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717A - 루프 해치 장치용 액체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루프 해치 장치용 액체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717A
KR20220088717A KR1020227015814A KR20227015814A KR20220088717A KR 20220088717 A KR20220088717 A KR 20220088717A KR 1020227015814 A KR1020227015814 A KR 1020227015814A KR 20227015814 A KR20227015814 A KR 20227015814A KR 20220088717 A KR20220088717 A KR 20220088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liquid
liquid removal
removal line
roof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슈미츠
Original Assignee
만 트럭 운트 버스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트럭 운트 버스 에스이 filed Critical 만 트럭 운트 버스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220088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62D25/07Fixed roofs having water drainage or guide means integral with roof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84Water draining for non-fixed roofs or roof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4Hydraulic energy storages, e.g. hydraulic accu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프 본체(12) 및 상기 루프 본체(12)에 배치된 루프 해치 장치(14)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액체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루프 해치 장치(14)에 연결된 액체 제거 라인(20)은 루프 본체(12)의 외부면(18)으로 이어진다. 이 장치는 차체에 루프 본체(12)의 장착을 단순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루프 해치 장치용 액체 제거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프 본체 및 상기 루프 본체에 배치된 루프 해치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바람직하게는 다용도 차량용 액체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 또는 다용도 차량의 루프 해치 장치에는 액체 배수 시스템이 포함될 수 있다. 액체 배수 시스템은 루프 해치 장치 영역에서 루프 해치 장치를 통해 침투하는 물을 잡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차체의 빈 공간(A, B, C 필러)을 통해 또는 내부 공간에서 아래쪽으로 그리고 그 다음에 차체에 의해 밀봉되어 외부로 안내되는 호스 라인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루프 해치 장치용 액체 제거를 위한 대안적 및/또는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개선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상세한 설명에 제시되어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자동차, 바람직하게는 다용도 차량(예를 들어, 트럭)을 위한 액체 제거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자동차용(예를 들어, 다용도 차량의 운전실 본체 쉘을 덮기 위한) 루프 본체(예를 들어, 별도의 루프 본체)를 갖는다. 장치는 루프 본체에 배치된 루프 해치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루프 해치 장치에 (예를 들어,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루프 본체의 외부면으로 이어지는 액체 제거 라인을 갖는다.
장치는 라인이 분리 지점을 통해 루프 본체로부터 차체 또는 운전실 본체 쉘까지 더 이상 배치될 필요가 없는 방식으로 루프 해치 장치의 배수구가 배치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대신에, 배수구의 액체 제거 라인은 분리 지점 전에서 루프 본체로부터 차체 또는 운전실 본체 쉘까지 외부로 안내된다. 액체 제거 라인은 루프 본체 내부에 보이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체 또는 운전실 본체 쉘에 루프 본체를 완전히 자동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액체 제거 라인의 배치로 인해, 이 작업이 루프의 사전 조립 중에 이미 완료될 수 있으므로 루프 본체를 차체에 배치할 때 수동 개입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또한, 선행 기술에서 요구되었던 바와 같이, 분리 지점을 통해 루프 본체로부터 차체 또는 운전실 본체 쉘까지 물 제거 라인을 설치하기 위한 수동 오버헤드 작업도 생략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면은 루프 본체의 외벽의 외부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면은 액체 제거 라인의 출구에 (예를 들어,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개구(예를 들어, 관통 구멍)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제거 라인은 루프 해치 장치로부터 외부면으로 액체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액체 제거 라인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프 해치 장치로부터 외부면으로의 구배를 가지고 연장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루프 본체는 후드 형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상측 외부면 및 주변 외부면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루프 해치 장치가 상측 외부면에 배치될 수 있고 및/또는 액체 제거 라인이 주변 외부면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제거 라인은 루프 본체의 운전석측 및/또는 루프 본체의 조수석측 상의 외부면으로 이어진다.
추가 실시예에서, 액체 제거 라인은 외부면의 전방 코너 영역으로 이어진다.
추가 실시예에서, 장치는 또한 외부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예를 들어, 외부 및/또는 A 필러) 라이닝부를 가지며, 액체 제거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라이닝부 뒤에 은폐되어 루프 본체의 외부면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상기 이어지는 부분은 외부에서 볼 수 없이 보호되며 음향학적으로 무해하도록 라이닝부 뒤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닝부 뒤의 액체 배수구는 또한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물줄기를 방지한다.
일 변형예에서, 루프 해치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루프 해치 장치를 통해 침투하는 액체를 포착 및/또는 수집하도록 설계되는 바람직하게는 채널형, 트로프형 및/또는 프레임형 액체 수집 장치를 갖는다. 액체 제거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액체 수집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유동적으로 및/또는 액체 수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에).
추가 변형예에서, 루프 본체, 루프 해치 장치 및 액체 제거 라인은 다용도 차량, 바람직하게는 트럭의 운전실 본체 쉘에 전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자동화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는 사전 조립 유닛을 형성한다. 루프 해치 장치를 위한 외부로의 배수구는 루프의 사전 조립 중에 이미 완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치 시에 차체 내의 (예: A 필러 내의) 빈 공간을 통해 복잡하게 라인을 배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수동 조립 단계가 필요 없다. 수동 오버헤드 조립 작업 없이 루프를 완전히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루프 본체의 외부면의 외부에 배치된 액체 채널을 더 포함하고, 액체 제거 라인은 액체 채널 위에서 외부면으로 이어진다. 액체 제거는 예를 들어 도어가 열려 있을 때 액체가 운전실 내로 튀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 이미 존재하는 액체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제거 라인으로부터 배출된 물은 루프 홈통의 기존 배수구 내로 안내될 수 있으며, 이는 루프측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수집하여 도어가 열릴 때 빗물이 차량 내부 공간 내로 침투하는 것을 줄인다.
일 개선예에서,
- 액체 채널은 액체를 자동차의 A 필러 외부로 안내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및/또는
- 액체 채널은 상부로 열려 있고 및/또는 홈 형상이고; 및/또는
- 액체 채널은 루프 본체의 운전석측 또는 조수석측에 배치되고; 및/또는
- 액체 채널은 루프 본체의 하부 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외부면은 개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액체 제거 라인은 개구에 부착된 탄성 슬리브, 바람직하게는 고무 슬리브를 가질 수 있다.
일 개선예에서,
- 탄성 슬리브는 외부면에 접하는 주변 칼라를 갖고; 및/또는
- 탄성 슬리브는 내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및/또는
- 탄성 슬리브는 개구를 밀봉하고; 및/또는
- 탄성 슬리브는 탄성 슬리브 및/또는 액체 제거 라인를 개구에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주변 함몰부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제거 라인은 루프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및/또는 액체 제거 라인은 서로 연결된 튜브 본체 및/또는 호스 본체를 갖는다.
추가 실시예에서, 루프 본체는 다용도 차량, 바람직하게는 트럭의 운전실 루프 본체로서 설계되고, 및/또는 루프 본체는 낮은 루프 본체, 중간 높이 루프 본체 또는 높은 루프 본체로서 설계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루프 본체는 다용도 차량, 바람직하게는 트럭의 운전실 본체 쉘에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추가 양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바람직하게는 다용도 차량(예를 들어, 트럭)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차는 A 필러를 갖는 운전실 본체 쉘 및 A 필러 라이닝부를 가지며, 상기 A 필러 라이닝부는 A 필러를 외부로부터 라이닝하고, A 필러 위로 수직 상향으로 연장되는 섹션을 갖는다. 장치는 운전실 본체 쉘에 배치된다. 액체 제거 라인은 A 필러 라이닝부의 상기 섹션 뒤에 은폐되어 루프 본체의 외부면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액체 제거 라인의 상기 이어지는 지점은 A 필러 라이닝부의 섹션 뒤에 들여다볼 수 없고 음향학적으로 무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루프 본체의 외부면 상의 액체 제거 라인으로부터 나오는 액체는 A 필러 라이닝부 뒤에 은폐되어 A 필러를 따라(예를 들어, A 필러의 습윤 영역을 따라) 아래로 흐른다. 따라서 눈에 보이는 물 줄기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특징들은 임의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세부사항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1은 루프 해치 장치를 구비한 운전실 루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운전실 루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루프 해치 장치의 액체 수집 장치 및 액체 제거 라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액체 제거 라인의 A 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운전실 루프에 부착된 액체 제거 라인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A 필러 라이닝부의 일부의 추가 도면과 함께, 도 1에 따른 운전실 루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운전실 루프를 갖는 운전실 본체 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루프 해치 장치를 구비한 추가 운전실 루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추가 운전실 루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의 루프 해치 장치의 액체 수집 장치 및 액체 제거 라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액체 제거 라인의 B 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8의 C 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추가 운전실 루프를 갖는 운전실 본체 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므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제공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들 또는 도면들의 설명이 참조된다.
도 1 및 도 2는 다용도 차량, 바람직하게는 트럭의 운전실을 위한 낮은 루프으로서 설계된 루프(10)을 도시한다. 루프(10)는 루프 본체(12) 및 루프 해치 장치(14)를 포함한다. 트럭의 루프(예를 들어, 낮은 루프, 중간 높은 루프 및 높은 루프) 및 루프 해치 장치에 대한 예로서 여기에 개시된 기술이 다른 자동차 및 다용도 차량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루프 본체(12)는 후드 형상이다. 루프 본체(12)는 상측 외부면(16) 및 주변 외부면(재킷 외부면)(18)을 갖는다. 상측 외부면(16) 및 주변 외부면(18)은 함께 루프 본체(12)의 후드 형상을 형성한다. 주변 외부면(18)은 상측 외부면(16)에 접하는 주변 상부 에지를 갖는다. 주변 외부면(18)은 루프 본체(12)의 하부 에지를 형성하는 주변 하부 에지를 갖는다.
루프 본체(12)는 트럭의 운전실 본체 쉘에 배치될 수 있는 별도의 부품으로 설계될 수 있다. 배치 후, 루프 본체(12)는 운전실 본체 쉘에, 예를 들어 용접, 접착,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루프 해치 장치(14)는 바람직하게는 루프 본체(12)의 중앙에 배치된다. 상측 외부면(16)은 바람직하게는 루프 해치 장치(14)가 배치되는 중앙 개구를 갖는다. 루프 해치 장치(14)는 바람직하게는 개방 가능한 루프 해치를 갖는다. 루프 해치 장치(14)는 예를 들어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예를 들어, 전기 모터에 의해) 열리고 닫힐 수 있다.
루프 본체(12)의 내부에는 액체 제거 라인(20)이 배치된다. 액체 제거 라인(20)은 루프 해치 장치(14)로부터 액체를 배출하기 위해 루프 해치 장치(14)에 연결된다.
액체 제거 라인(20)은 주변 외부면(18)의 개구(22)로 이어진다. 개구(22)는 루프 본체(12)의 외벽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 설계된다. 개구(22)는 외벽의 내부면을 외벽의 주변 외부면과 연결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개구(22)는 연결될 운전실 본체 쉘의 A 필러 위의 주변 외부면(18)의 일부 또는 전방 코너 영역(18A)에 배치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루프 해치 장치(14)로부터 액체 제거 라인(20)을 통해 주변 외부면(18)으로의 액체 제거에 대한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해치 장치(14)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수집 장치(24)를 가질 수 있다. 액체 수집 장치(24)는 개방되거나 개방되지 않은 루프 해치 장치(14)를 통해 외부로부터 침투한 액체(예를 들어, 빗물 또는 세척수)를 포착 및 수집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액체가 루프 해치 장치(14)로부터 운전실 내부 공간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액체 수집 장치(24)는 예를 들어 채널형 또는 트로프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액체 수집 장치(24)는 예를 들어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액체 수집 장치(24)는 바람직하게 루프 해치 장치(14)의 내부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액체 제거 라인(20)은 액체 수집 장치(24)의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26)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집 장치(24)에 의해 수집된 액체는 출구 개구(26)를 통해 액체 제거 라인(20)으로 안내될 수 있다. 액체 제거 라인(20)은 액체를 주변 외부면(18)의 개구(22)로 안내한다.
액체 제거 라인(20)은 개구(22)를 향해 구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집된 액체는 액체 제거 라인(20)으로부터 루프 본체(12) 외부로 다시 안내된다. 액체 제거 라인(20)은 상호 연결된 호스 및/또는 튜브 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액체 제거 라인(20)은 액체 수집 장치(24)와 개구(22)를 유동적으로 연결한다. 액체 제거 라인(20)은 액체 수집 장치(24)와 루프 본체(12)의 주변 외부면(18)을 유동적으로 연결한다.
액체 제거 라인(20)은 특히 액체 제거 라인(20)의 하류 단부에, 탄성 슬리브(28)를 가질 수 있다. 탄성 슬리브(28)는 액체 제거 라인(20)을 개구(22)에 부착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탄성 슬리브(28)는 내부로부터 개구(22)를 통해 삽입된다.
탄성 슬리브(28)는 주변 함몰부 또는 주변 홈에 의해 개구(22) 상에 유지될 수 있다(도 5 참조). 탄성 슬리브(28)의 주변 함몰부의 일 측면은 개구(22) 주위에서 루프 본체(12)의 외벽의 환형 섹션과 내부적으로 접할 수 있다. 주변 함몰부의 반대편 측면은 개구(22) 주위에서 루프 본체(12)의 외벽의 주변 외부면(18)의 환형 섹션과 외부적으로 접할 수 있다. 탄성 슬리브(28)의 주변 함몰부는 탄성 슬리브(28) 및 액체 제거 라인(20)을 개구(22)에 축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탄성 슬리브(28)는 예를 들어 주변 함몰부에 의해, 특히 링 형상으로 주변 외부면(18)의 외부와 접하는 주변 칼라부에 의해 개구(22)를 밀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개구(22)가 주변 외부면(18)의 전방 코너 영역(18A)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미 설명하였다. 이것은 개구(22)가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외부에서 들여다볼 수 없고 음향학적으로 무해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개구(22)가 A 필러 라이닝부(30)에 의해 덮일 수 있음을 도시한다.
A 필러 라이닝부(30)는 운전실 본체 쉘(34)의 A 필러(32)를 라이닝할 수 있다. A 필러 라이닝부(30)는 상부 섹션(30A)에서 A-필러(32) 위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개구(22)는 A 필러 라이닝부(30)의 상기 섹션(30A)으로 덮일 수 있다. A 필러 라이닝부(30)의 섹션(30A)은 특히 주변 외부면(18)의 섹션(18A)(도 1 및 도 2 참조)을 라이닝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22)는 외부에서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섹션(30A)은 또한 소음이 개구(22)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도록 개구(22)로부터 나오는 소음 방출을 감쇠 또는 반사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22)는 음향적으로 무해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것은 특히 항공 음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A 필러 라이닝부(30)에 의해 커버에 의해 특정 속도에서 휘파람 소리가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액체 안내 요소(36)가 개구(22)의 하부에 그리고 A 필러 라이닝부(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 안내 요소(36)는 액체 채널(38)의 연장부로서 배치될 수 있다. 액체 채널(38)은 홈 형상이거나 상부로 개방되어 있고 운전석측 및 조수석측에서 주변 외부면(18)의 하부 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액체 채널(38)은 운전석측 또는 조수석측에서 액체가 열린 도어를 통해 운전실 내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신에, 액체 채널(38)은 수집된 액체(예를 들어, 빗물 또는 세척수)를 액체 안내 요소(36)로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액체 안내 요소(36)는 A 필러(32)의 외부 습윤 영역으로 액체를 안내하도록 설계된다. A 필러(32)의 외부 습윤 영역은 A 필러 라이닝부(30)에 의해 덮인다. 개구(22)로부터의 액체는 액체 안내 요소(36) 내로 흐를 수 있고 거기로부터 A 필러(32)의 외부 습윤 영역을 따라 A 필러 라이닝부(30) 뒤에 은폐되어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다. 유사하게, 액체는 액체 채널(38)로부터 액체 안내 요소(36)로 흐를 수 있고 거기에서 A 필러(32)의 외부 습윤 영역을 따라 A 필러 라이닝부(30) 뒤에은폐되어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다.
개구(22)가 다르게 설계된 라이닝부 뒤에 은폐되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 개시된 액체 제거 라인(20)의 배치는 운전실 본체 쉘(34) 상에 루프(10)의 조립을 상당히 단순화할 수 있다. 루프 본체(12), 루프 해치 장치(14) 및 액체 제거 라인(22)은 운전실 본체 쉘(34)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사전 조립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루프(10)가 운전실 본체 쉘(10) 상에 배치되는 경우, 선행 기술에서와 같이, 복잡하게 액체 제거 라인이 수동으로 루프와 운전실 본체 쉘 사이의 분리 지점을 지나 A 필러 내부 라이닝부와 운전실 본체 쉘의 A 필러 사이에 배치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수동 오버헤드 조립 작업은 여기에 개시된 액체 제거 라인(20)의 배치에서 생략된다. 대신, 루프(10)의 사전 조립 중에 이미 배수구가 완성될 수 있다. 루프(10)를 장착할 때 수동 개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루프(10)의 완전 자동 장착도 가능하다. A 필러 내부 라이닝부 뒤에 확보된 공간은 다른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전기 라인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은 액체 제거 수단이 트럭의 운전실에 배치될 수 있는 높은 루프에 통합된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액체 제거 라인(20)은 루프 본체(12) 내부에 배치되고 액체 수집 장치(24)를 주변 외부면(18)의 개구(22)에 연결한다. 개구(22)는 A 필러 라이닝부(30)의 상부 섹션(30A)에 의해 라이닝되는 섹션(18A)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와는 달리, 액체 제거 라인(20)은 루프(10)의 전방 에지를 따라 내부에 연장되지 않는다. 대신에, 액체 제거 라인(20)은 루프 해치 장치(14)로부터 내부에서 직접 운전석측 또는 조수석측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그리고 슬리브(28) 위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액체 제거 라인(20)의 다른 연장도 두 실시예에 대해 가능하다.
도 12는 개구(22)가 액체 채널(38) 위에 배치되는 것을 다시 상세히 도시한다. A 필러 라이닝부(30) 뒤의 A 필러(32)의 외부 습윤 영역에 대한 연결을 형성하는 액체 안내 요소(36)(예를 들어, 도 7 참조)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의 아이디어를 사용하므로 보호 범위에 속하는 많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인용된 청구항들과 독립적으로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 및 특징에 대한 보호를 청구한다. 특히, 독립 청구항 제 1 항의 개별 특징들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개시된다. 또한,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은 독립 청구항 제 1 항의 모든 특징과 독립적이고 예를 들어 독립 청구항 제 1 항의 루프 본체, 루프 해치 장치 및/또는 액체 제거 라인의 존재 및/또는 구성과 관련된 특징들과 독립적이다.
10: 루프
12: 루프 본체
14: 루프 해치 장치
16: 상측 외부면
18: (주변) 외부면
18A: 코너 영역/섹션
20: 액체 제거 라인
22: 개구
24: 액체 수집 장치
26: 출구 개구
28: 슬리브
30: (A-필러) 라이닝부
30A: 섹션
32: A 필러
34: 운전실 본체 쉘
36: 액체 안내 요소
38: 액체 채널

Claims (15)

  1. 자동차, 특히 다용도 차량용 액체 제거 장치로서,
    상기 자동차용 루프 본체(12);
    상기 루프 본체(12)에 배치되는 루프 해치 장치(14); 및
    상기 루프 해치 장치(14)에 연결되고 상기 루프 본체(12)의 외부면(18)으로 이어지는 액체 제거 라인(20)를 포함하는, 액체 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제거 라인(20)은 상기 루프 해치 장치(14)로부터 상기 외부면(18)으로 액체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며; 및/또는
    상기 액체 제거 라인(2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루프 해치 장치(14)로부터 상기 외부면(18)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액체 제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본체(12)는 상측 외부면(16) 및 주변 외부면(18)을 갖는 후드 형상이고, 상기 루프 해치 장치(14)는 상기 상측 외부면(16)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제거 라인(20)은 상기 주변 외부면(18)으로 이어지는, 액체 제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제거 라인(20)은 상기 루프 본체(12)의 운전석측 및/또는 상기 루프 본체(12)의 조수석측 상의 외부면(18)으로 이어지고; 및/또는
    상기 액체 제거 라인(20)은 상기 외부면(18)의 전방 코너 영역으로 이어지는, 액체 제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1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라이닝부(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제거 라인(20)은 상기 라이닝 부분(30) 뒤에 은폐되어 상기 루프 본체(12)의 상기 외부면(18)으로 이어지는, 액체 제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해치 장치(14)는 상기 루프 해치 장치(14)를 통해 침투하는 액체를 포착 및/또는 수집하도록 구성된 바람직하게는 채널형, 트로프형 및/또는 프레임형 액체 수집 장치(24)를 갖고; 및
    상기 액체 제거 라인(20)은 상기 액체 수집 장치(24)에 연결되는, 액체 제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본체(12), 상기 루프 해치 장치(14) 및 상기 액체 제거 라인(20)은 다용도 차량, 바람직하게는 트럭의 운전실 본체 쉘(34)에 전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자동화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는 사전 조립 유닛을 형성하는, 액체 제거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본체(12)의 상기 외부면(18)의 외부에 배치된 액체 채널(3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제거 라인(20)은 상기 액체 채널(38) 위에서 상기 외부면(18)으로 이어지는, 액체 제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채널(38)은 외부의 액체를 상기 자동차의 A 필러(32)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며; 및/또는
    상기 액체 채널(38)은 위쪽으로 열려 있고 및/또는 홈 형상이고; 및/또는
    상기 액체 채널(38)은 상기 루프 본체(12)의 운전석측 또는 조수석측 상에 배치되며; 및/또는
    상기 액체 채널(38)은 상기 루프 본체(12)의 하부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액체 제거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18)은 개구(22)를 가지며; 및
    상기 액체 제거 라인(20)은 상기 개구(22)에 부착되는 탄성 슬리브(28), 바람직하게는 고무 슬리브를 갖는, 액체 제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슬리브(28)는 상기 외부면(18)에 접하는 주변 칼라를 갖고; 및/또는
    상기 탄성 슬리브(28)는 내부로부터 부분적으로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및/또는
    상기 탄성 슬리브(28)는 상기 개구(22)를 밀봉하고; 및/또는
    상기 탄성 슬리브(28)는 상기 탄성 슬리브(28) 및/또는 상기 액체 제거 라인(20)을 상기 개구(22)에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주변 함몰부를 갖는, 액체 제거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제거 라인(20)은 상기 루프 본체(12)의 내부에 배치되고; 및/또는
    상기 액체 제거 라인(20)은 서로 연결된 튜브 본체 및/또는 호스 본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루프 본체(12)는 다용도 차량, 바람직하게는 트럭의 운전실 루프 본체로서 설계되고; 및/또는
    상기 루프 본체(12)는 낮은 루프 본체, 중간 높이 루프 본체 또는 높은 루프 본체로 설계되고; 및/또는
    상기 루프 본체(12)는 다용도 차량, 바람직하게는 트럭의 운전실 본체 쉘(34)에 별도로 배치될 수 있는, 액체 제거 장치.
  13. 선행하는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액체 제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바람직하게는 다용도 차량.
  14. 제 13 항에 있어서,
    A 필러(32)를 갖는 운전실 본체 쉘(34); 및
    상기 A 필러(32)를 외부로부터 라이닝하며, 상기 A 필러(32) 위에 수직 상향으로 연장되는 섹션(30A)을 갖는 A 필러 라이닝부(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제거 장치는 상기 운전실 본체 쉘(34)에 배치되고; 및
    액체 제거 라인(20)은 상기 A 필러 라이닝부(30)의 상기 섹션(30A) 뒤에 은폐되어 루프 본체(12)의 외부면(18)으로 이어지는, 자동차.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본체(12)의 상기 외부면(18)에서 상기 액체 제거 라인(20)으로부터 나온 액체는 상기 A 필러 라이닝부(30) 뒤에 은폐되어 상기 A 필러(32)를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는, 자동차.
KR1020227015814A 2019-10-30 2020-10-19 루프 해치 장치용 액체 제거 장치 KR202200887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007569.2A DE102019007569A1 (de) 2019-10-30 2019-10-30 Vorrichtung zum Abführen von Flüssigkeit für eine Dachlukenvorrichtung
DE102019007569.2 2019-10-30
PCT/EP2020/079390 WO2021083710A1 (de) 2019-10-30 2020-10-19 Vorrichtung zum abführen von flüssigkeit für eine dachluken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717A true KR20220088717A (ko) 2022-06-28

Family

ID=7294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814A KR20220088717A (ko) 2019-10-30 2020-10-19 루프 해치 장치용 액체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051556A1 (ko)
KR (1) KR20220088717A (ko)
CN (1) CN114555454A (ko)
BR (1) BR112022006580A2 (ko)
DE (1) DE102019007569A1 (ko)
WO (1) WO20210837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8615U (ja) * 1983-01-31 1984-08-10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ウエザストリツプ構造
DE3644959C2 (de) * 1986-05-28 1994-03-03 Man Nutzfahrzeuge Ag Frontklappen-Öffnungs- bzw. -Schließmechanismus für ein am Fahrerhaus eines Frontlenker-LKW angelenktes Frontwandteil
DE3910257C1 (en) * 1989-03-30 1990-03-0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uenchen, De Passenger car
DE4113670C1 (ko) * 1991-04-26 1992-06-04 Rockwell Golde Gmbh, 6000 Frankfurt, De
JPH0661595U (ja) * 1993-02-12 1994-08-3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ボデー構造
DE4332369C1 (de) * 1993-09-23 1994-10-20 Man Nutzfahrzeuge Ag Dachluke im Dach eines Nutzfahrzeuges
JPH09156379A (ja) * 1995-12-11 1997-06-17 Suzuki Motor Corp ドレイン構造
JP3417194B2 (ja) * 1996-03-05 2003-06-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サンルーフドレーンホース配索部構造
US6189961B1 (en) * 1999-05-10 2001-02-2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Interior trim support panel with incorporated sunroof drain
US6464291B2 (en) * 1999-11-12 2002-10-15 Club Car Inc. Vehicle canopy top with an improved drainage system
DE10123481A1 (de) * 2001-05-15 2002-11-21 Volkswagen Ag Wasserfang- und abführanordnung für einen eine Fahrzeugdachöffnung begrenzenden U-förmigen Rahmen
KR20030015726A (ko) * 2001-08-17 2003-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썬루프의 드레인 호스
US7404597B2 (en) * 2004-06-29 2008-07-29 Honda Motor Co., Ltd. Sunroof drain tube mounting arrangement
CN101683868A (zh) * 2008-09-27 2010-03-31 上海东裕电动车有限公司 一种高尔夫球车的顶棚漏水结构
WO2013141844A1 (en) * 2012-03-20 2013-09-26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Roof assembly
US8668255B1 (en) * 2012-11-27 2014-03-11 Caterpillar Inc. Stamped roof panel for a utility vehicle cab
CN103963719B (zh) * 2014-04-19 2016-05-11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汽车电动天窗的排水系统
CN204184277U (zh) * 2014-11-16 2015-03-04 重庆市仕佳汽车配件有限公司 汽车通风窗防水结构
JP6597216B2 (ja) * 2015-11-16 2019-10-3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キャブ
CN205292234U (zh) * 2015-12-29 2016-06-08 福特环球技术公司 车顶遮板组件及车辆
CN207433228U (zh) * 2017-10-31 2018-06-01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顶盖安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06580A2 (pt) 2022-06-28
EP4051556A1 (de) 2022-09-07
WO2021083710A1 (de) 2021-05-06
CN114555454A (zh) 2022-05-27
DE102019007569A1 (de)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3736B2 (ja) 3要素ウォーターボックスを有する自動車両用設備
JP4374680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H0375387B2 (ko)
JP7359017B2 (ja) 車両の前部構造
GB2459765A (en) Motor vehicle with an airbag mounted in the A-pillar
JP2009051328A (ja) ピラートリムの排水路構造
JP6821642B2 (ja) カウルトップ構造
KR20220088717A (ko) 루프 해치 장치용 액체 제거 장치
CN107097852B (zh) 车身前部结构
GB2054481A (en) Drain structure for vehicle sun roof
JP2006256357A (ja) カウルパネル排水構造
CN108146511B (zh) 一种空气室结构及汽车
JPH04266526A (ja) 車両のサンルーフ装置
JP2001278117A (ja) 自動車のカウル部の車体構造
JP531117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における排水構造
US20220063519A1 (en) Vehicle
JP2007261368A (ja) ルーフ開放型車両の排水構造
JP3882600B2 (ja) オートスライドドアのケーブル引き出し部取付構造
JP7198798B2 (ja) 車両前部構造
JPS6348462Y2 (ko)
CN116981613A (zh) 用于机动车、尤其是用于乘用车的车顶以及机动车
JP2005153575A (ja) キーシリンダの水抜き構造
JP2616081B2 (ja) 自動車用エアボックス構造
JP2005199893A (ja) ドリップ構造
JP2564688B2 (ja) 車体構造