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252A -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252A
KR20220113252A KR1020210192628A KR20210192628A KR20220113252A KR 20220113252 A KR20220113252 A KR 20220113252A KR 1020210192628 A KR1020210192628 A KR 1020210192628A KR 20210192628 A KR20210192628 A KR 20210192628A KR 20220113252 A KR20220113252 A KR 20220113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point
head
thickness
vicin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루히로 미즈타니
다이스케 고노
마사히코 우에다
유키 나가노
사토루 하나미츠
나오요시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3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7Heads with special crown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7Heads iron-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2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reinforcing fibres, e.g. carbon, polyamide fibres
    • A63B2209/023Long, oriented fibres, e.g. wound filaments, woven fabrics, m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과제] 새로운 구조에 의해 반발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의 제공.
[해결 수단] 헤드 (4) 는, 개구 (b10) 를 갖는 바디 부재 (b1) 와, 타격 페이스 (10a) 를 갖고 또한 개구 (b10) 를 막고 있는 페이스 부재 (f1) 를 구비하고 있다. 페이스 부재 (f1) 가, 타격 페이스 (10a) 를 구성하는 페이스부 (10) 와, 페이스부 (10) 의 주연으로부터 백 측을 향해 연장되는 주연부 (32) 를 가지고 있다. 주연부 (32) 에 있어서, 페이스 부재 (f1) 가 바디 부재 (b1) 에 용접되어 있다. 주연부 (32) 와 바디 부재 (b1) 의 경계 위치에, 헤드 (4) 의 내면에서 융기하는 용접 비드 (wb) 가 형성되어 있다. 용접 비드 (wb) 의 페이스 측의 단점에 있어서의 두께 t11 이, 용접 비드 (wb) 의 바디 측의 단점에 있어서의 두께 t21 보다 크다. 주연부 (32) 의 길이 L1 은, 6 mm 이하이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헤드{GOLF CLUB HEAD}
본 개시는,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페이스 부재와 헤드 본체가 용접된 골프 클럽 헤드가 알려져 있다. 또, 페이스 부재가 컵 페이스 구조를 갖는 골프 클럽 헤드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0-191938호는, 주연부를 갖는 페이스 부재와 헤드 본체가 용접으로 접합된 골프 클럽 헤드를 개시한다. 이 헤드에서는, 상기 주연부가, 상기 헤드 본체의 개구의 단면 (端面) 과 접합되는 후육부와, 상기 후육부와 상기 페이스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후육부보다 얇은 박육부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0-191938호
보다 높은 반발 성능을 갖는 헤드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페이스 부재와 바디 부재가 접합된 헤드에 있어서, 반발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종래 구조에 있어서 굴곡되기 쉬운 부분의 강성을 높이고, 굴곡의 위치를 시프트시킴으로써, 반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개시의 목적의 하나는, 새로운 구조에 의해 반발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는, 골프 클럽 헤드는, 헤드 외면 및 헤드 내면을 갖고, 중공이다. 이 헤드는, 개구를 갖는 바디 부재와, 타격 페이스를 갖고, 상기 개구를 막고 있는 페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페이스 부재가, 상기 타격 페이스를 구성하는 페이스부와, 상기 페이스부의 외연으로부터 백 측을 향해 연장되는 주연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페이스 부재의 상기 주연부가 상기 바디 부재에 용접되어 있다. 상기 주연부와 상기 바디 부재의 경계 위치에, 상기 헤드 내면에서 융기하는 용접 비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접 비드의 페이스 측의 단점 (端點) 에 있어서의 두께가, 상기 용접 비드의 바디 측의 단점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크다. 상기 주연부의 길이가 6 mm 이하이다.
하나의 측면에서는, 새로운 구조에 의해 반발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가 제공된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헤드를 구비한 골프 클럽을 나타낸다.
도 2 의 (a) 는 제 1 실시형태의 헤드를 페이스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고, (b) 는 (a) 의 E1 선을 따른 단면 (斷面) 이다. (b) 에서는, 헤드 외면의 단면선만이 나타나 있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헤드를 크라운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의 헤드를 솔 측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의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페이스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8 은, 도 5 의 원 A 내의 확대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원 B 내의 확대도이다.
도 10 은, 기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적절히 도면이 참조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개시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에서는, 기준 상태, 기준 수직면, 토-힐 방향, 페이스-백 방향, 상하 방향, 페이스 센터, 종단면 및 곡률반경이 정의된다.
소정의 라이각으로 접지 평면 (HP) 상에 헤드가 재치된 상태가, 기준 상태가 된다. 도 10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기준 상태에서는, 접지 평면 (HP) 에 대해 수직인 평면 (VP) 에, 샤프트 축선 Z 가 포함되어 있다. 샤프트 축선 Z 는, 샤프트의 중심선이다. 샤프트 축선 Z 는, 호젤 구멍의 중심선이다. 상기 평면 (VP) 이, 기준 수직면이 된다. 소정의 라이각은, 예를 들어 제품 카탈로그에 게재되어 있다.
이 기준 상태에서는 페이스각이 0 도가 된다. 즉,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타격 페이스의 페이스 센터에 있어서의 접선이 토-힐 방향에 평행이 된다. 페이스 센터 및 토-힐 방향의 정의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본원에 있어서 토-힐 방향이란, 상기 기준 수직면 (VP) 과 상기 접지 평면 (HP) 의 교선 NL 의 방향이다 (도 10 참조). 토-힐 방향에 있어서의 토 측이, 간단히 「토 측」으로도 칭해진다. 토-힐 방향에 있어서의 힐 측이, 간단히 「힐 측」이라고도 칭해진다.
본원에 있어서 페이스-백 방향이란, 상기 토-힐 방향에 대해 수직이며 또한 상기 접지 평면 (HP) 에 대해 평행인 방향이다. 페이스-백 방향에 있어서의 페이스 측이, 간단히 「페이스 측」이라고도 칭해진다. 페이스-백 방향에 있어서의 백 측이, 간단히 「백 측」이라고도 칭해진다.
본원에 있어서 상하 방향이란, 상기 토-힐 방향에 대해 수직이며 또한 상기 페이스-백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다. 바꾸어 말하면, 본원에 있어서 상하 방향이란, 상기 접지 평면 (HP) 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다.
본원에 있어서, 페이스 센터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먼저, 상하 방향 및 토-힐 방향에 있어서, 타격 페이스의 대략 중앙 부근의 임의의 점 Pr 이 선택된다. 다음으로, 이 점 Pr 을 지나고, 당해 점 Pr 에 있어서의 타격 페이스의 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토-힐 방향에 평행인 평면이 결정된다. 이 평면과 타격 페이스의 교선을 긋고, 그 중점 Pa 가 결정된다. 다음으로, 이 중점 Pa 를 지나고, 당해 점 Pa 에 있어서의 타격 페이스의 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하 방향에 평행인 평면이 결정된다. 이 평면과 타격 페이스의 교점을 긋고, 그 중점 Py 가 결정된다. 다음으로, 이 중점 Py 를 지나고, 당해 점 Py 에 있어서의 타격 페이스의 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토-힐 방향에 평행인 평면이 결정된다. 이 평면과 타격 페이스의 교선을 긋고, 그 중점 Px 가 새로 결정된다. 다음으로, 이 새로운 중점 Px 를 지나고, 당해 점 Px 에 있어서의 타격 페이스의 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하 방향에 평행인 평면이 결정된다. 이 평면과 타격 페이스의 교선을 긋고, 그 중점 Py 가 새로 결정된다. 이 공정을 반복하여, Px 및 Py 가 순차 결정된다. 이 공정의 반복 중에서, 새로운 중점 Py 와 그 직전의 중점 Py 간의 거리가 처음으로 0.5 mm 이하가 되었을 때의 당해 새로운 위치 Py (마지막의 위치 Py) 가, 페이스 센터이다.
본원에 있어서 종단면이란, 토-힐 방향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 의한 단면이다. 종단면은, 페이스-백 방향에 대해 평행이다. 종단면은, 접지 평면 (HP) 에 대해 수직이다. 종단면에 있어서의 단면선이, 종단면선이라고도 칭해진다. 종단면은, 토-힐 방향의 각 위치에서 설정될 수 있다.
곡면의 곡률반경은, 종단면에 있어서 측정된다. 즉, 곡면의 곡률반경은, 종단면선에 있어서 측정된다. 종단면은, 토-힐 방향의 각 위치에 존재한다. 이들 종단면의 각각에서, 곡률반경이 측정된다.
이 곡률반경은, 종단면선 상의 각 점에 있어서 결정된다. 이 곡률반경의 결정에서는, 측정점과, 그 점의 양측에 각각 0.5 mm 떨어진 점의, 3 점이 특정된다. 이 3 점을 지나는 원의 반경이, 그 측정점의 곡률반경이라고 정의된다. 이 0.5 mm 는, 당해 단면선을 따른 경로 거리이다. 0.5 mm 는, 당해 측정점의 곡률반경을 평가하는 데에 충분한 정도로 미소하다. 또, 측정점으로부터 0.5 mm 떨어진 2 개의 점을 설정함으로써, 단면선의 미분 방정식을 풀지 않고, 자유곡선 상의 각 점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률반경은 점마다 결정한다. 본원에 있어서, 어느 영역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이 X mm 이상 Y mm 이하라는 규정은, 그 영역에 속하는 모든 점에 있어서 곡률반경이 X mm 이상 Y mm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는, 종단면에 있어서, 헤드의 내면 상의 점과 헤드의 외면 상의 점이 대응된다. 헤드의 외면 상의 점 A 는, 법선을 갖는다. 이 법선과 헤드의 내면의 교점이 점 B 가 될 때, 점 A 와 점 B 는 서로 대응하고 있다. 이 경우, 점 A 는 점 B 에 대응한다고 해도 되고, 점 B 는 점 A 에 대응한다고 해도 된다.
도 1 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의 헤드 (4) 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2) 의 전체도이다. 도 2(a) 는 헤드 (4) 의 정면도이고, 도 2(b) 는 도 2(a) 의 E1 선을 따른 단면이다. 도 2(b) 에서는, 헤드 (4) 의 외면의 단면선만이 나타나 있다. 도 3 은, 헤드 (4) 를 크라운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 는, 헤드 (4) 를 솔 측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도 5 는, 도 2(a)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페이스 센터 (Fc) 를 지나는 종단면이다. 도 6 은, 헤드 (4)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프 클럽 (2) 은, 골프 클럽 헤드 (4) 와, 샤프트 (6) 와, 그립 (8) 을 포함한다. 샤프트 (6) 는, 팁단 (Tp) 과 버트단 (Bt) 을 갖는다. 헤드 (4) 는, 샤프트 (6) 의 팁 단부 (端部) 에 장착되어 있다. 그립 (8) 은, 샤프트 (6) 의 버트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골프 클럽 (2) 은, 드라이버 (1 번 우드) 이다. 바람직하게는, 골프 클럽 (2) 은, 우드형 골프 클럽 또는 하이브리드형 골프 클럽이다.
샤프트 (6) 는, 관상체이다. 샤프트 (6) 는 중공 구조를 갖는다. 샤프트 (6) 의 재질은, 탄소 섬유 강화 수지이다. 경량화의 관점에서, 샤프트 (6) 의 재질로서, 탄소 섬유 강화 수지가 바람직하다. 샤프트 (6) 는, 이른바 카본 샤프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샤프트 (6) 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경화시켜 이루어진다. 이 프리프레그 시트에서는, 섬유는 실질적으로 일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섬유가 실질적으로 일방향으로 배향한 프리프레그는, UD 프리프레그라고도 칭해진다. 「UD」 란, 유니디렉션의 약칭이다. UD 프리프레그 이외의 프리프레그가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프리프레그 시트에 포함되는 섬유가 직조되어 있어도 된다. 샤프트 (6) 는, 금속선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샤프트 (6) 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금속이어도 된다.
그립 (8) 은, 스윙 중에 있어서 골퍼에 의해 쥐어지는 부분이다. 그립 (8) 의 재질로서, 고무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이 예시된다. 그립 (8) 의 상기 고무 조성물은, 기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5 가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4) 는 중공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 (4) 는, 우드형이다. 헤드 (4) 는, 하이브리드형이어도 된다. 헤드 (4) 는, 아이언형이어도 된다. 헤드 (4) 는, 퍼터형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헤드 (4) 는 우드형 또는 하이브리드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우드형이다. 헤드 (4) 의 바람직한 재질로서, 금속 및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예시된다. 이 금속으로서, 티탄 합금, 순티탄, 스테인리스강, 마레이징강 및 연철이 예시된다.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예시된다. 헤드 (4) 는, 금속 부분과 섬유 강화 플라스틱 부분을 갖는 복합 헤드여도 된다.
도 2(a) 내지 도 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4) 는, 페이스부 (10), 크라운부 (12), 솔부 (14) 및 호젤부 (16) 를 갖는다. 페이스부 (10) 는, 타격 페이스 (10a) 를 갖는다. 타격 페이스 (10a) 는, 페이스부 (10) 의 외면이다. 타격 페이스 (10a) 는, 간단히 페이스라고도 칭해진다. 타격 페이스 (10a) 는, 페이스 센터 (Fc) 를 갖는다. 페이스 센터 (Fc) 의 정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호젤부 (16) 는, 샤프트 구멍 (16a) 을 갖는다.
타격 페이스 (10a) 의 외연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4) 의 무게중심 (CG) 과 스위트 스폿 (SS) 을 잇는 직선 N1 을 포함하는 각 단면 (E1, E2, E3 …) 이 존재한다. 도 2(a) 의 정면에서 볼 때는, 직선 N1 은 점이다. 이들 각 단면 (E1) 등에 있어서, 헤드 외면의 단면선의 곡률반경 r 이 스위트 스폿 (SS) 측으로부터 타격 페이스 (10a) 의 외측을 향하여 처음으로 200 mm 가 되는 위치 Fe 가 결정된다. 이 위치 Fe 가, 타격 페이스 (10a) 의 외연으로서 정의된다. 또한, 스위트 스폿 (SS) 이란, 헤드 (4) 의 무게중심 (CG) 으로부터 타격 페이스 (10a) 로 내린 수선의 발이다.
도 5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스부 (10) 는, 페이스 외면 (10a) 과, 페이스 내면 (10b) 을 갖는다. 페이스 외면 (10a) 은, 타격 페이스이다. 페이스 내면 (10b) 은, 헤드 (4) 의 내부 공간 (중공부) 에 면하고 있다. 크라운부 (12) 는, 크라운 외면 (12a) 과 크라운 내면 (12b) 을 갖는다. 크라운 내면 (12b) 은, 헤드 (4) 의 내부 공간 (중공부) 에 면하고 있다. 솔부 (14) 는, 솔 외면 (14a) 과 솔 내면 (14b) 을 가지고 있다. 솔 내면 (14b) 은, 헤드 (4) 의 내부 공간 (중공부) 에 면하고 있다.
또한, 페이스 외면 (10a) 에는 스코어 라인 (홈) 이 형성되어 있지만, 본원의 각 도면에 있어서, 이 스코어 라인의 기재는 생략되어 있다.
중공의 헤드 (4) 는, 두께를 갖는다. 두께는, 헤드 (4) 의 내면과 헤드 (4) 의 외면 사이의 두께이다. 예를 들어, 페이스부 (10) 의 두께는, 타격 페이스 (10a) 와 페이스 내면 (10b) 사이의 두께이다. 예를 들어, 솔부 (14) 의 두께는, 솔 외면 (14a) 과 솔 내면 (14b) 사이의 두께이다. 두께는, 헤드 외면의 법선을 따라 측정된다. 이 법선의 방향은, 헤드 외면 상의 위치에 따라 상위하다.
도 3 이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라운부 (12) 는, 크라운 외면 (12a) 에, 크라운 볼록부 (20) 를 갖는다. 크라운 볼록부 (20) 는 중공이다. 즉, 크라운 볼록부 (20) 는, 크라운 외면 (12a) 에 있어서 볼록을 형성하고, 또한 크라운 내면에 있어서 오목을 형성하고 있다. 크라운 볼록부 (20) 는, 윤곽선 CL (20) 과, 상면 (22) 과, 측벽면 (24) 을 갖는다. 헤드 (4) 의 평면도 (도 3) 에 있어서, 크라운 볼록부 (20) 는, 대략 사각형 (대략 사다리꼴) 이다. 크라운 볼록부 (20) 는, 페이스 센터 (Fc) 보다 힐 측에 형성되어 있다.
페이스 외면 (10a) 은, 헤드 (4) 의 외측을 향해 볼록한 삼차원 곡면이다. 페이스 외면 (10a) 은, 벌지 및 롤을 갖는다.
구성 부재의 관점에서는, 헤드 (4) 는, 바디 부재 (b1) 와, 페이스 부재 (f1) 를 갖는다. 바디 부재 (b1) 는, 페이스 개구 (b10) 를 가지고 있다. 페이스 개구 (b10) 에, 페이스 부재 (f1) 가 배치되어 있다. 페이스 부재 (f1) 는, 타격 페이스 (10a) 의 전체를 갖는다. 페이스 부재 (f1) 는, 페이스 개구 (b10) 를 막고 있다. 페이스 부재 (f1) 는, 페이스 개구 (b10) 에 용접되어 있다. 페이스 부재 (f1) 는, 크라운부 (12) 의 일부를 갖는다. 페이스 부재 (f1) 는, 솔부 (14) 의 일부를 갖는다. 바디 부재 (b1) 는, 크라운부 (12) 의 일부를 갖는다. 바디 부재 (b1) 는, 솔부 (14) 의 일부를 갖는다. 바디 부재 (b1) 는, 호젤부 (16) 의 전체를 갖는다.
도 3 및 도 4 에 있어서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것은, 헤드 외면에 있어서의 페이스 부재 (f1) 와 바디 부재 (b1) 의 경계선 k1 이다.
바디 부재 (b1) 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고, 금속 및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예시된다. 이 금속으로서, 순티탄, 티탄 합금, 스테인리스강, 마레이징강,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텅스텐-니켈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금속이 예시된다.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예시된다. 바디 부재 (b1) 는, 그 전체가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바디 부재 (b1) 는 복수의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바디 부재 (b1) 는, 금속제의 부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의 부재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디 부재 (b1) 의 전체가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바디 부재 (b1) 의 제조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디 부재 (b1) 는, 주조 (로스트 왁스 정밀 주조) 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페이스 부재 (f1) 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고, 금속이 바람직하다. 단, 적어도 주연부 (32) (후술) 는, 바디 부재 (b1) 의 개구 (b10) 와 용접 가능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강도의 관점에서, 페이스 부재 (f1) 의 바람직한 재질로서, 티탄 합금 및 마레이징강을 들 수 있다. 페이스 부재 (f1) 의 제조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강도의 관점에서, 페이스 부재 (f1) 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제조되어도 된다. 이 판재로서, 압연재가 사용될 수 있다. 압연재는, 결함이 적고, 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압연재는, 두께의 정밀도가 높다. 압연재를 사용함으로써, 페이스부 (10) 의 두께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페이스 부재 (f1) 는, 예를 들어 단조에 의해 제조되어도 된다. 페이스 부재 (f1) 는, 주조에 의해 제조되어도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페이스 부재 (f1) 는 주연부의 길이가 작다. 이 때문에, 페이스 부재 (f1) 는, 프레스 가공 또는 단조에 의해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이스 부재 (f1) 는, 압연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페이스 부재 (f1) 의 제조 공정은, 판재 (압연재) 에 CNC 가공으로 두께를 가공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공정 후의 판재를 프레스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2 공정 후의 재료를 사용하여 CNC 가공으로 주연부를 정형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 2 공정에서는, 페이스부의 곡면 (벌지, 롤) 이 부여됨과 함께, 구부러진 주연부가 형성된다. 단, 페이스 부재 (f1) 의 주연부 (32) 와 같이, 주연부가 짧은 경우, 굽힘 가공이 어려워, 프레스만으로 주연부를 완전히 성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프레스 공정 후에, 주연부를 정형하는 제 3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3 공정의 정형으로서, 주연부의 길이를 정돈하는 것, 및/또는, 주연부의 외면 형상을 정돈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주연부의 길이를 정돈하는 데에, 레이저 커트가 이용될 수 있다. 주연부의 외면 형상을 정돈하는 데에, CNC 가공이 이용될 수 있다. 제 3 공정에서 주연부의 외면 형상을 정돈하는 경우, 제 1 공정에서는, 제 3 공정에서의 외면의 깎음량을 고려하여, 두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CNC 는,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의 약어이다.
도 7 은, 도 5 에 있어서의 페이스부 (10)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8 은, 도 5 의 원 A 내의 확대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4) 는, 페이스 부재 (f1) 를 갖는다. 페이스 부재 (f1) 는, 전체적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페이스 부재 (f1) 는 바디 부재 (b1) 에 용접되어 있다. 도 7 및 도 8 에 있어서 1 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은, 페이스 부재 (f1) 와 바디 부재 (b1) 의 경계면 k2 이다. 경계면 k2 는, 페이스 부재 (f1) 의 후단면 (後端面) 과, 바디 부재 (b1) 의 전단면 (前端面) 의 경계이다. 종단면에 있어서, 경계면 k2 는, 단면 경계선 k3 을 구성한다.
도 9 는, 도 8 의 원 B 내의 확대도이다. 단면 경계선 k3 은, 헤드 내면 측의 점 P1 과, 헤드 외면에 위치하는 점 P2 를 갖는다. 점 P1 은, 용접 비드 (wb) 에 덮여 있다. 단면 경계선 k3 은, 점 P1 과 점 P2 를 잇는 선분이다. 전술한 경계선 k1 은, 점 P2 의 집합이다.
페이스 부재 (f1) 는, 타격 페이스 (10a) 를 구성하는 페이스부 (10) 와, 페이스부 (10) 의 주연으로부터 백 측을 향해 연장되는 주연부 (32) 를 갖는다. 도 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연부 (32) 는, 호젤부 (16) 의 근방부를 제외하고, 페이스 부재 (f1) 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연부 (32) 의 길이는 짧다. 주연부 (32) 는, 솔 측 주연부 (34) 와, 크라운 측 주연부 (36) 를 포함한다. 솔 측 주연부 (34) 는, 페이스부 (10) 의 하연으로부터 백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크라운 측 주연부 (36) 는, 페이스부 (10) 의 상연으로부터 백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페이스 부재 (f1) 의 후단면은, 주연부 (32) 의 후단면이다.
용접부에는, 용접 비드 (wb) 가 형성되어 있다. 주연부 (32) 와 바디 부재 (b1) 의 경계 위치에, 용접 비드 (wb) 가 형성되어 있다. 용접 비드 (wb) 는, 헤드 (4) 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용접 비드 (wb) 는, 헤드의 내면에 있어서 융기되어 있다. 본원의 단면도에 있어서, 용접 비드 (wb) 는, 모식적으로 반원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용접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고, 레이저 용접, 아크 용접, 가스 용접 및 저항 용접이 예시된다. 용가재 (용접봉 등) 는, 사용되어도 되고,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이저 용접이 채용되고 있다. 용접 비드 (wb) 는, 모재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용가재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모재 및 용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가재는 사용되고 있지 않고, 용접 비드 (wb) 는 용융되어 응고한 모재 (바디 부재 (b1) 및 페이스 부재 (f1))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단면에 있어서, 타격 페이스 (10a) 의 단면선은, 중점 Pa 를 갖는다. 중점 Pa 는, 솔 측의 외연 (Fe) 과 크라운 측의 외연 (Fe) 사이에서 연장되는 단면선의 중점이다. 중점 Pa 는, 종단면마다 정해진다. 중점 Pa 는, 접선 Ta 를 갖는다. 접선 Ta 는, 타격 페이스 (10a) 의 단면선의, 중점 Pa 에 있어서의 접선이다. 페이스 내면 (10b) 은, 점 Pb 를 갖는다. 점 Pb 는, 점 Pa 에 대응하는 점이다. 즉, 점 Pb 는, 중점 Pa 에 있어서의 법선 D1 과 페이스 내면 (10b) 의 교점이다. 점 Pb 를 지나고 접선 Ta 에 평행한 직선 Tb 가 결정된다.
주연부 (32) 는, 페이스부 (10) 보다 백 측으로 돌출되는 후방 연장부 (38) 를 갖는다. 후방 연장부 (38) 는, 직선 Tb 보다 백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후방 연장부 (38) 는, 솔 측 후방 연장부 (40) 와, 크라운 측 후방 연장부 (42) 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9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연부 (32) 는, 길이 L1 을 갖는다. 주연부 (32) 의 길이 L1 은, 외연 (Fe) 부터 외면 경계점 P2 까지의 길이이다. 이 길이 L1 은, 페이스 법선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페이스 법선 방향은, 중점 Pa 에 있어서의 법선 D1 의 방향이다 (도 7 참조). 따라서 페이스 법선 방향은, 접선 Ta 에 수직이고, 직선 Tb 에도 수직이다. 도 9 에서는, 솔 측 주연부 (34) 의 길이 L11 이 나타나 있다. 도 7 에서는, 크라운 측 주연부 (36) 의 길이 L12 가 나타나 있다. 길이 L11 및 길이 L12 는, 길이 L1 의 예이다.
도 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 측 주연부 (34) 는, 페이스-백 방향 길이 L2 를 갖는다. 길이 L2 는, 솔 측의 외연 (Fe) 부터 솔 측의 외면 경계점 P2 까지의 길이이다. 크라운 측 주연부 (36) 는, 페이스-백 방향 길이 L3 을 갖는다. 길이 L3 은, 크라운 측의 외연 (Fe) 부터 크라운 측의 외면 경계점 P2 까지의 길이이다. 길이 L3 은 길이 L2 보다 크다. 본 개시에서는, 주연부 (32) 의 길이 L1 은, 페이스-백 방향 길이 L2, L3 이 아니고, 페이스 법선 방향의 길이로 정의하고 있다 (도 7, 도 9 의 양 화살표 L1 참조).
도 9 에 있어서 양 화살표 L4 로 나타내는 것은, 후방 연장부 (38) 의 길이이다. 후방 연장부 (38) 는, 길이 L4 를 갖는다. 길이 L4 는, 직선 Tb 부터 단점 P2 까지의 길이이다. 이 길이 L4 는, 페이스 법선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도 9 에서는, 솔 측 후방 연장부 (40) 의 길이 L41 이 나타나 있다. 도 7 에서는, 크라운 측 후방 연장부 (42) 의 길이 L42 가 나타나 있다. 길이 L41 및 길이 L42 는, 길이 L4 의 예이다.
페이스 부재 (f1) 와 바디 부재 (b1) 가 용접되면, 경계면 k2 는 불분명해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용접에 의해, 경계면 k2 의 근방은 일단 용융된 후에 고화한 용접부가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이 용접부의 종단면은, 부정형이고, 폭을 가지고 있다.
이 용접부에 의해, 경계면 k2 는 불분명해질 수 있다. 경계면 k2 가 불분명한 경우, 단면 경계선 k3 의 양 단점 P1, P2 는 불분명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점 P1 및 점 P2 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도 9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단면에 있어서, 용접 비드 (wb) 의 페이스 측의 단점 P3 과, 용접 비드 (wb) 의 바디 측의 단점 P5 가 결정된다. 또한, 점 P3 과 점 P5 를 잇는 선분의 중점이 결정된다. 이 중점이, 상기 점 P1 로 정의된다. 한편, 점 P2 는, 헤드 (4) 의 외면에 노출된 상기 용접부의 단면선의 중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점 P2 는, 곡선인 상기 단면선의 중점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들 점 P1 과 P2 를 잇는 선분이, 종단면에 있어서의 단면 경계선 k3 이 될 수 있다. 단면 경계선 K3 을 특정함으로써, 용접된 상태의 페이스 부재 (f1) 에 있어서, 그 치수 등이 특정될 수 있다. 또한 통상, 용접 비드는 헤드 (4) 의 외면에도 형성되지만, 이 외면의 용접 비드는 연마로 제거된다.
점 P1 은, 용접 비드 (wb) 의 중심점이며, 비드 중앙점이라고도 칭해진다. 점 P2 는, 외면 경계점이라고도 칭해진다.
종단면에 있어서, 헤드 (4) 의 외면에는, 점 P4 및 점 P6 이 정해진다 (도 9 참조). 점 P4 는, 용접 비드 (wb) 의 페이스 측의 단점 P3 에 대응하는 점이다. 점 P6 은, 용접 비드 (wb) 의 바디 측의 단점 P5 에 대응하는 점이다.
종단면에 있어서, 헤드 (4) 의 내면에는, 점 P7 이 정해진다 (도 8 참조). 점 P7 은, 타격 페이스 (10a) 의 외연 (Fe) 에 대응하는 점이다. 외연 (Fe) 과 점 P7 을 잇는 직선은, 페이스부 (10) 의 외연을 구성한다.
종단면에 있어서, 헤드 (4) 의 내면에는, 점 P9 가 정해진다 (도 8 참조). 점 P9 는, 비드 중앙점 P1 로부터 바디 부재 (b1) 측으로 6 mm 떨어진 점이다. 이 6 mm 는, 단면선을 따른 경로 거리이다. 즉, 6 mm 는, 점 P1 부터 점 P9 까지의 단면선의 길이이다. 종단면에 있어서, 헤드 (4) 의 외면에는, 점 P8 이 정해진다. 점 P8 은, 점 P9 에 대응하는 점이다.
도 8 은 솔 측 주연부 (34) 의 근방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크라운 측 주연부 (36) 의 근방에 있어서도, 점 P1 내지 P9 가 정의된다.
도 8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4) 는,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와,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를 갖는다.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는, 페이스 부재 (f1) 의 용접 근방부이다.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는, 타격 페이스 (10a) 의 외연 (Fe) 부터 용접 비드 (wb) 까지의 부분이다.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는, 바디 부재 (b1) 의 용접 근방부이다.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는, 비드 중앙점 P1 로부터 바디 측으로 6 mm 떨어진 지점부터 용접 비드 (wb) 까지의 부분이다. 솔 측에 있어서,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의 외면은, 솔 외면 (14a) 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의 내면 (50b) 은, 단점 P3 부터 점 P7 까지의 영역이다.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의 외면 (50a) 은, 점 P4 부터 외연 (Fe) 까지의 영역이다.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의 내면 (52b) 은, 단점 P5 부터 점 P9 까지의 영역이다.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의 외면 (52a) 은, 점 P6 부터 점 P8 까지의 영역이다.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의 외면은, 외면 경계점 P2 를 포함한다.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와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사이에는, 후육 접합부 (54) 가 형성되어 있다. 후육 접합부 (54) 의 외면은, 점 P4 부터 점 P6 까지의 영역이다. 후육 접합부 (54) 의 내면은, 용접 비드 (wb) 의 표면이다. 후육 접합부 (54) 에 의해,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와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가 연결되어 있다.
동일한 구조는, 크라운 측에도 형성되어 있다. 도 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단면에 있어서, 헤드 (4) 는, 그 크라운 측에,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와,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를 갖는다. 크라운 측의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의 외면은, 크라운 외면 (12a) 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와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사이에는, 후육 접합부 (54) 가 형성되어 있다.
도 9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의 두께 t1 은, 페이스부 (10)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얇게 되어 있다. 두께 t1 은, 페이스부 (10)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얇게 되어 있다. 두께 t1 은, 페이스부 (10)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단계적으로 얇게 되어 있어도 된다.
도 9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의 두께 t2 는, 페이스부 (10)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얇게 되어 있다. 두께 t2 는, 페이스부 (10)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얇게 되어 있다. 두께 t2 는, 페이스부 (10)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단계적으로 얇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두께에 관해서, 「단계적으로」란, 계단상의 형태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되는 취지이다. 즉, 두께가 일정한 부분과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부분이 단차 없이 연결되어 있는 구성은, 「단계적으로」의 개념에 포함된다.
두께 t1 은, 용접 비드 (wb) 의 페이스 측의 단점 P3 에 있어서의 두께 t11 을 포함한다. 두께 t11 은, 점 P3 과 점 P4 를 잇는 선분의 길이이다. 두께 t11 은, 용접 비드 (wb) 의 페이스 측의 단점 P3 에 있어서의 두께이다. 두께 t11 은, 두께 t1 의 최소값이다.
두께 t2 는, 용접 비드 (wb) 의 바디 측의 단점 P5 에 있어서의 두께 t21 을 포함한다. 두께 t21 은, 점 P5 와 점 P6 을 잇는 선분의 길이이다. 두께 t21 은, 용접 비드 (wb) 의 바디 측의 단점 P5 에 있어서의 두께이다. 두께 t21 은, 두께 t2 의 최대값이다.
용접 비드 (wb) 의 페이스 측의 단점 P3 에 있어서의 두께 t11 은, 용접 비드 (wb) 의 바디 측의 단점 P5 에 있어서의 두께 t21 보다 크다.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의 내면은, 매끄럽게 연속되는 곡면을 구성하고 있다.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의 내면은, 소정 범위의 곡률반경을 갖는다.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의 내면은, 매끄럽게 연속되는 곡면을 구성하고 있다.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의 내면은, 소정 범위의 곡률반경을 갖는다.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의 외면과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의 외면은, 후육 접합부 (54) 의 외면을 개재하여 연속되고 있다. 이들 외면은, 소정 범위의 곡률반경이고, 매끄럽게 연속되고 있다.
도 7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스부 (10) 는, 최대 두께 tmax 와 최소 두께 tmin 을 갖는다. 최대 두께 tmax 는, 페이스부 (10) 의 두께의 최대값이다. 최소 두께 tmin 은, 페이스부 (10) 의 두께의 최소값이다. 도 7 에 최대 두께 tmax 및 최소 두께 tmin 이 나타나 있지만, 실제로는, 페이스 센터 (Fc) 를 지나는 종단면에 최대 두께 tmax 및 최소 두께 tmin 이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이 헤드 (4) 는, 이하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페이스 부재 (f1) 는 컵상 페이스이며, 주연부 (32) 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페이스부 (10) 에 용접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용접부에서는, 용접 비드의 존재에서 기인하여 두께가 증대하고, 강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페이스부 (10) 에 용접부가 존재하면, 당해 용접부에서 기인하여 페이스부 (10) 의 휨이 억제될 수 있다. 페이스 부재 (f1) 에서는 페이스부 (10) 에 용접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페이스부 (10) 의 전체가 휘기 쉽다.
헤드 (4) 에서는, 주연부 (32) 의 길이 L1 이 6 mm 이하로 짧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페이스 부재 (f1) 와 바디 부재 (b1) 의 용접부가, 페이스부 (10) 와 크라운부 (12) 의 경계의 근방에 배치된다. 또, 페이스 부재 (f1) 와 바디 부재 (b1) 의 용접부가, 페이스부 (10) 와 솔부 (14) 의 경계의 근방에 배치된다. 이 용접부에는, 헤드 내면에서 융기하는 용접 비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 (페이스부와 크라운부 또는 솔부의 경계부) 의 근방의 강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페이스부 (10) 와 크라운부 (12) 의 경계, 및, 페이스 부재 (f1) 와 솔부 (14) 의 경계가, 굴곡되기 어려워진다. 이 결과, 임팩트 시에 있어서의 굴곡의 기점을, 바디 측 (백 측) 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용접 비드 (wb) 의 페이스 측의 단점 P3 에 있어서의 두께 t11 은, 용접 비드 (wb) 의 바디 측의 단점 P5 에 있어서의 두께 t21 보다 크다. 이 때문에, 페이스부 (10) 에 가까운 측에 있어서 강성이 높아지고, 임팩트에 있어서의 굴곡의 기점을 바디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굴곡의 기점을 바디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임팩트 시의 휨이, 페이스부 (10) 로부터 떨어진 바디 부재 (b1) 에 미친다. 이 때문에, 바디 부재 (b1) (크라운부 (12), 솔부 (14)) 가 변형됨으로써,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가 굴곡되는 경우와 비교해, 페이스부 (10) 전체의 변위량이 증대한다. 이 결과, 반발 성능이 높아진다. 이 효과가, 바디 휨 효과라고도 칭해진다.
바디 휨 효과의 관점에서, 주연부 (32) 의 길이 L1 은, 6.0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5.5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페이스부 (10) 의 변형은 억제되고,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는 굴곡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길이 L1 은, 2.5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2.7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솔 측에 있어서의 바디 휨 효과의 관점에서, 솔 측 주연부 (34) 의 길이 L11 은, 6.0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5.5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페이스부 (10) 의 변형은 억제되고,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는 굴곡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길이 L11 은, 2.5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2.7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크라운 측에 있어서의 바디 휨 효과의 관점에서, 크라운 측 주연부 (36) 의 길이 L12 는, 6.0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5.5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페이스부 (10) 의 변형은 억제되고,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는 굴곡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길이 L12 는, 2.5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2.7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페이스부 (10) 의 변형은 억제되고,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는 굴곡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주연부 (32) 의 길이 L1 은, 최소 두께 tmin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최대 두께 tmax 보다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솔 측에 있어서,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솔 측에 있어서의 페이스부 (10) 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솔 측 주연부 (34) 의 길이 L11 은, 페이스부 (10) 의 최소 두께 tmin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최대 두께 tmax 보다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크라운 측에 있어서,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크라운 측에 있어서의 페이스부 (10) 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크라운 측 주연부 (36) 의 길이 L12 는, 최소 두께 tmin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최대 두께 tmax 보다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디 휨 효과의 관점에서, 후방 연장부 (38) 이 길이 L4 는, 3.3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8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페이스부 (10) 의 변형은 억제되고,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는 굴곡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길이 L4 는, 0.5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7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9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솔 측에 있어서의 바디 휨 효과의 관점에서, 솔 측 후방 연장부 (40) 의 길이 L41 은, 3.3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8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페이스부 (10) 의 변형은 억제되고,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는 굴곡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길이 L41 은, 0.5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7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9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크라운 측에 있어서의 바디 휨 효과의 관점에서, 크라운 측 후방 연장부 (42) 의 길이 L42 는, 3.3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8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페이스부 (10) 의 변형은 억제되고,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는 굴곡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길이 L42 는, 0.5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7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9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디 휨 효과의 관점에서, 후방 연장부 (38) 의 길이 L4 는, 최대 두께 tmax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최소 두께 tmin 보다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페이스부 (10) 의 변형은 억제되고,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는 굴곡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후방 연장부 (38) 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 측에 있어서의 바디 휨 효과의 관점에서, 솔 측 후방 연장부 (40) 의 길이 L41 은, 최대 두께 tmax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최소 두께 tmin 보다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페이스부 (10) 의 변형은 억제되고,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는 굴곡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솔 측 후방 연장부 (40) 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라운 측에 있어서의 바디 휨 효과의 관점에서, 크라운 측 후방 연장부 (42) 의 길이 L42 는, 최대 두께 tmax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최소 두께 tmin 보다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페이스부 (10) 의 변형은 억제되고,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는 굴곡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크라운 측 후방 연장부 (42) 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4/L1 은, 후방 연장부 (38) 의 길이 L4 의, 주연부 (32) 의 길이 L1 에 대한 비이다. 바디 휨 효과의 관점에서, L4/L1 은, 0.55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4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페이스부 (10) 의 변형은 억제되고,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는 굴곡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L4/L1 은, 0.08 이상이 바람직하고, 0.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L41/L11 은, 솔 측 후방 연장부 (40) 의 길이 L41 의, 솔 측 주연부 (34) 의 길이 L11 에 대한 비이다. 솔 측에 있어서의 바디 휨 효과의 관점에서, L41/L11 은, 0.55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4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페이스부 (10) 의 변형은 억제되고,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는 굴곡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L41/L11 은, 0.08 이상이 바람직하고, 0.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L42/L12 는, 크라운 측 후방 연장부 (42) 의 길이 L42 의, 크라운 측 주연부 (36) 의 길이 L12 에 대한 비이다. 크라운 측에 있어서의 바디 휨 효과의 관점에서, L42/L12 는, 0.55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4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페이스부 (10) 의 변형은 억제되고,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는 굴곡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L42/L12 는, 0.08 이상이 바람직하고, 0.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의 두께 t1 은, 페이스부 (10)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얇게 되어 있다 (도 9 참조). 이 때문에, 임팩트 시의 굴곡의 기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백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두께 t1 은, 페이스부 (10)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얇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페이스부 (10)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얇게 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의 굴곡을 억제하고, 임팩트 시의 굴곡의 기점을 백 측으로 이동시키는 관점에서, 두께 t1 은, 1.2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1.3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4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페이스부 (10) 부터 바디 부재 (b1) 에 걸친 두께 분포를 적절하게 하고, 굴곡의 기점을 백 측으로 이동시키는 관점에서, 두께 t1 은, 2.0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1.8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6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 t1 은, 페이스부 (10) 의 최대 두께 tmax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페이스부 (10) 의 최소 두께 tmin 보다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의 두께 t2 는, 페이스부 (10)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얇게 되어 있다 (도 9 참조). 이 때문에, 임팩트 시의 굴곡의 기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바디 측 (백 측) 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두께 t2 는, 페이스부 (10)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얇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페이스부 (10)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속적으로 얇게 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의 굴곡을 억제하고, 임팩트 시의 굴곡의 기점을 백 측으로 이동시키는 관점에서, 두께 t2 는, 0.8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9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페이스부 (10) 부터 바디 부재 (b1) 에 걸친 두께 분포를 적절하게 하고, 굴곡의 기점을 백 측으로 이동시키는 관점에서, 두께 t2 는, 1.8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1.6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4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 t2 는, 페이스부 (10) 의 최대 두께 tmax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페이스부 (10) 의 최소 두께 tmin 보다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 t2 는, 용접 비드 (wb) 의 페이스 측의 단점에 있어서의 두께 t11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의 내면 (50b) 의 곡률반경을 크게 함으로써,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에서의 굴곡 변형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임팩트 시에 있어서의 굴곡의 기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바디 측 (백 측) 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 참조). 이 관점에서, 내면 (50b) 의 곡률반경은, 6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7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곡률반경이 과대하면, 타격 페이스 (10a) 의 외연 (Fe) 부터 솔부 (14) 까지의 종방향 폭이 과대해지고, 타격 페이스 (10a) 의 종방향 폭이 작아진다. 이 관점에서, 내면 (50b) 의 곡률반경은, 34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32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9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의 외면 (50a) 의 곡률반경을 크게 함으로써,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에서의 굴곡 변형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임팩트 시에 있어서의 굴곡의 기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바디 측 (백 측) 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 참조). 이 관점에서, 외면 (50a) 의 곡률반경은, 7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8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곡률반경이 과대하면, 타격 페이스 (10a) 의 외연 (Fe) 부터 솔부 (14) 까지의 종방향 폭이 과대해지고, 타격 페이스 (10a) 의 종방향 폭이 작아진다. 이 관점에서, 외면 (50a) 의 곡률반경은, 35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33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의 내면 (52b) 의 곡률반경을 크게 함으로써, 임팩트 시에 있어서의 굴곡의 기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바디 측 (백 측) 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 참조). 이 관점에서, 내면 (52b) 의 곡률반경은, 7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8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곡률반경이 과대하면,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부터 솔부 (14) 에 걸친 곡면 형상의 연속성이 손상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내면 (52b) 의 곡률반경은, 34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32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9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바디 측 용접 근방부 (52) 의 외면 (52a) 의 곡률반경을 크게 함으로써, 임팩트 시에 있어서의 굴곡의 기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바디 측 (백 측) 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 참조). 이 관점에서, 외면 (52a) 의 곡률반경은, 7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8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곡률반경이 과대하면,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0) 부터 솔부 (14) 에 걸친 곡면 형상의 연속성이 손상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외면 (52a) 의 곡률반경은, 35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33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기준 상태에 있어서 헤드 (4) 는 접지 평면 (HP) 에 재치된다. 페이스 센터 (Fc) 를 지나는 종단면에 있어서, 외면 경계점 P2 는, 접지 평면 (HP) 에 접하고 있지 않다 (도 7 참조). 페이스 센터 (Fc) 를 지나는 종단면에 있어서, 외면 경계점 P2 는, 접지 평면 (HP) 으로부터 떠 있다. 도 7 에 있어서 양 화살표 L5 로 나타내는 것은, 페이스 센터 (Fc) 를 지나는 종단면에 있어서의, 접지 평면 (HP) 과 외면 경계점 P2 의 거리이다. 이 거리는, 접지 평면 (HP) 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바디 휨 효과의 관점에서, 거리 L5 는, 1.2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1.4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6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접 비드 (wb) 가 페이스부 (10) 에 지나치게 가까우면, 페이스부 (10) 의 변형은 억제되고, 페이스부 (10) 의 경계부는 굴곡되기 쉬워진다. 이 관점에서, 거리 L5 는, 5.0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4.5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0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종단면은, 토-힐 방향의 각 위치에 있어서 설정된다. 상기 서술한 형상이 토-힐 방향으로 확장됨으로써, 바디 휨 효과가 높아진다. 상기 서술된 모든 구성은, 페이스 센터 (Fc) 를 지나는 종단면에서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페이스 센터 (Fc) 의 토 측 10 mm 부터 힐 측 10 mm 까지의 모든 종단면에서 충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페이스 센터 (Fc) 의 토 측 15 mm 부터 힐 측 15 mm 까지의 모든 종단면에서 충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페이스 센터 (Fc) 의 토 측 20 mm 부터 힐 측 20 mm 까지의 모든 종단면에서 충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볼과의 충돌에 의해 페이스부 (10) 에 부가된 힘을 크라운부 (12) 에 전달하여, 크라운부 (12) 를 변형시키는 관점에서, 페이스부 (10) 와 크라운부 (12) 가 이루는 각도는 직각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볼과의 충돌에 의해 페이스부 (10) 에 부가된 힘을 솔부 (14) 에 전달하여, 솔부 (14) 를 변형시키는 관점에서, 페이스부 (10) 와 솔부 (14) 가 이루는 각도는 직각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에서, 로프트각은 작은 편이 좋다. 리얼 로프트각은, 16 도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도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4 도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적정한 타출 각도의 관점에서, 리얼 로프트각은, 7 도 이상이 바람직하고, 7.5 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 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이하의 부기를 개시한다.
[부기 1]
헤드 외면 및 헤드 내면을 갖는 중공의 골프 클럽 헤드로서,
개구를 갖는 바디 부재와,
타격 페이스를 갖고, 상기 개구를 막고 있는 페이스 부재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페이스 부재가, 상기 타격 페이스를 구성하는 페이스부와, 상기 페이스부의 외연으로부터 백 측을 향해 연장되는 주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페이스 부재의 상기 주연부가 상기 바디 부재에 용접되어 있고,
상기 주연부와 상기 바디 부재의 경계 위치에, 상기 헤드 내면에서 융기하는 용접 비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접 비드의 페이스 측의 단점에 있어서의 두께가, 상기 용접 비드의 바디 측의 단점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주연부의 길이가 6 mm 이하인,
골프 클럽 헤드.
[부기 2]
상기 주연부가, 상기 페이스부보다 백 측으로 돌출되는 후방 연장부를 가지고 있는 부기 1 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
[부기 3]
상기 페이스부의 외연부터 상기 용접 비드까지 사이가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가 되고,
상기 용접 비드의 중심점으로부터 바디 측으로 6 mm 떨어진 지점부터 상기 용접 비드까지 사이가 바디 측 용접 근방부가 될 때,
상기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의 두께가, 상기 페이스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얇게 되어 있고,
상기 바디 측 용접 근방부의 두께가, 상기 페이스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얇게 되어 있는 부기 1 또는 2 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
[부기 4]
상기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의 내면의 곡률반경이, 7 mm 이상이고,
상기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의 외면의 곡률반경이, 7 mm 이상인 부기 3 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
[부기 5]
상기 주연부의 길이가, 상기 페이스부의 최소 두께보다 큰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
[부기 6]
상기 주연부가, 상기 페이스 부재의 솔 측에 형성된 솔 측 주연부인 부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프 클럽 헤드.
4 : 골프 클럽 헤드
10 : 페이스부
10a : 타격 페이스
12 : 크라운부
14 : 솔부
32 : 주연부
34 : 솔 측 주연부
36 : 크라운 측 주연부
38 : 후방 연장부
40 : 솔 측 후방 연장부
42 : 크라운 측 후방 연장부
50 :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
52 : 바디 측 용접 근방부
f1 : 페이스 부재
b1 : 바디 부재
wb : 용접 비드
Fc : 페이스 센터
Fe : 타격 페이스의 외연
P1 : 비드 중앙점
P2 : 외면 경계점

Claims (6)

  1. 헤드 외면 및 헤드 내면을 갖는 중공의 골프 클럽 헤드로서,
    개구를 갖는 바디 부재와,
    타격 페이스를 갖고, 상기 개구를 막고 있는 페이스 부재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페이스 부재가, 상기 타격 페이스를 구성하는 페이스부와, 상기 페이스부의 외연으로부터 백 측을 향해 연장되는 주연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페이스 부재의 상기 주연부가 상기 바디 부재에 용접되어 있고,
    상기 주연부와 상기 바디 부재의 경계 위치에, 상기 헤드 내면에서 융기하는 용접 비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접 비드의 페이스 측의 단점에 있어서의 두께가, 상기 용접 비드의 바디 측의 단점에 있어서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주연부의 길이가 6 mm 이하인,
    골프 클럽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가, 상기 페이스부보다 백 측으로 돌출되는 후방 연장부를 가지고 있는 골프 클럽 헤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부의 외연부터 상기 용접 비드까지 사이가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가 되고,
    상기 용접 비드의 중심점으로부터 바디 측으로 6 mm 떨어진 지점부터 상기 용접 비드까지 사이가 바디 측 용접 근방부가 될 때,
    상기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의 두께가, 상기 페이스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얇게 되어 있고,
    상기 바디 측 용접 근방부의 두께가, 상기 페이스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얇게 되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의 내면의 곡률반경이, 7 mm 이상이고,
    상기 페이스 측 용접 근방부의 외면의 곡률반경이, 7 mm 이상인 골프 클럽 헤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의 길이가, 상기 페이스부의 최소 두께보다 큰 골프 클럽 헤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가, 상기 페이스 부재의 솔 측에 형성된 솔 측 주연부인 골프 클럽 헤드.
KR1020210192628A 2021-02-05 2021-12-30 골프 클럽 헤드 KR202201132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17094A JP2022120289A (ja) 2021-02-05 2021-02-05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JP-P-2021-017094 2021-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252A true KR20220113252A (ko) 2022-08-12

Family

ID=8266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628A KR20220113252A (ko) 2021-02-05 2021-12-30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49921A1 (ko)
JP (1) JP2022120289A (ko)
KR (1) KR20220113252A (ko)
CN (1) CN1148703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2542B2 (ja) * 2020-02-28 2024-04-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850483B2 (en) * 2021-08-12 2023-12-26 Topgolf Callaway Brands Corp. Methods of joining metal golf club components with projection resistance weld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91938A (ja) 2019-05-24 2020-12-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4934B2 (ja) * 1975-01-31 1983-10-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ユワカシキ
JPS5848840B2 (ja) * 1975-02-21 1983-10-31 株式会社東芝 ヒシヨウタイノ クウチユウロツクオンホウシキ
JP3769314B2 (ja) * 1995-07-22 2006-04-26 マルマン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3459792B2 (ja) * 1999-06-11 2003-10-27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ウッド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及びウッドクラブヘッド
JP2002035179A (ja) * 2000-07-21 2002-02-05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3521424B2 (ja) * 2000-10-19 2004-04-19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US6966848B2 (en) * 2000-11-30 2005-11-22 Daiwa Seiko, Inc. Golf club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30036442A1 (en) * 2001-08-17 2003-02-20 Bing Chao Golf club head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restitution and method of making it
JP2003284793A (ja) * 2002-03-28 2003-10-07 Mizuno Corp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112969B2 (ja) * 2002-12-26 2008-07-0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4215924A (ja) * 2003-01-15 2004-08-05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90274A (ja) * 2003-03-25 2004-10-21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4290313A (ja) * 2003-03-26 2004-10-21 Mizuno Corp 金属製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ゴルフクラブ
US7559853B2 (en) * 2005-06-20 2009-07-14 Sri Sports Limited Golf club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125243A (ja) * 2005-11-04 2007-05-24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256405B2 (ja) * 2006-06-07 2009-04-22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US8308582B2 (en) * 2007-02-20 2012-11-13 E & F Co., Ltd. Golf club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olf club head
JP5183156B2 (ja) * 2007-11-07 2013-04-1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237688B2 (ja) * 2008-05-12 2013-07-1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0082215A (ja) * 2008-09-30 2010-04-15 Globeride Inc ゴルフクラブ
JP4996650B2 (ja) * 2009-06-12 2012-08-08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JP6295461B2 (ja) * 2014-03-24 2018-03-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150375068A1 (en) * 2014-06-30 2015-12-31 Dunlop Sports Co. Ltd. Golf club head
JP6417213B2 (ja) * 2014-12-25 2018-10-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CN105727527B (zh) * 2014-12-25 2019-08-09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高尔夫球杆头
US9925428B2 (en) * 2015-05-29 2018-03-27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impact-influencing body features
JP6474321B2 (ja) * 2015-06-03 2019-02-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561599B2 (ja) * 2015-06-03 2019-08-2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7027710B2 (ja) * 2017-07-11 2022-03-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0413789B1 (en) * 2017-11-22 2019-09-17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head with face damping and stress-reduction features
JP7206606B2 (ja) * 2018-03-22 2023-01-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7020226B2 (ja) * 2018-03-22 2022-02-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7131251B2 (ja) * 2018-09-26 2022-09-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093172A (ja) * 2020-03-25 2020-06-18 株式会社プロギア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23038010A (ja) * 2021-09-06 2023-03-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91938A (ja) 2019-05-24 2020-12-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70369A (zh) 2022-08-09
JP2022120289A (ja) 2022-08-18
US20220249921A1 (en)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4452B2 (en) Golf club head
US8246489B2 (en) Golf club head
JP4612526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256405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US7520822B2 (en) Golf club head
JP500733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ゴルフクラブ、ゴルフクラブヘッドを製造する方法、及びゴルフクラブの製造方法
US7578755B2 (en) Wood-type hollow golf club head
US7479070B2 (en) Golf club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113252A (ko) 골프 클럽 헤드
US20040192463A1 (en) Golf club
US9623292B2 (en) Golf club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1200709A5 (ko)
JP2004351054A (ja) 金属製中空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273346B2 (en) Golf club head
US9889348B2 (en) Golf club head
JP5095687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645569B1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8035963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417213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7155633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308843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902871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260276B2 (en) Golf club head
JP5616576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JP2002000773A (ja) メタルウッドヘッ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