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100B1 -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100B1
KR860002100B1 KR1019840002957A KR840002957A KR860002100B1 KR 860002100 B1 KR860002100 B1 KR 860002100B1 KR 1019840002957 A KR1019840002957 A KR 1019840002957A KR 840002957 A KR840002957 A KR 840002957A KR 860002100 B1 KR860002100 B1 KR 86000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hydrocarbostyryl
dehydrogen
group
propoxy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681A (ko
Inventor
다까오 니시
다쓰요시 다나까
가즈유끼 나까가와
Original Assignee
오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쓰까 아끼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쓰까 아끼히꼬 filed Critical 오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40002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100B1/ko
Publication of KR840004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20Oxygen atoms
    • C07D215/22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or 4
    • C07D215/227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or 4 only one oxygen atom which is attached in position 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36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 C07D213/38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having only hydrogen or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the substituent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20Oxygen atoms
    • C07D215/22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or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신규의 카르보시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효한 약학 활성을 나타내는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몇가지가 공지되어 왔다. 즉, 미합중국 특허 제4,070,470호 및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 공고번호 제2,527,937호에는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가 있는 카르복시알콕 또는 아미노카르보닐-알콕시치환 카르보스티릴류와 인돌론류가 기재되어 있고,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 공고 번호 제2,825,048호에는 혈소판 응집제와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지제, 항염증제, 항암제 및 혈관 확장제로서 유효한 아미노카르보닐-알콕시-카르보스티릴 유도체가 기재되어 있으며, 또, 미합중국 특허 제3,682,920호에는 진통제로서 유효한 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의 1-치환 유도체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고지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는 심박수의 증가, 심장혈관의 비대, 심근 장해등과 같이 심장에 부작용을 갖고 있다.
전술한 사실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한 약학 활성을 갖는 신규으 카르보스티릴 유도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신규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효 성분으로서 전술한 신규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신규의 카르복실 유도체 및 이의 염이 제공된다.
Figure kpo00001
식중 R1은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저급알케닐기 또는 페닐-저급알킬기이고 ; R2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구조식 -O-A-
Figure kpo00002
으로 표시되는 기 〔식중, A는 저급알킬렌기, 불포화 저급알킬렌기이고 ; R3는 저급알킬기, 수산기-저급알킬기, 저급알콕시-저급알킬기, 저급알카노일옥시-저급알킬기 또는 벤조일옥시-저급 알킬기이며 ; R4는 시클로알킬환중의 치환체로서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어도 좋은 C3∼10-시클로알킬기, C3∼10-시클로알킬-저급 알킬기, 페닐기, 페닐환 중의 치환체로서 1개 이상의 저급 알콕시기를 갖여도 좋은 페닐-저급알킬기, 치환체로서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여도 좋은 저급알킬기, 복소환식 잔기 또는 치환체로서, 1개 이상의 복소환식환 잔기를 갖는 저급 알킬기이고, 또 R3, R4와 인접 질소 원자는 다른 질소원자와 함께 또는 다른 질소원자 없이 다음 구조식
Figure kpo00003
으로 표시하는 기를 형성할 수 있다(식중, R5는 페닐기, C3∼10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저급 알킬기이고, B는 메틴기 또는 질소원자임)〕이고 :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 결합은 단일 또는 2중 결합이고 :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 구조식 -O-A-
Figure kpo00004
기의 치환 위치는 제5위, 6,7 또는 8위중 어느 위치라도 좋으며 ; 카르보시티릴 골격에 있어서 구조식 -O-A-
Figure kpo00005
의 기가 제5위, 6,7 또는 8위에 치환될 경우에 R2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 또 R2가 구조식 -O-A-
Figure kpo00006
기인 경우에 카르보시티릴 골격에 있어서의 제5,6,7또는 8위는 수소원자이고, 구조식 -O-A-
Figure kpo00007
기들로 치환되지 않으며 ; R3가 저급 알킬기인 경우에 R4는 시클로알킬환에 치환체로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가져도 좋은 C3∼10-시클로 알킬기, 비치환-페닐-저급 알킬기, 페닐기, 2-(2,4-디메톡시페닐)에틸기, C3∼10-시클로 알킬-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킬기 이어서는 안된다.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카르보시틸리 유도체는 혈소판 응집 억제효과, 포스포디에스테라제억제효과, 심근 수축 증가효과(수축력 증가 효과), 항암효과, 항염증 효과, 혈압강하 효과, 뇌혈류량증가효과, 혈소판 응혈 분해효과 및 틀롬복산 길항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뇌졸증, 뇌경색, 심근 수축등의 혈전병과 색전증의 예방 및 치료제, 뇌혈류량 증진제, 항염증제, 항천식제, 강심제, 혈압 강하제 및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지제로서 유효하다.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보스티릴 유도체는 독성이 적고, 특히 심박수 증가, 심장혈관 이상 비대, 심근 장해 등과 같은 심장에 대한 부작용이 아주 약하고 또한 전술한 약리 효과의 유효성이 혈액 중에 빠르고 잘 흡수가 될 수 있고, 상당히 고농도로 유지될 수가 있으며 상당히 장시간에 걸쳐서 유지될 수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저급 알킬렌기"는 탄소원자수가 1내지 6개인 직쇄 및 측쇄형의 알킬렌기를 의미하며 이들을 예시하면, 메틸ㄹ렌기, 에틸렌기, 메틸메틸렌기, 트리메틸렌기, 2-메틸트리메틸렌기, 2,2-디메틸트리메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펜타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2-에틸트리메틸렌기, 1-메틸트리메틸렌기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저급 알킬기'의 용어는 탄소원자 1내지 6개를 갖는 직쇄 및 측쇄형의 알킬기를 의히며, 이들을 예시하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제3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히드록시-저급알킬기의 용어는 치환체로서 수산기 1,2 또는 3개가 치환된 탄소원자 1내지 6개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형의 알킬기를 갖는 히드록시알킬기를 의미하며, 이들을 예시하면, 히드록시메틸기, 2-히드록시에틸기, 3-히드록시프로필기, 4-히드록시부틸기, 2-히드록시부틸기, 3-히드록시부틸기, 5-히드록시펜틸기, 2-히드로시펜틸기, 3-히드록시펜틸기, 4-히드록시펜틸기 6-히도록시헥실기, 2-히드록시헥실기, 3-히드록시헥실기, 4-히드록시헥실기, 1-메틸-2-히드록시에틸기, 2-히드록시프로필기, 1,1-디메틸-2-히드록시에틸기, 1,2-디히드록시에틸기, 2,2-디히드록시에틸기, 1,3-디히드록시프로필기, 2,3-디히드록시프로필기, 1,2,3,-트리히드록시프로필기, 1,4-디히드록시부틸기, 2,4-디히드록시부틸기, 3,4-디히드록시부틸기, 1,2-디히드록시부틸기, 2,3-디히드로시부틸기, 1,3-디히드록시부틸기, 2,2-디히드록시부틸기, 1,2,3-트리히드록시부틸기, 2,3,4-트리히드록시부틸기, 2,3-디히드록시펜틸기, 3,4-디히드록시펜틸기, 3,5-디히드록시펜틸기, 2,3,4-트리히드록시펜틸기, 3,4,5-트리히드록시펜틸기, 2,4,5-트리히드록시펜틸기, 2,3-디히드록시헥실기, 2,5-디히드록시헥실기, 2,6-디히드록시헥실기, 3,4-디히드록시헥실기 4,5-디히드록시헥실기, 4,6-디히드록시헥실기, 5,6-디히드록시헥실기, 2,3,4-트리히드록시헥실기, 3,4,5-트리히드록시헥실기, 4,5,6-트리히드록시헥실기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복소환식 잔기"의 용어는 이종원자로서 1개의 질소원자,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는 갖는 5 또는 6원 복소환식기를 의미하며, 이들을 예시하면, 피리딜, 푸릴, 테트라히드로푸릴, 2H-피라닐, 4H-피라닐, 3,4-디히드로-2H-피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티에닐, 테트라히드로티에닐, 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 피롤릴,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치환체로서 1개의 복소환식 잔기를 갖는 저급 알킬기의 용어는 치환체로서 전술한 복소환식 잔기가 치환되어 있는 탄소원자 1내지 6개르 갖는 직쇄 또는 측쇄형의 알킬기를 의미하며, 이들을 예시하면, 3-피리딜메틸, 2-피리딜메틸, 4-피리딜메틸, 2-(3-피리딜)에틸, 3-(3-피리딜)프로필, 4-(3-피리딜)부틸, 2,2-디메틸-2-(2-피리딜)에틸, 5-(4-피리딜)펜틸, 6-(4-피리딜)헥실, 1,1-디메틸-2-(3-피리딜)에틸, 2-푸릴메틸, 3-푸릴메틸, 2-(3-푸릴)에틸, 4-(2-푸릴)부틸, 2-테트라히드로푸리메틸, 3-테트라히드로푸릴메틸, 2-(3-테트라히드로푸릴)에틸, 5-(2-테트라히드로푸릴)펜틸, 2-2H-피라닐 메틸, 3-2H-피라닐메틸, 2-(3-2H-피라닐)에틸, 6-(2-2H-피라닐)헥실, 2-4H-피라닐메틸, 2-(2-4H-피라닐)에틸, 2-3,4-디히드로-2H-피라닐메틸, 4-3,4-디히드로-2H-피라닐메틸, 2-(3-3,4-디히드로-2H-피라닐)에틸, 4-(4-3,4-디히드로-2H-피라닐)부틸, 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틸, 2-(2-테트라히드로피라닐)에틸, 3-(4-테트라히드로피라닐)프로필, 5-(3-테트라히드로피라닐)펜틸, 2-티에닐메틸, 2-(2-티에닐)-에틸, 3-티에닐메틸, 4-(3-티에닐)부틸, 2-테트라히드로티에닐메)펜틸, 3-트트라히드로티에닐메틸, 2-(2-테트라히드로티에닐)에틸, 5-(3-테트라히드로티에닐)펜틸, 2-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메틸, 3-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메틸, 4-테트라히드로 티오피라닐 메틸, 2-(2-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에틸, 4-(3-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부틸, 2-피로일메틸, 3-피로일메틸, 2-(2-피로일)에틸, 5-(2-피로일)펜틸, 2-피롤리디닐메틸, 3-피롤라디닐메틸, 2-(2-피롤리디닐)에틸, 6-(3-피롤리디닐헥실, 2-피페리디니리메틸, 3-피페리디닐메틸, 4-피페리디닐메틸, 2-(2-피페리디닐)에틸, 4-(4-피레리디닐)부틸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저급 알케닐기의 용어는 탄소 원자 2내지 6개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형의 알케닐기를 의미하며, 이들을 예시하면, 비닐, 알릴, 2-부테닐, 3-부테닐, 1-메틸알릴, 2-펜테닐, 2-헥세닐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페닐-저급 알킬기"의 용어는 치환체로서 1개 페닐기를 갖는 탄소원자 1내지 6의 직쇄 또는 측쇄형의 알킬기로 치환된 페닐 알킬기를 의미하며, 이들을 예시하면, 벤질, 2-페닐에틸, 1-페닐에틸, 3-페닐프로필 4-페닐부틸, 1, 1-디메틸-2-페닐에틸, 5-페닐펜틸, 6-페닐헥실, 2-메틸-3-페닐프로필,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저급 알콕시-저급 알킬기"의 용어는 치환체로서 1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1개 이상의 직쇄 또는 측쇄형의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탄소원자 1내지 6개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로 치환된 알콕시알킬기를 의미하며, 이들을 예시하면, 메톡시메틸, 2-메톡시에틸, 3-메톡시프로필, 4-메톡시부틸, 5-메톡시펜틸, 6-메톡시헥실, 1-메틸-2-메톡시에틸, 2-메톡시프로필, 1, 1-디메틸-2-메톡시에틸, 에톡시 메틸, 2-에톡시에틸, 3-에톡시프로필, 4-에톡시부틸, 5-에톡시펜틸, 6-에톡시헥실, 1-메틸-2-에톡시에틸, 2-에톡시프로필, 1, 1-디메틸-2-에톡시에틸, 프로폭시메틸, 2-프로폭시에틸, 3-프로폭시프로필, 4-프로폭시부틸, 6-프로폭시헥실, 2-프로폭시프로필, 2-이소프로폭시에틸, 2-부톡시에틸, 3-부톡시프로필, 4-부톡시부틸, 6-부톡시헥실, 2-제 3-부톡시에틸, 2-펜틸옥시에틸, 5-펜틸옥시펜틸, 2-헥실옥시에틸, 6-헥실옥시헥실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의 용어는 치환체로서 탄소원자 1내지 6개를 갖는 1개의 직쇄 또는 측쇄형의 알카노일기를 함유하는 1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형의 알킬기로 치환된 알카노일 알킬기를 의미하며, 이들을 예시하면, 2-포르밀옥시에틸, 3-포르밀옥시프로필, 4-포르밀옥시부틸, 2-포르밀옥시프로필, 아세틸옥시메틸, 2-아세틸옥시에틸, 3-아세틸옥시프로필, 4-아세틸옥시부틸, 5-아세틸옥시펜틸, 6-아세틸옥시헥실, 1-메틸-2-아세틸옥시에틸, 2-아세틸옥시프로필, 1, 1-디메틸-2-아세틸옥시에틸, 2-프로피오닐옥시에틸, 3-프로피오닐옥시프로필, 4-프로피오닐옥시부틸, 5-프로피오닐옥시펜틸, 6-프로피오닐옥시헥실, 2-프로피오닐옥시프로필, 2-부티릴옥시에틸, 3-부티릴옥시프로필, 4-부티릴옥시부틸, 2-부티릴옥시프로필, 2-이소부티릴옥시에틸, 4-이소부티릴옥시부틸, 2-펜타노일옥시에틸, 5-펜타노일옥시펜틸, 2-제 3-부틸 카르보닐옥시에틸, 2-헥사노일옥시에틸, 6-헥사노일옥시헥실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벤조일옥시-저급 알킬기"의 용어는 치환체로서 벤조일옥시기를 갖는탄소원자 1내지 6의 직쇄 또는 측쇄형의 알킬기로 치환된 벤질옥시알킬기를 의미하며, 이들을 예시하면, 벤조일옥시메틸, 2-벤조일옥시에틸, 3-벤조일옥시프로필, 4-벤조일옥시부틸, 5-벤조일옥시펜틸, 6-벤조일옥시헥실, 1-메틸-2-벤조일옥시에틸, 2-벤조일옥시프로필, 1, 1-디메틸-2-벤조일옥시에틸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C3~10-시클로알킬기"의 용어는 치환체로서 시클로환 중에 1개, 2개 또는 3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원자 3내지 10개를 함유하는 시클로알킬기를 의미하며, 이들을 예시하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2-히드록시시클로부틸, 3-히드록시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2-히드록시시클로펜틸, 3-히드록시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2-히드록시시클로헥실, 3-히드록시시클로헥실, 4-히드록시시클로헥실, 3, 4-디히드록시시클로헥시, 3, 4, 5-트리히드록시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2-히드록시시클로헵틸, 3-히드록시시클로헵틸, 4-히드록시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2-히드록시시클로옥틸, 3-히드록시시클로옥틸, 4-히드록시시클로옥틸, 5-히드록시시클로옥틸, 시클로노나닐, 2-히드록시시클로노나닐, 3-히드록시시클로노나닐, 4-히드록시시클로노나닐, 시클로데카닐, 2-히드록시시클로데카닐, 4-히드록시시클로데카닐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C3~10-시클로알킬-저급 알킬기"의 용어는 치환체로서 탄소원자 3내지 10개를 갖는 시클로알킬기를 함유하는 탄소원자 1내지 6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로 치환된 시클로알킬-알킬기를 의미하며, 이들을 예시하면, 시클로프로필메틸, 4-시클로헥실부틸, 2-시클로펜틸에틸, 시클로헥실메틸, 2-시클로펜틸프로필, 3-시클로헥실프로필, 시클로펜틸메틸, 2-시클로헥실에틸, 2-시클로헥실프로필, 2-시클로헵틸에틸, 3-시클로부틸프로필, 1, 1-디메틸-2-시클로헥실에틸, 1-메틸-2-시클로펜틸에틸, 2-시클로옥틸에틸, 시클로노나닐메틸, 2-시클로데카닐에틸, 5-시클로헥실펜틸, 6-시클로헥실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페닐환상의 치환체로서 1개 이상의 저급 알콕시기를 갖여도 좋은 페닐-저급 알킬기"의 용어는 치환체로서 페닐기를 갖는 탄소원자 1내지 6개를 함유하는 알킬기를 의미하고 또, 이 페닐기는 치환체로서 탄소원자 1내지 6개를 갖는 1개, 2개 또는 3개의 알콕시기를 갖여도 좋으며, 이들 알콕시기를 예시하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제 3-부톡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등을 열거할 수가 있고, 상기 페닐-저급 알킬기의 예로서는, 벤질, 2-페닐에탈, 1-페닐에틸, 3-페닐프로필, 4-페닐부틸, 1, 1-디메틸-2-페닐에틸, 2-메틸-3-페닐프로필, 5-페닐펜틸, 6-페닐헥실, 2-메톡시벤질, 3-메톡시벤질, 4-메톡시벤질, 3, 4-디메톡시벤질, 3, 4, 5-트리메톡시벤질, 2-(2-메톡시페닐)에틸, 2-(3-메톡시페닐)에틸 2-(4-메톡시페닐)에틸, 2-(3, 4-디메톡시페닐)에틸, 2-(3, 4-디에톡시페닐)에틸, 2-(3, 4-디이소프로폭시페닐)에틸, 2-(3, 4-디부톡시페닐)에틸, 1-(3, 4-디메톡시페닐)에틸, 2-(3, 4, 5-트리메톡시페닐)에틸, 3-(3, 4-디메톡시페닐)프로필, 4-(3, 4-디메톡시페닐)부틸, 6-(3, 4-디메톡시페닐)헥실, 1, 1-디메틸-2-(3, 4-디메톡시페닐)-에틸, 2-(2, 5-디메톡시페닐)에틸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화합물류 중에서 특정의 화합물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과 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이하, 이 화합물류를 "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과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이라 한다.)
6-{3-〔N-(4-히드록시부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6-히드록시헥실)-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옥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프로필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프로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7-{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8-{3-〔N-(2-히드록시 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4-히드록시부틸)-N-시클로옥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틸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4-히드록시부틸)-N-시클로옥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2-[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에톡시}-3, 4-디히도르카르브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데카닐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데카닐 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프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6-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프보닐]헥실옥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2, 2-디메틸-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프보닐 메톡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3-피리딜)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에틸-N-(3-피리딜)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메틸-N-(2-피리딜)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7-{3-N-메틸-N-(4-피리딜)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3-피리딜)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푸릴)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에틸-N-(3-푸릴) 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8-{2-N-메틸-[헥실-N-(2-푸릴)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테트라히드로푸릴)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2-푸릴)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2-테트라히드로푸릴)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2-메틸-3-[N-에틸-N-(3-테트라히드로푸릴)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7-{3-[N-메틸-N-(2-테트라히드로푸릴)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에틸-N-(2-2H-피라닐)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부틸-N-(4-2H-피라닐)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8-{4-[N-메틸-N-(3-2H-피라닐)아미노 카프보닐]보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4H-피라닐)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4-[N-에틸-N-(4-4H-피라닐)아미노 카프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3, 4-디히드로-2H-피라닐)아미노 카프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2-피트라히드로푸릴)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에틸-N-(3-3, 4-디히드로-2H-피라닐)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7-{2-[N-메틸-N-(4-3, 4-디히드로-2H-피라닐)아미노 카프보닐]에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테트라히드로피라닐)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6-[N-메틸-N-(3-테트라히드로피라닐)아미노 카프보닐]헥실옥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8-{3-[N-에틸-N-(4-테트라히드로피라닐)아미노 카프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에틸-N-(2-피롤릴)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메틸-N-(3-피롤릴)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7-{4-[N-메틸-N-(2-피롤릴)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메틸-N-(2-피롤리디닐)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에틸-N-(3-피롤리디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 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8-{3-[N-에틸-N-(2-피롤리디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피페리디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3-[N-에틸-N-(4-피페리디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7-{3-[N-메틸-N-(3-피페리디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2-피리딜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3-피리딜메틸)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3-[N-에틸-N-(2-피리딜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8-{3-[N-부틸-N-(4-피리딜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4-(3-피리딜)부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부릴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3-[N-에틸-N-[2-(3-푸릴)에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7-{3-[N-메틸-N-[4-(2-푸릴)부틸]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테트라하드로푸릴메틸)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2-푸릴메틸)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2-테트라히드로푸릴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2-메틸-3-[N-메틸-(3-테트라히드로푸릴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8-{4-[N-에틸-N-(2-테트라히드로푸릴메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5-(2-테트라히드로푸릴)펜틸옥시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2H-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3-[N-에틸-N-(3-2H-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에틸-N-(2-4H-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3,4-디히드로-2H-피라닐 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2-3,4-디히드로-2H-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2-테트라 히드로 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3-[N-메틸-N-[2-(3-3,4-디히드로-2H-피라닐)에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7-{3-[N-메틸-N-[4-3,4-디히드로-2H-피라닐 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테트라히드로 피라닐 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3-[N-에틸-N-(4-테트라히드로피라닐 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8-{3-[N-메틸-N-(3-테트라히드로 피라닐 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3-(4-테트라히드로피라닐)프로필]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티에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3-[N-에틸-N-(3-티에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2-티에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테트라히드로티에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4-[N-메틸-N-(3-테트라히드로티에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7-{2-메틸-3-[N-메틸-N-(3-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피롤릴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8-{3-[N-에틸-N-(3-피롤릴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피롤리디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2-피롤리디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3-[N-에틸-N-(3-피롤리디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7-{3-[N-메틸-N-[6-(3-피롤리디닐)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2-피페리디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3-[N-에틸-N-(4-피페리디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8-{2-[N-메틸-N-(3-피페리디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에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메틸-N-[4-(4-피페리디닐)부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4-피페리디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2-피롤릴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4-[N-(2,3-디히드록시프로필)-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4-[N-(2,3-디히드록시프로필)-N-시클로 헥실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4-[N-(2,3-디히드록시프로필)-N-시클로헥실 메틸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4-[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8-{3-[N-(2,3-디히드록시프로필)-N-시클로 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7-{3-[N-(2,3-디히드록시프로필)-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3-디히드록시프로필)-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3-디히드록시프로필)-N-시클로헥실 에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3,4-디히드록시부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3,4-트리히드록시부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3-[N-(2,3-디히드록시프로필)-N-시클로 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4-디히드록시부틸)-N-시클로옥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3,4-디메톡시벤질)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에틸)-N-벤질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에틸)-N-(β-3,4-디메톡시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4-히드록시부틸)-N-(β-3,4-디메톡시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벤질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β-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에틸)-N-[4-(3,4-디메톡시페닐)부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3-[N-(2-히드록시에틸)-N-(β-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7-{3-[N-(2-히드록시에틸)-N-(β-3,4-디메톡시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8-{3-[N-(2-히드록시에틸)-N-(β-3,4-디메톡시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5-{3-[N-(4-히드록시에틸)-N-6-페닐헥실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3-디히드록시프로필)-N-(β-3,4-디메톡시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3,4-디히드록시부틸)-N-α-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페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3-히드록시프로필)N-페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
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 3-디히록시프로필)N-페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
-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프로필)N-페닐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
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4-[N-(2-히드록시프로필)N-페닐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
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4-히드록시부틸)N-페닐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
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4-히드록시부틸)N-시클로헥실메틸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메틸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7-{3-[N-(2-히드록시에틸)N-페닐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
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8-{3-[N-(2-히드록시에틸)N-페닐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
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프로필)N-시클로헥실 메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프로필)N-(4-시클로헥실 부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2-히드록시프로필)N-(3-시클로헥실프로필)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메톡시메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에톡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메톡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4-부톡시부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메톡시에틸-)-N-시클로옥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메톡시에틸)-N-시클로프로필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메톡시에틸)-N-(β-3, 4-디메톡시 페네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2-메톡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4-[N-(2-메톡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8-{3-[N-(2-메톡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3-아세틸옥시프로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2-메톡시에틸)-N-(β-3, 4-디메톡시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벤조일옥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6-벤조일옥시헬실)-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벤조일옥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5-프로피오닐옥시헵틸)-N-시클로헥실메틸 아미노 카르보닐]
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3-아세틸옥시프로필)-N-(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6-헥실옥시헥실)-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5-프로피오닐옥시헵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7-{3-[N-(2-벤조일옥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2-벤조일옥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3-히드록시 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6-히드록시헥실)-N-(3-히드록시 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2-히드록시 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4-히드록시 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3-히드록시 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2-히드록시에틸)-N-(3-히드록시 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2-히드록시에틸)-N-(3-히드록시 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4-페닐-1-피페라지닐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4-페닐-1-피페라지닐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4-시클로헥실-1-피페라지닐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4-벤질-1-피페라지닐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4-벤질-1-피페라지닐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4-페닐-1-피페라지닐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7-[3-(4-페닐-1-피페라지닐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8-[3-(4-페닐-1-피페라지닐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메틸-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헥실-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알릴-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2-헥세닐)-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벤질-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6-페닐헥실)-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메틸-5-{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벤질-5-{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메틸-7-{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메틸-8-{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메틸-6-{3-[N-메틸-N-(4-피리딜)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메틸-6-{3-[N-메틸-N-(2-푸릴)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메틸-5-{2-메틸-[N-(2-테트라히드로푸릴)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메틸-7-{3-[N-메틸-N-(2-2H-피라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메틸-6-[3-(4-페닐-1-피페라지닐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벤질-5-[3-(4-페닐-1-피페리딜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4-메틸-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4-에틸-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4-헥실-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 4-디메틸-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헥실-4-메틸-7-{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벤질-4-메틸-8-{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에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 N-디-(2-히드록시에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메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4-[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메틸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메톡시에틸)-N-시클로헥실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메톡시에틸)-N-시클로헥실메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에톡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메톡시에틸)-N-페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에톡시에틸)-N-(2-히드록시에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히드록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메톡시에틸)-N-에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메톡시에틸)-N-(β-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β-3, 4-디메톡시페네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3-[N-(2-히드록시에틸)-N-(β-3, 4-디메톡시 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에틸)-N-(β-3, 4-디에톡시페네틸)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β-3, 4, 5-트리메톡시페네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5-[N-2-히드록시에틸)-N-벤질아미노카르보닐]펜틸옥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β-4-메톡시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메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옥틸 메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데카닐메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벤조일옥시메틸)-N-시클로헥실 메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벤조일옥시메틸)-N-페닐 메틸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벤조일옥시메틸)-N-(β-3, 4-디메톡시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벤조일옥시메틸)-N-(2-히드록시에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아세틸옥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아세틸옥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프로피오닐옥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5-{4-[4-(2-아세틸옥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아세틸옥시에틸)-N-시클로헥실 메틸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아세틸옥시에틸)-N-(β-3, 4-디메톡시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아세틸옥시에틸)-N-페닐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아세틸옥시에틸)-N-(2-테로라히드피라닐 메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메톡시에틸)-N-(2-테트라히드로피라닐 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벤조일옥시에틸)-N-(2-테트라히드로피라닐 메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에틸-N-(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프로필)-N-(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에틸)-N-(2-테트라 히드로피라닐 메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메톡시에틸)-N-(2-테트라히드로피라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아세틸옥시에틸)-N-(2-테트라히드로피라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 3-디히드록시프로필)-N-(2-테트라히드로피라닐 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에틸)-N-(3-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에틸)-N-(4-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에틸)-N-(2-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6-{3-[N-(2,3-디히드록시프로필)-N-(3-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4-[N-(2,3-디히드록시프로필)-N-(3-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메톡시에틸)-N-(3-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벤조일옥시에틸)-N-(3-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벤조일옥시에틸)-N-(3-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3,4-디히드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N-(2-히드록시에틸)-N-(3,4,5-트리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4-[N-(2-히드록시에틸)-N-(4-히드록시시클로옥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6-[3-(4-시클로옥틸-1-피페라지닐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시스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6-[4-(4-페닐-1-피페라지닐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시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6-[4-(4-시클로헥실-1-피페라지닐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6-[4-(4-β-페네틸-1-피페라지닐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시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5-[4-(4-페닐-1-피페라지닐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6-[3-(4-페닐-1-피페리딜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6-[4-(4-페닐-1-피페리딜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5-[3-(4-페닐-1-피페라지닐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6-[3-(4-시클로헥실-1-피페라지닐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스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6-[3-(4-벤질-1-피페리딜닐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이의3,4-탈수소 화합물.
6-[3-(4-β-페네틸-1-피페라지닐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4-메틸-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4-메틸-6-{3-[N-(2-히드록시에틸)-N-(2-테트라히드로 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4-메틸-6-{4-[N-(2-히드록시에틸)-N-(β 3,4-디메톡시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부특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4-메틸-6-{3-[N-(2-히드록시프로필)-N-시클로헥실메틸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4-메틸-5-{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4-메틸-6-{4-[N-(3-히드록시프로필)-N-페닐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4-메틸-6-{3-(4-페닐-1-피페라지닐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4-메틸-6-{3-[N-(2-메톡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4-메틸-6-{4-[N-(2-아세틸옥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4-메틸-6-{3-[N-(2-벤조일옥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4-메틸-6-{3-[N-(2-히드록시에틸)-N-(3-히드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4-{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4-{4-[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메틸 아미노 카닐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4-{3-[N-(2-히드록시에틸)-N-(3-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4-{4-[N-(2-히드록시에틸)-N-(β-3,4-디메톡시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4-{3-[N-(2-히드록시에틸)-N-(2-테트라히드로피라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3,4-탈수소 화합물.
4-{4-[N-(2-히드록시에틸)-N-페닐아미노카닐보닐]부톡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 화합물.
4-{3-[N-(2-메톡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 화합물.
4-{4-[N-(2-메톡시에틸)-N-(2-테트라히드로피라닐 메틸)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4-{3-[N-(2-메톡시에틸)-N-시클로헥실케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4-탈수소 화합물.
4-{4-〔N-(2-메톡시에틸)-N-(3-히드로시 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4-{3-〔N-(2-아세틸옥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4-{4-〔N-(2-아세틸옥시에틸)-N-(3-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4-{3-〔N-(2-아세틸옥시에틸)-N-(3-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4-{4-〔N-(2-벤조일옥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4-{3-〔N-(2-히드록시에틸)-N-(2-테트라히드로 피라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메틸-6-{3-〔N-(2-히드록시에틸)-N-(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메틸-6-{4-〔N-(2-메톡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메틸-6-{4-〔N-(2-히드록시에틸)-N-(3-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벤젠-6-{4-〔N-(2-아세틸옥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알릴-6-{3-〔N-(2-히드록시에틸)-N-(β-3, 4-디메톡시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메틸-6-{3-〔N-(2-히드록시프로필)-N-시클로헥실메틸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메틸-6-{4-〔N-(2-히드록시에틸)-N-페닐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1-벤질-6-{3-〔N-(2-벤조일옥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3, 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이의 3, 4-탈수소 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여러가지의 방법 이를테면 하기의 반응 공정식-1에 의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반응 공정식-1
Figure kpo00008
(식중 R1, R2, R3, R4, A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 결합 및 -O-A-
Figure kpo00009
식으로 표시되는 기의 치환위치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 R2'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일반식 -O-A-COOH로 표시되는 기(A는 상기에서 정의한 같음)이며 ; 일반식-O-A-COOH기의 치환 위치는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의 제 5, 6, 7또는 8위 중 어느 위치라도 좋고 ; 일반식 -O-A_COOH기가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 제5, 6, 7 또는 8위에 치환될 경우에 R2'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며 ; 반대로 R2'가 일반식 -O-A-COOH기인 경우에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의 제5, 6, 7 및 8위는 수소원자이고 일반식-O-A-COOH기들로 치환되지 않는다).
반응 공정식-1로 표시되는 방법은 일반식(2)로 표시되는 카르복시알콕시카르보스티릴 유도체와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민과를 상법의 아미드 결합 생성 반응에 의해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반식(2)의 화합물은 카르복시기가 활성화된 화합물에 의해 치환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미드 결합생성 반응의 실시에 있어서는 공지의 아미드 결합 생성반응 조건을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가 있다. 아미드 결합생성 반응에는 하기의 방법들, 이를테면, 알킬할로 카르복실산을 카드복실산(2)과 반응시켜 혼합산 무수물을 생성시킨 다음, 이것을 아민(3)과 반응시키는 혼합산 무수물 방법(a) ; 카르복실산(2)를 p-니트로페닐 에스테르, N-히드록시 숙신산 이미도에스테르,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조올 등과 같은 활성 에스테르로 전환시킨 다음 이 활성 에스테르를 아민(3)과 반응 시키는 활성 에스테르 방법(b) ; 아민(3)을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카르보닐이미다졸 등의 활성제 존재하에서 카르복실산(2)과 반응시켜 축합 반응을 수행하는 카르보디이미드 방법(c) ; 카르복실산(2)를 초산 무수물과 같은 탈수제에 의해 카르복실산 무수물로 전환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아민과 반응시키는 방법, 아민(3)을 고온 고압하에 저급 알킬과 함께 카르복실산(2)에스테르와 반응시키는 고온고압 방법 및 아민(3)을 카르복실산(2)의 산할로겐화물(카르복실산할로겐화물)과 반응시키는 방법등의 기타의 방법들(d)을 적용할 수가 있다. 이들 방법들 중에서 혼합산 무수물 방법이 가장 적당하다. 혼합산 무수물 방법에 사용되는 알킬할로 카르복실산을 예시하면, 클로로포름산 메틸, 브로모 포름산 메틸, 클로로 포름산 에틸, 브로모 포름산 에틸, 클로로 포름산 이소부틸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혼합산 무수물은 상용되는 Schotten-Baumann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물질로서 일반으로 단리 시키지 않은 채, 아민(3)과 반응 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얻어진다. 이 Schotten-Baumann 반응은 염기성 화합물 존재하에서 수행되며, 이들 염기성 화합물을 예시하면, 트리에틸아민, 트리리메틸아민, 피리딘, 디메틸아닐린, N-메틸모르폴린, 1.5-디아자비시클로〔4, 3, 0〕 노넨-5(DBN), 1, 5-디아자비시클로〔5, 4, 0〕운데센-5(DBU), 1, 4-디아자비시클로〔2, 2, 2〕옥탄(DABCO)등의 유기염기 ; 또는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소수소나트륨 등의 무기 염기를 열거할 수가 있다. 이 반응은 통상-20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0내지 50℃의 온도 하에서 5분 내지 5시간동안 수행한다. 이 혼합산 무수물 방법은 일반으로 용매중에서 수행되며, 이 혼합산무수물 방법에 자주 사용되는 용매류를 예시하면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디클로로 에탄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 초산메틸 초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및 N, 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 등의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류를 열거할 수가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카르복실산(2), 알킬할로 카르복실산 및 아민(3)은 일반으로 각각 등몰씩 사용하나, 알킬할로 카르복실산과 아민(3)은 카르복실산(2)의 몰량에 대하여 1내지 1.5배의 양으로 사용 하여도 좋다.
상기의 반응 공정식 -1에 있어서 카르복실산(2)은 공지의 화합물이며, 아민(3)은 공지의 화합물이거나 또는 신규의 화합물이다. 아민(3)은 하기의 반응 공정식 -2또는 반응 공정식 -3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반응 공정식-2
Figure kpo00010
반응 공정식-3
Figure kpo00011
(식중, R3와 R4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할로겐 원자임).
반응 공정식-2에 의하면,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민은 일반식(4)로 표시되는 공지의 아민을 염기성 화합물 존재하에서 일반식(5)로 표시되는 공지의 할로겐 화합물과 반응 시킴으로서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반응 공정식-3에 의하면,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민은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공지의 아민을 염기성 화합물 존재하에서 일반식(7)로 표시되는 공지의 할로겐 화합물과 반응 시킴으로서 제조할 수가 있다. 이들 반응은 탈할로겐화 수소제로서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 반응에 사용하는 염기성 화합물은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 수소 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은 등의 무기염기류, 나트륨, 칼륨등의 알카리 금속류 ; 나트륨 메틸 라아트, 나트륨 에틸 라아트 등의 알콜 레이트류 및 트리에 틸아민, 피리딘, N, N-디메틸아닐린 등의 유기염기류 등과 같은 공지의 광범위한 염기성 화합물류 중에서 선택할 수가 있다. 또 이 반응은 용매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서 수행할 수가 있는데, 이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악효과를 주지 않는 공지의 불활성형 용매를 모두 사용할 수가 있으며, 이들 용매를 예시하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코올 등의 알콜류 ;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모노글림, 디글림등의 에테르류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 벤젠, 톨루엔, 크실렌등의 방향족 탄화 수소류 ; 초산메틸, 초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및 N, N-디메틸포름 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 등의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들을 열거할 수가 있다. 또 전술한 반응들은 요오드화 나트륨이나 또는 요오드화 칼륨 등의 금속 요오드화물의 존재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아민(4) 또는 (6)에 대한 할로겐화물(5)또는 (7)의 양비율은 특정하게 제한되어 있지 않고, 광범위한 범위 내에서 적당하게 선정할 수가 잇으나 일반으로 할로겐화물의 양 1몰에 대하여 등몰 내지 5배몰 바람직하게는, 등몰 내지 2배볼의 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응 온도는 특정하게 제한 되어 있지 않으나, 일반으로 실온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0내지 160℃의 온도에서 수행하며, 반응 시간은 일반으로 1내지 30시간이고, 5내지 15시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의 목적 화합물 중에서, 하기 반응 공정식-4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개의 락탐-락탐형〔(1a)와 (1b)〕으로 표시될 수 있는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탄소를 사이에 2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은 하기와 같다.
반응 공정식-4
Figure kpo00012
(식중 R2, R3, R4, A 및 -O-A-
Figure kpo00013
식으로 표시되는 거의 치환위치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같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류 중에서 하기의 반응 공정식-5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의 탄소-탄소 결합이 단일 결합인 화합물(1c)와 화합물(1a)은 환원 및 탈수소에 의해 서로 전활될 수가 있다.
반응 공정식-5
Figure kpo00014
(식중 R1, R2, R3, R4, A. -O-A-
Figure kpo00015
식중으로 표시되는 거의 치환위치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목적 화합물(1)은 하기의 반응 공정식-6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가 있다.
반응 공정식-6
Figure kpo00016
(식중 R1, R2, R3, R4, A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탄소 결합 및 일반식-O-A-
Figure kpo00017
기의 치환 위치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갖고 R2'''는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또는 일반식 -O-M-
Figure kpo00018
로 표시되는 기(여기에서 R3와 R4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M은 불포화 저급 알킬렌기이다.)이며, 일반식 -O-M-
Figure kpo00019
기의 치환 위치는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 제5, 6, 7또는 8위중 어느 위치라도 좋고, 일반식 -O-M-
Figure kpo00020
기가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 제5, 6, 7또는 8위에 치환될 경우에, R2'''는 수소 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또 R2'''가 일반식 -O-M-
Figure kpo00021
일 경우에,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의 제5, 6, 7또는 8위는 수소원자들로 치환되며, 일반식 -O-M-
Figure kpo00022
기들로 치환되지 않는다.)
즉, 반응 공정식-6의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목적 화합물(1)은 일반식(11)로 표시되는 카르보스티릴 유도체를 환원시킴으로서 제조할 수가 있다.
화합물(11)의 환원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서는 불포화알칸 화합물을 환원하여 상응하는 포화알칸 화합물을 얻는 보통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조건들을 적용시킬 수가 있다. 이들 조건들 중에서 특히 접촉 환원에 사용되는 조건을 바람직하게 채택할 수가 있으며, 이 접촉 환원은 촉매를 사용하여 적당한 용매 중에서 화합물(11)을 수소화하는 상법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핵수소화 반응에 상용되는 촉매류를 예시하면, 백금 흑분, 백금 산화물, 백금 콜로이드 등의 백금 촉매류 ; 팔라듐 흑분, 팔라듐탄소, 팔라듐 콜로이드 등의 팔라듐 촉매류 ; 로듐 충전석면, 로듐 알루미나 등의 로듐 촉매류 ; 루테늄 촉매류 ; 라네닉켈, 닉켈산화물 등의 닉켈촉매류 ; 코발트 촉매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환원에 사용되는 용매류를 예시하면 메탄올, 에탈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콜류 ; 물 ; 초산 ; 초산에스테르, 에틸렌 글리코올 ;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등의 에테르류 및 시클로 헥산, 시클로펜탄 등의 시클로 알칸류를 열거할 수가 있다. 상기 환원 조작은 감압 또는 대기압하의 수소기류 중에서 수행할 수가 있는데, 대기압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환원은 통상, 실온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50℃의 온도하에 수행할 수가 있으며, 일반으로 약 10 내지 10시간 내에 종료된다.
반응 공정식-6에 의한 전술한 환원 조건하에서는 R1으로 정의한 기들중의 불포화 알킬기, R3와 R4로 정의한 몇개의 기들 및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탄소를 사이의 2중 결합등은 어느 정도 환원을 받을 수가 있다.
전술한 내용 공정식-6의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는 일반식(11)의 화합물류는 신규의 화합물이며, 이들 신규의 화합물들은 하기의 반응 공정식-7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반응 공정식-7
Figure kpo00023
(식중 R1, R2''', R3, R4, M, X' 및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의 제3위와 제4위 사이의 탄소 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식 -O-M-
Figure kpo00024
기의 치환 위치는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는 제5, 6, 7 또는 8위 중 어느 위치라도 좋다)
반응 공정식-7에 있어서 일반식 (8)의 히드록시카르보스티릴과 일반식(12)의 화합물과 반응은 전술한 반응공정식-1에서의 반응과 같이 수행할 수가 있다. 일반식 (12)의 화합물은 하기일반식 (14)의 화합물과 일반식(3)의 아민과를 반응 공정식-2에서와 같은 방법에 따라서 반응시킴으로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X'-M-COOH (14)
(식중 X'와 M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1)로 표시되는 목적 화합물들 중에서 일반식(1e)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유도체는 하기의 반응 공정식-8에 의해 일반식(1d)의 히드록시 유도체로부터 제조할 수가 있다.
반응공정식-8
Figure kpo00025
(식중, R1,R2,R4,A, 카르보스티릴 골격에 있어서의 제 3 위와 제 4 위의 탄소-탄소 결합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5는 치환기로서 수산기를 갖는 알킬기이고, R6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또는 벤조일옥시-저급 알킬기이며, X는 할로겐원자이고,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7
식들로 표시되는 기들의 치환 위치는 각각 식
Figure kpo00028
로 표시되는 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다.)
즉, 반응 공정식-8에 의하면 히드록시 유도체(1d)로 부터 에스테르 유도체(1e)를 제조하는 반응은 보통의 에스테르 생성반응의 방식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다. 에스테르 유도체(le)는 히드록시 유도체(1d)와 일반식 R6COOH의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기가 활성화된 화합물, 이를테면, 카르복실산무수물(R6CO)2O 카르복실산 할로겐화물 R6COX(X는 할로겐 원자)와 반응시킴으로서 제조할 수가 있다.
아실화제로서 카르복실산무수물(R6CO)2O또는 카르복실산 할로겐화물 R6COX을 사용하는데 이 반응에 사용되는
Figure kpo00029
반응 조건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이 반응은 용매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수행하며, 이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Figure kpo00030
반응에 통상 사용되는 용매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용매류를 예시하면,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등의 할로겐화 탄화 수소류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초산, 프로피온산 등의 지방산류 ; 벤젠, 톨루엔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헥사메틸렌인산트리아미드, 아세토니트릴 등의 비양성자성 극성용매류를 열거할 수가 있다. 이 반응을 수행하는데는 초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 나트륨등의 무기염기성 화합물 ;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N-메틸모르폴린, 4-디메틸아미노 피리딘, 디아자비시클로운데센-7(DBU)등의 유기염기성 화합물 ; p-톨루엔 술폰산, 황산 등의 양성자성 용매 및 염화알루미늄, 3불화붕소, 염화아연등의 류이스산 등도 사용할 수가 있다.
이 반응에 있어서 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카르복실산 할로겐화물의 양에 대한 히드록시 화합물(1d)양의 비율은 히드록시 화합물에 대한 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카르복실산 할로겐화물의 몰 양의 1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등몰 내지 2배몰의 범위이다. 반응 온도는 특정하게 제한되어 있지 않으나 일반으로 -10내지 100℃바람직하게는 0내지 50℃의 온도하에서 수행한다. 반응 시간은 출발물질의 종류와 반응 조건에 따라 좌우되나, 일반적으로 약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한다.
아실화제로서 카르복실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히드록시 화합물과 카르복실산과의 보통 탈수 반응에 사용되는 반응 조건을 또한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반응은 일반적으로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하며, 촉매로서는 보통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사용되는 촉매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촉매를 예시하며, 기상염화수소, 농황산, 인산, 폴리인산, 3불화붕소, 과염소산 등이 무기산류, 트리폴루오로초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산, 나프탄렌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벤젠술폰산에탄 술포산 등의 유기산류 ; 염화티오닐, 아세톤디메틸 아세틸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또 본 반응에는 촉매로서 산성 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반응에 사용되는 이들 촉매량은 통상의 양으로 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며, 특정하게 한정되어 있지 않다. 이 반응은 용매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수행할 수가 있으며 보통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사용할 수 있는 용매류는 모두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용매류를 예시하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 수소류 ; 디클로로메탄, 디를로로에탄, 클로로포름, 4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 디에틸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에틸렌글리코올 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카르복실산 양에 대한 히드록시 유도체(1d)양의 비율은 광범위한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가 있으나, 일반으로 히드록시 유도체의 몰양에 대하여 카르복실산은 등몰 내지 5배몰의 비율로 하여 사용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무수 염화칼슘, 무수황산구리, 무수황산 칼슘, 5산화인등의 건조제를 사용하여 반응계에 생성되는 물을 제거 시킴으로서 목적하는 제품의 수율을 항상 시킬 수가 있다.
본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 온도는 특정하게 재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반으로 -20내지 200℃, 바람직 하게는 0내지 150℃의 온도 범위하에서 수행하며, 반응 시간은 출발물질의 종류와 반응 시간에 따라 좌우되나 통상 10분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한다.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류 중에서 산성기를 갖고 있는 화합물들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성 화합물들과 용이하게 염을 형성할 수가 있으며, 이든 염기성 화합물을 예시하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사화알루미늄등의 금속수산화물류와 나트륨 메틸 라아트, 칼륨 에틸 라아트 등의 알카리 금속 알콜레이트류를 열거할 수가 있다.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류 중에서 염기성기를 갖는 화합물 들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류와 용이하게 염을 형성할 수가 있으며, 이들 산류를 예시하면, 황산, 질산, 염산, 브롬화수소산등을 열거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류는 침전, 추출, 재결정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예비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 사용되는 분리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 및 정제를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류는 이들 단독의 형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공지의 담체와 함께 제제하여 동물 및 인간에게 투여할 수가 있다. 투여단위형에 대해서는 특정하게 제한되어 있지 않으며, 목적하는 모든형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투여 단위형으로서는 정제, 칼셀제, 과립제 및 약제등의 경구 투여형과 주사제등의 비경구 투여형이 있다.
유효성분의 투여 용량에 대해서는 특정하게 한정되어 있지 않고, 넓은 범위로 사용할 수 있으나 체중 1kg에 대하여 1일 0.06내지 10mg의 범위의 용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투여형의 각 단위 용량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함량은 1내지 500mg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류는 상법에 의해 정제, 캅셀제, 액제등의 목적하는 경구 제제로 제조할 수 있다. 정제의 제조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을 젤라틴, 전분, 락토오스,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활석, 아라비아 고무등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혼합하여 정제로 성형한다. 캅셀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첨가제나 희석제와 혼합시키고, 이 혼합물을 강질 젤라틴 캅셀이나 연질캅셀중에 충전시켜 캅셀제를 얻을 수가 있다. 시럽제나 또는 엘릭시르제는 본발에 따른 화합물을 수크로오스와 같은 감미제, 메틸 또는 에틸파라벤등의 방부제, 착색제, 조미료 및(또는) 기타 적당한 첨가제와 함께 혼합시켜 제조할 수가 있다.
비경구 제제를 상법에 의해 또한 얻을 수가 있는데, 이 경우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멸균시킨 액상의 부형제중에 용해시킨다. 부형제로서는 물이나 식염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투명성, 안정성 및 비경구용 적합성 등을 갖는 액상제제는 물과 유기용매에 모두 가용이며 분자량이 200내지 5000인 폴리에틸렌 글리코올 용액 중에 유효 성분을 1내지 500mg정도 용해 시킴으로서 얻을 수가 있다. 이 액상 제제에는 나트륨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등의 윤활제가 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액상 제제에는 벤질알콜, 페놀 또는 티메로살 등의 살균제와 살진균제, 필요에 따라서는 수크로오스나 염화나트륨 등의 등장제, 국소 마취제, 안정제, 완충제 등을 배합시켜도 좋다. 또 안정성을 부여 하기 위하여 비경구 제제에는 첨가후 공지의 동결 건조 기술에 의해 동결 탈수 시킬 수가 있으며, 또 이 동결 건조된 분말은 사용하기 전 통상이 용도형으로 할 수가 있다.
정제의 제제
하기의 처방으로부터 6-{4-[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을 모두 5mg씩 함유하는 경구용 정제 1000정을 제제하였다.
성분 함 량(g)
6-{4-[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 5
노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락토오스(J.P.=Japanese Pharmacopoeia) 50
옥수수 전분(J.P.) 25
결정셀룰로오스(J.P.) 25
메틸셀룰로오스(J.P.) 1.5
스테아린산마그네슘(J.P.) 1
전술한 6-{4-[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락토오스, 옥수수 전분 및 결정셀룰로오스를 잘 혼합하고, 여기에 메틸셀룰로오스 5% 수용액을 첨가시킨 다음 과립화 하였다. 얻어진 과립제를 200메시체를 통과시킨 다음 잘 건조시켰다. 200메시체를 통과한 건조된 과립제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배합시킨 후 압착하여 정제로 제제하였다.
정제의 제제
같은 방법으로 하여 하기의 처방으로부터 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을 모두 5mg씩 함유하는 경구용 1000정을 제제하였다.
성분 함 량(g)
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 5
노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락토오스(J.P.) 50
옥수수 전분(J.P.) 25
결정셀룰로오스(J.P.) 25
메틸셀룰로오스(J.P.) 1.5
스테아린산마그네슘(J.P.) 1
캅셀의 제제
같은 방법으로 하여 하기의 처방으로부터 6-{4-[N-(2-히드록시에틸)-N-(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 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을 모두 10mg씩 함유하는 경구용의 강질 젤라틴 캅셀 두조각으로 조성되는 캅셀 1000개를 제제하였다.
성분 함 량(g)
6-{4-[N-(2-히드록시에틸)-N-(2-테트라히드 10
로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락토오스(J.P.) 80
전분(J.P.) 30
활석(J.P.) 5
스테아린산마그네슘(J.P.) 1
전술한 성분들은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충분히 혼합 및 교반을 행하여 균일한 혼합물로 한 후, 경구 투여용에 적합한 크기의 젤라틴 캅셀내에 충전시켰다.
캅셀의 제제
같은 방법으로 하여 하기의 처방으로부터 6-{3-(4-페닐-1-피페라지닐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을 모두 10mg씩 함유하는 경구용 강질 젤라틴 캅셀 2개로 구성된 캅셀제 1000개를 제제하였다.
성분 함 량(g)
6-{3-(4-페닐-1-피페라지닐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10
락토오스(J.P.) 80
전분(J.P.) 30
활석(J.P.) 5
스테아린산마그네슘(J.P.) 1
캅셀의 제제
같은 방법으로 하여 하기의 처방으로부터 6-{3-(N-메틸-N-(3-피리딜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을 모두 10mg씩 함유하는 경구용 강질 젤라틴 캅셀 2개로 구성된 캅셀제 1000개를 제제하였다.
성분 함 량(g)
6-{3-(N-메틸-N-(3-피리딜메틸)아미노 카르보닐] 10
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락토오스(J.P.) 80
전분(J.P.) 30
활석(J.P.) 5
스테아린산마그네슘(J.P.) 1
캅셀의 제제
같은 방법으로 하여 하기의 처방으로부터 6-{3-〔N-에틸-N-(2-피리딜)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 카르보스티릴을 모두 10mg씩 함유하는 경구용 강질 젤라틴 캅셀 2조각으로 구성된 캅셀제 1000개를 제제하였다.
성 분 함 량
6-{3-〔N-에틸-N-(2-피리딜)아미노 카르보닐〕 10
프로포시} 카르보스티릴
락토오스(J.P.) 80
전분(J.P.) 30
활석(J.P.) 5
스테아린산마그네슘(J.P.) 1
주사제의 제제
하기의 처방으로부터 비경구용에 적당한 멸균 수용액을 제제하였다.
성 분 함 량(g)
6-{3-〔N-(2-히드록시에틸)-N-시크로헥실아미노 1
카르보닐〕프로포시}카르보스티릴
폴리에틸렌글리코올(J.P.)(분자량 : 4,000) 0.3
염화 나트륨(J.P.) 0.9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 올레이트(J.P.) 0.4
메타중아황산 나트륨 0.1
메틸-p-히드록시벤조이트(J.P.) 0.18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J.P.) 0.02
주사제용 증류수 100ml
전술한 메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이트, 메타중아환산나트륨 및 염화나트륨과의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80℃의 증류수 50ml정도에 용해시켰다. 다음에 이 용액을 40℃로 냉각시킨 후 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폴리에틸렌글리코올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를 용해시켰다. 다음에 이 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최종의 규정용적치로 한 다음, 적당한 여과지를 사용하여 멸균여과에 의해 멸균 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환합물류의 대한 약리 시험의 결과를 하기에 기재하였다.
[약리 실험 1]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에 대하여 AG-II 응집 측정기(Bryston 제조회사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혈액시료로서 구연산 나트륨과 토끼로부터 체취한 혈액(1/9용적 비율)과의 혼합물을 본 시험용으로 사용 하였다. 이 시료를 10분간 원심분리(r.p.m. 1000) 행하여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PRP)을 얻었다. 이 PRP를 분리하다음, 혈액 시료의 잔부를 또 15분간 원심 분리(r.p.m. 3000)를 행하여 혈소판이 적은 혈장(PPP)을 얻었다.
PRP중의 혈소판수를 Brecher Clonkite방법에 의해 산출하고, 이 PRP에 PPP를 첨가하여 희석 시킴으로서 아데노신이 인산(ADP)-유도응집 시험용에 사용할 PRP시료(혈소판 농도 300,000/mm3)를 만들었다.
또 교원질-유도 응집 시험용에 사용할 PRP시료(혈소판 농도 45,000/mm3)를 만들었다. 소정농도의 시험 화합물 용액에 상기의 PRP시료 0.6ml를 첨가시키고 이 혼합물을 37℃의 항온기내에 1분간 넣은 다음, 이 혼합물에 ADP또는 교원질 용액 0.7ml를 첨가시켰다. 이 혼합물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투과율의 변화를 응집 측정기(교반기 속도 1,100 r.p.m.)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또는 교원질 용액의 제조에 Auren Beronal 완충액(pH 7.35)을 사용하였다. ADP용액의 농도를 7.5×10-5M로 조정하고, 교원질 100mg을 상기 완충제 5ml로 연화(硏和)하여 교원질 용액을 제조하고, 상층액을 교원질 유도체로서 사용하였다. ADP-유도 응집 시험과 교원질-유도 응집 시험의 조절제로서는 아세틸 살리실산을 사용하였다.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는 조절제 응집율에 대한 억제 백분율로서 측정하였다. 또 응집율은 하기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Figure kpo00031
여기에서, a : PRP의 투과율
b : 시험 화합물과 응집 유도체를 함유하는 PRP의 투과율
c : PPP의 투과율
토끼 혈소판의 교원질-유도 응집에 대한 시험화합 물류의 억제효과를 제1표에 기재하였으며, ADP-유도 응집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는 제2표에 기재하였다. 그리고 시험 화합물은 하기와 같다.
시험 화합물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Nos 1∼23)
번호
1. 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2 6-{3-〔N-에틸-N-(3-피리딜메틸)아미노 카르보닐 아미노〕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3. 6-{3-〔N-에틸-N-(2-피리딜)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4. 6-{3-〔N-메틸-N-(2-푸릴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5. 6-{3-〔N-메틸-N-(2-티에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6. 6-{3-〔N-메틸-N-(2-피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7. 6-{4-〔N-(2-히드록시부틸)-N-시클로헥실 메틸아미노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8. 6-{4-〔N-(4-히드록시부틸)-N-시클로헥실 메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9. 6-{4-〔N-(2-히드록시부틸)-N-시클로옥틸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카르보스티릴.
10. 6-{3-〔N-(2-벤조일옥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11. 6-{4-〔N-(2-히드록시에틸)-N-페닐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2. 6-{4-〔N-부틸-N-(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3. 6-{4-〔N-(2-히드록시에틸)-N-(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4. 6-{3-〔4-페닐-1-피페라지닐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15. 6-{3-〔4-벤질-1-피페라지닐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6. 6-{3-〔4-페닐-1-피페리딜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17. 6-{3-〔4-페닐-1-피페라지닐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8. 6-{3-〔4-시클로헥시-1-피페라지닐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9. 6-{3-〔N-(2-히드록시에틸)-N-(3-히드록시시클로헥시)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20. 6-{4-〔N-(2-히드록시에틸)-N-(β-3,4-디메톡시페네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카르보스티릴.
21. 6-{4-〔N-(3-아세틸옥시프로필)-N-(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틸)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2. 6-{4-〔N-(2-히드록시에틸)-N-벤조일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23. 6-{4-〔N-(2-메톡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카르보스티릴.
공지 화합물류(대조 화합물) Nos 24∼69
번 호
24. 6-{3-〔N-메틸-N-(2-메틸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25. 6-{3-〔N-메틸-N-(4-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26. 6-{3-〔N-메틸-N-(4-아세틸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27. 6-{3-〔N-메틸-N-(2-3',4'-디메톡시페실에)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28. 6-{3-(N-시클로헥실-N-벤질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29. 5-클로로-6-〔3-(N-메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30. 6-{3-〔N-시클로헥실-N-(2-클로로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31. 6-〔2-히드록시-3-(N-메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32. 6-〔3-(N-메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2-메틸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33. 8-히드록시-5-3〔3-(N-메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34. 6-{3-〔N-벤질-N-(2-3', 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35. 6,8-디클로로-5-〔3-(N-에틸아닐리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36. 6-〔3-(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37. 6-〔3-(N-알릴-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38. 6-〔3-(N-메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39. 6-〔3-(N-메틸-N-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40. 6-〔3-(N-메틸-N-시클로헥아닐리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41. 6-〔3-(N,N-디시클로헥실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42. 6-〔3-아닐리노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43. 6-〔3-(N-에틸아닐리노 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44. 7-〔3-(0,0-디틀로로아닐리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45. 6-〔4-(N-부틸-N-시클로헥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46. 5-〔3-(N-메틸-N-시클로헥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47. 6-〔3-(N,N-디페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48. 6-(1-에톡시카르보닐에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49. 6-(1-에톡시카르보닐에톡시)카르보스티릴.
50. 1-메틸-6-(1-에톡시카르보닐에톡시)-3,4-디히드카르보스티릴.
51. 7-(1-에톡시카르보닐에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52. 6-(3-에톡시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53. 6-(1-아밀옥시카르보닐에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54. 6-(1-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에톡시)카르보스티릴.
55. 5-(3-에톡시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56. 6-(3-아밀옥시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 카르보스티릴.
57. 6-(3-에톡시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58. 6-(6-에톡시카르보닐헥실옥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59. 6-(6-카르복시헥실옥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60. 8-(1-에톡시카르보닐에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61. 6-(1-메틸-1-카르복시에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62. 6-(3-카르복시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63. 6-(3-시클로헥시옥시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64. 6-(N-이소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에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65. 6-(모르폴리노카르보닐메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66. 5-(N,N-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67. 1-에틸-5-〔3-(N-벤질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68. 6-〔3-(N-프로필아미노 카르보닐)-2-메틸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69. 아스피린.
본 발명의 화합물류 Nos 70∼73
번 호
70. 6-{3-〔N-(4-히드록시부틸)-N-시클로헥실 메틸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71. 6-{4-〔N-(5-프로피오닐옥시펜틸)-N-시클로헥실메틸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72. 6-{4-〔N-(2-히드록시프로필)-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73. 5-{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 아미노 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제 1 표]
Figure kpo00032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4
[제 2 표]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6
Figure kpo00037
[약리시험 2]
시크릭 AMP포스포디에스테라제에 대한 억제 활성을 "Biochimi ca et Biophysica Acta" 제429권, 485내지 497페이지(1976년)및 "Biochemical Medicine", 제10권 301내지, 311페이지(1974년)에 서술된 활성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시클릭 AMP포스포디에스테라제에 대한 억제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pH 7.4인 트리스인산 50밀리몰 중에 MgCl21밀리몰을 첨가하여 얻어지는 용액 10ml를 상기의 토기 PRP를 또 10분 동안 원심분리(r.p.m. 3,000)하여 혈소판에 첨가시키고 현탁된 혈소판을 테프론 포터(potter)형 균질기에 의해 마쇄하였다. 다음에 동결용해를 2회 행하고, 200와트 초음파로 200초간 파쇄하였다. 또 60분간 원심분리(100,000G)를 행하여 얻어지는 상층액을 조(粗)효소 용액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체취하였다.
트리스 초산염 완충제(pH 6.0)로 미리 완충시킨 1.5×20cm EDAE-셀룰로오스 칼럼에 전술한 조(粗) 완충액 10ml을 첨가시킨 다음, 세척 및 50밀리몰의 트리스 초산염 완충제 30ml로 용출을 행하고, 이 완충 용액을 초산나트륨-트리스 초산염 완충제 0 내지 0.5몰로 선형구배용출(linear gradient elution)을 행하였다. (총 용출액 300ml). 이동 속도는 0.5ml/분 이었으며, 각 획분을 5ml씩 1회분으로 하여 모았다. 이 조작에 의해 시클릭 AMP 기질 농도(100μ몰)가 높고 2n몰/ml/min미만의 저활성을 갖는 획분이 얻어 졌으며, 또 시클릭 AMP기질 농도(0.4μ몰)가 낮고 100p몰/ml/min 이상의 고 활성을 갖는 획분도 얻어졌다. 이 획분을 시클릭 AMP포스포디에스테라제로서 사용하였다.
표에 기술한 농도를 각 시험 화합물의 수용액 0.1ml을 소정량의 1.0μ몰 시클리 AMP(트리튬시클리AMP)를 함유하는 트리스 인산 완충제(50μg의 암소혈청 알부민과 4밀리몰의 Mgcl2함유) 40밀리몰과 혼합시키고 이 혼합액 0.2ml를 기질 용액으로서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소정농도의 시클릭 AMP포스포디에스테라제 0.2ml를 상기의 기질 용액에 첨가시키고, 이 혼합물을 30℃에서 20분간 반응을수행함으로서 트리튬 시클리 AMP로부터 트리튬 5'-AMP를 얻었다.
반응계를 비등수 중에 2분동안 함침시켜 반응을 중지시킨 다음, 이 반응 용액을 빙수중 냉각시키고, 트리튬 5'-AMP를 트리튬 아데노신으로 전환 시키기 위하여 이 용액에 5'-누클레오티드 가수분해 효소로서 뱀독물 0.05ml(1mg/ml)을 첨가시켜 30℃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 전량을 다음에 양이온 교환수지(AG 500W×4,200-400메시, 칼럼크기 : 0.5×1.5cm Bio-Rad Co제품)에 첨가시키고 얻어지는 트리튬 아데노신만을 합한 다음 6ml의 증류수로 세척하고 3N-암모니아수 1.5ml로 용출시켰다. 이 용출액 전량에 트리톤-톨루엔형 섬광제 10ml를 첨가시켜 생성된 트리튬 아데노신을 액상 섬광 계수기에 의해 측정하여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활성을 측정 하였다.
이와같이 하여 각각의 농도를 갖는 시험화합물류에 대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활성치(Vs)을 측정하고,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율(%)을 하기 식으로 나타낸 상기의 활성치(Vs)와 대조치(Vc)(시험화합물을 전혀 함유하지 않은 물로부터 얻음)로부터 산출하였다.
Figure kpo00038
대조물질로서는 공지의 1-메틸-3-이소부틸크산틴을 사용하였으며, 이들 결과를 하기 제3표에 기재하였다.
[제 3 표]
Figure kpo00039
[약리시험 3]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에 대한 수축력 증가효과 시험을 M. Hendoh씨 및 K. Hashimoto씨의 "미합중국 생리학회지" 제218권, No. 5. 1970년 5월 1459내지 1463페이지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하기와 같이 행하였다.
무게가 8내지 12kg인 잡종의 암수 어미 두마리개에 pentabaribital-Na를 30mg/kg의 율로 정맥에 주사하여 마취시켰다. 또 나트륨 해파린을 1000μ/μg의 율로 정맥내 주사한 결과, 이 시험 동물은 방혈 하면서 사망하였다. 이 개의 심장을 절제하여 Locke용액중에 투입시킨 다음, 동맥 유두근을 심실중격(心室中隔)과 함께 절제하였다. 격벽 동맥을 주의깊게 분리하여 폴리에틸렌캐뉼러로 삽입하고 실로서 잡아매었다. 동맥유두근 이외에 연결된 격벽 동맥을 실로 동여매었다. 다음에 혈액제공자(donor)잡종의 어미개(체중 18재지 27kg)를 pentabarbital-Na (30mg/kg, 정맥내주사)로 마취시키고, 도 나트륨 해파린(000μ/μg)으로 정맥투여 처리하였다. 동맥유두근의 폴리에틸렌 캐뉼러가 삽입된 격벽 동맥을 통하여 peristaric 펌프에 의해 혈액 제공자 개의 목동맥의 혈액을 관류시켰다. 관류압을 100mmHg로 항상 유지시킨 다음, 이 근육을 심실중격과 접촉된 쌍극 전극판을 통하여 전자 자극기에 의해 전기 자극시켰다. 자극의 강도 2X(작용 나타는 최소치), 진동수 2Hz, 맥박시간 2msec이었다.
발생된 정적 수축을 힘-변위 트랜듀서(tranducer)에 의해 측정하였다. 관상동맥내의 혈액유량은 전자 유량기에 의해 격벽동맥으로 흐르는 혈액약을 측정하여 정하였다. 모든 데이터가 잉크 기록게 상에 기록되었다. 시험할 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폴리에틸렌캐뉼러의 요부 근처에 결합된 고무 튜우브를 통하여 10내지 30μl의 양으로 격벽 동맥내에 주사하였다.
얻어지는 결과치를 제4표에 있어서 수축의 증가(%)는 시험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의 투여 전후에 있어서의 수축 비율로 나타내었다.
[제 4 표]
Figure kpo00040
[약리시험 4]
뇌혈류의 증가 효과에 대하여 외과 연구지 제8권 제10호 475내지 481페이지(1968)에 서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즉 잡종개(수컷체중 12내지 20kg)의 복위를 고정시키고 펜토바비탈나트륨 20ml/kg으로 마취시켜 호흡횟수를 20회/분으로 유지시켰다. 다음에 두개골을 떼어내고 마쇄기를 사용하여 표면뼈를 제거함으로서 정맥등을 노출시킨 다음, 정맥혈액을 캐뉼러가 삽입된 정맥으로부터 채취하였다. 정맥혈류량를 전자식 혈류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다음, 10초 마다 혈액의 적수(滴數)를 측정함으로서 적수계(滴數計)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뇌혈류의 증가 효과에 대해서는 시험화합물의 투여 전후에 있어서 30초 동안의 최고의 적하수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각 시험 화합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 용해시키고 생리식염 용액을 첨가시켜 희석시킨 다음 깊이 들어 있는 대퇴부 정맥 내에 삽입된 캐뉼러를 통하여 투입하였다.
대조 화합물로서 파파베린을 사용하고 그 결과를 하기 제5표에 기재하였다.
[제 5 표]
Figure kpo00041
[약리시험 5]
시험 동물의 최고 혈압을 Tail-cuff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화합물류의 저혈압 효과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시험동물로서는 하기의 두가지 종을 사용하였다.
1) Gold blatt형 콩팥 고혈압 쥐
체중 160내지 180의 Wistar계 수컷쥐를 에테르와 마취시키고, 좌측 콩팥 동맥을 내경 0.2mm인 은크립으로 끼움과 동시에 우측 콩팥 동맥은 어떠한 조작도 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였다. 조작 4주후에 150mmHg이상의 최고혈압을 갖는 쥐들을 시험 동물로 채취하여 24시간 동안 음식을 단식시켰다.
2) 디옥시코르티코스테론 아세테이트(DOCA)/염류고혈압쥐(DHR)
체중 150내지 170g의 Wistar 수컷쥐를 에테르로 마취시키고 좌측 콩팥을 적출시켰다. 조작 1주후에 DOCA를 1주에 1회 10mg/kg으로 피하주사하고, 1% NaCl수용액을 음료수로 투여하였다. 조작 5주후에 150mmHg이상의 최고 혈압을 갖는 쥐들을 시험동물로 채취하여 24시간 동안 음식을 단식 시켰다.
각 시험화합물들을 경구 투여하고 투여전과 투여 1,2,4,6및 8시간후에 있어서의 혈압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6표에 기재하였다. 혈압을 레코오더(Rectihoria형 8 S. San-ei 기기)및 Electrosthygmomanometer PE-300 (Macro Bio systerms, Houston, Tex)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제 6 표]
Figure kpo00042
* 표시는 ±표준편차를 의미한다.
Figure kpo00043
** 표시는 투여전 측정치에서 투여후 각시간 마다의 측정치를 뺀차이(±표준편차)를 의미한다.
[약리시험 6]
생쥐에 시험 화합물 들을 경구 투여하고, 화합물들의 LD50(mg/kg)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제7표에 기재한다.
[제 7 표]
Figure kpo00044
[약리시험 7]
심박수의 증가효과시험 :
체중 180내지 230g인 Wistar계 수컷 생쥐를 24시간동안 음식을 단식시키고 제2유도기에서 유도된 심전도(心電圖)르 ㄹ오실로그래프상에 기록하였다. 매 10초마다 심장선을 ㄹ관찰하여 이들 심장선(cardiograms)으로부터 심박수를 산출하였다. 쥐들이 진정상태로 되어 심박수가 일정치를 나타낸 후, 각 시험 화합물들을 현탁제로서 5ml/kg양의 아라비아 고무를 첨가시킨 현탁액 형으로 30mg/kg을 경구투여 하였다. 투여 60분후에 심박수를 측정하고, 심박수의 증가 효과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제8표에 기재한다. 일반으로 보통게 수컷 생쥐의 평균 심박수는 약 320맥박/분이었다.
[제 8 표]
Figure kpo00045
[약리시험 8]
토끼혈액의 혈소판응집 억제 효과에 대한 약리시험 1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토기 혈액 대신 인간 혁액을 사용하여 시험화합물의 IC50(50% 억제농도)를 결정한다. 결과는 하기 제9표에 나타낸다.
[제 9 표]
Figure kpo00046
Figure kpo00047
[약리시험 9]
10∼18kg 체중의 성숙한 바스타드개를 정맥내 투여에 의해 30mg/kg 비율의 펜토바비탈 -Na으로 마취시키고, 개를 등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개를 호흡기를 사요하여 18회/분의 속도로 한번에 20ml/kg 부피의 조건하에 호흡시킨다.
좌측 보통 경동맥에 삽입된 캐뉼라로부터 압력변환기(모델 : MPU-05, 산-에이 측정기구사제)에 의해 개의 혈압을 측정하고, 혈압맥박 장기심박계모델 : T-149, 데이타 그래프사제)에 이해 심장박동을 측정한다
우측정맥 대퇴에 삽입된 캐뉼라를 통해 시험화합물 용액을 투여한다. 시험동안, 개를 계속 마취시키기 위해 펜토바비탈 -Na를 4mg/kg시의 속도로 투여하고 또한 혈애그이 응고를 막기위해 소듐 헤파린을 100단위/kg/시의속도로 투여한다. 상기의 두 투여는 복재정맥을 통해 정맥내 점적 주입에 의해 수행한다.
시험 화합물은 디테틸포름아미드 용액의 형태로 투여한다. 용액의 농도는 용매의 투여량이 0.5ml이하가 되도록 조절한다. 파파베린 히드로클로라이드(다이니뽕 세이야꾸 가부시끼 가이샤)를 사용하며, 이를 0.9% 생리식염수로 희석한다. 보조 주사제로 3ml의 0.9%생리식염수를 추가로 투여한다. 결과는 하기 제10표에 나타낸다.
[제 10 표]
Figure kpo00048
Figure kpo00049
[약리시험 10]
체중이 20∼280g인 위스타르게 숫컷쥐를 18∼24시간 동안 절식시킨다. 잉크레코더에 의해 기록된 심전도를 10초 간격으로 3∼6회 관찰하여 쥐의 심장박동을 계산한다.
심장 박동이 20박동/분을 넘지 않는 일정한 값을 나나탠 후, 시험화합물을 아라비아고무 용액의 현탁액형으로 경구투여(5ml/kg)한다. 투여후 30분 되었을때 심장박동을 측정하고, 심장박동의 증가효과를 계산한다. 수득된 결과는 하기 제11표에 나타낸다.
[제 11표]
Figure kpo00050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화합물의 제법은 참고 실시예에 나타내며, 목적 화합물의 제법은 실시예에 나타낸다.
[참고 실시예 1]
100g의 시클로헥실아민에 41g의 염화에틸렌을첨가시키고 혼합물을 160℃정도에서 10시간 교반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후, 100ml의 10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시키고 유기층을 분액깔때기를 사용하여 얻고 얻어진 유기층은 수산화나트륨으로 탈수 시킨다.
수산화나트륨은 여거시키고 모액은 감압하에 증류시킨다. 48g의, N-(2-히드록시에틸) 시클로헥실-아민 유상물질로 얻어진다. 비점 : 132∼135℃(18mmHg)
참고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참고 실시예 2∼19인 하기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51
Figure kpo00052
[참고실시예 20]
10ml의 디에틸에테르에 19g의 γ-브로모크로토닐클로라이드를 0∼10℃에서 교반하면에 첨가시키고 25g의 N-(2-히드록시에틸)시클로헥실아민을 한방울씩 첨가시킨다.
첨가시킨 후, 반응혼합물을 같은 온도에서 3시간 교반시킨다. 반응혼합물은 에테르로 추출시키고 에테르추출물은 2N-염산, 염화나트륨으로 포화된 묽은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물의 순서로 세척시킨다.
유기층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키고 용매는 증류로 제거시킨다.
17.5g의 N-시클로헥실-N-(2-히드록시에틸)-γ-브로모크로톤아미드가 유상물질로 얻어진다. 이 물질의 화학구조는 NMR스펙트럼 및 원소분석의 자료에 의해 동정(同定)되었다.
[참고실시예 21]
200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50ml의 물에 16g의 6-히드록시카르보스티릴 및 17g의 탄산칼륨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첨가시키고, 31g의 N-시클로헥실-N-(2-히드록시에틸)-γ-브로모크로톤아미드를 한방울씩 첨가시킨다.
첨가시킨 후, 반응혼합물을 3시간 교반시키고 농축시킨다.이와 같이 얻어진 잔류물에 500ml 의 클로로포름을 첨가 시키고 물, 묽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물로 세척시킨다. 유기층은 농축시킨다.
이와같이 얻어진 잔류물은 메탄올-물로부터 재결정하여 무색침상결정형태의 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2-프로페닐옥시}-카르보스티릴 27g을 얻었다.
이 물질의 화학구조는 NMR스펙트럼 및 원소분석의 자료에 의해 동정되었다.
[실시예 1]
5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1.73g의 히드록시카르보스티릴, 1.8g의 탄산칼륨 및 0.5g의 요오드화칼륨을 첨가시킨다.
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60∼70℃로 가열한 후, 3.2g의 N-(2-히드록시에틸)-N-(4-클로로부티릴)-시클로헥실아민을 한방울씩 점차적으로 첨가시킨다. 첨가시킨 후에 반응혼합물을 같은 온도로 4시간 더 교반시킨다.
용매를 증류로 제거시키고 얻어진 잔류물은 200ml 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클로로포름층은 증류염산, 1%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물의 순서로 세척시킨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다.
탈수제는 여과시키고 모액을 농축시킨 후 얻어진 잔류물은 석유에테르로 결정으로 만든다.
이와같이 얻어진 결정은 클로로포름-석유에테르로부터 재결정하여 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0.5g을 얻었다. 융점 : 165∼166℃
실시에 1에서 기술한 유산한 방법으로 실시예 2∼39에서 하기와 같은 화합물을 얻는다.
Figure kpo00053
Figure kpo00054
Figure kpo00055
[실시예 40]
5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1.9g의 1-벤질-6-히드록시-3,4-디히드록시카르보스티릴, 1.8g의 탄산칼륨 및 0.5g의 요오드화칼륨을 첨가시킨다.
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60∼70℃로 가열한 후, 3.4g의 N-에틸-N-(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틸)-5-클로로펜타닉산아미드를 한방울씩 점차적으로 첨가시킨다.
첨가시킨 후에 반응혼합물을 같은 온도로 4시간 더 교반시킨다.
용매를 증류로 제거시키고 얻어진 잔류물은 200ml 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클로로포름층은 증류염산, 1% 수산화나트륨 및 물의 순서로 세척시킨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다. 탈수제는 여과시키고, 모액은 농축시킨 후 이와같이 얻어진 잔류물은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다[사용된 용매는 클로로포름 : 메탄올 =20 : 1 (부피/부피)의 혼합물이다]. 0.6g의 1-벤질-6-{4-[N-(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틸)-N-에틸아미노-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이 무색시럽상 물질의 형태로 얻어진다.
IR흡수 스펙트럼 : νcm-1(neat) : 1620,1690
원소분석 :
계산치 : C ; 75.29, H ; 8.23, N ; 6.06
실측치 : C ; 75.41, H ; 8.32, N ; 6.21
[실시예 41]
50ml디메틸포름아미드에 1.6g의 6-히드록시-3,4-디히드록시카르보스티릴, 1.4g의 탄산칼륨 및 0.5g의 요오드화칼륨을 첨가시킨다. 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60∼70℃로 가열한 후, 3.6g의 N-(3-히드록시프로필)-N-(5-클로로발레릴)-N-시클로헥실메틸아민을 한방울씩 점차적으로 첨가시킨다.
첨가시킨 후에 반응혼합물을 같은 온도로 5시간 더 교반시킨다. 용매는 여과 시키고, 얻어진 잔류물은 100ml 의 클로로포름을 추출시키고, 클로로포름층은 1% 수산화나트륨수용액, 묽은 염산 및 물의 순서로 세척시킨 후, 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다.
탈수제는 여과시키고 모액은 농축시킨 후 이와 같이 얻어진 잔류물은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다[사용되는 용매는 클로로포름 : 메탄올 =40 : 1 (부피/부피)의 혼합물이다]. 용출액은 농축시키고 이와같이 얻어진 잔류물은 초산에틸 석유에테르로부터 재결정하여 무수침상결정의 형태를 지닌 6-{4-[N-시클로헥실메틸-N-(3-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1.1g을 얻었다. 융점 : 95∼97℃
실시에 41에서 기술한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42∼62에서 하기와 같은 화합물을 얻는다.
Figure kpo00056
Figure kpo00057
IR흡수스펙트럼 : νcm-1(neat) : 1620,1670
원소분석 %:
계산치 : C ; 73.26, H ; 9.56, N ; 6.33
실측치 : C ; 73.42, H ; 9.41, N ; 6.21
[실시예 63]
100ml 이소프로판올에 2.0g의 1-아릴-6-히드록시-3,4-디히드록시카르보스티릴 및 1.8ml의 DBU를 첨가시킨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환류시키고 4.2g의 4-시클로헥실-1-γ-브로모부틸피페라진을 첨가시킨다. 첨가시킨 후 반응혼합물을 8시간 더 교반하면서 환류시킨 후, 농축시킨다.
이와 같이 얻어진 잔류물은 클로로포름으로 추출시키고 클로로포름층은 1N-수산화나트륨수용액 및 물로 세척시킨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다. 탈수제는 여과시키고 모액은 농축시킨다. 이와같이 얻어진 잔류물은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다[사용된 용매는 클로로포름 : 메탄올 =20 : 1 (부피/부피)의 혼합물이다].
3.5g의1-아릴-6-[3-(4-시클로헥실-피페라지닐-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이 무색시럽물질의 형태로 얻어진다.
IR흡수스펙트럼 : νcm-1(neat) : 1645,1680
원소분석 (%) :
계산치 : C ; 71.04, H ; 8.48, N ; 9.56
실측치 : C ; 71.95, H ; 8.61, N ; 9.72
[실시예 64]
100ml의 이소프로판올에 1.6g의 6-히드록시-3,4-디히드록시카르보스티릴 및 1.8ml의 DBU를 첨가시킨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환류시키고 4.2g의 4-시클로헥실-1-γ-브로모부틸피페라진을 첨가시킨다. 첨가시킨 후, 반응혼합물을 8시간 더 교반하면서 환류시킨다. 이와같이 얻어진 잔류물은 클로로포름으로 추출시키고 클로로포름층은 1N-수산화나트륨수용액 및 물로 세척시키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탈수시킨다. 탈수제는 여거시키고 모액은 농축시킨다.
이와같이 얻어진 잔류물은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다[사용된 용매는 클로로포름 : 메탄올 =20 : 1 (부피/부피)의 혼합물이다].
2.8g의 6-[3-(4-시클로헥실-1-피페라지닐카르보닐)프로폭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이 무색침상결정으로 얻어진다. 융점 : 133∼134℃
실시예 64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실시예 65∼70에서 하기와 같은 화합물을 얻는다.
Figure kpo00058
[실시예 71]
1.0g의 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카프보닐]-2-프로페닐옥시]}카르보스티릴을 50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5% 팔라듐-탄소 0.1g을 첨가시킨다. 혼합물을 5시간 대기압하 실온에서 촉매수소화시킨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촉매는 여거시키고 여액은 건조시키기 위하여 감압하에 증류에 의해 농축시킨다. 이와같이 얻어진 잔류물은 클로포름-석유에테르로부터 재결정 시킨다.
0.8g의6-{3-[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이 무색침상결정의 형태로 얻어진다. : 165∼166℃
실시예 71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실시예 72∼107에서 하기와 같은 화합물을 얻는다.
Figure kpo00059
Figure kpo00060
Figure kpo00061
[실시예 108]
100ml의 에탄올에 5g의 6-{4-[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메틸아미노카르보닐]-2-부텐일옥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 및 1g의 1% 팔라듐-탄소를 첨가시킨다. 혼합물을 5시간 실온 대기압하에서 촉매수소화시킨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촉매는 여거시키고 이액은 농축시킨다. 이와같이 얻어진 잔류물은 초산에틸-석유에테르로부터 재결정하여 무색판상결정의 형태의 6-{4-[N-(2-히드록시-에틸)-N-시클로헥실메틸아미노카르보닐]부톡시}-3,4-디히드로카르보스티릴을 4.2g을 얻었다. 융점 : 123∼125℃.
실시예 108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실시예 109∼127에서 하기와 같은 화합물을 얻는다.
Figure kpo00062
Figure kpo00063
[실시예 128]
1.0g의 6-[3-(4-페닐-1-피페라지닐)2-카르보닐프로페닐옥시]카르보스티릴을 50ml의 메탄올에 녹이고 0.1g 의 5% 팔라듐-탄소를 첨가시킨다.
혼합물을 5시간 실온 대기압하에서 수소촉매화시킨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촉매는 여거시키고 이액은 건조시키기 위하여 감압하에 증류로 농축시킨다. 이와같이 얻어진 잔류물은 클로로포름-석유에테르로부터 재결정하여 무색침상결정의 형태의 6-[3-(4-페닐-1-피페라지닐카르보닐)프로폭시]카르보스티릴 0.75g을 얻었다. 융점 : 202.5∼203.5℃
실시예 128에서 기술한 비슷한 방법으로 실시예 129∼134에서 하기와 같은 화합물을 얻는다.
Figure kpo00064

Claims (1)

  1. 하기일반식(8)의 히드록시카르보스티릴유도체를 염기성 화합물 존해하에 하기 일반식(9)의 알칸이미드 유도체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일반식(1)의 카르보스티릴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65
    식중, R1은 수소원자이고 ; R2는 수소원자이며 ; R3는 저글알킬기, 저급알콕시-저급알킬기, 히드록시-저급알킬기, 저급알카노일옥시저급알킬기 또는 벤조일옥시-저급알킬기이고 ; R4는 C∼10 -시클로알킬기, C3∼10 -시클로알킬저급알킬기, 페닐-저급알킬기, 피리딜기, 또는 치환제로 티에닐기, 푸릴기, 테트라히드로푸릴기,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 피리딜기 및 3,4-디히드로-3H-피라닐기의 군에서 선택된 기를 갖는 저급알킬기이며, R3,R4인접질소원자는 다른 질소원자와 함께 또는 다른 질소원자없이 다음 구조식
    Figure kpo00066
    (식중, B는 메틴기 또는 질소원자이고, R5는 페닐기,C3∼10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저급알킬기이다 )로 표시되는 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 제 3위와 4위 사이의 탄소-탄소 결합은 단일 또는 이중결합이고 ; 카르보스티릴골격에 있어서 구조식
    Figure kpo00067
    기의 치환위치는 제 5 또는 6위 중 어느 위치라도 좋으며 ; R3가 저급알킬기인 경우에, R4는 C3∼10 -시클로알킬기, 또는 C3∼10 -시클로알킬-저급알킬기 또는 페닐저급알킬기이어서는 안되며 ; R2"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히드록실기이고 ; 히드록실기의 치환위치는 카르보스티릴골격의 제 5,6,7 또는 8위중 어느위치라도 좋으며 히드록실기가 카르보스티릴골격의 제 5,6,7 또는 8위에 치환될때, R2"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 또 R2"가 히드록실기일때 카르보스티릴골격의 제 5,6,7 또는 8위는 수소원자이며, 히드록실기로 치환되지 않으며; X'는 할로겐원자, 알칸술포닐옥시기, 아릴술포닐옥시기 또는 아르알킬술포닐옥시기이다.
KR1019840002957A 1980-02-29 1984-05-29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60002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2957A KR860002100B1 (ko) 1980-02-29 1984-05-29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25658 1980-02-29
JP2565880A JPS56122356A (en) 1980-02-29 1980-02-29 Carbostyril derivative
KR1019800002229A KR860002099B1 (ko) 1980-02-29 1980-06-05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2957A KR860002100B1 (ko) 1980-02-29 1984-05-29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229A Division KR860002099B1 (ko) 1980-02-29 1980-06-05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681A KR840004681A (ko) 1984-10-22
KR860002100B1 true KR860002100B1 (ko) 1986-11-25

Family

ID=121719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229A KR860002099B1 (ko) 1980-02-29 1980-06-05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40002957A KR860002100B1 (ko) 1980-02-29 1984-05-29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229A KR860002099B1 (ko) 1980-02-29 1980-06-05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4435404A (ko)
JP (1) JPS56122356A (ko)
KR (2) KR860002099B1 (ko)
AT (1) AT381493B (ko)
AU (1) AU532319B2 (ko)
BE (1) BE883713A (ko)
CA (1) CA1159068A (ko)
CH (1) CH647765A5 (ko)
DE (1) DE3049959T1 (ko)
DK (1) DK151956C (ko)
ES (1) ES8105290A1 (ko)
FI (1) FI76321C (ko)
FR (1) FR2477149A1 (ko)
GB (1) GB2070588B (ko)
IT (1) IT1129812B (ko)
MX (1) MX6752E (ko)
NL (1) NL185146C (ko)
NO (1) NO160512C (ko)
PH (1) PH18532A (ko)
PT (1) PT71359B (ko)
SE (1) SE461147B (ko)
SU (2) SU1169535A3 (ko)
WO (1) WO1981002421A1 (ko)
ZA (1) ZA8033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0022C (fi) * 1982-07-05 1990-04-10 Otsuka Pharma Co Ltd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tt nytt, terapeutiskt anvaendbart karbostyrilderivat.
DE3434271A1 (de) * 1984-09-19 1986-03-20 Beiersdorf Ag, 2000 Hamburg Substituierte 3,4-dihydro-chinolin-2(1h)-o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sowi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zubereitungen
JP2753622B2 (ja) 1988-05-02 1998-05-20 大塚製薬株式会社 カルボスチリル誘導体
US5227381A (en) * 1988-05-02 1993-07-13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arbostyril derivative
KR930702307A (ko) * 1991-08-23 1993-09-08 오오쓰까 아끼히꼬 카르보스티릴 유도체 및 혈소판 응집 억제제
JP2686887B2 (ja) * 1992-08-11 1997-12-08 キッセイ薬品工業株式会社 ピペリジノ−3,4−ジヒドロカルボスチリル誘導体
US7208497B2 (en) 2001-07-02 2007-04-24 Novo Nordisk A/S Substituted piperazines and diazepanes
TWI481601B (zh) * 2009-08-21 2015-04-21 Otsuka Pharma Co Ltd 含氮化合物及藥學組成物
JP5649577B2 (ja) 2009-08-21 2015-01-07 大塚製薬株式会社 ベンゾ[b][1,4]ジアゼピン−2,4−ジオン化合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21522A (en) * 1963-05-10 1966-03-02 Ici Ltd 2-quinolone derivatives
DE1527937A1 (de) * 1966-12-10 1969-11-13 Blanc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ich konisch verjuengenden,einen nach aussen abgewinkelten flachen Rand aufweisenden Hohlteils sowie Ein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S48103590A (ko) * 1972-04-13 1973-12-25
JPS5082218A (ko) * 1973-11-10 1975-07-03
JPS5310988B2 (ko) * 1974-04-25 1978-04-18
JPS5318030B2 (ko) * 1974-05-20 1978-06-13
US4313947A (en) 1974-06-24 1982-02-02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latelet aggregation inhibiting 2-oxyindoles, their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US4070470A (en) 1974-06-24 1978-01-24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latelet aggregation inhibiting carbostyrils, their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US4081447A (en) * 1975-04-09 1978-03-28 Abbott Laboratories 5-[2-Hydroxy-3-(3,4-dimethoxy phenethylamino)]-propoxy-3,4-dihydro carbostyri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JPS5273879A (en) * 1975-12-18 1977-06-21 Otsuka Pharmaceut Co Ltd Synthesis of ester derivatives
JPS545981A (en) * 1977-06-10 1979-01-17 Otsuka Pharmaceut Co Ltd Carbostyryl derivatives
NZ187452A (en) * 1977-06-10 1980-05-27 Otsuka Pharma Co Ltd N- substituted-aminocarbonylpropoxy-carbostyrils and their pr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129812B (it) 1986-06-11
PT71359B (en) 1981-10-21
BE883713A (fr) 1980-12-09
DK151956B (da) 1988-01-18
PH18532A (en) 1985-08-09
KR840004681A (ko) 1984-10-22
FR2477149B1 (ko) 1983-06-24
US4435404A (en) 1984-03-06
AU5985980A (en) 1981-09-11
JPS56122356A (en) 1981-09-25
MX6752E (es) 1986-06-25
KR830002713A (ko) 1983-05-30
FI801843A (fi) 1981-08-30
NL8020199A (nl) 1981-12-01
ES492230A0 (es) 1981-05-16
WO1981002421A1 (en) 1981-09-03
GB2070588A (en) 1981-09-09
IT8067888A0 (it) 1980-06-06
NO160512C (no) 1989-04-26
NO160512B (no) 1989-01-16
DE3049959T1 (de) 1982-07-29
SE461147B (sv) 1990-01-15
CA1159068A (en) 1983-12-20
JPS6334845B2 (ko) 1988-07-12
DK151956C (da) 1988-08-15
PT71359A (en) 1980-07-01
SU1169535A3 (ru) 1985-07-23
FR2477149A1 (fr) 1981-09-04
GB2070588B (en) 1983-10-19
NL185146C (nl) 1990-02-01
NO813477L (no) 1981-10-15
DK250381A (da) 1981-09-03
SE8102690L (sv) 1981-08-30
CH647765A5 (de) 1985-02-15
SU1395140A3 (ru) 1988-05-07
FI76321B (fi) 1988-06-30
DE3049959C2 (ko) 1993-07-08
FI76321C (fi) 1988-10-10
AU532319B2 (en) 1983-09-22
ES8105290A1 (es) 1981-05-16
ATA909480A (de) 1986-03-15
NL185146B (nl) 1989-09-01
ZA803322B (en) 1982-01-27
KR860002099B1 (ko) 1986-11-25
AT381493B (de) 198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39761A (en) Tetrazolylalkoxycarbostyril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4980359A (en) Isoquinol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KR0164842B1 (ko) 신규 벤즈옥사진, 벤조티아진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US4564619A (en) Carbostyril derivative
KR860002100B1 (ko) 카르보스티릴 유도체의 제조방법
JPS6320235B2 (ko)
US4801598A (en) Dihydropyridine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agents
US4853392A (en) Fused 1,4-dihydropyridines as antiallergy and antiinflammatory agents
US5250547A (en) Benzopyran derivatives
CH645892A5 (de) Carbostyril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ntihistaminisch wirkende mittel.
CH642353A5 (de) 2-methyl-dihydropyridin-verbind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sie enthaltendes pharmazeutisches mittel.
JPH0135827B2 (ko)
EP0292305B1 (en) Novel thiazolidin-4-one derivatives and acid addition salts thereof
EP0398413A1 (en) "3,4-dehydropiperidine derivatives having psychotropic activity
US5905156A (en) Benzopyra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H0662567B2 (ja) ピリジンカルボキシイミダミド誘導体、その製造中間体、製造法および用途
GB2233974A (en) Dihydropyridine antiinflammatory agent
JPS6127370B2 (ko)
US5574049A (en) 2,2-dialkyl- and 2,2-dialkyl-3,4-dihydro-3-hydroxy-2H-1-benzopyrans
AT383594B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neuen carbostyrilderivaten und ihren salzen
WO1994012493A1 (en) 2,2-dialkyl- and 2,2-dialkyl-3,4-dihydro-3-hydroxy-2h-1-benzopyr ans, their use as pharmaceuticals
Khan et al. Antimalarials. 11. Synthesis of 3-and 5-aminoquinolines as potential antimalarials
KR970005907B1 (ko) 신규한 카르복시이미다미드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EP0680953A1 (en) 1-[Styryl]- and 1-[2'-(heteroaryl)-ethenyl]-isoquinoline derivatives, a process for preparing them as well as medicaments containing them and the use of them
CA2122494A1 (en) 2,2-dialkyl- and 2,2-dialkyl-3,4-dihydro-3-hydroxy-2h-1- benzopyr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