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139A - 커넥터 조립체 및 광전 복합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및 광전 복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139A
KR20220108139A KR1020227022579A KR20227022579A KR20220108139A KR 20220108139 A KR20220108139 A KR 20220108139A KR 1020227022579 A KR1020227022579 A KR 1020227022579A KR 20227022579 A KR20227022579 A KR 20227022579A KR 20220108139 A KR20220108139 A KR 20220108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or
optical fiber
groov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아오 치
펑 탕
진싱 장
보 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08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ontaining optical and electrical 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8Clamping, i.e. with only elastic deform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9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using encapsulation for protection, e.g. adhesive, molding or casting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출원에 제공되는 광전 복합 커넥터의 전방 하우징에는 전방 하우징을 관통하는 관통 홈이 축방향으로 제공되고, 관통 홈의 내벽에는 관통 홈과 연통되는 제 1 홈이 제공된다. 후방 하우징은 본체부, 및 본체부의 일단부에 연결된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클램핑부에는 클램핑부를 관통하는 제 1 통로가 축방향으로 제공된다. 클램핑부의 외면에는 제 2 홈이 축방향으로 제공되고, 클램핑부는 관통 홈 내에 배치되며, 제 1 홈은 제 2 홈과 맞대어져서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본체부로부터 이격된 관통 홈의 일단부는 광 포트이다. 전방 하우징에는 수납 공간 및 외부에 연결되는 개구부가 제공된다. 전도성 단자는 개구부 내에 수용되고, 전도성 단자는 전기 포트를 형성한다. 광섬유는 본체부를 관통하며 제 1 통로를 따라 광 포트까지 연장된다. 케이블은 본체부를 관통하며 수납 공간 내에 고정적으로 수용되고, 케이블은 전도성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출원은 서로 별개인 광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광 및 전기의 접속과 전송을 완성하기 위해 2개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함으로써 장치의 부피가 증가하는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 및 광전 복합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광전 복합 커넥터(CONNECTOR ASSEMBLY AND OPTICAL-ELECTRICAL COMPOSITE CONNECTOR)"란 명칭으로 2019년 12월 20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911344083.5 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인용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광전 커넥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넥터 조립체 및 광전 복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5세대 이동 통신망(5th Generation Mobile Network, 5G) 및 차세대 고정망의 발전에 따라, 광섬유-대-안테나, 광섬유-대-카메라, 광섬유-대-교통신호등, 광섬유-대-룸(room), 광섬유-대-천장, 및 기타 광섬유-대-접속단말(access terminal) 요구 사항이 많다. 광섬유-대-접속단말은 지능 시대의 고속 즉시 통신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지능 시대의 방대한 정보와 고품질 대역폭의 요구를 충족시킨다.
접속 단말에 액세스하는 동안 광 케이블과 전기 케이블 모두가 포설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전기 케이블이 포설된 접속 단말에 대해 광 케이블을 다시 포설해야 한다. 따라서, 광전 복합 케이블은 광섬유-대-접속단말에 바람직한 해결 방안이 되는데, 즉, 한 번의 포설로 전력 및 네트워크의 연결이 구현된다.
이들 복합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서로 별개인 광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서로 별개인 광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는 광 및 전기의 접속과 전송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2차례 플러그를 꽂고 빼야 한다. 이는 동작이 비교적 복잡할 뿐만 아니라 2개의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하므로 장치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광 및 전기의 접속과 전송을 완성하기 위해 서로 별개인 광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가 2차례 플러그를 꽂고 빼야 하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 및 광전 복합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에서는, 동작이 비교적 복잡하고 2개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하여 장치의 부피가 증가한다.
본 출원은 전방 하우징, 후방 하우징, 광섬유, 케이블 및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는 광전 복합 커넥터를 제공한다. 전방 하우징에는 전방 하우징을 관통하는 관통 홈이 축방향으로 제공된다. 관통 홈의 내벽에는 관통 홈과 연통되는 제 1 홈이 제공된다. 후방 하우징은 본체부, 및 본체부의 일단부에 연결된 클램핑부(clamping portion)를 포함한다. 클램핑부에는 클램핑부를 관통하는 제 1 통로가 축방향으로 제공된다. 클램핑부의 외면에는 제 2 홈이 축방향으로 제공된다. 클램핑부는 관통 홈 내에 배치된다. 제 1 홈은 제 2 홈과 맞대어져서 수납 공간(accommodation space)을 형성한다. 본체부로부터 이격된 관통 홈의 일단부는 광 포트(optical port)이다. 전방 하우징에는 수납 공간 및 외부에 연결되는 개구부가 제공된다. 전도성 단자는 개구부 내에 수용된다. 전도성 단자는 전기 포트(electrical port)를 형성한다. 광섬유는 본체부를 관통하고, 제 1 통로를 따라 광 포트까지 연장된다. 케이블은 본체부를 관통하고, 수납 공간 내에 고정적으로(fixedly) 수용된다. 케이블은 전도성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출원에서는, 광섬유와 케이블이 하나의 광전 복합 커넥터에 통합되어 있고, 하나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광 전송과 전기 전송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광 및 전기의 접속과 전송을 완성하기 위해 광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를 별도로 배치함으로써 야기되는 비교적 큰 장치 부피 및 작동 복잡성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출원의 케이블은 본체부를 관통하고, 제 1 홈을 제 2 홈과 맞댐으로써 형성된 수납 공간 내에 수용된다.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사용하고, 전방 하우징과 클램핑부 사이의 공간을 사용함으로써, 광전 복합 커넥터의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인다. 그러므로, 광전 복합 커넥터에 케이블을 별도로 수납하기 위한 케이블 수납 공간을 설정할 필요가 없고, 광전 복합 커넥터의 외형 치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서, 광전 복합 커넥터의 장치 부피가 작다. 본 출원의 광 포트 및 전기 포트는 모두 전방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데, 즉, 광 포트는 전방 하우징의 전단면 상에 형성되고, 전기 포트는 전방 하우징의 측면 상에 형성되고, 광 포트와 전기 포트는 동일한 하우징에 통합되어 있다. 광 포트와 전기 포트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작게 설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광전 복합 커넥터의 축방향 길이가 비교적 작게 설정될 수 있어서, 광전 복합 커넥터의 소형화 개발에 도움이 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클램핑부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플랜지는 본체부로부터 이격된 제 2 홈의 일측에 배치되고, 케이블은 수납 공간 내에 수용되며 플랜지에 맞닿는다. 케이블이 플랜지에 맞닿아서 케이블의 연장 위치를 제한하므로, 케이블의 연장 위치가 전기 포트에 도달한 것을 결정할 수 있어서, 전기 포트로의 케이블의 도통을 용이하게 한다. 전도성 단자는 전기 포트에 배치되고, 플랜지는 전도성 단자가 전기 포트에서 케이블과 밀착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도통을 구현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체부는 바닥벽, 바닥벽의 주변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제 1 측벽, 및 2개의 제 1 측벽 사이에 연결된 제 2 측벽을 포함한다. 바닥벽, 2개의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은 하나의 수용 공간(receiving space)을 둘러싸고 있다.
본체부는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 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제 1 통로는 슬리브에 맞대어져서 그와 연통된다. 슬리브의 외면과 제 1 측벽의 내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은 상기 간극 및 그 간극과 연통되는 오목 공동(concave cavity)을 포함한다. 광섬유는 오목 공동과 슬리브를 차례로 통과한 후 제 1 통로를 통과한다. 제 2 측벽에는 관통 구멍이 제공된다. 케이블은 오목 공동, 간극 및 관통 구멍을 차례로 통과한 후 수납 공간 내에 체결된다. 오목 공동은 케이블과 광섬유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슬리브는 광섬유를 케이블로부터 분리하여 광 접속과 전기 접속을 각각 구현하도록 배치된다. 광섬유는 슬리브를 통과하여 광 포트에 도달할 수도 있다. 케이블은 간극을 따라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전기 포트에 도달할 수도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바닥벽에는 지지체가 제공되고, 지지체는 간극 내에 위치되며, 케이블은 지지체 상에 지지된다. 지지체는 케이블의 중심축이 광섬유의 중심축보다 높도록 배치되며, 케이블은 슬리브의 외벽과 제 1 측벽 사이의 가장 좁은 간극을 통과하지 않고서 간극의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를 통과할 수 있어서, 수용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케이블이 비교적 두꺼워도 케이블이 여전히 간극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적용 범위가 확대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전도성 단자는 전도체, 및 전도체에 연결되며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클램핑 아암(clamping arm)을 포함한다. 전도성 단자는 2개의 클램핑 아암이 케이블을 클램핑하도록 개구부 내에 수용되고, 케이블은 전도체에 의해 전기 포트로 도통된다. 전도성 단자의 클램핑 아암이 케이블을 클램핑하여, 수납 공간 내에서의 케이블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서, 케이블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도성 단자는 케이블과 외부 간의 도통을 위한 캐리어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케이블과 외부 간의 도통은 전도체와 외부 간의 연결을 통해 구현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광전 복합 커넥터는 페룰 조립체(ferrule assembly)를 더 포함한다. 페룰 조립체는 제 1 페룰 컬럼(ferrule column), 제 2 페룰 컬럼, 볼록 링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볼록 링은 제 2 페룰 컬럼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볼록 링과 제 2 페룰 컬럼은 함께 페룰 테일 핸들(ferrule tail handle)을 형성한다. 볼록 링에는 중심 구멍이 제공된다. 제 1 페룰 컬럼은 페룰 테일 핸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중심에 삽입된다. 전방 하우징의 내면에는 관통 홈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제공된다. 제 1 통로의 내면에는 클램핑 위치가 제공된다. 제 1 페룰 컬럼은 제 2 페룰 컬럼에 연결된다. 제 2 페룰 컬럼으로부터 이격된 제 1 페룰 컬럼의 일단부는 광 포트이다. 탄성 부재는 제 2 페룰 컬럼을 둘러싼다. 클램핑부가 관통 홈 내에 장착되고 페룰 조립체가 제 1 통로 내에 장착될 때, 제 1 페룰 컬럼이 제 1 통로 내에 수용되고, 제 2 페룰 컬럼으로부터 이격된 제 1 페룰 컬럼의 일단부는 전방 하우징 밖으로 연장된다. 제 2 페룰 컬럼은 제 1 통로 내에 수용된다. 탄성 부재는 제 1 페룰 컬럼과 클램핑 위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제한되고, 탄성 부재는 제 1 페룰 컬럼을 밀어 돌출부에 맞닿게 한다. 광섬유는 오목 공동, 슬리브 및 제 2 페룰 컬럼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 1 페룰 컬럼 내로 연장된다. 페룰 조립체는 광섬유가 제 1 통로를 통과할 때 광섬유를 체결 및 보호하기 위해 광섬유 위에 슬리빙(sleeving)하도록 구성된다. 탄성 부재가 제 1 페룰 컬럼과 클램핑 위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제한되고 제 1 페룰 컬럼을 밀어 돌출부에 맞닿게 하는 것은 제 1 통로 내에서의 제 1 페룰 컬럼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고, 제 1 페룰 컬럼이 제 1 통로 밖으로 연장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광전 복합 커넥터는 탄성 외피(elastic sheath)를 더 포함한다. 탄성 외피에는 클램핑 구멍이 제공된다. 본체부에는 볼록 에지(convex edge)가 제공된다. 볼록 에지는 후방 하우징이 탄성 외피에 연결되도록 클램핑 구멍에 클램핑된다. 탄성 외피에는 탄성 외피를 관통하는 제 2 통로가 제공된다. 광섬유는 제 2 통로, 오목 공동, 슬리브 및 페룰 조립체를 차례로 통과한다. 케이블은 제 2 통로, 오목 공동, 간극 및 관통 구멍을 차례로 통과한 후 수납 공간 내에 체결된다. 탄성 외피는, 광전 복합 케이블이 횡하중을 받을 때 광전 복합 케이블의 굽힘 변형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서, 광전 복합 케이블의 지나치게 작은 부분 굽힘 곡률로 인해 내부 광섬유의 광학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광섬유와 케이블은 광전 복합 케이블을 형성한다. 광전 복합 케이블은 코팅층 및 케이블 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코팅층은 광섬유 위에 슬리빙된다. 케이블 슬리브는 코팅층과 케이블 위에 슬리빙된다. 클램핑부가 관통 홈에 클램핑되고 페룰 조립체가 제 1 통로에 형성될 때, 코팅층은 오목 공동에서 노출되고 광섬유는 제 1 페룰 컬럼에서 노출된다. 코팅층이 오목 공동에서 노출된다는 것은, 오목 공동에서 케이블 슬리브가 코팅층 위에 슬리빙되어 있지 않아서 오목 공동에 비교적 큰 잔여 공간이 있으므로, 오목 공동 내에서의 구성요소의 장착, 예컨대 후술하는 광섬유 보호 튜브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섬유가 제 1 페룰 컬럼에서 노출된다는 것은, 광섬유가 제 2 페룰 컬럼을 통과한 후 코팅층이 더 이상 광섬유를 감싸지 않아서 광섬유가 비교적 얇은 제 1 페룰 컬럼의 구멍 내에 삽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광전 복합 커넥터는 광섬유 보호 튜브를 더 포함한다. 광섬유 보호 튜브는 광섬유 위에 슬리빙된다. 광섬유 보호 튜브는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다. 탄성 외피에 가까운 광섬유 보호 튜브의 일단부가 케이블 슬리브와 수용 공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 외피로부터 이격된 광섬유 보호 튜브의 일단부는 수용 공간의 내면에 체결된다. 페룰 조립체가 맞댐될 때, 페룰 조립체는 약간 뒤로 롤백되며 광섬유는 특정 공간으로 이동해야 한다. 광섬유용 광섬유 보호 튜브의 보호는 광섬유가 과도하게 휘거나 끊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광학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광전 복합 커넥터는 버클(buckle)을 더 포함한다. 클램핑부로부터 이격된 본체부의 일단부에는 버클 구멍이 제공된다. 버클은 복합 케이블을 후방 하우징에 체결하기 위해 버클 구멍 내에 체결된다. 후방 하우징이 탄성 외피에 연결된 후에, 버클이 탄성 외피 내에 수용된다. 복합 케이블을 후방 하우징에 체결하면 광전 복합 케이블의 인장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버클은 탄성 외피 내에 수용되며, 탄성 외피는 광전 복합 케이블과 버클을 더욱 보호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탄성 외피로부터 이격된 광섬유 보호 튜브의 일단부의 외면에는 복수의 환형 홈이 제공되고, 복수의 환형 홈은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접착제가 수용 공간 내에 충전되어 콜로이드(colloid)를 형성한다. 복합 케이블과 후방 하우징 사이의 고강도 연결을 구현하려면, 광섬유 보호 튜브와 수용 공간의 내면 사이에 접착제를 충전하여 광섬유 보호 튜브를 체결해야 한다. 환형 홈을 제공하면 광섬유 보호 튜브와 수용 공간의 내면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접착제가 모세관 원리로 인해 미세한 간극을 따라 광섬유 보호 튜브 내로 흘러 들어간 후 광섬유 상에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환형 홈의 제공은 모세관 현상의 연속적인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접착제가 지속적으로 광섬유 보호 튜브에 침투하여 광섬유 상에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이 있다. 복수의 케이블이 있는 경우, 오직 하나의 광전 복합 커넥터만을 사용하여 전원 공급 또는 이중 신호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전방 하우징은 내부 하우징 및 외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은 내부 하우징 위에 슬리빙된다. 내부 하우징에는 제 1 홈, 및 내부 하우징을 관통하는 관통 홈이 축방향으로 제공된다. 하우징을 제공하면 내부 하우징을 보호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어댑터 및 전술한 광전 복합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어댑터는 광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어댑터에는 내부 공동이 제공된다. 전방 하우징은, 광섬유가 광 포트에서 광 커넥터에 연결되고 케이블이 전기 포트에서 전기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내부 공동에 삽입된다. SC 광섬유 커넥터와 비교하여, 본 출원의 광전 복합 커넥터는 인터페이스 크기에 변화가 없으며, SC 광섬유 어댑터와 비교하여, 어댑터는 인터페이스 크기에 어떠한 변화도 필요하지 않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어댑터에는 내부 공동 및 장착 개구부가 제공된다. 내부 공동의 측벽에는 측벽을 관통하는 케이블 구멍이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의 일단부는 내부 공동 내에 수용되고, 전기 커넥터의 타단부는 케이블 구멍을 통과하여 밖으로 연장된다. 장착 개구부의 반대쪽에 있는 내부 공동의 바닥벽에는 슬롯이 제공된다. 광 커넥터는 슬롯 내에 배치된다. 전방 하우징은, 광섬유가 슬롯에 삽입되어 광 커넥터에 연결되고 케이블이 전기 커넥터에 의해 외부로 도통되도록, 장착 구멍을 통해 내부 공동에 삽입된다. 이 구현예의 어댑터는 광전 복합 케이블을 사용하여 PCB 기판에 연결될 수도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어댑터는 전도성 시트를 더 포함한다. 전도성 시트는 전기 커넥터 및 전도성 커넥터를 포함한다. 어댑터의 내부 공동에는 장착 개구부가 제공된다. 내부 공동의 측벽에는 바닥벽을 관통하는 슬롯이 제공된다. 측벽의 외면에는 장착 위치가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는 슬롯에 클램핑된다. 전도성 커넥터는 장착 위치에 장착된다. 장착 개구부의 반대쪽에 있는 내부 공동의 바닥벽에는 슬롯이 제공된다. 광 커넥터는 슬롯 내에 배치된다. 전방 하우징은, 광섬유가 슬롯에 삽입되어 광 커넥터에 연결되고 케이블이 전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전도성 커넥터에 의해 외부로 도통되도록, 내부 공동에 삽입된다. 이 구현예에서, 전도성 커넥터는 내부 공동 외측의 장착 위치에 장착되므로, 내부 공동의 내부 공간이 더 커진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2개의 어댑터가 있고, 2개의 어댑터는 등을 맞댄 상태로(back to back) 배치되며, 2개의 슬롯은 동축으로(coaxially) 제공된다. 이 구현예의 어댑터는 2개의 광전 복합 케이블과 PCB 기판 사이의 연결 및 2개의 광전 복합 케이블의 광섬유들 사이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출원에서는, 광섬유와 케이블이 하나의 광전 복합 커넥터에 통합되고, 하나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광 전송 및 전기 전송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광 및 전기의 접속과 전송을 완성하기 위해 광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를 별개로 배치함으로써 야기되는 장치의 비교적 큰 크기 및 작동 복잡성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출원의 케이블은 본체부를 관통하고, 제 1 홈을 제 2 홈과 맞댐으로써 형성된 수납 공간 내에 수용된다.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사용되고, 전방 하우징과 클램핑부 사이의 공간이 사용됨으로써, 광전 복합 커넥터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인다. 그러므로, 광전 복합 커넥터에 케이블을 별도로 수납하기 위한 케이블 수납 공간을 설정할 필요가 없고, 광전 복합 커넥터의 외형 치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서, 광전 복합 커넥터의 장치 부피가 작다. 본 출원의 광 포트와 전기 포트는 모두 전방 하우징에 배치되며, 광 포트와 전기 포트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다. 이러한 방식으로, 광전 복합 커넥터의 축방향 길이를 비교적 짧게 설정하여 광전 복합 커넥터의 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배경 기술에서의 기술적 해결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배경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광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광전 복합 케이블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내부 하우징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후방 하우징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광전 복합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광전 복합 커넥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광전 복합 커넥터의 제 1 개략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광전 복합 커넥터의 제 2 개략 단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광섬유 보호 튜브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전도성 단자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에 따른 제 1 유형의 어댑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에 따른 제 2 유형의 어댑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에 따른 제 3 유형의 어댑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은 광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광통신 시스템은 광전 송신단 장치(200) 및 광전 수신단 장치(300)를 포함한다. 광전 송신단 장치(200)는 전기 신호 및 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광전 수신단 장치(300)는 전기 신호 및 광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광전 송신단 장치(200)와 광전 수신단 장치(300)는 광 신호 및 전기 신호의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광전 복합 케이블(100)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다만, 광전 송신단 장치(200)와 광전 복합 케이블(100)은 광전 복합 커넥터(400)를 사용하여 연결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SC 인터페이스 규격에 부합하는 광전 복합 커넥터(400)가 광전 복합 케이블(100)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대응하는 광전 송신단 장치(200)에는 광전 복합 커넥터(400)를 플러그 접속하기 위해, SC 광전 복합 일체화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광전 수신단 장치(300)와 광전 복합 케이블(100)도 광전 복합 커넥터(400)를 사용하여 연결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SC 인터페이스 규격에 부합하는 광전 복합 커넥터(400)는 광전 복합 케이블(100)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광전 수신단 장치(300)에는 광전 복합 커넥터(400)를 플러그 접속하기 위해, SC 광전 복합 일체화에 부합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본 출원에서, 광전 송신단 장치(200)는 전력 모듈일 수도 있으며, 전기 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다. 광전 수신단 장치(300)는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단말 장치, 예컨대 고속 IP 카메라 장치 또는 무선 AP일 수도 있다.
광전 복합 커넥터(400)에 대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광전 복합 커넥터(400)는 전방 하우징, 후방 하우징 및 광전 복합 케이블(100)을 포함한다.
도 2는 광전 복합 케이블(10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광전 복합 케이블(100)은 광섬유(110), 케이블(130), 코팅층(120) 및 케이블 슬리브(140)를 포함한다. 코팅층(120)은 광섬유(110) 위에 슬리빙된다. 케이블 슬리브(140)는 코팅층(120)과 케이블(130) 위에 슬리빙된다. 코팅층(120)은 주로 광섬유(110)를 보호하도록 구성되고, 광전 복합 케이블(100)이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게 하며, 광전 복합 케이블(100)을 비정상적인 응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코팅층(120)은 나일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코팅층(120)의 외경은 0.7mm 내지 1.5mm이다. 케이블 슬리브(140) 전체에 절연재가 사용될 수 있다. 체적 저항률은 1×1012Ω·m 이상이고, 절연 강도는 20MV/m 이상이며, 온도 허용 범위는 70℃ 내지 200℃이다. 임의 선택적으로(optionally), 광전 복합 케이블(100)의 단면은 평평한 형상이다. 케이블은 전도체 또는 도선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130)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광섬유(110)와 2개의 케이블(130)이 있다. 광섬유(110)는 중앙에 위치하고, 2개의 케이블(130)은 광섬유(110)의 양측에 위치된다. 본 출원의 광전 복합 케이블(100)은 임의의 수량의 광섬유(110) 및 케이블(130)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130)이 있으므로, 복수의 케이블(130)이 있는 경우 전원 공급 또는 이중 신호 전송이 오직 하나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만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전 복합 케이블(100)에 대해 하나의 광섬유(110)와 2개의 케이블(130)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 및 전방 하우징과 후방 하우징 간의 연결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한다. 도 5는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개략적인 분해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광전 복합 커넥터(400)는 전방 하우징(30)과 후방 하우징(460)을 포함한다. 전방 하우징(30)은 외부 하우징(410)과 내부 하우징(420)을 포함한다. 도 3은 내부 하우징(42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후방 하우징(46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전방 하우징(30)의 경우, 외부 하우징(410)은 내부 하우징(420) 위에 슬리빙되어 있다. 외부 하우징(410)은 내부 하우징(420)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하우징(410)은, 외부 하우징(410)이 어댑터와 맞물릴 때 안내, 위치설정, 정렬, 체결, 및 잠금 해제(unlocking)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하우징(420)은 후방 하우징(460), 광섬유(110) 및 케이블(130)을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하우징(410)과 내부 하우징(420)은 대안적으로 서로 슬라이딩 끼워맞춤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즉, 외부 하우징(410)이 내부 하우징(420) 위에 슬리빙된 후, 축방향을 따라 외부 하우징(410)과 내부 하우징(420) 사이에 특정한 상대적 슬라이딩 양이 있을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어댑터가 삽입된 후 잠금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외부 하우징(410)과 내부 하우징(420)은 일체화된 구조일 수도 있다. 전방 하우징(30)은 내부 하우징(420)만을 포함하고 외부 하우징(410)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420)에는 내부 하우징(420)을 관통하는 관통 홈(421)이 축방향으로 제공된다.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경우, 축방향은 케이블 연장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420)은 중공의 관형 구조이며, 전단면과 후단면 사이의 연장 방향이 축방향이다. 어댑터와 연결되는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단부는 전단면에 형성된다. 후단면은 후방 하우징(460)을 조립하는 데 사용된다. 관통 홈(421)의 내벽에는 관통 홈(421)과 연통되는 제 1 홈(422)이 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홈(421)의 단면은 원형이고, 제 1 홈(422)의 단면은 반원형이며, 관통 홈(421)의 둘레에는 2개의 제 1 홈(422)이 제공된다. 내부 하우징(420)에는 안내 구멍(423)이 제공되고, 안내 구멍(423)은 제 1 홈(422)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하우징(460)은 본체부(468), 및 본체부(468)에 연결된 클램핑부(469)를 포함한다. 클램핑부(469)는 본체부(468)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광전 복합 케이블은 본체부(468)의 후단부로부터 본체부(468) 내로 연장되어 클램핑부(469)까지 연장된다. 클램핑부(469)에는 클램핑부(469)를 관통하는 제 1 통로(4693)가 축방향으로 제공된다. 도 4에서 4693으로 표기된 리드선이 가리키는 위치가 제 1 통로(4693)이다. 제 1 통로(4693)는 클램핑부(469)의 중심 관통 구멍인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클램핑부(469)의 외면에는 제 2 홈(4691)이 축방향으로 제공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하우징(460)이 전방 하우징(30)에 조립될 때, 클램핑부(469)는 관통 홈(421)에 클램핑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클램핑부(469)의 외면은 관통 홈(421)의 내면과 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램핑부(469)는 관통 홈(421)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클램핑부(469)는 다른 고정 구조를 사용하여 내부 하우징(420)에 체결될 수도 있다. 제 1 홈(422)은 제 2 홈(4691)과 맞대어져서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본체부(468)로부터 이격된 관통 홈(421)의 일단부가 광 포트(10)(도 7에 도시됨)이다. 전방 하우징(30)에는 수납 공간과 외부, 즉, 내부 하우징(420)에 배치된 안내 구멍(423)의 위치를 연결하는 개구부가 제공된다. 이 개구부에 전기 포트(20)가 형성된다(도 7에 도시됨). 광섬유(110)는 본체부(468)를 관통하여 제 1 통로(4693)를 따라 광 포트(10)까지 연장된다. 케이블(130)은 본체부(468)를 관통하여 수납 공간 내에 고정적으로 수용된다. 전기 포트(20)의 위치는 전도성 단자(430)를 배치하는 데 사용된다. 케이블(130)은 전도성 단자(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외부는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외면 바깥쪽의 공간인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는, 광섬유(110)와 케이블(130)이 하나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에 통합되어 있고, 하나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광 전송과 전기 전송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광 및 전기의 접속과 전송을 완성하기 위해 광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를 별도로 배치함으로써 야기되는 비교적 큰 장치 부피 및 작동 복잡성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출원의 케이블(130)은 본체부(468)를 관통하고, 제 1 홈(422)을 제 2 홈(4691)과 맞댐으로써 형성된 수납 공간 내에 수용된다. 본체부(468)의 내부 공간이 사용되고, 전방 하우징(30)과 클램핑부(469) 사이의 공간이 사용됨으로써,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인다. 그러므로, 광전 복합 커넥터에 케이블(130)을 별도로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 수납 공간을 설정할 필요가 없고,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외형 치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서,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장치 부피가 작다. 본 출원의 광 포트(10) 및 전기 포트(20)는 모두 전방 하우징(30) 상에 배치되는데, 즉, 광 포트는 전방 하우징의 전단면 상에 형성되고, 전기 포트는 전방 하우징의 측면 상에 형성되고, 광 포트와 전기 포트는 동일한 하우징에 통합되어 있다. 광 포트와 전기 포트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작게 설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광전 복합 커넥터의 축방향 길이가 비교적 작게 설정될 수 있어서,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소형화 개발에 도움이 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전방 하우징(30)은 내부 하우징(420) 및 외부 하우징(410)을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410)은 내부 하우징(420) 위에 슬리빙되어 있다. 외부 하우징(410)은 부분적으로 후방 하우징(460)의 본체부(468)의 외면까지 연장된다. 외부 하우징(410)은 내부 하우징(420)과 후방 하우징(460)의 일부 양자 모두를 감싸고 있어서, 내부 하우징(420)과 후방 하우징(460)의 접합부가 외부 하우징(410) 내에 숨겨져서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한다. 외부 하우징(410)은 아래에 기재된 어댑터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구현예에서, 클램핑부(469)의 외면에는 보스(boss)(4693)가 제공된다. 보스(4693)는 제 2 홈(4691)의 일측에 배치된다. 내부 하우징(420)의 내면에는 홈 개구부(groove opening)(4201)가 제공된다. 홈 개구부(4201)는 내부 하우징(420)의 측벽을 관통할 수도 있으며, 또는 내부 하우징(420)의 측벽을 관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홈 개구부(4201)는 제 1 홈(422)의 일측에 배치된다. 보스(4693)는, 클램핑부(469)가 관통 홈(421)에 클램핑되어 클램핑부(469)가 내부 하우징(4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홈 개구부(4201)에 클램핑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 1 홈(422)의 단면은 반원형이고, 제 2 홈(4691)의 단면은 반원형이다. 제 1 홈(422)이 제 2 홈(4691)과 맞대어져서 수납 공간을 형성할 때, 수납 공간의 단면은 원형이다. 광전 복합 케이블의 단면이 평평한 형상일 때, 케이블(130)의 단면은 원형(또는 케이블(130)이 평평한 형상일 수도 있음)이고, 케이블(130)은 수납 공간의 형상에 알맞으므로, 케이블(130)이 수납 공간에 더 잘 수용될 수 있다.
여전히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구현예에서, 클램핑부(469)는 플랜지(4692)를 더 포함한다. 플랜지(4692)는 본체부(468)로부터 이격된 제 2 홈(4691)의 일측에 배치된다. 케이블(130)은 수납 공간 내에 수용되고 플랜지(4692)에 맞닿는다. 케이블(130)이 플랜지(4692)와 맞닿아 케이블(130)의 연장 위치를 제한하므로, 케이블(130)의 연장 위치가 전기 포트(20)에 도달한 것을 결정할 수 있어서, 전기 포트(20)로의 케이블(130)의 도통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아래에 기재된 전도성 단자(430)가 전기 포트(20)로부터 전방 하우징(30)의 개구부에 클램핑된 후, 전도성 단자(430)가 케이블(130)과 밀착되어 도통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플랜지(4692)와 제 2 홈(4691)은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홈(4691)이 형성될 때, 제 2 홈(4691)은 본체부(468)에 가까운 클램핑부(469)의 일단부만을 관통하고, 본체부(468)로부터 이격된 클램핑부(469)의 일단부는 관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 2 홈(4691)의 연장 방향에서, 클램핑부(469)의 부분으로서 제 2 홈(4691)을 차단하는 부분이 플랜지(4692)이다. 플랜지(4692)는 제 2 홈(4691)의 형성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 2 홈(4691)은 클램핑부(469)를 축방향으로 관통할 수도 있으며, 플랜지(4692)는 본체부(468)로부터 이격된 클램핑부(469)의 일측에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체부(468)는 바닥벽(4683), 바닥벽(4683)의 주변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제 1 측벽(4684), 및 2개의 제 1 측벽(4684) 사이에 연결된 제 2 측벽(4685)을 포함한다. 바닥벽(4683), 2개의 제 1 측벽(4684) 및 제 2 측벽(4685)은 하나의 수용 공간(50)을 둘러싼다.
본체부(468)는 상단벽(4687) 및 커버 플레이트(470)를 더 포함한다. 상단벽(4687)은 클램핑부(469)로부터 이격된 제 1 측벽(4684)의 일단부를 덮는다. 바닥벽(4683), 상단벽(4687) 및 제 1 측벽(4684)은 수용 공간(50)의 개구부(461)를 형성한다. 개구부(461)는 클램핑부(469)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광전 복합 케이블(100)은 개구부(461)를 통해 수용 공간(50) 내로 연장된다. 상단벽(4687)이 제 1 측벽(4684)을 부분적으로 덮은 후, 수용 공간(50)은 부분적으로 노출되며, 노출된 수용 공간(50)은 아래에 기재된 구성요소들의 장착 및 조정, 예컨대 케이블(130)의 위치 조정 및 광섬유 보호 튜브(48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커버 플레이트(470)는 수용 공간(50) 내에 구성요소가 장착되고 그 구성요소의 위치가 조정된 후 노출된 수용 공간(50)을 덮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체부(468)는 수용 공간(50) 내에 배치된 슬리브(466)를 더 포함한다. 제 1 통로(4693)는 슬리브(466)와 맞대어져 있다. 슬리브(466)의 내부 공간은 제 1 통로(4693)와 연통된다. 슬리브(466)의 외면과 제 1 측벽(4684)의 내면 사이에 간극(4661)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50)은 간극(4661), 및 이 간극(4661)과 연통되는 오목 공동(465)을 포함한다. 오목 공동(465)과 슬리브(466)의 내부 공간을 차례로 통과한 후, 광섬유(110)는 제 1 통로(4693) 내로 연장된다. 제 2 측벽(4685)에는 관통 구멍(4681)이 제공된다. 관통 구멍(4681)은 수용 공간(50)이 제 2 홈(4691)과 연통될 수 있게 한다. 케이블(130)은 오목 공동(465), 간극(4661) 및 관통 구멍(4681)을 차례로 통과한 후, 수납 공간(제 1 홈(422)이 제 2 홈(4691)과 맞대어져서 형성됨) 내에 연장되어 수납 공간에 체결된다. 본 출원에서, 슬리브(466)는 클램핑부(469)에 가깝다. 오목 공동(465)은 슬리브(466)의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간극(4661)은 슬리브(466)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되고, 슬리브(466)의 양 측면 각각에 위치된다. 수용 공간(50)은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슬리브(466) 내의 공간이 하나의 영역이고, 슬리브(466)의 두 반경 방향 측면 상의 2개의 간극(4661)이 2개의 영역이며, 슬리브(466)의 축방향으로의 오목 공동(465)이 하나의 영역이다. 슬리브(466) 내의 공간이 오목 공동(465)과 연통되고 간극(4661)이 오목 공동(465)과 연통되므로, 케이블(130)은 오목 공동(465)을 통과한 후 간극(4661)을 통과할 수 있고, 광섬유(110)는 오목 공동(465)을 통과한 후 슬리브(466)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용 공간(50)은 슬리브(466)를 배치함으로써 슬리브(466) 내의 공간, 간극(4661), 오목 공동(465)으로 분할된다. 또한, 슬리브(466)도 광섬유(110)를 케이블(130)로부터 분리하여 각각 광 전송 및 전기 전송을 구현한다. 광섬유(110)는 슬리브(466)를 통과하여 전기 접속을 위한 광 포트(10)에 도달할 수 있다. 케이블(130)은 간극(4661)을 따라 관통 구멍(4681)을 통과하여 전기 접속을 위한 전기 포트(20)에 도달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바닥벽(4683)에는 지지체(4663)가 제공되고, 지지체(4663)는 간극(4661) 내에 위치되며, 케이블(130)은 지지체(4663)에 지지된다. 하나 이상의 지지체(4663)가 있을 수도 있다. 지지체(4663)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지지체(4663)가 간극(4661) 내에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지지체(4663)는 슬리브(466) 양측의 간극(4661)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지지체(4663)는 케이블(130)의 중심축이 광섬유(110)의 중심축보다 높도록 배치되고, 케이블(130)은 슬리브(466)의 외벽과 제 1 측벽(4684) 사이의 가장 좁은 간극을 통과하지 않고서 간극(4661)의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를 통과할 수 있어서, 수용 공간(50)의 활용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케이블(130)이 비교적 두꺼워도 케이블(130)은 여전히 간극(4661)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130)의 적용 범위를 확대시킨다. 슬리브(466)는 본체부(468)의 중심 위치에 배치된다(슬리브(466)의 중심은 본체부(468)의 중심축과 일치하거나 또는 슬리브(466)의 중심이면서 본체부(468)의 중심축에 가까운 중심과 일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체부(468)의 4개의 코너 각각에는 비교적 큰 유휴 공간이 존재한다. 본 출원에서, 슬리브(466) 외부의 유휴 공간은 케이블(130)의 레이아웃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케이블(130)은 보다 작은 크기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를 얻을 수 있도록 후방 하우징과 전방 하우징 각각의 추가 공간 내에 배치되어야 한다.
여전히 도 5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예에서, 광전 복합 커넥터(400)는 페룰 조립체(440)를 더 포함한다. 페룰 조립체(440)는 제 1 페룰 컬럼(441), 제 2 페룰 컬럼(442), 볼록 링(443) 및 탄성 부재(450)를 포함한다. 제 2 페룰 컬럼(442)과 볼록 링(443)은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다. 볼록 링(443)은 제 2 페룰 컬럼(442)의 전단부에 위치된다. 제 2 페룰 컬럼(442)과 볼록 링(443)은 함께 페룰 테일 핸들을 형성한다. 볼록 링(443)은 페룰 테일 핸들의 전단부에 위치된다. 볼록 링(443)에는 중심 구멍이 제공된다. 제 1 페룰 컬럼(441)은 볼록 링(443)의 중심 구멍 내에 삽입되고, 볼록 링(443)에 체결되며, 리벳을 누름으로써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볼록 링(443)이 제 1 페룰 컬럼(441) 위에 슬리빙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내부 하우징(420)의 내면에는 관통 홈(421)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44)가 제공된다. 제 1 통로(4693)의 내면에는 클램핑 위치(445)가 제공된다. 제 1 페룰 컬럼(441)은 제 1 페룰 컬럼(441)과 볼록 링(443) 사이의 고정 연결을 통해 페룰 테일 핸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데, 즉, 제 1 페룰 컬럼(441)이 제 2 페룰 컬럼(442)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탄성 부재(450)는 제 2 페룰 컬럼(442) 위에 슬리빙된다. 클램핑부(469)가 관통 홈(421) 내에 장착되고, 페룰 조립체(440)가 제 1 통로(4693) 내에 장착되는 경우, 제 1 페룰 컬럼(441)은 제 1 통로(4693) 내에 수용되며, 제 2 페룰 컬럼(442)으로부터 이격된 제 1 페룰 컬럼(441)의 일단부는 전방 하우징(30)의 외부로 연장된다. 제 2 페룰 컬럼(442)은 제 1 통로(4693) 내에 수용된다. 탄성 부재(450)는 제 1 페룰 컬럼(441)과 클램핑 위치(445) 사이에 탄성적으로 제한되며, 탄성 부재(450)는 제 1 페룰 컬럼(441)을 밀어 돌출부(444)에 맞닿게 한다. 광섬유(110)는 오목 공동(465), 슬리브(466), 및 제 2 페룰 컬럼(442)을 차례로 통과하고 제 1 페룰 컬럼(441) 내로 연장된다. 본 출원에서, 탄성 부재(450)는 대안적으로 스프링일 수도 있다. 제 2 페룰 컬럼(442)으로부터 이격된 제 1 페룰 컬럼(441)의 단부가 광 포트(20)이다.
본 출원에서는, 제 2 페룰 컬럼(442)의 직경이 제 1 페룰 컬럼(441)의 직경보다 작아서, 클램핑부(469)가 관통 홈(421)에 장착되고 페룰 조립체(440)가 제 1 통로(4693)에 장착될 때 탄성 부재(450)는 클램핑 위치(445)와 제 2 페룰 칼럼(442)에 대면하는 제 1 페룰 칼럼(441)의 일단면과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제한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탄성 부재(450)는 대안적으로 볼록 링(443)과 클램핑 위치(445)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제한될 수도 있다. 임의 선택적으로, 제 1 페룰 컬럼(441)의 단부로서 전방 하우징(30) 밖으로 돌출하는 단부는 원형 테이블의 형상이다.
그러므로, 광섬유(110)가 제 1 통로(4693)를 통과할 때, 본 출원의 페룰 조립체(440)는 광섬유(110)를 체결 및 보호하기 위해 광섬유(110) 위에 슬리빙된다. 탄성 부재(450)가 제 1 페룰 컬럼(441)과 클램핑 위치(445) 사이에 탄성적으로 제한되고 제 1 페룰 컬럼(441)을 밀어 돌출부(444)에 맞닿게 하는 것은 제 1 통로(4693) 내에서의 제 1 페룰 컬럼(441)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고, 제 1 페룰 컬럼(441)이 제 1 통로(4693) 밖으로 연장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예에서, 광전 복합 커넥터(400)는 탄성 외피(500)를 더 포함한다. 탄성 외피(500)에는 클램핑 구멍(520)이 제공된다. 본체부(468)에는 볼록 에지(464)가 제공된다. 볼록 에지(464)는 후방 하우징(460)이 탄성 외피(500)에 연결되도록 클램핑 구멍(520)에 클램핑된다. 탄성 외피(500)에는 탄성 외피(500)를 관통하는 제 2 통로(510)가 제공된다. 광섬유(110)는 제 2 통로(510), 오목 공동(465), 슬리브(466) 및 페룰 조립체(440)를 차례로 통과한다. 케이블(130)은 제 2 통로(510), 오목 공동(465), 간극(4661), 및 관통 구멍(4681)을 차례로 통과한 후 수납 공간 내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볼록 에지(464)가 제 1 측벽(4684) 및 커버 플레이트(470) 주위에 배치된다. 볼록 에지(464)는 대략적으로 본체부(468)의 중간 부분에 배치된다. 볼록 에지(464)는 탄성 외피(500)가 대략적으로 본체부(468)의 중간 부분에서 슬리빙되도록 클램핑 구멍(520)에 클램핑된다. 임의 선택적으로, 4개의 볼록 에지(464)가 있고, 4개의 볼록 에지(464)는 커버 플레이트(470), 2개의 제 1 측벽(4684), 및 바닥벽(4683) 상에 별도로 배치된다. 4개의 클램핑 구멍(520)이 존재하며, 4개의 클램핑 구멍(520)은 탄성 외피(500)의 4개의 측벽에 별도로 배치된다. 본 출원에서는, 광섬유(110)와 케이블(130)이 제 2 통로(510)를 통과할 뿐만 아니라, 코팅층(120)과 케이블 슬리브(140)도 제 2 통로(510)를 통과한다. 즉, 광전 복합 케이블(100) 전체가 제 2 통로(510)를 통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 외피(500)는 광전 복합 케이블(100)에 횡하중이 가해질 때 광전 복합 케이블(100)의 굽힘 변형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서, 광전 복합 케이블(100)의 과도하게 작은 부분 굽힘 곡률로 인해 내부 광섬유(110)의 광학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램핑부(469)가 관통 홈(421)에 클램핑되고 페룰 조립체(440)가 제 1 통로(4693)에 장착되는 경우, 코팅층(120)이 오목 공동(465)에서 노출되고, 광섬유(110)가 제 1 페룰 컬럼(441)에서 노출된다. 코팅층(120)이 오목 공동(465)에서 노출된다는 것은, 광전 복합 케이블(100)이 제 2 통로(510)를 통과하여 오목 공동(465) 내로 들어갈 때, 케이블 슬리브(140)가 코팅층(120) 위에 슬리빙되어 있지 않고, 케이블 슬리브(140)가 코팅층(12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어서, 광섬유(110)에서 케이블(130)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오목 공동(465) 내에 비교적 큰 잔여 공간이 있어서, 오목 공동(465) 내의 구성요소의 수용, 예컨대 후술하는 광섬유 보호 튜브(480)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섬유(110)가 제 1 페룰 컬럼(441)에서 노출된다는 것은, 광섬유(110)가 제 2 페룰 컬럼(442)을 통과한 후, 더 이상 코팅층(120)이 광섬유(110)를 감싸지 않아서, 광섬유(110)가 비교적 얇은 제 1 페룰 컬럼(441)의 구멍 내로 삽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광전 복합 커넥터(400)는 광섬유 보호 튜브(480)를 더 포함한다. 광섬유 보호 튜브(480)는 광섬유(110) 위에 슬리빙된다. 광섬유 보호 튜브(480)는 수용 공간(50) 내에 수용된다. 탄성 외피(500)에 가까운 광섬유 보호 튜브(480)의 일단부는 케이블 슬리브(140)와 수용 공간(50)의 내면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 외피(500)로부터 이격된 광섬유 보호 튜브(480)의 일단부는 수용 공간(50)의 내면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광섬유 보호 튜브(480)는 코팅층(120) 위에 슬리빙된다. 페룰 조립체(440)가 맞댐되었을 때, 페룰 조립체(440)는 약간 뒤로 롤백되며 광섬유(110)는 특정 공간으로 이동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광섬유(110)가 과도하게 휘어지거나 심지어는 광섬유(110)가 끊어져서 광학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광섬유 보호 튜브(480)는 광섬유(110) 위에 슬리빙되어 광섬유(110)를 보호함으로써, 광섬유(110)가 과도하게 휘거나 끊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광학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전 복합 케이블(100)과 후방 하우징(460) 사이의 고강도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광섬유 보호 튜브(480)를 체결하기 위해 광섬유 보호 튜브(480)와 수용 공간(50)의 내면 사이에 접착제를 충전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는 높은 접합 강도와 우수한 절연 성능을 가진 DG-3S 또는 EP500이다. 수평 접착제 충전 방식이 사용되기 때문에 광섬유 보호 튜브(480)와 수용 공간(50)의 내면 사이의 간극(4661)이 엄격하게 제어될 필요가 있다. 간극(4661)이 지나치게 큰 경우, 접착제가 간극(4661)을 따라 광섬유 보호 튜브(480)의 공동으로 흘러 들어가 광섬유(110) 상에 떨어진다. 간극(4661)이 지나치게 작으면, 조립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접착제는 모세관 원리로 인해 미세한 간극(4661)을 따라 광섬유 보호 튜브(480)의 공동으로 흘러 들어간 후 광섬유(110) 상에 떨어진다. 광섬유 보호 튜브(480)의 외경과 수용 공간(50)의 내면 사이의 간극(4661)은 0.1mm 내지 0.4mm 이내에 속하도록 제어되며, 바람직한 공정 변수는 0.15mm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예에서, 탄성 외피(500)로부터 이격된 광섬유 보호 튜브(480)의 일단부의 외면에는 복수의 환형 홈(481)이 제공되고, 복수의 환형 홈(481)은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모세관 현상으로 인한 접착제 침투를 추가로 방지하기 위해, 탄성 외피(500)로부터 이격된 광섬유 보호 튜브(480)의 단부의 외면에 배치된 환형 홈(481)은 광섬유 보호 튜브(480)와 수용 공간(50)의 내면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접착제가 모세관 원리로 인해 미세한 간극(4661)을 따라 광섬유 보호 튜브(480)로 흘러 들어간 후 광섬유(110) 상에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환형 홈(481)의 제공은 모세관 현상의 연속적인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접착제가 광섬유 보호 튜브(480)에 지속적으로 침투하여 광섬유(110) 상에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여전히 도 5를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예에서, 광전 복합 커넥터(400)는 버클(490)을 더 포함한다. 클램핑부(469)로부터 이격된 본체부(468)의 일단부에는 버클(490) 구멍이 제공된다. 버클(490)은 버클(490) 구멍에 클램핑되어 광전 복합 케이블(100)을 후방 하우징(460)에 체결한다. 후방 하우징(460)이 탄성 외피(500)에 연결된 후, 버클(490)이 탄성 외피(500) 내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버클(490) 구멍(490)은 2개의 제 1 측벽(4684) 각각에 배치되고, 버클(490) 구멍의 배치 위치는 상단벽(4687)에 가깝다. 버클(490)은 광전 복합 케이블(100)이 후방 하우징(460)에 체결될 수 있도록 버클(490) 구멍에 클램핑된다. 버클(490)의 재료는 임의 선택적으로 금속이다. 복합 케이블을 후방 하우징(460)에 고정함으로써 복합 케이블의 인장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버클(490)이 버클(490) 구멍에 클램핑된 후, 탄성 외피(500)는 후방 하우징(460) 위로 슬리빙되어, 버클(490)이 탄성 외피(500) 내에 수용될 수 있어서 탄성 외피(500)가 복합 케이블 및 버클(490)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능한 구현예에서, 광전 복합 커넥터(400)는 전도성 단자(430)를 더 포함한다. 전도성 단자(430)는 전도체(435), 및 전도체(435)에 연결되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2개의 클램핑 아암(436)을 포함한다. 전도성 단자(430)는 2개의 클램핑 아암(436)이 케이블(130)을 클램핑하도록 개구부 내에 수용되고, 케이블(130)은 전도체(435)에 의해 전기 포트(20)에 도통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하우징(420)에는 안내 구멍(423)이 제공되고, 외부 하우징(410)에는 수납 구멍이 제공된다. 외부 하우징(410)이 내부 하우징(420) 위에 슬리빙된 후, 수납 구멍은 안내 구멍(423)과 연통된다. 클램핑 아암(436)은 안내 구멍을 통해 수납 공간으로 돌출되어 케이블(130)을 클램핑한다. 전도체(435)는 수납 구멍 내에 수용된다. 전도체(435)의 외면(431)은 외부 하우징(410)의 외면보다 높지 않다.
전도체(435)로부터 이격된 각각의 클램핑 아암(436)의 일단부에는 블레이드(433)가 제공된다. 2개의 블레이드(433)가 서로 엇갈려 있다. 블레이드(433)는 클램핑 아암(436)을, 안내 구멍을 통해 수납 공간 내로 돌출되도록 구동한다. 각 클램핑 아암(436)의 내면에는 오목부(434)가 제공된다. 2개의 오목부(434)는 케이블(1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2개의 클램핑 아암(436)이 케이블(130)을 클램핑할 때, 2개의 블레이드(433)는 케이블(130)이 블레이드(433)를 통해 오목부(434)까지 통과할 수 있고 또한 2개의 클램핑 아암(436)이 2개의 오목부(434)에서 케이블(130)을 클램핑하여 케이블(130)과의 밀착을 구현할 수 있도록 뻗어 있다. 클램핑 아암(436)이 안내 구멍을 통과할 때, 클램핑 아암(436)과 안내 구멍은 압출 조립체에서 서로 강제로 간섭하여 전도성 단자(430)와 내부 하우징(420)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킨다. 각 클램핑 아암(436)의 외면(432)은 쌍곡선 형상, 즉 중간 영역은 오목하고 양측 영역은 돌출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클램핑 아암(436)이 안내 구멍을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전도성 단자(430)의 재료는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일반적인 전도체의 재료일 수도 있다. 전도성 단자(430)는 우수한 내식성 및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해, 예컨대 경질 금으로 표면을 도금하는 것과 같은 표면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전도성 단자(430)가 존재하며, 전도성 단자(430)는 케이블(130)과 일대일 대응 관계에 있다. 본 출원에서, 전도성 단자(430)의 클램핑 아암(436)이 케이블(130)을 클램핑하여, 수납 공간 내에서의 케이블(1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서, 케이블(13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단자(430)는 케이블(130)과 외부 간의 도통을 위한 캐리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케이블(130)과 외부 간의 도통은 전도체(435)와 외부와의 연결을 통해 구현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설명에서의 플랜지(4692)는 대안적으로 전도성 단자(430)가 전기 포트(20)로부터 전방 하우징(30)의 개구부에 클램핑된 후 전도성 단자(430)가 케이블(130)과 밀착됨으로써 도통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케이블(130)을 제한하는 위치에 있는 전도성 단자(430)에 대응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는 본체부(468)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고, 전방 하우징(30)과 클램핑부(469)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인다. 따라서, 광전 복합 커넥터(400)에 케이블(130)을 별도로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 수납 공간을 설정할 필요가 없고,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인터페이스 크기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서, 광전 복합 커넥터(400)가 작은 장치 부피를 갖도록 한다. 또한, SC 광섬유(110) 커넥터와 비교하여, 본 출원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는 인터페이스 크기의 변화가 없다. 그러나, 본 출원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는 광 전송 및 전기 전송 모두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어댑터 및 전술한 광전 복합 커넥터(400)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어댑터는 광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어댑터에는 내부 공동이 제공된다. 전방 하우징(30)은, 광섬유(110)가 광 포트(10)에서 광 커넥터에 연결되고 케이블(130)이 전기 포트(20)에서 전기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내부 공동에 삽입된다. 상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인터페이스 크기는 변경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SC 광섬유(110) 커넥터와 비교하면, 본 출원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는 인터페이스 크기를 변경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으며, 전기 신호와 광 신호를 모두 전송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인터페이스 크기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 본 출원의 어댑터의 인터페이스 크기는 변경될 필요가 없다. 이하는 어댑터에 대한 설명이다. 어댑터는 적어도 하기의 4가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어댑터는 온보드 적용예에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1
도 11을 참조하면, 어댑터(600)에는 내부 공동(640) 및 장착 개구부(630)가 제공된다. 내부 공동(640)의 측벽에는 측벽을 관통하는 케이블 구멍(650)이 제공된다. 케이블 구멍(650)을 관통하는 전기 커넥터(610)가 케이블 구멍(650) 내에 배치된다. 장착 개구부(630)와 반대쪽에 있는 내부 공동(640)의 바닥벽에는 슬롯(620)이 제공된다. 슬롯(620) 내에는 광 커넥터가 배치된다. 전방 하우징(30)은, 광섬유(110)가 슬롯(620)에 삽입되어 광 커넥터에 연결되고 케이블(130)이 전기 커넥터(610)에 의해 외부로 도통되도록, 내부 공동(640)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어댑터(600)의 내부 공동(640)의 형상은 표준 SC 커넥터의 인터페이스 크기와 일치한다. 한 쌍의 전기 커넥터(610)가 있다. 한 쌍의 전기 커넥터는 내부 공동(640)의 측벽에 몰딩된다. 전기 커넥터(610)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져서 케이블 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전기 커넥터(610)가 PCB 기판에 연결되어 그와 도통되어야 하는 경우, PCB 기판 외부로 돌출된 전기 커넥터(611)는 PCB 기판의 구리 구멍에 삽입되어 PCB 기판 상의 부품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전방 하우징(30)이 내부 공동(640)에 삽입될 때, 내부 공동에서 노출된 전기 커넥터(610)의 표면(612)은 클램핑 아암(436)으로부터 이격된, 전도성 단자(430)의 표면(431)과 접촉하고, 전기 커넥터(610)는 케이블(130)에 연결되어 그와 도통된다. 그러므로, 케이블(130)이 전기 커넥터(610)에 연결되어 도통되고, 전기 커넥터(610)가 PCB 기판에 연결되어 도통될 때, 광전 복합 케이블(100)의 케이블(130)은 PCB 상의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어댑터(600)는 광전 복합 케이블(100)과 PCB 기판 사이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전기 커넥터(610)는 탄성 금속 와이어이다. 탄성 금속 와이어는 내부 공동(640)의 측벽에 몰딩되고, 내부 공동(640)의 측벽을 관통한다. 탄성 금속 와이어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져서 PCB 기판의 구리 구멍에 삽입된다. 탄성 금속 와이어와 PCB 기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 접속은 용접을 통해 구현된다. 탄성 금속 와이어는 구리 합금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이 탄성과 인성이 양호한 금속을 사용한다. 선호되는 옵션은 C5210 인청동이다. 구리 합금의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 표면이 금 도금될 수도 있다.
슬롯(620)의 공동은 페룰 조립체(440)의 전단부에 있는 제 1 페룰 컬럼(441)의 원형 테이블 형상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탄성 부재(450)의 작용 하에, 슬롯(620)이 제 1 페룰 컬럼(441)의 원형 테이블 형상의 단부와 밀접하게 맞대어지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광전 복합 케이블(100)을 관통하는 광섬유(110)의 맞댐이 실현된다.
실시예 2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 2의 어댑터와 실시예 1의 어댑터 사이의 차이점은, 2개의 어댑터(600)가 있고, 2개의 어댑터(600)는 2개의 슬롯(820)이 동축으로 배치되도록 등을 맞댄 상태로 연결되어 새로운 어댑터(800)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어댑터(800)의 두 쌍의 전기 커넥터(810)가 있다. 각 쌍의 전기 커넥터(810)는 하나의 광전 복합 커넥터(100)의 광전 복합 케이블(1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어댑터(800)는 2개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를 동시에 플러그 접속할 수 있는데, 즉, 2개의 광전 복합 케이블(100)을 동시에 매칭할 수 있다. 일 예에서, 2개의 어댑터(600)가 PCB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전 복합 케이블(100)의 전기 신호가 케이블에 의해 PCB에 전송되거나, 또는 광 전송 유닛이 PCB 기판 상에 체결되어,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광 신호가 PCB 상의 광 전송 유닛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2개의 슬롯(820)이 동축으로 배치된 후, 2개의 슬롯(820)은 서로 직접 연통될 수 있다. 각 슬롯(820)에 광전 복합 커넥터(400)가 삽입되어, 2개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광섬유(110)가 정렬되어 광 신호를 전송하는데, 즉, 광 신호는 하나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로부터 다른 광전 복합 커넥터(400)로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두 어댑터(600)의 전기 커넥터(810)도 직접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전기 신호는 전기 커넥터(810)에 의해 다른 하나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의 케이블(130)로 전송된다.
실시예 3
도 13을 참조하면, 어댑터(700)는 전도성 시트(710)를 포함한다. 전도성 시트(710)는 전기 커넥터(712) 및 전도성 커넥터(713)를 포함한다. 어댑터의 내부 공동(740)에는 장착 개구부(750)가 제공된다. 내부 공동(740)의 측벽에는 바닥벽을 관통하는 슬롯(720)이 제공된다. 측벽의 외면에는 장착 위치(731)가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712)는 슬롯(720)에 클램핑된다. 전도성 커넥터(713)는 장착 위치(731)에 장착된다. 장착 개구부(750)의 반대쪽에 있는 내부 공동(740)의 바닥벽에는 슬롯(760)이 제공된다. 슬롯(760)에는 광 커넥터가 배치된다. 전방 하우징(30)은, 광섬유(110)가 슬롯(760)에 삽입되어 광 커넥터에 연결되고 케이블(130)이 전기 커넥터(712)에 연결되어 전도성 커넥터(713)에 의해 외부로 도통되도록, 내부 공동(740)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어댑터의 내부 공동(740)의 형상은 표준 SC 커넥터의 인터페이스 크기와 일치한다. 하나의 전기 커넥터(712)가 있고, 전기 커넥터(712)는 슬롯(720)에 클램핑된다. 전기 커넥터(712)가 PCB 기판에 연결되어 그와 도통되어야 하는 경우, 전도성 커넥터(713)가 PCB 기판 상의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전방 하우징(30)이 내부 공동(740)에 삽입될 때, 내부 공동(740)에서 노출된 전기 커넥터(712)의 표면은 클램핑 아암(436)으로부터 이격된 전도성 단자(430)의 표면과 접촉하고, 전기 커넥터(712)는 케이블(130)에 연결되어 그와 도통된다. 그러므로, 케이블(130)이 전기 커넥터(712)에 연결되어 도통되고 전기 커넥터(712)가 PCB 기판에 연결되어 도통될 때, 광전 복합 케이블(100)의 케이블(130)은 PCB 상의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전도성 시트(710)는 전도성 탄성 스프링 시트일 수도 있다. 전기 커넥터(712)는 전도성 탄성 스프링 시트의 일부이고, 전기 커넥터(712)는 어댑터에 대응하는 어댑터 외부 하우징(410)에 대응하는 슬롯(720)에 클램핑될 수도 있다. 전기 커넥터(712)는 전도성 단자와 접촉하여 광전 복합 케이블(100) 내의 케이블(130)에 대한 전기 접속을 구현한다. 전도성 커넥터(713)도 전도성 탄성 스프링 시트의 일부이다. 전도성 커넥터(713)는 PCB 기판 상의 구리 영역과 접촉할 수 있으며, 주석 납땜을 통해 체결된다. 일 구현예에서는, 어댑터의 한 쌍의 전도성 탄성 스프링 시트가 있는데, 즉, 광전 복합 케이블(100)과 PCB 기판 사이의 연결이 구현된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어댑터와 실시예 3의 어댑터의 차이점은, 대칭적으로 분포된 2개의 어댑터(700)가 있고, 2개의 어댑터(700)는 2개의 슬롯(760)이 동축으로 배치되도록 등을 맞댄 상태로 배치된다는 것이다. 어댑터의 두 쌍의 전도성 시트(710)가 있다. 각 쌍의 전기 커넥터(712)는 하나의 광전 복합 케이블(1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어댑터는 2개의 광전 복합 케이블(100)과 PCB 기판 사이의 연결 및 2개의 광전 복합 케이블의 광섬유(110) 사이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4의 대칭적으로 분포된 2개의 어댑터(700)의 신호 전송 방식은 실시예 2에서 제공되는 어댑터의 신호 전송 방식과 동일하다.
결론적으로, 본 출원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는 SC 광섬유 커넥터와 비교하여 인터페이스 크기의 변화가 없고, 표준 SC 광섬유 어댑터와 호환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광전 복합 커넥터(400)는 광 신호 또는 전기 신호만을 송신하거나, 광 신호와 전기 신호를 모두 송신할 수도 있다.
SC 광섬유 커넥터와 비교하여, 본 출원의 어댑터는 인터페이스 크기에 변화가 없으며, 표준 SC 광섬유 커넥터와 직접 맞댈 수도 있다.
위에 개시된 사항은 단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며, 확실히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할 의도는 아니다. 당업자는 전술한 실시예를 구현하는 과정의 전부 또는 일부, 그리고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따라 이루어진 균등 변형예는 본 출원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4)

  1. 광전 복합 커넥터(optical-electrical composite connector)에 있어서,
    전방 하우징, 후방 하우징, 광섬유, 케이블 및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하우징에는 상기 전방 하우징을 관통하는 관통 홈이 축방향으로 제공되며, 상기 관통 홈의 내벽에는 상기 관통 홈과 연통되는 제 1 홈이 제공되고,
    상기 후방 하우징은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연결된 클램핑부(clamp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에는 상기 클램핑부를 관통하는 제 1 통로가 축방향으로 제공되고,
    상기 클램핑부의 외면에는 제 2 홈이 축방향으로 제공되고,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관통 홈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홈은 상기 제 2 홈과 맞대어져서 수납 공간(accommodation space)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관통 홈의 일단부는 광 포트(optical port)이고,
    상기 전방 하우징에는 상기 수납 공간 및 외부에 연결되는 개구부가 제공되고,
    상기 전도성 단자는 상기 개구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전도성 단자는 전기 포트(electrical port)를 형성하고,
    상기 광섬유는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 1 통로를 따라 상기 광 포트까지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며 상기 수납 공간 내에 고정적으로(fixedly) 수용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도성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광전 복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 2 홈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수용되며 상기 플랜지에 맞닿는
    광전 복합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주변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제 1 측벽, 및 상기 2개의 제 1 측벽 사이에 연결된 제 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벽, 상기 2개의 제 1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은 하나의 수용 공간(receiving space)을 둘러싸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로는 상기 슬리브와 맞대어져서 그와 연통되고, 상기 슬리브의 외면과 상기 제 1 측벽의 내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간극, 및 상기 간극과 연통되는 오목 공동(concave cavity)을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는 상기 오목 공동 및 상기 슬리브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제 1 통로를 통과하고,
    상기 제 2 측벽에는 관통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오목 공동, 상기 간극 및 상기 관통 구멍을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체결되는
    광전 복합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에는 지지체가 제공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간극 내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지지체 상에 지지되는
    광전 복합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단자는 전도체, 및 상기 전도체에 연결되며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클램핑 아암(clamping arm)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단자는 상기 2개의 클램핑 아암이 상기 케이블을 클램핑하도록 상기 개구부 내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도체에 의해 상기 전기 포트에 도통되는
    광전 복합 커넥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복합 커넥터는 페룰 조립체(ferrule assembly)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룰 조립체는 제 1 페룰 컬럼(ferrule column), 페룰 테일 핸들(ferrule tail handle),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페룰 테일 핸들은 제 2 페룰 컬럼, 및 상기 제 2 페룰 컬럼의 전단부에 위치된 볼록 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페룰 컬럼의 일단부는 상기 볼록 링의 중심 구멍에 체결되고, 상기 전방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관통 홈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 1 통로의 내면에는 클램핑 위치가 제공되고,
    상기 제 1 페룰 컬럼은 상기 제 2 페룰 컬럼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페룰 컬럼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 1 페룰 컬럼의 일단부는 광 포트이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페룰 컬럼을 둘러싸고,
    상기 클램핑부가 상기 관통 홈 내에 장착되고 상기 페룰 조립체가 상기 제 1 통로 내에 장착될 때, 상기 제 1 페룰 컬럼은 상기 제 1 통로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 1 페룰 컬럼의 타단부는 상기 전방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페룰 컬럼은 상기 제 1 통로 내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페룰 컬럼과 상기 클램핑 위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제한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페룰 컬럼을 밀어서 상기 돌출부에 맞닿게 하고,
    상기 광섬유는 상기 오목 공동,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제 2 페룰 컬럼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 1 페룰 컬럼 내로 연장되는
    광전 복합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복합 커넥터는 탄성 외피(elastic sheath)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외피에는 클램핑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볼록 에지(convex edge)가 제공되고, 상기 볼록 에지는 상기 후방 하우징이 상기 탄성 외피에 연결되도록 상기 클램핑 구멍에 클램핑되고,
    상기 탄성 외피에는 상기 탄성 외피를 관통하는 제 2 통로가 제공되고, 상기 광섬유는 상기 제 2 통로, 상기 오목 공동, 상기 슬리브 및 상기 페룰 조립체를 차례로 통과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 2 통로, 상기 오목 공동, 상기 간극 및 상기 관통 구멍을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체결되는
    광전 복합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와 상기 케이블은 광전 복합 케이블(optical-electrical composite cable)을 형성하고, 상기 광전 복합 케이블은 코팅층 및 케이블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광섬유 위에 슬리빙되고(sleeved), 상기 케이블 슬리브는 상기 코팅층과 상기 케이블 위에 슬리빙되며,
    상기 클램핑부가 상기 관통 홈에 클램핑되고 상기 페룰 조립체가 상기 제 1 통로 내에 형성될 때, 상기 코팅층은 상기 오목 공동에서 노출되고 상기 광섬유는 상기 제 1 페룰 컬럼에서 노출되는
    광전 복합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복합 커넥터는 광섬유 보호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 보호 튜브는 상기 광섬유 위에 슬리빙되며, 상기 광섬유 보호 튜브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 외피에 가까운 상기 광섬유 보호 튜브의 일단부는 케이블 슬리브와 상기 수용 공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외피로부터 이격된 상기 광섬유 보호 튜브의 일단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내면에 체결되는
    광전 복합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외피로부터 이격된 상기 광섬유 보호 튜브의 일단부의 외면에는 복수의 환형 홈이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환형 홈은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접착제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충전되어 콜로이드(colloid)를 형성하는
    광전 복합 커넥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복합 커넥터는 버클(buck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는 버클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버클은 상기 광전 복합 케이블을 상기 후방 하우징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버클 구멍 내에 클램핑되고, 상기 후방 하우징이 상기 탄성 외피에 연결된 후에, 상기 버클이 상기 탄성 외피 내에 수용되는
    광전 복합 커넥터.
  12.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어댑터, 및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전 복합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광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에는 내부 공동이 제공되고, 상기 전방 하우징은, 상기 광섬유가 상기 광 포트에서 상기 광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전기 포트에서 상기 전기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 공동에 삽입되는
    커넥터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는 내부 공동 및 장착 개구부가 제공되고, 상기 내부 공동의 측벽에는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케이블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의 일단부는 상기 내부 공동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블 구멍을 통과하여 밖으로 연장되며,
    상기 장착 개구부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내부 공동의 바닥벽에는 슬롯이 제공되고, 상기 광 커넥터는 상기 슬롯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하우징은, 상기 광섬유가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광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전기 커넥터에 의해 외부로 도통되도록, 상기 장착 구멍을 통해 상기 내부 공동에 삽입되는
    커넥터 조립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전도성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시트는 상기 전기 커넥터 및 전도성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의 내부 공동에는 장착 개구부가 제공되고, 상기 내부 공동의 측벽에는 상기 바닥벽을 관통하는 슬롯이 제공되고, 상기 측벽의 외면에는 장착 위치가 제공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슬롯에 클램핑되고, 상기 전도성 커넥터는 상기 장착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 개구부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내부 공동의 바닥벽에는 슬롯이 제공되고, 상기 광 커넥터는 상기 슬롯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하우징은, 상기 광섬유가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광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전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전도성 커넥터에 의해 외부로 도통되도록, 상기 내부 공동에 삽입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27022579A 2019-12-20 2020-09-04 커넥터 조립체 및 광전 복합 커넥터 KR202201081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344083.5A CN111106469B (zh) 2019-12-20 2019-12-20 连接器组件及光电复合连接器
CN201911344083.5 2019-12-20
PCT/CN2020/113528 WO2021120702A1 (zh) 2019-12-20 2020-09-04 连接器组件及光电复合连接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139A true KR20220108139A (ko) 2022-08-02

Family

ID=7042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579A KR20220108139A (ko) 2019-12-20 2020-09-04 커넥터 조립체 및 광전 복합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317384A1 (ko)
EP (1) EP4060820A4 (ko)
JP (1) JP7475452B2 (ko)
KR (1) KR20220108139A (ko)
CN (2) CN113270758A (ko)
AR (1) AR120854A1 (ko)
BR (1) BR112022011816A2 (ko)
MX (1) MX2022007728A (ko)
WO (1) WO2021120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0758A (zh) * 2019-12-20 2021-08-17 华为技术有限公司 连接器组件及光电复合连接器
JPWO2021177463A1 (ko) * 2020-03-05 2021-09-10
CN114077020A (zh) * 2020-08-18 2022-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复合模块及其制造方法
CN112882162A (zh) * 2021-01-19 2021-06-01 武汉电信器件有限公司 一种光电连接器以及光电适配器
CN112882163B (zh) * 2021-01-19 2023-05-05 武汉电信器件有限公司 一种光模块以及光电连接器
CN112764174A (zh) * 2021-01-19 2021-05-07 武汉光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电混合连接器以及光电混合适配器
CN116430525A (zh) * 2021-02-26 2023-07-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光电适配器及通信系统
CN113917627B (zh) * 2021-09-07 2023-05-2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电混装连接器
CN113917626B (zh) * 2021-09-07 2023-05-2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电混装连接器及光电适配器
CN113871940A (zh) * 2021-09-10 2021-12-31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电复合连接器、连接器组件及光通信系统
CN117716267A (zh) * 2021-10-11 2024-03-15 华为技术有限公司 光纤适配器及光通信装置
CN114336114B (zh) * 2021-12-21 2023-07-28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同轴开关连接器
CN114336122B (zh) * 2021-12-30 2024-03-26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数据传输的光电复合连接器及与其配套的适配器
CN115171972A (zh) * 2022-05-26 2022-10-11 江苏俊知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在F5G系统内的1.8-4.2mm扁平型光电混合缆组件
CN115051188B (zh) * 2022-06-08 2023-07-18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电复合连接器及适配器
EP4300151A1 (en) * 2022-06-30 2024-01-03 Ortronics, Inc. Hybrid fiber connector
WO2024066085A1 (zh) * 2022-09-30 2024-04-04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光模块及与光模块连接的可插拔组件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2600A (en) * 1991-02-25 1992-08-25 General Electric Company Optical fiber quick connect/disconnect for a power laser
JPH09213136A (ja) * 1996-01-31 1997-08-15 Sony Corp 複合ケーブル、複合コネクタジャック、複合コネクタプラグ、および屋内バスシステム
JP3540096B2 (ja) * 1996-05-30 2004-07-0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接続器
JP3259947B2 (ja) * 1996-09-24 2002-02-25 住友電装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のブーツ取付構造
JP2003157926A (ja) * 2001-11-22 2003-05-30 Sanwa Denki Kogyo Co Ltd 光、電気複合コネクタ装置
US6816662B2 (en) * 2002-09-19 2004-1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ticle for cleaving and polishing optical fiber ends
JP4192751B2 (ja) * 2003-10-17 2008-12-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接続器及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JP3107377U (ja) * 2004-08-25 2005-02-03 株式会社昭電 光コネクタ
US20060263011A1 (en) * 2005-05-20 2006-11-23 Wenzong Chen Hybrid optical/electrical connector and adapter
JP4157572B2 (ja) * 2006-06-06 2008-10-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JP4901501B2 (ja) * 2007-01-23 2012-03-21 等 三ヶ尻 光ケーブルコネクタ
JP4372805B2 (ja) * 2007-05-10 2009-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光電信号伝送装置、光電信号伝送システム、および、光電信号伝送システム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0039109A (ja) * 2008-08-04 2010-02-18 Fujikura Ltd 光コネクタおよびその組立方法
CN101447616B (zh) * 2008-12-31 2011-04-13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
CA2751691C (en) * 2009-02-05 2016-06-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Optical connector apparatus
CN101988976B (zh) * 2009-08-05 2012-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微型双芯光纤连接器
CN201514499U (zh) * 2009-09-23 2010-06-23 孙莉 闭口式光纤连接器及其止动套
JP2011146259A (ja) * 2010-01-14 2011-07-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基板付光電気複合ケーブル
ES2755911T3 (es) * 2010-02-04 2020-04-24 Commscope Technologies Llc Sistema de conexión de fibra óptica y eléctrica reforzado
CN201689193U (zh) * 2010-04-26 2010-12-29 连展科技(天津)有限公司 光纤连接器
CN201673281U (zh) * 2010-05-10 2010-12-15 河北四方通信设备有限公司 Lc型光纤活动连接器
CN102298175A (zh) * 2010-06-23 2011-12-28 深圳日海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光纤适配器
CN101907752B (zh) * 2010-08-02 2012-02-01 华为技术有限公司 防水光纤连接器及室外通信设备
CN102565956B (zh) * 2010-12-31 2014-04-30 深圳日海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插头
CN202121132U (zh) * 2011-05-23 2012-01-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
CN202383324U (zh) * 2011-12-16 2012-08-15 华为技术有限公司 光纤连接器
CN102540357B (zh) * 2012-03-13 2014-10-0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八研究所 可拔插光电复合连接器
CN203287565U (zh) * 2013-04-09 2013-11-13 苏州科兰光通讯有限公司 一种lc光纤连接器插头接口及lc光纤连接器
TWI486657B (zh) * 2013-07-10 2015-06-01 Advanced Connetek Inc 光纖連接器
US9684135B2 (en) * 2013-09-09 2017-06-2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Optoelectrical connecto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685298B2 (ja) * 2013-09-10 2015-03-18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ケーブル、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組立方法
CN104714279B (zh) * 2013-12-11 2017-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光纤连接器的固定装置
CN203587845U (zh) * 2013-12-11 2014-05-07 泛达通讯零部件(无锡)有限公司 Lc光纤连接器
CN105278049B (zh) * 2014-07-25 2018-02-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纤连接器
CN105445863B (zh) * 2014-07-25 2017-09-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纤连接器组装方法
CN106019491B (zh) * 2015-03-25 2019-11-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混合插座连接器及混合插头连接器
CN204666870U (zh) * 2015-05-28 2015-09-23 菲尼克斯亚太电气(南京)有限公司 高防护等级mpo光纤连接器
CN205038371U (zh) * 2015-06-23 2016-02-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光纤连接器组件
CN105372765B (zh) * 2015-07-31 2018-01-1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光纤连接器
CN105223653A (zh) * 2015-09-30 2016-01-06 江苏宇特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熔端型皮缆光纤连接器的制作方法
CN106154430B (zh) * 2016-03-31 2019-02-12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光纤连接器组件及其光纤插头和光纤插座
US10509185B2 (en) * 2016-04-27 2019-12-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Optical connector with photodetector, adaptor for optical connector, and system
CN205679807U (zh) * 2016-06-14 2016-11-09 河北阳天通信科技有限公司 热熔型光纤连接器
CN106099506B (zh) * 2016-07-25 2018-09-21 常州市新盛电器有限公司 内螺纹光电混合连接器
CN206178199U (zh) * 2016-11-16 2017-05-17 欧纳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lc型光纤连接器
CN106532374B (zh) * 2016-11-16 2018-08-3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八研究所 光电复合水下插拔连接器
CN106654693B (zh) * 2016-11-16 2019-08-1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八研究所 光电混装纵向水密连接器
CN106646782B (zh) * 2017-01-23 2019-06-14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光电转换连接器
CN107843958B (zh) * 2017-11-20 2019-10-11 国网河南省电力公司信息通信公司 光电复合连接器组件及其插头、转接插座
JP7008978B2 (ja) * 2018-02-28 2022-01-25 多治見無線電機株式会社 複合コネクタ装置
CN108469654A (zh) * 2018-05-27 2018-08-31 常熟白莲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连接器及插头接口
CN110187452B (zh) * 2018-11-30 2021-02-05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光电转换模块及使用该模块的连接器
CN209417354U (zh) * 2019-01-21 2019-09-20 深圳市弘元鑫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电复合连接器密封快插接头
CN110007405A (zh) * 2019-02-11 2019-07-12 讯达康通讯设备(惠州)有限公司 带自锁双芯光缆连接器及其装配结构和拆卸与开锁工具
CN113270758A (zh) * 2019-12-20 2021-08-17 华为技术有限公司 连接器组件及光电复合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0820A1 (en) 2022-09-21
EP4060820A4 (en) 2023-01-18
AR120854A1 (es) 2022-03-23
WO2021120702A1 (zh) 2021-06-24
CN111106469A (zh) 2020-05-05
CN113270758A (zh) 2021-08-17
MX2022007728A (es) 2022-07-19
JP2023508309A (ja) 2023-03-02
BR112022011816A2 (pt) 2022-08-30
JP7475452B2 (ja) 2024-04-26
US20220317384A1 (en) 2022-10-06
CN111106469B (zh)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8139A (ko) 커넥터 조립체 및 광전 복합 커넥터
US9523829B2 (en) Fiber optic cable sub-assemblies with strain-relief to a circuit board and methods of assembling
CN111413770B (zh) 一种光电连接装置
US866292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o cables
WO2022156222A1 (zh) 一种光电连接器以及光电适配器
WO2022156077A1 (zh) 一种光电混合连接器以及光电混合适配器
CN114730059B (zh) 光模块、通信设备及PoE设备
CN112751619B (zh) 一种光电复合光模块
CN113097761A (zh) 一种光电连接装置
CN113871940A (zh) 一种光电复合连接器、连接器组件及光通信系统
TWI305434B (en) Data link module
CN114824907A (zh) 一种光电复合光纤连接器
CN215989304U (zh) 电缆线、光电连接装置和电子设备
CN215221088U (zh) 可同步插接的光电组合缆
CN114824891A (zh) 一种光电复合光纤连接器
US9804338B2 (en) Plug connector to couple a hybrid cable to a receptacle
CN113507008A (zh) 可同步插接的光电组合缆
WO2023226564A1 (zh) 一种光电复合光纤连接器
CN216598120U (zh) 光电混合公端连接器、母端、光电混合连接器系统及电子设备
CN216903532U (zh) 光电复合接头、光电复合线缆及光电连接装置
CN115395271A (zh) 一种光电连接器、夹具及连接器组件
CN217689510U (zh) 一种光电混合连接器和光电适配器
CN112003099B (zh) 电连接器
CN115542473A (zh) 一种光电连接器以及光通信设备
CN114696122A (zh) 通信模块连接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