깝다.
그러나, 세라믹 재료상의 유약의 소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와 같은 언어적 간소화가 오해를 일으키지는 않을 것이다. 본원에서 유약 처리하는 것은 가열로 유리질의 투명 또는 불투명한 표면이 되도록 적용된 임의의 조성물을 의미하고, 이것은 이미 용융되었거나, 또는 원료 상태로부터 전면적으로 유리질원료(frit)화되거나 또는 상이한 구성의 혼합물 상태로 광택이 있거나 또는 없는 것이 될 수 있다.
첫번째는 세라믹 본체를 소성하고, 두번째는 유약을 소성하는 상기 이중소성 방법은 잇점이 있기는 하지만 단점도 또한 내포한다. 초벌구이하고 완전히 냉각한 뒤 유약이 유리화되도록 재벌구이 하는 것으로 나타내지는 공정은 많은 열 에너지와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또한 생산되는 타일의 용적에 비해 매우 큰 장치 용적이 필요하다.
이중 소성 공정에 있어서, 초벌구이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1소성이 만약에 공정이 매우 숙련된 사람에 의한다면 단지 출발 물질인 점토 혼합물의 성질에 따라 최적의 특제 초벌구이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실제, 연속적인 유약 처리에 필요한 각종 조건은 초벌구일 제품의 조건을 제약한다.
유약은 일반적으로 약 30%에서 60%의 수분을 함유하는 것과 같은 습식마쇄(wet milling)에 의해 제조된다.
무수 유약이 사용되는 경우, 세라믹 본체에 완전히 접착시키기 위하여 습식 처리가 필요하다.
다공성 조직, 즉 유리화 되지 않은 초벌구이 제품에 유약을 적용하는 경우, 다량의 물이 존재함은 공정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초벌구일 제품은 수분을 재빠르게 흡수하며 따라서 유약은 본체에 잘 접착된다.
그러나 초벌구이 제품이 유리화되는 경우, 소성 전에 유약에 적합한 특별한 처리, 특히 수분을 급속히 증발시키기 위한 예열이 필요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약의 만족할만한 접착을 얻기 원한다면, 이와 같은 처리는 매우 임계적이므로 따라서 상기 방법과 관련하여 상당한 어려움을 수반한다.
따라서, 유리화된 세라믹 본체를 유약처리 하는데 내포된 문제점은 이중 소성 공정에서와 같은 독립적인 방법에 따라 세라믹 본체를 형성시키는데 있어서의 명백한 자유를 손상시키며, 이런 독립적인 형성은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유리화된 세라믹 본체로서 타일을 형성시키는 것을 매우 복잡하게 한다.
이중 소정 공정에 수반되는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는 점토 혼합물과 유약을 단일 작업 단계에서 소성한-소위 단일 소성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원료 세라믹 본체는 건조, 예열되고, 이들이 유약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기에 충분히 뜨거울 때에 유약 처리된다. 그러나 상기 예열은 임의량의 수분이 원료 점토 혼합물에 흡수되는 것을 막지 못하며, 더욱이 실제로는 제품의 말단이 보다 급속하게 냉각되므로 흡수는 그 말단에서 더 많아져 불균일한 흡수가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으로 제품의 말단이 갈라지게 되며, 따라서 강도가 감소된다. 단일 소성 방법의 또 다른 내인성의 문제점은 원료 타일을 다소 복잡하게 이동시켜야 되는데, 이들은 이러한 상태에서 유약 처리되어야만 하고, 이것의 미묘함도 공지되어 있다.
단일 소성 방법에서, 유약 처리된 원료 타일은 그 다음 본체 혼합물과 유약(유약의 유리화) 모두를 소성하는 온도까지 단일 사이클로 소성된다.
이때는 단 하나의 노 또는 킬른과 단 하나의 소성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이러한 단일 소성은 종래의 이중 소성 공정보다 상당히 개선된 것이며; 그 장치는 소규모화 되고, 초벌구이 제품의 소성과 유약의 소성사이 분산되는 열 에너지도 절약된다.
소성 동안 일어나는 반응이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면, 단일 소성으로도 이중 소성에 전형적인 거의 모든 효과를 수득할 수 있으며, 단 동일한 소성중에 유리화하는 유약의 성질과 화합성인 점토 혼합물의 소성 온도를 제공해야만 하고, 이중 소성에 독특한 작업 독립성이 결과적으로 손실되는 제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단일 소성중의 최대 단점은 세라믹 본체의 소성중에 방출되는 기체가 유약의 평평성과 치밀성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의 중요성은 쉽게 관찰되는데, 즉 10%의 탄산 칼슘을 함유하는 혼합물로 형성된 1kg의 타일을 1000℃로 가열하면 약 90리터의 이산화탄소가 방출된다.
세라믹 본체에서 방출된 기체는 유약을 통과하고, 이때 작은 기포가 잔류하여 임의 정도의 다공성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단일 소성은 이중 소성에 존재하는 유리화된 세라믹 본체의 유약-세라믹 본체 부착의 문제점을 없앴으나, 단일 소성은 우수한 부착성을 가져도 비교적 일관된 다공성을 갖는 유약으로 유도한다.
단일 소성 공정에서, 소성 중에 발생하는 세라믹 본체와 유약간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 인고브(engobe)로 공지된 절연층을 삽입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인고브의 삽입은 단일 소성의 특징인 유약의 만족할 만한 부착성을 감소시킨다.
간단히 하자면, 이중 소성 공정은 낮은 기계적 강도를 갖지만 부착성이 좋고 매우 치밀한 유약을 갖는 다공성 세라믹 본체 타일을 산출해내는 반면 단일 소성 공정은 매우 뛰어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유리화된 세라믹 본체와 만족할만한 부착성을 갖지만 비교적 다공성인 유약을 갖는 타일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타일의 유약처리 및 소성 방법과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의하여 상술된 타일의 소성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세라믹 본체 원료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유약 처리된 세라믹 타일을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은 노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세라믹 재료의 소성 반응이 실질적으로 완료되는 가열처리 제1단계 및 점차적인 최종 냉각을 수반하는 열 처리 제2단계에 대하여 세라믹 본체를 배치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며, 또한 가열 처리 제1단계 및 열처리 제2단계 사이에 세라믹 본체위에 살포하는 단계를, 즉 가열처리 제1단계에서 수득되는 최종 온도에서 상기 제2단계의 초기 부분 사이에 유동성의 무수 유약을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세라믹 본체는 유약중 최소한 한가지 성분이 용융되어 유리화 되기에 충분한 온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약 처리된 세라믹 타일을 소성, 유약 처리하는 장치는, 생 세라믹 본체가 배치되어지는 소성 킬른이나 또는 노에 설치될 수 있고, 배취를 소성하는 반응이 실질적으로 완료될 때까지 본체를 가열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노의 제1가열구역 및 상기 타일을 점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조절되고 경감되는 온도에서 타일을 유지시키는 온도 조절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노의 제2가열구역과 함께 노의 상기 제1가열구역 및 제2가열구역을 따라 본체를 연속적으로 진행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노 설비의 상기 제1가열구역 및 제2가열구역 사이에 타일을 노의 제1가열구역의 출구로부터 제2가열구역의 입구로 이송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이완성의 무수 유약을 이송 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본체상에 살포하는 수단을 가지는 유약처리 구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공정은, 첨부된 도면에 도해되어진 본 발명에 따른 소성 장치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형성된 세라믹 본체는 적당하게 건조된 뒤에 생 원료 상태로 소성 노의 입구(10)으로 운반된다.
소성로(燒成爐)는, 공지된 적당한 이송 기구로 이동되는 타일을 소성 온도, 즉 원료 세라믹 재료의 소성반응이 실질적으로 완료되었으리라 충분히 여겨지는 온도가 되도록 일정 비율로 점차 상승하는 제1가열구역(11)을 특징으로 한다.
노의 상기 가열 구역(11)의 끝에서, 타일 이동 수단은 개괄적으로 (12)로 표시된 유약-용착 구역으로 타일을 운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적절한 상기 구역을 제2도에 도시하였다. 번호(13)은 롤러(14)로서 도시되어 있는 콘베이어 위로 운반되는 노의 가열구역(11)로부터의 타일의 출구를 나타낸다. 롤러 콘베이어 경로는 노의 중심에 가깝게, 예를 들면 표시된 개방가능한 패널(15)에 의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환경을 형성하는 구역(12)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구역(12)에 있어서의 온도는 타일의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출구(13)에 근접한 가열구역(11)보다 전형적으로 낮은 설정치로 존속된다. 구역(12)에는 무수 유약을 입체 또는 분말의 이완상태로서 롤(14)에 의해 운반되어 이동하는 타일위로 균일하게 살표하는, 전체를 (20)으로 나타낸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본 장치의 작용 및 전체 구조상의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본 장치는 임의의 수의 열(列)로 롤러(14)에 의해 이동되는 타일 위로 유약을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는 분배기(22)에 유약을 공급하기 위한 저장용(21)로 구성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분배 장치(20) 아래에는 타일상에 용착되지 않은, 특히 롤러(14)에 의해 운반되는 타일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지는 유약의 수집 장치(23)가 구비되어 있다. (23)에 모아진 유약은 저장 용기(21)로 재순환되어 유리하다.
장치(20)의 도식적 구조는 공지된 구체화 위어(weir)방식, 진동체 방식, 분무 방식 또는 그 밖의 형식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단지 표시만 되어 있지만, 입자나 분말 형태의 유약을 노의 중심쪽으로 운반되는 타일 위로 정확하고 계속적으로 분산시키기만 하면 된다.
구역(12)로 타일을 운반시키는 수단은 또한 상기한 성질을 가질 수 있는데 제2도에 롤러(14)로서 도시된 이들 수단은 점토 제품을 운반하는 분야에 공지된 적당한 장치이면 된다.
구역(12)을 통해 입구(16)로 들어가 노의 후속 가열구역(17)으로 유입되는 타일은 이곳에서 유약의 완전한 유리화와 경화하기에 충분한 온도로 유지된 뒤, 그들 내부에서 발생하는 비허용성의 내부 옹력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점차적인 방식으로 냉각시킨다.
두개의 가열구역(11)과 (17)은 이중 소성 방법으로 형성되어지는 초벌구이 제품을 산출하기 위하여 세라믹 본체를 소성하는 통상적인 노, 킬른 또는 가열장치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노의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는 기술하지 않는다; 상기 두개의 부분은 공지된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노의 입구(10),(13),(16)과 (18)은 그 자체가 본 분야에 공지된 구조를 갖는 고안물로서, 세라믹체와 유약의 열처리 동안 바람직한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노의 각 부분에 조절된 분위기를 유지시킬 수 있게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세라믹 본체의 소성을 순간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의 인식, 즉, 적어도 소성의 제1단계에서 세라믹 본체를 비교적 차가운 분위기, 즉 대기에 노출시킬 수 있다는 견지에 의거한 것이고, 세라믹 본체와 관련된 그 온도차는 세라믹 본체를 소성 및 냉각하는 단계 동안에 노내부에 일어나는 온도차 보다 훨씬 크다.
이런 분위기에 노출된 결과로서 타일이 겪는 열충격은 타일이 가소성 행동 상태이고 무른 상태가 아니라면, 재료에 따른 문제를 유발시킴이 없이 내성적임을 발견했다. 이와 같은 가소성 상태는 세라믹 본체가 백열(incandescent)상태, 즉 유약 처리된 타일을 제조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본체 혼합물에 대해, 약 700℃ 이상의 온도에 있을 때 생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역(12)의 온도는 유약 분배 기구(20)내의 유약을 용융시키거나 임의 경우에는 농축화시키는 과열 현상이 유발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것은 이들 기관에 차단되지 않고, 또 타일상의 유약의 분포가 불균일하게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타일상에 떨어지는 유약이 승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로서 일어나는 분위기내로의 분산 및 노와, 노내에 포함된 기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약이 살포되는 모든 구역을 비교적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의 가열구역(11)의 말단 부분에서 유지되는 소성 중의 온도로 구역(12)에 도달하는 타일은 백열 상태인데; 이와 같은 온도는 소성노(11)에서 타일이 도달하는 최고 온도일 필요는 없다.
유약의 유리화 온도가 소성 온도보다 낮을 때, 상기 노의 구역(11)의 말단에서 냉각 단계를 개시하는 것이 타일에는 사실상 유용하며, 예를 들면 유약 분배 장치에 있어서, 구역(12)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온도의 감소도 또한 고려하여 최적 온도에 도달하도록 타일을 유도하는 것이 유용하다.
따라서, 실제로 유약이 적용될 때의 타일의 온도 조절은 구역(12)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온도 저하를 고려하여, 노의 가열구역(11)을 떠나는 타일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저하를 조절하는 또 다른 수단이 있으며,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온도가, 예를 들면 백열성 타일 위로 분포되는 분말 유약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라면, 구역(12)에서 유지되고 있는 온도 상에서 작용하도록 함으로서 가능하다. 유약의 용착 뿐만 아니라 타일의 장식에 관련된 기타 작업이 필요하다면, 예를 들면 장식을 형성하는 착색제의 특별한 분배를 필요로 하는 장식을 만들기 위한 고온에서의 이동 배치가 구역(12)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동은 로보트화된 조작기에 의해 타일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타일 위에 용착된 유약은 세라믹 본체와의 접촉면에서 그의 최고 온도와 최소 점도에 정확히 도달하는데. 이렇게 하여 상기 본체에 대한 용착성이 증가된다.
유약을 적용받기 위해 구역(12)내에 타일이 머무르는 시간은 타일이 백열의 가소성 상태로부터 부서지기 쉬운 상태, 즉 열충격이 점토 물질을 부수는 것과 같은 내부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짧아야 한다.
이완된 분말 형태의 유약을 용착시킴으로써 타일의 수직면에 대하여 부착하는 유약의 양은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며, 또 실제로도 없으므로 유약 피복된 가장자리의 메짐성과 이로써 산출되는 이빠짐의 가능성을 감소시켜 가장자리가 깨끗한 타일이 생성된다.
하나 이상의 유약을 적용시킬 필요가 있을 때, 이들은 적용하는 세라믹 본체에 필요한 각 온도 및 기타 유약 처리 부위를 경화시키는 그 다음의 온도는 노의 가열구역(17)에 설정된다. 그 라단에서 타일은 서냉된다.
본 발명의 방법상의 특징은 몇가지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나타낸 하기 기술을 검토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1]
다음의 특징을 갖는 벽면용 타일의 제조
크기 : 15×20cm
두께 : 7mm
다공도 : 12%
파괴변형력 : 200kg/cm2
청색 조립형 효과를 지닌 광택 유약
혼합물의 특징 :
다음의 비율에 의한 천연 모래와 점토 혼합물 :
마이올리카 점토(Maiolica clay) : 60%
그레스 점토(Gres clay) : 25%
장석 모래 : 15%
(하기 표 1에 조성을 나타낸다)
혼합물은 전자형 분쇄 밀로 건식 분쇄하고, 5% 습도로 습윤화하여 제조한다.
수압 프레스로 220kg/cm2의 특정압에서 5-방향 다이로 건식 압착하여 성형한다.
다음의 특징을 갖는 단층 롤러 킬른내에 20cm 평면상에 8열의 병렬 배열로 직접 배치하였다 :
건조대 길이 : 13820mm
예비 가열 및 소성대 길이 : 24747mm
부실의 넓이 : 1465mm
최고 소성 온도 : 1060℃
순환 기간 : 약 25분
제3도는 소성 곡선을 나타내는데, 세로축은 노의 증기 온도이고 가로축은 시간이고, 타일의 운반 속도와 연관되어 노의 세로 칫수와 비례적 관계에 있다.
유약 처리 :
세가지 유리질 원로의 혼합물로 구성된 유약(조성은 표 1에 주어졌다) :
유리질 원료 1 : 70%
유리질 원료 2 : 20%
유리질 원료 3 : 10%
입자 크기 : 0.2와 1mm사이
유리화 온도 : 950℃
롤러 분배기로 유약 처리한다
유약 처리 구역의 길이 : 1000mm
타일 하나의 대하여 유약 30g을 적용한다.
수송 시간 : 30초
유약 처리 구역을 통과할 때, 약 900℃로 유지되는 타일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 노의 제2가열구역(17)에 유입된다 :
길이 : 23311mm
넓이 : 1465mm
이 부분의 초기 구역의 온도는 1000℃이며 타일은 이 구역을 약 4분에 걸쳐 통과하는데 이것은 유약을 완전히 경화시키는데 충분한 시간이다.
상기 구역 다음은 직접, 및 간접적인 타일 냉각 구역이다. 따라서, 상기 장치의 총 길이는 62878mm이며 타일의 총 처리 시간은 40분이다.
[실시예 2]
다음의 특징을 갖는 바닥용 타일의 제조
크기 : 25×25cm
두께 : 8mm
다공도 : 3%
중간 정도의 광택을 갖는 흐린 베지색 유약 혼합물의 특징 :
다음의 비율을 갖는 점토와 장석의 혼합물 :
장석 : 45%
점토 1 : 30%
점토 2 : 25%
(하기 표 1에 조성을 나타낸다)
35%의 수분에서 습식 분쇄하고 미립화함으로써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미립화 습도 : 5%
3-방향 다이와 함께, 300kg/cm2특정압의 수압 프레스로 건식 압착하여 성형하였다.
다음의 특징을 갖는 단층 롤러 킬른내에 5열로 직접 배치하였다.
건조 구역 길이 : 14548mm
예비 가열 및 소성 길이 : 32102mm
롤러 지름 : 최후의 12700mm에 대해 32cm
넓이 : 1465mm
최고 온도 : 1150℃
순환 기간 : 30분
증기 온도에 대한 소성 곡선은 종축 및 횡축이 상이한 값을 가지며, 제3도의 곡선과 개략적으로 유사한 경로이다.
[유약처리]
하나의 유리질 원료로 구성된 유약은 그 입자 크기가 0.2에서 1mm사이이다.
유리화 온도 : 1050℃
유리질 원료의 성분을 표 1에 나타내었다(유리질 원료 4).
롤러 분배기에 의한 유약 처리
유약 처리 구역의 길이 : 1500mm
타알 하나에 대하여 유약 45g 적용
수송 시간 : 30초
유약 처리 구역을 통과한 후, 약 1000℃로 유지되는 타일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 노의 제2가열구역으로 유입된다 :
길이 : 22628mm
부실의 넓이 : 1465mm
1100℃의 온도로 유지된다.
1100℃로 유지되는 이 가열구역의 제1구역을 약 4분에 걸쳐 타일을 통과시키고, 이것은 유약을 완전히 경화시키는데 충분한 시간이며 이후에 직접 및 간접 냉각 구역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총 길이는 76695mm이며 타일의 총 순환 기간은 50분이다.
[표 1]
화학 조성분
Figure kpo00001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공지된 선행 기술과 비교해 볼 때 다음과 같은 개선점이 있다 :
-노 안에 원료 타일의 배치 이외에 원료 타일의 모든 이동이 배제되므로 부서짐과 쪼개짐을 피할 수 있다 :
-경우에 따라서 노는 원료 타일의 생산 부분으로부터 연속적이고 직접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원료 타일을 저장하는데 일반적으로 필요한 구조물이 모두 배제됨으로서 생산 공정이 간소화된다 :
-원료 타일에 부분적으로 흡수되는, 유약 처리시 사용되는 물이 없으므로 건조시킬 때 소비되는 에너지가 감소된다 :
-배면 부조(back felief)까지의 상이한 두께 또는 상이한 다공도에 다라 차별 건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타일의 상면 또는 배면에 자국 또는 돋을 새김을 도안하는데 있어서 잇점이 매우 크다 :
-유약이 칠해지지 않은 타일이 공급되어 노 전체가 매우 깨끗이 유지됨으로 유지비가 적게 든다 :
-유약 처리 없이 소성한 세라믹 본체는 탈기되기 쉽고 더욱 용이하게 산화될 수 있다 :
-소성 공정이 촉진되며 단시간내에 실시할 수 있다 :
-높은 소성 손실을 갖는 순수하지 못한 점토도 사용할 수 있다 :
-인고브의 사용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 :
-세라믹 본체의 소성 온도는 유약의 소성온도와 상관이 없고 임의의 따라 변할 수 있다. 세라믹 본체의 반응이 완결된 후에 유약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약은 다공성이 전혀 없고 완전한 부착이 되기에 가장 적합한 상태에서 소성되며 이로써 인고브의 사용은 필요가 없게 된다.
-세라믹 본체가 소성되는 온도에서 분해되는 특별한 유약을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생성될 수 있는 제품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
-유약은 타일의 표면에만 부착된다 :
-과량의 유약은 깔대기에 수집된 뒤 재순환 한다 :
-다수 유약의 연속적인 용착이 가능하므로 다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유약 처리 구역인 오븐은 세라믹 본체를 소성하는 노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오븐의 하향류 부분에서 특별한 분위기가 혼합물의 소성 사이클중에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변형시키는 임의의 수단으로 생성되고 조절되어질 수 있다(산화, 환원 또는 불활성 분위기)이 방법으로 통상적인 기법으로 수득하기 어려웠던 조절된 대기내에서 수득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실현하는데 보다 큰 자유가 얻어진다.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다공성이 전혀 없게 유약이 칠해진, 즉 마모에 대한 내부저항성과 뛰어난 접착성을 가지며 따라서 충격 강도가 매우 큰 유리화된 세라믹체 생성물을 보다 경제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광범위한 유약을 사용하여 다양한 생성을 산출할 수 있으며, 즉 고온에서 소성되는 유리화된 세라믹 본체 위에 저온에서 용융되는 유약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매우 짧은 소성 사이클을 요하는 유약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종래의 기술로는 불가능한 것이다.

Claims (9)

  1. 원료(raw) 세라믹 본체를 노(爐)에 배치시켜 이 세라믹 본체의 소성,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가열처리하는 제1단계, 및 이 온도를 점진적으로 저하시키면서 열처리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원료 세라믹 본체로부터 유약처리된 세라믹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i) 상기 제1가열처리 단계와 상기 제2열처리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1가열처리 단계의 최종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백열 상태인 세라믹 본체위에 이완성의 무수 유약을 살포시키기 위한 유약 살포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유약은 이 유약의 유리화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분위기에서 살포되며, ii) 상기 열처리 제2단계의 초기 부분 동안, 상기 세라믹 본체는 상기 유약의 적어도 한 성분이 용융되어 유약을 유리화하기에 충분한 온도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본체 상으로의 유약의 살포는 유약 살포 장치 아래에서 수평 궤도로 이동하는 상기 세라믹 본체 상에 자유 낙하식으로 실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약 처리된 세라믹 타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본체는 상기 유약의 유리화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서 유약 살포 단계로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약 처리된 세라믹 타일의 제조 방법.
  4. 소성반응이 실질적으로 완료될 때까지 세라믹 본체를 가열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노의 제1가열구역(11), 상기 세라믹 본체를 점진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조절되고 점차 감소되는 온도에서 상기 세라믹 본체를 유지시키는 온도 조절 수단(15)이 설치된 상기 노의 제2가열구역(17), 및 노의 제1가열구역과 제2가열구역을 따라 상기 세라믹 본체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라믹 본체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소성, 노, 킬른 또는 연소실이 제공된 세라믹 타일을 소성하고 유약 처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노 설비의 제1가열구역(11)과 제2가열구역(17) 사이에, 타일을 노의 제1가열구역(11)의 배출구(13)로부터 제2가열구역(17)의 유입구(16)까지 타일을 운반할 수 있는 수단(14)과 이러한 이동 수단(14)에 의해 운반되는 상기 세라믹 본체상에 이완성이 무수 유약을 살포시키는 수단(20)이 구비된 유약 처리 구역(1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약이 유리화되고 물리적 및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주위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온도 조절 수단(15)이 설치된 분위기내에 유약 살포 수단(2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본체 상에 유약을 살포시키는 수단(20)은 상기 타일 이동 수단(14)의 전체 폭에 걸쳐서 작동하는 유약 살포 장치(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가 단층의 롤러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4)은 바로 다음의 것과 간격을 두고 있고, 다수의 지점에서 지지되고 있는 타일에 대하여 불연속적인 지지면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수단(14)의 전체 폭에 걸쳐서 유약을 용착시키는 살포 장치(22) 및 일정간격으로 분리된 타일 사이의 대역으로 떨어지는 유약을 수집하는 수집기(23)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수득되는 유약처리된 세라믹 타일.
KR1019860001214A 1985-02-21 1986-02-21 유약 처리한 세라믹 타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930012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9589/85A IT1183389B (it) 1985-02-21 1985-02-21 Procedimento e immpianto per la produzione di piastrelle ceramiche smaltate, e piastrelle cosi'ottenute
IT19589A/85 1985-02-21
IT19589/85 1985-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415A KR860006415A (ko) 1986-09-11
KR930012000B1 true KR930012000B1 (ko) 1993-12-23

Family

ID=1115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214A KR930012000B1 (ko) 1985-02-21 1986-02-21 유약 처리한 세라믹 타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0)

Country Link
US (1) US4805551A (ko)
JP (1) JPS61197462A (ko)
KR (1) KR930012000B1 (ko)
CN (1) CN86100369A (ko)
AT (1) AT392266B (ko)
AU (1) AU595181B2 (ko)
BE (1) BE904106A (ko)
BG (1) BG47797A3 (ko)
BR (1) BR8600685A (ko)
CA (1) CA1274070A (ko)
CH (1) CH666652A5 (ko)
CS (1) CS262665B2 (ko)
DD (1) DD246536A5 (ko)
DE (1) DE3605127A1 (ko)
DK (1) DK166318C (ko)
EG (1) EG17474A (ko)
ES (1) ES8704437A1 (ko)
FI (1) FI84169C (ko)
FR (1) FR2577547B1 (ko)
GB (1) GB2171402B (ko)
GR (1) GR860289B (ko)
HK (1) HK78289A (ko)
HU (1) HU210044B (ko)
IE (1) IE57209B1 (ko)
IN (1) IN164647B (ko)
IT (1) IT1183389B (ko)
LU (1) LU86312A1 (ko)
MA (1) MA20634A1 (ko)
MX (1) MX170068B (ko)
NL (1) NL191934C (ko)
NO (1) NO169534C (ko)
NZ (1) NZ215207A (ko)
PH (1) PH23816A (ko)
PL (1) PL145947B1 (ko)
PT (1) PT81873B (ko)
SE (1) SE467096B (ko)
SG (1) SG26789G (ko)
TN (1) TNSN86030A1 (ko)
YU (1) YU45769B (ko)
ZA (1) ZA867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980A (ko) * 2015-04-09 2016-10-19 강무창 유동성 유약이 시유된 도자기의 소성용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06499A6 (es) * 1986-09-24 1989-05-01 Azienda Srl Metodo para la realizacion de una baldosa ceramica vitrificada o esmaltada
DE3815822A1 (de) * 1988-05-09 1989-11-23 Voit Michael Gmbh Maschine zum glasieren von ton- und porzellanwaren und werkstueckhalter hierfuer
US5330939A (en) * 1990-03-09 1994-07-19 Ceramica Filippo Marazzi S.P.A. Method of preparing vitreous ceramic composition suitable for coating ceramic articles
IT1239945B (it) * 1990-03-09 1993-11-27 Marazzi Ceramica Composizione vetrosa ceramizzabile ad elevata velocita' di cristallizzazione per il rivestimento di pezzi ceramici, in particolare piastrelle
IT1262626B (it) * 1993-06-04 1996-07-04 Lepido Caselli Cabina perfezionata per la smaltatura di prodotti ceramici,in particolare piastrelle.
IT1262646B (it) * 1993-07-29 1996-07-04 Simec S R L Cabina di smaltatura di prodotti ceramici di tipo autopulente.
US6066363A (en) * 1997-07-02 2000-05-23 Kabushiki Kaisha Ssc Method for forming a coating of glass over a ceramic
IT1294922B1 (it) * 1997-09-19 1999-04-23 Francesco Marchetti Procedimento per la colorazione compenetrata dei decori nei supporti per la produzione di piastrelle ceramiche.
DE69720231T2 (de) 1997-11-27 2003-11-13 Ferro Italia Srl Keramischer Ziegel und Glasur zur Verwendung auf diesen Ziegel
DE19837842A1 (de) * 1998-08-20 2000-02-24 Jahn Karin Barbara Verfahren zur farblichen Gestaltung von gebrannten Keramikkörpern, vorzugsweise von Fliesen und Sanitärkeramik
US6288377B1 (en) * 1999-09-22 2001-09-1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arnish oven for manufacturing process
IT1319294B1 (it) * 2001-03-05 2003-10-10 Giovanni Ria Tesserine in ceramica per mosaico facile.
EP1281495A1 (en) * 2001-07-31 2003-02-05 AIR POWER DIVISION GROUP S.r.l. Method for decorating tiles and the like,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6534427B1 (en) 2001-12-12 2003-03-18 Christian R. Quemere Night glow glaze for ceramics
KR100894718B1 (ko) * 2008-02-15 2009-04-24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세라믹 숯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EP2266769A1 (en) * 2009-06-25 2010-12-29 Iniziativa Otto S.r.l. A process for manufacturing very slim ceramic tiles
IT201600071139A1 (it) * 2016-07-07 2018-01-07 Target S R L Procedimento per l’ottenimento di lastre ceramiche smaltate di rivestimento aventi grandi dimensioni e ridotto spessore
RU167972U1 (ru) * 2016-07-11 2017-01-13 Автономная некоммерческая организация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елгород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кооперации, экономики и пра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лазурования керамической облицовочной плитки
CN106495742B (zh) * 2016-11-07 2019-09-24 美丽大道有限公司 抗蜡块粘结釉料、抗蜡块粘结陶瓷及其制备工艺
CN108556124B (zh) * 2018-04-27 2019-11-15 广东昌隆陶瓷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上釉工艺
CN108394009A (zh) * 2018-05-25 2018-08-14 钦州学院 陶瓷制品喷釉装置
IT201900001911A1 (it) * 2019-02-11 2020-08-11 Graf S P A Procedimento per la decorazione di piastrelle
CN115368167B (zh) * 2022-08-26 2023-05-30 佛山市东鹏陶瓷有限公司 一种耐磨抛釉砖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9833A (en) * 1924-06-26 1925-06-02 Frank A Fahrenwald Conveyer roll for furnace use
US2347535A (en) * 1938-11-29 1944-04-25 Norbert S Garbisch Manufacture of glazed ceramic bodies
US2962381A (en) * 1957-07-02 1960-11-29 Congoleum Nairn Inc Segment wheel feeder
US3014812A (en) * 1958-11-21 1961-12-26 Bird & Son Method and apparatus for spreading particles
DE1253136B (de) * 1965-05-14 1967-10-26 Villeroy & Boch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Brennen und Glasieren keramischer Wandfliesen
GB1202766A (en) * 1968-07-23 1970-08-19 Golden Wonder Ltd Apparatus for distributing powder
DE2210066C3 (de) * 1972-03-02 1974-10-24 Intercooperation Kereskedelemfejlesztesi Rt, Budapest Verfahren zur Oberflächenfärbung von Werkstücken aus keramischen Stoffen
NL7315040A (ko) * 1972-11-13 1974-05-15
GB1454263A (en) * 1972-12-19 1976-11-03 Hilton K W Manufacture of ceramic articles
US3908591A (en) * 1974-04-29 1975-09-30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Apparatus for treating sheet material
DE3319396C2 (de) * 1983-05-28 1985-04-04 VGT AG, 3432 Großalmerode Ofenanlage mit einem Ofen und einer Fördereinrichtung
US4550680A (en) * 1984-11-19 1985-11-05 Rca Corporation Apparatus for applying a layer of powder to a su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980A (ko) * 2015-04-09 2016-10-19 강무창 유동성 유약이 시유된 도자기의 소성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600685A (pt) 1986-10-29
NL191934B (nl) 1996-07-01
HU210044B (en) 1995-01-30
IN164647B (ko) 1989-04-29
IT1183389B (it) 1987-10-22
ES8704437A1 (es) 1987-04-16
HUT44987A (en) 1988-05-30
JPS61197462A (ja) 1986-09-01
FI860636A (fi) 1986-08-22
TNSN86030A1 (fr) 1990-01-01
PH23816A (en) 1989-11-23
DK78586D0 (da) 1986-02-20
DD246536A5 (de) 1987-06-10
FI860636A0 (fi) 1986-02-12
DK166318B (da) 1993-04-05
FR2577547A1 (fr) 1986-08-22
HK78289A (en) 1989-10-13
AU595181B2 (en) 1990-03-29
NL191934C (nl) 1996-11-04
AT392266B (de) 1991-02-25
IE860137L (en) 1986-08-21
LU86312A1 (fr) 1986-06-10
FI84169B (fi) 1991-07-15
US4805551A (en) 1989-02-21
AU5347486A (en) 1986-08-28
ES551829A0 (es) 1987-04-16
NO169534C (no) 1992-07-08
SG26789G (en) 1989-09-22
FI84169C (fi) 1991-10-25
GB2171402B (en) 1988-07-20
DE3605127C2 (ko) 1991-01-17
GR860289B (en) 1986-06-02
SE8600724L (sv) 1986-08-22
BG47797A3 (en) 1990-09-14
SE8600724D0 (sv) 1986-02-18
FR2577547B1 (fr) 1992-05-15
MX170068B (es) 1993-08-06
YU45769B (sh) 1992-07-20
ATA33686A (de) 1990-08-15
EG17474A (en) 1989-09-30
PT81873A (en) 1986-02-01
JPH0310590B2 (ko) 1991-02-14
DK166318C (da) 1993-08-23
CA1274070A (en) 1990-09-18
NO169534B (no) 1992-03-30
MA20634A1 (fr) 1986-10-01
NL8600442A (nl) 1986-09-16
CH666652A5 (it) 1988-08-15
GB2171402A (en) 1986-08-28
NO860639L (no) 1986-08-22
CS262665B2 (en) 1989-03-14
SE467096B (sv) 1992-05-25
PL145947B1 (en) 1988-11-30
ZA8671B (en) 1986-09-24
KR860006415A (ko) 1986-09-11
DK78586A (da) 1986-08-22
CN86100369A (zh) 1986-09-24
YU25486A (en) 1988-06-30
GB8600437D0 (en) 1986-02-12
CS112086A2 (en) 1988-08-16
PL258041A1 (en) 1987-06-01
BE904106A (fr) 1986-05-15
IT8519589A0 (it) 1985-02-21
IE57209B1 (en) 1992-06-03
DE3605127A1 (de) 1986-08-21
PT81873B (pt) 1992-05-29
NZ215207A (en) 198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2000B1 (ko) 유약 처리한 세라믹 타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장치.
US421263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ellulated vitreous refractory material in prescribed shapes and products therefrom
GB207974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ellulated vitreous products
US4183885A (en) Quick baking process for ceramic products
JP2866708B2 (ja) 陶板の連続製造装置
JPH0456796B2 (ko)
JPH03295609A (ja) 陶板の製造装置
SU1631046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стекл нной облицовочной плитки
JPS6127346B2 (ko)
Palmonari et al. TECHNOLOGICAL AND PRODUCTION INNOVATIONS IN THE FIELD OF CERAMIC TILES
da Fonseca ESTABLISHMENT OF THE FIRING CURVES
JPH046142A (ja) 陶板の製造方法
Kiss ONCE-FIRED, HARDBODY STONEWARE- ITS INTERMITTENT FIRING
TH3941A (th) สำหรับผลิตกระเบื้องเซอรามิกเคลือบและกระเบื้องที่ได้จากกระบวนการและเครื่องมือดังกล่าว
SI8610254A8 (sl) Naprava za proizvodnjo glaziranih keramičnih ploščic
JPH0633162B2 (ja) 長尺陶板の連続製造装置
SLADEK et al. RAW MATERIAL PARAMETERS AND THERMAL TECHNOLOGY DETERMINING THE FIRING CYCLES OF BUILDING CERAMICS
Lorici ROLLER KILN AND ITS EFFECT ON THE PLANARITY OF THE FINAL PRODUCT
SLADEK EFFECT OF RAW MATERIALS ON THE FIRING PROCESS OF BUILDING MATERIAL PRODUCTS- OPTIMIZATION OF TEMPERATURE UNIFORMITY AND FIRING SCHEDULE WITH THE HELP OF THERMAL ANALYSIS
JPS62278157A (ja) 長尺陶板の連続製造装置
ten Brink CLOSE TO THE MARKET WITH FLEXIBLE MANUFACTURING OF WALL BRICKS
Jacob et al. EXPERIENCES WITH AERODYNAMIC WASTE GAS CONVECTION IN TUNNEL KILNS
Padros PERSONALISED" KILN
TH4419B (th) สำหรับผลิตกระเบื้องเซอรามิกเคลือบและกระเบื้องที่ได้จากกระบวนการและเครื่องมือดังกล่าว
JPH03295608A (ja) 長尺陶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