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833B1 - 2-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 - Google Patents

2-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833B1
KR900002833B1 KR1019860011064A KR860011064A KR900002833B1 KR 900002833 B1 KR900002833 B1 KR 900002833B1 KR 1019860011064 A KR1019860011064 A KR 1019860011064A KR 860011064 A KR860011064 A KR 860011064A KR 900002833 B1 KR900002833 B1 KR 90000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
cyanoacrylate
compound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157A (ko
Inventor
미노루 후쿠사와
에이스케 히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알파기켄
다나카 요시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알파기켄, 다나카 요시노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알파기켄
Publication of KR870006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9J1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
본 발명은 접착제(점접착제를 포함) 및 기타의 용도에 유용한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신속한 경화성을 가지므로 여러가지의 피착체에 대하여 강력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공업용, 가정용의 순간접착제로써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 여러 분야에서의 보급을 기하기 위해서는 가격이 저렴하여야 하고 용도에 따른 경화 속도와 접착강도를 자유로 조정할 수 있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종래에는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가격인하와 경화속도 조정 혹은 접착 강도 조정을 위하여 이 화합물에 유기 용매나 가소재를 배합하는 방법이 다수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든다면 유기 용매로 희석할 때 디옥산을 병용하는 방법(일특공소 49-23811), 락톤을 첨가하는 방법(일특공소 57-46471), 가소제와 카르복실산을 첨가하는 방법(일본특공소 52-115836), 가소제와 비닐클로라이드-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방법(일특공개소 60-166361)등이 있다.
그러나,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 유기용매를 배합하는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의 보존 안정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접착능력을 저하시키기도 하고 작업 환경을 악화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가소제를 배합하는 방법은 장기 보존후에 순간 접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점접착제로 사용하므로써 당초의 점착성을 가지고 경화가 서서히 진행됨으로 해서 완전하게 접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면 일단은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응용용도가 확대된 것이기 때문에 흥미로운 것일 수 있으나 순간접착력은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본질적인 성질이기 때문에 이것을 점접착제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하기 위하여 다수의 첨가재에 대하여 여러가지 연구를 거듭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어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은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과, 디알킬카르보네이트, 알킬렌카르보네이트, 알킬렌글리콜비스알킬 카르보네이트 및 3가 알콜트리스알킬 카르보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로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2-시아노알킬레이트 화합물(A)은 다음과 같은 구조식으로 표현되는 물질이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R은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알콕시알킬기,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기둥이고 R'는 알킬렌기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몇가지 들어보면, 메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부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릴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2-클로로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디클로로헥실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카르보닐메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트리플루오로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1-시아노-1카르보메톡시부타디엔-1,3,1-시아노-1-카르보메톡시부타디엔-1,3,1-시아노-1-카르보이소부톡시부타디엔-1,3 에틸렌 글리콜비스(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트랜스-2-부텐-1,4-디올비스(2-시아노아크릴레이트), 2,5-헥센디올비스(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1-시아노부타디엔-1,3) 카르본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1-시아노부타딘엔-1,3) 카르본산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1-시아노부타디엔-1,3) 카르본산에스테르 등이 있다.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로는 디알킬카르보네이트, 알킬렌카르보네이트, 알킬렌글리콜비스알킬카르보네이트 및 3가 알콜트리스알킬카르보네이트로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이 있다.
여기에서 디알킬카르보네이트로서는 동종 또는 이종의 알킬기(협의의 알킬기만이 아니라 아릴기, 아르알킬기를 포함하는 광의의 알킬기를 의미한다)를 2개 가지는 카르보네이트, 예를 들어 디메틸카르보네이트, 디에틸카르보네이트, 디프로필카르보네이트, 디부틸카르보네이트, 디헥실카르보네이트, 디옥실카르보네이트, 디알릴카르보네이트, 디벤질카르보네이트, 디페닐카르보네이트, 메틸에틸카르보네이트, 메틸프로필카르보네이트, 메틸부틸카르보네이트, 메틸알릴카르보네이트, 메틸페닐카르보네이트, 에틸프로필카르보네이트, 에틸부틸카르보네이트, 에틸알릴카르보네이트, 에틸벤질카르보네이트, 에틸페닐카르보네이트, 부틸알릴카르보네이트, 부틸벤질카르보네이트, 부틸페닐카르보네이트 등이 있다.
알킬렌카르보네이트로는, 에틸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시클로헥센카르보네이트, 테트라메틸에틸렌카르보네이트등이 있으며, 알킬렌 글리콜비스알킬카르보네이트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2-에틸-1,3-헥센디올등의 디올의 비스알킬카르보네이트로 알킬기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헥실, 옥틸, 알릴, 벤질, 페닐등인 것이다.
3가 알콜트리스알킬카르보네이트로는 글리세롤,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등의 트리올의 트리스알칼카르보네이트로, 알킬기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헥실, 옥틸, 알릴, 벤질, 페닐등인 것이아.
이와 같은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를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와 배합하는 경우, 그 첨가량에 따라 접착 강도의 조정, 경화촉진, 점착성의 발현등 다양한 효과가 발휘됨과 더불어 희석, 효과, 중량 효과, 폴리머 용해 효과등도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은 접착제로서 특히 유용한 것으로 이 경우에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에 대하여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배합량을 증가시키면 어느 한도 이하에서는 순간 접착제 타입의 접착제로서의 작용을 나타내나. 어느 한도를 초월하면 의외적으로 점접착제(초기에는 점착성을 가니나, 이후로는 경화가 진행되어 완전한 접착을 이행하는 것) 타입의 접착제로서의 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알았다.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과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과의 합계량에서 차지하는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비율은 접착제의 경우에는 통상 0.01-70중량%, 바람직하게는 0.5-65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접착제중 순간 접착제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와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와의 합계량에서 차지하는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비율은 0.01-약 35중량%, 특히 0.5-30중량%의 범위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비율이 이 범위보다 적으면 개질 효과가 부족하게 되고 이 범위보다 많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점착성이 생기기 때문에 점접착제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조성물을 접착제중 점접착제 타입의 접착제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와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와의 합계량에서 차지하는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비율은 약 25-70중량%, 특히 30-65중량%의 범위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비율이 이 범위보다 적을때에는 점착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같이 순간 접착제로서 사용할 수가 있고, 이 범위보다 많으면 점착후의 최종적 접착 강도가 부조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에 있어서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와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와의 합계량에서 차지하는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비율은 30±5중량%를 경계로 순간 접착제 타입과 점접착제 타임으로 구분되나, 이 경계는 실제로는 엄격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고 순간접착제의 영역으로부터 점접착제의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은 상술한 접착제로서의 용도이외에 피복제, 광활제, 그림부착제(유리나 자기등에 돌출시켜 모양을 돋보이게 하는것)등으로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이 조성물의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을 폴리머화하여 섬유나 필름등의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이외의 용도인 경우에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와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와의 합계량에서 차지하는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비율은 통상 0.01-70중량%, 바람직하게는 0.5-65중량%의 범위로부터 선택된다.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와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로되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필요에 따라 보존안정제, 유기용매, 가소제, 증점에, 충진제, 내열성부여제, 착색제등을 첨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존안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황산가스, 삼산화황, 산화질소, 카본디옥사이드, 슬폰산류,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트리메틸디하이드로퀴논, t-부틸카테콜, 피로카테콜, 피로갈롤, p-매톡시페놀, 설톤류, 알킬설페이트등이 있고, 유기용매로서는, 탄화수소(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테트라린, 쿠멘, p-시멘등), 케톤(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아세토페논등), 에테르(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디올틸에테르, 데실부틸에테르등), 에스테르(초산에스테르, 락테이트에스테르, 인식향산 에스테르, 시아노아세테이트에스테르등) 아세트아세테이트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비닐아세테이트등), 니트릴(아세토니트릴, 벤조니트릴등), 니트로화합물(니트로메탄, 니트로에탄, 니트로벤젠), 락톤(프로피오락톤, 피발로락톤, r-부티로락톤, 헵토디락톤, 디메틸헵토디락톤등), 아크릴레이트에스테르, 메타크릴레이트에스테르, 연소함유화합물(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트리클렌등), 불소함유화합물(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등이 이용된다.
가소제로서는 프탈레이트에스테르(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알릴프탈레이트, 부틸벤질프탈레이트등), 포스페이트에스테르(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부틸벤질포스페이트, 디부틸포스페이트등), 아디페이트에스테르(디부틸아디페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등), 세바케이트에스테르(디메틸세바케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세바케이트등), 벤조에이트에스테르(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벤조에이트, 글리세롤트리벤조에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벤조에이트등), 옥산레이트에스테르, 푸말레이트에스테르, 이타코네이트에스테르등이 있으며, 중점제로서는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즈등이 포함된다.
충진제로서는 카본블랙, 산화철, 칼슘실리케이트, 티타늄옥사이드, 칼슘카보네이트, 크레이, 탈크, 금속분말, 섬유, 박편(foil)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접착제로서 이용시의 피착체로서의 종이, 가죽, 목재, 섬유 또는 섬유 제품, 다다미표면 기타의 편직제품, 필라멘트 또는 필라멘트다발, 금속, 무기질재료, 플라스틱, 고무, 도장면, 생체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을 접착제로서 이용하는 경우,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와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배합을 증가시키면 어느 한도 이하에서는 순간접착제 타입의 접착제로서의 행동을 나타내고 어느 한도를 초과하면 의외로 점접착제 타입의 접착제로서 행동하게 된다.
조성물중의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은 접착강도의 조정, 경화 촉진, 계의 희석, 중점제인 폴리머의 용해성 향상에도 기여한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측정을 다음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세팅타임 : 25×100×1.6mm의 냉간 압연강판을 이용하여 JIS K 6861에 준해서 측정하였다. 단, 표 4의 기재의 예에 있어서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측정을 하였다.
인장전단강도 : 연마, 탈지한 25×100×1.6mm의 냉간 압연강판을 이용하고 접촉면적 12.5×25mm로 양판을 붙여 24시간 양생 후 인장시험기로 측정하였다.
안정성:조성물을 용량 20ml의 폴리에틸렌제 용기에 충진하여 밀봉하고 90℃에서 5일간 보존하고 관찰하였다.
[실시예 1-1, 참고예1]
소량의 아황산가스(안정제)를 포함한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카르보네이트를 여러 비율로 첨가하고 교반 진동시키면 에틸렌카르보네이트가 원활하게 2-시아노아크릴레이트에 열을 흡수하면서 용해되어 균일한 용액이 얻어진다. 조건 및 결과를 표 1에 표시하였다. 한편 에틸렌카르보네이트를 배합하지 않은 경우를 참고예 1로서 표 1에 같이 표시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2
(주) 1. ECA는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2. EC는 에틸렌카르보네이트
3. 세팅타임 및 인장전단강도는 Fe-Fe 면끼리 접합시켜 측정
4. 화합물(A) 및 화합물(B)란의 수치는 배합비율(중량%)
[실시예 12-20, 참고예1]
소량의 아황산가스(안정제)를 포함한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여러 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을 여러 비율로 배합하였다. 조건 및 결과를 표 2에 표시하였다. 한편 전술한 참고예 1을 다시 표 2에 표시하였다.
[표 2]
Figure kpo00003
(주) 1. ECA는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2. EC는 에틸렌카르보네이트
3. PhC는 디페닐카르보네이트
4. EtC는 디에틸카르보네이트
5. MeC는 디메틸카르보네이트
6. PC는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7. DGC는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8. PDC는 1.3-프로판디올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9. BDC는 1,4-부탄디올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10. TGC는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11. 실시예 16은 메탄술폰산 50ppm을 추가
12. 세팅타임 및 인정전단 강도는 Fe-Fe면끼리 접합시켜 측정
13. 화합물(A) 및 화합물(B)란이 수치는 배합비율(중량%)
[실시예 21-43, 참고예 2-3]
소량의 아황산가스(안정제)를 포함한 여러가지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 에틸렌카르보네이트를 여러 비율로 배합하였다. 조건 및 결과를 표 3에 표시하였다. 한편, 에틸렌카르보네이트를 배합하지 않는 경우를 참고예 2-8로서 표 3에 표시하였다.
[표 3]
Figure kpo00004
(주) 1. MCA는 메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2. ECA는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3. ACA는 알릴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4. PCA는 이소프로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5. BCA는 이소부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6. EECA는 에톡시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7. ECMC는 에톡시타르보닐메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8. EC는 에틸렌카르보네이트
9. 세팅타임 및 인정전단 강도는 Fe-Fe면끼리 접합시켜 측정
10. 화합물(A) 및 화합물(B)란이 수치는 배합비율(중량%)
[실시예 44-47, 참고예 3, 9-10]
소량의 아황산가스(안정제)를 포함한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카르보네이트를 여러 비율로 혼합함과 동시에 계에 소량의 수분을 존재시켰다. 이것은 접착제를 1년 정도 보존하면 용기의 벽을 통해서 이 정도의 수분이 침입할 것이라는 것을 예상한 것이다. 조건 및 결과를 표 4에 표시하였다.
한편, 에틸렌카르보네이트를 배합하지 않고, 수분도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예로써 앞의 참고예 3을, 에틸렌카르보네이트는 배합하지 않았으나 수분은 첨가한 경우의예로서 참고예 9-10을 표 4에 표시하였다.
[표 4]
Figure kpo00005
(주) 1. *는 수분율 0.1% 혼합
2. 참고예 11은 가소제로서 DBP(디부틸프탈레이트)배합
3. ECA는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4. EC는 에틸렌카르보네이트
5. 세팅타임 및 인장전단 강도는 Fe-Fe면끼리 접합시켜 측정
6. 화합물(A) 및 화합물(B)란이 수치는 배합비율(중량%)
[실시예 48]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100부(중량부, 이하 동일)에 유기용매로서 γ-부틸롤락톤 20부를 용해하고 계속해서 에틸렌카르보네이트 30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므로써 균일한 용액을 얻었다. 세팅타임은 20-25sec, 인장전단강도는 51Kg/㎠, 안정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49]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100부 가소제로서, 디부틸프탈레이트 10부를 용해하고 계속해서 에틸렌카르보네이트 30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므로써 균일한 용액을 얻었다. 세팅타임은 7-10sec, 인장전단강도는 83Kg/㎠, 안정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50-52]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100부 에틸렌카르보네이트 20부를 첨가함과 동시에 NG사(일본합성화학공업주식회사)제의 하기한(1),(2)의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10부, TS사(도쿠야마소다주식회사)제의 하기한(3)의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부를 용해하였다. 용해는 원활하게 행할수 있었다. 폴리머 용해시에 열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발열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가 열을 흡수함과 상쇄되어 계의 온도는 전혀 상승하지 않았다.
(1) 비닐아세테이트 55중량%, 용해도지수 150-200g/10분인 분말상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 비닐아세테이트 70중량%, 용해도지수 40-50g/10분인 분말상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3) 비닐아세테이트 42중량%, 용해도지수 75g/10분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참고예 12-14]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이용하지 않고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에실시예 50-52에서 이용한 3종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용해하였다. 그러나 (1),(2)의 폴리머에 대해서는 용해가 가능하였으나. 용해시에 열이 발생하여 계가 고화하므로 고화를 일으키지 않고 용해하는 것은 극히 어려웠다.
또한 (3)의 폴리머에 대해서는 층분리를 일으켜 균일한 용해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3)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우선 톨루엔에 용해하고 이것을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에 혼합하여 보았으나 역시 층분리가 일어났다.
실시예 53
플라스크에 소량의 아황산가스(안정제)를 포함한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50부를 넣고, 계속해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50부를 첨가하고 플라스크를 조용하게 흔들어 주면 에틸렌카르보네이트가 원활하게 에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에 용해되어 균일한 용액이 얻어진다.
이 용액은 매우 점착성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수회문질러도 점착성을 상실하는 일이 없었다. 또한 용액을 이용해서 철편, 기타의 피착체에 접합을 행하면, 피착제는 당초의 접착성에 의해 접착되었다가 그 후에는 접착이 행하여 지므로 24시간 후에는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졌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에 대한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배합량을 적어도 선택하므로서 해서 접착 강도와 경화 속도를 자유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에 응용범위가 확대되어 여러 요구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래서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배합에 의해서도 보존안전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배합량이 어느한도 이하에 있으면 세팅타임은 오히려 단축되는 경향이 있으며 초기의 세팅타임 또한 장기 보존 후에도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배합량을 많이 한다면,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을 점착제타입의 접착제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의 응용용도가 좀더 확대된다.
더구나. 접착제 혹은 점접착제의 사용 형태에 관계없이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를 비교적 다량으로 배합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이 유연하게 되기 때문에 의류와 같은 유연한 피착체의 점합의 이용하여도 점합에 의해 피착제가 단단해지는 경향이 없다.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의 점도율 높이기 위해 폴리머를 용해하는 경우에서도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배합에 의해 폴리머의 용해도가 현저하게 향상되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폴리머 종류의 선택폭이 증가되고, 폴리머의 용해량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은 일반적으로 냄새가 없으나 있다면 약간의 과일향 정도의 냄새를 가지는 것으로 취급하기가 쉽다.
본 발명은 조성물은 고가인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에 저렴한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을 배합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 단독계에 비하여 특성 저하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조성물의 가격을 대폭으로 인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가격면에서 사용이 제한된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과 디알킬카르보네이트 알킬렌카르보네이트, 알킬렌글리콜비스알킬 카르보네이트 및 3가 알콜트리스알킬타르보네이트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
  2.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에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와의 합계량에서 차지하는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비율이 0.01-7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조성물.
  3.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A)에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와의 합계량에서 차지하는 카르보네이트 화합물(B)의 비율이 0.5-65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2 항 기재의 조성물.
  4. 접착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조성물.
  5. 순간접착제 타입의 접착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의 조성물.
  6. 점접착제 타입의 접착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4 항 기재의 조성물.
KR1019860011064A 1985-12-27 1986-12-22 2-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 KR900002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96994A JPS62153370A (ja) 1985-12-27 1985-12-27 2―シアノアクリレート系組成物および接着剤
JP296994 198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157A KR870006157A (ko) 1987-07-09
KR900002833B1 true KR900002833B1 (ko) 1990-05-01

Family

ID=1784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064A KR900002833B1 (ko) 1985-12-27 1986-12-22 2-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49778A (ko)
EP (1) EP0229367B1 (ko)
JP (1) JPS62153370A (ko)
KR (1) KR900002833B1 (ko)
AU (1) AU591745B2 (ko)
CA (1) CA1306822C (ko)
DE (1) DE3669882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0793A (ko) * 2012-05-23 2015-04-15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3057A (en) * 1987-09-22 1989-03-28 Ohara Parajiumu Kagaku Kk Cyanoacrylate composition
GB8729140D0 (en) * 1987-12-14 1988-01-27 Lingner & Fischer Gmbh Adhesive
US6323275B2 (en) 1992-05-28 2001-11-27 Toagosei Co., Ltd. Cyanoacrylate adhesive composition
GB2268503B (en) * 1992-05-28 1996-07-31 Toa Gosei Chem Ind Cyanoacrylate adhesive composition
US5981621A (en) 1996-02-29 1999-11-09 Closure Medical Corporation Monomeric compositions effective as wound closure devices
US6234167B1 (en) * 1998-10-14 2001-05-22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Aerosol generato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an aerosol generator
MY136453A (en) * 2000-04-27 2008-10-31 Philip Morris Usa Inc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erosol"
US6883516B2 (en) 2000-04-27 2005-04-26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Method for generating an aerosol with a predetermined and/or substantially monodispersed particle size distribution
US6491233B2 (en) 2000-12-22 2002-12-10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Vapor driven aerosol genera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077130B2 (en) 2000-12-22 2006-07-18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Disposable inhaler system
US6681998B2 (en) 2000-12-22 2004-01-27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Aerosol generator having inductive heat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6701921B2 (en) * 2000-12-22 2004-03-09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Aerosol generator having heater in multilayered composit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6799572B2 (en) 2000-12-22 2004-10-05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Disposable aerosol generator system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the aerosol
US6501052B2 (en) 2000-12-22 2002-12-31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Aerosol generator having multiple heating zon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6640050B2 (en) 2001-09-21 2003-10-28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Fluid vaporizing device having controlled temperature profile heater/capillary tube
US6568390B2 (en) 2001-09-21 2003-05-27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Dual capillary fluid vaporizing device
US6681769B2 (en) 2001-12-06 2004-01-27 C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Aerosol generator having a multiple path heater arrangement and method of use thereof
US6804458B2 (en) * 2001-12-06 2004-10-12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Aerosol generator having heater arranged to vaporize fluid in fluid passage between bonded layers of laminate
US6701922B2 (en) 2001-12-20 2004-03-09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Mouthpiece entrainment airflow control for aerosol generators
WO2004038640A2 (en) * 2002-10-21 2004-05-06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ingerprint detection
US7367334B2 (en) 2003-08-27 2008-05-06 Philip Morris Usa Inc. Fluid vaporizing device having controlled temperature profile heater/capillary tube
US10196543B2 (en) 2011-03-31 2019-02-05 Adhezion Biomedical, Llc Fast bonding hair/eyelash extension adhesive compositions based on medical grade high viscosity cyanoacrylates
US20150107761A1 (en) * 2012-05-23 2015-04-23 Henkel Ag & Co. Kgaa Article comprising a film on a carrier or release substrate
ES2534727B1 (es) * 2013-10-24 2016-02-05 Afinitica Technologies, S. L. Composición de cianoacrilato
JP7151528B2 (ja) * 2018-02-09 2022-10-12 東亞合成株式会社 教材用水易解体性接着剤組成物
JP7188159B2 (ja) * 2018-02-09 2022-12-13 東亞合成株式会社 仮固定用水易解体性接着剤組成物
JP2019137859A (ja) * 2018-02-09 2019-08-22 東亞合成株式会社 水易解体性接着剤組成物
CN111699228A (zh) * 2018-02-09 2020-09-22 东亚合成株式会社 水易分解性粘接剂组合物
WO2019156228A1 (ja) * 2018-02-09 2019-08-15 東亞合成株式会社 2-シアノアクリレート化合物、及び、接着剤組成物
GB2576792B (en) * 2018-08-13 2022-09-14 Henkel Ag & Co Kgaa A two-part cyanoacrylate curable adhesive system
KR20220044789A (ko) * 2019-08-08 2022-04-11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물이해체성 접착제 조성물
JP7275978B2 (ja) * 2019-08-08 2023-05-18 東亞合成株式会社 仮固定用接着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0078A (en) * 1963-09-26 1966-10-18 Union Carbide Corp Polyethylenically unsaturated polycarbonate polymers
IE34874B1 (en) * 1971-01-13 1975-09-03 Intercontinental Chem Co Ltd Cyanoacrylate adhesive compositions
JPS4922432A (ko) * 1972-06-21 1974-02-27
DE2349799C3 (de) * 1973-10-04 1980-07-24 Schering Ag, 1000 Berlin Und 4619 Bergkamen Klebstoffe auf Basis von a - Cyanacrylsäure-Estern
DE3121119A1 (de) * 1981-05-27 1982-12-16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Klebstoffe auf basis von cyanacrylsaeureestern
JPS60115676A (ja) * 1983-11-28 1985-06-22 Toagosei Chem Ind Co Ltd 接着剤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0793A (ko) * 2012-05-23 2015-04-15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696686A (en) 1987-07-02
EP0229367B1 (en) 1990-03-28
DE3669882D1 (de) 1990-05-03
KR870006157A (ko) 1987-07-09
EP0229367A1 (en) 1987-07-22
AU591745B2 (en) 1989-12-14
US4749778A (en) 1988-06-07
CA1306822C (en) 1992-08-25
JPH0257105B2 (ko) 1990-12-04
JPS62153370A (ja) 1987-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833B1 (ko) 2-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
CA2356749C (en) Activator for cyanacrylate adhesives
AU634121B1 (en) Toughened cyanoacrylat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polyester polymers
JP4084187B2 (ja) 柔軟なポリマー材料に硬化可能なシアノアクリレート組成物
KR20070073840A (ko) 내충격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성물
KR0151112B1 (ko) 밀봉재료
CN111278878A (zh) 氰基丙烯酸酯组合物
JP4745670B2 (ja) 二液主剤型アクリル系接着剤用b剤
JPS60168775A (ja) 接着剤及び接着方法
US20100297457A1 (en) (Meth) acrylate composition featuring reduced oxygen inhibition
JP2844946B2 (ja) 接着剤組成物
JP5649185B2 (ja) 2−シアノアクリレート接着剤組成物
JPH026576A (ja) 白色α−シアノアクリレート接着剤組成物
TWI806962B (zh) 氰基丙烯酸酯組合物
JPS62265318A (ja) 嫌気硬化性組成物
JP2019182894A (ja) 2−シアノアクリレート系接着剤組成物
JPS6026513B2 (ja) 接着剤組成物
JP2006188548A (ja) 耐熱性シアノアクリレート系接着剤組成物
JPH03290484A (ja) 接着剤組成物
JP2006241212A (ja) 間隙充填性接着剤組成物
JPH04159382A (ja) α―シアノアクリレート系接着剤組成物
JPH0657215A (ja) エラストマーを含有する接着剤組成物
KR810000315B1 (ko) 접착제 조성물
JPH0742444B2 (ja) α−シアノアクリレ−ト系組成物
JPS6281468A (ja) α−シアノアクリレ−ト接着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